KR101469347B1 - 리드프레임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리드프레임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347B1
KR101469347B1 KR1020130020096A KR20130020096A KR101469347B1 KR 101469347 B1 KR101469347 B1 KR 101469347B1 KR 1020130020096 A KR1020130020096 A KR 1020130020096A KR 20130020096 A KR20130020096 A KR 20130020096A KR 101469347 B1 KR101469347 B1 KR 101469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ead frame
cover
side wall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7717A (ko
Inventor
조승열
Original Assignee
(주)Sy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Sy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Sy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30020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347B1/ko
Publication of KR20140107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34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드프레임을 수납하여 이송시키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리드프레임용 케이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케이싱은, 상면이 열려 있고, 내부에는 리드프레임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길이 방향의 측벽 상단부분에 형성된 결합돌기(16)를 구비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결합돌기(16)가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24)이 형성된 연장부(22)를 저면에 구비하는 커버(20)를 포함한다. 용기의 측벽(12) 내측면에는 이격용돌기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용기(10)의 측벽에는,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관통부분(14)이 구비되고, 상기 용기(10)의 저면에는, 용기의 모서리부분(13) 내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적층용 돌기(17)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리드프레임용 케이스{Cases for lead frames}
본 발명은 리드프레임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이송 중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확한 개폐가 가능하고, 내부에서 파티클의 생성 우려도 없으며, 적층 가능하게 구성되는 리드프레임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리드프레임을 내장한 상태에서 이송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리드프레임의 케이싱는 일반적으로 리드프레임을 내장할 수 있는 체적을 가지는 용기와, 이러한 용기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리드프레임용 케이싱은 용기의 상면이 열려 있고, 이렇게 열려 있는 상면을 커버가 그 수직방향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단순히 수직방향, 즉 용기의 수납공간에 대하여 바로 상방으로 열거나 하방으로 닫도록 구성하는 리드프레임용 케이싱의 경우에는, 이송 등의 경우 커버가 용기에서 쉽게 열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커버가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있으며, 리드프레임을 수납한 상태의 케이싱은 이송을 위한 핸들링 과정에서 수직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많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리드프레임을 수납하는 케이싱의 경우에는, 내부에 수납된 리드프레임과 케이싱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면 케이싱에서 입자가 발생하게 되어 리드프레임에 접착되는 등 여러 가지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리드프레임이 수납되어 있는 케이싱에 먼지가 들어붙거나 정전기가 발생하면 리드프레임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에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본 발명은 리드프레임을 내장하고 있는 케이싱의 커버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드프레임용 케이싱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리드프레임과 케이싱의 내벽 사이에서의 접촉 및 마찰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에 의하여, 케이싱의 긁힘에 의한 입자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드프레임용 케이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드프레임용 케이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리드프레임용 케이싱은, 상면이 열려 있고, 내부에는 리드프레임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길이 방향의 측벽 상단부분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결합돌기가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이 형성된 연장부(22)를 저면에 구비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의 측벽에는,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관통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의 측벽 내측면에는 이격돌기부가 다수개 형성되어, 수납된 리드프레임과 용기의 측벽과의 접촉을 방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용기의 저면에는, 용기의 모서리부분 내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적층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용기 및 커버는 대전방지용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는 용기에서 직상방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커버를 열거나 닫기 위해서는 커버를 용기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과 커버를 용기에서 분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두 방향의 이동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리드프레임이 내장된 상태에서 이송되는 것과 같은 과정에서 커버가 용기에서 임의로 상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기대된다.
그리고 용기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격돌기부의 구성에 의하여, 수납된 리드프레임이 용기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등에 의하여 긁힘이 충분히 방지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접촉 등에 의한 입자의 발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저면에 형성되는 적층용돌기에 의하여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 용기의 적층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함이 기대되고, 용기 및 커버를 대전방지용 수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잇점도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 리드프레임용 케이싱의 분해 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드프레임용 케이싱의 분리 상태 예시 사시도인 도 1과, 도 1의 A-A 선 단면도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드프레임용 케이싱은 복수 개의 리드프레임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열린 상면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20)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용기(10)는 상면이 열려 있으며, 내부에는 다수의 리드프레임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20)는 용기(10)의 열린 상면을 개폐하는 것이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커버(20)는 용기(10)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직접 개폐되지 않는다.
상기 용기(1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측벽(12)에는,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되는 관통부분(14)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부분(14)은 실질적으로 용기(10) 내에 수납되어 있는 리드프레임을 확인하거나 외부의 센싱장치가 갯수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용기(1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측벽(12)의 내측에는 에는 결합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16)는 각각의 측벽(12)에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20)는 전체적으로 상기 용기(10)와 동일한 평면도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20)는 이와 같이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될 수 없음은 당연하고, 예를 들면 사각형을 기본적으로 하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함은 물론이고 측벽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1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커버(20)의 길이 방향의 내측면 상단부분에는 상기 결합돌기(16)가 내부로 수납될 수 있는 결합홈(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24)은 커버(20)의 길이방향으로 양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22)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16)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22)는 실질적으로 용기(10)의 내측에 끼워질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4개의 연장부(22)를 구비하는 커버(20)가 용기(10)에 결합되면 상기 연장부(22)는 용기(20)의 측벽(12)의 내측면에 접촉하면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24)은 수직방향이 아니라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커버(20)를 용기(10)에 닫는 경우에는 단순한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지 않고, 먼저 커버(20)를 용기(1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내려서[도 2의 화살표(a) 방향] 결합한 후, 다시 커버(2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커버(20)가 용기(10)에 결합된다. 커버(20)를 용기(1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하향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연장부(22)가 결합돌기(16)에 대하여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일정 간격 수평방향(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우측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용기(10)에 결합한다. 이러한 상태는 상기 연장부(22)가 용기(10)의 측벽(12)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20)를 수평방향(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결합홈(24)에 상기 결합돌기(16)가 들어가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용기(10)에 커버(20)가 결합되면, 상기 커버(20)는 단순한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서는 용기(1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커버(20)를 용기(1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역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있어야 하는데, 먼저 커버(10)를 화살표(b)와는 반대인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결합돌기(16)가 결합홈(24)에서 분리될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20)를 용기(10)에서 들어올려면(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용기(10)에서 커버(20)가 분리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10) 내부에 들어 있는 다수의 리드프레임이 용기의 내측벽면에 접촉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함으로써, 긁힘에 의한 입자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의 내측벽면에는 복수 개의 이격돌기부(18a,18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격돌기부(18a,18b)는, 수납되어 있는 리드프레임의 외측면이 용기(10)의 내측벽에 접촉하여 내측벽면이 긁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격돌기부(18a,18b)에 의하여, 리드프레임은 용기(10)의 내측벽면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서로 간의 접촉 및 마모에 의한 입자의 발생을 방지하게 되어 발생하는 입자에 의한 리드프레임의 손상 또는 신뢰도 하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10)의 저면(15)에는 적층용돌기(17)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적층용돌기(17)는 커버(20)가 제외된 상태에서 용기(10)를 적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저면(15)에서 돌출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적층용돌기(17)는 용기(10)의 두 개의 내측벽이 직교하면서 만나는 내측 모서리부분(13)에 해당하는 위치에 복수 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있어서는 4개의 모서리부분(13)에 모두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적층용돌기(17)는 모서리부분(13)에 정확하게 맞도록 형성됨으로써, 용기(10)들을 서로 적층할 수 있게 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층용돌기(17)는 ㄱ자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모서리부분(13)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면 그 형상에 의하여 한정될 수는 없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싱을 구성하는 용기(10)와 커버(20)는 대전방지용 수지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방지용 수지 자체는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것이고, 이와 같이 대전방지용 수지로 용기(10)와 커버(20)를 형성함으로써 내부에 수납되는 리드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정전기의 발생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케이싱 내부의 먼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
10 ..... 용기
12 ..... 측벽
13 ..... 모서리부분
14 ..... 관통부분
15 ..... 저면
16 ..... 결합돌기
17 ..... 적층용돌기
18a, 18b ..... 이격돌기부
20 ..... 용기
22 ..... 연장부
24 ..... 결합홈

Claims (5)

  1. 상면이 열려 있고, 내부에는 리드프레임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길이 방향의 측벽 상단부분에 형성된 결합돌기(16)를 구비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결합돌기(16)가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24)이 형성된 연장부(22)를 저면에 구비하는 커버(20)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10)의 측벽 내면에는, 리드프레임과 용기의 내측면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이격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10)의 측벽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고, 외부의 센싱장치가 내부의 리드프레임을 감지할 수 있는 관통부분(14)이 구비되며;
    상기 용기(10)의 저면에는, 용기의 모서리부분(13) 내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적층용 돌기(17)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2)는, 상기 결합돌기(16)가 결합홈(24)에 결합되기 위하여 커버가 용기(1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하향될 때, 용기(10)의 내측에 접촉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성형되며;
    상기 용기(10) 및 커버(20)는 대전방지용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용 케이싱.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020096A 2013-02-25 2013-02-25 리드프레임용 케이스 KR101469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096A KR101469347B1 (ko) 2013-02-25 2013-02-25 리드프레임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096A KR101469347B1 (ko) 2013-02-25 2013-02-25 리드프레임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717A KR20140107717A (ko) 2014-09-05
KR101469347B1 true KR101469347B1 (ko) 2014-12-09

Family

ID=5175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096A KR101469347B1 (ko) 2013-02-25 2013-02-25 리드프레임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3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0645A (ja) * 1999-09-09 2001-03-27 Toyo Jushi Kk リードフレーム用ケース
KR200304836Y1 (ko) * 2002-11-18 2003-02-19 주식회사 태평양 리필용 화장용 티슈 케이스의 뚜껑 결합구조
JP4315692B2 (ja) * 2003-01-24 2009-08-19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シート状品の収納ケース
JP2010052781A (ja) * 2008-08-29 2010-03-11 Shin Etsu Polymer Co Ltd 収納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0645A (ja) * 1999-09-09 2001-03-27 Toyo Jushi Kk リードフレーム用ケース
KR200304836Y1 (ko) * 2002-11-18 2003-02-19 주식회사 태평양 리필용 화장용 티슈 케이스의 뚜껑 결합구조
JP4315692B2 (ja) * 2003-01-24 2009-08-19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シート状品の収納ケース
JP2010052781A (ja) * 2008-08-29 2010-03-11 Shin Etsu Polymer Co Ltd 収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717A (ko)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13011672A1 (ja) トレイ
US20120273389A1 (en) Semiconductor tray carrier
WO2016086447A1 (zh) 可堆叠的包装箱及包装箱组
KR20150066540A (ko) 기판 수납 용기
KR200438192Y1 (ko) 과일 포장상자
KR101127275B1 (ko) 배터리용 트레이
KR101469347B1 (ko) 리드프레임용 케이스
KR101447451B1 (ko) 웨이퍼 보관 용기
KR101426898B1 (ko) 표시패널 운반용 트레이조립체
JP5415304B2 (ja) 運搬用容器
WO2018179859A1 (ja) 半導体ウェハ容器
KR101241113B1 (ko) 보관 케이스
KR101408669B1 (ko) 박판 수납용기
TWI532661B (zh) 面板承載箱
JP2017149462A (ja) 食品包装用容器
TWI461339B (zh) Can quickly remove the contents of the panel box
JP2006325976A (ja) 収容箱
JP2015174658A (ja) 薄葉紙収納容器
KR100935938B1 (ko) 양방향 포장용 박스
CN204979817U (zh) 晶圆盒
CN212099842U (zh) 薄片平面镜包装盒
CN201932419U (zh) 一种组合式收藏品展示盒
CN211065365U (zh) 一种文具盒
KR20230025092A (ko) 트레이 적층용 포켓
KR20100010375U (ko) 용기의 뚜껑과 바닥에 요철이 있는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