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3098A -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크젯 헤드 세정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크젯 헤드 세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098A
KR20230023098A KR1020210104577A KR20210104577A KR20230023098A KR 20230023098 A KR20230023098 A KR 20230023098A KR 1020210104577 A KR1020210104577 A KR 1020210104577A KR 20210104577 A KR20210104577 A KR 20210104577A KR 20230023098 A KR20230023098 A KR 20230023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jet head
unit
fixing member
cleaning device
head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원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4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3098A/ko
Priority to CN202210008236.4A priority patent/CN115703293A/zh
Publication of KR20230023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 B41J2/16526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by applying pressure only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는 하나 이상의 압력 인가부, 상기 압력 인가부를 지지하며 상기 압력 인가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부, 그리고 상기 압력 인가부를 상기 이송부에 고정시키거나 풀 수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인가부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이송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의 제1측부는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이송부와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크젯 헤드 세정 방법{apparatus for cleaning inkjet head and cleaning method of inkjet head using the same}
본 개시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크젯 헤드 세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전자 장치는 기판 위에 형성된 복수의 박막 패턴을 포함한다. 박막 패턴은 잉크젯 공정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잉크젯 공정을 위한 잉크젯 장치는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을 가지는 잉크젯 헤드를 포함한다. 잉크젯 장치에서는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의 막힘 없이 일정한 양의 잉크를 토출하는 것이 중요한데, 노즐면에 잉크의 잔류물이 잔류할 경우 잉크젯 공정으로 형성한 박막 패턴에 불량이 생길 수 있다.
?틀暉? 잉크젯 노즐면을 유지하기 위해 노즐면의 세정이 필요하다.
잉크젯 헤드의 노즐면을 세정하는 방법 중 노즐면이 위치하는 잉크젯 헤드면에 와이퍼를 접촉하여 세정하는 방법이 있다.
본 기재는 잉크젯 헤드의 노즐면을 효율적으로 깨끗하게 세정하여 잉크가 정상적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는 하나 이상의 압력 인가부, 상기 압력 인가부를 지지하며 상기 압력 인가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부, 그리고 상기 압력 인가부를 상기 이송부에 고정시키거나 풀 수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인가부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이송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의 제1측부는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이송부와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인가부와 상기 이송부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 또는 베어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 또는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제2부분과 상기 이송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가 풀린 상태에서 상기 압력 인가부의 상기 이송부에 대한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 부재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 인가부의 상기 이송부에 대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부는 제1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통과부 및 상기 통과부에 연결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멍의 크기는 상기 통과부의 단면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1구멍에 대응하는 홈 또는 제2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측부를 상기 이송부의 측면에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의 내부 공간 안에 상기 하나 이상의 압력 인가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의 측부는 하나 이상의 제2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2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통과부 및 상기 통과부에 연결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인가부는 상기 제2구멍에 대응하는 제3구멍 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송부의 측부를 상기 압력 인가부의 상기 제1측부에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인가부의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측부에 연결된 제2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측부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가 상기 제2측부의 상기 오목부 안에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압력 인가부의 위에 위치하는 세정 부재, 그리고 상기 세정 부재를 감을 수 있는 복수의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는 하나 이상의 압력 인가부, 상기 압력 인가부를 지지하며 상기 압력 인가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부, 상기 압력 인가부의 상기 이송부에 대한 위치를 조절한 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 그리고 상기 압력 인가부와 상기 이송부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 또는 베어링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 인가부는 향하는 방향이 서로 다른 제1측부 및 제2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부는 제1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통과부 및 상기 통과부에 연결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측부와 상기 이송부의 측면을 서로 가압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방법은, 하나 이상의 잉크젯 헤드를 포함하는 잉크젯 장치의 아래에 고정 부재가 풀린 상태에서 이송부와 압력 인가부 사이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은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 부재가 풀린 상태에서 상기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와 상기 잉크젯 헤드 사이의 거리를 줄여 상기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가 포함하는 압력 인가부와 상기 잉크젯 헤드가 서로 맞닿는 단계, 상기 압력 인가부와 상기 잉크젯 헤드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이송부에 고정하여 상기 압력 인가부를 상기 이송부에 고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와 상기 잉크젯 헤드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부재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를 상기 잉크젯 헤드에 밀착시켜 상기 잉크젯 헤드를 세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잉크젯 헤드의 노즐면을 효율적으로 깨끗하게 세정하여 잉크가 정상적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장치의 잉크젯 헤드부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잉크젯 헤드부를 A1-A2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잉크젯 헤드부를 B1-B2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이송부를 도시하고,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이송부 및 압력 인가부를 도시하고,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은 차례대로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압력 인가부를 잉크젯 헤드부에 정렬하여 고정하는 방법의 단계를 나타내고,
도 1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이송부 및 압력 인가부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도 1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이송부 및 압력 인가부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이송부 및 압력 인가부를 도시하고,
도 14, 도 15, 도 16, 도 17, 도 18 및 도 19는 각각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탄성 부재의 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연결된다"라고 할 때, 이는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위치나 기능에 따라 상이한 명칭들로 지칭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일체인 각 부분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장치의 잉크젯 헤드부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잉크젯 헤드부를 A1-A2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잉크젯 헤드부를 B1-B2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이송부를 도시하고,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이송부 및 압력 인가부를 도시한다.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1000)는 잉크젯 장치(2000)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잉크젯 헤드(520) 각각의 노즐면(521)이 위치하는 헤드면(522)을 세정하기 위한 것이다.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장치(2000)는 하나 이상의 잉크젯 헤드(520) 및 캐리지(5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젯 장치(2000)가 복수의 잉크젯 헤드(520)를 포함하는 예를 위주로 설명한다.
복수의 잉크젯 헤드(520)는 x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잉크젯 헤드(520)는 캐리지(510)에 조립되거나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캐리지(510)는 xy 평면상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각 잉크젯 헤드(520)는 잉크가 토출될 수 있는 노즐면(521)이 위치하는 헤드면(522)을 가진다. 복수의 잉크젯 헤드(520)의 헤드면(522)은 동일한 방향(예를 들어 z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노즐면(521)은 도 1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면(522)을 기준으로 잉크젯 헤드(520)의 안쪽으로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1000)는 하나 이상의 압력 인가부(100), 이송부(200), 고정 부재(210) 및 탄성 부재(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압력 인가부(100)를 포함하는 예를 위주로 설명한다.
복수의 압력 인가부(100)는 x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각 압력 인가부(100)는 잉크젯 장치(2000)의 잉크젯 헤드(520)에 각각 일대일로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1000)가 포함하는 압력 인가부(100)의 개수는 세정하고자 하는 잉크젯 장치(2000)의 잉크젯 헤드(52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각 압력 인가부(100)는 잉크젯 헤드(520)를 향하여 위치하는 상부(110), 그리고 상부(110)의 아래(z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110)는 잉크젯 헤드(520)의 헤드면(522)과 맞물릴 수 있는 형태의 윗면을 가지며, 특히 노즐면(521)에 대응하여 맞물릴 수 있는 노즐면 대응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110)는 고무, 실리콘 고무, 발포 실리콘, 폴리머, 금속, 유리, 석영 등의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110)는 탄성을 가질 수도 있고 강성을 가질 수도 있다.
하부(120)는 상부(110)의 아래쪽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110)와 이송부(200) 사이에 위치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부(120)는 xz 평면상으로 연장된 제1측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부(121)는 제1측부(121)를 y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21)을 포함할 수 있다. 구멍(21)은 제1측부(121)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측부(121)의 아래쪽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측부(121)는 아래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오목부를 포함하여 대략 대략 x 방향의 브릿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부(120)는 금속 또는 폴리머 등의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200)는 압력 인가부(100)를 지지하며 압력 인가부(100)의 x, y, z 방향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부(200)의 윗면은 압력 인가부(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평탄한 면을 가질 수 있다.
이송부(200)는 x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압력 인가부(100)에 대응하여 x 방향으로 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압력 인가부(100)가 이송부(200)에 의해 지지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가능한데,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송부(200) 위에 압력 인가부(100)가 위치하여 올려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압력 인가부(100)의 하부(120)의 제2측부(123)는 제2측부(123)를 x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측부(123)는 제1측부(121)와 다른 평면상으로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측부(123)는 yz 평면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측부(123)의 y 방향의 길이는 제1측부(121)의 x 방향의 길이보다 클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측부(123)의 구멍(22)은 제2측부(123)의 아래쪽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위치하여 제2측부(123)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대략 y 방향의 브릿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브릿지 형태의 제2측부(123)의 오목부 안쪽에 이송부(200)가 위치할 수 있다. 이송부(200)의 윗부분에 각 압력 인가부(100)의 하부(120)의 제2측부(123)의 오목부가 대응하여 올려질 수 있다. 즉, 제2측부(123)의 구멍(22)에 의한 오목부에 이송부(200)가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측부(123)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양쪽의 제1측부(121)는 이송부(200)의 측면 위에 위치하며 접촉할 수 있다.
고정 부재(210)는 각 압력 인가부(100)를 이송부(200)에 고정시키거나 고정하지 않고 풀 수 있다. 고정 부재(210)가 풀려져 있을 때는 압력 인가부(100)의 이송부(200)에 대한 위치가 변경 가능하고, 고정 부재(210)가 고정되어 있을 때는 압력 인가부(100)의 이송부(200)에 대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210)의 한 예로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고정 부재(210)는 압력 인가부(100)의 하부(120)의 제1측부(121)의 구멍(21)을 통과할 수 있는 통과부(211), 그리고 고정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인가부(100)의 이송부(200)에 대한 상대적 위치의 변경을 위해 구멍(21)의 xy 평면상 크기는 고정 부재(210)의 통과부(211)의 xy 평면상의 크기, 즉 단면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즉, 고정 부재(210)가 풀린 상태에서 고정 부재(210)의 통과부(211)는 구멍(21) 안에서 x, y, z 방향으로 소정의 폭 안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이송부(200)는 각 고정 부재(210)의 통과부(211)가 삽입되어 고정 또는 체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홈(201) 또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홈(201)은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또는 이송부(200)를 y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 형태일 수 있다. 각 홈(201)은 압력 인가부(100)의 각 구멍(21)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210)가 볼트인 경우 홈(201)의 내면에는 볼트의 통과부(211)의 나선형 홈 또는 돌기가 돌려져 체결될 수 있는 반대 형상의 나선형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압력 인가부(100)의 이송부(200)에 대한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정 부재(210)가 압력 인가부(100)의 하부(120)의 구멍(21)에 끼워져 있지 않거나 통과부(211)만 걸쳐져 있을 수 있고 이를 고정 부재(210)가 풀린 상태라 한다.
이와 반대로 압력 인가부(100)가 이송부(200)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고정 부재(210)가 압력 인가부(100)의 하부(120)의 구멍(21)에 완전히 끼워져 고정부(212)가 압력 인가부(100)의 하부(120)를 y 방향으로 가압하여 압력 인가부(100)가 이송부(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를 고정 부재(210)가 고정된 상태라 한다.
탄성 부재(300)는 각 압력 인가부(100)의 하부(120)와 이송부(200)가 맞닿는 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압력 인가부(100)가 위치하는 이송부(200)의 윗면과 압력 인가부(100)의 하부(120)의 아랫면 사이에 탄성 부재(300)가 위치할 수 있다.
탄성 부재(300)는 탄성을 가지며, 고무, 실리콘 고무, 발포 실리콘, 폴리머 등의 탄성력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300)는 xy 평면상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탄성 부재(300)를 통해 이송부(200)에 대한 각 압력 인가부(100)의 z 방향의 위치 및/또는 z 방향을 기준으로 한 오리엔테이션(방향성)이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1000)는 세정 부재(450), 세정 부재 공급부(410), 세정 부재 회수부(420), 그리고 복수의 가이드 롤러(430, 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정 부재(450)는 잉크젯 헤드(520)의 헤드면(522)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헤드면(522)을 세정할 수 있다. 세정 부재(450)는 롤러에 감길 수 있는 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세정 부재(450)는 헤드면(522)과 직접 닿기 때문에 헤드면(522)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정 부재(450)는 폴리에스터, ETFE(ethylene tetrafluoro ethylene) 등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 부재 공급부(410)는 세정 부재(450)가 감겨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세정 부재 회수부(420)는 잉크젯 헤드(520)의 헤드면(522)을 세정한 세정 부재(450)를 회수하여 감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세정 부재 공급부(410)와 세정 부재 회수부(420)는 각각 롤러 형태일 수 있다.
세정 부재 공급부(410)와 세정 부재 회수부(420) 사이에 이송부(200) 및 압력 인가부(100)가 위치할 수 있다.
압력 인가부(100)는 잉크젯 헤드(520)의 세정시 세정 부재(450)가 헤드면(522)에 밀착될 수 있도록 세정 부재(45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잉크젯 헤드(520)의 세정 시 압력 인가부(100)가 헤드면(522)에 밀착될 수 있도록 이송부(200)가 z 방향으로 이동하여 압력 인가부(100)를 위로 밀어 올릴 수 있다.
압력 인가부(10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질 수도 있고 강성을 가질 수도 있다. 압력 인가부(100)의 재질이 강성인 경우 잉크젯 헤드(520)의 세정 시 세정 부재(450) 및 헤드면(522)의 손상을 막기 위해 세정 부재(450)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롤러(430)는 세정 부재 공급부(410)와 압력 인가부(100) 사이에 위치하여 세정 부재(450)를 지지한다. 세정 부재 공급부(410)와 압력 인가부(100) 사이의 세정 부재(450)는 세정 부재 공급부(410)에서 풀린 후 가이드 롤러(430)를 경유하여 압력 인가부(100)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440)는 압력 인가부(100)와 세정 부재 회수부(420) 사이에 위치하여 세정 부재(450)를 지지한다. 압력 인가부(100)와 세정 부재 회수부(420) 사이의 세정 부재(450)는 압력 인가부(100)의 상부(110)의 윗면을 지난 후 가이드 롤러(440)를 경유하여 세정 부재 회수부(420)로 이동하여 세정 부재 회수부(420)에 감길 수 있다.
그러면, 앞에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6과 함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를 이용한 잉크젯 헤드 세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잉크젯 헤드를 본격적으로 세정하기 전에 각 잉크젯 헤드에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압력 인가부를 정확하게 정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은 차례대로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압력 인가부를 잉크젯 헤드부에 정렬하여 고정하는 방법의 단계를 나타낸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부재(210)가 풀린 상태에서 이송부(200) 위에 하나 이상의 압력 인가부(100)가 위치한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1000)가 잉크젯 장치(2000)의 아래에 위치한다.
다음 도 8을 참조하면, 고정 부재(210)가 풀린 상태에서 이송부(200) 및 압력 인가부(100) 또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1000)가 잉크젯 장치(2000)의 잉크젯 헤드(520) 쪽으로 이동하거나, 잉크젯 장치(2000)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압력 인가부(100)와 잉크젯 헤드(520)가 서로 맞닿도록 한다.
이때 각 압력 인가부(100)는 이송부(200)에 대해 헐겁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각 잉크젯 헤드(520)의 헤드면(522)에 압력 인가부(100)의 상면이 맞닿는 과정에서 각 압력 인가부(100)의 x, y, z 방향의 위치 및 오리엔테이션이 자동으로 조절되어 압력 인가부(100)의 상부(110)가 노즐면(521)을 포함하는 헤드면(522)에 정확히 맞물리도록 맞추어질 수 있다. 이와 함께 이송부(200)에 의해 각 압력 인가부(100)가 헤드면(522) 쪽으로 가압이 된다.
또한 이송부(200)와 압력 인가부(100)가 맞닿는 면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300)에 의해서, 압력 인가부(100)의 상부(110)가 헤드면(522)에 정확히 맞물리도록 맞추어질 수 있도록 압력 인가부(100)의 위치 및 오리엔테이션이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다.
다음 도 9를 참조하면, 도 8의 상태에서 고정 부재(210)를 이송부(200) 쪽으로 돌리거나 밀어 넣어 고정 부재(210)를 이송부(200)에 고정하고, 이를 통해 압력 인가부(100)를 이송부(200)에 고정한다.
다음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 부재(2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송부(200) 및 압력 인가부(100) 또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1000)를 잉크젯 헤드(520)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거나, 잉크젯 장치(2000)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압력 인가부(100)와 잉크젯 헤드(520)가 서로 멀어진다.
이로써 세정하고자 하는 잉크젯 장치(2000)의 각 잉크젯 헤드(520)의 노즐면(521)을 포함하는 헤드면(522)에 압력 인가부(100)의 상부(110)를 정확히 정렬할 수 있다.
이후 단계에서, 고정 부재(210)가 고정된 상태의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1000)와 잉크젯 장치(2000)를 서로 가까이 이동시켜 압력 인가부(100)의 상부(110)와 잉크젯 헤드(520)의 헤드면(522)을 서로 밀착시키고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1000)를 구동시켜, 이동하는 세정 부재(450)를 통해 노즐면(521)을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520)의 헤드면(522)을 효율적으로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다.
잉크젯 헤드(520)를 교체하거나 변경할 경우, 잉크젯 헤드(520)의 캐리지(510)에 대한 조립 공차가 생길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그러한 조립 공차가 있는 경우에도 세정 전에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압력 인가부(100)의 위치 및 오리엔테이션을 잉크젯 헤드(520)의 헤드면(522)에 정확히 밀착되도록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젯 헤드(520)의 헤드면(522)에 압력 인가부(100)로부터의 압력이 정확히 인가될 수 있고 노즐면(521)이 더 효율적으로 세정될 수 있다.
또한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1000)의 교체 없이도 간단히 고정 부재(210)의 조작 만으로도 압력 인가부(100)의 상부(110)가 각 잉크젯 헤드(520)의 헤드면(522)에 정확히 맞물리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잉크젯 헤드(520)의 모든 노즐에서 잉크가 정상적으로 토출될 수 있고 잉크젯 공정 시 사용할 수 있는 정상적인 노즐 수가 증가되어 하나의 기판 위에 잉크젯 프린팅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단위 시간당 제작할 수 있는 기판의 수가 증가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다음 앞에서 설명한 도면들과 함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이송부 및 압력 인가부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도 1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이송부 및 압력 인가부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1000A)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1000)와 대부분 동일하나 고정 부재(210) 대신 고정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220)는 압력 인가부(100)의 구멍(21) 안에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일 수 있다. 고정 부재(220)는 모터 또는 수동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모터를 이용할 경우 이송부(200) 내에 고정 부재(22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공학 실린더 등의 제어부가 더 위치할 수 있다.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1000A)의 압력 인가부(100)의 위치의 정확한 정렬 전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220)는 풀린 상태였다가, 앞에서 설명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계를 통해 압력 인가부(100)의 위치가 각 잉크젯 헤드(520)의 헤드면(522)에 정렬된 후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220)가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220)가 고정되면 고정 부재(220)가 압력 인가부(100)의 제1측부(121)에 압력을 가하여 이송부(200)의 측면에 압력 인가부(100)의 하부의 제1측부(121)가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다.
다음 앞에서 설명한 도면들과 함께 도 13을 참조하여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이송부 및 압력 인가부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1000B)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1000)와 대부분 동일하나 이송부와 압력 인가부가 다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1000B)는 하나 이상의 압력 인가부(100A) 및 이송부(200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압력 인가부(100A)를 포함하는 예를 위주로 설명한다.
복수의 압력 인가부(100A)는 x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각 압력 인가부(100A)는 앞에서 설명한 압력 인가부(100)와 대부분 동일하나 제2측부(123A)는 구멍(22)을 포함하지 않고 평탄한 면을 가질 수 있다.
이송부(200A)는 압력 인가부(100A)가 위치하여 지지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송부(200A)는 내부 공간에 압력 인가부(100A)를 탑재한 상태에서 x, y,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송부(200A)의 바닥부의 윗면은 압력 인가부(100A)를 지지할 수 있도록 평탄한 면을 가질 수 있다.
이송부(200A)는 x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압력 인가부(100A)에 대응하여 x 방향으로 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압력 인가부(100A)의 밑면은 이송부(200A)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의 윗면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각 압력 인가부(100A)의 밑면과 이송부(200A)가 맞닿는 면 사이에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탄성 부재(300)와 같은 탄성 부재(310)가 위치할 수 있다.
압력 인가부(100A)의 제1측부(121A)는 y 방향으로 형성된 구멍(21A) 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구멍(21A)은 제1측부(121A)를 y 방향으로 관통할 수도 있고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홈 형태일 수도 있다.
구멍(21A)은 제1측부(121A)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측부(121A)의 아래쪽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위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제1측부(121A)는 아래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오목부를 포함하여 대략 대략 x 방향의 브릿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송부(200A)의 측부는 각 고정 부재(210)의 통과부(211)가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멍(201A)을 포함할 수 있다. 구멍(201A)은 이송부(200)를 y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고정 부재(210)가 볼트인 경우 구멍(201A)의 내면에는 볼트의 통과부(211)의 나선형 홈 또는 돌기가 돌려져 체결될 수 있는 반대 형상의 나선형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압력 인가부(100A)의 각 구멍(21A)은 이송부(200A)의 각 구멍(201A)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구멍(201A)을 통과한 고정 부재(210)의 통과부(211)의 끝부분은 압력 인가부(100A)의 구멍(21A) 안으로 들어가 고정됨으로써 고정 부재(210)가 고정될 수 있다. 그러면 각 압력 인가부(100A)를 이송부(200A)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압력 인가부(100A)의 하부의 제1측부(121A)는 이송부(200A)의 내측 측면과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다.
압력 인가부(100A)의 이송부(200A)에 대한 상대적 위치의 변경을 위해 구멍(21A)의 xy 평면상 크기는 고정 부재(210)의 통과부(211)의 xy 평면상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즉, 고정 부재(210)가 풀린 상태에서 고정 부재(210)의 통과부(211)는 구멍(21A) 안에서 x, y, z 방향으로 소정의 폭 안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각 압력 인가부(100A)의 양쪽의 제1측부(121A)에 각각 대응하여 위치하는 고정 부재(210)의 통과부(211)가 구멍(201A)을 통과한 후 압력 인가부(100A)의 양쪽 제1측부(121A)를 안쪽으로 밀어 압력 인가부(100A)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압력 인가부(100A)에는 구멍(21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고, 제1측부(121A)는 평탄한 면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부재(210)가 풀려져 있을 때는 압력 인가부(100A)의 이송부(200A)에 대한 위치가 변경 가능하고, 고정 부재(210A)가 고정되어 있을 때는 압력 인가부(100A)의 이송부(200A)에 대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다음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가 포함하는 탄성 부재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 도 15, 도 16, 도 17, 도 18 및 도 19는 각각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의 탄성 부재의 예를 도시한다.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1000, 1000A, 1000B)가 포함하는 탄성 부재(300, 31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형태의 탄성 부재(300A)일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300B)는 좀더 높은 탄성을 위해 복수의 홈(301)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홈(301)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300C)는 좀더 높은 탄성을 위해 복수의 돌기(3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300D)는 좀더 높은 탄성을 위해 복수의 홈(303)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홈(303)은 직사각형, 원형 등의 섬형으로서, 복수의 홈(303)은 평면 상에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1000, 1000A, 1000B)는 앞에서 설명한 탄성 부재 대신 도 18 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베어링 부재(300E, 300F)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8에 도시한 베어링 부재(300E)는 복수의 베어링(304) 및 베어링(304)을 가둘 수 있는 케이지(30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304)은 케이지(305) 안에서 자유롭게 돌 수 있다.
베어링(304)은 탄성을 가질 수도 있고 강성을 가질 수도 있다.
베어링(304)은 금속, 폴리머 등의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베어링 부재(300F)는 복수의 베어링(306) 및 베어링(306)을 가둘 수 있는 케이지(307)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306)은 케이지(307) 안에서 자유롭게 돌 수 있다.
베어링(306)은 탄성을 가질 수도 있고 강성을 가질 수도 있다.
베어링(306)은 금속, 폴리머 등의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지(307)는 접힘부(308)를 기준으로 접힐 수 있는 복수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21, 21A, 22, 201A: 구멍
100, 100A: 압력 인가부
110: 상부
111: 노즐면 대응부
120: 하부
121, 121A: 제1측부
123, 123A: 제2측부
200, 200A: 이송부
201, 301, 303: 홈
210, 210A: 고정 부재
211: 통과부
212: 고정부
220: 고정 부재
300, 300A, 300B, 300C, 300D, 300E, 300F, 310: 탄성 부재
302: 돌기
304, 306: 베어링
305, 307: 케이지
308: 접힘부
410: 세정 부재 공급부
420: 세정 부재 회수부
430, 440: 가이드 롤러
450: 세정 부재
510: 캐리지
520: 잉크젯 헤드
521: 노즐면
522: 헤드면
1000, 1000A, 1000B: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압력 인가부,
    상기 압력 인가부를 지지하며 상기 압력 인가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부, 그리고
    상기 압력 인가부를 상기 이송부에 고정시키거나 풀 수 있는 고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인가부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이송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의 제1측부는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이송부와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압력 인가부와 상기 이송부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 또는 베어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탄성 부재 또는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제2부분과 상기 이송부 사이에 위치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고정 부재가 풀린 상태에서 상기 압력 인가부의 상기 이송부에 대한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 부재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 인가부의 상기 이송부에 대한 위치가 고정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1측부는 제1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통과부 및 상기 통과부에 연결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구멍의 크기는 상기 통과부의 단면의 크기보다 큰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1구멍에 대응하는 홈 또는 제2구멍을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8. 제6항에서,
    상기 고정 부재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측부를 상기 이송부의 측면에 가압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9. 제4항에서,
    상기 고정 부재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10. 제4항에서,
    상기 이송부의 내부 공간 안에 상기 하나 이상의 압력 인가부가 위치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이송부의 측부는 하나 이상의 제2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2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통과부 및 상기 통과부에 연결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압력 인가부는 상기 제2구멍에 대응하는 제3구멍 또는 홈을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13. 제11항에서,
    상기 고정 부재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송부의 측부를 상기 압력 인가부의 상기 제1측부에 가압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14. 제1항에서,
    상기 압력 인가부의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측부에 연결된 제2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측부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가 상기 제2측부의 상기 오목부 안에 들어가 있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15. 제1항에서,
    상기 압력 인가부의 위에 위치하는 세정 부재, 그리고
    상기 세정 부재를 감을 수 있는 복수의 롤러
    를 더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16. 하나 이상의 압력 인가부,
    상기 압력 인가부를 지지하며 상기 압력 인가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부,
    상기 압력 인가부의 상기 이송부에 대한 위치를 조절한 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 그리고
    상기 압력 인가부와 상기 이송부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 또는 베어링 부재
    를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압력 인가부는 향하는 방향이 서로 다른 제1측부 및 제2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부는 제1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통과부 및 상기 통과부에 연결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고정 부재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측부와 상기 이송부의 측면을 서로 가압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19. 하나 이상의 잉크젯 헤드를 포함하는 잉크젯 장치의 아래에 고정 부재가 풀린 상태에서 이송부와 압력 인가부 사이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은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 부재가 풀린 상태에서 상기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와 상기 잉크젯 헤드 사이의 거리를 줄여 상기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가 포함하는 압력 인가부와 상기 잉크젯 헤드가 서로 맞닿는 단계,
    상기 압력 인가부와 상기 잉크젯 헤드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이송부에 고정하여 상기 압력 인가부를 상기 이송부에 고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와 상기 잉크젯 헤드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방법.
  20. 제19항에서,
    상기 고정 부재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를 상기 잉크젯 헤드에 밀착시켜 상기 잉크젯 헤드를 세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세정 방법.
KR1020210104577A 2021-08-09 2021-08-09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크젯 헤드 세정 방법 KR20230023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577A KR20230023098A (ko) 2021-08-09 2021-08-09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크젯 헤드 세정 방법
CN202210008236.4A CN115703293A (zh) 2021-08-09 2022-01-05 喷墨头清洗装置和利用其的喷墨头清洗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577A KR20230023098A (ko) 2021-08-09 2021-08-09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크젯 헤드 세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098A true KR20230023098A (ko) 2023-02-17

Family

ID=8518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577A KR20230023098A (ko) 2021-08-09 2021-08-09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크젯 헤드 세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23098A (ko)
CN (1) CN115703293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03293A (zh) 202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4202B2 (ja) 基板端子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基板端子のクリーニング方法
ES2776256T3 (es) Impresora de plantilla con ensamblado de lanzadera de plantilla
KR20230023098A (ko) 잉크젯 헤드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크젯 헤드 세정 방법
KR20080016680A (ko) 폴리싱 장치
JP2004188807A (ja) 液滴吐出ヘッド清掃装置、液滴吐出ヘッド清掃方法、液滴吐出装置、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1545500B1 (ko) 인쇄장치
JP5271242B2 (ja) 基板洗浄装置、および、基板洗浄方法
KR100514936B1 (ko) 액체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KR20140141136A (ko) 인쇄장치
KR102192869B1 (ko) 그라비아 오프셋 인쇄 시스템
JP5160953B2 (ja) 予備塗布装置、塗布装置及び予備塗布装置の洗浄方法
JP7257161B2 (ja) 端子清掃装置
JP2011167621A (ja) 基板洗浄装置、および、基板洗浄方法
JP4946707B2 (ja) 基板洗浄装置
KR100664423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배향막 형성방법
KR102595459B1 (ko) 회로기판 반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제조장치
JP7260663B2 (ja) 対基板作業機と清掃方法
TWI702149B (zh) 轉印裝置及轉印方法
KR101561216B1 (ko) 인쇄장치
JP2018158499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KR102152998B1 (ko) 헤드 클리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팅 장치
KR101748352B1 (ko) 에어 나이프
JP2008296113A (ja) 塗布装置
TW202241229A (zh) 電子零件安裝裝置
JP4675929B2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製造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