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676A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676A
KR20230011676A KR1020210092236A KR20210092236A KR20230011676A KR 20230011676 A KR20230011676 A KR 20230011676A KR 1020210092236 A KR1020210092236 A KR 1020210092236A KR 20210092236 A KR20210092236 A KR 20210092236A KR 20230011676 A KR20230011676 A KR 20230011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concave
concave portions
concave portion
side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1573B1 (ko
Inventor
김아름
이명중
손수진
장희성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2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573B1/ko
Priority to CN202280049843.3A priority patent/CN117651651A/zh
Priority to PCT/KR2022/010185 priority patent/WO2023287187A1/ko
Priority to EP22842449.5A priority patent/EP4371790A1/en
Publication of KR20230011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2Arrangement of grooves or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18Tyre cooling arrangements, e.g. heat shields
    • B60C23/19Tyre cooling arrangements, e.g. heat shields for dissipating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트레드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월부와,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둘레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깊이가 증가하거나 둘레에서 중심까지 일정한 깊이를 가지며, 복수개 구비되어 타이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이어{Tire}
본 발명은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드월에 딤플(오목부)이 형성된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이 주행 시, 타이어에 부딪치는 공기로 인해 발생하는 주행 소음 및 타이어에 가해지는 항력을 감소시키고,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마찰력 등에 의해 발생하는 열의 배출을 돕기 위해, 타이어의 측벽(사이드월)의 외면에 홈 형상의 딤플(dimple)이 다수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딤플의 형상, 구조 및 배열 방식에 따라, 타이어에 가해지는 항력 및 발생하는 소음의 저감 효과 및 방열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 주행 시 타이어에 작용하는 항력 및 공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트레드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월부와,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둘레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깊이가 증가하거나 둘레에서 중심까지 일정한 깊이를 가지며, 복수개 구비되어 타이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오목부 중 서로 이웃하는 오목부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월부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고, 상기 오목부의 최대 깊이 이상의 깊이로 형성되는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오목부를 감싸도록 상기 오목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에서 내측을 향해, 일정한 폭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오목부는, 타이어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열(column)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열 중 어느 하나의 열에 포함된 오목부는, 상기 복수의 열 중 다른 하나의 열에 포함된 오목부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타이어 원주방향으로의 폭이, 타이어 반경방향으로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 중 복수개의 상기 오목부가 배열된 제1 형성 영역과 상기 트레드부 사이 영역 및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 중 상기 제1 형성 영역과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서레이션(serration)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에 배치되되, 복수개의 상기 오목부와 이격된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트레드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월부와,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둘레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깊이가 증가하거나 둘레에서 중심까지 일정한 깊이를 가지며, 복수개 구비되어 타이어 반경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오목부와,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 오목부의 타이어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제1 오목부는, 타이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다수의 행(row)으로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행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제2 오목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행 중 어느 하나의 행에 포함된 복수개의 제1 오목부는 서로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오목부의 크기는, 타이어 반경방향 외측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타이어 원주방향으로의 폭이, 타이어 반경방향으로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는 타이어 원주방향으로의 폭이, 타이어 반경방향 외측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 중 복수개의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가 배열된 제2 형성 영역과 상기 트레드부 사이 영역 및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 중 상기 제2 형성 영역과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서레이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에 배치되되, 복수개의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에 의해 둘러싸인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어는, 사이드월부의 외면에, 단면이 마름모 형상인 홈 형태의 오목부를 다수 구비하여 일정한 패턴의 딤플을 형성함으로써, 차량 주행 시 발생하는 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나아가 차량 주행에 따른 타이어와 공기 사이에 작용하는 공력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월부의 외면에, 서로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다수의 오목부들을 구비하여, 딤플 패턴에 경향성을 부여함으로써, 주행 시 타이어의 방열 효과 및 공력 감소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1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2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및 트레드부(110)의 단부에서 연장된 사이드월부(140), 및 사이드월부(140)의 단부에 구비되는 비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의 아래에 위치하는 벨트층(120)과 카카스(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벨트층(120)의 상부에는 캡 플라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와 한 쌍의 사이드월부(140)들 내측에 위치하여 타이어(100)의 내부 공기압을 유지시키는 이너라이너(16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복수개의 그루브에 의해서 구획되는 트레드 블록(TB)을 가질 수 있다. 트레드 블록(TB)은 차량의 주행시에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종그루브(115)와, 타이어(100)의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횡그루브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두꺼운 고무층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트레드 블록(TB)의 표면에는 조종 안전성, 견인력, 제동성을 위한 트레드 패턴들과 트레드 패턴들에 의해 구획된 블록들이 위치할 수 있다. 트레드 패턴들은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 시 배수를 위한 복수의 그루브들과 견인력 및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프는 블록에 형성되며, 그루브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홈일 수 있다. 사이프는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시 수분을 흡수하여 수막을 끊는 역할을 함으로써, 타이어(100)의 구동력과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트레드부(110)의 측부에는, 주행 중 타이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발산하는 숄더(shoulder)가 구비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내부에 카카스(130), 벨트층(120), 캡 플라이 및 이너라이너(160)가 포함될 수 있다.
카카스(13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부(140) 및 비드부(150)를 따라 연장되어, 타이어(100)의 골격을 형성한다. 카카스(130)는 일정한 고무 성분 내부에 타이어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카카스(130)는 비드부(150)에서 턴업되므로, 카카스(130)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공간이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공간에 비드 코어(BW), 비드 필러(BF)가 배치된다.
카카스(130)는 스틸 또는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과 같은 고강도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드지를 겹친 후,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카스(130)는 합성 고무 및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 성분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이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코드로는 다양한 천연 섬유 또는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케블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가느다란 철사를 꼬아서 형성한 스틸 코드(steel cord)도 사용될 수 있다.
벨트층(120)은 트레드부의 내측에 타이어(10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벨트층(120)은 타이어(100)의 내구성 향상시키고,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벨트층(120)은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은 물론 트레드의 접지면을 넓게 유지하여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벨트층(120)은 트레드부(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벨트 코드(미도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벨트층(120)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타이어(100)의 내면을형성하는 이너라이너(160)의 상면에 배치된 제1 벨트층(151)과, 제1 벨트층(151)의 상면에 배치된 제2 벨트층(152)을 구비할 수 있다.
캡 플라이는 트레드부(110)와 벨트층(120) 사이에 배치된다. 캡 플라이는 벨트층(120) 위에 부착되는 특수 코드지로 주행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 플라이는 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캡 플라이는 벨트층(120)과 카카스(130)에 지지되어, 주행시에 벨트층(120)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주행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너라이너(160)는 타이어(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타이어(100)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너라이너(160)는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라이너(160)는 밀도가 높은 부틸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라이너(160)는 카카스(130)의 내부에 배치되어 비드부(150)로 연장될 수 있다. 이너라이너(160)는 카카스(130)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양단은 비드부(150)와 접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1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사이드월부(140)에 오목부(14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월부(140)에는 홈부(14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오목부(141)는 사이드월부(140)의 외면에서, 타이어(100)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월부(140)의 외면은, 타이어 축방향(예컨대, Y축 방향)을 기준으로, 타이어(100)의 외측에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사이드월부(140)의 외측표면 영역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이드월부(140)의 외면 전체 영역 중 오목부(141)가 형성된 영역을 '제1 형성 영역'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제1 형성 영역은 사이드월부(140)에서, 타이어 원주방향(C)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형성 영역은 타이어(100)의 원주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원호(arc)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형성 영역은 타이어(100) 원주의 1/4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형성 영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형성 영역은 한쌍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한쌍의 제1 형성 영역은 동일한 길이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쌍의 제1 형성 영역은 사이드월부(140) 상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형성 영역은 일 실시예로서, 트레드부(110)의 양측에 연결된 한쌍의 사이드월부(140)에 모두 구비되거나, 다른 실시예로서, 제1 형성 영역은 상기한 한쌍의 사이드월부(140) 중, 타이어(100)가 차량(미도시)에 장착 시, 차량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사이드월부(140)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오목부(141)의 깊이는, 오목부(141)의 둘레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오목부(141)는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4개의 사면체가 연결되어 형성된 사각뿔 형상의 홈(groove)일 수 있다. 이때, 타이어 폭방향(Y축 또는 -Y축 방향)에서 바라본 오목부(141)의 단면은 마름모(rhombus)형상일 수 있다. 사각뿔 형상의 오목부(141)의 꼭지점들 중 사각뿔의 밑면부에 대향하는 중심 꼭지점은, 오목부(141)의 마름모형 단면의 중심(O1)과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목부(141)의 깊이는, 마름모형 단면의 모서리로부터, 단면의 중심(O1)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목부(141)는, 단면의 중심(O1)에서 최대 깊이(d1)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최대 깊이(d1)는 예를 들어, 0.5 내지 0.6mm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오목부(141)는 오목부(141)의 둘레에서 중심까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오목부(141)는 사이드월부(140)의 외면에서, 내측을 향해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오목부(141)는 마름모 형상의 단면을 갖고, 깊이가 일정하게 형성된 홈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오목부(141)의 깊이는 예를 들어, 0.5 내지 0.6mm일 수 있다.
도 3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오목부(141)는, 타이어 원주방향(C)으로의 폭(이하, 제1 폭)(L1)과, 타이어 반경방향(R)으로의 폭(이하, 제2 폭)(L2)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오목부(141)는 제1 폭(L1)이, 제2 폭(L2)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어 폭방향(Y축 방향)에서 바라본 오목부(141)의 단면은, 타이어 원주방향(C)과 평행한 폭이, 타이어 반경방향(R)과 평행한 폭보다 긴 형태의 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폭(L2)은, 제1 폭(L1)의 0.55 내지 0.7배의 길이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폭(L2)은 3 내지 20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mm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목부(141)는 제2 폭(L2)이, 제1 폭(L1)보다 크거나, 또는 제1 폭(L1)과 제2 폭(L2)이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오목부(141)는 복수개 구비되어, 타이어 원주방향(C)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형성 영역에는, 복수개의 오목부(141)가 타이어 원주방향(C)을 따라 배열되어 형성된 오목부(141)의 열(column)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형성 영역에는 오목부(141)의 열이 다수 형성되고, 이러한 다수의 오목부(141)의 열은 다시, 타이어 반경방향(R)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형성 영역 내에는, 적어도 3개의 오목부(141)의 열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형성 영역에서, 타이어 반경방향 최내측에, 타이어 원주방향(C)을 따라 제1 열의 오목부가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형성 영역에서, 제1 열의 오목부에 대해 타이어 반경방향 외측(R1)으로 이격된 상태로, 타이어 원주방향(C)을 따라 제2 열의 오목부가 배열되며, 제2 열의 오목부에 대해 타이어 반경방향 외측(R1)으로 이격된 상태로, 타이어 원주방향(C)을 따라 제3 열의 오목부가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열의 오목부는, 제2 열의 오목부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열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오목부(141)는, 제2 열에 포함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오목부(1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열의 오목부는, 제1 열의 오목부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열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오목부(141)는 그 중심(O1)이, 제1 열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오목부(141)의 중심(O1)과, 타이어 반경방향(R)을 따라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열의 오목부는, 제1 열의 오목부와 마찬가지로, 제2 열의 오목부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열의 오목부의 반경방향 외측(R1)에 제4 열의 오목부가 더 구비되는 경우, 제4 열의 오목부는 제2 열의 오목부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열의 오목부는 제1 열 또는 제3 열의 오목부와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4열의 오목부에 더하여, 더 많은 열의 오목부(141)가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 열의 오목부(141)의 배열 방식은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처럼 사이드월부(140)의 외면에, 타이어 둘레방향(C)을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 및 크기의 오목부(141)들이 배열됨으로써, 타이어(100)가 장착된 차량의 주행 시 타이어(100)의 외면에 부딪히는 공기가 오목부(141)의 내면을 타고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 공기에 의해 타이어(100)에 가해지는 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홈부(142)는, 서로 이웃하는 오목부(141) 사이에 배치되어, 오목부(141)를 구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부(142)는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오목부(141) 중 어느 하나의 오목부(141)와, 이러한 오목부(141)의 둘레에 배치된 다른 오목부(141)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홈부(142)는 상기한 어느 하나의 오목부(141)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이러한 오목부(141)의 둘레를 완전히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목부(141)는 인접하여 배치된 다른 오목부(141)들로부터 완전히 이격될 수 있다.
홈부(142)는 사이드월부(140)의 외면에서,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홈 형태일 수 있다. 홈부(142)는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141)의 최대 깊이(d1)보다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홈부(142)의 깊이(d2)는 오목부(141)의 최대 깊이(d1)보다 더 클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홈부(142)의 깊이(d2)는, 오목부(141)의 최대 깊이(d1)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홈부(142)는 타이어 폭방향(-Y축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홈부(142)는 사이드월부(140)의 외면에서 내측을 항해, 타이어 폭방향(-Y축 방향)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θ)로 경사진 상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각도(θ)는 일 예로, 10 내지 2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어 폭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홈부(142)의 최외측 폭(이하, 최대폭)(W1)은, 홈부(142)의 최내측 폭(이사, 최소폭)(W2)보다 클 수 있다.
홈부(142)의 최대폭(W1)은 오목부(141)의 제1 폭(L1) 및 제2 폭(L2)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부(142)의 최대폭(W1)은 오목부(141)의 제2 폭(L2)보다 작을 수 있다. 홈부(142)의 최대폭(W1)은 오목부(141)의 제2 폭(L2)의 1/10이하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오목부(141)의 제2 폭(L2)이 8mm이고, 미리 설정된 각도(θ)가 15°인 경우, 홈부(142)의 최대폭(W1)은 약 0.46mm, 그리고 최소폭(W2)은 약 0.14mm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홈부(142)는 사이드월부(140)의 외면에서 내측을 향해 일정한 폭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타이어(100)는 사이드월부(140)에 서레이션부(S)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서레이션부(S)는 트레드부(110)로부터 반경방향 내측(R2)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 세장형 홈(elongated groove) 형상의 서레이션이 다수 모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세장형 홈은 미세한 폭으로 형성되고,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서레이선부(S10)는 트레드부(110)와 제1 형성 영역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서레이션부(S10)는 제1 형성 영역과, 타이어 반경방향 외측(R1)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서레이션부(S10)는 제1 형성 영역과 동일 또는 유사한 모양 및 길이를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서레이션부(S)의 일부 영역(이하, 제1 영역)(S10)은 트레드부(110)와 제1 형성 영역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서레이션부(S)의 다른 영역(이하, 제2 영역)(S20)은, 사이드월부(140)의 외면 중 제1 형성 영역과 타이어 원주방향(C)으로 이격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호 형상의 제1 형성 영역이 한쌍 구비되는 경우, 서레이션부(S)의 제2 영역(S20)은 한쌍의 제1 형성 영역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레이션부(S)의 제2 영역(S20)은 제1 영역(S10)과 연결되고, 동시에 제1 형성 영역의 일측으로부터, 타이어 원주방향(C)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서레이션(S)의 제2 영역(S20)은, 반경방향(R)을 기준으로, 제1 영역(S10)과 제1 형성 영역을 합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타이어(100)의 사이드월부(140)에는 표시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표시 영역에는 타이어를 제조한 제조사 명칭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에는 예를 들어, 타이어의 종류, 제품명 및 시리얼 넘버, 타이어 사이즈, 타이어의 제조년도 정보, 타이어 재료 정보, 타이어의 최대 허용 내압, 최대 부하 능력 정보, 각종 인증 마크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영역은 사이드월부(14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월부(140)에 제1 형성 영역이 한쌍 구비된 경우, 표시 영역은 사이드월부(140)의 외면에서, 한쌍의 제1 형성 영역 사이에 타이어 원주방향(C)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서로 상이한 정보가 표시된, 복수 개의 표시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표시 영역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표시 영역 중 어느 하나는 사이드월부(140)의 외면 상에서, 한쌍의 제1 형성 영역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표시 영역 중 다른 하나는 서레이션부(S)의 제2 영역(S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영역은 다수의 서레이션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표시 영역에는 서레이션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표시 영역 중 또 다른 하나는 사이드월부(140)의 외면 중 제1 형성 영역과 서레이션부(S)가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2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사이드월부(140)에 제1 오목부(143) 및 제1 오목부(143)와 다른 형상을 갖는 제2 오목부(144)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이드월부(140)의 외면 전체 영역 중, 제1 오목부(143)와 제2 오목부(144)가 형성된 영역을 '제2 형성 영역'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제2 형성 영역은 사이드월부(140)에서, 타이어 원주방향(C)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형성 역역은 타이어(100) 원주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형성 영역은, 타이어 폭방향(Y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링(ring) 형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 사이드월부(140)의 외면 중 트레드부(110)와 제2 형성 영역 사이에 서레이선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서레이션부는 제2 형성 영역과, 타이어 반경방향 외측(R1)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서레이션부는 제2 형성 영역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이드월부(140)에는 서레이션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형성 영역은 타이어(100)의 원주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원호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 형성 영역은 타이어(100) 원주의 1/4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형성 영역은 한쌍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한쌍의 제2 형성 영역은 동일한 길이의 원호 형상일 수 있다. 한쌍의 제2 형성 영역은 사이드월부(140) 상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 사이드월부(140)의 외면에는 서레이션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서레이션부의 일부 영역(이하, 제1 영역)은 트레드부(110)와 제2 형성 영역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서레이션부의 다른 영역(이하, 제2 영역)은, 사이드월부(140)의 외면 중 제2 형성 영역과 타이어 원주방향(C)으로 이격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레이션부의 제2 영역은 제1 영역과 연결되고, 동시에 제2 형성 영역의 일측으로부터, 타이어 원주방향(C)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호 형상의 제2 형성 영역이 한쌍 구비되는 경우, 서레이션부의 제2 영역은 한쌍의 제2 형성 영역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서레이션의 제2 영역은, 반경방향(R)을 기준으로, 제1 영역과 제2 형성 영역을 합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이드월부(140)에는 서레이션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타이어(100')의 사이드월부(140)에는 표시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표시 영역에는 예를 들어, 타이어를 제조한 제조사 명칭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표시 영역은 사이드월부(14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표시 영역은 제2 형성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 영역은 복수의 제1 오목부(143)와 제2 오목부(144)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표시 영역에는 제1 오목부(143)와 제2 오목부(144)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서로 상이한 정보가 표시된, 복수 개의 표시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표시 영역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개의 표시 영역 중 일부는 제2 형성 영역 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개의 표시 영역 중 다른 일부는 사이드월부(140)의 외면 중 제2 형성 영역이 존재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월부(140)에 제2 형성 영역이 한쌍 구비된 경우, 표시 영역은 사이드월부(140)의 외면에서, 한쌍의 제2 형성 영역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음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제2 형성 영역은 일 실시예로서, 트레드부(110)의 양측에 연결된 한쌍의 사이드월부(140)에 모두 구비되거나, 다른 실시예로서, 제2 형성 영역은 상기한 한쌍의 사이드월부(140) 중, 타이어(100)가 차량에 장착 시, 차량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사이드월부(140)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오목부(143)는 사이드월부(140)의 외면에서, 타이어(100)의 내측을 향해 오목한 홈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제1 오목부(143)의 깊이는, 제1 오목부(143)의 둘레에서 중심(O2)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오목부(143)는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6개의 사면체가 연결되어 형성된 육각뿔 형상의 홈(groove)일 수 있다. 이때, 타이어 폭방향(C)에서 바라본 제1 오목부(143)의 단면의 형상은 육각형일 수 있다. 육각뿔 형상의 제1 오목부(143)의 꼭지점들 중 육각뿔의 밑면부에 대향하는 중심 꼭지점은, 제1 오목부(143)의 육각형 단면의 중심(O2)과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오목부(143)의 깊이는, 육각형 단면의 모서리로부터, 단면의 중심(O2)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오목부(143)는, 단면의 중심(O2)에서 최대 깊이(d3)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오목부(143)는 제1 오목부(143)의 둘레에서 중심까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오목부(143)는 사이드월부(140)의 외면에서, 내측을 향해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오목부(143)는 육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고, 깊이가 일정하게 형성된 홈 형상일 수 있다.
제1 오목부(143)는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원주방향(C)으로의 최대 길이(이하, 제1 길이)(K)와, 타이어 반경방향(R)으로의 최대 길이(이하, 제2 길이)(L)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오목부(143)는 제1 길이(K)이, 제2 길이(L)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어 폭방향(Y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오목부(143)의 단면은, 타이어 원주방향(C)과 평행한 길이가, 타이어 반경방향(R)과 평행한 길이보다 긴 형태의 육각형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오목부(143)는, 제2 길이(L)가, 제1 길이(K)보다 크거나, 또는 제1 길이(K)가 제2 길이(L)와 동일할 수도 있다.
제1 오목부(143)는 복수개 구비되어 타이어 반경방향(R)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 오목부(143)의 배열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제2 오목부(144)의 배열 방식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오목부(144)는 사이드월부(140)의 외면에서, 타이어(100)의 내측을 향해 오목한 홈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제2 오목보(144)는 제2 형성 영역 내에서 제1 오목부(143)의 타이어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오목부(144)의 깊이는, 제2 오목부(144)의 둘레에서 중심(O3)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오목부(144)는 서로 다른 4개의 사면체가 연결되어 형성된 뿔 형상의 홈일 수 있다. 이때, 타이어 폭방향(Y축 방향)에서 바라본 제2 오목부(144)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밑면이 사다리꼴인 뿔 형상의 제1 오목부(143)의 꼭지점들 중 밑면 부분에 대향하는 중심 꼭지점은, 제2 오목부(144)의 사다리꼴 단면의 중심(O3)과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오목부(144)의 깊이는, 사다리꼴 단면의 모서리로부터, 단면의 중심(O3)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오목부(144)는, 단면의 중심(O3)에서 최대 깊이(d4)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오목부(144)의 최대 깊이(d4)는 제1 오목부(143)의 최대 깊이(d3)와 동일 또는 유사한 깊이일 수 있다.
타이어 폭방향(Y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2 오목부(144)의 단면은 타이어 원주방향(C)의 폭이, 타이어 반경방향(R)의 폭보다 긴 형태의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오목부(144)는, 사다리꼴 단면에서 서로 평행한 두 모서리 중 긴 모서리(이하, 외측 모서리)(Kj)가, 타이어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서로 평행한 두 모서리 중 짧은 모서리(이하, 내측 모서리)(Kj')가 타이어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오목부(144)는 복수개 구비되며, 이때 복수개의 제1 오목부(143)와 복수개의 제2 오목부(144)가, 사이드월부(140) 상에서, 또는 제2 형성 영역 내에서 배열되는 방식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오목부(143)는 타이어 반경방향(R)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형성 영역에는, 복수개의 제1 오목부(143)가 타이어 반경방향(R)을 따라 배열되어 형성된 제1 오목부(143)의 행(row)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형성 영역에는 제1 오목부(143)의 행이 다수 형성되고, 이러한 다수의 제1 오목부(143)의 행은 다시, 타이어 원주방향(C)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다수의 제1 오목부(143)의 행 중 적어도 일부의 행에는, 제2 오목부(144)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오목부(144)는, 타이어 원주방향(C)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제1 오목부(143)의 행들에, 번갈아가며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다수의 행 중 어느 하나의 행은 제2 오목부(144)를 포함하고, 원주방향(C)을 따라 이어서 배열된 다음 행은 제2 오목부(144)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원주방향(C)을 따라 다음으로 배열된 행은 다시, 제2 오목부(144)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제1 오목부(143)와 제2 오목부(144)가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다수의 제1 오목부(143)의 행 중 제2 오목부(144)가 포함된 행을 '제1 행'으로 지칭하고, 다수의 제1 오목부(143)의 행 중 제2 오목부(144)가 포함되지 않은 행[즉, 제1 오목부(143)만 포함된 행]을 '제2 행'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일 예로, 제1 행에는 4개의 제1 오목부(143b, 143d, 143f, 143h)와 한 개의 제2 오목부(144)가 포함되며, 제2 행에는 5개의 제1 오목부(143a, 143c, 143e, 143g, 143i)가 포함될 수 있으나, 제1 오목부(143) 또는 제2 오목부(144)의 수가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행과 제2 행은, 타이어 원주방향(C)을 따라 사이드월부(140)에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제1 행과 제2 행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행과 제2 행은 일 실시예로서, 타이어 원주방향(C)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행에 포함된 오목부들(143b, 143d, 143f, 143h, 144)은, 제2 행에 포함된 제1 오목부들(143a, 143c, 143e, 143g, 143i)과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행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제1 오목부는, 제1 행에 포함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제1 오목부 사이, 또는 서로 이웃하는 제1 오목부와 제2 오목부(14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행의 경우, 타이어 반경방향(R)을 기준으로, 제2 오목부(144)가 제1 행의 최외측에 배치되고, 이어서 반경방향 내측방향(R2)을 따라 4개의 제1 오목부들(143b, 143d, 143f, 143h)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행에 포함된 제1 오목부들(143b, 143d, 143f, 143h)은 서로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행에 포함된 제1 오목부들(143b, 143d, 143f, 143h)은, 타이어 반경방향 내측(R2)으로 갈수록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행의 제1 오목부들(143b, 143d, 143f, 143h) 중, 반경방향 최외측에 배치된 제1 오목부(143b)의 제1 길이(Kb) 및 제2 길이(Lb)가 가장 클 수 있다. 그리고, 반경방향 내측방향(R2)을 따라 차례로 배치된 제1 오목부들(143d, 143f, 143h) 각각의 제1 길이(Kd, Kf, Kh) 및 제2 길이(Ld, Lf, Lh)가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행에서, 반경방향 최내측에 배치된 제1 오목부(143h)의 제1 길이(Kh) 및 제2 길이(Lh)가 가장 작을 수 있다.
제1 행에서, 제1 오목부들(143b, 143d, 143f, 143h)의 제1 길이(K) 및 제2 길이(L)는 일정하게 감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오목부들(143b, 143d, 143f, 143h)은 반경방향 내측(R2)으로 갈수록, 서로 일정한 길이차로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이때, 제1 길이(K)와 제2 길이(L)가 감소되는 값(또는 감소 비율)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오목부들(143b, 143d, 143f, 143h) 중 최외측에 배치된 제1 오목부(143b)의 반경방향 외측(R1)에는, 제2 오목부(144)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오목부(144)의 외측 모서리(Kj)는, 제1 오목부들(143b, 143d, 143f, 143h)의 제2 길이들(Lb, Ld, Lf, Lh)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오목부(144)의 제1 길이(Lj)는 제1 오목부들(143b, 143d, 143f, 143h)의 제1 길이들(Kb, Kd, Kf, Kh)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행에서, 제1 오목부들(143b, 143d, 143f, 143h) 중 반경방향 최외측에 배치된 제1 오목부(143b)의 제2 길이(Kb)는 6.8mm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오목부들(143d, 143f, 143h)의 제2 길이(Kd, Kf, Kh)는 0.6mm만큼씩 일정하게 감소하여, 각각 6.1mm, 5.5mm 및 4.9mm로 감소할 수 있다. 이때, 제2 오목부(144)의 외측 모서리(Kj)는 6.8mm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고, 제2 오목부(144)의 제1 길이(Lj)는 4.9mm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오목부(144) 및 제1 오목부들(143b, 143d, 143f, 143h) 사이의 간격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오목부(144) 및 제1 오목부들(143b, 143d, 143f, 143h)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감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오목부(144)와 제1 오목부(143b) 사이의 간격(이하, 제1 간격)(Wb)이 최대값을 갖고, 순차적으로 제1 오목부(143b)와 제1 오목부(143d) 사이의 간격(이하, 제3 간격(Wd), 제1 오목부(143d)와 제1 오목부(143f) 사이의 간격(이하, 제5 간격(Wf), 제1 오목부(143f)와 제1 오목부(143h) 사이의 간격(이하, 제7 간격(Wh)으로 갈수록 일정하게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간격(Wb)은 3mm이며, 순차적으로 제3 간격(Wd)은 2.8mm, 제5 간격(Wf)은 2.6mm, 그리고 제7 간격(Wh)은 2.4mm로 형성되어, 0.2mm씩 일정하게 감소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오목부(144) 및 제1 오목부들(143b, 143d, 143f, 143h) 사이의 간격들(Wb, Wd, Wf, Wh)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행의 경우, 타이어 반경방향(R)을 기준으로 최외측에 제1 오목부(143a)가 배치되고, 이이서 반경방향 내측방향(R2)으로 4개의 제1 오목부들(143c, 143e, 143g, 143i)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행에 포함된 제1 오목부들(143a, 143c, 143e, 143g, 143i)은 서로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행에 포함된 제1 오목부들(143a, 143c, 143e, 143g, 143i)은, 타이어 반경방향 내측(R2)으로 갈수록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행의 제1 오목부들(143a, 143c, 143e, 143g, 143i) 중, 반경방향 최외측에 배치된 제1 오목부(143a)의 제1 길이(Ka) 및 제2 길이(La)가 가장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반경방향 내측방향(R2)을 따라 차례로 배치된 제1 오목부들(143c, 143e, 143g, 143i) 각각의 제1 길이(Kd, Kf, Kh, Ki) 및 제2 길이(Ld, Lf, Lh, Li)가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행에서, 반경방향 최내측에 배치된 제1 오목부(143i)의 제1 길이(Ki) 및 제2 길이(Li)가 가장 작을 수 있다.
제2 행에서, 반경방향 내측(R2)으로 갈수록, 제1 오목부들(143a, 143c, 143e, 143g, 143i)의 제1 길이(K) 및 제2 길이(L)가, 일정하게 감소하며, 제1 오목부들(143a, 143c, 143e, 143g, 143i) 사이의 간격도 일정하게 감소할 수 있음은, 전술한 제1 행의 경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행과 제2 행의 관계를 살펴보면, 오목부들(143, 144)의 타이어 원주방향(C)으로의 길이(K)는, 제1 행과 제2 행 사이에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지그재그(zigzag) 순으로 점차 감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행의 제2 오목부(144)의 외측 모서리(Kj)가 가장 큰 길이를 갖고, 다음으로 제2 행의 제1 오목부(143a)의 제1 길이(Ka), 그 다음으로 제1 행의 제1 오목부(143b)의 제1 길이(Kb), 그 다음으로 제2 행의 제1 오목부(143c)의 제1 길이(Kc)와 같은 순서로, 제2 행의 최내측에 배치된 제1 오목부(143i)의 제1 길이(Ki)까지 점차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제1 행과 제2 행에 포함된 오목부들(143, 144)의 타이어 반경방향(R)으로의 길이(L)도, 제1 행과 제2 행 사이에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지그재그(zigzag) 순으로 점차 감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행의 최외측에 배치된 제1 오목부(143a)의 제2 길이(La)가 가장 긴 길이를 갖고, 다음으로 제1 행의 제1 오목부(143b)의 제2 길이(Lb), 그 다음으로 제2 행의 제1 오목부(143c)의 제2 길이(Lc), 그 다음으로 제1 행의 제1 오목부(143d)의 제2 길이(Ld)와 같은 순서로, 제2 행의 최내측에 배치된 제1 오목부(143i)의 제2 길이(Li)까지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이처럼, 타이어(100')의 사이드월부(140)의 외면에, 다수의 제1 오목부(143)가 타이어 반경방향(R)을 따라, 크기가 점차 감소하는 패턴을 갖도록 배열시켜, 차량 주행 시 타이어(100')의 외면에 부딪치는 공기가, 상기한 패턴으로 배열된 제1 오목부(143)들의 내면을 타고 이동할 수 있어, 타이어(100')에 작용하는 공력 및 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정한 경향성을 갖는 패턴으로 다수의 제1 및 제2 오목부(143, 144)를 배열하여, 타이어 외관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이드월부(140)의 외면 중, 주행 시 공기와 접촉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타이어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에, 제1 오목부(143)들 사이의 공간에 형상과 크기가 상이한 제2 오목부(144)를 더 배치하여, 타이어 공력 및 항력 저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어(100, 100')는, 사이드월부(140)의 외면에, 단면이 마름모 형상인 홈 형태의 오목부(141)를 다수 구비하여 일정한 패턴의 딤플을 형성함으로써, 차량 주행 시 발생하는 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나아가 차량 주행에 따른 타이어(100)와 공기 사이에 작용하는 공력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월부(140)의 외면에, 서로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다수의 제1 오목부(143) 및 제2 오목부(144)를 구비하여 딤플 패턴에 경향성을 부여함으로써, 주행 시 타이어 방열 효과 및 공력 감소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타이어
110: 트레드부
120: 벨트층
130: 카카스
140: 사이드월부
141: 오목부
142: 홈부
143: 제1 오목부
144: 제2 오목부
150: 비드부
160: 이너라이너
S: 서레이션부

Claims (17)

  1. 트레드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월부; 및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둘레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깊이가 증가하거나 둘레에서 중심까지 일정한 깊이를 가지며, 복수개 구비되어 타이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2. 제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오목부 중 서로 이웃하는 오목부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월부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고, 상기 오목부의 최대 깊이이상의 깊이로 형성되는 홈부;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오목부를 감싸도록 상기 오목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타이어.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타이어.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에서 내측을 향해,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는, 타이어.
  6. 제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오목부는, 타이어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열(column)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열 중 어느 하나의 열에 포함된 오목부는, 상기 복수의 열 중 다른 하나의 열에 포함된 오목부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타이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타이어 원주방향으로의 폭이, 타이어 반경방향으로의 폭보다 큰, 타이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 중 복수개의 상기 오목부가 배열된 제1 형성 영역과 상기 트레드부 사이 영역 및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 중 상기 제1 형성 영역과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서레이션(serration)부;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에 배치되되, 복수개의 상기 오목부와 이격된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는, 타이어.
  10. 트레드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월부;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둘레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깊이가 증가하거나 둘레에서 중심까지 일정한 깊이를 가지며, 복수개 구비되어 타이어 반경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오목부;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 오목부의 타이어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11. 제10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제1 오목부는, 타이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다수의 행(row)으로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행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제2 오목부가 포함된, 타이어.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행 중 어느 하나의 행에 포함된 복수개의 제1 오목부는 서로 크기가 상이한, 타이어.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오목부의 크기는, 타이어 반경방향 외측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타이어.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타이어 원주방향으로의 폭이, 타이어 반경방향으로의 폭보다 큰, 타이어.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는 타이어 원주방향으로의 폭이, 타이어 반경방향 외측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타이어.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 중 복수개의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가 배열된 제2 형성 영역과 상기 트레드부 사이 영역 및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 중 상기 제2 형성 영역과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서레이션부;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에 배치되되, 복수개의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에 의해 둘러싸인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는, 타이어.
KR1020210092236A 2021-07-14 2021-07-14 타이어 KR102561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236A KR102561573B1 (ko) 2021-07-14 2021-07-14 타이어
CN202280049843.3A CN117651651A (zh) 2021-07-14 2022-07-13 轮胎
PCT/KR2022/010185 WO2023287187A1 (ko) 2021-07-14 2022-07-13 타이어
EP22842449.5A EP4371790A1 (en) 2021-07-14 2022-07-13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236A KR102561573B1 (ko) 2021-07-14 2021-07-14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676A true KR20230011676A (ko) 2023-01-25
KR102561573B1 KR102561573B1 (ko) 2023-07-31

Family

ID=84920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236A KR102561573B1 (ko) 2021-07-14 2021-07-14 타이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71790A1 (ko)
KR (1) KR102561573B1 (ko)
CN (1) CN117651651A (ko)
WO (1) WO2023287187A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6030A (ja) * 1998-07-07 2000-01-18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7050854A (ja) * 2005-08-19 2007-03-01 Sumitomo Rubber Ind Ltd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2008189165A (ja) * 2007-02-05 2008-08-21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DE102008010486A1 (de) * 2007-02-22 2008-09-18 Toyo Tire & Rubber Co., Ltd. Luftreifen
JP2008273505A (ja) * 2007-04-05 2008-11-13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KR20100048173A (ko) * 2008-10-30 2010-05-1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
JP2010260376A (ja) * 2009-04-30 2010-11-18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KR20120038940A (ko) * 2009-06-01 2012-04-24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타이어
JP2012106583A (ja) * 2010-11-17 2012-06-07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14037215A (ja) * 2012-08-20 2014-02-27 Sumitomo Rubber Ind Ltd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2019081510A (ja) * 2017-10-31 2019-05-30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4126B2 (ja) * 2008-05-16 2013-08-0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298349B2 (ja) * 2014-04-25 2018-03-2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597142B2 (ja) * 2015-10-01 2019-10-30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124807B2 (ja) * 2019-08-05 2022-08-2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6030A (ja) * 1998-07-07 2000-01-18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7050854A (ja) * 2005-08-19 2007-03-01 Sumitomo Rubber Ind Ltd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2008189165A (ja) * 2007-02-05 2008-08-21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DE102008010486A1 (de) * 2007-02-22 2008-09-18 Toyo Tire & Rubber Co., Ltd. Luftreifen
JP2008273505A (ja) * 2007-04-05 2008-11-13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KR20100048173A (ko) * 2008-10-30 2010-05-1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
JP2010260376A (ja) * 2009-04-30 2010-11-18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KR20120038940A (ko) * 2009-06-01 2012-04-24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타이어
JP2012106583A (ja) * 2010-11-17 2012-06-07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14037215A (ja) * 2012-08-20 2014-02-27 Sumitomo Rubber Ind Ltd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2019081510A (ja) * 2017-10-31 2019-05-30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71790A1 (en) 2024-05-22
WO2023287187A1 (ko) 2023-01-19
KR102561573B1 (ko) 2023-07-31
CN117651651A (zh) 202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6004B2 (en) Pneumatic tire with tread including blocks having open and closed sipes
US8517069B2 (en) Pneumatic tire with tread having sipes, circumferential main grooves and lateral grooves
CN107150557B (zh) 轮胎
US6000450A (en) Studless tire
US20160221397A1 (en) Pneumatic tire
US11505005B2 (en) Pneumatic tire
WO2018225501A1 (ja) 空気入りタイヤ
US7237588B2 (en) Pneumatic tire including zigzag sipes
JP729833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107243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23064576A (ja) タイヤ
KR102561573B1 (ko) 타이어
JP7302416B2 (ja) タイヤ
US10000092B2 (en) Pneumatic tire
JP6891454B2 (ja) タイヤ
JP6107242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0238507A (ja) 重荷重用タイヤ
JP7230493B2 (ja) タイヤ
KR102118105B1 (ko) 공기입 타이어
JP2020108990A (ja) 空気入りタイヤ
EP4324662A2 (en) Pneumatic tire
JP7347008B2 (ja) タイヤ
EP4324661A2 (en) Pneumatic tire
JP7338425B2 (ja) タイヤ
US11498366B2 (en)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