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530A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530A
KR20230002530A KR1020227037794A KR20227037794A KR20230002530A KR 20230002530 A KR20230002530 A KR 20230002530A KR 1020227037794 A KR1020227037794 A KR 1020227037794A KR 20227037794 A KR20227037794 A KR 20227037794A KR 20230002530 A KR20230002530 A KR 20230002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floor
person
bag body
butt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부 이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05236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1176499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포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포지
Publication of KR20230002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6Fluid mattresses or cushions with fluid-like particles, e.g. filled with b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72Pillows for lying in reclined position, e.g. for rea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54Pillows for lying face downw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사람이 올라탔을 경우에, 사람의 외형을 따라서, 또는 사람의 소망에 따라서 형상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는 쿠션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적어도 일부가 신축성의 백 본체와, 상기 백 본체 중의 충전재를 적어도 구비한 사람용의 베개로서, 상기 충전재가 발포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베개의 최장방향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베개를 바닥에 세우고, 상기 바닥과 상기 베개와의 접촉면적이 변동하지 않도록 상기 베개의 정상부를 상부로 펼쳤을 경우, 상기 충전재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이 상기 베개의 최대 길이 1/10∼2/3의 길이로 상기 베개의 상부에 형성되고, 최장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바닥에 둔 상기 베개에 적어도 엉덩이가 붙도록 사람이 누었을 경우, 상기 엉덩이가 베개의 바닥에 붙는 베개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베개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사람이 올라탔을 경우에, 사람의 외형을 따라서, 또는 사람의 소망에 따라서 형상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베개가 포함되는 쿠션체로서 여러 가지 형상의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23002호(특허문헌 1)에서는, 「신축성을 가지는 백 본체 속에, 백 본체의 내용적 1.1∼3.5배의 체적의 발포 수지입자가 충전재로서 봉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체」가 제안되고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30137호(특허문헌 2)에서는 욕창예방에 사용할 수 있는 쿠션체가 제안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2300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30137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쿠션체는 백 본체의 내용적에 대해서, 과잉의 충전재가 봉입(과충전)되어 있다. 과잉으로 충전된 충전재는 백 본체 속에서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쿠션체가 딱딱한 촉감이 된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정보 단말을 엎드려서 또는 바로 누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사용형태에 있어서, 딱딱한 촉감의 쿠션체는 예를 들면, 사람이 올라탔을 경우에, 사람의 외형을 따라서 그 형상이 변화되기 어렵고, 국소적인 압력을 사람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장시간 엎드리거나 또는 바로 누운 상태에서의 사용에 적절하다고는 말하기 어려웠다.
특히, 휴대 정보 단말을 엎드린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 등줄기가 젖혀지기 때문에, 허리에 부담이 된다. 이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가슴에서 넓적다리 앞측에 걸쳐서, 국소적인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사람의 외형을 따라서 그 형상이 변화될 필요가 있지만, 딱딱한 촉감의 쿠션체에서는 그러한 변화는 소망할 수 없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바닥에 붙는 쿠션체는 그 부위에 있어서, 욕창이 발생하게 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바닥 붙음을 전제로 하는 쿠션체의 시사는 없다.
이리 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일부가 신축성의 백 본체와, 상기 백 본체 중의 충전재를 적어도 구비한 사람용의 베개로서,
상기 충전재가 발포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베개의 최장방향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베개를 바닥에 세우고, 상기 바닥과 상기 베개와의 접촉면적이 변동하지 않도록 상기 베개의 정상부를 상부로 펼쳤을 경우, 상기 충전재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이, 상기 베개의 최대 길이 1/10∼2/3의 길이로 상기 베개의 상부에 형성되고,
최장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바닥에 둔 상기 베개에 적어도 엉덩이가 붙도록 사람이 누었을 경우, 상기 엉덩이가 베개의 바닥에 붙는 베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일부가 신축성의 백 본체와, 상기 백 본체 중의 충전재를 적어도 구비한 사람용의 베개로서,
상기 충전재가 발포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베개의 최장방향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베개를 바닥에 세우고, 상기 바닥과 상기 베개와의 접촉면적이 변동하지 않도록 상기 베개의 정상부를 상부로 펼쳤을 경우, 상기 충전재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이 상기 베개의 최대 길이 1/10∼2/3의 길이로 상기 베개의 상부에 형성되고,
최장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바닥에 둔 상기 베개에 적어도 엉덩이가 붙도록 사람이 누었을 경우, 상기 엉덩이가 베개의 바닥에 붙고, 상기 베개 상에서 상기 사람이 몸을 뒤쳤을 때, 상기 엉덩이의 하부에 존재하는 상기 발포 비드가 전동체의 역할을 함으로써, 몸의 뒤침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베개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일부가 신축성의 백 본체와, 상기 백 본체 중의 충전재를 적어도 구비한 베개로서,
상기 베개의 최장방향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베개를 바닥에 세우고, 상기 바닥과 상기 베개와의 접촉면적이 변동하지 않도록 상기 베개의 정상부를 상부로 펼쳤을 경우, 상기 충전재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이 상기 베개의 최대 길이 1/10∼2/3의 길이로 상기 베개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개에 직경 20cm의 원반을 대고, 상기 원반으로 중력 방향에 따라서 1∼20kg의 힘을 첨가했을 경우, 상기 원반이 상기 베개의 바닥에 붙는 베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베개는 적당한 범위의 바닥 붙음에 의해, 다양한 형태에 변형 가능하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엎드리가나 또는 바로 누어서 사용했을 경우, 베개의 형상은 사람의 외형을 따라서 변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베개는 장시간 엎드려 있거나 또는 바로 누어 있는 상태에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부가해서 충전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소망하는 형상으로 베개를 변형시킬 수 있다.
또, 베개에 앉았을 경우, 신체를 감싸도록 크게 변형하므로, 큰 힐링 효과(구름 위를 탄 것 같은 이미지의 감촉)를 얻을 수 있다.
또, 베개 위서 사람이 몸을 뒤쳤을 때, 엉덩이의 하부에 존재하는 발포 비드가 전동체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몸의 뒤침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베개에 힘을 가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베개에 힘을 가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베개에 힘을 가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의 베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의 베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의 베개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의 베개의 개략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의 베개의 개략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1의 베개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1의 베개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2의 베개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2의 베개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2의 베개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2의 베개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2의 베개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2의 베개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2의 베개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실시형태 3의 베개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실시형태 3의 베개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 3의 베개의 개략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 4의 베개의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베개(쿠션체)를 주로 사람(성인, 어린이, 여성, 남성 등)이 사용하는 것을 상정해서 설명하지만, 사람 이외에, 애완동물(예를 들면, 개, 고양이 등)이 본 발명의 베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개는 이하의 (i)∼ (iii)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i) 베개의 최장방향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베개를 바닥에 세우고, 바닥과 베개와의 접촉면적이 변동하지 않도록 베개의 정상부를 상부로 펼쳤을 경우, 충전재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이 베개의 최대 길이 1/10∼2/3의 길이로 베개의 상부에 형성된다.
(ii) 최장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바닥에 둔 베개에 적어도 엉덩이가 붙도록 사람이 누었(바로 누어서 사용했을) 경우, 엉덩이가 베개의 바닥에 붙는다.
(iii) 베개 위에서 사람이 몸을 뒤쳤을 때, 엉덩이의 하부에 존재하는 발포 비드가 전동체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몸의 뒤침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베개는 다양한 형태에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면, 엎드리거나 또는 바로 누운 상태에서 사용했을 경우, 베개의 형상은 사람의 외형을 따라서 변화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베개는 장시간 엎드려 있거나 또는 바로 누운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부가해서, 손 또는 발로 충전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소망하는 형상으로 베개를 변형시킬 수 있다. 또, 베개에 앉았을 경우, 신체를 감싸도록 크게 변형하므로, 큰 힐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베개 위에서 사람이 몸을 뒤쳤을 때, 엉덩이의 하부에 존재하는 발포 비드가 전동체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몸의 뒤침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엉덩이가 베개의 바닥에 붙는다(바닥 붙음)란, 백 본체에 있어서 엉덩이에 접하는 부분의 내면과, 바닥면에 접하는 부분의 내면이 실질적으로 접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접한다는 것은 백 본체의 엉덩이에 접하고 있는 부분의 내면과, 바닥면에 접하고 있는 부분의 내면이 완전하게 접해서 사이에 충전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부가해서, 내면의 일부가 직접 접하고, 그 이외의 부분에 충전재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성질(i)
충전재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이 베개의 최대 길이 1/10∼2/3의 길이로 베개의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엎드려서 사용했을 경우, 바로 누어서 사용했을 경우, 및 앉았을 경우의 어느 것이라도, 신체를 감싸도록 베개를 크게 변형시킬 수 있다.
공간의 길이 측정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1(a)∼(c)에 나타내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도 1(a) 및 (b)는 중력 이외의 외력을 가하지 않고 바닥에 베개를 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a)는 측면도, 도 1(b)는 평면도이다. 도 1(a) 및 (b) 중, 「a」는 바닥과 베개와의 접촉부를 의미한다. 도 1(c)는 바닥과 베개와의 접촉면적이 변동하지 않도록 베개의 정상부를 상부로 펼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c) 중, X는 베개의 최대 길이, X1은 공간의 최대 길이를 의미한다.
공간의 길이는 베개의 최대 길이 1/7∼1/2인 것이 바람직하고, 1/5∼1/3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공간의 길이 하한은 베개의 최대 길이 1/10, 1/9, 1/8, 1/7, 1/6, 1/5에서 선택할 수도 있고, 상한은 2/3, 3/5, 11/20, 1/2, 9/20, 2/5, 1/3에서 선택할 수도 있다.
베개의 최대 길이는 예를 들면, 10cm∼3m의 범위이고, 베개의 용도에 따라서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최대 길이는 20cm, 30cm, 40cm, 50cm, 60cm, 70cm, 80cm, 90cm, 1m, 1.25m, 1.5m, 1.75m 또는 2m로 할 수도 있다.
베개는 최장방향이 바닥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두었을 경우, 5∼100cm의 평균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평균 두께는 10cm, 20cm, 30cm, 40cm, 50cm, 60cm, 70cm, 80cm 또는 90cm로 할 수도 있다. 평균 두께는 놓여진 베개의 두께가 가능한 한 일정하게 되도록 베개를 고르게 했을 경우의 두께를 의미한다. 평균 두께는 최대 길이에 1/2∼1/10으로 할 수 있다.
베개의 최장방향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세운 베개에서의 바닥과 베개와의 접촉면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0.005㎡∼5㎡의 범위이고, 베개의 용도에 따라서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베개의 접촉면적 범위는 0.005㎡, 0.0075㎡, 0.01㎡, 0.015㎡, 0.02㎡, 0.025㎡, 0.03㎡, 0.035㎡, 0.04㎡, 0.05㎡, 0.075㎡, 0.1㎡, 0.125㎡, 0.15㎡, 0.2㎡, 0.25㎡, 0.3㎡, 0.4㎡, 0.5㎡, 0.6㎡, 0.7㎡, 0.75㎡, 0.8㎡, 0.9㎡, 1.0㎡, 1.25㎡, 1.5㎡, 1.75㎡, 2.0㎡, 2.5㎡, 3.0㎡, 3.5㎡, 4.0㎡, 4.5㎡, 5.0㎡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상한값 및 하한값의 조합으로 나타내는 범위로 할 수 있다.
성질(ii)
최장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바닥에 둔 베개에 적어도 엉덩이가 붙도록 사람이 누었을(바로 눕는 자세로 사용했을) 경우, 엉덩이가 베개의 바닥에 붙음(바닥 붙음)으로써 엎드려서 사용했을 경우, 바로 누어서 사용했을 경우, 및 앉았을 경우의 어느 것이라도, 신체를 감싸도록 베개를 크게 변형시킬 수 있다. 또, 여기에서의 사람은 예를 들면, 40kg 이상의 체중을 가지는 사람으로 성인을 상정하고 있다. 성인의 경우, 바닥에 붙는 부위에 증가하는 무게는 엉덩이 주변의 무게인 체중의 약 44%로 상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바로 누어서 사용하는 경우, 몸 전체의 중심(신체 중심)이 위치하는 엉덩이는 베개에서 바닥에 붙는다. 한편, 어깨로부터 머리에 걸쳐서 및 넓적다리의 하부에는 충전재가 존재함으로써, 들어 올려진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허리가 적당하게 구부러진 자세가 된다. 종래, 침구용 매트에서는 직립한 자세(등의 S자세)가 유지되도록, 사람의 외형을 따라서 변형하는 것이, 힐링 부여성의 향상 및 수면의 질의 향상에 유효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렇지만, 사람이 네 다리 보행의 동물로부터 진화해 온 것을 고려하면, 태아자세(무릎을 가볍게 가슴으로 끌어당기고, 등을 조금만 웅크린 자세)에 가까운 자세를 취하는 것이 힐링 부여성의 향상 및 수면의 질의 향상에 의해 유효한 것으로 생각된다. 태아 자세를 취하는 것으로 아기가 울음을 멈추는 바와 같이, 성인이 되어도 신체나 마음의 긴장이 풀리고, 안심시키는 효과를 베개는 가지고 있다. 또, 베개에서 얻어지는 자세는 중립 자세에 상당한다고 말할 수 있다. 중립 자세란 무중력 상태에서의 우주 비행사가 가장 부담이 걸리지 않은 자세를 뜻하고 있다. 즉, 무중력 상태에서는 등이 약간 휘어지고, 넓적다리가 올라간 자세가 되고, 근육의 긴장이나 등뼈에 걸리는 부담이 최소한이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중립 자세를 베개 위에서 눕는 것으로 취할 수 있다.
성질(iii)
베개 위에서 사람이 몸을 뒤쳤을 때, 엉덩이의 하부에 존재하는 발포 비드가 전동체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몸의 뒤침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몸을 뒤치는 동안에서도, 백 본체가 신축하면서 충전재(발포 비드)가 유동함(전동체의 역할을 수행한다)으로써, 신체의 변화에 맞추어서 베개(1)가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개와 신체(예를 들면, 엉덩이)가 접촉하는 부위에서는 신체(엉덩이)가 베개의 바닥에 붙고, 접촉하고 있는 부위에 인접하는 부위에서는 충전재가 유동함으로써 베개가 신체의 외형을 따라서 부풀어 오른다. 그 때문에 어떤 자세를 취하더라도 신체압이 일점에 집중하지 않도록, 신체압을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엎드려서 사용했을 경우, 바로 누어서 사용했을 경우, 및 앉았을 경우의 어느 것이라도, 신체를 감싸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기타의 성질
베개에 적어도 엉덩이가 붙도록 사람이 누운 상태에서, 엉덩이가 베개의 바닥에 붙고, 상반신 및 넓적다리가 바닥에 붙지 않도록, 충전재가 이동하는 것에 의한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오목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태아자세 및/또는 중립 자세를 용이하게 취할 수 있다. 오목부의 크기는 충전재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므로, 사람의 체격 각종 변화에 추종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개는 베개에 직경 20cm의 원반을 대고, 상기 원반으로 중력 방향을 따라서 1∼20kg의 힘을 가했을 경우, 원반이 베개의 바닥에 붙는 성질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베개에 원반을 대는 위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또, 원반은 베개 전체에 걸쳐 바닥에 붙을 수도 있고, 일부가 붙을 수도 있다.
원반이 붙는 베개의 위치는 베개의 최장방향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베개를 세우고, 세운 베개의 상면 중앙 부근일 수 있다. 이 위치라면 엎드려서 사용했을 경우, 바로 누어서 사용했을 경우, 및 앉았을 경우의 어느 것이라도, 신체를 감싸도록 베개를 크게 변형시킬 수 있다.
원반의 직경을 20cm으로 한 이유를 하기한다.
직경 20cm는 측정 시에 베개에 앉는 다는 관점에서, 엉덩이가 바닥과 접하는 영역을 원이라고 가정했을 경우의 원의 직경을 상정하고 있다. 엉덩이가 바닥에 접했을 경우, 골반의 바닥부의 2개의 좌골 결절에서 신체압이 집중한다. 그리고 원의 직경은 바닥에 붙은 상황을 고려해서 좌골결절 주변의 비교적 높은 신체압을 나타내는 영역도 포함시켜서 규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여기에서, 엉덩이에 걸리는 힘의 연구에 관한 문헌(일본 의지장구 학회지 Vol.29 No.3 pp168-1742013)에 의하면, 2개의 좌골결절의 간격은 성인에서 8∼15cm인 것이 알려져 있다. 엉덩이가 바닥과 접하는 경우, 2개의 좌골결절의 주변도 접하게 되므로, 그 주변을 고려해서 원반의 직경을 20cm로 규정하고 있다.
원반의 직경은 20cm 이외에도, 30cm, 40cm, 50cm 및 60cm의 어느 하나의 직경을 선택할 수 있다. 직경이 큰 원반이라면, 베개가 더 커지게 변형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엎드린 상태 또는 바로 누운 상태에서의 보다 장시간의 사용, 앉았을 경우에서 신체를 감싸도록 더 크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가해지는 힘은 1∼20kg의 범위에서 베개의 용도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에 앉는 베개의 경우, 비교적 큰 힘을 선택할 수 있고, 위에 눕는 베개의 경우, 비교적 작은 힘을 선택할 수 있다. 가해지는 힘은 2kg, 3kg, 4kg, 5kg, 6kg, 7kg, 8kg, 9kg, 10kg 또는 15kg로 할 수도 있다.
가해지는 힘의 상한을 20kg로 한 이유를 하기 한다.
힘의 상한 20kg는 베개에 앉는 다는 관점에서, 엉덩이 주위의 무게를 기준으로 결정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산업기술종합연구소에서 2007년에 공표된 문헌에 의하면 16세 이상의 여성의 평균 체중이 약 53kg로 여겨지고 있고, 2019년에 니시카와주식회사로부터 공표된 문헌(침구 등의 수면 최적화에 따른 평가 방법의 기준책정을 향한 과제분석에 관한 조사)에 의하면 허리 엉덩이부의 체압 분산율이 약 44%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즉, 베개의 엉덩이 바닥부에는 약 23kg(53×0.44)의 힘이 작용하게 된다. 힘의 상한을 20kg으로 함으로써, 성인의 여성이더라도 확실하게 바닥 붙음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성인의 남성에 대해서는, 성인의 여성보다 평균 체중이 무거우므로, 힘의 상한이 20kg라면, 확실하게 바닥 붙음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베개를 적극적으로 이용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초등학교생 저학년(6∼7세)에서는 베개에 올라탔을 경우, 발도 베개에 올라타기 때문에, 엉덩이의 바닥부에는 거의 전 체중이 걸리는 것이 상정된다. 여기에서, 후생 노동성의 후생통계요람(2019년)의 제2 편직 보건위생 제1 장 보건의 제2-6표 「신장·체중의 평균값, 성·연차×연령별」에 의하면, 이것들 년대의 체중이 약 23kg 전후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 년대에서도 바닥 붙음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힘의 상한을 20kg 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1∼20kg의 힘을 가하는 방법은 다음 방법이 있다. 우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개(1)에 원반(2)을 올려 놓는다. 다음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반(2) 위에 추(3)를 올려 놓는다. 추(3)는 원반(2)의 무게와의 합계가 소정의 힘이 되도록 조정한다. 추(3)를 올려 놓은 후, 원반(2)을 가볍게 누르면서 약 1분간 돌린다. 원반(2)이 베개(1)의 바닥에 붙어 있다는 것은 원반(2) 바로 아래의 백 본체 중에, 충전재가 실질적으로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또, 실질적으로 존재하고 있지 않는 다는 것은, 완전하게 충전재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부가해서, 백 본체를 구성하는 천의 일부분이 직접 접하고, 그것 이외의 부분에서는 충전재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 도 2(a) 및 도 3(a)는 측면도, 도 2(b) 및 도 3(b)는 평면도이다.
또, 원반의 바닥부 단위면적(㎠)당 3g 이상의 힘을 가할 수도 있다.
원반이 바닥에 붙은 상태의 베개 중력방향의 단면에서, 베개의 좌우 상부가, 도 3(a)의 점선부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밑에서부터 위로 향하는 테이퍼상의 형상이 되어 있을 수 있다. 테이퍼상의 형상이 되어 있음으로써 더욱 적절한 상태로 베개를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테이퍼상의 형상에 있어서, 테이퍼의 정도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베개의 크기, 충전재의 체적, 백 본체의 내용적 등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 또, 상부란 베개 위로부터, 중력방향의 최대 길이 1/3 정도의 부분을 의미한다.
원반이 닿는 베개의 위치가 베개의 최장방향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베개를 세우고, 세운 베개의 상면 중앙 부근인 경우, 원반이 중앙부근만 바닥에 붙고, 원반에 힘을 가하기 전의 베개 높이와, 원반이 바닥에 붙은 상태의 베개 높이가 실질적으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같음으로써 더욱 적절한 상태로 베개를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베개의 크기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최장방향을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바닥면에 베개를 두고, 그 베개 위로 사람(예를 들면, 성인: 신장 150∼170cm를 상정)이 바로 누운 상태로 올라탔을 경우, 머리만, 어깨만, 등만, 엉덩이만, 넓적다리만, 머리부터 어깨까지, 머리부터 등까지, 머리부터 엉덩이까지, 머리부터 넓적다리까지, 어깨로부터 등까지, 어깨로부터 엉덩이까지, 어깨로부터 넓적다리까지, 등으로부터 엉덩이까지, 등으로부터 넓적다리까지, 또는 엉덩이로부터 넓적다리까지, 베개 위에 올려 놓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크기를 베개는 구비할 수 있다.
베개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원주상, 달걀상, 구상, 피라미드상, 직육면체상, 정육면체상, 럭비볼상, 시트상, 엽전상, 캐릭터상(예를 들면, 동물, 애니메이션이나 만화의 등장 인물) 등의 여러 가지 형상을 들 수 있다.
베개는 베드, 이불, 소파, 러그, 다다미 등의 비교적 부드러운 부재 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1) 백 본체 및 충전재
베개는 적어도 일부가 신축성의 백 본체와, 백 본체 중의 충전재를 적어도 구비한다. 백 본체 및 충전재의 구성 재료는 원반을 통해서 힘을 가함으로써 원반이 베개의 바닥에 붙는 성질을 베개에 제공할 수 있기만 한다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1a) 백 본체
백 본체는 신축성을 적어도 일부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바꿔 말하면, 비신축성의 부분과 신축성의 부분을 백 본체는 구비할 수 있다. 보다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는 관점으로부터 백 본체 전체가 신축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 본체는 직포, 편직 천, 부직포, 플라스틱 시트 등의 직물재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직물재의 두께는 백 본체에 적당한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기만 한다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백 본체의 구성 재료는 면(솜), 리넨, 비단, 모, 합성 섬유(예를 들면, 스판덱스; 폴리우레탄 탄성사) 등의 어느 것일 수도 있고, 혼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백 본체는 10∼500%의 신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성은 50∼400%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00∼3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신축성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인장간격 10cm×폭 2.5cm의 시험편을 백 본체에서 절단한다. 일반적인 인장시험기에 의해 시험편을 30cm/분의 속도로 신장하고, 하기 식에 의해 9.8N 하중 시의 연신율을 산출한다. 이 측정을 시험편의 종방향과 횡방향에 대해서 실시한다. 종방향과 횡방향의 연신율 평균값을 신축성으로 한다.
연신율(%)={9.8N 하중 시의 시험편 길이(cm)-10}÷10×100
(1b) 충전재
충전재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발포 비드, 발포 우레탄, 면(솜), 부직포, 수지 파이프, 수지섬유의 삼차원 결합체, 겔, 고무, 모래, 공기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충전재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충전재는 발포 비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예를 들면 50중량% 이상, 55중량% 이상, 60중량% 이상, 65중량% 이상, 70중량% 이상, 75중량% 이상, 80중량% 이상, 85중량% 이상, 90중량% 이상, 95중량% 이상), 모두가 발포 비드일 수도 있다.
엉덩이의 하부에 존재하는 발포 비드는 베개 위에서 몸을 뒤쳤을 때, 볼베어링과 같은 전동체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몸의 뒤침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효과는 최장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바닥에 둔 베개에 적어도 엉덩이가 붙고, 동시에 엉덩이가 베개의 바닥에 붙었을 경우, 더 크게 발휘된다. 발포 비드는 정전기를 띠기 쉬우므로, 백 본체에 부착되기 쉽기 때문에, 바닥 붙음 부위에서 완전하게 제거되기 어렵다. 따라서 일부가 바닥 붙음 부위에 남기 때문에, 전동체의 역할을 수행하기 쉽다.
발포 비드 중에서도 표면에 유동 촉진제가 부착되고, 200∼2000㎛의 범위 내의 평균 입자경 폴리스티렌제 발포 비드가 바람직하다. 이 폴리스티렌제 발포 비드는 유동성이 높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한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평균 입자경은 400∼1500㎛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400∼1000㎛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경은 소정의 체눈의 열림의 체를 중첩시키고, 체에 진동을 가해서 분급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측정할 수 있다. 체눈의 열림 4.00mm (4000㎛), 체눈의 열림 3.35mm, 체눈의 열림 2.80mm, 체눈의 열림 2.36mm, 체눈의 열림 2.00mm, 체눈의 열림 1.70mm, 체눈의 열림 1.40mm, 체눈의 열림 1.18mm, 체눈의 열림 1.00mm, 체눈의 열림 0.85mm, 체눈의 열림 0.71mm, 체눈의 열림 0.60mm, 체눈의 열림 0.50mm, 체눈의 열림 0.425mm, 체눈의 열림 0.355mm, 체눈의 열림 0.300mm, 체눈의 열림 0.250mm, 체눈의 열림 0.212mm, 체눈의 열림 0.180mm (180㎛)의 JIS 표준체로 분급한다. 그 결과로부터 수득된 누적 중량분포곡선을 바탕으로 해서 누적 중량이 50%가 되는 입자경(메디안 직경)을 평균 입자경으로 한다. 혹은, 상기 체눈의 열림 값을 가진 체를, 체눈의 열림 값이 작은 체로부터 체눈의 열림 0.180mm, 체눈의 열림 0.212mm, 체눈의 열림 0.250mm, 체눈의 열림 0.300mm, 체눈의 열림 0.355mm, 체눈의 열림 0.425mm, 체눈의 열림 0.50mm, 체눈의 열림 0.60mm, 체눈의 열림 0.71mm, 체눈의 열림 0.85mm, 체눈의 열림 1.00mm, 체눈의 열림 1.18mm, 체눈의 열림 1.40mm, 체눈의 열림 1.70mm, 체눈의 열림 2.00mm, 체눈의 열림 2.36mm, 체눈의 열림 2.80mm, 체눈의 열림 3.35mm, 체눈의 열림 4.00mm의 차례로 모두 거듭 분급하고, 수득된 누적 중량분포곡선을 바탕으로 해서 누적 중량이 50%가 되는 입자경(메디안 직경)을 평균 입자경으로 할 수도 있다.
(2) 기타
베개는 커버로 덮어져 있어도 된다. 커버의 크기는 베개의 크기와 동일할 수도 있고, 클 수도 있다. 한편, 베개의 크기는 백 본체의 내용적에서 대용할 수 있다. 커버의 크기는 베개의 크기 1∼3배 정도로 할 수 있다(내용적비). 내용적은 비신축성의 필름으로 같은 크기의 백 본체와 커버를 작성하고, 그 커버 내에 가득 채운 공기의 양으로 대체할 수 있다.
커버는 백 본체와 동일한, 직물재 및 구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커버와 백 본체의 직물재 및 구성 재료는 동일 또는 다를 수 있다. 커버의 신축성은 백 본체의 신축성과 같은 정도 또는 백 본체의 신축성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1)
도 4∼10은, 실시형태 1의 베개를 나타낸다. 이 베개를 구성하는 백 본체는 스판덱스제 직포(폴리에스테르 85%, 폴리우레탄 15%), 신축성 약 250%로 구성되고, 충전재는 약 400∼1500㎛의 범위 내의 평균 입자경을 가지는 폴리스티렌제의 발포 비드이다.
도 4(a) 및 (b)는 백 본체의 최장방향이 중력방향에 평행하게 되도록 베개(1)를 바닥면에 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a)는 측면사진, 도 4(b)는 상면사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개(1)는 충전재가 과충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상부가 베개(1) 내부로 쑥 들어가 있다. 이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5(a)의 사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상부에 앉도록 베개(1)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상부에 앉음으로써 베개(1)는 충전재의 이동 및 백 본체의 신축에 의해, 신체를 감싸도록 크게 변형하므로, 큰 힐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b)의 사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엎드려서 베개(1)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사용 형태에서는 엎드린 상태에서의 허리 휨을 완화할 수 있다. 장시간, 엎드린 자세를 취하면, 허리의 휨에 의해 허리를 아프게 하는 경우가 있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개(1)를 변형시킴으로써, 허리의 휨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장시간 엎드린 자세를 취하더라도 허리가 아파지기 어렵다는 효과를 베개(1)는 구비하고 있다.
베개(1)의 정상부를 상부로 펼치면,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재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여백)을, 베개(1)의 최대 길이(X)의 1/3∼1/5의 길이(X1)로 베개(1)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 베개(1)의 최대 길이는 약 1m이다.
이 베개(1)에 직경 20cm의 원반을 대고, 원반으로 중력 방향을 따라서 1∼20kg의 힘을 가했을 경우, 원반이 베개의 바닥에 붙는 것을 확인했다.
도 6(a) 및 (b)는 백 본체의 최장방향이 바닥면에 평행하게 되도록 베개(1)를 바닥면에 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a)는 측면사진, 도 6(b)는 상면사진이다. 이 상태에서의 최대 길이는 약 1.5m이고, 평균 두께는 약 40cm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개(1)는 충전재가 과충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베개(1)가 바닥면에 평행하게 확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7(a) 및 (b)의 사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로 눕거나 또는 엎드려서 베개(1)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베개(1)는 머리부터 엉덩이까지 올려 놓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바로 눕거나 또는 엎드려서 사용함으로써, 베개(1)는 충전재의 이동 및 백 본체의 신축에 의해, 바닥면에 대하여 전후 좌우로 펴저서 신체를 감싸도록 크게 변형하므로, 큰 힐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로 누워서 사용하는 경우, 몸 전체의 중심(신체 중심)이 위치하는 엉덩이는 베개(1)에서 바닥에 붙는다. 한편, 어깨로부터 머리에 걸쳐서 및 넓적다리의 하부에는 충전재가 존재함으로써, 부풀어 올라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충전재가 이동하는 것에 의한 오목부가 형성되고, 허리가 적당하게 구부러진 자세가 된다. 종래, 침구용 매트에서는 직립한 자세(등의 S자세)가 유지되도록 사람의 외형을 따라서 변형하는 것이, 힐링 부여성의 향상 및 수면의 질의 향상에 유효하다고 여겨져 왔다. 그렇지만, 사람이 네발보행의 동물로부터 진화해 온 것을 고려하면, 태아자세(무릎을 가볍게 가슴을 끌어당기고, 등을 조금만 웅크린 자세)에 가까운 자세를 취하는 것이 힐링 부여성의 향상 및 수면의 질의 향상에 더욱 유효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태아 자세를 취함으로써 아기가 울음을 멈추듯이, 성인이 되어도 신체나 마음의 긴장이 풀리고, 안심시키는 효과를 베개는 가지고 있다. 또, 베개(1)에서 수득되는 자세는 중립 자세에 상당한다고 말할 수 있다. 중립 자세란 무중력 상태에서의 우주 비행사가 가장 부담이 걸리지 않는 자세를 뜻하고 있다. 즉, 무중력 상태에서는 등이 약간 휘어지고, 넓적다리가 올라간 자세가 되고, 근육의 긴장이나 등뼈에 걸리는 부담이 최소한으로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중립 자세를 베개(1) 위에서 누움으로써 취할 수 있다.
또, 상반신을 뜨게함으로써 역류성 식도염, 순환기나 호흡기의 병(예를 들면, 수면시 무호흡 증후군), 당뇨병,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다발성 경화증(MS), 척수손상, 뇌성 소아마비, 정맥유, 만성 정맥부전, 하퇴궤양, 건선, 부정맥, 불면증, 편두통, 부종, 빈뇨 등의 여러 가지 질환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엎드려서 사용용 경우, 베개(1)가 소망의 형상이 되도록, 충전재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허리 밑에서부터 어깨아래에 걸쳐서 충전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엎드린 상태에서의 허리 휨을 완화할 수 있다. 장시간, 엎드린 자세를 취하면, 허리의 휨에 의해, 허리를 아프게 하는 경우가 있다. 베개(1)를 변형시킴으로써, 허리의 휨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엎드린 자세를 취하더라도 허리가 아파지기 어렵다는 효과를 베개(1)는 구비하고 있다.
도 8(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개(1) 위에서의 몸의 뒤침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몸 전체의 중심(신체 중심)이 위치하는 엉덩이를 지점으로 하면, 몸의 뒤침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8(a)는 몸을 뒤치기 전의 바로 누운 사진, 도 8(b)는 몸을 뒤치는 도중의 옆으로 누운 사진, 도 8(c)는 몸을 뒤친 후의 엎드려 있는 사진을 각각 나타낸다.
몸을 뒤치고 있는 중에도, 백 본체가 신축하면서 충전재(발포 비드)가 유동(전동체의 역할을 수행한다)함으로써, 신체의 변화에 맞추어서 베개(1)가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개와 신체(예를 들면, 엉덩이)가 접촉하는 부위에서는 신체(엉덩이)가 베개의 바닥에 붙고, 접촉하고 있는 부위에 인접하는 부위에서는 충전재가 유동함으로써 베개(1)가 신체의 외형을 따라서 부풀어 오른다. 그 때문에 어떤 자세를 취하더라도 신체압이 일점에 집중하지 않도록, 신체압을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베개를 사용함으로써, 어떤 자세를 취하더라도 머리부터 발까지의 신체압이 베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거의 균일하게 분산하는 것을 신체압 분산계에 의해 확인할 수 있었다.
부가해서, 몸을 뒤쳤을 때, 좌우의 부풀어 오름이 유지되고, 동시에 몸을 뒤치기 전과 뒤친 후의 신체(엉덩이)의 평면위치를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백 본체의 신축성과 발포 비드의 전동체로서의 역할의 양쪽의 기여에 의한 것이다. 여기에서, 좌우의 부풀어 오름이 유지된다고 하는 것은 엄밀한 의미가 아니고, 좌우의 부풀어 오름의, 폭, 높이, 평면시의 면적, 측면시의 면적, 체적 등의 어느 하나의 수치가 베개(1)로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도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이것들 수치가 ±50%, ±40%, ±30%, ±20% 또는 ±10%의 범위에서 변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한편, 평면위치를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기 위해서는, 평면시에서의 엉덩이의 전후 좌우의 위치가, 몸을 뒤치기 전후에서, ±30cm, ±20cm, ±15cm, ±10cm 또는 ±5cm 변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또 도 9(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개(1) 위에, 천(예를 들면, 신축성이 낮은 천)(4)를 통해서, 바로 누운 상태 또는 엎드린 상태에서 올라탄 후, 간병인(다른 사람)이 천(4)을 잡아당기는 것으로, (예를 들면, 베개 없이 직접 천 위에 올라탔을 경우와 비교해서) 적은 힘으로 체위의 변환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베개(1)는 가진다. 도 9(a)는 천(4)을 통해서 바로 누어 베개(1)에 올라탔을 경우의, 도 9(b)는 천(4)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체위가 옆으로 누운 상태로 변환되었을 경우의 사진을 각각 나타낸다. 체위변환이 용이하게 되는 시스템은 천 밑에 존재하는 충전재가 바닥과 천(4)과의 사이에서 전동체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적은 힘으로 체위의 변환이 용이하게 되는 베개(1)는 몸을 뒤치는 것이 곤란한 사람이, 같은 자세를 취함으로써, 베개(1)와의 접촉면에 발생하는 욕창을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추가로 간병인이 필요한 사람의 체위변환에 필요한 간병인의 힘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간병인의 요통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또, 도 9(a) 및 (b)에서 잡아당기기 전과 잡아당긴 후의 엉덩이 평면위치가 거의 동일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베개(1)는 소파 위에서의 사용도 적합하다. 예를 들면, 도 10(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도 10(a)는 소파(5)위로 둔 베개(1)에 엉덩이로부터 앉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넓적다리부터 목에 걸쳐서, 등쪽의 형상을 따라서 베개(1)가 크게 변형하고, 신체의 사이드에도 충전재의 이동에 의해 팔꿈치 두는 곳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몸 전체가 감싸인 느낌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릴랙스하게 소파에 앉아 있을 수 있다.
도 10(b)는 소파(5)의 측면을 따르드록 해서 둔 베개(1)에 등을 맡기고 앉은 상태이다. 소파(5)의 측면에 등을 내리 누름으로써 등쪽의 형상을 따라서 베개(1)가 크게 변형하고, 신체의 사이드로의 충전재의 이동에 의해 팔꿈치 두는 곳이 형성된다. 엉덩이로부터 앉는 것 보다 등쪽의 베개(1)의 량이 많기 때문에, 등쪽에서의 몸의 감싸인 느낌을 도 10(a)의 경우보다 더 크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11∼17은 실시형태 2의 베개를 나타낸다. 이 베개에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스판덱스제 직포(백 본체) 및 폴리스티렌제의 발포 비드(충전재)가 사용되고 있다. 실시형태 2는 주로 베개로서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도 11(a) 및 (b)는 백 본체의 최장방향이 중력방향에 평행하게 되도록 베개(1)를 바닥면에 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a)는 측면 사진, 도 11(b)는 상면 사진이다.
베개(1)의 정상부를 상부로 펼치면,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재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여백)을, 베개(1)의 최대 길이(X)의 1/3∼1/5의 길이(X1)로 베개(1)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 베개(1)의 최대 길이는 약 90cm이다.
이 베개(1)에 직경 20cm의 원반을 대고, 원반으로 중력 방향을 따라서 1∼20kg의 힘을 가했을 경우, 원반이 베개의 바닥에 붙는 것을 확인했다.
도 12(a) 및 (b)는 백 본체의 최장방향이 바닥면에 평행하게 되도록 베개(1)를 바닥면에 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2(a)는 측면 사진, 도 12(b)는 상면 사진이다. 이 상태에서의 최대 길이는 약 1m이고, 평균 두께는 약 20cm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개(1)는 충전재가 과충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베개(1)가 바닥면에 평행하게 확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13(a) 및 (b)의 사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로 눕거나 또는 엎드려서 베개(1)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베개(1)는 머리부터 엉덩이까지를 올려 놓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바로 눕거나 또는 엎드려서 사용함으로써, 베개(1)는 충전재의 이동 및 백 본체의 신축에 의해, 바닥면에 대하여 전후 좌우로 성장해서 머리부터 엉덩이까지를 감싸도록 크게 변형하므로, 큰 힐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베개와 머리부터 엉덩이까지가 접촉하는 부위에서는 엉덩이가 베개의 바닥에 붙고, 접촉하고 있는 부위에 인접하는 부위에서는 충전재가 유동함으로써 베개(1)가 머리부터 엉덩이까지의 외형에을 따라서 부풀어 오른다. 그 때문에 어떤 자세를 취하더라도 신체압이 일점에 집중하지 않도록, 신체압을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또, 몸을 뒤치고 있는 중에서도 백 본체가 신축하면서 충전재가 유동(전동체의 역할을 수행한다.)함으로써, 상반신의 변화에 맞추어서 베개(1)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c)의 사진에는 바로 눕기에서 엎드리기로 이행하는 동안의 옆으로 누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베개를 사용함으로써, 어떤 자세를 취하더라도 머리부터 발까지의 신체압이 베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거의 균일하게 분산하는 것을 신체압 분산계에 의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실시형태 2의 베개에서도, 실시형태 1과 같이, (i) 엉덩이가 베개의 바닥에 붙는 것, (ii) 베개 위에서 몸을 뒤쳤을 때, 엉덩이의 하부에 존재하는 발포 비드가 전동체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몸을 뒤치는 것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또, 바로 누어서 사용하는 경우, 엉덩이는 베개(1)에 붙는다. 한편, 어깨로부터 머리에 걸쳐서는 그 하부에 엉덩이 부근으로부터 이동한 충전재가 존재함으로써, 부풀어 오른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머리부터 엉덩이까지가 베개(1)로 감싸이고, 동시에 허리가 적당하게 구부러진 자세가 된다. 이 자세를 취함으로써 힐링 부여성의 향상 및 수면의 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 베개(1)에는 도 14(a)의 평면도, 도 14(b)의 배면도 및 도 14(c)의 측면도에 나타내는 커버(1a)를 씌우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1a)는 베개(1)와 동일하게, 신축성을 가지는 원단으로 되어 있다. 커버(1a)는 백 본체 이상의 신축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a)는 백 본체와 동일한 직포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다른 직포(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직포)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베개(1)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예를 들면, 도 15(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상부에 앉아 있는 및 엎드린 사용, 도 16(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파 위에서의 사용도 적합하다. 추가로 실시형태 1과 같이 도 17(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축성이 낮은 천(4)을 통해서 적은 힘으로 체위의 변환이 용이하다.
(실시형태 3)
도 18∼20은 실시형태 3의 베개를 나타낸다. 이 베개에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스판덱스제 직포(백 본체) 및 폴리스티렌제의 발포 비드(충전재)가 사용되고 있다. 실시형태 3은 머리부부터 어깨에 걸쳐서 사용하는 것을 상정한 베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a) 및 (b)는 백 본체의 최장방향이 중력방향에 평행하게 되도록 베개(1)를 바닥면에 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8(a)는 측면 사진, 도 18(b)는 상면 사진이다.
베개(1)의 정상부를 상부로 펼치면, 도 1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재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여백)을, 베개(1)의 최대 길이(X)의 1/3∼1/5의 길이(X1)로 베개(1)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 베개(1)의 최대 길이는 약 55cm이다.
이 베개(1)에 직경 20cm의 원반을 대고, 원반으로 중력 방향을 따라서 1∼20kg의 힘을 가했을 경우, 원반이 상기 베개의 바닥에 붙는 것을 확인했다.
도 19(a) 및 (b)는 백 본체의 최장방향이 바닥면에 평행하게 되도록 베개(1)를 바닥면에 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9(a)는 측면 사진, 도 19(b)는 상면 사진이다. 이 상태에서의 최대 길이는 약 1m이고, 평균 두께는 약 30cm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개(1)는 충전재가 과충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베개(1)가 바닥면에 평행하게 확대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20(a) 및 (b)의 사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로 눕거나 또는 엎드려서 베개(1)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베개(1)는 머리부터 어깨까지 (상반신)을 올려 놓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바로 눕거나 또는 엎드려서 사용함으로써, 베개(1)는 충전재의 이동 및 백 본체의 신축에 의해, 바닥면에 대하여 전후 좌우로 성장해서 상반신을 감싸도록 크게 변형하므로, 큰 힐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베개와 상반신이 접촉하는 부위에서는 상반신이 베개의 바닥에 붙고, 접촉하고 있는 부위에 인접하는 부위에서는 충전재가 유동함으로써 베개(1)가 상반신의 외형을 따라서 부풀어 오른다. 그 때문에 어떤 자세를 취하더라도 신체압이 일점에 집중하지 않도록, 신체압을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베개를 사용함으로써, 어떤 자세를 취하더라도 머리부터 발까지의 신체압이 베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거의 균일하게 분산하는 것을 신체압 분산계에 의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몸을 뒤치고 있는 중에서도, 백 본체가 신축하면서 충전재가 유동(전동체의 역할을 수행한다.)함으로써, 상반신의 변화에 맞추어서 베개(1)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0(c)의 사진에는 바로 누어 있는 상태에서 엎드리기로 이행하는 동안의 옆으로 누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실시형태 3의 베개에서도,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엉덩이가 붙도록 누었을 경우, (i) 엉덩이가 베개의 바닥에 붙는 것, (ii) 베개 위에서 몸을 뒤쳤을 때, 엉덩이의 하부에 존재하는 발포 비드가 전동체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몸의 뒤침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실시형태 4)
실시형태 1∼3에서는 백 본체가 1 기체실의 베개를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베개는 백 본체가 2 기체실 이상 복수 기체실으로 격벽으로 구획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성질(i) 및 (ii)는 복수 기체실 내, 적어도 1개의 기체실이 구비될 수 있다. 다른 기체실은 상기 성질(i) 및 (ii)를 구비하고 있을 수도, 구비하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 격벽은 백 본체 내에 별도의 천을 붙임으로써 형성할 수 있고, 백 본체를 직접 붙임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기체실을 설치하는 경우, 기체실마다 충전재 종류를 바꿀 수도, 바꾸지 않을 수도 있다. 또 기체실마다 충전율을 바꾸어도 좋다.
도 21에 2 기체실의 베개(1)를, 그 최장방향이 바닥면에 평행하게 되도록 바닥면에 둔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1의 베개는 백 본체를 직접 꿰매 붙이는 것에 의해, 2개의 기체실으로 나뉘어 있다. 도면 중, (6)은 재봉부, (7a)는 작은 기체실, (7b)는 큰 기체실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작은 기체실(7a)을 과충전으로 하고, 큰 기체실(7b)에 상기 성질(i) 및 (ii)을 구비시킴으로써, 작은 기체실(7a)을 베개로 하고, 큰 기체실(7b)를 요로 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베개 일체형의 요는 몸의 뒤침을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동시에, 적당한 높이로 머리를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발생한다.
1: 베개
1a: 커버
2: 원반
3: 추
4: 천
5: 소파
7a: 작은 기체실
7b: 큰 기체실

Claims (10)

  1. 적어도 일부가 신축성의 백 본체와, 상기 백 본체 중의 충전재를 적어도 구비한 사람용의 베개로서,
    상기 충전재가 발포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베개의 최장방향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베개를 바닥에 세우고, 상기 바닥과 상기 베개와의 접촉면적이 변동하지 않도록 상기 베개의 정상부를 상부로 펼쳤을 경우, 상기 충전재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이 상기 베개의 최대 길이 1/10∼2/3의 길이로 상기 베개의 상부에 형성되고,
    최장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바닥에 둔 상기 베개에 적어도 엉덩이가 붙도록 사람이 누었을 경우, 상기 엉덩이가 베개의 바닥에 붙는 베개.
  2. 제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신축성의 백 본체와, 상기 백 본체 중의 충전재를 적어도 구비한 사람용의 베개로서,
    상기 충전재가 발포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베개의 최장방향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베개를 바닥에 세우고, 상기 바닥과 상기 베개와의 접촉면적이 변동하지 않도록 상기 베개의 정상부를 상부로 펼쳤을 경우, 상기 충전재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이 상기 베개의 최대 길이 1/10∼2/3의 길이로 상기 베개의 상부에 형성되고,
    최장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바닥에 둔 상기 베개에 적어도 엉덩이가 붙도록 사람이 누었을 경우, 상기 엉덩이가 베개의 바닥에 붙고,
    상기 베개 상에서 상기 사람이 몸을 뒤쳤을 때, 상기 엉덩이의 하부에 존재하는 상기 발포 비드가 전동체의 역할을 수행으로써, 몸의 뒤침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베개.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에 둔 베개가 상기 엉덩이의 좌우에서 상기 발포 비드의 이동에 의해 부풀어 오르고,
    상기 사람이 몸을 뒤쳤을 때, 상기 백 본체의 신축성과 상기 발포 비드의 전동체로서의 역할에 의해, 좌우의 부풀어 오름이 유지되고, 동시에 몸을 뒤치기 전과 뒤친 후의 상기 엉덩이의 평면위치가 거의 동일한 베개.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개 위에 천을 통해서, 바로 눕거나 또는 엎드려서 사람이 올라탄 후, 다른 사람이 상기 천을 잡아당기면, 상기 천의 하부에 존재하는 상기 발포 비드가 전동체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적은 힘으로 체위의 변환이 용이하고, 동시에 잡아당기기 전과 잡아당긴 후의 상기 엉덩이의 평면위치가 거의 동일한 베개.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에 적어도 엉덩이가 붙도록 사람이 누운 상태에서, 상기 엉덩이가 상기 베개의 바닥에 붙고, 상반신 및 넓적다리가 바닥에 붙지 않도록, 상기 충전재가 이동하는 것에 의한 오목부를 구비하는 베개.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의 최대 길이가 20cm∼3m인 베개.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장방향을 바닥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바닥면에 상기 베개를 두고, 상기 베개 위에 사람이 바로 눕는 자세로 올라탄 경우, 머리부터 엉덩이까지를 올려 놓을 수 있는 크기를 구비하는 베개.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 본체가 10∼500%의 신축성을 가지는 베개.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람이 성인인 베개.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신축성의 백 본체와, 상기 백 본체 중의 충전재를 적어도 구비한 베개로서,
    상기 베개의 최장방향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베개를 바닥에 세우고, 상기 바닥과 상기 베개와의 접촉면적이 변동하지 않도록 상기 베개의 정상부를 상부로 펼쳤을 경우, 상기 충전재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이 상기 베개의 최대 길이 1/10∼2/3의 길이로 상기 베개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개에 직경 20cm의 원반을 대고, 상기 원반으로 중력 방향에 따라서 1∼20kg의 힘을 가했을 경우, 상기 원반이 상기 베개의 바닥에 붙는 베개.
KR1020227037794A 2020-04-30 2021-04-23 베개 KR202300025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96465 2020-04-30
JP2020096465 2020-04-30
JP2021052367A JP2021176499A (ja) 2020-04-30 2021-02-01
JPJP-P-2021-052367 2021-02-01
PCT/JP2021/016497 WO2021220969A1 (ja) 2020-04-30 2021-04-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530A true KR20230002530A (ko) 2023-01-05

Family

ID=78373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794A KR20230002530A (ko) 2020-04-30 2021-04-23 베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157466A1 (ko)
EP (1) EP4144262A4 (ko)
JP (1) JP2024003127A (ko)
KR (1) KR20230002530A (ko)
CN (1) CN114828697A (ko)
AU (1) AU2021264718A1 (ko)
CA (1) CA3174122A1 (ko)
TW (1) TW202200053A (ko)
WO (1) WO202122096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3002A (ja) 2003-01-23 2004-08-12 Sekisui Plastics Co Ltd クッション体
JP2005230137A (ja) 2004-02-18 2005-09-02 Ebisu Kasei Co Ltd クッション体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4342U1 (ru) * 2000-04-28 2000-07-20 Лупандин Андрей Юрьевич Предмет мягкой мебели
JP3081750U (ja) * 2001-05-15 2001-11-22 株式会社エビス化成 ビーズクッション
JP3093532U (ja) * 2002-10-10 2003-05-16 邦喜 藤田 バルーンチェアー
JP2005198856A (ja) * 2004-01-16 2005-07-28 Ebisu Kasei Co Ltd クッション体
GB2447658B (en) * 2007-03-19 2011-09-28 Fuda Internat Trading Company Ltd Improved seating structure
JP2009219558A (ja) * 2008-03-13 2009-10-01 Futaba Kikaku Kk クッション
FR3000885B1 (fr) * 2013-01-17 2016-07-01 Younow Dispositif de soutien du corps a enveloppe contenant des particules, notamment des billes
JP7017898B2 (ja) * 2017-10-12 2022-02-09 美香 鈴木 クッション体用充填剤及びクッション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3002A (ja) 2003-01-23 2004-08-12 Sekisui Plastics Co Ltd クッション体
JP2005230137A (ja) 2004-02-18 2005-09-02 Ebisu Kasei Co Ltd クッション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264718A1 (en) 2022-12-01
CA3174122A1 (en) 2021-11-04
TW202200053A (zh) 2022-01-01
EP4144262A1 (en) 2023-03-08
US20230157466A1 (en) 2023-05-25
CN114828697A (zh) 2022-07-29
EP4144262A4 (en) 2024-05-22
JP2024003127A (ja) 2024-01-11
WO2021220969A1 (ja)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6764B2 (en) Infant positioner
CN201019301Y (zh) 办公休闲保健椅
US201600082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erting force on bodies
US20120165167A1 (en) Therapeutic-exercise pillow and methods of use
CN101448434A (zh) 多用途支撑枕头
JP4680057B2 (ja)
US6230347B1 (en) Orthopedic comfort pillow
JPH01500726A (ja) サポートクッション
US10709256B2 (en) Efficient mattress having low pressure and alignment
WO2014194756A1 (zh) 人体重力聚散平衡床垫
JP2024029121A (ja) 体表面形状測定装置、寝具、寝具の製造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枕、及び枕の製造方法
US20050000024A1 (en) Inflatable and fully adjustable foot and seat support for travelers
JP6778437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
KR20230002530A (ko) 베개
KR101525989B1 (ko) 구슬 매트리스
CN109674564A (zh) 一种稳定型磁护背装置
JPH07506026A (ja) 身体治療用長枕
JP2021176499A (ja)
JPH11155696A (ja) 座布団
TWI725844B (zh) 椅墊
CN220572351U (zh) 一种偏瘫患者体位固定装置
JP3205949U (ja) 姿勢矯正台及び姿勢矯正台とマットの組合せ
AU2005201183B2 (en) Physical Therapy Support Surface and Method of Providing Physical Therapy
JP3166228U (ja) 背あて用弾褥体
JP3208649U (ja) 敷マ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