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137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137A
KR20230002137A KR1020220166886A KR20220166886A KR20230002137A KR 20230002137 A KR20230002137 A KR 20230002137A KR 1020220166886 A KR1020220166886 A KR 1020220166886A KR 20220166886 A KR20220166886 A KR 20220166886A KR 20230002137 A KR20230002137 A KR 20230002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seated
rib
accommod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7421B1 (ko
Inventor
김진기
이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20166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7421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6688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7421B1/ko
Publication of KR20230002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커넥터는 수용공간을 가로지르는 개방면을 따라 개방되는 제1,2유닛으로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개방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안착되는 터미널;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상기 터미널이 안착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리브와, 상기 구획리브의 일 측을 관통하여 상기 터미널의 탄성부가 걸림 고정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2유닛의 결합에 의해 상기 터미널이 내측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터미널의 불완전 체결 및 케이블의 휨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기기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기기에는 많은 전기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기부품들은 케이블과 그에 연결된 커넥터를 통해 다른 전기장치나, 전기부품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신호 등을 전달한다.
따라서 커넥터의 내부에는 전원, 신호 등을 전달하도록 케이블과 연결된 복수의 터미널이 형성되어 복수의 폐회로를 형성하며, 이때 케이블이 연결된 터미널은 하우징의 일 측으로 삽입 시 작업자가 터미널에 연결된 케이블의 끝단을 파지한 상태로 삽입시켜 하우징의 내부에 체결하였다.
여기서 케이블의 반경이 작은 소선경 케이블이 사용되는 경우, 작업자의 삽입력이 일정 이상을 초과하면 이를 버티지 못하고 케이블에 휨이 발생되었으며, 또한 삽입력 필요한 정도에 도달하지 못하면 터미널이 불완전 체결되어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 및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블의 휨을 보정하는 서브 작업이 필요하여 작업성이 저하되었으며, 완전 체결을 위해 리테이너를 추가적으로 조립함으로써 제품의 중량 및 크가기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우징의 개방면을 관통하여 터미널이 안착되도록 하여 터미널의 불완전 체결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개선된 신뢰성을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커넥터는 개방면을 구비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개방면에 결합되는 커버로 형성된 하우징;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일 측에서 돌출되는 탄성부와, 상기 접촉부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케이블이 안착되는 연장부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안착되는 터미널; 및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일 측이 걸림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복수의 상기 터미널이 안착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리브와, 상기 구획리브의 일 측을 관통하여 상기 터미널의 탄성부가 걸림 고정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는 일 측으로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바디와, 일 측으로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타 측으로 상기 고정부가 형성된 제2바디로 형성되어,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제1바디 또는 다른 상기 제2바디에 적층되어 상기 터미널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모두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하우징이 개방면을 따라 분리되고, 터미널이 개방면을 관통하여 수용공간에 안착되어 불완전 체결 및 터미널 삽입에 따른 케이블이 휨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한다. 이에 따라 커넥터 간 내부 단자 사이의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하여 제품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불완전 체결 또는 케이블 휨에 따른 추가 서브 작업을 제외하여 생산 공정을 간소화하는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터미널 체결 후 완전 체결을 위해 조립되는 리테이너를 삭제할 수 있어 필요 부품 수를 감소시키고, 소형 터미널 적용을 확대하여 제품이 경량화 및 소형화를 실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다른 방향 사시도.
도 4는 도 2의 Ⅳ-Ⅳ 방향의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커넥터가 조립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다른 방향 사시도.
도 9는 도 6의 Ⅸ-Ⅸ 방향의 단면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커넥터가 조립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터미널이 연장된 방향을 연장방향으로, 터미널이 체결되는 방향을 체결방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2실시예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 방향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커넥터가 조립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커넥터(100)는 수용공간(114)을 가로지르는 개방면(113)을 따라 분리되는 제1,2유닛(111,112)으로 형성된 하우징(110) 및 상기 개방면(113)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114)에 안착되는 터미널(12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0)은 복수의 상기 터미널(120)이 안착되도록 상기 수용공간(114)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리브(115)와, 상기 구획리브(115)의 일 측을 관통하여 상기 터미널(120)의 탄성부(122)가 걸림 고정되는 체결홀(116)이 형성되고, 상기 제1,2유닛(111,112)의 결합에 의해 상기 터미널(120)이 내측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넥터(100)는 다수의 장치를 보다 쉽게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터미널(120)이 커넥터(100)의 결합에 의해 일체로 다른 전장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우징(110)은 분리가능한 제1,2유닛(111,112)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터미널(120)이 안착되는 수용공간(114)이 형성되고, 수용공간(114)은 연장방향(X)으로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복수의 터미널(120)이 일체로 다른 전장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2유닛(111,112)은 수용공간(114)을 가로지르는 개방면(113)을 중심으로 분리되고, 이에 따라 수용공간(114)은 제1유닛(111)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1수용공간(1141)(114)과 제2유닛(112)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수용공간(1142)(114)으로 구분된다. 또한 제1,2수용공간(114) 각각에는 복수의 터미널(120)이 안착되도록 복수의 구획리브(115)와, 구획리브(115)의 일 측을 관통하여 터미널(120)의 탄성부(122)가 걸림 고정되는 체결홀(116)과, 개방면(113)의 일 측에 형성되어 제1,2유닛(111,112)을 연결하는 힌지부(117)와, 체결홀(116)과 연통되어 탄성부(122)의 걸림를 해지하는 해지홀(1161)이 형성된다.
구획리브(115)는 제1,2유닛(111,112)의 내측에서 체결방향(Y)으로 형성되어 수용공간(114)을 구획하여 복수의 터미널(120)이 각각 안착되도록 하며, 제1,2유닛(111,112)이 개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말단에 왕곡되어 지지리브(1152)가 형성된 제1구획리브(1151)와, 제1,2유닛(111,112)이 개방된 상태에서 수용공간(114)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2구획리브(1153)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구획리브(1151)와 제2구획리브(1153)는 번갈아가며 형성되고, 제1유닛(111)에 형성된 제1구획리브(1151)와 제2유닛(112)에 형성된 제2구획리브(1153)가 대향하고, 제1유닛(111)에 형성된 제2구획리브(1153)와 제2유닛(112)에 형성된 제1구획리브(1151)가 대향되어 지지리브(1152)가 대항하는 제2구획리브(1153)에 맞닿도록 형성하여 하우징(110)의 체결방향(Y) 강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지지리브(1152)는 터미널(120)이 안착된 상태에서 연장부(123)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터미널(120)이 수용공간(114)에 안착되는 것을 간섭하지 않으며, 접촉부(121)의 일 측과 맞닿아 터미널(120)이 연장방향(X)으로 유동하는 것을 이차로 방지한다.
체결홀(116)은 수용공간(114)에 터미널(120)이 안착된 상태에서 탄성부(122)가 걸림 고정되도록 구획리브(115)의 일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구획리브(115)의 내측에서 연장방향(X)으로 형성된 해지홀(1161)과 연통되어 터미널(120)이 해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110)의 일 측으로는 제1,2유닛(111,112)이 개폐가능하도록 탈착되는 걸림부(118)와 걸림부(118)가 걸림 고정되는 탄성걸림홈(119)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부(118)는 제1,2유닛(111,11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탄성걸림홈(119)은 다른 하나의 형성된다.
따라서 제1,2유닛(111,112)이 결합 시 안착면(1181)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1182)를 따라 연장리브(1191)가 탄성 변형되고, 걸림돌기(1182)가 걸림홀(1192)에 안착되면 연장리브(1191)는 탄성복원력에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걸림돌기(1182)와 걸림홀(1192)이 체결된다.
이때 걸림돌기(1182)는 연장리브(1191)의 점진적인 변형을 위하여 결합되는 방향으로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착면(1181)은 하우징(110)의 외측면에서 요입되어 형성되고, 연장리브(1191)는 외측면에서 연장되어 탄성 변형이 용이한 동시에 안착면(1181)에 안착되어 보다 향상된 고정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커넥터(100)는 체결방향(Y)으로 개방되는 개방면(113)을 따라 하우징(110)이 개방되고, 터미널(120)이 체결방향(Y)으로 개방면(113)을 관통하여 수용공간(114)에 안착되도록 하여 완전 체결을 보장하고, 삽입력에 의해 케이블이 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다시 말해, 종래 터미널은 작업자가 연결된 케이블을 파지하여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삽입시켜 터미널을 체결하여 삽입력이 일정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케이블에 휨이 발생되는 동시에 휨에 의한 삽입력 저하에 따라 불완전 체결의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커넥터(100)는 개방면(113)을 관통하여 수용공간(114)의 터미널(120)의 체결 위치에 그대로 위치시킬 수 있어 케이블 휨 및 불완전 체결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제1,2수용공간(114)에 각각 터미널(120)을 안착시켜 제1,2유닛(111,112)의 결합에 의해 터미널(120)이 적층 형성될 수 있으며, 터미널(120)의 완전 체결을 위한 추가 서브 공정 및 리테이너 등과 같은 구성을 제외함으로써 커넥터(100)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실현한다.
터미널(120)은 다른 터미널(120)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121)와, 접촉부(121)의 일 측에 돌출되는 탄성부(122)와, 접촉부(121)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케이블이 안착되는 연장부(123)로 형성되어, 케이블 사이를 연결하여 폐회로를 형성한다.
이때 터미널(120)은 커넥터(100)의 종류에 따라 피메일커넥터(100) 또는 메일커넥터(100)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설계에 따라 그 형성 또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촉부(121) 또한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예의 커넥터(100)는 피메일커넥터(100)로 형성된다.
접촉부(121)는 연장방향(X)으로 개방되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메일터미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장방향(X)의 일 측이 지지리브(1152)와 맞닿아 유동이 방지된다.
탄성부(122)는 접촉부(121)의 일 측에서 절개되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터미널(120)이 수용공간(114)에 안착됨에 따라 수용공간(114)의 구획리브(115)와 맞닿아 탄성 변형되고, 터미널(120)이 수용공간(114)에 안착됨과 동시에 체결홀(116)에 위치하여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탄성부(122)는 체결홀(116)과 걸림 고정되어 터미널(120)를 수용공간(114)에 고정시키며, 터미널(120)이 수용공간(114)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홀(116)을 통해 해지홀(1161)에 배치되어 지그를 통해 체결홀(116)과의 걸림이 해지될 수 있도록한다.
연장부(123)는 접촉부(121)의 일 측에서 연장방향(X)으로 형성되고, 케이블이 위치한다. 이때 케이블의 말단은 터미널(120)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하여 체결방향(Y)으로 연장되고, 말단부는 피복이 제거되어 내부 와이어가 노출되어 형성되며, 터미널(120)의 말단은 가압에 의해 케이블의 말단부를 감싸도록 변형되는 가압리브(1231)가 형성되어 케이블과의 안정적으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 터미널(120)은 피메일터미널(120) 또는 메일터미널(120)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면(113)을 체결방향(Y)으로 관통하여 수용공간(114)에 안착되어 종래 연장방향(X)으로 삽입되는 방식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하우징(110)에 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커넥터(100)는 하우징(110)이 개방면(113)을 중심으로 개방되어 터미널(120)이 체결방향(Y)으로 수용공간(114)에 안착되어 불완전 체결 및 케이블 휨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터미널(120)의 완전 체결을 위한 리테이너 등의 구성을 제외할 수 있으며, 추가 공정도 제외할 수 있어 커넥터(100)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실현하고, 케이블의 지름이 매우 작게 형성되는 소선경 터미널(120)의 활용도를 향상시켜 커넥터(100) 설치의 공간 제약을 감소시켜 제품 개발 및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의 Ⅸ-Ⅸ 방향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6의 커넥터가 조립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2실시 예의 커넥터(200)는 개방면(2114)이 구비하는 수용공간(2113)이 형성된 바디(211)와, 상기 개방면(2114)에 결합되는 커버(212)로 형성된 하우징(210), 상기 개방면(2114)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2113)에 안착되는 터미널(120) 및 상기 수용공간(2113)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120)의 일 측이 걸림 고정되는 고정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211)는 복수의 상기 터미널(120)이 안착되도록 상기 수용공간(2113)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리브(2115)와, 상기 구획리브(2115)의 일 측을 관통하여 상기 터미널(120)의 탄성부(122)가 걸림 고정되는 체결홀(21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커넥터(200)는 제1실시 예의 커넥터(100)와 터미널(120)이 개방면(113)을 관통하여 체결방향(Y)으로 안착되는 점에서 동일한 과제해결원리를 가지나, 보다 다수의 터미널(1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적층되어 형성되는 새로운 하우징(210)의 구조를 개시한다.
하우징(210)은 개방면(2114)을 구비하는 수용공간(2113)이 형성된 바디(211)와, 개방면(2114)에 결합하여 수용공간(2113)을 체결방향(Y)으로 폐쇄하는 커버(212)로 형성되고, 이때 바디(211)는 일 측으로 수용공간(2113)만이 형성된 제1바디(2111)와, 일 측으로는 수용공간(2113)이 형성되고, 타 측으로는 고정부(220)가 형성된 제2바디(2112)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바디(2111)와 제2바디(2112)는 일 측으로 수용공간(2113)이 형성되되, 제2바디(2112)는 타 측으로 수용공간(2113)에 돌출 형성되어 안착된 터미널(120)을 이차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220)가 형성되어 제1바디(2111) 또는 다른 제2바디(2112)에 적층될 수 있으며, 이때 체결방향(Y)으로 가장 하측으로는 제1바디(2111)가 배치되고, 가장 상측에 결합되는 제2바디(2112)의 개방면(2114)에는 커버(212)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용공간(2113)의 내측에는 복수의 터미널(120)이 안착되도록 일정 간격을 가지며 구획리브(2115)가 형성되고, 구획리브(2115)의 일 측으로 터미널(120)의 탄성부(122)가 걸림 고정되는 체결홀(2116)이 형성된다.
다만, 제2실시 예의 커넥터(200)는 힌지부(117)에 의해 결합되어 적층되는 제1,2수용공간(1141,1142)이 형성되는 제1실시 예의 커넥터(100)와 달리, 필요따라 연속되어 적층되는 수용공간(2113)이 형성되고, 결합 시 수용공간(2113)으로 배치되어 터미널의 일 측에 지지되는 별도의 고정부(220)를 구비하고 있어 말단에 지지리브(1152)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하우징(210)은 외측으로 걸림부(213)와 탄성걸림홈(214)이 형성되고, 돌출된 걸림부(213)가 탄성걸림홈(214)에 걸림 고정되면서 제1바디(2111)가 제2바디(2112) 또는 커버(212)의 결합되고, 제2바디(2112)는 제2바디(2112) 또는 커버(212)와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2바디(2111,2112)의 양 측으로 요입되어 안착면(2131)이 형성되고, 안착면(2131)에서 돌출되어 걸림돌기(2132)가 형성되고, 제2바디(2112) 및 커버(212)의 일 측에서는 체결방향(Y)으로 연장된 연장리브(2141)와, 연장리브(2141)를 관통하여 걸림돌기(2132)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홀(2142)이 형성되어 제1,2바디(2111,2112) 및 커버(212)가 서로 결합 시 연장리브(2141)가 걸림돌기(2132)의 외측면을 따라 탄성 변형되어 스냅핏 방식에 의해 걸림 고정된다.
이때 연장리브(214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돌기(2132)는 체결방향(Y)으로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연장리브(2141) 또한 안정적으로 탄성 변형된다.
다시 말해 제2실시 예의 커넥터(200)는 제1,2바디(2111,2112)의 개방면(2114)으로 커버(212)뿐만 아니라 제2바디(2112) 또한 결합될 수 있어 설계자 또는 기기의 필요 터미널(120) 수에 맞춰 제1,2바디(2111,2112)를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높으며, 제2바디(2112)의 타 측으로 고정부(220)를 형성하여 각 제1,2바디(2111,2112)마다 커버(212)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제품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실현시킨다.
고정부(220)는 수용공간(2113)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터미널(120)의 일 측에 맞닿아 체결방향(Y) 및 연장방향(X)으로 터미널(12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고정부(220)는 커버(212)의 내측면 또는 제2바디(2112)의 타 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하측으로 결합되는 제1바디(2111) 또는 제2바디(2112)의 수용공간(2113)에 배치된다.
따라서 고정부(220)는 커버(212) 또는 제2바디(2112)에서 돌출되어 하측으로 결합되는 수용공간(2113)으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안착된 터미널(120)의 접촉부(121)와 연장부(123)의 연결부분에 배치되어 터미널(120)을 이차적으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커넥터(200)는 제2바디(2112)를 적층하여 다양한 수의 터미널(120)이 수용될 수 있어 활용도 높으며, 지지리브(1152)가 형성되지 않아 터미널(120)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별도의 고정부(220)를 형성하여 터미널(120)을 이차적으로 고정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보다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00 제1실시 예의 커넥터
110하우징 111 제1유닛
112 제2유닛 113 개방면
114 수용공간 1141 제1수용공간
1142 제2수용공간
115 구획리브 1151 제1구획리브
1152 지지리브 1153 제2구획리브
116 체결홀 117 힌지부
118 걸림부 1181 안착면
1182 걸림돌기 119 탄성걸림홀
1191 연장리브 1192 걸림홀
120 터미널 121 접촉부
122 탄성부 123 연장부
1231 가압리브
200 제2 실시 예의 커넥터
210 하우징 211 바디
2111 제1바디 2112 제2바디
2113 수용공간 2114 개방면
2115 구획리브 2116 체결홀
212 커버
213 걸림부 2131 안착면
2132 걸림돌기 214 탄성걸림홀
2141 연장리브 2142 걸림홀
220 고정부
X 연장방향 Y 체결방향

Claims (2)

  1. 개방면을 구비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개방면에 결합되는 커버로 형성된 하우징;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일 측에서 돌출되는 탄성부와, 상기 접촉부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케이블이 안착되는 연장부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안착되는 터미널; 및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일 측이 걸림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복수의 상기 터미널이 안착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리브와, 상기 구획리브의 일 측을 관통하여 상기 터미널의 탄성부가 걸림 고정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일 측으로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바디와, 일 측으로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타 측으로 상기 고정부가 형성된 제2바디로 형성되어,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제1바디 또는 다른 상기 제2바디에 적층되어 상기 터미널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220166886A 2022-12-02 커넥터 KR102667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886A KR102667421B1 (ko) 2022-12-02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508A KR102484077B1 (ko) 2020-12-29 2020-12-29 커넥터
KR1020220166886A KR102667421B1 (ko) 2022-12-02 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508A Division KR102484077B1 (ko) 2020-12-29 2020-12-29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137A true KR20230002137A (ko) 2023-01-05
KR102667421B1 KR102667421B1 (ko) 2024-05-20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248B1 (ko) 2023-09-26
KR20230002136A (ko) 2023-01-05
KR102484077B1 (ko) 2023-01-04
KR20220094853A (ko) 2022-07-06
KR102583249B1 (ko) 2023-09-26
KR20230002138A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118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te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and wire cover
US9960518B2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thereof
JP5700070B2 (ja) 電気コネクタ
EP3168939B1 (en) Anti-rotation seal for connector assembly
JP4569448B2 (ja) コネクタ
US9917400B2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US200301761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al connector cable retention
WO2013018386A1 (ja) 連結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9146768A (ja) 電線ホルダ
KR102484077B1 (ko) 커넥터
WO2012145276A1 (en) Cable clamp for cable connector
KR102667421B1 (ko) 커넥터
JP5997054B2 (ja) オスコネクタ、メス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配置
JP2019033001A (ja) 電子ユニットの取付構造
KR20200028565A (ko) 커넥터
JP7467517B2 (ja) 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ワイヤハーネス、及び、コネクタカバー
KR200486277Y1 (ko) 도어 커넥터
KR102481782B1 (ko) 고전압 커넥터
US11949182B2 (en) Wiring connector assembly
CN219553992U (zh) 连接器壳体、母端连接器及电子设备组件
JP2022045484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20040224555A1 (en) Automotive flatwire connector
KR20230013010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210039104A (ko) 고전압 커넥터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CN117791216A (zh) 连接器以及将电线紧固到连接器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