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689A -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689A
KR20230001689A KR1020210084522A KR20210084522A KR20230001689A KR 20230001689 A KR20230001689 A KR 20230001689A KR 1020210084522 A KR1020210084522 A KR 1020210084522A KR 20210084522 A KR20210084522 A KR 20210084522A KR 20230001689 A KR20230001689 A KR 20230001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engine room
vehicle engine
bulkhead assembl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7757B1 (ko
Inventor
최성준
안장훈
Original Assignee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21008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757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B62D29/0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the metal being over-moulded by the synthetic material,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는, 일단부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 깊이로 수용부가 형성된 제1 패널;과 일단부에 수용부에 수용되는 끼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제1 패널에 결합되는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수용부는 '∩'자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PARTITION ASSEMBLY FOR ENGINE ROOM OF VEHICLE}
본 개시(The Disclosure)는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를 기준으로 전방 혹은 후방에는 엔진룸이 위치하고, 이러한 엔진룸의 내부에는 엔진 이외에 엔진의 작동을 위한 엔진오일, 냉각수, 구동벨트, 배터리 등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된다.
전술한 엔진룸에는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룸과 차량의 실내 사이에 격벽이 설치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4233호는 엔진룸 격벽 체결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동 공보에 개시된 엔진룸 격벽 체결 어셈블리는, 대시로워패널의 전방쪽 엔진룸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엔진룸의 부품들이 차량의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의 하부쪽에 설치되는 하부패널; 상기 하부패널이 설치된 상기 엔진룸의 상부쪽에 설치되어 하부면이 상기 하부패널의 상부면에 정합되는 상부패널; 상기 하부패널의 상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되되, 내부를 향해 소정 깊이로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패널의 하부면 가장자리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엔진룸 격벽 체결 어셈블리는,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이 삽입부와 삽입홈을 매개로 단순 끼움 형식으로 결합되므로, 패널들 간의 결합력이 약하고 밀폐가 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삽입부가 돌출 형성되므로 파손이 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KR 10-1554233 B1 (2015. 09. 14. 등록)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패널들 간의 결합력이 강하고 밀폐가 잘되는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방음력과 방진력이 뛰어난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파손될 우려가 적은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는, 일단부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 깊이로 수용부가 형성된 제1 패널;과 일단부에 수용부에 수용되는 끼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제1 패널에 결합되는 제2 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의 수용부는, '∩'자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는, 일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패널과, 복수 개의 관통홀을 메우면서 제2 패널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끼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의 제2 패널과 끼움재는 이중사출 방식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의 수용부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다리, 제1 및 제2 다리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 및 제1 및 제2 다리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의 끼움재는, EPDM(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소재,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소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는, 패널의 가장자리가 서로 기밀하게 결합되므로 패널들 간의 결합력이 강하고, 밀폐가 잘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는, 패널들이 유격 없이 결합되므로 방음력과 방진력이 뛰어나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는, 패널의 결합되는 부분이 파손될 우려가 적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는, 단순 끼움구조로 인해 격벽 체결을 위한 파스너(fastener), 매직테이프, 스크류 등의 서브부품이 필요하지 않아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패널의 변형예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이하 '격벽 어셈블리(100)'라 함]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격벽 어셈블리(100)의 정면도인 도 1과 격벽 어셈블리(100)의 분해도인 도 2를 참조하면, 격벽 어셈블리(100)는 제1 패널(110)과 제2 패널(120)을 포함한다.
제1 패널(110)은 소정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이되, 일단부 가장자리에 수용부(111)가 형성된다. 제1 패널(110)의 일측면에는 흡음재가 결합될 수 있다.
수용부(111)는 제1 패널(110)의 일단부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즉, 수용부(111)는 폭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자 단면을 가진다. 수용부(111)는 제1 패널(110)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1)는 제1 및 제2 다리(111a), 손잡이(111b) 및 리브(111c)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다리(111a)는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며, '∩'자 형상에서 각각의 단부를 지칭한다.
손잡이(111b)는 제1 및 제2 다리(111a)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패널(110)에 결합된 제2 패널(12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한다.
리브(111c)는 제1 및 제2 다리(111a)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111c)는 제1 패널(110)과 제2 패널(120)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2 패널(120)은 소정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이되, 일단부에 끼움재(121)가 결합된다. 제2 패널(120)의 일측면에는 흡음재가 결합될 수 있다.
끼움재(121)는 제2 패널(120)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감싸면서 결합된다. 하나의 예로, 끼움재(121)는 '∩'자 단면을 가지되, 제2 패널(120)의 일단부 가장자리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되거나, 이중사출 방식으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끼움재(121)는 제2 패널(120)에 결합된 뒤 수용부(111)에 수용되어, 제1 패널(110)과 제2 패널(120)을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끼움재(121)는 EPDM(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소재,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등 탄력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탄력으로 인해 수용부(111)에 수용된 후 더욱 밀착된다.
격벽 어셈블리(100)의 단면도인 도 3을 참조하여 격벽 어셈블리(100)의 결합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 (a)와 같이 제1 패널(110)의 일단부와 제2 패널(120)의 일단부가 서로 마주보게 위치시킨다.
다음, 제1 패널(1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용부(111)에 끼움재(121)가 결합된 제2 패널(120)의 일단부를 수용함으로써, 제1 패널(110)에 제2 패널(120)을 결합시킨다.
이 때, 수용부(111)에 형성된 리브(111c)에 의해 끼움재(121)는 수용부(111)에 더욱 기밀하게 밀착되고, 이에 따라, 제1 패널(110)과 제2 패널(120)의 결합력이 상승된다.
제2 패널(120)의 변형예인 도 4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200)[이하 '격벽 어셈블리(200)'라 함]의 단면도인 도 5를 참조하면, 제2 패널(220)은 소정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이되, 일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222)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끼움재(221)가 결합된다. 제2 패널(220)의 일측면에는 흡음재가 결합될 수 있다.
끼움재(221)는 복수 개의 관통홀(222)을 메우면서 제2 패널(220)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감싸면서 결합된다. 끼움재(221)는 이중사출 방식으로 제2 패널(120)의 일단부에 사출성형될 수 있다.
끼움재(221)는 제2 패널(220)에 결합된 뒤 수용부(211)에 수용되어, 제1 패널(210)과 제2 패널(220)을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끼움재(221)는 EPDM(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소재,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등 탄력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탄력으로 인해 수용부(211)에 수용된 후 더욱 밀착된다.
격벽 어셈블리(200)의 결합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 (a)와 같이 제1 패널(210)의 일단부와 제2 패널(220)의 일단부가 서로 마주보게 위치시킨다.
다음, 제1 패널(2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용부(211)에 끼움재(221)가 결합된 제2 패널(220)의 일단부를 수용함으로써, 제1 패널(210)에 제2 패널(220)을 결합시킨다.
이 때, 수용부(211)에 형성된 리브(211c)에 의해 끼움재(221)는 수용부(211)에 더욱 기밀하게 밀착되고, 이에 따라, 제1 패널(210)과 제2 패널(220)의 결합력이 상승된다.
본 개시의 격벽 어셈블리(100)는, 제1 패널(1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용부(111)에 제2 패널(120)의 일단부에 결합된 끼움재(121)가 결합될 때, 수용부(111)에 형성된 리브(111c)에 의해 제1 패널(110)에 제2 패널(120)이 더욱 기밀하게 결합되므로, 패널(110, 120)들 간의 결합력이 강하고 밀폐가 잘된다.
또한, 본 개시의 격벽 어셈블리(100)는 2개의 패널(110, 120)이 유격 없이 결합되어 방음력과 방진력이 뛰어나다.
또한, 본 개시의 격벽 어셈블리(100)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결합되는 부분이 돌출 형성되어 있지 않아 파손될 우려가 적다.
또한, 본 개시의 격벽 어셈블리(100)는 단순 끼움구조로 인해 격벽 체결을 위한 파스너(fastener), 매직테이프, 스크류 등의 서브부품이 필요하지 않아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할 때 사용된 표현(용어, 시각화된 이미지 등)들은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도구적인 목적에 의해 선택된 것에 불과하다.
또한, 여건상 본 개시는 제한된 수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고,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새로운 실시예들을 창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난 일부 표현에 의하여 제한되어선 안되고, 명세서의 전반에 내재된 본원적인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100...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
110... 제1 패널
111... 수용부
111a... 제1 및 제2 다리
111b... 손잡이
111c... 리브
120... 제2 패널
121... 끼움재
200...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
210... 제1 패널
211... 수용부
211a... 제1 및 제2 다리
211b... 손잡이
211c... 리브
220... 제2 패널
221... 끼움재
222... 관통홀

Claims (5)

  1. 차량 엔진룸의 격벽을 구성하는 격벽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단부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 깊이로 수용부가 형성된 제1 패널;과
    일단부에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끼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제1 패널에 결합되는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자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은,
    일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재는,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을 메우면서 상기 제2 패널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과 상기 끼움재는 이중사출 방식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다리,
    상기 제1 및 제2 다리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제1 및 제2 다리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재는,
    EPDM(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소재,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소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
KR1020210084522A 2021-06-29 2021-06-29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 KR102607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522A KR102607757B1 (ko) 2021-06-29 2021-06-29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522A KR102607757B1 (ko) 2021-06-29 2021-06-29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89A true KR20230001689A (ko) 2023-01-05
KR102607757B1 KR102607757B1 (ko) 2023-11-30

Family

ID=84925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522A KR102607757B1 (ko) 2021-06-29 2021-06-29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7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046U (ko) * 1997-03-20 1998-11-05 김영귀 차량용 스컵 플레이트
KR19990005069A (ko) * 1997-06-30 1999-01-25 김영귀 차량의 사이드 플레이트 결합 구조
KR101521430B1 (ko) * 2013-12-24 2015-05-19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KR101554233B1 (ko) 2014-10-08 2015-09-21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엔진룸 격벽 체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046U (ko) * 1997-03-20 1998-11-05 김영귀 차량용 스컵 플레이트
KR19990005069A (ko) * 1997-06-30 1999-01-25 김영귀 차량의 사이드 플레이트 결합 구조
KR101521430B1 (ko) * 2013-12-24 2015-05-19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KR101554233B1 (ko) 2014-10-08 2015-09-21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엔진룸 격벽 체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757B1 (ko)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27949B2 (ja) グロメット
US4905860A (en) Speaker box
JP3730920B2 (ja) 内装トリムにおけるポケット構造
US20050098379A1 (en) Noise absorbing structure and noise absorbing/insulating structure
US20080073927A1 (en) Vehicle trim component storage compartm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19116560A1 (ja) 車両用フロアカーペットの開口部構造
KR20230001689A (ko) 차량 엔진룸용 격벽 어셈블리
US5915767A (en) Bumper side supporting structure
US20120128410A1 (en) Clip
KR102432124B1 (ko) 차체의 벌크헤드용 차음 요소
CN214303262U (zh) 拉手和门体组件
JP4462974B2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組付構造
KR101935318B1 (ko) 경량화 소재가 적용된 차량용 대쉬패널
JPH11115551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3296479B2 (ja) ダクトの固定構造
JP5913703B1 (ja) 化粧枠
CN216041894U (zh) 静音舱壁板的固定结构
JPH0433164Y2 (ko)
JP2537093Y2 (ja) 二物品の固着構造
CN218085387U (zh) 通风盖板及车辆
JPS58200977A (ja) ガスケツト
JPH10210582A (ja) 車載スピーカの取付構造
JP2005212578A (ja) 自動車用空調ダクト
US20240153676A1 (en) Grommet unit and wire harness
KR20080033610A (ko) 자동차용 플라스틱 패스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