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422A -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422A
KR20230001422A KR1020210084239A KR20210084239A KR20230001422A KR 20230001422 A KR20230001422 A KR 20230001422A KR 1020210084239 A KR1020210084239 A KR 1020210084239A KR 20210084239 A KR20210084239 A KR 20210084239A KR 20230001422 A KR20230001422 A KR 20230001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discharge
forest
dam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2008B1 (ko
Inventor
최형태
김재훈
임홍근
양현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to KR1020210084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008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52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the height of the fluid level due to the lifting power of the fluid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8Wall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02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wherein the flow is in an open chann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로를 갖고, 산림 계류에 설치된 사방댐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로의 상류측에 구비되어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유로로 산림 계류를 유입시키도록 상기 사방댐에 설치되는 계류유입부, 상기 유로의 하류측에 구비되어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산림 계류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사방댐에 설치되는 계류배출부, 및 상기 유로를 통과한 산림 계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산림에 비 올때는 물론, 비 오지 않을때에도 계류의 수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forest flow measuring device for erosion control dam}
본 발명은 유량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림 계류에 기 설치된 사방댐에 설치하여 월류되어 흐르는 량을 측정할 수 있어 정밀한 측정에 의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소하천의 유량측정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산림 수자원의 유량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여기서, 산림의 수자원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중 현재 전국의 산촌에서 진행되고 있는 숲 가꾸기 등 수원 함양 사업 추진 정책을 통해 효율적인 수원함양림의 조성 및 관리지침을 제공하기 위하여 산림수자원 특성 구명 및 데이터 베이스(DB)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때문에 산림수자원 특성 구명 및 데이터 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산림유량 관측 시설을 설치하여 수자원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역 특성에 따른 유출량을 산출하고 있다.
종래 간이 유량측정 장치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9034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유수로패널과 위어판을 설치하여 월류되는 순간의 수위를 측정하여 용이한 관리를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간이 유량측정 장치는 노치가 형성된 보가 설치된 곳에서만 사용가능한 것으로, 해당 지역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이 떨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간이 유량측정 장치는 장기간 설치되되, 보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 아님에 따라, 증가한 유량에 의해 위치가 변동되거나 유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어 수위를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산림의 경우, 계류의 경사가 급해 비가와도 급속히 하류로 이동됨에 따라, 설치된 유량측정 장치의 유실 가능성이 더욱 높으며, 계류의 주변 및 지중으로 흐르는 물이 많아 간이 유량측정 장치를 견고하게 설치하더라도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풍수기는 물론, 갈수기에도 산림의 계류에 대한 수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유로를 갖고, 산림 계류에 설치된 사방댐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로의 상류측에 구비되어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유로로 산림 계류를 유입시키도록 상기 사방댐에 설치되는 계류유입부, 상기 유로의 하류측에 구비되어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산림 계류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사방댐에 설치되는 계류배출부, 및 상기 유로를 통과한 산림 계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측정부,를 포함하여 산림에 비 올때는 물론, 비 오지 않을때에도 계류의 수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유로를 갖고, 산림 계류에 설치된 사방댐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로의 상류측에 구비되어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유로로 산림 계류를 유입시키도록 상기 사방댐에 설치되는 계류유입부, 상기 유로의 하류측에 구비되어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산림 계류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사방댐에 설치되는 계류배출부, 및 상기 유로를 통과한 산림 계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측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방댐은, 상기 몸체부와 차닥벽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와 차닥벽은 일체로 형성되며,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와 차닥벽의 상단부가 일정 폭으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하류측면과 상류측면이 해당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기 산림 계류 지중의 신선암반에 타설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상류측면 경사는 하류측면 경사보다 급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유로의 양측부에 보조배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유로를 보조하여 계류를 하류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와 차닥벽은, 지중에 설치된 하단부의 상류측면에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누수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누수방지부는, 황토로 충진되어 내부에 기포층을 최소화시켜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부와 신선암반이 접하는 부분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누수방지부는, 상기 상기 몸체부와 신선암반이 접하는 부분이 노출되도록 굴착된 다음 형성되며, 상기 굴착된 굴착물을 다시 덮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계류유입부는, 상기 유로의 상류에 위치되도록 상기 사방댐의 상류측에 구비되되, 상면이 계류 바닥과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계류유입몸체, 상기 계류유입몸체의 전단부와 양측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유입유도공간부를 형성하는 계류유입턱, 및 상기 계류유입몸체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계류 바닥 지중에 구비되는 계류유입받침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계류유입몸체와 계류유입턱은 철근콘크리트슬래브로 제작되고, 상기 계류유입받침부는 버림콘크리트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계류유입부는, 상기 유입유도공간부로 부유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유물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부유물차단부는, 상기 계류유입턱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내설되는 복수의 수직차단봉, 및 상기 수직차단봉의 각 상단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수평차단봉,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 수직차단봉은, 하단부가 상기 계류유입몸체와 계류유입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철근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차단봉은 강관이고, 상기 수평차단봉은 각관이며, 아연으로 도금된다.
또한, 상기 계류배출부는, 상면이 상기 사방댐의 유로와 동일하도록 산림 계류 바닥 지중에 설치되는 계류배출바닥, 상기 사방댐의 유로의 측벽에 연장되도록 상기 계류배출바닥에 설치되어 계류가 하류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공간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계류배출측벽, 상기 계류배출바닥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계류 바닥 지중에 구비되는 계류배출받침부, 및 상기 계류배출측벽의 하류측단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계류배출바닥에 돌출되어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계류가 넘어서 이동되는 노치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노치부는, 상기 배출공간부에 일정 높이로 돌출형성되게 계류배출바닥에 타설되며, 양측단부가 해당 계류배출측벽에 함께 타설되는 노치, 및 돌출된 상기 노치가 접하는 상기 계류배출바닥과 계류배출측벽을 밀폐시키기 위한 노치밀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계류에 의해 계류바닥에 소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사방댐 하단부의 하류측면에 구비되는 물방석,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물방석은 계류배출바닥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계류배출바닥과 계류배출측벽은 철근콘크리트슬래브로 제작되고, 상기 계류배출받침부는 버림콘크리트로 제작되며, 상기 물방석은 무근콘크리트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계류유입몸체와 계류유입턱, 계류배출바닥과 계류배출측벽은, 상기 사방댐 타설시 일체로 타설한다.
또한, 상기 계류배출측벽과 계류배출바닥은, 상기 사방댐과의 사이로 계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계류배출밀폐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계류배출밀폐부는, 상기 사방댐에 형성되는 계류배출밀폐홈,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타단부가 상기 계류배출밀폐홈에 삽입되는 계류밀폐판, 및 상기 계류밀폐판이 삽입된 계류배출밀폐홈에 충진되는 밀폐충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류밀폐판의 일단부는 상기 계류배출측벽과 계류배출바닥 타설 시, 내설된다.
또한, 상기 유량측정부는, 상기 사방댐과 접하는 상기 계류배출측벽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유량측정설치공간부, 상기 유량측정설치공간부에 구비되되, 하단부가 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계류가 채워지는 저수관, 상기 저수관에 채워진 계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측정센서, 및 상기 수위측정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계류의 수위를 계측하는 계측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위측정센서와 계측기는 유선과 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수위측정센서와 계측기가 유선으로 연결될 경우,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케이블설치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설치부는, 상기 사방댐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내설되기 위한 케이블설치홈, 상기 케이블설치홈을 폐쇄시키기 위한 케이블설치판, 및 상기 케이블설치판을 사방댐에 고정시키기 위한 설치판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산림 계류가를 따라 설치되는 축벽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축벽부는, 상면이 상기 계류 바닥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도록 지중에 설치되는 축벽기초, 상기 축벽기초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축벽받침부, 상기 축벽기초의 상측으로 복수 적층되어 계류가의 법면을 막기 위한 석재부, 및 상기 법면에 접하는 인접한 두 개의 석재부 사이에 채워져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뒷채움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상류 측에 구비되어 산림 계류를 따라 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한 토사막이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토사막이부는, 산림 계류 지중의 신선암반에 설치되는 토사막이기초, 상기 계류를 막도록 상기 토사막이기초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토사막이벽, 토사막이기초와 신선암반 사이에 구비되어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토사막이받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사막이벽은, 상류측면은 상하 직각면으로 형성되고, 하류측면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하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사막이벽과 축벽부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토사막이밀폐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사막이밀폐부는, 상기 토사막이벽에 형성되는 토사막이밀폐홈,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타단부가 상기 토사막이밀폐홈에 삽입되는 토사막이밀폐판, 상기 토사막이밀폐판이 삽입된 토사막이밀폐홈에 충진되는 제1토사막이충진부, 및 노출된 상기 토사막이밀폐판의 일단부와 축벽부 사이에 충진되는 제2토사막이충진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사방댐은, 내부로 흡수되는 물을 집수하여 상기 산림 계류의 중앙부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내부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부가이드부는, 상기 유로를 기준으로, 양측방향에 각각 구비되되, 유로로 갈수록 햐류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가이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에 의하면, 산림에 비 올때는 물론, 비 오지 않을때에도 계류의 수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되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측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측정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벽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사막이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가이드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되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측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측정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벽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사막이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가이드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50)는 유로(110)를 갖고, 산림 계류에 설치된 사방댐(10)에 설치되는 것으로, 계류유입부(300), 계류배출부(400), 및 유량측정부(500)를 포함한다.
계류유입부(300)는 유로(110)의 상류측에 구비되어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유로(110)로 산림 계류를 유입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계류배출부(400)는 유로(110)의 하류측에 구비되어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산림 계류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유량측정부(500)는 유로(110)를 통과한 산림 계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50)에 의하면, 산림 계류의 수위를 일정량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우천 시, 계류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에, 중류나 하류에 대한 수위와 유속 등을 제어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여기서, 사방댐(10)은 몸체부(100)와 차단벽(200)을 포함하며, 몸체부(100)는 산림 계류가 통과되도록 유로(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차단벽(200)은 산림 계류를 차단시켜 몸체부(100)의 유로(110)로 산림 계류를 유도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몸체부(100)와 차단벽(2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며,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100)와 차닥벽(200)의 상단부가 일정 폭으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하류측면과 상류측면이 해당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몸체부(100)와 차단벽(200)의 하단부는 산림 계류 지중의 신선암반(2)에 타설된다.
그리고 몸체부(100)의 상류측면 경사는 하류측면 경사보다 급하게 형성된다.
물론, 차단벽(200)의 상류측면 경사도 몸체부(100)의 상류측면 경사와 동일하며, 차단벽(200)의 하류측면 역시, 몸체부(100)의 하류측면 경사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100)는 유로(110)의 양측부에 보조배출부(120)를 더 포함하여 유로(110)를 보조하여 계류를 하류로 배출시킨다.
이 보조배출부(120)는 보조배출공으로, 유로(110) 저면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홍수나 장마 등에 의해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계류를 더욱 배출하여 일정량 이상 저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몸체부(100)와 차닥벽(200)은 누수방지부(130)를 더 구비된다.
이 누수방지부(130)는 지중에 설치된 몸체부(100)와 차닥벽(200)의 각 하단부의 상류측면에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누수방지부(130)는 황토로 충진되어 내부에 기포층을 최소화시켜 누수를 방지하도록 몸체부(100)와 신선암반(2)이 접하는 부분을 따라 형성된다.
물론, 차닥벽(200)과 신선암반(2)이 접하는 부분을 따라도 형성됨이 당연하다.
이러한 누수방지부(130)는 몸체부(100) 및 차단벽(200)과 신선암반(2)이 접하는 부분이 노출되도록 굴착된 다음 형성되며, 굴착된 굴착물을 다시 덮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상류측에 위치된 계류가 유로(110)를 통해서만 하류로 이동할 수 있어 계류배출부(400)에 설치되는 유량측정부(500)에 의해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유로(110)로 계류를 유입시키기 위한 계류유입부(300)는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계류유입몸체(310)와 계류유입턱(320) 및 계류유입받침부(330)를 포함한다.
계류유입몸체(310)는 유로(110)의 상류에 위치되도록 사방댐 몸체부(100)의 상류측에 구비되되, 상면이 계류 바닥과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계류유입턱(320)은 계류유입몸체(310)의 상류측단부와 양측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유입유도공간부(322)를 형성하여 계류유입턱(320)을 넘은 계류를 유로(110)로 이동된다.
계류유입받침부(330)는 계류유입몸체(310)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계류 바닥 지중에 구비된다.
여기서, 계류유입몸체(310)와 계류유입턱(320)은 철근콘크리트슬래브로 제작되고, 계류유입받침부(330)는 버림콘크리트로 제작된다.
그리고 계류유입부(300)는 부유물차단부(340)를 더 포함한다.
이 부유물차단부(340)는 유입유도공간부(322)로 부유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부유물차단부(340)는 수직차단봉(342)과 수평차단봉(344)을 포함한다.
수직차단봉(342)은 복수로, 계류유입턱(320)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내설된다.
또한 수평차단봉(344)은 수직차단봉(342)의 각 상단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각 수직차단봉(342)의 하단부는 계류유입몸체(310)와 계류유입턱(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철근에 고정된다.
그리고 수직차단봉(342)은 강관이고, 수평차단봉(344)은 각관이며, 아연으로 도금된다.
이에,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계류배출부(400)는 계류배출바닥(410)과 계류배출측벽(420), 계류배출받침부(430) 및 노치부(440)를 포함한다.
계류배출바닥(410)은 상면이 사방댐 몸체부(100)의 유로(110)와 동일하도록 산림 계류 바닥 지중에 설치된다.
그리고 계류배출측벽(420)은 한 쌍으로, 몸체부(100)의 유로(110)의 측벽에 연장되도록 계류배출바닥(410)에 설치되어 계류가 하류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공간부를 형성한다.
계류배출받침부(430)는 계류배출바닥(410)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계류 바닥 지중에 구비된다.
또한 노치부(440)는 계류배출측벽(420)의 하류측단부에 위치되도록 계류배출바닥(410)에 돌출되어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계류가 넘어서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계류유입부(300)와 계류배출부(400)는 기설치된 사방댐(10)에 설치되기 위해서, 사방댐의 상류측과 하류측 계류 바닥을 굴착한 후, 타설된다.
여기서, 몸체부(100)는 물방석(140)을 더 포함한다.
물방석(140)은 유로(110)를 통해 배출되는 계류에 의해 계류바닥에 소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부(100) 하단부의 하류측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물방석(140)은 계류배출바닥(410)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됨이 당연하다.
다시 말해, 계류배출부(400)가 설치되기 위한 물방석(140)의 해당 부분을 제거한 후, 설치된다.
여기서, 계류배출바닥(410)과 계류배출측벽(420)은 철근콘크리트슬래브로 제작되고, 계류배출받침부(430)는 버림콘크리트로 제작되며, 물방석(140)은 무근콘크리트로 제작된다.
그리고 계류유입몸체(310)와 계류유입턱(320), 계류배출바닥(410)과 계류배출측벽(420)은 몸체부(100) 타설시 일체로 타설한다.
또한 계류배출측벽(420)과 계류배출바닥(410)은 몸체부(100)가 타설된 후, 설치되되, 사이로 계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계류배출밀폐부(450)를 더 포함한다.
이 계류배출밀폐부(450)는 계류배출밀폐홈(452)과 계류밀폐판(454) 및 밀폐충진부(456)를 포함한다.
계류배출밀폐홈(452)은 몸체부(100)에 형성된다.
그리고 계류밀폐판(454)은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타단부가 계류배출밀폐홈(452)에 삽입된다.
밀폐충진부(456)는 계류밀폐판(454)이 삽입된 계류배출밀폐홈(452)에 충진된다.
여기서, 계류밀폐판(454)의 일단부는 계류배출측벽(420)과 계류배출바닥(410) 타설 시, 내설되는 것으로, 고무와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노치부(440)는 노치(442)와 노치밀폐부(444)를 포함한다.
노치(442)는 배출공간부에 일정 높이로 돌출형성되게 계류배출바닥(410)에 타설되며, 양측단부가 해당 계류배출측벽(420)에 함께 타설된다.
또한 노치밀폐부(444)는 돌출된 노치(442)가 접하는 계류배출바닥(410)과 계류배출측벽(420)을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노치부(440)는 노치가이드(446)를 더 포함한다.
이 노치가이드(446)는 노치(442)의 상단부 중 하류측단부를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노치(442)를 넘어 흐르는 계류를 하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노치가이드(446)의 경사각도는 노치(442) 상면을 기준으로 60°로 형성되며, 노치(442) 두께의 80%로 형성된다.
이에, 노치부(440)를 넘어 이동되는 계류에 의해 물방석(14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유량측정부(50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량측정설치공간부(510)와 저수관(520), 수위측정센서(530) 및 계측기(540)를 포함한다.
유량측정설치공간부(510)는 몸체부(110)와 접하는 계류배출측벽(420)의 단부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저수관(520)은 유량측정설치공간부(510)에 구비되되, 하단부가 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계류가 채워지도록 형성된다.
이 저수관(520)은 계류 수위가 낮아질 경우, 채워진 계류가 빠져나감이 당연하다.
수위측정센서(530)는 저수관(520)에 채워진 계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계측기(540)는 수위측정센서(530)의 신호를 수신하여 계류의 수위를 계측한다.
이 수위측정센서(530)와 계측기(540)는 유선과 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 예로, 수위측정센서(530)와 계측기(540)가 유선으로 연결될 경우, 케이블(30)에 의해 연결되며, 케이블(30)을 설치하기 위한 케이블설치부(550)를 더 포함한다.
이 케이블설치부(550)는 케이블설치홈(552)과 케이블설치판(554) 및 설치판고정부재(556)를 포함한다.
케이블설치홈(552)은 몸체부(100)에 형성되어 케이블(30)이 내설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케이블설치판(554)은 케이블설치홈(552)을 폐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설치판고정부재(556)는 케이블설치판(554)을 몸체부(100)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50)는 도 1과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축벽부(600)를 더 포함한다.
이 축벽부(600)는 산림 계류가를 따라 설치된다.
이러한 축벽부(600)는 축벽기초(610)와 축벽받침부(620), 석재부(630) 및 뒷채움석(640)을 포함한다.
축벽기초(610)는 상면이 계류 바닥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도록 지중에 설치된다.
그리고 축벽받침부(620)는 축벽기초(610)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석재부(630)는 축벽기초(610)의 상측으로 복수 적층되어 계류가의 법면을 막기 위해 구비된다.
뒷채움석(640)은 법면에 접하는 인접한 두 개의 석재부(630) 사이에 채워져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50)는 토사막이부(700)를 더 포함한다.
이 토사막이부(700)는 몸체부(100)의 상류 측에 구비되어 산림 계류를 따라 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토사막이부(700)는 토사막이기초(710)와 토사막이벽(720) 및 토사막이받침부(730)를 포함한다.
토사막이기초(710)는 산림 계류 지중의 신선암반(2)에 설치된다.
그리고 토사막이벽(720)은 계류를 막도록 토사막이기초(710)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토사막이받침부(730)는 토사막이기초(710)와 신선암반(2) 사이에 구비되어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토사막이벽(720)은 상류측면은 상하 직각면으로 형성되고, 하류측면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하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상류에서 쌓인 토사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토사막이부(700)는 토사막이밀폐부(740)를 더 포함한다.
이 토사막이밀폐부(740)는 토사막이벽(720)과 축벽부(600)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토사막이밀폐부(740)는 토사막이밀폐홈(742)과 토사막이밀폐판(744), 제1토사막이충진부(746) 및 제2토사막이충진부(748)를 포함한다.
토사막이밀폐홈(742)은 토사막이벽(720)에 형성된다.
그리고 토사막이밀폐판(744)은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타단부가 토사막이밀폐홈(742)에 삽입된다.
제1토사막이충진부(746)는 토사막이밀폐판(744)이 삽입된 토사막이밀폐홈(742)에 충진되어 토사막이밀폐판(744)을 밀폐고정시킨다.
또한 제2토사막이충진부(748)는 노출된 토사막이밀폐판(744)의 일단부와 축벽부(600) 사이에 충진된다.
이에, 계류가의 법면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계류가 외측으로 범람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는 내부가이드부(150)를 더 포함한다.
내부가이드부(150)는 몸체부(100) 내부로 흡수되는 물을 집수하여 산림 계류의 중앙부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내부가이드부(150)는 몸체부(100)의 유로(110)를 기준으로, 양측방향에 각각 구비되되, 중앙부로 갈수록 햐류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또한 내부가이드부(150)는 하류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산림 계류 중 몸체부(100)의 내부로 흡수되는 물을 계류 주변 지중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시켜 유로(110)로 가이드함에 따라, 산림 계류의 유량을 유지시킴은 물론, 주변으로 흘러 지반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산림 유량을 모을 수 있어 산림 계류 유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산림 계류는 수중에 위치된 몸체부(100)의 내부로 흡수되는 것과 계류 지중으로 유입되어 흐르는 것이 흡수되는 것을 포함함은 물론, 계류로 모이는 물 역시 몸체부(100)로 흡수된다.
이 흡수된 계류를 내부가이드부(150)가 유로(110)로 가이드함에 따라,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내부가이드부(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 물을 용이하게 가이드한다.
이와 같은,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50)에 대한 설치방법을 살펴보면, 위치설정단계(S10)와 굴착단계(S20), 사방댐설치단계(S30), 복토단계(S40) 및 유량측정부설치단계(S50)를 포함한다.
위치설정단계(S10)는 사방댐(10)을 설치하기 위한 산림 계류 주변을 조사하여 설치위치를 설정한다.
그리고 굴착단계(S20)는 설치위치의 산림 계류의 바닥면을 굴착하되, 신선암반(2)이 노출되도록 굴착한다.
사방댐설치단계(S30)는 노출된 신선암반(2)에 사방댐(10)을 설치한다.
또한 복토단계(S40)는 설치된 사방댐(10)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덮어 산림 계류를 복원시킨다.
유량측정부설치단계(S50)는 사방댐(10)에 유량측정부(500)를 설치한다.
사방댐설치단계(S30)는 몸체부타설단계(S31)와 차단벽타설단계(S32), 계류유입부타설단계(S33), 계류배출부타설단계(S34) 및 노치부 설치단계(S35)를 포함한다.
몸체부타설단계(S31)는 유로(110)가 형성되도록 신선암반(2)에 몸체부(100)를 설치한다.
그리고 차단벽타설단계(S32)는 몸체부(100)와 일체로 차단벽(200)을 설치한다.
계류유입부타설단계(S33)는 타설된 몸체부(100)의 상류측에 계류유입부(300)를 설치한다.
또한 계류배출부타설단계(S34)는 타설된 몸체부(100)의 하류측에 계류배출부(400)를 설치한다.
노치부 설치단계(S35)는 계류배출부타설단계(S34) 시, 상단부 중간부가 노출되도록 계류배출부(400)에 노치부(440)를 설치한다.
몸체부타설단계(S31)는 몸체부하단부타설단계(S311)와 몸체부상단부타설단계(S312) 및 보조배출부형성단계(S313)를 포함한다.
몸체부하단부타설단계(S311)는 유로(110)가 형성되도록 신선암반(2)에 몸체부(100)의 하단부를 설치한다.
그리고 몸체부상단부타설단계(S312)는 몸체부(100)의 하단부의 상측으로 상단부를 형성한다.
보조배출부형성단계(S313)는 몸체부상단부타설단계(S312) 시, 유로(110)를 보조하여 계류를 하류로 배출시키도록 유로(110)의 양측부에 보조배출부(120)를 형성한다.
또한 차단벽타설단계(S32)는 차단벽하단부타설단계(S321)와 차단벽상단부타설단계(S322)를 포함한다.
차단벽하단부타설단계(S321)는 몸체부(100) 하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신선암반(2)에 차단벽(200)의 하단부를 형성하되, 외측단부는 축벽부(600)를 지나 계류가를 가로막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차단벽상단부타설단계(S322)는 차단벽(200)의 상단부를 형성한다.
차단벽(200)의 상단부는 몸체부(100)의 상단부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에, 홍수나 장마 시, 늘어난 계류를 사방댐(10)의 유로(110)로 가이드하여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단벽타설단계(S32) 후,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100)의 하단부 및 차닥벽(200)의 하단부와 신선암반(2)이 타설되는 상류측 연결부분을 따라 누수방지부(130)를 형성하는 누수방지부설치단계(S36)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누수방지부(130)는 황토로, 몸체부(100)의 하단부 및 차닥벽(200)의 하단부와 신선암반(2)이 타설되는 연결부분을 따라 일정 높이와 두께로 메워지되, 상단부가 계류 바닥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계류유입부타설단계(S33)는 유입다짐단계(S331)와 계류유입받침부설치단계(S332), 계류유입몸체설치단계(S333), 계류유입턱설치단계(S334) 및 부유물차단부설치단계(S335)를 포함한다.
유입다짐단계(S331)는 굴착단계(S20)에서 노출된 신선암반(2) 상측으로 일정높이 복토하여 다진다.
그리고 계류유입받침부설치단계(S332)는 유입다짐단계(S331)에서 다져진 부분 상측으로 계류유입받침부(330)를 형성한다.
계류유입몸체설치단계(S333)는 상면이 유로(11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계류유입받침부(330)의 상측으로 계류유입몸체(310)를 타설한다.
또한 계류유입턱설치단계(S334)는 계류유입몸체(310)의 후단부와 양측단부에 계류유입턱(320)을 돌출 형성시키되, 양측단부는 몸체부(100)에 일체로 형성된다.
부유물차단부설치단계(S335)는 유입유도공간부(332)로 부유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계류유입턱(320)의 상단부를 따라 부유물차단부(340)를 설치한다.
계류배출부타설단계(S34)는 배출다짐단계(S341)와 계계류배출받침부설치단계(S342), 계류배출바닥설치단계(S343) 및 계류배출측벽설치단계(S344)를 포함한다.
배출다짐단계(S341)는 굴착단계(S20)에서 노출된 신선암반(2) 상측으로 일정높이 복토하여 다진다.
그리고 계계류배출받침부설치단계(S342)는 배출다짐단계(S341)에서 다져진 부분 상측으로 계류배출받침부(430)를 형성한다.
계류배출바닥설치단계(S343)는 상면이 유로(11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계류배출받침부(430)의 상측으로 계류배출바닥(410)을 타설한다.
또한 계류배출측벽설치단계(S344)는 계류배출바닥(410)의 양측단부에 계류배출측벽(420)을 형성시키되, 계류배출측벽(420)의 각 상측단부는 몸체부(100)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계류배출부타설단계(S34)는 계류배출밀폐부설치단계(S345)를 더 포함한다.
이 계류배출밀폐부설치단계(S345)는 계류배출바닥(410)과 계류배출측벽(420)이 연결되는 몸체부(100)의 해당 부분과의 사이에 계류배출밀폐부(450)를 더 설치한다.
또한 유량측정부설치단계(S50)는 유량측정설치공간부형성단계(S51)와 저수관설치단계(S52), 수위측정센서설치단계(S53) 및 계측기설치단계(S54)를 포함한다.
유량측정설치공간부형성단계(S51)는 몸체부(100)와 접하는 계류배출측벽(420)의 단부를 따라 유량측정설치공간부(510)를 형성한다.
그리고 저수관설치단계(S52)는 유량측정설치공간부(510)에 내부에 계류가 채워지는 저수관(520)을 설치하되, 저수관(520)의 하단부는 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이에, 저면부로 계류가 출입된다.
수위측정센서설치단계(S53)는 저수관(520)에 채워진 계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측정센서(530)를 설치한다.
또한 계측기설치단계(S54)는 수위측정센서(530)의 신호를 수신하여 계류의 수위를 계측하기 위한 계측기(540)를 설치한다.
유량측정부설치단계(S50)는 케이블설치단계(S55)를 더 포함한다.
이 케이블설치단계(S55)는 수위측정센서(530)와 계측기(540)가 케이블(30)로 연결될 경우, 실시되는 것으로, 케이블(30)을 몸체부(100)에 설치한다.
이러한 케이블설치단계(S55)는 케이블설치홈형성단계(S551)와 케이블거치단계(S552) 및 케이블설치판고정단계(S553)를 포함한다.
케이블설치홈형성단계(S551)는 몸체부(100)에 케이블(30)이 내설되기 위한 케이블설치홈(552)을 형성한다.
그리고 케이블거치단계(S552)는 케이블설치홈(552)에 케이블(30)을 위치시킨다.
케이블설치판고정단계(S553)는 케이블(30)이 거치된 케이블설치홈(552)을 폐쇄시키도록 케이블설치판(554)을 덮어 고정시키는 것으로, 복수의 설치판고정부재(556)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 설치판고정부재(556)는 고정나사나 볼트이며, 케이블설치판(554)과 몸체부(100) 사이는 밀폐되는 것이 당연하다.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갖는 사방댐 설치방법은 축벽설치단계(S60)를 더 포함한다.
이 축벽설치단계(S60)는 산림 계류가를 따라 설치되는 축벽부(600)를 설치한다.
이러한 축벽설치단계(S60)는 축벽굴착단계(S61)와 축벽받침부설치단계(S62), 축벽기초설치단계(S63), 석재부적층단계(S64) 및 뒷채움석설치단계(S65)를 포함한다.
축벽굴착단계(S61)는 산림 계류가를 따라 굴착한다.
그리고 축벽받침부설치단계(S62)는 축벽굴착단계(S61)에서 굴착된 지중에 축벽받침부(620)를 설치한다.
축벽기초설치단계(S63)는 상면이 계류 바닥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도록 축벽받침부(620) 상측에 축벽기초(610)를 설치한다.
또한 석재부적층단계(S64)는 계류가의 법면이 무너지는것을 막기 위해 축벽기초(610)의 상측으로 복수의 석재부(630)를 적층시킨다.
뒷채움석설치단계(S65)는 석재부적층단계(S64) 시, 인접한 두 개의 석재부(630) 사이에 뒷채움석(640)을 채워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갖는 사방댐 설치방법은 토사막이부설치단계(S70)를 더 포함한다.
이 토사막이부설치단계(S70)는 몸체부(100)의 상류 측에 토사막이부(700)를 설치하여 산림 계류를 따라 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토사막이부설치단계(S70)는 토사막이굴착단계(S71)와 토사막이받침부설치단계(S72), 토사막이기초설치단계(S73) 및 토사막이벽설치단계(S74)를 포함한다.
토사막이굴착단계(S71)는 산림 계류바닥을 굴착하여 신선암반(2)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토사막이받침부설치단계(S72)는 노출된 신선암반(2)에 토사막이받침부(730)를 타설한다.
토사막이기초설치단계(S73)는 토사막이받침부(730) 상측으로 토사막이기초(710)를 타설한다.
또한 토사막이벽설치단계(S74)는 계류를 막도록 토사막이기초(710)의 상측으로 토사막이벽(720)을 타설한다.
여기서, 토사막이부설치단계(S70)는 토사막이밀폐단계(S75)를 더 포함한다.
이 토사막이밀폐단계(S75)는 토사막이벽(720)과 축벽부(600)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토사막이밀폐단계(S75)는 토사막이밀폐홈형성단계(S751)와 토사막이밀폐판거치단계(S752), 제1토사막이밀폐단계(S753) 및 제2토사막이밀폐단계(S754)를 포함한다.
토사막이밀폐홈형성단계(S751)는 토사막이벽(720)에 토사막이밀폐홈(742)을 형성한다.
그리고 토사막이밀폐판거치단계(S752)는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토사막이밀폐판(744)의 타단부를 토사막이밀폐홈(742)에 삽입시킨다.
제1토사막이밀폐단계(S753)는 토사막이밀폐판(744)이 삽입된 토사막이밀폐홈(742)에 제1토사막이충진부(746)를 충진시켜 고정시킨다.
또한 제2토사막이밀폐단계(S754)는 노출된 토사막이밀폐판(744)의 일단부와 축벽부(600) 사이에 제2토사막이충진부(748)를 충진시켜 사이를 밀폐시킨다.
그리고 내부가이드부(150)는 몸체부하단부타설단계(S311) 전에 내부가이드 거치단계(S314)에서 거치되며, 몸체부하단부타설단계(S311) 시, 함께 타설된다.
10 : 사방댐 50 : 유량측정장치
100 : 몸체부 110 : 유로
120 : 보조배출부 130 : 누수방지부
140 : 물방석
200 : 차단벽 300 : 계류유입부
310 : 계류유입몸체 320 : 계류유입턱
330 : 계류유입받침부 340 : 부유물차단부
400 : 계류배출부 410 : 계류배출바닥
420 : 계류배출측벽 430 : 계류배출받침부
440 : 노치부 450 : 계류배출밀폐부
500 : 유량측정부 510 : 유량측정설치공간부
520 : 저수관 530 : 수위측정센서
540 : 계측기 550 : 케이블설치부
600 : 축벽부 700 : 토사막이부

Claims (10)

  1. 유로를 갖고, 산림 계류에 설치된 사방댐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로의 상류측에 구비되어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유로로 산림 계류를 유입시키도록 상기 사방댐에 설치되는 계류유입부;
    상기 유로의 하류측에 구비되어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산림 계류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사방댐에 설치되는 계류배출부; 및
    상기 유로를 통과한 산림 계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측정부;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유입부는,
    상기 유로의 상류에 위치되도록 상기 사방댐의 상류측에 구비되되, 상면이 계류 바닥과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계류유입몸체;
    상기 계류유입몸체의 상류측단부와 양측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유입유도공간부를 형성하는 계류유입턱; 및
    상기 계류유입몸체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계류 바닥 지중에 구비되는 계류유입받침부;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유입부는,
    상기 유입유도공간부로 부유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유물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배출부는,
    상면이 상기 사방댐의 유로와 동일하도록 산림 계류 바닥 지중에 설치되는 계류배출바닥;
    상기 사방댐의 유로의 측면에 연장되도록 상기 계류배출바닥에 설치되어 계류가 하류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공간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계류배출측벽;
    상기 계류배출바닥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계류 바닥 지중에 구비되는 계류배출받침부; 및
    상기 계류배출측벽의 하류측단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계류배출바닥에 돌출되어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계류가 넘어서 이동되는 노치부;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배출측벽과 계류배출바닥은,
    상기 사방댐과의 사이로 계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계류배출밀폐부;를 더 포함하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측정부는,
    상기 사방댐과 접하는 상기 계류배출측벽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유량측정설치공간부;
    상기 유량측정설치공간부에 구비되되, 하단부가 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계류가 채워지는 저수관;
    상기 저수관에 채워진 계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측정센서; 및
    상기 수위측정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계류의 수위를 계측하는 계측기;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림 계류가를 따라 설치되는 축벽부;를 더 포함하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류 측에 구비되어 산림 계류를 따라 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한 토사막이부;를 더 포함하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9. 유로를 갖고, 산림 계류에 설치된 사방댐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로의 상류측에 구비되어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유로로 산림 계류를 유입시키도록 상기 사방댐에 설치되는 계류유입부;
    상기 유로의 하류측에 구비되어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산림 계류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사방댐에 설치되는 계류배출부;
    상기 유로를 통과한 산림 계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류유입부는,
    상기 유로의 상류에 위치되도록 상기 사방댐의 상류측에 구비되되, 상면이 계류 바닥과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계류유입몸체;
    상기 계류유입몸체의 상류측단부와 양측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유입유도공간부를 형성하는 계류유입턱;
    상기 계류유입몸체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계류 바닥 지중에 구비되는 계류유입받침부; 및
    상기 유입유도공간부로 부유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유물차단부;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10. 유로를 갖고, 산림 계류에 설치된 사방댐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로의 상류측에 구비되어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유로로 산림 계류를 유입시키도록 상기 사방댐에 설치되는 계류유입부;
    상기 유로의 하류측에 구비되어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산림 계류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사방댐에 설치되는 계류배출부;
    상기 유로를 통과한 산림 계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류배출부는,
    상면이 상기 사방댐의 유로와 동일하도록 산림 계류 바닥 지중에 설치되는 계류배출바닥;
    상기 사방댐의 유로의 측면에 연장되도록 상기 계류배출바닥에 설치되어 계류가 하류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공간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계류배출측벽;
    상기 계류배출바닥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계류 바닥 지중에 구비되는 계류배출받침부;
    상기 계류배출측벽의 하류측단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계류배출바닥에 돌출되어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계류가 넘어서 이동되는 노치부; 및
    상기 사방댐과 접하는 상기 계류배출측벽과 계류배출바닥 사이로 계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계류배출밀폐부;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KR1020210084239A 2021-06-28 2021-06-28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KR102632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239A KR102632008B1 (ko) 2021-06-28 2021-06-28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239A KR102632008B1 (ko) 2021-06-28 2021-06-28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422A true KR20230001422A (ko) 2023-01-04
KR102632008B1 KR102632008B1 (ko) 2024-02-01

Family

ID=84925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239A KR102632008B1 (ko) 2021-06-28 2021-06-28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0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452Y1 (ko) * 2004-07-15 2004-10-16 박창기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
KR101841269B1 (ko) * 2017-06-07 2018-03-22 세명이엔시 (주) 지반굴착시 발생하는 지하수 및 토사 유출량 측정방법
KR101941560B1 (ko) * 2018-03-27 2019-01-30 대한민국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452Y1 (ko) * 2004-07-15 2004-10-16 박창기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
KR101841269B1 (ko) * 2017-06-07 2018-03-22 세명이엔시 (주) 지반굴착시 발생하는 지하수 및 토사 유출량 측정방법
KR101941560B1 (ko) * 2018-03-27 2019-01-30 대한민국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008B1 (ko)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dré et al. High velocity aerated flows on stepped chutes with macro-roughness elements
CN110670605A (zh) 山体道路边坡加固方法
KR101157794B1 (ko) 준설 퇴적물의 저류량 조절이 가능한 사방댐, 이를 이용한 유지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지관리 방법
HU226433B1 (en) Foundation slab of underground passage for road
CN214887086U (zh) 坡面泥石流导排式明洞结构
KR20230001422A (ko)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KR20230001430A (ko)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갖는 사방댐
KR102632011B1 (ko)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갖는 사방댐 설치방법
KR102632009B1 (ko)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
KR20110028213A (ko) 댐 마루 높임용 상부 구조물
KR102496880B1 (ko)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JP2717490B2 (ja) 単水路式魚道、呼び水式魚道及び全面式魚道
CN211200274U (zh) 一种装配式航道护岸结构
KR102496889B1 (ko)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KR100433653B1 (ko)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시공방법
CN109281286B (zh) 一种山区消能导流渠的施工方法
JP7073163B2 (ja) 盛土構造
CN108844588B (zh) 一种监测山区河沟水流量的复式矩形流量堰
CN218148496U (zh) 一种一体式带有过滤槽和排水沟的悬臂式挡墙
KR102496884B1 (ko)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KR102496873B1 (ko)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CN220665964U (zh) 一种沥青混凝土桥面铺装边缘带排水系统
JP7370147B2 (ja) 堰堤及び堰堤の構築方法
CN218060350U (zh) 一种用于城市道路稳定路堑边坡的坡脚裂隙水排水结构
CN217419689U (zh) 一种土体高边坡外扶壁式挡墙锚索加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