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452Y1 -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452Y1
KR200364452Y1 KR20-2004-0020210U KR20040020210U KR200364452Y1 KR 200364452 Y1 KR200364452 Y1 KR 200364452Y1 KR 20040020210 U KR20040020210 U KR 20040020210U KR 200364452 Y1 KR200364452 Y1 KR 2003644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bar
measuring
measurement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기
Original Assignee
박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기 filed Critical 박창기
Priority to KR20-2004-0020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4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4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G01F15/063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using electrica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저장소로 부터 기준수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여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33)가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배출통로(32)와;
상기 배출통로(32)의 일 측방에 배출되는 유체(33)를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측정공간(34)과;
상기 측정공간(34)으로 유체(33)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배출통로(32)와 측정공간(34)상간을 연통시키켜 형성하는 유입통로(35)를 포함하는 기준수로(Parsall Flume;31)에 설치되는 유량 측정장치(3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유량 측정장치(30)는, 상부에 구비되는 판상의 베이스(36)에 인디게이터와 연결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연결박스(37)와;
상기 베이스(36)의 하방으로 측정공간(34) 내부까지 연장되는 관체타입의 측정바(38)와;
상기 측정바(38)의 하단에 측정공간(34) 내부에 위치하여 배출되는 유량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40)를 내장하여 구비되는 측정자(41)와;
상기 측정바(38)의 중간위치에 구비되어 측정공간(34)의 상부에 형성되는 플랜지(43)와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44)을 가지는 고정판(45)과;
상기 고정판(45)의 중앙에는 측정바(38)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측정바홀(46)과;
상기 측정바홀(46)의 하방에 측정바(38)가 보다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보스(47)와;
상기 보스(47)에 구비하여 측정바(38)를 단속할 수 있는 조절볼트(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Pressure transducer type flow meter}
본 고안은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규모의 탱크나 저수조 등으로 부터 방류되는 유량을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측정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유량 측정장치는 탱크나, 저수조, 정화조 및 폐수처리장치 등에서 최종 배출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기준수로(Parsall Flume)를 통과하는 유량을 순간수위나, 순간유량, 적산유량 별로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도 이러한 목적으로 여러 종류의 유량 측정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중 대표적인 것이 플로트 타입과 초음파 타입이 있으며 이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로트 타입의 경우에는 이물질이 없는 유량을 측정할 경우에는 큰 문제는 없으나, 오,폐수와 같이 이물질이 많이 함유된 유량을 측정할 경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는, 플로트가 유량에 의하여 승,강하는 정도를 감지하여 측정하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하여 플로트가 걸림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측정할 오,폐수에 함유된 슬러지 등이 장기간 사용할 경우 플로트에 침적되어 플로트의 유동을 불가능하게한다.
상기와 같이 플로트의 유동(상,하방향으로 움직임)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기준수로를 통과하는 유량의 대,소에 관계 없이 일정한 위치를 고수하는 형태가 됨으로서 유량측정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초음파 타입의 경우에는 기준수로(Parsall Flume)에 설치되는 측정장치로 부터 배출되는 유면에 초음파를 쏘아 측정하기 때문에, 측정할 유량에 함유된 거품이나 와류현상 및 진동등에 의하여 유체 표면이 고르지 못할 경우에는 실제 유량보다 많거나 적게 측정하기 때문에 측정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유체 저장소로 부터 기준수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여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측정할 유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측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측정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데 가장 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유량 측정장치
31; 기준수로
34; 측정공간
38; 측정바
40; 압력센서
41; 측정자
45; 고정판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유량 측정에 사용되는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기준수로(Parsall Flume;31)의 배출통로(32)의 일 측방에 기준수로(31)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33)를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공간(34)을 형성한다.
상기 측정공간(34)으로의 유체(33) 유입은 배출통로(32)와 측정공간(34)상간을 연통시키켜 형성하는 유입통로(35)를 통하여 배출통로(32)로 배출되는 유체(33)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측정공간(34)에 장착되는 개선된 유량 측정장치(30)를 제공하여 보다 정확한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유량 측정장치(30)는, 상부에 구비되는 판상의 베이스(36)에 인디게이터와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박스(37)를 고정하고, 상기 베이스(36)의 하방으로는 측정공간(34) 내부까지 연장되는 관체타입의 측정바(38)를 연결한다.
상기 측정바(38)의 하단에는 측정공간(34)의 내부에 위치하여 배출되는 유량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센서(40)를 내장한 측정자(41)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센서(40)는 측정바(38)의 내부를 통하여 연결박스(37)와 와이어(42)로 연결하여 감지정보를 인디게이터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측정자(41)는 압력센서(40)의 교환이나 정비가 용이하도록 기밀재를 개재하여 나사결합에 의하여 개,폐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측정바(38)의 중간위치에는 측정공간(34)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43)와 체결하여 측정장치(30) 전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체결공(44)을 가지는 원판형상의 고정판(45)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판(45)의 중앙에는 측정바(38)가 삽입될 수 있도록 측정바홀(46)을 형성하고, 상기 측정바홀(46)의 하방에는 측정바(38)가 보다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스(47)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보스(47)에는 측정바(38)를 단속할 수 있는 조절볼트(48)를 구비하여 측정공간(34)에 삽입되는 측정자(41)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고정판(45)을 이용하여 유량 측정장치(30)를 기준수로(31)에 구비되는 측정공간(34)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43)에 체결함으로서 측정 준비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판(45)을 이용하여 유량 측정장치(30)를 설치하면 측정바(38)의 하방에 구비되는 측정자(41)가 측정공간(34)에 위치하게 되고, 측정할 유체(33)가 기준수로(31)로 배출됨으로서 측정이 이루어진다.
즉, 기준수로(31)로 배출되는 유체(33)가 기준수로(31)에 형성된 유입통로(35)를 통하여 측정공간(34)으로 유입되어 기준수로(31)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측정공간(34)으로 유입되는 유체(33)의 양에 의하여 압력이 달라지게 되고, 이러한 압력상태를 측정자(41)의 내부에 구비되는 압력센서(40)가 감지하여 인디게이터에 전송함으로서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준수로(31)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33)의 양이 평균적으로 많고 적음에 따라 고정판(45)의 하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보스(47)에 구비되는 조절볼트(48)를 이용하여 측정자(41)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유체(33)의 수위에 대응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유량 측정장치(30)는 실제 배출되는 유체(33)의 양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여 측정함으로서 유체의 종류나 오염정도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유체저장소로 부터 기준수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여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장치를 제공하여 측정할 유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측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측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Claims (1)

  1. 유체(33)가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배출통로(32)와;
    상기 배출통로(32)의 일 측방에 배출되는 유체(33)를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측정공간(34)과;
    상기 측정공간(34)으로 유체(33)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배출통로(32)와 측정공간(34)상간을 연통시키켜 형성하는 유입통로(35)를 포함하는 기준수로(Parsall Flume;31)에 설치되는 유량 측정장치(3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유량 측정장치(30)는, 상부에 구비되는 판상의 베이스(36)에 인디게이터와 연결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연결박스(37)와;
    상기 베이스(36)의 하방으로 측정공간(34) 내부까지 연장되는 관체타입의 측정바(38)와;
    상기 측정바(38)의 하단에 측정공간(34) 내부에 위치하여 배출되는 유량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40)를 내장하여 구비되는 측정자(41)와;
    상기 측정바(38)의 중간위치에 구비되어 측정공간(34)의 상부에 형성되는 플랜지(43)와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44)을 가지는 고정판(45)과;
    상기 고정판(45)의 중앙에는 측정바(38)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측정바홀(46)과;
    상기 측정바홀(46)의 하방에 측정바(38)가 보다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보스(47)와;
    상기 보스(47)에 구비하여 측정바(38)를 단속할 수 있는 조절볼트(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
KR20-2004-0020210U 2004-07-15 2004-07-15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 KR2003644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210U KR200364452Y1 (ko) 2004-07-15 2004-07-15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210U KR200364452Y1 (ko) 2004-07-15 2004-07-15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452Y1 true KR200364452Y1 (ko) 2004-10-16

Family

ID=4943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210U KR200364452Y1 (ko) 2004-07-15 2004-07-15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45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129B1 (ko) 2010-04-30 2011-08-2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 지표유출 유속 유량 측정 장치 및 그 모니터링 장치
KR20220067420A (ko) * 2020-11-17 2022-05-24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KR20220067425A (ko) * 2020-11-17 2022-05-24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KR20230001422A (ko) * 2021-06-28 2023-01-04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129B1 (ko) 2010-04-30 2011-08-2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 지표유출 유속 유량 측정 장치 및 그 모니터링 장치
KR20220067420A (ko) * 2020-11-17 2022-05-24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KR20220067425A (ko) * 2020-11-17 2022-05-24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KR102496873B1 (ko) * 2020-11-17 2023-02-07 대한민국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KR102496889B1 (ko) * 2020-11-17 2023-02-08 대한민국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KR20230001422A (ko) * 2021-06-28 2023-01-04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KR102632008B1 (ko) * 2021-06-28 2024-02-01 대한민국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0473B1 (en) Mass velocity sensor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visual verification of fluid velocity
KR101350414B1 (ko) 사이펀의 원리를 이용한 누설감지 장치
US6142017A (en) Hydrostatic pressure equalizer apparatus and system
KR200364452Y1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
KR20070022838A (ko) 하수 관거 유량 측정 시스템
WO2006061186A3 (de) Füllstands-messvorrichtung
KR101833543B1 (ko) 저탄소에 부합하는 비만관 하수 유량 측정 장치
KR20100035744A (ko) 수위 측정 장치
KR101310447B1 (ko) 유량측정장치
US5852240A (en) Portable flow measuring device
KR100919767B1 (ko) 초음파 다회선 유량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단수 시공방법
US20070107491A1 (en) Measuring device for the measurement of dewatering rates of paper machines
KR200425372Y1 (ko) 역(逆)사이펀 원리를 이용한 개수로(開水路)의유량측정장치
CN201144692Y (zh) 煤层气井井口质量流量计
US20020092362A1 (en) Flow-metering and sampling catch basin insert
US4671119A (en) Flow measuring device for partially filled conduits
CN208059957U (zh) 超声波明渠流量计
GB2400676A (en) A flow measuring apparatus including a weir with an integral nozzle
CN102704875A (zh) 一种新型非接触式泥浆出口流量仪
JP2006313079A (ja) レベル測定装置
CN219084188U (zh) 一种液位检测装置
WO1999015861A1 (en) Apparatus for the measurement of liquid flow
KR100525789B1 (ko) 시계 저울 유량계
JP2006275897A (ja) 水栓の吐水量調整方法および開放型流量計
CN213120519U (zh) 一种配水堰门水平测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