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889B1 -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6889B1 KR102496889B1 KR1020200154100A KR20200154100A KR102496889B1 KR 102496889 B1 KR102496889 B1 KR 102496889B1 KR 1020200154100 A KR1020200154100 A KR 1020200154100A KR 20200154100 A KR20200154100 A KR 20200154100A KR 102496889 B1 KR102496889 B1 KR 1024968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oring
- forest
- notch
- pouring
- measur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0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02—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wherein the flow is in an open channe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00—Sinking shafts
- E21D1/03—Sinking shafts mechanically, e.g. by loading shovels or loading buckets, scraping devices, conveying screw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28—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stationary measuring chambers having constant volume during measureme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량측정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산림 계류 주변을 조사하여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단계, 상기 설치위치의 산림 계류의 바닥면을 굴착하되, 신선암반이 노출되도록 굴착하는 굴착단계, 노출된 상기 신선암반에 상기 유량측정장치를 일체로 타설하기 위한 타설단계, 및 상기 타설된 유량측정장치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덮어 상기 산림 계류를 복원시키는 복토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산림에 비 올때는 물론, 비 오지 않을때에도 계류의 수량을 일정량 유지시킴은 물론,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속을 감속시켜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산림에 비 올때는 물론, 비 오지 않을때에도 계류의 수량을 일정량 유지시킴은 물론,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속을 감속시켜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측정장치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림 계류를 저장시키되,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하류로 이동됨에 따라, 일정 수량을 유지시킴은 물론, 월류되는 량을 측정할 수 있어 정밀한 측정에 의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소하천의 유량측정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산림 수자원의 유량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여기서, 산림의 수자원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중 현재 전국의 산촌에서 진행되고 있는 숲 가꾸기 등 수원 함양 사업 추진 정책을 통해 효율적인 수원함양림의 조성 및 관리지침을 제공하기 위하여 산림수자원 특성 구명 및 데이터 베이스(DB)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때문에 산림수자원 특성 구명 및 데이터 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산림유량 관측 시설을 설치하여 수자원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역 특성에 따른 유출량을 산출하고 있다.
종래 간이 유량측정 장치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9034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유수로패널과 위어판을 설치하여 월류되는 순간의 수위를 측정하여 용이한 관리를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간이 유량측정 장치는 노치가 형성된 보가 설치된 곳에서만 사용가능한 것으로, 해당 지역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이 떨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간이 유량측정 장치는 장기간 설치되되, 보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 아님에 따라, 증가한 유량에 의해 위치가 변동되거나 유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어 수위를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산림의 경우, 계류의 경사가 급해 비가와도 급속히 하류로 이동됨에 따라, 설치된 유량측정 장치의 유실 가능성이 더욱 높으며, 계류의 주변 및 지중으로 흐르는 물이 많아 간이 유량측정 장치를 견고하게 설치하더라도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풍수기는 물론, 갈수기에도 산림의 계류에 대한 수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유량측정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산림 계류 주변을 조사하여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단계, 상기 설치위치의 산림 계류의 바닥면을 굴착하되, 신선암반이 노출되도록 굴착하는 굴착단계, 노출된 상기 신선암반에 상기 유량측정장치를 일체로 타설하기 위한 타설단계, 및 상기 타설된 유량측정장치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덮어 상기 산림 계류를 복원시키는 복토단계,를 포함하여 산림에 비 올때는 물론, 비 오지 않을때에도 계류의 수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유량측정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산림 계류 주변을 조사하여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단계, 상기 설치위치의 산림 계류의 바닥면을 굴착하되, 신선암반이 노출되도록 굴착하는 굴착단계, 노출된 상기 신선암반에 상기 유량측정장치를 일체로 타설하기 위한 타설단계, 및 상기 타설된 유량측정장치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덮어 상기 산림 계류를 복원시키는 복토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량측정장치는, 산림 계류가 통과되여 일정량 집수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계류를 차단시켜 상기 몸체부의 유로로 계류를 유도하기 위한 차단벽, 상기 몸체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계류가 넘어서 이동되는 노치부,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계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측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계류 지중의 신선암반에 타설되고, 상기 유로는 하류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계류가 임시저장되며, 상기 유로로 계류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 상기 유로에 저수된 계류를 하류쪽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계류에 의해 계류바닥에 소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방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입구는, 유입저면의 높이가 상기 유로의 저면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두 개의 유입측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는, 대칭되게 경사진 두 개의 배출측면의 하단부가 중앙부에서 상호 접하여 배출저면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저면의 높이는 상기 유로의 저면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유입구의 저면보다 낮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타설단계는, 상기 신선암반에 몸체부의 하단부를 타설하는 하단부타설단계, 상기 하단부타설단계 시, 하단부가 타설되도록 상기 노치부를 설치하는 노치부 설치단계,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의 상측으로 상기 유로를 갖는 상단부를 타설하되, 상기 노치부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상단부를 타설하는 상단부타설단계, 및 상기 계류를 차단시켜 상기 몸체부의 유로로 계류를 유도하기 위한 차단벽을 타설하는 차단벽타설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량측정부는, 상기 유로에 저수된 계류가 유입되어 채워지도록 상기 몸체부의 측벽에 형성되는 정수정, 상기 정수정으로 계류가 출입되도록 상기 유로의 저면과 인접한 측벽에 형성되는 제1정수출입구, 상기 제1정수출입구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정수정으로 계류가 출입되도록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제2정수출입구, 및 상기 정수정에 유입된 계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타설단계에서 상기 유량측정부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정수정의 상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유로에 저수된 계류를 하류쪽으로 빼기 위한 수발부, 및 상기 수발부에 의해 배출되는 계류가 유입되어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외수위계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타설단계에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발부는, 상기 유로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수발공, 및 상기 수발공을 개폐하기 위한 수발개폐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수위계측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발부에서 배출되는 계류가 채워지는 외수위저수관, 상기 외수위저수관을 보호하도록 감싸되, 외수위저수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외수위보호관, 상기 외수위보호관의 노출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외수위저수관에 저수된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외수위표시부, 상기 외수위저수관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외수위덮개, 상기 수발부로 배출되는 계류를 상기 외수위저수관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외수위유입밸브, 및 상기 외수위저수관에 채워진 계류를 배출시키기 위한 외수위배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노치부는, 상기 배출구에 일정 높이로 돌출형성되게 상기 몸체부에 타설되는 노치, 및 돌출된 상기 노치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가 접하는 부분을 밀폐시키도록 노치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타설단계 후, 상기 노치밀폐부를 형성하는 노치밀폐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노치의 상단부 후단부를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노치를 넘어 흐르는 계류를 하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노치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노치가이드의 경사각도는 노치 상면을 기준으로 60ㅀ이다.
그리고 상기 노치가이드는 노치 두께의 80%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로 부유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유물차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타설단계 후,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부유물차단부는, 상기 배출구의 후측으로 구비되어 부유물차단프레임, 및 상기 부유물차단프레임에 구비되어 부유물이 걸리기 위한 부유물차단망,을 포함한다.
또한, 산림 계류가를 따라 설치되는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굴착단계와 타설단계 사이에 측벽을 설치하는 측벽설치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신선암반에 타설된 상기 몸체부의 상류 하단부를 따라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누수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단부타설단계후, 신선암반에 타설된 몸체부의 하단부 상류 경계선을 따라 누수방지부를 형성하는 누수방지부설치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누수방지부는, 진흙으로 충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내부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단부타설단계전에 상기 내부가이드를 거치시키기 위한 내부가이드 거치단계,를 더 포함하며, 하단부타설단계 시, 함께 타설된다.
또한, 상기 차단벽은, 상기 몸체부의 양측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계류가 흐르는 방향과 직교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벽은, 상기 몸체부의 양측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계류를 상기 유로로 가이드하도록 계류 흐르는 방향과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유량측정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산림 계류 주변을 조사하여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단계, 상기 설치위치의 산림 계류의 바닥면을 굴착하되, 신선암반이 노출되도록 굴착하는 굴착단계, 노출된 상기 신선암반에 상기 유량측정장치를 일체로 타설하기 위한 타설단계, 및 상기 타설된 유량측정장치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덮어 상기 산림 계류를 복원시키는 복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설단계는, 상기 신선암반에 몸체부의 하단부를 타설하는 하단부타설단계, 상기 하단부타설단계 시, 하단부가 타설되도록 상기 노치부를 설치하는 노치부 설치단계,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의 상측으로 상기 유로를 갖는 상단부를 타설하되, 상기 노치부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상단부를 타설하는 상단부타설단계, 및 상기 계류를 차단시켜 상기 몸체부의 유로로 계류를 유도하기 위한 차단벽을 타설하는 차단벽타설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유량측정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산림 계류 주변을 조사하여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단계, 상기 설치위치의 산림 계류의 바닥면을 굴착하되, 신선암반이 노출되도록 굴착하는 굴착단계, 노출된 상기 신선암반에 상기 유량측정장치를 일체로 타설하기 위한 타설단계, 및 상기 타설된 유량측정장치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덮어 상기 산림 계류를 복원시키는 복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설단계는, 상기 신선암반에 몸체부의 하단부를 타설하는 하단부타설단계, 상기 하단부타설단계 시, 하단부가 타설되도록 상기 노치부를 설치하는 노치부 설치단계,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의 상측으로 상기 유로를 갖는 상단부를 타설하되, 상기 노치부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상단부를 타설하는 상단부타설단계, 상기 노치밀폐부를 형성하는 노치밀폐부 형성단계, 및 상기 계류를 차단시켜 상기 몸체부의 유로로 계류를 유도하기 위한 차단벽을 타설하는 차단벽타설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에 의하면, 산림에 비 올때는 물론, 비 오지 않을때에도 계류의 수량을 일정량 유지시킴은 물론,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속을 감속시켜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측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설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수위계측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차단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치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가이드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측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설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수위계측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차단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치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가이드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측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설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수위계측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차단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치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가이드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은 위치설정단계(S10)와 굴착단계(S20), 타설단계(S30) 및 복토단계(S40)를 포함한다.
위치설정단계(S10)는 유량측정장치(10)를 설치하기 위한 산림 계류 주변을 조사하여 설치위치를 설정한다.
그리고 굴착단계(S20)는 위치설정단계(S10)에서 결정된 설치위치의 산림 계류의 바닥면을 굴착하되, 신선암반(2)이 노출되도록 굴착한다.
타설단계(S30)는 노출된 신선암반(2)에 유량측정장치(10)를 타설한다.
또한 복토단계(S40)는 타설된 유량측정장치(10)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덮어 산림 계류를 복원시킨다.
이러한 집수방식의 산림유량 측정장치의 설치방법에 의하면, 고경사에 의한 빠른 유속을 방지하여 토사 등의 유실을 방지함은 물론, 산림 계류와 계류 지중으로 흐르는 물을 일정수위로 유지시킬 수 있어 수자원 확보와 유량 등의 측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10)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와 차단벽(200), 노치부(300) 및 유량측정부(40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산림 계류가 통과되도록 유로(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차단벽(200)은 계류를 차단시켜 몸체부(100)의 유로(102)로 계류를 유도하기 위해 구비된다.
노치부(300)는 몸체부(100)의 유로(102) 저면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계류가 넘어서 이동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유량측정부(400)는 몸체부(100)에 구비되어 계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산림유량 측정시스템에 의하면, 산림 계류의 수위를 일정량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우천 시, 계류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에, 중류나 하류에 대한 수위와 유속 등을 제어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이를 위한, 몸체부(1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계류 지중의 신선암반에 타설되는 것으로, 설치하고자하는 계류 바닥을 굴착하되, 암반이 완전히 노출되도록 굴착한 후, 타설함에 따라, 일체로 제작된다.
여기서, 유로(102)는 하류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계류가 임시저장된다.
이를 위해, 유입구(110)와 배출구(120)가 구비되어 계류의 일정 수위까지 저장시켜 수위를 조절한다.
유입구(110)는 유로(102)로 계류를 유입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배출구(120)는 유로(102)에 저장된 계류를 하류쪽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유입구(110)는 유입저면(112)의 높이가 유로(102)의 저면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두 개의 유입측면(114)이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배출구(120)는 대칭되게 경사진 두 개의 배출측면(124)의 하단부가 중앙부에서 상호 접하여 배출저면(122)을 형성하고, 배출저면(122)의 높이는 유로(102)의 저면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유입구(110)의 유입저면(112)보다 낮게 위치된다.
이에, 유입구(110)에서 계류의 수위가 유지되며, 배출구(120)에서는 유입구(110)를 넘어온 계류가 일정 수위로 조절되며 배출시킬 수 있다.
유량측정부(400)는 이 유로(102)에서 유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몸체부(100)는 물방석(130)을 더 포함하며, 물방석(130)은 배출구(120)의 하류쪽에 위치되도록 몸체부(100)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 물방석(130)은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계류에 의해 계류바닥에 소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10)의 타설단계(S3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타설단계(S31)와 노치부 설치단계(S32), 상단부타설단계(S33) 및 차단벽타설단계(S34)를 포함한다.
하단부타설단계(S31)는 굴착되어 노출된 신선암반(2)에 몸체부(100)의 하단부를 타설한다.
그리고 노치부 설치단계(S32)는 하단부타설단계(S31) 시, 하단부가 타설되도록 노치부(300)를 설치한다.
상단부타설단계(S33)는 몸체부(100)의 하단부의 상측으로 유로(102)를 갖는 상단부를 타설하되, 노치부(300)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상단부를 타설한다.
또한 차단벽타설단계(S34)는 산림 계류를 차단시켜 몸체부(100)의 유로(102)로 계류를 유도하기 위한 차단벽(200)을 타설한다.
이에, 산림 계류를 몸체부(100)의 유로(102)로 집수하여 일정 수위로 유지시키며, 일정 수위를 넘을 경우, 노치부(300)를 넘어 하류로 흐른다.
그리고 유량측정부(400)는 정수정(410)과 제1정수출입구(420), 제2정수출입구(430) 및 측정부(440)를 포함한다.
정수정(410)은 유로(102)에 저수된 계류가 유입되어 채워지도록 몸체부(100)의 측벽에 형성된다.
또한 제1정수출입구(420)는 정수정(410)으로 계류가 출입되도록 유로(102)의 저면과 인접한 측벽에 형성된다.
제2정수출입구(430)는 제1정수출입구(420)의 상측에 위치되어 정수정(410)으로 계류가 출입되도록 측벽에 형성된다.
그리고 측정부(440)는 정수정(410)에 유입된 계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유량측정부(400)는 상단부타설단계(S33)에서 설치된다.
여기서, 제1정수출입구(420)는 지름이 유로(102)의 저면과 접하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정수출입구(430)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제1정수출입구(420)를 통해 유로(102)에 저장되는 계류가 유입되되, 저장된 수위가 제2정수출입구(43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경우, 정수정(410)으로 유입된 계류는 제2정수출입구(430)를 통해 다시 유로(102)로 이동된다.
그리고 저장된 수위가 제2정수출입구(430)의 높이보다 높을 경우, 제1정수출입구(420)를 통해 계류가 유입됨은 물론, 제2정수출입구(430)를 통해 계류가 출입되어 정수정(410)으로 유입된 계류의 수위를 유로(102)의 수위와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정수정(410)의 상단부는 몸체부(10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돌출된 높이는 몸체부(100) 상단부보다 70 ~ 90cm 높게 형성되되, 80cm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부(100)는 유로(102)에 저수된 계류를 하류쪽으로 빼기 위한 수발부(140)를 더 포함한다.
이 수발부(140)는 수발공(142)과 수발개폐부(144)를 포함한다.
수발공(142)은 유로(102)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수발개폐부(144)는 수발공(142)을 개폐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산림유량 측정시스템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수위계측부(500)를 더 포함한다.
외수위계측부(500)는 수발부(140)에 의해 배출되는 계류가 유입되어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외수위계측부(500)는 외수위저수관(510)과 외수위보호관(520), 외수위표시부(530), 외수위덮개(540), 외수위유입밸브(550) 및 외수위배출부(560)를 포함한다.
외수위저수관(51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수발부(140)에서 배출되는 계류가 채워진다.
그리고 외수위보호관(520)은 외수위저수관(510)을 보호하도록 감싸되, 외수위저수관(51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외수위표시부(530)는 외수위보호관(520)의 노출부위에 구비되어 외수위저수관(510)에 저수된 수위를 확인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외수위덮개(540)는 외수위저수관(510)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외수위유입밸브(550)는 수발부(140)로 배출되는 계류를 외수위저수관(510)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외수위배출부(560)는 외수위저수관(510)에 채워진 계류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는, 유량측정부(400)를 보조하여 수위와 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구(120)로 부유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유물차단부(6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부유물차단부(600)는 상단부타설단계(S33) 후 설치된다.
이 부유물차단부(600)는 부유물차단프레임(610)과 부유물차단망(620)을 포함한다.
부유물차단프레임(610)은 배출구(120)의 후측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계류의 상류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부유물차단망(620)은 부유물차단프레임(610)에 구비되어 부유물이 걸리기 위해 구비된다.
이 부유물차단망(620)은 부유물차단프레임(6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하측단에도 형성되어 수중으로 이동되는 부유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도 있다.
이에, 부유물이 유량측정부(400)를 막아 유량 측정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차단벽(200)은 몸체부(100)의 양측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계류가 흐르는 방향과 직교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차단벽(200)은 몸체부(100)의 양측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계류를 유로(102)로 가이드하도록 계류 흐르는 방향과 경사지게 형성된다.
각 실시 예의 차단벽(200)은 해당 계류의 수량이나 폭 등에 의해 가장 좋은 방법으로 설치됨에 당연하다.
그리고 산림 계류가를 따라 측벽(3)을 설치하여 계류가 몸체부(100)로 집수시켜 정밀한 수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실시 예의 산림유량 측정시스템의 노치부(300)는 도 7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노치(310)와 노치밀폐부(320)를 포함한다.
노치(310)는 배출구(120)에 일정 높이로 돌출형성되게 몸체부(100)의 내부에 타설되는 것으로, 해당 몸체부(100)의 설치 시, 함께 설치된다.
그리고 노치밀폐부(320)는 돌출된 노치(310)와 몸체부(100)가 접하는 부분을 밀폐시킨다.
이 노치밀폐부(320)는 상단부타설단계(S33) 후, 노치밀폐부 형성단계(S35)에서 형성된다.
이 노치밀폐부(320)는 에폭시를 이용하여 혹시 몸체부(100)에 침투된 물이 하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노치부(300)는 노치가이드(330)를 더 포함한다.
이 노치가이드(330)는 노치(310)의 상단부 후단부를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노치(310)를 넘어 흐르는 계류를 하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노치가이드(330)의 경사각도는 노치(310) 상면을 기준으로 60ㅀ로 형성되며, 노치(310) 두께의 80%로 형성된다.
이에, 노치부(300)를 넘어 이동되는 계류에 의해 물방석(13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실시 예의 산림유량 측정시스템은 누수방지부(700)를 더 포함한다.
이 누수방지부(700)는 신선암반(2)에 타설된 몸체부(100)의 상류 하단부를 따라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누수방지부(700)는 진흙으로 충진되어 내부에 기포층을 최소화시켜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는, 각 유량측정부(400)를 통해 해당 계류의 정밀한 수량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누수방지부(700)는 하단부타설단계(S31) 후, 누수방지부설치단계(S36)에서 형성된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는 내부가이드부(150)를 더 포함한다.
내부가이드부(150)는 몸체부(100) 내부로 흡수되는 물을 집수하여 산림 계류의 중앙부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내부가이드부(150)는 몸체부(10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방향에 각각 구비되되, 중앙부로 갈수록 햐류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이에, 산림 계류 중 몸체부(100)의 내부로 흡수되는 물을 계류 주변 지중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시켜 계류로 가이드함에 따라, 산림 계류의 유량을 유지시킴은 물론, 주변으로 흘러 지반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산림 계류는 수중에 위치된 몸체부(100)의 내부로 흡수되는 것과 계류 지중으로 유입되어 흐르는 것이 흡수되는 것을 포함함은 물론, 계류로 모이는 물 역시 몸체부(100)로 흡수된다.
이와 같은, 내부가이드부(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 물을 용이하게 가이드한다.
이러한 내부가이드부(150)는 하단부타설단계(S31) 전에 내부가이드 거치단계(S37)에서 거치되며, 하단부타설단계(S31) 시, 함께 타설된다.
100 : 몸체부 200 : 차단벽
300 : 노치부 310 : 노치
320 : 노치밀폐부 330 : 노치가이드
400 : 유량측정부 410 : 정수정
420 : 제1정수출입구 430 : 제2정수출입구
440 : 측정부 500 : 외수위계측부
510 : 외수위저수관 520 : 외수위보호관
530 : 외수위표시부 540 : 외수위덮개
550 : 외수위유입밸브 560 : 외수위배출부
600 : 부유물차단부
300 : 노치부 310 : 노치
320 : 노치밀폐부 330 : 노치가이드
400 : 유량측정부 410 : 정수정
420 : 제1정수출입구 430 : 제2정수출입구
440 : 측정부 500 : 외수위계측부
510 : 외수위저수관 520 : 외수위보호관
530 : 외수위표시부 540 : 외수위덮개
550 : 외수위유입밸브 560 : 외수위배출부
600 : 부유물차단부
Claims (10)
- 유량측정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산림 계류 주변을 조사하여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단계;
상기 설치위치의 산림 계류의 바닥면을 굴착하되, 신선암반이 노출되도록 굴착하는 굴착단계;
노출된 상기 신선암반에 상기 유량측정장치를 타설하기 위한 타설단계; 및
상기 타설된 유량측정장치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덮어 상기 산림 계류를 복원시키는 복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측정장치는,
산림 계류가 통과되여 일정량 집수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계류를 차단시켜 상기 몸체부의 유로로 계류를 유도하기 위한 차단벽;
상기 몸체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계류가 넘어서 이동되는 노치부;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계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계류 지중의 신선암반에 타설되고,
상기 유로는 하류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계류가 임시저장되며,
상기 유로로 계류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
상기 유로에 저수된 계류를 하류쪽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계류에 의해 계류바닥에 소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방석;을 포함하며,
상기 타설단계는,
상기 신선암반에 몸체부의 하단부를 타설하는 하단부타설단계;
상기 하단부타설단계 시, 하단부가 타설되도록 상기 노치부를 설치하는 노치부 설치단계;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의 상측으로 상기 유로를 갖는 상단부를 타설하되, 상기 노치부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상단부를 타설하는 상단부타설단계; 및
상기 계류를 차단시켜 상기 몸체부의 유로로 계류를 유도하기 위한 차단벽을 타설하는 차단벽타설단계;를 포함하는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측정부는,
상기 유로에 저수된 계류가 유입되어 채워지도록 상기 몸체부의 측벽에 형성되는 정수정;
상기 정수정으로 계류가 출입되도록 상기 유로의 저면과 인접한 측벽에 형성되는 제1정수출입구;
상기 제1정수출입구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정수정으로 계류가 출입되도록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제2정수출입구; 및
상기 정수정에 유입된 계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타설단계에서 상기 유량측정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유로에 저수된 계류를 하류쪽으로 빼기 위한 수발부; 및
상기 수발부에 의해 배출되는 계류가 유입되어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외수위계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타설단계에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는,
상기 배출구에 일정 높이로 돌출형성되게 상기 몸체부에 타설되는 노치; 및
돌출된 상기 노치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가 접하는 부분을 밀폐시키도록 노치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타설단계 후, 상기 노치밀폐부를 형성하는 노치밀폐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암반에 타설된 상기 몸체부의 상류 하단부를 따라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누수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단부타설단계후,
신선암반에 타설된 몸체부의 하단부 상류 경계선을 따라 누수방지부를 형성하는 누수방지부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 유량측정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산림 계류 주변을 조사하여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단계;
상기 설치위치의 산림 계류의 바닥면을 굴착하되, 신선암반이 노출되도록 굴착하는 굴착단계;
노출된 상기 신선암반에 상기 유량측정장치를 일체로 타설하기 위한 타설단계; 및
상기 타설된 유량측정장치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덮어 상기 산림 계류를 복원시키는 복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설단계는,
상기 신선암반에 몸체부의 하단부를 타설하는 하단부타설단계;
상기 하단부타설단계 시, 하단부가 타설되도록 노치부를 설치하는 노치부 설치단계;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의 상측으로 상기 유로를 갖는 상단부를 타설하되, 상기 노치부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상단부를 타설하는 상단부타설단계; 및
상기 계류를 차단시켜 상기 몸체부의 유로로 계류를 유도하기 위한 차단벽을 타설하는 차단벽타설단계;를 포함하는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 유량측정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산림 계류 주변을 조사하여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단계;
상기 설치위치의 산림 계류의 바닥면을 굴착하되, 신선암반이 노출되도록 굴착하는 굴착단계;
노출된 상기 신선암반에 상기 유량측정장치를 일체로 타설하기 위한 타설단계; 및
상기 타설된 유량측정장치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덮어 상기 산림 계류를 복원시키는 복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설단계는,
상기 신선암반에 몸체부의 하단부를 타설하는 하단부타설단계;
상기 하단부타설단계 시, 하단부가 타설되도록 노치부를 설치하는 노치부 설치단계;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의 상측으로 상기 유로를 갖는 상단부를 타설하되, 상기 노치부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상단부를 타설하는 상단부타설단계;
상기 노치밀폐부를 형성하는 노치밀폐부 형성단계; 및
상기 계류를 차단시켜 상기 몸체부의 유로로 계류를 유도하기 위한 차단벽을 타설하는 차단벽타설단계;를 포함하는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4100A KR102496889B1 (ko) | 2020-11-17 | 2020-11-17 |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4100A KR102496889B1 (ko) | 2020-11-17 | 2020-11-17 |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7425A KR20220067425A (ko) | 2022-05-24 |
KR102496889B1 true KR102496889B1 (ko) | 2023-02-08 |
Family
ID=81806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4100A KR102496889B1 (ko) | 2020-11-17 | 2020-11-17 |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6889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4452Y1 (ko) * | 2004-07-15 | 2004-10-16 | 박창기 |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1014B1 (ko) * | 2010-01-15 | 2012-08-08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소수력 발전 기능을 갖는 사방댐 |
KR101632049B1 (ko) * | 2014-03-04 | 2016-06-20 | 변찬우 | 산발식 어도를 갖는 자연형 어도보 겸용 습지용 유지용수 공급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을 갖는 하천 |
-
2020
- 2020-11-17 KR KR1020200154100A patent/KR1024968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4452Y1 (ko) * | 2004-07-15 | 2004-10-16 | 박창기 |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7425A (ko) | 2022-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68328B1 (ko) | 지하 저수조 | |
KR101959856B1 (ko) | 빗물저류조를 활용한 강우시 토양침투율 증대 시스템 | |
CN208899603U (zh) | 一种海绵城市建设模式下的雨污废三管合一排水系统 | |
CN102079549B (zh) | 一种垃圾填埋场污水调节池的覆盖系统的湿法施工方法 | |
KR102496889B1 (ko) |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 |
CN107142858B (zh) | 一种季节性浸水路基内部单向排水系统 | |
KR20080112531A (ko) | 빗물 저장 탱크 | |
IT201800005132A1 (it) | Sistema di intercettamento e raccolta di rifiuti e detriti in acqua | |
KR102496884B1 (ko) |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 |
KR102496880B1 (ko) |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 |
KR102496873B1 (ko) |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 |
JP2008115545A (ja) | 河川流量平準化方法 | |
KR101748197B1 (ko) |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 | |
Reinhart et al. | Stream-gaging stations for research on small watersheds | |
KR102632011B1 (ko) |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갖는 사방댐 설치방법 | |
CN112394021B (zh) | 透水路面结构渗透系数室内测试装置 | |
KR102632008B1 (ko) |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 |
KR102632010B1 (ko) |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갖는 사방댐 | |
KR102632009B1 (ko) |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 | |
JP2023044149A (ja) | 雨水貯留浸透緑地の排水構造 | |
KR20050036221A (ko) | 빗물의 저류 및 저감용 맨홀설비장치 | |
JP3076521B2 (ja) | 遮水構造の破損位置検出方法および破損規模検出方法並びに漏水部補修方法 | |
JP2009001992A (ja) | 遮水装置 | |
KR20200073719A (ko) | 가로수 보호대 | |
CN114624162B (zh) | 一种透水路面渗透系数监测装置及埋设方法与监测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