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197B1 -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197B1
KR101748197B1 KR1020160015787A KR20160015787A KR101748197B1 KR 101748197 B1 KR101748197 B1 KR 101748197B1 KR 1020160015787 A KR1020160015787 A KR 1020160015787A KR 20160015787 A KR20160015787 A KR 20160015787A KR 101748197 B1 KR101748197 B1 KR 101748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ampling box
connection pipe
facility
uni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석
하상민
박정규
김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이타 피씨에스
(주)아이오티솔루션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이타 피씨에스, (주)아이오티솔루션,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이타 피씨에스
Priority to KR1020160015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02D1/06Sampling of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4Devices for measuring flow of a fluid or flow of a fluent solid material in suspension in another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Soil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블록 LID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위시설의 지표수, 침투수 및 중간침투수의 유량의 연결관을 배출구와 샘플링박스와 결합되어 강우의 유량이 수집되고, 샘플링박스 내부에는 설치된 티핑버킷유량계와, 수질센서에 의해 유량과 수질을 계측하는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에 있어서, 단위블록시설 상단에 물받이 형태로 구성되고 연결관과 접합되어 단위블록시설 집수면에서 침투되지 않고 강우 수집, 유입시 유량의 손실없이 지표면으로 흐르는 지표수를 수집하여 연결관을 통해 샘플링박스로 유출되도록 하는 특화위어, 지표수의 지표부와 중간침투수의 중간층은 연결관을 통해 하나의 샘플링박스에 결합되어 각각의 밸브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지표부과 중간층을 선택하여 유량을 모니터링하고, 샘플링박스의 설치하여 분해조립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연결관을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니온(Unio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LID 단위 시설에 적용되어 집수되는 유역에서 유출되는 지표수(Over Flow)와 침투수(Base Flow) 그리고 중간침투수(Sub Flow)에서의 유량과 수질 계측을 위해 각각의 위치에서 발생되는 유출수를 연결관을 통해 샘플링박스로 손실없는 집수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Multipurpose Pipe device for Efficient Monitoring in Unit Block LID Facility}
본 발명은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 중 주차장형-레인가든형 LID 시설에서의 효율성 검증을 위한 모니터링 보조 장비에 관한 것으로, LID 단위 시설에 적용되어 집수되는 유역에서 유출되는 지표수(Over Flow)와 침투수(Base Flow) 그리고 중간침투수(Sub Flow)에서의 유량과 수질 계측을 위해 각각의 층에서 발생되는 유출수를 샘플링박스로 보내기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제성장과 더불어 진행된 산업화와 도시화는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 주었지만 그 반대급부로 수많은 문제를 유발하고 있으며 이는 수자원의 질과 양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연 상태에서 물의 순환은 강우 - (침투-저류) - 유출 - 증발을 반복하게 되는데 도시에서는 이 순환에 소요되는 시간과 공간이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와 같은 포장재에 의해 왜곡되었다. 포장재로 인해 침투되지 못한 우수는 관로를 통해 이동하게 되므로 유속이 증가하여 저지대로 빠르게 흘러나가 도시 홍수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진국에서는 도시의 물순환 회복을 위한 녹색기반시설(GI : Green Infrastructure)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여기에 저영향개발(LID:Low Impact Development)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LID(저영향개발 : Low Impact Development)는 도시화에 따른 물관리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자연의 물순환 상태를 모사하거나 개선하여 개발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자연 친화적인 방법을 통해 개발구역이 이전 상태와 유사한 수문학적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칭하며 자연이 물을 순환시키고 정화하는 체계를 도시에도 적용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개발된 LID 시설은 그 효과를 예측ㆍ평가할 필요가 있어 국내에서도 건전한 도시물순환 인프라의 저영향개발(LID) 및 구축 운영 기술 연구사업을 국토교통부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에 LID 실증실험단지를 건설하고 있다.
LID 실증실험단지는 건축형, 도로형, 주차장형, 레인가든형, 공원형 구역으로 분류되어 서로 다른 성격의 시설이 배치되며 여러 가지 모니터링 항목들(수질, 수위, 유량, 풍향, 풍속, 온습도, 기압, 일사량 등)을 복합적으로 계측하여 비교 검토함으로써 열섬현상 완화, 홍수 저감, 수질 개선 등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단위블록 LID 시설 성능평가용 계측 샘플링 박스"(출원번호 제10-2016-0015557)를 출원한 바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모니터링 자료들을 분석하기 위한 기본적인 모니터링 자료인 유량과 수질을 효과적으로 계측하기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1. 물순환 모의를 위한 LID-수리수문 효율성 검증기기(Smart apparatus for verification of LID-hydrological hydraulic effeciency based on simulation water-cycle)(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66415호) 2. 다목적 개수로형 LID 실험장치(Multi-purposed open-channel type LID-hydraulic facility experiment)(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53633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LID 단위 시설에 적용되어 집수되는 유역에서 유출되는 지표수(Over Flow)와 침투수(Base Flow) 그리고 중간침투수(Sub Flow)에서의 유량과 수질 계측을 위해 각각의 위치에서 발생되는 유출수를 샘플링박스로 보내기 위한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블록 LID 시설에서 강우가 발생하면 지표수(Over Flow)와 침투수(Base Flow)로 분류되어 유량, 수질을 모니터링을 위해 지표부와 중간층부에 연결되는 관에 볼밸브(Ball Valve)를 설치하여 유출수를 선택적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한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블록 LID 시설에서 강우가 발생에 따라 지표수의 손실 없는 집수를 위해 특화위어(Weir)를 연결관에 접합하고, 유니온(Union)을 설치해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는 단위시설의 지표수(Over Flow), 침투수(Base Flow) 및 중간침투수(Sub Flow)의 유출구와 샘플링박스와 결합되어 유출수를 수집하고 샘플링박스 내부에 설치된 티핑버킷유량계와, 수질센서에 의해 유량과 수질을 계측하는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에 있어서, 단위블록시설 상단에 물받이 형태로 구성되고 연결관과 접합되어 단위블록시설의 지표면으로 흐르는 지표수를 수집하여 연결관을 통해 샘플링박스로 유출되도록 하는 특화위어, 지표수의 지표부와 중간침투수의 중간층은 연결관을 통해 하나의 샘플링박스에 결합되어 각각의 밸브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지표부과 중간층을 선택하여 유량을 모니터링하고, 샘플링박스의 연결부에서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분해·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니온(Union)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는 단위블록시설의 유출구와 연결관을 체결하는 것으로 관경이 대구경에서 소구경으로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단차로 우수가 배수되지 못하고 고이는 것을 방지하는 소켓형태로 형성되는 편심이형관, 상기 샘플링 박스와 연결관을 연결하는 것으로 LID 단위블록시설의 설치 지점과 유수 유출구의 높이차가 작은 곳은 유수의 흐름을 원할히 하기 위하여 L형소켓과 밸브소켓을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피팅, 지표부와 중간부의 연결관 상부 일측에 부설되어 지표부 및 중간부에서 유입되는 선택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밸브를 개폐할 수 있는 볼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는 상기 피팅은 상기 샘플링박스와 연결관을 연결하여 LID 단위블록시설의 설치 지점과 유수 유출구의 높이차가 작은 곳은 유수의 흐름을 원할히 하기 위하여 L형소켓과 밸브소켓을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유수 유출구의 높이차가 큰 것은 연결관과 샘플링박스와의 연결은 피팅(Fitting)과 밸브소켓(Valve Socket)로 연결되어 필요시 분해조립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볼밸브는 많은 양의 비가 내릴 시에 불투수 블록으로 배출되는 지표수 및 지표수와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밸브 개폐를 통해 유입되는 중간침투수를 관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은 LID 단위 시설에 적용되어 집수되는 유역에서 유출되는 지표수(Over Flow)와 침투수(Base Flow) 그리고 중간침투수(Sub Flow)에서의 유량과 수질 계측을 위해 각각의 위치에서 발생되는 유출수를 연결관을 통해 샘플링박스로 손실없는 집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는 단위블록 LID 시설에서 강우가 발생하면 지표수(Over Flow)와 침투수(Base Flow)로 분류되어 유량, 수질을 모니터링을 위해 지표부와 중간층부에 연결되는 관에 볼밸브(Ball Valve)를 설치하여 유출수를 선택적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는 단위블록 LID 시설에서 강우가 발생에 따라 지표수의 손실 없는 집수를 위해 특화위어(Weir)를 연결관에 접합하고, 유니온(Union)을 설치해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는 편심이경 소켓을 통해 관경이 대구경에서 소구경으로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단차로 우수가 배수되지 못하고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는 L형소켓과 밸브소켓을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설치 지점과 우수유출구의 높이차가 작은 곳은 우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집수가 용이하여 침투수 수질의 효과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통해 각 강우 패턴에 따른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 자료 확보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블록 LID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의 샘플링 박스를 침투유량 및 지표유량 분리구조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블록 LID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블록 LID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의 특화위어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블록 LID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의 연결관과 유니온 체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블록 LID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의 연결관과 편심이형관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블록 LID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의 연결관과 샘플링박스의 연결을 위한 볼밸브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형 LID 실증구역에 다목적 연결장치 설치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체융합형 LID 실증구역에 다목적 연결장치 설치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 도로, 주차장, 공원시설의 실증구역에 배치 설치되어 단위블록 LID 시설에서 강우가 발생하면 지표수(Over Flow)와 침투수(Base Flow)로 분류되어 유량-수질 모니터링을 하고 중간층에서는 초기 강우가 투수 재질을 투과한 침투수의 수질 모니터링을 하여 이 자료들을 기반으로 LID 시설의 성능평가하여 투수포장재에서의 수질개선 효과의 성능평가 자료로 활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블록 LID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는 지표수(지표유량(Over Flow), 침투수(Base Flow) 및 중간침투수(Sub Flow)의 유량의 연결관(500)을 통해 각 계측 위치의 배출구와 샘플링박스(300)와 결합되어 유량이 수집되고, 샘플링박스(300) 내부에는 설치된 티핑버킷유량계(100)와, 수질센서(200)에 의해 유량과 수질을 계측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다목적 연결장치는 샘플링박스(300) 내부로 강우 발생시 투수블록, 불투수블록을 통해 지표수(Over Flow), 침투수(Base Flow) 및 중간침투수(Sub Flow)의 투수를 위해 연결관(500)을 통해 샘플링박스(300)로 강우 수집, 유입시 유량의 손실없이 수집이 가능하도록 특화위어(510), 유니온(520), 편심이형소켓(530), 피팅(540), 밸브소켓(550), 볼밸브(5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위블록 LID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의 세부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링박스를 침투수 및 지표수에 분리하여 설치되는데, 단위블록 LID 시설은 투수블록과 불투수블록으로 분류되는데, 투수블록에서의 빗물은 블록을 투과하여 침투수으로 배출되며, 불투수블록에서의 모든 빗물은 지표수로 배출된다.
즉, 투수블록에서의 빗물의 대부분은 침투수으로 배출되지만 많은 양의 비가 내릴 시에는 지표유량으로 배출되는데, 투수블록에서의 주흐름은 침투수(Base Flow)이며 지표수(Over Flow)과 중간침투수(Sub Flow)은 미미하게 발생하게 되고, 지표수로 배출시 유량이 많은 침투수는 연결관(500)을 통해 전용 샘플링박스(300)에 연결되며, 지표와 중간층에서 발생된 유출수는 연결관(500)을 통하여 다른 샘플링박스(300)에 연결된다.
즉, 강우는 지표수(지표유량(Over Flow), 침투수(Base Flow) 및 중간침투수(Sub Flow)의 투수를 위해 연결관(500)을 통해 샘플링박스(300)로 유입되는데, 상기 특화위어(510)는 단위시설 상단에 물받이 형태로 구성되고 연결관(500)과 접합되어 단위블록 시설 집수면에서 침투되지 않고 강우 수집, 유입시 유량의 손실없이 지표면으로 흐르는 지표수를 수집하여 연결관(500) 통해 샘플링박스(300)로 유출한다.
즉, 상기 특화위어(510)는 단위시설 상단에 물받이 형태로 구성되고 연결관(500)과 접합되어 단위블록 시설에서 지표수 발생시 유량의 손실없이 지표수를 수집하고 연결관을 통해 샘플링박스(300)에 수집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LID 시설 집수면의 경사는 특화위어(510) 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강우가 시작되면 빗물이 모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니온(Union)(520)은 지표부와 중간층의 연결관(500)은 하나의 샘플링박스(300)에 결합되어 각각의 밸브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지표수과 중간침투수를 선택하여 유량을 모니터링하게 되는데, 샘플링박스(300)의 연결부는 유니온(520)을 설치하여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유니온(520)을 풀어서 연결관(500)을 분해할 수 있다.
상기 편심이형관(530)은 건축물 벽면에 부설되는 유공관과 연결관(500)을 체결하는 것으로 관경이 대구경에서 소구경으로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단차로 우수가 배수되지 못하고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켓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피팅(540)은 상기 샘플링박스(300)와 연결관(500)을 연결하는 것으로 LID 시설의 설치 지점과 유수 유출구의 높이차가 작은 곳은 유수의 흐름을 원할히 하기 위하여 L형소켓과 밸브소켓을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유수 유출구의 높이차가 큰 것은 연결관(500)과 샘플링박스(300)와의 연결은 피팅(Fitting)과 밸브소켓(Valve Socket)을 이용하여 연결되고 필요시 분해조립하게 된다.
상기 볼밸브(560)는 지표부와 중간층부에 연결관 상부에 설치하여 유출수의 선택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지표부과 중간층부의 선택적 유량 모니터링을 위하여 연결관(500) 중간마다 볼밸브(560)를 설치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볼밸브(560)는 많은 양의 비가 내릴 시에 불투수 블록으로 배출되는 지표수 및 지표수와 접합관으로 연결되어 밸브 개폐를 통해 유입되는 중간침투수를 관측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형 LID 실증구역에 다목적 연결장치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체융합형 LID 실증구역에 다목적 연결장치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LID 실증구역 중 주차장형-레인가든형 실증구역에 적용되는데, 주차장형 LID 실증구역은 단위블록으로 구성되며 투수콘크리트, 투수아스팔트, 불투수콘크리트, 불투수아스팔트 등의 시설이 설치된다.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LID 실증실험단지의 주차장형 LID시설은 불투수아스팔트, 투수아스팔트, 투수아스팔트, 불투수콘크리트, 투수콘크리트, 투수콘크리트, 투수포장재, 투수포장재 순으로 설치된다.
불투수블록에서는 지표수(Over Flow)를 주로 모니터링하며, 투수블록에서는 지표수(Over Flow), 침투수(Base Flow), 중간침투수(Sub Flow)을 모니터링하게 된다.
또한, 레인가든형 LID 실증구역은 단위블록으로 구성되며 레인가든, 샌드필터 등의 시설이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다목적 연결장치는 각 계측 위치의 배출구와 샘플링박스(300)와 결합되며, 샘플링박스 내부에는 티핑버킷유량계(100)와, 수질센서(200)가 설치되어 유량과 수질을 계측하게 된다.
상기 티핑버킷유량계(100)는 샘플링박스(300) 내 고정 부설되어 주차장형, 레인가든형 실증구역에 설치된 샘플링박스(300)을 통해 투수블록을 투과하여 배출되는 침투수, 많은 양의 비가 내릴 시에 불투수블록으로 배출되는 지표수 및 중간침투수의 강우를 관측한다.
상기 수질센서(200)는 샘플링박스(300) 내 바닥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티핑버킷유량계(100)에서 투수 및 불투수블록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DO, 전도도, 온도, pH, 염도, TDS를 측정하고, 상기 샘플링박스(300)는 티핑버킷유량계(100) 및 수질센서(200)가 내부에 구비되도록 자동채수기(400)를 위한 집수공간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동채수기(400)는 상기 샘플링박스(300) 상부의 흡입구에 연결되어 샘플링박스 내부에 일정 유량을 집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강우 패턴에 따른 시설의 성능을 실험하여 평가하고, 각 강우 패턴에 수질 모니터링 및 LID 시설의 성능평가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샘플링박스(300) 상부의 접합관 연결부 및 접합관과 각각 연결된 티핑버킷유량계(100)는 투수블록을 통해 배출되는 침투수와 불투수블록의 지표수를 수집하고 수질센서(200)를 통해 샘플링박스(300) 내에 유입된 강우의 DO, 전도도, 온도, pH, 염도, TDS를 측정하고, 샘플링박스(300) 상부의 흡입구에 연결되는 자동채수기(400)를 통해 강우 패턴에 따른 시설의 성능을 실험하여 평가하고, 각 강우 패턴에 수질 모니터링 및 LID 시설의 성능평가를 한다.
한편, 상기 샘플링박스(300)는 유량이 많은 침투수는 지표와 중간층에서 발생된 유량은 연결관(500)에 묶여 다른 샘플링박스에 연결된다.
상기 수질센서(Water Quality Sensor)(200)는 상기 티핑버킷유량계(100)의 동작에 따라 투수 및 불투수블록을 통해 유입되는 물에 DO, 전도도, 온도, pH, 염도, TDS를 측정하여 수질 조사 항목에 대해 실시간 데이터 출력이 가능하다.
상기 자동채수기(Portable Refrigerated Sampler)(400)는 일정 유량을 집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상기 샘플링박스(300)와 연결되는데, 즉 샘플링박스(300) 상부의 흡입구와 연결되어 샘플링박스 내부에 집수된 강우를 자동으로 채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티핑버킷유량계
200 : 수질센서
300 : 샘플링박스
400 : 자동채수기
500 : 연결관
510 : 특화위어
520 : 유니온
530 : 편심이형소켓
540 : 피팅
550 : 밸브소켓
560 : 볼밸브

Claims (3)

  1. 단위시설의 지표수(Over Flow), 침투수(Base Flow) 및 중간침투수(Sub Flow)의 유출구를 연결관(500)을 통해 샘플링박스(300)와 결합되어 단위블록시설의 유량이 수집되고, 샘플링박스(300) 내부에는 설치된 티핑버킷유량계(100)와, 수질센서(200)에 의해 유량과 수질을 계측하기 위해 단위블록시설 상단에 물받이 형태로 구성되고 연결관(500)과 접합되어 단위블록 시설에서 지표수 발생시 유량의 손실없이 지표수를 수집하고 연결관을 통해 샘플링박스(300)에 수집되도록 유도하는 특화위어(510), 지표수와 중간침투수는 연결관을 통해 하나의 샘플링박스에 결합되어 각각의 밸브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지표수와 중간침투수를 선택하여 유량을 모니터링하고, 샘플링박스(300)의 설치하여 분해조립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연결관(500)을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니온(Union)(5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에 있어서,
    단위시설의 벽면에 부설되는 유공관과 연결관(500)을 체결하는 것으로 관경이 대구경에서 소구경으로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단차로 우수가 배수되지 못하고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켓형태로 형성되는 편심이형관(530),
    상기 샘플링 박스(300)와 연결관(500)을 연결하여 고정하고 LID 단위시설의 설치 지점과 유수 유출구의 높이차가 작은 곳은 유수의 흐름을 원할히 하기 위하여 L형소켓과 밸브소켓을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유수 유출구의 높이차가 큰 것은 연결관(500)과 샘플링박스(300)와의 연결은 피팅(Fitting)과 밸브소켓(Valve Socket)로 연결되어 필요시 분해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피팅(540), 및
    지표층과 중간층의 상부 일측에 부설되어 강한 강우 발생시 지표수 및 중간침투수에서 발생하는 유출수를 밸브의 개폐를 통해 선택적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한 볼밸브(5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블록 LID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60015787A 2016-02-11 2016-02-11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 KR101748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787A KR101748197B1 (ko) 2016-02-11 2016-02-11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787A KR101748197B1 (ko) 2016-02-11 2016-02-11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197B1 true KR101748197B1 (ko) 2017-06-23

Family

ID=59283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787A KR101748197B1 (ko) 2016-02-11 2016-02-11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1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212A (ko) 2017-12-26 2019-07-04 (주)아이오티솔루션 저영향 개발 시설 성능평가를 위한 유출수 분산식 관리방법
CN113915532A (zh) * 2021-10-26 2022-01-11 浙江华章科技有限公司 一种集装模块化流量检测设备
KR20220167099A (ko) * 2021-06-11 2022-12-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휴대용 용천수 현장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7056A (ja) * 2009-03-31 2010-10-21 Toshiba Corp 容積式流量計とその動作確認方法
KR101485001B1 (ko) * 2013-08-21 2015-01-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와 보도 연계형 빗물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7056A (ja) * 2009-03-31 2010-10-21 Toshiba Corp 容積式流量計とその動作確認方法
KR101485001B1 (ko) * 2013-08-21 2015-01-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와 보도 연계형 빗물관리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212A (ko) 2017-12-26 2019-07-04 (주)아이오티솔루션 저영향 개발 시설 성능평가를 위한 유출수 분산식 관리방법
KR20220167099A (ko) * 2021-06-11 2022-12-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휴대용 용천수 현장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565190B1 (ko) * 2021-06-11 2023-08-0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휴대용 용천수 현장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N113915532A (zh) * 2021-10-26 2022-01-11 浙江华章科技有限公司 一种集装模块化流量检测设备
CN113915532B (zh) * 2021-10-26 2023-11-03 浙江华章科技有限公司 一种集装模块化流量检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Performance synergism of pervious pavement on stormwater management and urban heat island mitigation: A review of its benefits, key parameters, and co-benefits approach
Waters et al. Adaptation of a storm drainage system to accommodate increased rainfall resulting from climate change
Nile et al. An evaluation of flood mitigation using a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in a residential area in Kerbala, Iraq
KR101836914B1 (ko) 단위블록 lid 시설 성능평가용 유량-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54449B1 (ko) Lid 요소기술 물순환 효율성능 검증실험 방법
KR101748197B1 (ko)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
CN101436359A (zh) 用于建立城市透水面集水效应试验的装置
Cording et al. Monitoring methods and designs for evaluating bioretention performance
Dierkes et al. Pollution retention of different permeable pavements with reservoir structure at high hydraulic loads
KR100779545B1 (ko)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KR200426248Y1 (ko)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Grodek et al. Urban hydrology in mountainous middle eastern cities
Rodriguez et al. Development of a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based on urban databanks–production processes of URBS
CN209494028U (zh) 用于黄土高原地区高速公路雨水资源化利用系统的蓄水池
CN207305514U (zh) 一种实验用种植池
O'Bannon et al. Detailed rain garden flow monitoring
Shahrokh Hamedani et al. Study the performance of various stormwater control measures in a single full-scale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stbed under changing environments using SWMM
Ruban et al. Hydrologic and energetic experimental survey of a small urban watershed
He et al. Water quality treatment efficacy model of porous concrete pavement
Ahmed et al. Determining Infiltration Loss of a Grassed Swale
CN110146434B (zh) 一种城市户外绿道冷板测试装置
Banda et al. Modeling of storm water runoff for Kitwe CBD drainage system using SWMM software
Anderson Hydrologic evaluation of established rain gardens in Lincoln, Nebraska using a storm runoff simulator
Eger et al. Water budget triangle: A new conceptual framework for comparison of green and gray infrastructure
Bardhipur Modeling the Effect of Green Infrastructure on Direct Runoff Reduction in Residential Are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