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212A - 저영향 개발 시설 성능평가를 위한 유출수 분산식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저영향 개발 시설 성능평가를 위한 유출수 분산식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212A
KR20190078212A KR1020170180020A KR20170180020A KR20190078212A KR 20190078212 A KR20190078212 A KR 20190078212A KR 1020170180020 A KR1020170180020 A KR 1020170180020A KR 20170180020 A KR20170180020 A KR 20170180020A KR 20190078212 A KR20190078212 A KR 20190078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facility
effluent
management method
facil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행
하상민
허정호
신현석
Original Assignee
(주)아이오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오티솔루션 filed Critical (주)아이오티솔루션
Priority to KR1020170180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8212A/ko
Publication of KR20190078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저영향 개발(LID) 시설 성능평가를 위한 유출수 분산식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유역, 특정 단지의 유출수의 저감과 수질효과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저영향 개발(LID), 그린 인프라 시설에서의 유출수량과 수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유출수 분산식 관리 방법이며, 대상 저영향 개발(LID) 시설을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S10), 상기 대상 저영향 개발(LID) 시설의 모니터링 항목을 도출하는 단계(S20), 상기 대상 저영향 개발(LID) 시설의 시설별 최적 센서를 선정하는 단계(S30), 상기 대상 저영향 개발(LID) 시설의 모니터링 항목을 1분 단위로 수집하는 단계(S40), 상기 수집된 모니터링 항목을 유추량 보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단계(S50) 및 보정된 모니터링 항목을 기준으로 상기 대상 저영향 개발(LID) 시설에 대한 성능 평가를 정량화하는 단계(S60)를 포함하여 신뢰도와 정확도가 높고 효율적인 저영향 개발(LID) 시설 성능 평가가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저영향 개발 시설 성능평가를 위한 유출수 분산식 관리방법{An effluent dispersion management method for evaluation of Low Impact Development facility capability}
본 발명은 저영향 개발 시설 성능평가를 위한 유출수 분산식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유역, 특정 단지의 유출수의 저감과 수질효과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저영향 개발(LID), 그린 인프라 시설에서의 유출수량과 수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유출수 분산식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연현상 및 시설에서 발생하는 유출량 및 수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시스템들은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상하수도관 유량측정시스템이나 비점오염원 시설 실시간 측정시스템 등이 그 예이다.
또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진행된 산업화와 도시화는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 주었지만 그 반대급부로 수많은 문제를 유발하고 있으며 이는 수자원의 질과 양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연 상태에서 물의 순환은 강우 - (침투-저류) - 유출 - 증발을 반복하게 되는데 도시에서는 이 순환에 소요되는 시간과 공간이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와 같은 포장재에 의해 왜곡되었다. 포장재로 인해 침투되지 못한 우수는 관로를 통해 이동하게 되므로 유속이 증가하여 저지대로 빠르게 흘러나가 도시 홍수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진국에서는 도시의 물순환 회복을 위한 녹색기반시설(GI : Green Infrastructure)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여기에 저영향 개발(LID:Low Impact Development)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저영향 개발 기술은 물과 관련된 생태적 기능을 보존하면서 개발을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로서 개별 관리 시설의 설계에 적용할 수 있으며, 개발 후에도 친환경적인 경관을 제공하며 오염을 방지하고 기존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따라서 저영향 개발 시설에 대한 세밀한 검증을 위해 강우량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모니터링 항목(수질, 수위, 유량, 풍향, 풍속, 온습도, 기압, 일사량 등)을 복합적으로 계측하여 저영향 개발 시설의 효과를 검증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저영향 개발 기술은 다양한 전략과 요소를 유출수 발생원 단계의 설계 안에 포함함으로써 유출수를 분산식으로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개발 이전 상태와 크게 다르지 않게 수문학적 기능이 복원되도록 소규모의 자연적인 저류, 체류, 방지, 처리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8197호(2016.02.1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8199호(2016.02.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소유역, 특정단지의 유출저감과 수질 효과 개선을 위해 저영향 개발 및 그린 인프라 시설의 성능평가를 위한 유출수 분산식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특정 물리 인자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와 전자회로 등의 시스템을 구성하여 실시간으로 유출량 및 수질 측정하는 기술은 제한적으로 상용화가 되어 있지만, 공학 목적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기초자료 분석과는 별개로 시스템이 구축되어 분석,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에는 정확도와 자료추출 방식에 문제점이 많이 발생한다.
또한, 현재 여러 사이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저영향 개발 시설과 유사한 비점오염원 시설들의 모니터링은 강우 발생 시 사람이 직접 현장에 접근하여 센서를 이용하여 유출량 및 수질 값을 수집하는 수동방식에 의존하고 있어 자료의 즉시성과 신뢰성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출수 분산식 관리 방법을 통해 저영향 개발 시설 성능평가를 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 개발 시설 성능평가를 위한 유출수 분산식 관리방법은 대상 저영향 개발(LID) 시설을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대상 저영향 개발(LID) 시설의 모니터링 항목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대상 저영향 개발(LID) 시설의 시설별 최적 센서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저영향 개발(LID) 시설의 모니터링 항목을 1분단위로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모니터링 항목을 유추량 보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단계 및 보정된 모니터링 항목을 기준으로 상기 대상 저영향 개발(LID) 시설에 대한 성능 평가를 정량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저영향 개발 시설 성능평가를 위한 유출수 분산식 관리 방법은 저영향 개발 시설에서 도입 가능한 다양한 시설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최적 모니터링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여, 신뢰도와 정확도가 높고 효율적인 저영향 개발 시설 성능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업계 종사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 개발 시설 성능평가를 위한 유출수 분산식 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를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저영향개발(LID) 시설 성능평가를 위한 유출수 분산식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전략과 요소를 유출수 발생원 단계의 설계 안에 포함함으로써 유출수를 분산식으로 관리하는 방법인 저영향 개발 기술의 시설 성능평가를 위한 유출수 분산식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 개발 시설 성능평가를 위한 유출수 분산식 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저영향개발(LID) 시설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S10), 저영향개발(LID) 시설 모니터링 항목을 도출하는 단계(S20), 저영향개발(LID) 시설별 최적 센서를 선정하는 단계(S30), 시설별 모니터링 항목을 수집하는 단계(S40), 모니터링 항목을 보정하는 단계(S50) 및 성능 평가 정량화 단계(S60)를 포함한다.
먼저, 저영향개발(LID) 시설 성능 평가를 위한 유출수 분산식 관리 방법은 대상 저영향 개발(LID) 시설을 특성을 분석한다.(S10)
대상 저영향개발(LID) 시설의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S10)는 유출수 및 이의 수질의 분석하기에 적절한 시설의 특성을 분석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저영향개발(LID) 시설의 모니터링 항목을 도출한다.(S20)
저영향개발(LID) 시설의 모니터링 항목을 도출하는 단계(S20)는 상기 저영향개발(LID) 시설 특성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모니터링 항목을 선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저영향개발(LID) 시설별 최적 센서를 선정한다.(S30)
저영향개발(LID) 시설별 최적 센서를 선정하는 단계(S30)는 저영향개발(LID) 모니터링 박스 또는 맞춤형 접합관과 같은 기존에 출원된 특허를 활용하여 모니터링용 보조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저영향개발(LID) 시설별 모니터링 항목을 수집한다.(S40)
저영향개발(LID) 시설별 모니터링 항목을 수집하는 단계(S40)는 센서 또는 자료 수집 처리장치를 활용하여 저영향개발(LID) 시설 성능 평가에 가장 필요한 수집 주기인 1분 단위의 유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모니터링 항목을 보정한다.(S50)
모니터링 항목을 보정하는 단계(S50)는 상기 1분 단위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유추량 보정 알고리즘에 자동으로 적용한다. 이때, 상기 수집 주기 1분 단위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대상 유역 및 단지의 통신 인프라와 상관없이 구축이 가능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성능 평가의 정량화를 실시한다.(S60)
성능 평가 정량화 단계(S60)는 상기 보정된 자료를 성능 평가용 통합 모니터링 웹을 통해 정량화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

  1. 저영향개발(LID) 시설 성능평가를 위한 유출수 분산식 관리방법에 있어서,
    대상 저영향개발(LID) 시설을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대상 저영향개발(LID) 시설의 모니터링 항목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대상 저영향개발(LID) 시설의 시설별 최적 센서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대상 저영향개발(LID) 시설의 모니터링 항목을 1분단위로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모니터링 항목을 유추량 보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단계; 및
    보정된 모니터링 항목을 기준으로 상기 대상 저영향개발(LID) 시설에 대한 성능평가를 정량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수 분산식 관리방법.
KR1020170180020A 2017-12-26 2017-12-26 저영향 개발 시설 성능평가를 위한 유출수 분산식 관리방법 KR20190078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020A KR20190078212A (ko) 2017-12-26 2017-12-26 저영향 개발 시설 성능평가를 위한 유출수 분산식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020A KR20190078212A (ko) 2017-12-26 2017-12-26 저영향 개발 시설 성능평가를 위한 유출수 분산식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212A true KR20190078212A (ko) 2019-07-04

Family

ID=67259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020A KR20190078212A (ko) 2017-12-26 2017-12-26 저영향 개발 시설 성능평가를 위한 유출수 분산식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82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2792A (zh) * 2020-01-10 2020-10-27 吉林建筑大学 一种基于突发污染事件管网水质监测点的布置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197B1 (ko) 2016-02-11 2017-06-23 주식회사 데이타 피씨에스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
KR101748199B1 (ko) 2016-02-11 2017-06-23 주식회사 데이타 피씨에스 건물화분 lid 시설 맞춤형 샘플링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197B1 (ko) 2016-02-11 2017-06-23 주식회사 데이타 피씨에스 단위블록 lid 시설의 효율적 모니터링을 위한 다목적 연결장치
KR101748199B1 (ko) 2016-02-11 2017-06-23 주식회사 데이타 피씨에스 건물화분 lid 시설 맞춤형 샘플링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2792A (zh) * 2020-01-10 2020-10-27 吉林建筑大学 一种基于突发污染事件管网水质监测点的布置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lenis et al. A fully hydrodynamic urban flood modelling system representing buildings, green space and interventions
Benedetti et al. Modelling and monitoring of integrated urban wastewater systems: review on status and perspectives
CN108984873B (zh) 供水管网实时漏损检测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07633340B (zh) 一种基于压力监测的供水管网漏失区域快速识别方法
CN112101693A (zh) 基于正交分析的现状城区河道水质达标分析方法
Cheng et al. Analysis of effect of rainfall patterns on urban flood process by coupled hydrological and hydrodynamic modeling
KR100490292B1 (ko) 웹기반 하수관거 통합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6650044A (zh) 一种确定swmm软件中地表径流污染物参数w的方法
Siekmann et al. Indicator based strategy to adapt urban drainage systems in regard to the consequences caused by climate change
Rubinato et al. Advances in experimental modelling of urban flooding
CN115789527A (zh) 一种基于水环境信息化治理的分析系统及方法
KR102485941B1 (ko) 침수 예경보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8212A (ko) 저영향 개발 시설 성능평가를 위한 유출수 분산식 관리방법
Chisala et al. Distribution of sewer exfiltration to urban groundwater
NO20101556A1 (no) Fremgangsmate og system for a overvake og lokalisere inntrenging av fremmedvann i ledningsnett
Nasrin et al. Modelling impact of extreme rainfall on sanitary sewer system by predicting rainfall derived infiltration/inflow
종표박 et al. Evaluation of accuracy depending on pipe network density in urban flood inundation analysis using the SWMM
KR101659310B1 (ko) 하수관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tami et al. Implementation of IoT-Based Sensor Systems for Smart Stormwater Management
KR20170112474A (ko)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저영향개발시설의 유지 관리 방법
Suresh et al. Mobile sensor networks for leak and backflow detection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Wong et al.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Micro-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Fuentes Jr et al. Leak detection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via pressure analysis using a machine learning ensemble
Al-Juaidi et al. Evaluation of desalination and groundwater supply sources for future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Riyadh city
Muleta et al. Analysis and calibration of RDII and design of sewer collection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