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009B1 -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009B1
KR102632009B1 KR1020210084250A KR20210084250A KR102632009B1 KR 102632009 B1 KR102632009 B1 KR 102632009B1 KR 1020210084250 A KR1020210084250 A KR 1020210084250A KR 20210084250 A KR20210084250 A KR 20210084250A KR 102632009 B1 KR102632009 B1 KR 102632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discharge
installing
installation
d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426A (ko
Inventor
최형태
김재훈
임홍근
양현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08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009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02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wherein the flow is in an open chann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8Wall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52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the height of the fluid level due to the lifting power of the fluid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로를 갖는 사방댐의 상류측에 계류유입부를 설치하는 계류유입부타설단계, 유로를 갖는 사방댐의 하류측에 계류배출부를 설치하는 계류배출부타설단계, 상기 계류배출부타설단계 시, 상단부 중간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계류배출부에 노치부를 설치하는 노치부 설치단계, 및 상기 사방댐에 유량측정부를 설치하는 유량측정부설치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설치된 사방댐에 의해 저장되는 산림 계류가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하류로 이동되되, 유량을 측정할 수 있어 정밀한 측정에 의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Installation method of forest flow measurement device for Erosion control dam}
본 발명은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방댐에 의해 저장되는 산림 계류가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하류로 이동되되, 유량을 측정할 수 있어 정밀한 측정에 의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소하천의 유량측정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산림 수자원의 유량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여기서, 산림의 수자원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중 현재 전국의 산촌에서 진행되고 있는 숲 가꾸기 등 수원 함양 사업 추진 정책을 통해 효율적인 수원함양림의 조성 및 관리지침을 제공하기 위하여 산림수자원 특성 구명 및 데이터 베이스(DB)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때문에 산림수자원 특성 구명 및 데이터 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산림유량 관측 시설을 설치하여 수자원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역 특성에 따른 유출량을 산출하고 있다.
종래 간이 유량측정 장치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9034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유수로패널과 위어판을 설치하여 월류되는 순간의 수위를 측정하여 용이한 관리를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간이 유량측정 장치는 노치가 형성된 보가 설치된 곳에서만 사용가능한 것으로, 해당 지역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이 떨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간이 유량측정 장치는 장기간 설치되되, 보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 아님에 따라, 증가한 유량에 의해 위치가 변동되거나 유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어 수위를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산림의 경우, 계류의 경사가 급해 비가와도 급속히 하류로 이동됨에 따라, 설치된 유량측정 장치의 유실 가능성이 더욱 높으며, 계류의 주변 및 지중으로 흐르는 물이 많아 간이 유량측정 장치를 견고하게 설치하더라도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풍수기는 물론, 갈수기에도 산림의 계류에 대한 수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유로를 갖는 사방댐의 상류측에 계류유입부를 설치하는 계류유입부타설단계, 유로를 갖는 사방댐의 하류측에 계류배출부를 설치하는 계류배출부타설단계, 상기 계류배출부타설단계 시, 상단부 중간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계류배출부에 노치부를 설치하는 노치부 설치단계, 및 상기 사방댐에 유량측정부를 설치하는 유량측정부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기설치된 사방댐에 의해 저장되는 산림 계류가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하류로 이동되되, 유량을 측정할 수 있어 정밀한 측정에 의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유로를 갖는 사방댐의 상류측에 계류유입부를 설치하는 계류유입부타설단계, 유로를 갖는 사방댐의 하류측에 계류배출부를 설치하는 계류배출부타설단계, 상기 계류배출부타설단계 시, 상단부 중간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계류배출부에 노치부를 설치하는 노치부 설치단계, 및 상기 사방댐에 유량측정부를 설치하는 유량측정부설치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방댐은, 상기 몸체부와 차닥벽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와 차닥벽은 일체로 형성되며,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와 차닥벽의 상단부가 일정 폭으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하류측면과 상류측면이 해당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기 산림 계류 지중의 신선암반에 타설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와 차닥벽은, 지중에 설치된 하단부의 상류측면에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누수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수방지부를 설치하는 누수방지부설치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누수방지부설치단계는, 상기 사방댐의 하단부의 상류측 계류바닥을 굴착하여 신선암반을 노출시키는 누수방지굴착단계, 노출된 상기 사방댐의 하단부와 신선암반이 타설되는 연결부분을 따라 황토를 설치하는 황토메움단계, 및 상기 누수방지굴착단계에서 굴착된 굴착물을 상기 황토가 메워진 굴착부분에 메우는 누구방지복토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계류유입부타설단계는, 상기 사방댐의 상류측 계류바닥을 굴착하는 유입굴착단계, 굴착된 바닥을 다지는 유입다짐단계, 상기 유입다짐단계에서 다져진 부분 상측으로 계류유입받침부를 형성하는 계류유입받침부설치단계, 상면이 상기 유로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계류유입받침부의 상측으로 계류유입몸체를 타설하는 계류유입몸체설치단계, 상기 계류유입몸체의 후단부와 양측단부에 계류유입턱을 돌출 형성시키되, 상기 양측단부는 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계류유입턱설치단계, 및 상기 유입유도공간부로 부유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계류유입턱의 상단부를 따라 부유물차단부를 설치하는 부유물차단부설치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계류유입몸체와 계류유입턱은 철근콘크리트슬래브로 제작되고, 상기 계류유입받침부는 버림콘크리트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계류배출부타설단계는, 상기 사방댐의 하류측 계류바닥을 굴착하는 배출굴착단계, 굴착된 바닥을 다지는 배출다짐단계, 상기 계류배출부가 설치될 사방댐의 해당 부분에 계류배출밀폐부를 설치하는 계류배출밀폐부설치단계, 상기 배출다짐단계에서 다져진 저면에 계류배출받침부를 형성하는 계류배출받침부설치단계, 상면이 상기 유로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계류배출받침부의 상측으로 계류배출바닥을 타설하되, 상기 계류배출밀폐부의 해당 부분이 내설되도록 설치하는 계류배출바닥설치단계, 및 상기 계류배출바닥의 양측단부에 계류배출측벽을 형성시키되, 계류배출측벽의 각 상측단부는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계류배출밀폐부의 해당 부분이 내설되도록 설치하는 계류배출측벽설치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계류배출밀폐부설치단계는, 상기 몸체부에 계류배출밀폐홈을 형성하는 계류배출밀폐홈형성단계, 상기 계류배출밀폐홈에 계류밀폐판의 타단부를 삽입시켜 거치시키는 계류밀폐판거치단계, 및 상기 계류밀폐판이 삽입된 계류배출밀폐홈에 밀폐충진부를 충진시켜 고정시키는 밀폐충진부충진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돌출된 상기 계류밀폐판의 일단부는, 계류배출바닥설치단계와 계류배출측벽설치단계 시, 함께 타설된다.
그리고 상기 노치부는, 하단부가 상기 계류배출바닥설치단계 시, 계류배출바닥에 내설되고, 양측단부는 상기 계류배출측벽설치단계 시, 각 계류배출측벽에 내설된다.
또한, 상기 유량측정부설치단계는, 상기 사방댐과 접하는 상기 계류배출측벽의 단부를 따라 유량측정설치공간부를 형성되는 유량측정설치공간부형성단계, 상기 유량측정설치공간부에 내부에 계류가 채워지는 저수관을 설치하되, 저수관의 하단부는 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저수관설치단계, 상기 저수관에 채워진 계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측정센서를 설치하는 수위측정센서설치단계, 및 상기 수위측정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계류의 수위를 계측하기 위한 계측기를 설치하는 계측기설치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위측정센서와 계측기는 케이블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을 사방댐에 설치하는 케이블설치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설치단계는, 상기 사방댐에 케이블이 내설되기 위한 케이블설치홈을 형성하는 케이블설치홈형성단계, 상기 케이블설치홈에 케이블을 위치시키는 케이블거치단계, 및 상기 케이블이 거치된 케이블설치홈을 폐쇄시키도록 케이블설치판을 덮어 고정시키는 케이블설치판고정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산림 계류가를 따라 설치되는 축벽부를 설치하는 축벽설치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축벽설치단계는, 산림 계류가를 따라 굴착하는 축벽굴착단계, 상기 축벽굴착단계에서 굴착된 지중에 축벽받침부를 설치하는 축벽받침부설치단계, 상면이 상기 계류 바닥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도록 상기 축벽받침부 상측에 축벽기초를 설치하는 축벽기초설치단계, 계류가의 법면이 무너지는것을 막기 위해 상기 축벽기초의 상측으로 복수의 석재부를 적층시키는 석재부적층단계, 및 상기 석재부적층단계 시, 인접한 두 개의 석재부 사이에 뒷채움석을 채워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뒷채움석설치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상류 측에 토사막이부를 설치하여 산림 계류를 따라 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한 토사막이부설치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사막이부설치단계는, 산림 계류바닥을 굴착하여 신선암반을 노출시키는 토사막이굴착단계, 상기 노출된 신선암반에 토사막이받침부를 타설하는 토사막이받침부설치단계, 상기 토사막이받침부 상측으로 토사막이기초를 타설하는 토사막이기초설치단계, 및 상기 계류를 막도록 상기 토사막이기초의 상측으로 토사막이벽을 타설하는 토사막이벽설치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토사막이벽과 축벽부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토사막이밀폐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사막이밀폐단계는, 상기 토사막이벽에 토사막이밀폐홈을 형성하는 토사막이밀폐홈형성단계,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토사막이밀폐판의 타단부를 상기 토사막이밀폐홈에 삽입시키는 토사막이밀폐판거치단계, 상기 토사막이밀폐판이 삽입된 토사막이밀폐홈에 제1토사막이충진부를 충진시켜 고정시키는 제1토사막이밀폐단계, 및 노출된 상기 토사막이밀폐판의 일단부와 축벽부 사이에 제2토사막이충진부를 충진시켜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2토사막이밀폐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흡수되는 물을 유로방향으로 집수하기 위한 내부가이드부를 설치하는 내부가이드부설치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부가이드부는, 상기 유로를 기준으로, 양측방향에 각각 구비되되, 유로로 갈수록 햐류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가이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에 의하면, 기설치된 사방댐에 의해 저장되는 산림 계류가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하류로 이동되되, 유량을 측정할 수 있어 정밀한 측정에 의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되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측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류유입부타설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배출부타설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배출밀폐부설치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측정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측정부설치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축벽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에 축벽설치단계가 더 포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사막이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사막이부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가이드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되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측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류유입부타설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배출부타설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계류배출밀폐부설치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측정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측정부설치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축벽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에 축벽설치단계가 더 포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사막이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사막이부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가이드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은 계류유입부타설단계(S10)와 계류배출부타설단계(S20), 노치부 설치단계(S30) 및 유량측정부설치단계(S40)를 포함한다.
계류유입부타설단계(S10)는 유로(110)를 갖는 사방댐(10)의 상류측에 계류유입부(300)를 설치한다.
그리고 계류배출부타설단계(S20)는 유로(110)를 갖는 사방댐(10)의 하류측에 계류배출부(400)를 설치한다.
노치부 설치단계(S30)는 계류배출부타설단계(S20) 시, 상단부 중간부가 노출되도록 계류배출부(400)에 노치부(440)를 설치한다.
또한 유량측정부설치단계(S40)는 사방댐(10)에 유량측정부(300)를 설치한다.
여기서,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5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110)를 갖고, 산림 계류에 설치된 사방댐(10)에 설치되는 것으로, 계류유입부(300), 계류배출부(400), 및 유량측정부(500)를 포함한다.
계류유입부(300)는 유로(110)의 상류측에 구비되어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유로(110)로 산림 계류를 유입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계류배출부(400)는 유로(110)의 하류측에 구비되어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산림 계류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유량측정부(500)는 유로(110)를 통과한 산림 계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50)에 의하면, 산림 계류의 수위를 일정량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우천 시, 계류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에, 중류나 하류에 대한 수위와 유속 등을 제어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여기서, 사방댐(10)은 몸체부(100)와 차단벽(200)을 포함하며, 몸체부(100)는 산림 계류가 통과되도록 유로(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차단벽(200)은 산림 계류를 차단시켜 몸체부(100)의 유로(110)로 산림 계류를 유도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몸체부(100)와 차단벽(200)은 일체로 형성되며,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100)와 차닥벽(200)의 상단부가 일정 폭으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하류측면과 상류측면이 해당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몸체부(100)와 차단벽(200)의 하단부는 산림 계류 지중의 신선암반(2)에 타설된다.
그리고 몸체부(100)의 상류측면 경사는 하류측면 경사보다 급하게 형성된다.
물론, 차단벽(200)의 상류측면 경사도 몸체부(100)의 상류측면 경사와 동일하며, 차단벽(200)의 하류측면 역시, 몸체부(100)의 하류측면 경사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100)는 유로(110)의 양측부에 보조배출부(120)를 더 포함하여 유로(110)를 보조하여 계류를 하류로 배출시킨다.
이 보조배출부(120)는 보조배출공으로, 유로(110) 저면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홍수나 장마 등에 의해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계류를 더욱 배출하여 일정량 이상 저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몸체부(100)와 차닥벽(200)은 누수방지부(130)를 더 구비된다.
이 누수방지부(130)는 지중에 설치된 몸체부(100)와 차닥벽(200)의 각 하단부의 상류측면에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누수방지부(130)는 황토로 충진되어 내부에 기포층을 최소화시켜 누수를 방지하도록 몸체부(100)와 신선암반(2)이 접하는 부분을 따라 형성된다.
물론, 차닥벽(200)과 신선암반(2)이 접하는 부분을 따라도 형성됨이 당연하다.
이러한 누수방지부(130)는 몸체부(100) 및 차단벽(200)과 신선암반(2)이 접하는 부분이 노출되도록 굴착된 다음 형성되며, 굴착된 굴착물을 다시 덮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상류측에 위치된 계류가 유로(110)를 통해서만 하류로 이동할 수 있어 계류배출부(400)에 설치되는 유량측정부(500)에 의해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유로(110)로 계류를 유입시키기 위한 계류유입부(300)는 계류유입몸체(310)와 계류유입턱(320) 및 계류유입받침부(330)를 포함한다.
계류유입몸체(310)는 유로(110)의 상류에 위치되도록 사방댐 몸체부(100)의 상류측에 구비되되, 상면이 계류 바닥과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계류유입턱(320)은 계류유입몸체(310)의 상류측단부와 양측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유입유도공간부(322)를 형성하여 계류유입턱(320)을 넘은 계류를 유로(110)로 이동된다.
계류유입받침부(330)는 계류유입몸체(310)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계류 바닥 지중에 구비된다.
여기서, 계류유입몸체(310)와 계류유입턱(320)은 철근콘크리트슬래브로 제작되고, 계류유입받침부(330)는 버림콘크리트로 제작된다.
그리고 계류유입부(300)는 부유물차단부(340)를 더 포함한다.
이 부유물차단부(340)는 유입유도공간부(322)로 부유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부유물차단부(340)는 수직차단봉(342)과 수평차단봉(344)을 포함한다.
수직차단봉(342)은 복수로, 계류유입턱(320)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내설된다.
또한 수평차단봉(344)은 수직차단봉(342)의 각 상단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각 수직차단봉(342)의 하단부는 계류유입몸체(310)와 계류유입턱(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철근에 고정된다.
그리고 수직차단봉(342)은 강관이고, 수평차단봉(344)은 각관이며, 아연으로 도금된다.
이에,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계류배출부(400)는 계류배출바닥(410)과 계류배출측벽(420), 계류배출받침부(430) 및 노치부(440)를 포함한다.
계류배출바닥(410)은 상면이 사방댐 몸체부(100)의 유로(110)와 동일하도록 산림 계류 바닥 지중에 설치된다.
그리고 계류배출측벽(420)은 한 쌍으로, 몸체부(100)의 유로(110)의 측벽에 연장되도록 계류배출바닥(410)에 설치되어 계류가 하류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공간부를 형성한다.
계류배출받침부(430)는 계류배출바닥(410)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계류 바닥 지중에 구비된다.
또한 노치부(440)는 계류배출측벽(420)의 하류측단부에 위치되도록 계류배출바닥(410)에 돌출되어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계류가 넘어서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계류유입부(300)와 계류배출부(400)는 기설치된 사방댐(10)에 설치되기 위해서, 사방댐의 상류측과 하류측 계류 바닥을 굴착한 후, 타설된다.
여기서, 몸체부(100)는 물방석(140)을 더 포함한다.
물방석(140)은 유로(110)를 통해 배출되는 계류에 의해 계류바닥에 소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부(100) 하단부의 하류측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물방석(140)은 계류배출바닥(410)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됨이 당연하다.
다시 말해, 계류배출부(400)가 설치되기 위한 물방석(140)의 해당 부분을 제거한 후, 설치된다.
여기서, 계류배출바닥(410)과 계류배출측벽(420)은 철근콘크리트슬래브로 제작되고, 계류배출받침부(430)는 버림콘크리트로 제작되며, 물방석(140)은 무근콘크리트로 제작된다.
그리고 계류유입몸체(310)와 계류유입턱(320), 계류배출바닥(410)과 계류배출측벽(420)은 몸체부(100) 타설시 일체로 타설한다.
또한 계류배출측벽(420)과 계류배출바닥(410)은 몸체부(100)가 타설된 후, 설치되되, 사이로 계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계류배출밀폐부(450)를 더 포함한다.
이 계류배출밀폐부(450)는 계류배출밀폐홈(452)과 계류밀폐판(454) 및 밀폐충진부(456)를 포함한다.
계류배출밀폐홈(452)은 몸체부(100)에 형성된다.
그리고 계류밀폐판(454)은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타단부가 계류배출밀폐홈(452)에 삽입된다.
밀폐충진부(456)는 계류밀폐판(454)이 삽입된 계류배출밀폐홈(452)에 충진된다.
여기서, 계류밀폐판(454)의 일단부는 계류배출측벽(420)과 계류배출바닥(410) 타설 시, 내설되는 것으로, 고무와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노치부(440)는 노치(442)와 노치밀폐부(444)를 포함한다.
노치(442)는 배출공간부에 일정 높이로 돌출형성되게 계류배출바닥(410)에 타설되며, 양측단부가 해당 계류배출측벽(420)에 함께 타설된다.
또한 노치밀폐부(444)는 돌출된 노치(442)가 접하는 계류배출바닥(410)과 계류배출측벽(420)을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노치부(440)는 노치가이드(446)를 더 포함한다.
이 노치가이드(446)는 노치(442)의 상단부 중 하류측단부를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노치(442)를 넘어 흐르는 계류를 하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노치가이드(446)의 경사각도는 노치(442) 상면을 기준으로 60°로 형성되며, 노치(442) 두께의 80%로 형성된다.
이에, 노치부(440)를 넘어 이동되는 계류에 의해 물방석(14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계류유입부타설단계(S1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굴착단계(S11)와 유입다짐단계(S12), 계류유입받침부설치단계(S13), 계류유입몸체설치단계(S14), 계류유입턱설치단계(S15) 및 부유물차단부설치단계(S16)를 포함한다.
유입굴착단계(S11)는 사방댐(10)의 상류측 계류바닥을 굴착한다.
그리고 유입다짐단계(S12)는 굴착된 바닥을 다진다.
계류유입받침부설치단계(S13)는 유입다짐단계(S12)에서 다져진 부분 상측으로 계류유입받침부(330)를 형성한다.
또한, 계류유입몸체설치단계(S14)는 상면이 유로(11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계류유입받침부(330)의 상측으로 계류유입몸체(310)를 타설한다.
계류유입턱설치단계(S15)는 계류유입몸체(310)의 후단부와 양측단부에 계류유입턱(320)을 돌출 형성시키되, 양측단부는 몸체부(100)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부유물차단부설치단계(S16)는 유입유도공간부(322)로 부유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계류유입턱(320)의 상단부를 따라 부유물차단부(340)를 설치한다.
여기서, 계류유입몸체(310)와 계류유입턱(320)은 철근콘크리트슬래브로 제작되고, 계류유입받침부(330)는 버림콘크리트로 제작된다.
또한 계류배출부타설단계(S2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굴착단계(S21)와 배출다짐단계(S22), 계류배출밀폐부설치단계(S23), 계류배출받침부설치단계(S24), 계류배출바닥설치단계(S25) 및 계류배출측벽설치단계(S26)를 포함한다.
배출굴착단계(S21)는 사방댐(10)의 하류측 계류바닥을 굴착한다.
그리고 배출다짐단계(S22)는 굴착된 바닥을 다진다.
계류배출밀폐부설치단계(S23)는 계류배출부(400)가 설치될 사방댐(10)의 해당 부분에 계류배출밀폐부(450)를 설치한다.
또한 계류배출받침부설치단계(S24)는 배출다짐단계(S22)에서 다져진 저면에 계류배출받침부(430)를 형성한다.
계류배출바닥설치단계(S25)는 상면이 유로(11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계류배출받침부(430)의 상측으로 계류배출바닥(410)을 타설하되, 계류배출밀폐부(450)의 해당 부분이 내설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계류배출측벽설치단계(S26)는 계류배출바닥(410)의 양측단부에 계류배출측벽(420)을 형성시키되, 계류배출측벽(420)의 각 상측단부는 몸체부(100)와 일체로 형성되며, 계류배출밀폐부(450)의 해당 부분이 내설되도록 설치한다.
또한 계류배출밀폐부설치단계(S23)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계류배출밀폐홈형성단계(S231)와 계류밀폐판거치단계(S232) 및 밀폐충진부충진단계(S233)를 포함한다.
계류배출밀폐홈형성단계(S231)는 몸체부(100)에 계류배출밀폐홈(452)을 형성한다.
그리고 계류밀폐판거치단계(S232)는 계류배출밀폐홈(452)에 계류밀폐판(454)의 타단부를 삽입시켜 거치시킨다.
밀폐충진부충진단계(S233)는 계류밀폐판(454)이 삽입된 계류배출밀폐홈(452)에 밀폐충진부(456)를 충진시켜 고정시킨다.
여기서, 돌출된 계류밀폐판(454)의 일단부는 계류배출바닥설치단계(S25)와 계류배출측벽설치단계(S26) 시, 함께 타설된다.
그리고 노치부(440)는 하단부가 계류배출바닥설치단계(S25) 시, 계류배출바닥(410)에 내설되고, 양측단부는 계류배출측벽설치단계(S26) 시, 각 계류배출측벽(420)에 내설된다.
그리고 유량측정부(500)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량측정설치공간부(510)와 저수관(520), 수위측정센서(530) 및 계측기(540)를 포함한다.
유량측정설치공간부(510)는 몸체부(110)와 접하는 계류배출측벽(420)의 단부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저수관(520)은 유량측정설치공간부(510)에 구비되되, 하단부가 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계류가 채워지도록 형성된다.
이 저수관(520)은 계류 수위가 낮아질 경우, 채워진 계류가 빠져나감이 당연하다.
수위측정센서(530)는 저수관(520)에 채워진 계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계측기(540)는 수위측정센서(530)의 신호를 수신하여 계류의 수위를 계측한다.
이 수위측정센서(530)와 계측기(540)는 유선과 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 예로, 수위측정센서(530)와 계측기(540)가 유선으로 연결될 경우, 케이블(30)에 의해 연결되며, 케이블(30)을 설치하기 위한 케이블설치부(550)를 더 포함한다.
이 케이블설치부(550)는 케이블설치홈(552)과 케이블설치판(554) 및 설치판고정부재(556)를 포함한다.
케이블설치홈(552)은 몸체부(100)에 형성되어 케이블(30)이 내설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케이블설치판(554)은 케이블설치홈(552)을 폐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설치판고정부재(556)는 케이블설치판(554)을 몸체부(100)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유량측정부설치단계(S40)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량측정설치공간부형성단계(S41)와 저수관설치단계(S42), 수위측정센서설치단계(S43) 및 계측기설치단계(S44)를 포함한다.
유량측정설치공간부형성단계(S41)는 몸체부(100)와 접하는 계류배출측벽(420)의 단부를 따라 유량측정설치공간부(510)를 형성한다.
그리고 저수관설치단계(S42)는 유량측정설치공간부(510)에 내부에 계류가 채워지는 저수관(520)을 설치하되, 저수관(520)의 하단부는 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이에, 저면부로 계류가 출입된다.
수위측정센서설치단계(S43)는 저수관(520)에 채워진 계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측정센서(530)를 설치한다.
또한 계측기설치단계(S44)는 수위측정센서(530)의 신호를 수신하여 계류의 수위를 계측하기 위한 계측기(540)를 설치한다.
유량측정부설치단계(S40)는 케이블설치단계(S45)를 더 포함한다.
이 케이블설치단계(S45)는 수위측정센서(530)와 계측기(540)가 케이블(30)로 연결될 경우, 실시되는 것으로, 케이블(30)을 몸체부(100)에 설치한다.
이러한 케이블설치단계(S45)는 케이블설치홈형성단계(S451)와 케이블거치단계(S452) 및 케이블설치판고정단계(S453)를 포함한다.
케이블설치홈형성단계(S451)는 몸체부(100)에 케이블(30)이 내설되기 위한 케이블설치홈(552)을 형성한다.
그리고 케이블거치단계(S452)는 케이블설치홈(552)에 케이블(30)을 위치시킨다.
케이블설치판고정단계(S453)는 케이블(30)이 거치된 케이블설치홈(552)을 폐쇄시키도록 케이블설치판(554)을 덮어 고정시키는 것으로, 복수의 설치판고정부재(556)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 설치판고정부재(556)는 고정나사나 볼트이며, 케이블설치판(554)과 몸체부(100) 사이는 밀폐되는 것이 당연하다.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50)는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축벽부(600)를 더 포함한다.
이 축벽부(600)는 산림 계류가를 따라 설치된다.
이러한 축벽부(600)는 축벽기초(610)와 축벽받침부(620), 석재부(630) 및 뒷채움석(640)을 포함한다.
축벽기초(610)는 상면이 계류 바닥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도록 지중에 설치된다.
그리고 축벽받침부(620)는 축벽기초(610)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석재부(630)는 축벽기초(610)의 상측으로 복수 적층되어 계류가의 법면을 막기 위해 구비된다.
뒷채움석(640)은 법면에 접하는 인접한 두 개의 석재부(630) 사이에 채워져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축벽설치단계(S60)를 더 포함한다.
이 축벽설치단계(S60)는 산림 계류가를 따라 설치되는 축벽부(600)를 설치한다.
이러한 축벽설치단계(S60)는 축벽굴착단계(S61)와 축벽받침부설치단계(S62), 축벽기초설치단계(S63), 석재부적층단계(S64) 및 뒷채움석설치단계(S65)를 포함한다.
축벽굴착단계(S61)는 산림 계류가를 따라 굴착한다.
그리고 축벽받침부설치단계(S62)는 축벽굴착단계(S61)에서 굴착된 지중에 축벽받침부(620)를 설치한다.
축벽기초설치단계(S63)는 상면이 계류 바닥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도록 축벽받침부(620) 상측에 축벽기초(610)를 설치한다.
또한 석재부적층단계(S64)는 계류가의 법면이 무너지는것을 막기 위해 축벽기초(610)의 상측으로 복수의 석재부(630)를 적층시킨다.
뒷채움석설치단계(S65)는 석재부적층단계(S64) 시, 인접한 두 개의 석재부(630) 사이에 뒷채움석(640)을 채워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50)는 토사막이부(700)를 더 포함한다.
이 토사막이부(700)는 몸체부(100)의 상류 측에 구비되어 산림 계류를 따라 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토사막이부(700)는 토사막이기초(710)와 토사막이벽(720) 및 토사막이받침부(730)를 포함한다.
토사막이기초(710)는 산림 계류 지중의 신선암반(2)에 설치된다.
그리고 토사막이벽(720)은 계류를 막도록 토사막이기초(710)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토사막이받침부(730)는 토사막이기초(710)와 신선암반(2) 사이에 구비되어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토사막이벽(720)은 상류측면은 상하 직각면으로 형성되고, 하류측면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하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상류에서 쌓인 토사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토사막이부(700)는 토사막이밀폐부(740)를 더 포함한다.
이 토사막이밀폐부(740)는 토사막이벽(720)과 축벽부(600)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토사막이밀폐부(740)는 토사막이밀폐홈(742)과 토사막이밀폐판(744), 제1토사막이충진부(746) 및 제2토사막이충진부(748)를 포함한다.
토사막이밀폐홈(742)은 토사막이벽(720)에 형성된다.
그리고 토사막이밀폐판(744)은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타단부가 토사막이밀폐홈(742)에 삽입된다.
제1토사막이충진부(746)는 토사막이밀폐판(744)이 삽입된 토사막이밀폐홈(742)에 충진되어 토사막이밀폐판(744)을 밀폐고정시킨다.
또한 제2토사막이충진부(748)는 노출된 토사막이밀폐판(744)의 일단부와 축벽부(600) 사이에 충진된다.
이에, 계류가의 법면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계류가 외측으로 범람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갖는 사방댐 설치방법은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토사막이부설치단계(S70)를 더 포함한다.
이 토사막이부설치단계(S70)는 몸체부(100)의 상류 측에 토사막이부(700)를 설치하여 산림 계류를 따라 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토사막이부설치단계(S70)는 토사막이굴착단계(S71)와 토사막이받침부설치단계(S72), 토사막이기초설치단계(S73) 및 토사막이벽설치단계(S74)를 포함한다.
토사막이굴착단계(S71)는 산림 계류바닥을 굴착하여 신선암반(2)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토사막이받침부설치단계(S72)는 노출된 신선암반(2)에 토사막이받침부(730)를 타설한다.
토사막이기초설치단계(S73)는 토사막이받침부(730) 상측으로 토사막이기초(710)를 타설한다.
또한 토사막이벽설치단계(S74)는 계류를 막도록 토사막이기초(710)의 상측으로 토사막이벽(720)을 타설한다.
여기서, 토사막이부설치단계(S70)는 토사막이밀폐단계(S75)를 더 포함한다.
이 토사막이밀폐단계(S75)는 토사막이벽(720)과 축벽부(600)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토사막이밀폐단계(S75)는 토사막이밀폐홈형성단계(S751)와 토사막이밀폐판거치단계(S752), 제1토사막이밀폐단계(S753) 및 제2토사막이밀폐단계(S754)를 포함한다.
토사막이밀폐홈형성단계(S751)는 토사막이벽(720)에 토사막이밀폐홈(742)을 형성한다.
그리고 토사막이밀폐판거치단계(S752)는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토사막이밀폐판(744)의 타단부를 토사막이밀폐홈(742)에 삽입시킨다.
제1토사막이밀폐단계(S753)는 토사막이밀폐판(744)이 삽입된 토사막이밀폐홈(742)에 제1토사막이충진부(746)를 충진시켜 고정시킨다.
또한 제2토사막이밀폐단계(S754)는 노출된 토사막이밀폐판(744)의 일단부와 축벽부(600) 사이에 제2토사막이충진부(748)를 충진시켜 사이를 밀폐시킨다.
그리고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는 내부가이드부(150)를 더 포함한다.
내부가이드부(150)는 몸체부(100) 내부로 흡수되는 물을 집수하여 산림 계류의 중앙부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내부가이드부(150)는 몸체부(100)의 유로(110)를 기준으로, 양측방향에 각각 구비되되, 중앙부로 갈수록 햐류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또한 내부가이드부(150)는 하류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산림 계류 중 몸체부(100)의 내부로 흡수되는 물을 계류 주변 지중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시켜 유로(110)로 가이드함에 따라, 산림 계류의 유량을 유지시킴은 물론, 주변으로 흘러 지반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산림 유량을 모을 수 있어 산림 계류 유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산림 계류는 수중에 위치된 몸체부(100)의 내부로 흡수되는 것과 계류 지중으로 유입되어 흐르는 것이 흡수되는 것을 포함함은 물론, 계류로 모이는 물 역시 몸체부(100)로 흡수된다.
이 흡수된 계류를 내부가이드부(150)가 유로(110)로 가이드함에 따라,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내부가이드부(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 물을 용이하게 가이드한다.
그리고 내부가이드부(150)는 몸체부하단부타설단계(S311) 전에 내부가이드 거치단계(S314)에서 거치되며, 몸체부하단부타설단계(S311) 시, 함께 타설된다.
10 : 사방댐 50 : 유량측정장치
100 : 몸체부 110 : 유로
120 : 보조배출부 130 : 누수방지부
140 : 물방석
200 : 차단벽 300 : 계류유입부
310 : 계류유입몸체 320 : 계류유입턱
330 : 계류유입받침부 340 : 부유물차단부
400 : 계류배출부 410 : 계류배출바닥
420 : 계류배출측벽 430 : 계류배출받침부
440 : 노치부 450 : 계류배출밀폐부
500 : 유량측정부 510 : 유량측정설치공간부
520 : 저수관 530 : 수위측정센서
540 : 계측기 550 : 케이블설치부
600 : 축벽부 700 : 토사막이부

Claims (10)

  1. 유로를 갖는 사방댐의 상류측에 계류유입부를 설치하는 계류유입부타설단계;
    유로를 갖는 사방댐의 하류측에 계류배출부를 설치하는 계류배출부타설단계;
    상기 계류배출부타설단계 시, 상단부 중간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계류배출부에 노치부를 설치하는 노치부 설치단계; 및
    상기 사방댐에 유량측정부를 설치하는 유량측정부설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계류유입부타설단계는,
    상기 사방댐의 상류측 계류바닥을 굴착하는 유입굴착단계;
    굴착된 바닥을 다지는 유입다짐단계;
    상기 유입다짐단계에서 다져진 부분 상측으로 계류유입받침부를 형성하는 계류유입받침부설치단계;
    상면이 상기 유로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계류유입받침부의 상측으로 계류유입몸체를 타설하는 계류유입몸체설치단계;
    상기 계류유입몸체의 후단부와 양측단부에 계류유입턱을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유입유도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양측단부는 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계류유입턱설치단계; 및
    상기 유입유도공간부로 부유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계류유입턱의 상단부를 따라 부유물차단부를 설치하는 부유물차단부설치단계;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배출부타설단계는,
    상기 사방댐의 하류측 계류바닥을 굴착하는 배출굴착단계;
    굴착된 바닥을 다지는 배출다짐단계;
    상기 계류배출부가 설치될 사방댐의 해당 부분에 계류배출밀폐부를 설치하는 계류배출밀폐부설치단계;
    상기 배출다짐단계에서 다져진 저면에 계류배출받침부를 형성하는 계계류배출받침부설치단계;
    상면이 상기 유로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계류배출받침부의 상측으로 계류배출바닥을 타설하되, 상기 계류배출밀폐부의 해당 부분이 내설되도록 설치하는 계류배출바닥설치단계; 및
    상기 계류배출바닥의 양측단부에 계류배출측벽을 형성시키되, 계류배출측벽의 각 상측단부는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계류배출밀폐부의 해당 부분이 내설되도록 설치하는 계류배출측벽설치단계;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배출밀폐부설치단계는,
    상기 몸체부에 계류배출밀폐홈을 형성하는 계류배출밀폐홈형성단계;
    상기 계류배출밀폐홈에 계류밀폐판의 타단부를 삽입시켜 거치시키는 계류밀폐판거치단계; 및
    상기 계류밀폐판이 삽입된 계류배출밀폐홈에 밀폐충진부를 충진시켜 고정시키는 밀폐충진부충진단계;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는,
    하단부가 상기 계류배출바닥설치단계 시, 계류배출바닥에 내설되고, 양측단부는 상기 계류배출측벽설치단계 시, 각 계류배출측벽에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측정부설치단계는,
    상기 사방댐과 접하는 상기 계류배출측벽의 단부를 따라 유량측정설치공간부를 형성되는 유량측정설치공간부형성단계;
    상기 유량측정설치공간부에 내부에 계류가 채워지는 저수관을 설치하되, 저수관의 하단부는 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저수관설치단계;
    상기 저수관에 채워진 계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측정센서를 설치하는 수위측정센서설치단계; 및
    상기 수위측정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계류의 수위를 계측하기 위한 계측기를 설치하는 계측기설치단계;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측정센서와 계측기는 케이블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을 사방댐에 설치하는 케이블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설치단계는,
    상기 사방댐에 케이블이 내설되기 위한 케이블설치홈을 형성하는 케이블설치홈형성단계;
    상기 케이블설치홈에 케이블을 위치시키는 케이블거치단계; 및
    상기 케이블이 거치된 케이블설치홈을 폐쇄시키도록 케이블설치판을 덮어 고정시키는 케이블설치판고정단계;를 포함하는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84250A 2021-06-28 2021-06-28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 KR102632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250A KR102632009B1 (ko) 2021-06-28 2021-06-28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250A KR102632009B1 (ko) 2021-06-28 2021-06-28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426A KR20230001426A (ko) 2023-01-04
KR102632009B1 true KR102632009B1 (ko) 2024-02-01

Family

ID=84925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250A KR102632009B1 (ko) 2021-06-28 2021-06-28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0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3181A (ja) * 2004-07-08 2006-01-26 Aichi Tokei Denki Co Ltd 流量計
KR101941560B1 (ko) * 2018-03-27 2019-01-30 대한민국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3181A (ja) * 2004-07-08 2006-01-26 Aichi Tokei Denki Co Ltd 流量計
KR101941560B1 (ko) * 2018-03-27 2019-01-30 대한민국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426A (ko)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96572A (zh) 坝后设弃渣场的土石坝坝体渗流监测结构及其施工方法
HU226433B1 (en) Foundation slab of underground passage for road
KR102632009B1 (ko)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
KR101156873B1 (ko) 댐 마루 높임용 상부 구조물
CN110055929A (zh) 一种管道穿越软基河堤的施工方法
KR102632011B1 (ko)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갖는 사방댐 설치방법
KR102632008B1 (ko)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KR102632010B1 (ko)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갖는 사방댐
KR100433653B1 (ko)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시공방법
JP2717490B2 (ja) 単水路式魚道、呼び水式魚道及び全面式魚道
CN109281286B (zh) 一种山区消能导流渠的施工方法
JP6669435B2 (ja) 堰堤の構築方法及び堰堤
JP2007023687A (ja) 遊水池装置
KR102496880B1 (ko)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JP7073163B2 (ja) 盛土構造
CN218148496U (zh) 一种一体式带有过滤槽和排水沟的悬臂式挡墙
JP5263698B2 (ja) 雨水貯留施設
CN220665964U (zh) 一种沥青混凝土桥面铺装边缘带排水系统
CN214363523U (zh) 一种景区基坑支撑结构
CN212865948U (zh) 一种建设施工基坑支撑结构
KR20220067425A (ko)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CN220394422U (zh) 一种河道护岸结构及河道防护结构
JP2014009472A (ja) コンクリート製張出歩道構成体及び該構成体を用いた張出歩道を有する車道の建設方法
JP7311923B1 (ja) 水路
KR102496873B1 (ko)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