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560B1 -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 - Google Patents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560B1
KR101941560B1 KR1020180035315A KR20180035315A KR101941560B1 KR 101941560 B1 KR101941560 B1 KR 101941560B1 KR 1020180035315 A KR1020180035315 A KR 1020180035315A KR 20180035315 A KR20180035315 A KR 20180035315A KR 101941560 B1 KR101941560 B1 KR 101941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ground
small
fixed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훈
권헌각
신 김
김상훈
임태효
안정민
조영현
윤지훈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03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2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 G01C13/006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horizontal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Abstract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은, 소하천의 물이 일측으로 유입되되, 유입된 물이 유동되는 방향으로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서 유입된 물이 배출되고, 일측 또는 타측으로부터 직교되는 양 측면에 소정의 높이로 연장형성된 측면부재가 마련되는 퓰륨; 퓰륨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측면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되 접이식으로 마련되고, 소하천의 물의 유동 방향을 퓰륨의 일측으로 유도하는 날개; 및 날개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고, 날개에 삽입되되 날개를 통과한 단부가 소하천의 지면에 매설됨으로써, 퓰륨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며, 날개의 회전 각도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FIXED FLUMES FOR SMALL RIVER FIELD INVESTIGATION}
본 발명은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하천의 물의 수위를 측정하여 소하천의 미소유량을 산정하는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에 관한 것이다.
하천을 흐르는 물의 양과 공간, 시간적인 변화는 지표수공급과 수리구조물 설계에 중요하고 필요한 정보이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 중에서 가장 직접적인 것은 하천의 한 횡단면을 통과하는 단위시간에 대한 물의 양으로 정의되는 하천유량이다.
이러한 하천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계측기는 유속계이며, 유속계의 조작은 하천의 크기와 접근 용이도에 따라 도섭(하천 도보횡단), 교량, 보트, 케이블 등으로 달라지게 된다.
한편, 하천의 유량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유속면적법이 있다. 이러한 유속면적법은 유황이 일정하고 하상의 상태가 고른 지점을 선정하여 물이 흐르는 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하천의 양 끝을 로프로 고정하고 등간격으로 측정점을 정하게 된다. 그리고 통수단면을 여러 개의 소구간 단면으로 나누어 각 소구간 마다 수심 및 유속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 유속을 추정하고 소구간 단면의 평균유속 및 단면적을 구한 후 평균유속에 단면적을 곱하여 소구간의 유량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유속면적법은 하천의 유량을 측정하여 유역의 수위, 유량, 유사량, 하상의 변동 상황, 강수량, 유출량을 측정하여 하천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유속면적법을 이용한 하천의 유량조사는 수면 폭이 낮고 수심이 얕은 소하천의 미소유량을 정확히 산정하기가 어렵고, 종래의 유량산정 장비는 이러한 소하천의 현장에서 적용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어, 소하천의 현장에서 미소유량을 조사하는 대안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6909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소하천의 현장에서 적용 가능하며, 소하천의 물의 수위를 측정하여 소하천의 미소유량을 산정할 수 있는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은, 소하천의 미소유량을 산정하는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에 있어서, 소하천의 물이 일측으로 유입되되, 유입된 물이 유동되는 방향으로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서 유입된 물이 배출되고, 일측 또는 타측으로부터 직교되는 양 측면에 소정의 높이로 연장형성된 측면부재가 마련되는 퓰륨; 퓰륨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측면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되 접이식으로 마련되고, 소하천의 물의 유동 방향을 퓰륨의 일측으로 유도하는 날개; 및 날개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고, 날개에 삽입되되 날개를 통과한 단부가 소하천의 지면에 매설됨으로써, 퓰륨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며, 날개의 회전 각도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봉;을 포함한다.
그리고 날개는, 상부와 하부에 홈이 형성되되, 측면부재의 일측과 힌지결합되는 제1 피벗부가 타측에 마련되고, 제1 피벗부를 통해 측면부재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1 날개; 상부와 하부에 홈이 형성되되, 제1 날개의 타측에 대향된 제1 날개의 일측과 힌지결합되는 제2 피벗부가 타측에 마련되고, 제2 피벗부를 통해 제1 날개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 날개;일 수 있다.
또한, 고정봉은, 제1 피벗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되, 제1 피벗부를 통과한 단부가 지면에 매설됨으로써, 퓰륨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1 고정봉; 제2 피벗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되, 제2 피벗부를 통과한 단부가 지면에 매설됨으로써, 제1 날개의 회전 각도를 고정하는 제2 고정봉;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은, 소하천의 미소유량을 산정하는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에 있어서, 소하천의 물이 일측으로 유입되되, 유입된 물이 유동되는 방향으로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서 유입된 물이 배출되고, 일측 또는 타측으로부터 직교되는 양 측면에 소정의 높이로 연장형성된 측면부재가 마련되는 퓰륨; 퓰륨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측면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되 슬라이딩 방식으로 마련되고, 소하천의 물의 유동 방향을 퓰륨의 일측으로 유도하는 날개; 및 날개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고, 날개에 삽입되되 날개를 통과한 단부가 소하천의 지면에 매설됨으로써, 퓰륨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며, 날개의 회전 각도가 고정되도록 하고, 날개의 슬라이딩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고정봉;을 포함한다.
그리고 날개는, 일측의 상부와 하부에 홈이 형성되고,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 상부와 하부에 홈이 형성되되, 측면부재의 일측과 힌지결합되는 제1 피벗부가 타측에 마련되며, 제1 피벗부를 통해 측면부재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1 날개; 제1 날개의 일측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에 끼워질 타측에 타측과 대향되는 일측을 향해 이격되는 제1, 제2, 제3 관이 마련되고, 타측이 제1 날개의 일측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제1 날개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이 가능한 제2 날개;일 수 있다.
또한, 고정봉은, 제1 피벗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되, 제1 피벗부를 통과한 단부가 지면에 매설됨으로써, 퓰륨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1 고정봉, 제1 날개의 일측에 형성된 홈과 제1, 제2, 제3 관 중 적어도 하나의 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되, 홈과 관을 통과한 단부가 지면에 매설됨으로써, 제1 날개의 회전 각도가 고정되도록 하되, 제2 날개의 슬라이딩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제2 고정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소하천 현장조사용 고정형 퓰륨은 소하천의 미소유량을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어, 측정 자료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소하천 현장조사용 고정형 퓰륨은 종래의 유량산정 장비를 대신하여 소하천의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상세 구성요소, 상기 고정형 퓰륨이 소하천의 지면에 설치된 상태의 예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구성요소인 지지부, 제1 날개 및 제2 날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상세 구성요소, 상기 고정형 퓰륨이 소하천의 지면에 설치된 상태의 예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구성요소인 지지부, 제1 날개 및 제2 날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제1 날개, 제2 날개의 상세 구성요소 및 제1 날개의 회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제2 날개의 회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제1 고정봉과 제2 고정봉을 통해 제1 날개와 제2 날개의 회전 각도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날개의 슬라이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제1 날개, 제2 날개의 상세 구성요소 및 제2 날개가 제1 날개의 일측으로 최대한 슬라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제2 날개가 제1 날개의 타측으로 최대한 슬라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제 1 실시예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상세 구성요소, 상기 고정형 퓰륨이 소하천의 지면에 설치된 상태의 예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구성요소인 지지부, 제1 날개 및 제2 날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10)(이하에서는 '고정형 퓰륨'이라 한다.)은 물(B)의 수위를 측정할 소하천의 지면(A)에 설치되는 퓰륨(100), 소하천의 물(B)의 유동 방향이 퓰륨(100)을 향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날개(200), 소하천의 지면(A)에 퇴적된 돌 등의 퇴적물 또는 소하천의 물(B)에 의해 퓰륨(100)의 위치 및 날개(200)의 회전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봉(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수면 폭이 1m 이하이고, 수심은 0.15m 미만인 소하천의 미소유량을 산정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이러한 소하천의 수면 폭의 수치와 수심의 수치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퓰륨(100)은 소하천의 지면(A)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소하천의 지면(A)에 밀착되기 위해 소하천에 가라앉는 비중이 큰 재질인 스테인레스 강, 철, 납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퓰륨(100)의 재질은 하나의 실시예 일 뿐, 이를 한정하지 아니한다. 그리고 퓰륨(100)은 소하천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 센서(미도시)가 결합 될 수 있다.
한편, 퓰륨(100)은 소하천의 물(B)을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유입부(110), 유입부(110)에 유입된 물(B')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120), 유입부(110)와 배출부(1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유입부(110)는 소하천의 지면(A)과 밀착되는 제1 바닥부재(111), 유입된 물(B')의 유동을 위한 제1 측면부재(113)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바닥부재(111)는 물(B)이 유입되는 일측으로부터 내부에 유입된 물(B')이 유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지면(A)과 평행하는 수평 폭이 축소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면부재(113)는 제1 바닥부재(111)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측면부재(113)는 제1 바닥부재(111)와 동일하게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지면(A)과 평행하는 수평 폭이 축소될 수 있다.
제1 바닥부재(111)와 제1 측면부재(113)에 의해 유입부(110)의 일측에는 소하천의 물(B)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115)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20)는 소하천의 지면(A)과 밀착되는 제2 바닥부재(121), 유입부(110)에 유입된 물(B')의 유동을 위한 제2 측면부재(123)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바닥부재(121)는 제1 바닥부재(111)의 타측에서 상기 물(B')의 유동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으로부터 유입된 물(B')의 유동 방향으로 상기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지면(A)과 평행하는 수평 폭이 확대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부재(123)는 제2 바닥부재(121)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바닥부재(121)은 제2 바닥부재(121)와 동일하게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지면(A)과 평행하는 수평 폭이 확대될 수 있다.
제2 바닥부재(121)와 제2 측면부재(123)에 의해 배출부(120)의 타측에는 유입된 물(B')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구(1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물(B")은 유동 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유동 될 수 있다.
한편, 제1 바닥부재(111)와 제1 측면부재(113)의 수평 폭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축소되고, 제2 바닥부재(121)와 제2 측면부재(123)의 수평 폭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확대되는 것은, 유입부(110)에 유입되는 물(B')의 유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지지부(130)는 제1 측면부재(113)와 제2 측면부재(123)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부(131), 제2 지지부(133), 제3 지지부(135)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31)는 서로 대향하는 양 단부가 제1 측면부재(113)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어 제1 측면부재(113)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131)는 제1 측면부재(113)의 일측 간의 이격 간격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지지부(131)는 제1 측면부재(113)가 소하천의 물(B) 또는 유입된 물(B')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33)는 서로 대향하는 양 단부가 제1 측면부재(113)의 타측과 제2 측면부재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어 제1 측면부재(113)의 타측과 제2 측면부재(123)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133)는 제1 측면부재(113)의 타측 간의 이격 간격과 제2 측면부재(123)의 일측 간의 이격 간격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지지부(133)는 제1 측면부재(113)와 제2 측면부재(123)가 소하천의 물(B) 또는 유입된 물(B')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지지부(135)는 서로 대향하는 양 단부가 제2 측면부재(123)의 타측에 각각 결합되어 제2 측면부재(123)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지지부(135)는 제2 측면부재(123)의 타측 간의 이격 간격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 지지부(135)는 제2 측면부재(123)가 소하천의 물(B) 또는 유입된 물(B')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부(131), 제2 지지부(133), 제3 지지부(135)가 제1 측면부재(113)와 제2 측면부재(123)를 지지하는 위치는 소하천의 물(B)에 의해 쉽게 유동이 발생되는 유동 부분일 수 있다. 그리고 퓰륨(100)은 상기 지지를 통해 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퓰륨(100)의 구조가 견고해짐에 따라, 사용자는 소하천에서 미소유량을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측정 자료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날개(200)는 소하천의 물(B)의 유동 방향이 유입부(110)를 향하도록 유도하는 부재이고, 퓰륨(100)과 동일하게 스테인레스 강, 철, 납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날개(100)의 재질은 하나의 실시예일 뿐, 이를 한정하지 아니한다.
여기서, 날개(200)는 소하천의 물(B)의 유동 방향이 유입부(110)를 향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제1 날개(210), 제2 날개(220)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날개(210)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마련되는 부재로서, 일측이 제2 날개(220)와 힌지결합될 수 있고, 상기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이 제1 측면부재(113)의 일측과 힌지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날개(210)는 제1 측면부재(113)의 일측과 힌지결합을 위한 제1 피벗부(211)가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피벗부(211)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후술될 제1 고정봉(310)이 수직방향으로 삽입될 제1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날개(220)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마련되는 부재로서, 타측이 제1 날개(210)의 일측과 힌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날개(220)는 제1 날개(210)의 일측과 힌지결합을 위한 제2 피벗부(221)가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피벗부(221)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후술될 제2 고정봉(320)이 수직방향으로 삽입될 제2 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는 퓰륨(100)과 제1 날개(210)가 힌지결합되고, 제1 날개(210)와 제2 날개(220)가 힌지결합된다고 설명하였으나, 퓰륨(100), 제1 날개(210), 제2 날개(220)가 각각 탈부착 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고정봉(300)은 퓰륨(100)을 소하천의 지면(A)에 고정하고, 제1 날개(210)의 회전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로서, 퓰륨(100)을 소하천의 지면(A)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봉(310), 제1 날개(210)의 회전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봉(320)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 고정봉(310)은 지면(A)에 용이하게 매립되도록, 뾰족한 형상을 가지는 제1 단부(315)가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봉(320)은 지면(A)에 용이하게 매립되도록, 뾰족한 형상을 가지는 제2 단부(325)가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의 구성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상세 구성요소, 상기 고정형 퓰륨이 소하천의 지면에 설치된 상태의 예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구성요소인 지지부, 제1 날개 및 제2 날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퓰륨(20)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고정형 퓰륨(10)과 동일하게 퓰륨(100), 날개(200), 고정봉(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의 퓰륨(1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2 실시예의 퓰륨(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제1 날개(21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타측에 제1 피벗부(211)가 마련되고, 제1 피벗부(211)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제1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날개(210)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일측의 상부와 하부에 제3 홈(2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제2 날개(220)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제1 날개(210)의 일측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에 끼워지게 될 타측에 상기 타측과 대향되는 일측을 향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관(223)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관(223)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제1 관(223a), 제2 관(223b), 제3 관(223c)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관(223)은 이보다 적게 마련되거나 많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고정봉(310)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퓰륨(100)을 소하천의 지면(A)에 고정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제2 고정봉(320)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날개(210)의 회전 각도를 고정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2 고정봉(320)은 제1 날개(210)의 회전 각도를 고정할 뿐만 아니라, 제2 날개(220)의 슬라이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동작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제1 날개, 제2 날개의 상세 구성요소 및 제1 날개의 회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제2 날개의 회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7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제1 고정봉과 제2 고정봉을 통해 제1 날개와 제2 날개의 회전 각도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의 제1 날개(210)의 회전 과정, 제2 날개(220)의 회전 과정, 제1 고정봉(310)을 이용한 퓰륨(100)의 고정 과정, 제2 고정봉(320)을 이용한 제1 날개(210)의 회전 각도 고정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날개(210)를 제1 측면부재(113)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날개(220)를 제1 날개(210)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의 날개(200)는 회전을 통해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접이식인 제1 날개(210)와 제2 날개(220)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편리하게 고정형 퓰륨(10)의 보관 및 휴대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날개(210)와 제2 날개(220)의 회전 각도의 조절을 통해 불규칙한 소하천의 지면(A)에 고정형 퓰륨(1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날개(210)와 제2 날개(220)의 회전 각도의 조절을 통해 소하천의 물(B)의 유동 방향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날개(210)와 제2 날개(220)가 각각 다른 회전 각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1 날개(210)와 제2 날개(220)를 통해 물의 유동 방향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퓰륨(100)을 소하천의 지면(A)에 안착시킨 후에 제1 고정봉(310)을 제1 피벗부(211)의 상부에 형성된 제1 홈(212)에 수직방향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단부(315)는 제1 피벗부(211)의 하부에 형성된 제1 홈(212)을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부(315)는 사용자에 의해 소하천의 지면(A)에 매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퓰륨(100)은 소하천의 물(B)에 유동되지 않게 소하천의 지면(A)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제2 고정봉(320)을 제2 피벗부(221)의 상부에 형성된 제2 홈(222)에 수직방향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단부(325)는 제2 피벗부(221)의 하부에 형성된 제2 홈(222)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부(325)는 사용자에 의해 소하천의 지면(A)에 매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날개(210)는 회전 각도가 고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지만, 고정봉(300)은 제1 날개(210)의 회전 각도 뿐만 아니라, 제2 날개(220)의 회전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봉(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날개(22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봉(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는 별도의 피벗부(미도시)이 마련되거나, 별도의 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 2 실시예의 동작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날개의 슬라이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제1 날개, 제2 날개의 상세 구성요소 및 제2 날개가 제1 날개의 일측으로 최대한 슬라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의 제2 날개가 제1 날개의 타측으로 최대한 슬라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의 제1 고정봉(310)을 이용한 퓰륨(100)의 고정 과정, 제2 고정봉(320)을 이용한 제1 날개(210)의 회전 각도 고정 과정, 제2 날개(220)의 슬라이딩 과정, 제2 고정봉(320)을 이용한 제2 날개(220)의 슬라이딩 간격 조절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제2 실시예의 제1 날개(210)와 제2 날개(220)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슬라이딩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소하천의 지면(A)에 퓰륨(100)을 안착시킨 후에 제1 고정봉(310)을 이용하여 퓰륨(100)을 소하천의 지면(A)에 고정시킬 수 있다.
퓰륨(100)이 제1 고정봉(310)을 통해 소하천의 지면(A)에 고정되면, 사용자는 제2 날개(220)의 타측을 제1 날개(210)의 일측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에 끼움시킨다. 이를 위해, 제1 날개(210)의 높이와 제2 날개(220)의 높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할 수 있다. 한편, 퓰륨(100)을 소하천의 지면(A)에 고정시킨 후에 제2 날개(220)를 제1 날개(210)에 끼움시킨다고 설명한 것과 달리, 사용자는 퓰륨(100)을 소하천의 지면(A)에 안착시키기 전에 제2 날개(220)를 제1 날개(210)에 끼움시킬 수 있다.
제2 날개(220)의 타측이 제1 날개(210)의 일측에 끼워지면, 사용자는 제1 날개(21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제3 홈(213)과 제1 관(223a), 제2 관(223b), 제3 관(223c) 중 적어도 하나의 관이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제2 날개(220)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a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홈(213)과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시킬 관(223)을 제1 관(223a)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3 홈(213)과 제1 관(223a)이 제2 날개(220)의 슬라이딩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되면, 사용자는 제2 고정봉(320)을 홈(213)과 제1 관(223a)에 수직방향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제2 단부(325)는 홈(213)과 제1 관(223a)을 통과하여 사용자에 의해 소하천의 지면(A)에 매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날개(210)의 회전 각도는 소하천의 물(B)에 유동되지 않게 고정될 수 있고, 제2 날개(220)는 제3 홈(213)과 제1 관(223a)이 수직방향으로 평행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9b는 제3 홈(213)과 제3 관(223c)이 제2 날개(220)의 슬라이딩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홈(213)과 제3 관(223c)을 통과한 제2 단부(325)가 사용자에 의해 소하천의 지면(A)에 매립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통해, 제2 날개(220)는 제3 홈(213)과 제3 관(223c)이 수직방향으로 평행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제1 실시예의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
20: 제2 실시예의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
100: 퓰륨,
110: 유입부,
111: 제1 바닥판,
113: 제1 측면부재,
115: 유입구,
120: 배출부,
121: 제2 바닥판,
123: 제2 측면부재,
125: 배출구,
130: 지지부,
131: 제1 지지부,
133: 제2 지지부,
135: 제3 지지부,
200: 날개,
210: 제1 날개,
211: 제1 피벗부,
212: 제1 홈,
213: 제3 홈,
220: 제2 날개,
221: 제2 피벗부,
222: 제2 홈,
223: 관,
223a: 제1 관,
223b: 제2 관,
223c: 제3 관,
300: 고정봉,
310: 제1 고정봉,
315: 제1 단부,
320: 제2 고정봉,
325: 제2 단부,
A: 지면,
B, B', B": 물.

Claims (6)

  1. 소하천의 미소유량을 산정하는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에 있어서,
    상기 소하천의 물이 일측으로 유입되되, 상기 유입된 물이 유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서 상기 유입된 물이 배출되고, 상기 일측 또는 상기 타측으로부터 직교되는 양 측면에 소정의 높이로 연장형성된 측면부재가 마련되는 퓰륨;
    상기 퓰륨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상기 측면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되 접이식으로 마련되고, 상기 소하천의 물의 유동 방향을 상기 퓰륨의 일측으로 유도하는 날개; 및
    상기 날개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날개에 삽입되되 상기 날개를 통과한 단부가 상기 소하천의 지면에 매설됨으로써, 상기 퓰륨이 상기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날개의 회전 각도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봉;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는,
    상부와 하부에 홈이 형성되되, 상기 측면부재의 일측과 힌지결합되는 제1 피벗부가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피벗부를 통해 상기 측면부재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1 날개; 및
    상부와 하부에 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 날개의 타측에 대향된 상기 제1 날개의 일측과 힌지결합되는 제2 피벗부가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피벗부를 통해 상기 제1 날개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 날개;이며,
    상기 고정봉은,
    상기 제1 피벗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되, 상기 제1 피벗부를 통과한 단부가 상기 지면에 매설됨으로써, 상기 퓰륨이 상기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1 고정봉; 및
    상기 제2 피벗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되, 상기 제2 피벗부를 통과한 단부가 상기 지면에 매설됨으로써, 상기 제1 날개의 회전 각도를 고정하는 제2 고정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
  2. 삭제
  3. 삭제
  4. 소하천의 미소유량을 산정하는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에 있어서,
    상기 소하천의 물이 일측으로 유입되되, 상기 유입된 물이 유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서 상기 유입된 물이 배출되고, 상기 일측 또는 상기 타측으로부터 직교되는 양 측면에 소정의 높이로 연장형성된 측면부재가 마련되는 퓰륨;
    상기 퓰륨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상기 측면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되 슬라이딩 방식으로 마련되고, 상기 소하천의 물의 유동 방향을 상기 퓰륨의 일측으로 유도하는 날개; 및
    상기 날개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날개에 삽입되되 상기 날개를 통과한 단부가 상기 소하천의 지면에 매설됨으로써, 상기 퓰륨이 상기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날개의 회전 각도가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날개의 슬라이딩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고정봉;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는,
    일측의 상부와 하부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 상부와 하부에 홈이 형성되되, 상기 측면부재의 일측과 힌지결합되는 제1 피벗부가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피벗부를 통해 상기 측면부재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1 날개; 및
    상기 제1 날개의 일측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에 끼워질 타측에 상기 타측과 대향되는 일측을 향해 이격되는 제1, 제2, 제3 관이 마련되고, 상기 타측이 상기 제1 날개의 일측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1 날개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이 가능한 제2 날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은,
    상기 제1 피벗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되, 상기 제1 피벗부를 통과한 단부가 상기 지면에 매설됨으로써, 상기 퓰륨이 상기 지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1 고정봉; 및
    상기 제1 날개의 일측에 형성된 홈과 상기 제1, 제2, 제3 관 중 적어도 하나의 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되, 상기 홈과 상기 관을 통과한 단부가 상기 지면에 매설됨으로써, 상기 제1 날개의 회전 각도가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제2 날개의 슬라이딩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제2 고정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
KR1020180035315A 2018-03-27 2018-03-27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 KR101941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315A KR101941560B1 (ko) 2018-03-27 2018-03-27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315A KR101941560B1 (ko) 2018-03-27 2018-03-27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560B1 true KR101941560B1 (ko) 2019-01-30

Family

ID=6527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315A KR101941560B1 (ko) 2018-03-27 2018-03-27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56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4255A (zh) * 2019-12-20 2020-04-21 浙江大学 一种旋转平台河口羽流试验装置及方法
KR102257847B1 (ko) * 2021-01-22 2021-05-28 대한민국 유량 측정장치
KR20220067421A (ko) * 2020-11-17 2022-05-24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KR20220067423A (ko) * 2020-11-17 2022-05-24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KR20230001434A (ko) * 2021-06-28 2023-01-04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갖는 사방댐 설치방법
KR20230001426A (ko) * 2021-06-28 2023-01-04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
KR20230001422A (ko) * 2021-06-28 2023-01-04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KR20230001430A (ko) * 2021-06-28 2023-01-04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갖는 사방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9090B1 (ko) 1994-06-02 1999-03-30 남상용 하천 유량 측정 장치 및 방법
US7425105B2 (en) * 2005-03-30 2008-09-16 Larry Eugene Grimes Overside drain system for roadways and like surface areas
KR100901210B1 (ko) * 2007-10-31 2009-06-08 한국광해관리공단 휴폐광산유출수 유량측정을 위한 휴대용 유도수로
KR101832275B1 (ko) * 2017-10-31 2018-03-02 대한민국 개방식 수로의 유량 측정 웨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9090B1 (ko) 1994-06-02 1999-03-30 남상용 하천 유량 측정 장치 및 방법
US7425105B2 (en) * 2005-03-30 2008-09-16 Larry Eugene Grimes Overside drain system for roadways and like surface areas
KR100901210B1 (ko) * 2007-10-31 2009-06-08 한국광해관리공단 휴폐광산유출수 유량측정을 위한 휴대용 유도수로
KR101832275B1 (ko) * 2017-10-31 2018-03-02 대한민국 개방식 수로의 유량 측정 웨어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4255A (zh) * 2019-12-20 2020-04-21 浙江大学 一种旋转平台河口羽流试验装置及方法
KR102496884B1 (ko) * 2020-11-17 2023-02-07 대한민국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KR20220067421A (ko) * 2020-11-17 2022-05-24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KR20220067423A (ko) * 2020-11-17 2022-05-24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KR102496880B1 (ko) * 2020-11-17 2023-02-07 대한민국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KR102257847B1 (ko) * 2021-01-22 2021-05-28 대한민국 유량 측정장치
KR20230001434A (ko) * 2021-06-28 2023-01-04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갖는 사방댐 설치방법
KR20230001426A (ko) * 2021-06-28 2023-01-04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
KR20230001422A (ko) * 2021-06-28 2023-01-04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KR20230001430A (ko) * 2021-06-28 2023-01-04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갖는 사방댐
KR102632008B1 (ko) * 2021-06-28 2024-02-01 대한민국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KR102632009B1 (ko) * 2021-06-28 2024-02-01 대한민국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
KR102632010B1 (ko) * 2021-06-28 2024-02-02 대한민국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갖는 사방댐
KR102632011B1 (ko) 2021-06-28 2024-02-02 대한민국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갖는 사방댐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560B1 (ko) 소하천 현장조사를 위한 고정형 퓰륨
Buchanan et al. Discharge measurements at gaging stations
KR101186138B1 (ko) 호안안정성 평가를 위한 시험수로 장치
CN110726441B (zh) 河流流量的高精度检测设备
KR20100096258A (ko) 다중-성분 유동 내 일 성분의 밀도 결정 방법 및 장치
Brock Development of roll waves in open channels
CN109029646A (zh) 明渠流量计精度检测装置
CN209102068U (zh) 一种建筑墙体垂直度检测装置
Gottifredi et al. The growth of short waves on liquid surfaces under the action of a wind
Palmer et al. Adaptation of Venturi flumes to flow measurements in conduits
KR101310447B1 (ko) 유량측정장치
KR200425372Y1 (ko) 역(逆)사이펀 원리를 이용한 개수로(開水路)의유량측정장치
CN205539025U (zh) 一种浮筒式明渠流速仪架立装置
Cole Pitot-tube practice
CN112305261A (zh) 一种垂线平均流速测量方法
Plate et al. A note on the celerity of wind waves on a water current
Carlsson et al. Fibre orientation measurements near a headbox wall
CN218782294U (zh) 一种测河道流速和水流方向的装置
Tariq et al. Deflecting velocity rod for flow measurements in small channels
CN218848172U (zh) 一种用于安装水平adcp的滑筒
CN217782281U (zh) 一种市政排水管道中安装监测设备的装置
KR100525789B1 (ko) 시계 저울 유량계
FI105290B (fi) Virtaamamittari
CN115096379A (zh) 一种渠道的量测水系统
CN214066215U (zh) 一种流量计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