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873B1 -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873B1
KR102496873B1 KR1020200154093A KR20200154093A KR102496873B1 KR 102496873 B1 KR102496873 B1 KR 102496873B1 KR 1020200154093 A KR1020200154093 A KR 1020200154093A KR 20200154093 A KR20200154093 A KR 20200154093A KR 102496873 B1 KR102496873 B1 KR 102496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forest
flow path
flow
no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7420A (ko
Inventor
최형태
임홍근
양현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154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873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02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wherein the flow is in an open chann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28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stationary measuring chambers having constant volume during measur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림유량 측정시스템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림 계류가 통과되도록 유로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계류를 차단시켜 상기 몸체부의 유로로 계류를 유도하기 위한 차단벽, 상기 몸체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계류가 넘어서 이동되는 노치부,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계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산림에 비 올때는 물론, 비 오지 않을때에도 계류의 수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Forest flow measuring device of water gate type}
본 발명은 유량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림 계류를 저장시키되, 일정 수위이상일 경우, 하류로 이동됨에 따라, 일정 수량을 유지시킴은 물론, 월류되는 량을 측정할 수 있어 정밀한 측정에 의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소하천의 유량측정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산림 수자원의 유량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여기서, 산림의 수자원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중 현재 전국의 산촌에서 진행되고 있는 숲 가꾸기 등 수원 함양 사업 추진 정책을 통해 효율적인 수원함양림의 조성 및 관리지침을 제공하기 위하여 산림수자원 특성 구명 및 데이터 베이스(DB)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때문에 산림수자원 특성 구명 및 데이터 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산림유량 관측 시설을 설치하여 수자원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역 특성에 따른 유출량을 산출하고 있다.
종래 간이 유량측정 장치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9034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유수로패널과 위어판을 설치하여 월류되는 순간의 수위를 측정하여 용이한 관리를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간이 유량측정 장치는 노치가 형성된 보가 설치된 곳에서만 사용가능한 것으로, 해당 지역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이 떨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간이 유량측정 장치는 장기간 설치되되, 보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 아님에 따라, 증가한 유량에 의해 위치가 변동되거나 유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어 수위를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산림의 경우, 계류의 경사가 급해 비가와도 급속히 하류로 이동됨에 따라, 설치된 유량측정 장치의 유실 가능성이 더욱 높으며, 계류의 주변 및 지중으로 흐르는 물이 많아 간이 유량측정 장치를 견고하게 설치하더라도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풍수기는 물론, 갈수기에도 산림의 계류에 대한 수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산림 계류가 통과되도록 유로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계류를 차단시켜 상기 몸체부의 유로로 계류를 유도하기 위한 차단벽, 상기 몸체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계류가 넘어서 이동되는 노치부,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계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측정부,를 포함하여 산림에 비 올때는 물론, 비 오지 않을때에도 계류의 수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산림 계류가 통과되도록 유로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계류를 차단시켜 상기 몸체부의 유로로 계류를 유도하기 위한 차단벽, 상기 몸체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계류가 넘어서 이동되는 노치부,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계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측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하류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계류가 하류쪽으로 이동되도록 중앙부와 일측부에 형성되는 제1유로와 구획벽에 의해 상기 제1유로와 구획되어 타측부에 형성되는 제2유로를 갖는 유로,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를 통해 계류를 하류쪽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계류에 의해 계류바닥에 소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방석,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는, 상기 산림 계류 지중의 신선암반에 타설된다.
또한, 상기 제2유로의 폭은 상기 제1유로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의 저면은 상기 제1유로의 저면보다 낮게 형성되어 산림 계류가 상기 제2유로를 통해 하류로 이동되되, 수위가 올라갈 경우, 제1유로와 함께 하류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유량측정부는, 상기 구획벽의 상류에 위치되어 하단부가 폐쇄되고,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계류가 채워지는 저수관, 상기 저수관을 보호하기 위해 감싸도록 상기 구획벽에 구비되되, 하단부가 저수관의 하단부보다 높게 형성되는 보호캡, 상기 보호캡의 하측으로 위치된 저수관의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어 계류가 유입되기 위한 유량유입구, 상기 저수관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저수관덮개, 및 상기 저수관에 채워진 계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계측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노치부는, 상기 배출구에 일정 높이로 돌출형성되게 상기 몸체부에 타설되는 노치, 및 돌출된 상기 노치와 상기 몸체부가 접하는 부분을 밀폐시키도록 노치밀폐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노치의 상단부 후단부를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노치를 넘어 흐르는 계류를 하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노치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노치가이드의 경사각도는 노치 상면을 기준으로 60ㅀ이다.
그리고 상기 노치가이드는 노치 두께의 80%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로 부유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유물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로 부유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유물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유물차단부는, 상기 배출구의 후측으로 구비되어 부유물차단프레임, 및 상기 부유물차단프레임에 구비되어 부유물이 걸리기 위한 부유물차단망,을 포함한다.
그리고 산림 계류가를 따라 설치되는 측벽,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단벽은, 상기 몸체부의 양측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계류가 흐르는 방향과 직교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벽은, 상기 몸체부의 양측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계류를 상기 유로로 가이드하도록 계류 흐르는 방향과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신선암반에 타설된 상기 몸체부의 상류 하단부를 따라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누수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누수방지부는, 진흙으로 충진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내부로 흡수되는 물을 집수하여 상기 산림 계류의 중앙부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내부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방향에 각각 구비되되, 중앙부로 갈수록 햐류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부가이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에 의하면, 산림에 비 올때는 물론, 비 오지 않을때에도 계류의 수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측정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측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가이드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측정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측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가이드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10)는 몸체부(100)와 차단벽(200), 노치부(300) 및 유량측정부(40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산림 계류가 통과되도록 유로(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차단벽(200)은 계류를 차단시켜 몸체부(100)의 유로(110)로 계류를 유도하기 위해 구비된다.
노치부(300)는 몸체부(100)의 유로(110) 저면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계류가 넘어서 이동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유량측정부(400)는 몸체부(100)에 구비되어 계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10)에 의하면, 산림 계류의 수위를 일정량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우천 시, 계류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에, 중류나 하류에 대한 수위와 유속 등을 제어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이를 위한, 몸체부(100)는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110)와 배출구(120) 및 물방석(130)을 포함한다.
먼저, 유로(110)는 제1유로(112)와 제2유로(114)를 포함한다.
제1유로(112)는 계류 지중의 신선암반(2)에 타설되며, 하류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계류가 하류쪽으로 이동되도록 중앙부와 일측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유로(114)는 구획벽(116)에 의해 제1유로(112)와 구획되어 타측부에 형성되되, 저면이 제1유로(112)의 저면보다 낮게 형성된다.
여기서, 계류의 수량이 일정 기준보다 적을 경우, 제2유로(114)를 통해 하류로 이동되며, 일정 기준 이상이 될 경우, 제1유로(112)도 함께 계류가 하류로 이동된다.
또한 배출구(120)는 제1유로(112)와 제2유로(114)를 통해 계류를 하류쪽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물방석(130)은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계류에 의해 계류바닥에 소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유량측정부(4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관(410)과 보호캡(420), 유량유입구(430), 저수관덮개(440) 및 계측기(450)를 포함한다.
저수관(410)은 구획벽(116)의 상류에 위치되어 하단부가 폐쇄되고,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계류가 채워진다.
또한 보호캡(420)은 저수관(410)을 보호하기 위해 감싸도록 구획벽(116)에 구비되되, 하단부가 저수관(410)의 하단부보다 높게 형성된다.
유량유입구(430)는 보호캡(420)의 하측으로 위치된 저수관(410)의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어 계류가 유입되기 위해 구입된다.
그리고 저수관덮개(440)는 저수관(410)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계측기(450)는 저수관(410)에 채워진 계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계류가 제2유로(114)만 이동될 경우만 아니라, 제1유로(112)와 함께 이동될 경우도,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유량유입구(430)를 부유물이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유물차단부(600)이 더 포함된다.
이 부유물차단부(600)는 부유물차단프레임(610)과 부유물차단망(620)을 포함한다.
부유물차단프레임(610)은 유량유입구(430)를 감싸되,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부유물차단망(620)은 부유물차단프레임(610)에 구비되어 부유물이 걸리기 위해 구비된다.
이 부유물차단망(620)은 유량유입구(430)의 상류방향인 부유물차단프레임(6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하측단에도 형성되어 유량유입구(430)의 하단부로 이동되는 부유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도 있다.
이에, 부유물이 유량측정부(400)를 막아 유량 측정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차단벽(200)은 몸체부(100)의 양측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계류가 흐르는 방향과 직교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차단벽(200)은 몸체부(100)의 양측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계류를 유로(110)로 가이드하도록 계류 흐르는 방향과 경사지게 형성된다.
각 실시 예의 차단벽(200)은 해당 계류의 수량이나 폭 등에 의해 가장 좋은 방법으로 설치됨에 당연하다.
그리고 산림 계류가를 따라 측벽(3)을 설치하여 계류가 몸체부(100)로 집수시켜 정밀한 수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산림 유량측정장치(10)의 노치부(30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노치(310)와 노치밀폐부(320)를 포함한다.
노치(310)는 유로(110)에 일정 높이로 돌출형성되게 몸체부(100)의 내부에 타설되는 것으로, 해당 몸체부(100)의 설치 시, 함께 설치된다.
그리고 노치밀폐부(320)는 돌출된 노치(310)와 몸체부(100)가 접하는 부분을 밀폐시킨다.
이 노치밀폐부(320)는 에폭시를 이용하여 혹시 몸체부(100)에 침투된 물이 하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노치부(300)는 노치가이드(330)를 더 포함한다.
이 노치가이드(330)는 노치(310)의 상단부 후단부를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노치(310)를 넘어 흐르는 계류를 하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노치가이드(330)의 경사각도는 노치(310) 상면을 기준으로 60ㅀ로 형성되며, 노치(310) 두께의 80%로 형성된다.
이에, 노치부(300)를 넘어 이동되는 계류에 의해 물방석(13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실시 예의 산림유량 측정시스템은 누수방지부(700)를 더 포함한다.
이 누수방지부(700)는 신선암반(2)에 타설된 몸체부(100)의 상류 하단부를 따라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누수방지부(700)는 진흙으로 충진되어 내부에 기포층을 최소화시켜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는, 각 유량측정부(400)를 통해 해당 계류의 정밀한 수량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로(110)로 부유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유물차단부(미 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 부유물차단부는 부유물차단프레임과 부유물차단망을 포함한다.
부유물차단프레임은 해당 유로(112, 114)의 후측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계류의 상류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부유물차단망은 부유물차단프레임에 구비되어 부유물이 걸리기 위해 구비된다.
이 부유물차단망은 부유물차단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하측단에도 형성되어 수중으로 이동되는 부유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도 있다.
이에, 부유물이 해당 유로(112, 11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는 내부가이드부(150)를 더 포함한다.
내부가이드부(150)는 몸체부(100) 내부로 흡수되는 물을 집수하여 산림 계류의 중앙부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내부가이드부(150)는 몸체부(10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방향에 각각 구비되되, 중앙부로 갈수록 햐류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이에, 산림 계류 중 몸체부(100)의 내부로 흡수되는 물을 계류 주변 지중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시켜 계류로 가이드함에 따라, 산림 계류의 유량을 유지시킴은 물론, 주변으로 흘러 지반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산림 계류는 수중에 위치된 몸체부(100)의 내부로 흡수되는 것과 계류 지중으로 유입되어 흐르는 것이 흡수되는 것을 포함함은 물론, 계류로 모이는 물 역시 몸체부(100)로 흡수된다.
이와 같은, 내부가이드부(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 물을 용이하게 가이드한다.
100 : 몸체부 200 : 차단벽
300 : 노치부 310 : 노치
320 : 노치밀폐부 330 : 노치가이드
400 : 유량측정부
410 : 저수관 420 : 보호캡
430 : 유량유입구 440 : 저수관덮개
450 : 계측기 600 : 부유물차단부

Claims (10)

  1. 산림 계류가 통과되도록 유로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산림 계류를 차단시켜 상기 몸체부의 유로로 계류를 유도하기 위한 차단벽;
    상기 몸체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계류가 넘어서 이동되는 노치부;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계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하류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계류가 하류쪽으로 이동되도록 중앙부와 일측부에 형성되는 제1유로와 구획벽에 의해 상기 제1유로와 구획되어 타측부에 형성되는 제2유로를 갖는 유로;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를 통해 계류를 하류쪽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계류에 의해 계류바닥에 소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방석;을 포함하며,
    상기 유량측정부는,
    상기 구획벽의 상류에 위치되어 하단부가 폐쇄되고,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계류가 채워지는 저수관;
    상기 저수관을 보호하기 위해 감싸도록 상기 구획벽에 구비되되, 하단부가 저수관의 하단부보다 높게 형성되는 보호캡;
    상기 보호캡의 하측으로 위치된 저수관의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어 계류가 유입되기 위한 유량유입구;
    상기 저수관의 개방된 상단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저수관덮개; 및
    상기 저수관에 채워진 계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계측기;를 포함하는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는,
    상기 산림 계류 지중의 신선암반에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의 폭은 상기 제1유로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의 저면은 상기 제1유로의 저면보다 낮게 형성되어 산림 계류가 상기 제2유로를 통해 하류로 이동되되, 수위가 올라갈 경우, 제1유로와 함께 하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는,
    상기 배출구에 일정 높이로 돌출형성되게 상기 몸체부에 타설되는 노치; 및
    돌출된 상기 노치와 상기 몸체부가 접하는 부분을 밀폐시키도록 노치밀폐부;를 포함하는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로 부유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유물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차단부는,
    상기 배출구의 후측으로 구비되어 부유물차단프레임; 및
    상기 부유물차단프레임에 구비되어 부유물이 걸리기 위한 부유물차단망;을 포함하는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림 계류가를 따라 설치되는 측벽;을 더 포함하는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9. 산림 계류가 통과되도록 유로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산림 계류를 차단시켜 상기 몸체부의 유로로 계류를 유도하기 위한 차단벽;
    상기 몸체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계류가 넘어서 이동되는 노치부;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계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하류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계류가 하류쪽으로 이동되도록 중앙부와 일측부에 형성되는 제1유로와 구획벽에 의해 상기 제1유로와 구획되어 타측부에 형성되는 제2유로를 갖는 유로;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를 통해 계류를 하류쪽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계류에 의해 계류바닥에 소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방석;을 포함하며,
    상기 노치부는,
    상기 배출구에 일정 높이로 돌출형성되게 상기 몸체부에 타설되는 노치; 및
    돌출된 상기 노치와 상기 몸체부가 접하는 부분을 밀폐시키도록 노치밀폐부;를 포함하는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10. 산림 계류가 통과되도록 유로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산림 계류를 차단시켜 상기 몸체부의 유로로 계류를 유도하기 위한 차단벽;
    상기 몸체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계류가 넘어서 이동되는 노치부;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계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하류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계류가 하류쪽으로 이동되도록 중앙부와 일측부에 형성되는 제1유로와 구획벽에 의해 상기 제1유로와 구획되어 타측부에 형성되는 제2유로를 갖는 유로;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를 통해 계류를 하류쪽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계류에 의해 계류바닥에 소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방석; 및
    상기 배출구로 부유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유물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물차단부는,
    상기 배출구의 후측으로 구비되어 부유물차단프레임; 및
    상기 부유물차단프레임에 구비되어 부유물이 걸리기 위한 부유물차단망;을 포함하는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KR1020200154093A 2020-11-17 2020-11-17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KR102496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093A KR102496873B1 (ko) 2020-11-17 2020-11-17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093A KR102496873B1 (ko) 2020-11-17 2020-11-17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420A KR20220067420A (ko) 2022-05-24
KR102496873B1 true KR102496873B1 (ko) 2023-02-07

Family

ID=8180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093A KR102496873B1 (ko) 2020-11-17 2020-11-17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8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452Y1 (ko) * 2004-07-15 2004-10-16 박창기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014B1 (ko) * 2010-01-15 2012-08-0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수력 발전 기능을 갖는 사방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452Y1 (ko) * 2004-07-15 2004-10-16 박창기 압력센서를 이용한 유량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420A (ko)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wagaki Fundamental studies on the runoff by characteristics
CN208899603U (zh) 一种海绵城市建设模式下的雨污废三管合一排水系统
Ahlfeld et al. Case study: Impact of reservoir stratification on interflow travel time
KR102496873B1 (ko)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KR101383579B1 (ko) 저류지 실험 장치
KR102496880B1 (ko) 수문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KR102496884B1 (ko)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
KR102496889B1 (ko) 집수방식의 산림 유량측정장치의 설치방법
JPH0447723B2 (ko)
Alhamid et al. Discharge equation for simultaneous flow over rectangular weirs and below inverted triangular weirs
CN107142858A (zh) 一种季节性浸水路基内部单向排水系统
Sumi et al. Comprehensive sediment management strategies in Japan: Sediment bypass tunnels
ES2911480T3 (es) Sistema para drenar aguas superficiales
JP2012072622A (ja) 雨水の管理システムとその運転方法および管理方法
Fingas et al. Oil Behavior in Ice‐Infested Waters
Balouin et al. Swash platform morphology in the ebb-tidal delta of the Barra Nova inlet, South Portugal
GB2576406A (en) Rainwater tank
KR102632011B1 (ko)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갖는 사방댐 설치방법
KR101965109B1 (ko) 지연 배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하 구조물
KR102065141B1 (ko) 지하 저류 배수터널의 압축공기 배출구조체
KR102632010B1 (ko) 산림 유량측정장치를 갖는 사방댐
KR20230001426A (ko)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설치방법
KR20230001422A (ko) 사방댐용 산림 유량측정장치
JP2011017182A (ja) 地下貯留装置及び地下貯留方法
Ukarande Spillways and G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