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974A -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00974A KR20230000974A KR1020220075573A KR20220075573A KR20230000974A KR 20230000974 A KR20230000974 A KR 20230000974A KR 1020220075573 A KR1020220075573 A KR 1020220075573A KR 20220075573 A KR20220075573 A KR 20220075573A KR 20230000974 A KR20230000974 A KR 202300009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ading unit
- sheet
- guide
- image
- rea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4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0 comprom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41 inkjet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45 offset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09—Cleaning arrangements or preventing or counter-acting contamination from dust or the lik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43—Allowing easy access, e.g. for maintenance or in case of paper jam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28—Clamshell typ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29—Transport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8—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directed to paper handling or jam treat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7—Connection or assembly of components or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9—Mounting or support of components or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88—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to the scanning pos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2—Feed roll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15—Guiding elements, e.g. plat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618—Transporting curved sheets or curving sheets during transportation, e.g. for feeding to a drum-type scann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04N1/121—Feeding arrangements
- H04N1/1235—Feeding a sheet past a transparent plate; Details thereof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59—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image, e.g. presence, typ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8—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2201/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 H04N2201/031—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deleted
- H04N2201/03104—Integral pick-up heads, i.e. self-contained heads whose basic elements are a light source, a lens and a photodetector supported by a single-piece frame
- H04N2201/03108—Components of integral heads
- H04N2201/03129—Transparent cover or transparent document support mounted on th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시트로부터 화상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화상 판독 장치는, 커버 유닛, 시트 반송 부재, 반송 가이드, 및 투명 부재와 판독부를 포함하는 판독 유닛을 구비한다. 커버 유닛은, 반송 가이드와 함께 상기 시트 반송로를 형성하는 닫힘 위치와, 상기 시트 반송로가 개방된 열림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다. 커버 유닛이 열림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반송 가이드와 판독 유닛의 회동에 의해 투명부재가 화상 판독 장치의 외부로 노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트로부터 화상 정보를 읽어내는 화상 판독 장치, 및,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사기 등에 탑재되는 화상 판독 장치에 있어서, 원고를 1장씩 분리하면서 반송하는 자동 원고 반송 장치(이하, ADF로 한다)의 내부에 판독 유닛을 배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ADF 내부에 판독 유닛을 배치할 경우, 원고에 대향하는 글래스면의 클리닝이나 원고 걸림의 해소 등을 위해서, 판독 유닛의 글래스면이 노출되도록 반송로를 개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16-220232호에는, 판독 유닛의 글래스면을 장치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해서, ADF의 반송로의 하방에 설치된 반송 가이드 부재가 회동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공개 제2016-220232호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사용자는 ADF의 하방으로부터 판독 유닛의 글래스면에 액세스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ADF의 하방으로부터 판독 유닛을 들여다보면서 클리닝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클리닝하기 어렵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판독 유닛의 글래스면의 클리닝을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판독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시트로부터 화상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화상 판독 장치로서,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상면을 포함하는 커버 유닛과,
상기 시트를 시트 반송로를 따라 반송하는 시트 반송 부재와,
상기 시트 반송 부재에 의해 급송되는 시트를 안내하는 반송 가이드로서, 상기 제1 회동축과는 다른 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반송 가이드와,
투명부재와, 상기 시트 반송 부재에 의해 급송되는 시트상의 화상을 상기 투명부재를 통해서 판독하는 판독부를 포함하는 판독 유닛으로서, 상기 제1 회동축 및 상기 제2 회동축과는 다른 제3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판독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반송 가이드와 함께 상기 시트 반송로를 형성하는 닫힘 위치와, 상기 시트 반송로가 개방된 열림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며,
상기 커버 유닛이 상기 열림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반송 가이드와 상기 판독 유닛의 회동에 의해 상기 투명부재가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예시적 실시 형태들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b는 원고 판독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c는 상부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원고 판독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관한 판독 유닛 및 그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절단 위치에 있어서의 판독 유닛 및 그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 1에 관한 회동 가이드 및 판독 유닛의 이동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관한 판독 유닛이 유지보수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아암으로부터 판독 유닛에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아암이 판독 유닛의 1개의 면에만 당접할 경우의 최대 회동 코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변형예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2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 2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2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 3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 3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 4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변형예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a, 도 17b, 도 17c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판독 유닛에 접속된 전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예 5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예 5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예 6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예 6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관한 판독 유닛 및 그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절단 위치에 있어서의 판독 유닛 및 그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 1에 관한 회동 가이드 및 판독 유닛의 이동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관한 판독 유닛이 유지보수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아암으로부터 판독 유닛에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아암이 판독 유닛의 1개의 면에만 당접할 경우의 최대 회동 코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변형예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2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 2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2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 3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 3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 4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변형예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a, 도 17b, 도 17c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판독 유닛에 접속된 전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예 5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예 5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예 6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예 6에 관한 ADF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
먼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1)의 개략 구성에 대해서,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는, 4개의 화상 형성부(PY, PM, PC, PK)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기구(1B)를 화상 형성 수단으로서 구비한, 컬러 전자 사진 장치이다. 화상 형성 장치(1)는, 장치 본체(1A)의 상부에 설치된 원고 판독 장치(2) 또는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시트(S)에 화상을 형성한다. 기록재인 시트(S)로서는, 보통지 및 두꺼운 종이 등의 종이, 플라스틱 필름, 천, 코팅지와 같은 표면처리가 실시된 시트 재료, 봉투나 인덱스지 등의 특수 형상의 시트 재료 등, 사이즈 및 재질이 다른 다양한 시트 재료가 사용가능하다.
화상 형성 장치(1)는, 주제어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주제어부(12)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제어 프로그램 실행 수단으로서의 CPU와,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과,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과, 외부와 신호를 입출력하는 입출력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CPU는, ROM으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하고, 입출력회로를 통해서 화상 형성 장치(1)의 각부에 명령을 보내는 것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주제어부(12)는, 원고 판독 장치(2)의 제어부(2C)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주제어부(12)는, 원고 판독 장치(2)의 제어부(2C)를 통하여, 판독 유닛(110, 210)에 의해 원고로부터 읽어내진 화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화상 정보에 기초한 화상을 시트(S)에 형성하는 화상 형성 동작(복사)을 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부(PY, PM, PC, PK)는, 각각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토너상을 형성하는 유닛이다. 화상 형성부(PY∼PK)는, 프로세스 유닛 또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이라고도 불린다. 4개의 화상 형성부(PY, PM, PC, PK)는, 토너상의 형성에 사용하는 토너의 색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각 화상 형성부(PY∼PK)는, 드럼 형상으로 형성된 전자 사진 감광체인 감광 드럼(3)과, 감광체에 작용하여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대전 장치(4), 현상 장치(6) 및 드럼 클리너(8)를 가진다. 화상 형성부(PY∼PK)의 하방에는, 각 화상 형성부(PY∼PK)의 감광 드럼(3)을 노광하는 프로세스 수단(노광 수단)으로서의 노광 장치(5)가 배치된다. 화상 형성부(PY∼PK)의 상방에는, 각 화상 형성부(PY∼PK)의 현상 장치(6)에 현상제를 보급하는 보급 용기(9)가 장치 본체(1A)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PY∼PK)의 상방에는, 중간 전사 유닛(19)이 배치된다. 중간 전사 유닛(19)은, 무단 형상의 가요성 부재로 구성된 중간 전사체인 중간 전사 벨트(21)와, 중간 전사 벨트(21)를 스트레칭하는 복수의 롤러를 가진다. 복수의 롤러는, 이차전사 외롤러(22)를 포함한다. 중간 전사 벨트(21)의 외주측에는, 중간 전사 벨트(21)를 사이에 두고 이차전사 외롤러(22)와 대향하는 위치에 이차전사 롤러(23)가 배치된다. 이차전사 롤러(23)와 이차전사 외롤러(22)와의 사이의 닙부에, 중간 전사 벨트(21)로부터 시트(S)로의 화상의 전사가 행하여지는 전사부(이차전사부(T2))가 형성된다. 중간 전사 벨트(21)의 내주측에는, 중간 전사 벨트(21)를 사이에 두고 각 감광 드럼(3)과 대향하는 위치에, 일차전사 롤러(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21)의 외주측에는, 벨트 클리너(24)가 배치되어 있다.
장치 본체(1A)의 하부에는, 시트(S)를 급송하는 시트 급송부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 급송부는, 장치 본체(1A)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카세트(40)와, 카세트(40)안에 적재되어서 수납되어 있는 시트(S)를 1장씩 분리하면서 급송하는 급송 유닛을 포함한다. 시트 급송부로부터 이차전사부(T2)에 이르는 반송 경로상에는, 반송 롤러(41) 및 레지스트레이션 롤러(42)가 배치된다.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이차전사부(T2)의 하류에는 정착장치(30)가 배치된다. 정착장치(30)는, 가열 부재로서의 정착 롤러(31)와, 가압 부재로서의 가압 롤러(32)와, 정착 롤러(31)를 가열하는 미도시의 가열 수단을 가진다. 가열 수단으로서는, 할로겐 램프나 전자기 유도식의 가열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정착장치(30)의 더 하류에는, 화상형성된 시트(S)를 장치 본체(1A)의 외부에 배출하는 배출 수단으로서의 배출 롤러(43)가 배치된다. 장치 본체(1A)의 상면부에는, 화상형성된 시트(S)가 적재되는 적재부로서의 배출 트레이(11)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상하 방향(화상 형성 장치(1)가 수평면에 설치되었을 경우의 연직방향)에 있어서의 장치 본체(1A)와 원고 판독 장치(2)와의 사이에 화상형성된 시트(S)가 배출 및 적재되는 공간이 설치된, 소위 몸통내 배출형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주제어부(12)가 화상 정보 및 화상 형성 동작의 실행 지시를 수취하면, 주제어부(12)는 다음과 같이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한다. 먼저, 화상 형성부(PY∼PK)에 있어서 감광 드럼(3)이 회전을 시작하고, 대전 장치(4)에 의해 감광 드럼(3)의 표면이 소정의 극성 및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 처리된다. 노광 장치(5)는, 화상 정보에 기초한 화상신호(비디오 신호)에 따라 변조된 레이저광을 각 감광 드럼(3)에 조사하고, 옐로우·마젠타·시안·블랙의 각 색 성분화상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을 감광 드럼(3)에 기입한다. 이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6)에 의해, 각 색의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에 의해 현상되어, 감광 드럼(3)위에 옐로우·마젠타·시안·블랙의 토너상이 형성된다. 각감광 드럼(3)에 담지된 토너상은, 일차전사 롤러(7)에 의해 감광 드럼(3)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21)에 일차 전사된다. 이 때, 각 색의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21)상에서 서로 겹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21)위에 풀 컬러의 토너상으로서의 화상이 형성된다. 중간 전사 벨트(21)에 전사되지 않고 감광 드럼(3)의 표면에 남은 전사 잔류 토너 등의 부착물은, 드럼 클리너(8)에 의해 제거된다. 중간 전사 벨트(21)위에 형성된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21)의 회전에 의해 이차전사부(T2)에 반송된다.
화상 형성부(PY∼PK)에 있어서의 토너상의 형성 프로세스에 병행하여, 카세트(40)로부터 시트(S)가 1장 급송되어, 반송 롤러(41)를 통해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42)에 반송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42)는, 시트(S)의 사행을 보정한 후, 중간 전사 벨트(21)에 담지된 화상의 이차전사부(T2)에의 도달과 시트(S)의 이차전사부(T2)에의 도달이 동기되도록, 시트(S)를 이차전사부(T2)에 반송한다. 이차전사부(T2)에 있어서, 이차전사 롤러(23)에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21)로부터 시트(S)에 화상이 전사(이차전사)된다. 시트(S)에 전사되지 않고 중간 전사 벨트(21)에 잔류한 등의 부착물은, 벨트 클리너(24)에 의해 제거된다.
이차전사부(T2)을 통과한 시트(S)는, 정착장치(30)에 반송된다. 정착장치(30)는, 정착 롤러(31) 및 가압 롤러(32)의 사이의 닙부(정착 닙)로 시트(S)를 협지반송하면서, 시트(S)상의 화상을 가열 및 가압한다. 이에 의해, 토너가 용융, 혼색하고, 그 후 고착함으로써, 시트(S)에 정착한 화상이 얻어진다. 정착장치(30)를 통과한 시트(S)는, 배출 롤러(43)에 의해 배출되어, 배출 트레이(11)에 적재된다. 이에 의해, 일련의 화상 형성 동작이 종료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전사 방식의 컬러 전자사진장치를 예시했지만, 화상 형성 장치(1)는, 상담지체에 형성한 토너상을 중간 전사체를 거치지 않고 시트(S)에 전사하는 직접 전사방식의 화상 형성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전자사진방식에 한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1)는 잉크젯 방식의 인쇄 유닛이나 오프셋 인쇄 기구를 화상 형성 수단으로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원고 판독 장치]
화상 판독 장치의 일 예인 원고 판독 장치(2)에 대해서, 도 1b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원고 판독 장치(2)는, 스캐너부(20)(본체부, 하부 유닛)와, 스캐너부(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캐너부(2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 유닛으로서의 ADF(10)를 가진다. 원고 판독 장치(2)는, 스캐너부(20)의 원고대 글래스에 재치된 정지 원고로부터 화상 정보를 읽어내는 동작(고정 읽기 동작)과, ADF(10)에 의해 원고로서의 시트를 반송하면서 화상 정보를 읽어내는 동작(이동 읽기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스캐너부(20)는, 원고가 재치되는 원고대 글래스와, 원고대 글래스의 하방에서 부주사 방향(도면 중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원고대 글래스에 재치된 원고의 화상 정보를 읽어내는 판독 유닛(210)을 구비한다. 또한, 스캐너부(20)는 투명부재로서의 글래스(201)를 가진다. 판독 유닛(210)은, 글래스(201)를 통하여, ADF(10)에 의해 반송되는 원고를 광학적으로 주사해서 화상 정보를 읽어낼 수 있다.
판독 유닛(210)은, 수광 소자로서의 CCD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센서 기판(213)과,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211)와, 복수의 미러(212)를 포함하고,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 소자의 결상면에 결상하는 축소 광학계를 가진다. 여기에서는 CCD 방식의 판독 유닛(210)을 나타내고 있지만, 원고와 대향해서 배치되는 CMOS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에 등배 광학계를 통해서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결상하게 구성된 CIS 방식의 판독 유닛(210)을 사용해도 된다. 판독 유닛(210)에 의해 읽어내진 화상 정보는, 신호선(151)을 통해서 제어부(2C)에 전송된다.
ADF(10)는, 원고 트레이(121)와, 배출 트레이(122)와, 내부에 원고 반송로(P1)가 형성된 ADF 본체(10A)와, 원고 반송로(P1)에 배치된 판독 유닛(110)을 가진다. ADF 본체(10A)에는, 시트를 반송하는 시트 반송 부재로서, 원고 반송로(P1)를 따라 급송 롤러(101), 분리 롤러쌍(102), 반송 롤러쌍(103, 104, 105) 및 배출 롤러쌍(106)이 배치되어 있다. 원고 트레이(121)는 원고로서의 시트가 재치되는 재치부이며, 배출 트레이(122)는 화상 정보가 읽어내진 시트가 배출되는 배출부이다. 원고 트레이(121)는 배출 트레이(122)의 상방에 위치하고, 도 1b의 시점(시트 폭 방향으로 본 상태)에서, 원고 반송로(P1)는 수평방향의 일방측으로 열린 U자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판독 유닛(110)은, 판독부로서의 밀착형 이미지 센서(CIS)(112)와, CIS(112)를 보유지지하는 판독 프레임(119)과, 글래스(111)를 가진다(도 3 참조). 글래스(111)는, 원고 반송로(P1)(시트 반송로)에 대향하는 투명 부재이며, CIS(112)는, 원고 반송로(P1)를 따라 반송되는 원고(시트)로부터 해당 투명 부재를 통해서 화상 정보를 읽어내는 판독부로서 기능한다.
판독 프레임(119) 및 글래스(111)는, CIS(112)를 수용하는 실질적으로 직방체 형상인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CIS(112)는, 수광 소자로서의 CMOS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센서 기판(112c)과,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112a)와,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 소자의 결상면에 결상하는 등배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112b)를 가진다(도 3 참조). 여기에서는 CIS방식의 판독 유닛(110)을 나타내고 있지만, CCD 방식의 이미지 센서 유닛을 판독 유닛(110)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판독 유닛(110)에 의해 읽어내진 화상 정보는, 전선(150)을 통해서 제어부(2C)에 전송된다. 전선(150)의 배선 경로에 대해서는 뒤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ADF(10)에 의한 원고 반송 동작에 대해서,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원고 트레이(121)에 원고 다발을 세트해서 미도시의 조작부를 통해서 판독 동작의 시작을 지시하면, 급송 롤러(101)에 의해 최상위의 원고로부터 순서대로 원고 트레이(121)로부터 내보내진다. 내보내진 원고는, 분리 롤러쌍(102)에 의해 1장씩 분리된 상태로 반송되어, 반송 롤러쌍(103, 104, 105)에 의해 연속적으로 전달되어 원고 반송로(P1)를 따라 반송된다.
그리고, 스캐너부(20)의 글래스(201)를 원고가 통과할 때에, 판독 유닛(210)에 의해 원고의 제1면의 화상 정보가 읽어 내진다. 마찬가지로, 글래스(111)를 통과할 때에, 판독 유닛(110)의 CIS(112)에 의해 원고의 제1면과는 반대인 제2면의 화상 정보가 읽어내진다. 화상 정보가 읽어내진 원고는, 배출 롤러쌍(106)에 의해 ADF 본체(10A)의 외부로 배출되어, 배출 트레이(122)위에 적재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1)가 수평면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의 연직방향을 「Z 방향」으로 한다. 원고 반송로(P1)를 따라 반송되는 원고의 원고 반송 방향에 수직한 시트 폭 방향을 「X 방향」으로 한다. X 방향은, 화상 판독시의 주주사 방향이며, 바람직하게는 Z 방향에 수직한 방향(수평방향)이다. X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수평방향을 「Y 방향」으로 한다. X 방향, Y 방향, Z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이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한편,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ADF(10)는, ADF 본체(10A)의 상면부를 구성하는 커버 유닛으로서의 상부 커버(147)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커버(147)는, 지지부(147a)를 통해서 ADF 본체(10A)의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X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선(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상부 커버(147)에는, ADF 본체(10A)에 지지되는 회동 가이드(141)의 가이드면(하측 가이드면)과의 사이에 원고 반송로(P1)를 형성하는 대향 가이드(상측 가이드면)로서의 반송 가이드(148)가 설치되어 있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커버(147)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 회동 가이드(141)의 일부가 상부 커버(147)로 덮여진 상태이다. 여기서, 상부 커버(147)가 닫힌 상태에서, 회동 가이드(141) 전체가 상부 커버(147)에 덮여져 있어도 된다. 또한, 상부 커버(147)에는, 급송 롤러(101), 분리 롤러쌍(102) 및 반송 롤러쌍 103의 일방(도면 중 상측)의 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커버(147)를 도 1b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로부터 도 1c에 나타내는 열림 위치로 회동시키면, 원고 반송로(P1)의 일부가 개방되어서 회동 가이드(141)가 ADF(10)의 외부로 노출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동 가이드(141)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글래스의 클리닝]
그런데, 원고 판독 장치(2)가 이동 읽기 동작을 반복하는 사이에, 글래스(201, 111)에는 종이분 등의 먼지나 원고에 부착되어 있었던 페이스트(접착제)·잉크 등의 오염물로 이루어지는 이물이 부착될 경우가 있다. 글래스(201, 111)에 있어서의 판독 유닛(210, 110)의 판독범위내에 이물이 부착된 상태로 이동 읽기 동작을 행하면, 이물에 대응하는 위치에 본래의 원고에는 존재하지 않는 스트라이프 형상의 화상이 읽어내져 버린다. 이는, 글래스(201, 111)에 부착된 이물에 의해 판독 유닛(210, 110)에 의한 판독 시의 광로가 가로막혀져서 그림자가 됨으로써 생기는 현상(이하, 화상 스트라이프라고 부른다)이다.
화상 스트라이프의 발생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글래스(201, 111)를 적당히 클리닝해서 원인인 이물을 제거하는 것이 유효하다. 스캐너부(20)의 판독 유닛(210)에 대해서는, ADF(10)를 스캐너부(20)로부터 상방으로 회동킴으로써 판독 유닛(210)의 글래스(201)가 노출되기 때문에, 상방으로부터 클리닝을 행할 수 있다. 한편, ADF(10)의 판독 유닛(110)은 ADF 본체(10A)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독 유닛(110)은, 회동 가이드(141)의 하방이며 U자 형상으로 만곡한 원고 반송로(P1)의 내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글래스(111)를 노출시키기 위한 구성(글래스(111)에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판독 유닛(110)의 글래스(111)를 노출시키는 방법으로서, 판독 유닛(110)을 회동 가이드(141)에 지지시켜, 판독 유닛(110)이 회동 가이드(141)와 일체로 회동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그러한 구성에서는 판독 유닛(110)이 회동 가이드(141)와 일체로 회동하기 때문에, 회동 가이드(141)가 다른 부재에 맞부딪쳤을 때에, 판독 유닛(110) 및 회동 가이드(141)를 포함하는 회동 가능한 유닛의 전체 중량에 따른 충격이 발생한다. 판독 유닛(110)은, 그 내부에,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회로나, 조명부 및 등배 광학계 또는 축소 광학계를 구성하는 광학소자가 배치되는 정밀한 장치이다. 그 때문에, 글래스(111)를 노출시키기 위해서 회동 가이드(141)를 회동시켰을 때에 판독 유닛(110)에 큰 충격이 가해지면, 내부의 부품이 파손되거나 위치 어긋남 발생하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이하에 설명하듯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동 가능한 반송 가이드로서의 회동 가이드(141)를 설치함과 동시에, 판독 유닛(110)을 회동 가이드(141)의 회동축과는 다른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이드(141)와는 독립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한다. 회동 가이드(141) 및 판독 유닛(110)을 회동시킴으로써, 판독 유닛(110)의 시트(판독대상)에 대향하는 면인 글래스(111)가 노출된다. 이에 의해, 글래스(111)의 클리닝이나 잼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판독 유닛(110)을 이동시켰을 때에 판독 유닛(110)이 받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판독 유닛(110)을 회동 가이드(141)와는 독립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판독 유닛(110)과 제어부(2C)를 접속하는 전선에 걸리는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도 있다.
이하, 판독 유닛(110) 및 그 주변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1]
먼저, 실시예 1에 대해서 도 2 ~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ADF(10)의 일부 부품을 추출해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여기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정면측으로부터 X 방향으로 보았을 경우의, 원고 반송로(P1)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재와, 베이스 반송 가이드(143) 및 아암(131)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판독 유닛(110)을 X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IS(112)를 내포하는 판독 유닛(110)의 저부(실질적으로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판독 프레임(119)의 개구부)에는, 글래스(111)가 부착되어 있다. 나아가, 글래스(111)의 X 방향(CIS(112)의 긴 길이방향, 주주사 방향)의 양단부에는, 갭 시트(115)가 부착되어 있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IV-IV 단면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IV-IV 단면은, 판독 유닛(110)의 주사 위치에 있어서의 시트 반송 방향(D1)에 수직한 평면(X 방향 및 주사 위치에 있어서의 시트 두께 방향(D2)으로 펼쳐지는 평면)으로 판독 유닛(110)을 절단한 단면이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글래스(111)의 X 방향의 양단부에 장착된 2장의 갭 시트(115) 각각은, 글래스(111)에 대향하는 대향 부재인 셰이딩판(144)에 맞부딪치고 있다. 그 결과, X 방향에 있어서의 갭 시트(115)들 사이의 영역(원고 통과 영역)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글래스(111)와 셰이딩판(144)과의 사이에 갭 시트(115)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극이 보증된다. 즉, 갭 시트(115)는, 글래스(111)에 대향하는 대향 부재에 당접하여 글래스(111)와 대향 부재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갭 형성 부재로서 기능한다. 갭의 폭을 보증(규정)하는 것이라면, 갭 시트(115)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글래스(111)에 대하여 돌출하는 돌기를 판독 프레임(119)과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한편, 셰이딩판(144)은, 판독 유닛(110)에 대향하는 반송 가이드인 베이스 반송 가이드(143)에 장착되고, 베이스 반송 가이드(143)는 ADF(10)의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다. 즉, 셰이딩판(144) 및 베이스 반송 가이드(143)는, ADF(10)의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된 부재이다.
나아가, 갭 시트(115)의 맞부딪침 위치에서 판독 유닛(110)이 안정되게 정지하도록, 판독 유닛(110)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114)가 설치되어 있다(도 4).
가압부(114)는, 판독 유닛(110)의 상부(글래스(111)와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114)는, 회동 가이드(141)의 저면에 설치된 가압면(141a)(도 2)에 당접되는 피당접부로서의 수지 커버(114a)와, 수지 커버(114a)와 판독 프레임(119)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탄성부재로서의 압축 스프링(114b)을 가진다.
회동 가이드(141)는, ADF(10)의 프레임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축부(141c)를 가지고, 회동축(A1)(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동축(A1)은 급송 롤러(101)로부터 분리 롤러쌍(102)을 향해서 반송되는 시트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회동 가이드(141)의 상류단(Y 방향의 일방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지만, 다른 위치에 회동축(A1)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회동 가이드(141)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라면 축부(141c)에 한하지 않고, 회동 가이드(141)에 구멍(베어링)을 설치해서 ADF(10)의 프레임에 설치한 축형상부를 감합시켜도 된다. 회동 가이드(141)는, 원고 반송로(P1)를 반송되는 원고의 하면을 안내하기 위한 위치(도 2 참조. 이하, 닫힘 위치로 한다)과, 닫힘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한 위치(도 6 참조. 이하, 열림 위치로 한다)과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다. 닫힘 위치는, 상방으로부터 보아서 회동 가이드(141)가 판독 유닛(110)을 덮는 위치(제3 위치)이며, 열림 위치는, 상방으로부터 보아서 회동 가이드(141)가 판독 유닛(110)을 노출시키는 위치(제4 위치)이다. 회동 가이드(141)는, 선단부에 설치된 고정부(141d)가 ADF 본체(10A)에 고정된 반송 가이드(142)에 계합함으로써, 닫힘 위치에 보유지지된다.
회동 가이드(141)가 닫힘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회동 가이드(141)의 가압면(141a)이 가압부(114)의 수지 커버(114a)에 당접한다. 그리고, 수지 커버(114a)가 압압됨으로써 생기는 압축 스프링(114b)의 탄성에 의해, 판독 유닛(110)은 셰이딩판(144)을 향해서 밀어붙여진다. 이에 의해, 시트 두께 방향(D2)에 있어서의 판독 유닛(110)의 위치가 안정되고, 고정밀도의 화상 정보의 판독에 기여한다.
판독 유닛(110)은, ADF(10)의 프레임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축부(113)를 가지고, 회동 가이드(141)의 회동축(A1)과는 다른 회동축(A2)(제3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다. 한편, 판독 유닛(11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라면 축부(113)에 한하지 않고, 판독 프레임(119)에 구멍(베어링)을 설치해서 ADF(10)의 프레임에 설치한 축형상부를 감합시켜도 된다. 판독 유닛(110)은, 원고 반송로(P1)를 따라 반송되는 원고로부터 화상 정보를 읽어내는 것이 가능한 위치(도 2 참조. 이하, 판독 위치라고 한다)와, 글래스(111)가 노출하는 위치(도 6 참조. 이하, 유지 보수 위치라고 한다)와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다. 판독 위치는, 투명 부재인 글래스(111)가 원고 반송로(P1)에 대향하는 상태가 되는 판독 유닛(110)의 위치(제1 위치)이며, 유지 보수 위치는, 글래스(111)가 ADF(10)의 외부로부터 보아 노출한 상태가 되는 판독 유닛(110)의 위치(제2 위치)이다.
판독 유닛(110)이 판독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글래스(111)는 원고 반송로(P1)를 사이에 두어서 셰이딩판(144) 또는 베이스 반송 가이드(143)에 대향하고 있고, 연직방향 상방측으로부터 보아서 글래스(111)는 판독 프레임(119)에 가려져 있다. 유지 보수 위치는, 소정의 방향(예를 들면, 연직방향 상방측)으로부터 ADF(10)를 보았을 때에 글래스(111)의 적어도 일부(바람직하게는, CIS(112)의 판독범위를 포함하는 범위 또는 글래스(111)의 전체)가 노출한 상태가 되는 판독 유닛(110)의 위치이다.
축부(113)는, 예를 들면 판독 프레임(119)의 X 방향(긴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서 X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ADF(10)의 프레임에 설치된 보유지지부(B1)에 보유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회동 가이드(141)의 회동축(A1)과 판독 유닛(110)의 회동축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모두 실질적으로 X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보유지지부(B1)는, 축부(113)를 회동가능하게 보유지지하는 오목형상(개구부)이며, 본 실시형태의 보유지지부(B1)는 시트 두께 방향(D2)으로 연장한 기다란 원형 구멍(홈부)이다. 기다란 원형 구멍으로서의 보유지지부(B1)는, 예를 들면, ADF(10)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측판(X 방향에 있어서의 원고 통과 영역의 외측에서 Y 방향 및 Z 방향으로 펼쳐지는 판형상부재)에 설치되어 있다.
회동 가이드(141)의 회동축(A1)은 회동 가이드(141)의 Y 방향의 일방측(도 2의 우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비해, 본 실시형태의 축부(113)는 판독 유닛(110)의 Y 방향의 타방측 (도 2의 좌측) 그리고 Z 방향 상방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판독 유닛(110)은 판독 위치로부터 유지 보수 위치를 향해서 도면 중 반시계방향(제1 회동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비해, 회동 가이드(141)는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를 향해 도면 중 시계회전방향(제2 회동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렇게 회동 가이드(141)와 판독 유닛(110)의 회동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구성하면, 열림 위치에 있어서의 회동 가이드(141)에 영향을 주어지지 않고 판독 유닛(110)의 회동범위를 확보하기 쉬운 이점도 있다. 한편, 회동 가이드(141)의 개방시의 회동방향은, 상부 커버(147)의 개방시의 회동방향에 대하여도 반대이다.
다음으로, 아암(131)에 대해서 설명한다. 아암(131)은, ADF(10)의 프레임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회동 가이드(141)의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의 회동에 연동해서 회동함으로써 판독 유닛(110)을 판독 위치로부터 유지 보수 위치로 이동시키는 부재이다. 즉, 아암(131)은, 회동 가이드(141)의 회동에 연동해서 판독 유닛(110)을 이동시키는 연동 기구의 일 예이다. 본 실시예의 아암(131)은, 회동 가이드(141)와 공통인 회동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동시에, 회동 가이드(141)와는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한 부재이다.
도 5a 및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 가이드(141)에는 아암 당접부(141b)가 설치되고, 아암(131)에는 아암 당접부(141b)에 당접되는 피당접부(131e)가 설치되어 있다. 회동 가이드(141)가 닫힘 위치에 위치하고, 동시에, 판독 유닛(110)이 판독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아암 당접부(141b)는 피당접부(131e)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또한, 아암(131)의 선단측에는, 판독 유닛(110)을 압압하기 위한 당접부로서의 원호 프로파일(131a, 131b, 131c)이 설치되어 있다. 원호 프로파일(131a, 131b, 131c)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암(131)이 회동 가이드(141)에 대하여 일체 범위내에서만 연동하고, 회동 가이드(141)의 회동범위에 비해 아암(131)의 회동범위가 좁은 구성을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동 가이드(141)의 닫힘 위치에서는 회동 가이드(141)의 아암 당접부(141b)는 아암(131)에 당접하고 있지 않고, 회동 가이드(141)를 열림 위치까지 회동시키는 도중에 아암 당접부(141b)가 아암(131)에 당접한다(도 5a, 5b). 이 때문에, 아암(131)이 회동 가이드(141)와 일체로 회동할 경우에 비해 아암(131)의 회동궤적이 작아져, 아암(131)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작아도 된다.
유지 보수 작업시에 판독 유닛(110)을 판독 위치로부터 유지 보수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설명한다. 한편, 작업자(사용자 또는 유지 보수 담당원)는, 미리 상부 커버(147)를 도 1b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회동시켜서 개방해 두는 것으로 한다.
먼저,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판독 유닛(110)의 회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회동 가이드(141)를 잡아서 회동축(A1)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 중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렇게 하면,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 가이드(141)가 판독 유닛(110)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함과 동시에, 아암 당접부(141b)가 아암(131)의 피당접부(131e)에 접근한다.
더욱 회동 가이드(141)를 회동시켜 가면,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 당접부(141b)가 아암(131)의 피당접부(131e)에 당접하고, 아암(131)이 회동축(A1)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 중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 아암(131)이 회동함으로써, 아암(131)의 선단측에 설치된 원호 프로파일(131a, 131c)이 판독 유닛(110)에 당접하여 압압하고, 축부(113)를 중심으로 하여 판독 유닛(110)을 도면 중 반시계방향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판독 유닛(110)은, 도 2에 나타내는 판독 위치로부터 도 6에 나타내는 유지 보수 위치로 이동한다.
작업자는 유지 보수 위치로 이동시킨 판독 유닛(110)에 대하여 글래스(111)의 클리닝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회동 가이드(141)는, 예를 들면 자중에 의해 열림 위치에 머물기 때문에, 아암(131)을 통해서 판독 유닛(110)을 유지 보수 위치에 보유지지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판독 유닛(110)이 유지 보수 위치에 도달하면, ADF 본체(10A)의 프레임에 고정된 반송 가이드(142)의 맞부딪침면(142a)(도 6)에 판독 유닛(110)의 가압부(114)가 맞부딪친다.
글래스(111)의 클리닝 등의 작업을 마치면, 도 6의 상태에서, 작업자는 회동 가이드(141)를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를 향해서 도면 중 반시계방향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회동 가이드(141)의 회동에 추종해서 아암(131)이 도면 중 반시계방향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판독 유닛(110)은, 아암(131)에 지지되면서,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판독 위치를 향해서 도면 중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회동 가이드(141)가 닫힘 위치에 도달하면, 판독 유닛(110)이 판독 위치에 보유지지된 도 2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 가이드(141)를 여는 동작에 연동해서 판독 유닛(110)이 판독 위치로부터 유지 보수 위치로 이동하고, 회동 가이드(141)를 닫는 동작에 연동해서 판독 유닛(110)이 유지 보수 위치로부터 판독 위치로 이동한다.
이렇게, 판독 유닛(110)을 회동 가이드(141)와는 다른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글래스(111)의 클리닝이나 잼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판독 유닛(110)을 이동시켰을 때에 판독 유닛(110)이 받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판독 유닛(110)의 축부(113)의 상대측(ADF(10)의 프레임측)인 보유지지부(B1)를 시트 두께 방향(D2)으로 연장하는 기다란 원형 구멍으로서 구성하고 있다. 판독 유닛(110)을 회동 가이드(141)와는 별도로 회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보유지지부(B1)를 축부(113)에 대응하는 원통 형상의 구멍으로 구성해도 된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보유지지부(B1)를 기다란 원형 구멍으로 구성함으로써, 판독 유닛(110)의 회동에 더해서, 시트 두께 방향(D2)의 이동이 허용된다. 이에 의해, 판독 유닛(110)의 시트 반송 방향(D1)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면서, ADF(10)의 부품 공차 등에 의한 판독 유닛(110)의 위치 편차를, 보유지지부(B1)에 대한 축부(113)의 이동에 의해 흡수시킬 수 있다. 판독 유닛(110)의 위치 편차가 흡수됨으로써, 갭 시트(115)를 사이에 두고 글래스(111)를 셰이딩판(144)에 대하여 보다 안정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판독 유닛(110)을 유지 보수 위치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보유지지부(B1)의 길이만큼, 판독 유닛(110)을 상방으로 들어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 등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반송 가이드(142)의 맞부딪침면(142a)을 보유지지부(B1)를 따른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으로서 구성하면, 판독 유닛(110)을 들어 올릴 때의 가이드로서도 기능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보유지지부(B1)인 기다란 원형 구멍의 긴 길이방향이 판독 유닛(110)의 판독 위치에 있어서의 시트 두께 방향(D2)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한하지 않고, 보유지지부(B1)는, 판독 위치에서 판독 유닛(110)의 시트 반송 방향(D1)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가능한 것이라면, X 방향으로 보아서 시트 반송 방향(D1)에 교차하는 방향의 내에서 시트 두께 방향(D2)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기다란 원형 구멍이어도 된다.
[판독 유닛의 배선]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판독 유닛(110)의 배선 경로와 그 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판독 유닛(110)은, 전선(150)을 통해서 원고 판독 장치(2)의 제어부(2C)(도 1b)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선(150)은, 판독 유닛(110)이 읽어낸 화상 정보를 제어부(2C)에 전송하는 신호선임과 동시에, 판독 유닛(1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이기도 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선(150)으로서 FFC(Flexible Flat Cable)을 사용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선(150)은, 판독 유닛(110)의 내부에서 센서 기판(112c)에 접속되며, 판독 프레임(119)에 설치된 개구부(출구(146))를 통해서 판독 유닛(110)의 외부로 인출된다. 판독 유닛(110)의 외부에서, 전선(150)은, ADF(10)의 프레임에 장착된 가이드 부재에 의해 가이드되어 ADF 본체(10A) 내에 배선되며, 스캐너부(20)의 제어부(2C)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전선(150)은, 판독 유닛(110)내에 보유지지되고 있는 유닛내 부분(150a)과, ADF 본체(10A)의 프레임에 보유지지되고 있는 본체측 부분(150b)과, 유닛내 부분(150a)과 본체측 부분(150b)를 접속하는 중간 부분(150c)을 포함한다. 중간 부분(150c)은, 판독 유닛(110)의 출구(146)와 ADF 본체측의 입구(149)(전선(150)을 받아들이는 개구 또는 전선(150)을 보유지지하는 가이드 부재)와의 사이의 부분이다. 한편, 중간 부분(150c)이 휘기 쉽도록, 전선(150)(FFC)은, 중간 부분(150c)에 있어서의 전선(150)의 폭방향이 판독 유닛(110)의 주주사 방향인 X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ADF 본체(10A)의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가동부재인 판독 유닛(110)이 이동할 때, 전선(150)이 휨으로써 판독 유닛(110)의 이동이 허용된다. 즉, 도 17a에 나타내는 판독 위치로부터 도 17b에 나타내는 유지 보수 위치로 판독 유닛(110)을 회동시키면, 판독 유닛(110)의 자세 변화에 추종해서 전선(150)의 주로 중간 부분(150c)이 휨으로써, 판독 유닛(110)의 회동이 허용된다. 또한, 도 1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보수 위치에 있는 판독 유닛(110)을 보유지지부(B1)를 따라 상방에 들어 올리면, 전선(150)의 중간 부분(150c)이 연장함(여분의 길이에 의한 휨이 해소된다)으로써, 판독 유닛(110)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판독 유닛(110)을 회동 가이드(141)와는 별도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판독 유닛(110)을 회동시켰을 때에 전선(150)에 걸리는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선(150)은, 판독 유닛(110)의 회동축(A2)의 근방을 경유해서 판독 유닛(1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다. X 방향으로 보았을 경우에 판독 유닛(110)의 회동축(A2)(제3 회동축)으로부터, 판독 유닛(110)로부터 전선(150)을 인출하는 출구(146)까지의 거리는, 적어도 회동 가이드(141)의 회동축(A1)(제2 회동축)으로부터 출구(146)까지의 거리보다 짧다. 그 때문에, 판독 유닛(110)을 회동 가이드(141)에 장착했을 경우에 비해, 판독 유닛(110)을 회동시켰을 때의 출구(146)의 이동량이 작아진다. 또한, 회동축(A2)의 근방이란, 구체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X 방향으로 본 상태에서 축부(113)와 겹치는 위치를 전선(150)이 통과하도록 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X 방향으로 보아서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인 판독 프레임(119)의 4개의 모서리부 가운데, 전선(150)을 인출하는 출구(146)에 가장 가까운 모서리부와, 축부(113)에 가장 가까운 모서리부가 동일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전선(150)을 판독 유닛(110)의 회동축(A2)의 근방을 경유해서 배선하면, 판독 유닛(110)을 회동축(A2)의 주위로 회동시켰을 때에, 전선(150)은 주로 회동축(A2)의 부근에서 휜다(도 17b 참조). 즉, 전선(150)의 유닛내 부분(150a)이 회동축(A2)의 근방을 지지점으로 회동하도록 전선(150)이 휜다. 그 때문에, 판독 유닛(110)측의 전선(150)의 출구(146)로부터, ADF 본체(10A) 측의 전선(150)의 입구(149)까지의 거리의 변동은 작다. 만일, 판독 유닛(110)측의 전선(150)의 출구로부터 ADF 본체(10A) 측의 전선(150)의 입구까지의 거리의 변동이 크면, 장력에 의해 전선(150)이 단선되거나 빠질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변동량을 고려해서 중간 부분(150c)의 여분의 길이를 크게 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중간 부분(150c)의 여분의 길이를 크게 하면, 비용의 증가나 장치의 대형화가 초래된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판독 유닛(110)측의 전선(150)의 출구로부터 ADF 본체(10A) 측의 전선(150)의 입구까지의 거리의 변동량이 작기 때문에, 중간 부분(150c)의 여분의 길이를 짧게 설정해도 단선 등이 생기기 어렵고, 비용의 증가나 장치의 대형화를 막을 수 있다.
그런데, 판독 유닛(110)이 회동 가이드(141)와 일체로 회동하는 구성을 채용했을 경우는, 회동축(A2)의 근방을 경유해서 전선(150)을 배선하는 것은 곤란해진다. 이는, 다음과 같은 사정 때문이다. 먼저, 회동 가이드(141)와 같이 시트를 안내하는 반송 가이드는, 시트 반송로를 따라 연장하는 비교적 큰 부재이다. 그 때문에, 이러한 큰 부재인 반송 가이드를 회동시키려고 하면, 가이드하는 시트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반송 가이드의 상류단 또는 하류단의 근방에 반송 가이드의 회동축을 배치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한편, 판독 유닛은 시트의 반송을 방해하지 않도록 반송 가이드의 가이드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판독 유닛(110)의 경우, 회동 가이드(141)의 하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판독 유닛으로부터의 전선의 출구를 반송 가이드의 회동축의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반송 가이드의 부근에는,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가 배치되는 경우가 많아, 반송 롤러와의 간섭을 피해서 판독 유닛을 배치하려고 하면, 판독 유닛으로부터의 전선의 출구를 반송 가이드의 회동축의 근방에 배치하는 것은 더욱 어려워진다. 판독 유닛으로부터의 전선의 출구가 반송 가이드의 회동축으로부터 떨어진 만큼, 반송 가이드를 회동시켰을 때의 판독 유닛측의 전선의 출구로부터 ADF본체측의 전선의 입구까지의 거리의 변동량이 커진다. 그 결과, 전선(150)의 단선 리스크가 생긴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판독 유닛(110)이 회동 가이드(141)와 별도로 회동하는 구성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전선(150)을 판독 유닛(110)의 회동축(A2)의 근방을 경유해서 배선할 수 있다. 또한, 판독 유닛(110)의 회동축(A2)은, 회동 가이드(141)의 가이드면보다 하방에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이, 전선(150)의 단선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아암의 상세]
다음으로, 판독 유닛(110)을 넓은 회동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하면서 판독 유닛(110)을 이동시킬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판독 유닛(110)은, 판독 위치에 있어서는 글래스(111)가 Z 방향 하측을 향한 자세이며, 유지 보수 위치에 있어서는 Z 방향 상측으로부터 보아서 글래스(111)가 노출되는 자세가 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판독 유닛이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투명부재는 연직방향에 대해서 하측을 향하고 있고, 판독 유닛이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투명부재는 연직방향에 대해서 상측을 향하고 있다.
판독 위치에 있어서의 글래스(111)의 수평에 대한 경사가 지나치게 크면, 원고 반송로(P1)의 만곡이 심해져서 두꺼운 종이 등의 반송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글래스(111)의 경사는 예를 들면 45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30도 이하로 설정된다. 그 때문에, 판독 유닛(110)은, 예를 들면 60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75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도 이상의 넓은 회동범위에서, 판독 위치와 유지 보수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넓은 회동범위에서 판독 유닛(110)을 회동시킬 경우, 판독 유닛(110)에 작업자가 직접 손을 대서 회동시키는 구성에서는, 회동시킨 판독 유닛(110)과 ADF(10)의 다른 부분과의 사이에 손이 끼이기 쉽고, 조작성에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 가이드(141)의 회동에 연동하는 아암(131)의 선단부가 하측으로부터 판독 유닛(110)에 당접함으로써, 회동 가이드(141)에 연동해서 판독 유닛(110)이 회동한다(도 5b 및 도 6 참조). 이 때, 아암(131)은 판독 유닛(110)과는 반대의 회동 방향으로 회동하고, 판독 유닛(110)에 대한 당접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판독 유닛(110)을 판독 위치로부터 유지 보수 위치까지 회동시킨다. 이 때문에, 판독 유닛(110)을 넓은 회동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하면서,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가능한 작은 조작력으로 판독 유닛(110)을 판독 위치로부터 유지 보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조작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아암(131)이 판독 유닛(110)에 최초로 당접할 때의 판독 유닛(110), 아암(131)의 회동축(A1), 및, 판독 유닛(110)의 회동축(A2)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하측으로부터 아암(131)을 당접시킴으로써 판독 유닛(11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판독 위치에 있어서의 판독 유닛(110)의 하측면(글래스(111)가 배치된 면)인 제1 당접면(110a)에 아암(131)을 당접시키는 것이 효율적이다.
다음으로 제1 당접면(110a)의 어느 위치에서 아암(131)을 당접시킬지를 고려하기 위해서, 점 a, b, c의 3군데에 대해서 고려한다. 각 점을 통하는 이점쇄선은 그 점에 있어서의 회동축(A1)의 회전의 회동궤적이며, 화살표는 그 접선방향(각 점에서 아암(131)이 판독 유닛(110)을 압압할 때의 하중의 방향)이다.
점 a에서 아암(131)이 판독 유닛(110)에 당접할 경우, 하중방향이 거의 판독 유닛(110)의 회동축(A2)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판독 유닛(110)을 회동시키기 위한 효율이 나쁘다. 점 c에서 아암(131)이 판독 유닛(110)에 당접할 경우, 오히려, 판독 유닛(110)을 회동시키고 싶은 방향과는 역방향인 도면 중 시계회전 방향의 모멘트가 판독 유닛(110)에 작용해버린다. 한편, 점 b와 같이, 제1 당접면(110a) 중에서도 회동축(A2)로부터 도면 중 우측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아암(131)이 판독 유닛(110)에 당접할 경우에는, 아암(131)이 판독 유닛(110)을 압압하는 하중이 비교적 작아도 판독 유닛(110)이 회동한다.
도 8은, 제1 당접면(110a)을 하측으로부터 미는 것에 의해 판독 유닛(110)을 회동시킬 수 있는 최대의 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만일, 아암(131)이 도면의 점 d에서 제1 당접면(110a)에 당접하고 있었다고 하면, 제1 당접면(110a)이 연직이 되는 위치까지 판독 유닛(110)이 회동하면, 점 d에 있어서는 아암(131)이 더 이상 판독 유닛(110)을 압압할 수 없어진다. 판독 유닛(110)을 더욱 회동시키기 위해서, 점 e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당접면(110a)과는 다른 제2 당접면(110b)에서 아암(131)이 판독 유닛(110)에 당접하여 판독 유닛(110)을 압압하는 구성이 채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상을 고려하여, 아암(131)에 2개의 당접부(131a, 131c)를 설치하고, 2개의 당접부가 판독 유닛(110)의 제1 당접면(110a) 및 제2 당접면(110b)에 순서대로 당접해서 압압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하, 그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아암(131)의 선단에는 3개의 원호 프로파일(131a, 131b, 131c)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원호 프로파일을, 아암(131)의 회동축(A1)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제1 원호 프로파일(131a), 제2 원호 프로파일(131b), 제3 원호 프로파일(131c)이라고 부른다. 제1 원호 프로파일(131a) 및 제3 원호 프로파일(131c)은, 판독 유닛(110)을 압압할 때의 아암(131)의 회동방향(도면 중 시계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을 향해서 볼록한 원호형상의 곡면이다. 제1 원호 프로파일(131a)은, 판독 유닛(110)의 제1 당접면(110a)(제1면)을 압압하는 제1 볼록부이다. 제3 원호 프로파일(131c)은, 판독 유닛(110)의 제2 당접면(110b)(제2면)을 압압하는 제2 볼록부이다. 제2 원호 프로파일(131b)은, 제1 원호 프로파일(131a)과 제3 원호 프로파일(131c)의 사이에 오목하게 들어간 원호형상의 곡면이며, 제1 당접면(110a)과 제2 당접면(110b)의 모서리부(110c)를 받아들이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당접면(110a) 및 제2 당접면(110b)은, X 방향으로 보아서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인 판독 유닛(110)의 이웃하는 2개의 면(수직에 접하는 면)이지만, 수직 이외의 각도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면을 제1면 및 제2면으로 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판독 유닛(110)의 제1 당접면(110a)은, 글래스(111)에 붙여진 갭 시트(115)(갭 형성 부재)의 표면이다. 아암(131)이 글래스(111)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글래스(111)가 손상할 가능성을 저감하고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갭 시트(115)에 대한 아암(131)의 당접 위치는, 갭 시트(115)에 대한 셰이딩판(144)의 맞부딪침 영역과는 X 방향으로 벗어나 있다. 그 때문에, 아암(131)에 반복하여 당접된 갭 시트(115)의 제1 당접면(110a)의 표면이 거칠어져도, 글래스(111)와 셰이딩판(144)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갭 폭의 정밀도는 저하되지 않는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 가이드(141)의 회동에 연동해서 아암(131)이 회동하면, 먼저, 제1 원호 프로파일(131a)이 판독 유닛(110)의 제1 당접면(110a)에 당접하고, 판독 유닛(110)을 판독 위치로부터 회동시키기 시작한다. 이 때, 제3 원호 프로파일(131c)은 판독 유닛(110)의 제2 당접면(110b)에는 접촉하지 않고 있다.
아암(131)이 더욱 회동하여 판독 유닛(110)이 소정의 각도에 도달하면, 제3 원호 프로파일(131c)이 제2 당접면(110b)에 당접함과 동시에, 제1 원호 프로파일(131a)은 제1 당접면(110a)으로부터 이격된다. 그리고, 제3 원호 프로파일(131c)이 제2 당접면(110b)을 압압해 감으로써,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독 유닛(110)은 유지 보수 위치까지 회동된다.
판독 유닛(110)이 유지 보수 위치에 도달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ADF 본체(10A)의 프레임에 고정된 반송 가이드(142)의 맞부딪침면(142a)에 판독 유닛(110)의 가압부(114)가 맞부딪친다. 이 때, 가압부(114)에 설치된 탄성부재(압축 스프링(114b))의 탄성에 의해, 판독 유닛(110)이 반송 가이드(142)에 맞부딪치는 충격이 완화된다. 즉, 가압부(114)는, 화상판독 시의 판독 유닛(110)의 위치 결정 작용 뿐만 아니라, 판독 유닛(110)을 유지 보수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의 완충 역할도 행할 수 있다.
이렇게, 판독 유닛(110)의 회동각도에 따라 아암(131)과 판독 유닛(110)과의 당접 위치가 절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판독 유닛(110)을 넓은 회동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하면서, 또한 조작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판독 유닛(110)의 제1 당접면(110a) 및 제2 당접면(110b)에 당접하는 아암(131)에 2개의 볼록부의 사이에 오목형상의 원호 프로파일(131c)을 설치했기 때문에, 2개의 볼록부에 의해 아암(131) 및 판독 유닛(110)이 잠김 상태로 되지 않는다. 즉, 제1 당접면(110a) 및 제2 당접면(110b)의 모서리부(110c)가 원호 프로파일(131c)의 내측의 공간에 수용됨으로써, 제1 원호 프로파일(131a)과 제1 당접면(110a)의 당접 상태로부터, 제3 원호 프로파일(131c)과 제2 당접면(110b)의 당접 상태로 원활하게 이행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원호 프로파일(131a, 131b, 131c)이 매끄러운 모양으로 연결되기(접선방향이 불연속적으로 변화되지 않는다) 때문에, 판독 유닛(110)의 당접 위치가 각 프로파일간에서 절환될 때에도 스무즈한 회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볼록부 및 그 사이의 오목부가 모두 원호곡선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원호이외의 곡선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변형예1)
실시예 1에서는, 회동 가이드(141)에 연동하는 아암(131)을 통하여, 회동 가이드(141)의 개폐에 연동해서 판독 유닛(110)이 회동되는 구성을 설명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131)을 설치하지 않고, 판독 유닛(110)을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회동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판독 유닛(110)을 유지 보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먼저 회동 가이드(141)를 파지해서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회동시킨 후, 판독 유닛(110)을 파지해서 판독 위치로부터 유지 보수 위치로 회동시킨다.
(변형예2)
또한, 회동 가이드(141)의 개폐에 연동해서 판독 유닛(110)이 회동하는 다른 구성으로서, 아암(131)을 회동 가이드(141)와 일체로 형성하는 등, 회동 가이드(141)의 일부가 판독 유닛(110)에 당접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한편, 실시예 1에서는, 회동 가이드(141)에 대하여 아암(131)이 상대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회동 가이드(141)의 회동범위에 비해 아암(131)의 회동범위가 좁은 구성으로 했기 때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비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변형예3)
실시예 1에서는, 판독 유닛(110) 및 회동 가이드(141)의 X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에 아암(131)이 배치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아암(131)을 X 방향의 양측에 배치해도 된다. 그 경우, 판독 유닛(110) 및 회동 가이드(141)에 비틀림 부하가 걸리기 어려워진다.
[실시예2]
실시예 2에 대해서 도 10 ~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회동 가이드(141)를 미리 열림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아암(131)의 조작부를 파지해서 아암(131)을 조작함으로써 판독 유닛(110)을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다르다. 이하, 실시예 1과 공통인 부호를 붙인 요소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하고, 실시예 1과는 다른 요소를 주로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아암(131)은 조작부(레버, 핸들)로서의 아암 조작부(131d)를 가진다. 아암 조작부(131d)는, 상부 커버(147)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액세스하기 쉽도록, 예를 들면 회동 가이드(141)에 대하여 화상 형성 장치(1)의 정면측이며 회동 가이드(141)의 가이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아암 조작부(131d)는 아암(131)의 다른 부분과 일체로 회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소정의 회동범위에서만 아암(131)의 다른 부분과 연동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유지 보수 작업시에 판독 유닛(110)을 판독 위치로부터 유지 보수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작업자는, 미리 상부 커버(147)를 개방해 두고, 나아가 회동 가이드(141)를 열림 위치로 이동시켜 둔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아암 조작부(131d)에 손을 대고, 아암(131)을 도면 중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도 11,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131)의 선단측에 설치된 원호 프로파일(131a, 131c)이 판독 유닛(110)에 당접하여 압압하고, 축부(113)를 중심으로 하여 판독 유닛(110)을 도면 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판독 유닛(110)은, 도 10에 나타내는 판독 위치로부터 도 12에 나타내어진 유지 보수 위치로 이동한다. 이렇게, 판독 유닛(110)을 회동 가이드(141)와는 독립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글래스(111)의 클리닝이나 잼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판독 유닛(110)을 이동시켰을 때에 판독 유닛(110)이 받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아암(131)을 회동시키는 과정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아암(131)에 설치된 2개의 원호 프로파일(131a, 131c)이 판독 유닛(110)의 제1 당접면(110a) 및 제2 당접면(110b)에 순서대로 당접한다. 이 때, 작업자는 판독 유닛(110)을 유지 보수 위치까지 이동시킬 경우는 아암 조작부(131d)를 조작하면 되고, 판독 유닛(110)과 ADF본체(10)의 사이에 손이 끼워질 가능성은 낮다. 따라서, 판독 유닛(110)을 넓은 회동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하면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판독 유닛(110)을 회동 가이드(141)와는 독립적으로 회동가능하게 함으로써, 판독 유닛(110)을 회동시켰을 때의 전선(150)의 단선 리스크를 저감가능하다.
[실시예3]
실시예 3에 대해서 도 13,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판독 유닛(110)의 회동축의 위치 및 판독 유닛(110)의 회동방향이 실시예 1과 다르다. 이하, 실시예 1과 공통인 부호를 붙인 요소는 실시예 1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하고 실시예 1과 다른 요소를 주로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독 유닛(110)은, ADF(10)의 프레임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축부(113)를 가지고, 반송 가이드로서의 회동 가이드(141)의 회동축(A1)과는 다른 회동축(A3)(제3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판독 유닛(110)의 회동축(A3)은, 판독 유닛(110)의 Y 방향의 일방측(Y 방향 마이너스측)임과 동시에, Z 방향 상방측인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회동축은, 반송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시트의 시트 반송 방향(도면 중 좌측으로의 방향)에 있어서의 반송 가이드의 상류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3 회동축은, 반송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시트의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판독 유닛의 상류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동 가이드(141)는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를 향해서 회동축(A1)의 주위로 도면 중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동되고, 판독 유닛(110)은 판독 위치로부터 유지 보수 위치를 향해서 회동축(A3)의 주위로 도면 중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렇게, 투명부재로서의 글래스(111)를 노출시킬 때의 회동 가이드(141) 및 판독 유닛(110)의 회동방향이 같은 방향이 되는 구성이여도, 실시예 1, 2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회동 가이드(141) 및 판독 유닛(110)의 회동방향을 같은 방향으로 할지 반대 방향으로 할지는, 이 주위에 배치되는 부재와의 위치 관계 등, ADF(10)의 구체적 구성에 따라 선택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판독 유닛(110)의 회동축(A3)의 위치가 실시예 1, 2와 다르므로, 판독 유닛(110)에 접속되는 전선(150)의 배선 경로도 실시예 1, 2와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선(150)은, 판독 유닛(110)의 회동축(A3)의 근방을 경유해서 판독 유닛(1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다. 이 때, 전선(150)은, 실시예 1과는 달리, Y 방향 마이너스측(판독 위치에 있어서의 시트 반송 방향(D1)의 하류측)으로 인출되어, ADF본체(10)의 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152)에 가이드되어 배선된다.
판독 유닛(110)의 회동축(A3)으로부터, 판독 유닛(110)으로부터 전선(150)을 인출하는 출구까지의 거리는, 적어도, 회동 가이드(141)의 회동축(A1)으로부터 출구까지의 거리보다 짧다. 또한, 회동축(A3)의 근방이란, 구체적이고 바람직하게는, X 방향으로 본 상태에서 축부(113)과 겹치는 위치를 전선(150)이 통과하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또한, X 방향으로 보아서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인 판독 프레임(119)에 4개의 모서리부 가운데, 전선(150)을 인출하는 출구에 가장 가까운 모서리부와, 축부(113)에 가장 가까운 모서리부가 동일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전선(150)을 판독 유닛(110)의 회동축(A3)의 근방을 경유해서 배선하면, 판독 유닛(110)을 회동축(A3) 주위로 회동시켰을 때에, 전선(150)은 주로 회동축(A3)의 부근에서 휜다(도 13 참조). 그 때문에, 판독 유닛(110)측의 전선(150)의 출구로부터, ADF 본체(10A) 측의 전선(150)의 입구(149)(전선(150)을 받아들이는 개구 또는 전선(150)을 보유지지하는 가이드 부재)까지의 거리의 변동은 작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구성으로도, 전선(150)의 단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4]
실시예 4에 대해서 도 15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회동 가이드(141)의 회동축의 위치 및 회동 가이드(141)의 회동방향이 실시예 2와 다르다. 이하, 실시예 2와 공통인 부호를 붙인 요소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하고, 실시예 2와는 다른 요소를 주로 설명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가이드로서의 회동 가이드(141)는, 회동축(A4)(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동축(A4)은, 회동 가이드(141)가 안내하는 시트의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회동 가이드(141)의 하류측(도면 중 좌측, Y 방향 플러스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회동축은, 반송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시트의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반송 가이드의 하류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3 회동축은, 반송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시트의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판독 유닛의 하류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동 가이드(141)는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를 향해서 회동축(A4) 주위로 도면 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판독 유닛(110)은 판독 위치로부터 유지 보수 위치를 향해서 회동축(A2)의 주위로 도면 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러한 구성으로도, 실시예 1, 2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변형예)
변형예에 대해서, 도 16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4에 있어서의 회동 가이드(141)의 회동축(A4)의 위치 및 회동 가이드(141)의 회동방향과,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판독 유닛(110)의 회동축(A3)의 위치 및 판독 유닛(110)의 회동방향을 조합시킨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회동축은, 반송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시트의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반송 가이드의 하류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3 회동축은, 반송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시트의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판독 유닛의 상류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동 가이드(141)는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를 향해서 회동축(A4) 주위로 도면 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판독 유닛(110)은 판독 위치로부터 유지 보수 위치를 향해서 회동축(A3)의 주위로 도면 중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러한 구성으로도, 실시예 1, 2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5]
실시예 5에 대해서 도 18,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아암 부재를 판독 유닛의 제1 당접면 및 제2 당접면에 당접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점에서 실시예 2와 다르다. 이하, 실시예 2와 공통인 부호를 붙인 요소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하고 실시예 2와는 다른 요소를 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ADF(10)는, 제1 아암 부재로서의 아암(132)과, 제2 아암 부재로서의 아암(133)을 구비하고 있다. 아암(132, 133)은, ADF 본체(10A)의 프레임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모두 회동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아암(132, 133)은, X 방향으로 보아서 서로 겹친다. 또한, 2개의 아암(132, 133)은, 모두 아암 조작부(131d)를 조작함으로써 회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도,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아암 조작부(131d)를 도 18의 상태로부터 도면 중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동시킬 경우에, 먼저 아암(132)이 회동하여 판독 유닛(110)의 제1 당접면(110a)에 당접한다. 그 후, 아암(132)이 소정각도 회동한 시점에서 아암(133)이 회동을 시작하여 판독 유닛(110)의 제2 당접면(110b)에 당접한다. 이에 의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독 유닛(110)이 유지 보수 위치까지 회동된다. 이렇게, 2개의 아암(132, 133)에 의해 판독 유닛(110)의 복수의 면을 압압함으로써, 판독 유닛(110)이 넓은 회동범위에서 회동하는 구성이 실현된다. 또한, 겹치게 배치한 2개의 아암(132, 133)이 시간차를 두고 연동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아암(132, 133)의 배치에 필요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실시예6]
실시예 6에 대해서 도 20, 도 21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아암 부재에 당접되는 판독 유닛측의 당접면을 곡면으로 함으로써 판독 유닛의 회동범위를 확보하는 점에서 실시예 2와 다르다. 이하, 실시예 2와 공통인 부호를 붙인 요소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하고 실시예 2와는 다른 요소를 주로 설명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판독 유닛(110)에는, 글래스(111)가 배치되는 면과는 다른 아암 당접면(110d)이 설치되어 있다. 아암 당접면(110d)은, X 방향으로 본 상태에서, 아암(131)의 회동방향(도면 중 시계회전 방향)의 상류측을 향해서 볼록인 실질적으로 원호형상의 곡면이다. 한편, 아암(131)의 선단은, 회동축(A1)을 통과하는 직선을 따른 실질적으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암 당접면(110d)은, 적어도, 제1 당접점(d1)(도 20)과 제2 당접점(d2)(도 21)과의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연속된 곡면이다.
제1 당접점(d1)은, 판독 유닛(110)이 판독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아암(131)에 당접되는 위치이다. 제2 당접점(d2)은, 판독 유닛(110)이 유지 보수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아암(131)에 당접되는 위치이다.
아암(131)이 도면 중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동되면, 아암(131)은, 아암 당접면(110d)에 대한 당접 위치를 제1 당접점(d1)으로부터 제2 당접점(d2)까지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판독 유닛(110)을 판독 위치로부터 유지 보수 위치까지 회동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아암(131)을 간단한 형상으로 하여도,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설계상의 자유도를 넓힐 수 있다.
(기타의 실시 형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화상 판독 장치에 본 기술을 적용했을 경우의 구성을 설명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와 독립된 화상 판독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개시에 의하면, 판독 유닛의 글래스면의 클리닝을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어지는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그러한 변형예와 균등 구조 및 기능을 포섭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3)
- 시트로부터 화상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화상 판독 장치로서,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상면을 포함하는 커버 유닛과,
상기 시트를 시트 반송로를 따라 반송하는 시트 반송 부재와,
상기 시트 반송 부재에 의해 급송되는 시트를 안내하는 반송 가이드로서, 상기 제1 회동축과는 다른 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반송 가이드와,
투명부재와, 상기 시트 반송 부재에 의해 급송되는 시트상의 화상을 상기 투명부재를 통해서 판독하는 판독부를 포함하는 판독 유닛으로서, 상기 제1 회동축 및 상기 제2 회동축과는 다른 제3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판독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반송 가이드와 함께 상기 시트 반송로를 형성하는 닫힘 위치와, 상기 시트 반송로가 개방된 열림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며,
상기 커버 유닛이 상기 열림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반송 가이드와 상기 판독 유닛의 회동에 의해 상기 투명부재가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유닛에 당접함으로써, 상기 판독 유닛을, 상기 투명부재가 상기 시트 반송로에 대향하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투명부재가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아암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가이드는,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반송 가이드가 상기 판독 유닛을 덮는 제3 위치와, 상기 판독 유닛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4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고,
상기 아암 부재는, 상기 제3 위치로부터 상기 제4 위치로의 상기 반송 가이드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판독 유닛을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가이드는,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반송 가이드가 상기 판독 유닛을 덮는 제3 위치와, 상기 판독 유닛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4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고,
상기 아암 부재는, 상기 반송 가이드가 상기 제3 위치로부터 상기 제4 위치로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아암 부재에 의해 상기 판독 유닛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유닛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제3 회동축을 중심으로 제1 회동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아암 부재는, 상기 판독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판독 유닛과의 당접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상기 제1 회동 방향과 반대인 제2 회동 방향으로 상기 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유닛은, 상기 투명부재가 설치되는 제1면과, 시트 폭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1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면을 가지고,
상기 아암 부재는, 상기 제1면을 압압하기 위한 제1 볼록부와, 상기 제2면에 당접할 수 있는 제2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아암 부재가 상기 제2 회동 방향으로 회동할 경우에, 상기 제1 볼록부가 상기 제1면에 당접한 후에 상기 제2 볼록부가 상기 제2면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부재가 제1 아암 부재이고,
상기 화상 판독 장치는, 상기 판독 유닛에 당접함으로써, 상기 판독 유닛을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에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아암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독 유닛은, 상기 투명부재가 설치되는 제1면과, 시트 폭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1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아암 부재 및 상기 제2 아암 부재가 상기 제2 회동 방향으로 회동할 경우에, 상기 제1 아암 부재가 상기 제1면에 당접한 후에 상기 제2 아암 부재가 상기 제2면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유닛은, 시트 폭 방향으로 보았을 때 만곡한 곡면을 가지고,
상기 아암 부재가 상기 제2 회동 방향으로 회동할 경우에, 상기 아암 부재와 상기 곡면과의 당접 위치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에 대향하는 대향 부재와,
상기 투명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대향 부재에 당접함으로써 상기 투명부재와 상기 대향 부재와의 사이에 시트가 통과하는 간극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갭 형성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아암 부재는, 상기 갭 형성 부재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유닛은, 상기 투명부재가 상기 시트 반송로에 대향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투명부재가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며,
상기 판독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투명부재는 연직방향으로 하측을 향하고 있고,
상기 판독 유닛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투명부재는 연직방향으로 상측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유닛은, 상기 투명부재가 상기 시트 반송로에 대향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투명부재가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며,
상기 판독 유닛은, 탄성부재와 상기 반송 가이드에 당접되는 피당접부를 포함하는 가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반송 가이드에 의해 상기 피당접부가 압압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판독 유닛이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결정되며,
상기 판독 유닛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했을 경우, 상기 피당접부가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된 부재에 당접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판독 유닛이 완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판독 유닛은, 상기 제3 회동축 위에 설치된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축부를 회동가능하게 보유지지하면서, 상기 축부를 상기 판독 유닛의 판독 위치에서의 시트 반송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투명부재가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외부로 노출된 위치까지 상기 판독 유닛이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판독 유닛은 상기 시트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와 접속되며, 상기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화상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선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판독 유닛은, 상기 전선을 상기 판독 유닛의 외부로 인출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시트 폭 방향으로 보았을 경우에, 상기 제3 회동축으로부터 상기 개구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 회동축으로부터 상기 개구부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판독 유닛은, 상기 제3 회동축 위에 설치된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축부를 회동가능하게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폭 방향으로 보았을 경우에,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배선된 상기 전선과 상기 축부가 서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유닛은, 상기 시트 폭 방향으로 보았을 경우에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시트 폭 방향으로 보았을 경우에, 상기 축부에 가장 가까운 상기 판독 유닛의 모서리부와, 상기 개구부에 가장 가까운 상기 판독 유닛의 모서리부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닛은, 시트의 상측 면을 안내하는 상측 가이드면을 가지고,
상기 반송 가이드는, 상기 상측 가이드면과 함께 상기 시트 반송로를 형성하고, 시트의 하측 면을 안내하는 하측 가이드면을 가지고,
상기 제3 회동축은, 상기 상측 가이드면 및 상기 하측 가이드면보다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시트가 재치되는 재치부와,
상기 재치부의 하방에 설치되고, 화상 정보가 판독된 시트가 배출되도록 구성된 배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시트 반송로는, 시트 폭 방향으로 보았을 경우에, 상기 재치부로부터 수평방향의 일방측을 향해서 상기 시트가 급송되어, 상기 수평방향의 타방측을 향해서 배출되도록 만곡하고 있고,
상기 반송 가이드는, 상기 재치부로부터 상기 수평방향의 상기 일방측을 향해서 급송되는 시트의 하측 면을 안내하고,
상기 판독 유닛은, 상기 반송 가이드의 하방이며 만곡한 상기 시트 반송로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동축은, 상기 반송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시트의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반송 가이드의 상류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3 회동축은, 상기 반송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시트의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판독 유닛의 하류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부재가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반송 가이드 및 상기 판독 유닛을 회동시킬 때, 상기 반송 가이드의 회동방향과 상기 판독 유닛의 회동방향이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동축은, 상기 반송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시트의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반송 가이드의 상류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3 회동축은, 상기 반송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시트의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판독 유닛의 상류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부재가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반송 가이드 및 상기 판독 유닛을 회동시킬 때, 상기 반송 가이드의 회동방향과 상기 판독 유닛의 회동방향이 동일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동축은, 상기 반송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시트의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반송 가이드의 하류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3 회동축은, 상기 반송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시트의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판독 유닛의 하류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부재가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반송 가이드 및 상기 판독 유닛을 회동시킬 때, 상기 반송 가이드의 회동방향과 상기 판독 유닛의 회동방향이 동일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동축은, 상기 반송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시트의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반송 가이드의 하류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3 회동축은, 상기 반송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시트의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판독 유닛의 상류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부재가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반송 가이드 및 상기 판독 유닛을 회동시킬 때, 상기 반송 가이드의 회동방향과 상기 판독 유닛의 회동방향이 동일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 판독 장치. - 시트로부터 화상 정보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화상 판독 장치와,
상기 화상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된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화상 판독 장치는,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상면을 포함하는 커버 유닛과,
상기 시트를 시트 반송로를 따라 반송하는 시트 반송 부재와,
상기 시트 반송 부재에 의해 급송된 시트를 안내하는 반송 가이드로서, 상기 제1 회동축과는 다른 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반송 가이드와,
투명부재와, 상기 시트 반송 부재에 의해 급송된 시트상의 화상을 상기 투명부재를 통해서 판독하는 판독부를 포함하는 판독 유닛으로서, 상기 제1 회동축 및 상기 제2 회동축과는 다른 제3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판독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반송 가이드와 함께 상기 시트 반송로를 형성하는 닫힘 위치와, 상기 시트 반송로가 개방된 열림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며,
상기 커버 유닛이 상기 열림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반송 가이드와 상기 판독 유닛의 회동에 의해 상기 투명부재가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시트로부터 화상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화상 판독 장치로서,
상기 시트를 시트 반송로를 따라 반송하도록 구성된 시트 반송 부재와,
투명부재와, 상기 시트 반송 부재에 의해 급송된 시트상의 화상을 상기 투명부재를 통해서 판독하는 판독부를 가지는 판독 유닛(110)으로서, 상기 투명부재가 상기 시트 반송로에 대향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투명부재가 노출하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판독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판독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투명부재는 연직방향에 있어서 하측을 향하고 있고,
상기 판독 유닛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투명부재는 연직방향에 있어서 상측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1-105488 | 2021-06-25 | ||
JP2021105488A JP2023004032A (ja) | 2021-06-25 | 2021-06-25 |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0974A true KR20230000974A (ko) | 2023-01-03 |
Family
ID=8185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5573A KR20230000974A (ko) | 2021-06-25 | 2022-06-21 |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2) | US11689675B2 (ko) |
EP (1) | EP4109868A1 (ko) |
JP (1) | JP2023004032A (ko) |
KR (1) | KR20230000974A (ko) |
CN (1) | CN115524948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250447B2 (ja) * | 2018-06-27 | 2023-04-03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23004032A (ja) * | 2021-06-25 | 2023-01-17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24042831A (ja) * | 2022-09-16 | 2024-03-29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09554U (ko) * | 1985-12-25 | 1987-07-13 | ||
US7379700B2 (en) | 2003-05-06 | 2008-05-27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reading apparatus with rotatable internal and external guides |
JP4259325B2 (ja) | 2004-01-05 | 2009-04-30 | 村田機械株式会社 | 自動原稿搬送装置 |
US8072653B2 (en) * | 2006-12-28 | 2011-12-06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reading and recording apparatus |
JP5170145B2 (ja) * | 2010-03-30 | 2013-03-27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読取装置 |
US20140320929A1 (en) * | 2013-04-30 | 2014-10-30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JP6146298B2 (ja) * | 2013-12-27 | 2017-06-14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
JP6358011B2 (ja) * | 2014-09-22 | 2018-07-18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
US9270837B1 (en) * | 2015-01-27 | 2016-02-23 | Lexmark International, Inc. | System for calibrating a stationary image capture module of an optical scanner |
JP6512862B2 (ja) * | 2015-02-26 | 2019-05-15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センサユニット |
JP6328083B2 (ja) * | 2015-09-07 | 2018-05-23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6266056B2 (ja) | 2016-08-05 | 2018-01-24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7114373B2 (ja) * | 2018-07-06 | 2022-08-08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CN112055125A (zh) * | 2019-06-05 | 2020-12-08 | 佳能株式会社 | 片材传送装置、原稿读取装置和成像设备 |
JP7358092B2 (ja) * | 2019-07-05 | 2023-10-10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US11388302B2 (en) * | 2020-04-30 | 2022-07-12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
JP7547969B2 (ja) * | 2020-12-09 | 2024-09-10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画像読取装置 |
JP2023004032A (ja) * | 2021-06-25 | 2023-01-17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2021
- 2021-06-25 JP JP2021105488A patent/JP2023004032A/ja active Pending
-
2022
- 2022-05-24 US US17/752,646 patent/US11689675B2/en active Active
- 2022-05-31 EP EP22176310.5A patent/EP4109868A1/en active Pending
- 2022-06-21 KR KR1020220075573A patent/KR20230000974A/ko unknown
- 2022-06-22 CN CN202210711934.0A patent/CN115524948A/zh active Pending
-
2023
- 2023-05-12 US US18/316,888 patent/US12075012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109868A1 (en) | 2022-12-28 |
US20230283724A1 (en) | 2023-09-07 |
CN115524948A (zh) | 2022-12-27 |
JP2023004032A (ja) | 2023-01-17 |
US20220417374A1 (en) | 2022-12-29 |
US12075012B2 (en) | 2024-08-27 |
US11689675B2 (en) | 2023-06-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30000974A (ko) |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
US7778568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guide member for detachable unit | |
US8561979B2 (en) | Open/close mechanism for paper tray for use in image forming apparatus | |
US6108514A (en) | Sheet conveying system | |
US20090060608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7500809B2 (ja) | 画像読取装置 | |
JP7500842B2 (ja) | 画像形成装置 | |
EP2515517B1 (en) |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8876104B2 (en) | Sheet feed apparatus, and documen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US7499071B2 (en) | Exposure device with a transmissive member and members for shielding the same | |
JP6338014B2 (ja) | 画像形成装置 | |
US11637943B2 (en) |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20220224800A1 (en) |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6460005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5156480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21176805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10072079A (ja) | 画像形成装置 | |
JP6365786B2 (ja) |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5412466B2 (ja) |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US7016640B1 (en) | Document handler/scan tub skew correction system | |
JP2015164879A (ja) |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 |
JP2023092649A (ja) | 画像形成装置 | |
CN113247652A (zh) | 片材进给设备、图像读取装置和成像装置 | |
JP2000185865A (ja) | シート搬送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