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346A - 수용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용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346A
KR20220169346A KR1020210100068A KR20210100068A KR20220169346A KR 20220169346 A KR20220169346 A KR 20220169346A KR 1020210100068 A KR1020210100068 A KR 1020210100068A KR 20210100068 A KR20210100068 A KR 20210100068A KR 20220169346 A KR20220169346 A KR 20220169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pedestal member
packaging
material laminat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무 미츠하시
Original Assignee
호와산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와산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와산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69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04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multip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7/00Internal frames or supports for flexible articles, e.g. stiffeners; 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for preventing adhesion of sticky articles
    • B65D57/002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stacked or nested
    • B65D57/003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stacked or nested for horizontally placed articles, i.e. for stacked or nes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6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laminated sheets or wrapp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66Inserted or applied 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2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 flexible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Wrapp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시트 모양의 식품을 수용한 포장재를 운반할 때에, 포장재나 식품이 변형하는 것, 및 식품이 눅눅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수용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주먹밥(50)을 감싸는 복수의 포장재(10) 각각이, 시트 모양의 식품인 김(40)을 개별적으로 포장한 상태로 복수 적층된 포장재 적층제(10M)와, 포장재 적층체(10M)가 일면(20a) 측에 배치되는 시트 모양의 받침대 부재(20)와, 포장재 적층체(10M)와 받침대 부재(20)를 수용하여 진공 포장 상태로 밀봉하는 수용 주머니(3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수용체 및 그 제조방법{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포장재를 통합하여 운반할 때에 바람직한 수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쌀밥을 소정 형상으로 성형한 주먹밥을 개별 포장하여 편의점이나 슈퍼마켓 등에서 판매하는 일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종류의 주먹밥의 포장재로서, 외측 필름 및 내측 필름을 갖는 이중 구조의 포장재 내부에 김 등의 시트 모양의 식품을 수용하여 두고, 칼집을 넣은 외측 필름을 좌우로 분리시킴과 동시에 내측 필름을 좌우로 잡아 뜯음으로써, 쌀밥에 시트 모양의 식품이 감겨진 상태로 개봉되는 것이 있다(특허문헌 1 등 참조). 예를 들어, 시트 모양의 식품으로 건조한 상기 김을 채용하면 개봉 직전까지 쌀밥에 김이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파삭파삭한 김의 식감을 즐길 수 있다.
여기에서, 제조 공장에서는 시트 모양의 식품을 내부에 수용하여 적층한 50 ~ 100장 정도의 상기 포장재를 비닐 봉지 등의 주머니에 넣어 포장 공정의 장소까지 운반하고, 포장재를 1장씩 꺼내어 쌀밥을 포장하는 경우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2015-104315호 공보
시트 모양의 식품을 내부에 수용한 다수의 포장재를 비닐 봉지 등의 주머니 안에 수용하여 운반하는 경우, 운반중에 포장재가 움직여 포장재나 내부의 식품이 휘어지는 등 변형되는 경우가 있었다. 포장재나 내부의 식품이 변형하면, 다수의 포장재로부터 포장재를 한장씩 꺼내는 작업에 지장이 생기거나, 쌀밥을 포장하기 힘들어지는 등 불편을 초래한다. 또한, 주머니 내 공기의 수분을 식품이 흡수하여 눅눅해지기 쉬워 본래의 건조 상태에 따른 식감의 맛이 저하하게 될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시트 모양의 식품을 수용한 포장재를 운반할 때, 포장재 및 식품이 변형하는 것, 및 식품이 눅눅해지는 것을 억제 할 수 있는 수용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수용체는, 주먹밥을 감싸는 복수의 포장재 각각이, 시트 모양의 식품을 개별적으로 포장한 상태로 복수 적층된 포장재 적층체와, 상기 포장재 적층체가 일면측에 배치되는 시트 모양의 받침대 부재와, 상기 포장재 적층체와 상기 받침대 부재를 수용하여 진공 포장 상태로 밀봉하는 수용 주머니를 구비한다.
(2) (1)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적층체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포장재 각각은, 상기 주먹밥에 접촉하는 측의 이면(裏面)이 상기 받침대 부재 측에 위치하도록 적층되어 있고, 상기 포장재 적층체에서 적어도 상기 받침대 부재와는 반대측의 표면 측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포장재의 일방향 양측의 단부 각각이 상기 수용 주머니에 의해 상기 받침대 부재 측으로 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3) (1)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적층체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포장재 각각은, 상기 주먹밥에 접촉하는 측의 이면이 상기 받침대 부재 측에 위치하도록 적층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 부재는, 해당 받침대 부재의 상기 일면측에 접혀져 상기 포장재 적층체의 일방향 양측의 단부 각각을 덮는 접힘부를 가지며, 상기 포장재 적층체에서 적어도 상기 받침대 부재와는 반대측의 표면측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포장재의 일방향 양측의 단부 각각이, 상기 접힘부에 의해 상기 받침대 부재 측으로 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본 발명의 수용체의 제조방법은, 주먹밥을 포장하는 포장재에 시트 모양의 식품을 개별적으로 포장하는 단계와, 상기 식품을 개별적으로 포장한 복수의 상기 포장재를 시트 모양의 받침대 부재의 일면측에 적층하여 포장재 적층체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포장재 적층체와 상기 받침대 부재를 수용 주머니에 수용하는 단계와, 상기 수용 주머니 내를 진공처리하여 상기 포장재 적층체와 상기 받침대 부재를 상기 수용 주머니 내에 밀봉하여 진공 포장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 모양의 식품을 수용한 포장재를 운반할 때에, 포장재나 식품이 변형하는 것, 및 식품이 눅눅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수용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재 적층체 및 받침대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표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이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재 적층체로부터 1장의 포장재를 꺼내어 주먹밥을 감싸는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재로 주먹밥을 감싼 포장 완료 주먹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체(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이다. 도 3은 수용체(1)를 구성하는 포장재 적층체(10M) 및 받침대 부재(2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체(1)는 복수의 포장재(10)가 적층된 포장재 적층체(10M)와 받침대 부재(20)와 수용 주머니(30)를 포함한다.
도 1 ~ 도 3에 표시되는 화살표 L, 화살표 W의 각각은 수용체(1), 포장재(10), 포장재 적층체(10M) 및 받침대 부재(20)에서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도 4 ~ 도 1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포장재 적층체(10M)는, 복수의 사각형 모양의 포장재(10)가 적층된 것이다. 실시형태의 포장재(10)는, 쌀밥을 쥐어 삼각형 모양으로 성형한 후술하는 주먹밥(50)을 감싸는 사각형 모양의 필름이다. 복수의 포장재(10) 각각은, 시트 모양의 식품(40)이 개별적으로 포장된다. 즉, 포장재 적층체(10M)는, 복수의 포장재(10) 각각이, 시트 모양의 식품(40)을 개별적으로 포장한 상태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실시형태의 수용체(1)는, 다수의 주먹밥(50)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제조된다.
시트 모양의 식품(40)은 주먹밥(50)을 감싸는 구운 김 등의 얇은 판 모양의 김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시트 모양의 식품(40)으로는 명주 다시마, 얇게 부친 달걀지단, 타타미 이와시() 등의, 얇고 넓게 퍼져 성형된 사각형 모양의 식품을 들 수 있다. 어떤 것이든 식품(40)은 주먹밥(50)을 감싸기가 가능한 가요성을 갖는 시트 모양의 식품이다.
여기에서는 시트 모양의 식품(40)을 김(40)으로 설명한다. 사각형 모양의 김(40)은 주먹밥(50)을 감싸기가 가능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김(40)을 포장한 상태의 포장재(10)를, 김이 들어간 포장재(10B)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 포장재 적층체(10M)는 김이 들어간 포장재(10B)가 예를 들어 50 ~ 100장 정도 적층되어 있다.
도 4는, 김이 들어간 포장재(10B)를 표면(10s)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김이 들어간 포장재(10B)의 이면도이다. 도 6은 김이 들어간 포장재(10B)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4 ~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재(10)는 가요성을 갖는 표면(10s) 측의 외측 필름(11)과 가요성을 갖는 이면(10g) 측의 내측 필름(12)을 구비한다. 이면(10g) 측은 주먹밥(50)이 접촉하는 측이다. 외측 필름(11)과 내측 필름(12) 사이에, 김(40)이 끼워져 배치된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외측 필름(11)의 아래쪽에 내측 필름(12)이 배치되어 있다. 포장재 적층체(10M)의 각 포장재(10)는, 외측 필름(11) 및 내측 필름(12)이 각각 동일한 측에 배치되도록 적층된다.
외측 필름(11)은,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제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한 장의 필름으로 구성된다. 외측 필름(11)의 모서리에는 자름부(11a)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필름(12)은, 외측 필름(11)과 동일한 형상이다. 내측 필름(12)은,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서로 분리하는 좌측 필름(13) 및 우측 필름(14)을 구비한다. 좌측 필름(13)과 우측 필름(14)은, 내측의 가장자리부(13a) 및 가장자리부(14a)끼리가 겹쳐져 있다. 내측 필름(12)의 모서리는 외측 필름(11)과 유사한 자름부(12a)가 설치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필름(11)과 내측 필름(12)은, 각각의 주연부(周緣部)가 서로 밀봉부(15)를 통해 접합된다. 밀봉부(15)는 용착 등의 방법으로 외측 필름(11)과 내측 필름(12)이 접합된 부분이다. 밀봉부(15)는, 복수의 제1 밀봉부(15a)와 복수의 제2 밀봉부(15b)와 복수의 제3 밀봉부(15c)를 포함한다. 제1 밀봉부(15a)는 포장재(10)의 모서리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밀봉부(15b)는 직사각형 모양이고, 길이 방향 양단의 제1 밀봉부(15a) 사이에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3 밀봉부(15c)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모양이며, 길이 방향 양단부 각각에 좌우 한쌍의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외측 필름(11)의 폭 방향 중앙부의 내면 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모양의 컷 테이프(16)가 점착되어 있다. 컷 테이프(16)는 합성수지 필름이다. 컷 테이프(16)는, 외측 필름(11)의 길이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고 있다. 외측 필름(11)은 컷 테이프(16)를 그의 일 단부로부터 잡아 뜯음으로써,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분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외측 필름(11)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컷 테이프(16)의 양쪽에는 커팅부(17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컷 테이프(16)를 사이에 둔 한쌍의 커팅부(17a)에 의해, 포장재(10)로부터 떼어줄 수 있는 조작편(17)이 설치되고, 이 조작편(17)을 손가락으로 집어 컷 테이프(16)를 전체 길이에 걸쳐 용이하게 잡아 뜯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김(40)은, 외측 필름(11)과 내측 필름(12)을 접합할 때, 외측 필름(11)과 내측 필름(12) 사이에 끼워져 포장재(10) 내부에 수용된다. 또는, 외측 필름(11)과 내측 필름(12)을 접합한 후에, 내측 필름(12)의 폭 방향 중앙부의 좌측 필름(13)과 우측 필름(14) 사이로부터 안으로 넣음으로써 포장재(10) 내부에 수용하여도 좋다.
받침대 부재(20)는, 시트 모양의 부재이다. 받침대 부재(20)는, 예를 들면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탄성 변형하는 것의 원형은 유지되도록 하는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평판이나 골판지 등이 이용된다. 합성수지제의 평판의 경우의 소재로는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AS 수지, PET 등을 들 수 있다. 받침대 부재(20)는 포장재(10)보다 약간 큰 사각형 모양이다. 받침대 부재(20)의 일면(20a) 측에 포장재 적층체(10M)가 배치된다. 포장재 적층체(10M)는, 포장재(10)의 길이 방향이 받침대 부재(20)의 길이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받침대 부재(20)의 일면(20a)에 적재된다. 포장재 적층체(10M)의 각 포장재(10)는, 이면(10g) 측의 내측 필름(12)이 받침대 부재(20) 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받침대 부재(20)에 적층된다.
수용 주머니(30)는, 포장재 적층체(10M) 및 받침대 부재(20)를 수용하여, 이들 포장재 적층체(10M) 및 받침대 부재(20)를 진공 포장 상태로 밀봉한다. 수용 주머니(30)는, 가요성을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 필름으로 된 주머니이다. 그러한 합성수지 필름으로는 단층 또는 다층의 합성수지 필름이 이용된다. 단층의 경우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 필름이다. 다층의 경우는, 예를 들어, 습기를 차단하는 배리어 층이 되는 PVDC(폴리염화비닐리덴)를 폴리에틸렌 사이에 둔 3층 구조의 합성수지 필름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수용 주머니(30)는, 예를 들어, 사각형 모양으로서 한쪽의 짧은 변 측의 가장자리만이 개구하는 삼방 주머니를 이용할 수 있다. 그 경우, 개구로부터 수용 주머니(30) 내부에 포장재 적층체(10M)와 받침대 부재(20)를 수용하고 수용 주머니(30)의 내부 공기를 흡인하여 진공 상태로 하며, 개구 부분을 용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패키징한다. 따라서, 수용 주머니(30)에 포장재 적층체(10M) 및 받침대 부재(20)가 진공 포장 상태로 밀봉된다. 또한, 수용 주머니(30)는, 삼방 주머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장의 합성수지제 시트 사이에 포장재 적층체(10M)와 받침대 부재(20)를 배치하여 서로 붙이고, 외주부를 용착하는 등으로 하여 진공 포장해도 좋다.
포장재 적층체(10M)는, 수용 주머니(30)에 의해 복수의 포장재(10)의 적층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에 따라, 도 2와 같이, 포장재 적층체(10M)의 복수의 포장재(10) 중 적어도 받침대 부재(20)와는 반대측의 표면측(도 2에서 위쪽)에 배치된 소정 개수의 포장재(10)의 폭 방향 양측 단부(10e)의 각각은 수용 주머니(30)에 의해 받침대 부재(20) 측으로 휜다. 그리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휘어짐이 고정화하여 변형된 모양이 유지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체(1)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우선, 복수의 포장재(10)의 각각에, 김(40)을 1장씩 개별 포장한다. 이어서, 김(40)을 개별적으로 포장한 포장재(10)인 김이 들어간 포장재(10B)를 소정 매수(예를 들어, 50 ~ 100장) 묶어, 받침대 부재(20)의 일면(20a) 위에 적층한 상태로 배치한다. 즉, 포장재 적층체(10M)를 받침대 부재(20)의 일면(20a) 위에 배치한다. 이어서, 포장재 적층체(10M)와 받침대 부재(20)를 수용 주머니(30)에 수용한다. 이 후, 수용 주머니(30) 내를 진공처리하여 포장재 적층체(10M)와 받침대 부재(20)를 수용 주머니(30) 내에 밀봉하여 진공 포장한다.
진공 포장함으로써 김(40)이 눅눅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 부재(20)가 골판지인 경우, 받침대 부재(20)가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있지만, 진공 포장함으로써 그 수분량이 감소하여 김(40)이 눅눅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8은, 다수의 주먹밥(50)을 제조하는 공장에서, 쌀밥을 쥐어 삼각형 모양으로 성형한 주먹밥(50)에, 포장재 적층체(10M)로부터 꺼낸 1장의 김이 들어간 포장재(10B)를 씌워 포장하는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의 수용체(1)는, 해당 공정의 장소까지 운반되어 수용 주머니(30)를 개봉하여 포장재 적층체(10M)가 배출되며, 소정의 배출대(60)에 설치된다. 배출대(60)에 설치된 포장재 적층체(10M)는, 각 김이 들어간 포장재(10B)가 대략 수평하면서, 또한, 내측 필름(12)이 하측에 배치된 상태로 적층되어 있다. 복수의 김이 들어간 포장재(10B)를 받침대 부재(20)의 일면(20a) 위에 적층하고 수용 주머니(30)에 의해 진공 포장 상태로 운반하기 때문에, 포장재(10)나 김(40)이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포장재 적층체(10M)의 하방에는 쌀밥을 쥐어 삼각형 모양으로 성형한 주먹밥(50)이 수평으로 놓여진 상태로 배치된다. 포장재 적층체(10M)로부터 가장 아래에 있는 1장의 김이 들어간 포장재(10B)가 진공 흡착기 등의 도시하지 않은 배출 장치에 의해 흡착되어 하방으로 배출되며, 주먹밥(50)에 상측으로부터 씌워진다.
여기에서, 도 8에 도시하는 포장재 적층체(10M)로부터 배출된 1장의 포장재(10)의 폭 방향 양측 단부(10e)의 각각은 주먹밥(50)이 배치된 하측으로 휘어져 만곡한 상태로 변형된 모양을 유지하고 있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받침대 부재(20)의 일면(20a) 측에 배치된 포장재 적층체(10M)가 수용 주머니(30)로 진공 포장되었기 때문이다. 포장재 적층체(10M)의 받침대 부재(20)에 근접하는 복수의 포장재(10)는 평탄하고 단단한 받침대 부재(20)의 일면(20a)에 눌려져 있기 때문에 변형된 모양을 유지하기 어렵다. 그러나, 받침대 부재(20)와는 반대측의 표면 측에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포장재(10)는, 진공 포장에 의한 압축력으로 가요성을 갖는 하방의 포장재(10)에 눌려져 있어, 휘거나 변형된 모양을 유지하기 쉽다.
이와 같이, 포장재(10)의 폭 방향 양측 단부(10e)의 각각이 변형된 모양을 유지하고 있게 되면, 포장재(10)는 하방의 주먹밥(50)의 외부 표면을 따르는 것과 같은 형상이 되어, 주먹밥(50)과 반대측의 상측으로 휘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김이 들어간 포장재(10B)로 주먹밥(50)을 감싸기 쉽게 되어, 포장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 후, 김이 들어간 포장재(10B)로 주먹밥(50)을 감싸고, 포장재(10)의 겹치는 부분을 밀봉 등으로 유지하여, 도 9에 나타낸 김이 들어간 포장재(10B)로 포장된 포장 완료 주먹밥(50B)을 얻는다. 포장 완료 주먹밥(50B)은 슈퍼마켓이나 편의점 등의 매장에서 판매된다.
포장 완료 주먹밥(50B)을 개봉하려면, 먼저 조작편(17)을 손가락으로 쥐고 당김으로써, 주먹밥(50)을 감아도는 컷 테이프(16)를 잡아 뜯어, 외측 필름(11)을 좌우로 분할한다. 이어서, 분할한 외측 필름(11)의 좌측 부분과 내측 필름(12)의 좌측 필름(13)을 잡음과 동시에, 분할한 외측 필름(11)의 우측 부분과 내측 필름(12)의 우측 필름(14)을 잡고, 좌우로 당겨 분리한다. 이에 따라, 외측 필름(11) 및 내측 필름(12)은 좌우로 분리되고, 남은 김(40)이 주먹밥(50)에 감겨진 상태로 부착하여 김(40)이 부착된 주먹밥(50)을 먹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체(1)는, 주먹밥(50)을 감싸는 복수의 포장재(10) 각각이 시트 모양의 식품인 김(40)을 개별적으로 포장한 상태로 복수 적층된 포장재 적층체(10M)와, 포장재 적층체(10M)가 일면(20a) 측에 배치되는 시트 모양의 받침대 부재(20)와, 포장재 적층체(10M)와 받침대 부재(20)를 수용하여 진공 포장 상태로 밀봉하는 수용 주머니(30)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김(40)을 수용한 복수의 포장재(10)를 운반할 때에, 포장재(10)나 김(40)이 변형하는 것, 및 김(40)이 눅눅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포장재(10)를 주먹밥(50)에 포장하기 쉽게 됨과 동시에, 건조한 김(40)의 파삭파삭한 식감을 맛볼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체(1)에서는, 포장재 적층체(10M)를 구성하는 복수의 포장재(10) 각각은, 주먹밥(50)에 접촉하는 측의 이면(10g)이 받침대 부재(20) 측에 위치하도록 적층되어 있으며, 포장재 적층체(10M)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받침대 부재(20)와는 반대측의 표면측에 배치된 복수의 포장재(10)의 폭 방향 양측 단부(10e)가 수용 주머니(30)에 의해 받침대 부재(20) 측으로 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포장재(10)를 주먹밥(50)에 씌워 포장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체(1)의 제조 방법은, 주먹밥(50)을 감싸는 포장재(10)에 시트 모양의 식품인 김(40)을 개별적으로 포장하는 단계와, 김(40)을 개별적으로 포장한 복수의 포장재(10)를 시트 모양의 받침대 부재(20)의 일면(20a) 측에 적층하여 포장재 적층체(10M)를 배치하는 단계와, 포장재 적층체(10M)와 받침대 부재(20)를 수용 주머니(30)에 수용하는 단계와, 수용 주머니(30) 내부를 진공처리하여 포장재 적층체(10M)와 받침대 부재(20)를 수용 주머니(30) 내에 밀봉하여 진공 포장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김(40)을 수용한 복수의 포장재(10)를 운반할 때에, 포장재(10)나 김(40)이 변형하는 것, 및 김(40)이 눅눅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수용체(1)를 바람직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계속해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수용체(1)는, 상기 받침대 부재(20)의 형태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다르고,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공통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며, 주로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받침대 부재(20)는, 그 폭 방향의 양단부에 접힘부(25)를 각각 갖는다. 접힘부(25)는, 받침대 부재(20)의 일면(20a) 측에서 접혀져, 포장재 적층체(10M)의 폭 방향 양단부를 덮고 있다. 제2 실시형태의 받침대 부재(20)는, 포장재 적층체(10M)가 배치되는 평탄한 배치부(21)와, 배치부(21)의 양단으로부터 배치부(21)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 접힌 좌우 한쌍의 접힘부(25)를 가진다. 좌우의 접힘부(25)는 미리 형성되며, 이들 접힘부(25) 사이의 배치부 (21)의 상면에 포장재 적층체(10M)를 배치해도 좋다. 또는, 포장재 적층체(10M)를 배치한 후에 각 접힘부(25)를 형성해도 좋다.
제2 실시형태의 수용체(1)는, 각 접힘부(25)에 의해 포장재 적층체(10M)의 폭 방향 양단부가 덮인 상태에서, 수용 주머니(30)의 내부가 진공처리되어 있다. 포장재 적층체(10M)는, 수용 주머니(30)에 의해 복수의 포장재(10)의 적층 방향으로 압축되고, 또한, 받침대 부재(20)의 접힘부(25)에 의해 그 양단부 각각이 복수의 포장재(10)의 적층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에 따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재 적층체(10M)의 복수의 포장재(10) 중 적어도 받침대 부재(20)와는 반대측의 표면 측 (도 11에서 상측)에 배치된 소정 개수의 포장재(10)의 폭 방향 양측의 단부(10e)의 각각은 접힘부(25)에 의해 받침대 부재(20) 측으로 휜다. 그리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휘어짐이 고정화하여 변형된 모양이 유지된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받침대 부재(20)와는 반대측의 표면측에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포장재(10)는, 접힘부(25)로부터 받는 누르는 압력으로 가요성을 가진 하방의 포장재(10)에 눌려짐으로써 휘어 변형된 모양이 유지되기 쉽다.
이와 같이, 포장재(10)의 폭 방향 양측의 단부(10e)의 각각이 변형된 모양으로 유지되어 있으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재(10)는 주먹밥(50)의 외표면을 따르는 것 같은 형상이 되고, 김이 들어간 포장재(10B)로 주먹밥(50)을 감싸기 쉽게 되어, 포장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용체(1)에서는, 포장재 적층체(10M)를 구성하는 복수의 포장재(10) 각각은, 주먹밥(50)에 접촉하는 측의 이면(10g)이 받침대 부재(20) 측에 위치하도록 적층되어 있으며, 받침대 부재(20)는, 해당 받침대 부재(20)의 일면(20a) 측에서 접혀져 포장재 적층체(10M)의 폭 방향 양단부를 덮는 접힘부(25)를 가지며, 포장재 적층체(10M)에 있어서 적어도 받침대 부재(20)와는 반대측의 표면(10s) 측에 배치된 복수의 포장재(10)의 폭 방향 양측의 단부(10e)가 접힘부(25)에 의해 받침대 부재(20) 측으로 휘어져 있다.
이에 따라, 포장재(10)를 주먹밥(50)에 씌워 포장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받침대 부재(20)의 적어도 포장재 적층체(10M)가 배치되는 일면(20a)을 폭 방향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만곡한 형상, 또는 산 모양의 형상으로 폭 방향 양측의 단부(10e)뿐만 아니라 포장재(10) 전체가 만곡하는 상태로 변형된 모양이 유지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포장재(10)의 폭 방향 양측의 단부(10e)를 휘도록 하여 변형된 모양이 유지되는 형태에 추가하여, 포장재(10)의 길이 방향 양측의 단부를 휘도록 하여 변형된 모양이 유지되도록 해도 좋다.
10 포장재
10e 포장재의 양단부
10g 포장재의 이면
10M 포장재 적층체
20 받침대 부재
20a 받침대 부재의 일면
25 접힘부
30 수용 주머니
40 식품(김)
50 주먹밥

Claims (4)

  1. 주먹밥을 감싸는 복수의 포장재 각각이, 시트 모양의 식품을 개별적으로 포장한 상태로 복수 적층된 포장재 적층체와,
    상기 포장재 적층체가 일면측에 배치되는 시트 모양의 받침대 부재와,
    상기 포장재 적층체와 상기 받침대 부재를 수용하여 진공 포장 상태로 밀봉하는 수용 주머니를 구비하는 수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적층체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포장재 각각은, 상기 주먹밥에 접촉하는 측의 이면이 상기 받침대 부재 측에 위치하도록 적층되어 있고,
    상기 포장재 적층체에서 적어도 상기 받침대 부재와는 반대측의 표면 측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포장재의 일방향 양측의 단부 각각이 상기 수용 주머니에 의해 상기 받침대 부재 측으로 휘어 있는, 수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적층체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포장재 각각은, 상기 주먹밥에 접촉하는 측의 이면이 상기 받침대 부재 측에 위치하도록 적층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 부재는, 해당 받침대 부재의 상기 일면측에 접혀져 상기 포장재 적층체의 일방향 양측의 단부 각각을 덮는 접힘부를 가지며,
    상기 포장재 적층체에서 적어도 상기 받침대 부재와는 반대측의 표면측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포장재의 일방향 양측의 단부 각각이, 상기 접힘부에 의해 상기 받침대 부재 측으로 휘어 있는, 수용체.
  4. 주먹밥을 포장하는 포장재에 시트 모양의 식품을 개별적으로 포장하는 단계와,
    상기 식품을 개별적으로 포장한 복수의 상기 포장재를 시트 모양의 받침대 부재의 일면측에 적층하여 포장재 적층체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포장재 적층체와 상기 받침대 부재를 수용 주머니에 수용하는 단계와,
    상기 수용 주머니 내를 진공처리하여 상기 포장재 적층체와 상기 받침대 부재를 상기 수용 주머니 내에 밀봉하여 진공 포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수용체의 제조방법.
KR1020210100068A 2021-06-18 2021-07-29 수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693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01759A JP2023000759A (ja) 2021-06-18 2021-06-18 収容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21-101759 2021-06-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346A true KR20220169346A (ko) 2022-12-27

Family

ID=8446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068A KR20220169346A (ko) 2021-06-18 2021-07-29 수용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000759A (ko)
KR (1) KR20220169346A (ko)
CN (1) CN115489865A (ko)
TW (1) TW20230041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4315A (ja) 2013-11-28 2015-06-08 株式会社スズパック おにぎり包装材及び該包装材に包装されたおにぎり包装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4315A (ja) 2013-11-28 2015-06-08 株式会社スズパック おにぎり包装材及び該包装材に包装されたおにぎり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00759A (ja) 2023-01-04
CN115489865A (zh) 2022-12-20
TW202300417A (zh) 202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9348A (en) Packag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6709772B2 (ja) フィルム包装ティシュペーパー及びフィルム包装ティシュー集合包装体
US3201258A (en) Wrapped package
JP2000327029A (ja) 軟質シートで形成された包装体
JP2018058654A5 (ko)
TW200946415A (en) Package
JP5977402B1 (ja) 包装シート、包装飯塊及びその包装を解く方法
EP1775233B1 (en) Outer package for packaged groups of rolls of products.
KR20220169346A (ko) 수용체 및 그 제조방법
JP2908301B2 (ja) ポップアップ式の積層腰折拭取紙の包装構造
JP3644648B2 (ja) 易開封性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03389B2 (ja) 梱包用の袋
JP4705865B2 (ja) 食品用包材および食品用包装袋
JP2007006761A (ja) 米飯加工食品用包装体および米飯加工食品用包装袋
JP7382161B2 (ja) 食品用包装材
JP7434242B2 (ja) 包装材、包装材原反ロール、包装袋及び包装材の製造方法
JP3943567B2 (ja) 包装部材、包装おにぎり及び包装おにぎりの開封方法
TWI499545B (zh) Packaging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230540U (ja) 軟質シート用梱包箱、及び梱包体
JP3101403U (ja) 包装材および該包装材を用いて包装をした食品
JP2804902B2 (ja) 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76559B1 (ja) 米飯加工食品の包装袋
JP6617026B2 (ja) 包装シート及び棒状包装飯塊
JP5752894B2 (ja) 梱包方法、梱包装置及び梱包体
JP2023166281A (ja) 包装材、包装材原反ロール及び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