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173A - 낚싯대용 가이드 - Google Patents

낚싯대용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173A
KR20220166173A KR1020220022218A KR20220022218A KR20220166173A KR 20220166173 A KR20220166173 A KR 20220166173A KR 1020220022218 A KR1020220022218 A KR 1020220022218A KR 20220022218 A KR20220022218 A KR 20220022218A KR 20220166173 A KR20220166173 A KR 20220166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uter circumferential
guide
circumferential groove
guid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유키 카미노
카즈마 타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20166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프레임 틀과 가이드 링과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게 되고, 쌍방의 고정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해결 수단] 중심축보다 장대 경(徑)방향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외주(外周) 가장자리를 따르는 외주 홈(21)이 설치되고, 낚싯줄이 삽통(揷通)되는 가이드 링(2)과, 장대에 고정되고, 장대 경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가이드 링(2)을 보지(保持)하는 링 형상의 선재(線材)에 의하여 구성된 프레임 틀(30)을 가지는 가이드 프레임(3)과, 외주 홈(21)에 접착되는 외주 접착면(41)과, 프레임 틀(30)의 내주면(內周面)(30a)에 접착되는 내주 접착면(42)을 가지는 스페이서(4)를 구비한 낚싯대용 가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낚싯대용 가이드{GUIDE FOR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싯대용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낚싯대용 가이드로서, 낚싯줄이 삽통(揷通)되는 가이드 링과, 장대에 고정되고, 장대 경(徑)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가이드 링을 보지(保持)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하고, 가이드 프레임에는, 가이드 링을 보지하는 링 형상의 선재(線材)에 의하여 구성된 프레임 틀을 가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2 참조).
특허 문헌 1에는, 가이드 링의 외주면(外周面)을 평탄면으로 하고, 프레임 틀의 내주면(內周面)에 상당하는 부분에 D커트 형상의 평탄부를 형성한 구성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가이드 링의 외주면에 곡면상(曲面狀)의 둘레 홈을 설치하고, 단면 원형의 금속 선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틀이 들어가는 구성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5-146766호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6553455호
그렇지만, 상술한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낚싯대용 가이드에서는, 프레임 틀 자체의 단면 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있고, 가공에 드는 작업의 수고나 코스트가 든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2의 경우에는, 프레임 틀의 곡면상의 외주면과, 둘레 홈의 곡면과의 형상을 일치시킬 필요가 있고, 쌍방의 형상(예를 들어, 외경(外徑))이 다른 경우에는, 쌍방의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고, 소망하는 고정력을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특허 문헌 2에서는, 둘레 홈의 형상(크기)에 맞추어 프레임 틀의 형상(직경이나 크기)을 필요 이상으로 큰 것을 채용하는 케이스가 생기고, 가이드 프레임 전체적으로의 중량이 커지는 것으로부터, 그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프레임 틀과 가이드 링과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게 되고, 쌍방의 고정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낚싯대용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용 가이드는, 중심축보다 장대 경방향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외주 가장자리를 따르는 외주 홈이 설치되고, 낚싯줄이 삽통되는 가이드 링과, 장대에 고정되고, 장대 경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링을 보지하는 링 형상의 선재에 의하여 구성된 프레임 틀을 가지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외주 홈에 접착되는 제1 접착부와, 상기 프레임 틀의 내주면에 접착되는 제2 접착부를 가지는 접착 보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용 가이드에 의하면, 접착 보조구가 가이드 링의 외주 홈과 프레임 틀의 내주면과의 각각에 대하여 제1 접착부 및 제2 접착부에 의하여 접착하는 것으로, 프레임 틀에 가이드 링이 고정된다. 그 때문에, 접착 보조구의 형상을 바꾸는 것에 의하여 프레임 틀의 내주면과 외주 홈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프레임 틀의 내주면과 외주 홈과의 고착 강도를 증대시켜 쌍방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즉, 외주 홈의 형상과 프레임 틀의 내주면의 형상이 달라도 접착 보조구를 개재(介在)시키는 것으로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소망하는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외주 홈에 맞추어 필요 이상으로 큰 프레임 틀을 채용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가이드 프레임 전체적으로의 중량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용 가이드에 의하면, 프레임 틀의 외형을 작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 링의 외주 홈 내에 프레임 틀의 일부를 수용시킨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프레임 틀 중 외주 홈으로부터 돌출하는 장출(張出) 부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외주 홈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의 프레임 틀이 파손하거나, 그 장출 부분에 낚싯줄이 엉키거나, 해수가 부착하는 것에 의한 바닷물 고임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2)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외주 홈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주 홈에 면 접촉하고,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프레임 틀의 내주면 형상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틀의 내주면에 면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접착 보조구가 프레임 틀과 가이드 링의 외주 홈에 면 접촉에 의하여 고착되기 때문에, 쌍방의 고착 강도를 보다 증대시켜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3)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외주 홈과의 사이에 접착제의 충전 영역을 두고 대향하고,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프레임 틀의 내주면 형상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틀의 내주면에 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가이드 링과 프레임 틀과의 사이에 큰 공간(영역)을 확보할 수 있고, 그 공간(영역)에 예를 들어 접착제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제1 접착부와 외주 홈과의 고착 강도를 증대시켜 쌍방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4) 상기 외주 홈의, 상기 가이드 링의 중심축 방향의 단면 형상은,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는 곡면상이고,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가이드 링의 외주 홈과 대향하는 평면상(平面狀)이고,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외주 홈과의 사이에 접착제의 충전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단면 방형(方形)의 제1 접착부와 외주 홈과의 사이에 충분한 스페이스(충전 영역)를 확보할 수 있다. 이 충전 영역에 접착제를 충전하는 것으로, 제1 접착부와 외주 홈과의 고정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5) 상기 접착 보조구는, 상기 프레임 틀의 단면 전체 둘레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프레임 틀의 선재와는 별도의 부재의 접착 보조구를 선재에 고착한 상태로 씌워 설치되기 때문에, 접착 보조구와 프레임 틀과의 고착 상태가 보다 강고하게 되고, 접착 보조구와 외주 홈과의 고정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6) 상기 접착 보조구는, 상기 프레임 틀의 상기 선재가 삽통되고, 단면 형상이 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방형의 접착 보조구가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이 되기 때문에, 외주 홈 내에 수용된 부분의 접착 보조구의 표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접착 보조구와 외주 홈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접착 보조구와 외주 홈과의 고착 강도를 증대시켜 쌍방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접착 보조구를 선재와는 별도의 부재로 하는 것으로, 프레임 틀에 가는 선재를 적용할 수 있고,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접착 보조구에 가이드 링이나 프레임 틀과 다른 소재를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접착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가이드 링 및 프레임과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용 가이드에 의하면, 프레임 틀과 가이드 링과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게 되고, 쌍방의 고정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낚싯대용 가이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낚싯대용 가이드를 가이드 링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A-A선 단면도이고, 낚싯대용 가이드를 좌우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하는 B부의 확대도이고, 프레임 틀과 가이드 링의 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b)는 변형예에 의한 스페이서를 구비한 프레임 틀과 가이드 링의 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낚싯대용 가이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낚싯대용 가이드에 있어서의 프레임 틀과 가이드 링의 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용 가이드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부재를 시인(視認) 가능한 크기로 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각 구성 부재의 축척을 적의(適宜) 변경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낚싯대용 가이드(1)는, 낚싯대의 장대(10)의 외주면(10a)에 고정되고, 낚싯줄이 삽통되는 가이드 링(2)을 보지하는 가이드 부재이다. 낚싯대용 가이드(1)는, 장대(10)의 외주면(10a)에 있어서 장대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낚싯대용 가이드(1)는, 낚싯줄이 삽통되고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2)과, 장대(10)에 고정되고, 장대 경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가이드 링(2)을 보지하는 가이드 프레임(3)과, 가이드 링(2)과 가이드 프레임(3)과의 사이에서 쌍방에 접착한 상태로 개재되는 스페이서(4)(접착 보조구)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도면의 낚싯대용 가이드(1)에 있어서, 장대(10)의 축선 방향을 전후 방향(X)이라고 칭하는 것과 함께, 장대 선단 측(앞쪽)을 부호 X1로 도시하고, 장대 기단 측(뒤쪽)을 부호 X2로 도시한다. 또한, 장대(10)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고 가이드 링(2)의 중심축(2C)을 지나는 평면 상의 방향을 상하 방향(Z)으로 하고, 장대(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상측(上側)으로 하여 부호 Z1로 도시하고, 장대(10)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하측(下側)으로 하여 부호 Z2로 도시한다. 또한, 상측(Z1)을 선단 측, 하측(Z2)을 기단 측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측(Z1)으로부터 본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장대(10)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Y)으로 한다. 덧붙여, 장대(10)의 축선 방향(전후 방향(X))은 장대(10)의 중심축(10C)의 방향이고, 후술하는 가이드 프레임(3)의 장착 다리부(32)의 긴쪽 방향이고, 좌우 방향(Y)은 장착 다리부(32)의 짧은 쪽 방향(폭 방향)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가이드 링(2)을 중심축(2C) 방향으로부터 보아 중심축(2C) 둘레로 주회(周回)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으로 하고, 중심축(2C)에 직교하는 방향을 경방향이라고 정의한다.
[가이드 링]
가이드 링(2)은, 가이드 링(2)의 중심축(2C)보다 장대 경방향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외주 가장자리를 따르는 외주 홈(21)을 가지고, 가이드 프레임(3)의 후술하는 프레임 틀(30)과 동축(同軸)에 보지되어 있다. 즉, 가이드 링(2)의 내주면(2a)을 낚싯줄이 접동(摺動)하는 것으로 낚싯줄을 직접 안내한다.
가이드 링(2)은, 원환상(圓環狀)으로 형성되고, 그 내주 측의 안내면에 있어서 예를 들어, 티탄, 알루미늄, SUS, 세라믹스 등의 낚싯줄의 접동 저항이 작은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가이드 링(2)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원형의 환상인 일례로 하고 있지만, 타원형이나 장원형 등이어도 무방하다. 가이드 링(2)은, 예를 들어 금속판을 소정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2)의 내주면(2a)은,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내측(도 2에 도시하는 중심축(2C) 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전후 방향(X)으로 만곡(彎曲)한 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가이드 링(2)의 외주 홈(21)에는, 프레임 틀(30)(후술한다)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오목 곡면(21A)을 가지고 있다. 오목 곡면(21A)은, 가이드 링(2)의 중심 방향(중심축(2C) 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는 오목 형상부를 이루고 있다.
가이드 링(2)은, 상하 방향(Z)을 따르는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중심축(2C) 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호상(弧狀)으로 만곡한 볼록상(狀)의 내주면(2a)과, 중심축(2C) 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호상으로 만곡한 오목상(狀)의 외주면(외주 홈(21))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링(2)의 외주 홈(21)은,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전후 방향(X)의 중앙부의 저부(底部)(21a)를 사이에 둔 양측이 각각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테두리부(21b, 21c)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가이드 링(2)의 외주면에는, 양 테두리부(21b, 21c)끼리의 사이에 오목상의 외주 홈(21)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게 된다.
가이드 링(2)의 외주 홈(21)에는, 양 테두리부(21b, 21c)의 사이에 있어서, 가이드 링(2)에 있어서의 원형 단면의 전체 둘레 중 중심축(2C)으로부터 상측(Z1)의 대략 180도의 각도 범위에, 가이드 프레임(3)의 프레임 틀(30)이 계합(係合)된다.
[가이드 프레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3)은, 가이드 링(2)을 보지하는 링 형상의 선재에 의하여 구성된 프레임 틀(30)과, 장대(10)에 고정되고 프레임 틀(30)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 다리부(31)와, 지지 다리부(31)에 연결되고, 장대(10)의 외주면(10a)에 고정되는 장착 다리부(32)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프레임(3)은, 장착 다리부(32)에 대하여 프레임 틀(30)을 장대 선단 측(앞쪽(X1))을 향하게 한 상태로 장대(10)의 외주면(10a)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 장착 다리부(32)는, 전후 방향(X)으로 연재(延在)하고 있다.
가이드 프레임(3)은, 장착 다리부(32)의 전단부(前端部)로부터 만곡하면서 상측(Z1)을 향한 후, 직선적으로 상측(Z1)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 프레임(3)에 있어서 만곡하면서 상측(Z1)을 향하고 있는 부분이 지지 다리부(31)이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장착 다리부(32)에 대하여 지지 다리부(31)가 직각으로 상승하고, 가이드 링(2)의 중심축(2C)이 장대(10)의 중심축(10C)과 평행하게 되어 있지만, 가이드 링(2)의 중심축(2C)이 장대(10)의 중심축(10C)과 평행은 아니고 경사하도록 지지 다리부(31)가 상승하고 있어도 부방하다. 예를 들어, 지지 다리부(31)가 앞쪽으로 기운 자세로 상승한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지지 다리부(31)는, 프레임 틀(30)과 장착 다리부(32)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프레임 틀(30)과 장착 다리부(32)를 연결하고 있다. 지지 다리부(3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로 2개 나란히 놓인 2개 다리의 구성이다. 좌우 한 쌍의 지지 다리부(31)는, 서로 좌우 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지지 다리부(31)는, 프레임 틀(30)의 둘레 방향의 양 단부(端部)로부터 하방(下方)을 향하여 각각 연장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정면으로부터 볼 때 혹은 배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V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지지 다리부(31)는, 프레임 틀(30)의 둘레 방향의 양 단부를 접점으로 하는 접선을 따르는 직선상(直線狀)으로 연장되는 것과 함께, 장착 다리부(32)를 향하는 것에 따라 점차, 서로 접근하도록, 즉, 서로의 간격을 좁게 하도록 좌우 방향(Y)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어, 하단부에 있어서 서로 당접(當接)한 상태에 있다.
지지 다리부(31)의 상단부(上端部)(31a)는, 프레임 틀(30)의 중심축(가이드 링(2)의 중심축(2C))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장착 다리부(32)는, 지지 다리부(31)의 하단부로부터 뒤쪽(X2)(장대 기단 측)을 향하여 평면으로부터 볼 때 일직선상(一直線狀)으로 연장되어 있다. 장착 다리부(32)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금속 선재의 양 단부 소정 길이 영역으로 구성된 2개 다리 구성이다. 즉, 장착 다리부(32)는, 1개의 금속 선재의 양 단부 소정 길이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좌우 한 쌍의 선상체(線狀體)가 간격을 두지 않고 좌우 평행으로 가지런하게 되어 구성되어 있고, 각 선상체는 지지 다리부(31)의 하단부(31b)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선상체는 서로 접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접합 방법은 임의이지만, 바람직하게는 용접에 의한다.
장착 다리부(32)는, 도 3과 같이 감기 줄(11)에 의하여 장대(10)의 외주면(10a)에 감긴다.
프레임 틀(30)은, 장대(10)의 외주면(10a)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지지 다리부(31)에 의하여 지지되고, 낚싯줄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2)을 내주면에서 보지하는 것이다. 프레임 틀(30)은, U자 형상으로 만곡된 금속 선재로 이루어지고, 둘레 방향의 양 단부가 각각 한 쌍의 지지 다리부(31)의 상단부(31a)에 접속되어 있다. 프레임 틀(30)은, 가이드 링(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외주 홈(21)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프레임 틀(30)의 내주부에서 가이드 링(2)을 보지하고 있다.
프레임 틀(30)을 구성하는 금속 선재는, 예를 들어 티탄 합금이나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경량화의 관점으로부터는 티탄 합금이 바람직하다. 금속 선재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프레임 틀(3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지재 등의 충전재(301)가 충전된 중실(中實)의 것을 채용하고 있다.
덧붙여, 프레임 틀(30)의 금속 선재로서, 경량화와 강도의 양립의 관점과, 가이드 링(2)과의 접촉 면적을 확보하기 쉬운 것으로부터, 중공상(中空狀)의 것, 즉 선상(線狀) 파이프재가 바람직하고, 또한, 중공 부분에 충전재(301)를 충전하고 있지 않는 공동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금속 선재의 선경(線徑)(외경)으로서는, 예를 들어 0.3 ~ 6mm 정도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 틀(30)은, 내주부가 가이드 링(2)의 외주 홈(21) 내에 수용되고, 외주 홈(2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에 개재되는 접착 보조구로서의 스페이서(4)를 통하여 가이드 링(2)에 일체적으로 접착되어 있다.
프레임 틀(30)의 외경은, 가이드 링(2)의 외주 홈(21)의 내경(內徑)보다 작은 직경 치수로 되어 있다. 프레임 틀(30)의 내주 측의 둘레면(내주면(30a))은, 가이드 링(2)의 외주 홈(21) 내에 진입한 상태에서, 소정의 간격(공간(S))을 두고 외주 홈(21)에 형성되는 오목 곡면(21A)과 대향하고 있다. 프레임 틀(30)의 내주면(30a)과 가이드 링(2)의 외주 홈(21)과의 사이의 공간(S)에는, 스페이서(4)가 배치되어 있다.
접착 보조구로서의 스페이서(4)는, 외주 홈(21)에 접착되는 외주 접착면(41)(제1 접착부)과, 프레임 틀(30)의 내주면(30a)에 접착되는 내주 접착면(42)(제2 접착부)을 가지고,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경방향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하고 있다.
외주 접착면(41)은, 외주 홈(21)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 홈(21)의 오목 곡면(21A)에 면 접촉한다. 외주 접착면(41)은, 접착제에 의하여 외주 홈(21)에 접착되어 있다. 덧붙여, 외주 접착면(41)은, 외주 홈(21)과의 사이에 접착제의 충전 영역을 두고 대향시켜 배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내주 접착면(42)은, 프레임 틀(30)의 내주면 형상인 내주면(30a)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고 프레임 틀(30)의 내주면(30a)에 면 접촉한다. 내주 접착면(42)은, 접착제에 의하여 프레임 틀(30)의 내주면(30a)에 접착되어 있다. 덧붙여, 내주 접착면(42)은, 내주면(30a)과의 사이에 접착제의 충전 영역을 두고 대향시켜 배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가이드 링(2)을 프레임 틀(30)에 고정하는 조립 장착 방법으로서는, 가이드 링(2)의 외주 홈(21)의 오목 곡면(21A)에 접착제를 도포, 혹은 충전한다. 그리고, 오목 곡면(21A)에 스페이서(4)를 배치하고, 그 스페이서(4)의 내주 접착면(42)에 접착제를 도포, 혹은 충전한다. 그 후, 스페이서(4)의 내주 접착면(42)에 프레임 틀(30)의 내주면(30a)을 계합시킨다. 접착제가 경화하는 데에서 가이드 링(2)의 외주 홈(21)이 프레임 틀(30)의 내주면(30a)에 고정되어 조립 장착된다.
덧붙여, 실시 형태에서는 스페이서(4)를 프레임 틀(30)의 내주면(30a)과 가이드 링(2)의 외주 홈(21)과의 사이의 일부에 설치한 것이지만,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 틀(30)의 전체 둘레를 덮는 통상(筒狀)(튜브 형상)의 형상의 스페이서(4A)(접착 보조구)를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4(b)에 도시하는 스페이서(4A)의 경우에는, 프레임 틀(30)을 보호하는 커버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낚싯대용 가이드의 작용에 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4)가 가이드 링(2)의 외주 홈(21)과 프레임 틀(30)의 내주면(30a)과의 각각에 대하여 스페이서(4)의 외주 접착면(41)과 내주 접착면(42)에 의하여 접착하는 것으로, 프레임 틀(30)에 가이드 링(2)이 고정된다. 그 때문에, 스페이서(4)의 형상을 바꾸는 것에 의하여 프레임 틀(30)의 내주면(30a)과 외주 홈(21)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프레임 틀(30)의 내주면(30a)과 외주 홈(21)과의 고착 강도를 증대시켜 쌍방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즉, 외주 홈(21)의 형상과 프레임 틀(30)의 내주면의 형상이 달라도 스페이서(4)를 개재시키는 것으로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소망하는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주 홈(21)에 맞추어 필요 이상으로 큰 프레임 틀(30)을 채용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가이드 프레임(3) 전체적으로의 중량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프레임 틀(30)의 외형을 작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 링(2)의 외주 홈(21) 내에 프레임 틀(30)의 일부를 수용시킨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프레임 틀(30) 중 외주 홈(21)으로부터 돌출하는 장출 부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외주 홈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의 프레임 틀(30)이 파손하거나, 그 장출 부분에 낚싯줄이 엉키거나, 해수가 부착하는 것에 의한 바닷물 고임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페이서(4)의 외주 접착면(41)이 외주 홈(21)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 홈(21)에 면 접촉하고, 내주 접착면(42)이 프레임 틀(30)의 내주면(30a) 형상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고 프레임 틀(30)의 내주면(30a)에 면 접촉하는 구성이다. 그 때문에, 스페이서(4)가 프레임 틀(30)과 가이드 링(2)의 외주 홈(21)에 면 접촉에 의하여 고착되기 때문에, 쌍방의 고착 강도를 보다 증대시켜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페이서(4)의 외주 접착면(41)이 외주 홈(21)과의 사이에 접착제의 충전 영역을 두고 대향하고, 내주 접착면(42)이 프레임 틀(30)의 내주면(30a) 형상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고 프레임 틀(30)의 내주면(30a)에 면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가이드 링(2)과 프레임 틀(30)과의 사이에 큰 공간(S)(영역)을 확보할 수 있고, 그 공간(S)에 예를 들어 접착제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외주 접착면(41)과 외주 홈(21)과의 고착 강도를 증대시켜 쌍방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본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낚싯대용 가이드에서는, 프레임 틀(30)과 가이드 링(2)과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게 되고, 쌍방의 고정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낚싯대용 가이드(1A)는, 프레임 틀(30A)이 원형 단면의 금속 선재이고, 프레임 틀(30A)의 일부를 수용하는 슬리브(sleeve)(5)(접착 보조구)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가이드 링(2)은,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오목 곡면(21A)이 형성된 외주 홈(21)을 가지는 구성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레임 틀(30A)은, 금속 선재로 중공상의 파이프재로 내부에 수지 등의 충전재(301)가 충전된 중실인 것이 채용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 틀(30A)은, 전체 길이에 걸쳐 거의 동일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 보조구로서의 슬리브(5)는,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전후 방향(X)으로 긴 중공의 관통 구멍(5c)을 가진 대략 방형상(方形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5c)의 내측에는, 프레임 틀(30A)이 삽통되어 수용되어 있다. 즉, 슬리브(5)는, 프레임 틀(30A)을 따라 U자 형상으로 연재하고 있다. 슬리브(5)는, 프레임 틀(30A)의 단면 전체 둘레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슬리브(5)는, 슬리브(5)의 내주부가 가이드 링(2)의 외주 홈(21) 내에 배치되고, 외주 홈(2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에 충전되는 접착제(6)를 통하여 가이드 링(2)에 일체적으로 접속된다.
덧붙여,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슬리브(5)에 관통 구멍(5c)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관통 구멍(5c)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프레임 틀(30A)을 계합 가능한 홈을 가지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슬리브(5)의 관통 구멍(5c) 내가 중공으로 되어 있지만, 발포제 등의 경량재로 충전하고, 슬리브(5)의 관통 구멍(5c) 내에서 프레임 틀(30A)을 보지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슬리브(5)는, 내주벽(內周壁)(5A), 외주벽(外周壁)(5B), 전벽(前壁)(5C), 및 후벽(後壁)(5D)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슬리브(5)는, 전체 길이에 걸쳐 거의 동일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내주벽(5A)은, 장대(10)로부터 떨어진 측의 반주(半周) 부분(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L의 범위)의 전체에 설치되어 있지만, 반주 부분의 어느 일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슬리브(5)에 있어서의 내주벽(5A)의 내주면(5a)(제1 접착부)은, 가이드 링(2)의 외주 홈(21) 내에 진입한 상태에서, 이 외주 홈(21)에 형성되는 오목 곡면(21A)과 대향하고 있다. 내주벽(5A)의 내주면(5a)은, 단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가이드 링(2)의 중심축(2C) 방향을 따르는 평면 형상부(51)를 가진다. 평면 형상부(51)의 전후 방향(X)의 양측(앞쪽(X1), 뒤쪽(X2))에는, 각각 전벽(5C), 후벽(5D)에 연설(連設)하는 테이퍼면(52)이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5)는, 양 테이퍼면(52)의 일부(테이퍼면(52)의 각부(角部)(52a, 52b))가 외주 홈(21)의 오목 곡면(21A)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슬리브(5)에 있어서의 내주벽(5A)의 관통 구멍(5c) 측에 위치하는 구멍 내면(5b)(제2 접착부)은, 관통 구멍(5c)에 삽통되는 프레임 틀(30A)의 외주면(30e)에 대하여 예를 들어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슬리브(5)의 내주면(5a)과 외주 홈(21)의 오목 곡면(21A)은 서로 형상이 다르다. 즉,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낚싯대용 가이드(1A)에는, 곡면상의 가이드 링(2)의 오목 곡면(21A)과, 슬리브(5)에 있어서의 3개의 평면(평면 형상부(51), 한 쌍의 테이퍼면(52, 52))으로 형성되는 내주면(5a)과의 사이에 공간(S)(충전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S)에는, 접착제(6)가 충전되어 있다. 접착제(6)에 의하여 슬리브(5)를 통하여 프레임 틀(30A)에 가이드 링(2)이 고착된 상태로 보지되어 있다.
상술한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 틀(30A)의 선재와는 별도의 부재의 슬리브(5)를 선재에 고착한 상태로 씌워 설치되기 때문에, 슬리브(5)와 프레임 틀(30A)과의 고착 상태가 보다 강고하게 되고, 슬리브(5)와 외주 홈(21)과의 고정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방형의 슬리브(5)가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방형의 단면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외주 홈(21) 내에 수용된 부분의 슬리브(5)의 표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슬리브(5)와 외주 홈(21)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슬리브(5)와 외주 홈(21)과의 고착 강도를 증대시켜 쌍방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슬리브(5)를 선재와는 별도의 부재로 하는 것으로, 프레임 틀(30A)에 가는 선재를 적용할 수 있고,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슬리브(5)에 가이드 링(2)이나 프레임 틀(30A)과 다른 소재를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접착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가이드 링(2)과 프레임 틀(30A)과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외주 홈(21)의 가이드 링(2)의 중심축(2C) 방향의 단면 형상은, 중심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는 곡면상이고, 슬리브(5)의 내주면(5a)이 가이드 링(2)의 외주 홈(21)과 대향하는 평면상이고, 슬리브(5)의 내주면(5a)이 외주 홈(21)과의 사이에 접착제(6)의 충전 영역을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단면 방형의 슬리브(5)의 내주면(5a)과 외주 홈(21)과의 사이에 충분한 스페이스(충전 영역)를 확보할 수 있다. 이 충전 영역에 접착제(6)를 충전하는 것으로, 내주면(5a)과 외주 홈(21)과의 고정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낚싯대용 가이드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의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실시 형태는, 그 외 여러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예에는, 예를 들어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균등한 범위의 것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페이서(4)의 외주 접착면(41) 및 슬리브(5)의 내주면(5a)이 장대(10)로부터 떨어진 측의 반주 부분의 어느 일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상기의 실시 형태와 같이 반주 전부여도 무방하고, 둘레 방향으로 단속적이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 틀과 가이드 링과의 고정에 있어서 접착제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접착제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코킹(caulking)에 의한 고착 방법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낚싯대용 가이드의 돌출 선단 측을 상하 방향에서 장대(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상측으로 하여 정의하고 있지만, 이것은 양 베어링 릴용의 장대의 상측에 낚싯대용 가이드가 설치되는 경우이고, 스피닝 릴용의 장대의 경우에는, 낚싯대용 가이드가 장대(10)의 하측에 장착되기 때문에, 이 경우, 낚싯대용 가이드의 돌출 선단 측은 장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 하측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 틀로서 금속 선재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판금(板金)에 의한 프레임 틀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다리부(31) 및 장착 다리부(32)가 2개 다리의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1개 다리의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1, 1A, 1B: 낚싯대용 가이드
2: 가이드 링
2C: 중심축
3: 가이드 프레임
4, 4A: 스페이서(접착 보조구)
5: 슬리브(접착 보조구)
5a: 내주면(제1 접착부)
5e: 구멍 내면(제2 접착부)
6: 접착제
10: 장대
10a: 외주면
21: 외주 홈
21A: 오목 곡면
30, 30A: 프레임 틀
30a: 내주면
31: 지지 다리부
41: 외주 접착면(제1 접착부)
42: 내주 접착면(제2 접착부)
S: 공간

Claims (6)

  1. 중심축보다 장대 경(徑)방향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외주(外周) 가장자리를 따르는 외주 홈이 설치되고, 낚싯줄이 삽통(揷通)되는 가이드 링과,
    장대에 고정되고, 장대 경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링을 보지(保持)하는 링 형상의 선재(線材)에 의하여 구성된 프레임 틀을 가지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외주 홈에 접착되는 제1 접착부와, 상기 프레임 틀의 내주면(內周面)에 접착되는 제2 접착부를 가지는 접착 보조구
    를 구비한 낚싯대용 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외주 홈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주 홈에 면 접촉하고,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프레임 틀의 내주면 형상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틀의 내주면에 면 접촉하는, 낚싯대용 가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외주 홈과의 사이에 접착제의 충전 영역을 두고 대향하고,
    상기 제2 접착부는, 상기 프레임 틀의 내주면 형상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틀의 내주면에 면 접촉하는, 낚싯대용 가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홈의, 상기 가이드 링의 중심축 방향의 단면 형상은,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는 곡면상(曲面狀)이고,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가이드 링의 외주 홈과 대향하는 평면상(平面狀)이고,
    상기 제1 접착부는, 상기 외주 홈과의 사이에 접착제의 충전 영역을 가지는, 낚싯대용 가이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보조구는, 상기 프레임 틀의 단면 전체 둘레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낚싯대용 가이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보조구는, 상기 프레임 틀의 상기 선재가 삽통되고, 단면 형상이 방형(方形)으로 형성되어 있는, 낚싯대용 가이드.
KR1020220022218A 2021-06-09 2022-02-21 낚싯대용 가이드 KR202201661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96527 2021-06-09
JP2021096527A JP2022188473A (ja) 2021-06-09 2021-06-09 釣竿用ガイ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173A true KR20220166173A (ko) 2022-12-16

Family

ID=8429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218A KR20220166173A (ko) 2021-06-09 2022-02-21 낚싯대용 가이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94965A1 (ko)
JP (1) JP2022188473A (ko)
KR (1) KR20220166173A (ko)
CN (1) CN115443955A (ko)
TW (1) TW2022477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23228S1 (en) * 2024-01-25 2024-04-16 Shandong Handing International Trade Co., Ltd Fishing rod line gui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6766A (ja) 2014-02-06 2015-08-20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のガイド枠及び釣糸ガイド並びに釣竿
JP6553455B2 (ja) 2015-09-02 2019-07-31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釣竿、及び、ガイドフレー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6766A (ja) 2014-02-06 2015-08-20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のガイド枠及び釣糸ガイド並びに釣竿
JP6553455B2 (ja) 2015-09-02 2019-07-31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釣竿、及び、ガイドフレ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94965A1 (en) 2022-12-15
TW202247766A (zh) 2022-12-16
JP2022188473A (ja) 2022-12-21
CN115443955A (zh) 202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72446B (zh) 钓线引导件、钓竿
KR20220166173A (ko) 낚싯대용 가이드
CN106472447B (zh) 钓线引导件、钓竿、引导框以及引导框的制造方法
KR101985997B1 (ko) 낚시줄 가이드의 고정 구조, 및 낚싯대
EP3203758A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WO2019189907A1 (ja) インロー継式の釣竿
US20120285918A1 (en) Support Frame
KR20200122976A (ko)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프레임 및 낚싯줄 가이드 및 낚싯대
JP6419138B2 (ja) コネクタ付光ファイバコード
JP6998816B2 (ja) グロメット
KR20220166174A (ko) 낚싯대용 가이드
JP6247587B2 (ja) 振り出し竿用の釣糸ガイド及び振り出し竿
KR20110136484A (ko) 프로펠러 샤프트용 숄더 베어링 유닛
US20130016872A1 (en) Voice Coil Former Stiffener
JP2006191252A (ja) スピーカ
JP6966399B2 (ja) 釣竿
JP2021023053A (ja) ワイヤハーネス
JP2020133745A (ja) 梁補強金具及び梁補強方法
JP2019113154A (ja) 定着具及び定着具の製造方法
JP6090096B2 (ja)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ワイヤーハーネス
JP5662716B2 (ja) リールシート及びバット
JP2016189770A (ja) 釣糸ガイドの固定構造、及び釣竿
JP2023161505A (ja) 釣竿
CN118235746A (zh) 钓竿及钓线导引件
JP2004117498A (ja) 光ファイバコード及びその曲げ配線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