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443A -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 Google Patents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443A
KR20220163443A KR1020227038420A KR20227038420A KR20220163443A KR 20220163443 A KR20220163443 A KR 20220163443A KR 1020227038420 A KR1020227038420 A KR 1020227038420A KR 20227038420 A KR20227038420 A KR 20227038420A KR 20220163443 A KR20220163443 A KR 20220163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less
water
oil
emulsified sun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8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아 시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63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12By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2Coated by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분말감이 없는 양호한 사용감이면서, 도포막에 대기 유해 물질이 잘 부착되지 않고, 또한 우수한 자외선 방어 효과를 갖는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
하기 성분 (A1), (A2), (B) 및 (C) 를 함유하고, (D) 불휘발성 실리콘유의 함유량이, 0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인,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A1)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5 질량% 이상
(A2)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10 질량% 이상
(B) 2 가의 폴리올
(C) 불휘발성 탄화수소유 2 질량% 이상 14 질량% 이하

Description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본 발명은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선스크린 화장료에는, 통상적으로, 자외선 흡수제나, 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자외선 산란제가 배합되어 있지만, 피부에 보다 친화적인 화장료가 요구되기 때문에,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저함량화하는 연구가 지금까지 이루어져 왔다. 이와 같은 화장료로서, 예를 들어, 특정 입자경의 초미립자상 산화아연 등을 실리콘계 오일에 분산시킨 현탁액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폐성 화장료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91490호
본 발명은, 하기 성분 (A1), (A2), (B) 및 (C) 를 함유하고, (D) 불휘발성 실리콘유의 함유량이, 0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인,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A1)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5 질량% 이상
(A2)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10 질량% 이상
(B) 2 가의 폴리올
(C) 불휘발성 탄화수소유 2 질량% 이상 14 질량% 이하
도 1 은, 대기 유해 물질의 부착 억제 효과의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자가 검토를 진행한 바,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자외선 차폐성 화장료는, 제제 중의 분산성은 우수하지만, 피부에 적용하고 나서 건조시킨 후에 도포막이 불균일해지기 쉽고, 그 결과로 자외선 방어 효과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대기 유해 물질에 의한 피부에 대한 대미지가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자외선에 의한 대미지를 억제하는 것 뿐만 아니라 대기 유해 물질에 의한 피부에 대한 대미지를 억제하는 것도 요구되게 되었다.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해, 불휘발성 실리콘유를 저함량 또는 미사용으로 했을 경우에, 화장료의 도포막에 대기 유해 물질이 부착되기 어려워지는 것이 판명되었지만, 이 경우에는 도포 시의 사용감이 분말 같이 느껴진다는 다른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분말감이 없는 양호한 사용감이면서, 도포막에 대기 유해 물질이 잘 부착되지 않고, 또한 우수한 자외선 방어 효과를 갖는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고함량의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및 고함량의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에 더하여, 2 가의 폴리올을 함유하고, 불휘발성 탄화수소유의 함유량을 2 질량% 이상 14 질량% 이하로 함과 함께, 불휘발성 실리콘유의 함유량을 0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로 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가, 분말감이 없는 양호한 사용감이면서, 도포막에 대기 유해 물질이 잘 부착되지 않고, 또한 우수한 자외선 방어 효과를 갖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는, 분말감이 없는 양호한 사용감이면서, 도포막에 대기 유해 물질이 잘 부착되지 않고, 또한 우수한 자외선 방어 효과를 갖는다.
<성분 (A1), (A2)>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는, (A1)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및 (A2)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을 함유한다. 또한, 미립자 산화티탄, 미립자 산화아연에, +2 가 이상의 미량 원소를 함유시킬 수 있고, 철, 지르코늄, 칼슘, 망간, 마그네슘, 이트륨 등의 금속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미립자 산화티탄, 미립자 산화아연에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상 (球狀), 판상, 봉상, 방추상, 침상, 부정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의 평균 일차 입자경 dA 는, 자외선 방어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 ㎚ 이상이 바람직하고, 5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또, 1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8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대기 유해 물질 부착 억제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1 ㎚ 이상이 바람직하고, 7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또, 2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8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일차 입자경 dA 의 구체적 범위는, 자외선 방어 효과와 대기 유해 물질 부착 억제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2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2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1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 ㎚ 이상 1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 ㎚ 이상 8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7 ㎚ 이상 50 ㎚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평균 일차 입자경 dA 는, 투과형 전자 현미경 (TEM) 에 의한 관찰 화상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TEM 에 의해 관찰 배율 50,000 배의 조건으로 관찰하여, 관찰 화상 중의 300 개의 일차 입자의 최대 단경을 측정하고, 그 수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구해진다. 여기서, 최대 단경이란,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또는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이 판상 이외의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장경과 직교하는 단경 중, 최대 길이를 갖는 단경을 의미한다. 또,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또는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이 판상인 경우에는,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관찰되는 관찰 화상 중의 300 개의 일차 입자의 두께를 측정하고, 그 수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구해진다.
성분 (A1), (A2) 는, 미립자 산화티탄, 미립자 산화아연이 소수화 처리된 것이다. 소수화 처리에 의해, 미립자 산화티탄, 미립자 산화아연의 분산성이 개선되고, 또, 대기 유해 물질 부착 억제 효과가 향상된다.
소수화 처리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 처리 ; 알킬알콕시실란 처리 ; 지방산 처리 ;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퍼플루오로알코올, 퍼플루오로알킬알콕시실란 등의 불소 함유 화합물 처리 ; N-아실글루타민산 등의 아미노산 처리 ; 알킬인산에스테르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화장료 중에서의 성분 (A1) 의 분산성을 높이고, 자외선 방어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지방산 처리가 바람직하다. 또, 성분 (A2) 의 분산성을 높이고, 자외선 방어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실리콘 처리, 알킬알콕시실란 처리가 바람직하다.
지방산 처리에 사용되는 표면 처리제로는, 탄소수 12 이상 22 이하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지방산 또는 그 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화장료 중에서의 성분 (A1), 성분 (A2) 의 분산성을 높이고, 대기 유해 물질 부착 억제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탄소수 14 이상 22 이하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지방산 또는 그 염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6 이상 20 이하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지방산 또는 그 염이 보다 바람직하며,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알루미늄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리콘 처리에 사용되는 표면 처리제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 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스테아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아크릴산알킬/디메티콘 공중합체 등의 각종 실리콘유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화장료 중에서의 성분 (A1), 성분 (A2) 의 분산성을 높이고, 대기 유해 물질 부착 억제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이 바람직하다.
알킬알콕시실란 처리에 사용되는 표면 처리제로는, 화장료 중에서의 성분 (A1), 성분 (A2) 의 분산성을 높이고, 대기 유해 물질 부착 억제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탄소수 6 이상 20 이하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알콕시실란이 바람직하고, 옥틸트리에톡시실란, 옥틸트리메톡시실란이 보다 바람직하다.
소수화 처리된 미립자 산화티탄 (A1) 의 시판품으로는, 테이카사 제조의 MT-100 시리즈나 JR 시리즈, MPY 시리즈, 사카이 화학 공업사 제조의 STR-100 시리즈, 이시하라 산업사 제조의 TTO55 시리즈나 TTO51 시리즈, MPT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소수화 처리된 미립자 산화아연 (A2) 의 시판품으로는, 테이카사 제조의 MZ-500 시리즈나 MZ-300 시리즈, 사카이 화학 공업사 제조의 FINEX-50 시리즈나 FINEX-30 시리즈, FINEX-25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표면 처리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처리제의 처리량은, 화장료 중에서의 성분 (A1), 성분 (A2) 의 분산성을 높이고, 자외선 방어 효과와 대기 유해 물질 부착 억제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성분 (A1) 의 전체 질량 또는 성분 (A2) 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이다.
또한, 상기의 처리량은, 미립자 산화티탄 또는 미립자 산화아연과 표면 처리제의 합계를 100 질량% 로 했을 때의 양을 의미한다. 또, 상기의 평균 일차 입자경 dA, 후술하는 화장료 중의 함유량이나 함유 질량비도, 표면 처리제를 포함한 평균 일차 입자경 dA, 함유량, 함유 질량비를 의미한다.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5 질량% 이상이다.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의 함유량을 5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자외선 방어 효과가 개선되어, 자외선 흡수제를 저함량화했을 경우나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높은 자외선 방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의 함유량은, 자외선 방어 효과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6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이상이며, 또, 분말감이 없음, 하얗게 들뜸이 없음, 도포 시의 매끄러움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6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7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8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의 함유량을 8 질량% 이상으로 했을 경우에, 자외선 방어 효과가 특히 개선된다.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10 질량% 이상이다.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의 함유량을 10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자외선 방어 효과가 개선되어, 자외선 흡수제를 저함량화했을 경우나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높은 자외선 방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의 함유량은, 자외선 방어 효과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12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7 질량% 이상이며, 또, 분말감이 없음, 하얗게 들뜸이 없음, 도포 시의 매끄러움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3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12 질량% 이상 3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3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7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의 함유량을 17 질량% 이상으로 했을 경우에, 자외선 방어 효과가 특히 개선된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에는, 성분 (A3) 으로서, 성분 (A1) 및 (A2) 이외의 자외선 산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외선 산란제로는, 예를 들어,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세륨,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철,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크롬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A3) 에 있어서의 소수화 처리로는, 성분 (A1), (A2) 에 있어서 설명한 소수화 처리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자외선 산란제는,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성분 (A3) 의 함유량으로는,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0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 질량% 이상 1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 질량% 이상 0.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B)>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는, (B) 2 가의 폴리올을 함유한다. 또한, 「2 가의 폴리올」 이란, 동일 분자 내에 하이드록시기를 2 개 갖는 알코올을 의미한다. 2 가의 폴리올을 함유시킴으로써, 건조 후의 도포막이 균일해지기 쉬워지고, 자외선 방어 효과가 우수한 것이 된다.
2 가의 폴리올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알킬렌글리콜 ;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디알킬렌글리콜 ;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건조 후의 도포막의 균일성, 자외선 방어 효과, 분말감이 없음 등의 관점에서, 알킬렌글리콜, 디알킬렌글리콜이 바람직하고, 디알킬렌글리콜이 보다 바람직하고, 디프로필렌글리콜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2 가의 폴리올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 1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상 8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 이상 8 이하이다.
2 가의 폴리올은, 시판품을 사용해도 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합성하여 얻은 것을 사용해도 된다. 1,3-부틸렌글리콜의 시판품으로는, 1,3-부틸렌글리콜-P (KH 네오켐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디프로필렌글리콜의 시판품으로는, DPG-RF (ADEKA 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2 가의 폴리올은,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2 가의 폴리올의 함유량은, 건조 후의 도포막의 균일성, 자외선 방어 효과, 분말감이 없음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상이며, 또, 끈적거림이 없음, 유화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14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1 질량% 이상 14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 질량% 이상 12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4.5 질량% 이상 8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2 가의 폴리올의 함유량을 1 질량% 이상으로 했을 경우에, 건조 후의 도포막의 균일성, 자외선 방어 효과, 분말감이 없음이 특히 개선된다.
또, 성분 (A1) 및 (A2) 의 합계에 대한 성분 (B) 의 함유 질량비 [(B) / ((A1) + (A2))] 는, 건조 후의 도포막의 균일성, 자외선 방어 효과, 도포 시의 분말감의 경감, 매끄러운 감촉의 향상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25 이상이며, 또, 끈적거림이 없음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7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0.05 이상 0.75 이하가 바람직하고, 0.1 이상 0.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125 이상 0.4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성분 (C)>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는, (C) 불휘발성 탄화수소유를 함유한다.
불휘발성 탄화수소유는, 1 기압하 25 ℃ 에서 휘발성을 나타내지 않는 액체의 탄화수소유이면 된다. 1 기압하 25 ℃ 에서 불휘발성의 탄화수소유의 인화점은,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이다. 1 기압하 25 ℃ 에서 불휘발성의 탄화수소유 중에서도, 분말감이 없음, 끈적거림이 없음 및 퍼짐의 양호함의 관점에서, 점도가 25 ℃ 에서 300 mPa·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m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mPa·s 이하이다. 예를 들어, 유동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스쿠알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성분 (C) 의 점도는, B 형 점도계 TVB-10 (토키 산업사 제조) 을 사용하여, 로터 2, 25 ℃, 30 rpm 의 조건으로 측정된다.
유동 이소파라핀의 시판품으로는, 펄림 EX, 펄림 6 (이상, 니치유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스쿠알란의 시판품으로는, 닉콜 스쿠알란 (닛폰 서팩턴트 공업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불휘발성 탄화수소유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2 질량% 이상 14 질량% 이하이다. 불휘발성 탄화수소유의 함유량을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분말감이 개선되고, 거친 감이 적은 매끄러운 감촉이 얻어진다.
불휘발성 탄화수소유의 함유량은, 도포 시의 분말감을 경감하고, 도포 시의 매끄러운 감촉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질량% 이상이며, 또, 유성감이 없음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14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질량%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4 질량% 이상 14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4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6 질량% 이상 12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불휘발성 탄화수소유의 함유량을 6 질량% 이상으로 했을 경우에, 분말감이 없음이 특히 개선된다.
또, 성분 (A1) 및 (A2) 의 합계에 대한 성분 (C) 의 함유 질량비 [(C) / ((A1) + (A2))] 는, 도포 시의 분말감의 경감, 거친 감의 억제, 도포 시의 매끄러운 감촉의 향상, 도포 후의 보습감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이상이며, 또, 자외선 방어 효과, 대기 유해 물질 부착 억제 효과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7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39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0.05 이상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0.1 이상 1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2 이상 0.7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3 이상 0.39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D)>
불휘발성 실리콘유는, 1 기압하 25 ℃ 에서 휘발성을 나타내지 않는 액체의 실리콘유이면 된다.
불휘발성 실리콘유로는, 예를 들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등의 불휘발성 사슬형 폴리실록산 ; 테트라메틸테트라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등의 불휘발성 고리형 폴리실록산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이 바람직하다.
불휘발성 실리콘유의 25 ℃ 에 있어서의 동점도는, 보습감 및 피부의 매끄러움의 지속성, 끈적거림이 없음 그리고 퍼짐의 양호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0 ㎟/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s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s 이하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3 ㎟/s 이상이다.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시판품으로는, KF-96L-6CS, KF-96A-10CS (이상,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의 시판품으로는, SH556Fluid (토레이·다우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는, 불휘발성 실리콘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되며, 불휘발성 실리콘유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0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이다. 불휘발성 실리콘유의 함유량을 0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대기 유해 물질 부착 억제 효과가 개선된다.
불휘발성 실리콘유의 함유량은, 끈적거림 억제 효과나 피부의 매끄러움의 지속성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이며, 또, 대기 유해 물질 부착 억제 효과, 유성감이 없음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0 질량% 이상 4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 질량% 이상 3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 3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상 3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불휘발성 실리콘유의 함유량을 4 질량% 이하 또는 3 질량% 이하로 했을 경우에, 대기 유해 물질 부착 억제 효과가 특히 개선된다.
또, 성분 (A1) 및 (A2) 의 합계에 대한 성분 (D) 의 함유 질량비 [(D) / ((A1) + (A2))] 는, 끈적거림 억제 효과나 피부의 매끄러움의 지속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5 이상이며, 또, 자외선 방어 효과, 대기 유해 물질 부착 억제 효과, 유성감이 없음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6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0 이상 0.5 이하가 바람직하고, 0.005 이상 0.2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 이상 0.1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025 이상 0.1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성분 (C) 에 대한 성분 (D) 의 함유 질량비 [(D) / (C)] 는, 피부의 거친 감을 억제하고, 분말감을 경감하고, 피부의 매끄러움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며, 또, 분말감을 경감하고, 매끄러운 감촉을 향상시키고, 대기 유해 물질 부착 억제 효과를 개선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0 이상 1 이하가 바람직하고, 0.05 이상 0.7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075 이상 0.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1 이상 0.2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E)>
(E) 물의 함유량은, 유화 안정성, 유성감이 없음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이며, 또, 내수성, 퍼짐의 양호함, 끈적거림감이 없음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7.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1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질량% 이상 17.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5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로는, 대기 유해 물질 부착 억제 효과, 유화 안정성, 분산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상기 각 성분 외에, 추가로 (F) 성분 (C) 및 (D) 이외의 불휘발성유, (G) 휘발성유, (H) 계면 활성제, (I) 성분 (A1) ∼ (A3) 이외의 분체, 그리고 (J) 유성 증점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성분 (A1), (A2), (B), (C), (E) 및 (F) 를 함유하고, 성분 (D) 의 함유량이 0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인 것, 성분 (A1), (A2), (B), (C), (E) 및 (G) 를 함유하고, 성분 (D) 의 함유량이 0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인 것, 또는 성분 (A1), (A2), (B), (C), (E) 및 (J) 를 함유하고, 성분 (D) 의 함유량이 0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성분 (A1), (A2), (B), (C) 및 (E) ∼ (G) 를 함유하고, 성분 (D) 의 함유량이 0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성분 (A1), (A2), (B), (C) 및 (E) ∼ (J) 를 함유하고, 성분 (D) 의 함유량이 0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F)>
성분 (C) 및 (D) 이외의 불휘발성유는, 1 기압하 25 ℃ 에서 휘발성을 나타내지 않는 액체의 기름 중, 성분 (C) 및 (D) 그리고 1 기압하 25 ℃ 에서 액체의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를 제외한 것을 의미한다.
성분 (C) 및 (D) 이외의 불휘발성유로는, 불휘발성 에스테르유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2-에틸헥산산세틸,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2-에틸헥실, 스테아르산2-에틸헥실, 스테아르산스테아릴 등의 불휘발성 지방산 에스테르유 ; 벤조산알킬 (C12-15) 등을 들 수 있다. 또, 불휘발성 지방산 에스테르유로서, 트리(카프릴 산/카프르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등의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헥산산네오펜틸글리콜 등의 지방산과 네오펜틸글리콜의 에스테르 ; 다른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유 등을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는, 대기 유해 물질 부착 억제 효과, 피부 융화성의 양호함 등의 관점에서, 불휘발성 지방산 에스테르유가 바람직하고, 불휘발성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유가 보다 바람직하고,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지방산과 네오펜틸글리콜의 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의 시판품으로는, 엑세펄 IPP (카오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산알킬 (C12-15) 의 시판품으로는, FINSOLV TN (Innospec Active Chemicals 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의 시판품으로는, 엑세펄 TGO (카오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의 시판품으로는, 에스테몰 N-01 (닛신 오일리오 그룹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디에틸헥산산네오펜틸글리콜의 시판품으로는, 코스몰 525 (닛신 오일리오 그룹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성분 (C) 및 (D) 이외의 불휘발성유는,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성분 (C) 및 (D) 이외의 불휘발성유로서 불휘발성 에스테르유를 사용하는 경우, 불휘발성 에스테르유의 함유량으로는,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0.5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질량% 이상 7.5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불휘발성 에스테르유의 함유량을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대기 유해 물질 부착 억제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이 된다.
<성분 (G)>
휘발성유는, 1 기압하 25 ℃ 에서 휘발성을 나타내는 액체의 기름이면 된다. 휘발성유로는, 휘발성 실리콘유, 휘발성 탄화수소유 등을 들 수 있다. 휘발성 탄화수소유의 인화점으로는, 1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35 ℃ 이상 1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휘발성 실리콘유로는,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등의 휘발성 고리형 실리콘유 ;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메틸트리메티콘, 에틸트리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휘발성 디메틸폴리실록산 등의 직사슬형 또는 분기형의 휘발성 실리콘유를 들 수 있다.
휘발성 디메틸폴리실록산의 25 ℃ 에 있어서의 동점도는, 바람직하게는 0.5 ㎟/s 이상 2 ㎟/s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65 ㎟/s 이상 2 ㎟/s 이하이다.
휘발성 탄화수소유로는, 예를 들어, n-데칸, n-운데칸, n-도데칸 등의 파라핀계 휘발성 탄화수소유 ; 이소데칸, 이소도데칸,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등의 이소파라핀계 휘발성 탄화수소유를 들 수 있다.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의 시판품으로는, TSF405A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스·재팬 합동회사 제조), SH245, DC345 (토레이·다우코닝사 제조), KF-995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메틸트리메티콘의 시판품으로는, 실리콘 TMF-1.5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에틸트리실록산의 시판품으로는, SILSOFTETS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스·재팬 합동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의 시판품으로는, KF-96L-1.5CS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휘발성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시판품으로는, KF-96L-2CS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의 시판품으로는, 펄림 4 (니치유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휘발성유는,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휘발성유의 함유량으로는, 퍼짐의 양호함과 유성감이 없음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0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 35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H)>
계면 활성제는, 아니온 계면 활성제, 카티온 계면 활성제, 비이온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등의 공지된 것을 사용하면 되지만, 내수성, 배합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비이온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고, HLB 8 이하 (바람직하게는 HLB 1 ∼ 7, 보다 바람직하게는 HLB 2 ∼ 6, 특히 바람직하게는 HLB 3 ∼ 5) 의 비이온 계면 활성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계면 활성제는, 25 ℃ 에서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HLB 는, 친수성-친유성의 밸런스 (Hydrophile-Lipophile Balance) 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오다·테라무라 등에 의한 다음 식에 의해 정의된다.
HLB = (Σ무기성값 / Σ유기성값) × 10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형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형 계면 활성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형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형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형 계면 활성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형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형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형 계면 활성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형 계면 활성제, 디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형 계면 활성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형 계면 활성제,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형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형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고, 소르비탄 모노 지방산 에스테르형 계면 활성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모노스테아르산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모노올레산소르비탄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형 계면 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PEG-3 디메티콘, PEG-9 디메티콘, PEG-10 디메티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계면 활성제는,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으로는, 분체의 분산성, 유화 안정성의 향상이나 끈적거림감이 없음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0.2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상 8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I)>
성분 (A1) ∼ (A3) 이외의 분체로는, 예를 들어, 소수화 처리 탤크, 셀룰로오스 입자, 다공질 실리카, 가교 (메트) 아크릴산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실리콘 수지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성분 (A1) ∼ (A3) 이외의 분체의 함유량으로는, 분말감 없음, 피부의 매끄러움의 지속성, 끈적거림감이 없음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0.2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상 8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J)>
유성 증점제로는, 예를 들어, 이눌린 지방산 에스테르,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당지방산 에스테르계 유성 증점제 외에,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 유기 변성 점토 광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유성감이 없음이나 피부의 매끄러움의 지속성 등의 관점에서, 당지방산 에스테르계 유성 증점제가 바람직하다. 당지방산 에스테르계 유성 증점제에 있어서의 지방산의 잔기로는, 직사슬형 또는 분기 사슬형의 포화 지방산 잔기가 바람직하다. 또, 지방산 잔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8 ∼ 24,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22, 특히 바람직하게는 14 ∼ 20 이다.
당지방산 에스테르계 유성 증점제로는,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미리스트산덱스트린, 팔미트산덱스트린, 스테아르산덱스트린, (팔미트산/2-에틸헥산산)덱스트린, (팔미트산/헥실데칸산)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유성 증점제의 함유량으로는, 유성감이 없음, 끈적거림감이 없음, 피부의 매끄러움의 지속성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0.05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 4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2 질량% 이상 3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는, 상기 각 성분 외에, 트리메틸실록시규산 등의 피막 형성제 ; 성분 (B) 이외의 폴리올 ; 저급 알코올 ; 왁스 류 ; 방부제 ; 향료 ; pH 조정제 ; 보습제 ; 감촉 향상제 ; 피지 흡수제 ; 점도 조정제 ; 토코페롤 등의 비타민류 ; 카로텐 등의 테르펜류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이들 중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피막 형성제의 함유량으로는,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0 질량% 이상 0.07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 질량% 이상 0.01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의 제형으로는, 유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겔상 등의 비고체상의 것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는, 피부 (바람직하게는 두피를 제외한 피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얼굴, 신체, 수족 등) 에 도포하여 선스크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그 사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손 또는 도포용 기구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는, 분말감이 없는 양호한 사용감이면서, 도포막에 대기 유해 물질이 잘 부착되지 않고, 또한 우수한 자외선 방어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은 우수한 자외선 방어 효과가 발휘되는 이유는, 건조 후의 도포막이 균일해지기 쉽고, 자외선 방어 효과가 고르게 얻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본 발명자는 추찰한다.
또,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는, 자외선 흡수제를 저함량화했을 경우나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높은 자외선 방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으로는,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0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 질량% 이상 1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 질량% 이상 0.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 질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본 발명은 추가로 이하의 화장료 등을 개시한다.
<1> 하기 성분 (A1), (A2), (B) 및 (C) 를 함유하고, (D) 불휘발성 실리콘유의 함유량이, 0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인,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A1)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5 질량% 이상
(A2)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10 질량% 이상
(B) 2 가의 폴리올
(C) 불휘발성 탄화수소유 2 질량% 이상 14 질량% 이하
<2> 성분 (A1) 및 (A2) 의 평균 일차 입자경 dA 가,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인, <1> 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3> 성분 (A1) 및 (A2) 의 평균 일차 입자경 dA 가,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인, <1> 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4> 성분 (A1) 및 (A2) 의 평균 일차 입자경 dA 가,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2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2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1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 ㎚ 이상 1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 ㎚ 이상 8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7 ㎚ 이상 50 ㎚ 이하인, <1> 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5> 성분 (A1) 의 소수화 처리가,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처리, 알킬알콕시실란 처리, 지방산 처리, 불소 함유 화합물 처리, 아미노산 처리 및 알킬인산에스테르 처리로부터 선택되는 소수화 처리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산 처리인,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6> 성분 (A2) 의 소수화 처리가,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처리, 알킬알콕시실란 처리, 지방산 처리, 불소 함유 화합물 처리, 아미노산 처리 및 알킬인산에스테르 처리로부터 선택되는 소수화 처리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처리 및 알킬알콕시실란 처리로부터 선택되는 소수화 처리인,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7> 성분 (A1) 의 함유량이,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6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이상이며, 또,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인,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8> 성분 (A1) 의 함유량이,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6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인,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9> 성분 (A2) 의 함유량이,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12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7 질량% 이상이며, 또,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3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인,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10> 성분 (A2) 의 함유량이,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12 질량% 이상 3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7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인,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11> 성분 (B) 가, 바람직하게는 알킬렌글리콜, 디알킬렌글리콜 및 폴리알킬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렌글리콜 및 디알킬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알킬렌글리콜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디프로필렌글리콜인, <1>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12> 성분 (B) 의 탄소수가, 바람직하게는 1 이상 1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상 8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 이상 8 이하인,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13> 성분 (B) 의 함유량이,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상이며, 또,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14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이하인, <1> ∼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14> 성분 (B) 의 함유량이,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14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12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상 8 질량% 이하인, <1> ∼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15> 성분 (A1) 및 (A2) 의 합계에 대한 성분 (B) 의 함유 질량비 [(B) / ((A1) + (A2))] 가,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25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0.7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이하인, <1>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16> 성분 (A1) 및 (A2) 의 합계에 대한 성분 (B) 의 함유 질량비 [(B) / ((A1) + (A2))] 가,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0.7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0.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25 이상 0.4 이하인, <1>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17> 성분 (C) 의 인화점이,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인, <1> ∼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18> 성분 (C) 의 25 ℃ 에 있어서의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300 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m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mPa·s 이하인, <1> ∼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19> 성분 (C) 가, 바람직하게는 유동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및 스쿠알란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1> ∼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20> 성분 (C) 의 함유량이,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질량% 이상이며, 또,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14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질량% 이하인, <1> ∼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21> 성분 (C) 의 함유량이,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상 14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 질량% 이상 12 질량% 이하인, <1> ∼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22> 성분 (A1) 및 (A2) 의 합계에 대한 성분 (C) 의 함유 질량비 [(C) / ((A1) + (A2))] 가,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7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39 이하인, <1> ∼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23> 성분 (A1) 및 (A2) 의 합계에 대한 성분 (C) 의 함유 질량비 [(C) / ((A1) + (A2))] 가,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0.7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0.39 이하인, <1> ∼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24> 성분 (D) 가, 바람직하게는 불휘발성 사슬형 폴리실록산 및 불휘발성 고리형 폴리실록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불휘발성 실리콘유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및 테트라메틸테트라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불휘발성 실리콘유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메틸페닐폴리실록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불휘발성 실리콘유인, <1> ∼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25> 성분 (D) 의 25 ℃ 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바람직하게는 300 ㎟/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s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s 이하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3 ㎟/s 이상인, <1> ∼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26> 성분 (D) 의 함유량이,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이며, 또,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하인, <1> ∼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27> 성분 (D) 의 함유량이,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이상 4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이상 3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3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3 질량% 이하인, <1> ∼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28> 성분 (A1) 및 (A2) 의 합계에 대한 성분 (D) 의 함유 질량비 [(D) / ((A1) + (A2))] 가, 바람직하게는 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5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6 이하인, <1> ∼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29> 성분 (A1) 및 (A2) 의 합계에 대한 성분 (D) 의 함유 질량비 [(D) / ((A1) + (A2))] 가, 바람직하게는 0 이상 0.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0.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0.1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5 이상 0.1 이하인, <1> ∼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30> 성분 (C) 에 대한 성분 (D) 의 함유 질량비 [(D) / (C)] 가, 바람직하게는 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이하인, <1> ∼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31> 성분 (C) 에 대한 성분 (D) 의 함유 질량비 [(D) / (C)] 가, 바람직하게는 0 이상 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0.7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5 이상 0.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0.2 이하인, <1> ∼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32> (E) 물의 함유량이,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이며, 또,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7.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인, <1> ∼ <3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33> (E) 물의 함유량이,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17.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인, <1> ∼ <3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34>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F) 성분 (C) 및 (D) 이외의 불휘발성유, (G) 휘발성유, (H) 계면 활성제, (I) 성분 (A1) ∼ (A3) 이외의 분체, 그리고 (J) 유성 증점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A1), (A2), (B), (C), (E) 및 (F) 를 함유하고, 성분 (D) 의 함유량이 0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인 것, 성분 (A1), (A2), (B), (C), (E) 및 (G) 를 함유하고, 성분 (D) 의 함유량이 0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인 것, 또는 성분 (A1), (A2), (B), (C), (E) 및 (J) 를 함유하고, 성분 (D) 의 함유량이 0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인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성분 (A1), (A2), (B), (C) 및 (E) ∼ (G) 를 함유하고, 성분 (D) 의 함유량이 0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인 것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성분 (A1), (A2), (B), (C) 및 (E) ∼ (J) 를 함유하고, 성분 (D) 의 함유량이 0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인 것인, <1> ∼ <3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35> 제형이, 바람직하게는 유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겔상인, <1> ∼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36>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중,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이상 1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이상 0.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인, <1> ∼ <3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종 측정 및 평가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측정 및 평가 방법)
(1) 자외선 방어 효과 (SPF 값)
PMMA 판 상에, 2 mg/㎠ 가 되도록 각 화장료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냉암소에서 15 분간 건조시켰다. 건조 종료 후, SPF 애널라이저 (SPF 290S plus, Optometricus USA, Inc 사 제조) 로, 정방형의 PMMA 판 상의 중점과, 각 정점과, 각 정점을 이은 변의 중점의 합계 9 개 지점의 흡수 스펙트럼 (파장 350 ㎚) 의 투과율 (%) 을 측정하고, 투과율의 9 개 지점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이 투과율의 평균값 (%) 으로부터 SPF 값을 산출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자외선 방어 효과의 평가 기준)
AA : SPF 75 이상
A : SPF 67 이상 75 미만
B : SPF 60 이상 67 미만
C : SPF 60 미만
(2) 대기 유해 물질 부착 억제 효과
각 화장료를, 성분 (A1) 및 (A2) 의 도포량이 0.12 mg/㎠ 가 되도록, 피부 대체로서 백색 인공 피혁 (상품명 「라포레 S2923」, 오카모토 신와사 제조) 에 도포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방치하여 건조시켰다.
상기의 각 화장료가 도포된 인공 피혁 표면을, 평가용 대기 유해 물질의 송풍 환경 중에 폭로하고, 측색계를 사용하여 폭로 전후의 색차 ΔE 를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색차 ΔE 의 측정]
측색계 (상품명 「CM-2002」, 코니카 미놀타사 제조) 를 사용하여, 폭로하기 전의 인공 피혁 표면의 L1 *, a1 *, b1 * 값을 측정하였다.
별도로, 글로브 백 (품번 「3-118-01」, 애즈원사 제조) 내에, 송풍기 (상품명 「실키 윈드 9ZF002RH02」, 사이즈 : 129 × 106 × 83 ㎜, 리듬 시계 공업사 제조), 망체 (Test sieves 시험용 체 JIS Z 8801, 프레임 치수 : φ100 × 45H, 눈금크기 : 106 ㎛, 도쿄 스크린사 제조) 를 고정시켰다. 망체의 설치 높이는 17 ㎝ 로 하였다.
다음으로, 시험 샘플의 화장료가 도포된 인공 피혁 (5 ㎝ × 4 ㎝) 을, 그 인공 피혁의 하단의 높이가 11 ㎝ 의 위치가 되도록 지지체에 첩부 (貼付) 하였다. 지지체에 첩부된 인공 피혁의 도포 표면과 송풍기의 사이의 거리를 15 ㎝ 로 하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풍기의 송풍 방향에 대하여 인공 피혁의 도포 표면을 수직으로, 송풍기의 날개의 중심 높이와 인공 피혁의 중심 높이가 동일해지도록 설치하였다.
글로브 백 내의 온도를 25 ℃, 상대습도를 57 %RH 로 하고, 눈막힘 제거 브러시 (상품명 「JNB-5」, 브러시 지름 53 ㎛, 도쿄 스크린사 제조) 를 사용하여, 평가용 대기 유해 물질로서 흑연 분말 (상품명 「J-CPB」, 평균 입경 : 5.5 ㎛, 닛폰 흑연 공업사 제조) 50 mg 을 분급하면서, 송풍 눈금을 1 로 설정한 송풍기의 송풍구 앞에 망체로부터 1 분간 낙하시킴으로써, 평가용 대기 유해 물질의 송풍 환경 중에 인공 피혁의 각 화장료가 도포된 표면을 폭로하였다.
이어서, 상기 측색계를 사용하여 폭로 후의 인공 피혁 표면의 L2 *, a2 *, b2 * 값을 측정하고, 하기 식 (I) 로부터 색차 ΔE 값을 구하였다.
ΔE = [(L1 * ― L2 *)2 + (a1 * ― a2 *)2 + (b1 * ― b2 *)2]0.5 (I)
이상의 조작을 각 시험 샘플에 대해 3 회씩 실시하고, 시험 샘플의 화장료를 도포한 인공 피혁의 색차 ΔE 의 평균값을 ΔEt 로 하였다. 또한, 표준 샘플로서 화장료를 도포하고 있지 않은 인공 피혁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조작을 3 회 실시하고, 색차 ΔE 의 평균값을 ΔEs 로 하고, 하기 식 (II) 로부터 부착 억제율을 산출하였다. 부착 억제율이 높을수록 대기 유해 물질의 부착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대기 유해 물질의 부착 억제율 (%) = 100 × (ΔEs ― ΔEt) / ΔEs (II)
(대기 유해 물질 부착 억제 효과의 평가 기준)
AA : 부착 억제율이 50 % 이상
A : 부착 억제율이 30 % 이상 50 % 미만
B : 부착 억제율이 10 % 이상 30 % 미만
C : 부착 억제율이 10 % 미만
(3) 도포 시의 분말감이 없음
패널리스트 2 명에게, 각 화장료 0.02 mL 를 전완 내측에 직경 3 ㎝ 내로 도포하였다. 이 때의 도포 시의 분말감이 없음에 대해서 이하의 기준으로 채점하고, 2 명의 패널리스트의 평균 스코어를 산출하였다. 평균 스코어가 3 점보다 큰 경우에는 평가 AA, 평균 스코어가 2 점보다 크고 3 점 이하인 경우에는 평가 A, 평균 스코어가 1 점보다 크고 2 점 이하인 경우에는 평가 B, 평균 스코어가 1 점 이하인 경우에는 평가 C 로 하였다.
4 점 : 분말감을 전혀 느끼지 않는다
3 점 : 분말감을 느끼지 않는다
2 점 : 어느 쪽이라고도 말할 수 없다
1 점 : 분말감을 약간 느낀다
0 점 : 분말감을 강하게 느낀다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6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6 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를, 표 1 ∼ 표 2 에 나타내는 처방에 따라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고, 상기의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중의 기호는, 각각 이하를 나타낸다.
*1 : MT-100TV (평균 일차 입자경 dA : 15 ㎚, 테이카사 제조)
*2 : MZX-304R3M (평균 일차 입자경 dA : 35 ㎚, 테이카사 제조)
*3 : MZX-304OTS (평균 일차 입자경 dA : 35 ㎚, 테이카사 제조)
*4 : KF-96L-6CS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5 : 펄림 EX (니치유사 제조)
*6 : 닉콜 스쿠알란 (닛폰 서팩턴트 공업사 제조)
*7 : KF-6015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8 : KF-6017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9 : 레오펄 KL2 (치바 제분사 제조)
*10 : SI-탤크 JA-46R (미요시 화성사 제조)
*11 : 코스몰 525 (닛신 오일리오 그룹사 제조)
*12 : 에스테몰 N-01 (닛신 오일리오 그룹사 제조)
*13 : 펄림 4 (니치유사 제조)
*14 : KF-96L-2CS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15 : DPG-RF (ADEKA 사 제조)
실시예 8
실시예 8 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를, 표 3 에 나타내는 처방에 따라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고, 상기의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 실시예 8 의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는, 보송보송한 양호한 사용감이다.
Figure pct00003
표 중의 *16 은, 실리콘 TSF405A (모멘티브사 제조) 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이다.
1 : 평가 대상의 샘플
2 : 지지체
3 : 망체
4 : 평가용 대기 유해 물질
5 : 송풍기

Claims (6)

  1. 하기 성분 (A1), (A2), (B) 및 (C) 를 함유하고, (D) 불휘발성 실리콘유의 함유량이, 0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인,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A1)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5 질량% 이상
    (A2)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10 질량% 이상
    (B) 2 가의 폴리올
    (C) 불휘발성 탄화수소유 2 질량% 이상 14 질량% 이하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1) 및 (A2) 의 합계에 대한 성분 (B) 의 함유 질량비 [(B) / ((A1) + (A2))] 가, 0.05 이상 0.75 이하인,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 (A1) 및 (A2) 의 합계에 대한 성분 (C) 의 함유 질량비 [(C) / ((A1) + (A2))] 가, 0.05 이상 1.5 이하인,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1) 및 (A2) 의 합계에 대한 성분 (D) 의 함유 질량비 [(D) / ((A1) + (A2))] 가, 0 이상 0.5 이하인,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C) 에 대한 성분 (D) 의 함유 질량비 [(D) / (C)] 가, 0 이상 1 이하인,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0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인,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KR1020227038420A 2020-05-14 2021-05-13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KR202201634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85346 2020-05-14
JPJP-P-2020-085346 2020-05-14
PCT/JP2021/018159 WO2021230310A1 (ja) 2020-05-14 2021-05-13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443A true KR20220163443A (ko) 2022-12-09

Family

ID=7852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8420A KR20220163443A (ko) 2020-05-14 2021-05-13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65763A1 (ko)
EP (1) EP4151281A4 (ko)
JP (1) JP2021181435A (ko)
KR (1) KR20220163443A (ko)
CN (1) CN115551463A (ko)
TW (1) TW202207896A (ko)
WO (1) WO20212303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53328A3 (en) 2022-10-15 2024-05-22 LCS Advanced Solutions, LLC Structurally diverse, stable, and radiation-protective particle matrix sunscreen and cosmetic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490A (ja) 1998-10-23 2000-07-11 Hakusui Tech Co Ltd 超微粒子状酸化亜鉛・シリコ―ン分散体及びその製法、並びに紫外線遮蔽性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9916A (ja) * 2000-07-12 2002-01-29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3695710B2 (ja) * 2002-05-09 2005-09-14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JP4027157B2 (ja) * 2002-05-20 2007-12-26 株式会社資生堂 日焼け止め油中水型乳化化粧料
EP1550429B1 (en) * 2002-05-09 2010-11-17 Shiseido Company, Ltd. External preparations for skin
JP5382904B2 (ja) * 2008-02-19 2014-01-08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JP4902752B2 (ja) * 2009-01-27 2012-03-21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CN102596160B (zh) * 2009-11-06 2014-06-18 花王株式会社 乳化化妆品
JP5058352B2 (ja) * 2010-04-13 2012-10-24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5792493B2 (ja) * 2011-03-28 2015-10-14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5361089B2 (ja) * 2011-08-26 2013-12-04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JP5357280B2 (ja) * 2012-01-16 2013-12-04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皮膚化粧料
JP5813745B2 (ja) * 2013-12-26 2015-11-17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JP7351622B2 (ja) * 2018-02-09 2023-09-27 株式会社コーセー 乳化化粧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490A (ja) 1998-10-23 2000-07-11 Hakusui Tech Co Ltd 超微粒子状酸化亜鉛・シリコ―ン分散体及びその製法、並びに紫外線遮蔽性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51281A4 (en) 2024-05-15
JP2021181435A (ja) 2021-11-25
EP4151281A1 (en) 2023-03-22
TW202207896A (zh) 2022-03-01
US20230165763A1 (en) 2023-06-01
WO2021230310A1 (ja) 2021-11-18
CN115551463A (zh) 2022-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4184B2 (ja) 乳化化粧料
JP6869149B2 (ja) 油中水型化粧料
KR20140084064A (ko) 화장료
WO2018225768A1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17122076A (ja) 油中水型皮膚化粧料
JP2017095361A (ja) 近赤外線防御化粧料組成物
KR20220163443A (ko) 유중수형 유화 선스크린 화장료
EP4082520A1 (en) Water-in-oil-type emulsified sunscreen cosmetic
JP2023056931A (ja) 日焼け止め化粧料
JP2017031080A (ja) 油中水型皮膚外用剤
JP2020200318A (ja) 大気有害物質の付着抑制方法
TW202128121A (zh) 油中水型乳化化妝料
WO2020246556A1 (ja) 大気有害物質の付着抑制方法
JP6815435B2 (ja) 油中水型皮膚外用剤
WO2022239842A1 (ja) 皮膚外用剤
TWI828835B (zh) 皮膚外用劑
JP2020200316A (ja) 大気有害物質の付着抑制方法
JP2020200317A (ja) 大気有害物質の付着抑制方法
JP2020105177A (ja) 皮膚外用剤
KR20210093309A (ko) 외용제
JP2023145234A (ja) 日焼け止め化粧料
JP5806106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JP2020105176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