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064A - 화장료 - Google Patents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064A
KR20140084064A KR1020147010906A KR20147010906A KR20140084064A KR 20140084064 A KR20140084064 A KR 20140084064A KR 1020147010906 A KR1020147010906 A KR 1020147010906A KR 20147010906 A KR20147010906 A KR 20147010906A KR 20140084064 A KR20140084064 A KR 20140084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fatty acid
powder
group
acy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4808B1 (ko
Inventor
미나코 카사기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84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8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12By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산화티타늄과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을 포함하고, 평균 입경이 1㎛ 미만인 복합 분체, 및 하기 일반식(I)
Figure pct00007

[식(I) 중, R1∼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nCOOH, -(CH2)nOH, -R5, -OR6을 나타내고, R5는 탄소수 1∼22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6은 탄소수 10∼22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n은 0 또는 1∼29의 정수를 나타내고, 단, R1∼R4 중 적어도 1개는 -OR6을 나타낸다.]으로 나타내어지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화장료.

Description

화장료{COSMETIC}
본 발명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장료에 자외선 방지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사용되고 있고, 특히, 무기 분체에 유기 화합물인 자외선 흡수제를 복합화한 자외선 차폐 분체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국제공개 제2010/098249호 팜플릿에는, 기재로 되는 분체 표면에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 유기 화합물을 코팅해서 이루어지는 복합 분체가 개시되어 있다. 국제공개 제2010/098249호 팜플릿에는, 이 복합 분체는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 유기 화합물과 자외선 산란능을 갖는 무기계 안료를 복합시킨 것이며, 화장료에의 안정적으로 배합 가능한 분말 타입으로 높은 자외선 흡수 효과를 유지하고, 분산성이 양호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라고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복합 분체로서 국제공개 제2010/098249호 팜플릿에는, 미립자 산화티타늄의 표면에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을 코팅한 복합 분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 7-277936호 공보에는,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 등의 자외선 흡수제와,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겔화능을 갖는 왁스 및/또는 오일 겔화제와, 산화티타늄 등의 분체를 소정량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 분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자외선 차폐 분체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유성 성분을 왁스 및/또는 오일 겔화제와 함께 분체에 흡착한 것이며, 함수계의 화장료에 배합해도 경일 변화를 야기할 일이 없어 안정적이고, 사용감, 사용성이 우수한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고, 15∼50㎛의 입경을 갖는 자외선 차폐 분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11-68567호 공보에는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 등의 UVA 흡수제와, 소정의 초미립자 산화티타늄 등의 수지 구상 분말을 배합한 자외선차단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자외선 차폐 분체 중, 미립자 산화티타늄의 표면에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을 코팅한 복합 분체는 유화형 화장료에 배합하면 유화형 화장료 중의 유성 성분을 흡수 또는 방출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화장료의 점도에 변경이 생길 경우나, 끈적임의 발생 또는 적당한 발림성의 결락이라고 하는 사용감이 손상될 경우가 있다. 또한, 복합 분체 중의 자외선 흡수제가 경시적으로 용출되는 경우나, 제제 중에 재결정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 차광 효과가 높은 상기 복합 분체를 유화형 화장료에 배합했을 때에 화장료의 점도 안정성이나 사용감이 충분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 차광 효과가 높고, 점도 안정성 및 사용감이 양호한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산화티타늄과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을 포함하고, 평균 입경이 1㎛ 미만인 복합 분체, 및 하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화장료.
Figure pct00001
[식(I) 중, R1∼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nCOOH, -(CH2)nOH, -R5, 또는 -OR6을 나타내고, R5는 탄소수 1∼22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6은 탄소수 10∼22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n은 0 또는 1∼29의 정수를 나타내며, 단, R1∼R4 중 적어도 1개는 -OR6을 나타낸다.]
[2] 상기 복합 분체는 산화티타늄의 표면에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을 포함하는 표면 처리층을 갖는 [1]에 기재된 화장료.
[3] 상기 식(I) 중 R6이 탄소수 10∼20의 아실기를 나타내는 [1] 또는 [2]에 기재된 화장료.
[4]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2종 이상의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
[5] 상기 식(I) 중 R6이 분기쇄상의 포화 지방족 아실기, 직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 또는 분기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이며, 상기 아실기의 총탄소수는 14∼18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
[6]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OR6의 수가 다른 2종 이상의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
[7] 상기 식(I) 중 R6이 총탄소수 14∼18의 분기쇄상의 포화 지방족 아실기 또는 총탄소수 14∼18의 직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를 나타내는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
[8]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세스퀴올레산 소르비탄 및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
[9] 흡유성 분체를 더 포함하는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
[10] 상기 흡유성 분체가 다공질 실리카 분체, 가교형 실리콘 분체, 다공질 나일론 분체,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분체 및 옥수수 전분으로 이루어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분체인 [9]에 기재된 화장료.
[11]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유량이 화장료의 전체 질량의 0.01질량%∼20질량%인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
[12]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유량이 상기 복합 분체의 함유량에 대하여 질량 기준으로 0.0001배∼150배인 [1]∼[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
[13] 자외선차단 화장료인 [1]∼[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
[14]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1) 일반식(I)에 있어서 R1∼R4 중 어느 1개가 -OR6이고, 여기에서 R6은 직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 분기쇄상의 포화 지방족 아실기, 또는 분기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이며, R1∼R4 중 나머지 3개가 -OH기인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2) 일반식(I)에 있어서 R1∼R4 중 어느 1개가 -OR6이고, 여기에서 R6은 직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 분기쇄상의 포화 지방족 아실기, 또는 분기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이며, R1∼R4 중 나머지 3개가 -OH기인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3) 일반식(I)에 있어서 R1∼R4 중 어느 2개가 -OR6이고, 여기에서 2개의 R6이 서로 동일한 직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 분기쇄상의 포화 지방족 아실기, 또는 분기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이며, R1∼R4 중 나머지의 2개가 -OH기인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4) 일반식(I)에 있어서 R1∼R4 중 어느 2개가 -OR6이고, 여기에서 2개의 R6이 각각 다른 직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 분기쇄상의 포화 지방족 아실기 또는 분기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이며, R1∼R4 중 나머지 2개가 -OH기인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5) 일반식(I)에 있어서 R1∼R4 중 어느 3개가 -OR6이고, 여기에서 3개의 R6이 모두 직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 분기쇄상의 포화 지방족 아실기, 또는 분기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이며, R1∼R4 중 나머지 1개가 -OH기인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개인 [1]∼[7] 또는 [9]∼[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
[15]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모노라우르산 소르비탄, 모노팔미트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 소르비탄, 모노올레산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 세스퀴카프릴산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산 소르비탄, 세스퀴스테아르산 소르비탄,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 트리올레산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르산 소르비탄, 트리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 테트라에틸헥산산 디글리세롤 소르비탄, 펜타에틸헥산산 디글리세롤 소르비탄, 야자 지방산 소르비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개인 [1]∼[7] 또는 [9]∼[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
[16] 상기 흡유성 분체가 실리카, 실릴화실리카, 디메틸실릴화실리카, 디메치콘규산 실리카, 실리콘 겔 분체, 실리콘 고무 분체, 실리콘 레진 분체, 실리콘 엘라스토머, 나일론, 나일론-6, 나일론-11, 나일론-12, 나일론-12/6/66 코폴리머, 나일론-6/12, 나일론-66, PMMA, 메타크릴산 메틸 크로스폴리머, (메타크릴산 메틸/디메타크릴산 글리콜) 크로스폴리머, (메타크릴산 메틸/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 (폴리메타크릴산 메틸/디메틸폴리실록산 그래프트 아크릴 수지) 코폴리머, 아크릴산 에틸헥실/메타크릴산 메틸)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개인 [9]∼[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
본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 차광 효과가 높고, 점도 안정성 및 사용감이 양호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산화티타늄과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을 포함하고, 평균 입경이 1㎛ 미만인 복합 분체, 및 하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화장료이다.
Figure pct00002
식(I) 중, R1∼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nCOOH, -(CH2)nOH, -R5, 또는 -OR6을 나타내고, R5는 탄소수 1∼22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6은 탄소수 10∼22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n은 0 또는 1∼29의 정수를 나타내며, 단, R1∼R4 중 적어도 1개는 -OR6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에서는 소정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므로, 상기 소정의 복합 분체와 조합해서 함유하는 화장료의 점도 안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고, 사용감도 개선한다. 이 결과, 상기 복합 분체에 의한 높은 자외선 차폐능이 손상되는 일없이 점도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공정」이라는 말은, 독립된 공정 뿐만 아니라 다른 공정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없을 경우라도 그 공정의 소기의 작용이 달성되면 본 용어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는, 그 전후로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최소치 및 최대치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양은, 조성물 중에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이 복수 존재할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상기 복수의 물질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는 산화티타늄과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을 포함하고, 평균 입경이 1㎛ 미만인 복합 분체, 및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화장료이다.
상기 화장료는 에멀젼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멀젼의 형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W/O형 및 O/W형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복합 분체>
상기 복합 분체는 산화티타늄과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을 포함하고, 평균 입경이 1㎛ 미만인 복합 분체이다. 상기 복합 분체는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을 포함하므로 높은 자외선 차폐능을 갖는다.
상기 복합 분체의 평균 입자지름은 1㎛ 미만인 것을 요한다. 상기 복합 분체의 평균 입자지름이 1㎛ 이상에서는 복합 분체 자체에 의해 화장료가 착색되어, 소위 파우더리 피니시가 생긴다. 상기 복합 분체의 평균 입자지름은 자외선 차폐능 및 사용감의 관점으로부터 1㎚∼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분체의 입자지름은 분체를 분산 후,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1000개 이상 촬영하고, 촬영된 개개의 입자를 화상 해석식 입도분포 측정장치로 화상 처리를 행하여 원 상당 지름을 측정한 값으로 한다. 시판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시판품에 있어서의 평균 입경을 그대로 적용하면 된다.
본 복합 분체는 산화티타늄의 표면에 자외선 흡수제인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을 포함하는 표면 처리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처리층과 산화티타늄의 결합 양식은,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과 산화티타늄이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유결합 등의 화학 결합이어도 좋고, 흡착 등의 비화학 결합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표면 처리층에는 지방산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 처리층이 지방산을 포함함으로써 분체 표면을 소수화로 할 수 있고,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함으로써 산화티타늄을 불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복합 분체로서는, 예를 들면 WO2010/098249호 등에 개시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분체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테이카사의 HXMT-100ZA 등을 들 수 있다.
화장료에 있어서의 상기 복합 분체의 함유량은 화장료의 전체 질량의 0.1질량%∼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질량%∼2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질량%∼15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0.1질량% 이상이면 자외선 방어 효과를 얻을 수 있고, 50질량% 이하이면 안정적으로 처방 중에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산화티타늄의 평균 1차 입자지름은 자외선 차폐능 및 화장료의 투명성의 관점으로부터 1㎚ 이상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티타늄의 평균 1차 입자지름은 산화티타늄을 분산 후,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1000개 이상 촬영하고, 촬영된 개개의 입자를 화상 해석식 입도분포 측정장치로 화상 처리를 행하고, 원 상당 지름을 측정한 값으로 한다. 시판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시판품에 있어서의 평균 1차 입자지름을 그대로 적용하면 된다.
상기 복합 분체를 상기 화장료에 배합할 때에는, 예를 들면 실리콘 오일 등의 분산매를 이용하여 슬러리를 조제하고, 슬러리의 형태로 다른 성분과 배합해도 좋다.
슬러리에 있어서의 복합 분체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슬러리의 전체 질량의 10질량%∼8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질량%∼60질량%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0질량% 이상이면 제제에 안정되게 배합할 수 있고, 20질량%∼6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는 상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이다.
식 중 R1∼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nCOOH, -(CH2)nOH, -R5, 또는 -OR6을 나타내고, 동일하거나 달라도 좋지만, R1∼R4 중 적어도 1개는 -OR6이다.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는 1 이상의 지방산과 소르비톨 유도체의 에스테르이며, 화장료의 점도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옥시에틸렌 등의 친수성의 1가 또는 2가의 치환기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는 단일의 화합물로서 화장료에 함유되어 있어도 좋고, R1∼R4가 다른 2종 이상의 조합으로서 사용되어도 좋다.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복수종의 혼합물일 경우, R1∼R4의 종류가 다른 복수종의 혼합물이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R1∼R4 중 적어도 1개의 -OR6의 결합 위치, 수, 또는 종류, 또는 이것들의 조합이 다른 복수종의 혼합물이다. 이러한 복수종의 혼합물로서는, 화합물 중의 -OR6의 수(지방산의 모노에스테르 유도체, 디에스테르 유도체, 또는 트리에스테르 유도체 등), R6의 종류(예를 들면, R6의 탄소수가 다른 조합, 이중결합의 수 및/또는 위치가 다른 조합), 또는 이것들의 조합이 다른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점도 안정성 및 사용감의 관점으로부터 화합물 중의 -OR6의 수가 다른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조합, 예를 들면 세스퀴 지방산 소르비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중 n은 0 또는 1∼29의 정수이며, n이 30 이상일 경우에는 점도 안정성이 손상된다. 점도 안정성을 양호화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n은 점도 안정성 및 사용감의 관점으로부터 0 또는 10∼22이며, 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5에 있어서의 지방족기로서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기라도 되고, 불포화 결합의 수가 1개 또는 2개 이상인 불포화 지방족기라도 되며, 직쇄상 또는 분기쇄를 갖는 지방족기라도 된다. 또한, 지방족기로서는 환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R5는 탄소수 1∼22의 지방족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23 이상의 지방족기에서는 점도 안정성 또는 사용감을 개량할 수 없다. R5로서는 점도 안정성 및 사용감의 관점으로부터 탄소수 10∼20의 지방족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2∼14의 지방족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6에 있어서의 아실기로서는 지방족 아실기이면 좋고, 지방족 아실기로서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 아실기라도 되고, 불포화 결합의 수가 1개 또는 2개 이상인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라도 되며, 직쇄상 또는 분기쇄를 갖는 지방족 아실기 라도 된다.
점도 안정성 및 사용감의 점에서 R6의 아실기는 직쇄상의 포화 지방족 아실기, 분기쇄상의 포화 지방족 아실기, 직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 또는 분기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분기쇄상의 포화 지방족 아실기, 직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 또는 분기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R6으로서는 탄소수 10∼22인 것을 필요로 하고, 탄소수가 9 이하 또는 23 이상에서는 점도 안정성 또는 사용감의 개선이 얻어지지 않는다. 점도 안정성 및 사용감의 관점으로부터, R6으로서는 총탄소수 10∼20의 아실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총탄소수 14∼18의 아실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OR6으로서는 점도 안정성 및 사용감의 점에서, 분기쇄상의 포화 지방족 아실기, 직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 또는 분기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이며, 상기 지방족 아실기의 총탄소수가 10∼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4∼18의 아실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CH2)nCOOH로서는 카르복시기, 메틸카르복시기, 에틸카르복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CH2)nOH로서는 수산기, -CH2OH, -(CH2)2OH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산기 등이다.
상기 -R5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메틸프로필기, 디메틸에틸기, 펜틸기, 메틸부틸기, 에틸프로필기, 헥실기, 메틸펜틸기, 디메틸부틸기, 에틸부틸기,헵틸기, 옥틸기, 에틸헥실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트리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 노나데실기, 에이코실기, 도코실기, 비닐기, 알릴기, 이소프로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R6으로서는 데카닐기, 라우로일기, 미리스토일기, 팔미토릴기, 스테아로일기, 올레오일기, 리놀레일기, 리놀레노일기, 이소스테아로일기, 베헤노일기, 이코사펜타에노일기, 도코사헥사에노일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미리스토일기, 팔미토릴기, 스테아로일기, 올레오일기, 이소스테아로일기, 아라키딜기 등이다.
상기 -OR6 이외의 상기 R1∼R4로서는, 유화 안정성(점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카르복시기 또는 수산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산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는 이하의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
(1) 일반식(I)에 있어서 R1∼R4 중 어느 1개가 -OR6이고, 여기에서 R6은 직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 분기쇄상의 포화 지방족 아실기, 또는 분기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이며, R1∼R4 중 나머지 3개가 -OH기인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2) 일반식(I)에 있어서 R1∼R4 중 어느 1개가 -OR6이고, 여기에서 R6은 직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 분기쇄상의 포화 지방족 아실기, 또는 분기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이며, R1∼R4 중 나머지 3개가 -OH기인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3) 일반식(I)에 있어서 R1∼R4 중 어느 2개가 -OR6이고, 여기에서 2개의 R6이 서로 동일한 직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 분기쇄상의 포화 지방족 아실기, 또는 분기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이며, R1∼R4 중 나머지의 2개가 -OH기인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4) 일반식(I)에 있어서 R1∼R4 중 어느 2개가 -OR6이고, 여기에서 2개의 R6이 각각 다른 직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 분기쇄상의 포화 지방족 아실기 또는 분기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이며, R1∼R4 중 나머지 2개가 -OH기인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5) 일반식(I)에 있어서 R1∼R4 중 어느 3개가 -OR6이고, 여기에서 3개의 R6이 모두 직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 분기쇄상의 포화 지방족 아실기, 또는 분기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이며, R1∼R4 중 나머지 1개가 -OH기인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상기 (1)∼(5)에 있어서, 일반식(I) 중의 1개 또는 복수 존재하는 -OR6은 총탄소수 14∼18의 분기쇄상의 포화 지방족 아실기 또는 총탄소수 14∼18의 분기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모노라우르산 소르비탄, 모노팔미트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 소르비탄, 모노올레산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 세스퀴카프릴산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산 소르비탄, 세스퀴스테아르산 소르비탄,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 트리올레산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르산 소르비탄, 트리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 테트라에틸헥산산 디글리세롤 소르비탄, 펜타에틸헥산산 디글리세롤 소르비탄, 야자 지방산 소르비탄을 들 수 있고, 점도 안정성 및 사용감의 관점으로부터 세스퀴카프릴산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산 소르비탄, 세스퀴스테아르산 소르비탄,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 트리올레산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르산 소르비탄, 트리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 등인 것이 바람직하고, 세스퀴올레산 소르비탄 또는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유량은 점도 안정성 및 사용감의 관점으로부터, 화장료 전체 질량의 0.01질량%∼2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질량%∼15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질량%∼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질량%∼5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0.01질량% 이상이면 점도 안정성을 양호화하는 경향이 있고, 20질량% 이하이면 제제의 유화 분산성을 양호화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유량은 상기 복합 분체의 함유량에 대하여 질량 기준으로 0.0001배∼150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5배∼50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1배∼5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001배∼1배인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고, 0.001배∼0.5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유량이 상기 복합 분체의 함유량에 대하여 0.0001배 이상이면 점도 안정성을 양호화하는 경향이 있고, 50배 이하이면 복합 분체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경향이 있다.
<계면활성제>
상기 화장료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이외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알킬술폰산염, 알킬황산염, 모노알킬인산염, 레시틴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유기산 모노글리세리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축합 리시놀레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PEG-9 폴리디메틸실록산에틸디메치콘, (디메치콘/(PEG-10/15)) 크로스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보습성을 위해서 배합되어 있는 다른 유분을 안정 분산할 수 있는 점에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가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가,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이외의 다른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와의 합계량으로서 화장료 전체 질량의 0.01질량%∼2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질량%∼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질량%∼5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이외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0.01질량% 이상이면 점도 안정성을 양호화하는 경향이 있고, 20질량% 이하이면 복합 분체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경향이 있다.
<지방산>
상기 화장료는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점도 안정성 및 사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지방산으로서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산의 어느 것이라도 좋고, 또한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지방산이라도 좋다. 지방산의 총탄소수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점도 안정성 및 사용감의 관점으로부터 총탄소수 8∼총탄소수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총탄소수 10∼총탄소수 1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점도 안정성 및 사용감의 관점으로부터 직쇄상의 불포화 지방산, 분기쇄상의 포화 지방산 또는 분기쇄상의 불포화 지방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산으로서는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헤닌산, 올레산, 리놀산, 리놀렌산, 이소스테아르산, 야자유 지방산, 아라키돈산, 운데실렌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점도 안정성 및 사용감의 점에서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헤닌산, 올레산, 리놀산, 리놀렌산, 이소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도 좋다.
상기 지방산의 함유량은 화장료 전체 질량의 0.01질량%∼2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질량%∼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질량%∼5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산의 함유량은 0.01질량% 이상이면 점도 안정성을 양호화하는 경향이 있고, 20질량% 이하이면 복합 분체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경향이 있다.
<고급 알콜>
상기 화장료는 고급 알콜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점도 안정성 및 사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급 알콜은 총탄소수 12 이상의 지방족 알콜을 의미한다. 상기 고급 알콜로서는 총탄소수 12∼총탄소수 24의 것이 바람직하고, 총탄소수 8∼총탄소수 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총탄소수 10∼총탄소수 18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고급 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카프릴알콜, 데실알콜, 라우릴알콜, 미리스틸알콜, 팔미틸알콜, 세토스테아릴알콜, 스테아릴알콜, 베헤닐알콜, 올레일알콜, 이소스테아릴알콜, 옥틸도데칸올, 헥실데칸올, 호호바알콜, 야자알콜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도 좋다.
상기 고급 알콜의 함유량은 화장료 전체 질량의 0.01질량%∼2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질량%∼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질량%∼5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산의 함유량은 0.01질량% 이상이면 점도 안정성을 양호화하는 경향이 있고, 20질량% 이하이면 복합 분체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경향이 있다.
<흡유성 분체>
상기 화장료는 흡유성 분체를 함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화장료의 점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흡유성 분체란 25℃에 있어서 스쿠알란을 분체 자체 중량의 30질량% 이상 흡수할 수 있는 흡유량을 갖는 수 불용성의 분체를 가리킨다.
흡유량의 측정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면 좋다. 예를 들면, 흡유성 분체 1g을 유리판 상에 취하여 스쿠알란을 소량씩 적하하면서 스패튤러를 이용하여 혼련하여 흡유성 분체 전체가 페이스트 형상으로 된 시점을 종점으로 하고, 그 때의 흡유성 분체 1g당의 스쿠알렌량(ml)을 흡유량으로 함으로써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흡유성 분체로서는 다공질 실리카 분체, 가교형 실리콘 분체, 다공질 나일론 분체,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분체 및 옥수수 전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분체를 들 수 있다.
상기 다공질 실리카 분체로서는 실리카, 실릴화실리카, 디메틸실릴화실리카, 디메치콘규산 실리카 등을 들 수 있고, 점도 안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실리카를 들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선스페아 H-31/H-32/H-33/H-51/H-52/H-53/H-121/H-122/H-201(아사히가라스사제), VM-2270 Aerogel Fine Particle(도레이 다우코닝사제) HDK(등록상표) H2000, HDK(등록상표)H15, HDK(등록상표)H18, HDK(등록상표)H20, HDK(등록상표)H30(아사히카세이 왓카 실리콘사제), 사일로퓨어(후지실리시아사제, 토쿠시일(토쿠야마소다사제), 마이크로비즈 실리카겔(후지데뷔손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교형 실리콘 분체로서는 실리콘 겔 분체, 실리콘 고무 분체, 실리콘 레진 분체, 실리콘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은 구별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가교형 실리콘 분체로서는 화장료의 점도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 PPG-20)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PEG-10/라우릴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PEG-10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PEG-15/라우릴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PEG-15/라우릴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디페닐디메치콘/비닐디페닐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 PPG-20)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트리메틸실록시규산)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페닐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라우릴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 (라우릴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치콘/비스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등이 바람직하고,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또는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겔 분체의 시판품으로서는 KSG-15/16/1610, KSG-18A, KSG-41, KSP-100/101/102/105, KSP-300, 441/411, KSG-41/42/43/44, KSG-240/310/320/330/340/710/320Z/350Z(신에쓰가가쿠사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 고무 분체의 시판품으로서는 토레이필 E-506C, E-508, 9701 Cosmetic Powder, 9702 Powder, 9027/9040/9041/9045/9046/9041/9546 Silicone Elastomer Blend, EP-9215/EP-9216 TI/EP-9289 LL/EP-9293 AL, EL-8040 ID Silicone Organic Blend, (도레이 다우코닝사제), Wacker-Belsil(등록상표) RG100(아사히카세이 왓카 실리콘사제), NIKKOL SILBLEND-91(닛코케미칼즈사제)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공질 나일론 분체로서는 나일론, 나일론-6, 나일론-11, 나일론-12, 나일론-12/6/66 코폴리머, 나일론-6/12, 나일론-66 등을 들 수 있고, 화장료의 점도 안정화의 관점으로부터 나일론-6, 나일론-12 등이 바람직하다.
시판품으로서는 TR-1, TR-2, SP-500(토레이사제), POMP605, POMP610(우베쿄산사제), 나일론 파우더(닛코리카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메타크릴산 메틸(이하, 단지 「PMMA」라고도 한다) 분체로서는, PMMA 이외에 메타크릴산 메틸 크로스폴리머, (메타크릴산 메틸/디메타크릴산 글리콜) 크로스폴리머, (메타크릴산 메틸/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 (폴리메타크릴산 메틸/디메틸폴리실록산 그래프트 아크릴 수지) 코폴리머, 아크릴산 에틸헥실/메타크릴산 메틸) 코폴리머 등도 포함된다.
시판품으로서는 테크폴리머(세키스이 카세이사제), 마츠모토 마이크로 스피아(마츠모토 유시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옥수수 전분으로서는 DRY FLO PURE(아쿠조노벨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유성 분체로서는 스티렌/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디비닐벤젠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폴리머, 수소첨가(스티렌/이소프렌) 코폴리머, (부틸렌/에틸렌/스티렌) 코폴리머, (스티렌/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코폴리머, 점토광물, 벤토나이트, 합성금운모, 폴리아미드 수지, 박편상 산화티타늄도 사용할 수 있고, 시판품으로서는 루쿠세렌 D(니혼코켄사제), 타이페이크 CR-50(이시하라 산교사제), 파이오니어 겔 12PAO(Hansen & Rosenthal KG), Jojoba Glaze HV/LV(닛코케미칼즈사제), 요도졸 GH41F(아쿠조노벨사제), 쿠니피아 F/G(쿠니미네고교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흡유성 분체로서는 화장료의 점도 안정성 및 사용감의 향상이라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PMMA가 바람직하고, 또한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및 PMMA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에 있어서, 상기 흡유성 분체로서는 상기 각 성분을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상기 흡유성 분체의 입자지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사용감 향상의 관점으로부터 체적평균 입경 0.005㎛∼3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체적평균 입경이 0.005㎛ 이상이면 사용시의 피부의 삐걱거리는 감이 느껴지는 일도 없고, 사용감이 향상된다. 또한, 체적평균 입경이 30㎛ 이하이면 흡유성 분체의 단위무게당의 표면적이 지나치게 작아지는 일도 없고, 흡유 스피드의 저하는 생기지 않으며, 피부에의 부착성도 유지된다. 체적평균 입경은 시판의 여러 가지 입도분포계 등으로 계측 가능하지만, 입경 범위 및 측정의 용이함으로부터 동적광산란법을 적용한 것으로 한다. 동적광산란을 사용한 시판의 측정장치로서는, 나노 트랙UPA(니키소(주)), 동적광산란식 입경분포 측정장치 LB-550((주)호리바세이쿠쇼), 농후계 입경 애널라이저 FPAR-1000(오츠카 덴시(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흡유성 분체의 체적평균 입경은 농후계 입경 애널라이저 FPAR-1000(오츠카 덴시(주))을 이용하여 측정한 값이며,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계측한 값을 채용한다.
즉, 흡유성 분체의 측정방법은 흡유성 분체의 농도가 1질량%가 되도록 디메치콘으로 희석을 행하고, 석영 셀을 이용하여 측정을 행한다. 입경은 시료 굴절율로서 1.600, 분산매 굴절율로서 1.000(디메치콘), 분산매의 점도로서 디메치콘의 점도를 설정했을 때의 체적평균 지름으로 해서 구할 수 있다.
상기 흡유성 분체의 함유량은 화장료 전체 질량의 0.01질량%∼2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질량%∼1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질량%∼1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흡유성 분체의 함유량은 0.01질량% 이상이면 점도 안정성을 양호화하게 되는 경향이 있고, 20질량% 이하이면 감촉을 양호화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흡유성 분체의 함유량은 점도 안정성을 양호화하는 관점으로부터, 상기 복합 분체의 전체 질량의 0.01질량%∼9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질량%∼5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질량%∼2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1질량%∼10질량%인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다.
<기타 성분>
상기 화장료는 상술한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 이외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유용성 또는 수용성의 공지의 것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 메틸, 파라아미노벤조산 글리세릴,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 아밀,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 옥틸, 살리실산 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 페닐, 살리실산 옥틸, 살리실산 부틸페닐, 살리실산 호모멘틸, 메톡시신남산 옥틸, 메톡시신남산 에톡시에틸, 메톡시신남산 에틸헥실, 디메톡시신남산 모노에틸헥산산 글리세릴,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 부틸메톡시벤조일메탄, 옥틸트리아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자외선 흡수제로서, 예를 들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페닐벤조이미다졸-5-술폰산 및 그 염, 페닐렌비스벤조이미다졸테트라술폰산 및 그 염 등의 벤조이미다졸계 자외선 흡수제; 유로카닌산, 유로카닌산 에틸에스테르, 2,2-(1,4-페닐렌)비스-(1H-벤즈이미다졸-4,6-디술폰산), 테레프탈릴리덴디캄포르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 이외의 다른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자외선 방어 성능을 보충하는 점에서 화장료 전체 질량의 0.001질량%∼3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질량%∼2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질량%∼1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중의 자외선 흡수제의 총량으로서는, 사용감의 점에서 화장료 전체 질량의 0.001질량%∼7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질량%∼5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질량%∼3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는 휘발성 유분을 용제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끈적임의 감촉이 저감되어 바람직하다.
상기 휘발성 유분은 상압에 있어서의 비점이 60℃∼260℃의 범위인 성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휘발성 유분으로서는 휘발성의 실리콘 베이스 오일 및 탄화수소 베이스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휘발성 실리콘 베이스 오일로서, 예를 들면 디메틸폴리실록산(1.5cs[1.5×10-6㎡/s]), 디메틸폴리실록산(10cs)(디메치콘 10CS),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등의 쇄상 폴리실록산, 시클로펜타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하이드로겐시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의 환상 폴리실록산, 또는 카프릴릴메치콘 등이 예시된다. 이들 상품예로서는, KF96L-0.65, KF96L-1, KF96L-1.5, KF995(신에쓰가가쿠 고교), SH200-1cs, SH200-1.5cs, SH200-2cs, 2-1184 Fluid, SH245 Fluid, DC246 Fluid, DC345 Fluid, SS3408(도레이 다우코닝), TSF404, TSF405, TSF4045(모멘티브 퍼포먼스 마테리알즈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휘발성의 탄화수소 베이스 오일로서 직쇄상, 분기상의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다. 이러한 휘발성의 탄화수소 베이스 오일로서는 이소데칸,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등의 C8-C16 이소알칸(이소파라핀으로서도 알려짐) 등이 예시된다. 이들 상품예로서는, 예를 들면 아이소파(등록상표) A, 동 C, 동 D, 동 E, 동 G, 동 H, 동 K, 동 L, 동 M(엑슨사), 셸졸(등록상표) 71(셸사), 솔트 롤(등록상표) 100, 동 130, 동 220(필립사), 아이소졸(등록상표) 400(니혼세키유 카가쿠), 펄림(등록상표) 4(니혼유시), IP 솔벤트(등록상표) 1620, 동 2028(이데미쓰 세키유 카가쿠), 이소헥사데칸, 테트라이소부탄 90(바이엘사), 퍼메틸(등록상표) 99A, 동 101A, 동 102A(프레스퍼스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휘발성 유분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또한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좋다.
상기 휘발성 유분의 함유량은 사용감의 점에서 화장료 전체 질량의 0.001질량%∼6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질량%∼4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질량%∼2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는 다가알콜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감(보습성)을 양호화할 수 있다.
다가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1,3-부탄디올(1,3-BG), 에틸렌글리콜,또는 다당류, 예를 들면 환원 물엿, 수크로오스,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소르비톨, 말토트리오스, 트레할로스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는 에멀젼의 형태나, 용도에 의거하여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는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탄올 등의 수용성 유기용제, 킬레이트제, 미백제, 보습제, 산화방지제, 증점제, 색제, 방부제, 향료, 각종의 유성 성분, 각종의 수성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상술한 각 성분을 적당하게 배합하고, 상법에 의해 W/O형 또는 O/W형의 유화 조성물로 조제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의 형태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화장수(로션), 유액, 크림, 아이크림, 미용액, 맛사지료, 팩료, 연고, 크림, 바디크림 등의 스킨케어 화장료, 화장 베이스 등의 메이크 업 화장료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높은 자외선 차폐능과 양호한 사용감으로부터 자외선차단 화장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것들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표 1의 최종 농도(질량%)가 되도록 (1) 시클로펜탄실록산, (2) HXMT-100ZA(테이카사, 평균 1차 입경 15㎚, 평균 입경 15㎚) 및 (3) 디메치콘 10CS를, 실온에서 디스퍼로 충분히 분산한 후, (4) PEG-9 폴리디메틸실록산에틸디메치콘(신에쓰가가쿠사), (5)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서의 올레산 소르비탄(NIKKOL SO-10V(닛코케미칼즈사제)), (6)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KSG-16, 체적평균 입경 5㎛, 신에쓰가가쿠사), (7) (디메치콘/(PEG-10/15)) 크로스폴리머(KSG-210, 신에쓰가가쿠사)를 교반 혼합하고, 균일화하여 유상 성분을 얻었다. 이어서, (8) 에탄올, (9) 1,3-부틸렌글리콜(1,3-BG) 및 (11) 물(일부)을 소정량 칭량하여 실온에서 교반 혼합하고, 균일화하여 수상 성분을 얻었다. 유상 성분을 호모믹서로 교반하면서 수상 성분을 천천히 첨가해서 유화하고, (10) 페녹시에탄올을 첨가해서 나머지의 물를 추가하고 균일화하여, 표 1에 나타내어지는 배합량으로 각 성분을 함유하는 유화물 1을 얻었다.
[실시예 2∼5, 비교예 1∼3]
상기 (5)성분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종류 또는 양(질량%)을 표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상기 (1)∼(11)성분을 이용하여 실시예 2∼5에 의한 유화물 2∼5와, 비교예 1∼3에 의한 유화물 6∼8을 얻었다. 또한, 선택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실온에서 고체인 경우에는, 미리 가열 용해하고나서 (1)∼(3)의 분산액, (4), (6), (7)과 80℃에서 혼합하고, 80℃로 가온한 수상 성분을 천천히 첨가해서 유화한 후, (10)을 첨가하여 나머지의 물을 추가해서 균일화하고, 표 1에 나타내어지는 배합량으로 각 성분을 함유하는 유화물을 얻었다.
<평가>
(1) 점도 안정성 평가
유화물 1∼8을 제작 후 1일 정치하고나서, 실온(25℃)에 있어서 BL형 점도계로 점도(초기 점도)를 측정했다. 그 후에 40℃의 고온조에 넣어 2일 후에 BL형 점도계(토키산교사제)를 이용하여 25℃에서의 점도(경시 점도)를 측정했다.
초기 점도로부터 어느 정도 점도의 증감이 억제되었는지, 안정화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초기에 대한 점도의 변화율을 하의 식으로 정의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초기에 대한 점도의 변화율(%)=(경시 점도-초기 점도)/(초기 점도)×100
점도 안정성에 대해서는 점도의 변화율이 ±20% 이내일 경우, 「양호」(A)로 하고, 한편 ±20%를 초과할 경우 또는 수상과 유상이 분리를 일으켰을 경우에는 「불가」(C)로서 평가했다.
(2) 사용감 평가
전문 패널 10명에 의해 상기에서 얻어진 각 유화물을 얼굴에 도포하고, 도포시의 발림성과, 도포 직후의 끈적임의 2항목에 대해서, 매우 좋다(5점)∼매우 나쁘다(1점)의 5단계로 평가했다. 10명의 평가의 평균치를 취하여 평균치가 1 이상 2 미만을 C, 2 이상∼3 미만을 B, 3 이상 4 미만을 A, 4 이상 5 이하를 S로서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3) 종합 판정
상기 (1) 및 (2)의 결과에 의거하여 상품으로서 양호(S), 상품으로서 양호(A), 상품으로서 가능(B) 또는 상품으로서 불가(C)로서, 각 유화물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표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실시예 5의 유화물 1∼5는 비교예 1∼3의 유화물 6∼8과 비교하여, 어느 것이나 점도 변화율이 작고, 점도 안정성에 뛰어나고 있었다. 또한, 발림성이나 끈적임의 평가도 양호했다.
특히, 직쇄상의 불포화 지방족기 또는 분기쇄상의 포화 지방족기를 포함하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한 실시예 3 및 실시예 4에서는, 관능 평가가 특히 높았다.
이것에 대하여,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탄소수 8의 지방산 쇄를 갖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한 비교예 2, 및 폴리옥시에틸렌(PEG)과 같은 친수성기를 갖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한 비교예 3의 각 유화물에서는 점도 안정성이 크게 손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및 실시예 7]
표 2 및 표 3에 나타내는 처방에 따라서 각각 W/O형 유화 UV 밀크(표 2) 및 O/W형 유화 밀크(표 3)를 처방한다. 표 2 및 표 3 중의 수치는 질량%를 의미한다. 또한, 표 2 및 표 3 중, 「1. 산화티타늄 및 t-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의 복합 분체는 HXMT-100ZA(테이카사제)이다. 또한, PMMA에는 마츠모토유시사제의 PMMA이다. 사용되는 흡유성 분체는 어느 것이나 5㎛이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W/O형 유화 UV 밀크(표 2) 및 O/W형 유화 밀크(표 3)은 모두, 본 발명에 의한 복합 분체와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화장료이므로, 자외선 차광 효과가 높고, 점도 안정성 및 사용감이 양호한 화장료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 차광 효과가 높고, 점도 안정성 및 사용감이 양호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출원 2011-239728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도입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이 참조에 의해 도입되는 것이 구체적 또한 개별적으로 기재되었을 경우와 같은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도입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에 대한 이상의 기재는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된 것이며, 망라적인 것 혹은 발명을 개시되어 있는 형태 그것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명확한 것이지만, 많은 개변 또는 변경이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상기 실시형태는 발명의 원리 및 실용적 응용을 가장 잘 설명하고, 상정되는 특정의 용도에 알맞는 여러가지의 실시형태나 여러가지 개변과 함께 다른 당업자가 발명을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선택되어, 기재되었다. 본 발명의 범위의 범위는 이하의 청구항 및 그 균등물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의도되어 있다.

Claims (13)

  1. 산화티타늄과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을 포함하고, 평균 입경이 1㎛ 미만인 복합 분체, 및
    하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Figure pct00006

    [식(I) 중, R1∼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nCOOH, -(CH2)nOH, -R5, 또는 -OR6을 나타내고, R5는 탄소수 1∼22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6은 탄소수 10∼22의 아실기를 나타내고, n은 0 또는 1∼29의 정수를 나타내며, 단, R1∼R4 중 적어도 1개는 -OR6을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분체는 산화티타늄의 표면에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을 포함하는 표면 처리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I) 중 R6은 탄소수 10∼20의 아실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는 2종 이상의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I) 중 R6은 분기쇄상의 포화 지방족 아실기, 직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 또는 분기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이며, 상기 아실기의 총탄소수는 14∼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는 -OR6의 수가 다른 2종 이상의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I) 중 R6은 총탄소수 14∼18의 분기쇄상의 포화 지방족 아실기 또는 총탄소수 14∼18의 직쇄상의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는 세스퀴올레산 소르비탄 및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유성 분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흡유성 분체는 다공질 실리카 분체, 가교형 실리콘 분체, 다공질 나일론 분체,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분체 및 옥수수 전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유량은 화장료의 전체 질량의 0.01질량%∼2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유량은 상기 복합 분체의 함유량에 대하여 질량 기준으로 0.0001배∼15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외선차단 화장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20147010906A 2011-10-31 2012-10-29 화장료 KR102104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39728A JP5908699B2 (ja) 2011-10-31 2011-10-31 化粧料
JPJP-P-2011-239728 2011-10-31
PCT/JP2012/077913 WO2013065644A1 (ja) 2011-10-31 2012-10-29 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064A true KR20140084064A (ko) 2014-07-04
KR102104808B1 KR102104808B1 (ko) 2020-04-27

Family

ID=48191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906A KR102104808B1 (ko) 2011-10-31 2012-10-29 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52563B2 (ko)
EP (1) EP2774599B1 (ko)
JP (1) JP5908699B2 (ko)
KR (1) KR102104808B1 (ko)
CN (2) CN106074196B (ko)
WO (1) WO20130656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3139A1 (ko) * 2015-06-30 2017-01-05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무수 파우더 제형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3922B2 (ja) * 2013-05-15 2016-12-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水中油型化粧料
JP5981032B2 (ja) * 2013-05-15 2016-08-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水中油型化粧料
EP2997956B1 (en) * 2013-05-15 2017-04-26 FUJIFILM Corporation Water-in-oil cosmetic
WO2016153946A1 (en) * 2015-03-24 2016-09-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oam compositions, aerosol produc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to improve sensory benefits to the skin
CN107530260B (zh) * 2015-05-11 2021-08-27 株式会社林原 皮肤外用制剂
JP6155312B2 (ja) * 2015-10-29 2017-06-28 住友理工株式会社 電子写真機器用帯電ロール
JP6851723B2 (ja) * 2016-03-15 2021-03-31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組成物
WO2018198737A1 (ja) * 2017-04-27 2018-11-01 株式会社 資生堂 多孔質粉末配合日焼け止め化粧料
JP6903024B2 (ja) * 2018-03-13 2021-07-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皮膚外用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7936A (ja) * 1994-04-07 1995-10-24 Kose Corp 紫外線遮蔽粉体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H09286928A (ja) * 1996-02-19 1997-11-04 Shiseido Co Ltd 紫外線吸収剤複合化粉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2148A (ja) * 1997-06-20 1999-01-19 Kose Corp 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82681B (en) * 1996-09-06 2002-04-11 Shiseido Co Ltd Powder coated with sparingly soluble ultraviolet absorber
JP2000086446A (ja) * 1998-09-09 2000-03-28 Hoyu Co Ltd 腋の化粧方法
JP2004168913A (ja) * 2002-11-20 2004-06-17 Shiseido Co Ltd 紫外線吸収性複合粉体
JP2012121810A (ja) * 2009-02-26 2012-06-28 Tayca Corp 紫外線吸収能を有する有機系化合物複合粉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らを配合した化粧料
JP5553377B2 (ja) 2009-09-24 2014-07-16 株式会社 資生堂 日焼け止め化粧料
JP5503409B2 (ja) 2010-05-18 2014-05-28 透 島守 刈払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7936A (ja) * 1994-04-07 1995-10-24 Kose Corp 紫外線遮蔽粉体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H09286928A (ja) * 1996-02-19 1997-11-04 Shiseido Co Ltd 紫外線吸収剤複合化粉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2148A (ja) * 1997-06-20 1999-01-19 Kose Corp 化粧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3139A1 (ko) * 2015-06-30 2017-01-05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무수 파우더 제형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3291A (ko) * 2015-06-30 2017-01-09 (주)아모레퍼시픽 무수 파우더 제형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74196B (zh) 2019-05-28
US8852563B2 (en) 2014-10-07
CN106074196A (zh) 2016-11-09
EP2774599B1 (en) 2017-11-22
US20140234426A1 (en) 2014-08-21
JP2013095699A (ja) 2013-05-20
WO2013065644A1 (ja) 2013-05-10
CN103906499B (zh) 2016-08-24
JP5908699B2 (ja) 2016-04-26
KR102104808B1 (ko) 2020-04-27
EP2774599A1 (en) 2014-09-10
EP2774599A4 (en) 2015-08-12
CN103906499A (zh)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8937B2 (ja) 化粧料
KR20140084064A (ko) 화장료
KR100299499B1 (ko) 피부보호조성물
RU2667971C2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макияжа кожи
KR101792929B1 (ko) 수중유형 화장료
JP5808083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JP2015091894A (ja) 乳化化粧料
KR19990087559A (ko) 피부 보호 조성물
KR20140122176A (ko) 수중유형 햇빛 그을림 방지 화장료
JP6869149B2 (ja) 油中水型化粧料
WO2017150519A1 (ja) 水性化粧料組成物
WO2022092097A1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US7935358B2 (en) Cosmetic skin preparation
JP7465055B2 (ja) 二層状油性化粧料
JP6831737B2 (ja) 水中油型化粧料
JP2017109958A (ja) 油中水型エマルジョン組成物
WO2021230310A1 (ja)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JP7381457B2 (ja) 温感化粧料
JP2018016555A (ja) マット効果及び優れた質感を有するエマルション
JP6054709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WO2021153465A1 (ja) 粉末分散組成物、乳化組成物、及び化粧料
CN117500474A (zh) 水包油型乳化化妆料
JP2022102581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