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999A - 천연약수를 이용한 쌍화탕 농축액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약수를 이용한 쌍화탕 농축액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999A
KR20220161999A KR1020210070464A KR20210070464A KR20220161999A KR 20220161999 A KR20220161999 A KR 20220161999A KR 1020210070464 A KR1020210070464 A KR 1020210070464A KR 20210070464 A KR20210070464 A KR 20210070464A KR 20220161999 A KR20220161999 A KR 20220161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ineral water
parts
natural mineral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권
송영선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네이처그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네이처그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네이처그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0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1999A/ko
Publication of KR20220161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9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38Undefined mineral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천연약수를 이용한 쌍화탕 농축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 양상에 따르면, 쌍화차를 구성하는 약재의 효능을 그대로 가지면서 바쁜 현대인들의 포켓용으로 가지고 다니기 편한 형태의 농축액으로 쉽게 섭취할 수 있고, 약재에 대한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쌍화탕 농축액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 양상에 따른 천연 약수를 이용한 한방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면, 한방 추출물이 천연약수를 포함하고 있어 무기성분인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과 항암성분인 셀레늄, 아연성분이 풍부하여 체내흡수 및 활성화를 촉진시켜줌으로서 자연 치유력 및 면역기능 증강, 항노화 작용, 피로회복, 간기능 개선과 증강 등의 건강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연약수를 이용한 쌍화탕 농축액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Ssanghwa-tang concentration using natural mineral water}
천연약수를 이용한 쌍화탕 농축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쌍화차란, 여러 종류의 나무껍질이나, 잎, 줄기, 열매, 뿌리 등을 모두 함께 넣어서 끓인 차를 말하는 것이다. 쌍화차는 백작약, 숙지황, 당귀, 천궁, 계피, 감초를 기본 재료로 하여 탕기에 넣고 뭉근히 달여 마시는 것이다.
이러한 쌍화차는 신체의 혈과 기를 보호해 줌으로 신체의 면역력을 강화시키고,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이루도록 하며, 장기를 튼튼하게 하고, 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피로회복의 개선에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쌍화차는 오장육부가 허한 사람에게서 발생할 수 있는 집중력저하, 가슴 두근거림, 시력저하, 생리불순, 장트러블과 같은 문제를 방지하여 취식자의 기운을 돋우고 체력을 늘리는 등의 효과가 있다.
종래에는 문헌 1, 문헌 2에서와 같이, 맛과 향을 개선한 쌍화차와 이러한 쌍화차의 향을 높인 쌍화차 제조방법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각종 효능이 있는 쌍화차는 한약재 특유의 맛과 향으로 인하여 소비자가 취식거부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쌍화차의 취식거부감으로 인하여 각종 영양이 풍부한 쌍화차를 가공한 음료를 소비자가 손쉽게 선택하여 취식하기 어려워 영양이 풍부한 쌍화차의 효능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각종 건강 음료가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실정에서 한약재의 맛과 향에 관계없이 취식할 수 있는 특정한 소비자만 쌍화차를 소비하는 문제가 있어 각종 효능이 있는 쌍화차와 이와 연계된 산업의 소득을 증대시키기 어려웠으며, 쌍화차를 제조하기 위한 각종 약재의 소비와, 이를 재배하는 농가의 소득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국민소득의 증대와 함께 대다수의 소비계층에서는 다양한 영양성분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는 음료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7-0014579호 (1997.04.28)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04489호 (2007.01.09)
일 양상은, (a) 천연 약수에 한약 재료를 첨가하고, 저온에서 방치하여 저온 숙성된 한약 재료를 제조하는 단계; (b) 저온 숙성된 한약 재료를 천연 약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하여 천연 약수 한약 재료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또는 (c) 상기 천연 약수 한약 재료 추출물에 부재료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 약수를 이용한 한방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약수를 이용한 한방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a) 천연 약수에 한약 재료를 첨가하고, 저온에서 방치하여 저온 숙성된 한약 재료를 제조하는 단계; (b) 저온 숙성된 한약 재료를 천연 약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하여 천연 약수 한약 재료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또는 (c) 상기 천연 약수 한약 재료 추출물에 부재료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 약수를 이용한 한방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약수를 이용한 한방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천연 약수"는 고형 물질인 광물성 물질, 방사성 물질 혹은 가스상 물질 등이 함유되어 땅속에서 솟아나는 샘인 광천(鑛泉)에서 제공되는 물을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인체에 유익할 물질이 녹아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약수는 화학 성분에 따라 보통 물과 구분되고, 수온의 고저와는 관계가 없기 때문에 온천(溫泉)이 포함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약수라 하면 냉천(冷泉)을 의미한다.상기 약수는 강원도의 약수터에서 제공되눈 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천연 약수는 0.05 내지 0.5 ug/L의 게르마늄, 0.5 ug/L 이하의 셀레늄, 3000 내지 10000 ug/L의 황, 6000 내지 15000 ug/L의 마그네슘, 300 내지 900 ug/L의 칼륨, 및/또는 10000 내지 40000 ug/L의 칼슘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천연 약수는 인체의 체액과 유사한 미네랄 황금비율 : 마그네슘(3), 칼슘(1), 칼륨(1)을 포함한다. 천연 약수는 하기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천연미네랄 ; 혈관 내 혈전을 감소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하며, 혈액순환개선, 동맥경화 및 고혈압, 변비 콜레스테롤, 숙취해소,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줌,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촉진시켜줌.
게르마늄 ; 각종 세균서 질병 골다공증, 성기능강화, 천식, 여드름치료, 콜레스테롤, 노폐물제거에 도움을 줌.
아연 ; 핵산, 아미노산 대사에 관여하여 성장 골격형성에 도움을 줌, 생식 및 면역기능에 도움을 줌.
칼륨 ; 나트륨과 균형을 이루어 정상 혈압 유지 해줌, 몸속 노폐물 처리 및 에너지 대사, 뇌기능 활성화에 도움을 줌.
식이유황 ; 각종암 항암작용, 아토피(피부병), 당뇨병, 전립선, 비염, 염증제거, 이뇨 및 변비 억제작용, 음주 후 배탈설사 해소에 도움을 줌.
수소이온 ; 음주후 피로회복 탁월, 고혈압, 당뇨, 기미, 잔주름예방, 관절염, 활성산소제거, 아토피피부염, 냉증해소, 다이어트에 도움을 줌.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 약수는 삼악산의 지하 480m 암반수이이거나, 알칼리수이며 유황, 게르마늄, 셀레늄, 칼륨, 칼슘등의 성분이 함유 되어있다.
상기 (a) 천연 약수에 한약 재료를 첨가하고, 저온에서 방치하여 저온 숙성된 한약 재료를 제조하는 단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단계는 한약 재료를 1 내지 5 mm의 크기로 세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약수를 한약 재료에 첨가하는 단계는 상기 한약 재료를 불리는 과정을 내포한다. 상기 천연 약수를 한약 재료에 불림으로써, 상기 한약 재료에 천연 약수를 흡수시킬 수 있다.
천연약수를 사용하여 한약재료를 불리면 미네랄등의 좋은 성분의 함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한약재의 쓴맛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알칼리성인 천연약수에 한약재료에 흡수시키면 한약재료의 pH가 약알칼리성을 띠어 인체의 산성화를 막고 천연약수에 함유된 미네랄등의 성분이 뼈 손실을 보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저온 숙성 과정은 12 시간 내지 10일, 12 시간 내지 9일, 1일 내지 8일, 1일 내지 6일, 1일 내지 5일, 1일 내지 3일, 12시간 내지 2일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온 숙성 과정은 상온 이하, 구체적으로 10 ℃ 내지 20 ℃, 10 ℃ 내지 18 ℃, 12 ℃ 내지 20 ℃, 12 ℃ 내지 18 ℃, 13 ℃ 내지 16 ℃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저온 숙성 과정은 적당한 교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성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재료 중 특유의 쓰고 떫은 맛과 쓴 맛이 잔존해 있을 우려가 있고 깊은 맛과 향이 충분히 유발되지 않을 수 있어 결과적으로 숙성 기간이 길어지게 될 수 있고, 상기 숙성의 온도가 너무 ㄴ되높으면, 인체에 유익한 재료의 일부 유효성분이 파괴 또는 손실될 수 있다.
상기 숙성의 과정을 거치면서 한약재료의 비리하거나 쓴맛과 향을 좀 더 줄이고, 각종 약재 혼합물의 혼합상태가 더욱 좋아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재혼합물을 물과 혼합하고 가열하여 약재추출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출된 약재추출물을 교반 및 숙성시키는 과정을 더 수행하여 농축된 약재추출물 얻을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한약 재료는 당귀, 백작약, 숙지황, 황기, 천궁, 감초, 생강, 대추, 및/또는 계피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한약 재료는 천연 약수 100 중량부당 당귀 0.2 내지 10 중량부, 백작약 0.2 내지 10 중량부, 숙지황 0.2 내지 10 중량부, 황기 0.15 내지 0.5 중량부, 천궁 0.1 내지 0.5 중량부, 감초 0.1 내지 0.5 중량부, 생강 0.2 내지 0.75 중량부, 대추 0.2 내지 0.75 중량부, 계피 0.5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한약 재료가 적은 양으로 첨가되면, 각각의 약재의 효능이 우러나오지 않아 약재의 효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맛과 향이 떨어져 역효과를 초래하게 될 수 있고, 상기 한약 재료가 많은 양으로 첨가되면 각각의 약재의 효능이 어울리지 못하고 성분이 강하게 우러나와 하나의 약재 효능은 우수할 수 있으나 그 맛과 향이 어우러지지 못해 사용자가 약으로서의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한약 재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당귀
당귀는, 당귀(Angelica gigas)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Oliv.) Diels : 中國當歸] 및 왜당귀[Angelica acutiloba(Sieb. & Zuc.) Kitagawa]로 분류되어 진다.
이 중, 중국당귀는 신농본초경 중품에 수록된 이래 보혈활혈, 조경지통, 윤조활장 등의 효능으로 한의학 임상에서 많이 활용되는 한약재로서 약리작용으로는 혈액 및 조혈계통에 대한 작용, 자궁에 대한 작용, 심혈관 계통에 대한 작용, 면역계에 대한 작용, 진통작용, 소염작용, 항균작용, 간기능 보호작용, 항암작용 및 조혈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백작약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작약( Paeonia lactiflora PALL)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양혈유간, 완중지통, 렴음수한의 효능이 있으며, 흉복협특동통, 사리복통, 자한도한, 음허발열, 월경부조, 붕루, 대하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3) 숙지황
현삼과(Scrophulariace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지황( Rehmannia glutinasa LIBOSCH)의 뿌리줄기를 가공증쇄한 것으로 자음보혈, 익정진수의 효능이 있으며, 간신음허, 요슬산연, 골증조열, 도한유정, 내열소갈, 혈허위황, 심계정충, 월경부조, 붕루하열, 현훈, 이명, 빈발조백의 증상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4) 황기
콩과(Leguminos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익위고표, 이수소종, 탁독, 생기의 효능이 있으며, 자한, 도한, 혈비, 부종, 옹저불궤, 유구불렴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5) 천궁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천궁( Cnidium officinale MAKINO)의 근경을 건조한 것으로 활형행기, 거풍지통의 효능이 있으며, 월경부조, 징가복통, 흉협자통, 질박종통, 두통, 풍습비통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6) 감초
감초는, 학명은 Glycyrrhiza uralensis FISCH.이다. 뿌리는 건조시켜서 한약재로 사용하는데, 그 맛이 달기 때문에 감초라 한다.
모든 약의 독성을 없애주고 모든 약물과 배합이 잘 되어 중화작용을 하므로 한약재, 한방재료가 사용되는 것에는 함께 사용되어져 약재를 조화시키고 그 기능과 효과를 배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설탕 당도의 50배에 달하는 당 성분 때문에 한때는 감미료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뿌리를 씹거나 빨아 먹으면 목의 통증이 완화되고 감기 징후가 낫는다고 해서 감기약으로도 유용하게 쓰이며, 변비에도 효과가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7) 생강
열대아시아 원산의 생강과(Zingiberaceae)의 다년생 야채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의 뿌리로, 온난지를 중심으로 널리 재배된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 말린 것을 약재로 쓰는데, 생강은 감기로 인한 오한, 발열, 두통, 구토, 해수, 가래를 치료하며 식중독으로 인한 복통설사, 복만에도 효과가 있어 끓는물에 생강을 달여서 차로 마시기도 한다. 약리작용으로 위액분비촉진, 소화력 증진, 심장흥분 작용, 혈액순환촉진, 억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주요 효능으로는 1) 감기에 의한 오한·발열·해담, 2) 건구·구토, 3) 복통·설사, 4) 식욕부진·식중독 등이 있다. 건강(乾薑)은 덥게하는 작용이 강하고 생강의 효용 이외에, 5) 허리와 다리의 냉증을 치료하고, 6) 추울 때 소변이 자주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8) 대추
대추는,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오장을 보호하고 12경맥을 도와주며, 여러 약재의 조화를 도와준다.
조(棗) 또는 목밀(木蜜)이라고도 한다. 표면은 적갈색이며 타원형이고 길이 1.5~2.5cm에 달하며 빨갛게 익으면 단맛이 있다.
대추씨는 신경을 이완시켜 잠을 잘오게 하여 천연 수면제로 사용되며, 식이성섬유가 발암물질을 흡착 몸 밖으로 배출해주며, 대추에 함유되어 있는 베타카로틴이라는 성분이 체내 유해 활성산소의 독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어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다.
또한, 소화계를 튼튼하게 하여 내장기능을 회복시켜 주어 속이 편안하게 하고 위장의 기운을 복돋워주어 식욕을 돋구며, 대추는 성질이 따뜻한 음식으로 여자의 냉증 치료에 좋으며, 혈액순환을 도와 손, 발이 차가운 사람이 먹으면 좋다고 알려져 있다.
9) 계피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생달나무(天竹桂, Cinnamomum japonicum SIEB.)의 나무껍질로 만든 약재로, 약의 맛은 맵고 단맛이 나며 약성은 열성이다.
효능은 비위장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므로 소화기가 차서 소화장애가 있거나 복부가 차서 일어나는 복통 설사 등에 널리 이용된다. 뿐만 아니라 배가 차서 일어나는 구토에도 신속한 반응을 일으킨다. 그리고 풍습성(風濕性)으로 인한 사지마비와 동통을 그치게 하고, 허리나 무릎이 차고 시리면서 아픈 신경통과 관절 질환에도 널리 응용된다.
또한, 산후에 출혈이 계속되거나 오래된 이질과 대변시에 출혈되는 증상을 개선시키기도 한다. 이외에도 콩팥기능 감퇴증상에도 효력이 높고 하복부가 차면서 방광염이 자주 발생하는 질환에도 활용되고 있다.
(b) 저온 숙성된 한약 재료를 천연 약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하여 천연 약수 한약 재료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단계는 상기 한약재료에 천연 약수를 첨가하여 추출기에 넣고 80 내지 140 ℃, 80 내지 120 ℃, 또는 85 내지 120 ℃의 온도로 4 내지 24시간, 6 내지 24시간, 6 내지 20시간, 6 내지 18시간, 또는 6 내지 10시간 가열하는 단계로서, 상기 가열 하는 중, 6 내지 12분, 6 내지 10분, 8 내지 10분 동안 1 내지 6회, 3 내지 6회, 3 내지 5회 수증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한약재료에 첨가되는 추출용 천연약수의 혼합비율은 한약재료 1중량부당 천연 약수 3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은 한약 재료에 대하여 상기 추출 용매를 3 내지 10 (부피/중량)배, 예를 들면, 3 내지 7 (부피/중량)배, 3 내지 5 (부피/중량)배, 5 내지 10 (부피/중량)배, 또는 4 내지 10배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한약 재료 1kg에 대하여 상기 추출 용매를 3 내지 10 L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가온된 액체 추출, 가압된 액체 추출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PLE), 초음파 도움을 받은 추출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MAE), 아임계 추출 (subcritical extraction: SE),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아임계 추출은 아임계 수추출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SWE)일 수 있다. 아임계 수추출은 초가열된 수추출 (superheated water extraction) 또는 가압된 열수 추출 (pressurized hot water extraction: PHWE)라고도 한다. 상기 가온된 액체 추출은 환류 추출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식물체 잔사 및 추출액을 여과 등의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액으로부터 감압 농축과 같은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물을 동결건조와 같은 건조에 의하여 건조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상기 천연 약수 한약 재료 추출물에 부재료를 첨가하는 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부재료는 올리고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당은 프락토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 FOS), 이소말토올리고당(isomalto-oligosaccharide, IMO), 갈락토올리고당(galacto-oligosaccharide, GOS), 자일로올리고당(xylo-oligosaccharide, XOS), 키토올리고당(chito-oligosaccharide), 셀로올리고당 (cello-oligosaccharide), 또는 대두올리고당(soy oligosaccharid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료를 첨가하는 단계는 부재료를 혼합하고, 80℃ 이상 또는 100℃ 이상의 온도로 1 내지 20분, 2 내지 20분, 5 내지 20분, 5 내지 10분 동안 가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부재료는 약재 추출물 1중량부당 이소말토올리고당 0.5 내지 2 중량부, 0.5 내지 1.5 중량부, 0.7 내지 1.2 중량부, 또는 0.7 내지 1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부재료를 혼합함으로써, 쌍화차액기스의 향을 개선하고, 부재료의 단맛을 통하여 쌍화차액기스의 한약재 특유의 맛을 개선하여 헛개쌍화차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쌍화차를 구성하는 약재의 효능을 그대로 가지면서 바쁜 현대인들의 포켓용으로 가지고 다니기 편한 형태의 농축액으로 쉽게 섭취할 수 있고, 약재에 대한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쌍화탕 농축액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 양상에 따른 천연 약수를 이용한 한방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면, 한방 추출물이 천연약수를 포함하고 있어 무기성분인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과 항암성분인 셀레늄, 아연성분이 풍부하여 체내흡수 및 활성화를 촉진시켜줌으로서 자연 치유력 및 면역기능 증강, 항노화 작용, 피로회복, 간기능 개선과 증강 등의 건강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구체예에 따른 천연 약수의 성분 분석 결과이다.
도 2는 일 구체예에 따른 한방 추물물의 성분 분석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천연약수를 이용한 한방 추출물의 제조
강원도 삼악산의 천연약수 100중량부당, 당귀 140g, 백작약 140g, 숙지황 140g, 황기 16g, 천궁 10g, 감초 10g, 생강 14g, 대추 10g, 계피 20g를 천연약수 2L에 2시간 동안 불린 후에, 1일 동안 15℃의 온도로 저온 숙성시킨다.
상기 저온숙성된 한약재료 500g에 추출용 천연약수 2 L를 첨가하여 추출기에 넣고 100℃의 온도로 7시간 가열하는 과정을 거쳐 한약재 추출물을 추출하고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추출된 한약재 추출물에 이소말토올리고당을 추출된 한약재 추출물과 동일한 양으로 첨가하여 쌍화탕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쌍화탕 농축액에 천연약수를 넣고 가열하면서 희석하여 천연약수를 이용한 쌍화탕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 2020.11.09 자로 상기 상기 천연약수의 성분 분석을 의뢰하였고,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발급번호: TS03190)
또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 2020.08.26 자로 상기 천연약수를 이용한 쌍화탕 농축액의 성분 분석을 의뢰하였고,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발급번호: TS04291)
비교예 1. 정제수를 이용한 한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천연 약수 대신에 정제수를 사용한 것만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한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관능 검사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천연약수를 이용한 쌍화탕 및 비교예 2의 쌍화탕을 대상으로 하여 품질 및 기호도에 대한 시험을 각각 30명의 자원자를 대상으로 맛과 냄새에 대한 관능검사를 시행하였다. 하기 척도 기준에 의해 평가되었으며, 척도 기준의 5점인 대단히 좋다는 쓴 맛이 아주 약하고, 한약 냄새나 불쾌도가 아주 적으며 질감 및 전체적인 맛이 아주 좋은 상태로 정하였다.
[척도 기준]
1. 아주 싫다.
2. 약간 싫다.
3. 보통이다.
4. 약간 좋다.
5. 대단히 좋다.
구분 쓴 맛 한약 냄새 불쾌도 전체적인 맛
실시예 1 3.8 4.2 4.5
비교예 1 3.4 3.5 4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천연약수를 이용하여 소비층이 다양한 기호 식품인 쌍화차를 제조함으로써, 각종 미네랄 성분이 함유되어 활성 기능을 부여하고, 한약 특유의 냄새와 쓴맛을 제거하여 누구나 손쉽게 먹을 수 있도록 기호도를 높인 쌍화탕 농축액을 제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미네랄등 좋은 성분들이 함유된 쌍화탕 농축액을 널리 보급함으로써 국민의 건강 유지나 증진 및 예방에 쉽게 적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a) 천연 약수에 한약 재료를 첨가하고, 저온에서 방치하여 저온 숙성된 한약 재료를 제조하는 단계;
    (b) 저온 숙성된 한약 재료를 천연 약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하여 천연 약수 한약 재료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천연 약수 한약 재료 추출물에 부재료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 약수를 이용한 한방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천연 약수 100중량부당, 당귀 0.2 내지 10 중량부, 백작약 0.2 내지 10 중량부, 숙지황 0.2 내지 10 중량부, 황기 0.15 내지 0.5 중량부, 천궁 0.1 내지 0.5 중량부, 감초 0.1 내지 0.5 중량부, 생강 0.2 내지 0.75 중량부, 대추 0.2 내지 0.75 중량부, 계피 0.5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인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13 내지 16 ℃에서 1 내지 3일 동안 방치하여 저온 숙성시키는 것인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한약재료에 천연 약수를 첨가하여 추출기에 넣고 85 내지 120℃의 온도로 6 내지 24시간 가열하는 단계로서, 상기 가열 하는 중, 8 내지 10분 동안 1 내지 6회 수증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천연 약수 한약 재료 추출물 1 중량부당 부재료인 이소말토올리고당을 0.5 내지 1.5 중량부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KR1020210070464A 2021-05-31 2021-05-31 천연약수를 이용한 쌍화탕 농축액 제조방법 KR20220161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464A KR20220161999A (ko) 2021-05-31 2021-05-31 천연약수를 이용한 쌍화탕 농축액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464A KR20220161999A (ko) 2021-05-31 2021-05-31 천연약수를 이용한 쌍화탕 농축액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999A true KR20220161999A (ko) 2022-12-07

Family

ID=8444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464A KR20220161999A (ko) 2021-05-31 2021-05-31 천연약수를 이용한 쌍화탕 농축액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199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579A (ko) 1995-09-19 1997-04-28 연화자 쌍화차 제조방법
KR20070004489A (ko) 2006-12-15 2007-01-09 임득순 물범쌍화차 제조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579A (ko) 1995-09-19 1997-04-28 연화자 쌍화차 제조방법
KR20070004489A (ko) 2006-12-15 2007-01-09 임득순 물범쌍화차 제조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56558A (zh) 一种清心凉茶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40095000A (ko) 사상의학에 의한 체질별 주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889233A (zh) 一种袋泡参苓白术茶及其制备方法
CN103027155A (zh) 一种桑叶降脂降压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6039187A (zh) 一种小儿十康茶及其制备方法
CN101690602A (zh) 一种桔梗饮料的制作方法
CN104042891A (zh) 缓解产妇大便秘结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749782A (zh) 一种金花火麻养生茶
KR20090002854A (ko) 생약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669533A (zh) 一种调理护胃的代餐食品及其制备方法
CN102349950B (zh) 一种食品、保健品或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4472798A (zh) 一种降高血糖凉茶及其制备方法
KR20160000695A (ko) Dha 함유 기억력 강화 및 피로회복 증진용 한약재 조성물 수능환 및 그 제조방법
CN100577193C (zh) 一种醒酒保健品
CN106075109A (zh) 一种清热解毒茶及其制备方法
CN100486447C (zh) 一种祛湿凉茶
KR101783549B1 (ko) Dha 함유 피로회복 증진 보조식품용 조성물 수능단(수능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72206A (ko)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
KR20220161999A (ko) 천연약수를 이용한 쌍화탕 농축액 제조방법
CN103960415A (zh) 一种减肥保健凉茶及其制备方法
CN102972602B (zh) 一种含千金藤的凉茶及其制备方法
KR20200061446A (ko) 함초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9170052A (zh) 一种石斛养胃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20070100065A (ko) 피로회복에 효능이 있는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티백형태로 제조하는 방법
CN109276687A (zh) 一种补气活血药酒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