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5789A - 박막 증착 방법 - Google Patents

박막 증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5789A
KR20220155789A KR1020210063491A KR20210063491A KR20220155789A KR 20220155789 A KR20220155789 A KR 20220155789A KR 1020210063491 A KR1020210063491 A KR 1020210063491A KR 20210063491 A KR20210063491 A KR 20210063491A KR 20220155789 A KR20220155789 A KR 20220155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ubstrate
gate insulating
silicon carbide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정
이정균
Original Assignee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210063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5789A/ko
Priority to CN202280034996.0A priority patent/CN117321731A/zh
Priority to PCT/KR2022/006409 priority patent/WO2022245021A1/ko
Priority to TW111118072A priority patent/TW202309332A/zh
Publication of KR20220155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 H01L21/0227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 H01L21/022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deposition by cyclic CVD, e.g. ALD, ALE, pulsed CV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23Pulsed gas flow or change of composition over time
    • C23C16/45525Atomic layer deposition [ALD]
    • C23C16/45527Atomic layer deposition [ALD] characterized by the ALD cycle, e.g. different flows or temperatures during half-reactions, unusual pulsing sequence, use of precursor mixtures or auxiliary reactants or activ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the layer being a laminate, i.e. composed of sublayers, e.g. stacks of alternating high-k metal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 H01L21/0227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 H01L21/0227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the presence of a plasma [PECV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9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 H01L21/0229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re-treatment
    • H01L21/023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re-treatment treatment by exposure to a gas or vapour
    • H01L21/0231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re-treatment treatment by exposure to a gas or vapour treatment by exposure to a plasm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158Making the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1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1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29/1608Silicon carb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5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5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 H01L29/51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with a compositional variation, e.g. multilayer structures
    • H01L29/513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with a compositional variation, e.g. multilayer structures the variation being perpendicular to the channel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5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 H01L29/517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the insulating material comprising a metallic compound, e.g. metal oxide, metal silic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 Formation Of Insulating Film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 증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화규소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기 위한 박막 증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박막 증착 방법은 복수의 반도체 영역을 가지는 탄화규소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탄화규소 기판 상에, 1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원자층 증착 공정으로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박막 증착 방법{METHOD FOR DEPOSITING THIN FILM}
본 발명은 박막 증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화규소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기 위한 박막 증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화규소(SiC; silicon carbide)는 일반적인 규소에 비해 밴드 갭(band gap)이 높은 반도체로서, 규소보다 높은 항복 전압을 가지면서도 손실은 적고 열 방출은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특히, 절연 파괴 전계가 규소에 비해 약 10배 정도 우수하므로, 규소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에 비하여 전압 강하를 약 200분의 1로 감소시킬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이에, 탄화규소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전력 반도체 소자 분야에서 규소를 대체할 수 있는 유력한 반도체 재료로 간주되고 있다.
트랜지스터(Transistor)는 디스플레이 장치나 반도체 소자에서 스위칭 회로로 사용된다. 이러한, 트랜지스터는 소스(source)와 드레인(drain) 사이의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게이트 절연막을 가진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조함에 있어서 탄화규소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을 약 1200℃의 고온에서 증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탄화규소 기판을 고온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게 되면 기판 또는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박막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전력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의 기능을 저하시키거나 불량을 야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특히 트랜지스터를 스위칭 회로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나 전력 반도체 소자의 품질 및 신뢰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09-0055368 A
본 발명은 저온에서 탄화규소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할 수 있는 박막 증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박막 증착 방법은, 복수의 반도체 영역을 가지는 탄화규소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탄화규소 기판 상에, 1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원자층 증착 공정으로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탄화규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탄화수소 기판 상에 원료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탄화수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탄화수소 기판 상에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탄화수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료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 전처리하는 단계,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 및 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 사이클은 복수 회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 및 후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탄화수소 기판 상에 수소 가스를 분사하는 단계; 및 상기 수소 가스를 방전시켜, 상기 탄화수소 기판 상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하이-K(high-K) 유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하이-K(high-K) 유전체층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산화규소층 또는 질화규소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는, 소스 영역, 웰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가지는 탄화규소 기판을 마련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웰 영역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저온 공정으로 탄화규소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판을 승온시키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전력 반도체 소자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높은 항복 전압을 가지면서도 열 방출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전력 반도체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박막 증착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사이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되는 전력 반도체 소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층, 막, 영역 또는 기판 등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또는 "하부"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시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상대적인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착 장치는 탄화규소 기판 상에 박막, 즉 게이트 절연막을 증착하기 위한 장치로서, 챔버(10), 상기 챔버(10) 내에 마련되며, 상기 챔버(10) 내에 제공되는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기판 지지부(20), 상기 기판 지지부(20)에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챔버(10) 내에 마련되며, 상기 기판 지지부(20)를 향하여 공정 가스를 분사하기 위한 가스 분사부(30) 및 상기 챔버(10) 내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도록 전원을 인가하는 RF 전원(5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증착 장치는 가스 분사부(30)에 가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스 공급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RF 전원(5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스 분사부(30)에는 제1 가스, 예를 들어 원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1 가스 공급 경로와 제2 가스, 예를 들어 반응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2 가스 공급 경로가 분리되어 형성된다.
챔버(10)는 소정의 공정 공간을 마련하고, 이를 기밀하게 유지시킨다. 챔버(10)는 대략 원형 또는 사각형의 평면부 및 평면부로부터 상향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하여 소정의 공정 공간을 가지는 몸체(12)와, 대략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몸체(12) 상에 위치하여 챔버(10)를 기밀하게 유지하는 덮개(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챔버(1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판의 형상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챔버(10)의 하면의 소정 영역에는 배기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챔버(10)의 외측에는 배기구와 연결되는 배기관(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배기관은 배기 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배기 장치로는 터보 분자 펌프 등의 진공 펌프가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장치에 의해 챔버(10) 내부를 소정의 감압 분위기, 예를 들어 0.1mTorr 이하의 소정의 압력까지 진공 흡입할 수 있다. 배기관은 챔버(10)의 하면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기판 지지부(20) 하측의 챔버(10)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배기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수 개의 배기관 및 그에 따른 배기 장치가 더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기판 지지부(20)에는 박막 형성 공정을 위하여 챔버(10) 내로 제공된 기판이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은 탄화규소(SiC)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탄화규소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판은 탄화규소 단결정 웨이퍼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화규소 단결정 웨이퍼 내부에 도펀트가 주입되어 웨이퍼 내에 복수의 반도체 영역이 형성된 탄화규소 단결정 웨이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반도체 영역은 소스(source) 영역, 드레인(drain) 영역 및 웰(well)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 지지부(20)는 이와 같은 기판이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정전척 등이 마련되어 기판을 정전력에 의해 흡착 유지할 수도 있고, 진공 흡착이나 기계적 힘에 의해 기판을 지지할 수도 있다.
기판 지지부(20)는 기판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어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기판 지지부(20)는 기판이 안착되는 기판 지지대 및 상기 기판 지지대 하부에 배치되어 기판 지지대를 승하강 이동시키는 승강기(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 지지대는 기판보다 크게 제작될 수 있으며, 승강기(22)는 기판 지지대의 적어도 일 영역, 예를 들어 중심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기판 지지대 상에 기판이 안착되면 기판 지지대를 가스 분사부(30)에 근접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기판 지지대 내부에는 히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히터는 소정 온도로 발열하여 기판 지지대 및 상기 기판 지지대에 안착된 기판을 가열하여, 기판에 균일하게 박막이 증착되도록 한다.
가스 공급부(40)는 챔버(10)의 덮개(14)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가스 및 제2 가스를 각각 상기 가스 분사부(30)에 제공하기 위하여 제1 가스 공급기(42) 및 제2 가스 공급기(4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스는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 가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가스는 반응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가스 공급기(42) 및 제2 가스 공급기(44)는 각각 반드시 하나의 가스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며, 제1 가스 공급기(42) 및 제2 가스 공급기(44)는 각각 복수의 가스를 동시에 공급하거나, 복수의 가스 중 선택된 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스 공급기(42)는 원료 가스로서 규소(Si)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를 공급하거나, 하프늄(Hf), 란타늄(La), 지르코늄(Zr), 탄탈륨(Ta), 티타늄(Ti), 바륨(Ba), 스트론튬(Sr) 및 이리듐(I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스 공급기(44)는 반응 가스로서 산소(O) 또는 질소(N)를 함유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가스 분사부(30)는 상기 챔버(10) 내부, 예를 들어 챔버 리드(12)의 하면에 설치되며, 가스 분사부(30)의 내부에는 제1 가스를 기판 상에 분사하여 공급하기 위한 제1 가스 공급 경로와 제2 가스를 기판 상에 분사하여 공급하기 위한 제2 가스 공급 경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가스 공급 경로 및 제2 가스 공급 경로는 서로 독립적이고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스 및 상기 제2 가스가 가스 분사부(30) 내에서 혼합되지 않도록 분리하여 기판 상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가스 분사부(30)는 상부 프레임(32) 및 하부 프레임(3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프레임(32)은 상기 챔버 리드(12)의 하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함됨과 동시에 상면의 일부, 예를 들어 상면의 중심부가 상기 챔버 리드(12)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32)의 상면과 상기 챔버 리드(12)의 하면 사이의 공간에서 제1 가스 공급부(42)로부터 제1 가스가 확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34)은 상기 상부 프레임(32)의 하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프레임(34)의 상면과 상기 상부 프레임(32)의 하면 사이의 공간에서 제2 가스 공급부(44)로부터 제공되는 제2 가스가 확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32)과 상기 하부 프레임(34)은 외주면을 따라 연결되어 내부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밀봉 부재에 의하여 외주면을 밀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가스 공급 경로는 제1 가스 공급부(42)로부터 제공되는 제1 가스가 상기 챔버 리드(12)의 하면과 상기 상부 프레임(32) 사이의 공간에서 확산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32) 및 상기 하부 프레임(34)을 관통하여 챔버(10) 내부로 공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스 공급 경로는 제2 가스 공급부(44)로부터 제공되는 제2 가스가 상기 상부 프레임(32)의 하면과 상기 하부 프레임(34)의 상면 사이의 공간에서 확산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34)을 관통하여 챔버(10) 내부로 공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스 공급 경로 및 상기 제2 가스 공급 경로는 상호 연통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상기 제1 가스 및 제2 가스는 상기 가스 공급부(40)로부터 가스 분사부(30)를 거쳐 상기 챔버(10) 내부에 분리하여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34)의 하면에는 제1 전극(38)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프레임(24)의 하측 및 제1 전극(28)의 외측으로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 전극(36)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하부 프레임(34)과 제2 전극(36)은 외주면을 따라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밀봉 부재에 의하여 외주면을 밀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1 전극(38) 및 제2 전극(36)이 설치되는 경우, 제1 가스는 제1 전극(38)을 관통하여 기판 상에 분사될 수 있으며, 제2 가스는 제1 전극(38)과 제2 전극(36)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하여 기판 상에 분사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34)와 제2 전극(36) 중 어느 하나에는 RF 전원(50)으로부터 RF 전력이 인가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부 프레임(34)가 접지되고, 제2 전극(36)에 RF 전력이 인가되는 구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하부 프레임(34)이 접지되는 경우, 상기 하부 프레임(34)의 하면에 설치된 제1 전극(38) 또한 접지된다. 따라서, 제2 전극(36)에 RF 전원(50)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가스 분사부(30)와 상기 기판 지지부(20) 사이에는 제1 활성화 영역, 즉 제1 플라즈마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38)과 상기 제2 전극(36) 사이에는 제2 활성화 영역, 즉 제2 플라즈마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스가 제1 전극(38) 및 제2 전극(36)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하여 분사되는 경우, 상기 제2 가스는 가스 분사부(30)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전극(38)과 상기 제2 전극(36) 사이, 즉 제2 플라즈마 영역에서부터 제1 플라즈마 영역까지의 영역에 걸쳐 활성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착 장치에서는 제2 가스를 가스 분사부(30)의 내부에서 활성화시켜 기판 상에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1 가스 공급 경로와 제2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2 가스 공급 경로가 분리 형성됨으로 인하여, 예를 들어 원료 가스 및 반응 가스를 박막을 증착하기 위한 최적의 공급 경로로 분배시켜 분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박막 증착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박막 증착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증착 장치에 관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박막 증착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사이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박막 증착 방법은, 복수의 반도체 영역을 가지는 탄화규소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S100) 및 상기 탄화규소 기판 상에, 1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원자층 증착 공정으로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탄화규소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S100)은 탄화규소(SiC)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탄화규소 기판을 전술한 증착 장치의 챔버(10) 내로 반입하여 기판 지지부(20) 상에 안착시킨다. 이와 같은 탄화규소 기판은 복수의 반도체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탄화규소 기판은 탄화규소 단결정 웨이퍼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화규소 단결정 웨이퍼 내부에 도펀트가 주입되어 탄화규소 기판 내에 복수의 반도체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반도체 영역은 소스(source) 영역, 드레인(drain) 영역 및 웰(well)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웰 영역을 포함하는 탄화규소 기판을 사용하여 제조된 전력 반도체 소자와 관련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탄화규소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S100) 이후에는, 상기 탄화규소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S200)이 수행된다. 여기서,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S200)는 탄화규소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S100)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탄화규소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S100)와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S200)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전력 반도체 소자 등을 제조하기 위하여 부가되는 다른 단계가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탄화규소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S100)에서 게이트 전극이 이미 형성된 탄화규소 기판을 마련할 수도 있으나, 탄화규소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S100)와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S200) 사이에, 예를 들어 탄화규소 기판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박막 증착 방법은, 탄화규소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기 전에 탄화규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화규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하는 단계는, 탄화규소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S100)에서 탄화규소 기판에 형성된 자연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탄화규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하는 단계에서는, 전술한 증착 장치의 제1 가스 공급 경로 및 제2 가스 공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통해 탄화규소 기판 상에 표면 처리 가스를 분사하고, 표면 처리 가스를 활성화시켜 플라즈마가 발생되도록 공정 공간에 RF 전원(50)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표면 처리 가스로는 아산화질소(N2O), 일산화질소(NO), 질소(N2), 수소(H2), 산소(O2) 및 아르곤 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화규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함으로써, 탄화규소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기 전에, 게이트 절연막을 증착하기 위한 증착 면을 포함하는 탄화규소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자연 산화막을 제거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S200)는 탄화규소 기판 상에, 1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원자층 증착(ALD: Atomic Layer Deposition) 공정으로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한다.
종래에는 탄화규소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약 1200℃ 이상의 고온에서 열 증착(thermal deposition) 공정을 통하여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탄화규소 기판을 고온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게 되면 탄화규소 기판 및 상기 탄화규소 기판 상에 이미 형성된 박막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제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전력 반도체 소자의 품질 및 신뢰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탄화규소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100 내지 400℃의 저온에서 원자층 증착(ALD; Atomic Layer Deposition) 공정에 의하여 형성한다. 이하에서,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S2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S200)는 탄화수소 기판 상에 원료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210) 및 탄화수소 기판 상에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230)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공정 사이클이 복수 회로 수행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원료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210)는 탄화수소 기판 상에 원료 가스를 공급한다. 여기서, 원료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210)는 전술한 증착 장치의 제1 가스 공급 경로를 통해 탄화수소 기판 상에 원료 가스를 공급한다. 이때, 원료 가스는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원료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절연막으로 산화규소(SiO2)층 또는 질화규소(SiN)층을 형성하는 경우 원료 가스는 규소(Si)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게이트 절연막으로 하이-K(high-K)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경우 원료 가스는 하프늄(Hf), 란타늄(La), 지르코늄(Zr), 탄탈륨(Ta), 티타늄(Ti), 바륨(Ba), 스트론튬(Sr) 및 이리듐(I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스일 수 있다. 원료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210)에서는 탄화수소 기판 상에 원료 가스를 분사하여 흡착시킨다. 이때, 원료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210)는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게이트 절연막은 하이-K(high-K) 유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게이트 절연막은 하이-K(high-K) 유전체층으로 형성되거나, 하이-K(high-K) 유전체층뿐만 아니라, 하이-K(high-K) 유전체층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산화규소(SiO2)층 또는 질화규소(SiN)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게이트 절연막은 탄화규소 기판 상에 산화규소(SiO2)층이 마련되고, 산화규소(SiO2)층 상에 하이-K(high-K) 유전체층이 마련되며, 하이-K(high-K) 유전체층 상에 다시 산화규소(SiO2)층이 마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층 구조로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경우, 하이-K(high-K)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하이-K(high-K) 물질로 인하여 박막 트랜지스터 또는 전력 반도체 소자의 활성층이 손상(damage)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호할 수 있다. 이때, 하이-K(high-K) 유전체층의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되는 산화규소(SiO2)층은 적어도 일부가 질화규소(SiN)층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원료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210) 이후에는 원료 가스를 퍼지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원료 가스를 퍼지하는 단계에서는 챔버(10)의 공정 공간에 잔류하는 원료 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료 가스를 퍼지하는 단계는 공정 공간에 불활성 가스, 예를 들어 아르곤(Ar) 가스를 공급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르곤(Ar) 가스는 제1 가스 공급 경로 및 제2 가스 공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통하여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원료 가스를 퍼지하는 중에는 RF 전원(50)이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원료 가스를 퍼지하는 단계 이후에는 탄화수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전처리하는 단계(S220)가 수행될 수 있다. 탄화수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전처리하는 단계(S220)에서는 수소를 함유하는 전처리 가스, 예를 들어 수소(H2) 가스를 기판 상에 공급하고, RF 전원(50)을 인가하여 탄화수소 기판 상에 수소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수소(H2) 가스는 제1 가스 공급 경로 및 제2 가스 공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통하여 공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원료 물질이 탄화수소 기판에 흡착된 이후에 수소를 함유하는 전처리 가스를 활성화시켜 공급하는 단계(S230)가 수행되면, 수소 플라즈마에 의해 탄화수소 기판에 흡착된 원료 물질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원료 물질을 탄화수소 기판에 보다 견고하게 흡착시킬 수 있다.
탄화수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전처리하는 단계(S220) 이후에는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230)가 수행된다.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230)는 탄화수소 기판 상에 예를 들어, 산소를 함유하는 반응 가스를 공급한다. 여기서,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230)는 전술한 증착 장치의 제2 가스 공급 경로를 통해 기판 상에 산소를 함유하는 반응 가스를 공급한다. 원료 물질이 흡착된 기판 상에 반응 가스를 공급하게 되면, 원료 물질은 반응 가스에 포함된 반응 물질과 반응하게 된다.
이때,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230)에서는 반응 가스에 포함되는 산소 성분을 원료 물질과 효과적으로 반응시키기 위하여 반응 가스를 활성화시켜 플라즈마가 발생되도록 공정 공간에 RF 전원(50)을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230)에서 반응 가스를 활성화시켜 공급함에 의하여 공급되는 산소 함유 가스를 산소 라디칼로 활성화시켜 원료 물질과 반응시키고,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보다 낮은 공정 온도에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반응 가스를 활성화시켜 기판 상에 공급하는 경우,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S200)는 챔버(10)의 공정 공간을 100℃ 이상, 400℃ 이하의 저온으로 제어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230) 이후에는 반응 가스를 퍼지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반응 가스를 퍼지하는 단계에서는 챔버(10)의 공정 공간에 잔류하는 반응 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응 가스를 퍼지하는 단계는 원료 가스를 퍼지하는 단계와 마찬가지로 공정 공간에 불활성 가스, 예를 들어 아르곤(Ar) 가스를 공급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르곤(Ar) 가스는 제1 가스 공급 경로 및 제2 가스 공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통하여 공급될 수 있다.
반응 가스를 퍼지하는 단계 이후에는 탄화수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후처리하는 단계(S240)가 수행될 수 있다. 탄화수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후처리하는 단계(S240)에서는 수소를 함유하는 후처리 가스, 예를 들어 수소(H2) 가스를 탄화수소 기판 상에 공급하고, RF 전원(50)을 인가하여 기판 상에 수소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수소(H2) 가스는 제1 가스 공급 경로 및 제2 가스 공급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통하여 공급될 수 있다.
원료 가스 및 반응 가스가 분사되어 탄화수소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된 후 기판 상에 수소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게 되면, 게이트 절연막 특히 하이-K(high-K) 유전체층으로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을 챔버(10) 내부 또는 탄화규소 기판의 온도가 저온인 경우에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챔버(10) 내부 또는 탄화규소 기판의 온도가 저온인 경우, 예를 들어, 100℃ 내지 400℃의 저온 상태에서 하이-K(high-K) 유전체층으로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탄화수소 기판 상에 수소를 함유하는 후처리 가스를 활성화시켜 공급하는 단계(S240)에 의하여 챔버(10) 내부에 잔류하는 불순물이나 게이트 절연막에 포함된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원료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210), 탄화수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전처리하는 단계(S220),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230) 및 탄화수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후처리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는 공정 사이클을 복수 회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210), 원료 가스를 퍼지하는 단계, 탄화수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전처리하는 단계(S220),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230), 반응 가스를 퍼지하는 단계 및 탄화수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후처리하는 단계(S240)는 하나의 공정 사이클을 이룰 수 있으며, 상기 공정 사이클은 기판 상에 원하는 두께의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200a), 상기 게이트 전극(200a)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소스 전극(510a) 및 드레인 전극(520a), 상기 게이트 전극(200a)과, 소스 전극(510a) 및 드레인 전극(520a) 사이에 배치되는 활성층(400a) 및 상기 게이트 전극(200a)과, 활성층(400a) 사이에 배치되는 게이트 절연막(300a)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화규소 기판(100a)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200a)과, 게이트 전극(200a)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300a)과, 게이트 절연막(300a) 상에 형성되는 활성층(400a)과, 활성층(400a) 상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소스 전극(510a) 및 드레인 전극(520a)을 포함하는 바텀 게이트(bottom gate)형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게이트 전극(200a)이 상부에 배치되는 탑 게이트(top gate)형 박막 트랜지스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탄화규소 기판(100a)은 탄화규소(SiC)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판은 탄화규소 단결정 웨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200a)은 도전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네오디뮴(Nd), 은(Ag), 크롬(Cr), 티타늄(Ti), 탄탈륨(Ta), 몰리브덴(Mo) 및 구리(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200a)은 단일층 뿐 아니라 복수 개의 금속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중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물리 화학적 특성이 우수한 크롬(Cr), 티타늄(Ti), 탄탈륨(Ta), 몰리브덴(Mo) 등의 금속층과 비저항이 작은 알루미늄(Al) 계열, 은(Ag) 계열 또는 구리(Cu) 계열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이중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게이트 절연막(300a)은 게이트 전극(200a) 상에 형성된다. 즉, 게이트 절연막(300a)은 게이트 전극(200a)의 상부 및 측부를 포함한 탄화규소 기판(100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300a)은 금속 물질과의 밀착성이 우수하며 절연 내압이 우수한 산화규소(SiO2)를 이용한 박막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산화규소(SiO2)보다 높은 유전율을 가지는 하이-K(high-K) 유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게이트 절연막(300a)은 적어도 하나의 하이-K(high-K) 유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이-K(high-K) 유전체는 하프늄 산화물(HfO2), 하프늄 실리콘 산화물(HfSiO4), 란타늄 산화물(LaO2), 란타늄 알루미늄 산화물(LaAlO 3 ), 지르코늄 산화물(ZrO2), 지르코늄 실리콘 산화물(ZrSiO4), 탄탈륨 산화물(Ta2O5), 티타늄 산화물(TiO2), 바륨 스트론튬 티타늄 산화물(BaSrTiO3), 바륨 티타늄 산화물(BaTiO3), 스트론튬 티타늄 산화물(SrTiO3), 이리듐 산화물(IrO2)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게이트 절연막(300a)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탄화규소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S100) 및 탄화규소 기판 상에 1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원자층 증착 공정으로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박막 증착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게이트 절연막(300a)은 원료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210), 탄화수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전처리하는 단계(S220),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230) 및 탄화수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후처리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는 공정 사이클을 복수 회로 수행하는 박막 증착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활성층(400a)은 게이트 절연막(300a) 상에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게이트 전극(200a)과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활성층(400a)은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단일 금속 산화물 박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금속 산화물 박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금속 산화물 박막은 아연 산화물(ZnO)를 포함하거나, 아연 산화물(ZnO)에 인듐(In) 및 갈륨(Ga) 중 적어도 하나가 도핑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전극(510a) 및 드레인 전극(520a)은 활성층(400a) 상부에 형성되며, 게이트 전극(200a)과 일부 중첩되어 게이트 전극(200a)을 사이에 두고 소스 전극(510a)과 드레인 전극(520a)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소스 전극(510a) 및 드레인 전극(520a)은 상호 동일 물질을 이용한 동일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며, 도전성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네오디뮴(Nd), 은(Ag), 크롬(Cr), 티타늄(Ti), 탄탈륨(Ta) 및 몰리브덴(Mo)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게이트 전극(200a)과 동일 물질로 형성할 수 있으나, 다른 물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소스 전극(510a) 및 드레인 전극(520a)은 각각 단일층 뿐 아니라 복수 금속층의 다중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되는 전력 반도체 소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되는 전력 반도체 소자, 예를 들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ansistor)는 탄화규소 기판(100b), 탄화규소 기판(100b)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300b), 탄화규소 기판(100b) 상에서 게이트 절연막(300b)을 사이에 두고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된 소스 전극(510b)과 드레인 전극(520b) 및 소스 전극(510b)과 드레인 전극(520b) 사이에서 게이트 절연막(300b) 상에 마련된 게이트 전극(200b)을 포함한다. 여기서, 탄화규소 기판(100b)은 내부에 도펀트가 주입되어 복수의 반도체 영역이 형성된 기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반도체 영역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소스로서 기능하는 소스 영역(110b),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으로서 기능하는 드레인 영역(120b)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활성층으로 기능하는 웰 영역(13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력 반도체 소자를 제조함에 있어서, 탄화규소 기판(100b) 상에 게이트 절연막(200b)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탄화규소 기판(100b)을 마련하는 단계(S100) 및 탄화규소 기판(100b) 상에 1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원자층 증착 공정으로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박막 증착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전력 반도체 소자에서 게이트 절연막(300b)을 원료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210), 탄화수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전처리하는 단계(S220),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230) 및 탄화수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후처리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는 공정 사이클을 복수 회로 수행하는 박막 증착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 절연막(300b)은 적어도 하나의 하이-K(high-K) 유전체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이-K(high-K) 유전체는 하프늄 산화물(HfO2), 하프늄 실리콘 산화물(HfSiO4), 란타늄 산화물(LaO2), 란타늄 알루미늄 산화물(LaAlO 3 ), 지르코늄 산화물(ZrO2), 지르코늄 실리콘 산화물(ZrSiO4), 탄탈륨 산화물(Ta2O5), 티타늄 산화물(TiO2), 바륨 스트론튬 티타늄 산화물(BaSrTiO3), 바륨 티타늄 산화물(BaTiO3), 스트론튬 티타늄 산화물(SrTiO3), 이리듐 산화물(IrO2)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저온 공정으로 탄화규소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판을 승온시키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전력 반도체 소자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높은 항복 전압을 가지면서도 열 방출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전력 반도체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챔버 20: 기판 지지부
30: 가스 분사부 40: 가스 공급부
100a, 100b: 탄화수소 기판 110b: 소스 영역
120b: 드레인 영역 130b: 웰 영역
200a, 200b: 게이트 전극 300a, 300b: 게이트 절연막
400a: 활성층 510a, 510b: 소스 전극
520a, 520b: 드레인 전극

Claims (7)

  1. 복수의 반도체 영역을 가지는 탄화규소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탄화규소 기판 상에, 1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원자층 증착 공정으로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박막 증착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탄화규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박막 증착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탄화수소 기판 상에 원료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탄화수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탄화수소 기판 상에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탄화수소 기판을 플라즈마로 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료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 전처리하는 단계,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 및 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 사이클은 복수 회로 수행되는 박막 증착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 및 후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탄화수소 기판 상에 수소 가스를 분사하는 단계; 및
    상기 수소 가스를 방전시켜, 상기 탄화수소 기판 상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박막 증착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하이-K(high-K) 유전체층을 포함하는 박막 증착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하이-K(high-K) 유전체층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산화규소층 또는 질화규소층을 더 포함하는 박막 증착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는,
    소스 영역, 웰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가지는 탄화규소 기판을 마련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웰 영역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박막 증착 방법.
KR1020210063491A 2021-05-17 2021-05-17 박막 증착 방법 KR20220155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491A KR20220155789A (ko) 2021-05-17 2021-05-17 박막 증착 방법
CN202280034996.0A CN117321731A (zh) 2021-05-17 2022-05-04 沉积薄膜的方法
PCT/KR2022/006409 WO2022245021A1 (ko) 2021-05-17 2022-05-04 박막 증착 방법
TW111118072A TW202309332A (zh) 2021-05-17 2022-05-13 沉積薄膜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491A KR20220155789A (ko) 2021-05-17 2021-05-17 박막 증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789A true KR20220155789A (ko) 2022-11-24

Family

ID=8414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491A KR20220155789A (ko) 2021-05-17 2021-05-17 박막 증착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20155789A (ko)
CN (1) CN117321731A (ko)
TW (1) TW202309332A (ko)
WO (1) WO202224502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368A (ko) 2007-11-28 2009-06-02 매트릭스세미컨덕터(주)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092B1 (ko) * 2003-12-24 2006-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게이트 절연막의 형성 방법
KR100469132B1 (ko) * 2004-05-18 2005-01-29 주식회사 아이피에스 주기적 펄스 두 단계 플라즈마 원자층 증착장치 및 방법
US20200027716A1 (en) * 2016-09-26 2020-01-23 Zf Friedrichshafen Ag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ulation Layer on Silicon Carbide and Semiconductor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368A (ko) 2007-11-28 2009-06-02 매트릭스세미컨덕터(주)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09332A (zh) 2023-03-01
CN117321731A (zh) 2023-12-29
WO2022245021A1 (ko)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0084B (zh)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JP5097554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基板処理方法および基板処理装置
US9653301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electrode made of high work function material,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166541B2 (en) Method of forming dielectric layer using plasma enhanced atomic layer deposition technique
KR101537946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기판 처리 방법, 기억 매체 및 기판 처리 장치
US20070228442A1 (en) Thin Film Capacitor, Method for Forming Sa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799146B1 (ko)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 기판 처리 시스템
KR20010027867A (ko) 박막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소자의 커패시터 형성방법
US20060128127A1 (en) Method of depositing a metal compound layer and apparatus for depositing a metal compound layer
KR20010063478A (ko) 반도체 소자의 알루미늄 산화막 형성 방법
US9224594B2 (en) Surface preparation with remote plasma
KR20010065160A (ko) 반도체 소자의 알루미늄 옥사이드 박막 형성 방법
KR101652458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기판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US8372746B2 (en) Electrode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capacitor
KR20040078476A (ko)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박막 형성방법
KR20220155789A (ko) 박막 증착 방법
KR100770276B1 (ko) 반도체 소자의 엠아이엠 캐패시터 형성방법
KR100382742B1 (ko)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방법
KR20220153420A (ko) 박막 형성 방법
JP2011066262A (ja)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240013974A (ko) 박막 제조방법, 박막, 및 기판처리장치
KR20050002011A (ko) 반도체 소자의 절연박막 형성방법
KR20230115908A (ko) 박막 제조방법 및 박막
JP6108530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基板処理装置
JP2024520625A (ja) 薄膜の蒸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