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5268A - 조직 보강재 - Google Patents

조직 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5268A
KR20220155268A KR1020227028715A KR20227028715A KR20220155268A KR 20220155268 A KR20220155268 A KR 20220155268A KR 1020227028715 A KR1020227028715 A KR 1020227028715A KR 20227028715 A KR20227028715 A KR 20227028715A KR 20220155268 A KR20220155268 A KR 20220155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aterial
nonwoven fabric
tissue
less
structur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8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와카스기
도시야 히로토미
요이치 이무라
Original Assignee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55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yarns or filaments made mechanically
    • D04H3/10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yarns or filaments made mechanically by needl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10B2331/04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성과 높은 신축성을 갖는 조직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폴리글리콜리드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조직 보강재로서, 평균 섬유경이 0.5 ㎛ 이상 7.0 ㎛ 이하이고, 면 밀도가 1.0 g/㎡ 이상 50 g/㎡ 이하이고, 순굽힘 시험기로 측정한 굽힘 강성 (B 값) 이 0.001 gf·㎠/㎝ 이상 0.01 gf·㎠/㎝ 이하인 조직 보강재이다.

Description

조직 보강재
본 발명은 흡수성과 높은 신축성을 갖는 조직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외과 수술에 의해 생체 조직의 일부를 절제할 때, 절제면으로부터의 수술후 출혈이나 담즙 등의 체액의 누출은 수술후 합병증의 원인이 된다. 또, 폐 등의 조직을 절제한 경우에는, 절제면으로부터의 공기 누출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체액 누출, 공기 누출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생체 흡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조직 보강재가 사용되고 있다. 조직 보강재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는, 취약한 조직의 보강재로서 사용함으로써, 조직의 단열 (斷裂) 을 방지하고, 공기 누출이나 체액 누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일정 기간 경과 후에는 분해되어 생체에 흡수되기 때문에, 재수술에 의해 꺼낼 필요도 없다는 우수한 성능을 갖는다. 또한, 신축성도 갖기 때문에 조직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고, 박리도 잘 일어나지 않는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07658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8310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46854
그러나, 종래의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조직 보강재로서 사용한 경우, 기대했던 것 만큼은 세포가 침입하지 않아, 조직 재생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실제 조직에 비해, 재생한 조직의 구조나 기능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조직의 재생성을 높이기 위해서, 종래의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보다 가는 평균 섬유경을 갖는 박형 (薄型) 의 생체 흡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조직 보강재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3). 이와 같은 조직 보강재를 사용함으로써, 세포의 침입성이 우수하고, 또한, 정상적인 조직을 재생할 수 있다. 또, 조직의 절제면의 섬세한 요철에 추종할 수 있어, 공기나 체액의 누출을 보다 억제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박형의 생체 흡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조직 보강재는, 세포의 침입성이나 요철의 추종성에는 우수하기는 하지만, 신축성은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어, 폐나 위 등의 신축하는 조직의 보강에 사용하기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 생체 흡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조직 보강재는, 별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체내의 수분을 통해서 스스로 조직에 밀착되어 보강을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공기나 소화액의 누출이 우려되는 기관의 보강에서는, 피브린 풀에 의해 더욱 강고하게 조직 보강재를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박형의 생체 흡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조직 보강재는 흡수성이 그만큼 높지 않아, 조직 보강재에 충분한 양의 피브린 풀을 포함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흡수성과 높은 신축성을 갖는 조직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폴리글리콜리드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조직 보강재로서, 평균 섬유경이 0.5 ㎛ 이상 7.0 ㎛ 이하이고, 면(面) 밀도가 1.0 g/㎡ 이상 50 g/㎡ 이하이며, 순굽힘 시험기로 측정한 굽힘 강성 (B 값) 이 0.001 gf·㎠/㎝ 이상 0.01 gf·㎠/㎝ 이하인 조직 보강재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해설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폴리글리콜리드를 사용하고, 평균 섬유경, 면 밀도 및 굽힘 강성 (B 값) 을 특정한 범위로 한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조직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는 높은 신축성과 피브린 풀을 포함시킬 수 있는 정도의 흡수성을 겸비한 조직 보강재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조직 보강재는, 폴리글리콜리드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에 의해 구성된다.
조직 보강재의 재료로서 폴리글리콜리드를 사용함으로써, 조직이 치유될 때까지의 동안에는 충분한 강도로 조직을 보강할 수 있음과 함께, 치유 후에는 신속하게 체내에 흡수되어 이물질 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폴리글리콜리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0000 이상 2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글리콜리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0 이상임으로써, 얻어지는 조직 보강재의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고, 200000 이하임으로써, 조직 치유 후에는 신속하게 체내에 흡수되는 정도의 체내 흡수 속도로 할 수 있다. 상기 폴리글리콜리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직 보강재는, 평균 섬유경이 0.5 ㎛ 이상 7.0 ㎛ 이하이다.
조직 보강재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평균 섬유경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생체 조직의 섬세한 요철에 대한 추종성과, 취급성, 보강 효과를 겸비할 수 있다. 상기 평균 섬유경은,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섬유경은, 부직포의 제조 조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평균 섬유경이란, 조직 보강재의 중앙의 일부를 잘라내어,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섬유경을 랜덤하게 10 개 지점 측정하고, 평균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직 보강재는, 면 밀도가 1.0 g/㎡ 이상 50 g/㎡ 이하이다.
평균 섬유경 및 면 밀도가 상기 범위인 부직포는, 구조가 면 (綿) 에 가까워진다. 그 결과, 종래의 생체 흡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조직 보강재에는 없는 높은 신축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면에 가까운 구조가 됨으로써, 흡수성도 높아지기 때문에, 피브린 풀을 충분히 조직 보강재 내에 포함시킬 수 있어, 조직 보강재를 보다 강고하게 환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 흡수성이 높아짐으로써, 체내에 이식했을 때에 체액을 많이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체액 내의 영양분을 조직 보강재에 침입한 세포가 이용하기 쉬워져, 보다 조직의 재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흡수한 체액의 반데르발스 힘에 의해 밀착성을 높일 수도 있다. 또한, 면 밀도가 종래의 조직 보강재보다 작음으로써, 조직 보강재가 분해될 때의 pH 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의 재생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면 밀도는, 3.0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5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면 밀도는, 부직포의 제조 조건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면 밀도는, JIS L-1913 단위면적당 질량 (ISO 법) 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직 보강재는, 굽힘 강성 (B 값) 이 0.001 gf·㎠/㎝ 이상 0.01 gf·㎠/㎝ 이하이다.
조직 보강재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굽힘 강성 (B 값) 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조직 보강재를 환부의 섬세한 요철에도 추종시킬 수 있어, 조직 보강재의 조직에 대한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굽힘 강성 (B 값) 은, 0.002 gf·㎠/㎝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7 gf·㎠/㎝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굽힘 강성 (B 값) 은, 예를 들어, 부직포에 니들 펀치를 실시하는 방법 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굽힘 강성 (B 값) 이란, KES 로 불리는 천의 질감을 측정하여 얻어지는 값을 가리킨다. 상기 굽힘 강성 (B 값) 은,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조직 보강재의 중앙부를 10 ㎝ × 10 ㎝ 잘라내어 측정 샘플을 얻는다. 얻어진 측정 샘플에 대해, 순굽힘 시험기 (예를 들어, 카토테크 주식회사 제조 KES-FB2-A 등) 를 사용하여 굽힘 강성 (B 값) 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조직 보강재는, 강성이 0.1 N/㎜ 이상 3.0 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직 보강재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강성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조직 보강재로서의 강도를 확보하면서도 환부의 섬세한 요철에도 추종시킬 수 있어, 조직 보강재가 조직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강성은, 2.5 N/㎜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강성은, 예를 들어, 부직포에 니들 펀치를 실시하는 방법 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강성은,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조직 보강재의 MD 방향을 단변 (短邊) 으로 하여 2.0 ㎝ × 5.0 ㎝ 로 5 매 잘라내고, 측정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각각의 측정 샘플에 대해, 소형 탁상형 시험기 (AG-Xplus, SHIMADZU 사 제조) 를 사용하여, 23 ℃, 척간 거리 20 ㎜, 인장 속도 10 ㎜/초의 조건으로 인장 시험을 실시해서, 0.5 ㎜ (2.5 %) 부터 1 ㎜ (5 %) 신장시에 있어서의 영률을 측정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MD 방향이란, 부직포를 제조할 때의 흐름 방향 (컨베이어가 흐르는 방향) 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직 보강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0 ㎛ 이상 3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직 보강재의 두께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강도와, 환부의 섬세한 요철에 대한 추종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조직 보강재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직 보강재의 두께는, 5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직 보강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평균 섬유경, 면 밀도 및 굽힘 강성 (B 값) 의 범위를 만족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파라미터를 만족시키기 쉽다는 점에서, 멜트 블로법에 의해 폴리글리콜리드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제조하고, 그 후 니들 펀치를 실시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조직 보강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멜트 블로법에 의해 폴리글리콜리드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부직포에 니들 펀치를 실시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노즐과 컨베이어간의 거리가 15 ㎝ 이상 80 ㎝ 이하이고, 노즐 온도가 폴리글리콜리드의 융점의 +20 ℃ 이상 +50 ℃ 이하인 조직 보강재의 제조 방법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조직 보강재의 제조 방법은, 먼저 멜트 블로법에 의해 폴리글리콜리드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본 발명의 조직 보강재의 제조 방법에서는, 후술하는 조건으로 멜트 블로를 실시하고, 후에 후술하는 니들 펀치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범위의 평균 섬유경, 면 밀도 및 굽힘 강성 (B 값) 을 갖는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노즐과 컨베이어간의 거리는 15 ㎝ 이상 80 ㎝ 이하이다.
노즐 - 컨베이어간 거리를 상기 범위로 하고, 또한 후술하는 노즐 온도로 함으로써, 종래의 생체 흡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조직 보강재에는 없는, 면에 가까운 구조로 컨베이어 상에 퇴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평균 섬유경, 면 밀도 및 굽힘 강성 (B 값) 의 범위를 만족시키기 쉽게 할 수 있어, 흡수성과 높은 신축성을 겸비한 조직 보강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노즐 - 컨베이어간 거리는,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노즐 온도는 폴리글리콜리드의 융점의 +20 ℃ 이상 +50 ℃ 이하이다.
노즐의 온도를 상기 범위로 하고, 또한 노즐 - 컨베이어간 거리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폴리글리콜리드를 면에 가까운 구조로 컨베이어 상에 퇴적시킬 수 있고, 상기 평균 섬유경, 면 밀도 및 굽힘 강성 (B 값) 의 범위를 만족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온도는 폴리글리콜리드의 융점의 +3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컨베이어의 이동 속도는 0.1 m/min 이상 10 m/mi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컨베이어 이동 속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면 밀도와 굽힘 강성 (B 값) 을 상기 범위에 의해 조절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속도는 0.3 m/min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m/min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폴리머 토출량은 0.05 ㎏/h 이상 0.5 ㎏/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 토출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평균 섬유경을 상기 범위에 의해 조절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토출량은 0.1 ㎏/h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 ㎏/h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토출 출구 부근의 에어 풍속은 1000 m/min 이상 4000 m/mi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풍속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면 밀도와 굽힘 강성 (B 값) 을 상기 범위에 의해 조절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풍속은 1500 m/min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00 m/min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직 보강재는, 이어서 상기 부직포에 니들 펀치를 실시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상기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얻어진 부직포에 니들 펀치를 실시함으로써, 부직포의 유연성이 높아져 상기 굽힘 강성 (B 값) 과 강성의 범위를 만족시키기 쉽게 할 수 있고, 섬세한 요철에 대한 밀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흡수성과 신축성을 보다 높일 수도 있다. 상기 니들 펀치의 구체적인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 공지된 조건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직 보강재는, 수술 후, 취약한 조직을 덮도록 첩부 (貼付) 한다. 본 발명의 조직 보강재는, 종래의 조직 보강재와 비교해서 흡수성이 높기 때문에, 피브린 풀을 사용하여 조직을 보다 강고하게 보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조직 보강재는, 신축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조직 중에서도 간장, 폐, 위와 같은 크게 신축하고, 체액이나 소화액, 공기 등의 누출이 우려되는 조직의 보강에 대해 특히 높은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수성과 높은 신축성을 갖는 조직 보강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생체 조직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 평가에 있어서의 조직 신축 후의 평가 샘플의 사진이다.
도 2 는 실시예에서 얻어진 조직 보강재를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100 배로 확대한 사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양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양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멜트 블로법에 의해 폴리글리콜리드 (중량 평균 분자량 : 12 만, 융점 : 223 ℃, 유리 전이점 : 41 ℃) 로 이루어지는 실을 토출하여 두께 120 ㎛ 의 부직포를 얻었다. 멜트 블로의 구체적인 조건은, 노즐 - 컨베이어간 거리 30 ㎝, 폴리머 토출량 0.1 ㎏/h, 토출 출구 부근의 에어 풍속 3000 m/min, 컨베이어의 이동 속도 1.0 m/min, 노즐 온도 260 ℃ 로 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부직포에 니들 펀치를 실시함으로써, 조직 보강재를 얻었다.
(비교예 1)
니들 펀치를 실시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고, 조직 보강재를 얻었다.
(비교예 2)
노즐 - 컨베이어간 거리를 10 ㎝ 로 한 것과 니들 펀치를 실시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고, 조직 보강재를 얻었다.
(참고예 1)
시판되는 폴리글리콜리드로 이루어지는 생체 흡수성 부직포 (네오베일 NV-L-015G, 군제사 제조) 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또한, 네오베일 NV-L-015G 는 니들 펀치에 의해 제조된 두께 220 ㎛ 의 생체 흡수성 부직포이다.
<물성>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얻어진 조직 보강재에 대해 이하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1) 평균 섬유경의 측정
얻어진 조직 보강재의 중앙부를 1.0 ㎝ × 1.0 ㎝ 잘라내고, 측정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측정 샘플에 대해,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을 사용하여 3000 배로 확대한 화상을 촬영하였다. 얻어진 화상으로부터 섬유 부분을 랜덤하게 10 개 지점 골라내어 섬유경을 측정, 평균함으로써 평균 섬유경을 측정하였다.
(2) 면 밀도의 측정
얻어진 조직 보강재의 중앙부를 5.0 ㎝ × 5.0 ㎝ 로 3 매 잘라내고, 측정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측정 샘플 각각에 대해, 분석 천칭 (AUX220, SHIMADZU 사 제조) 으로 면 밀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평균한 것을 조직 보강재의 면 밀도로 하였다.
(3) 굽힘 강성 (B 값) 의 측정
얻어진 조직 보강재의 중앙부를 10 ㎝ × 10 ㎝ 잘라내고, 측정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측정 샘플에 대해, 순굽힘 시험기 (카토테크 주식회사 제조 KES-FB2-A) 를 사용하여 굽힘 강성 (B 값) 을 측정하였다.
(4) 강성의 측정
얻어진 조직 보강재의 MD 방향을 단변으로 하여 2.0 ㎝ × 5.0 ㎝ 로 3 매 잘라내고, 측정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각각의 측정 샘플에 대해, 소형 탁상형 시험기 (AG-Xplus, SHIMADZU 사 제조) 를 사용하여, 23 ℃, 척간 거리 20 ㎜, 인장 속도 10 ㎜/초의 조건으로 인장 시험을 실시해서, 0.5 ㎜ (2.5 %) 부터 1 ㎜ (5 %) 신장시에 있어서의 강성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평균한 것을 조직 보강재의 강성으로 하였다.
<평가>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얻어진 조직 보강재에 대해, 하기의 항목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신축성 평가와 흡수성 평가에 대해서는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생체 조직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 평가에 대해서는 결과를 도 1 에 나타내었다.
(신축성 평가)
조직 보강재의 MD 방향을 단변으로 하여 2.0 ㎝ × 5.0 ㎝ 로 5 매 잘라내고, 측정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각각의 측정 샘플에 대해, 소형 탁상형 시험기 (AG-Xplus, SHIMADZU 사 제조) 를 사용하여, JIS L-1912 에 준거하는 인장 강도 및 신장율로부터 최대 강력시의 신장을 측정하고, 결과를 평균함으로써 신축성을 평가하였다.
(흡수성 평가)
JIS L-1913 의 보수율 시험에 준거하여, 조직 보강재의 중앙부를 100 ㎜ × 100 ㎜ 로 3 매 잘라내어 측정 샘플을 제조하고, 각각에 대해 분석 천칭 (AUX220, SHIMADZU 사 제조) 으로 시험 전의 질량을 측정하였다. 이어서, 각각의 측정 샘플을 물이 들어간 용기에 15 분간 침지하고, 수중 (水中) 에서 꺼내어 1 분간 물을 방울방울 떨어뜨린 후, 시험 후의 질량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기초로, 하기 식으로부터 보수율을 산출하고, 3 개 샘플의 결과를 평균함으로써 흡수성을 평가하였다.
보수율 W (%) = ((W1 ― W0) / W0) × 100
(W0 : 시험 전의 질량, W1 : 시험 후의 질량)
(생체 조직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 평가)
조직 보강재의 중앙부를 50 ㎜ × 30 ㎜ 로 잘라내어 평가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희생사시킨 돼지의 간장에 정치 (靜置) 하고, 위로부터 적신 가제 등으로 샘플을 적시듯이 몇차례 가볍게 눌러 밀착시켰다. 그 후, 간장을 20 % 정도 신축시키는 조작을 3 회 실시하고, 박리의 유무로부터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을 평가하였다. 신축 후의 평가 샘플의 사진을 도 1 에 나타내었다. 도 1 을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에서는 평가 샘플이 박리되어 있지 않은 한편, 비교예 1, 2 에서는 평가 샘플이 들떠 올라 박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참고예 1 에 대해서는 박리되어 있지 않기는 하지만, 실시예 1 의 쪽이 보다 밀착감이 높았다.
여기서, 실시예에서 얻어진 조직 보강재를 전자 현미경 (Miniscope TM-1000,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사 제조) 을 사용하여 100 배로 확대한 사진을 도 2 에 나타낸다. 좌측도가 조직 보강재의 상면의, 우측도가 단면 (斷面) 의 사진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2 를 보면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은 종래의 생체 흡수성 부직포인 참고예 1 과 비교해서, 평균 섬유경과 면 밀도가 작고, 섬유의 공극이 많기 때문에 흡수성이 높다. 또, 다른 섬유와의 접점이 적기 때문에 신축성도 갖고 있다. 또, 멜트 블로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를 니들 펀치함으로써 유연성이 높아져, 섬세한 요철에 대한 밀착성이 보다 향상됨과 함께, 신축성과 흡수성이 한층 높아져 있다. 또한, 평균 섬유경이 작기 때문에, 세포 증식의 족장 (足場) 으로서 바람직하고, 조직의 재생성도 높다.
한편, 비교예 1 및 비교예 2 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평균 섬유경이 작고, 면 밀도도 작지만, 니들 펀치가 실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섬세한 요철에 대한 밀착성, 신축성 및 흡수성이 실시예 1 보다 떨어진다.
참고예 1 은, 니들 펀치에 의해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섬유와의 접점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접점의 수도 적기 때문에 신축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평균 섬유경이 굵기 때문에, 섬세한 요철에 대한 밀착성과 조직의 재생성은 평균 섬유경이 가는 생체 흡수성 부직포 쪽이 높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에 의하면, 흡수성과 높은 신축성을 갖는 조직 보강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폴리글리콜리드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조직 보강재로서,
    평균 섬유경이 0.5 ㎛ 이상 7.0 ㎛ 이하이고,
    면 밀도가 1.0 g/㎡ 이상 50 g/㎡ 이하이며,
    순굽힘 시험기로 측정한 굽힘 강성 (B 값) 이 0.001 gf·㎠/㎝ 이상 0.01 gf·㎠/㎝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보강재.
  2. 제 1 항에 있어서,
    강성이 0.1 N/㎜ 이상 3.0 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보강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두께가 30 ㎛ 이상 3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보강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직 보강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멜트 블로법에 의해 폴리글리콜리드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부직포에 니들 펀치를 실시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노즐과 컨베이어간의 거리가 15 ㎝ 이상 80 ㎝ 이하이고,
    노즐 온도가 폴리글리콜리드의 융점의 +20 ℃ 이상 +5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보강재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노즐과 컨베이어간의 거리가 20 ㎝ 이상 6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보강재의 제조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노즐 온도가 폴리글리콜리드의 융점의 +30 ℃ 이상 +4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보강재의 제조 방법.
KR1020227028715A 2020-03-19 2021-03-19 조직 보강재 KR202201552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48548 2020-03-19
JP2020048548 2020-03-19
PCT/JP2021/011388 WO2021187619A1 (ja) 2020-03-19 2021-03-19 組織補強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268A true KR20220155268A (ko) 2022-11-22

Family

ID=7777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8715A KR20220155268A (ko) 2020-03-19 2021-03-19 조직 보강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10807A1 (ko)
EP (1) EP4122506A4 (ko)
JP (1) JPWO2021187619A1 (ko)
KR (1) KR20220155268A (ko)
CN (1) CN115297904A (ko)
WO (1) WO202118761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586A (ja) 1991-09-21 1993-03-30 Gunze Ltd 縫合補綴材
JP2014083106A (ja) 2012-10-19 2014-05-12 Gunze Ltd 生体吸収性組織補強材
JP2016146854A (ja) 2013-05-31 2016-08-18 学校法人同志社 組織再生基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0963A (ja) * 1985-04-18 1986-10-27 ユニチカ株式会社 創傷被覆保護材
JPH10337302A (ja) * 1997-06-06 1998-12-22 Unitika Ltd 鼓膜欠損閉鎖促進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11767A (ja) * 1999-06-24 2001-01-16 Toyobo Co Ltd 長繊維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4395606B2 (ja) * 2004-03-29 2010-01-13 グンゼ株式会社 くも膜代用品
EP2174619A4 (en) * 2007-08-09 2012-11-28 Gunze Kk PROSTHESIS MATERIAL FOR A LIVING ORGAN
KR20170091579A (ko) * 2014-12-05 2017-08-09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조직 재생 기재 및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
JP2019141500A (ja) * 2018-02-23 2019-08-29 グンゼ株式会社 自動縫合器用組織補強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586A (ja) 1991-09-21 1993-03-30 Gunze Ltd 縫合補綴材
JP2014083106A (ja) 2012-10-19 2014-05-12 Gunze Ltd 生体吸収性組織補強材
JP2016146854A (ja) 2013-05-31 2016-08-18 学校法人同志社 組織再生基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97904A (zh) 2022-11-04
US20230110807A1 (en) 2023-04-13
WO2021187619A1 (ja) 2021-09-23
EP4122506A4 (en) 2024-03-13
JPWO2021187619A1 (ko) 2021-09-23
EP4122506A1 (en) 2023-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75461B1 (en) Tissue repair fiber membrane,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and tissue repair product
PL100801B1 (pl) Hamujacy krwawienie chirurgiczny material opatrunkowy oraz sposob wytwarzania hamujacego krwawienie chirurgicznego materialu opatrunkowego
CN1531910A (zh) 止血伤口敷料及其制备方法
CN113518633B (zh) 包含复合生物纺织品的医学植入物组件和制造方法
TWI636776B (zh) Artificial blood vessel
JPH07275344A (ja) 軟組織用医療用材料
JPH08337674A (ja) 多糖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101573838B1 (ko) 누에고치를 이용한 인공 생체막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2522272A (ja) 複合バイオテキスタイルの製造方法、及びそのような複合バイオテキスタイルを含む医療用インプラント
KR20220155268A (ko) 조직 보강재
JP3521226B2 (ja) 架橋複合生体材料
JP6343390B2 (ja) 繭を用いた歯科用遮蔽膜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815578A (zh) 一种人工生物硬脑膜及其制备方法
JP6581994B2 (ja) 組織再生基材の製造方法
CN111297512A (zh) 一种可吸收性组织修补网片及其制备方法
JP6006610B2 (ja) 生体吸収性組織補強材
JP2018519907A (ja) 絹マトリクスを用いた歯科用遮蔽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195626A (ja) 伸縮シート
JP6651757B2 (ja) 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7324055B2 (ja) 組織補強材及び組織補強材の製造方法
JP7329384B2 (ja) 組織再生基材
JP7220852B2 (ja) Gbr用メンブレン
CN213190318U (zh) 一种可吸收性组织修补网片
JP2023010189A (ja) 組織補強材
Zhong et al. The degradation of glycolic acid/lactic acid copolymer in viv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