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579A - 조직 재생 기재 및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조직 재생 기재 및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579A
KR20170091579A KR1020177007408A KR20177007408A KR20170091579A KR 20170091579 A KR20170091579 A KR 20170091579A KR 1020177007408 A KR1020177007408 A KR 1020177007408A KR 20177007408 A KR20177007408 A KR 20177007408A KR 20170091579 A KR20170091579 A KR 20170091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nonwoven fabric
pore diameter
cell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토시 아리무라
게이타 이데
Original Assignee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1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 A61F2/105Skin implants, e.g. artificial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56Cartilage endo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28Materials for coating prostheses
    • A61L27/34Macromolecula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01D5/0985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by means of a flowing gas (e.g. melt-blo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003Material related properties of the prosthesis or of a coating on the prosthesis
    • A61F2002/3006Properties of materials and coating materials
    • A61F2002/30062(bio)absorbable, biodegradable, bioerod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0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bioabsorb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bones; weight-bearing im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heu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의 침입성이 우수함과 함께, 조직 재생 기재로부터의 세포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조직 재생 기재 및 그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조직 재생 기재로서, 평균 구멍 직경이 20 ∼ 5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과, 평균 구멍 직경이 5 ∼ 2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이 복합 일체화된 적층 구조를 갖는 조직 재생 기재이다.

Description

조직 재생 기재 및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TISSUE REGENERATION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ISSUE REGENERATION SUBSTRATE}
본 발명은, 세포의 침입성이 우수함과 함께, 조직 재생 기재 (基材) 로부터의 세포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조직 재생 기재 및 그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세포 공학 기술의 진전에 따라, 인체 세포를 포함하는 여러가지 동물 세포의 배양이 가능해지고, 또한 그것들의 세포를 사용하여 인체의 조직이나 기관을 재구축하고자 하는, 이른바 재생 의료의 연구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연골, 뼈, 피부, 혈관 등의 조직이나 기관의 재생을 목적으로 한 재생 의료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재생 의료에 있어서는, 세포가 증식 분화되어 삼차원적인 생체 조직 모양의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는지가 포인트이며, 예를 들어, 기재를 환자의 체내에 이식하고, 주위의 조직 또는 기관으로부터 세포를 기재 안으로 침입시키며 증식 분화시켜 조직 또는 기관을 재생하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또, 생체 조직에 생긴 병소를 내시경하에서 절제하는 방법으로서 자동 봉합기 등을 사용한 절제술이 실시되고 있다. 폐, 기관지, 간장, 소화관 등의 취약한 조직이나, 병변에 따라 취약화된 조직에 대하여 절제술을 실시하는 경우, 봉합을 실시한 것만으로는 조직 단열 (斷裂) 의 우려가 있고, 또한, 예를 들어 폐 수술에 있어서는 공기 누출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봉합 보강재를 생체 조직의 절제 부위에 꿰매 맞춘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재생 의료용 기재나 봉합 보강재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는, 재생 의료용 기재나 봉합 보강재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그 공극 부분에 세포가 침입하여 증식되어, 조기에 조직이 재생되는 것이 기대된다. 또한, 취약한 조직의 보강재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조직의 단열을 방지하여, 공기 누출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정 기간 경과 후에는 분해되어 생체에 흡수되기 때문에, 재수술로 꺼낼 필요도 없다는 우수한 성능을 갖는다.
그러나, 실제로는 종래의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사용해도, 기대한 만큼은 조직의 재생이 촉진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5-076586호
조직 재생 기재를 구성하는 부직포에 대해서는, 세포의 침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5 ∼ 30 ㎛ 정도의 평균 구멍 직경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한 결과, 이와 같은 종래의 조직 재생 기재는, 세포의 침입성 관점에서는 우수하지만, 침입한 세포의 일부가 조직 재생 기재를 통과하여, 조직 재생 기재 밖으로 누출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음을 알아냈다. 침입한 세포가 조직 재생 기재 밖으로 누출되어 버림으로써, 실제로 환부에 남아 있는 세포 성분의 농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기대한 만큼은 조직의 재생이 촉진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한편, 세포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직포의 평균 구멍 직경을 작게 한 경우에는, 세포의 침입성이 저해되어, 조직 재생을 촉진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현 상황을 감안하여, 세포의 침입성이 우수함과 함께, 조직 재생 기재로부터의 세포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조직 재생 기재 및 그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조직 재생 기재로서, 평균 구멍 직경이 20 ∼ 5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과, 평균 구멍 직경이 5 ∼ 2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이 복합 일체화된 적층 구조를 갖는 조직 재생 기재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서술한다.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한 결과, 평균 구멍 직경이 20 ∼ 5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 (이하, 「세포 침입층」이라고도 한다.) 에 대하여 평균 구멍 직경이 5 ∼ 2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 (이하, 「세포 누출 방지층」이라고도 한다.) 을 복합 일체화시킨 적층 구조를 갖는 조직 재생 기재는, 우수한 세포 침입성을 유지한 채 세포가 조직 재생 기재 밖으로 누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여,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여기서,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도 일정 범위의 평균 구멍 직경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인 것이 중요하다. 단순히 체액이나 혈액 등에 포함되는 부유 세포의 누출을 방지할 뿐이면, 예를 들어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적층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필름을 적층시킨 경우에는,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본원 발명의 우수한 효과는, 평균 구멍 직경이 5 ∼ 2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을 세포 누출 방지층으로 함으로써 비로소 발휘된다.
이것은, 평균 구멍 직경이 5 ∼ 2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은, 체액이나 혈액 등에 부유되고 있는 세포를 거의 통과시키는 일이 없는 한편, 체액은 순조롭게 통과시킬 수 있다. 한편, 세포 누출 방지층의 구멍 직경이 해당 구멍 직경이면, 세포 침입층으로부터 세포 누출 방지층으로의 접착 세포의 침입을 촉구시킴과 함께, 세포 침입층에 있어서 증식하는 세포로의 영양 공급이 충분해지기 때문이 아닌가 하고 생각된다. 또, 체액의 침윤에 의해 발생한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직 재생 기재의 환부에 대한 밀착성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세포 침입층은, 체액이나 혈액 등에 포함되는 부유 세포의 포착, 및 접착 후의 세포나 주위 조직으로부터 침입하는 세포 증식의 토대가 되어,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갖는다.
상기 세포 침입층은,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포 침입층을 구성하는 생체 흡수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티드, 폴리-ε-카프로락톤, 락티드-글리콜리드 공중합체, 글리콜리드-ε-카프로락톤 공중합체, 락티드-ε-카프로락톤 공중합체, 폴리디옥사논, 폴리시트르산, 폴리말산, 폴리-α-시아노아크릴레이트, 폴리-β-하이드록시산, 폴리트리메틸렌옥살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옥살레이트, 폴리오르토에스테르, 폴리오르토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카보네이트, 폴리-γ-벤질-L-글루타메이트, 폴리-γ-메틸-L-글루타메이트, 폴리-L-알라닌 등의 합성 고분자나, 전분, 알긴산, 히알루론산, 키틴, 펙틴산 및 그 유도체 등의 다당류나, 젤라틴, 콜라겐, 알부민, 피브린 등의 단백질 등의 천연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의 생체 흡수성 재료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생체 흡수성 재료 중에서도, 폴리글리콜리드가 바람직하다. 폴리글리콜리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특히 세포의 침입성이 우수하여, 정상적인 조직의 재생을 실시할 수 있다. 폴리글리콜리드는, 예를 들어 섬유상으로 하여 37 ℃ 의 생리 식염수 중에 침지시킨 경우에, 인장 강도가 침지 전의 1/2 이 될 때까지의 기간이 약 14 일이다. 이와 같은 분해성을 가짐으로써, 세포가 증식되어 조직이 재생하는 시기에 기재가 서서히 분해 흡수되게 되어, 기재 내부까지 재생된 조직이 구축되고, 그 결과로서 양질의 재생 조직이 구축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생체 내에 매립 후 수일 간에 염증계의 세포가 소실되기 때문에, 조직의 유착을 잘 야기시키지 않는다는 우수한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폴리글리콜리드는, 폴리글리콜산 등의 글리콜리드의 중합체를 의미하는데,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락티드, ε-카프로락톤, p-디옥사논 등의 다른 생체 흡수성의 성분과의 공중합체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락티드 등의 다른 생체 흡수성 재료와의 혼합물로 해도 된다.
상기 폴리글리콜리드가 락티드, ε-카프로락톤, p-디옥사논 등의 다른 생체 흡수성의 성분과의 공중합체인 경우, 그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글리콜리드 성분의 배합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60 몰% 이다. 글리콜리드 성분의 배합량을 60 몰% 이상으로 함으로써, 세포의 침입성이 우수하고, 또한 정상적인 조직의 재생을 실시한다는 본 발명의 우수한 효과를 특히 발휘할 수 있다.
상기 폴리글리콜리드와 폴리락티드 등의 다른 생체 흡수성 재료와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그 혼합물에 있어서의 폴리글리콜리드의 배합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50 몰% 이다. 폴리글리콜리드의 배합량을 50 몰% 이상으로 함으로써, 세포의 침입성이 우수하고, 또한 정상적인 조직의 재생을 실시한다는 본 발명의 우수한 효과를 특히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생체 흡수성 재료가 폴리글리콜리드인 경우, 그 폴리글리콜리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30000, 바람직한 상한은 400000 이다. 상기 폴리글리콜리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0 미만이면, 강도가 부족하여 충분한 조직 보강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400000 을 초과하면, 생체 내에서의 분해 속도가 느려져, 이물질 반응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폴리글리콜리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000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00000 이다.
상기 생체 흡수성 재료가 폴리글리콜리드인 경우, 해당 폴리글리콜리드의 분자량의 대체 지표로서 멜트 플로우 레이트를 사용해도 된다. 그 폴리글리콜리드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의 바람직한 하한은 0.1 g/10 분, 바람직한 상한은 100 g/10 분이다. 이 범위내이면, 폴리글리콜리드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제작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폴리글리콜리드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 g/10 분,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0 g/10 분이다.
또, 멜트 플로우 레이트의 측정 조건은, 폴리글리콜리드를 240 ℃, 10 분간, 실린더 내에서 유지하며 용융한 후, 하중 4 kgf 의 조건에서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상기 세포 침입층을 구성하는 부직포는, 평균 구멍 직경의 하한이 20 ㎛, 상한이 50 ㎛ 이다. 상기 세포 침입층이 이러한 평균 구멍 직경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세포의 침입성이 우수하고, 또한 정상적인 조직의 재생에 바람직한 조직 재생 기재를 제공할 수 있다. 부직포 중의 구멍 직경이 20 ∼ 50 ㎛ 인 구멍에는, 세포가 용이하게 침입할 수 있어, 세포 침입층 내에서 증식, 분화되어 조직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비해, 평균 구멍 직경이 20 ㎛ 미만이면, 혈액 등에 포함되는 부유 세포가 효율적으로 침입할 수 없고, 평균 구멍 직경이 50 ㎛ 를 초과하면, 부유 세포의 침입은 가능하지만, 세포 간의 거리가 지나치게 떨어지기 때문에, 세포 침입층에 접착된 세포나 주위 조직으로부터 침입해 오는 세포가 충분히 증식, 분화될 수 없다. 상기 세포 침입층을 구성하는 부직포의 평균 구멍 직경의 바람직한 하한은 22 ㎛, 바람직한 상한은 40 ㎛ 이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4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0 ㎛ 이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직포의 평균 구멍 직경은, 버블 포인트법에 의해 측정된 평균 구멍 직경을 의미한다.
상기 버블 포인트법에 의한 부직포의 구멍 직경 분포의 측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버블 포인트법이란, 측정 대상이 되는 막을 잘 적시는 액체를 미리 막의 세공 내에 흡수시켜 두고,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구에 설치하고, 막의 이면측에서부터 공기압을 가하여, 막 표면에 기포의 발생을 관찰할 수 있는 최소 압력 (버블 포인트) 을 측정하고, 액체의 표면 장력과 버블 포인트의 관계식으로부터 구멍 직경 분포를 추산하는 (도 2)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대상이 되는 부직포에 습윤액 (예를 들어, 불소계 용매, 상품명 Porofil (상표)) 을 흡수시킨 후,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구 (예를 들어, 닛폰 벨사 제조, Porometer 3G) 에 시험편 치수가 직경 25 mm 인 원 형상이 되도록 설치한 후, 부직포의 이면측에서부터 공기압을 가하여, 막 표면에 기포의 발생을 관찰할 수 있는 최소 압력 (버블 포인트) 을 측정한다.
또, 도 2 에 기재된 세공 (細孔) 직경을 산출하는 식에 있어서, γ 는 침윤액의 표면 장력을 나타내고, θ 는 부직포 소재 상의 침윤액의 접촉각을 나타내고, ΔP 는 버블 포인트압을 나타낸다.
상기 세포 침입층을 구성하는 부직포의 평균 섬유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10 ㎛, 바람직한 상한은 50 ㎛ 이다. 상기 부직포의 평균 섬유 직경이 이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평균 구멍 직경을 상기 규정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부직포의 평균 섬유 직경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5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0 ㎛ 이다.
또, 부직포의 평균 섬유 직경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1000 배로 촬영한 부직포의 이미지를 기초로, 섬유 직경을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섬유에 대해서 그 중점의 직경을 계측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세포 침입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300 ㎛, 바람직한 상한은 2.0 mm 이다. 상기 세포 침입층의 두께가 300 ㎛ 미만이면, 강도가 부족하여 취약한 조직의 보강에는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2.0 mm 를 초과하면, 취급성이 열등하다. 상기 세포 침입층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45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5 mm 이다.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은, 체액이나 혈액 등에 포함되는 부유 세포가 조직 재생 기재 밖으로 누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체액은 순조롭게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세포 침입층으로의 세포의 침입을 촉구시키고, 상기 세포 침입층에 있어서 증식하는 세포로의 영양 공급을 확보하는 역할을 갖는다. 또한, 세포 침입층에서 증식한 세포가 세포 누출 방지층 내부에도 침입할 수 있고, 해당 세포 누출 방지층만이 탈락되는 경우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은,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을 구성하는 생체 흡수성 재료로서는, 상기 세포 침입층에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생체 흡수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을 구성하는 생체 흡수성 재료는, 상기 세포 침입층을 구성하는 생체 흡수성 재료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을 구성하는 부직포는, 평균 구멍 직경의 하한이 5 ㎛, 상한이 20 ㎛ 이다.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이 이러한 평균 구멍 직경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조직 재생 기재로부터의 체액이나 혈액 등에 포함되는 부유 세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체액을 순조롭게 통과시킬 수 있고, 상기 세포 침입층으로의 세포의 침입을 촉구시켜, 상기 세포 침입층에 있어서 증식하는 세포로의 영양 공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세포 침입층에서 증식한 세포가 세포 누출 방지층 내부에도 침입할 수 있고, 해당 세포 누출 방지층만이 탈락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을 구성하는 부직포의 평균 구멍 직경이 20 ㎛ 를 초과하면, 조직 재생 기재로부터의 세포의 누출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다.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을 구성하는 부직포의 평균 구멍 직경이 5 ㎛ 미만이면, 상기 세포 침입층으로의 세포의 침입성이 저하되거나, 상기 세포 침입층 안의 세포로의 영양 공급이 불충분해지거나 하여, 충분히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을 구성하는 부직포의 평균 구멍 직경의 바람직한 하한은 6 ㎛, 바람직한 상한은 18 ㎛ 이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7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6 ㎛ 이다.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을 구성하는 부직포의 평균 섬유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0.7 ㎛, 바람직한 상한은 7.0 ㎛ 이다. 상기 부직포의 평균 섬유 직경이 이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평균 구멍 직경을 상기 규정한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부직포의 평균 섬유 직경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9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0 ㎛ 이다.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10 ㎛, 바람직한 상한은 150 ㎛ 이다.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의 두께가 10 ㎛ 미만이면, 조직 재생 기재로부터의 세포의 누출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150 ㎛ 를 초과하면, 상기 세포 침입층으로의 세포의 침입성이 저하되거나, 상기 세포 침입층 안의 세포로의 영양 공급이 불충분해지거나 하여, 충분히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100 ㎛ 이다.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는, 상기 세포 침입층과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의 2 층이 복합 일체화된 적층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되고, 상기 세포 침입층과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과 상기 세포 침입층의 3 층이 이 차례로 복합 일체화된 적층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3 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조직 재생 기재는, 이식했을 때에 조직 재생 기재의 양면으로부터 세포가 침입할 수 있는 한편, 중앙의 세포 누출 방지층에 의해 침입한 세포가 조직 재생 기재 밖으로 누출되어 버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매우 높은 효율로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가 상기 세포 침입층과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의 2 층이 복합 일체화된 적층 구조를 갖는 것인 경우,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의 상기 세포 침입층측과는 반대측인 면에, 추가로 평균 섬유 직경이 0.1 ∼ 0.7 ㎛ 인 섬유가 집합된 층 (이하, 「미세 섬유 집합체층」이라고도 한다.) 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미세 섬유 집합체층을 적층시킴으로써, 조직 재생 기재로부터의 세포의 누출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미세 섬유 집합체층을 구성하는 생체 흡수성 재료로서는, 상기 세포 침입층이나 세포 누출 방지층에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생체 흡수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세 섬유 집합체층을 구성하는 생체 흡수성 재료는, 상기 세포 침입층이나 세포 누출 방지층을 구성하는 생체 흡수성 재료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미세 섬유 집합체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의 바람직한 하한은 0.2 ㎛, 바람직한 상한은 0.65 ㎛ 이다. 상기 미세 섬유 집합체층의 섬유가 이 범위에 있는 경우에, 상기 세포 침입층으로의 세포의 침입성이나 상기 세포 침입층 안의 세포로의 영양 공급성에 영향 미치지 않고, 조직 재생 기재로부터의 세포의 누출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미세 섬유 집합체층의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3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6 ㎛ 이다.
상기 미세 섬유 집합체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1.0 ㎛, 바람직한 상한은 100 ㎛ 이다. 상기 미세 섬유 집합체층의 두께가 1.0 ㎛ 미만이면, 조직 재생 기재로부터의 세포의 누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100 ㎛ 를 초과하면, 상기 세포 침입층으로의 세포의 침입성이 저하되거나, 상기 세포 침입층 안의 세포로의 영양 공급이 불충분해지거나 하여, 충분히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미세 섬유 집합체층의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5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0 ㎛ 이다.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는, 상기 세포 침입층과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이 복합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세포 침입층과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이 복합 일체화되어 있지 않으면,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에 세포를 파종하거나, 조직 또는 기관에 이식하거나 할 때에, 상기 세포 침입층과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의 일부 또는 전부가 박리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상기 세포 침입층과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이 일부라도 박리되면, 그 박리부에 형성된 공간에 세포가 머물러 있어, 정상적인 조직 또는 기관이 재생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세포 침입층과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이 복합 일체화되어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를 조직 또는 기관에 이식할 때에, 접어서 작게 하여 이식해도 상기 세포 침입층과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이 박리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정량적으로는, JIS L 1021-9 에 규정된 박리 강도 시험 방법에 준하여 측정된 박리 강도가 0.1 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N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세포 침입층과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을 복합 일체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의료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첩합 (貼合) 시키는 방법이나, 세포 침입층 또는 세포 누출 방지층의 표면 일부를 용제로 용해시키고 나서 첩합시키는 방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으로 세포 침입층과 세포 누출 방지층을 접합시킨 경우, 접합면에 있어서 각 층의 구멍이 막혀 버려, 체액의 순조로운 통과를 방해하여, 세포 침입층에 있어서의 세포로의 영양 공급을 저해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상기 세포 침입층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세포 침입층 상에, 멜트 블로우법에 의해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실을 토출하여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을 형성하여 적층체를 얻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에 니들 펀치를 실시하여, 상기 세포 침입층과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을 복합 일체화시키는 공정을 갖는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접합면에 있어서 구멍을 막는 일 없이 세포 침입층과 세포 누출 방지층을 복합 일체화시킬 수 있음을 알아냈다. 이와 같은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 또한 본 발명 중 하나이다 (이하, 「제 1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예의 검토한 결과, 상기 세포 침입층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을 조제하는 공정과, 얻어진 세포 침입층과 세포 누출 방지층을 적층시켜 적층체를 얻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에 니들 펀치를 실시하여, 상기 세포 침입층과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을 복합 일체화시키는 공정을 갖는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접합면에 있어서 구멍을 막는 일 없이 세포 침입층과 세포 누출 방지층을 복합 일체화시킬 수 있음을 알아냈다. 이와 같은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 또한 본 발명 중 하나이다 (이하, 「제 2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이라고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제 1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과 제 2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에 공통되는 사항은, 간단히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에서는, 우선, 상기 세포 침입층을 조제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상기 세포 침입층을 조제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일렉트로 스피닝 디포지션법, 멜트 블로우법, 니들 펀치법, 스팬 본드법, 플래시 방사법, 수류 교락법, 에어레이드법, 서멀 본드법, 레진 본드법, 습식법 등의 종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세포 침입층의 조제에는 니들 펀치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세포 침입층을 조제하는 공정 후에, 상기 세포 침입층의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을 적층시키는 측의 표면에 스커핑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리 상기 세포 침입층의 표면에 스커핑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과의 밀착성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 스커핑 처리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기모기를 사용하여 상기 세포 침입층의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을 적층시키는 측의 표면을 기모 처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세포 침입층의 제조 방법으로서 니들 펀치법을 이용한 경우에는, 얻어진 세포 침입층의 표면은 이미 기모되어 있기 때문에, 스커핑 처리를 실시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 1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에서는, 이어서, 상기 세포 침입층 상에, 멜트 블로우법에 의해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실을 토출하여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을 형성하여 적층체를 얻는 공정을 실시한다.
멜트 블로우법은, 원료가 되는 생체 흡수성 재료를 1 단계에서 부직포로 하는 용융 방사법이다. 구체적으로는, 압출기로 용융된 생체 흡수성 재료를, 폭 방향으로 다수의 꼭지쇠를 갖는 다이로부터 섬유 포집점으로 향해 고온, 고속의 공기 흐름으로 사상 (絲狀) 으로 불어 내어, 섬유상으로 연신된 수지를 컨베이어 상에서 집적시킨다. 토출부터 집적 사이에 섬유끼리의 엉킴 및 융착이 일어나서 부직포가 형성된다. 제 1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세포 침입층을 컨베이어 상, 멜트 블로우법에 의한 섬유 포집점보다 바로 앞이 되도록 배치하고, 그 세포 침입층을 컨베이어로 이동시키면서, 세포 침입층 상에 섬유를 토출하여 세포 누출 방지층을 형성시킨다.
이 때, 멜트 블로우법의 폴리머 토출량, 토출 출구 부근의 에어 풍속, 컨베이어의 속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형성되는 세포 누출 방지층의 섬유 직경, 밀도, 두께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 2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세포 침입층과는 별도로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을 조제하는 공정을 실시하여, 얻어진 세포 침입층과 세포 누출 방지층을 적층시켜 적층체를 얻는 공정을 실시한다.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을 조제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멜트 블로우법에 의해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실을 토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체는, 세포 침입층과 세포 누출 방지층을 쌓아 올림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에서는, 이어서, 상기 적층체에 니들 펀치를 실시하여, 상기 세포 침입층과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을 복합 일체화시키는 공정을 실시한다.
니들 펀치에 의해, 접합면에 있어서 각 층의 구멍을 막는 일 없이 상기 세포 침입층과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을 확실히 복합 일체화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적층체에 니들 펀치를 실시할 때의 니들의 진입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에서는, 이어서, 상기 적층체에 열세트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열세트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얻어지는 조직 재생 기재의 표면이 평활해져, 취급성이 향상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열세트 처리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적층체를 구성하는 폴리머의 결정화점 이상의 온도하에서 롤러 프레스를 실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가 상기 미세 섬유 집합체층을 갖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 상에 일렉트로 스피닝 디포지션법에 의해 미세 섬유를 토출하는 방법에 의해 미세 섬유 집합체층을 형성하여 적층체를 형성한 후, 그 적층체에 니들 펀치를 실시하여, 상기 세포 침입층과 상기 세포 누출 방지층과 상기 미세 섬유 집합체층을 복합 일체화시키는 공정을 실시한다.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는, 상기 세포 침입층과 세포 누출 방지층이 복합 일체화된 적층 구조를 갖기 때문에, 조직의 보강이나 조직 재생의 촉진의 토대로 하여 옮겨 매립할 때에, 세포의 포착성이나 침입성이 우수하고, 또한 조직 재생 기재로부터의 세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 재생 기재 중에 있어서의 세포의 밀도를 높여 조기에 조직이 재생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연골, 뼈, 피부, 혈관 등의 조직이나 기관의 재생을 목적으로 한 재생 의료용 기재로서 바람직하다.
이들 조직이나 기관의 재생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재생하고자 하는 조직이나 기관의 부위에,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를 이식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에 미리 세포를 파종해 두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는, 폐루 (肺漏), 기관지 단단 (斷端), 췌액루, 담즙루 등의 조기 치유하는 것이 바람직한 부위에 첩부 (貼付) 함으로써, 취약한 조직의 보강 및 조직 재생을 촉구하는 토대로서 유용하고, 특히 조직의 움직임이 적은 기관지 단단, 췌액루, 담즙루 등의 부위에 첨부한 경우에 그 효과가 현저하다.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는, 수술 후, 취약한 조직을 덮도록 첩부한다. 자동 봉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조직 재생 기재를 조직에 첩부한 후에 자동 봉합기를 사용하여 봉합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폐의 공기 누출이나 여러 조직으로부터의 체액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도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포의 침입성이 우수함과 함께, 조직 재생 기재로부터의 세포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조직 재생 기재, 및 그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버블 포인트법에 의한 부직포의 구멍 직경 분포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버블 포인트법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부직포의 구멍 직경 분포를 추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3 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평가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세포 침입층의 조제
생체 흡수성 재료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250000 인 폴리글리콜리드를 사용하고, 이것을 방사하여 얻은 실로 이루어지는 천을 니들 펀치법에 의해 부직포화시키는 방법에 의해 평균 섬유 직경이 약 16 ㎛, 두께가 약 1.5 mm 인 세포 침입층을 얻었다.
또, 얻어진 세포 침입층에, 습윤액으로서 불소계 용매 (상품명 Porofil (상표)) 를 흡수시킨 후, 닛폰 벨사 제조의 Porometer 3G 에 시험편 치수가 직경 25 mm 인 원 형상이 되도록 설치하고, 세포 침입층의 이면측으로부터 공기압을 가하여, 막 표면에 기포의 발생을 관찰할 수 있는 최소 압력 (버블 포인트) 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버블 포인트를 기초로 세포 침입층의 구멍 직경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얻고, 그 그래프로부터 평균 구멍 직경을 산출한 바, 28 ㎛ 였다.
(2) 세포 누출 방지층의 적층
얻어진 세포 침입층을, 멜트 블로우법에 의한 섬유 포집점보다 바로 앞이 되도록 컨베이어 상에 설치하였다. 컨베이어를 이동시키면서, 세포 침입층 상에 멜트 블로우법에 의해 폴리글리콜리드로 이루어지는 실을 토출하여 세포 누출 방지층을 적층시켰다.
멜트 블로우법은, 원료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250000 인 폴리글리콜리드를 사용하여, 폴리머 토출량 0.2 kg/h, 토출 출구 부근의 에어 풍속 11 m/초의 조건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컨베이어의 이동 속도는, 상기 멜트 블로우법에 의해 얻어지는 세포 누출 방지층의 밀도가 10 g/㎡ 가 되는 속도로 설정하였다.
또, 별도로 동일한 조건에서 세포 누출 방지층만을 제조하여, 버블 포인트법에 의해 세포 누출 방지층의 평균 구멍 직경을 산출한 바, 12 ㎛ 였다.
(3) 세포 침입층과 세포 누출 방지층의 복합 일체화
얻어진 적층체의 세포 누출 방지층측에서부터 니들이 진입하도록 니들 펀치를 실시하여, 세포 침입층과 세포 누출 방지층을 복합 일체화시켰다.
(실시예 2)
세포 침입층의 조제에 있어서, 니들 펀치법에 의해 얻은 세포 침입층에 열 프레스 처리를 실시하여 표면을 평활하게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조직 재생 기재를 얻었다.
(실시예 3)
세포 침입층의 조제에 있어서, 니들 펀치법에 의해 얻은 세포 침입층에 열 프레스 처리를 실시하여 표면을 평활하게 한 후, 놋쇠제 브러시에 의해 브러싱을 실시하는 방법에 의해 스커핑 처리를 실시하고, 세포 누출 방지층을 스커핑 처리를 실시한 측에 적층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조직 재생 기재를 얻었다.
(실시예 4)
(1) 세포 침입층의 조제
생체 흡수성 재료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250000 인 폴리글리콜리드를 사용하고, 이것을 방사하여 얻은 실로 이루어지는 천을 니들 펀치법에 의해 부직포화시키는 방법에 의해 평균 섬유 직경이 약 16 ㎛, 두께가 약 1.5 mm 인 세포 침입층과, 평균 섬유 직경이 약 16 ㎛, 두께가 약 0.5 mm 인 세포 침입층의 2 종의 세포 침입층을 얻었다.
또, 얻어진 세포 침입층에 대해서, 버블 포인트법에 의해 평균 구멍 직경을 산출한 바, 모두 28 ㎛ 였다.
(2) 세포 누출 방지층의 조제
생체 흡수성 재료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250000 인 폴리글리콜리드를 사용하여, 멜트 블로우법에 의해 평균 섬유 직경이 약 2 ㎛, 두께가 약 50 ㎛ 인 세포 누출 방지층을 얻었다. 또, 얻어진 세포 누출 방지층에 대해서, 버블 포인트법에 의해 평균 구멍 직경을 산출한 바, 12 ㎛ 였다.
(3) 세포 침입층과 세포 누출 방지층의 복합 일체화
두께가 약 1.5 mm 인 세포 침입층, 두께가 약 50 ㎛ 인 세포 누출 방지층, 및 두께가 약 0.5 mm 인 세포 침입층을 이 차례로 쌓아 올려 3 층 구조의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3 층 구조의 적층체의 두께가 약 0.5 mm 인 세포 침입층측에서부터 니들 펀치를 실시하여, 3 층을 복합 일체화시켜 조직 재생 기재를 얻었다.
(비교예 1)
생체 흡수성 재료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250000 인 폴리글리콜리드를 사용하고, 이것을 방사하여 얻은 실로 이루어지는 천을 니들 펀치법에 의해 부직포화시키는 방법에 의해 평균 섬유 직경이 약 16 ㎛, 두께가 약 1.5 mm 인 부직포를 얻고, 이것을 조직 재생 기재로 하였다. 또, 얻어진 부직포에 대해서, 버블 포인트법에 의해 평균 구멍 직경을 측정한 바, 28 ㎛ 였다.
(비교예 2)
생체 흡수성 재료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250000 인 폴리글리콜리드를 사용하여, 멜트 블로우법에 의해 평균 섬유 직경이 약 2 ㎛, 두께가 약 50 ㎛ 인 부직포를 얻고, 이것을 조직 재생 기재로 하였다. 또, 얻어진 부직포에 대해서, 버블 포인트법에 의해 평균 구멍 직경을 측정한 바, 12 ㎛ 였다.
(비교예 3)
니들 펀치에 의한 복합 일체화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조직 재생 기재를 얻었다.
(비교예 4)
니들 펀치에 의한 복합 일체화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조직 재생 기재를 얻었다.
(비교예 5)
니들 펀치에 의한 복합 일체화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조직 재생 기재를 얻었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조직 재생 기재에 대해서,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를 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1) 입자 보충률의 평가
평균 입자경이 20 ㎛ 인 폴리스티렌 입자를, 에탄올 수용액 (물/에탄올 (체적비)=80/20) 에 분산시킨 입자 분산액을 조제하였다.
조직 재생 기재를 20 mm × 20 mm 의 정방형으로 절단하여, 금속 메시 상에 고정시켰다. 조직 재생 기재의 세포 침입층측 (실시예 4 에 있어서는, 두께가 약 1.5 mm 인 세포 침입층측) 에서부터 입자 분산액 2 ㎖ 를 천천히 적하시켜, 조직 재생 기재를 투과시켰다. 투과 전후의 입자 분산액의 파장 230 nm 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농도가 이미 알려진 폴리스티렌 라텍스 입자 분산액의 흡광도 측정에서 얻은 검량선을 사용하여 입자 농도 (개/㎖) 를 산출하였다. 얻어진 투과 전후의 입자 분산액의 입자 농도와, 투과 전후의 분산액의 중량에서 계산한 분산액 체적을 사용하여 투과 전후의 입자 분산액 중의 입자수를 구하고, 하기 식에 의해 입자 보충률 (%) 을 산출하였다.
입자 보충률 (%)=(투과 전의 입자 분산액 중의 입자수-투과 후의 입자 분산액 중의 입자수)/투과 전의 입자 분산액 중의 입자수
(2) 세포 유지성의 평가
도 3 에 나타낸 배양 방법에 의해 조직 재생 기재에 세포를 파종하고, 그 증식을 평가하였다.
즉, 샬레 (4) 상에, 스펀지 형상체 (5) 를 배치하고, 배양액 (6) 을 스펀지 형상체 (5) 의 표면이 액 상태가 되도록 부었다 (이로써, 배양액은 스펀지 형상체 (5) 로부터만 공급된다.). 이 스펀지 형상체 (5) 상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조직 재생 기재 (7) 를 배치하였다. 또, 실시예 및 비교예 3 ∼ 5 에서는, 세포 누출 방지층측을 아래로 하여 스펀지 형상체 (5) 에 접하도록 하였다. 또한, 실시예 4 에서는, 두께가 약 0.5 mm 인 세포 침입층측을 아래로 하여 스펀지 형상체 (5) 에 접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상태로 배치한 조직 재생 기재 (7) 에, 1×105 개/㎠ 의 파종 밀도가 되도록 선유아세포를 파종하였다. 그 후, 1 일마다 배양액 (6) 을 교환하면서 7 일간 배양하였다. 7 일간 배양 후에 조직 재생 기재 (7) 에 포함되는 세포수를, MTT 어세이법에 의해 계수하고, 비교예 1 의 조직 재생 기재에 포함되는 세포수를 100 으로 하여, 다른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직 재생 기재에 포함되는 세포수를 나타냈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3) 복합 일체성의 평가 (정성 평가)
세포 재생 기재의 복합 일체성을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 : 조직 재생 기재를 접어서 작게 했을 때에 세포 침입층과 세포 누출 방지층이 박리되는 일이 없고, 또한 세포 침입층과 세포 누출 방지층을 손으로 박리시키고자 하면 먼저 세포 침입층 또는 세포 누출 방지층이 파단되었다.
○ : 조직 재생 기재를 접어서 작게 했을 때에 세포 침입층과 세포 누출 방지층이 박리되는 일이 없고, 또한 세포 침입층과 세포 누출 방지층을 손으로 박리시키고자 해도 용이하게는 박리할 수 없었다.
△ : 조직 재생 기재를 접어서 작게 했을을 때에 세포 침입층과 세포 누출 방지층의 일부가 박리되어 버리고, 또한 세포 침입층과 세포 누출 방지층을 손으로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었다.
× : 조직 재생 기재를 접어서 작게 했을 때에 세포 침입층과 세포 누출 방지층이 전부 박리되어 버리고, 또한 세포 침입층과 세포 누출 방지층을 손으로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었다.
(4) 복합 일체성의 평가 (정량 평가)
세포 재생 기재의 복합 일체성을, JIS L 1021-9 에 규정된 박리 강도 시험 방법에 준하여 박리 강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얻어진 조직 재생 기재를 가로 20 mm × 세로 50 mm 로 잘게 잘라내고, 세포 침입층과 세포 누출 방지층을 손으로 미리 세로 방향으로 25 mm 박리하여 그립부를 형성한 것을 샘플로 하였다. 얻어진 샘플의 각각의 층의 그립부를 척으로 끼우고 (그립 거리 20 mm), 오토 그래프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AGS-J」, 로드 셀 50N) 를 사용하여 인장 속도 100 mm /min 의 조건으로 인장하여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 JIS L 1021-9 에서는, 샘플은 가로 50 mm × 세로 200 mm, 미리 박리시키는 길이 (그립부 길이) 는 50 mm 로 되어 있는데, 세포 재생 기재가 조직 또는 기관에 이식하는 것임을 고려하여 상기 샘플로 하였다. 또한, 동 JIS 에서는, 샘플은 항온 항습실 (20 ℃, 65 %) 에서 24 시간 정치 (靜置) 로 되어 있는데, 본 샘플은 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기재이기 때문에 이 조작은 생략하고, 샘플 제작 직후에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의 세포 재생 기재에서는, 샘플 조제에 있어서, 20 mm × 50 mm 의 시험편의 각 층을 세로 방향으로 25 mm 까지 박리시키고, 두께가 약 1.5 mm 인 세포 침입층과 두께가 약 50 ㎛ 인 세포 누출 방지층을 각각 척으로 끼우고, 상기 조건하에서 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이 두 층 사이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Figure pct00001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세포의 침입성이 우수함과 함께, 조직 재생 기재로부터의 세포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조직 재생 기재, 및 그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4 : 샬레
5 : 스펀지 형상체
6 : 배양액
7 : 조직 재생 기재

Claims (10)

  1.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조직 재생 기재로서,
    평균 구멍 직경이 20 ∼ 5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과, 평균 구멍 직경이 5 ∼ 2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이 복합 일체화된 적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 기재.
  2. 제 1 항에 있어서,
    평균 구멍 직경이 20 ∼ 5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과, 평균 구멍 직경이 5 ∼ 2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과, 평균 구멍 직경이 20 ∼ 5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의 3 층이 이 차례로 복합 일체화된 적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 기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평균 구멍 직경이 20 ∼ 50 ㎛ 인 부직포의 평균 섬유 직경이 10 ∼ 50 ㎛ 이며, 또한, 평균 구멍 직경이 5 ∼ 20 ㎛ 인 부직포의 평균 섬유 직경이 0.7 ∼ 7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 기재.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평균 구멍 직경이 20 ∼ 5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의 두께가 300 ㎛ ∼ 2.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 기재.
  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평균 구멍 직경이 5 ∼ 2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의 두께가 10 ∼ 15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 기재.
  6.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생체 흡수성 재료는 폴리글리콜리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 기재.
  7. 제 6 항에 있어서,
    폴리글리콜리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0 ∼ 400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 기재.
  8.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기재된 조직 재생 기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평균 구멍 직경이 20 ∼ 5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평균 구멍 직경이 20 ∼ 5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 상에, 멜트 블로우법에 의해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실을 토출하여 평균 구멍 직경이 5 ∼ 2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하여 적층체를 얻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에 니들 펀치를 실시하여, 상기 평균 구멍 직경이 20 ∼ 5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과 상기 평균 구멍 직경이 5 ∼ 2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을 복합 일체화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기재된 조직 재생 기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평균 구멍 직경이 20 ∼ 5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을 조제하는 공정과,
    평균 구멍 직경이 5 ∼ 2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평균 구멍 직경이 20 ∼ 5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과 상기 평균 구멍 직경이 5 ∼ 2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시켜 적층체를 얻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에 니들 펀치를 실시하여, 상기 평균 구멍 직경이 20 ∼ 5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과 상기 평균 구멍 직경이 5 ∼ 2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을 복합 일체화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평균 구멍 직경이 20 ∼ 5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을 조제하는 공정 후에, 평균 구멍 직경이 20 ∼ 5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의 평균 구멍 직경이 5 ∼ 20 ㎛ 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시키는 측의 표면에 스커핑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
KR1020177007408A 2014-12-05 2015-12-03 조직 재생 기재 및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 KR201700915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47083 2014-12-05
JP2014247083 2014-12-05
PCT/JP2015/083968 WO2016088821A1 (ja) 2014-12-05 2015-12-03 組織再生基材及び組織再生基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579A true KR20170091579A (ko) 2017-08-09

Family

ID=56091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408A KR20170091579A (ko) 2014-12-05 2015-12-03 조직 재생 기재 및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65780B2 (ko)
EP (1) EP3228332B1 (ko)
JP (1) JP6581994B2 (ko)
KR (1) KR20170091579A (ko)
CN (1) CN107073166A (ko)
WO (1) WO20160888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9384B2 (ja) * 2019-08-08 2023-08-18 グンゼ株式会社 組織再生基材
EP4122506A4 (en) * 2020-03-19 2024-03-13 Gunze Limited STRUCTURAL REINFORCEMENT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2606B2 (ja) 1991-09-21 1999-10-12 グンゼ株式会社 医療用補綴材
US20040254640A1 (en) 2002-03-01 2004-12-16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Needle punched textile for use in growing anatomical elements
JP4411834B2 (ja) * 2002-10-31 2010-02-10 ニプロ株式会社 生分解性基材及び組織再生用補綴材並びに培養組織
JP2005177197A (ja) * 2003-12-19 2005-07-07 Toyo Tire & Rubber Co Ltd シート用パッド
EP2244754B1 (en) * 2008-01-25 2015-03-25 Smith & Nephew, PLC Multilayer scaffold
JP5594815B2 (ja) * 2009-09-10 2014-09-24 国立大学法人 名古屋工業大学 骨再生誘導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0048710B4 (de) * 2010-03-30 2013-05-23 3T Textiltechnologietransfer Gmbh Implantat mit einer Sandwich-Struktur
WO2014192803A1 (ja) * 2013-05-31 2014-12-04 学校法人同志社 組織再生基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81994B2 (ja) 2019-09-25
JPWO2016088821A1 (ja) 2017-09-14
US10765780B2 (en) 2020-09-08
US20170312395A1 (en) 2017-11-02
EP3228332A4 (en) 2018-07-25
EP3228332A1 (en) 2017-10-11
WO2016088821A1 (ja) 2016-06-09
CN107073166A (zh) 2017-08-18
EP3228332B1 (en)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6911B2 (ja) 創傷治療用の繊維微小球の生体吸収性複合体足場
EP2792351B1 (en) Anti-adhesive composition, surgical mesh complex containing same for anti-adhesion functio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070092701A (ko) 지혈용 강화 흡수성 다층 상처 드레싱 및 제조방법
JP5313142B2 (ja) 生体器官用補綴材
BR112012029190B1 (pt) Pano em múltiplas camadas absorvível e reforçado para aplicações hemostáticas
JP6771315B2 (ja) 編地および非多孔性フィルムを備える合成プロテーゼ、ならびにそれを形成する方法
KR20170091579A (ko) 조직 재생 기재 및 조직 재생 기재의 제조 방법
JP6295182B2 (ja) 組織再生基材
WO2014192803A1 (ja) 組織再生基材
JP5939565B2 (ja) 組織再生基材
EP3636292B1 (en) Meniscus regeneration substrate
JP6920691B2 (ja) 半月板再生基材
JP2021090698A (ja) 自動縫合器用縫合補綴材
JP4576143B2 (ja) 止血パッチ
JP7538306B2 (ja) 組織再生基材
JP7017913B2 (ja) 軟骨組織の製造方法及び軟骨組織
JP2016146854A (ja) 組織再生基材
JP2016146855A (ja) 組織再生基材
JP2014200199A (ja) 生体親和性多孔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36615B1 (ko) 유착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메쉬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2042770A (ja) 組織補強材装着器及び組織補強材装着キット
JP2023010189A (ja) 組織補強材
CN114632190A (zh) 半月板再生基材
WO2005000162A1 (ja) 生体内移植材料
JP2021132881A (ja) 軟骨再生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