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2606A - 한우의 육량 관련 fasn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한우의 육량 관련 fasn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2606A
KR20220152606A KR1020210059705A KR20210059705A KR20220152606A KR 20220152606 A KR20220152606 A KR 20220152606A KR 1020210059705 A KR1020210059705 A KR 1020210059705A KR 20210059705 A KR20210059705 A KR 20210059705A KR 20220152606 A KR20220152606 A KR 20220152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er set
seq
fasn
genotype
pr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6053B1 (ko
Inventor
이윤석
이원희
Original Assignee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59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053B1/ko
Publication of KR20220152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24Animal traits, i.e. production traits, including athletic performance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7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livestock or poult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열번호 2 내지 5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한우의 육량 관련 FASN (Fatty acid synthase)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프라이머 세트,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FASN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키트 및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FASN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우의 육량 관련 FASN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Primer sets for determining genotype of FASN gene related to meat of Korean native cattle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한우의 육량 관련 FASN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한우산업은 지방선호도가 전보다 좀 덜해진 소비트랜드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2019년 12월 1일부터 소고기 등급 제도가 개선되었는데, 근내지방도 기준을 완화하여 육질등급 결정방식을 일부 바꾸었고, 1종의 육량산식을 6종으로 개발하여 도체중량이 크면서 정육량과 정육율이 우수한 소의 변별력을 강화하였다(축산물품질평가원, 2020). 이러한 변화된 육류등급제에 따른 육량 및 육질의 극대화 방안 관련 더 정밀한 사양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한우의 육량과 관련된 FASN (Fatty acid synthase) 유전자의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다형성을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대립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 세트를 제작하고, 이를 활용하여 한우 FASN 유전자의 유전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149696호에는 '지방산 합성효소의 유전자형을 토대로 소 근육내 지방에 있어서의 지방산 함유량의 많고 적음을 판정하는 방법 및 그 결과를 토대로 쇠고기의 식미의 좋음을 판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16-0059135호에는 '소 육량등급 예측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예측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한우의 육량 관련 FASN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한우의 육량과 관련된 FASN (Fatty acid synthase) 유전자의 SNP 다형성을 효율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대립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 세트를 고안하고,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 산물의 크기 판별을 통해 FASN 유전자의 유전형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열번호 2 내지 5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한우의 육량 관련 FASN (Fatty acid synthase)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한우에서 육량 관련 FASN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우 개체에서 게놈 DNA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 반응을 수행하여 표적 서열을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 단계의 산물의 유전형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우의 육량 관련 FASN 유전자의 유전형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있어서, 63번째에 위치한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염기를 포함하는 8개 이상의 연속된 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한우의 육량 관련 FASN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SNP 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우의 육량 관련 FASN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프라이머 세트는 대립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여, FASN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SNP)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의 증폭 산물이 생성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종래 SNP 염기를 포함하는 증폭 산물에 제한효소를 처리하고 전기영동을 통해 유전형을 확인하던 방법에 비해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FASN 유전자 내 SNP를 기반으로 설계된 SNP 대립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의 위치 및 상기 프라이머를 사용한 allele-specific PCR 실험원리에 대한 모식도이다. O.F, Outer forward primer; O.R, Outer reverse primer; I.F, Inner forward primer; I.R, Inner reverse primer.
도 2는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한 주형 서열(서열번호 1)로, 빨간색으로 표시된 염기가 SNP 다형성 위치이다.
도 3은 한우 10두의 게노믹 DNA를 이용한 대립유전자 특이적 PCR 결과이다.
도 4는 1등급 판정을 받은 한우 및 외국품종에서 FASN 유전자 내 SNP 마커(rs41919985)의 유전형 빈도분포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2 내지 5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한우의 육량 관련 FASN (Fatty acid synthase)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2 내지 5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소 유래 FASN 유전자 단편의 63번째에 위치한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염기의 유전형을 결정하는 프라이머 세트이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은 GenBank accession no. AC_000176.1의 서열에서 51401970 부터 51402161 까지의 염기서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2 및 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외부(outer) 프라이머 세트이고, 서열번호 4 및 5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내부(inner) 프라이머 세트이다.
상기 서열번호 2 및 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외부 프라이머 세트는 SNP 위치 염기를 포함하는 FASN 유전자 부위를 표적으로 하는 프라이머 세트로, 상기 프라이머 세트에 의한 증폭 산물(830 bp)은 증폭 반응 그 자체에 대한 대조구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서열번호 4 및 5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내부 프라이머 세트는 각 염기서열의 3' 말단 염기가 FASN 유전자의 SNP 염기에 특이적(상보적)으로 디자인된 것으로(도 1 참고), 각각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와 세트를 이루어 표적 서열을 증폭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3' 말단 염기가 FASN 유전자의 SNP 염기인 A로 고안된 것으로, 서열번호 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세트를 이루어 377 bp의 증폭 산물이 생성되고, 상기 서열번호 5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3' 말단 염기가 FASN 유전자의 SNP 위치 염기 G에 특이적으로 결합되도록 고안된 것으로, 서열번호 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프라이머 세트를 이루어 507 bp의 증폭 산물이 생성된다.
상기 프라이머는 각 프라이머의 서열 길이에 따라, 서열번호 2 내지 5의 서열 내의 16개 이상, 17개 이상, 18개 이상, 19개 이상, 20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28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의 서열 내의 16개 이상, 17개 이상, 18개 이상, 19개 이상, 20개 이상, 21개 이상, 22개 이상, 23개 이상, 24개 이상, 25개 이상, 26개 이상, 27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2 내지 5의 염기서열의 부가, 결실 또는 치환된 서열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프라이머"는 카피하려는 핵산 가닥에 상보적인 단일 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말하며, 프라이머 연장 산물의 합성을 위한 개시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의 길이 및 서열은 연장 산물의 합성을 시작하도록 허용해야 한다. 프라이머의 구체적인 길이 및 서열은 요구되는 DNA 또는 RNA 표적의 복합도(complexity)뿐만 아니라 온도 및 이온 강도와 같은 프라이머 이용 조건에 의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프라이머로서 이용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또한 뉴클레오티드 유사체(analogue), 예를 들면, 포스포로티오에이트(phosphorothioate), 알킬포스포로티오에이트 또는 펩티드 핵산(peptide nucleic acid)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삽입 물질(intercalating agent)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라이머는 DNA 합성의 개시점으로 작용하는 프라이머의 기본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는 추가의 특징을 혼입할 수 있다. 프라이머의 적합한 길이는 사용하고자 하는 프라이머의 특성에 의해 결정하지만, 통상적으로 15 내지 30 bp의 길이로 사용한다. 프라이머는 주형의 서열과 정확하게 상보적일 필요는 없지만 주형과 혼성복합체(hybrid-complex)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 상보적이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한우에서 육량 관련 FASN (Fatty acid synthase)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키트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2 및 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외부(outer)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4 및 5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내부(inner)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프라이머 세트와 내부 프라이머 세트가 몰농도 기준 3.5~4.5 : 0.5~1.5의 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키트에 있어서, 상기 상기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은 DNA 폴리머라제, dNTPs 및 완충용액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염화마그네슘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트는 또한 최적의 반응 수행 조건을 기재한 사용자 안내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안내서는 키트 사용법, 예를 들면, 역전사 완충액 및 PCR 완충액 제조방법, 제시되는 반응 조건 등을 설명하는 인쇄물이다. 안내서는 팜플렛 또는 전단지 형태의 안내 책자, 키트에 부착된 라벨, 및 키트를 포함하는 패키지의 표면상에 설명을 포함한다. 또한, 안내서는 인터넷과 같이 전기 매체를 통해 공개되거나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한우 개체에서 게놈 DNA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 반응을 수행하여 표적 서열을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 단계의 산물의 유전형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우의 육량 관련 FASN (Fatty acid synthase) 유전자의 유전형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형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우 개체에서 게놈 DNA를 분리하는 단계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한우 개체의 시료 즉, 한우의 혈액, 각종 체액, 모근, 분리된 조직, 분리된 세포 또는 타액과 같은 시료 등으로부터 DNA를 직접적으로 정제하거나 PCR과 같은 증폭 방법을 사용하여 특정한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하고 이를 분리함으로써 이루어 질 수 있다. 포유동물로부터 체액 및 조직, 생검 등을 획득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전형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2 및 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외부(outer)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4 및 5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내부(inner)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프라이머 세트와 내부 프라이머 세트는 몰농도 기준 3.5~4.5 : 0.5~1.5의 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외부 프라이머 세트와 내부 프라이머 세트가 몰농도 기준 4 : 1의 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전형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증폭 반응은, 95℃에서 15분간 반응; 95℃에서 30초, 61℃에서 30초 및 72℃에서 1분간 반응시키는 것을 한 사이클로 하여 35회 반복; 및 72℃에서 5분간 반응;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증폭 반응 조건은 내부 및 외부 프라이머 세트가 상호 교차 반응하지 않으며, FASN 유전자의 SNP 위치 염기를 정확하게 증폭시킬 수 있는 최적화된 조건이다.
본 발명의 유전형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증폭 단계 산물의 유전형 분석은 겔 전기영동을 통해 수행될 수 있고, 겔 전기영동은 증폭 산물의 크기에 따라 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 또는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FASN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 방법에 있어서, 겔 전기영동을 통해 증폭 단계 산물이 830 bp와 507 bp의 2개 밴드를 나타내면 GG 유전형으로, 증폭 단계 산물이 830 bp, 507 bp 및 377 bp의 3개 밴드를 나타내면 AG 유전형으로, 증폭 단계 산물이 830 bp와 377 bp의 2개 밴드를 나타내면 AA 유전형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GG 유전형은 다른 유전형에 비해 도체 특성 중 1등급 출현율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있어서, 63번째에 위치한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염기를 포함하는 8개 이상의 연속된 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한우의 육량 관련 FASN (Fatty acid synthase)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SNP 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커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은 소 유래 FASN 유전자(GenBank accession no. AC_000176.1)의 서열에서 51401970 부터 5140216까지의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서 63번째 SNP 다형성은 G/A이다.
본 발명의 SNP 마커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연속된 뉴클레오티드는 8 내지 100개의 연속된 뉴클레오티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뉴클레오티드"는 단일 가닥 또는 이중 가닥 형태로 존재하는 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또는 리보뉴클레오티드이며, 특별하게 다르게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 자연의 뉴클레오티드의 유사체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FASN (Fatty acid synthase) 유전자의 SNP 특이적 프라이머 제작
본 발명에 사용된 한우 게노믹(genomic) DNA는 농장에서 채취한 꼬리털 모근조직에서 AccuPrep® Genomic DNA Extraction Kit (Bioneer, Korea)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ensemble (http://www.ensembl.org)에서 FASN 유전자 내 SNP (rs41919985)를 검색하여 이에 대한 염기서열을 얻었다. 그 후, PRIMER 1 (http://primer1.soton.ac.uk)을 프라이머 설계 도구로 사용하였고, primer design for tetra-primer ARMS-PCR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Ensemble에서 얻은 염기서열을 입력하여 SNP 위치, 대립유전자, 증폭 크기의 범위를 설정하였다. 설계된 SNP 대립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에 대한 정보는 하기 표 1과 같다.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정방향 프라이머(outer forward primer)와 외부 역방향 프라이머(outer reverse primer)가 결합하여 830bp의 산물이 증폭되고, 상기 산물은 증폭 반응의 대조구(control)로 기능한다. 또한, 3' 말단에 A 염기가 위치한 내부 정방향 프라이머(inner forward primer)와 외부 역방향 프라이머가 결합하여 A 대립유전자에 대해 377bp가 증폭되고, 3' 말단에 G와 상보적인 염기가 위치한 내부 역방향 프라이머(inner reverse primer)와 외부 정방향 프라이머가 결합하여 G 대립유전자에 대해 507bp가 증폭된다. 즉, 증폭 산물의 크기를 통해 유전자형을 알 수 있게 된다.
FASN 유전자의 SNP 특이적 프라이머
유전자 rs number SNP 염기서열(5'→3') (서열번호) 증폭 크기(bp)
FASN rs41919985 G/A O.F GGGAAATCCGGCAGCTCACAATCCACAA (2) control : 830
A allele : 377
G allele : 507
O.R GTGTAGGCCATCACGAAGGTGTGCGAGC (3)
I.F CACCACCGTGTTCCACAGCCTGGAC A (4)
I.R GGCCATAGGTGGGGATGCTGAGCTTTG C (5)
O.F, Outer forward primer; O.R, Outer reverse primer; I.F, Inner forward primer; I.R, Inner reverse primer; Italic & bold letter, SNP specific nucleotide.
실시예 2. FASN 유전자의 SNP 특이적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유전형 검증
상기 표 1에서 제작한 SNP 특이적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FASN 유전자의 SNP 위치의 유전형을 결정하기 위해,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증폭 반응은 한우 10두의 등심조직으로부터 추출한 gDNA 주형, Hotstart Taq DNA polymerase (Labopass, Korea) 시약 및 C1000 Touch™ Thermal Cycler (Bio-rad, USA) 장비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대립유전자 특이적인 PCR을 위한 PCR 반응물의 조성표는 하기 표 2와 같으며, PCR 반응 조건은 다음과 같다: 95℃에서 초기 변성(initial denaturation) 15분 → [95℃에서 변성 30초, 61℃에서 결합(annealing) 30초, 72℃에서 신장(extension) 1분]의 과정을 35회 반복 → 72℃에서 최종 신장 5분. 증폭 산물은 1.5% 아가로스 겔을 이용하여 100V에서 40분간 전기영동하여 확인하였다.
대립유전자 특이적인 PCR을 위한 PCR 반응 조성
Components Concentration Volumes (㎕)
Stock Working
DNA Template - - 3
10X Reaction buffer 10X 1X 5
dNTP each 2.5 mM 0.2 mM 4
Primer Mixture
(O.F+O.R+I.F+I.R each 10pmole)
each 10 μM outer 0.8 μM
inner 0.2 μM
4
Taq DNA polymerase 5 U 2.5 U 0.5
ddH2O - - 33.5
Total - - 50
그 결과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모든 시료에서 예측된 대조구 증폭 산물 및 SNP 특이적인 증폭 산물이 증폭되었고, 대립유전자 특이적인 PCR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표 2의 외부(outer) 프라이머 세트와 내부(inner) 프라이머 세트의 농도는 다양한 농도 조건의 실험을 통해 도출된 최적의 농도 조건이다.
실시예 3. 한우 및 외국품종의 FASN 유전자의 유전형 비교 분석
상기 실시예 3를 통해 확인한 FASN 유전자의 유전형에 대해서, 1등급 판정을 받은 한우 및 외국품종에서 FASN 유전자 내 SNP 마커(rs41919985)의 유전형 빈도분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한우에서는 GG 유전형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앵거스 및 외국교잡종의 경우 AG 유전형이 가장 높은 분포 비율을 나타내었다. 즉, G/A SNP (rs41919985)는 한우의 육량 형질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다형성 염기이며, 외국품종의 육량 예측과는 차별화 될 수 있는 마커임을 알 수 있었다.
<110> Hankyong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Center <120> Primer sets for determining genotype of FASN gene related to meat of Korean native cattle and uses thereof <130> PN20296 <160> 5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92 <212> DNA <213> Bos taurus <400> 1 agcggcccct gttcctggtg caccccatcg agggctccac caccgtgttc cacagcctgg 60 ccgccaagct cagcatcccc acctatggcc tacagtgtac aggaggtatg tcaggggcct 120 acggggctgc cccccaggga gttggggatg gcaaggcacc tgcagacgag ggctaagcct 180 catgctgtgc cc 192 <210> 2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gggaaatccg gcagctcaca atccacaa 28 <210> 3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 gtgtaggcca tcacgaaggt gtgcgagc 28 <210> 4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4 caccaccgtg ttccacagcc tggaca 26 <210> 5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5 ggccataggt ggggatgctg agctttgc 28

Claims (8)

  1. 서열번호 2 내지 5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한우의 육량 관련 FASN (Fatty acid synthase)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프라이머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소 유래 FASN 유전자 단편의 63번째에 위치한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염기의 유전형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한우에서 육량 관련 FASN (Fatty acid synthase)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2 및 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외부(outer)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4 및 5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내부(inner) 프라이머 세트가 몰농도 기준 3.5~4.5 : 0.5~1.5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5. 한우 개체에서 게놈 DNA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제1항 또는 제2항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 반응을 수행하여 표적 서열을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 단계의 산물의 유전형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우의 육량 관련 FASN (Fatty acid synthase) 유전자의 유전형을 결정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2 및 3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외부(outer) 프라이머 세트와 서열번호 4 및 5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내부(inner) 프라이머 세트가 몰농도 기준 3.5~4.5 : 0.5~1.5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단계 산물의 유전형 분석은 겔 전기영동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있어서, 63번째에 위치한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염기를 포함하는 8개 이상의 연속된 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한우의 육량 관련 FASN (Fatty acid synthase)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SNP 마커 조성물.
KR1020210059705A 2021-05-10 2021-05-10 한우의 육량 관련 fasn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606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705A KR102606053B1 (ko) 2021-05-10 2021-05-10 한우의 육량 관련 fasn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705A KR102606053B1 (ko) 2021-05-10 2021-05-10 한우의 육량 관련 fasn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606A true KR20220152606A (ko) 2022-11-17
KR102606053B1 KR102606053B1 (ko) 2023-11-23

Family

ID=8423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705A KR102606053B1 (ko) 2021-05-10 2021-05-10 한우의 육량 관련 fasn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053B1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용발명 1: Rahayu, AP. et al., Veterinary World (2019) 12:1160-1166* *
인용발명 2: Beak, SH. et al.,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2019) 61(2):69-7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053B1 (ko)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70657A1 (en) Probe for Detection of Polymorphism in EGFR Gene, Amplification Primer, and Use Thereof
KR101923647B1 (ko) 쥬빌리 타입 또는 크림슨 타입 수박 품종 판별용 snp 마커
EP2478118B1 (en) Methods of genotyping livestock to determine haplotypes associated with meat quality traits and primer for amplification of a polymorphic region in nt5m
JP5279492B2 (ja) 肥満遺伝子増幅用プライマーセット、それを含む肥満遺伝子増幅用試薬およびその用途
KR102368835B1 (ko) 한우의 육량 관련 hspb1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019997B1 (ko) 돈육의 육질 예측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간이 신속한 돈육의 육질 예측 방법
KR101624342B1 (ko) 흑돈육과 비흑돈육 판별에 유용한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의 용도
CN114921568B (zh) 一种秦川牛体尺及肉质性状相关的snp分子标记及其应用
CN113265471B (zh) 一种检测绵羊fasn基因单核苷酸多态性的方法及其在肉质性状早期筛选中的应用
KR102606053B1 (ko) 한우의 육량 관련 fasn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634978B1 (ko) 한우의 육량 관련 adh1c 유전자의 유전형 결정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CN110628919B (zh) 检测绵羊MSTN基因g.+6723位点基因型的方法
KR101508689B1 (ko) 중국젓새우의 원산지 판별 마커
EP1660675B1 (en) Polymorphism of the igf2 gene and improving 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cattle
Lee et al. Allele-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the discrimination of elite Korean cattle associated with high beef quality and quantity
KR101355914B1 (ko) 한우 및 수입우 판별에 유용한 단일염기다형성마커 및 이의 용도
JP6683642B2 (ja) ウシ個体における屠畜後の肉中イノシン酸含量の判定方法
JP5281775B2 (ja) ウシ脂肪交雑形成に関わる一塩基多型およびその利用
KR101845711B1 (ko) Ociad2 유전자 유래의 유전체 각인 판별용 snp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
KR101696692B1 (ko) 돼지의 근육 내 근섬유타입 ⅰ의 수준 판단용 snp 마커 및 이의 용도
Sztankoova et al. Simultaneous genotyping of 4 SNPs in promoter III of the ovine ACACA
KR100896710B1 (ko) 골 밀도 유전자 마커
KR102336624B1 (ko) 돈육의 콜라겐 함량 예측용 마커 및 이의용도
KR20230173333A (ko) 돈육의 육질 판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돈육의 육질 판별 방법
KR20230073564A (ko) 육질형질 연관 유전자를 이용한 난축맛돈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