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2274A - 원료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료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2274A
KR20220152274A KR1020227034802A KR20227034802A KR20220152274A KR 20220152274 A KR20220152274 A KR 20220152274A KR 1020227034802 A KR1020227034802 A KR 1020227034802A KR 20227034802 A KR20227034802 A KR 20227034802A KR 20220152274 A KR20220152274 A KR 20220152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material supply
solution
container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4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이치 고모리
Original Assignee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1805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1147700A/ja
Application filed by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52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48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generating reactive gas streams, e.g.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precurs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7/00Apparatus for generating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61Gas plumbing upstream of the reaction chamb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52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48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generating reactive gas streams, e.g.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precursor materials
    • C23C16/4481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generating reactive gas streams, e.g.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precursor materials by evaporation using carrier gas in contact with the source material

Abstract

본 개시의 일 양태에 의한 원료 공급 시스템은, 제1 고체 원료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 또는 제1 고체 원료를 용매에 분산시킨 분산계를 저류하는 제1 저류부와, 상기 제1 저류부로부터 수송되는 상기 용액 또는 상기 분산계를 저류하는 제2 저류부와, 상기 제1 저류부에 저류된 상기 용액 또는 상기 분산계의 양을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제2 저류부에 저류된 상기 용액 또는 상기 분산계로부터 상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제2 고체 원료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원료 공급 시스템
본 개시는 원료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체 원료를 용매에 용해시켜 처리실 내에 스프레이 분사한 후, 처리실 내를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고체 원료를 잔류시키고, 계속하여 처리실 내를 가열하여 고체 원료를 승화시켜, 대응의 가스를 생성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15831호 공보
본 개시는 저류부에 저류된 용액 또는 분산계의 양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의한 원료 공급 시스템은, 제1 고체 원료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 또는 제1 고체 원료를 용매에 분산시킨 분산계를 저류하는 제1 저류부와, 상기 제1 저류부로부터 수송되는 상기 용액 또는 상기 분산계를 저류하는 제2 저류부와, 상기 제1 저류부에 저류된 상기 용액 또는 상기 분산계의 양을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제2 저류부에 저류된 상기 용액 또는 상기 분산계로부터 상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제2 고체 원료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갖는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저류부에 저류된 용액 또는 분산계의 양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원료 공급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원료 공급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원료 공급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2).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원료 공급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3).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원료 공급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4).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원료 공급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원료 공급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한정적이지 않은 예시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의 전체 도면 중,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부재 또는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원료 공급 시스템)
도 1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의 원료 공급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원료 공급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원료 공급 시스템(1)은, 제1 고체 원료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이하 단순히 「용액」이라고도 함)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제2 고체 원료를 승화시켜서 반응성 가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반응성 가스를 사용하여 처리 장치에서 성막을 행하는 시스템이다.
제1 고체 원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스트론튬(Sr), 몰리브덴(Mo), 루테늄(Ru), 지르코늄(Zr), 하프늄(Hf), 텅스텐(W), 알루미늄(Al) 등의 금속 원소를 함유하는 유기 금속 착체, 텅스텐(W), 알루미늄(Al) 등의 금속 원소를 함유하는 염화물이어도 된다. 용매는 제1 고체 원료를 용해 또는 분산하여 용액을 생성할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헥산이어도 된다.
원료 공급 시스템(1)은 원료 공급원(10), 버퍼 장치(20), 원료 공급 장치(30, 40), 처리 장치(50) 및 제어 장치(90)를 구비한다.
원료 공급원(10)은 용액(M1)을 버퍼 장치(20)에 공급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원료 공급원(10)은 탱크(11) 및 플로트 센서(12)를 포함한다. 탱크(11)에는 용액(M1)이 충전되어 있다. 플로트 센서(12)는 탱크(11) 내에 충전된 용액(M1)의 양을 검지한다.
원료 공급원(10)에는, 탱크(11)의 상방으로부터 배관(L1)의 일단이 삽입되어 있다. 배관(L1)의 타단은 캐리어 가스의 공급원(G1)과 접속되어 있고, 공급원(G1)으로부터 배관(L1)을 통해 탱크(11) 내에 캐리어 가스가 공급된다. 캐리어 가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질소(N2), 아르곤(Ar) 등의 불활성 가스여도 된다. 배관(L1)에는 밸브(V1)가 개재 설치되어 있다. 밸브(V1)를 개방하면 공급원(G1)으로부터 원료 공급원(10)으로 캐리어 가스가 공급되고, 밸브(V1)를 폐쇄하면 공급원(G1)으로부터 원료 공급원(10)으로의 캐리어 가스의 공급이 차단된다. 또한, 배관(L1)에는, 배관(L1)을 흐르는 캐리어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나 추가의 밸브 등이 개재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원료 공급원(10)에는 탱크(11)의 상방으로부터 배관(L2)의 일단이 삽입되어 있다. 배관(L2)의 타단은 버퍼 장치(20)와 접속되어 있다. 공급원(G1)으로부터 탱크(11) 내에 캐리어 가스가 공급되면, 탱크(11) 내가 가압되고, 탱크(11) 내의 용액(M1)이 배관(L2)을 통해 버퍼 장치(20)에 공급된다. 배관(L2)에는, 원료 공급원(10)의 측으로부터 차례로 밸브(V2a, V2b)가 개재 설치되어 있다. 밸브(V2a, V2b)를 개방하면 원료 공급원(10)으로부터 버퍼 장치(20)로 용액(M1)이 공급되고, 밸브(V2a, V2b)를 폐쇄하면 원료 공급원(10)으로부터 버퍼 장치(20)로의 용액(M1)의 공급이 차단된다. 또한, 배관(L2)에는, 배관(L2)을 흐르는 용액(M1)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나 추가의 밸브 등이 개재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배관(L2)의 밸브(V2b)보다도 버퍼 장치(20)의 측에는, 배관(L3)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배관(L3)의 타단은 캐리어 가스의 공급원(G3)과 접속되어 있고, 공급원(G3)으로부터 배관(L3, L2)을 통해 버퍼 장치(20)에 캐리어 가스가 공급된다. 캐리어 가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N2, Ar 등의 불활성 가스여도 된다. 배관(L3)에는 밸브(V3)가 개재 설치되어 있다. 밸브(V3)를 개방하면 공급원(G3)으로부터 버퍼 장치(20)로 캐리어 가스가 공급되고, 밸브(V3)를 폐쇄하면 공급원(G3)으로부터 버퍼 장치(20)로의 캐리어 가스의 공급이 차단된다. 또한, 배관(L3)에는, 배관(L3)을 흐르는 캐리어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나 추가의 밸브 등이 개재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버퍼 장치(20)는, 원료 공급원(10)으로부터 수송되는 용액(M1)을 저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버퍼 장치(20)는 용기(21) 및 플로트 센서(22)를 포함한다. 단, 버퍼 장치(20)는 용기(21)를 가열하는 히터 등의 가열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용기(21)는 원료 공급원(10)으로부터 수송되는 용액(M1)을 일시적으로 저류한다. 플로트 센서(22)는 용기(21) 내에 저류된 용액(M1)의 양을 검지한다. 단, 플로트 센서(22) 대신에 로드셀식이나 온도 검지식 등의 별도의 레벨 센서를 마련함으로써 용기(21) 내에 저류된 용액(M1)의 양을 검지하도록 해도 된다.
버퍼 장치(20)는 배관(L4, L5)을 통해 원료 공급 장치(30)와 접속되어 있고, 배관(L4, L5)을 통해 원료 공급 장치(30)에 용액(M1)을 공급한다. 배관(L4, L5)에는 각각 밸브(V4, V5)가 개재 설치되어 있다. 밸브(V4, V5)를 개방하면 버퍼 장치(20)로부터 원료 공급 장치(30)로 용액(M1)이 공급되고, 밸브(V4, V5)를 폐쇄하면 버퍼 장치(20)로부터 원료 공급 장치(30)로의 용액(M1)의 공급이 차단된다. 또한, 배관(L5)에는, 배관(L5)을 흐르는 용액(M1)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나 추가의 밸브 등이 개재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버퍼 장치(20)는, 배관(L4, L6)을 통해 원료 공급 장치(40)와 접속되어 있고, 배관(L4, L6)을 통해 원료 공급 장치(40)에 용액(M1)을 공급한다. 배관(L6)에는 밸브(V6)가 개재 설치되어 있다. 밸브(V4, V6)를 개방하면 버퍼 장치(20)로부터 원료 공급 장치(40)로 용액(M1)이 공급되고, 밸브(V4, V6)를 폐쇄하면 버퍼 장치(20)로부터 원료 공급 장치(40)로의 용액(M1)의 공급이 차단된다. 또한, 배관(L6)에는, 배관(L6)을 흐르는 용액(M1)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나 추가의 밸브 등이 개재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원료 공급 장치(30)는 버퍼 장치(20)로부터 수송되는 용액(M1)을 저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원료 공급 장치(30)는 용기(31), 가열부(32) 및 압력계(33)를 포함한다. 용기(31)는 버퍼 장치(20)로부터 수송되는 용액(M1)을 저류한다. 가열부(32)는, 용액(M1)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고체 원료(이하 「제2 고체 원료(M2)」라고 함)를 가열함으로써, 제2 고체 원료(M2)를 승화시켜서 반응성 가스를 생성한다. 가열부(32)는, 예를 들어 용기(31)의 저부 및 외주를 덮도록 배치된 히터여도 된다. 가열부(32)는 제2 고체 원료를 승화시켜서 반응성 가스를 생성할 수 있는 온도로 용기(31) 내를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압력계(33)는 용기(31)의 내압을 검출한다. 검출된 용기(31)의 내압은 제어 장치(90)에 송신되고, 제어 장치(90)는 해당 내압에 기초하여 각종 밸브의 개폐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90)는 해당 내압이 소정의 압력보다도 높아진 경우에, 밸브(V5)를 폐쇄함으로써 용기(31)에 과잉의 용액(M1)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원료 공급 장치(30)에는, 용기(31)의 상방으로부터 배관(L8)의 일단이 삽입되어 있다. 배관(L8)의 타단은 배관(L7)을 통해 캐리어 가스의 공급원(G7)과 접속되어 있고, 공급원(G7)으로부터 배관(L7, L8)을 통해 용기(31) 내에 캐리어 가스가 공급된다. 캐리어 가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N2, Ar 등의 불활성 가스여도 된다. 배관(L8)에는, 공급원(G7)의 측으로부터 차례로 밸브(V8a, V8b)가 개재 설치되어 있다. 밸브(V8a, V8b)를 개방하면 공급원(G7)으로부터 원료 공급 장치(30)에 캐리어 가스가 공급되고, 밸브(V8a, V8b)를 폐쇄하면 공급원(G7)으로부터 원료 공급 장치(30)로의 캐리어 가스의 공급이 차단된다. 배관(L7)에는, 배관(L7)을 흐르는 캐리어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기(F7)가 개재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량 제어기(F7)는 매스 플로 컨트롤러(MFC)이다.
원료 공급 장치(30)는, 배관(L10, L12)을 통해 처리 장치(50)와 접속되어 있고, 배관(L10, L12)을 통해 처리 장치(50)에 반응성 가스를 공급한다. 배관(L10)에는, 원료 공급 장치(30)의 측으로부터 차례로 밸브(V10a 내지 V10c)가 개재 설치되어 있다. 밸브(V10a 내지 V10c)를 개방하면 원료 공급 장치(30)로부터 처리 장치(50)로 반응성 가스가 공급되고, 밸브(V10a 내지 V10c)를 폐쇄하면 원료 공급 장치(30)로부터 처리 장치(50)로의 반응성 가스의 공급이 차단된다.
배관(L10)의 밸브(V10a)와 밸브(V10b) 사이에는 배관(L13)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배관(L13)의 타단은, 배관(L8)의 밸브(V8a)와 밸브(V8b)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배관(L13)은, 배관(L8)과 배관(L10)을 원료 공급 장치(30)를 통하지 않고 접속하는 바이패스 배관으로서 기능한다. 배관(L13)에는, 밸브(V13)가 개재 설치되어 있다. 밸브(V13)를 개방하면 배관(L8)과 배관(L10)이 연통하고, 밸브(V13)를 폐쇄하면 배관(L8)과 배관(L10)의 연통이 차단된다.
배관(L10)의 밸브(V10b)와 밸브(V10c) 사이에는 배관(L14)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배관(L14)의 타단은, 예를 들어 진공 펌프 등의 배기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배관(L14)에는 밸브(V14)가 개재 설치되어 있다. 밸브(V10a, V10b)가 개방된 상태에서 밸브(V14)를 개방하면, 용기(31) 내가 배기되고, 용기(31) 내에 저류된 용액(M1)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밸브(V14)를 폐쇄하면, 용기(31) 내에 저류된 용액(M1)으로부터의 용매의 제거를 정지할 수 있다.
원료 공급 장치(40)는 버퍼 장치(20)로부터 수송되는 용액(M1)을 저류한다. 원료 공급 장치(40)는 원료 공급 장치(30)와 병렬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원료 공급 장치(40)는 용기(41), 가열부(42) 및 압력계(43)를 포함한다. 용기(41)는 버퍼 장치(20)로부터 수송되는 용액(M1)을 저류한다. 가열부(42)는 용액(M1)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제2 고체 원료(M2)를 가열함으로써, 제2 고체 원료(M2)를 승화시켜서 반응성 가스를 생성한다. 가열부(42)는, 예를 들어 용기(41)의 저부 및 외주를 덮도록 배치된 히터여도 된다. 가열부(42)는 제2 고체 원료(M2)를 승화시켜서 반응성 가스를 생성할 수 있는 온도로 용기(41) 내를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압력계(43)는 용기(41)의 내압을 검출한다. 검출된 용기(41)의 내압은 제어 장치(90)에 송신되고, 제어 장치(90)는 해당 내압에 기초하여 각종 밸브의 개폐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90)는 해당 내압이 소정의 압력보다도 높아진 경우에, 밸브(V6)를 폐쇄함으로써 용기(41)에 과잉의 용액(M1)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원료 공급 장치(40)에는, 용기(41)의 상방으로부터 배관(L9)의 일단이 삽입되어 있다. 배관(L9)의 타단은 배관(L7)을 통해 캐리어 가스의 공급원(G7)과 접속되어 있고, 공급원(G7)으로부터 배관(L7, L9)을 통해 용기(41) 내에 캐리어 가스가 공급된다. 캐리어 가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N2, Ar 등의 불활성 가스여도 된다. 배관(L9)에는, 공급원(G7)의 측으로부터 차례로 밸브(V9a, V9b)가 개재 설치되어 있다. 밸브(V9a, V9b)를 개방하면 공급원(G7)으로부터 원료 공급 장치(40)로 캐리어 가스가 공급되고, 밸브(V9a, V9b)를 폐쇄하면 공급원(G7)으로부터 원료 공급 장치(40)로의 캐리어 가스의 공급이 차단된다.
원료 공급 장치(40)는, 배관(L11, L12)을 통해 처리 장치(50)와 접속되어 있고, 배관(L11, L12)을 통해 처리 장치(50)에 반응성 가스를 공급한다. 배관(L11)에는 밸브(V11a 내지 V11c)가 개재 설치되어 있다. 밸브(V11a 내지 V11c)를 개방하면 원료 공급 장치(40)로부터 처리 장치(50)로 반응성 가스가 공급되고, 밸브(V11a 내지 V11c)를 폐쇄하면 원료 공급 장치(40)로부터 처리 장치(50)로의 반응성 가스의 공급이 차단된다.
배관(L11)의 밸브(V11a)와 밸브(V11b) 사이에는, 배관(L15)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배관(L15)의 타단은, 배관(L9)의 밸브(V9a)와 밸브(V9b)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배관(L15)은, 배관(L9)과 배관(L11)을 원료 공급 장치(40)를 통하지 않고 접속하는 바이패스 배관으로서 기능한다. 배관(L15)에는, 밸브(V15)가 개재 설치되어 있다. 밸브(V15)를 개방하면 배관(L9)과 배관(L11)이 연통하고, 밸브(V15)를 폐쇄하면 배관(L9)과 배관(L11)의 연통이 차단된다.
배관(L11)의 밸브(V11b)와 밸브(V11c) 사이에는, 배관(L16)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배관(L16)의 타단은, 예를 들어 진공 펌프 등의 배기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배관(L16)에는 밸브(V16)가 개재 설치되어 있다. 밸브(V11a, V11b)가 개방된 상태에서 밸브(V16)를 개방하면, 용기(41) 내가 배기되고, 용기(41) 내에 저류된 용액(M1)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밸브(V16)를 폐쇄하면, 용기(41) 내에 저류된 용액(M1)으로부터의 용매의 제거를 정지할 수 있다.
처리 장치(50)는 배관(L10, L12)을 통해 원료 공급 장치(30)와 접속되어 있고, 처리 장치(50)에는 원료 공급 장치(30)에 있어서 제2 고체 원료(M2)를 가열하여 승화시킴으로써 생성되는 반응성 가스가 공급된다. 또한, 처리 장치(50)는 배관(L11, L12)을 통해 원료 공급 장치(40)와 접속되어 있고, 처리 장치(50)에는 원료 공급 장치(40)에 있어서 제2 고체 원료(M2)를 가열하여 승화시킴으로써 생성되는 반응성 가스가 공급된다.
처리 장치(50)는 원료 공급 장치(30, 40)로부터 공급되는 반응성 가스를 사용하여 반도체 웨이퍼 등의 기판에 대해서, 성막 처리 등의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처리 장치(50)는 처리 용기(51), 유량계(52) 및 밸브(V12)를 포함한다. 처리 용기(51)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판을 수용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량계(52)는 매스 플로 미터(MFM)이다. 유량계(52)는 배관(L12)에 개재 설치되어 있고, 배관(L12)을 흐르는 반응성 가스의 유량을 측정한다. 밸브(V12)는 배관(L12)에 개재 설치되어 있다. 밸브(V13)를 개방하면 원료 공급 장치(30, 40)로부터 처리 용기(51)로 반응성 가스가 공급되고, 밸브(V13)를 폐쇄하면 원료 공급 장치(30, 40)로부터 처리 용기(51)로의 반응성 가스의 공급이 차단된다.
제어 장치(90)는 원료 공급 시스템(1)의 각 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90)는 원료 공급원(10), 버퍼 장치(20), 원료 공급 장치(30, 40), 처리 장치(50)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 장치(90)는 각종 밸브의 개폐를 제어한다. 제어 장치(90)는, 예를 들어 컴퓨터여도 된다.
(원료 공급 시스템의 동작)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원료 공급 시스템(1)의 동작(원료 공급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원료 공급 시스템(1)에서는, 제어 장치(90)가 각종 밸브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병렬로 마련된 2개의 원료 공급 장치(30, 40) 중 한쪽에서 처리 장치(50)로의 반응성 가스의 공급을 행하고, 다른 쪽에서 고체 원료의 충전을 행한다. 이하, 원료 공급 시스템(1)의 동작의 일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원료 공급 장치(30)에서 처리 장치(50)로의 반응성 가스의 공급을 행하고, 원료 공급 장치(40)에서 고체 원료의 충전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원료 공급 시스템(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캐리어 가스, 용액(M1) 및 반응성 가스가 흐르고 있는 배관을 굵은 실선으로 나타내고, 캐리어 가스, 용액(M1) 및 반응성 가스가 흐르고 있지 않은 배관을 가는 실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흰색 기호로 나타내고, 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검게 칠해진 기호로 나타낸다. 또한, 원료 공급 시스템(1)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든 밸브가 폐쇄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원료 공급 장치(30)에는 제2 고체 원료(M2)가 저류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제어 장치(90)는, 원료 공급 장치(30)의 가열부(32)를 제어하여, 용기(31) 내의 제2 고체 원료(M2)를 가열하여 승화시킴으로써 반응성 가스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 장치(90)는 밸브(V8a, V8b, V10a 내지 V10c, V12)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공급원(G7)으로부터 배관(L7, L8)을 통해 원료 공급 장치(30)의 용기(31) 내에 캐리어 가스가 주입되고, 캐리어 가스와 함께 용기(31) 내에서 생성된 반응성 가스가 배관(L10, L12)을 통해 처리 장치(50)에 공급된다.
또한, 제어 장치(9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V1, V2a, V2b)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공급원(G1)으로부터 원료 공급원(10)에 캐리어 가스가 공급되고, 원료 공급원(10)으로부터 배관(L2)을 통해 버퍼 장치(20)에 용액(M1)이 수송되고, 버퍼 장치(20)의 용기(21) 내에 용액(M1)이 저류된다. 이때, 밸브(V4)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용기(21) 내에 저류되는 용액(M1)이 원료 공급 장치(30, 40)에 수송되는 일은 없다.
계속하여, 제어 장치(90)는 플로트 센서(22)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용기(21) 내에 소정량의 용액(M1)이 저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량은, 예를 들어 원료 공급 장치(40)의 용기(41) 내에 저류 가능한 양으로 설정된다. 용기(21) 내에 소정량의 용액(M1)이 저류되었다고 판정하면, 제어 장치(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V1, V2a, V2b)를 폐쇄하고, 밸브(V3, V4, V6)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공급원(G3)으로부터 배관(L3)을 통해 버퍼 장치(20)에 캐리어 가스가 공급되고, 버퍼 장치(20)로부터 배관(L4, L6)을 통해 원료 공급 장치(40)에 용액(M1)이 수송된다. 이에 의해, 원료 공급 장치(40)의 용기(41) 내에 소정량의 용액(M1)이 저류된다. 또한, 제어 장치(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V11a, V11b, V16)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원료 공급 장치(40)의 용기(41) 내가 배기 장치에 의해 배기되므로, 용기(41) 내의 용액(M1)으로부터 용매가 제거되고, 용기(41) 내에 제2 고체 원료(M2)가 형성된다. 또한, 용기(41) 내의 용액(M1)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할 때에는, 제어 장치(90)는 가열부(42)를 제어하여, 용기(41) 내의 용액(M1)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용매의 제거가 촉진된다. 소정의 온도는, 예를 들어 제2 고체 원료(M2)를 승화시켜서 반응성 가스를 생성할 때의 온도보다도 낮게 설정된다. 또한, 도 3에는, 용기(41) 내의 용액(M1)으로부터 용매가 제거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원료 공급 장치(40)에서 처리 장치(50)로의 반응성 가스의 공급을 행하고, 원료 공급 장치(30)에서 고체 원료의 충전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원료 공급 시스템(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캐리어 가스, 용액(M1) 및 반응성 가스가 흐르고 있는 배관을 굵은 실선으로 나타내고, 캐리어 가스, 용액(M1) 및 반응성 가스가 흐르고 있지 않은 배관을 가는 실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는,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흰색 기호로 나타내고, 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검게 칠해진 기호로 나타낸다. 또한, 원료 공급 시스템(1)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든 밸브가 폐쇄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료 공급 장치(40)에는 제2 고체 원료(M2)가 저류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제어 장치(90)는 원료 공급 장치(40)의 가열부(42)를 제어하여, 용기(41) 내의 제2 고체 원료(M2)를 가열하여 승화시킴으로써 반응성 가스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 장치(90)는 밸브(V9a, V9b, V11a 내지 V11c, V12)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공급원(G7)으로부터 배관(L7, L9)을 통해 원료 공급 장치(40)의 용기(41) 내에 캐리어 가스가 주입되고, 캐리어 가스와 함께 용기(41) 내에서 생성된 반응성 가스가 배관(L11, L12)을 통해 처리 장치(50)에 공급된다.
또한, 제어 장치(90)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밸브(V1, V2a, V2b)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공급원(G1)으로부터 원료 공급원(10)에 캐리어 가스가 공급되고, 원료 공급원(10)으로부터 배관(L2)을 통해 버퍼 장치(20)에 용액(M1)이 수송되고, 버퍼 장치(20)의 용기(21) 내에 용액(M1)이 저류된다. 이때, 밸브(V4)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용기(21) 내에 저류되는 용액(M1)이 원료 공급 장치(30, 40)에 수송되는 일은 없다.
계속하여, 제어 장치(90)는 플로트 센서(22)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용기(21) 내에 소정량의 용액(M1)이 저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량은, 예를 들어 원료 공급 장치(30)의 용기(31) 내에 저류 가능한 양으로 설정된다. 용기(21) 내에 소정량의 용액(M1)이 저류되었다고 판정하면, 제어 장치(9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V1, V2a, V2b)를 폐쇄하고, 밸브(V3, V4, V5)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공급원(G3)으로부터 배관(L3)을 통해 버퍼 장치(20)에 캐리어 가스가 공급되고, 버퍼 장치(20)로부터 배관(L4, L5)을 통해 원료 공급 장치(30)에 용액(M1)이 수송된다. 이에 의해, 원료 공급 장치(30)의 용기(31) 내에 소정량의 용액(M1)이 저류된다. 또한, 제어 장치(90)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밸브(V10a, V10b, V14)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원료 공급 장치(30)의 용기(31) 내가 배기 장치에 의해 배기되므로, 용기(31) 내의 용액(M1)으로부터 용매가 제거되고, 용기(31) 내에 제2 고체 원료(M2)가 형성된다. 또한, 용기(31) 내의 용액(M1)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할 때에는, 제어 장치(90)는 가열부(32)를 제어하여, 용기(31) 내의 용액(M1)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용매의 제거가 촉진된다. 소정의 온도는, 예를 들어 제2 고체 원료를 승화시켜서 반응성 가스를 생성할 때의 온도보다도 낮게 설정된다. 또한, 도 5에는, 용기(41) 내의 용액(M1)으로부터 용매가 제거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원료 공급 시스템(1)에 의하면, 제어 장치(90)가 밸브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2개의 원료 공급 장치(30, 40) 중 한쪽에서 처리 장치(50)로의 반응성 가스의 공급을 행하고, 다른 쪽에서 고체 원료의 충전을 행한다. 이에 의해, 원료 공급 장치(30, 40)로의 원료의 자동 보충이 가능해져, 처리 장치(50)의 연속 운전 능력을 향상시키고, 처리 장치(50)의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원료 공급 시스템(1)에 의하면, 원료 공급원(10)과 원료 공급 장치(30, 40) 사이에 플로트 센서(22)를 포함하는 버퍼 장치(20)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원료 공급원(10)으로부터 수송되는 용액(M1)을 버퍼 장치(20) 내에서 액량을 관리하고, 관리된 액량의 용액(M1)을 원료 공급 장치(30, 40)에 수송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원료 공급 장치(30, 40)에 플로트 센서를 마련하지 않아도 원료 공급 장치(30, 40)에 저류되는 용액(M1)의 액량을 관리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로트 센서의 내열 온도, 히트 사이클 내구성, 작동 신뢰성 등, 레벨 센서에 의한 사용 제한을 받지 않고, 원료 공급 장치(30, 40)에 있어서 용액(M1)을 가열하여 승화시킬 수 있다. 즉, 원료 공급 장치(30, 40)에 있어서, 용액(M1)을 가열하는 온도 등에 대한 사용 가능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6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의 원료 공급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원료 공급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원료 공급 시스템(1A)은 원료 공급 장치(30A, 40A)의 각각이, 버퍼 장치(20)로부터 수송되는 용액(M1)을 분무하여 용기(31, 41) 내에 주입하는 원료 주입부(34, 44)를 포함하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의 원료 공급 시스템(1)과 상이하다. 또한,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원료 공급 시스템(1)과 마찬가지이므로, 이하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원료 공급 장치(30A)는, 버퍼 장치(20)로부터 수송되는 용액(M1)을 저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원료 공급 장치(30A)는 용기(31), 가열부(32), 압력계(33) 및 원료 주입부(34)를 포함한다. 용기(31)는 버퍼 장치(20)로부터 수송되는 용액(M1)을 저류한다. 가열부(32)는 용액(M1)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제2 고체 원료(M2)를 가열함으로써, 제2 고체 원료(M2)를 승화시켜서 반응성 가스를 생성한다. 가열부(32)는, 예를 들어 용기(31)의 저부 및 외주를 덮도록 배치된 히터여도 된다. 가열부(32)는 제2 고체 원료(M2)를 승화시켜서 반응성 가스를 생성할 수 있는 온도로 용기(31) 내를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압력계(33)는 용기(31)의 내압을 검출한다. 검출된 용기(31)의 내압은 제어 장치(90)로 송신되고, 제어 장치(90)는 해당 내압에 기초하여 각종 밸브의 개폐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90)는, 해당 내압이 소정의 압력보다도 높아진 경우에, 밸브(V5)를 폐쇄함으로써 용기(31)에 과잉의 용액(M1)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원료 주입부(34)는, 버퍼 장치(20)로부터 배관(L4, L5)을 통해 수송되는 용액(M1)을 분무하여 용기(31) 내에 주입한다. 원료 주입부(34)는 용액(M1)을 분무함으로써, 용액(M1)이 용기(31)의 저부 등에 도달하기 전에 용매를 기화시키고, 제2 고체 원료(M2)로서 퇴적시킨다. 원료 주입부(34)는, 예를 들어 분무 노즐이어도 된다.
원료 공급 장치(40A)는, 버퍼 장치(20)로부터 수송되는 용액(M1)을 저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원료 공급 장치(40A)는 용기(41), 가열부(42), 압력계(43) 및 원료 주입부(44)를 포함한다.
용기(41), 가열부(42), 압력계(43) 및 원료 주입부(44)는, 원료 공급 장치(30A)에 있어서의 용기(31), 가열부(32), 압력계(33) 및 원료 주입부(34)와 마찬가지의 구성이어도 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원료 공급 시스템(1A)에 의하면, 원료 공급 시스템(1)과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90)가 밸브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2개의 원료 공급 장치(30A, 40A) 중 한쪽에서 처리 장치(50)로의 반응성 가스의 공급을 행하고, 다른 쪽에서 고체 원료의 충전을 행한다. 이에 의해, 원료 공급 장치(30A, 40A)로의 원료의 자동 보충이 가능해져, 처리 장치(50)의 연속 운전 능력을 향상시키고, 처리 장치(50)의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원료 공급 시스템(1A)에 의하면, 원료 주입부(34, 44)로부터 용기(31, 41) 내에 용액(M1)을 분무하여 주입함으로써, 용액(M1)이 용기(31, 41)의 저부 등에 도달하기 전에 용매를 기화시키고, 제2 고체 원료(M2)로서 퇴적시킨다. 이와 같이 원료 공급 시스템(1A)에서는, 용기(31, 41) 내에 주입된 용액(M1)을 용기(31, 41)의 저부 등에 고체로서 퇴적시켜서 저류하므로, 일정 체적당 저류 가능한 고체 원료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원료 공급 시스템(1A)에서는, 고체 원료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M1)을 분무하여 용매를 기화시키고, 제2 고체 원료(M2)로서 용기(31, 41)의 저부 등에 한 번 퇴적시킨 후, 제2 고체 원료(M2)를 승화시켜서 처리 장치(50)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유량 제어의 간이화나, 대유량화 등의 제어가 용이해진다.
또한, 원료 공급 시스템(1A)에 의하면, 원료 공급 시스템(1)과 마찬가지로, 원료 공급원(10)과 원료 공급 장치(30A, 40A) 사이에 플로트 센서(22)를 포함하는 버퍼 장치(20)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원료 공급원(10)으로부터 수송되는 용액(M1)을 버퍼 장치(20) 내에서 액량을 관리하고, 관리된 액량의 용액(M1)을 원료 공급 장치(30A, 40A)에 수송하고, 원료 주입부(34, 44)로부터 용기(31, 41) 내에 분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용기(31, 41) 내에 분무됨으로써 용매가 기화되어 퇴적하는 제2 고체 원료(M2)의 저장량을 관리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7을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의 원료 공급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원료 공급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원료 공급 시스템(1B)은 용기(31, 41) 내의 각각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의 원료 공급 시스템(1)과 상이하다. 또한,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원료 공급 시스템(1)과 마찬가지이므로, 이하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원료 공급 장치(30B)는, 버퍼 장치(20)로부터 수송되는 용액(M1)을 저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원료 공급 장치(30B)는 용기(31), 가열부(32), 압력계(33), 구획판(35, 36) 및 관통관(37, 38)을 포함한다.
용기(31), 가열부(32) 및 압력계(33)는, 제1 실시 형태의 원료 공급 장치(30)와 동일해도 된다.
구획판(35)은 용기(31) 내에 마련되고, 용기(31) 내를 상하로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한다. 구획판(35)은 용액, 고체 원료 및 반응성 가스를 투과하지 않는 재료,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나 니켈 합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획판(36)은 용기(31) 내에 있어서의 구획판(35)의 하방에 마련되고, 용기(31) 내의 구획판(35)의 하방의 영역을 상하로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한다. 구획판(36)은, 예를 들어 구획판(35)과 동일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관통관(37)은, 구획판(35)을 두께 방향(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고, 관통관(37)을 통해 용액 및 반응성 가스가 구획판(35)을 통과한다. 관통관(37)의 구획판(35)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높이는, 필요한 원료의 양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이다. 관통관(37)은, 구획판(35)의 면 내에 있어서 1개 이상(도시된 예에서는 2개) 마련되어 있다.
관통관(38)은, 구획판(36)을 두께 방향(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고, 관통관(38)을 통해 용액 및 반응성 가스가 구획판(36)을 통과한다. 관통관(38)의 구획판(36)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높이는, 필요한 원료의 양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이다. 관통관(38)은, 구획판(36)의 면 내에 있어서 1개 이상(도시된 예에서는 1개)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용기(31) 내에 구획판(35, 36)이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버퍼 장치(20)로부터 용기(31) 내에 수송되는 용액은 구획판(35) 위, 구획판(36) 위 및 용기(31)의 저면 위에 저류된다. 그 때문에, 용기(31) 내에서 저류되는 용액의 단위 체적당 표면적인 비표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고체 원료를 승화시켜서 생성되는 반응성 가스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원료 공급 장치(40B)는 버퍼 장치(20)로부터 수송되는 용액(M1)을 저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원료 공급 장치(40B)는 용기(41), 가열부(42), 압력계(43), 구획판(45, 46) 및 관통관(47, 48)을 포함한다.
용기(41), 가열부(42), 압력계(43), 구획판(45, 46) 및 관통관(47, 48)은, 원료 공급 장치(30B)에 있어서의 용기(31), 가열부(32), 압력계(33), 구획판(35, 36) 및 관통관(37, 38)과 마찬가지의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용기(41) 내에 구획판(45, 46)이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버퍼 장치(20)로부터 용기(41) 내에 수송되는 용액은 구획판(45) 위, 구획판(46) 위 및 용기(41)의 저면 위에 저류된다. 그 때문에, 용기(41) 내에서 저류되는 용액의 단위 체적당 표면적인 비표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고체 원료를 승화시켜서 생성되는 반응성 가스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원료 공급 시스템(1B)에 의하면, 원료 공급 시스템(1)과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90)가 밸브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2개의 원료 공급 장치(30B, 40B) 중 한쪽에서 처리 장치(50)로의 반응성 가스의 공급을 행하고, 다른 쪽에서 고체 원료의 충전을 행한다. 이에 의해, 원료 공급 장치(30B, 40B)로의 원료의 자동 보충이 가능해져, 처리 장치(50)의 연속 운전 능력을 향상시키고, 처리 장치(50)의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원료 공급 시스템(1B)에 의하면, 원료 공급 시스템(1)과 마찬가지로, 원료 공급원(10)과 원료 공급 장치(30B, 40B) 사이에 플로트 센서(22)를 포함하는 버퍼 장치(20)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원료 공급원(10)으로부터 수송되는 용액(M1)을 버퍼 장치(20) 내에서 액량을 관리하고, 관리된 액량의 용액(M1)을 원료 공급 장치(30B, 40B)에 수송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원료 공급 장치(30B, 40B)에 플로트 센서를 마련하지 않아도 원료 공급 장치(30B, 40B)에 저류되는 용액(M1)의 액량을 관리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로트 센서의 내열 온도, 히트 사이클 내구성, 작동 신뢰성 등, 레벨 센서에 의한 사용 제한을 받지 않고, 원료 공급 장치(30B, 40B)에 있어서 용액(M1)을 가열하여 승화시킬 수 있다. 즉, 원료 공급 장치(30B, 40B)에 있어서, 용액(M1)을 가열하는 온도 등에 대한 사용 가능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원료 공급 시스템(1B)에 의하면, 용기(31, 41) 내의 각각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버퍼 장치(20)로부터 용기(31, 41) 내에 수송되는 용액은 구획판(35, 45) 위, 구획판(36, 46) 위 및 용기(31, 41)의 저면 위에 저류된다. 그 때문에, 용기(31, 41) 내에서 저류되는 용액의 단위 체적당 표면적인 비표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고체 원료를 승화시켜서 생성되는 반응성 가스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원료 공급 시스템(1)의 용기(31, 41) 내의 각각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실시 형태의 원료 공급 시스템(1A)의 용기(31, 41) 내의 각각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버퍼 장치(20)는 제1 저류부의 일례이고, 원료 공급 장치(30, 30A, 30B, 40, 40A, 40B)는 제2 저류부의 일례이고, 플로트 센서(22)는 검지부의 일례이다. 또한, 배관(L10, L11)은 배기 포트의 일례이고, 원료 주입부(34, 44)는 주입부의 일례이다. 제어 장치(90)는 제어부의 일례이다.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상기한 실시 형태는 첨부한 청구범위 및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생략, 치환, 변경되어도 된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용액(M1)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제2 고체 원료(M2)를 승화시켜서 반응성 가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반응성 가스를 사용하여 처리 장치(50)에서 성막을 행하는 시스템을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용액(M1) 대신에, 제1 고체 원료를 용매에 분산시킨 슬러리(slurry), 제1 고체 원료를 용매에 분산시킨 졸(sol) 등의 분산계(dispersion)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졸을 사용함으로써, 용액(M1)이나 슬러리를 사용하는 것보다도 고농도의 전구체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슬러리는 현탁액(suspension)이라고도 칭해진다. 또한, 졸은 콜로이드 용액(colloidal solution)이라고도 칭해진다.
본 국제 출원은 2020년 3월 17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20-046446호, 및 2020년 7월 8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20-118056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고, 당해 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 출원에 원용한다.
1, 1A, 1B: 원료 공급 시스템
20: 버퍼 장치
22: 플로트 센서
30, 30A, 30B, 40, 40A, 40B: 원료 공급 장치
32, 42: 가열부

Claims (15)

  1. 제1 고체 원료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 또는 제1 고체 원료를 용매에 분산시킨 분산계를 저류하는 제1 저류부와,
    상기 제1 저류부로부터 수송되는 상기 용액 또는 상기 분산계를 저류하는 제2 저류부와,
    상기 제1 저류부에 저류된 상기 용액 또는 상기 분산계의 양을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제2 저류부에 저류된 상기 용액 또는 상기 분산계로부터 상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제2 고체 원료를 가열하는 가열부
    를 갖는, 원료 공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류부는,
    상기 용액 또는 상기 분산계를 저류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를 배기하는 배기 포트
    를 포함하는
    원료 공급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포트는, 상기 제2 고체 원료가 가열되어서 승화한 반응성 가스를 사용한 처리를 행하는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원료 공급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포트는, 상기 용기 내를 배기하는 배기 장치에 접속되는,
    원료 공급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류부는,
    상기 용액 또는 상기 분산계를 저류하는 용기와,
    상기 용액 또는 상기 분산계를 분무하여 상기 용기 내에 주입하는 주입부
    를 포함하는,
    원료 공급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류부는 병렬로 복수 마련되는,
    원료 공급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플로트 센서를 포함하는,
    원료 공급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체 원료가 가열되어서 승화한 반응성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갖는,
    원료 공급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류부의 내압을 검출하는 압력계를 갖는,
    원료 공급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류부는, 상기 용액 또는 상기 분산계가 충전된 원료 공급원에 접속되는,
    원료 공급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제1 저류부에 상기 용액 또는 상기 분산계를 수송하는 스텝과,
    상기 원료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제1 저류부에 상기 용액 또는 상기 분산계를 수송하지 않고, 상기 제1 저류부로부터 상기 제2 저류부에 상기 용액 또는 상기 분산계를 수송하는 스텝과,
    상기 제2 저류부에 있어서 상기 용액 또는 상기 분산계로부터 상기 용매를 제거하는 스텝
    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갖는,
    원료 공급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액 또는 상기 분산계로부터 상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상기 제2 고체 원료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제2 고체 원료를 승화시켜서 반응성 가스를 생성하는 스텝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원료 공급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계는 슬러리인,
    원료 공급 시스템.
  14.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류부는, 상기 용기 내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료 공급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류부는,
    상기 용기 내에 마련되고, 상기 용기 내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되는 관통관
    을 포함하는,
    원료 공급 시스템.
KR1020227034802A 2020-03-17 2021-03-04 원료 공급 시스템 KR202201522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46446 2020-03-17
JP2020046446 2020-03-17
JPJP-P-2020-118056 2020-07-08
JP2020118056A JP2021147700A (ja) 2020-03-17 2020-07-08 原料供給システム
PCT/JP2021/008452 WO2021187134A1 (ja) 2020-03-17 2021-03-04 原料供給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274A true KR20220152274A (ko) 2022-11-15

Family

ID=77772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4802A KR20220152274A (ko) 2020-03-17 2021-03-04 원료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51486A1 (ko)
KR (1) KR20220152274A (ko)
CN (1) CN115244215A (ko)
WO (1) WO20211871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084A1 (ja) * 2019-09-24 2021-04-01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原料供給装置及び原料供給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5831A (ja) 2002-09-24 2004-04-15 Fujitsu Ltd 固体材料のガス化方法及び装置ならびに薄膜形成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1787A (ja) * 2002-09-20 2004-04-0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基板処理装置
JP2005217089A (ja) * 2004-01-29 2005-08-11 Nec Kansai Ltd 半導体製造装置および半導体製造方法
JP4595356B2 (ja) * 2004-03-12 2010-12-08 国立大学法人 奈良先端科学技術大学院大学 有機金属化学気相堆積装置用原料気化器
US7484315B2 (en) * 2004-11-29 2009-02-03 Tokyo Electron Limited Replaceable precursor tray for use in a multi-tray solid precursor delivery system
JP2006299335A (ja) * 2005-04-19 2006-11-02 Fujimori Gijutsu Kenkyusho:Kk 成膜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成膜装置並びに気化装置
JP2007314863A (ja) * 2006-05-29 2007-12-06 Applied Materials Inc ガス分離装置及び成膜装置
JP4820232B2 (ja) * 2006-08-08 2011-11-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Cvd原料の供給方法及び供給装置
US9334566B2 (en) * 2013-11-25 2016-05-10 Lam Research Corporation Multi-tray ballast vapor draw systems
JP2016040402A (ja) * 2014-08-12 2016-03-24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原料ガス供給装置
JP6627464B2 (ja) * 2015-03-30 2020-01-0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原料ガス供給装置及び成膜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5831A (ja) 2002-09-24 2004-04-15 Fujitsu Ltd 固体材料のガス化方法及び装置ならびに薄膜形成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44215A (zh) 2022-10-25
WO2021187134A1 (ja) 2021-09-23
US20230151486A1 (en)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8936B2 (ja) 化学的堆積、処理および/または浸透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200130121A (ko) 딥 튜브가 있는 화학물질 공급원 용기
JP5820731B2 (ja) 基板処理装置および固体原料補充方法
JP2020507004A (ja) 逐次浸透合成装置
US20080305014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KR102344996B1 (ko) 전구체 공급 유닛, 기판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220152274A (ko) 원료 공급 시스템
RU2005141760A (ru) Простая система химического осаждения из паров и способы нанесения многометаллических алюминидных покрытий
JP2021147700A (ja) 原料供給システム
JP7297082B2 (ja) 原料供給装置及び原料供給方法
KR20230062624A (ko)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KR20230061469A (ko)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WO2021060084A1 (ja) 原料供給装置及び原料供給方法
KR101349423B1 (ko) Cu막의 성막 방법
JP2022143760A (ja) 原料供給方法及び原料供給装置
KR20240048551A (ko) 원료 공급 장치
JPH05117864A (ja) Cvd装置
JP2020143351A (ja) 成膜装置及び原料ガス供給方法
JP2016216787A (ja) 成膜装置、成膜方法及び記憶媒体
KR20240019032A (ko) 전구체 레벨 측정용 압력-기반 센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769453A (zh) 具有缓冲罐的升华气体供应系统和升华气体供应方法
JP2005129782A (ja) 基板処理装置
KR100585989B1 (ko) 퍼지밸브를 갖는 저장용기 및 이를 이용한 퍼지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