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1158A -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 혈액 채취 용기 및 백혈구의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 혈액 채취 용기 및 백혈구의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158A
KR20220151158A KR1020227024973A KR20227024973A KR20220151158A KR 20220151158 A KR20220151158 A KR 20220151158A KR 1020227024973 A KR1020227024973 A KR 1020227024973A KR 20227024973 A KR20227024973 A KR 20227024973A KR 20220151158 A KR20220151158 A KR 20220151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ollection container
blood collection
osmotic pressure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니야 고마이
히로노부 이소가와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야마 세키스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야마 세키스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51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01N33/491Blood by separating the blood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1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 B01L3/50215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using a float to separate ph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31Purification arrangements, e.g. solid phase extraction [S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6Reagents, handling or storing thereof

Abstract

백혈구의 회수율이 높으며, 또한 적혈구의 혼입량이 적은 검체를 얻을 수 있는 혈액 채취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는, 소정량의 혈액이 채취되는 혈액 채취 용기로서, 혈액 채취 용기 본체와,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혈구 분리재를 구비하고, 상기 혈구 분리재의 25℃에서의 비중이 1.075 이상 1.093 이하이고,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적혈구 응집제를 구비(구성 A2)하거나, 또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삼투압 조정제를 구비하고, 상기 혈액 채취 용기에 채취되는 혈액의 소정량과 등량의 생리 식염수로,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켜, 삼투압 측정용 용액을 얻었을 때,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이 300mOsm/L 이상 500mOsm/L 이하이다(구성 B2).

Description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 혈액 채취 용기 및 백혈구의 분리 방법
본 발명은, 혈액 유래 시료 중에 존재하는 백혈구를 농축 분리하기 위한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백혈구를 농축 분리 가능한 혈액 채취 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혈구 분리 디바이스 또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를 사용한 백혈구의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상 검사에 있어서, 혈액 안에서 특정한 세포를 농축 분리하고, 분리한 세포를 사용한 검사가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백혈구의 형태를 관찰하거나, 백혈구의 표면 항원을 해석하거나, 백혈구 내부의 염색체나 유전자를 검사하거나 하기 위해서, 혈액으로부터 적혈구를 제거하고, 백혈구가 분리된다.
혈액으로부터 적혈구를 제거하고 또한 백혈구를 회수하는 방법으로서, 용혈법이나 피콜을 사용한 원심 분리법이 알려져 있지만, 이들 방법에서는 조작이 번잡하고, 또한 작업자의 기량에 따라서 백혈구의 회수율이 크게 변동된다.
작업자의 기량에 구애받지 않고 백혈구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하기 특허문헌 1, 2에 기재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특정한 비중을 갖는 겔상 조성물을 수용한 혈액 채취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이 혈액 채취 용기에 혈액을 채취하고, 원심 분리함으로써, 비중차에 의해, 상기 겔상 조성물의 하측에 적혈구가 침강하고, 상기 겔상 조성물의 상측에 백혈구가 농축 분리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특정한 비중을 갖는 겔상 조성물 및 해당 겔상 조성물보다도 큰 비중을 갖는 수용성의 밀도 구배 물질을 수용한 혈액 채취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이 혈액 채취 용기에 혈액을 채취하고, 원심 분리함으로써, 비중차에 의해, 상기 겔상 조성물의 하측에 적혈구가 침강하고, 백혈구는 상기 겔상 조성물과 혈장층 사이에 형성되는 층 중에 백혈구가 농축 분리된다.
WO2019/131613A1 일본 특허 공개 소61-084557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원심 분리 후에 겔상 조성물의 상부에 퇴적하는 백혈구층 중으로의 적혈구의 혼입량이 많아지는 경우가 있다. 적혈구의 혼입량이 많은 검체를 사용하여, 백혈구의 검사를 행하면, 검사 정밀도가 저하되고, 정상적인 검사 결과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백혈구층 중으로의 적혈구의 혼입량을 어느 정도 적게 할 수 있기는 하지만, 백혈구의 회수율을 높이는 것은 곤란하다. 백혈구의 회수량이 적은 검체를 사용한 경우에도, 검사 정밀도가 저하되어, 정상적인 검사 결과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백혈구의 회수율이 높으며, 또한 적혈구의 혼입량이 적은 검체를 얻을 수 있는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 및 혈액 채취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 또는 혈액 채취 용기를 사용한 백혈구의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소정량의 혈액 유래 시료가 첨가되어, 상기 혈액 유래 시료 중에 존재하는 백혈구를 농축 분리하기 위한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로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혈구 분리재를 구비하고, 상기 혈구 분리재의 25℃에서의 비중이 1.075 이상 1.093 이하이고, 이하의 구성 A1 또는 구성 B1을 구비하는,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구성 A1: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적혈구 응집제를 구비한다.
구성 B1: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삼투압 조정제를 구비하고,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에 첨가되는 혈액 유래 시료의 소정량과 등량의 생리 식염수로,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켜, 삼투압 측정용 용액을 얻었을 때,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이 300mOsm/L 이상 500mOsm/L 이하이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소정량의 혈액이 채취되는 혈액 채취 용기로서, 혈액 채취 용기 본체와,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혈구 분리재를 구비하고, 상기 혈구 분리재의 25℃에서의 비중이 1.075 이상 1.093 이하이고, 이하의 구성 A2 또는 구성 B2를 구비하는, 혈액 채취 용기가 제공된다.
구성 A2: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적혈구 응집제를 구비한다.
구성 B2: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삼투압 조정제를 구비하고, 상기 혈액 채취 용기에 채취되는 혈액의 소정량과 등량의 생리 식염수로,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켜, 삼투압 측정용 용액을 얻었을 때,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이 300mOsm/L 이상 500mOsm/L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혈구 분리재가 틱소트로피성을 갖는 혈구 분리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는 상기 구성 A2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적혈구 응집제가 덱스트란, 히드록시에틸전분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덱스트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 이상이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는 상기 구성 B2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이 320mOsm/L 이상 360mOsm/L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혈구 분리재의 25℃에서의 비중이 1.082 이상 1.090 이하이고,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이 320mOsm/L 이상 360mOsm/L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삼투압 조정제가 염화나트륨 또는 글루코오스이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는 상기 구성 A2와 상기 구성 B2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항응고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산화 방지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산화 방지제가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의 무기염이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상술한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를 사용한 백혈구의 분리 방법으로서,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에 혈액 유래 시료를 첨가하는 공정과, 상기 혈액 유래 시료가 첨가된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를 원심 분리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백혈구의 분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상술한 혈액 채취 용기를 사용한 백혈구의 분리 방법으로서,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내에 혈액을 채취하는 공정과, 상기 혈액이 채취된 상기 혈액 채취 용기를 원심 분리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백혈구의 분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소정량의 혈액 유래 시료가 채취되어, 상기 혈액 유래 시료 중에 존재하는 백혈구를 농축 분리하기 위한 백혈구 농축 분리 시스템으로서, 25℃에서의 비중이 1.075 이상 1.093 이하인 혈구 분리재를 구비하고, 이하의 구성 A3, 또는 구성 B3을 구비하는, 백혈구 농축 분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구성 A3: 적혈구 응집제를 구비한다.
구성 B3: 삼투압 조정제를 구비하고, 상기 혈액 유래 시료의 소정량과 등량의 생리 식염수로, 상기 혈액 유래 시료와 혼합되는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켜, 삼투압 측정용 용액을 얻었을 때,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이 300mOsm/L 이상 500mOsm/L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는, 소정량의 혈액 유래 시료가 첨가되어, 상기 혈액 유래 시료 중에 존재하는 백혈구를 농축 분리하기 위한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로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혈구 분리재를 구비하고, 상기 혈구 분리재의 25℃에서의 비중이 1.075 이상 1.093 이하이고, 이하의 구성 A1 또는 구성 B1을 구비한다. 구성 A1: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적혈구 응집제를 구비한다. 구성 B1: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삼투압 조정제를 구비하고,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에 첨가되는 혈액 유래 시료의 소정량과 등량의 생리 식염수로,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켜, 삼투압 측정용 용액을 얻었을 때,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이 300mOsm/L 이상 500mOsm/L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백혈구의 회수율이 높으며, 또한 적혈구의 혼입량이 적은 검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는, 소정량의 혈액이 채취되는 혈액 채취 용기로서, 혈액 채취 용기 본체와,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혈구 분리재를 구비하고, 상기 혈구 분리재의 25℃에서의 비중이 1.075 이상 1.093 이하이고, 이하의 구성 A2 또는 구성 B2를 구비한다. 구성 A2: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적혈구 응집제를 구비한다. 구성 B2: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삼투압 조정제를 구비하고, 상기 혈액 채취 용기에 채취되는 혈액의 소정량과 등량의 생리 식염수로,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켜, 삼투압 측정용 용액을 얻었을 때,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이 300mOsm/L 이상 500mOsm/L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에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백혈구의 회수율이 높으며, 또한 적혈구의 혼입량이 적은 검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의 정면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는, 소정량의 혈액 유래 시료가 첨가되어, 상기 혈액 유래 시료 중에 존재하는 백혈구를 농축 분리하기 위한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로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혈구 분리재를 구비하고, 상기 혈구 분리재의 25℃에서의 비중이 1.075 이상 1.093 이하이고, 이하의 구성 A1 또는 구성 B1을 구비한다.
구성 A1: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적혈구 응집제를 구비한다.
구성 B1: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삼투압 조정제를 구비하고,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에 첨가되는 혈액 유래 시료의 소정량과 등량의 생리 식염수로,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켜, 삼투압 측정용 용액을 얻었을 때,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이 300mOsm/L 이상 500mOsm/L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는, 소정량의 혈액이 채취되는 혈액 채취 용기로서, 혈액 채취 용기 본체와,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혈구 분리재를 구비하고, 상기 혈구 분리재의 25℃에서의 비중이 1.075 이상 1.093 이하이고, 이하의 구성 A2 또는 구성 B2를 구비한다.
구성 A2: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적혈구 응집제를 구비한다.
구성 B2: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삼투압 조정제를 구비하고, 상기 혈액 채취 용기에 채취되는 혈액의 소정량과 등량의 생리 식염수로,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켜, 삼투압 측정용 용액을 얻었을 때,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이 300mOsm/L 이상 500mOsm/L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 및 혈액 채취 용기에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백혈구의 회수율이 높으며, 또한 적혈구의 혼입량이 적은 검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 및 혈액 채취 용기에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백혈구의 함유량이 많고, 또한 적혈구의 함유량이 적은 검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는, 상기 구성 A1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상기 구성 B1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상기 구성 A1과 상기 구성 B1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관점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는, 상기 구성 A1과 상기 구성 B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는 상기 구성 A2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상기 구성 B2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상기 구성 A2와 상기 구성 B2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관점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는, 상기 구성 A2와 상기 구성 B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가 상기 구성 A2를 구비하는 경우, 혈액 채취 용기에 혈액이 채취되면, 적혈구 응집제의 작용에 의해 적혈구가 응집된다. 혈액 채취 용기를 원심 분리함으로써, 응집된 적혈구는, 특정한 비중을 갖는 혈구 분리재보다도 하방으로 양호하게 이동한다. 또한, 특정한 비중을 갖는 혈구 분리재보다도 상방으로 백혈구가 양호하게 이동한다. 그 결과, 백혈구의 회수율이 높으며, 또한 적혈구의 혼입량이 적은 검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가 상기 구성 B2를 구비하는 경우, 혈액 채취 용기에 혈액이 채취되면, 혈액의 삼투압이 커진다. 그 때문에, 백혈구 내의 수분 및 적혈구 내의 수분이, 혈구 외로 이동하여, 백혈구 및 적혈구의 비중이 커지고, 그 결과, 백혈구의 비중과, 적혈구의 비중의 차를 크게 할 수 있다. 혈액 채취 용기를 원심 분리함으로써, 비중이 커진 적혈구는, 특정한 비중을 갖는 혈구 분리재보다도 하방으로 양호하게 이동한다. 또한, 특정한 비중을 갖는 혈구 분리재보다도 상방으로 백혈구가 양호하게 이동한다. 그 결과, 백혈구의 회수율이 높으며, 또한 적혈구의 혼입량이 적은 검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기구에 의해, 백혈구의 회수율이 높으며, 또한 적혈구의 혼입량이 적은 검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가 상기 구성 A1과 상기 구성 B1의 양쪽의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 및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가 상기 구성 A2와 상기 구성 B2의 양쪽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적혈구의 응집에 의한 효과와, 상기 비중에 의한 효과가 모두 발휘되어,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상기 구성 B1을 구비하는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에 첨가되는 혈액 유래 시료의 소정량과 등량의 생리 식염수로,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켜, 삼투압 측정용 용액을 얻었을 때, 얻어진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이 300mOsm/L 이상 500mOsm/L 이하이다.
상기 구성 B2를 구비하는 혈액 채취 용기에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에 채취되는 혈액의 소정량과 등량의 생리 식염수로,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켜, 삼투압 측정용 용액을 얻었을 때, 얻어진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이 300mOsm/L 이상 500mOsm/L 이하이다.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은,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된다.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에 첨가되는 혈액 유래 시료의 소정량 또는 혈액 채취 용기에 채취되는 혈액의 소정량과 등량의 생리 식염수를,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 또는 혈액 채취 용기에 첨가한다. 예를 들어, 5mL의 혈액이 채취되는 혈액 채취 용기에는, 5mL의 생리 식염수를 해당 혈액 채취 용기에 첨가한다. 첨가 후, 전도 혼화하여, 생리 식염수로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켜, 삼투압 측정용 용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성분이란, 예를 들어 삼투압 조정제, 적혈구 응집제, 및 이들을 포함하는 액 등이다.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은, 삼투압계(예를 들어, 아크레이사제 「OM-6060」)를 사용하여, 빙점 강하법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은, 바람직하게는 300mOsm/L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10mOsm/L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20mOsm/L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mOsm/L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mOsm/L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60mOsm/L 이하이다. 상기 삼투압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검체 중으로의 적혈구의 혼입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혈구 분리재의 25℃에서의 비중이 1.082 이상 1.090 이하이고,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이 320mOsm/L 이상 360mOsm/L 이하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혈구 분리재)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는,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혈구 분리재를 구비한다. 상기 혈액 채취 용기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혈구 분리재를 구비한다. 상기 혈구 분리재의 25℃에서의 비중은, 1.075 이상 1.093 이하이다. 상기 혈구 분리재로서는, 혈구 분리용 조성물 및 혈구 분리용 지그 등을 들 수 있다. 혈구 분리재의 제작이 용이한 점에서, 상기 혈구 분리재는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구 분리재의 수용 개소는, 상기 용기 본체 내 또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혈구 분리재는, 상기 용기 본체 내의 저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내벽면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혈액 채취 용기에 있어서, 상기 혈구 분리재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저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내벽면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혈구 분리용 조성물>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은, 원심 분리 시에 백혈구와 적혈구 사이에 이동하여 격벽을 형성하는 조성물이다. 또한,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은, 원심 분리 후에 백혈구층에 적혈구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은 틱소트로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틱소트로피성을 갖는 겔상 조성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은 상기 용기 본체의 저부에 수용되어 있어도 되고, 내벽면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관점에서,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은 상기 용기 본체의 저부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액 채취 용기에 있어서,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은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저부에 수용되어 있어도 되고, 내벽면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관점에서,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은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저부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은, 25℃에서 유동성을 갖는 유기 성분과, 무기 미분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5℃에서 유동성을 갖는 유기 성분, 및 상기 무기 미분말은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25℃에서 유동성을 갖는 유기 성분:
상기 「25℃에서 유동성을 갖는」이란, 25℃에서의 점도가 500Pa·s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유기 성분의 25℃에서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30Pa·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Pa·s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Pa·s 이하이다. 상기 점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혈구 분리용 조성물의 유동성이 높아지고, 격벽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성분의 25℃에서의 점도는, E형 점도계(예를 들어, 도끼 산교사제 「TVE-35」)를 사용하여, 25℃ 및 전단 속도 1.0초-1의 조건에서 측정된다.
상기 유기 성분으로서는, 수지, 및 수지와 가소제 등의 유기 화합물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성분이 상기 수지와 상기 유기 화합물의 혼합물인 경우에, 해당 혼합물(상기 유기 성분)로서 유동성을 갖고 있으면 되고, 해당 수지 또는 해당 유기 화합물이 유동성을 갖지 않아도 된다. 상기 유기 성분이 상기 수지와 상기 유기 화합물의 혼합물인 경우에, 해당 수지는, 예를 들어 25℃에서 고체인 수지여도 된다. 상기 수지 및 상기 유기 화합물은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수지로서는, 석유 수지, 시클로펜타디엔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수지, α-올레핀-푸마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세바스산과 2,2-디메틸-1,3-프로판디올과 1,2-프로판디올의 공중합체,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계 수지 및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석유 수지의 시판품으로서는, 이스트만 케미컬사제 「리가라이트 S509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시클로펜타디엔계 수지로서는, 시클로펜타디엔계 모노머의 중합체, 시클로펜타디엔계 모노머와 방향족계 모노머의 공중합체, 및 디시클로펜타디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시클로펜타디엔계 수지는 수소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시클로펜타디엔계 모노머의 중합체 및 상기 시클로펜타디엔계 모노머와 방향족계 모노머의 공중합체는, 올리고머여도 된다.
상기 시클로펜타디엔계 모노머로서는, 시클로펜타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시클로펜타디엔의 알킬 치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계 모노머로서는, 스티렌, 메틸스티렌, 인덴 및 메틸인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시클로펜타디엔 수지의 시판품으로서는, 콜론사제 「스코렛츠 SU500」 및 「스코렛츠 SU9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폴리알킬레텔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폴리알킬렌나프탈레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알킬레텔레프탈레이트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1,4-시클로헥산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로서는, 폴리올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적어도 1종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수지, 및 적어도 1종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와 적어도 1종의 해당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를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탄소수가 1 이상 20 이하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폴리알킬렌글리콜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디알킬아미노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벤질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페녹시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이소보르닐에스테르 및 (메트)아크릴산알콕시실릴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유기 화합물로서는, 벤젠폴리카르복실산알킬에스테르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화합물은 벤젠폴리카르복실산알킬에스테르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유기 성분은, 상기 수지와 상기 벤젠폴리카르복실산알킬에스테르 유도체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벤젠폴리카르복실산알킬에스테르 유도체로서는, 프탈산에스테르,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 및 피로멜리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젠폴리카르복실산알킬에스테르 유도체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로서는, 트리멜리트산트리n-옥틸, 트리멜리트산트리이소옥틸 및 트리멜리트산트리이소데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피로멜리트산에스테르로서는, 피로멜리트산테트라이소옥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의 시판품으로서는, DIC사제 「모노사이저 W700」 및 「모노사이저 W-750」, 신니혼 리카사제 「산소사이저 TOTM」 및 「산소사이저 TITM」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피로멜리트산에스테르의 시판품으로서는, DIC사제 「모노사이저 W-701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젠폴리카르복실산알킬에스테르 유도체는, 프탈산에스테르,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 또는 피로멜리트산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고,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혈구 분리용 조성물 100중량% 중, 상기 유기 성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5중량% 이하이다.
무기 미분말:
상기 무기 미분말로서는, 미분말 실리카, 산화티타늄 분말, 산화아연 분말, 탄산칼슘 분말, 알루미나 분말, 유리 미분말, 탈크 분말, 카올린 분말, 벤토나이트 분말, 티타니아 분말 및 지르코늄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미분말은, 미분말 실리카와, 미분말 실리카와는 다른 무기 미분말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미분말 실리카와는 다른 무기 미분말은, 미분말 실리카보다도 비중이 큰 무기 미분말인 것이 바람직하고, 산화아연 분말, 산화티타늄 분말, 알루미나 분말 등의 비중이 3 이상인 무기 미분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시키는 관점에서는, 상기 무기 미분말은 미분말 실리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분말 실리카로서는, 천연 실리카 및 합성 실리카를 들 수 있다. 합성 실리카로서는, 친수성 실리카 및 소수성 실리카를 들 수 있다. 친수성 실리카는, 입자 표면의 수산기끼리가 수소 결합함으로써, 혈구 분리용 조성물에 틱소트로피성을 부여함과 함께, 비중을 조정하는 작용을 갖는다. 한편, 소수성 실리카는, 친수성 실리카에 비해 틱소트로피성의 부여 효과는 작다.
혈구 분리용 조성물의 비중과 틱소트로피성의 양쪽을 모두 적합한 범위로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미분말 실리카는 친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친수성 실리카와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미분말 실리카는 친수성 실리카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혈구 분리용 조성물 100중량% 중, 친수성 실리카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5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중량% 이하이다. 상기 친수성 실리카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혈구 분리용 조성물의 비중과 틱소트로피성의 양쪽을 보다 한층 적합한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혈구 분리용 조성물 100중량% 중, 미분말 실리카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이다. 상기 미분말 실리카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혈구 분리용 조성물의 비중과 틱소트로피성의 양쪽을 보다 한층 적합한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미분말 실리카 및 상기 미분말 실리카와는 다른 무기 미분말의 평균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미분말 실리카의 평균 입자경은 1nm 이상이어도 되고, 10nm 이상이어도 되고, 500nm 이하여도 되고, 100nm 이하여도 된다. 상기 미분말 실리카와는 다른 무기 미분말의 평균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무기 미분말의 평균 입자경은 10nm 이상이어도 되고, 100nm 이상이어도 되고, 10㎛ 이하여도 되고, 1㎛ 이하여도 된다.
상기 미분말 실리카 및 상기 미분말 실리카와는 다른 무기 미분말의 평균 입자경은, 체적 기준으로 측정되는 평균 직경이며, 50%가 되는 메디안 직경(D50)의 값이다. 상기 체적 평균 입자경(D50)은 레이저 회절·산란법, 화상 해석법, 콜터법 및 원심 침강법 등에 의해 측정 가능하다. 상기 체적 평균 입자경(D50)은 레이저 회절·산란법 또는 화상 해석법에 의한 측정에 의해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혈구 분리용 조성물 100중량% 중, 상기 무기 미분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이다. 상기 무기 미분말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혈구 분리용 조성물의 비중과 틱소트로피성의 양쪽을 보다 한층 적합한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기타 성분: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상술한 성분 이외의 기타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상기 기타 성분으로서, 유기 겔화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알킬렌글리콜, 실리콘 오일, 보조 용매, 산화 방지제, 착색제 및 물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기타 성분은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기타 상세: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1.075 이상 1.093 이하이다.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바람직하게는 1.077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82 이상, 바람직하게는 1.09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88 이하이다. 상기 비중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백혈구의 회수율이 보다 한층 높고, 적혈구의 혼입량이 보다 한층 적은 검체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은, 혈구 분리용 조성물 1방울을, 비중을 0.002의 간격으로 단계적으로 조정한 25℃의 식염수 중에 순차 적하하고, 식염수 중에 있어서의 부침(浮沈)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00Pa·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Pa·s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Pa·s 이하이다. 상기 점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 시킬 수 있다.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는, E형 점도계(예를 들어, 도끼 산교사제 「TVE-35」)를 사용하여, 25℃ 및 전단 속도 1.0초-1의 조건에서 측정된다.
<혈구 분리용 지그>
상기 혈구 분리용 지그는, 원심 분리 시에 백혈구와 적혈구 사이에 이동하여 격벽을 형성하는 지그이다. 또한, 상기 혈구 분리용 지그는, 원심 분리 후에 백혈구층에 적혈구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혈구 분리용 지그로서, 예를 들어 혈청 또는 혈장 분리용 지그로서 알려져 있는 지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혈구 분리용 지그로서는, 예를 들어 WO2010/132783A1 등에 기재된 기계적 세퍼레이터(혈구 분리용 지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혈구 분리용 지그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적혈구 응집제)
상기 구성 A1을 구비하는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는,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적혈구 응집제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 A2를 구비하는 혈액 채취 용기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적혈구 응집제를 구비한다. 상기 적혈구 응집제로서, 종래 공지된 적혈구 응집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적혈구 응집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적혈구 응집제로서는, 덱스트란, 히드록시에틸전분, 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수크로오스 등의 다당류; 폴리아미노산, 폴리아민술폰, 폴리브렌, 폴리알킬렌옥시드, 폴리알킬렌이민,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양이온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양이온계 폴리머;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반코마이신 및 카나마이신 등의 저분자 화합물; 식물 렉틴 등의 세포 결합성 당단백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적혈구 응집제는 다당류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인 것이 바람직하고, 다당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적혈구 응집제는 덱스트란, 히드록시에틸전분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인 것이 바람직하고, 덱스트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경우에는,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또한, 혈구 분리용 조성물과 용기 본체 또는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밀착성이 높아지고, 원심 분리 후에, 혈구 분리용 조성물과 용기 본체 또는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간극에 적혈구가 잔존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덱스트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00 이하이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또한, 혈구 분리용 조성물과 용기 본체 또는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밀착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고, 원심 분리 후에, 혈구 분리용 조성물과 용기 본체 또는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간극에 있어서의 적혈구의 잔존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에틸전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70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00 이하이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또한, 혈구 분리용 조성물과 용기 본체 또는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밀착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고, 원심 분리 후에, 혈구 분리용 조성물과 용기 본체 또는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간극에 있어서의 적혈구의 잔존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0 이하이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또한, 혈구 분리용 조성물과 용기 본체 또는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밀착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고, 원심 분리 후에, 혈구 분리용 조성물과 용기 본체 또는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간극에 있어서의 적혈구의 잔존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된 풀루란 환산에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나타낸다.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적혈구 응집제는 상기 용기 본체 내에, 분말의 상태로 수용되어 있어도 되고, 액체에 용해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적혈구 응집제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액체에 용해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혈액 유입 시의 용혈을 방지하기 위해서, 액체의 삼투압이 혈액과 등장으로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혈구 응집제는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분말의 상태와 액체에 용해된 상태의 양쪽의 상태로 존재해도 된다.
상기 혈액 채취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적혈구 응집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분말의 상태로 수용되어 있어도 되고, 액체에 용해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적혈구 응집제가,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액체에 용해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혈액 유입 시의 용혈을 방지하기 위해서, 액체의 삼투압이 혈액과 등장으로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혈구 응집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서, 분말의 상태와 액체에 용해된 상태의 양쪽의 상태로 존재해도 된다.
상기 액체로서는, 물 및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적혈구 응집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혈구 응집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과,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상기 적혈구 응집제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혈구 응집제가 분말의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 분말상인 적혈구 응집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분말상인 적혈구 응집제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적혈구 응집제의 함유량은, 첨가되는 혈액 유래 시료 1mL당, 바람직하게는 5m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mg 이상, 바람직하게는 50m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mg 이하이다. 상기 혈액 채취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적혈구 응집제의 함유량은, 채취되는 혈액 1mL당, 바람직하게는 5m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mg 이상, 바람직하게는 50m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mg 이하이다. 상기 적혈구 응집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또한, 혈구 분리용 조성물과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밀착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고, 원심 분리 후에, 혈구 분리용 조성물과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간극에 있어서의 적혈구의 잔존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삼투압 조정제)
상기 구성 B1을 구비하는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는,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삼투압 조정제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 B2를 구비하는 혈액 채취 용기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삼투압 조정제를 구비한다. 상기 삼투압 조정제로서, 종래 공지된 삼투압 조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삼투압 조정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삼투압 조정제로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글루코오스, 디히드록시아세톤, 그리고 D-만니톨 및 D-소르비톨 등의 당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삼투압 조정제는 염화나트륨 또는 글루코오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삼투압 조정제는 상기 용기 본체 내에, 분말의 상태로 수용되어 있어도 되고, 액체에 용해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삼투압 조정제는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분말의 상태와 액체에 용해된 상태의 양쪽의 상태로 존재해도 된다.
상기 혈액 채취 용기에 있어서, 상기 삼투압 조정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분말의 상태로 수용되어 있어도 되고, 액체에 용해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삼투압 조정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서, 분말의 상태와 액체에 용해된 상태의 양쪽의 상태로 존재해도 된다.
상기 액체로서는, 물 및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삼투압 조정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삼투압 조정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과,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상기 삼투압 조정제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삼투압 조정제가 분말의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 분말상인 삼투압 조정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분말상인 삼투압 조정제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본체 내 또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상기 삼투압 조정제의 양은,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이 상술한 범위를 만족시키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항응고제)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는,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항응고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액 채취 용기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항응고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응고제로서, 종래 공지된 항응고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응고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항응고제로서는, 헤파린,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EDTA) 및 시트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항응고제는 상기 용기 본체 내에, 분말의 상태로 수용되어 있어도 되고, 액체에 용해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항응고제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액체에 용해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혈액 유입 시의 용혈을 방지하기 위해서, 액체의 삼투압이 혈액과 등장으로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응고제는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분말의 상태와 액체에 용해된 상태의 양쪽의 상태로 존재해도 된다.
상기 혈액 채취 용기에 있어서, 상기 항응고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분말의 상태로 수용되어 있어도 되고, 액체에 용해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항응고제가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액체에 용해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혈액 유입 시의 용혈을 방지하기 위해서, 액체의 삼투압이 혈액과 등장으로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응고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서, 분말의 상태와 액체에 용해된 상태의 양쪽의 상태로 존재해도 된다.
상기 액체로서는, 물 및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항응고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응고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과,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상기 항응고제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응고제가 분말의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 분말상인 항응고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분말상인 항응고제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본체 내 또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상기 항응고제의 양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산화 방지제)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는,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산화 방지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액 채취 용기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산화 방지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 방지제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 및 상기 혈액 채취 용기를 방사선 멸균할 때의 변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 종래 공지된 산화 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의 무기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산화 방지제는 상기 용기 본체 내에, 분말의 상태로 수용되어 있어도 되고, 액체에 용해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액체에 용해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혈액 유입 시의 용혈을 방지하기 위해서, 액체의 삼투압이 혈액과 등장으로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화 방지제는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분말의 상태와 액체에 용해된 상태의 양쪽의 상태로 존재해도 된다.
상기 혈액 채취 용기에 있어서, 상기 산화 방지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분말의 상태로 수용되어 있어도 되고, 액체에 용해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가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액체에 용해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혈액 유입 시의 용혈을 방지하기 위해서, 액체의 삼투압이 혈액과 등장으로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화 방지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서, 분말의 상태와 액체에 용해된 상태의 양쪽의 상태로 존재해도 된다.
상기 액체로서는, 물 및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화 방지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과,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상기 산화 방지제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 방지제가 분말의 상태로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 분말상인 산화 방지제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분말상인 산화 방지제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혈구 분리재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본체 내 또는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상기 산화 방지제의 양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용기 본체 및 혈액 채취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닥이 있는 관상 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소재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열가소성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아세트산셀룰로오스, 프로피온산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에틸키틴 등의 변성 천연 수지; 소다 석회 유리, 인규산 유리, 붕규산 유리 등의 규산염 유리, 석영 유리 등의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소재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마개)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 및 상기 혈액 채취 용기는, 마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개로서, 종래 공지된 마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개는, 용기 본체의 개구 또는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개구에, 기밀적 또한 액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소재, 형상을 포함하는 마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개는, 채혈 바늘을 찔러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개로서는, 용기 본체의 개구 또는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개구에 감합되는 형상을 갖는 마개, 시트상의 시일 마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는, 고무 마개 등의 마개 본체와,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된 캡 부재를 구비하는 마개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혈액 채취 후에,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개구로부터 마개를 빼낼 때, 혈액이 인체와 접촉될 리스크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마개(또는 상기 마개 본체)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엘라스토머, 고무, 금속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무로서는, 부틸 고무 및 할로겐화부틸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박으로서는, 알루미늄박 등을 들 수 있다. 밀봉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마개의 재료는 부틸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개는 부틸 고무 마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혈액 채취 용기의 기타 상세)
상기 혈액 채취 용기는 체혈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는 체혈관 본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혈구 응집제 및 상기 삼투압 조정제가, 액체에 용해된 상태로 수용된 상기 혈액 채취 용기(구성 A2 및 구성 B2를 구비하는 혈액 채취 용기)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적혈구 응집제와, 상기 삼투압 조정제와,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는 기타 성분을, 물 등의 용매에 용해시켜, 혼합액을 얻는다.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얻어진 혼합액을 첨가한다. 또한, 혼합액을 첨가하기 전 또는 첨가한 후에,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혈구 분리용 조성물을 수용한다.
또한, 상기 혼합액에 있어서의 용매를 휘발 등 시키거나, 상기 적혈구 응집제 및 상기 삼투압 조정제 등을 분말의 상태로 혈구 분리용 조성물의 표면 상에 첨가하거나 함으로써, 상기 적혈구 응집제 및 상기 삼투압 조정제가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의 표면 상에, 분말의 상태로 배치된 상기 혈액 채취 용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적혈구 응집제 및 상기 삼투압 조정제가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분말의 상태로 배치된 상기 혈액 채취 용기(구성 A2 및 구성 B2를 구비하는 혈액 채취 용기)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적혈구 응집제와, 상기 삼투압 조정제와,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는 기타 성분을, 물 등의 용매에 용해시켜, 혼합액을 얻는다.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에 상기 혼합액을 도포하여, 건조시킨다. 또한, 혼합액을 도포하기 전 또는 도포한 후에,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혈구 분리용 조성물을 수용한다.
상기 혈액 채취 용기에는, 상기 적혈구 응집제가 액체에 용해된 상태로 수용되며, 또한 상기 삼투압 조정제가 분말의 상태로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혈액 채취 용기에는, 예를 들어 상기 적혈구 응집제가 분말의 상태로 수용되며, 또한 상기 삼투압 조정제가 액체에 용해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적혈구 응집제 및 상기 삼투압 조정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거나 함으로써, 구성 A2를 구비하는 혈액 채취 용기 및 구성 B2를 구비하는 혈액 채취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혈액 채취 용기(1)는, 혈액 채취 용기 본체(2)와, 혈구 분리용 조성물(3)과, 적혈구 응집제, 삼투압 조정제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액(4)과, 마개(5)를 구비한다. 혈액 채취 용기 본체(2)는 일단부에 개구를 갖고, 타단부에 폐쇄되어 있는 저부를 갖는다. 혈구 분리용 조성물(3)은 혈액 채취 용기 본체(2)의 저부에 수용되어 있다. 마개(5)는 혈액 채취 용기 본체(2)의 개구에 삽입되어 있다.
혼합액(4)은 혈구 분리용 조성물(3)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혈구 분리용 조성물(3)의 상면(일단부측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혼합액(4)은, 혈액 채취 용기를 정립 상태로 하였을 때, 혈구 분리용 조성물(3)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적혈구 응집제 및 상기 삼투압 조정제는 액체에 용해된 상태로, 혈액 채취 용기 본체(2)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혈액 채취 용기(1A)는, 혈액 채취 용기 본체(2)와, 혈구 분리용 조성물(3)과, 적혈구 응집제 및 삼투압 조정제의 혼합 분말(4A)과, 마개(5)를 구비한다. 혈액 채취 용기 본체(2)는 일단부에 개구를 갖고, 타단부에 폐쇄되어 있는 저부를 갖는다. 혈구 분리용 조성물(3)은 혈액 채취 용기 본체(2)의 저부에 수용되어 있다. 마개(5)는 혈액 채취 용기 본체(2)의 개구에 삽입되어 있다.
혼합 분말(4A)은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2a) 상에 배치되어 있다. 혼합 분말(4A)은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2a) 상에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적혈구 응집제 및 상기 삼투압 조정제는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2a) 상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적혈구 응집제 및 상기 삼투압 조정제는 분말의 상태로, 혈액 채취 용기 본체(2) 내에 수용되어 있다. 혼합 분말(4A)은 혈구 분리용 조성물(3)보다도 일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에는,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이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혼합액이, 혈액 채취 용기를 정립 상태로 하였을 때,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저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에는,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이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혼합 분말이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 또는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채취 용기에는,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이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 상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혼합 분말이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저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 대신에 상기 혈구 분리용 지그가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 및 상기 혈액 채취 용기의 내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혈액 채취 용기는, 내부가 배기된 다음, 상기 밀폐 부재에 의해 밀폐된 진공 체혈관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진공 체혈관인 경우, 채혈자의 기술차에 구애받지 않고 일정량의 혈액 채취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세균 감염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 및 상기 혈액 채취 용기의 내부는, ISO 및 JIS의 기준에 준하여 멸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혈구의 분리 방법)
본 발명에 관한 백혈구의 분리 방법은, 상술한 혈액 채취 용기를 사용한 백혈구의 분리 방법으로서,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내에 혈액을 채취하는 공정과, 상기 혈액이 채취된 상기 혈액 채취 용기를 원심 분리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 백혈구의 분리 방법은, 혈액으로부터 백혈구를 분리하는 방법이다. 상기 백혈구의 분리 방법은, 혈액으로부터 백혈구를 농축 분리하는 방법이다.
또한,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마찬가지로 하여 백혈구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백혈구의 분리 방법은,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에 혈액 유래 시료를 첨가하는 공정과, 상기 혈액 유래 시료가 첨가된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를 원심 분리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 원심 분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백혈구와 적혈구 사이에 혈구 분리재에 의한 격벽을 형성시킬 수 있다. 원심 분리 후, 혈구 분리재에 의해 형성된 격벽 상에 백혈구를 농축 분리시킬 수 있다. 원심 분리 후, 백혈구는 상기 격벽 상에 퇴적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 상에 농축 분리한 백혈구를 회수하여, 검체로 할 수 있다.
상기 원심 분리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원심 분리 조건은, 상기 혈구 분리재에 의해 격벽을 형성시켜, 백혈구와 적혈구를 분리시킬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원심 분리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어 400G 이상 4000G 이하에서 10분간 이상 120분간 이하로 원심 분리하는 조건 등을 들 수 있다.
(백혈구 분리 시스템)
본 발명에 관한 백혈구 농축 분리 시스템은, 소정량의 혈액 유래 시료가 채취되어, 상기 혈액 유래 시료 중에 존재하는 백혈구를 농축 분리하기 위한 백혈구 농축 분리 시스템으로서, 25℃에서의 비중이 1.075 이상 1.093 이하인 혈구 분리재를 구비하고, 이하의 구성 A3 또는 구성 B3을 구비한다.
구성 A3: 적혈구 응집제를 구비한다.
구성 B3: 삼투압 조정제를 구비하고, 상기 혈액 유래 시료의 소정량과 등량의 생리 식염수로, 상기 혈액 유래 시료와 혼합되는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켜, 삼투압 측정용 용액을 얻었을 때,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이 300mOsm/L 이상 500mOsm/L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백혈구 분리 시스템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백혈구의 회수율이 높으며, 또한 적혈구의 혼입량이 적은 검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백혈구 농축 분리 시스템은, 상기 구성 A3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상기 구성 B3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상기 구성 A3과 상기 구성 B3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관점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백혈구 농축 분리 시스템은, 상기 구성 A3과 상기 구성 B3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 B3에 있어서의 상기 혈액 유래 시료와 혼합되는 수용성 성분이란, 예를 들어 삼투압 조정제, 적혈구 응집제, 및 이들을 포함하는 액 등이다.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혈구 응집제, 상기 삼투압 조정제 및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바람직한 구성 등은 상술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시스템은, 혈액 유래 시료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구 분리재, 상기 적혈구 응집제 및 상기 삼투압 조정제는,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혈구 분리용 조성물의 재료로서, 이하를 준비하였다.
(25℃에서 유동성을 갖는 유기 성분의 재료)
(메트)아크릴계 수지:
아크릴산-2-에틸헥실과 아크릴산부틸을 아조계 중합 개시제의 존재 하에서 용액 중합법에 의해 라디칼 중합시켜, 25℃에서 유동성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수지를 얻었다.
기타 수지:
석유 수지(이스트만 케미컬사제 「리가라이트 S5090」)
디시클로펜타디엔 수지 1(콜론사제 「스코렛츠 SU500」)
디시클로펜타디엔 수지 2(콜론사제 「스코렛츠 SU90」)
유기 화합물: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벤젠폴리카르복실산알킬에스테르 유도체, DIC사제 「모노사이저 W700」)
(무기 미분말)
친수성 실리카(미분말 실리카, 닛본 에어로실사제 「200CF」)
소수성 실리카(미분말 실리카, 닛본 에어로실사제 「R974」)
산화티타늄 분말(이시하라 산교사제 「A-100」)
(기타 성분)
실리콘 오일(도레이 다우코닝사제 「SF8410」)
유기 겔화제(신니혼 리카사제 「겔올 D」)
1-메틸-2-피롤리돈(보조 용매)
혈구 분리용 조성물 A 내지 H의 제작:
표 1, 2에 기재된 배합 비율로, 25℃에서 유동성을 갖는 유기 성분과 무기 미분말과 기타 성분을 혼합하여, 틱소트로피성을 갖는 혈구 분리용 조성물 A 내지 H를 제작하였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적혈구 응집제)
덱스트란(중량 평균 분자량 200000)
히드록시에틸전분 함유액(니프로사제 「HES40」, 중량 평균 분자량 약 40만의 히드록시에틸전분을 6w/v%의 농도로 함유하는 수용액)
폴리에틸렌글리콜(PEG 6K, 후지 필름 와코 쥰야쿠사제)
(삼투압 조정제)
염화나트륨
글루코오스
(항응고제)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2칼륨염2수화물(EDTA2K·2H2O)
(산화 방지제)
아스코르브산나트륨
(실시예 1)
적혈구 응집제, 삼투압 조정제 및 항응고제를, 물에 용해시켜, 혼합액을 얻었다. 얻어진 혼합액의 배합 성분의 종류 및 배합량을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혼합액의 삼투압은 혈액과 등장으로 조정되어 있다.
길이 100mm, 개구부의 내경 14mm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바닥이 있는 관(PET 바닥이 있는 관,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을 준비하였다. 2.0g의 혈구 분리용 조성물 B를,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저부에 수용하였다. 또한, 얻어진 혼합액 1.0mL를 혈구 분리용 조성물 B의 표면 상에 첨가하였다. 혈액 채취 용기 내부를 감압하고, 부틸 고무 마개에 의해 밀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혈액 채취 용기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혈액 채취 용기에는, 상기 적혈구 응집제, 상기 삼투압 조정제 및 상기 항응고제가, 상기 혈구 분리용 조성물의 표면 상에, 액체에 용해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얻어진 혈액 채취 용기는, 4mL의 혈액을 채취하기 위한 용기이다.
(실시예 2 내지 16 및 비교예 3, 5)
혈구 분리용 조성물의 종류, 그리고 적혈구 응집제, 항응고제, 산화 방지제 및 삼투압 조정제의 배합량을 표 3 내지 7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혈액 채취 용기를 제작하였다. 또한, 표 중, 히드록시에틸전분 함유액의 배합량은, 히드록시에틸전분의 함유량이 아니고, 히드록시에틸전분 함유액(시판품)의 배합량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혼합액의 삼투압은, 혈액과 등장 혹은 고장(高張)으로 조정되어 있다.
(비교예 1)
항응고제를 물에 용해시켜, 혼합액을 얻었다.
길이 100mm, 개구부의 내경 14mm의 PET 바닥이 있는 관(혈액 채취 용기 본체)을 준비하였다. 2.0g의 혈구 분리용 조성물 D를,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저부에 수용하였다. 또한, 얻어진 혼합액 30mg을, 혈액 채취 용기 본체의 내벽면에 도포하여, 건조시켰다. 혈액 채취 용기 내부를 감압하고, 부틸 고무 마개에 의해 밀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혈액 채취 용기를 제작하였다. 또한, 얻어진 혈액 채취 용기는, 4mL의 혈액을 채취하기 위한 용기이다.
(비교예 2, 4)
혈구 분리용 조성물의 종류를 표 7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혈액 채취 용기를 제작하였다.
(평가)
(1) 혈구 분리용 조성물의 25℃에서의 비중
얻어진 혈구 분리용 조성물 1방울을, 비중을 0.002의 간격으로 단계적으로 조정한 25℃의 식염수 중에 순차 적하하고, 식염수 중에 있어서의 부침에 의해 비중을 측정하였다.
(2)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
얻어진 혈액 채취 용기에 생리 식염수 4mL를 첨가하였다. 첨가 후, 전도 혼화하여, 생리 식염수로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켜, 삼투압 측정용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을, 삼투압계(아크레이사제 「OM-6060」)를 사용하여, 빙점 강하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3) 적혈구의 혼입율 및 백혈구의 회수율
3명의 혈액을 준비하여, 이하의 공정을 차례로 행하였다.
혈액 채취 공정:
얻어진 혈액 채취 용기의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혈액 4mL를 채취하였다.
원심 분리 공정:
혈액 채취 용기를 1500G로 15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원심 분리 후, 혈구 분리용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격벽보다도 상방에 혈장이 위치하고 있었다. 혈장을 피펫팅에 의해 교반하고, 혈구 분리용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격벽 상에 퇴적된 혈구를 현탁시키고 나서, 회수하여 검체로 하였다.
다항목 자동 혈구 분석 장치(시스멕스사제 「XE5000」)를 사용하여, 회수한 검체를 분석함으로써, 검체 중의 백혈구수 및 적혈구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준비한 혈액(전혈 샘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전혈 샘플 중의 백혈구수 및 적혈구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백혈구수 및 상기 적혈구수는, 준비한 3명의 혈액으로 평가하여 얻어진 결과의 평균값이다.
하기 식에 의해, 적혈구의 혼입율 및 백혈구의 회수율을 산출하였다.
적혈구의 혼입율(%)=(회수한 검체 중에 포함되는 적혈구의 수(cells))/(전혈 샘플에 포함되는 적혈구의 수(cells))×100
백혈구의 회수율(%)=(회수한 검체 중에 포함되는 백혈구의 수(cells))/(전혈 샘플에 포함되는 백혈구의 수(cells))×100
[적혈구의 혼입율의 판정 기준]
○: 적혈구의 혼입율이 2% 이하
×: 적혈구의 혼입율이 2%를 초과한다
[백혈구의 회수율 판정 기준]
○: 백혈구의 회수율이 40% 이상
×: 백혈구의 회수율이 40% 미만
조성 및 결과를 하기 표 3 내지 7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1, 1A: 혈액 채취 용기
2: 혈액 채취 용기 본체
2a: 내벽면
3: 혈구 분리용 조성물
4: 혼합액
4A: 혼합 분말
5: 마개

Claims (17)

  1. 소정량의 혈액 유래 시료가 첨가되어, 상기 혈액 유래 시료 중에 존재하는 백혈구를 농축 분리하기 위한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로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혈구 분리재를 구비하고,
    상기 혈구 분리재의 25℃에서의 비중이 1.075 이상 1.093 이하이고,
    이하의 구성 A1 또는 구성 B1을 구비하는,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
    구성 A1: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적혈구 응집제를 구비한다.
    구성 B1: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삼투압 조정제를 구비하고,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에 첨가되는 혈액 유래 시료의 소정량과 등량의 생리 식염수로,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켜, 삼투압 측정용 용액을 얻었을 때,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이 300mOsm/L 이상 500mOsm/L 이하이다.
  2. 소정량의 혈액이 채취되는 혈액 채취 용기로서,
    혈액 채취 용기 본체와,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혈구 분리재를 구비하고,
    상기 혈구 분리재의 25℃에서의 비중이 1.075 이상 1.093 이하이고,
    이하의 구성 A2 또는 구성 B2를 구비하는, 혈액 채취 용기.
    구성 A2: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적혈구 응집제를 구비한다.
    구성 B2: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삼투압 조정제를 구비하고, 상기 혈액 채취 용기에 채취되는 혈액의 소정량과 등량의 생리 식염수로,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켜, 삼투압 측정용 용액을 얻었을 때,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이 300mOsm/L 이상 500mOsm/L 이하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혈구 분리재가 틱소트로피성을 갖는 혈구 분리용 조성물인, 혈액 채취 용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A2를 구비하는, 혈액 채취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혈구 응집제가 덱스트란, 히드록시에틸전분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인, 혈액 채취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 이상인, 혈액 채취 용기.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B2를 구비하는, 혈액 채취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이 320mOsm/L 이상 360mOsm/L 이하인, 혈액 채취 용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혈구 분리재의 25℃에서의 비중이 1.082 이상 1.090 이하이고,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이 320mOsm/L 이상 360mOsm/L 이하인, 혈액 채취 용기.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삼투압 조정제가 염화나트륨 또는 글루코오스인, 혈액 채취 용기.
  11.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A2와 상기 구성 B2를 구비하는, 혈액 채취 용기.
  12.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항응고제를 구비하는, 혈액 채취 용기.
  13.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산화 방지제를 구비하는, 혈액 채취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방지제가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브산의 무기염인, 혈액 채취 용기.
  15. 제1항에 기재된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를 사용한 백혈구의 분리 방법으로서,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에 혈액 유래 시료를 첨가하는 공정과,
    상기 혈액 유래 시료가 첨가된 상기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를 원심 분리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백혈구의 분리 방법.
  16. 제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혈액 채취 용기를 사용한 백혈구의 분리 방법으로서,
    상기 혈액 채취 용기 내에 혈액을 채취하는 공정과,
    상기 혈액이 채취된 상기 혈액 채취 용기를 원심 분리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백혈구의 분리 방법.
  17. 소정량의 혈액 유래 시료가 채취되어, 상기 혈액 유래 시료 중에 존재하는 백혈구를 농축 분리하기 위한 백혈구 농축 분리 시스템으로서,
    25℃에서의 비중이 1.075 이상 1.093 이하인 혈구 분리재를 구비하고,
    이하의 구성 A3 또는 구성 B3을 구비하는, 백혈구 농축 분리 시스템.
    구성 A3: 적혈구 응집제를 구비한다.
    구성 B3: 삼투압 조정제를 구비하고, 상기 혈액 유래 시료의 소정량과 등량의 생리 식염수로, 상기 혈액 유래 시료와 혼합되는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켜, 삼투압 측정용 용액을 얻었을 때, 상기 삼투압 측정용 용액의 삼투압이 300mOsm/L 이상 500mOsm/L 이하이다.
KR1020227024973A 2020-03-11 2021-03-11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 혈액 채취 용기 및 백혈구의 분리 방법 KR202201511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42080 2020-03-11
JPJP-P-2020-042080 2020-03-11
PCT/JP2021/009804 WO2021182575A1 (ja) 2020-03-11 2021-03-11 白血球濃縮分離デバイス、血液採取容器及び白血球の分離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158A true KR20220151158A (ko) 2022-11-14

Family

ID=77671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973A KR20220151158A (ko) 2020-03-11 2021-03-11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 혈액 채취 용기 및 백혈구의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90675A1 (ko)
EP (1) EP4119943A4 (ko)
JP (1) JPWO2021182575A1 (ko)
KR (1) KR20220151158A (ko)
CN (1) CN115280145A (ko)
CA (1) CA3170079A1 (ko)
WO (1) WO20211825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5473B1 (ja) 2022-03-25 2023-10-03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循環腫瘍細胞分離キット、循環腫瘍細胞分離容器及び循環腫瘍細胞の分離方法
WO2024070504A1 (ja) * 2022-09-29 2024-04-04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血液保存用組成物及び血液採取容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4557A (ja) 1984-09-24 1986-04-30 ベクトン・デイツ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血液分離方法
WO2019131613A1 (ja) 2017-12-27 2019-07-04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血清または血漿分離用組成物、血液採取容器、及び血清または血漿の分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38Y2 (ko) * 1973-02-12 1979-01-08
JPS5854130B2 (ja) * 1978-03-17 1983-12-02 旭化成株式会社 白血球分離法
JPS603367B2 (ja) * 1979-10-09 1985-01-28 旭化成株式会社 白血球分離法および白血球分離材
JPS5737259A (en) * 1980-08-14 1982-03-01 Sherwood Medical Ind Inc Covering of stopper for anticoagulation
JPS5754860A (en) * 1980-09-17 1982-04-01 Fuerante Antonio Blood density separation
US4487700A (en) * 1983-02-18 1984-12-11 Technicon Instrument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lymphocytes from anticoagulated blood
US4640785A (en) * 1984-12-24 1987-02-0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eparation of lymphocytes and monocytes from blood samples
US5397479A (en) * 1993-04-26 1995-03-14 International Remote Imaging Systems,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enrichment of white blood cells from whole human blood
US5702884A (en) * 1996-03-12 1997-12-30 Johnson & Johnson Clinical Diagnostics, Inc. Whole blood sample preparation for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ammonium chloride and a carboxylic acid or metal carboxylate for selective red blood cell lysis
AU4101697A (en) * 1996-11-22 1998-05-28 Robert A. Levine Process for enhancing the aggregation and/or agglutination of erythrocytes prior to centrifugation
JP4385084B2 (ja) * 2002-03-26 2009-12-16 川澄化学工業株式会社 血液成分の分離方法及び血液成分の分離装置
WO2004046716A1 (ja) * 2002-11-19 2004-06-03 Sekisui Chemical Co., Ltd. 血漿もしくは血清分離膜、及び血漿もしくは血清分離膜を用いたフィルタ装置
US20150299657A1 (en) * 2014-04-16 2015-10-22 General Electric Company Gamma stabilized dextran solutions and methods of use
PL2915586T3 (pl) 2009-05-15 2022-01-1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Urządzenie do oddzielania faz gęstości
US9095798B2 (en) * 2011-08-19 2015-08-04 Microaire Surgical Instruments, Llc Centrifuge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medium density fluid
EP2848935A4 (en) * 2012-05-10 2015-12-09 Konica Minolta Inc PROCESS FOR REMOVING RED BLOOD BODIES AND CENTRIFUGAL TUBES FOR BLOOD TREATMENT
US20180120295A1 (en) * 2015-05-01 2018-05-03 Mesotex, Inc. Process for separating nucleated cells from non-nucleated red blood cells
EP3312586B1 (en) * 2015-06-16 2020-12-16 Tascom Co., Ltd. Biological material measuring instrument
US10859563B2 (en) * 2015-12-01 2020-12-08 General Electric Company Erythrocyte aggregation and leukocyte isolation
JP2017129429A (ja) * 2016-01-19 2017-07-27 稲田 捷也 多白血球血漿の調整方法
JP6889535B2 (ja) * 2016-10-05 2021-06-18 デンカ株式会社 赤血球の凝集方法及び分離方法並びに赤血球凝集用試薬
US11448641B2 (en) * 2017-11-28 2022-09-20 Canon Virgini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separation of blood compon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4557A (ja) 1984-09-24 1986-04-30 ベクトン・デイツ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血液分離方法
WO2019131613A1 (ja) 2017-12-27 2019-07-04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血清または血漿分離用組成物、血液採取容器、及び血清または血漿の分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2575A1 (ja) 2021-09-16
EP4119943A4 (en) 2024-04-10
CN115280145A (zh) 2022-11-01
CA3170079A1 (en) 2021-09-16
US20230090675A1 (en) 2023-03-23
EP4119943A1 (en) 2023-01-18
JPWO2021182575A1 (ko)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8257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blood
JP6901194B1 (ja) 血液採取容器及び血漿の分離方法
US4190535A (en) Means for separating lymphocytes and monocytes from anticoagulated blood
US4844818A (en) Method for separating the cellular components of blood samples
US11719689B2 (en) Composition for separating blood serum or blood plasma, blood collection container, and method for separating blood serum or blood plasma
EP3054001B1 (en) Device for concentration and separation of circulating tumor cells, and method for concentration and separation of circulating tumor cells
KR20220151158A (ko) 백혈구 농축 분리 디바이스, 혈액 채취 용기 및 백혈구의 분리 방법
JP2023110819A (ja) 血液採取容器、血漿の分離方法、細胞外遊離核酸の分離方法及び細胞外小胞の分離方法
JP7355473B1 (ja) 循環腫瘍細胞分離キット、循環腫瘍細胞分離容器及び循環腫瘍細胞の分離方法
JP6895662B2 (ja) 特定細胞の分画方法及び捕捉方法
JP6809747B1 (ja) 単核球含有血漿分離用組成物及び血液採取容器
WO2023145137A1 (ja) 血液採取容器、血漿の分離方法、細胞外遊離核酸の分離方法及び細胞外小胞の分離方法
WO2022250142A1 (ja) 血液採取容器、血漿の分離方法、細胞外遊離核酸の分離方法及び細胞外小胞の分離方法
KR20230159830A (ko) 혈액 분리용 조성물, 혈액 채취 용기 및 백혈구의 분리 방법
EP3686598A1 (en) Specific cell fractionating and capturing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