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436A -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 및 그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 및 그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436A
KR20220150436A KR1020227037799A KR20227037799A KR20220150436A KR 20220150436 A KR20220150436 A KR 20220150436A KR 1020227037799 A KR1020227037799 A KR 1020227037799A KR 20227037799 A KR20227037799 A KR 20227037799A KR 20220150436 A KR20220150436 A KR 20220150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chloride
molybdenum
tungsten
gas
moistur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유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50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43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1/00Compounds of tungsten
    • C01G41/04Hal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39/00Compounds of molybdenu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39/00Compounds of molybdenum
    • C01G39/04Hal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1/00Compounds of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 C01P2006/82Compositional purity water cont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 Catalyst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Abstract

수분량이 1wt%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 원료인 산화몰리브덴 또는 산화텅스텐을 400℃ 이상 800℃ 이하에서 탈수 처리한 후, 탈수 처리 후의 상기 원료를 염소 가스와 반응시켜서,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저수분량의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 및 그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Description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 및 그들의 제조 방법 {MOLYBDENUM OXYCHLORIDE OR TUNGSTEN OXYCHLORID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박막의 기상 성장용 재료, 화학 반응용 촉매 등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 및 그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 등의 기능적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콘택트 플러그, 배선, 또는 배선 하의 확산 배리어층 등의 박막에는, 몰리브덴(Mo)이나 텅스텐(W) 등의 물리적,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저저항의 금속 재료, 혹은, 이들 금속의 질화물, 탄화물 등의 화합물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근년에는, 상기 용도 이외에도, 반도체 특성을 나타내는 신규의 금속 칼코겐화물 재료로서, MoS2를 포함하는 극박의 이차원 구조막도 착안되고 있다.
상술한 몰리브덴이나 텅스텐 또는 그들의 화합물의 박막은, 각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전구체로서 증발 기화시키고, 이것을 기판 표면에서 분해, 반응시켜서 박막화하는 화학 기상 퇴적(CVD)법이나 원자상 증착(ALD)법을 사용하여 형성되고 있다. 이 CVD법이나 ALD법에 의해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을 형성할 때에 사용되는 전구체 화합물로서, 금속의 할로겐화물 등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몰리브덴의 염화물(MoCl5)을 사용하여 MoS2막을 형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금속 염화물(WCl6, WCl5, WCl4) 가스와, H2 등의 환원 가스를 공급하여 금속막을 성막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금속 불화물(WF6, MoF6)을 원료로 하는 CVD법에 의해 금속 또는 그 화합물을 성막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것과는 다른 어프로치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4에는, 몰리브덴의 옥시클로라이드(MoO2Cl2 또는 MoOCl4)를 원료 전구체(프리커서(또는 전구체))에 사용하여, 몰리브덴 또는 몰리브덴 화합물을 CVD 성막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분말은, 주로 산화몰리브덴(MoO3) 분말을 염소 가스(Cl2)로 직접 염화함으로써 합성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2580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9390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4-31157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19045호 공보
몰리브덴이나 텅스텐의 옥시클로라이드는 매우 흡습성이 높기 때문에, 수분이 있으면 수화물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수분이 많은 경우에는, 조해되어 염산(HCl)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은 저수분량의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 및 그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가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원료인 산화몰리브덴이나 산화텅스텐을 소정의 조건에서 탈수 처리함으로써, 그 후, 합성하여 얻어지는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에 포함되는 수분량을 저감할 수 있다는 지견이 얻어졌다.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본 개시는, 이하의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 및 그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수분량이 1wt%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
2) 순도 5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
3) 원료인 산화몰리브덴 또는 산화텅스텐을 400℃ 이상 800℃ 이하에서 탈수 처리한 후, 탈수 처리 후의 상기 원료를 염소 가스와 반응시켜서,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의 제조 방법.
4) 상기 탈수 처리 시간을 3시간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에 기재된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의 제조 방법.
본 개시에 의하면, 저수분량의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VD법이나 ALD법을 사용하여 몰리브덴이나 몰리브덴의 화합물, 혹은, 텅스텐이나 텅스텐의 화합물을 성막하는 경우, 전구체로서,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MoO2Cl2, MoOCl3 등), 혹은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WO2Cl2, WOCl4 등)가 사용된다.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나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는, 원료인 산화몰리브덴(MoO2, MoO3)이나 산화텅스텐(W2O3, WO2, WO3)을 염소 가스(Cl2)로 염화함으로써 합성된다.
그러나, 몰리브덴이나 텅스텐의 옥시클로라이드는 매우 흡습성이 높기 때문에, 수분이 있으면 수화물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수분이 많은 경우에는 조해되어 염산(HCl)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수분을 많이 포함하는 이들 분말을 CVD법이나 ALD법에 있어서의 전구체로서 사용하면, 용기 내에서 분해되어 용기를 부식시키는 원인이 되거나, 수화물이 파티클로서 기판에 부착되어, 제품 특성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나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에 함유되는 수분량을 저감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원료인, 산화몰리브덴(MoO2, MoO3)이나 산화텅스텐(W2O3, WO2, WO3)을 소정의 조건에서 탈수 처리함으로써, 그 후, 합성하여 얻어지는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나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의 수분량을 저감할 수 있다는 지견이 얻어졌다. 그리고, 이에 의해, 합성 후의 전구체 중에 포함되는 수화물을 감소시킬 수 있어, 수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상기 탈수 처리는, 원료인 산화몰리브덴이나 산화텅스텐을 로 내 등에 적재하고, Ar이나 N2 등의 불활성 가스, 혹은 불활성 가스에 산소를 혼합한 가스, 혹은, 공기(O2+N2)를 흘리면서 가열한다. 이때 가열 온도는, 400℃ 이상 8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00℃ 미만이면, 내부에 포함되는 수분을 충분히 휘발할 수 없어, 그 후에 합성되는 몰리브덴/텅스텐의 옥시클로라이드에 포함되는 수분량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다. 한편, 800℃ 초과이면, 산화몰리브덴이나 산화텅스텐이 용융 또는 일부 승화되어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750℃ 이하이다.
도입하는 가스의 유량은 0.1 내지 100L/min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L/min 미만이면, 계 내에서 수분을 배출하기에는 불충분해서, 재응축한 수분이 역류하여 위험하며, 한편, 100L/min을 초과하면, 가스를 대량으로 소비하여 고비용이 되고, 또한 제품이 강하게 환원되어서 산소 결손의 Mo4O11 등이 형성되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탈수 처리는 3시간 이상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온에서 장시간 탈수 처리함으로써, 합성 후의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나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에 포함되는 수분량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 시간은 가열 온도를 고려하여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가열 온도를 비교적 고온으로 설정하면서, 열처리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시간 이상이다.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의 합성은, 상기 조건에서 열처리한 산화몰리브덴 분말(MoO2 분말, MoO3 분말)에 대하여 소정의 유량으로 염소(Cl2) 가스를 흘리고, 이들 양자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기상의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를 고상으로 석출시킴으로써 행한다. 이때 반응 시의 산화몰리브덴의 가열 온도는 7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에 의해 발생한 기상의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는, 냉각함으로써 고상으로 석출시킬 수 있다.
또한,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의 합성은, 상기 조건에서 열처리한 산화텅스텐 분말(W2O3, WO2, WO3)에 대하여 소정의 유량으로 염소(Cl2) 가스를 흘리고, 이들 양자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기상의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를 고상으로 석출시킴으로써 행한다. 이때 반응 시의 산화텅스텐의 가열 온도는 7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에 의해 발생한 기상의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는, 냉각함으로써 고상으로 석출시킬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에 포함되는 합성 후의 수분량을 1wt% 미만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저수분량의 것을 CVD나 ALD의 전구체로서 사용함으로써, 성막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승화했을 때의 잔사를 저감할 수 있고,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의 순도를 99.999wt%(5N)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각종 평가 방법은, 실시예, 비교예를 포함하여, 이하와 같다.
(수분량)
먼저, X선 회절 장치(XRD)를 사용하여, 목적 외의 저급 염화물(예를 들어, MoO2Cl이나 MoOCl4)이 없는 것을 확인한다. 이어서, 열중량·질량 분석 장치(TG-MS)를 사용하여 중량 변화를 측정하고, 잔사 중량비로부터, 이것이 수화물이라고 가정하여 수분량을 계산으로 구한다. 또한, ICP 발광 분광 분석 장치(ICP-OES)로 주성분인 몰리브덴 또는 텅스텐의 양을 측정하고, 이론값으로부터의 차분으로부터 수분량을 계산한다.
단, 어느 방법이든 가정을 수반하여, 불확정성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곤란한 점에서, TG-MS와 ICP-OES의 각각 다른 방법으로 구한 수분량이 마찬가지의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측정 수분량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순도)
본 개시에 있어서의 순도는,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에 불순물로서 포함되는 것이 상정되는 원소에 대하여 분석하고, 검출 한계 이상의 함유량으로 현출된 원소의 함유량의 합계를 100wt%로부터 차감한 값으로서 정의된다. 여기서, 불순물 원소는, Be, Mg, Al, K, Ga, Ge, As, Sr, Ba, W, Ti, U, Ag, Na, Co, Fe, In, Mn, Ni, Pb, Zn, Cu, Cr, Tl, Li, Th, Sc, Se, Hf, Ta, 및 Bi이며, 이들 중 K에 대해서는 원자 흡광 분석(AAS)법, K 이외의 원소에 대해서는 유도 결합 플라스마 질량 분석(ICP-MS)법에 의해 분석한다. 본 발명의 분석에 있어서의 검출 한계의 함유량은, Ni 및 Se에 대해서는 0.5wtppm, 이들 이외의 상기 각 원소에 대해서는 0.1wtppm이다. 또한, 측정 한계 미만의 함유량의 불순물 원소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여 순도를 산출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이 예에 의해 전혀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 포함되는 실시예 이외의 다양한 변형을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1)
MoO3 원료 490g을 환상 로 내(φ150㎝)에 적재하고, 유량 0.5L/분의 조건에서 Ar 가스 도입하면서, 550℃에서, 20시간 가열하고, 탈수 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탈수 처리한 MoO3 원료를 반응 용기에 적재하고, 반응 용기에 Cl2 가스와 캐리어 가스가 되는 N2 가스를 도입하고, 720℃에서 가열하여 합성을 행하였다. 그 후, 합성된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를 회수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에 대해서 수분량을 측정한 결과, 0.1wt%이며, 저수분량의 것이 얻어졌다. 또한, 순도는 99.999% 이상으로, 고순도의 것이 얻어졌다.
(실시예 2)
MoO3 원료 490g을 환상 로 내(φ150㎝)에 적재하고, 유량 5L/분의 조건에서 Ar 가스 도입하면서, 550℃에서, 20시간 가열하고, 탈수 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탈수 처리한 MoO3 원료를 반응 용기에 적재하고, 반응 용기에 Cl2 가스와 캐리어 가스가 되는 N2 가스를 도입하고, 720℃에서 가열하여 합성을 행하였다. 그 후, 합성된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를 회수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에 대해서 수분량을 측정한 결과, 0.01wt%이며, 저수분량의 것이 얻어졌다. 또한, 순도는 99.999% 이상으로, 고순도의 것이 얻어졌다.
(실시예 3)
WO3 원료 490g을 환상 로 내(φ150㎝)에 적재하고, 유량 0.5L/분의 조건에서 Ar 가스 도입하면서, 550℃에서, 20시간 가열하고, 탈수 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탈수 처리한 WO3 원료를 반응 용기에 적재하고, 반응 용기에 Cl2 가스와 캐리어 가스가 되는 N2 가스를 도입하고, 720℃에서 가열하여 합성을 행하였다. 그 후, 합성된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를 회수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에 대해서 수분량을 측정한 결과, 0.1wt%이며, 저수분량의 것이 얻어졌다. 또한, 순도는 99.999% 이상으로, 고순도의 것이 얻어졌다.
(실시예 4)
WO3 원료 490g을 환상 로 내(φ150㎝)에 적재하고, 유량 5L/분의 조건에서 Ar 가스 도입하면서, 550℃에서, 20시간 가열하고, 탈수 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탈수 처리한 WO3 원료를 반응 용기에 적재하고, 반응 용기에 Cl2 가스와 캐리어 가스가 되는 N2 가스를 도입하고, 720℃에서 가열하여 합성을 행하였다. 그 후, 합성된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를 회수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에 대해서 수분량을 측정한 결과, 0.01wt%이며, 저수분량의 것이 얻어졌다. 또한, 순도는 99.999% 이상으로, 고순도의 것이 얻어졌다.
(비교예 1)
MoO3 원료 490g을 환상 로 내(φ150㎝)에 적재하고, 유량 0.5L/분의 조건에서 Ar 가스 도입하면서, 200℃에서, 20시간 가열하고, 탈수 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탈수 처리한 MoO3 원료를 반응 용기에 적재하고, 반응 용기에 Cl2 가스와 캐리어 가스가 되는 N2 가스를 도입하고, 720℃에서 가열하여 합성을 행하였다. 그 후, 합성된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를 회수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에 대해서 수분량을 측정한 결과, 5wt%이며, 수분량의 저감 효과가 불충분하였다.
(비교예 2)
MoO3 원료 490g을 환상 로 내(φ150㎝)에 적재하고, 유량 0.5L/분의 조건에서 Ar 가스 도입하면서, 550℃에서, 1시간 가열하고, 탈수 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탈수 처리한 MoO3 원료를 반응 용기에 적재하고, 반응 용기에 Cl2 가스와 캐리어 가스가 되는 N2 가스를 도입하고, 720℃에서 가열하여 합성을 행하였다. 그 후, 합성된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를 회수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에 대해서 수분량을 측정한 결과, 2wt%이며, 수분량의 저감 효과가 불충분하였다.
(비교예 3)
WO3 원료 490g을 환상 로 내(φ150㎝)에 적재하고, 유량 0.5L/분의 조건에서 Ar 가스 도입하면서, 200℃에서, 20시간 가열하고, 탈수 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탈수 처리한 WO3 원료를 반응 용기에 적재하고, 반응 용기에 Cl2 가스와 캐리어 가스가 되는 N2 가스를 도입하고, 720℃에서 가열하여 합성을 행하였다. 그 후, 합성된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를 회수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에 대해서 수분량을 측정한 결과, 4wt%이며, 수분량의 저감 효과가 불충분하였다.
(비교예 4)
WO3 원료 490g을 환상 로 내(φ150㎝)에 적재하고, 유량 0.5L/분의 조건에서 Ar 가스 도입하면서, 550℃에서, 1시간 가열하고, 탈수 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탈수 처리한 WO3 원료를 반응 용기에 적재하고, 반응 용기에 Cl2 가스와 캐리어 가스가 되는 N2 가스를 도입하고, 720℃에서 가열하여 합성을 행하였다. 그 후, 합성된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를 회수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에 대해서 수분량을 측정한 결과 2wt%이며, 수분량의 저감 효과가 불충분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따르면, 저수분량의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를 CVD나 ALD 등의 원료 또는 촉매로서 사용하고, 박막 형성이나 화합물의 합성을 행하는, 반도체 산업, 전자 디바이스 제조, 기능성 재료 창생, 유기·무기 화학 공업과 같은 산업·기술분야에 대하여 큰 기술적 공헌을 달성하는 것이다.

Claims (4)

  1. 수분량이 0.1w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2. 수분량이 0.1w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순도 5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4. 제2항에 있어서, 순도 5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
KR1020227037799A 2018-10-25 2019-07-24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 및 그들의 제조 방법 KR202201504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00862 2018-10-25
JPJP-P-2018-200862 2018-10-25
KR1020207028163A KR102478294B1 (ko) 2018-10-25 2019-07-24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 및 그들의 제조 방법
PCT/JP2019/028973 WO2020084852A1 (ja) 2018-10-25 2019-07-24 モリブデンオキシクロライド又はタングステンオキシクロライド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163A Division KR102478294B1 (ko) 2018-10-25 2019-07-24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 및 그들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436A true KR20220150436A (ko) 2022-11-10

Family

ID=703315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163A KR102478294B1 (ko) 2018-10-25 2019-07-24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 및 그들의 제조 방법
KR1020227037799A KR20220150436A (ko) 2018-10-25 2019-07-24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 및 그들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163A KR102478294B1 (ko) 2018-10-25 2019-07-24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 및 그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53839A1 (ko)
EP (1) EP3738928A4 (ko)
JP (2) JP7269228B2 (ko)
KR (2) KR102478294B1 (ko)
TW (1) TWI797363B (ko)
WO (1) WO20200848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97099A4 (en) 2019-07-09 2023-08-23 Entegris, Inc. OXYHALOGENIDE PRECURSORS
DE102020132629A1 (de) * 2020-01-07 2021-07-08 Taniobis Gmbh Wolfram(VI)oxidtetrachlorid mit hoher Reinhei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20240051336A (ko) * 2020-02-28 2024-04-19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의 제조 방법
EP4019470A1 (de) * 2020-12-23 2022-06-29 UMICORE AG & Co. KG Herstellung von moo2cl2
CN117642362A (zh) * 2021-06-01 2024-03-01 弗萨姆材料美国有限责任公司 超纯二氯二氧化钼、其包装形式及其制备方法
KR102462376B1 (ko) * 2022-03-08 2022-11-02 에스케이트리켐 주식회사 몰리브덴 옥시할라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55305A (ko) * 2022-10-20 2024-04-29 에스케이트리켐 주식회사 고순도의 이염화이산화몰리브덴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1570A (ja) 1991-04-10 1992-11-04 Central Glass Co Ltd 堆積物回収装置を備えた成膜装置
JP2000119045A (ja) 1998-10-13 2000-04-25 Glaverbel Sa 太陽光制御被覆ガラス
JP2003225808A (ja) 2002-01-31 2003-08-12 Mitsubishi Materials Corp 高速断続切削で硬質被覆層がすぐれた耐チッピング性を発揮する表面被覆超硬合金製切削工具
JP2015193908A (ja) 2014-03-25 2015-11-0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タングステン膜の成膜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4945A (en) * 1962-07-10 1966-06-07 Maurice G Mcgrath Process for producing a novel form of tungstic oxide
JPH0693314A (ja) * 1991-06-05 1994-04-05 Toshiba Corp 高純度のタングステンまたはモリブデン粉末の製造方法
FR2907445B1 (fr) * 2006-10-20 2010-09-03 Rhodia Recherches & Tech Composition a acidite elevee a base d'oxyde de zirconium, d'oxyde de titane et d'oxyde de tungstene,procede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 dans le traitement des gaz d'echappement
CN102632245B (zh) * 2012-05-10 2014-08-06 湖南顶立科技有限公司 一种高纯钼粉的制备方法
EA201201076A1 (ru) * 2012-06-28 2013-12-30 Ооо "Редметпром"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ысокочистой трёхокиси молибдена
US10100406B2 (en) * 2015-04-17 2018-10-16 Versum Materials Us, Llc High purity tungsten hexachloride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1913757B1 (ko) * 2015-04-21 2018-10-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산화 텅스텐의 제조 방법
US10287177B1 (en) * 2018-05-08 2019-05-14 Robert T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high-purity molybdenum oxide powders and nanopowders from low-grade concentrat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1570A (ja) 1991-04-10 1992-11-04 Central Glass Co Ltd 堆積物回収装置を備えた成膜装置
JP2000119045A (ja) 1998-10-13 2000-04-25 Glaverbel Sa 太陽光制御被覆ガラス
JP2003225808A (ja) 2002-01-31 2003-08-12 Mitsubishi Materials Corp 高速断続切削で硬質被覆層がすぐれた耐チッピング性を発揮する表面被覆超硬合金製切削工具
JP2015193908A (ja) 2014-03-25 2015-11-0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タングステン膜の成膜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93448B2 (ja) 2023-12-06
KR102478294B1 (ko) 2022-12-16
TW202017047A (zh) 2020-05-01
TWI797363B (zh) 2023-04-01
EP3738928A1 (en) 2020-11-18
WO2020084852A1 (ja) 2020-04-30
JP7269228B2 (ja) 2023-05-08
EP3738928A4 (en) 2021-11-10
KR20200127226A (ko) 2020-11-10
JPWO2020084852A1 (ja) 2021-02-15
US20210053839A1 (en) 2021-02-25
JP2022070917A (ja)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8294B1 (ko) 몰리브덴옥시클로라이드 또는 텅스텐옥시클로라이드 및 그들의 제조 방법
EP3081667B1 (en) A delivery system for depositing tungsten film or tungsten containing film and a process of preparing the delivery system
US11427479B2 (en) High purity tungsten pentachlorid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11939231B2 (en) Method of synthesizing molybdenum oxychloride by reacting molybdenum oxide powder and chlorine gas and growing crystals of molybdenum oxychloride from the gaseous raw material
TW201733912A (zh) 高純度五氯化鎢及其合成方法
Conze et al. Magnéli phases Ti4O7 and Ti8O15 and their carbon nanocomposites via the thermal decomposition-precursor route
Rusek et al. Bismuth amides as promising ALD precursors for Bi2Te3 films
WO1992012943A1 (en) Rapid solid-state synthesis of refractory materials
Radwan et al. A modified direct nitridation method for formation of nano-AlN whiskers
JP2023509078A (ja) 高純度オキシテトラクロロタングステン(vi)およびその製造方法
Loor et al. Synthesis of Sb2Se3 and Bi2Se3 nanoparticles in ionic liquids at low temperatures and solid state structure of [C4C1Im] 3 [BiCl6]
Drygas et al. Probing the structural/electronic diversity and thermal stability of various nanocrystalline powders of gallium nitride GaN
WO2021171742A1 (ja) 高純度モリブデンオキシクロライド及びその製造方法
Osipov et al. Preparation, purification and dissolution of molybdenum oxychloride compounds in water
Süzer et al. Mechanochemical synthesis, purification, and optimization studies of Cr boride@ MgO particles
Bonnin et al. Oxychloridoselenites (iv) with cubane-derived anions and stepwise chlorine-to-oxygen exchange
US20240083766A1 (en) PRODUCTION OF MoO2Cl2
Petrova et al. Mechanically Activated Solid-Phase Synthesis of Nickel (II) b-Diketonates
Teppala et al. Single‐Source Precursor Synthesis of a Compositionally Complex Early Transitional Metal Carbonitride (Ti, Zr, Hf, Nb, Ta) NxC1‐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