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213A -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213A
KR20220146213A KR1020210053190A KR20210053190A KR20220146213A KR 20220146213 A KR20220146213 A KR 20220146213A KR 1020210053190 A KR1020210053190 A KR 1020210053190A KR 20210053190 A KR20210053190 A KR 20210053190A KR 20220146213 A KR20220146213 A KR 20220146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ice
sediment
b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663B1 (ko
Inventor
장재권
김동호
손문형
박정빈
Original Assignee
이천시(관리부서:이천시농업기술센터소장)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천시(관리부서:이천시농업기술센터소장),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천시(관리부서:이천시농업기술센터소장)
Priority to KR1020210053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66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6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40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form or us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0/00Batters, dough or mixtures before baking
    • A21D10/002Dough mixes; Baking or bread improvers; Premix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1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filled before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8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14Organic oxygen compounds
    • A21D2/16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2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 A21D8/04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treating dough with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1D8/047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treating dough with microorganisms or enzymes with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6Bak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3/00Cream; Cream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3/12Cream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 쌀 강력분, 설탕, 소금, 이스트, 제빵개량제 및 생크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반죽단계, 상기 반죽단계를 통해 제조된 반죽에 버터를 혼합하는 버터혼합단계, 상기 버터혼합단계를 통해 버터가 혼합된 반죽을 발효하는 제1발효단계, 상기 제1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반죽을 분할한 후에 앙금을 개재하는 앙금개재단계, 상기 앙금개재단계를 통해 앙금이 투입된 반죽을 발효하는 제2발효단계, 상기 제2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반죽을 쌀알의 형태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단계를 통해 제조된 성형물을 발효하는 제3발효단계 및 상기 제3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성형물을 가열하는 가열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이천쌀빵은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백미의 색상과 모양을 나타내도록 성형되어 우수한 상품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ICHEON RICE BREAD HAVING RICE GRAIN SHAPED}
본 발명은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백미의 색상과 모양을 나타내도록 성형되어 우수한 상품성을 나타내는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쌀은 보리 및 밀과 함께 세계적으로 알려진 중요한 농산물로, 세계 총생산량의 약 92%는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생산되며, 대부분의 아시아인 들이 주식으로 섭취하고 있다.
한국도 쌀의 주요 생산국 중 하나로, 국내에서 생산된 쌀은 종래에는 주식으로 소모되어 생산과 소비의 균형이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젊은 세대들은 미국이나 유럽으로부터 수입된 밀가루로 만든 빵 등을 포함한 패스트푸드를 섭취하는 빈도가 증가하여 쌀의 소비량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쌀 소비량의 감소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정부미로 수매하는 방법이나, 쌀로 막걸리 등과 같은 술을 제조하여 소비량을 늘리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쌀의 생산에 비하면 그 소비량이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밀빵은 밀반죽을 한 후 통상 일정기간의 숙성을 거쳐 오븐 등에서 구워지거나 쪄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때 빵의 조직은 원래 반죽보다 상당히 팽창하게 된다. 이러한 빵 조직의 팽창은 글루텐이라는 밀 단백질이 공기를 반죽 조직 내에 보유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성질로 인해 밀빵은 조직이 부드럽고 특유의 미감을 갖게 된다.
그러나 밀을 이용한 빵은 섭취 후 소화가 잘 안되거나 속이 더부룩해지는 등 소화에 있어서 거북한 느낌을 주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일부 사람에게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문제점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961100호(2019.03.18) 한국특허등록 제10-2015557호(2019.08.22)
본 발명의 목적은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백미의 색상과 모양을 나타내도록 성형되어 우수한 상품성을 나타내는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앙금에 쌀앙금을 혼합하여 건조로 인한 노화가 억제되어 우수한 보존성을 나타내는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 쌀 강력분, 설탕, 소금, 이스트, 제빵개량제 및 생크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반죽단계, 상기 반죽단계를 통해 제조된 반죽에 버터를 혼합하는 버터혼합단계, 상기 버터혼합단계를 통해 버터가 혼합된 반죽을 발효하는 제1발효단계, 상기 제1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반죽을 분할한 후에 앙금을 개재하는 앙금개재단계, 상기 앙금개재단계를 통해 앙금이 투입된 반죽을 발효하는 제2발효단계, 상기 제2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반죽을 쌀알의 형태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단계를 통해 제조된 성형물을 발효하는 제3발효단계 및 상기 제3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성형물을 가열하는 가열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반죽단계는 물 100 중량부, 쌀 강력분 200 내지 250 중량부, 설탕 15 내지 25 중량부, 소금 3 내지 5 중량부, 이스트 5 내지 10 중량부, 제빵개량제 3 내지 5 중량부 및 생크림 15 내지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버터혼합단계는 상기 반죽단계를 통해 제조된 반죽에 함유된 물 100 중량부 대비 버터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발효단계는 15 내지 20℃의 온도에서 25 내지 25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앙금개재단계는 상기 제1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반죽 100 중량부에 고구마 앙금 35 내지 45 중량부를 개재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구마 앙금에는 상기 고구마 앙금 100 중량부 대비 쌀앙금 30 내지 50 중량부가 더 함유되며, 상기 쌀앙금은 쌀분말 100 중량부, 설탕 45 내지 55 중량부, 물엿 45 내지 55 중량부 및 정제수 150 내지 250 중량부를 혼합한 후에, 90 내지 100℃의 온도로 10 내지 20분 동안 가열한 후에, 교반하면서 상온으로 냉각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열단계는 140 내지 160℃의 오븐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진행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열단계 이후에는 상기 가열단계를 통해 제조된 이천쌀빵의 표면에 크림치즈 혼합물을 도포하는 토핑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크림치즈 혼합물은 버터 100 중량부, 크림치즈 130 내지 150 중량부, 연유 45 내지 55 중량부, 설탕 70 내지 80 중량부 및 난황 90 내지 1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은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백미의 색상과 모양을 나타내도록 성형되어 우수한 상품성을 나타내는 이천쌀빵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앙금에 쌀앙금을 혼합하여 건조로 인한 노화가 억제되어 우수한 보존성을 나타내는 쌀알모양의 이천쌀빵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쌀알모양의 이천쌀빵을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은 물, 쌀 강력분, 설탕, 소금, 이스트, 제빵개량제 및 생크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반죽단계(S101), 상기 반죽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반죽에 버터를 혼합하는 버터혼합단계(S103), 상기 버터혼합단계(S103)를 통해 버터가 혼합된 반죽을 발효하는 제1발효단계(S105), 상기 제1발효단계(S105)를 통해 발효된 반죽을 분할한 후에 앙금을 개재하는 앙금개재단계(S107), 상기 앙금개재단계(S107)를 통해 앙금이 투입된 반죽을 발효하는 제2발효단계(S109), 상기 제2발효단계(S109)를 통해 발효된 반죽을 쌀알의 형태로 성형하는 성형단계(S111), 상기 성형단계(S111)를 통해 제조된 성형물을 발효하는 제3발효단계(S113) 및 상기 제3발효단계(S113)를 통해 발효된 성형물을 가열하는 가열단계(S115)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죽단계(S101)는 물, 쌀 강력분, 설탕, 소금, 이스트, 제빵개량제 및 생크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로, 교반기에 물 100 중량부, 쌀 강력분 200 내지 250 중량부, 설탕 15 내지 25 중량부, 소금 3 내지 5 중량부, 이스트 5 내지 10 중량부, 제빵개량제 3 내지 5 중량부 및 생크림 15 내지 25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클린업될때까지 교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배합을 통해 백미의 색상을 나타내는 반죽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쌀 강력분은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중성지방의 체내 함량을 낮춰주고, 간기능을 보강해주며, 뇌 혈류 등을 개선하여 심혈관 질환을 개선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터혼합단계(S103)는 상기 반죽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반죽에 버터를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 반죽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반죽에 함유된 물 100 중량부 대비 버터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제빵과정에서 상기와 같이 클린업 이후에 버터를 투입하는 이유는 상기 반죽단계에서 혼합되는 물과 유지성분인 버터가 잘 섞이지 않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반죽단계에서 클린업이 완료되면 버터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린업 완료 이전에 버터와 같은 유지류가 혼합되면 반죽시간이 길어지고 반죽의 효율성이 저하되어 빵의 외관품질이 저하될 수 있으며, 발효과정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상기 제1발효단계(S105)는 상기 버터혼합단계(S103)를 통해 버터가 혼합된 반죽을 발효하는 단계로, 상기 버터혼합단계(S103)를 통해 버터가 혼합된 반죽을 둥글리기 한 후에 15 내지 20℃의 온도에서 25 내지 35분 동안 발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제1발효단계(S105)를 통해 반죽이 부풀어 오르면서 찰기가 향상된 반죽이 제공된다.
상기 앙금개재단계(S107)는 상기 제1발효단계(S105)를 통해 발효된 반죽을 분할한 후에 앙금을 개재하는 단계로, 상기 제1발효단계(S105)를 통해 발효된 반죽 100 중량부에 고구마 앙금 35 내지 45 중량부를 개재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구마는 노화방지 및 피로회복 시력향상 및 성인병 예방에 효과를 나타내는 프로비타민 A의 전구체인 베타카로틴과 비타민B1, B2, C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변비, 비만, 지방간 및 대장암 등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고구마 앙금은 고구마를 증숙된 후에 껍질을 제거한 고구마 100 중량부에 설탕 20 내지 30 중량부, 물엿 5 내지 10 중량부 및 한천 0.5 내지 1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한천이 혼합된 고구마 앙금은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혈당의 상승을 억제하며, 장건강을 증진키시는 효과를 나타내는데, 상기 고구마 앙금의 함량이 3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기호도가 낮아지고, 상기 고구마 앙금의 함량이 4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쌀빵의 단맛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기호도가 저하되며, 고구마 앙금이 반죽의 외부로 빠져나와 쌀빵의 외관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구마 앙금에는 상기 고구마 앙금 100 중량부 대비 쌀앙금 30 내지 50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쌀앙금이 함유되면 쌀의 풍미가 향상되어 쌀빵의 상품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쌀 앙금에 함유된 수분으로 인해 빵이 굳어지는 빵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빵은 제조 후에 수분이 건조되면서 딱딱하게 굳는 노화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의 쌀앙금은 쌀의 침수성이 좋아, 앙금으로서의 높은 점성을 만족하면서도 함수율이 좋기 때문에, 쌀의 함량 대비 약 400% 정도의 물을 보지할 수 있어 빵의 건조로 인한 노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쌀앙금은 쌀분말 100 중량부, 설탕 45 내지 55 중량부, 물엿 45 내지 55 중량부 및 정제수 150 내지 250 중량부를 혼합한 후에, 90 내지 100℃의 온도로 10 내지 20분 동안 가열한 후에, 교반하면서 상온으로 냉각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발효단계(S109)는 상기 앙금개재단계(S107)를 통해 앙금이 투입된 반죽을 발효하는 단계로, 상기 앙금개재단계(S107)를 통해 앙금이 투입된 반죽을 15 내지 20℃의 온도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발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성형단계(S111)는 상기 제2발효단계(S109)를 통해 발효된 반죽을 쌀알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로, 상기 제2발효단계(S109)를 통해 발효된 반죽을 쌀알의 형태로 성형한 후에, 성형된 성형물에 쌀눈과 같은 분위를 절개해 내고, 상기 절개부에 쌀가루를 도포하여 쌀눈이 형성된 쌀알의 형태로 성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성형단계(S111)를 거치면, 외관이 쌀알과 매우 흡수하게 형성되어 소비자의 기호도와 상품성이 향상된 쌀빵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3발효단계(S113)는 상기 성형단계(S111)를 통해 제조된 성형물을 발효하는 단계로, 상기 성형단계(S111)를 통해 제조된 성형물을 15 내지 20℃의 온도에서 15 내지 25분 동안 발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단계(S115)는 상기 제3발효단계(S113)를 통해 발효된 성형물을 가열하는 단계로, 상기 제3발효단계(S113)를 통해 발효된 성형물을 140 내지 160℃의 오븐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가열하는 과정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가열단계(S115)에서 가열온도가 140℃ 미만이거나 가열시간이 10분 미만이면 쌀빵이 제대로 익혀지지않고, 상기 가열온도가 160℃를 초과하거나 가열시간이 20분을 초과하게 되면 성형물의 탄화가 진행되어 탄맛이 증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가열단계(S115) 이후에는 상기 가열단계(S115)를 통해 제조된 이천쌀빵의 표면에 크림치즈 혼합물을 도포하는 토핑단계(S117)가 더 진행될 수도 있는데, 상기 가열단계(S115)를 통해 제조된 이천쌀빵 100 중량부의 표면에, 크림치즈 혼합물 5 내지 10 중량부를 도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토핑단계(S117)를 통해 크림치즈 혼합물이 도포되면 풍미와 기호도가 더욱 향상된 이천쌀빵이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크림치즈 혼합물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크림치즈 혼합물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느끼한 맛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크림치즈 혼합물은 버터 100 중량부, 크림치즈 130 내지 150 중량부, 연유 45 내지 55 중량부, 설탕 70 내지 80 중량부 및 난황 90 내지 1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이천쌀빵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반죽의 제조
물 100 중량부, 쌀 강력분 225 중량부, 설탕 20 중량부, 소금 4 중량부, 이스트 8 중량부, 제빵개량제 4 중량부 및 생크림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클린업되면, 버터 8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고구마 앙금의 제조
증숙된 후에 껍질을 제거한 고구마 100 중량부에 설탕 25 중량부, 물엿 8 중량부 및 한천 1 중량부를 혼합하여 고구마 앙금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쌀 앙금의 제조
쌀분말 100 중량부, 설탕 50 중량부, 물엿 50 중량부 및 정제수 200 중량부를 혼합한 후에, 95℃의 온도로 15분 동안 가열한 후에, 교반하면서 상온으로 냉각하여 쌀 앙금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크림치즈 혼합물의 제조
크림치즈 혼합물은 버터 100 중량부, 크림치즈 140 중량부, 연유 50 중량부, 설탕 75 중량부 및 난황 97 중량부를 혼합하여 크림치즈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반죽을 둥글리기 한 후에 18℃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발효한 후에, 발효된 반죽 100 중량부의 내부에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고구마 앙금 40 중량부를 개재하고, 고구마 앙금이 개재된 반죽을 18℃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발효하고, 발효된 반죽을 쌀알의 형태로 성형하고, 성형된 성형물을 18℃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발효한 후에 150℃의 오븐에서 15분 동안 가열하여 쌀알모양의 이천쌀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고구마 앙금 대신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고구마 앙금 100 중량부 및 상기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쌀앙금 40 중량부로 이루어진 앙금혼합물을 사용하여 쌀알모양의 이천쌀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100 중량부의 표면에 상기 제조예 4를 통해 제조된 크림치즈 혼합물 8 중량부를 도포하여 쌀알모양의 이천쌀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고구마 앙금 10 중량부를 개재하여 쌀알모양의 이천쌀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고구마 앙금 80 중량부를 개재하여 쌀알모양의 이천쌀빵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쌀알모양의 이천쌀빵의 맛, 향, 식감, 외관, 보존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상기 맛, 향, 식감, 외관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피시험자 50명을 대상으로 5점척도법으로 조사한 후에 평균값으로 나타내었으며, 상기 보존성은 제조된 빵이 건조되어 노화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5점:매우 우수, 4점:우수, 3점:보통, 2점:나쁨, 1점:매우 나쁨}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쌀알모양의 이천쌀빵은 맛, 향, 식감, 외관, 보존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보존성을 나타낸다.
특히,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쌀알모양의 이천쌀빵은 쌀앙금이 함유되어 더욱 우수한 보존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은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쌀알모양으로 성형되어 우수한 상품성을 나타내는 이천쌀빵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은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백미의 색상과 모양을 나타내도록 성형되어 우수한 상품성을 나타내는 이천쌀빵을 제공한다.
또한, 앙금에 쌀앙금을 혼합하여 건조로 인한 노화가 억제되어 우수한 보존성을 나타내는 쌀알모양의 이천쌀빵을 제공한다.
S101 ; 반죽단계
S103 ; 버터혼합단계
S105 ; 제1발효단계
S107 ; 앙금개재단계
S109 ; 제2발효단계
S111 ; 성형단계
S113 ; 제3발효단계
S115 ; 가열단계
S117 ; 토핑단계

Claims (9)

  1. 물, 쌀 강력분, 설탕, 소금, 이스트, 제빵개량제 및 생크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반죽단계;
    상기 반죽단계를 통해 제조된 반죽에 버터를 혼합하는 버터혼합단계;
    상기 버터혼합단계를 통해 버터가 혼합된 반죽을 발효하는 제1발효단계;
    상기 제1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반죽을 분할한 후에 앙금을 개재하는 앙금개재단계;
    상기 앙금개재단계를 통해 앙금이 투입된 반죽을 발효하는 제2발효단계;
    상기 제2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반죽을 쌀알의 형태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단계를 통해 제조된 성형물을 발효하는 제3발효단계; 및
    상기 제3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성형물을 가열하는 가열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죽단계는 물 100 중량부, 쌀 강력분 200 내지 250 중량부, 설탕 15 내지 25 중량부, 소금 3 내지 5 중량부, 이스트 5 내지 10 중량부, 제빵개량제 3 내지 5 중량부 및 생크림 15 내지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터혼합단계는 상기 반죽단계를 통해 제조된 반죽에 함유된 물 100 중량부 대비 버터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발효단계는 15 내지 20℃의 온도에서 25 내지 35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앙금개재단계는 상기 제1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반죽 100 중량부에 고구마 앙금 35 내지 45 중량부를 개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구마 앙금에는 상기 고구마 앙금 100 중량부 대비 쌀앙금 30 내지 50 중량부가 더 함유되며,
    상기 쌀앙금은 쌀분말 100 중량부, 설탕 45 내지 55 중량부, 물엿 45 내지 55 중량부 및 정제수 150 내지 250 중량부를 혼합한 후에, 90 내지 100℃의 온도로 10 내지 20분 동안 가열한 후에, 교반하면서 상온으로 냉각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는 140 내지 160℃의 오븐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 이후에는 상기 가열단계를 통해 제조된 이천쌀빵의 표면에 크림치즈 혼합물을 도포하는 토핑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크림치즈 혼합물은 버터 100 중량부, 크림치즈 130 내지 150 중량부, 연유 45 내지 55 중량부, 설탕 70 내지 80 중량부 및 난황 90 내지 1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
KR1020210053190A 2021-04-23 2021-04-23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 KR102627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190A KR102627663B1 (ko) 2021-04-23 2021-04-23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190A KR102627663B1 (ko) 2021-04-23 2021-04-23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213A true KR20220146213A (ko) 2022-11-01
KR102627663B1 KR102627663B1 (ko) 2024-01-23

Family

ID=8404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190A KR102627663B1 (ko) 2021-04-23 2021-04-23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66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802B1 (ko) * 2013-02-18 2014-01-10 송영광 쌀빵 제조방법
KR20180089983A (ko) * 2017-02-02 2018-08-10 주식회사 쿠키라인 글루텐프리 쌀빵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61100B1 (ko) 2017-07-11 2019-03-25 주식회사 쁘띠아미 글루텐 프리 쌀빵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15557B1 (ko) 2018-02-27 2019-10-21 홍동수 습식 쌀빵의 제조방법
KR102082311B1 (ko) * 2019-07-10 2020-02-27 주식회사 아델라7 콩고물 빵의 제조방법
KR20210023475A (ko) * 2019-08-23 2021-03-04 강원도 호정화 및 유산균 발효시킨 쌀가루를 이용한 쌀빵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802B1 (ko) * 2013-02-18 2014-01-10 송영광 쌀빵 제조방법
KR20180089983A (ko) * 2017-02-02 2018-08-10 주식회사 쿠키라인 글루텐프리 쌀빵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61100B1 (ko) 2017-07-11 2019-03-25 주식회사 쁘띠아미 글루텐 프리 쌀빵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15557B1 (ko) 2018-02-27 2019-10-21 홍동수 습식 쌀빵의 제조방법
KR102082311B1 (ko) * 2019-07-10 2020-02-27 주식회사 아델라7 콩고물 빵의 제조방법
KR20210023475A (ko) * 2019-08-23 2021-03-04 강원도 호정화 및 유산균 발효시킨 쌀가루를 이용한 쌀빵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663B1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547B1 (ko) 바삭바삭 도넛의 제조방법
KR101245303B1 (ko) 글루텐 무첨가 쌀쿠키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69683B1 (ko) 연유 쌀 바게트 제조방법
JP5420493B2 (ja) 電子レンジ加熱に適したパン類およびそのためのパン類用穀粉組成物
KR102468766B1 (ko) 단호박 홍국쌀 찰빵 제조방법
KR101626340B1 (ko) 와플 제조용 쌀가루 반죽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와플의 제조방법
KR101367851B1 (ko) 도넛의 제조방법
KR20200145141A (ko) 빵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빵
KR101220418B1 (ko) 생콩가루 혼합 쌀가루 및 이를 이용한 쌀과자 제조방법
KR101169655B1 (ko) 빵의 제조 방법
KR102065007B1 (ko) 거봉포도를 이용한 치즈베리빵 및 이의 제조방법
RU2689715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диетического заварного полуфабриката
KR101859394B1 (ko) 완두 및 팥이 함유된 찹쌀빵 제조방법
KR102627663B1 (ko) 쌀알모양의 이천쌀빵 제조방법
KR20200036470A (ko) 쌀눈 및 보리순을 이용한 머랭의 제조방법
KR102249162B1 (ko) 당근 빵의 제조방법
KR102249168B1 (ko) 쑥 페스트리의 제조방법
KR102082311B1 (ko) 콩고물 빵의 제조방법
KR20220052887A (ko) 도토리 꽃가루를 함유하는 빵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33869A (ko) 초영마늘을 이용한 흑마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KR101938108B1 (ko) 단호박을 이용한 브리오슈의 제조방법
KR101874549B1 (ko) 초콜릿 디저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콜릿 디저트
KR101098450B1 (ko) 무발효 호떡 제조방법
KR101576764B1 (ko) 흰찰쌀보리가루를 이용한 빵 제조방법
KR20190120693A (ko) 단호박을 이용한 브리오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