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564A - 장의차량용 임시봉안대 - Google Patents

장의차량용 임시봉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564A
KR20220145564A KR1020210052295A KR20210052295A KR20220145564A KR 20220145564 A KR20220145564 A KR 20220145564A KR 1020210052295 A KR1020210052295 A KR 1020210052295A KR 20210052295 A KR20210052295 A KR 20210052295A KR 20220145564 A KR20220145564 A KR 20220145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jar
funeral
seat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0310B1 (ko
Inventor
이강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일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일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일루스
Priority to KR1020210052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310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1/00Funeral aspects of hearses or lik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1Accessories for grave sites, e.g. liners, covers, vault low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3Funeral monuments, grave sites curbing or markers not making part of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8Memorials for cremation a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의차량에 설치되는 임시봉안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장의용 버스의 운전석 또는 운전보조석에 설치되어 망자의 신원을 승객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 좌석의 후방을 향한 몸체에는 유골함을 수납하는 수납함과 망자의 신원을 표시하는 망자표시단을 설치하고, 버스 통로쪽인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설치 좌석의 측면을 향해 확장된 가림날개에 손잡이공을 설치하여 승객을 보좌하는 장의차량용 임시봉안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의차량용 임시봉안대{Temporary charnel house installed on funeral buses}
본 발명은 장의차량에 설치되는 임시봉안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장의용 버스의 운전석 또는 운전보조석에 설치되어 망자의 신원을 승객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 좌석의 후방을 향한 몸체에는 유골함을 수납하는 수납함과 망자의 신원을 표시하는 망자표시단을 설치하고, 버스 통로쪽인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설치 좌석의 측면을 향해 확장된 가림날개에 손잡이공을 설치하여 승객을 보좌하는 장의차량용 임시봉안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 조문하는 곳과 화장하는 곳, 그리고 유골을 안치하는 곳이 모두 한 장소에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차량을 통한 이동이 불가피한 경우가 빈번하다. 이렇게 차량을 통한 이동과정에서 유족과 조문객의 마음을 위로하고, 망자를 회상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
일례로, 종래 등록특허 제10-1022204호(2011.03.08.등록; 명칭: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에서는 영정사진, 위패를 포함한 각종 제례용구를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의 기능과 동시에, 전개식 방법을 통해 제례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물품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는 상자형태의 수납함을 전개하여 영정사진, 위패 및 제례용구를 올려놓을 수 있는 제례상처럼 사용하는 것으로, 영정사진, 위패 등을 포함하는 제례용구를 고정시키기에 미흡하여, 이동하는 차량에서 수납상자를 전개하여 사용하기에는 불리한 형태적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022204호(2011.03.08.등록) 등록실용신안 제20-0487033호(2018.07.23.등록) 등록실용신안 제20-0175201호(2000.01.06.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중인 차량의 좌석에 설치하는 것으로, 승객들이 망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영정사진 및 위패가 설치되는 망자표시단과 유골함을 차량 좌석에 고정설치되는 임시봉안대의 몸체에 고정설치하여, 차량의 움직임에도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한 봉안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좌석에 고정설치되는 몸체의 일측에 승객의 움직임을 보좌(保佐)할 수 있는 손잡이공을 설치하여, 승하차시 승객의 이동을 돕거나, 혹은 승객이 손잡이공을 잡고 안전하게 조문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봉안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의용 버스의 운전석 또는 운전보조석에 설치되어 망자의 신원을 승객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 좌석의 후방을 향한 몸체에는 유골함을 수납하는 수납함과 망자의 신원을 표시하는 망자표시단을 설치하고, 버스 통로쪽인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설치 좌석의 측면을 향해 확장된 가림날개에 손잡이공을 설치하여 승객을 보좌하는 구성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부가 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납함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승객의 다리가 움직일수 있는 공간인 거동부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납함은, 일측에 설치된 문손잡이를 이용해 타측에 설치된 힌지부가 상기 몸체에 대해 회전동작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문; 및 상기 유골함을 삽입고정하는 단지홈을 형성하여 상기 내실에 설치되는 단지고정판;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골함을 고정시키는 상기 단지고정판은 다양한 형태의 유골함에 대응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지홈이 형성되어, 교체형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망자표시단은, 위패안착홈이 형성된 판체로 상기 수납함의 상면에 설치되는 표시홈에 삽입고정되는 위패거치대; 및 판체에 형성된 조절장공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영정사진을 고정하는 사진고정구를 구비하여 상기 위패거치대의 일측에 일체로 설치되는 사진거치대; 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의차량용 임시봉안대는 차량좌석에 고정설치되는 몸체에 유골함, 영정사진 및 위패가 고정홈에 탈착가능하게 고정설치되므로 차량의 이동과 무관하게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몸체에는 승객의 안전을 돕는 손잡이공이 설치된 가림날개를 몸체에 일체로 설치하여, 승하차시 승객의 이동을 돕는 것은 물론, 조문하는 승객이 손잡이공을 잡고 안전하게 조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봉안대가 차량의 좌석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봉안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봉안대의 사용상태 일부 분리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이들 도면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 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방은 차량의 전진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후진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 임시봉안대(1)는 유골함(C)을 수납하는 수납함(110)의 상면에 영정사진(P) 및 위패(T)가 설치되는 망자표시단(120)을 구비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서 일체로 확장되는 가림날개(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림날개(200)에는 손잡이공(210)이 설치된다.
본 발명 임시봉안대(1)는 도 1에서 처럼, 장의용 차량의 좌석에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해 탈착 가능하게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바람직한 상기 장의용 차량은 버스이고, 바람직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설치좌석의 프레임과 연결설치되는 설치바 및 볼트와 너트이거나, 또는 상기 설치좌석의 프레임에 연결설치되는 고정벨트이다.
그리고 상기 임시봉안대(1)는 바람직하게 버스의 운전석 또는 운전석의 바로 옆에 자리한 운전보조석에 고정설치하여, 뒷쪽의 승객을 향해 영정사진(P) 및 위패(T)가 보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몸체(100)는 설치좌석의 뒷면에 배치되고, 이러한 몸체(100)에 일체로 확장형성되는 상기 가림날개(200)는 설치좌석의 측면인 버스의 통로상에 배치된다. 이렇게 가림날개(200)가 버스의 통로 중 앞쪽의 출입문 근처에 설치되는 관계로, 도 1에서 처럼 버스에 승차하는 승객들은 가림날개(200)의 중간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손잡이공(211)을 잡고 편리하게 승차할 수 있다. 또한, 가림날개(200)의 상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수평손잡이공(212)이 설치되는데, 이 수평손잡이공(212)을 본 발명 임시봉안대(1)를 조문하는 문상객이 잡고 서면 안정적으로 서서 조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00)가 설치좌석의 뒷면에 배치되므로, 설치좌석의 뒷좌석에 앉는 승객은 봉안대의 몸체(100)로 인해 공간의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기인하여 설치좌석의 뒷좌석에 앉는 승객의 거동공간 확보를 위해서, 몸체(100)의 하부는 후방으로 돌출된 몸체(100) 상부의 수납함(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후퇴되도록 형성되는 거동부(1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상기 수납함(110)은 후방으로 돌출된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후방 공간과 내실(112)이 개구부(111)를 통해 연결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내실(112)에 수납함(110)이 안착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111)에는 개폐문(113)이 설치될 수 있는바, 이 개폐문(113)은 상기 내실(112)이 들여다 보이도록 투명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상기 개폐문(113)은 일측 중앙부에 문손잡이(114)가 설치되고, 문손잡이(114)의 옆으로 잠금부(115)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115)는 공지된 여러 형태의 잠금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개폐문(113)에 설치되어 탄성작동하는 철(凸)형태인 빗장과, 이 빗장에 대응하는 몸체(100)의 위치에 설치되는 요(凹)형태의 둔테로 구성되는 빗장형태의 잠금장치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문(113)의 타측에는 몸체(100)에 대해 개폐문(113)이 회전동작할 수 있도록 힌지부(116)가 설치된다. 상기 힌지부(116)는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상하로 여닫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여닫거나, 좌우 양쪽으로 여닫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힌지부(116)의 구성에 따라 개폐문(113), 문손잡이(114) 및 잠금부(115)의 구성과 위치는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하단 부분확대도에서 처럼, 상기 힌지부(116)의 회전각도는 개폐문(113)의 내면 일측과 이에 대응하는 내실(112)에 각각 설치되는 제한고정편(119a)과, 일단이 각각 상기 제한고정편(119a)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서로 힌지결합되는 제한동작편(119b)으로 구성되는 펼침제한부(119)에 의해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100)에 대해 직각으로 제한된다.
한편, 상기 수납함(110)의 내실(112)에는 수납되는 유골함(C)이 움직이지 않도록 유골함(C)이 삽입고정되는 단지홈(117a)을 구비한 단지고정판(11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단지고정판(117)은 유골함(C)의 다양한 형태에 맞춰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지홈(117a)이 형성된 단지고정판(117)을 2개 이상 준비한 후, 유골함(C)에 맞는 단지고정판(117)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단지고정판(117)은 상기 내실(112)의 크기에 맞게 대응제작하여 한장씩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도 3에서 처럼 2장 이상의 단지고정판(117)을 내실(112)에 적층으로 수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단지고정판(117)이 내실(112)에 안정적으로 적층수납되도록 하기 위해 내실(112)의 양측 또는 내실(112)의 사각 모서리에는 판고정핀(118)을 설치하고, 각 단지고정판(117)에는 상기 판고정핀(118)에 대응하는 핀고정공(117b)을 설치한다. 이렇게 하면, 단지고정판(117)의 핀고정공(117b)이 내실(112)의 판고정핀(118)에 끼워진체로 적층되므로, 여러 장의 단지고정판(117)이 안정적으로 적층되게 된다.
상기 망자표시단(120)은 상기 수납함(110)의 상면에 형성된 설치홈(110a)에 끼워져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위패거치대(121)와 사진거치대(1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수납함(110)의 상면은 몸체(100)의 상면이기도 하다.
상기 위패거치대(121)는 사각의 상기 설치홈(110a)에 대응하는 판체로, 바림직하게 상기 설치홈(110a)의 모서리에는 단고정핀(110b)이 설치되고, 상기 단고정핀(110b)에 대응하여 상기 위패거치대(121)에는 핀통공(123)이 관통형성되는데, 위패거치대(121)의 핀통공(123)을 설치홈(110a)의 단고정핀(110b)에 끼워 결합하면 위패거치대(121)는 몸체(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위패거치대(121)에는 적어도 하나의 위패안착홈(122)이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위패안착홈(122)의 단은 2단으로 형성한다. 즉, 위패거치대(121)의 상면 일부를 4각 형태로 절단하여 1단의 위패안착홈(122)을 마련하고, 이 1단 위패안착홈(122)의 내면을 따라 다시 4각 형태로 절단하여 2단의 위패안착홈(122)을 형성한다. 이렇게 위패안착홈(122)을 2단으로 형성하면, 보다 다양한 크기의 위패(T)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패거치대(121)의 일측에는 위패거치대(121)에 대해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사진거치대(124)가 설치된다.
상기 사진거치대(124)는 판체로, 이 판체의 양쪽으로 조절장공(125)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조절장공(125)을 따라 사진고정구(126)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조절장공(125)은 상기 위패거치대(121)의 양쪽에 설치되는 위패안착홈(12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 양쪽 위패(T) 사이로 사진고정구(126)를 통해 사진거치대(124)에 고정된 영정사진(P)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3의 상단 부분확대도와 같이, 상기 사진고정구(126)는 조절장공(125)을 따라 이동하는 나사봉(126b)의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된 압박머리(126a)가 영정사진(P)의 테두리를 압박하면, 나사봉(126b)의 타단으로 삽입되는 나비너트(126d)를 조여 사진거치대(124)에 영정사진(P)이 압박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나비너트(126d)의 앞쪽에는 와셔(126c)를 개입하여 고정한다.
1: 임시봉안대 C: 유골함
P: 영정사진 T: 위패
100: 몸체
110: 수납함 111: 개구부
112: 내실 113: 개폐문
114: 문손잡이 115: 잠금부
116: 힌지부 117: 단지고정판
117a: 단지홈 117b: 핀고정공
118: 판고정핀 119: 펼침제한부
110a: 설치홈 110b: 단고정핀
120: 망자표시단 121: 위패거치대
122: 위패안착홈 123: 핀통공
124: 사진거치대 125: 조절장공
126: 사진고정구 126a: 압박머리
126b: 나사봉 126c: 와셔
126d: 나비너트
130: 거동부
200: 가림날개 210: 손잡이공
211: 수직손잡이공 212: 수평손잡이공

Claims (6)

  1. 장의차의 좌석에 설치되어 상기 좌석의 뒷면에 배치되는 몸체(100)에는, 후방을 향한 개구부(111)를 통해 내실(112)에 유골함(C)을 수납하는 수납함(110)과, 상기 수납함(110)의 상면으로 상기 유골함(C)의 신원을 표시하는 망자표시단(120)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서 일체로 상기 좌석의 측면을 향해 확장되는 가림날개(200)에는 손잡이공(210)이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장의차량용 임시봉안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부가 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납함(110)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승객의 다리가 움직일수 있는 공간인 거동부(130)가 더 설치되는 장의차량용 임시봉안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110)은, 일측에 설치된 문손잡이(114)를 이용해 타측에 설치된 힌지부(116)가 상기 몸체(100)에 대해 회전동작하여 상기 개구부(111)를 개폐하는 개폐문(113); 및 상기 유골함(C)을 삽입고정하는 단지홈(117a)을 형성하여 상기 내실(112)에 설치되는 단지고정판(117); 을 포함하는 장의차량용 임시봉안대.
  4. 제3항에 있어서,
    원형 또는 다각형의 상기 단지홈(117a)을 구비하는 상기 단지고정판(117)이 상기 내실(112)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의차량용 임시봉안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실(112)의 양측에는 판고정핀(118)이 돌출형성되고,
    원형 또는 다각형 중 각기 다른 형태의 상기 단지홈(117a)을 구비하는 2개 이상의 상기 단지고정판(117)은 상기 판고정핀(118)에 대응하는 핀고정공(117b)을 구비하여 상기 내실(112)에 적층설치되는 장의차량용 임시봉안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자표시단(120)은, 위패안착홈(122)이 형성된 판체로 상기 수납함(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설치홈(110a)에 삽입고정되는 위패거치대(121); 및 판체에 형성된 조절장공(125)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영정사진(P)을 고정하는 사진고정구(126)를 구비하여 상기 위패거치대(121)의 일측에 수직하게 일체로 설치되는 사진거치대(124); 로 이루어지는 장의차량용 임시봉안대.
KR1020210052295A 2021-04-22 2021-04-22 장의차량용 임시봉안대 KR102510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295A KR102510310B1 (ko) 2021-04-22 2021-04-22 장의차량용 임시봉안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295A KR102510310B1 (ko) 2021-04-22 2021-04-22 장의차량용 임시봉안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564A true KR20220145564A (ko) 2022-10-31
KR102510310B1 KR102510310B1 (ko) 2023-03-15

Family

ID=8380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295A KR102510310B1 (ko) 2021-04-22 2021-04-22 장의차량용 임시봉안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31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7998U (ja) * 1994-08-19 1995-02-28 貴強 顧 組立式納骨箱
KR970037054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차량의 시트백에 설치된 수납구조
KR200175201Y1 (ko) 1999-10-01 2000-03-15 한천수 불단
KR200397532Y1 (ko) * 2005-07-06 2005-10-05 박홍섭 자동차 뒷좌석 승객용 다용도 케이스
KR101022204B1 (ko) 2008-07-01 2011-03-17 윤규대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
KR200487033Y1 (ko) 2017-11-10 2018-07-27 김종원 영정사진의 위패 또는 명패 고정형 받침대
KR20200035626A (ko) * 2018-09-27 2020-04-06 배소정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7998B2 (ja) 1991-11-12 2000-02-14 オムロン株式会社 識別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7998U (ja) * 1994-08-19 1995-02-28 貴強 顧 組立式納骨箱
KR970037054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차량의 시트백에 설치된 수납구조
KR200175201Y1 (ko) 1999-10-01 2000-03-15 한천수 불단
KR200397532Y1 (ko) * 2005-07-06 2005-10-05 박홍섭 자동차 뒷좌석 승객용 다용도 케이스
KR101022204B1 (ko) 2008-07-01 2011-03-17 윤규대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
KR200487033Y1 (ko) 2017-11-10 2018-07-27 김종원 영정사진의 위패 또는 명패 고정형 받침대
KR20200035626A (ko) * 2018-09-27 2020-04-06 배소정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310B1 (ko) 202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2020C2 (ru) Складываемый посадочный узел для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10814795B2 (en) Attachment system for removable storage module for golf cart
US81095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wheelchair in a vehicle
US7296960B2 (en) Coupling system for attachment of a seat to allow securing and/or lifting thereof
US20170035630A1 (en) Mobility securement system
BRPI1106857A2 (pt) piso de leito auxiliar para transportar materiais em chapa em um veÍculo
US11345225B2 (en) Truck bed enclosure
CN1747851A (zh) 车辆座椅结构
KR20220145564A (ko) 장의차량용 임시봉안대
JP5566978B2 (ja) 車両後部構造
US7621575B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funeral urn
US20060163896A1 (en) Funeral vehicles
US11589679B2 (en) Retractable storage devices
KR100794553B1 (ko) 장의자를 구비한 구급차
US20160338888A1 (en) 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a mobility device in a vehicle
JP6323855B2 (ja) 多目的車両
JP2007237990A (ja) 自動二輪車用荷物収納装置
KR102037602B1 (ko) 저상 버스용 고정 바를 갖춘 휠체어 잠금장치
JP2001017473A (ja) 車両内の車椅子の固定装置
ES2577135T3 (es) Asiento de pasajeros para vehículos
JP3720175B2 (ja) 荷箱のゲートロック装置
WO2016076141A1 (ja) 多目的車両
JP2016094131A (ja) 多目的車両
JP6752697B2 (ja) 移動葬儀車
JP6390042B2 (ja) 多目的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