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204B1 -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 - Google Patents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204B1
KR101022204B1 KR1020080063327A KR20080063327A KR101022204B1 KR 101022204 B1 KR101022204 B1 KR 101022204B1 KR 1020080063327 A KR1020080063327 A KR 1020080063327A KR 20080063327 A KR20080063327 A KR 20080063327A KR 101022204 B1 KR101022204 B1 KR 101022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ain body
doors
closing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435A (ko
Inventor
윤규대
Original Assignee
윤규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규대 filed Critical 윤규대
Priority to KR1020080063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20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3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2Altars; Religious shrines; Fonts for holy water; Crucifix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8Memorials for cremation a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례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정사진, 위패를 포함한 각종 제례용구를 간단하게 수납하여 이동의 편리함, 보관을 원활하게 하고, 제례용구를 안착시킬 경우에는 그 안착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에 의하면, 본체의 전면부를 이루면서 본체의 상부를 이루는 개폐문과; 상기 개폐문을 개방시키면 본체 안쪽으로 설치된 다단의 수납상자와; 본체의 상면을 이루고, 힌지결합되어 상향으로 회동하면 겹쳐지는 제1, 2접철문과; 제1, 2접철문의 저면에 설치된 보강판과; 상기 본체는 개폐문과 제1, 2 접철문이 폐쇄되면 전면·배면·상면·측면이 수직, 수평면을 이루면서 개폐문을 기준으로 상, 하부로 구획되고, 상기 개폐문이 개방되면 본체의 하부를 이루며 제기가 안치되는 수평면의 제기안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기안치부의 후방으로는 다단의 수납상자가 설치되는 제단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제단부의 상부로는 제1, 2접철문과 보강판을 안착시키기 위한 배면·측면·걸림턱 사이에서 제1 수용부가 형성되되, 걸림턱은 배면·측면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례단, 납골묘, 개폐문, 접철문, 제기안치부

Description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
본 발명은 제례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정사진, 위패를 포함한 각종 제례용구를 간단하게 수납하여 이동의 편리함, 보관을 원활하게 하고, 제례용구를 안착시킬 경우에는 그 안착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고번호 제0175201호 "불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고번호 제0134996호 "다수개의 단상을 구비한 제단"
가정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단(영가대), 불단을 이용하여 제사 또는 불공을 드리는 기구는 지금까지도 수많이 제안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고번호 제0175201호 공보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고번호 제0134996호 공보는 간편하게 개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단, 불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위패 그 외의 불구 등을 안치해 두는 정도의 것이었고, 거실 또는 방안의 일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그 크기가 부담스러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게 접철되거나 각종 수납을 포함하고 있어 종래의 제례대보다 상대적으로 작아 방안 또는 거실에 일부분을 차지하지 않고, 통상적인 제례대의 역할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는, 전술한 문제를 모두 해소하도록,
본체의 전면부를 이루면서 본체의 상부를 이루는 개폐문과;
상기 개폐문을 개방시키면 본체 안쪽으로 설치된 다단의 수납상자와;
본체의 상면을 이루고, 힌지결합되어 상향으로 회동하면 겹쳐지는 제1, 2접철문과;
제1, 2접철문의 저면에 설치된 보강판과;
상기 본체는 개폐문과 제1, 2 접철문이 폐쇄되면 전면·배면·상면·측면이 수직, 수평면을 이루면서 개폐문을 기준으로 상, 하부로 구획되고, 상기 개폐문이 개방되면 본체의 하부를 이루며 제기가 안치되는 수평면의 제기안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기안치부의 후방으로는 다단의 수납상자가 설치되는 제단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제단부의 상부로는 제1, 2접철문과 보강판을 안착시키기 위한 배면·측면·제단부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 사이에서 제1 수용부가 형성되되, 걸림턱은 배면·측면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측면과 개폐문의 측면은 서로 힌지결합되어 있고, 개폐문이 개방되면 양 측면이 맞닿아 고정되고, 개방된 개폐문의 전면으로는 다단의 수납상자가 설치되어 있으며, 개폐문의 상면에는 개폐문의 폐쇄시 제1, 2접철문과 보강판이 삽입되는 제2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는 초의 하측 일단이 삽입되도록 초고정홈이 형성되고, 초고정홈의 내측으로는 초고정홈에 삽입된 초의 저면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초고정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기안치부는 본체 하부의 상면에 형성된 제1제기안치판이 형성되고, 제1제기안치판의 상단으로 본체 하부의 측면과 서로 힌지결합된 두개의 제2제기안치판이 형성되되, 제2제기안치판을 본체의 측면으로 펼쳤을 시 제1제기안치판과 동일한 높이로 수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기안치부는 제1제기안치판의 하측으로 본체 하부의 내측으로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된 보조제기안치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판의 일단 상면은 제1 접철문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 로 이루어지며, 제1, 2 절첩문을 상향으로 올리면 보강판의 타단은 걸림턱의 배면에 걸려 보강판의 저면이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에 의하면, 영정사진, 위패를 포함한 각종 제례용구를 간단하게 수납하여 이동의 편리함, 보관을 원활하게 하고, 제례용구를 안착시킬 경우에는 그 안착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면(12)의 의미는 사용자가 정면 방향에서 본체(10)를 보는 방향에서 상대면을 의미하고, 측면(14)은 전면(12)의 좌우 측부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은 본체(10)의 전면(12)를 이루며 설치되고, 본체(10) 상부의 일부를 이루는 개폐문(20)과, 본체의 상면(16)을 이루고, 본체(10)와 힌지결합되어 상향으로 회동하면 겹쳐지는 제1, 2접철문(32)(34)을 포함하고 있다.
본체(10)는 개폐문(20)과 제1, 2 접철문(32)(34)이 폐쇄되면 전면(12)·측면(14)·상면(16)·배면(18)이 수직, 수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개폐문(20)을 기준으로 상, 하부로 구획되어 있다.
특히 하부의 전면(12)으로는 납골상자(G)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납골상자(G)에는 납골함이 보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개폐문(20)이 개방되면 본체(10)의 하부를 이루며 제기가 안치되는 수평면의 제기안치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기안치부(11)는 본체(10) 하부의 상면에 형성된 제1제기안치판(11a)이 형성되고, 제1제기안치판(11a)의 상단으로 본체(10) 하부의 측면과 서로 힌지결합된 두개의 제2제기안치판(11b)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제기안치판(11b)과 본체(10) 하부의 측면은 경첩(40)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향으로 회동하면서 펼쳐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제기안치판(11b)을 본체(10)의 측면으로 펼쳤을 시 제1제기안치판(11a)과 동일한 높이로 수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제기안치판(11a)의 하측으로 본체(10) 하부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보조제기안치판(11c)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기안치부(11)에는 각종 제기가 올려지는 곳으로 예를 들면 향로, 술잔 등이 올려질 수 있다.
상기 제기안치부(11)의 후방으로는 다단의 수납상자(13)가 설치되는 제단부(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단부(15)의 상부로는 상향으로 개방된 제1 수용부(17)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수용부(17)는 전방으로 걸림턱(19)이 형성되어 측면(14)·배면(18)을 통해 사방이 막혀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이때 걸림턱(19)은, 측면(14)·배면(18)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지만 제1 수용부(17)의 바닥면(17a)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다시,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문(20)은 전면(22)과 측면(24)이 본체(10)의 전면(12)과 측면(14)의 일부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문(20)에는 다단 또는 다열로 배치된 수납상자(26)가 설치되어 있고, 수납상자(26)에는 제례에 필요한 다양한 물품이 수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상자(26)는 개폐문(20)을 개방시키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본체(10)와 개폐문(20)의 측면(14)(22)은 경첩(40)에 의해서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측면(14)(22)으로는 자석(A)이 설치되어 있어 개폐문(20)을 개방시킨 후 측면(14)(22)이 맞닿도록 하면 자석(A)에 의해서 개폐문(20)의 측면(22)은 본체(10)의 측면(14)에 고정된다.
개폐문(20)의 상부는 상기 제1 수용부(17)와 연계되는 제2 수용부(28)가 형성되어 있고, 밀폐되어 있는 경우 제2 수용부(28)는 걸림턱(19)에 의해서 제단부(15)와 구분된다.
본 발명에서 제2 수용부(2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여기에 각종 향로, 제기, 촛불 등이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문(20)이 닫혀 있을 때 절첩문(30)은 본체(10)의 상면(12)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절첩문(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접철문(32)(3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 2접철문(32)(34)은 경첩(40)에 의해서 상향으로 회동하면서 접철된 후 겹쳐질 수 있다.
이러한 접철문(30)의 저면으로는 보강판(36)이 설치되어 있으며, 보강판(36)의 일단 상면은 제1 접철문(32)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강판(36)은 제1, 2 절첩문(32)(34)을 상향으로 올리면 그 일단은 제1 절첩문(32)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 절첩문(32)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고, 타단은 자유단이므로 걸림턱(19)의 배면에 걸리게 된다.
이때, 보강판(36)은 도 2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보강판(36)의 저면이 전방을 향해서 멈추어 진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보강판(36)의 저면으로는 영정사진, 위패 등이 모셔질 수 있으며, 각종 지방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제례단의 설치과정 및 사용에 따른 효과를 도 4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사용되기 전 납골함이 보관되어 있는 상태의 제례단이다. 도시된 일예의 사용예와 같이 제례대는 장방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보관의 편리함과 외관이 간결하게 형성되어 있다.
특히, 미도시되었지만 후술하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접철문(30)과 보강판(36)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1 수용부(17)와 제2 수용부(28)에 삽입된 후 뉘어지게 되면 걸림턱(19)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제례단을 사용하기 위하여 접철문(30)을 개방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보강판(36)은 접철문(30)을 따라 같이 상승하고 있다.
도 6은 보강판(36)이 걸림턱(19)에 걸려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1 접철문(32)과 제2 접철문(34)은 경사지게 접철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7 내지 9는 개폐문(20)을 개방시킨 후 제기안치부(11)을 펼쳐 제례단을 완성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기안치부(11)와 각종 수납상자(13)(26)이 드러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수용부(28)의 바닥면으로는 초의 하측 일단이 삽입되도록 초고정홈(29)이 형성되고, 초고정홈(29)의 내측으로는 초고정홈(29)에 삽입된 초의 저면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초고정핀(29a)이 형성되어 별도의 촛대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초를 안정적으로 설치·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6은 접철문이 개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7 내지 9는 개폐문을 개방시킨 후 제기안치대를 펼쳐 제례단을 완성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례단의 다른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20 : 개폐문
30 : 접철문 40 : 경첩

Claims (6)

  1. 본체의 전면부를 이루면서 본체의 상부를 이루는 개폐문과;
    상기 개폐문을 개방시키면 본체 안쪽으로 설치된 다단의 수납상자와;
    본체의 상면을 이루고, 힌지결합되어 상향으로 회동하면 겹쳐지는 제1, 2접철문과;
    제1, 2접철문의 저면에 설치된 보강판과;
    상기 본체는 개폐문과 제1, 2 접철문이 폐쇄되면 전면·배면·상면·측면이 수직, 수평면을 이루면서 개폐문을 기준으로 상, 하부로 구획되고, 상기 개폐문이 개방되면 본체의 하부를 이루며 제기가 안치되는 수평면의 제기안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기안치부의 후방으로는 다단의 수납상자가 설치되는 제단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제단부의 상부로는 제1, 2접철문과 보강판을 안착시키기 위한 배면·측면·제단부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 사이에서 제1 수용부가 형성되되, 걸림턱은 배면·측면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과 개폐문의 측면은 서로 힌지결합되어 있고, 개폐문이 개방되면 양 측면이 맞닿아 고정되고, 개방된 개폐문의 전면으로는 다단의 수납상자가 설치되어 있으며, 개폐문의 상면에는 개폐문의 폐쇄시 제1, 2접철문과 보강판이 삽입되는 제2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는 초의 하측 일단이 삽입되도록 초고정홈이 형성되고, 초고정홈의 내측으로는 초고정홈에 삽입된 초의 저면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초고정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기안치부는 본체 하부의 상면에 형성된 제1제기안치판이 형성되고, 제1제기안치판의 상단으로 본체 하부의 측면과 서로 힌지결합된 두개의 제2제기안치판이 형성되되, 제2제기안치판을 본체의 측면으로 펼쳤을 시 제1제기안치판과 동일한 높이로 수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기안치부는 제1제기안치판의 하측으로 본체 하부의 내측으로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된 보조제기안치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의 일단 상면은 제1 접철문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며, 제1, 2 절첩문을 상향으로 올리면 보강판의 타단은 걸림턱의 배면에 걸려 보강판의 저면이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
KR1020080063327A 2008-07-01 2008-07-01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 KR101022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327A KR101022204B1 (ko) 2008-07-01 2008-07-01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327A KR101022204B1 (ko) 2008-07-01 2008-07-01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435A KR20100003435A (ko) 2010-01-11
KR101022204B1 true KR101022204B1 (ko) 2011-03-17

Family

ID=41813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327A KR101022204B1 (ko) 2008-07-01 2008-07-01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2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564A (ko)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카일루스 장의차량용 임시봉안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998U (ko) * 1989-06-09 1991-01-25
KR200146897Y1 (ko) * 1996-08-14 1999-06-15 김경일 납골안치단
KR200262431Y1 (ko) * 2001-08-20 2002-03-18 이의영 조립식 납골묘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998U (ko) * 1989-06-09 1991-01-25
KR200146897Y1 (ko) * 1996-08-14 1999-06-15 김경일 납골안치단
KR200262431Y1 (ko) * 2001-08-20 2002-03-18 이의영 조립식 납골묘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564A (ko)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카일루스 장의차량용 임시봉안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435A (ko) 2010-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6663B2 (en) Adjustable cabinet
USD495209S1 (en) Cup having inwardly folding lids
USD524469S1 (en) Compact mirror light
US20160135559A1 (en) Cooler having integrated table surface
ATE457141T1 (de) Schwenkbehälter
KR101022204B1 (ko)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
USD506309S1 (en) Case for an injection device
CN106766602A (zh) 冰箱及其瓶座
KR101211472B1 (ko)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
JP3303851B2 (ja) 収納家具
JP2008110153A (ja) 多段式の棚装置
JP2006316602A (ja) 墓石用香炉
JP2011212090A (ja) 仏壇
JP4361765B2 (ja) 仏壇
KR101086617B1 (ko) 슬라이드리프트상품케이스
JP3083550U (ja) 卓上型供養具
JP2005036444A (ja)
KR20140040573A (ko) 수납실이 형성된 책상
KR101694352B1 (ko)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
KR20180110660A (ko) 픽업트럭용 폴딩캠퍼
JP4745787B2 (ja) 書見台
JP3095603U (ja) 簡易可搬型仏壇
JP3084927U (ja) 仏 壇
JP2005185723A (ja) ブックスタンド兼用書類フォルダー
JP3125084U (ja) 挟持部を有する折収可能なフ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