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472B1 -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 - Google Patents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472B1
KR101211472B1 KR1020110006144A KR20110006144A KR101211472B1 KR 101211472 B1 KR101211472 B1 KR 101211472B1 KR 1020110006144 A KR1020110006144 A KR 1020110006144A KR 20110006144 A KR20110006144 A KR 20110006144A KR 101211472 B1 KR101211472 B1 KR 101211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irror
mirror plate
support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855A (ko
Inventor
정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픽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픽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픽시스
Priority to KR1020110006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472B1/ko
Publication of KR20120084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2/00Hand, pocket, or shaving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4Appliances for adjus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into a desired position, especially inclin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2001/005Frames made from flexible material, e.g.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어서 보관을 하고 필요시에는 절곡하여 탁자용으로 사용을 하는 펼침기능을 가진 거울셋에 관한 것이다. 특히, 거울을 펼칠 경우 거울판의 후방에 비치된 탄성체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거울판과 지지판을 밀어 거울판이 일부 들어올리게 하고, 그 힘을 이용하여 밑판의 지지단턱에 거울판의 하단이 용이하게 낄 수 있게 하여, 결국 거울을 펼쳐 탁상용의 거울셋으로 형태 변화시키기 유리하도록 한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miller to open auto}
본 발명은 접어서 보관을 하고 필요시에는 절곡하여 탁자용으로 사용을 하는 펼침기능을 가진 거울셋에 관한 것이다. 특히, 거울을 펼칠 경우 거울판의 후방에 비치된 탄성체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거울판과 지지판을 밀어 거울판이 일부 들어올리게 하고, 그 힘을 이용하여 밑판의 지지단턱에 거울판의 하단이 용이하게 낄 수 있게 하여, 결국 거울을 펼쳐 탁상용의 거울셋으로 형태 변화시키기 유리하도록 한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울은 몸치장이나 화장을 위해서 사용된다. 벽면에 전체적으로 장착되는 큰 거울부터 손으로 들고보면서 화장을 할 수 있게 한 손거울까지 그 종류는 많이 있다.
이러한 많은 거울 중 탁자나 화장대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탁상용 거울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탁상용 거울의 쓰임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이동성이 뛰어나서 집안 내에서 사용이 편리하다. 손거울에 비하여 다소 크기에 치장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안방에서 사용하다가 거실이나 화장실로 들고가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 탁상용 거울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항상 지면에 직립된 자세를 취해야 하기에 별도의 거치대가 필요하다. 거울과는 별도의 거치대를 비치하여 사용해야만 하거나, 혹은 결합된 거치대를 갖춘 거울의 경우도 거치대의 부피가 상당하여 일정한 공간이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거치대가 있기에 집안에서는 사용이 편리하지만, 외부로 가지고 나가기 힘들다. 즉, 여행을 위해서도 거울을 가지고 갈 필요가 있는데, 이렇게 여행을 가기위해서 탁상용 거울을 가지고 가기는 어렵다.
셋째, 보관이 어렵다. 탁상용 거울이기에 거치대와 같이 있는 한 그 부피가 있어서, 보관하기가 힘들다.
본 발명은 접어서 보관을 하고 필요시에는 절곡하여 탁자용으로 사용을 하는 펼침기능을 가진 거울셋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거울을 펼칠 경우 거울판의 후방에 비치된 탄성체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거울판과 지지판을 밀어 거울판이 일부 들어올리게 하고, 그 힘을 이용하여 밑판의 지지단턱에 거울판의 하단이 용이하게 낄 수 있게 하여, 결국 거울을 펼쳐 탁상용의 거울셋으로 형태 변화시키기 유리하도록 한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펼침기능을 가진 거울셋은, 밑판(20)과 지지판(30) 및 거울판(10)이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거울셋에서, 상기 거울판(10)의 전면에 내장되는 거울(11)과; 상기 밑판(20) 상면 전방부분에 돌출되어 거울판(10)의 하단이 걸릴 수 있도록 한 지지단턱(21)과; 지지판(30)과 거울판(10) 사이에는 탄성력을 통해서 서로의 간격을 벌리도록 하는 탄성체(40);로 이루어져,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밑판(20)의 지지단턱(21)은 거울판(10)의 하단을 지지하여 거울판(10)이 사선의 각도로 직립될 수 있도록 하고, 지지판(30)은 거울판(10)의 후방에서 일정한 각도로 벌어져 후방으로 거울판(10)이 넘어지지 않도록 하며, 탄성체(40)의 탄성력이 항상 지지판(30)과 거울판(10)의 간격을 벌려 탁상용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에 따른, 탄성체(40)는, 금속편으로 형성되는 판스프링(41)이거나 또는 힌지(42)를 가진 비틀림스프링(43)을 거울판(10)과 지지판(30)의 연결부위에 내장시키고 : 지지판(30)과 거울판(10)의 연결부위는, 거울판(10)이 직립된 상태에서 거울판(10)과 지지판(30)의 최상단끼리 연결되거나 또는 거울판(10)의 후면에서 일정한 거리만큼 하향하여 지지판(30)이 갈라지며 간격을 벌릴 수 있도록 형성되며 : 접었을 때 거울판(10)의 상단과 대응되어 면접되는 밑판(20)의 대응부위에는, 자석(61)과 금속(62)을 삽입하여 접은 상태에서 밀착되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밑판(20)과 지지판(30) 및 거울판(10)이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거울셋에서, 상기 거울판(10)의 전면에 내장되는 거울(11)과; 상기 밑판(20) 상면이 일정 깊이 파여 거울셋을 접을 경우, 거울판(10)이 매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 매장홈(70)과; 상기 밑판(20) 매장홈(70)의 첫단에는 거울판(10)의 하단이 걸릴 수 있도록 한 지지단턱(71)과; 지지판(30)의 가로 폭에 비하여 작은 폭을 가지고, 상기 매장홈(70)의 폭에 대응되어 접을 경우 매장홈(70)에 매장될 수 있도록 한 거울판(10); 상기 지지판(30)과 거울판(10) 사이에는 탄성력을 통해서 서로의 간격을 벌리도록 하는 탄성체(40);로 이루어져,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밑판(20)의 지지단턱(71)은 거울판(10)의 하단을 지지하여 거울판(10)이 사선의 각도로 직립될 수 있도록 하고, 지지판(30)은 거울판(10)의 후방에서 일정한 각도로 벌어져 후방으로 거울판(10)이 넘어지지 않도록 하며, 탄성체(40)의 탄성력이 항상 지지판(30)과 거울판(10)의 간격을 벌려 탁상용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에 따른, 탄성체(40)는, 금속편으로 형성되는 판스프링(41)이거나 또는 힌지(42)를 가진 비틀림스프링(43)을 거울판(10)과 지지판(30)의 연결부위에 내장시키고 : 접었을 때 거울판(10)의 상단과 대응되어 면접되는 밑판(20)의 대응부위에는, 자석(61)과 금속(62)을 삽입하여 접은 상태에서 밀착되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거울판이 탄성력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펼 수 있기에 탁상용 거울셋으로 변화되는 과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여행 중에도 가방에 담아 가지고 다니기 편리하면서도, 거울을 보호하여 깨지지 않아 내구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보관시 절첩하여 액자의 형태로 보관할 수 있기에 보관이 용이하면서도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거울셋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거울셋을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거울셋이 절첩되어 탁상용으로 변화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거울셋이 접어져 보관할 수 있도록 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거울셋의 후방 탄성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거울셋 후방 비틀림스프링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거울셋을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거울셋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거울셋을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 1 내지 9와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은 밑판(20)과 지지판(30) 및 거울판(10)이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거울셋에서, 상기 거울판(10)의 전면에 내장되는 거울(11)이 있고, 상기 밑판(20) 상면 전방부분에 돌출되어 거울판(10)의 하단이 걸릴 수 있도록 한 지지단턱(21)이 있으며, 지지판(30)과 거울판(10) 사이에는 탄성력을 통해서 서로의 간격을 벌리도록 하는 탄성체(40)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밑판(20)의 지지단턱(21)은 거울판(10)의 하단을 지지하여 거울판(10)이 사선의 각도로 직립될 수 있도록 하고, 지지판(30)은 거울판(10)의 후방에서 일정한 각도로 벌어져 후방으로 거울판(10)이 넘어지지 않도록 하며, 탄성체(40)의 탄성력이 항상 지지판(30)과 거울판(10)의 간격을 벌려 탁상용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첫째, 거울이 절첩하여 탁상형태로 직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보관시에는 접어서 앨범이나 액자와 같이 형상 변화시켜 보관할 수 있다.
둘째, 액자형태의 거울을 펼쳐서 절첩하여 탁상형으로 형태변화시킬 때, 상기 거울판과 지지판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탄성체에서 그 탄성력이 작용하여, 거울판을 직립시키기 편하도록 한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특징이 있는 본 발명은 밑판(20), 지지판(30) 및 거울판(10)으로 형성하되, 서로 일체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도 3에서처럼, 거울판(10)과 지지판(30)이 연결되고, 그 지지판(30)의 끝단에 밑판(20)이 연결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거울판(10)을 지지판(30)과 약간의 간격을 벌리고 들어올려 밑판(20)에 형성된 지지단턱(21)에 거울판(10)의 하단을 마주하여 끼워야 안전하게 직립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주요한 작동을 한다. 즉, 상기 거울판(10)과 지지판(30)의 연결부위에 탄성체(40)가 삽입되어 있기에 접은 상태에서 거울판(10)을 약간만 들어올리게 되면, 그 탄성체(40)의 탄성력이 작용을 하여 거울판(10)과 지지판(30)의 간격을 벌리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것이다. 즉, 도 3의 (a)에서처럼 밑판(20)을 거울판(10)에서 걷어 펼치게 되면, 거울판(10)과 지지판(30)의 연결부위에 체결된 탄성체(40)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도 3의 (b)에서처럼 거울판(10)의 일측이 들어 올려지게 된다. 그럼 사용자는 도시된 도 3의 (c)에서처럼 거울판(10)을 잡고 밑판(20)의 지지단턱(21)에 거울판(10)의 하단을 밀착시켜 완벽하게 세워진 거울셋을 준비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모습으로 사용하게 될 본 발명의 거울셋은 도시된 도 4의 사시도에서처럼 접혀져 보관도 가능하다.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들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성체(40)는, 금속편으로 형성되는 판스프링(41)이거나 또는 힌지(42)를 가진 비틀림스프링(43)을 거울판(10)과 지지판(30)의 연결부위에 내장시킨다.
즉, 탄성체(40)는 판스프링(41)이나 힌지(42)를 가진 비틀림스프링(43)이 사용되는 것이다. 거울판(10)과 지지판(30)이 서로 그 연결부위를 축으로 간격을 벌리도록 하는 것이다. 판스프링(41)은 형상기억합금이나 탄성을 가진 금속을 절곡하여 사용이 가능한데, 항상 거울판(10)과 지지판(30)의 간격을 벌리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도록 한다. 이들은 그 두께가 얇기에 거울판(10)이나 지지판(30)의 내측에 매장시켜도 무방하며, 서로 겹치게 체결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힌지(42)를 가진 비틀림스프링(43)의 경우 그 두께가 있기에 도시된 도 6에서처럼 거울판(10)이나 지지판(30)의 내부에 매장시키는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거울판(10)과 지지판(30)의 연결부위 좌우 양단에 2개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긴 형태의 비틀림스프링(43)을 정 중앙에 하나만 장착한 실시예도 사용가능하며, 3개의 비틀림스프링(43)을 매장시킨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지지판(30)과 거울판(10)의 연결부위는, 거울판(10)이 직립된 상태에서 거울판(10)과 지지판(30)의 최상단끼리 연결되거나 또는 거울판(10)의 후면에서 일정한 거리만큼 하향하여 지지판(30)이 갈라지며 간격을 벌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는 2가지 실시형태로 제안된다. 즉, 도시된 도 1 내지 6은 모두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실시예의 경우, 지지판(30)과 거울판(10)의 연결부위가 거울판(10)의 후면에서 일정한 거리만큼 하향하여 지지판(30)이 간격을 벌릴 수 있도록 형성한 실시예이다. 도시된 도 1 내지 6에서는 모두 이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거울판(10)과 지지판(30)이 최 상단에서는 서로 면접하여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하향하여 일정한 높이만큼 내려와서는 서로 갈라져 간격을 벌리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1과 4에 이 "연결부위"라 명칭을 부여하고 설명하고 있는데, 이 연결부위란 거울판(10)과 지지판(30)이 실질적으로 갈라지는 부위를 칭한다. 따라서 제1실시예의 경우 이 연결부위가 거울판(10)의 최 상단이 아닌 약간 아래로 내려온 위치에 형성된 실시예를 말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도시된 도 7에도 "연결부위"란 명칭을 부여한 곳이 있는데, 이는 거울판(10)과 지지판(30)이 실질적으로 갈라지는 부위가 최상단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즉, 이러한 거울판(10)의 최상단에서 지지판(30)과 갈라지는 실시예를 본 발명에서는 제2실시예로 칭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접었을 때 거울판(10)의 상단과 대응되어 면접되는 밑판(20)의 대응부위에는, 자석(61)과 금속(62)을 삽입하여 접은 상태에서 밀착되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한다. 도시된 도 1 내지 도 6의 제1실시예의 도면에서나 도 7의 제2실시예의 도면에서 모두 점선으로 표시된 이 자석(61)과 금속(62)은 서로 접어 보관시 밀착되어 견고히 달라붙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자력은 보관을 위해서 본 발명의 거울셋을 접을 경우에는 내장된 탄성체의 탄성력이 발휘되지 못하게 하여 안전하게 액자의 형태로 보관이 가능하게하는 것이다. 부연하여 도시된 도 1의 도면에서 부호 61, 62는 어느 것이 자석인지 금속인지 중요하지 않다. 61번이 자석을 내장한다면, 62번은 금속을 내장할 수 있다. 또한 역으로 삽입하여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3실시예는 도 8과 9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밑판(20)과 지지판(30) 및 거울판(10)이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거울셋에서, 상기 거울판(10)의 전면에 내장되는 거울(11)이 있고, 상기 밑판(20) 상면이 일정 깊이 파여 거울셋을 접을 경우, 거울판(10)이 매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 매장홈(70)이 있으며, 상기 밑판(20) 매장홈(70)의 첫단에는 거울판(10)의 하단이 걸릴 수 있도록 한 지지단턱(71)이 있다. 또한 지지판(30)의 가로 폭에 비하여 작은 폭을 가지고, 상기 매장홈(70)의 폭에 대응되어 접을 경우 매장홈(70)에 매장될 수 있도록 한 거울판(10)이 있고, 상기 지지판(30)과 거울판(10) 사이에는 탄성력을 통해서 서로의 간격을 벌리도록 하는 탄성체(40)로 이루어진다. 이들은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밑판(20)의 지지단턱(71)은 거울판(10)의 하단을 지지하여 거울판(10)이 사선의 각도로 직립될 수 있도록 하고, 지지판(30)은 거울판(10)의 후방에서 일정한 각도로 벌어져 후방으로 거울판(10)이 넘어지지 않도록 하며, 탄성체(40)의 탄성력이 항상 지지판(30)과 거울판(10)의 간격을 벌려 탁상용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 실시예는 전술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와 크게 다른 점은 없다. 단지 차이가 있다면 도시된 도 8과 9에서처럼 거울판(10)이 다소 협소하여 접을 경우에 밑판에 형성된 매장홈(70)에 완벽하게 삽입되어 보다 견고하게 보관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연결부위는 거울판(10)과 지지판(30)의 최상단에 마련되어 거울판(10)과 지지판(30)의 사이에 별도의 탄성체(40)가 내장되는 것도 동일하다. 이 탄성체(40)의 탄성력이 발휘되면, 거울판(10)과 지지판(30)과의 간격은 자연스럽게 벌어지며, 거울판(10)의 최 하단이 매장홈(70)의 지지단턱(71)에 끼워지기 용이하게 된다. 제3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밑판(20)의 상부에 거울판(10)이 끼워질 수 있는 매장홈(70)이 마련되기에 지지단턱(71)도 자연스럽게 구비된다. 바로 매장홈(70)의 끝단이 지지단턱(71)이 되어 거울판의 최하단을 면접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도 상기 탄성체(40)는, 금속편으로 형성되는 판스프링(41)이거나 또는 힌지(42)를 가진 비틀림스프링(43)을 거울판(10)과 지지판(30)의 연결부위에 내장시키고; 접었을 때 거울판(10)의 상단과 대응되어 면접되는 밑판(20)의 대응부위에는, 자석(61)과 금속(62)을 삽입하여 접은 상태에서 밀착되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작동의 설명은 제1실시예와 제3실시예에서 이미 상세히 했기에 설명을 자제한다.
10; 거울판 11; 거울
20; 밑판 21; 지지단턱
30; 지지판 40; 탄성체
41; 판스프링 42; 힌지
43; 비틀림스프링 61; 자석
62; 금속 71; 지지단턱

Claims (7)

  1. 밑판(20)과 지지판(30) 및 거울판(10)이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거울셋에서,
    상기 거울판(10)의 전면에 내장되는 거울(11)과;
    상기 밑판(20) 상면 전방부분에 돌출되어 거울판(10)의 하단이 걸릴 수 있도록 한 지지단턱(21)과;
    지지판(30)과 거울판(10) 사이에는 탄성력을 통해서 서로의 간격을 벌리도록 하는 탄성체(40);로 이루어져,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밑판(20)의 지지단턱(21)은 거울판(10)의 하단을 지지하여 거울판(10)이 사선의 각도로 직립될 수 있도록 하고, 지지판(30)은 거울판(10)의 후방에서 일정한 각도로 벌어져 후방으로 거울판(10)이 넘어지지 않도록 하며, 탄성체(40)의 탄성력이 항상 지지판(30)과 거울판(10)의 간격을 벌려 탁상용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체(40)는,
    금속편으로 형성되는 판스프링(41)이거나 또는 힌지(42)를 가진 비틀림스프링(43)을 거울판(10)과 지지판(30)의 연결부위에 내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
  3. 제2항에 있어서,
    지지판(30)과 거울판(10)의 연결부위는,
    거울판(10)이 직립된 상태에서 거울판(10)과 지지판(30)의 최상단끼리 연결되거나 또는 거울판(10)의 후면에서 일정한 거리만큼 하향하여 지지판(30)이 갈라지며 간격을 벌릴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
  4. 제1항에 있어서,
    접었을 때 거울판(10)의 상단과 대응되어 면접되는 밑판(20)의 대응부위에는, 자석(61)과 금속(62)을 삽입하여 접은 상태에서 밀착되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
  5. 밑판(20)과 지지판(30) 및 거울판(10)이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거울셋에서,
    상기 거울판(10)의 전면에 내장되는 거울(11)과;
    상기 밑판(20) 상면이 일정 깊이 파여 거울셋을 접을 경우, 거울판(10)이 매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 매장홈(70)과;
    상기 밑판(20) 매장홈(70)의 첫단에는 거울판(10)의 하단이 걸릴 수 있도록 한 지지단턱(71)과;
    지지판(30)의 가로 폭에 비하여 작은 폭을 가지고, 상기 매장홈(70)의 폭에 대응되어 접을 경우 매장홈(70)에 매장될 수 있도록 한 거울판(10);
    상기 지지판(30)과 거울판(10) 사이에는 탄성력을 통해서 서로의 간격을 벌리도록 하는 탄성체(40);로 이루어져,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밑판(20)의 지지단턱(71)은 거울판(10)의 하단을 지지하여 거울판(10)이 사선의 각도로 직립될 수 있도록 하고, 지지판(30)은 거울판(10)의 후방에서 일정한 각도로 벌어져 후방으로 거울판(10)이 넘어지지 않도록 하며, 탄성체(40)의 탄성력이 항상 지지판(30)과 거울판(10)의 간격을 벌려 탁상용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
  6. 제5항에 있어서,
    탄성체(40)는,
    금속편으로 형성되는 판스프링(41)이거나 또는 힌지(42)를 가진 비틀림스프링(43)을 거울판(10)과 지지판(30)의 연결부위에 내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
  7. 삭제
KR1020110006144A 2011-01-21 2011-01-21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 KR101211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144A KR101211472B1 (ko) 2011-01-21 2011-01-21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144A KR101211472B1 (ko) 2011-01-21 2011-01-21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855A KR20120084855A (ko) 2012-07-31
KR101211472B1 true KR101211472B1 (ko) 2012-12-12

Family

ID=4671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144A KR101211472B1 (ko) 2011-01-21 2011-01-21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4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833A (ko) 2014-09-04 2016-03-14 주식회사 픽시스 거울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3971A (zh) * 2017-07-07 2017-09-19 恭城瑶族自治县恭城中学 便携式收纳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269Y1 (ko) 1999-10-13 2000-03-15 박종선 거울
KR200332087Y1 (ko) 2003-06-11 2003-11-10 이미희 휴대용 거울
KR200433500Y1 (ko) 2006-08-24 2006-12-13 정진석 폴더형 휴대거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269Y1 (ko) 1999-10-13 2000-03-15 박종선 거울
KR200332087Y1 (ko) 2003-06-11 2003-11-10 이미희 휴대용 거울
KR200433500Y1 (ko) 2006-08-24 2006-12-13 정진석 폴더형 휴대거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833A (ko) 2014-09-04 2016-03-14 주식회사 픽시스 거울셋
KR101621870B1 (ko) * 2014-09-04 2016-05-17 주식회사 픽시스 거울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855A (ko)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9230S1 (en) Case with stand for an MP3 player device
US10480706B2 (en) Adjus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20160249749A1 (en) Display Stand
KR101211472B1 (ko) 펼침 기능을 가진 거울셋
KR102269405B1 (ko) 휴대용 독서대
USD422747S (en) Combined portable stand and holders for cigars and cigarettes
KR20210024858A (ko) 다용도 독서대
KR101083716B1 (ko) 책상용 가림판
KR101760562B1 (ko) 접이식 독서대
KR100893387B1 (ko) 테이블을 구비한 절첩식 의자
CN108784051A (zh) 一种可折叠支架
KR200437388Y1 (ko) 접이식 책 받침대
KR200446831Y1 (ko) 휴대용 자동 독서대
USD511637S1 (en) Folding table frame
JP3130290U (ja) 折り込み式物置箱構造
KR101621870B1 (ko) 거울셋
CN103054338A (zh) 可自由调节高度的阅书架
JP3962858B2 (ja) 箱形の鞄
KR101036372B1 (ko) 곤충 캐릭터 형상을 한 독서대
KR20150061616A (ko) 스탠딩 타입 다기능 바인더
JP5249446B1 (ja) 書見台
KR20120001648U (ko) 다용도 상
KR200275781Y1 (ko) 독서대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책상
CN201374733Y (zh) 手机架
JP2872981B2 (ja) 携帯端末用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