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375A - 전기 전도체 조립체, 전기 전도체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전도체 조립체, 전기 전도체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375A
KR20220142375A KR1020220045674A KR20220045674A KR20220142375A KR 20220142375 A KR20220142375 A KR 20220142375A KR 1020220045674 A KR1020220045674 A KR 1020220045674A KR 20220045674 A KR20220045674 A KR 20220045674A KR 20220142375 A KR20220142375 A KR 20220142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lectrical conductor
conductor assembly
assembly
conta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막시밀리안 베일
크리스 부클링
마누엘 에하임
프랭크 케니
마르커스 볼프
하랄트 울리히
케빈 쉬어
플로리안 루크
크리스토프 코스말스키
롤프 마우루스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142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25Contact members formed by the conductors of a cabl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전기 전도체 조립체(100)가 나타나며, 전기 전도체 조립체(100)는 제1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복수의 전도체 와이어들(21)을 갖는 라인 섹션(20), 및 전도체 와이어들(21)이 압착되어 접촉 유닛(31)을 형성하는 접촉 섹션(30)을 포함하며, 전기 전도체 조립체(100)는 접촉 유닛(31)의 접촉 표면(32) 상에 제2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층(40)을 포함한다. 더욱이, 이 문헌은 제1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 복수의 전도체 와이어들(21)이 섹션들로 압착되어 접촉 유닛(31)을 형성하는 압착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개시하며, 이 방법은, 제2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 층(40)이 접촉 유닛(31)의 접촉 표면(32)에 부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전도체 조립체, 전기 전도체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ELECTRICAL CONDUCTOR ASSEMBLY,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AL CONDUCTOR ASSEMBLY}
본 발명은 전기 전도체 조립체뿐만 아니라 전기 전도체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복수의 전도체 와이어들을 갖는 라인 섹션, 및 전도체 와이어들이 압착되어 접촉 유닛을 형성하는 접촉 섹션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체 조립체가 알려져 있다. 접촉 유닛은 다른 요소들에 대한 간단한 연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압착은,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한 전도체 조립체들의 단점은, 접촉 유닛과의 접촉은 종종 높은 접촉 저항으로만 연관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접촉 저항으로 접촉할 수 있게 하는 해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는, 전기 전도체 조립체가 접촉 유닛의 접촉 표면 상에 제2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층을 가질 때 달성된다.
방법의 경우, 이는, 방법이 제2 전기 전도성 재료의 층이 접촉 유닛의 접촉 표면에 부착되거나 접촉 표면에 적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그러한 층은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자체로 각각 유리하고 그리고 서로 무작위로 조합될 수 있는 다음의 개량예들 및 구성들에 의해 더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개량예들 및 구성들은 또한 층을 갖는 해법과 독립적일 수 있고, 그들 자체의 발명들을 나타낼 수 있다.
높은 정도의 가요성을 획득하기 위해, 전도체 와이어들은 라인 섹션에서 분리될 수 있다. 특히, 이들은 거기에서 서로 포지티브 물질-맞춤(positive substance-fit)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라인 섹션의 전도체는 압착되지 않을 수 있다.
압착은 특히, 개별 전도체 와이어들 사이에 포지티브 물질-맞춤 방식으로 연결의 생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도체 와이어들 사이의 빈 공간들이 감소되거나 거의 제로이다. 이는,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 또는 용융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도체 와이어들은 기계적 압력에 의해 원하는 형상을 취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압착된 접촉 유닛은 실질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전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공동들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을 수 있다.
층은 특히 신뢰할 수 있는 접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접촉 유닛 또는 접촉 유닛의 나머지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층은, 예를 들어, 접촉 유닛의 나머지에 포지티브 물질-맞춤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층은 특히 밀접한 연결을 획득하기 위해 접촉 유닛 또는 접촉 유닛의 나머지에 용접될 수 있다.
층은 압착에 의해 접촉 유닛 또는 접촉 유닛의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다. 특히, 층은 접촉 유닛이 제조되는 압착 단계 동안 접촉 유닛의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다. 이는 제조시의 단계들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유리한 구성에서, 접촉 유닛은 관통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관통 홀은 정합 요소에 대한 부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부착 요소, 이를 테면 스크류가 관통 홀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그 후, 부착 요소는 관통 홀의 방향을 따라 힘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류의 헤드(head)는 접촉 유닛 상에 힘을 가하고, 이를 정합 접촉 요소에 대해 가압할 수 있다.
라인 섹션의 전도체 와이어들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질 수 있고, 관통 홀은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직 배열로 인해, 부착력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전도체 와이어들을 변형시키지 않기 때문에, 부착이 특히 고정될 수 있다.
추가적인 유리한 구성에서, 관통 홀은 접촉 표면을 관통할 수 있다. 이로써, 부착 요소에 의해 가해지는 힘들은 접촉 표면 상에 직접 작용할 수 있다. 이로써, 전기 접촉이 특히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라인 섹션의 전도체 와이어들은 함께 편조될(braided) 수 있다. 개별 전도체 와이어들이 편조될 수 있거나, 또는 개별 전도체 와이어들이 다발들(bundles)로 그룹화될 수 있고, 그 다음, 이 다발들은 함께 편조된다. 편조는, 첫째로, 특정 안정성을 생성하지만, 둘째로, 원하는 유연성을 또한 허용하는 구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대안적인 구성에서, 전도체 와이어들은 라인 섹션에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질 수 있다. 이는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라인 섹션에서의 전도체 와이어들의 다른 구성들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도체 와이어들은 무질서한 방식으로 이어질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함께 꼬일(twisted) 수 있다.
접촉 유닛은 플레이트-형상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콤팩트한 구성을 갖는 동시에 신뢰할 수 있는 접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플레이트-형상은 특히, 접촉 유닛이 대략 직육면체(cuboid)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의 방향으로의 연장은 그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2개의 방향들에서, 예를 들어 3배만큼 상당히 더 작다.
기계적으로 특히 안정적일 수 있는 일 실시예에서, 전도체 와이어들은 연속적인 방식으로 관통 홀 주위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모든 전도체 와이어들은 관통 홀 주위로 이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전도체 와이어들 중 어느 것도 관통 홀에 의해 절단되지 않는다. 그러한 관통 홀은, 대응하는 요소, 예를 들어 펀치에 의한 압착 동안 관통 홀을 자유롭게 유지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압착 전에, 요소는 전도체 와이어들이 측 방향으로(laterally) 변위되도록 전도체 와이어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성에서, 관통 홀은 압착 단계 후에, 예를 들어 드릴링에 의해 또는 재료가 제거되는 다른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층은 접촉 유닛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안정화 슬리브의 일부일 수 있다. 그 다음, 그러한 층은, 그것이 접촉을 가능하게 하고 접촉 유닛의 안정화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이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안정화 슬리브는 포지티브 물질-맞춤 방식으로 접촉 유닛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구성들에서, 안정화 슬리브는 별개이며, 접촉 유닛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안정화 슬리브는 적어도 2개의 대향하게 배치된 측들 상에서 접촉 유닛 주위를 에워싸거나 맞물릴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압착, 부착 또는 접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계적 부하의 경우에, 접촉 유닛이 대향하게 배치된 측들 상에서 팽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리한 구성에 따르면, 전기 전도체 조립체는 부착 요소를 위한 안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 부재는 부착 요소에 대한 원하는 방향을 규정할 수 있다. 더욱이, 안내 부재는 부착 요소의 용이한 안내를 가능하게 하는 매끄러운 벽들을 가질 수 있다. 그와 대조적으로, 관통 홀의 측벽들이 압착된 전도체 와이어들로 인해 거친 구조(rough structure)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안내 부재 없이 관통 홀 내에 부착 요소를 삽입하는 것이 더 어려울 수 있다. 더욱이, 부착 요소와 접촉 유닛 사이의 갭은, 둘 사이의 힘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안내 부재에 의해 브리지될 수 있다.
안내 부재는 슬리브일 수 있거나 또는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슬리브는 원통형, 특히 원형-원통형(circular-cylindrical)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안내 부재는 관통 홀에 배열될 수 있다.
구조를 단순하게 유지하기 위해, 안내 부재는 안정화 슬리브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유리한 구성에서, 안내 부재는 층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조는 또한 간단하다.
안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도체 조립체는 접촉 섹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된 터치 가드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인 섹션에서, 케이블 덮개는 터치를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전도체 와이어들 주위에 배열될 수 있다. 케이블 덮개 및 터치 가드는 함께 작동하고, 연속적으로 터치하는 것에 대한 보호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조립되지 않은 상태의 접촉 표면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접촉 표면은 대응하는 정합 접촉 표면에 접할 수 있고, 전도체 조립체는 모든 측들 상에 터치 가드를 가질 수 있으며, 터치 가드는 특히 모든 측들에서 폐쇄된다.
유리한 구성에 따르면, 터치 가드는 안정화 슬리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쌀 수 있다. 터치 가드는 안정화 슬리브에 접하고 그리고/또는 안정화 슬리브를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도체 조립체는 더욱 안정화될 수 있다. 특히, 터치 가드는 안정화 슬리브를 포함하는 안정화 조립체의 일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전도체 조립체 및 정합 접촉 요소를 포함하는 전기 접촉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전기 전도체 조립체의 층은 정합 접촉 요소의 정합 접촉 표면에 접한다.
연결 상태에서, 층은 접촉 유닛 또는 접촉 유닛의 나머지와 정합 접촉 요소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전기 접촉 조립체는 유리하게, 반복적으로 분리 가능한 부착 요소에 의해 정합 접촉 요소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 요소는 스크류일 수 있다. 더욱이, 부착 요소에는 터치 가드 요소, 예를 들어 터치 가드 캡이 제공될 수 있다.
방법의 유리한 구성에서, 압착 단계 전에 별개의 요소가 복수의 전도체 와이어들 옆에 배열될 수 있고, 별개의 요소는 압착 단계 동안 층으로서 적어도 섹션들로 부착될 수 있다. 별개의 요소는 막, 플레이트, 시트 금속, 또는 막, 플레이트, 또는 시트 금속으로부터 형성된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유리한 구성들에 기초하여 예로서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시된 유리한 추가 개량예들 및 구성들은 각각 서로 독립적이며, 그리고 이것이 적용에서 필요한 방법에 따라, 원하는 대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전도체 조립체를 갖는 접촉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로부터의 전도체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로부터의 전도체 조립체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전도체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로부터의 전도체 조립체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전도체 조립체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전도체 조립체들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의 개략적인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8은 접촉 조립체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전기 전도체 조립체(100)의 다양한 구성들이 도면들에 도시된다. 전기 전도체 조립체(100)는 제1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복수의 전도체 와이어들(21)이 존재하는 개개의 라인 섹션(20)을 포함한다. 전기 전도체 와이어들(21)은, 예를 들어, 상이한 다발들(23)을 형성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다발들(23)은 함께 편조될 수 있다. 이는 동시에 가요성을 갖는 양호한 안정성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이들은 평탄한 또는 관형 방식으로 함께 편조될 수 있다. 다른 구성들에서, 전기 전도체 와이어들(21)은 또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거나 개별적으로 함께 편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리 또는 구리를 함유하는 재료가 제1 전기 전도성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기 전도체 조립체(100)의 접촉 섹션(30)에서, 전도체 와이어들(21)은 접촉 유닛(31)을 형성하도록 압착된다. 따라서, 전기 전도체 와이어들(21)은 여기서, 예를 들어 플레이트(39) 형태의 콤팩트한 부재를 형성한다. 그러한 접촉 유닛(31)은 추가적인 요소들, 예를 들어 정합 접촉 요소(210)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접촉 표면(32), 예를 들어, 정합 접촉 표면(212)이 정합 접촉 요소(210)에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압착은 다양한 방식들로, 예를 들어, 가압 및 용접, 특히 초음파 용접과 같은 냉간 용접, 또는 용융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도체 와이어들(21)은 동시적인 기계적 압력에 의해 원하는 형상을 취하도록 만들어 질 수 있다.
제2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층(40)은, 정합 접촉 요소(210)와 접촉할 때 접촉 저항을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기 위해 접촉 표면(32) 상에 제공된다. 층(40)은 접촉 유닛(31)의 나머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압착 단계 전에 복수의 전도체 와이어들(21) 옆에 별개의 요소로서 배열될 수 있고, 그리고 압착 단계 동안 층(40)으로서 부착될 수 있다. 부착된 상태에서, 층(40)은 접촉 표면(32)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구성들에서, 층(40)은 접촉 유닛(31)과 별개이다.
층(40)에 사용될 수 있는 재료들은 특히,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거나 산화를 방지하는 재료들이다. 재료들은 특히 주석, 아연, 은, 금, 또는 이들 재료들의 혼합물들일 수 있다. 또한, 층(40)은 구리를 함유할 수 있다.
전도체 조립체(100)는 케이블(80)의 일부일 수 있다. 케이블(80)의 내부 전도체(81)는 부분적으로 라인 섹션(20)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케이블(80)은 내부 전도체(81) 위의 절연 층(82), 그 위에 배열된 외부 전도체(83), 및 외부 케이블 덮개(85)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도체(83)는 접지부 또는 차폐부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접촉 유닛(31)은, 접촉 유닛(31)을 통해 그리고 특히 접촉 표면(32)을 통해 통로 방향(D)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 홀(35)을 갖는다. 통로 방향(D)은 도체 와이어들(21)이 라인 섹션(20)에서 이어지는 길이 방향(L)에 수직이다. 더욱이, 통로 방향(D)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L) 둘 모두는 횡단 방향(Q)에 수직이다. 따라서, 도전체 와이어들(21)은 관통 홀(35)에 의해 중단되지 않고 그 주위로 이어진다. 이는, 압착 단계 전에 또는 압착 단계 동안에 전도체 와이어들(21) 사이에 개개의 툴을 삽입함으로써, 제조동안 달성될 수 있으며, 이 툴은 압착 후에 다시 제거된다. 그러한 툴은, 예를 들어, 복수의 전기 전도체 와이어들(21)을 통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테이퍼링 팁(tapering tip)을 가질 수 있다.
툴이 압착 단계에서 전기 전도체 와이어들(21) 사이에 배치되는 섹션에서, 툴은 원통형, 예를 들어 원형-원통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원통형 관통 홀(35)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회전 포지션들에서의 부착을 가능하게 한다. 특정 규정된 배향들로 전기 전도체 조립체(100)를 또한 부착할 수 있기 위해, 관통 홀(35) 및 대응하는 툴은 상이한 단면, 예를 들어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삼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전기 전도체 조립체(100)는 접촉 유닛(31)을 안정화시키는 안정화 슬리브(5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정화 슬리브(50)는 접촉 유닛(3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고, 그에 의해, 예를 들어 압착 동안, 부착 동안, 또는 접촉할 때 외측방으로 변형되는 것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는 카운터-베어링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안정화 슬리브(50)는 적어도 2개의 대향 배치된 측부들(51, 52) 상에서 접촉 유닛(31) 주위를 에워싸거나 맞물릴 수 있다.
도시된 예들에서, 2개의 측부들(51, 52)은 접촉 유닛(31)의 상이한 단부들에서 횡단 방향(Q)에 대해 배열된다. 통로 방향(D)으로 측정되면, 안정화 슬리브(50)는 접촉 유닛(31)의 거의 전체 높이를 따라 연장된다. 안정화 슬리브(50)는 또한, 다른 측부들, 예를 들어 전방 측에서 접촉 유닛(31)을 에워쌀 수 있다. 전방 벽(58)이 측벽들(56, 57)을 측부들(51 및 52) 상에 배열된 다른 것에 연결하면, 전방 벽(58)은 부가적인 보강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안정화 슬리브(50)는 접촉 섹션(31)을 위한 리셉터클을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채널, 트러프 또는 트렌치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층(40)은 유리하게는 안정화 슬리브(50)의 일부이다. 이는 베이스를 형성하고 베이스는 접촉 표면(32)에 배열되거나 또는 이를 형성한다.
안정화 슬리브(50)는, 예를 들어 펀칭 및 벤딩에 의해 시트 금속(59)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요소는 심지어 압착 단계 전에 전기 전도체 와이어들(21)에 부착될 수 있고, 또한 압착 동안 이미 안정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기 전도체 조립체(100)는, 부착 요소(90)를 안내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내 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 부재(60)는 용이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부착 요소(90)를 위한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예들에서, 안내 부재(60)는 슬리브(61)로서 구성된다. 슬리브(61)는 관통 홀(35) 내에 배열된다. 더욱이, 슬리브(61)는 층(40) 및 안정화 슬리브(5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 예에서, 슬리브(61)는 원통형이 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원통 축은 통로 방향(D)에 평행하게 이어진다.
안정화 슬리브(50)와 함께 슬리브(61)는 또한 접촉 섹션(30)에 대한 추가적인 안정화를 제공할 수 있다. 접촉 유닛(31)은 특히 슬리브(61), 전방 벽(58), 및 측벽들(56, 57) 사이에서 유지되고 안정화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기 전도성 부품들을 부주의로 터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도체 조립체(100)는 접촉 섹션(3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터치 가드(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기 절연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라인 섹션(20)에서, 전기 절연은 통상적으로 터치 가드(70)까지 연장되는 케이블 덮개(85)에 의해 제공되며, 그런 다음, 그 케이블 덮개(85)는 그에 이어서 임의의 갭들 없이 연결된다. 이는 사용자가 터치하는 것을 방지한다.
터치 가드(70)는 터치 가드 조립체(75)의 일부일 수 있으며, 이는 터치 가드(70)에 부가하여, 또한 부착 요소(90)로서 역할을 하는 스크류(91) 상의 터치 가드 캡들(93, 97)을 포함한다. 터치 가드 캡들(93, 97)은 스크류 헤드(92) 또는 스크류(91)의 일 단부에 부착되고, 그 단부에서 스크류들(91)을 에워싼다.
전기 전도체 조립체(100)가 대응하는 정합 접촉 요소(210)에 연결될 때, 터치 가드 배열체(75)는 사용자에 의한 원치 않는 터치에 대한 만능 보호를 형성한다. 비-연결 상태에서, 접촉 표면(32)만이 노출되고, 정합 접촉 요소(210)와의 전기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스크류(91)는 반복적으로 분리 가능하다. 스크류(91)의 수나사(96)는 정합 접촉 요소(210)의 관통 홀(215)에 배열된 암나사(216)와 상호 작용한다.
정합 접촉 요소(210)는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버스바(220)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버스바(220)의 일부일 수 있다.
터치 가드(70)는 안정화 슬리브(50)의 일부를 에워싸고, 이로써 접촉 유닛(31)을 더 안정화시키는 안정화 조립체(55)의 일부를 형성한다. 터치 가드(70)의 측벽들(76, 77)은 안정화 슬리브(50)의 측벽들(56, 57)에 접하고 이들을 외부측을 향해 지지한다. 안정화 슬리브(50)와 달리, 그의 측벽들(56, 57)은 하부측에서 연결되고, 터치 가드(70)의 측벽들(76, 77)은 상부 측에서 연결된다. 터치 가드(70) 및 안정화 슬리브(50)를 포함하는 안정화 조립체(55)는 결과적으로, 모든 측면들에서, 특히 원주를 따라 접촉 유닛(31)을 에워싸고, 이로써 높은 수준의 안정성을 달성한다.
도 6은 압착 후의 접촉 유닛(31)을 도시한다. 접촉 유닛(31)은 직육면체 플레이트(39)를 형성하며, 이 직육면체 플레이트(39)의 치수들은 길이 방향(L) 그리고 횡단 방향(Q)에서보다 통로 방향(D)으로 상당히 더 작은데, 이 예에서는, 적어도 10배만큼 작게 도시된다. 물론, 다른 형상들 및 배수들이 또한 가능하다.
도 7a 내지 도 7d에서, 특정 요소들이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다양한 구성들이 도시된다. 예컨대, 도 7a에 따른 실시예에서, 다른 구성들에는 존재하지 않는 터치 가드(70)가 존재한다.
도 7a 내지 도 7c에 따른 구성들 각각은 관통 홀(32)에 슬리브(61) 형태의 안내 부재(60)를 포함하지만, 이는 도 7d에 따른 구성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도 7c에 따른 구성에서, 부착 요소(90)가 존재하지 않는 반면, 도 7a, 도 7b 및 도 7d에 따른 실시예들에서는, 부착 요소(90)가 스크류의 형태로 존재한다. 그러한 부착 요소(90)는 또한 정합 접촉 요소(210) 상에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방식으로 부착이 수행될 수 있다.
층(40)이 없는 구성들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안정화 슬리브(50), 터치 가드(70), 또는 안내 부재(60)와 같은 다른 양상들은 독립적인 발명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 8은 2개의 전도체 조립체들(100)이 접촉 조립체(200)를 형성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전도체 조립체들(100) 각각은 다른 전도체 조립체(100)에 대한 정합 접촉 요소(210)로서 보여질 수 있다. 전도체 조립체들(100) 중 적어도 하나는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는 층(40)을 포함한다. 2개의 전도체 조립체들(100)은 부착 요소(90)에 의해, 예를 들어, 너트(94)를 갖는 스크류(91)의 형태로 서로 부착될 수 있다.
20 : 라인 섹션
21 : 전도체 와이어
23 : 다발
30 : 접촉 섹션
31 : 접촉 유닛
32 : 접촉 표면
35 : 관통 구멍
39 : 플레이트
40 : 층
50 : 안정화 슬리브
51 : 제1 측
52 : 제2 측
55 : 안정화 조립체
56 : 측벽
57 : 측벽
58 : 전방 벽
59 : 시트 금속
60 : 안내 부재
61 : 슬리브
70 : 터치 가드
75 : 터치 가드 조립체
80 : 케이블
81 : 내부 전도체
82 : 절연 층
83 : 외부 전도체
85 : 케이블 덮개
90 : 부착 요소
91 : 스크류
92 : 스크류 헤드
93 : 터치 가드 캡
94 : 너트
96 : 수나사
97 : 터치 가드 캡
100 : 전도체 조립체
200 : 접촉 조립체
210 : 정합 접촉 요소
212 : 정합 접촉 표면
215 : 관통 구멍
216 : 암나사
220 : 파워 레일
D : 통과 방향
L : 길이 방향
Q : 횡단 방향

Claims (15)

  1. 전기 전도체 조립체(100)로서,
    상기 전기 전도체 조립체(100)는 제1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복수의 전도체 와이어들(21)을 갖는 라인 섹션(20), 및 상기 전도체 와이어들(21)이 압착되어 접촉 유닛(31)을 형성하는 접촉 섹션(30)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 전도체 조립체(100)는 상기 접촉 유닛(31)의 접촉 표면(32) 상에 제2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층(40)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체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층(40)은 상기 접촉 유닛(31)의 나머지에 일체로 연결되는,
    전기 전도체 조립체.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유닛(31)은 관통 홀(35)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체 조립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 와이어들(21)은 연속적인 방식으로 상기 관통 홀(35) 주위에 이어진,
    전기 전도체 조립체.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40)은 상기 접촉 유닛(3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안정화 슬리브(50)의 일부인,
    전기 전도체 조립체.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체 조립체(100)는 부착 요소(90)를 위한 안내 부재(60)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체 조립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60)는 상기 안정화 슬리브(50)와 일체로 형성되는,
    전기 전도체 조립체.
  8. 제3 항, 제6 항 또는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60)는 상기 관통 홀(35)에 배열되는,
    전기 전도체 조립체.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 조립체(100)는 상기 접촉 섹션(3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된 터치 가드(70)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체 조립체.
  10. 제5 항 내지 제8 항 또는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가드(70)는 상기 안정화 슬리브(5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전기 전도체 조립체.
  11. 전기 접촉 조립체(200)로서,
    상기 전기 접촉 조립체(200)는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전도체 조립체(100) 및 정합 접촉 요소(210)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전도체 조립체(100)의 상기 층(40)은 상기 정합 접촉 요소(210)의 정합 접촉 표면(212)에 접하는,
    전기 전촉 조립체.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체 조립체(100)는 반복적으로 분리 가능한 부착 요소(90)에 의해 상기 정합 접촉 요소(210)에 부착되는,
    전기 접촉 조립체.
  13.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1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 복수의 전도체 와이어들(21)이 섹션들로 압착되어 접촉 유닛(31)을 형성하는 압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제2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 층(40)이 상기 접촉 유닛(31)의 접촉 표면(32)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접촉 표면(32)에 적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단계 전에 별개의 요소가 상기 복수의 전도체 와이어들(21) 옆에 배열되고, 상기 별개의 요소는 상기 압착 단계 동안 상기 층(40)으로서 적어도 섹션들에 부착되는,
    방법.
  15. 제13 항 또는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 와이어들(21) 사이의 관통 홀(35)은 상기 압착 단계에서 자유롭게 유지되는,
    방법.
KR1020220045674A 2021-04-14 2022-04-13 전기 전도체 조립체, 전기 전도체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2201423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09369.4 2021-04-14
DE102021109369.4A DE102021109369A1 (de) 2021-04-14 2021-04-14 Elektrische Leiteranordn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en Leiteranordn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375A true KR20220142375A (ko) 2022-10-21

Family

ID=8130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674A KR20220142375A (ko) 2021-04-14 2022-04-13 전기 전도체 조립체, 전기 전도체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37805B2 (ko)
EP (1) EP4075607A1 (ko)
JP (1) JP7482929B2 (ko)
KR (1) KR20220142375A (ko)
CN (1) CN115207658A (ko)
DE (1) DE102021109369A1 (ko)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84073A (fr) * 1963-11-15 1965-01-04 Perfectionnements aux tresses de shuntage électrique
DE1765918A1 (de) * 1968-08-07 1971-11-04 Max Hellstern Kabelschuh mit Auge
JPS54157293U (ko) * 1978-04-26 1979-11-01
US5541380A (en) * 1994-09-16 1996-07-30 Methode Electronics, Inc. Braided cable solidification
SE527876C2 (sv) * 2004-11-26 2006-07-04 Safetrack Infrasystems Sisab A Metod och anordning för anslutning av en elektrisk ledare till en metallskena samt verktyg för fastsättning av en bussning i ett hål i en metallskena
JP2008041330A (ja) 2006-08-02 2008-02-21 Sumiden Asahi Industries Ltd 車両用フレキシブルバスバ
JP5235369B2 (ja) * 2007-09-18 2013-07-1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ーハーネ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絶縁電線の接続方法
JP2011023229A (ja) 2009-07-16 2011-02-03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5643029B2 (ja) * 2010-08-30 2014-12-1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端部の接合方法
JP5666247B2 (ja) * 2010-11-01 2015-02-1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保持構造および電線保持方法
JP2012209017A (ja) 2011-03-29 2012-10-2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接続部付き電線、接続部付き電線形成方法
DE102012004532A1 (de) 2012-03-06 2013-09-12 Audi Ag Batterie,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Fertigen einer Batterie
DE102013004708A1 (de) * 2013-03-19 2014-09-25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Litzenleiter mit Rundsteckkontaktbuchse
MX358378B (es) * 2014-10-28 2018-08-16 Afl Telecommunications Llc Terminal de cable de alto voltaje estampada.
JP6170956B2 (ja) 2015-03-12 2017-07-2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化電線用金型
US9793625B2 (en) * 2015-03-19 2017-10-17 Yazaki Corporation Electric wire with connecting termin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electric wire
DE102016100978A1 (de) 2015-03-31 2016-10-06 Jens Trimborn Kunststoff-Dichtungshülle für eine Leiterverbindung, Verbindungsteil, Abdeckmutter sowie abgedichtete Verbindung zwischen zwei Leitern
JP6463300B2 (ja) 2016-05-20 2019-01-30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化電線製造方法
US9887477B1 (en) * 2016-09-22 2018-02-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sed-wire cable connectors for a busbar
DE102017116879A1 (de) * 2017-06-01 2018-12-06 Auto-Kabel Management Gmbh Verbind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inders
DE102017112947A1 (de) 2017-06-13 2018-12-13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er Hochstromverbinder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lektrischen Hochstromverbinders
DE102017210425A1 (de) * 2017-06-21 2018-12-27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Modulverbinder
DE112019001906T5 (de) * 2018-04-11 2021-04-01 Furukawa Automotive Systems Inc. Verbundener Leiter und Leiterverbindungsvorrichtun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erbundenen Leiters und Leiterverbindungsverfahren
JP6839688B2 (ja) * 2018-09-18 2021-03-10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接合電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07658A (zh) 2022-10-18
DE102021109369A1 (de) 2022-10-20
JP2022163702A (ja) 2022-10-26
EP4075607A1 (en) 2022-10-19
JP7482929B2 (ja) 2024-05-14
US20220336974A1 (en) 2022-10-20
US11837805B2 (en)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4764C1 (ru) Концевой соединитель и электропровод с концевым соединителем
KR100921856B1 (ko) 동축 평면 케이블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8463B1 (ko) 압착 단자, 접속 구조체 및 커넥터
JP4901632B2 (ja) 同軸線用コネクタ及び同軸線接続ユニット
KR20100129739A (ko) 후프 부재, 내부 전도체 터미널 및 동축 커넥터 제조 방법
KR101540467B1 (ko) 압착단자
JP6330587B2 (ja) 通信用コネクタ
CN110323581A (zh) 带端子的电线
US9236667B2 (en) Connection structure
KR102521413B1 (ko) 케이블에 대해 전기적 접촉부를 크림핑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행하기 위한 공구
EP2266167B1 (en) Electrical terminal system
JP2011150841A (ja) 端子付きケーブル
KR20220142375A (ko) 전기 전도체 조립체, 전기 전도체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WO2012004170A1 (en) An arrangement, in particular a plug and a method for production
US7207829B2 (en) Electric connector
JP6605970B2 (ja) 端子付き電線、ワイヤハーネス
JP6610392B2 (ja) 導体の接続構造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KR102513547B1 (ko) 코일단말의 접속구조
JP4102295B2 (ja) 同軸ケーブル用ピアシング端子
EP4040611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bus bar and cable
JP6109011B2 (ja) 電力ケーブルの接続部
JP6809811B2 (ja) 端子付き電線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2009152098A (ja) 端子付き電線
JP6735187B2 (ja) 電線接続端子
JP2021005454A (ja) 端子付き電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