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454A - 롤러식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롤러식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454A
KR20220134454A KR1020220034973A KR20220034973A KR20220134454A KR 20220134454 A KR20220134454 A KR 20220134454A KR 1020220034973 A KR1020220034973 A KR 1020220034973A KR 20220034973 A KR20220034973 A KR 20220034973A KR 20220134454 A KR20220134454 A KR 20220134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onveying
conveyed
supporting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 고바야시
겐이치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노리타케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노리타케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노리타케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34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8Drums, rollers, or wheels with self-contained driving mechanisms, e.g. motors and associat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Roller driving means having endless dr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4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the rollers comprising a number of roller forming elements mounted on a singl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30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27B9/2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 F27B9/2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 F27B9/2407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the conveyor being constituted by rollers (roller hearth furn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99Conveyor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Tunnel Furnaces (AREA)

Abstract

(과제) 금속성의 미분에 의한 피반송물의 오염이 억제되는 롤러식 반송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성분) 3 열 컨베이어 (20) 는, 복수 개의 제 1 회전축 (40) 의 반송로 (H) 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단부를 서로 동기시켜 회전 구동하는 제 1 회전 구동 장치 (60) 와, 복수 개의 제 2 회전축 (48) 의 반송로 (H) 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단부를 서로 동기시켜 회전 구동하는 제 2 회전 구동 장치 (62) 와, 복수 개의 제 3 회전축 (54) 의 반송로 (H) 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단부를 서로 동기시켜 회전 구동하는 제 3 회전 구동 장치 (64)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 1 회전축 (40), 제 2 회전축 (48) 및 제 3 회전축 (54) 이 반송로 (H) 로부터 돌출된 축단부에 있어서 구동되기 때문에, 금속성의 미분에 의한 피반송물의 오염이 바람직하게 억제된다.

Description

롤러식 반송 장치{ROLLER CONVEYOR DEVICE}
본 발명은 반송 롤러 상에 재치된 복수의 피반송물을 적어도 3 열의 종렬 (縱列) 상태로 각각 반송하는 3 열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롤러식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송 방향으로 소정의 중심 간격으로 병렬 배치되어 반송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반송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반송 롤러 상에 재치된 복수의 피반송물을 적어도 3 열의 종렬 상태로 각각 반송하는 3 열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롤러식 반송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그것이다.
상기 롤러식 반송 장치에서는, 피반송물을 3 열의 종렬 상태로 각각 반송하는 3 열 컨베이어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의 피반송물이 내측의 피반송물에 대해 외측을 향하여 반송되기 때문에, 가열로 내에 있어서의 반송 롤러의 휘어짐에서 기인하여 피반송물 외측의 피반송물이 내측을 향하여 기울어지기 쉬워져도, 외측의 피반송물이 내측의 피반송물에 접촉하는 것이 회피된다.
국제 공개 제2019/138887호
그런데, 특허문헌 1 에는, 3 열의 종렬 상태로 각각 반송하는 3 열 컨베이어의 반송 롤러를 구동하는 반송 롤러 구동 장치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는, 3 열 컨베이어의 복수의 반송 롤러 중 1 개의 축단에 고정된 스프로킷과, 반송 롤러의 하방에 배치된 구동 모터 및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감속기의 출력축에 고정된 스프로킷에 체인을 감아 걸음과 함께, 3 열 컨베이어의 복수의 반송 롤러의 각각의 축단에 고정된 스프로킷 사이에 체인을 감아 걸어, 구동 모터에 의해 반송 롤러를 동기시켜 회전 구동하는 반송 롤러 구동 장치를, 반송 롤러의 하측에 각각 배치하는 것이 상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반송 롤러의 구동 장치를 사용하면, 고도의 청정 환경하에서 피반송물을 반송하는 경우에는, 스프로킷 및 체인 등의 금속 상호의 걸어맞춤 혹은 마찰 부분으로부터 발생하는 금속성 미분 (微粉) 에 의해, 피반송물이 오염되어, 성능이 열화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금속성의 미분에 의한 피반송물의 오염이 억제되는 롤러식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복수의 반송 롤러 상에 형성되는 피반송물의 반송로로부터 돌출되도록 각각의 반송 롤러의 축단부를 배치하고, 그 축단부에 스프로킷을 고정하여 체인을 감아 걸으면, 금속성의 미분에 의한 피반송물의 오염이 바람직하게 억제되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a) 반송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반송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반송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반송 롤러 상에 재치된 복수의 피반송물을 적어도 3 열의 종렬 상태로 각각 반송하는 3 열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롤러식 반송 장치로서, 상기 3 열 컨베이어는, (b) 상기 반송로의 폭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회전 구동되는 복수 개의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1 회전축 중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복수 개 형성되어 3 열 이상의 상기 피반송물 중 중앙열을 구성하는 상기 피반송물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륜을 갖는 제 1 반송 롤러와, (c) 상기 반송로의 중앙부의 양측의 단부 (端部) 중 일방의 단부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제 1 회전축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 2 회전축과, 상기 제 2 회전축에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중앙열의 양측에 나열되는 끝열 중 일방의 끝열을 구성하는 상기 피반송물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륜을 갖는 제 2 반송 롤러와, (d) 상기 반송로의 중앙부의 양측의 단부 중 타방의 단부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제 1 회전축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 3 회전축과, 상기 제 3 회전축에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중앙열의 양측에 나열되는 끝열 중 타방의 끝열을 구성하는 상기 피반송물을 지지하는 제 3 지지륜을 갖는 제 3 반송 롤러와, (e) 복수 개의 상기 제 1 회전축의 상기 반송로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단부를 서로 동기시켜 회전 구동하는 제 1 회전 구동 장치와, (f) 복수 개의 상기 제 2 회전축의 상기 반송로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단부를 서로 동기시켜 회전 구동하는 제 2 회전 구동 장치와, (g) 복수 개의 상기 제 3 회전축의 상기 반송로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단부를 서로 동기시켜 회전 구동하는 제 3 회전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에 있다.
제 2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상기 제 1 반송 롤러의 상기 제 1 회전축에는, 상기 제 1 회전축의 직경보다 대직경으로서 상기 피반송물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상기 제 1 지지륜이, 서로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 2 반송 롤러의 상기 제 2 회전축에는, 상기 제 2 회전축의 직경보다 대직경으로서 상기 피반송물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상기 제 2 지지륜이, 서로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 3 반송 롤러의 상기 제 3 회전축에는, 상기 제 3 회전축의 직경보다 대직경으로서 상기 피반송물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상기 제 3 지지륜이, 서로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 1 지지륜은,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 2 지지륜, 및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 3 지지륜보다 대직경으로 되어 있는 것에 있다.
제 3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상기 반송로의 양 외측에는, 1 쌍의 롤러 지지벽이 위치 고정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 개의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의 축단부는, 상기 1 쌍의 롤러 지지벽 중 일방의 롤러 지지벽을 관통하여 상기 일방의 롤러 지지벽의 외측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제 3 회전축의 축단부는, 상기 1 쌍의 롤러 지지벽 중 타방의 롤러 지지벽을 관통하여 상기 타방의 롤러 지지벽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에 있다.
제 4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일방의 롤러 지지벽 및 상기 타방의 롤러 지지벽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 1 회전축의 중앙부는, 제 1 롤러식 지지 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 2 회전축은, 상기 일방의 롤러 지지벽에 의해 외팔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 2 회전축의 자유단부는, 제 2 롤러식 지지 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 3 회전축은, 상기 타방의 롤러 지지벽에 의해 외팔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 3 회전축의 자유단부는, 제 3 롤러식 지지 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에 있다.
제 5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상기 3 열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어 온 상기 피반송물을 상기 3 열 컨베이어보다 높은 속도로 상기 피반송물을 분리하는 분리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피반송물을 스토퍼에 부딪치게 하여 상기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피반송물 정렬 장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제 6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상기 피반송물은, 가열 처리 재료를 수용하는 세라믹 재료제의 박스형 갑발 (匣鉢) 이고, 상기 제 1 지지륜, 상기 제 2 지지륜 및 상기 제 3 지지륜은, 모두 세라믹 재료제인 것에 있다.
제 7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상기 반송로 상을 복렬 (複列) 상태로 반송되는 상기 피반송물 중 상기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피반송물의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차가 작아지도록 상기 제 1 회전 구동 장치, 제 2 회전 구동 장치 및 제 3 회전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에 있다.
제 1 발명의 롤러식 반송 장치에 의하면, 복수 개의 상기 제 1 회전축의 상기 반송로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단부를 서로 동기시켜 회전 구동하는 제 1 회전 구동 장치와, 복수 개의 상기 제 2 회전축의 상기 반송로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단부를 서로 동기시켜 회전 구동하는 제 2 회전 구동 장치와, 복수 개의 상기 제 3 회전축의 상기 반송로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단부를 서로 동기시켜 회전 구동하는 제 3 회전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 1 회전축, 제 2 회전축 및 제 3 회전축의 축단부가 반송로로부터 돌출되어 구동되기 때문에, 반송로보다 떨어진 위치에서 제 1 회전축, 제 2 회전축 및 제 3 회전축이 제 1 회전 구동 장치, 제 2 회전 구동 장치 및 제 3 회전 구동 장치에 의해 각각 회전 구동되어, 금속성의 미분에 의한 피반송물의 오염이 바람직하게 억제된다.
제 2 발명의 롤러식 반송 장치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 1 지지륜은,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 2 지지륜, 및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 3 지지륜보다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반송 롤러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물에 대해, 제 2 반송 롤러 및 제 3 반송 롤러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물이 멀어지는 경향이 되어, 제 1 반송 롤러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물과 제 2 반송 롤러 및 제 3 반송 롤러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물의 간섭이 회피된다.
제 3 발명의 롤러식 반송 장치에 의하면, 상기 반송로의 양 외측에는, 1 쌍의 롤러 지지벽이 위치 고정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 개의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의 축단부는, 상기 1 쌍의 롤러 지지벽 중 일방의 롤러 지지벽을 관통하여 상기 일방의 롤러 지지벽의 외측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제 3 회전축의 축단부는, 상기 1 쌍의 롤러 지지벽 중 타방의 롤러 지지벽을 관통하여 상기 타방의 롤러 지지벽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롤러 지지벽을 사이에 두고 반송로보다 떨어진 위치에서 제 1 회전축, 제 2 회전축 및 제 3 회전축이 제 1 회전 구동 장치, 제 2 회전 구동 장치 및 제 3 회전 구동 장치에 의해 각각 회전 구동되어, 금속성의 미분에 의한 피반송물의 오염이 바람직하게 억제된다.
제 4 발명의 롤러식 반송 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일방의 롤러 지지벽 및 상기 타방의 롤러 지지벽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 1 회전축의 중앙부는, 제 1 롤러식 지지 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 2 회전축은, 상기 일방의 롤러 지지벽에 의해 외팔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 2 회전축의 자유단부는, 제 2 롤러식 지지 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 3 회전축은, 상기 타방의 롤러 지지벽에 의해 외팔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 3 회전축의 자유단부는, 제 3 롤러식 지지 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각각 외팔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 2 회전축 및 제 3 회전축의 자유단부의 휘어짐, 및 제 2 회전축 및 제 3 회전축보다 긴 제 1 회전축의 중앙부의 휘어짐이 각각 억제되기 때문에, 휘어짐에서 유래하는 피반송물의 반송 방향의 어긋남이 억제된다.
제 5 발명의 롤러식 반송 장치에 의하면, 상기 3 열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어 온 상기 피반송물을 상기 3 열 컨베이어보다 높은 속도로 상기 피반송물을 분리하는 분리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피반송물을 스토퍼에 부딪치게 하여 상기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피반송물 정렬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반송되어 온 피반송물이, 예를 들어 치환실로의 수용에 앞서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된다.
제 6 발명의 롤러식 반송 장치에 의하면, 상기 피반송물은, 가열 처리 재료를 수용하는 세라믹 재료제의 박스형 갑발이고, 상기 제 1 지지륜, 상기 제 2 지지륜 및 상기 제 3 지지륜은, 모두 세라믹 재료제이다. 이러한 점에서, 갑발과 지지륜의 접촉에 의해, 무기질의 미분밖에 발생하지 않아, 금속성의 미분에 의해 피반송물 및 피반송물과 함께 반송되는 가열 처리 재료의 오염이 회피된다.
제 7 발명의 롤러식 반송 장치에 의하면, 상기 반송로 상을 복렬 상태로 반송되는 상기 피반송물 중 상기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피반송물의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차가 작아지도록 상기 제 1 회전 구동 장치, 제 2 회전 구동 장치 및 제 3 회전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점에서, 반송 방향의 상류측 예를 들어 가열로 내에 있어서의 반송 롤러의 휘어짐에서 기인하여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피반송물이 사행 (蛇行) 해도, 제 1 반송 롤러 상에서 반송되는 피반송물과 제 2 반송 롤러 상에서 반송되는 피반송물과 제 3 반송 롤러 상에서 반송되는 피반송물이 반송 방향의 위치차가 축소되어,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인접하는 피반송물이 횡방향에 있어서 정렬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롤러식 반송 장치가 가열로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롤러식 반송 장치를 덮는 후드의 천장벽을 제거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Ⅲ-Ⅲ 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Ⅳ-Ⅳ 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의 Ⅴ-Ⅴ 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의 반송 방향을 향하여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면은 발명과 관련된 주요부를 설명하는 것으로, 치수 및 형상 등은 반드시 정확하게 그려져 있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피가열물 반송 장치 (이하, 반송 장치) (8) 가 가열로 (12) 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반송 장치 (8) 는, 롤러식 반송 장치 (10) 와 이송 컨베이어 (36) 를 구비하고 있다. 가열로 (12) 는, 소위 롤러 허스 킬른형의 열처리로이다. 가열로 (12) 는, 내열 벽돌, 세라믹 보드 등의 단열재 및 그 단열재를 포피 (包被) 하는 케이싱에 의해 형성된 터널상의 노체 (爐體, 14) 와, 피반송물 (K) 을 반송하는 복수 개의 노체 내 반송 롤러 (16) 와, 피반송물 (K) 을 가열하도록 노체 (14) 내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히터와, 복수 개의 노체 내 반송 롤러 (16) 를 일정한 회전 속도로 서로 동기하여 회전 구동하는 도시되지 않은 회전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피가열물인 피반송물 (K) 은, 알루미나, SiC, 멀라이트, 코디라이트, 스피넬 코디라이트, 마그네시아, 지르코니아 등의 세라믹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직사각형의 세라믹판, 가열 처리 재료가 수용된 박스형의 갑발 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박스형의 갑발이 도면에 나타나 있다. 갑발에는, 예를 들어 유전체, 유전체와 전극이 적층된 칩 콘덴서, 리튬 이온 전지의 전극 재료 등의 가열 처리 재료가 수용된다.
복수 개의 노체 내 반송 롤러 (16) 는, 피반송물 (K) 을 예를 들어 대기 중 혹은 불활성 가스 중에서 연속적으로 열처리하기 위해, 노체 (14) 내를 수평 방향으로 또한 노체 (14) 의 길이 방향 즉 반송 방향 (A1) 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중심 간격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서는, 노체 (14) 의 출구측 단부와, 그 출구측 단부에 배치된 1 개의 노체 내 반송 롤러 (16) 가 나타나 있다. 가열로 (12) 에서 열처리된 복렬의 피반송물 (K) 은, 노체 (14) 의 출구측 단부로부터 노체 (14) 의 출구에 배치된 롤러식 반송 장치 (10) 로 일정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반출되도록 되어 있다.
롤러식 반송 장치 (10) 는, 후드 (30) 및 치환실 (32) 을 구비하고 있다. 또, 롤러식 반송 장치 (10) 는, 3 열 컨베이어 (20) 와 분리 컨베이어 (22) 와 인출 컨베이어 (23) 와 피반송물 정렬 장치 (28) 와 송출 컨베이어 (34) 를 노체 (14) 의 길이 방향으로 순서대로 구비하고 있다. 후드 (30) 는, 피반송물 (K) 의 가스 분위기 예를 들어 대기 분위기, 질소 분위기, 환원 분위기 등을 유지하거나 혹은 피반송물 (K) 을 보온하기 위해, 노속 (爐速) 컨베이어로서 기능하는 3 열 컨베이어 (20), 분리 컨베이어 (22), 인출 컨베이어 (23), 및 피반송물 정렬 장치 (28) 를 기밀하게 덮는다. 치환실 (32) 은, 피반송물 (K) 의 반송 방향 (A1) 으로 후드 (30) 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도 2 는, 롤러식 반송 장치 (10) 를 덮는 후드 (30) 의 천장벽 (30d) 을 제거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3 열 컨베이어 (20) 는, 복렬의 피반송물 (K) 을 적어도 3 열 (본 실시예에서는 6 열) 의 종렬 상태로 기본적으로는 노체 (14) 내와 동일한 속도 (노속) 로 각각 반송 방향 (A1) 으로 반송한다. 분리 컨베이어 (22) 는, 피반송물 (K) 이 소정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3 열 컨베이어 (20) 와 동일한 속도로 반송하지만, 도달하면 3 열 컨베이어 (20) 보다 고속으로 복수의 피반송물 (K) 을 반송함으로써, 복수의 피반송물 (K) 을 횡 일렬로 분리한다. 인출 컨베이어 (23) 는, 분리 컨베이어 (22) 에 의해 분리된 피반송물 (K) 을 노속보다 고속으로 반송하여, 치환실 (32) 내로 보낸다.
피반송물 정렬 장치 (28) 는, 치환실 (32) 내로 보내지기에 앞서, 횡 일렬로 분리된 피반송물 (K) 을 스토퍼 (24) 에 부딪치게 하고 또한 반송 방향 (A1)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협지 (挾持) 하여 피반송물 (K) 을 서로 밀착시키는 트루잉 업 장치 (truing-up device, 26) 를 사용하여 피반송물 (K) 의 반송 방향 (A1) 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횡 일렬로 정렬시킨다. 송출 컨베이어 (34) 는, 치환실 (32) 내의 횡 일렬로 정렬된 피반송물 (K) 을 치환실 (32) 로부터 노속보다 고속으로 내보낸다.
이송 컨베이어 (36) 는, 송출 컨베이어 (34) 로부터의 횡 일렬의 피반송물 (K) 을 받아, 반송 방향 (A1) 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렬 (단열 (單列)) 로 도시되지 않은 반전 장치 등으로 이송한다.
도 3, 도 4, 도 5,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 열 컨베이어 (20), 분리 컨베이어 (22), 인출 컨베이어 (23), 피반송물 정렬 장치 (28), 후드 (30), 치환실 (32), 및 송출 컨베이어 (34) 는, 기계틀 (프레임) (38) 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있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드 (30) 는, 1 쌍의 측벽 (30a 및 30b), 바닥벽 (30c), 천장벽 (30d) 을 구비하여 터널상을 이루고, 노체 (14) 의 출구에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치환실 (32) 은, 도 1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측벽 (32a 및 32b), 바닥벽 (32c), 천장벽 (32d) 을 구비하여 터널상을 이루고 있다. 치환실 (32) 은, 추가로, 노체 (14) 측의 개구를 개폐하는 입구 셔터 (32e) 와, 노체 (14) 와는 반대측의 개구를 개폐하는 출구 셔터 (32f) 를 구비하고 있다. 1 쌍의 측벽 (30a 및 30b) 사이 및 1 쌍의 측벽 (32a 및 32b) 사이는, 피반송물 (K) 의 반송로 (H) 를 구성하고 있다.
도 2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 열 컨베이어 (20) 는, 노체 내 반송 롤러 (16) 와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1 쌍의 상류측 노속 반송 롤러 (18a) 및 하류측 반송 롤러 (18b) 와, 복수 개의 제 1 반송 롤러 (44), 및 제 1 반송 롤러 (44) 를 회전 구동하는 제 1 회전 구동 장치 (60) 와, 제 2 반송 롤러 (52), 및 제 2 반송 롤러 (52) 를 회전 구동하는 제 2 회전 구동 장치 (62) 와, 제 3 반송 롤러 (58), 및 제 3 반송 롤러 (58) 를 회전 구동하는 제 3 회전 구동 장치 (64) 를, 상류측 노속 반송 롤러 (18a) 와 하류측 반송 롤러 (18b) 사이에 구비하고 있다. 상류측 노속 반송 롤러 (18a) 및 하류측 반송 롤러 (18b) 는, 노체 내 반송 롤러 (16) 와 마찬가지로, 회전축과, 회전축 상에 형성된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12 개) 의 지지륜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하류측 반송 롤러 (18b) 의 지지륜은 지지축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자유 회전륜 (프리 롤러) 이다.
도 2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반송 롤러 (44) 는, 반송로 (H) 의 폭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회전 구동되는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8 개) 의 제 1 회전축 (40) 과, 제 1 회전축 (40) 중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복수 개 형성되어 3 열 이상의 피반송물 (K) 중 중앙열을 구성하는 피반송물 (K) 을 지지하는 복수 (본 실시예에서는 6 개) 의 제 1 지지륜 (42) 을 갖는다. 제 1 지지륜 (42) 은, 제 1 회전축 (40) 보다 대직경으로서, 알루미나, SiC, 멀라이트, 코디라이트, 스피넬 코디라이트, 마그네시아, 지르코니아 등의 세라믹 재료로 구성되어 원환상으로 되어 있다.
후드 (30) 의 1 쌍의 측벽 (30a 및 30b) 의 외측에는, 스페이서 (45) 를 개재하여 1 쌍의 측판 (46a, 46b) 이 각각 측벽 (30a 및 30b) 과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 1 회전축 (40) 의 양 축단부 (40a, 40b) 는, 시일 부착 베어링 (SB) 을 개재하여 양 측벽 (30a 및 30b) 에 의해 양팔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제 1 회전축 (40) 의 일방의 축단부 (40a) 는, 일방의 측판 (46a) 에 의해서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1 회전축 (40) 은, 양 측벽 (30a 및 30b) 사이의 거리보다 긴 전체 길이를 갖고, 양팔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1 쌍의 측벽 (30a 및 30b) 과 1 쌍의 측판 (46a, 46b) 은, 반송 롤러 예를 들어 제 1 반송 롤러 (44), 제 2 반송 롤러 (52), 제 3 반송 롤러 (58) 등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벽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반송 롤러 (52) 는, 반송로 (H) 의 중앙부의 양측의 단부 중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 방향 (A1) 을 향하여 우측인 일방의 단부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제 1 회전축 (40)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7 개) 의 제 2 회전축 (48) 과, 제 2 회전축 (48) 에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8 개) 형성되어 2 열의 중앙열의 피반송물 (K) 의 양측에 나열되는 각 2 열의 끝열 중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 방향 (A1) 을 향하여 우측인 일방의 끝열을 구성하는 피반송물 (K) 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륜 (50) 을 갖는다. 제 2 지지륜 (50) 은, 제 2 회전축 (48) 보다 대직경으로서, 알루미나, SiC, 멀라이트, 코디라이트, 스피넬 코디라이트, 마그네시아, 지르코니아 등의 세라믹 재료로 구성되어 원환상으로 되어 있다.
제 2 회전축 (48) 의 일방의 축단부 (48a) 는, 측벽 (30a) 및 측판 (46a) 에 의해 시일 부착 베어링 (SB) 및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 2 회전축 (48) 의 타방의 축단부 (48b) 는 자유단이다. 제 2 회전축 (48) 은, 제 1 회전축 (40) 의 절반보다 짧은 전체 길이를 갖고, 일방의 측벽 (30a) 및 측판 (46a) 에 의해 외팔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반송 롤러 (58) 는, 반송로 (H) 의 중앙부의 양측의 단부 중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 방향 (A1) 을 향하여 좌측인 타방의 단부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제 1 회전축 (40) 사이에 또한 제 2 회전축 (48) 과 동심에 배치된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7 개) 의 제 3 회전축 (54) 과, 제 3 회전축 (54) 에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8 개) 형성되어 중앙열의 양측에 나열되는 각 2 열 끝열 중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 방향 (A1) 을 향하여 좌측인 타방의 끝열을 구성하는 피반송물 (K) 을 지지하는 제 3 지지륜 (56) 을 갖는다. 제 3 지지륜 (56) 은, 제 3 회전축 (54) 보다 대직경으로서, 알루미나, SiC, 멀라이트, 코디라이트, 스피넬 코디라이트, 마그네시아, 지르코니아 등의 세라믹 재료로 구성되어 원환상으로 되어 있다.
제 3 회전축 (54) 의 일방의 축단부 (54a) 는 자유단이고, 제 3 회전축 (54) 의 타방의 축단부 (54b) 는, 타방의 측벽 (30b) 및 측판 (46b) 에 의해 시일 부착 베어링 (SB) 및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3 회전축 (54) 은, 제 1 회전축 (40) 의 절반보다 짧은 전체 길이를 갖고, 타방의 측벽 (30b) 및 측판 (46b) 에 의해 외팔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1 회전축 (40) 의 제 1 지지륜 (42), 제 2 회전축 (48) 의 제 2 지지륜 (50), 및 제 3 회전축 (54) 의 제 3 지지륜 (56) 은, 피반송물 (K) 과 마찬가지로, 세라믹 재료제인 점에서, 피반송물 (K) 과의 접촉에 의해 미량의 세라믹 분말은 발생하지만, 금속 분말의 발생이 없기 때문에, 피반송물 (K) 에 수용되는 유전체, 유전체와 전극이 적층된 칩 콘덴서, 리튬 이온 전지의 전극 재료 등의 가열 처리 재료의 금속 오염이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회전 구동 장치 (60) 는, 복수 개의 제 1 회전축 (40) 의 반송로 (H) 의 일방의 단 즉 일방의 측벽 (30a) 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단부 (40a) 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복수 개의 제 1 반송 롤러 (44) 를 서로 동기시켜 회전 구동한다. 제 1 회전 구동 장치 (60) 는, 제 1 감속기 장착 전동기 (60b) 와, 축단부 (40a) 에 각각 끼워 장착된 서로 동 직경의 스프로킷 (60c) 과, 이들 스프로킷 (60c) 에 감겨 걸린 동기 체인 (60d) 과, 축단부 (40a) 의 하나 및 제 1 감속기 장착 전동기 (60b) 의 출력축에 각각 끼워 장착된 1 쌍의 스프로킷 (60e) 과, 1 쌍의 스프로킷 (60e) 에 감겨 걸린 구동 체인 (60f) 을 구비하고, 복수 개의 제 1 회전축 (40) 을 동기 회전 구동한다.
도 2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회전 구동 장치 (62) 는, 복수 개의 제 2 회전축 (48) 의 반송로 (H) 의 일방의 단 즉 일방의 측벽 (30a) 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단부 (48a) 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복수 개의 제 2 반송 롤러 (52) 를 서로 동기시켜 회전 구동한다. 제 2 회전 구동 장치 (62) 는, 제 2 감속기 장착 전동기 (62b) 와, 축단부 (48a) 에 각각 끼워 장착된 서로 동 직경의 스프로킷 (62c) 과, 이들 스프로킷 (62c) 에 감겨 걸린 동기 체인 (62d) 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2 회전 구동 장치 (62) 는, 하류측 반송 롤러 (18b) 의 축단부 및 제 2 감속기 장착 전동기 (62b) 의 출력축에 각각 끼워 장착된 1 쌍의 스프로킷 (62e) 과, 1 쌍의 스프로킷 (62e) 에 감겨 걸린 구동 체인 (62f) 과, 하류측 반송 롤러 (18b) 의 축단부와 축단부 (48a) 의 하나에 각각 끼워 장착된 1 쌍의 스프로킷 (62g) 과, 이들 스프로킷 (62g) 에 감겨 걸린 구동 체인 (62h) 을 구비하고, 복수 개의 제 2 회전축 (48) 을 동기 회전 구동한다.
도 2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회전 구동 장치 (64) 는, 복수 개의 제 3 회전축 (54) 의 반송로 (H) 의 타방의 단 즉 타방의 측벽 (30b) 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단부 (54b) 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제 3 반송 롤러 (58) 를 서로 동기시켜 회전 구동한다. 도 6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3 회전 구동 장치 (64) 는, 제 3 감속기 장착 전동기 (64b) 와, 축단부 (54b) 에 각각 끼워 장착된 서로 동 직경의 스프로킷 (64c) 과, 이들 스프로킷 (64c) 에 감겨 걸린 동기 체인 (64d) 과, 축단부 (54b) 의 하나 및 제 3 감속기 장착 전동기 (64b) 의 출력축에 각각 끼워 장착된 1 쌍의 스프로킷 (64e) 과, 1 쌍의 스프로킷 (64e) 에 감겨 걸린 구동 체인 (64f) 을 구비하고, 복수 개의 제 3 회전축 (54) 을 동기 회전 구동한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회전 구동 장치 (60), 제 2 회전 구동 장치 (62) 및 제 3 회전 구동 장치 (64) 는, 체인 및 스프로킷을 사용하는 점에서, 피가열 재료의 금속 오염의 원인이 되는 미량의 금속 분말 (입자) 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피가열 재료의 금속 오염을 억제하기 위해, 제 1 회전 구동 장치 (60) 는, 제 1 회전축 (40) 의 반송로 (H) 의 일방의 단 즉 일방의 측벽 (30a) 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단부 (40a) 를 회전 구동하는 것이고, 제 2 회전 구동 장치 (62) 는, 복수 개의 제 2 회전축 (48) 의 반송로 (H) 의 일방의 단 즉 일방의 측벽 (30a) 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단부 (48a) 를 회전 구동하는 것이고, 제 3 회전 구동 장치 (64) 는, 복수 개의 제 3 회전축 (54) 의 반송로 (H) 의 타방의 단 즉 타방의 측벽 (30b) 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단부 (54b) 를 회전 구동하는 것이다. 또, 제 1 회전 구동 장치 (60), 제 2 회전 구동 장치 (62) 및 제 3 회전 구동 장치 (64) 는, 반송로 (H) 및 측벽 (30a 혹은 30b) 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회전 구동 장치 (60), 제 2 회전 구동 장치 (62) 및 제 3 회전 구동 장치 (64) 는, 고온의 후드 (30) 내로부터 떨어져 위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구성이 얻어지고, 또 냉각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불필요해진다.
도 4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회전축 (40) 은, 양 측벽 (30a 및 30b) 에 의해 양팔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제 1 회전축 (40) 의 중앙부는,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3 개) 의 제 1 롤러식 지지 장치 (65)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일방의 측벽 (30a) 과 측판 (46a) 에 의해 외팔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 2 회전축 (48) 의 축단부 (자유단부) (48b) 는, 복수 (본 실시예에서는 2 개) 의 제 2 롤러식 지지 장치 (66)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타방의 측벽 (30b) 과 측판 (46b) 에 의해 각각 외팔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 3 회전축 (54) 의 축단부 (자유단부) (54a) 는, 복수 (본 실시예에서는 2 개) 의 제 3 롤러식 지지 장치 (67)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회전축 (40) 의 중앙부의 휘어짐, 제 2 회전축 (48) 의 축단부 (자유단부) (48b) 의 휘어짐, 및 제 3 회전축 (54) 의 축단부 (자유단부) (54a) 의 휘어짐이 각각 억제되어, 휘어짐에서 유래하는 피반송물 (K) 의 반송 방향 (A1) 의 어긋남이 억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롤러식 지지 장치 (65) 는, 기대 (65a) 와, 기대 (65a) 로부터 세워 형성되고,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1 쌍의 롤러 (65b) 와, 1 쌍의 롤러 (65b) 의 회전 중심선이 평행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 브래킷 (65c) 을 갖고, 1 쌍의 롤러 (65b) 에 맞닿는 제 1 회전축 (40)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롤러식 지지 장치 (66) 는, 기대 (66a) 와, 1 쌍의 롤러 (66b) 와, 롤러 지지 브래킷 (66c) 을 갖고 제 2 회전축 (48)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 3 롤러식 지지 장치 (67) 는, 기대 (67a) 와 1 쌍의 롤러 (67b) 와, 롤러 지지 브래킷 (67c) 을 갖고, 제 3 회전축 (54)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1 및 도 6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 (68) 는, 예를 들어 전자 제어 장치로서, 반송로 (H) 상을 복렬 상태로 반송되는 6 열의 피반송물 (K) 을, 기본적으로는, 노체 (14) 내에 있어서의 반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반송하도록, 제 1 감속기 장착 전동기 (60b), 제 2 감속기 장착 전동기 (62b), 및 제 3 감속기 장착 전동기 (64b) 를 제어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 (68) 는, 반송로 (H) 상을 복렬 상태로 반송되는 6 열의 피반송물 (K) 중 반송 방향 (A1) 에 직교하는 방향에 인접하는 피반송물 (K), 즉, 3 열 컨베이어 (20) 의 제 1 반송 롤러 (44) 에 의해 반송되는 2 열의 피반송물 (K) 과, 3 열 컨베이어 (20) 의 제 2 반송 롤러 (52) 에 의해 반송되는 2 열의 피반송물 (K) 과, 3 열 컨베이어 (20) 의 제 3 반송 롤러 (58) 에 의해 반송되는 2 열의 피반송물 (K) 을, 반송 방향 (A1) 의 서로의 위치 어긋남이 작아지도록, 즉 반송 방향 (A1) 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동기시키도록, 제 1 반송 롤러 (44) 를 구동하는 제 1 감속기 장착 전동기 (60b), 제 2 반송 롤러 (52) 를 회전 구동하는 제 2 감속기 장착 전동기 (62b), 및 제 3 반송 롤러 (58) 를 구동하는 제 3 감속기 장착 전동기 (64b) 의 회전수를 보정 제어한다.
제어 장치 (68) 는, 예를 들어, 3 열 컨베이어 (20) 의 시단부 (始端部) 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3 개의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제 1 반송 롤러 (44) 에 의해 반송되는 2 열의 피반송물 (K) 의 위치와, 3 열 컨베이어 (20) 의 제 2 반송 롤러 (52) 에 의해 반송되는 2 열의 피반송물 (K) 의 위치와, 3 열 컨베이어 (20) 의 제 3 반송 롤러 (58) 에 의해 반송되는 2 열의 피반송물 (K) 의 위치의 반송 방향 (A1) 의 서로의 어긋남이 축소되도록, 보정 제어한다.
도 2 및 도 6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분리 컨베이어 (22) 는, 3 열 컨베이어 (20) 에 이어 형성되어 있다. 분리 컨베이어 (22) 는,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4 개) 의 분리 반송 롤러 (70) 와, 제 1 회전 구동 장치 (60) 와 마찬가지로 구성된 분리 회전 구동 장치 (72) 를 갖는다. 복수 개의 분리 반송 롤러 (70) 는, 상류측 노속 반송 롤러 (18a) 와 마찬가지로 시일 부착 베어링 (SB) 을 개재하여 양 측벽 (30a 및 30b) 에 의해 양팔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 (70a) 과, 회전축 (70a) 상에 고정 설치된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22 개) 의 지지륜 (70b) 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분리 반송 롤러 (70) 는, 제어 장치 (68) 에 의해 제어되고, 분리 회전 구동 장치 (72) 에 의해 동기하여 회전 구동됨으로써, 3 열 컨베이어 (20) 에 의해 6 열의 종렬 상태로 반송되어 온 피반송물 (K) 이 소정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노속으로 반송하지만, 피반송물 (K) 이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3 열 컨베이어 (20) 보다 높은 속도로 반송함으로써, 피반송물 (K) 을 횡 일렬마다 분리한다.
도 2 및 도 5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인출 컨베이어 (23) 는, 분리 컨베이어 (22) 에 이어 형성되어 있다. 인출 컨베이어 (23) 는,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6 개) 의 인출 반송 롤러 (74) 와, 횡 일렬로 분리된 피반송물 (K) 을 노속보다 높은 속도로 반송시키도록 인출 반송 롤러 (74) 를 회전 구동하는 인출 회전 구동 장치 (76) 를 가지고 있다. 복수 개의 인출 반송 롤러 (74) 는, 상류측 노속 반송 롤러 (18a) 와 마찬가지로 시일 부착 베어링 (SB) 을 개재하여 양 측벽 (30a 및 30b) 에 의해 양팔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 (74a) 과, 회전축 상에 고정 설치된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22 개) 의 지지륜 (74b) 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인출 컨베이어 (23) 는, 제어 장치 (68) 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노속보다 높은 속도로 반송 도중에 형성된 과정에서 피반송물 정렬 장치 (28) 에 있어서 횡 일렬로 정렬된 피반송물 (K) 을 치환실 (32) 로 보낸다.
도 2 및 도 5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피반송물 정렬 장치 (28) 는, 스토퍼 (24) 와 트루잉 업 장치 (26) 를 가지고 있다. 스토퍼 (24) 는, 전동 실린더나 공기 압력 실린더 등의 상하 액추에이터 (78) 에 의해 상위치 및 하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위치에 있어서 피반송물 (K) 의 반송 방향 (A1) 의 이동을 저지한다. 트루잉 업 장치 (26) 는, 피반송물 상하 장치 (84) 와, 측벽 (30a 및 30b) 에 고정된 1 쌍의 수평 실린더 (86) 와, 1 쌍의 협지구 (88) 를 구비하고 있다. 피반송물 상하 장치 (84) 는, 전동 실린더나 공기 압력 실린더 등의 상하 액추에이터 (80) 에 의해 상위치 및 하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반송 방향 (A1) 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롤러 (82) 를 갖는다. 1 쌍의 협지구 (88) 는, 1 쌍의 수평 실린더 (86) 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피반송물 상하 장치 (84) 에 의해 지지된 피반송물 (K) 을 반송 방향 (A1) 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협지한다. 피반송물 정렬 장치 (28) 는, 제어 장치 (68) 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스토퍼 (24) 에 부딪치게 되고 또한 반송로 (H) 로부터 들어올려진 횡 일렬의 피반송물 (K) 을, 횡방향에 밀접한 상태로 횡 일렬로 정렬시킨다.
도 2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송출 컨베이어 (34) 는, 인출 컨베이어 (23) 에 이어 형성되어 있다. 송출 컨베이어 (34) 는,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8 개) 의 송출 반송 롤러 (94) 와, 횡 일렬로 분리된 피반송물 (K) 을 노속보다 높은 속도로 반송시키도록 송출 반송 롤러 (94) 를 회전 구동하는 도시되지 않은 송출 회전 구동 장치를 갖는다. 복수 개의 송출 반송 롤러 (94) 는, 상류측 노속 반송 롤러 (18a) 와 마찬가지로 시일 부착 베어링 (SB) 을 개재하여 양 측벽 (32a 및 32b), 및 도시되지 않은 지지벽에 의해 양팔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 (90) 과, 회전축 (90) 상에 고정 설치된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22 개) 의 지지륜 (92) 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송출 컨베이어 (34) 는, 제어 장치 (68) 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노속보다 높은 속도로 반송 도중에 형성된 과정에서 피반송물 정렬 장치 (28) 에 있어서 횡 일렬로 정렬된 피반송물 (K) 을, 노 내와 동일한 분위기 가스에서 대기로 치환된 치환실 (32) 내로부터 이송 컨베이어 (36) 상으로 내보낸다.
이송 컨베이어 (36) 는, 반송 방향 (A1) 에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된 컨베이어 레일 (36a) 과, 컨베이어 레일 (36a) 에 의해 지지된 컨베이어 체인 (36b) 과, 도시되지 않은 체인 구동 장치를 갖는 체인 컨베이어이다. 이송 컨베이어 (36) 는, 제어 장치 (68) 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송출 컨베이어 (34) 에 의해 횡 일렬로 정렬된 피반송물 (K) 이 도착하면, 이들 피반송물 (K) 을 반송 방향 (A1) 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시되지 않은 반전 장치 등까지 단열로 이송한다. 반전 장치에 있어서는, 이송 컨베이어 (36) 에 의해 일렬로 반송된 피반송물 (K) 을 한 개씩 순차적으로 반전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구성된 롤러식 반송 장치 (10) 의 3 열 컨베이어에서는, 노체 (14) 의 출구로부터, 복수 (본 실시예에서는 각 2 열의 3 열 합계로 6 열) 로 종렬된 피반송물 (K) 이 소정의 노속으로 순차적으로 반출되면, 제 1 열인 중앙의 2 열의 피반송물 (K) 이 3 열 컨베이어 (20) 의 제 1 반송 롤러 (44) 에 의해 반송되고, 반송 방향 (A1) 을 향하여 우측의 2 열인 제 2 열의 피반송물 (K) 이 3 열 컨베이어 (20) 의 제 2 반송 롤러 (52) 에 의해 반송되고, 반송 방향 (A1) 을 향하여 우측의 2 열인 제 3 열의 피반송물 (K) 이 3 열 컨베이어 (20) 의 제 3 반송 롤러 (58) 에 의해 반송된다.
가열로 (12) 의 노체 내 반송 롤러 (16) 는, 특히 고온 가열 영역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중앙부가 하방으로 만곡되도록 휘어지는 경향이 있고, 노체 (14) 로부터 반출되는 피반송물 (K) 은, 반송 방향 (A1) 에 직교하는 횡방향에 있어서, 양 단부와 비교하여 중앙부일수록 반송 방향 (A1) 에 위치하는 경향이 된다. 이 경향이 현저하면, 피반송물 정렬 장치 (28) 의 정렬 능력을 넘어서, 치환실 (32) 내에 수용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제어 장치 (68) 는, 3 열 컨베이어 (20) 의 상류부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3 개의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제 1 반송 롤러 (44) 에 의해 반송되는 2 열의 피반송물 (K) 과, 3 열 컨베이어 (20) 의 제 2 반송 롤러 (52) 에 의해 반송되는 2 열의 피반송물 (K) 과, 3 열 컨베이어 (20) 의 제 3 반송 롤러 (58) 에 의해 반송되는 2 열의 피반송물 (K) 의 반송 방향 (A1) 의 서로의 어긋남이 축소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3 열 컨베이어 (20) 의 단계에 있어서, 피반송물 (K) 의 반송 방향 (A1) 의 서로의 어긋남이 작아진다.
또, 3 열 컨베이어 (20) 의 단계에 있어서, 제 1 반송 롤러 (44) 의 제 1 지지륜 (42) 의 직경은, 제 2 반송 롤러 (52) 의 제 2 지지륜 (50) 의 직경 및 제 3 반송 롤러 (58) 의 제 3 지지륜 (56) 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반송로 (H) 상에 있어서, 제 1 반송 롤러 (44) 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물 (K) 에 대해, 제 2 반송 롤러 (52) 및 제 3 반송 롤러 (58) 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물 (K) 이 멀어지는 경향이 되어, 제 1 반송 롤러 (44) 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물 (K) 과 제 2 반송 롤러 (52) 및 제 3 반송 롤러 (58) 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물 (K) 의 간섭이 회피된다.
3 열 컨베이어 (20) 에 의해 기본적으로는 노속으로 반송된 횡 일렬의 피반송물 (K) 은, 반송 방향 (A1) 에 있어서 비교적 접근되어 있지만, 3 열 컨베이어 (20) 에 이어지는 분리 컨베이어 (22) 에 의해 피반송물 (K) 의 도달마다 노속보다 높은 속도로 반송됨으로써, 반송 방향 (A1) 에 있어서 분리됨으로써, 반송 방향 (A1) 의 상호 간격이 커진다. 이와 같이 반송 방향 (A1) 의 상호 간격이 커진 피반송물 (K) 은, 노속보다 높은 속도로 반송되는 과정에서, 피반송물 정렬 장치 (28) 의 스토퍼 (24) 및 트루잉 업 장치 (26) 에 의해, 횡방향으로 서로 밀착된 상태로 반송 방향으로 양호한 정밀도로 횡 일렬이 된다. 양호한 정밀도로 횡 일렬이 된 피반송물 (K) 은, 인출 컨베이어 (23) 에 의해 치환실 (32) 내로 보내진다. 그리고, 치환실 (32) 내가 대기로 치환되면, 치환실 (32) 내의 횡 일렬의 피반송물 (K) 은, 송출 컨베이어 (34) 에 의해 이송 컨베이어 (36) 의 단부로 내보내진다.
피반송물 정렬 장치 (28) 에 의한 횡 일렬의 정렬 및 치환실 (32) 내의 수용을 전제로 하면, 분리 컨베이어 (22) 에 의해 피반송물 (K) 의 반송 방향 (A1) 의 상호 간격이 커지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분리 컨베이어 (22) 는, 그 존재로 인하여, 가열로 (12) 내의 피반송물 (K) 의 반송 방향의 간격을 좁힐 수 있어, 가열로 (12) 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하는 것에 기여하고 있다.
치환실 (32) 의 용적은, 가스 분위기를 형성하는 가스의 소비 효율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횡 일렬의 피반송물 (K) 을 수용 가능한 범위에서 가급적 작게 설정되어 있다. 전술한, 피반송물 정렬 장치 (28) 의 스토퍼 (24) 및 트루잉 업 장치 (26) 에 의해, 횡방향으로 서로 밀착된 상태로 반송 방향으로 양호한 정밀도로 횡 일렬로 하는 것이, 이 치환실 (32) 의 용적을 가급적 작게 하는 것에 기여하고 있다.
또, 후드 (30) 는, 그 측벽 (30a, 30b) 을 관통하는 제 1 회전축 (40), 제 2 회전축 (48), 제 3 회전축 (54), 회전축 (70a) 을 수용하기 위해 시일 부착 베어링 (SB) 이 사용됨과 함께, 노체 (14) 의 출구 및 치환실 (32) 의 입구에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드 (30) 는, 치환실 (32) 에 들어갈 때까지는, 가열로 (12) 로부터 반출된 피반송물 (K) 을 가열로 (12) 내와 동일한 가스 분위기하로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후드 (30) 내도 가열로 (12) 내와 동일한 가스 분위기로 함으로써, 피반송물 (K) 에 수용된 가열 처리 재료에 대한 가열로 (12) 의 가스 분위기하의 가열 처리 용량을 높일 수 있다.
또, 후드 (30) 는, 가열로 (12) 로부터 반출된 피반송물 (K) 의 온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피반송물 (K) 을 비교적 고온 상태인 채로 거기에 수용된 가열 처리 재료를 꺼내, 그 고온 상태의 피반송물 (K) 에 새로운 가열 처리 재료를 충전하여 가열로 (12) 의 입구로 반입할 수 있기 때문에, 비열 및 열용량이 큰 피반송물 (K) 이 저온으로 냉각되지 않고, 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치환실 (32) 의 입구 셔터 (32e) 는, 후드 (30) 의 반송 방향 (A1) 의 하류측의 셔터에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롤러식 반송 장치 (10) 에 의하면, 3 열 컨베이어 (20) 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제 1 회전축 (40) 의 반송로 (H) 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단부 (40a) 를 서로 동기시켜 회전 구동하는 제 1 회전 구동 장치 (60) 와, 복수 개의 제 2 회전축 (48) 의 반송로 (H) 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단부 (48a) 를 서로 동기시켜 회전 구동하는 제 2 회전 구동 장치 (62) 와, 복수 개의 제 3 회전축 (54) 의 반송로 (H) 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단부 (54b) 를 서로 동기시켜 회전 구동하는 제 3 회전 구동 장치 (64)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 1 회전축 (40), 제 2 회전축 (48) 및 제 3 회전축 (54) 의 반송로 (H) 로부터 돌출된 축단부 (48a, 54b) 에 있어서 구동되기 때문에, 반송로 (H) 보다 떨어진 위치에서 제 1 회전축 (40), 제 2 회전축 (48) 및 제 3 회전축 (54) 이 제 1 회전 구동 장치 (60), 제 2 회전 구동 장치 (62) 및 제 3 회전 구동 장치 (64) 에 의해 각각 회전 구동되어, 금속성의 미분에 의한 피반송물 (K) 과 함께 반송되는 가열 처리 재료의 오염이 바람직하게 억제된다.
본 실시예의 롤러식 반송 장치 (10) 에 의하면, 제 3 반송 롤러 (58) 의 제 3 회전축 (54) 에는, 제 3 회전축 (54) 의 직경보다 대직경으로서 피반송물 (K) 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 3 지지륜 (56) 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제 1 지지륜 (42) 은, 제 2 반송 롤러 (52) 의 복수 개의 제 2 지지륜 (50), 및 제 3 반송 롤러 (58) 의 복수 개의 제 3 지지륜 (56) 보다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반송 롤러 (44) 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물 (K) 에 대해, 제 2 반송 롤러 (52) 및 제 3 반송 롤러 (58) 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물 (K) 이 멀어지는 경향이 되어, 제 1 반송 롤러 (44) 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물 (K) 과 제 2 반송 롤러 (52) 및 제 3 반송 롤러 (58) 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물 (K) 의 간섭이 회피된다.
본 실시예의 롤러식 반송 장치 (10) 에 의하면, 반송로 (H) 의 양 외측에는, 1 쌍의 롤러 지지벽 (측벽 (30a, 30b)) 이 위치 고정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 개의 제 1 회전축 (40) 의 축단부 (40a) 및 제 2 회전축 (48) 의 축단부 (48a) 는, 1 쌍의 롤러 지지벽 중 일방의 롤러 지지벽 (측벽 (30a)) 을 관통하여 1 쌍의 롤러 지지벽의 외측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제 3 회전축 (54) 의 축단부 (54b) 는, 1 쌍의 롤러 지지벽 (측벽 (30a, 30b)) 중 타방의 롤러 지지벽 (측벽 (30b)) 을 관통하여 타방의 롤러 지지벽 (측벽 (30b)) 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롤러 지지벽 (측벽 (30a, 30b)) 을 사이에 두고 반송로 (H) 보다 떨어진 위치에서 제 1 회전축 (40), 제 2 회전축 (48) 및 제 3 회전축 (54) 이 제 1 회전 구동 장치 (60), 제 2 회전 구동 장치 (62) 및 제 3 회전 구동 장치 (64) 에 의해 각각 회전 구동되어, 금속성의 미분에 의한 피반송물과 함께 반송되는 가열 처리 재료의 오염이 바람직하게 억제된다.
본 실시예의 롤러식 반송 장치 (10) 에 의하면, 제 1 회전축 (40) 은, 일방의 측벽 (30a) 및 타방의 측벽 (30b) 에 의해 양팔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 1 회전축 (40) 의 중앙부는, 복수 (본 실시예에서는 3 개) 의 제 1 롤러식 지지 장치 (65)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 2 회전축 (48) 은, 일방의 롤러 지지벽 (30a) 에 의해 외팔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 2 회전축 (48) 의 자유단부 (48b) 는, 제 2 롤러식 지지 장치 (66)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제 3 회전축 (54) 은, 타방의 측벽 (30b) 에 의해 외팔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 3 회전축 (54) 의 자유단부 (54a) 는, 복수 (본 실시예에서는 2 개) 의 제 3 롤러식 지지 장치 (67)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각각 외팔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 2 회전축 (48) 의 자유단부 (48b) 및 제 3 회전축 (54) 의 자유단부 (54a) 의 휘어짐, 및 제 2 회전축 (48) 및 제 3 회전축 (54) 보다 긴 제 1 회전축의 중앙부의 휘어짐이 각각 억제되기 때문에, 휘어짐에서 유래하는 피반송물 (K) 의 반송 방향 (A1) 의 어긋남이 억제된다.
본 실시예의 롤러식 반송 장치 (10) 에 의하면, 3 열 컨베이어 (20) 에 의해 반송되어 온 피반송물 (K) 을 3 열 컨베이어 (20) 보다 높은 속도로 피반송물 (K) 을 분리하는 분리 컨베이어 (22) 를 포함하고, 분리 컨베이어 (22) 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물 (K) 을 스토퍼 (24) 에 부딪치게 하여 피반송물 (K) 을 반송 방향 (A1) 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피반송물 정렬 장치 (28) 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반송되어 온 피반송물 (K) 이, 피반송물의 치환실 (32) 로의 수용에 앞서 반송 방향 (A1) 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된다.
본 실시예의 롤러식 반송 장치 (10) 에 의하면, 피반송물 (K) 은, 가열 처리 재료를 수용하는 세라믹 재료제의 박스형 갑발이고, 제 1 지지륜 (42), 제 2 지지륜 (50) 및 제 3 지지륜 (56) 은, 모두 세라믹 재료제이다. 이러한 점에서, 갑발과 지지륜의 접촉에 의해, 무기질의 미분밖에 발생하지 않아, 금속성의 미분에 의한 오염이 회피된다.
본 실시예의 롤러식 반송 장치 (10) 에 의하면, 반송로 (H) 상을 복렬 상태로 반송되는 피반송물 (K) 중 반송 방향 (A1) 에 직교하는 방향에 인접하는 피반송물 (K) 의 반송 방향의 위치차가 작아지도록, 제 1 회전 구동 장치 (60), 제 2 회전 구동 장치 (62) 및 제 3 회전 구동 장치 (64) 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68) 를 포함한다. 이러한 점에서, 반송 방향 (A1) 의 상류측 예를 들어 가열로 (12) 내에 있어서의 노체 내 반송 롤러 (16) 의 휘어짐에서 기인하여 반송 방향 (A1) 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피반송물 (K) 이 사행해도, 제 1 반송 롤러 (44) 상에서 반송되는 피반송물 (K) 과 제 2 반송 롤러 (52) 상에서 반송되는 피반송물 (K) 과 제 3 반송 롤러 (58) 상에서 반송되는 피반송물 (K) 의 반송 방향 (A1) 에 있어서의 위치차가 작아져, 반송 방향 (A1) 에 직교하는 방향에 인접하는 피반송물 (K) 이 횡방향으로 정렬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밖의 양태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의 3 열 컨베이어 (20) 는, 가열로 (12) 로부터 복수 열로 내보내지는 피반송물 (K) 의 반송 용도에 사용되고 있었지만, 피반송물 (K) 이 갑발과는 상이한 것 예를 들어 소결 합금 성형체 등이어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로 (12) 는 대기 분위기에서 소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분리 컨베이어 (22), 인출 컨베이어 (23), 후드 (30) 가 제거되어도 된다. 또, 피반송물 정렬 장치 (28) 나 치환실 (32) 도 제거되어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피반송물 (K) 이 6 열로 반송되고 있었지만, 3 열 등이어도 된다. 또, 롤러식 반송 장치 (10) 는, 가열로 (12) 로부터 내보내진 피반송물 (K) 의 반송 이외의 반송 용도에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것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며, 본 발명은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롤러식 반송 장치
20 : 3 열 컨베이어
22 : 분리 컨베이어
24 : 스토퍼
28 : 피반송물 정렬 장치
30a : 측벽 (롤러 지지벽)
30b : 측벽 (롤러 지지벽)
40 : 제 1 회전축
40a : 축단부
40b : 축단부
42 : 제 1 지지륜
44 : 제 1 반송 롤러
48 : 제 2 회전축
48a : 축단부
48b : 축단부
50 : 제 2 지지륜
52 : 제 2 반송 롤러
54 : 제 3 회전축
54a : 축단부
54b : 축단부
56 : 제 3 지지륜
58 : 제 3 반송 롤러
60 : 제 1 회전 구동 장치
62 : 제 2 회전 구동 장치
64 : 제 3 회전 구동 장치
65 : 제 1 롤러식 지지 장치
66 : 제 2 롤러식 지지 장치
67 : 제 3 롤러식 지지 장치
68 : 제어 장치
A1 : 반송 방향
H : 반송로
K : 피반송물

Claims (7)

  1. 반송 방향 (A1) 으로 병렬 배치되어 반송로 (H) 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반송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로 (H) 는, 상기 반송 롤러 상에 재치된 복수의 피반송물 (K) 을 적어도 3 열의 종렬 상태로 각각 반송하는 3 열 컨베이어 (20) 를 포함하는 롤러식 반송 장치 (10) 로서,
    상기 3 열 컨베이어 (20) 는,
    상기 반송로 (H) 의 폭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회전 구동되는 복수 개의 제 1 회전축 (40) 과, 상기 제 1 회전축 (40) 중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복수 개 형성되어 3 열 이상의 상기 피반송물 (K) 중 중앙열을 구성하는 상기 피반송물 (K) 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륜 (42) 을 갖는 제 1 반송 롤러 (44) 와,
    상기 반송로 (H) 의 중앙부의 양측의 단부 중 일방의 단부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제 1 회전축 (40)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 2 회전축 (48) 과, 상기 제 2 회전축 (48) 에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중앙열의 양측에 나열되는 끝열 중 일방의 끝열을 구성하는 상기 피반송물 (K) 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륜 (50) 을 갖는 제 2 반송 롤러 (52) 와,
    상기 반송로 (H) 의 중앙부의 양측의 단부 중 타방의 단부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제 1 회전축 (40)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 3 회전축 (54) 과, 상기 제 3 회전축 (54) 에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중앙열의 양측에 나열되는 끝열 중 타방의 끝열을 구성하는 상기 피반송물 (K) 을 지지하는 제 3 지지륜 (56) 을 갖는 제 3 반송 롤러 (58) 와,
    복수 개의 상기 제 1 회전축 (40) 의 상기 반송로 (H) 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단부 (40a) 를 서로 동기시켜 회전 구동하는 제 1 회전 구동 장치 (60) 와,
    복수 개의 상기 제 2 회전축 (48) 의 상기 반송로 (H) 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단부 (48a) 를 서로 동기시켜 회전 구동하는 제 2 회전 구동 장치 (62) 와,
    복수 개의 상기 제 3 회전축 (54) 의 상기 반송로 (H) 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축단부 (54b) 를 서로 동기시켜 회전 구동하는 제 3 회전 구동 장치 (6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반송 장치 (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 롤러 (44) 의 상기 제 1 회전축 (40) 에는, 상기 제 1 회전축 (40) 의 직경보다 대직경으로서 상기 피반송물 (K) 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상기 제 1 지지륜 (42) 이, 서로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 2 반송 롤러 (52) 의 상기 제 2 회전축 (48) 에는, 상기 제 2 회전축 (48) 의 직경보다 대직경으로서 상기 피반송물 (K) 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상기 제 2 지지륜 (50) 이, 서로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 3 반송 롤러 (58) 의 상기 제 3 회전축 (54) 에는, 상기 제 3 회전축 (54) 의 직경보다 대직경으로서 상기 피반송물 (K) 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상기 제 3 지지륜 (56) 이, 서로 떨어져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 1 지지륜 (42) 은,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 2 지지륜 (50), 및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 3 지지륜 (56) 보다 대직경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반송 장치 (1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 (H) 의 양 외측에는, 1 쌍의 롤러 지지벽 (30a, 30b) 이 위치 고정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 개의 상기 제 1 회전축 (40) 및 상기 제 2 회전축 (48) 의 축단부 (40a, 48a) 는, 상기 1 쌍의 롤러 지지벽 (30a, 30b) 중 일방의 롤러 지지벽을 관통하여 상기 일방의 롤러 지지벽의 외측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제 3 회전축 (54) 의 축단부 (54b) 는, 상기 1 쌍의 롤러 지지벽 (30a, 30b) 중 타방의 롤러 지지벽을 관통하여 상기 타방의 롤러 지지벽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반송 장치 (1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 (40) 은, 상기 일방의 롤러 지지벽 및 상기 타방의 롤러 지지벽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 1 회전축 (40) 의 중앙부는, 제 1 롤러식 지지 장치 (65)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 2 회전축 (48) 은, 상기 일방의 롤러 지지벽에 의해 외팔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 2 회전축 (48) 의 자유단부는, 제 2 롤러식 지지 장치 (66)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 3 회전축 (54) 은, 상기 타방의 롤러 지지벽에 의해 외팔보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 3 회전축 (54) 의 자유단부는, 제 3 롤러식 지지 장치 (67) 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반송 장치 (10).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 열 컨베이어 (20) 에 의해 반송되어 온 상기 피반송물 (K) 을 상기 3 열 컨베이어 (20) 보다 높은 속도로 상기 피반송물 (K) 을 분리하는 분리 컨베이어 (22) 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컨베이어 (22) 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피반송물 (K) 을 스토퍼 (24) 에 부딪치게 하여 상기 반송 방향 (A1) 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피반송물 정렬 장치 (28)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반송 장치 (10).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반송물 (K) 은, 가열 처리 재료를 수용하는 세라믹 재료제의 박스형 갑발이고,
    상기 제 1 지지륜 (42), 상기 제 2 지지륜 (50) 및 상기 제 3 지지륜 (56) 은, 모두 세라믹 재료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반송 장치 (10).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 (H) 상을 복렬 상태로 반송되는 상기 피반송물 (K) 중 상기 반송 방향 (A1) 에 직교하는 방향에 인접하는 상기 피반송물 (K) 의 상기 반송 방향 (A1) 에 있어서의 위치차가 작아지도록 상기 제 1 회전 구동 장치 (60), 제 2 회전 구동 장치 (62) 및 제 3 회전 구동 장치 (64) 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6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반송 장치 (10).
KR1020220034973A 2021-03-26 2022-03-21 롤러식 반송 장치 KR202201344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54080 2021-03-26
JP2021054080A JP6942276B1 (ja) 2021-03-26 2021-03-26 ローラ式搬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454A true KR20220134454A (ko) 2022-10-05

Family

ID=7784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973A KR20220134454A (ko) 2021-03-26 2022-03-21 롤러식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31838B2 (ko)
JP (1) JP6942276B1 (ko)
KR (1) KR20220134454A (ko)
CN (1) CN11512373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8887A1 (ja) 2018-01-11 2019-07-18 日本碍子株式会社 熱処理炉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755A (ja) * 1999-03-11 2000-09-19 Nikko:Kk 整列搬送装置
ATE341503T1 (de) * 1999-11-17 2006-10-15 Dynamic Systems Engineering Bv Kommissionierlager für stückgüter
JP2005306493A (ja) * 2004-04-16 2005-11-04 Meikikou:Kk 並列連結コンベア及びコンベアシステム
JP2007209137A (ja) * 2006-02-02 2007-08-16 Meikikou:Kk 搬送装置
JP2021067368A (ja) * 2018-01-11 2021-04-30 日本碍子株式会社 熱処理炉
JP7164120B2 (ja) * 2019-07-22 2022-11-01 株式会社加藤製缶鉄工所 低安定性飲料容器に対応した回転ロッドコンベヤ 並びにこれを具えた容器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8887A1 (ja) 2018-01-11 2019-07-18 日本碍子株式会社 熱処理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06396A1 (en) 2022-09-29
US11731838B2 (en) 2023-08-22
CN115123738A (zh) 2022-09-30
JP6942276B1 (ja) 2021-09-29
JP2022151151A (ja)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0970B1 (ko) 막형성 조성물을 가진 기판의 열처리 방법 및 장치
JPH10205604A (ja) 非接触式磁気搬送装置の位置決め制御装置
KR20150077313A (ko) 가열로용 반송 부재
KR20180111544A (ko) 열처리로
KR20220134454A (ko) 롤러식 반송 장치
JP5389397B2 (ja) 加熱炉用搬送ローラ支持装置
JP6978623B1 (ja) 加熱炉の搬送装置
JP6978622B1 (ja) 加熱炉の被加熱物搬送装置
WO2019138886A1 (ja) 熱処理炉
JP6949260B1 (ja) 被焼成物取り出し装置
TWI768165B (zh) 熱處理爐
CN111442641B (zh) 热处理炉
JP7319219B2 (ja) 連続焼成炉
JP7301016B2 (ja) 連続焼成炉
JPH09113144A (ja) 加熱炉
JP7058366B1 (ja) 被焼成物取り出し装置
JP3157108B2 (ja) 膜形成素材を含む基板の焼成方法および装置
JP3261437B2 (ja) ローラハース炉
JP3938554B2 (ja) 熱処理炉
KR102363013B1 (ko) 세라믹 전자부품용 소성로의 롤러컨베이어에서의 진동방지용 이송롤
KR102192069B1 (ko) 세라믹 전자부품용 소성로
JP5188065B2 (ja) 焼成炉
JP6660414B2 (ja) 加熱炉用搬送ローラー支持装置
JP3607443B2 (ja) 膜形成素材を含む基板の焼成装置
JP2022025690A (ja) 雰囲気加熱炉用搬送ローラ支持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