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927A -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927A
KR20220132927A KR1020210038101A KR20210038101A KR20220132927A KR 20220132927 A KR20220132927 A KR 20220132927A KR 1020210038101 A KR1020210038101 A KR 1020210038101A KR 20210038101 A KR20210038101 A KR 20210038101A KR 20220132927 A KR20220132927 A KR 20220132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hamber
pillar
roof
deplo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민
고석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8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2927A/ko
Priority to US17/652,861 priority patent/US11685337B2/en
Priority to DE102022106974.5A priority patent/DE102022106974A1/de
Publication of KR20220132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means outsid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개된 상태의 에어백쿠션(200)이 루프패널(50)의 프런트부(51)를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루프챔버부(210), 프론트필러(40)를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좌우측의 필러챔버부(220), 및 윈드쉴드글래스(10)의 전면 전체를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윈드쉴드챔버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자전거 이용자를 포함하여 보행자와의 접촉 사고시 루프챔버부(210)와 필러챔버부(220) 및 윈드쉴드챔버부(230)를 이용해서 보행자의 머리와 상체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AIR BAG APPARATUS FOR PROTECTING PEDESTRIAN}
본 발명은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 이용자를 포함하여 보행자 보호성능이 향상된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사고 발생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에어백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바, 그 중에서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장치는 사고 발생시 윈드쉴드글래스쪽으로 전개되는 에어백쿠션을 통해 보행자의 머리 및 상체를 보호하도록 된 것이다.
최근에는 전기차 및 자율주행 차량과 같은 미래형 스마트 차량의 개발과 보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스마트 차량은 대체적으로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짧은 후드(hood)를 반영하고 있어서, 주행 중 자전거 이용자 또는 보행자와 접촉사고가 발생할 경우 보행자의 머리가 차량 루프부와 접촉할 확률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보행자의 머리가 부상당할 확률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후드 길이가 짧은 미래형 스마트 차량에 대비해서 자전거 이용자를 포함하여 보행자 보호성능이 향상된 에어백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1191호
본 발명은, 윈드쉴드글래스와 프런트필러 및 루프패널의 프런트부를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에어백쿠션을 통해 자전거 이용자를 포함하여 보행자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는, 윈드쉴드글래스와 루프패널을 연결하는 프런트패널의 공간속에 삽입되어서 고정되게 설치된 에어백하우징; 상기 에어백하우징속에 폴딩된 상태로 수납되고 에어백가스를 전달받아서 전개될 때에 윈드쉴드글래스와 프런트필러 및 루프패널의 프런트부를 동시에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에어백쿠션; 상기 에어백하우징속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작동시 에어백가스를 발생하는 인플레이터; 및 상기 에어백하우징을 커버링하도록 결합되고 에어백쿠션의 전개를 위해 테어라인이 형성된 하우징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백쿠션은 에어백하우징속에 폴딩된 상태가 지그재그 폴딩부 및 롤 폴딩부로 구분되게 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그재그 폴딩부는 인플레이터의 작동 초기 에어백쿠션의 빠른 전개를 유도하기 위해 인플레이터와 연결된 부위에서 폴딩된 구간이고; 상기 롤 폴딩부는 지그재그 폴딩부에 연속해서 폴딩된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 폴딩부는 윈드쉴드글래스 방향 롤로 폴딩되어서 언폴딩시 윈드쉴드글래스와 접촉한 상태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백쿠션은 전개된 상태를 기준으로 루프패널의 프런트부를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루프챔버부; 상기 루프챔버부의 좌우측과 각각 연결되어서 프론트필러를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좌우측의 필러챔버부; 및 상기 필러챔버부사이에 위치하고 필러챔버부와 연결되어서 윈드쉴드글래스의 전면 전체를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윈드쉴드챔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한 에어백가스는 루프챔버부와 필러챔버부 및 윈드쉴드챔버부의 순서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루프챔버부는 에어백가스를 전달받아서 좌우로 펼쳐지면서 전개되고; 상기 필러챔버부와 윈드쉴드챔버부는 루프챔버부의 전개가 종료되기 전에 전방으로 펼쳐지면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백쿠션이 전개된 상태를 기준으로 윈드쉴드챔버부의 상하방향 두께는 필러챔버부보다 상대적으로 얇고, 루프챔버부와 필러챔버부의 상하방향 두께는 대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윈드쉴드챔버부의 상하방향 두께가 루프챔버부 및 필러챔버부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가 되도록 하기 위해 윈드쉴드챔버부에는 최소 1개 이상의 봉제결합부가 라인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루프챔버부와 필러챔버부에는 봉제결합부가 없어서 윈드쉴드챔버부보다 상하방향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루프챔버부는 인플레이터와 연결되고; 상기 루프챔버부에서 인플레이터와 연결된 부위에는 디퓨저가 결합되며;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한 에어백가스는 디퓨저를 통해서 좌우측에 위치한 2개의 필러챔버부로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한 에어백가스는 디퓨저와 가장 먼저 접촉해서 에어백가스에 의한 에어백쿠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퓨저는 2개의 필러챔버부로 에어백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2개의 출구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2개의 필러챔버부로 동일한 양의 에어백가스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2개의 출구 직경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개의 필러챔버부로 동일한 양의 에어백가스가 분배되어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2개의 출구사이의 거리는 출구의 직경보다 큰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는, 전개된 상태의 에어백쿠션이 루프패널의 프런트부를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루프챔버부, 프론트필러를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좌우측의 필러챔버부, 및 윈드쉴드글래스의 전면 전체를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윈드쉴드챔버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자전거 이용자를 포함하여 보행자와의 접촉 사고시 루프챔버부와 필러챔버부 및 윈드쉴드챔버부를 이용해서 보행자의 머리와 상체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특히 전기차 및 자율주행 차량과 같이 후드 길이가 짧은 미래형 스마트 차량에도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도면,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가 작동해서 에어백쿠션이 전개된 상태의 도면,
도 5와 도 6은 도 4의 Ⅱ-Ⅱ선 및 Ⅲ-Ⅲ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폴딩된 에어백쿠션이 전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전개된 상태의 에어백쿠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루프챔버부에 결합된 디퓨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제어기)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드쉴드글래스(10)와 루프패널(20)을 연결하는 프런트패널(30)의 공간속에 삽입되어서 고정되게 설치된 에어백하우징(100); 상기 에어백하우징(100)속에 폴딩된 상태로 수납되고 에어백가스를 전달받아서 전개될 때에 윈드쉴드글래스(10)와 프런트필러(40) 및 루프패널(50)의 프런트부(51)를 동시에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에어백쿠션(200); 상기 에어백하우징(100)속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작동시 에어백가스를 발생하는 인플레이터(300); 및 상기 에어백하우징(100)을 커버링하도록 결합되고 에어백쿠션(200)의 전개를 위해 테어라인(410, tear line)이 형성된 하우징커버(400);를 포함한다.
프런트패널(30)은 루프패널(20)을 지지하여 차체가 붕괴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프런트패널(30)의 내부는 빈공간으로 되어 있어 프런트패널(30)의 내부 빈공간속에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가 모듈화되어 설치된다.
프런트필러(40)는 A필러라고도 불리우며, 센터필러(B필러) 및 리어필러(C필러)와 함께 루프패널(20)을 지지하고 윈드쉴드글래스(10) 및 윈도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백하우징(100)은 프런트패널(30)의 내부 공간속에 삽입되어서 스터드 또는 스터드에 상응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프런트패널(3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에어백하우징(100)의 내부공간에 에어백쿠션(200)이 폴딩된 상태로 수납되고, 인플레이터(300)는 에어백쿠션(2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에어백쿠션(200)과 에어백하우징(100)을 관통한 하드웨어를 통해 에어백하우징(10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인플레이터(300)는 에어백제어기로부터 전기신호를 전달받을 때에 작동하면서 에어백쿠션(200)의 전개에 필요한 에어백가스를 발생시키고, 인플레이터(300)에서 발생한 에어백가스는 에어백하우징(100)속에 폴딩된 에어백쿠션(200)으로 전달되고, 에어백쿠션(200)은 에어백가스를 전달받아서 언폴딩되게 전개되고, 에어백쿠션(200)은 에어백하우징(100)의 테어라인(410)을 통해 윈드쉴드글래스(10)와 프런트필러(40) 및 루프패널(50)의 프런트부(51)를 동시에 커버링하도록 전개된다.
따라서, 자전거 이용자 또는 보행자와의 접촉 사고시 보행자의 머리를 포함한 상체는 윈드쉴드글래스(10)와 프런트필러(40) 및 루프패널(50)의 프런트부(51)를 동시에 커버링하도록 전개된 에어백쿠션(200)에 의해 효과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게 되는 바,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보행자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면부호 60은 헤드라이닝이고, 도면부호 70은 선바이저이다.
도 7과 같이 에어백쿠션(200)은 에어백하우징(100)속에 폴딩된 상태가 지그재그 폴딩부(201) 및 롤 폴딩부(202)로 구분되게 폴딩된다.
지그재그 폴딩부(201)는 인플레이터(300)의 작동 초기 에어백쿠션(200)의 빠른 전개를 유도하기 위해 인플레이터(300)와 연결된 부위에서 폴딩된 구간이고, 롤 폴딩부(202)는 지그재그 폴딩부(201)에 연속해서 폴딩된 구간이 된다.
따라서, 인플레이터(300)가 작동해서 에어백가스가 발생하고, 에어백가스가 폴딩된 에어백쿠션(200)에 전달되어서 에어백쿠션(200)이 전개동작을 시작하면, 에어백쿠션(200)의 전개압력으로 에어백하우징(100)의 테어라인(410)이 뜯어져서 하우징커버(400)가 개방되고, 하우징커버(400)의 개방통로를 통해 먼저 지그재그 폴딩부(201)가 언폴딩방향으로 빠른 속도로 풀리기 시작하고, 그 다음에 롤 폴딩부(202)가 풀리기 시작해서 최종적으로 에어백쿠션(200)의 전개가 완료된다.
한편, 롤 폴딩부(202)는 폴딩시에 윈드쉴드글래스(10) 방향 롤로 폴딩되며, 이에 따라 언폴딩시 윈드쉴드글래스(10)와 접촉한 상태로 언폴ELD되면서 전개되고, 이를 통해 전개시 상방향으로 솟구치면서 폴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에어백쿠션(200)의 전개동작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8과 같이 에어백쿠션(200)은 전개된 상태를 기준으로 루프패널(50)의 프런트부(51)를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루프챔버부(210), 상기 루프챔버부(210)의 좌우측과 각각 연결되어서 프론트필러(40)를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좌우측의 필러챔버부(220), 및 상기 필러챔버부(220)사이에 위치하고 필러챔버부(220)와 연결되어서 윈드쉴드글래스(10)의 전면 전체를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윈드쉴드챔버부(230)를 포함한다.
인플레이터(300)가 작동해서 에어백가스가 발생하면, 에어백가스는 가장 먼저 루프챔버부(210)로 전달되고, 루프챔버부(210)를 통과한 에어백가스는 좌우측에 위한 2개의 필러챔버부(220)로 동시에 전달되고, 마지막으로 필러챔버부(220)를 통해서 윈드쉴드챔버부(230)로 에어백가스가 전달된다.
따라서, 인플레이터(300)가 작동해서 에어백가스가 발생하면 루프챔버부(210)가 가장 먼저 에어백가스를 전달받아서 좌우로 펼쳐지면서 전개되고, 필러챔버부(220)와 윈드쉴드챔버부(230)는 루프챔버부(210)의 전개가 종료되기 전에 전방으로 펼쳐지면서 전개되고, 다만 에어백가스는 필러챔버부(220)를 통해서 윈드쉴드챔버부(230)로 전달됨에 따라 윈드쉴드챔버부(230)가 가장 늦게 부풀어지게 된다.
에어백가스가 충분히 공급되어서 에어백쿠션(200)이 완전히 전개된 상태를 기준으로 볼 때, 윈드쉴드챔버부(230)의 상하방향 두께(t1)는 필러챔버부(220)보다 상대적으로 얇고, 루프챔버부(210)와 필러챔버부(220)의 상하방향 두께(t2)는 대등한 것을 특징이다.
즉, 윈드쉴드챔버부(230)는 윈드쉴드글래스(10)를 커버링하는 부위이고, 윈드쉴드글래스(10)는 충격에 의해 쉽게 깨지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부위에 해당하므로, 윈드쉴드챔버부(230)의 두께를 두껍게 유지하지 않아도 윈드쉴드글래스(10)의 파손시 충격흡수를 통해 보행자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루프챔버부(210)와 필러챔버부(220)는 스틸(steel)로 제작된 루프패널(50)과 프런트필러(40)를 커버링하는 부위로서, 보행자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루프챔버부(210) 및 필러챔버부(220)보다 상대적으로 상하방향 두께를 두껍게 유지해서 최대한의 쿠션감을 유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윈드쉴드챔버부(230)의 상하방향 두께가 루프챔버부(210) 및 필러챔버부(220)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가 되도록 하기 위해 윈드쉴드챔버부(230)에는 최소 1개 이상의 봉제결합부(231)가 라인형상으로 구비되고, 루프챔버부(210)와 필러챔버부(220)에는 봉제결합부가 없는 구성이 특징이다.
봉제결합부(231)는 윈드쉴드챔버부(230)의 상하면이 바느질(sewing)에 의해 맞닿은 부위이며, 봉제결합부(231)에는 에어백가스가 존재하지 않아서 쿠션감이 제로(zero)인 데드존(dead zone)이 된다.
따라서, 윈드쉴드챔버부(230)에서 쿠션감이 없는 봉제결합부(231)로 인해 봉제결합부(231)의 주변은 두께가 줄어들어서 얇은 두께가 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윈드쉴드챔버부(230)는 동일한 양의 에어백가스가 채워지더라도 루프챔버부(210) 및 필러챔버부(220)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반해, 루프챔버부(210)와 필러챔버부(220)에는 전술한 봉제결합부가 없어서 윈드쉴드챔버부(230)보다 상하방향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루프챔버부(210)는 인플레이터(300)와 연결되는 구성이고, 루프챔버부(210)에서 인플레이터(300)와 연결된 부위에는 디퓨저(500)가 결합되며, 인플레이터(300)에서 발생한 에어백가스는 디퓨저(500)를 통해서 좌우측에 위치한 2개의 필러챔버부(220)로 분배된다.
인플레이터(300)에서 발생한 에어백가스가 디퓨저(500)로 유입되면 먼저 루프챔버부(210)가 전개되고, 디퓨저(500)를 통해서 에어백가스가 좌우측에 위치한 2개의 필러챔버부(220)로 분배됨에 따라 2개의 필러챔버부(220)가 다음 순서로 전개된다.
인플레이터(300)에서 발생한 에어백가스는 디퓨저(500)와 가장 먼저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에어백가스에 의한 에어백쿠션(2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디퓨저(500)는 2개의 필러챔버부(220)로 에어백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2개의 출구(510)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2개의 필러챔버부(220)로 동일한 양의 에어백가스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2개의 출구(510)의 직경(D1)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개의 필러챔버부(220)로 동일한 양의 에어백가스가 분배되어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2개의 출구(510)사이의 거리(L1)는 출구(510)의 직경(D1)보다 큰 치수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에, 출구(510)사이의 거리(L1)가 출구(510)의 직경(D1)보다 작거나 같으면, 디퓨저(500)를 통해서 2개의 필러챔버부(220)로 동일한 양의 에어백가스가 공급되지 못할 우려가 높으며, 이럴 경우 2개의 필러챔버부(220) 중에서 상대적으로 에어백가스가 많이 공급된 어느 하나의 필러챔버부(220)가 먼저 전개동작을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에어백쿠션(200)이 안정적으로 전개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2개의 출구(510)사이의 거리(L1)가 출구(510)의 직경(D1)보다 큰 치수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는, 전개된 상태의 에어백쿠션(200)이 루프패널(50)의 프런트부(51)를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루프챔버부(210), 프론트필러(40)를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좌우측의 필러챔버부(220), 및 윈드쉴드글래스(10)의 전면 전체를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윈드쉴드챔버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자전거 이용자를 포함하여 보행자와의 접촉 사고시 루프챔버부(210)와 필러챔버부(220) 및 윈드쉴드챔버부(230)를 이용해서 보행자의 머리 및 상체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전기차 및 자율주행 차량과 같이 후드 길이가 짧은 미래형 스마트 차량에도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윈드쉴드글래스 20 - 루프패널
30 - 프런트패널 40 - 프런트필러
50 - 루프패널 51 - 프런트부
60 - 헤드라이닝 70 - 선바이저
100 - 에어백하우징 200 - 에어백쿠션
201 - 지그재그 폴딩부 202 - 롤 폴딩부
210 - 루프챔버부 220 - 필러챔버부
230 - 윈드쉴드챔버부 300 - 인플레이터
400 - 하우징커버 410 - 테어라인
500 - 디퓨저 510 - 출구
D1 - 출구의 직경 L1 - 출구사이의 거리

Claims (14)

  1. 윈드쉴드글래스와 루프패널을 연결하는 프런트패널의 공간속에 삽입되어서 고정되게 설치된 에어백하우징;
    상기 에어백하우징속에 폴딩된 상태로 수납되고 에어백가스를 전달받아서 전개될 때에 윈드쉴드글래스와 프런트필러 및 루프패널의 프런트부를 동시에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에어백쿠션;
    상기 에어백하우징속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작동시 에어백가스를 발생하는 인플레이터; 및
    상기 에어백하우징을 커버링하도록 결합되고 에어백쿠션의 전개를 위해 테어라인이 형성된 하우징커버;를 포함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은 에어백하우징속에 폴딩된 상태가 지그재그 폴딩부 및 롤 폴딩부로 구분되게 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그재그 폴딩부는 인플레이터의 작동 초기 에어백쿠션의 빠른 전개를 유도하기 위해 인플레이터와 연결된 부위에서 폴딩된 구간이고;
    상기 롤 폴딩부는 지그재그 폴딩부에 연속해서 폴딩된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 폴딩부는 윈드쉴드글래스 방향 롤로 폴딩되어서 언폴딩시 윈드쉴드글래스와 접촉한 상태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은 전개된 상태를 기준으로 루프패널의 프런트부를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루프챔버부;
    상기 루프챔버부의 좌우측과 각각 연결되어서 프론트필러를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좌우측의 필러챔버부; 및
    상기 필러챔버부사이에 위치하고 필러챔버부와 연결되어서 윈드쉴드글래스의 전면 전체를 커버링하도록 전개되는 윈드쉴드챔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한 에어백가스는 루프챔버부와 필러챔버부 및 윈드쉴드챔버부의 순서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루프챔버부는 에어백가스를 전달받아서 좌우로 펼쳐지면서 전개되고;
    상기 필러챔버부와 윈드쉴드챔버부는 루프챔버부의 전개가 종료되기 전에 전방으로 펼쳐지면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이 전개된 상태를 기준으로 윈드쉴드챔버부의 상하방향 두께는 필러챔버부보다 상대적으로 얇고, 루프챔버부와 필러챔버부의 상하방향 두께는 대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윈드쉴드챔버부의 상하방향 두께가 루프챔버부 및 필러챔버부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가 되도록 하기 위해 윈드쉴드챔버부에는 최소 1개 이상의 봉제결합부가 라인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루프챔버부와 필러챔버부에는 봉제결합부가 없어서 윈드쉴드챔버부보다 상하방향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루프챔버부는 인플레이터와 연결되고;
    상기 루프챔버부에서 인플레이터와 연결된 부위에는 디퓨저가 결합되며;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한 에어백가스는 디퓨저를 통해서 좌우측에 위치한 2개의 필러챔버부로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한 에어백가스는 디퓨저와 가장 먼저 접촉해서 에어백가스에 의한 에어백쿠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2개의 필러챔버부로 에어백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2개의 출구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2개의 필러챔버부로 동일한 양의 에어백가스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2개의 출구 직경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필러챔버부로 동일한 양의 에어백가스가 분배되어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2개의 출구사이의 거리는 출구의 직경보다 큰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KR1020210038101A 2021-03-24 2021-03-24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KR20220132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101A KR20220132927A (ko) 2021-03-24 2021-03-24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US17/652,861 US11685337B2 (en) 2021-03-24 2022-02-28 Airbag apparatus for protecting pedestrian
DE102022106974.5A DE102022106974A1 (de) 2021-03-24 2022-03-24 AIRBAG-VORRICHTUNG ZUM SCHUTZ EINES FUßGÄNG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101A KR20220132927A (ko) 2021-03-24 2021-03-24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927A true KR20220132927A (ko) 2022-10-04

Family

ID=83192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101A KR20220132927A (ko) 2021-03-24 2021-03-24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85337B2 (ko)
KR (1) KR20220132927A (ko)
DE (1) DE102022106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940A (ko) * 2022-07-07 2024-01-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외장 에어백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191A (ko) 2014-11-21 2016-05-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5627B2 (ja) * 1993-10-15 2000-01-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転落防止エアバッグ装置
DE19745873A1 (de) * 1997-10-17 1999-04-22 Volkswagen Ag Airbag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9803165A1 (de) * 1998-01-28 1999-07-2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Windschutzscheibenrahmen mit einer Sicherheitseinrichtung
JP3951747B2 (ja) * 2002-03-01 2007-08-01 タカタ株式会社 外面展開型エアバッグ装置
GB2400353A (en) * 2003-04-09 2004-10-13 Autoliv Dev Pedestrian detecting system provided on a motor vehicle
JP3879698B2 (ja) * 2003-05-02 2007-02-1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衝撃吸収装置
JP2006044569A (ja) * 2004-08-06 2006-02-16 Mazda Motor Corp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US20060097491A1 (en) * 2004-11-09 2006-05-1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Wrap-around inflatable curtain
JP2006248332A (ja) * 2005-03-09 2006-09-21 Takata Corp 歩行者等保護用エアバッグ及び歩行者等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DE102005048627B4 (de) * 2005-10-05 2008-08-28 Sergey Ventsel Fahrzeug-Airbag
DE102006042375A1 (de) * 2006-09-08 2008-03-27 Daimler Ag Airbagmodul zum Schutz von Personen beim Aufprall auf ein Automobil
JP5217242B2 (ja) * 2007-05-21 2013-06-19 タカタ株式会社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8285110A (ja) * 2007-05-21 2008-11-27 Takata Corp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及び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付き自動車
JP5342213B2 (ja) * 2007-11-20 2013-11-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4906700B2 (ja) * 2007-12-13 2012-03-2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000542B2 (ja) * 2008-02-06 2012-08-15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179336B2 (ja) * 2008-02-06 2013-04-10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7828106B1 (en) * 2008-04-21 2010-11-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rollover cushioning device
JP5077216B2 (ja) * 2008-12-12 2012-11-21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10254282A (ja) * 2009-04-01 2010-11-11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DE102011118122A1 (de) * 2011-11-10 2013-05-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karosserie mit expandierbarem Element
JP6002776B2 (ja) * 2011-11-11 2016-10-05 ジャガー ランド ローバー リミテッドJaguar Land Rover Limited 蓋付き衝撃保護装置
EP2617608A1 (en) * 2012-01-23 2013-07-24 Autoliv Development AB Pedestrian airbag arrangement on a motor vehicle
US9511739B2 (en) * 2013-05-08 2016-12-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ender located pedestrian protection airbag
KR101664017B1 (ko) * 2014-07-25 2016-10-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KR101640247B1 (ko) * 2014-08-29 2016-07-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US10710544B2 (en) * 2015-03-09 2020-07-14 Subaru Corporation External airbag
JP6063976B2 (ja) * 2015-03-09 2017-01-1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外用エアバッグ
JP6012797B2 (ja) * 2015-03-09 2016-10-2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外用エアバッグ
US20190071050A1 (en) * 2017-09-06 2019-03-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irbag system
DE102017008818A1 (de) * 2017-09-20 2019-03-21 Daimler Ag Gassack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JP7008582B2 (ja) * 2018-06-08 2022-0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JP6615296B1 (ja) * 2018-09-28 2019-12-04 株式会社Subaru エアバッグ装置
KR102647186B1 (ko) * 2018-12-11 2024-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장치
US11529927B2 (en) * 2018-12-11 2022-12-20 Hyundai Motor Company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KR102375407B1 (ko) 2019-09-30 2022-03-17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잉크젯헤드 모니터링장치 및 모니터링방법
KR20220158442A (ko) * 2021-05-24 2022-12-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보행자에어백 쿠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191A (ko) 2014-11-21 2016-05-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85337B2 (en) 2023-06-27
DE102022106974A1 (de) 2022-09-29
US20220306039A1 (en)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9215B2 (ja) 膝エアバッグ及びその折畳み方法
JP6294963B2 (ja) 巻き付け型側面衝突エアバッ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157132B2 (ja) 歩行者及びサイクリストを保護する車両用安全装置
KR101047561B1 (ko)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치
US8360466B2 (en) Side airbag apparatus
JP2018108819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一体成形織り布地の費用効果的使用
US20040119270A1 (en) Head-protecting airbag and head-protecting airbag device
US7584987B2 (en) Housing structure of an airbag
JPH1191477A (ja) 自動車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US11066031B2 (en) Airbag device for driver's seat
KR20210101031A (ko) 차량용 루프 에어백 및 그 전개 제어방법
KR20190071509A (ko) 파노라마 루프용 에어백장치
KR20220026394A (ko) 차량용 루프 에어백
JPH1148906A (ja) エアバック装置
KR20220132927A (ko)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JP5366774B2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JP4123048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6181443B2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2021070352A (ja) エアバッグ
JPH0986327A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US20080111360A1 (en) Knee airbag module for vehicle
KR100640008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유도구조
KR20090065957A (ko) 무릎 에어백
JP3366051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210044582A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