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582A - 차량용 커튼 에어백 - Google Patents

차량용 커튼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582A
KR20210044582A KR1020190127927A KR20190127927A KR20210044582A KR 20210044582 A KR20210044582 A KR 20210044582A KR 1020190127927 A KR1020190127927 A KR 1020190127927A KR 20190127927 A KR20190127927 A KR 20190127927A KR 20210044582 A KR20210044582 A KR 20210044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ushion
airbag
vehicle
side frame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7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4582A/ko
Priority to US16/824,012 priority patent/US11305721B2/en
Priority to CN202010280703.XA priority patent/CN112660062A/zh
Publication of KR20210044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60R2021/2375Fol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루프사이드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 필라 영역까지 에어백쿠션의 수납공간이 불필요함에 따라 에어백쿠션의 수납공간이 축소되고, 에어백쿠션은 연결테더에 의해 전개방향이 가이드되어 탑승자의 보호 영역으로 정확히 전개되며, 에어백쿠션이 연결테더가 노출되도록 지그재그로 접힘에 따라 전개방향이 가이드되고 전개속도가 확보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커튼 에어백 {CURTAIN AIRBAG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탑승자를 측방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충돌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에어백이 설치된다. 이러한 에어백 중 차량의 측면 충돌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는 커튼 에어백은 루프패널의 측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충돌 발생시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차량 외부로 튕겨나가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최근에는 미래형자동차로 차체가 개발됨에 따라 필라 트림이 슬림화되어 커튼 에어백의 장착 공간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즉, 커튼 에어백의 경우 전개시 실내 전방부까지 보호 영역이 확보되어야 함에 따라, 루프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커튼 에어백의 장착 구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필라 트림이 슬림화되는 경우 커튼 에어백의 설치공간이 협소하여, 커튼 에어백이 전개되더라도 실내 전방부까지 커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커튼 에어백의 설치공간이 축소되고, 보호 영역이 확보되며, 전개속도가 확보되는 커튼 에어백의 개발이 요구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6-0088208 A (2006.08.04)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커튼 에어백의 수납공간이 축소되고 탑승자의 보호 영역으로 정확히 전개되며 전개시간이 확보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튼 에어백은 차체의 사이드프레임에서 탑승자의 측방으로 전개되도록 마련되고, 충돌 상황 발생시 사이드프레임에서 하방으로 전개된 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팽창되는 에어백쿠션; 및 일단이 에어백쿠션의 전방 또는 후방에 이격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에어백쿠션에 연결되어 에어백쿠션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한 팽창을 가이드하는 연결테더;를 포함한다.
에어백쿠션이 전방으로 팽창되도록 구성된 경우, 연결테더는 일단이 에어백쿠션의 전방에 이격되어 사이드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이 에어백쿠션의 전단부를 가로질러 후단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백쿠션은 상단에 형성된 고정부를 통해 사이드프레임에 고정되고, 고정부는 에어백쿠션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한 팽창 방향의 반대편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백쿠션이 전방으로 팽창되도록 구성된 경우, 고정부는 전단부를 제외한 영역에서 에어백쿠션의 상단에 배치되어 사이드프레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백쿠션의 전단부에는 연결테더가 통과되는 가이드챔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백쿠션의 전단부는 후방을 향해 지그재그로 접히되 가이드챔버가 노출되도록 접히고, 지그재그로 접혀진 상태에서 하단이 상방으로 접힌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백쿠션은 전단부가 연결테더의 타단이 연결된 부분을 회피하여 지그재그로 접히고, 지그재그로 접혀진 상태에서 중첩된 부분이 가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런
에어백쿠션은 전단부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데드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백쿠션은 연결테더의 타단이 연결되는 지점에 제2데드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백쿠션은 사이드프레임의 센터필라측에 수납되고, 전개시 전후방 필라를향해 팽창되며, 연결테더는 일단이 전방 또는 후방 필라에 고정되고 타단이 에어백쿠션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커튼 에어백은 루프사이드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 필라 영역까지 에어백쿠션의 수납공간이 불필요함에 따라 에어백쿠션의 수납공간이 축소되고, 에어백쿠션은 연결테더에 의해 전개방향이 가이드되어 탑승자의 보호 영역으로 정확히 전개되며, 에어백쿠션이 연결테더가 노출되도록 지그재그로 접힘에 따라 전개방향이 가이드되고 전개속도가 확보된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 에어백을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커튼 에어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7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전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 에어백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 에어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커튼 에어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 내지 7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전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튼 에어백은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사이드프레임(10)에서 탑승자의 측방으로 전개되도록 마련되고, 충돌 상황 발생시 사이드프레임(10)에서 하방으로 전개된 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팽창되는 에어백쿠션(20); 및 일단(30a)이 에어백쿠션(2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이격되어 고정되고 타단(30b)이 에어백쿠션(20)에 연결되어 에어백쿠션(20)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한 팽창을 가이드하는 연결테더(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이드프레임(10)은 차체의 헤드라이닝측 루프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에어백쿠션(20)의 경우 사이드프레임(10)이 A필라, B필라, C필라로 구성될 경우 B필라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3열 이상이 구비된 차량에서도 사이드프레임(10)의 좌우 양끝의 필라를 제외한 중앙측 필라 영역에 설치된 에어백쿠션(2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전후방 열에 착좌한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백쿠션(20)은 사이드프레임(10)이 A필라, B필라, C필라, D필라로 구성될 경우 B필라 영역과, C필라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백쿠션(20)은 사이드프레임(10)에 마련되며 충돌 상황 발생에 따른 전개시 탑승자의 측방으로 전개되어 탑승자를 측면 충돌로부터 보호한다. 차량의 충돌 상황은 센서 정보를 취합하는 제어부가 감지하여 에어백쿠션(20)의 전개 타이밍을 결정하며, 에어백쿠션(20)의 경우 제어부에 의해 격발 제어되는 인플레이터를 통해 가스를 공급받아 팽창된다. 또한, 에어백쿠션에는 탑승자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한 딜레이챔버(D)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에어백쿠션(20)은 사이드프레임(10)의 센터필라(11)측에 수납되고, 전개시 전방 또는 후방 필라(12)를 향해 팽창되도록 구성된다. 종래에는 사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에어백쿠션이 수납된 형태를 이루는데,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프레임(10)의 센터필라(11)측에 수납됨에 따라 수납공간이 축소되고, 전개시 하방으로 전개된 후 전방 또는 후방 필라(12)를 향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팽창됨으로써, 탑승자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특히, 에어백쿠션(20)은 연결테더(30)에 의해 고정되어 팽창방향이 가이드된다. 이러한 연결테더(30)는 일단(30a)이 에어백쿠션(2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이격되어 전방 또는 후방 필라(12)에 고정되고 타단(30b)이 에어백쿠션(20)에 고정되어 에어백쿠션(20)의 팽창 방향을 가이드한다. 여기서, 연결테더(30)는 에어백쿠션(20)이 미전개 상태에서, 일단(30a)이 전방 또는 후방 필라(12)에 고정되고 타단(30b)이 루프프레임을 통과하여 에어백쿠션(20)에 고정됨으로써, 전방 또는 후방 필라(12) 영역에 에어백쿠션(20)이 미장착되더라도 에어백쿠션(20)이 연결테더(30)를 따라 탑승자의 측방을 커버하도록 팽창될 수 있다. 연결테더(30)의 경우 전방 또는 후방 필라(12) 영역에서 파스너를 통해 가고정되고, 에어백쿠션(20)의 전개시 파스너가 이탈됨에 따라 연결테더(30)는 에어백쿠션(20)을 가이드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은 에어백쿠션(20)이 사이드프레임(10)에서 센터필라(11)측에 수납되고, 에어백쿠션(20)의 전개시 연결테더(30)에 의해 팽창방향이 가이드되어 탑승자의 측방을 커버하도록 팽창된다. 이로 인해, 에어백쿠션(20)의 수납공간이 축소되고 연결테더(30)에 의해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위치로 전개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20)이 전방으로 팽창되도록 구성된 경우, 연결테더(30)는 일단(30a)이 에어백쿠션(20)의 전방에 이격되어 사이드프레임(10)에 고정되고 타단(30b)이 에어백쿠션(20)의 전단부(20a)를 가로질러 후단부(20b)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백쿠션(2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팽창되는 방향은 차량 설계에 따른 탑승자의 보호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에어백쿠션(20)이 전방으로 팽창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에어백쿠션(20)은 사이드프레임(10)을 이루는 루프프레임에서 전방 필라인 A-필라를 향해 팽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에어백쿠션(20)이 전방으로 팽창되도록 구성된 경우, 연결테더(30)는 연결테더(30)는 일단(30a)이 에어백쿠션(20)의 전방에 이격되어 사이드프레임(10)에 고정되고 타단(30b)이 에어백쿠션(20)의 전단부(20a)를 가로질러 후단부(20b)에 연결됨으로써, 에어백쿠션(20)의 팽창시 연결테더(30)의 연장방향을 따라 가이드되어 전방으로 팽창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에어백쿠션(20)은 하방으로 전개된 후 전방으로 팽창되어야 하는바, 연결테더(30)는 일단(30a)이 에어백쿠션(20)의 전방에 고정되고 타단(30b)이 에어백쿠션(20)의 후단부(20b)에 연결됨으로써, 에어백쿠션(20)의 전단부(20a)가 연결테더(30)를 따라 가이드되어 전방을 향해 팽창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에어백쿠션(20)은 상단에 형성된 고정부(21)를 통해 사이드프레임(10)에 고정되고, 고정부(21)는 에어백쿠션(20)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한 팽창 방향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백쿠션(20)은 인플레이터가 내장된 에어백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부(21)는 에어백하우징을 통해 사이드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다. 에어백하우징의 경우 통상적인 것인바, 도면에 도식하지 않았다.
이처럼, 에어백쿠션(20)의 고정부(21)는 팽창방향의 반대편에 위치됨으로써, 폴딩 후 수납공간이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고정부(21)가 에어백쿠션(20)의 팽창방향인 길이방향에 모두 형성될 경우 고정부(21)가 형성된만큼 수납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바, 고정부(21)는 에어백쿠션(20)에서 팽창방향의 반대편에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도록 한다.
즉, 에어백쿠션(20)이 전방으로 팽창되도록 구성된 경우, 고정부(21)는 전단부(20a)를 제외한 영역에서 에어백쿠션(20)의 상단에 배치되어 사이드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백쿠션(20)의 전단부(20a)는 고정부(21)에 의해 사이드프레임(10)에 구속되지 않음에 따라 후단부(20b)측으로 접혀져 에어백쿠션(20)의 수납공간이 축소된다. 또한, 에어백쿠션(20)은 고정부(21)를 통해 사이드프레임(10)에 고정됨으로써 전개된 후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20)의 전단부(20a)에는 연결테더(30)가 통과되는 가이드챔버(2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이드챔버(22)는 에어백쿠션(20)에 쏘잉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연결테더(30)가 전후방향으로 통과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에어백쿠션(20)의 전단부(20a)가 가이드챔버(22)와 함께 연결테더(3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챔버(22)는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양단부(22a)가 에어백쿠션(20)에 쏘잉되어 고정시 연결테더(30)가 통과되도록 개통홀(22b)을 형성하며, 양단부(22a)는 2중으로 포개진 상태에서 에어백쿠션(20)에 쏘잉되어 에어백쿠션(20)과 결합 강성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에어백쿠션(20)은 가이드챔버(22)를 통해 연결테더(30)에 연결됨에 따라 에어백쿠션(20)의 전단부(20a)가 연결테더(30)를 따라 가이드되어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에어백쿠션(20)은 하방으로 전개된 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팽창되어야 하는바, 에어백쿠션(20)의 전단부(20a)는 후방을 향해 지그재그로 접히되 가이드챔버(22)가 노출되도록 접히고, 지그재그로 접혀진 상태에서 하단이 상방으로 말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20)은 가이드챔버(22)가 구비된 전단부(20a)가 후방을 향해 지그재그로 접힘에 따라, 전개시 펼쳐지면서 전방으로 팽창될 수 있다. 특히, 에어백쿠션(20)은 지그재그로 접히되 가이드챔버(22)가 노출되도록 접힘에 따라 연결테더(30)가 접히거나 꼬이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에어백쿠션(20)의 전개시 가이드챔버(22)가 연결테더(30)를 따라 가이드되어 전방으로 팽창될 수 있다. 이렇게, 전단부(20a)가 지그재그로 접힌 에어백쿠션(20)은 지그재그로 접히지 않은 후단부(20b)와 함께 상방으로 말아줌으로써 롤 형태를 가지며 사이드프레임(10)에 수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에어백쿠션(20)은 전단부(20a)가 연결테더(30)의 타단(30b)이 연결된 부분을 회피하여 지그재그로 접히고, 지그재그로 접혀진 상태에서 중첩된 부분이 가접(23)된다. 이로 인해, 에어백쿠션(20)의 전개시 연결테더(30)의 꼬임이 방지되고, 가이드챔버(22)가 연결테더(30)를 따라 원활히 가이드되어 전방으로 팽창될 수 있다. 또한, 에어백쿠션(20)이 지그재그로 접혀진 상태에서 중첩된 부분이 가접(23)됨에 따라 지그재그로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어 수납을 위한 접힘 작업이 용이하며, 에어백쿠션(20)의 전개시 가접(23)된 부분이 뜯어지면서 원활한 전개가 유도된다.
이와 같이, 에어백쿠션(20)은 가이드챔버(22)가 노출되도록 지그재그로 접고, 에어백쿠션(20)의 전개시 하방으로 펼쳐진 후 노출된 가이드챔버(22)가 연결테더(30)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에어백쿠션(20)의 팽창 방향이 가이드된다. 이로 인해, 사이드프레임(10)에서 센터필라(11)측에 에어백쿠션(20)이 수납되고, 전방 필라(12) 영역에 에어백쿠션(20)의 장착이 불필요하여 에어백쿠션(20)의 설치공간이 축소된다.
한편,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에어백쿠션(20)은 전단부(20a)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데드존(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데드존(24)은 팽창된 에어백쿠션(20)과 전방 필라(12) 영역 간의 오버랩되는 부분에 보호영역을 제외시키기 위한 것으로, 에어백쿠션(20)에서 공기가 통과되지 않도록 쏘잉하여 제1데드존(24)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1데드존(24)의 경우 팽창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접촉되지 않는 불필요한 구간에 형성됨에 따라, 에어백쿠션(20)을 팽창시키기 위한 인플레이터의 가스가 낭비되지 않아 에어백쿠션(20)의 전개속도가 확보된다. 또한, 에어백쿠션(20)은 제1데드존(24)이 형성된 부분을 통해 꺾임이 유도되어 에어백쿠션(20)의 전개로 인한 필라의 손상이 회피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에어백쿠션(20)은 연결테더(30)의 타단(30b)이 연결되는 지점에 제2데드존(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연결테더(30)의 타단(30b)이 에어백쿠션(2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백쿠션(20)에서 공기가 통과되지 않도록 쏘잉하여 제2데드존(25)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에어백쿠션(20)에 제2데드존(25)을 형성하고, 제2데드존(25)을 통해 연결테더(30)가 쏘잉되어 고정됨으로써 연결테더(30)의 타단(30b)이 에어백쿠션(2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튼 에어백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20)이 사이드프레임(10)의 센터필라(11)에서 하방으로 전개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20)의 지그재그로 접힌 부분이 펼쳐지되 가이드챔버(22)가 연결테더(30)를 따라 가이드됨으로써 전방을 향해 팽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어백쿠션(20)은 사이드프레임(10)에서 수납공간을 최소화하여 수납되고, 전개시 탑승자의 측방이 커버되도록 전개됨으로써,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커튼 에어백은 루프사이드프레임(10)의 전방 또는 후방 필라(12) 영역까지 에어백쿠션(20)의 수납공간이 불필요함에 따라 에어백쿠션(20)의 수납공간이 축소되고, 에어백쿠션(20)은 연결테더(30)에 의해 전개방향이 가이드되어 탑승자의 보호 영역으로 정확히 전개되며, 에어백쿠션(20)이 연결테더(30)가 노출되도록 지그재그로 접힘에 따라 전개방향이 가이드되고 전개속도가 확보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사이드프레임 11:센터필라
12:전방 필라 20:에어백쿠션
21:고정부 22:가이드챔버
30:연결테더

Claims (10)

  1. 차체의 사이드프레임에서 탑승자의 측방으로 전개되도록 마련되고, 충돌 상황 발생시 사이드프레임에서 하방으로 전개된 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팽창되는 에어백쿠션; 및
    일단이 에어백쿠션의 전방 또는 후방에 이격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에어백쿠션에 연결되어 에어백쿠션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한 팽창을 가이드하는 연결테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이 전방으로 팽창되도록 구성된 경우, 연결테더는 일단이 에어백쿠션의 전방에 이격되어 사이드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이 에어백쿠션의 전단부를 가로질러 후단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3. 청구항 2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은 상단에 형성된 고정부를 통해 사이드프레임에 고정되고, 고정부는 에어백쿠션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한 팽창 방향의 반대편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4. 청구항 3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이 전방으로 팽창되도록 구성된 경우, 고정부는 전단부를 제외한 영역에서 에어백쿠션의 상단에 배치되어 사이드프레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5. 청구항 2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의 전단부에는 연결테더가 통과되는 가이드챔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6. 청구항 5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의 전단부는 후방을 향해 지그재그로 접히되 가이드챔버가 노출되도록 접히고, 지그재그로 접혀진 상태에서 하단이 상방으로 말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7. 청구항 6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은 전단부가 연결테더의 타단이 연결된 부분을 회피하여 지그재그로 접히고, 지그재그로 접혀진 상태에서 중첩된 부분이 가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8. 청구항 2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은 전단부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데드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9. 청구항 2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은 연결테더의 타단이 연결되는 지점에 제2데드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은 사이드프레임의 센터필라 영역에 수납되고, 전개시 전후방 필라를 향해 팽창되며,
    연결테더는 일단이 전방 또는 후방 필라에 고정되고 타단이 에어백쿠션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KR1020190127927A 2019-10-15 2019-10-15 차량용 커튼 에어백 KR20210044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927A KR20210044582A (ko) 2019-10-15 2019-10-15 차량용 커튼 에어백
US16/824,012 US11305721B2 (en) 2019-10-15 2020-03-19 Curtain airbag system of vehicle
CN202010280703.XA CN112660062A (zh) 2019-10-15 2020-04-10 车辆的帘式安全气囊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927A KR20210044582A (ko) 2019-10-15 2019-10-15 차량용 커튼 에어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582A true KR20210044582A (ko) 2021-04-23

Family

ID=7538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927A KR20210044582A (ko) 2019-10-15 2019-10-15 차량용 커튼 에어백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05721B2 (ko)
KR (1) KR20210044582A (ko)
CN (1) CN1126600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8208A (ko) 2005-02-01 2006-08-0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089B2 (ja) * 1991-11-22 2000-05-08 タカタ株式会社 自動車の乗員頭部の保護装置
US6152481A (en) * 1998-08-03 2000-11-28 Delphi Technologies, Inc. Side restraint assembly
DE69916185T2 (de) * 1998-08-05 2005-04-14 Toyoda Gosei Co., Ltd. Airbag für Kopfschutzairbagsystem
JP3428469B2 (ja) * 1998-11-27 2003-07-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DE29907912U1 (de) * 1999-05-04 1999-09-16 Trw Repa Gmbh Seitengassack-Rückhaltesystem
DE19922994B4 (de) * 1999-05-12 2004-07-15 Takata-Petri Ag Aufblasbarer Gassack für eine Airbageinheit
US6308982B1 (en) * 1999-06-08 2001-10-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with tensioning device
US6168194B1 (en) * 1999-08-05 2001-01-02 Trw Inc. Inflatable curtain with tensioning device
JP3460636B2 (ja) * 1999-08-23 2003-10-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6276712B1 (en) * 1999-09-10 2001-08-21 Delphi Technologies, Inc. Side restraint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US6176515B1 (en) * 1999-10-07 2001-01-2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with positioning device
US6422593B1 (en) * 1999-12-30 2002-07-23 Delphi Technologies, Inc. Supplemental restraint assembly for an automobile
US6237939B1 (en) * 2000-01-21 2001-05-2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US6565118B2 (en) * 2000-05-23 2003-05-2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Folded inflatable curtain
US6273458B1 (en) * 2000-05-31 2001-08-14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US6464250B1 (en) * 2000-07-05 2002-10-1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with slidable tether
US6431588B1 (en) * 2000-09-07 2002-08-1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side curtain with tensioning device
US6851710B2 (en) * 2001-03-06 2005-02-08 Autoliv As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apid airbag component installation
US6505853B2 (en) * 2001-03-07 2003-01-14 Trw Inc. Inflatable curtain with positioning device
US6575496B2 (en) * 2001-05-24 2003-06-10 Autoliv Asp, Inc. System and method and method for seam profile minimization for an inflatable curtain
US6695347B2 (en) * 2001-11-29 2004-02-24 Autoliv Asp, Inc. Self-adjusting tether strap for inflatable curtain
US6688641B2 (en) * 2001-12-13 2004-02-10 Autoliv Asp, Inc. Compact tethering system and method for an inflatable curtain
US6945558B2 (en) * 2002-01-16 2005-09-20 Autoliv Asp, Inc. Inflatable curtain support device
US6846010B2 (en) * 2002-01-30 2005-01-25 Autoliv Asp, Inc. Pressure equalizing curtain airbag
US6848708B2 (en) * 2002-03-19 2005-02-01 Autoliv Asp, Inc. Inflatable curtain module for use in a vehicle
US6991255B2 (en) * 2002-06-25 2006-01-31 Autoliv Asp, Inc. Interconnectable inflatable airbag cushion module
US7066489B2 (en) * 2003-06-19 2006-06-2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with fluid release means
US7243940B2 (en) 2003-11-20 2007-07-17 Delphi Technologies, Inc. Side airbag and method of folding
US20060012156A1 (en) * 2004-07-19 2006-01-1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with primary and secondary chambers
US7357408B2 (en) * 2005-02-28 2008-04-15 Autoliv Asp, Inc. Inflatable curtain cushion tab shock absorption
US7513523B2 (en) * 2005-08-18 2009-04-0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with different size panels
JP4923743B2 (ja) * 2005-08-23 2012-04-25 マツダ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100640008B1 (ko) 2005-10-07 2006-11-01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유도구조
KR100736462B1 (ko) 2006-04-24 2007-07-09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US7762578B2 (en) * 2006-09-29 2010-07-27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Tether guided inflatable sail panel
US7823922B2 (en) * 2008-07-16 2010-11-02 Autoliv Asp, Inc. Tether systems for inflatable cushions
US8006998B2 (en) * 2009-07-22 2011-08-30 Autoliv Asp, Inc. Inflatable airbag assemblies with modular components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e
US8562018B1 (en) * 2012-08-30 2013-10-2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with passive pretensioner
US8894094B2 (en) * 2013-03-15 2014-11-25 Autoliv Asp, Inc. Curtain airbag for small overlap
US9487180B2 (en) * 2013-05-23 2016-11-08 Autoliv Development Ab Vehicular curtain air-bag device, and mounting structure for same
KR102204088B1 (ko) * 2014-04-23 2021-01-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장치의 쿠션
KR20160045485A (ko) * 2014-10-17 2016-04-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장치
JP6390487B2 (ja) 2015-03-27 2018-09-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拘束装置
DE102015004894A1 (de) * 2015-04-16 2015-12-03 Daimler Ag Fensterairbag und Fahrzeug
KR102427805B1 (ko) * 2017-10-11 2022-08-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커튼에어백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8208A (ko) 2005-02-01 2006-08-0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07425A1 (en) 2021-04-15
CN112660062A (zh) 2021-04-16
US11305721B2 (en)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5179B2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取付構造
EP1591323B1 (en) Vehicle having an airbag system
JP6294963B2 (ja) 巻き付け型側面衝突エアバッ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453543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16509977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ためのトップテザー
JP2008056116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7234728B2 (en) Airbag system
WO2009144971A1 (ja) 頭部拘束エアバッグ装置
KR20220068734A (ko) 차량용 루프 에어백
JP6181443B2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6330576B2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5366774B2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JP5478219B2 (ja) エアバッグ
JP7312669B2 (ja) エアバッグ
KR100666624B1 (ko) 커튼 에어백
JP2010052513A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3521765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6872373B2 (ja) エアバッグ
JP2010083240A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1163161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KR100640008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유도구조
KR101695234B1 (ko) 차량용 사이드 커튼 에어백
KR20210044582A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KR101081701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JP2008056121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