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417A - 부품 수용장치 및 생산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품 수용장치 및 생산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417A
KR20220132417A KR1020220019897A KR20220019897A KR20220132417A KR 20220132417 A KR20220132417 A KR 20220132417A KR 1020220019897 A KR1020220019897 A KR 1020220019897A KR 20220019897 A KR20220019897 A KR 20220019897A KR 20220132417 A KR20220132417 A KR 20220132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mponent
case
information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이치 오쿠누키
신이치 타마무라
코이치 이와모토
아츠시 쿠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20132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4Load carriers other than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03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selecting, conveying and possibly reading and/or writ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9Feeding axial lead components, e.g. using vibrating bowls,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6Supply management, e.g. supply of components or of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ulti-Process Working Machines And System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케이스 안에 다수개의 부품을 자동으로 수용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바와 같은 부품 수용장치를 제공한다.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반송부(210)와, 반송부(210)에 의해 반송된 전자부품(50)을 1개씩 자중으로 낙하시키는 배출부(230)와, 배출부(230)로부터 배출되는 전자부품(50)이 케이스(1)의 배출구(개구)(6)에 낙하하도록, 케이스(1)가 위치 결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설치부(240)와, 반송부(210)로부터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의 배출구(6)까지의 사이의 경로 중 임의의 위치에서 전자부품(50)을 검지하는 부품검지부(270)와, 설치부(240)에 설치되는 케이스(1)의 RFID 태그(5)에 대하여 정보의 읽기쓰기를 수행하는 리더 라이터(정보 읽기쓰기부)(243)를 포함하고, 리더 라이터(243)에 의해, 부품검지부(270)에서 검지된 정보가 RFID 태그(5)에 입력된다.

Description

부품 수용장치 및 생산관리 시스템{COMPONENT RECEIVING DEVICE AND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칩 부품 등의 전자부품을 케이스 안에 수용하는 부품 수용장치 및 생산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칩 부품 등의 소형 전자부품을 다수 합쳐서 운반함에 있어서는 전자부품을 분리시킨 상태로 합쳐서 수용하는 상자 형상의 케이스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295618호
다수의 부품을 분리시킨 상태로 수용하는 케이스는 일정 용적 내에 다수의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효율의 점에서 캐리어 테이프 등보다도 효율적이다. 효율화를 촉진시키는 데에는 그와 같은 케이스 안에 다수의 부품을 자동으로 수용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관리를 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케이스 안에 다수의 부품을 자동으로 수용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관리를 할 수 있는 바와 같은 부품 수용장치 및 생산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는 개구를 가지며, RFID 태그가 장착된 케이스 안에 복수개의 부품을 상기 개구로부터 수용하는 부품 수용장치로서, 복수개의 부품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부품을 1개씩 자중으로 낙하시키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부품이 상기 개구에 낙하하도록, 상기 케이스가 위치 결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반송부로부터 상기 설치부에 설치된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까지 사이의 경로 중 임의의 위치에서 부품을 검지하는 부품검지부와,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RFID 태그에 대하여 정보의 읽기쓰기를 수행하는 정보 읽기쓰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읽기쓰기부에 의해, 상기 부품검지부에서 검지된 검지 정보가 상기 RFID 태그에 입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은 상기 본 발명의 부품 수용장치를 포함하는 생산관리 시스템으로서, 부품의 정보가 수용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부품의 정보가 상기 정보 읽기쓰기부를 통해 상기 RFID 태그에 입력되거나, 혹은 읽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 안에 다수의 부품을 자동으로 수용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관리를 할 수 있는 바와 같은 부품 수용장치 및 생산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를 대각선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며, 배출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의 내부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배출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의 내부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배출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를 대각선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며, 배출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에 대응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배출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 및 케이스가 설치되는 설치부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측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가 설치부에 설치되고, 케이스의 배출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측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가 설치부에 설치되고, 케이스의 배출구가 개구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측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스(1)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 관한 도면이다. 부품 수용장치(200)는 케이스(1) 안에 복수개의 부품을 자동으로 수용하는 장치이다. 먼저, 케이스(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케이스(1)를 대각선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케이스(1)는 그 내부에 부품으로서의 전자부품(50)(도 2에 도시)을 분리시킨 상태로 수용한다. 케이스(1)는 피더(100)에 탈착이 가능하게 세팅된다. 한편, 피더(100)는 진동함으로써 케이스(1) 안으로부터 전자부품(50)을 배출시키고, 그 전자부품(50)을 도시하지 않은 실장 장치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부품(50)은 예를 들면 긴 쪽 방향의 길이가 1.2㎜ 이하인 미소(微小)의 직방체상의 전자부품이다. 그와 같은 전자부품으로는 콘덴서나 인덕터 등을 들 수 있는데, 본 실시형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후술할 제2 부재(22)를 떼어낸 케이스(1)의 내부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자부품(50)을 배출하는 배출구(6)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배출구(6)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배출구(6)는 개구의 일례이다. 도 4는 케이스(1)를 대각선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케이스(1)는 케이스 본체(2)와 셔터 부재(3)와 셔터 부재(3)와 일체인 슬라이더(4)와 RFID 태그(5)를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2)는 제1 부재(21) 및 제2 부재(22)를 가진다. 케이스(1)는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가 합체되어서 접합됨으로써, 내부에 수용 공간(S)이 형성되는 용기이다. 케이스 본체(2)는 천판부(天板部)(2U)와 저판부(底板部)(2D)와 앞쪽 벽부(2F)와 뒤쪽 벽부(2B)와 제1 부재(21) 측의 오른쪽 벽부(2R)와, 제2 부재(22) 측의 왼쪽 벽부(2L)를 포함한다. 케이스(1)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이 분리된 상태로 수용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케이스(1)를 피더(100)에 세팅한 상태로 연직방향의 상하가 되는 방향을 케이스(1)의 상하방향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1)에서의, 배출구(6)가 마련된 쪽을 전방, 그 반대쪽을 후방으로 한다. 왼쪽 및 오른쪽과 같은 좌우방향은 케이스(1)를 전방에서 보았을 때의 좌우방향으로 한다. 제1 부재(21)는 오른쪽에 있고, 제2 부재(22)는 왼쪽에 있다.
앞쪽 벽부(2F), 뒤쪽 벽부(2B), 오른쪽 벽부(2R) 및 왼쪽 벽부(2L) 각각은 연직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이다. 천판부(2U) 및 저판부(2D)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판부(板部)이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는 좌우 대칭으로 구성된 제1 부재(21) 및 제2 부재(22)가 합체되고, 서로 접합되어 구성된다. 즉, 제1 부재(21) 및 제2 부재(22) 각각은 좌우로 분할되는 반할체(半割體; half-split body)이다.
케이스 본체(2)는 앞쪽 벽부(2F)의 아래쪽에 배출구(6)를 가진다. 배출구(6)는 실시형태에서는 사각형의 개구부이다. 한편, 배출구(6)는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형, 타원 형상 등의 윤곽을 가진 개구부이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공간(S) 내에서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 사이에 판 부재(7)가 연장된다. 판 부재(7)의 윗면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의 배출구(6)의 아래 가장자리부(6a)를 향해 연장되고, 아래 가장자리부(6a) 측이 가장 아래쪽이 되도록 경사진 경사면(7a)으로 되어 있다. 경사면(7a)의 경사각도(θ)는 케이스(1)가 피더(100)에 세팅된 상태로 수평방향에 대하여 3°~10°가 바람직하고, 5°~7°이면 더 좋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구(6)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3)가 저판부(2D)로부터 앞쪽 벽부(2F)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셔터 부재(3)는 자신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배출구(6)를 개폐한다. 셔터 부재(3)는 저판부(2D)로부터 앞쪽 벽부(2F)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셔터 부재(3)는 가늘고 긴 띠 형상의 필름 부재이다. 셔터 부재(3)는 예를 들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어느 정도 강성을 가지면서 만곡이 가능한 가요성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셔터 부재(3)의 폭은 배출구(6)의 폭보다 약간 크고, 배출구(6)를 빈틈 없이 덮을 수 있는 폭을 가진다.
셔터 부재(3)는 그 전단부(前端部)에 배출구(6)와 대략 동일 형태의 개구부(3a)를 가진다. 개구부(3a)와 배출구(6)가 일치하면 배출구(6)가 개구된다. 셔터 부재(3)가 배출구(6)를 덮으면, 배출구(6)는 셔터 부재(3)에 의해 폐색된다. 한편, 개구부(3a)는 배출구(6)와 동일 형태일 필요는 없고, 배출구(6)를 개구시키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면 된다.
케이스 본체(2)의 앞쪽 벽부(2F)에서의 배출구(6)의 위쪽에는 케이스 본체(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움푹 패인 오목부(61)가 마련된다. 배출구(6) 및 오목부(61)가 마련된 부분의, 앞쪽 벽부(2F)의 두께방향, 즉 좌우방향의 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62)이 좌우 한 쌍의 상태로 마련된다. 셔터 부재(3)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부분 각각이 좌우의 안내 홈(62)에 삽입된다. 셔터 부재(3)는 안내 홈(62)에 안내되어서 앞쪽 벽부(2F)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3)의 후단부에는 원형의 구멍(3b)이 마련된다. 구멍(3b)을 이용하여 슬라이더(4)가 셔터 부재(3)와 일체가 되도록 장착된다. 슬라이더(4)는 직방체상의 부재이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개구하는 아래쪽 개구부(4c)를 가짐과 함께, 전단 판부(4d) 및 후단 판부(4e)를 각각 가진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는 그 상단부에 좌우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플랜지부(4a)를 가진다. 슬라이더(4)가 그 윗면에 볼록부(4b)를 가진다. 볼록부(4b)는 셔터 부재(3)의 구멍(3b)에 끼워 맞춰져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이로써 슬라이더(4)는 셔터 부재(3)와 일체가 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저판부(2D)에는 상방을 향해 움푹 패이며 전후방향으로 긴 오목부(23)가 마련된다. 오목부(23)의 앞면에는 슬릿(24)이 마련된다. 셔터 부재(3)의 후단부는 슬릿(24)을 삽입통과한다. 셔터 부재(3)의 후단부는 슬릿(24)을 지나 오목부(23)의 아랫면을 따라 연장된다. 오목부(23)의 아랫면에는 구덩이(26a) 및 구덩이(26b)가 전후 한 쌍의 상태로 마련된다. 슬라이더(4)의 볼록부(4b)는 구덩이(26a) 및 구덩이(26b) 각각에 끼워맞춤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오목부(23)가 마련된 부분의, 저판부(2D)의 좌우방향 양측의 면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홈부(25)가 각각 마련된다. 좌우의 홈부(25) 각각에 슬라이더(4)의 좌우 플랜지부(4a)가 각각 삽입통과된다. 플랜지부(4a)가 홈부(25)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슬라이더(4)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때, 슬라이더(4)의 슬라이드 범위는 볼록부(4b)가 앞쪽의 구덩이(26a)에 걸어 맞춰지는 위치와 뒤쪽의 구덩이(26b)에 걸어 맞춰지는 위치 사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의 볼록부(4b)가 앞쪽의 구덩이(26a)에 끼워 맞춰졌을 때, 셔터 부재(3)의 개구부(3a)는 오목부(61) 내에 위치하여 배출구(6)와 합치되지 않는다. 이때, 배출구(6)의 전체가 셔터 부재(3)에 의해 폐색되고, 전자부품(50)은 배출구(6)로부터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한편, 셔터 부재(3)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4b)가 뒤쪽의 구덩이(26b)에 끼워 맞춰지면, 셔터 부재(3)의 개구부(3a)는 배출구(6)와 합치된다. 이때, 배출구(6)는 개구되고, 전자부품(50)이 배출구(6)로부터 배출이 가능해진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는 위쪽 파지부(10A) 및 뒤쪽 파지부(10B)를 가진다. 위쪽 파지부(10A)는 케이스 본체(2) 위쪽의 전후 양단에 마련된 전후 한 쌍의 구덩이이다. 뒤쪽 파지부(10B)는 케이스 본체(2) 뒤쪽의 상하 양단에 마련된 상하 한 쌍의 구덩이이다. 위쪽 파지부(10A) 및 뒤쪽 파지부(10B) 각각은 예를 들면 로봇 핸드에 의해 케이스(1)를 운반 등을 할 때 그 로봇 핸드에 파지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에서의 하부로서 상기 오목부(23)에 대강 대응하는 위치에 좌우로 관통하는 관통구멍(9)이 마련된다. 관통구멍(9)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의 구멍이다. 관통구멍(9) 내부의 윗면에 전후방향으로 긴 띠 형상의 RFID 태그(5)가 점착되어 장착된다. RFID 태그(5)는 송수신부, 메모리 및 안테나 등을 가지는 공지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더(100)에는 RFID 태그(5)에 대하여 비접촉으로 정보를 읽고 쓰는 리더 라이터(105)가 배치된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가로 케이스 본체(2)는 저판부(2D)의 바깥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갈고랑이부(8) 및 T자 슬롯부(13)를 가진다.
갈고랑이부(8)는 앞쪽 갈고랑이부(8A)와 뒤쪽 갈고랑이부(8B)를 포함한다. 앞쪽 갈고랑이부(8A) 및 뒤쪽 갈고랑이부(8B)는 동일 형태이며,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고, 하단이 대략 90° 후방으로 굴곡되며, 측면에서 봤을 때 L자 형상을 가지는 판편(板片)이다. 한편, 앞쪽 갈고랑이부(8A)와 뒤쪽 갈고랑이부(8B)는 동일 형태가 아니어도 된다.
T자 슬롯부(13)는 앞쪽 T자 슬롯부(13A)와 뒤쪽 T자 슬롯부(13B)를 포함한다. 앞쪽 T자 슬롯부(13A) 및 뒤쪽 T자 슬롯부(13B)는 모두 정면에서 봤을 때 역T자 형상의 돌기이다. 앞쪽 T자 슬롯부(13A)는 전단부에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테이퍼부(13c)가 형성된다.
피더(100)는 갈고랑이부(8) 및 T자 슬롯부(13) 각각이 탈착이 가능하게 걸어 맞춰져서 케이스(1)를 피더(100)에 세팅할 수 있게 하는 도시하지 않은 걸어맞춤부를 가진다. 상기 걸어맞춤부에 갈고랑이부(8) 및 T자 슬롯부(13) 각각이 걸어맞춰져서 피더(100)에 케이스(1)가 탈착이 가능하게 세팅된다. 이와 같이 피더(100)에 세팅된 케이스(1)에서는 배출구(6)가 개구된 상태로 피더(100)가 진동함으로써, 전자부품(50)이 경사면(7a)을 내려가서 배출구(6)로부터 배출된다. 배출된 전자부품(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실장 장치에 공급된다.
다음으로, 도 5~도 10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부품 수용장치(200)의 개요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VI-VI선에 대응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부품 수용장치(200)는 상술한 케이스(1) 내에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배출구(6)를 통해 수용 공간(S)에 자동으로 수용하는 장치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는 전자부품(50)을 반송하는 반송부(210)와, 반송부(210)로부터 전자부품(50)을 낙하시켜서 배출하는 배출부(230)와, 상술한 케이스(1)가 설치되는 설치부(240)와, 부품검지부(270)를 포함한다.
반송부(210)는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배출부(230)까지 연속적으로 반송한다. 실시형태의 반송부(210)는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직선적으로 연속하여 반송하는 리니어피더(211)와, 리니어피더(211)에 의해 반송되는 복수개의 부품을 1개씩 받고, 회전 동작에 의해 전자부품(50)을 회전시켜서 간헐 반송하는 턴테이블(212)을 가진다.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은 대략 수평으로 설치된 리니어피더(211)에 의해, 일렬로 늘어선 상태로 턴테이블(212)을 향해 반송된다. 리니어피더(211)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진동기에 의해 진동하고, 그 진동에 의해 전자부품(50)을 턴테이블(212)을 향해 화살표(F) 방향으로 순차 반송한다. 전자부품(50)은 후속의 전자부품(50)에 밀리면서 리니어피더(211) 위를 반송되어 간다. 리니어피더(211)는 턴테이블(212)의 회전 중심을 향해 연장되고, 그 종단부는 턴테이블(212)의 바깥둘레 가장자리 근방에 도달한다.
턴테이블(212)은 수평으로 설치되는 원반 형상의 회전 부재이다. 턴테이블(212)의 재질은 세라믹, 유리 에폭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턴테이블(212)은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213)을 통해 기대(基臺)(214) 상에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턴테이블(212)은 회전축(213)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원(217)에 의해, 회전축(213)을 중심으로 하여 도 5 중의 화살표(R)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한다. 턴테이블(212)의 바깥둘레 가장자리에는 바깥둘레 측으로 개구하는 복수개의 컷아웃(cutout)(215)이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1개의 컷아웃(215)의 내부에 1개의 전자부품(50)이 수용된다. 한편, 턴테이블(212)의 회전 방향은 도 5 중의 R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이 R방향의 역방향이어도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턴테이블(212)은 기대(214)의 윗면(216)에 배치된다. 컷아웃(215)은 턴테이블(212)의 외주면(外周面) 측 및 상하의 면에 개구된다. 턴테이블(212)은 그 내부에 각 컷아웃(215)으로 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 흡인 통로를 포함한다. 이 공기 흡인 통로는 각 컷아웃(215)의 안쪽의 면에 개구된다. 공기 흡인 통로는 버큠펌프 등의 흡인원에 연통되고, 이 흡인원이 작동함으로써 컷아웃(215) 내의 공기가 안쪽의 면에 흡인되어 부압(負壓) 상태가 된다. 이로써, 컷아웃(215)에 수용되는 전자부품(50)은 안쪽의 면에 부압작용으로 흡착되고, 컷아웃(215) 내에 유지된다.
리니어피더(211)에 의해 턴테이블(212) 근방으로 반송된 전자부품(50)은 간헐 회전하는 턴테이블(212)의 복수개의 컷아웃(215) 각각에 측방으로부터 1개씩 수용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안쪽의 면에 흡착되어 유지된다. 컷아웃(215)에 수용 및 유지된 전자부품(50)은 턴테이블(212)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R)방향으로 배출부(230)까지 간헐적으로 반송된다. 컷아웃(215)에 수용된 전자부품(50)은 기대(214)의 윗면(216) 위를 이동한다.
배출부(230)는 턴테이블(212)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상세한 내용은 배출부(230)는 턴테이블(212)의 컷아웃(215)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원형상의 반송 경로에 배치된다. 배출부(230)는 리니어피더(211)로부터 턴테이블(212)로 옮겨가는 부분에 대하여 대체로 270°의 회전각도 위치에 배치된다. 배출부(230)는 턴테이블(212)에 의해 반송된 전자부품(50)을,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의 배출구(6)에 1개씩 자중(自重)으로 낙하시키는 부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부(230)는 원통 부재(231)와 압하 핀(236)을 포함한다. 배출부(230)에서, 턴테이블(212)의 바로 아래 부분에는 턴테이블(212)의 컷아웃(215)에 대응하는 통과 구멍(218)이 마련된다. 통과 구멍(218)은 전자부품(50)이 통과하는 크기를 가진다. 또한, 배출부(230)에는 컷아웃(215) 안으로의 공기 흡인에 의한 전자부품(50)의 흡착 유지를 해제하는 도시하지 않은 흡인 해제 기구가 마련된다. 흡인 해제 기구로는 예를 들면 공기를 분출시켜서, 흡인된 공기의 흐름을 멈추거나 약화시키는 기구로 충분하다. 턴테이블(212)이 회전하여 컷아웃(215)이 통과 구멍(218)에 합치되면, 상기 흡인 해제 기구에 의해 컷아웃(215) 내에서의 전자부품(50)의 유지가 해제되고, 그때까지 기대(214)의 윗면(216) 위를 이동해 온 전자부품(50)이 컷아웃(215)으로부터 통과 구멍(218)으로 낙하되며, 추가로 통과 구멍(218)을 지나 원통 부재(231)의 내부로 낙하된다.
한편, 위쪽 통부(233)의 내경은 전자부품(50)의 긴 쪽 방향 치수보다 크고, 또한 아래쪽 통부(234)의 내경은 전자부품(50)의 긴 쪽 방향치수보다 크면서 위쪽 통부(233)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통과 구멍(218)을 통과하여 낙하하는 전자부품(50)은 깔때기 형상을 가지는 원통 부재(231)의 내부를 통과함으로써 케이스(1)의 배출구(6)로 인도된다. 원통 부재(231)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 내경이 지름 확대되는 역원추 형상의 위쪽 통부(233)와, 위쪽 통부(233)의 하단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아래쪽 통부(234)를 가진다. 위쪽 통부(233)와 아래쪽 통부(234)는 일체이다. 통과 구멍(218)을 통과하는 전자부품(50)은 위쪽 통부(233)의 내측으로 낙하하여 아래쪽 통부(234)의 내부에 이르고, 아래쪽 통부(234)의 내부를 지나 낙하한다. 전자부품(50)은 원통 부재(231)의 내면(232)에 접촉하면서 미끄러져 떨어져 가는 경우가 있다.
마찰에 의해 생기는 정전기에 의해 전자부품(50)이 전기적인 파손을 받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원통 부재(231)의 적어도 내면(232)은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부품(50)이 원활하게 미끄러 떨어지도록, 원통 부재(231)의 내면(232)은 평활한 저(低)마찰면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불소 수지 등의 수지로 표면 가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부(230)에는 컷아웃(215)으로부터 전자부품(50)을 강제적으로 낙하시키는 압하 핀(236)이 마련된다. 압하 핀(236)은 통과 구멍(218)과 합치되는 컷아웃(215)의 상방 위치에 배치된다. 압하 핀(236)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 부재이며, 도시하지 않은 액츄에이터 등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구동된다. 압하 핀(236)이 하방으로 구동되면, 컷아웃(215) 내의 전자부품(50)이 하방으로 밀리고, 통과 구멍(218)을 지나 원통 부재(231)의 내부로 낙하된다. 압하 핀(236)으로 밀림으로써, 전자부품(50)은 컷아웃(215) 내에 걸리지 않고 확실하게 컷아웃(215)으로부터 벗어나서 낙하한다.
한편, 압하 핀(236)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공기의 흐름으로 전자부품(50)을 컷아웃(215)으로부터 낙하시키는 공기류 발생부(237)를 배출부(230)에 마련해도 된다. 그와 같은 공기류 발생부(237)로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에 상방으로부터 공기를 내뿜어서 낙하시키거나, 혹은 측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전자부품(50)을 낙하시키는 기능을 포함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추가로 배출부(230)에는 상기 배출부(230)를 지나는 전자부품(50)의 경로를 청정화하는 청정부(238)가 마련된다. 상세하게는 청정부(238)는 압하 핀(236)의 상방에 배치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 기구로 구성된다. 청정부(238)에 의해 공기가 흡입됨으로써 컷아웃(215), 통과 구멍(218) 및 원통 부재(231)의 내부인 전자부품(50) 경로의 공기가 흡입된다. 이로써, 상기 경로에 존재하는 파편이나 먼지 등이 청정부(238)에 흡입되어 청정화된다.
한편, 청정부(238)는 공기를 분출시켜서 파편이나 먼지 등을 날려버림으로써 전자부품(50)의 경로를 청정화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 경우, 케이스(1) 내에 파편이나 먼지 등이 파고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셔터 부재(3)에 의해 배출구(6)를 닫은 상태로 작동시키면 된다.
도 8은 설치부(240)에 케이스(1)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케이스(1)는 배출부(230)로부터 배출되는 전자부품(50)이 배출구(6)에 낙하되도록 위치 결정된 상태로 설치부(240)에 설치된다. 케이스(1)는 케이스(1)의 전후 방향을 연직방향을 따른 상태, 즉 수직 상태로 설치부(240)에 설치된다.
설치부(240)는 벽부(241)와, 벽부(241)에 케이스(1)를 수직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부(250)와, 케이스(1)의 셔터 부재(3)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260)를 가진다.
벽부(241)는 대략 연직방향을 따른 면인 벽면(241a)을 가진다.
유지부(250)는 벽면(241a)으로부터 돌출된 상하 한 쌍의 후크부, 즉 위쪽 후크부(251)와 아래쪽 후크부(252)를 포함한다. 위쪽 후크부(251) 및 아래쪽 후크부(252)는 동일 형태이며, 선단이 대략 90° 상방으로 굴곡되고, 측면에서 봤을 때 L자 형상을 가지는 판편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 후크부(251)에 케이스(1)의 앞쪽 갈고랑이부(8A)가 상방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게 걸어 맞춰지고, 아래쪽 후크부(252)에 케이스(1)의 뒤쪽 갈고랑이부(8B)가 상방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게 걸어 맞춰진다. 이로써, 케이스(1)는 배출구(6)가 상방을 향하면서 전후방향, 즉 길이방향이 벽면(241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상태로 유지부(250)에 탈착이 가능하게 유지된다. 케이스(1)의 저판부(2D)가 극간을 두고 벽면(241a)과 평행하게 대향한다. 한편, 위쪽 후크부(251)와 아래쪽 후크부(252)는 동일 형태가 아니어도 된다.
벽부(241)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벽면(241a) 측으로 개구되는 오목한 부분(242)이 형성된다. 이 오목한 부분(242) 내에 셔터 부재(3)를 슬라이딩시키는 개폐 기구(260)가 배치된다. 개폐 기구(260)는 오목한 부분(242)의 바닥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된 구동 핀(261)을 가진다. 구동 핀(261)의 선단부는 벽면(241a)으로부터 돌출된다. 구동 핀(261)은 예를 들면 오목한 부분(242)의 바닥면에 마련된 가이드 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액츄에이터 등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왕복 구동된다. 벽부(241)의 오목한 부분(242)에는 RFID 태그(5)에 대하여 정보를 읽고 쓰는 리더 라이터(243)가 배치된다. 리더 라이터(243)는 정보 읽기쓰기부의 일례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250)에 유지된 케이스(1)의 슬라이더(4)에 구동 핀(261)이 걸어 맞춰진다. 도 9에 나타내는 케이스(1)의 셔터 부재(3)는 전방(도 9에서는 상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더(4)의 볼록부(4b)가 앞쪽의 구덩이(26a)에 끼워 맞춰지고, 배출구(6)가 셔터 부재(3)에 의해 폐색된다. 한편, 구동 핀(261)은 상방으로 이동된다. 구동 핀(261)이 상방에 위치할 때에 배출구(6)가 셔터 부재(3)로 폐색된 케이스(1)를 유지부(250)에 유지하면, 구동 핀(261)은 도 4에 나타낸 슬라이더(4)의 아래쪽 개구부(4c)에 삽입되고, 전단 판부(4d)와 후단 판부(4e) 사이에 위치 지어진다.
이 상태로부터 도 9에서 구동 핀(261)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구동 핀(261)은 슬라이더(4)의 후단 판부(4e)에 접촉하고, 슬라이더(4)를 하방으로 밀어서 슬라이딩시킨다. 슬라이더(4)가 하방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셔터 부재(3)는 케이스(1)에서의 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그러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의 볼록부(4b)가 뒤쪽의 구덩이(26b)에 끼워 맞춰지고, 셔터 부재(3)의 개구부(3a)가 케이스(1)의 배출구(6)에 합치되어 배출구(6)가 개구된다. 이 상태로부터 구동 핀(261)이 상방으로 되돌아오면, 구동 핀(261)은 슬라이더(4)의 전단 판부(4d)에 접촉하고, 슬라이더(4)를 상방으로 밀어서 슬라이딩시킨다. 슬라이더(4)가 상방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셔터 부재(3)는 케이스(1)에서의 전방으로 슬라이딩하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4b)가 앞쪽의 구덩이(26a)에 끼워 맞춰지며, 개구부(3a)가 셔터 부재(3)로 닫힌다.
부품검지부(270)는 반송부(210)로부터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의 배출구(6)까지의 사이의 전자부품(50)의 경로 중 임의의 위치에서 전자부품(50)을 검지한다. 실시형태의 부품검지부(270)는 도 5에 나타내는 리니어피더(211)의 측방의 소정위치에 배치된 제1 부품검지부(271)와, 턴테이블(212)에 배치된 제2 부품검지부(272) 및 제3 부품검지부(273)와, 도 7에 나타내는 배출부(230)에 마련된 제4 부품검지부(274)를 포함한다.
제1 부품검지부(271)는 리니어피더(211)로 반송되는 전자부품(50)을 정위치에서 검지한다. 제2 부품검지부(272)는 턴테이블(212)의 반송 경로에서의 상류 측에 배치된다. 제3 부품검지부(273)는 턴테이블(212)의 반송 경로에서의 제2 부품검지부(272)의 하류 측에 배치된다.
제1 부품검지부(271), 제2 부품검지부(272) 및 제3 부품검지부(273) 각각은 전자부품(50)에 관한 임의의 사항에 대해 검지한다. 제1 부품검지부(271)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이 통과된 것을 검지하고, 전자부품(50)의 통과 수를 카운트하는 통과검지부로서의 카운터 기능을 가진다. 제2 부품검지부(272)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의 형상을 검지하고, 검지된 형상으로부터 전자부품(50)에 형상적인 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형상검지부로서의 이미지 센서이다. 제3 부품검지부(273)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의 성능을 검지하는 성능검지부로서 기능한다. 상기 성능검지부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이 콘덴서인 경우, 기능으로서의 정전 용량이 규정 값을 가지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정전 용량 센서 등이 적용된다.
제4 부품검지부(274)는 원통 부재(231)의 상류 측과 하류 측 각각의 위치에 배치된 상류 측 통과검지부(275)와 하류 측 통과검지부(276)를 포함한다. 상류 측 통과검지부(275)는 원통 부재(231)의 상류 측이며, 통과 구멍(218)을 통과하여 원통 부재(231)로 들어가는 전자부품(50)의 통과 수를 카운트하는 통과검지부로서의 카운터 기능을 가진다. 상류 측 통과검지부(275)는 발광소자(275a) 및 수광소자(275b)로 구성되는 공지의 광 센서가 사용된다. 하류 측 통과검지부(276)는 원통 부재(231)의 하류 측이며, 원통 부재(231)를 통과하여 케이스(1)의 배출구(6)로 들어가는 전자부품(50)의 통과 수를 카운트하는 통과검지부로서의 카운터 기능을 가진다. 하류 측 통과검지부(276)도 상류 측 통과검지부(275)와 마찬가지이며, 발광소자(276a) 및 수광소자(276b)로 구성되는 공지의 광 센서가 사용된다. 한편, 광 센서로는 발광한 광의 반사를 대상물로부터 수광하는 형식이며,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가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된 것이어도 된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하여 전자부품(50)이 케이스(1)에 수용된다.
전자부품(50)은 리니어피더(211)에 의해 1개씩 턴테이블(212)에 반송된다. 제1 부품검지부(271)에 의해 전자부품(50)은 검지된다. 제1 부품검지부(271)에서는 예를 들면 반송되는 전자부품(50)의 수가 카운트된다. 리니어피더(211)로부터 1개의 전자부품(50)이 간헐 회전 중인 턴테이블(212)의 컷아웃(215)에 수용된다. 턴테이블(212)의 간헐 회전 중에 컷아웃(215) 중의 전자부품(50)은 제2 부품검지부(272) 및 제3 부품검지부(273)에 의해 검지된다.
제2 부품검지부(272)에서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의 형상을 검지하고, 검지된 형상으로부터 전자부품(50)에 형상적인 결함이 있는지 여부가 검지된다. 제3 부품검지부(273)에서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의 성능이 검지된다. 제2 부품검지부(272) 및 제3 부품검지부(273)에서 검지에 의해 불량품이라고 판단되면, 그 전자부품(50)은 턴테이블(212)로부터 배제된다.
전자부품(50)은 턴테이블(212)에 의해 1개씩 배출부(230)에 반송된다. 배출부(230)에서는 컷아웃(215)이 통과 구멍(218)에 합치됨과 동시에 압하 핀(236)이 하강하여 전자부품(50)을 하방으로 민다. 전자부품(50)은 컷아웃(215)으로부터 통과 구멍(218)으로 낙하하고, 또한 통과 구멍(218)을 지나 원통 부재(231)의 내부로 들어가며, 원통 부재(231) 안을 낙하하여 케이스(1)의 배출구(6)로부터 케이스(1) 안으로 낙하하여 수용된다. 이때, 제4 부품검지부(274)의 상류 측 통과검지부(275)에 의해, 컷아웃(215)으로부터 낙하된 전자부품(50)이 원통 부재(231)로 들어가는 것이 검지되고, 하류 측 통과검지부(276)에 의해, 원통 부재(231)로부터 낙하된 전자부품(50)이 케이스(1)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검지된다.
이상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서,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이 케이스(1) 안에 수용된다. 리니어피더(211)로 반송하는 중에 제1 부품검지부(271)에 의해 전자부품(50)의 반송 수가 카운트된다. 또한, 상류 측 통과검지부(275) 및 하류 측 통과검지부(276)를 포함하는 제4 부품검지부(274)에 의해, 컷아웃(215)으로부터 낙하된 전자부품(50)이 최종적으로 케이스(1) 안에 수용된 전자부품(50)의 수가 카운트된다. 케이스(1) 안에 수용된 전자부품(50)의 수가 소정 수에 도달하면 반송부(210)에 의한 전자부품(50)의 반송이 중단되고, 설치부(240)에 새로운 빈 케이스(1)가 갈아 끼워진 후, 케이스(1)로 전자부품(50) 수용이 재개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모리(310) 및 서버(320)를 더 포함한다. 도 11은 부품 수용장치(200)가 포함하는 정보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생산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서버(320)는 기억장치의 일례이다. 메모리(310)에, 부품검지부(270)에 의한 검지 정보가 입력된다. 메모리(310) 안에 입력된 검지 정보는 서버(320)에 보존된다. 서버(320)에는 그 검지 정보와, 케이스(1)에 장착된 RFID 태그(5)에 대응하는 ID가 보존된다. 또한, 서버(320)는 추가로 부품 수용장치(200)의 가공 조건을 포함해도 된다. 가공 조건이란, 전자부품(50)의 선별 범위나 수용되는 부품의 수 등이다. 서버(320)는 부품 수용장치(200)가 포함하는 다른 구성과 함께 공장 등의 시설 중에 배치되거나, 그 시설 이외의 임의의 장소에 배치된다. 혹은 서버(320)는 인터넷상의 클라우드이어도 된다.
제1 부품검지부(271)가 전자부품(50)의 통과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통과검지부)인 경우, 전자부품(50)의 통과 기록이 메모리(310)에 차례로 입력된다. 서버(320)에는 통과한 전자부품(50)의 개수가 정보로서 공급되어 보존된다.
제2 부품검지부(272)가 전자부품(50)의 형상을 검지하여 형상적인 결함을 검지하는 이미지 센서(형상검지부)인 경우, 불량품이 검지되었을 때에 그 정보가 메모리(310)에 입력됨과 함께 서버(320)에 공급되어 보존된다.
제3 부품검지부(273)가 전자부품(50)의 성능을 검지하는 성능검지부인 경우, 전자부품(50)의 성능정보가 메모리(310)에 입력됨과 함께 서버(320)에 공급되어 보존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이 콘덴서인 경우, 기능으로서의 정전 용량이 규정 값을 가지지 않음이 검지된 것이 정보로서 공급된다. 혹은, 검지되는 정전 용량에 기초하여 반송되는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의 정전 용량의 분포가 정보로서 공급된다.
제4 부품검지부(274)에서는 상류 측 통과검지부(275) 및 하류 측 통과검지부(276)에 의한 전자부품(50)의 통과 유무가 정보로서 메모리(310)에 차례로 입력됨과 함께 서버(320)에 공급되어 보존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는 장치 자신에게 장치번호가 부여되고, 그 장치번호가 메모리(310)에 보존된다. 또한, 부품 수용장치(200)가 이전에 고장난 경우, 고장 횟수가 고장 이력정보로서 메모리(310)에 입력됨과 함께 서버(320)에 공급되어 보존된다.
실시형태의 부품 수용장치(200)에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케이스(1)의 RFID 태그(5)에 대하여 상술한 각종 정보가 리더 라이터(243)에 의해 읽혀지고 쓰여진다. 한편, 케이스(1)의 RFID 태그(5)에는 그 케이스(1)의 번호(케이스 번호)나, 케이스(1)가 비어서 전자부품(50)을 이제부터 수납할 수 있는 케이스라고 하는 것과 같은 임의의 정보가 도시하지 않은 리더 라이터 등에 의해 입력되어도 된다.
케이스(1)가 설치부(240)의 유지부(250)에 유지되어서 전자부품(50)의 수용이 개시될 때, 설치부(240)의 리더 라이터(243)에 의해, RFID 태그(5)에 입력된 케이스(1)에 관한 정보가 읽혀진다. 케이스(1)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상술한 케이스 번호나 케이스(1)가 비었는지 여부와 같은 정보 등이다. 또한, 케이스(1)가 설치부(240)에 설치되면, 부품 수용장치(200)의 장치번호 및 고장 이력의 정보가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의 RFID 태그(5)에 입력된다.
케이스(1) 안으로의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의 수용이 개시된다.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부(210)로부터 배출부(230)를 거쳐,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 안에 연속적으로 수용된다. 이 전자부품(50)의 수용 과정에서 제1 부품검지부(271), 제2 부품검지부(272), 제3 부품검지부(273) 및 제4 부품검지부(274) 각각의 검지부에서 검지된 상술한 전자부품(50)에 관한 검지 정보가 메모리(310)에 입력됨과 함께, 서버(320)에 공급되어서 보존된다.
리더 라이터(243)에 의해 RFID 태그(5)를 읽어내서 서버(320)에 보존된 부품 수용장치(200)의 장치번호는 케이스(1)의 케이스 번호가 입력된 RFID 태그(5)에 대응하는 ID와 함께 서버(320)에 보존된다. 또한, 제1 부품검지부(271), 제2 부품검지부(272), 제3 부품검지부(273) 및 제4 부품검지부(274) 각각에서 검지된 상술한 전자부품(50)에 관한 검지 정보는 케이스(1)의 RFID 태그(5)에 대응하는 ID와 함께 서버(320)에 보존된다.
이와 같이 하여, 케이스(1) 안으로 전자부품(50)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부품검지부(270)에 의한 전자부품(50)에 관한 검지 신호가 서버(320)에 보존된다. 케이스(1) 안으로 소정 수의 전자부품(50)의 수용이 완료되면, 필요에 따라 서버(320)에 보존된 전자부품(50)에 관한 각종 정보가 메모리(310)를 통해 리더 라이터(243)에 공급되고, 리더 라이터(243)로부터 RFID 태그(5)에 입력된다. 즉, ID와 링크되는 서버(320)로 공유된 전자부품(50)에 관한 각종 정보가 RFID 태그(5)에 입력된다.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이 콘덴서인 경우, 성능검지부로서의 제3 부품검지부(273)에 의해 검지된 콘덴서의 정전 용량의 분포 데이터가 리더 라이터(243)로부터 RFID 태그(5)에 입력된다. 이로써, RFID 태그(5) 안의 정보를 읽어냄으로써 케이스(1) 안의 전자부품(50)의 정전 용량의 분포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 따르면, 케이스(1) 안에 수용된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의 각종 정보를 RFID 태그(5)로 읽어낼 수 있음과 함께, 각종 정보를 서버(320)에 의해 외부에서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 안에 전자부품(50)을 수용한 부품 수용장치(200)의 장치번호를 특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부품관리를 수행하면서 케이스(1) 안에 전자부품(50)을 수용할 수 있다.
한편, 실시형태에서 서버(320)에 공급하는 상술한 각종 정보는 일례이며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부품(50)의 로트 번호, 부품 수용장치(200)가 배치되는 공장번호, 제조에 관한 날짜(제조일, 케이스(1)로의 수용일 등), 벤더 번호 등, 취급하는 정보는 임의이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가 발휘된다.
1)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는 개구로서의 배출구(6)를 가지며, RFID 태그(5)가 장착된 케이스(1) 안에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배출구(6)로부터 수용하는 부품 수용장치로서, 복수개의 전자부품(50)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반송부(210)와, 반송부(210)에 의해 반송된 전자부품(50)을 1개씩 자중으로 낙하시키는 배출부(230)와, 배출부(230)로부터 배출되는 전자부품(50)이 배출구(6)에 낙하하도록, 케이스(1)가 위치 결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설치부(240)와, 반송부(210)로부터 설치부(240)에 설치된 케이스(1)의 배출구(6)까지의 사이의 경로 중 임의의 위치에서 전자부품(50)을 검지하는 부품검지부(270)와, 설치부(240)에 설치되는 케이스(1)의 RFID 태그(5)에 대하여 정보의 읽기쓰기를 수행하는 정보 읽기쓰기부로서의 리더 라이터(243)를 포함하고, 리더 라이터(243)에 의해 부품검지부(270)로 검지된 검출 정보가 RFID 태그(5)에 입력된다.
이로써, 케이스(1) 안에 다수개의 전자부품(50)을 자동으로 또한 부품관리를 수행하면서 수용할 수 있다.
(2)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서는 기억장치로서의 서버(320)를 추가로 가지며, 서버(320)에는 부품검지부(270)에 의한 검지 정보와, RFID 태그(5)에 대응하는 ID가 보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외부에서 서버(320)를 통해 케이스(1)나 수용된 전자부품(50)의 각종 검지 정보를 ID와 대응시켜 확인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3)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서는 부품검지부(270)는 전자부품(50) 통과의 유무를 검지하는 통과검지부이며, 통과검지부에 의한 전자부품(50)의 통과 유무의 정보가 RFID 태그(5)에 리더 라이터(243)로부터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반송부(210)에서의 전자부품(50)의 통과 수를 검지하여, 케이스(1) 안으로 전자부품(50)이 수용된 수를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4)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서는 부품검지부(270)는 전자부품(50)의 형상을 검지하는 형상검지부(예를 들면, 제2 부품검지부(272))를 포함하고, 형상검지부에 의한 전자부품(50)의 형상에 기초한 불량품 정보가 RFID 태그(5)에 리더 라이터(243)로부터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케이스(1)에 불량품이 수용된 것을 RFID 태그(5)를 읽어냄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5)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서는 부품검지부(270)는 부품의 성능을 검지하는 성능검지부(예를 들면, 제3 부품검지부(273))를 포함하고, 성능검지부에 의한 전자부품(50)의 성능 정보가 RFID 태그(5)에 리더 라이터(243)로부터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케이스(1)에 수용되는 전자부품(50)의 성능을 RFID 태그(5)를 읽어냄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6)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서는 부품 수용장치(200) 자신에게 장치 고유의 장치번호가 부여되고, 그 장치번호가 정보로서 RFID 태그(5)에 리더 라이터(243)로부터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자부품(50)이 어느 부품 수용장치(200)에 의해 케이스(1)에 수용되었는지를 RFID 태그(5)를 읽어냄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7) 실시형태에 따른 부품 수용장치(200)에서는 부품 수용장치(200)의 고장 이력이 정보로서 RFID 태그(5)에 리더 라이터(243)로부터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자부품(50)을 수용한 부품 수용장치(200)의 고장 이력을 RFID 태그(5)를 읽어냄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8) 실시형태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은 부품 수용장치(200)를 포함하는 생산관리 시스템으로서, 전자부품(50)의 정보가 수용되는 서버(320)를 포함하고, 서버(320)로부터 전자부품(50)의 정보가 리더 라이터(243)를 통해 RFID 태그(5)에 입력되거나 혹은 읽혀진다.
이로써, 외부로부터 서버(320)를 통해 전자부품(50)의 각종 정보를 확인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이상,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1: 케이스 5: RFID 태그
6: 배출구(개구) 50: 전자부품(부품)
200: 부품 수용장치 210: 반송부
230: 배출부 240: 설치부
243: 리더 라이터(정보 읽기쓰기부) 270: 부품검지부
271: 제1 부품검지부(통과검지부) 272: 제2 부품검지부(형상검지부)
273: 제3 부품검지부(성능검지부) 274: 통과검지부
320: 서버(기억장치)

Claims (8)

  1. 개구를 가지며, RFID 태그가 장착된 케이스 안에 복수개의 부품을 상기 개구로부터 수용하는 부품 수용장치로서,
    복수개의 부품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부품을 1개씩 자중(自重)으로 낙하시키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부품이 상기 개구에 낙하하도록, 상기 케이스가 위치 결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반송부로부터 상기 설치부에 설치된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까지의 사이의 경로 중 임의의 위치에서 부품을 검지하는 부품검지부와,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RFID 태그에 대하여 정보의 읽기쓰기를 수행하는 정보 읽기쓰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읽기쓰기부에 의해, 상기 부품검지부에서 검지된 검지 정보가 상기 RFID 태그에 입력되는, 부품 수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억장치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기억장치에는 상기 검지 정보와, 상기 RFID 태그에 대응하는 ID가 보존되는, 부품 수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검지부는 부품의 통과 유무를 검지하는 통과검지부이며,
    상기 통과검지부에 의한 부품의 통과 유무의 정보가 상기 RFID 태그에 상기 정보 읽기쓰기부로부터 입력되는, 부품 수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검지부는 부품의 형상을 검지하는 형상검지부이며,
    상기 형상검지부에 의한 부품의 형상에 기초한 불량품 정보가 상기 RFID 태그에 상기 정보 읽기쓰기부로부터 입력되는, 부품 수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검지부는 부품의 성능을 검지하는 성능검지부이며,
    상기 성능검지부에 의한 부품의 성능 정보가 상기 RFID 태그에 상기 정보 읽기쓰기부로부터 입력되는, 부품 수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수용장치 자신에게 장치 고유의 장치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장치번호가 상기 정보로서 상기 RFID 태그에 상기 정보 읽기쓰기부로부터 입력되는, 부품 수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수용장치의 고장 이력이 상기 정보로서 상기 RFID 태그에 상기 정보 읽기쓰기부로부터 입력되는, 부품 수용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품 수용장치를 포함하는 생산관리 시스템으로서,
    부품의 정보가 수용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부품의 정보가 상기 정보 읽기쓰기부를 통해 상기 RFID 태그에 입력되거나 혹은 읽혀지는, 생산관리 시스템.
KR1020220019897A 2021-03-23 2022-02-16 부품 수용장치 및 생산관리 시스템 KR202201324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48544 2021-03-23
JP2021048544A JP7405111B2 (ja) 2021-03-23 2021-03-23 部品収容装置及び生産管理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417A true KR20220132417A (ko) 2022-09-30

Family

ID=8332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897A KR20220132417A (ko) 2021-03-23 2022-02-16 부품 수용장치 및 생산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405111B2 (ko)
KR (1) KR20220132417A (ko)
CN (1) CN115106311A (ko)
TW (1) TWI8065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266A1 (ja) * 2022-10-28 2024-05-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収納体及び電子部品収納体梱包体
WO2024090267A1 (ja) * 2022-10-28 2024-05-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収納体及び電子部品収納体梱包体
WO2024095749A1 (ja) * 2022-10-31 2024-05-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収納体及び電子部品収納体梱包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5618A (ja) 2008-06-02 2009-12-17 Taiyo Yuden Co Ltd バルクフィーダ用の部品補充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7302A (ja) * 1988-03-29 1989-10-03 Fuji Electric Co Ltd 集品装置
JP2570421B2 (ja) * 1989-05-26 1997-01-08 富士電機株式会社 パレット上の物品情報記憶装置
JP2002347931A (ja) 1995-06-09 2002-12-04 Yuyama Manufacturing Co Ltd 医薬品類の供給方法及び装置
JP2002243654A (ja) 2001-02-09 2002-08-28 Tohan Denshi Kiki Kk 製品検査装置及び該製品検査装置を用いた製品検査方法
TW523098U (en) * 2001-10-17 2003-03-01 All Ring Tech Co Ltd Improved testing plate structure of chip testing machine
JP2015505516A (ja) * 2012-02-07 2015-02-23 イスメカ セミコンダクター ホールディング エス アーIsmeca Semiconductor Holding Sa 部品仕分け用装置
JP5949141B2 (ja) 2012-05-21 2016-07-06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情報管理支援システム
CN104062302B (zh) * 2014-05-12 2016-10-26 双峰格雷斯海姆医药玻璃(丹阳)有限公司 玻璃瓶在线检测系统
JP6648681B2 (ja) 2016-12-16 2020-02-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部品搬送装置
CN106862104A (zh) * 2017-03-30 2017-06-20 江苏理工学院 汽车零件通孔尺寸自动检测装置
CN207001710U (zh) * 2017-07-31 2018-02-13 苏州迈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片全自动分选机
CN208700068U (zh) * 2018-05-02 2019-04-05 顺丰科技有限公司 一种分拣打包设备
CN109284798B (zh) * 2018-09-25 2021-07-27 长城信息股份有限公司 立式异形卡发放装置及其应用的异形卡自助设备
EP3943419B1 (en) * 2018-10-25 2024-04-03 Kuo-Cheng Huang Dynamic storage apparatus and dynamic storage and taking management method
TWI697069B (zh) * 2018-12-26 2020-06-21 萬潤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元件輸送方法及裝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5618A (ja) 2008-06-02 2009-12-17 Taiyo Yuden Co Ltd バルクフィーダ用の部品補充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47343A (ja) 2022-10-06
TWI806504B (zh) 2023-06-21
CN115106311A (zh) 2022-09-27
JP7405111B2 (ja) 2023-12-26
TW202239320A (zh) 2022-10-01
TW202339605A (zh) 202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32417A (ko) 부품 수용장치 및 생산관리 시스템
JP7371654B2 (ja) 部品収容装置
CN107535083B (zh) 供料器的管理装置
CN106358437B (zh) 部件供给装置以及部件安装系统和部件安装方法
JP7415996B2 (ja) 部品収容装置
JP7435515B2 (ja) 部品収容装置
TWI843577B (zh) 零件收容裝置及生產管理系統
JP7400762B2 (ja) 部品収容装置
TWI843065B (zh) 零件收容裝置
TWI844348B (zh) 零件收容裝置
JP6805266B2 (ja) 部品供給システム
JP2022090125A (ja) フィーダ
JP7113187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装着システムならびに部品装着方法
WO2023281927A1 (ja) 部品収容装置
JP7113188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装着システムならびに部品装着方法
JP7108817B2 (ja) 部品供給装置
JP2021044579A (ja) 部品供給システム
JP2021150352A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管理システム
JP2000077894A (ja) 実装部品補給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