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355A - 진동 충격 방지용 자동차 시트 - Google Patents

진동 충격 방지용 자동차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355A
KR20220132355A KR1020210037567A KR20210037567A KR20220132355A KR 20220132355 A KR20220132355 A KR 20220132355A KR 1020210037567 A KR1020210037567 A KR 1020210037567A KR 20210037567 A KR20210037567 A KR 20210037567A KR 20220132355 A KR20220132355 A KR 20220132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ibration
floor panel
vehicl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전필근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37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2355A/ko
Publication of KR20220132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2Seat suspension devices attached to the base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2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flui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4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mechanica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와 플로어 패널 사이에 제진기를 장착하여 일체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플로어 패널을 통해 자동차 시트로 전해지는 진동을 제진기에서 흡수할 수 있게 하여 안전하면서도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특히, 앞좌석과 같이 쿠션의 위치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시트 트랙을 갖춘 자동차 시트일 때는, 제진기를 시트 트랙과 플로어 패널 사이에 장착함으로써, 이러한 자동차 시트의 위치 조절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플로어 패널을 통해 전해지는 진동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쿠션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의 제진기를 장착함으로써, 쿠션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체중을 고려하여 진동 충격을 충분하게 흡수할 수 있게 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 충격 방지용 자동차 시트{SEAT FOR VEHICLES TO PREVENT VIBRATION IMP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에 여러 개의 제진기를 장착함으로써, 자동차가 주행할 때 발생한 진동 충격이나 외부 요인으로 인해 생기는 진동 충격을 제진기로 흡수하게 하여 안전하고 쾌적하게 주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제진기는 탑승자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시트 트랙이 있을 때는, 시트 트랙과 플로어 패널 사이에 제진기를 장착함으로써, 탑승자의 자세 조절에 불편을 주지 않게 하면서도 진동 흡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쿠션(C)과 등받이(B)로 구성되며, 자동차의 앞좌석 시트는 등받이(B)의 젖힘 각도나 쿠션(C)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자동차 시트는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여 제작하고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17268호
종래의 유·아동용 카시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시트에 내장되는 유·아동용 카시트와, 유·아동의 신체에 맞추어 조절이 가능하며, 조절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사고발생 시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 내장형 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에 유·아동이 방치되어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카시트에 구비된 무게센서를 통해 차량내부에 유·아동이 있다는 경고음 등을 발생시키는 차량 내장형 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차량 좌석에 내장되는 카시트에 있어서, 차량 좌석에 수용되며 각도조절이 가능한 지지부재가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각도 또는 지지부재의 차량 좌석으로부터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고정장치와; 상기 고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 중, 등받이 부재는 전면 등받이 부재 및 후면 등받이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전면 등받이 부재 및 후면 등받이 부재 사이에는 아동용 안전벨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형 카시트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579062호
차량 구조물에 연결되는 것이 의도되며 제1볼트가 배열되는 베이스 구조물, 하나 이상의 피팅에 의해 베이스 구조물 상에 잠금 가능한 방식으로 관절식으로 연결되며, 제1볼트는 피팅의 회전 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오프셋 되는, 하나 이상의 등받이 지지부, 조인트에 의해 등받이 지지부 상에 관절식으로 연결되며 잠금장치에 의해 등받이 지지부에 잠금이 될 수 있고 조인트에 대하여 평행하게 오프셋 되는 제2볼트가 배열되는, 등받이 구조물, 등받이 지지부 및 등받이 구조물을 갖고, 위에 앉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 위치로부터 비사용 위치로 또는 다른 사용 위치로 그리고 원래 위치로 차량 시트를 옮기기 위해 키네마틱 시스템에 의해 베이스 구조물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으며, 4-바 링크가 일시적으로 존재하며, 상기 4-바 링크는 키네마틱 시스템을 제어하는, 등받이를 갖는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일 때에, 강성 정지 링크가 제공되며 이는 일시적인 4-바 링크의 메커니즘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 2개의 볼트 중 하나와 일시적으로 접하고, 2개의 볼트 중 다른 하나 상에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실용 제20-2012-0002182호
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좌석프레임과, 상기 좌석프레임을 감싸도록 형성된 좌석시트와, 상기 좌석시트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정전기를 흡수하는 도전성체와, 상기 도전성체에 그 일단이 연결되는 전선과, 상기 전선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좌석프레임의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차체 외부에 형성된 머플러의 일측에 설치되는 정전기방출부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차체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수시로 방전하여 탑승자의 정전기 방전에 의한 쇼크를 방지하는 차량시트의 정전기 방지장치 관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자동차 시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자동차 시트는 자동차 사고 등으로 자동차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운전자와 다른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플로어 패널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2) 이에, 자동차에서 발생한 진동이나 주행할 때 자동차가 장해물을 넘을 때 발생하는 진동 등이 플로어 패널을 통해 운전자에게 그대로 전달이 된다.
(3) 물론, 자동차에는 타이어에 서스펜션이 장착되어 있어 이러한 노면 상태나 자동차가 장해물을 넘을 때 발생하는 진동 등을 감쇠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서스펜션만으로는 다양한 대역의 진동을 모두 흡수하기가 어렵다.
(4) 특히, 상기 서스펜션은 너무 강한 진동이나 반대로 너무 약한 진동에 대해서 동작하도록 설정해서 제작하게 되면 그 반대되는 대역의 진동에 대해 대처할 수 없다.
(5) 이러한 진동 충격은 어린이나 유아 그리고 체중을 지탱할 수 없는 이들에게는 강한 충격을 가하는 것과 같은 작용을 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17268호 (공개일: 2020.02.18) 한국등록특허 제10-1579062호 (등록일: 2015.12.15) 한국공개실용 제20-2012-0002182호 (공개일: 2012.03.26)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자동차 시트를 플로어 패널에 장착할 때 자동차 시트와 플로어 패널 사이에 제진기를 장착하여 일체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플로어 패널을 통해 자동차 시트로 전해지는 진동을 제진기에서 흡수할 수 있게 하여 안전하면서도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한 진동 충격 방지용 자동차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앞좌석과 같이 쿠션의 위치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시트 트랙을 갖춘 자동차 시트일 때는, 제진기를 시트 트랙과 플로어 패널 사이에 장착함으로써, 이러한 자동차 시트의 위치 조절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플로어 패널을 통해 전해지는 진동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진동 충격 방지용 자동차 시트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쿠션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의 제진기를 장착함으로써, 쿠션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체중을 고려하여 진동 충격을 충분하게 흡수할 수 있게 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한 진동 충격 방지용 자동차 시트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진동 충격 방지용 자동차 시트는, 시트 트랙(20)이 구비되어 자동차 실내의 플로어 패널(P)에 장착되는 자동차 시트(10)에서; 상기 시트 트랙(20)과 상기 플로어 패널(P) 사이에는, 적어도 3개의 제진기(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진기(11)는, 상기 자동차 시트(10)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 두 개의 시트 트랙(20)에서 그 양단 부분에 각각 하나씩 4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진동 충격 방지용 자동차 시트는, 자동차 실내의 플로어 패널(P)에 장착되는 자동차 시트(10)에서, 상기 자동차 시트(10)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플로어 패널(P) 사이에는, 적어도 4개의 제진기(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진기(11)는, 상기 자동차 시트(10)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각 모서리 부분과, 상기 프레임의 긴 변을 따라 적어도 하나씩 적어도 6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충격 방지용 자동차 시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플로어 패널에 자동차 시트를 장착할 때 플로어 패널과 자동차 시트 사이에 제진기를 매개로 장착함으로써, 플로어 패널을 통해 자동차 시트로 전해지는 진동 충격을 흡수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2) 특히, 이러한 진동 충격은 자동차가 주행할 때 장해물을 넘으면서 발생한 진동 충격을 자동차에 이미 장착된 서스펜션을 통해 1차로 흡수한 상태에서 다시 본 발명에 따른 제진기를 이용해서 2차로 흡수함으로, 충격 흡수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3) 또한, 자동차 실내에 설치된 앞좌석과 같이, 운전자나 탑승자가 앉은 시트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시트 트랙이 있을 때는, 이 시트 트랙과 플로어 패널 사이에 제진기를 설치함으로써, 시트 트랙 사용에 불편을 주지 않으면서도 진동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4) 그리고 이러한 제진기는 자동차용 시트에서 시트 트랙의 유무와 몇 명이 앉을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크기인지를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와 위치에 제진기를 설치함으로써, 진동 충격 흡수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앞좌석 시트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는 자동차 실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자동차 시트 중 앞좌석의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진기를 갖춘 자동차의 앞좌석 시트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진기를 갖춘 자동차의 앞좌석 시트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진기를 갖춘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진동 충격 방지용 자동차 시트(1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앞좌석 탑승자가 위치를 조절할 때 이용하는 시트 트랙(20)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시트 트랙(20)과 플로어 패널(P) 사이에는, 적어도 3개의 제진기(11)를 매개로 시트(10)를 장착함으로써, 플로어 패널(P)을 통해 자동차 시트(10)로 전해지는 진동 충격을 이들 제진기(11)에서 흡수하게 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진기(11)는 쿠션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시트 트랙(20)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전부 4개를 설치함으로써, 진동 충격이 가해질 때 자동차 시트(10)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진동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P"는 자동차용 시트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플로어 패널을 나타낸다.
가. 자동차 시트
자동차용 시트(1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운전자나 탑승자가 앉을 수 있게 하는 쿠션과 쿠션에 앉아서 등을 기댈 수 있게 하는 등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는 쿠션에 리클라이너 등을 이용해서 젖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자동차 시트(10)는, [도 4]와 같이, 쿠션 하부에 시트 트랙(20)이 장착된다. 시트 트랙(20)은 플로어 패널(P)과 자동차 시트(10) 사이에 설치되어 자동차용 시트(10)가 운전자나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위치나 높이 등을 조절해서 편리하게 앉을 수 있게 조절할 수 있는 트랙을 말한다.
이때, 상기 시트 트랙(2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후술할 제진기(11)를 매개로 플로어 패널(P)에 설치함으로써, 플로어 패널(P)을 통해 전해지는 진동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구성한다.
나. 제진기
제진기(11)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한쪽이 플로어 패널(P)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상술한 시트 트랙(20)에 장착된다.
이러한 제진기(11)는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 용수철이나 고무와 같은 탄성체를 이용해서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하거나 오일의 저항을 이용하여 한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진기(11)는 적어도 세 개를 장착하여 자동차 시트(10)가 어느 한쪽으로 쏠림이 없이 진동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4]와 같이 통상 자동차 시트(10)에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시트 트랙(20)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모두 4개의 제진기(11)를 설치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제진기(11)는 플로어 패널(P)을 통해 전해지는 진동 충격을 흡수하여 자동차 시트(10)로 전달되지 않게 하여 운전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진동 충격 방지용 자동차 시트(10)는, [도 5]와 같이, 뒷좌석에 제진기(11)를 장착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진기(11)는 자동차의 뒷좌석을 구성하는 자동차 시트(10)에서 쿠션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플로어 패널(P) 사이에 적어도 4개를 설치한다. 이는, 뒷좌석으로 이용하는 자동차 시트(10) 적어도 2명, 많게는 3명이 앉을 수 있게 제작할 때가 많음으로, 여러 사람이 앉더라도 그 하중을 충분히 견디면서 진동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자동차의 뒷좌석을 구성하는 자동차 시트(10)에는, [도 5]와 같이, 쿠션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4개의 제진기(11)를 설치하고, 이 프레임에서 길이가 긴 변에 적어도 하나씩 제진기(11)를 설치하여 적어도 6개의 제진기(1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뒷좌석으로 이용하는 자동차 시트에도 제진기를 장착하여 뒷좌석 탑승자도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자동차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10: 자동차 시트
11: 제진기
20: 시트 트랙

Claims (4)

  1. 시트 트랙(20)이 구비되어 자동차 실내의 플로어 패널(P)에 장착되는 자동차 시트(10)에서,
    상기 시트 트랙(20)과 상기 플로어 패널(P) 사이에는,
    적어도 3개의 제진기(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충격 방지용 자동차 시트(10).
  2. 제1항에서,
    상기 제진기(11)는,
    상기 자동차 시트(10)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 두 개의 시트 트랙(20)에서 그 양단 부분에 각각 하나씩 4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충격 방지용 자동차 시트(10).
  3. 자동차 실내의 플로어 패널(P)에 장착되는 자동차 시트(10)에서,
    상기 자동차 시트(10)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플로어 패널(P) 사이에는,
    적어도 4개의 제진기(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충격 방지용 자동차 시트(10).
  4. 제3항에서,
    상기 제진기(11)는,
    상기 자동차 시트(10)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각 모서리 부분과, 상기 프레임의 긴 변을 따라 적어도 하나씩 적어도 6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충격 방지용 자동차 시트(10).
KR1020210037567A 2021-03-23 2021-03-23 진동 충격 방지용 자동차 시트 KR20220132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567A KR20220132355A (ko) 2021-03-23 2021-03-23 진동 충격 방지용 자동차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567A KR20220132355A (ko) 2021-03-23 2021-03-23 진동 충격 방지용 자동차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355A true KR20220132355A (ko) 2022-09-30

Family

ID=8345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567A KR20220132355A (ko) 2021-03-23 2021-03-23 진동 충격 방지용 자동차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235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182U (ko) 2010-09-16 2012-03-26 박강희 차량시트의 정전기 방지장치
KR101579062B1 (ko) 2011-08-29 2015-12-21 존슨 컨트롤즈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KR20200017268A (ko) 2018-08-08 2020-02-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내장형 카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182U (ko) 2010-09-16 2012-03-26 박강희 차량시트의 정전기 방지장치
KR101579062B1 (ko) 2011-08-29 2015-12-21 존슨 컨트롤즈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KR20200017268A (ko) 2018-08-08 2020-02-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내장형 카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980B1 (ko) 자동차 시트용 람버서포트
US6257663B1 (en) Vehicle seat for absorbing impact
US7510240B2 (en) Vehicle seat system
US3762505A (en) Device for reducing severity of impact forces
JPH0847434A (ja) シート
US10632874B2 (en) Device for reduction of vertical peak acceleration
KR20220132355A (ko) 진동 충격 방지용 자동차 시트
JPH10230767A (ja)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の頭部保護方法および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
JP2617077B2 (ja) 自動車用シート
KR101435202B1 (ko) 충돌상해방지를 위한 자동차 시트백용 충격흡수장치
JPH07266953A (ja) 車両用安全シート
JP3899145B2 (ja) 自動車の衝撃吸収構造
KR100298614B1 (ko) 자동차시트의람버서포트
JPH06105727A (ja) シートクッション構造
JP3756789B2 (ja) 乗り物用シート
JPH018429Y2 (ko)
JP2004058739A (ja) 自動車シートの衝撃吸収構造
KR200429833Y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20240056105A (ko) 더블캡 트럭의 2열 리어 시트의 등받이 각도 조절용 고정 브라켓장치
KR200160634Y1 (ko) 자동차용 시트의 취부구조
KR20040032319A (ko)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
KR20030092950A (ko) 서브마린 방지 시트
KR0177413B1 (ko) 에어백 충격 접점 포인트 적응성 시트 패널 구조
JPH072009A (ja) 自動車シートの振動吸収装置
KR0132479Y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충격흡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