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2319A -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 - Google Patents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2319A
KR20040032319A KR1020020061407A KR20020061407A KR20040032319A KR 20040032319 A KR20040032319 A KR 20040032319A KR 1020020061407 A KR1020020061407 A KR 1020020061407A KR 20020061407 A KR20020061407 A KR 20020061407A KR 20040032319 A KR20040032319 A KR 20040032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eat back
bracket
vehicle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1106B1 (ko
Inventor
허준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1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106B1/ko
Publication of KR20040032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1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 B60N2/42745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43Back-rests or cushions shape of the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23Coach-like constructions
    • B60N2/7029Coach-like constructions back-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추돌 및 충돌시 운전자 및 탑승자의 목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 완화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트백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시트백 파이프 양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보강패널 내측으로 위아래 방향을 따라 소정의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 마주보도록 용접으로 체결되어 있는 다수의 제 1 브라켓과,
상기 제 1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로서 체결되고 상기 S 스프링의 양단을 걸어주며, 상기 S 스프링이 늘어남과 동시에 뒤로 회전되는 제 2 브라켓과,
상기 제 2 브라켓 일 끝단과 마주보고 있는 또 다른 제 2 브라켓의 일 끝단과 체결되어 있는 S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서,
차량의 후방 추돌시 승객의 몸 전체가 뒤로 밀리게 하면서 헤드레스트의 위치에 승객의 머리가 근접하도록 하여 목 꺾임 현상 자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Shock absorber of seat ba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백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시트백 파이프 양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보강패널 내측으로 위아래 방향을 따라 소정의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 마주보도록 용접으로 체결되어 있는 다수의 제 1 브라켓과, 상기 제 1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로서 체결되고 상기 S 스프링의 양단을 걸어주며, 상기 S 스프링이 늘어남과 동시에 뒤로 회전되는 제 2 브라켓과, 상기 제 2 브라켓 일 끝단과 마주보고 있는 또 다른 제 2 브라켓의 일 끝단과 체결되어 있는 S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서,
차량의 후방 추돌시 승객의 몸 전체가 뒤로 밀리게 하면서 헤드레스트의 위치에 승객의 머리가 근접하도록 하여 목 꺾임 현상 자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승객의 편안함을 제공하도록 쿠션제로 제작되고, 운전자 또는 승객의 편안한 자세를 위하여 설치되어 진다.
이와 같은 자동차 시트는 대부분 그 상부에 운전자 또는 승객들의 목을 보호하기 위하여 헤드 레스트를 구비하게 된다.
도 4 은 기존의 시트에서 차량 충돌시 승객의 거동 변화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자동차 시트는 시트쿠션(25)과 상기 시트쿠션(25)의 후방에 체결구로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일정각도 회동되는 시트백(20)과 상기 시트백(20)의 상단에 체결 축으로 일전길이가 상하로 조절 가능하도록 체결구로 체결하는 헤드레스트(30)로 구성된 시트로 되어 있다.
상기 시트는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시트백(20)과 헤드레스트(30)를 각각 별도의 손잡이를 조정하여 장거리 주행에 편안한 승차감을 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트구조는 후방에서 추돌 및 충돌의 발생시에 그 충격에 의해 시트에 앉은 운전자 또는 승객의 머리부위가 관성력에 의해 헤드레스트(30)에 부딪칠 경우 시트 쿠션과 헤드레스트 내부에 구비된 쿠션재가 적은량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완충작용을 하였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머리 부위를 보호하지 못함으로 경미한 충격에도 머리부위가 부상을 입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또한, 인체의 머리부위를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헤드레스트는 목의 부상방지와 편안함을 주기 위해 설치되었지만 갑작스러운 추돌 및 충돌로 인해서 발생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고, 목이 뒤방향으로 꺾이는 부상의 위험이 항상 뒤따르고 있으므로 운전자 또는 승객들의 대비가 절실한 실정이었다.
이에 종래에는, 후방 추돌 및 충돌시 단순한 기계적 작동만으로 헤드레스트가 상승, 전진하여 머리를 받쳐줌으로써 탑승자의 머리와 목부위의 충격을 완화하여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완충장치가 발명되었다.
그러나, 종래 헤드레스트 완충장치는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A와 같이 2차 움직임이 발생시 목꺾임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헤드레스트가 이 시점에 정확하게 승객의 두부에 근접하지 못하는 경우 목상해 방지가 미흡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에서 발생하는 단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서,
시트백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시트백 파이프 양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보강패널 내측으로 위아래 방향을 따라 소정의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 마주보도록 용접으로 체결되어 있는 다수의 제 1 브라켓과, 상기 제 1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로서 체결되고 상기 S 스프링의 양단을 걸어주며, 상기 S 스프링이 늘어남과 동시에 뒤로 회전되는 제 2 브라켓과, 상기 제 2 브라켓 일 끝단과 마주보고 있는 또 다른 제 2 브라켓의 일 끝단과 체결되어 있는 S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차량의 후방 추돌시 승객의 몸 전체가 뒤로 밀리게 하면서 헤드레스트의 위치에 승객의 머리가 근접하도록 하여 목 꺾임 현상 자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사고 후에도 재 사용할 수 있고, 부품 및 공정이 축소된 구조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에서 차량 충돌시 승객의 거동 변화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4 은 기존의 시트에서 차량 충돌시 승객의 거동 변화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5 는 헤드레스트 완충장치가 부착된 기존의 시트에서 차량 충돌시 승객의 거동 변화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 : 시트백 파이프4 : 보강패널
5 : 힌지6 : 제 1 브라켓
8 : 제 2 브라켓10 : S 스프링
20 : 시트백25 : 시트쿠션
30 : 헤드레스트
본 발명은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에 있어서, 시트백(20)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시트백 파이프(2) 양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보강패널(4) 내측에 회동가능한 힌지(5) 브라켓(6,8)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6,8)에 S 스프링(10)을 체결하여 차량의 후방 추돌시 브라켓(8)이 뒤쪽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S 스프링(10)이 늘어나서 승객의 몸 전체가 뒤로 밀리게 하면서 헤드레스트(30)의 위치에 승객의 머리가 근접하도록 하여 목 꺾임 현상 자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의 구조는 시트백(20) 내부에는 시트백 파이프(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시트백 파이프(2) 양 측면에는 보강패널(4)이 용접으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보강패널(4) 내측에는 위아래 방향을 따라 소정의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 마주보도록 제 1 브라켓(6)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 1 브라켓(6)은 용접으로서 보강패널(4)에 체결된다.
상기 제 1 브라켓(6)의 간격은 차종과 사람의 체중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 1 브라켓(6)에는 상기 S 스프링의 양단을 걸어주며, 상기 S 스프링이 늘어남과 동시에 뒤로 회전되는 제 2 브라켓(8)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5)로서체결되어 있다.
또한, 제 2 브라켓(8)의 일 끝단은 마주보고 있는 또 다른 제 2 브라켓(8a)의 일 끝단과 S 스프링(10)으로서 체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S 스프링(10)과 제 2 브라켓(8)은 시트백(20) 벽면과 일직선으로 나란하게 초기 세팅되어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후방에서 차량 추돌 및 충돌이 일어나면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객의 몸전체가 뒤로 밀리게 하면서 헤드레스트(30)의 위치에 승객의 머리가 근접하도록 하여 목 꺾임 현상 자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즉, 후방 추돌시 승객의 몸이 시트백(20)에 하중을 가하게 되면 시트백(20) 패드가 각각 마주보는 제 2 브라켓(8)에 체결되어 있는 S 스프링(10)을 밀게된다.
상기 S 스프링(10)이 밀리면서 제 1 브라켓(6)에 힌지(5)로서 체결되어 있는 제 2 브라켓(8)이 회전하게 되고 승객의 몸전체가 시트백(20) 안으로 빨려 들어가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랑용 헤드레스트 완충장치는 후방 추돌 및 충돌이 발생하여도 시트의 반발력을 상쇄시켜 목꺾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에서 차량 충돌시 승객의 거동 변화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는 도 5 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헤드레스트 완충장치가 부착된 기존의 시트에서 차량 충돌시 A~B 단계 없이 후방 추돌 및 충돌시 바로 승객의 몸전체가 뒤로 밀리면서 헤드레스트와 가까워져서 목 꺾임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간단한 구조로 부품 및 공정을 축소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사고 후에도 교체 없이 재 사용할 수 있는 반영구적인 구조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에 의하면 시트백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시트백 파이프 양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보강패널 내측으로 위아래 방향을 따라 소정의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 마주보도록 용접으로 체결되어 있는 다수의 제 1 브라켓과, 상기 제 1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로서 체결되고 상기 S 스프링의 양단을 걸어주며, 상기 S 스프링이 늘어남과 동시에 뒤로 회전되는 제 2 브라켓과, 상기 제 2 브라켓 일 끝단과 마주보고 있는 또 다른 제 2 브라켓의 일 끝단과 체결되어 있는 S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서, 차량의 후방 추돌시 승객의 몸 전체가 뒤로 밀리게 하여서, 후방 추돌 및 충돌 시에도 승객의 목꺾임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품 및 공정이 축소된 구조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사고 후에도 교체 없이 재 사용할 수 있는 반영구적인 구조이다.

Claims (2)

  1. S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백 구조에 있어서,
    시트백(20) 내부의 시트백 파이프(2) 양 측단에 용접으로 체결되어 있는 한 쌍의 보강패널(4)과,
    상기 보강패널(4) 내측으로 위아래 방향을 따라 소정의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 마주보도록 용접으로 체결되어 있는 다수의 제 1 브라켓(6)과,
    상기 제 1 브라켓(6)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5)로서 체결되고, S 스프링(10)의 양단을 걸어주며, 상기 S 스프링(10)이 늘어남과 동시에 뒤로 회전되는 제 2 브라켓(8)과,
    상기 제 2 브라켓(8) 일 끝단과 마주보고 있는 또 다른 제 2 브라켓(8)의 일 끝단과 체결되어 있는 S 스프링(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 스프링(10)과 제 2 브라켓(8)은 시트백(20) 벽면과 일직선으로 나란하게 초기 세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
KR10-2002-0061407A 2002-10-09 2002-10-09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 KR100461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407A KR100461106B1 (ko) 2002-10-09 2002-10-09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407A KR100461106B1 (ko) 2002-10-09 2002-10-09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319A true KR20040032319A (ko) 2004-04-17
KR100461106B1 KR100461106B1 (ko) 2004-12-14

Family

ID=37332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407A KR100461106B1 (ko) 2002-10-09 2002-10-09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1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894B1 (ko) * 2004-11-05 2011-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방충돌시 목 상해 경감 시트구조
CN103402816A (zh) * 2011-03-01 2013-11-2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座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419B1 (ko) 2008-11-26 2011-05-11 광명산업(주) 스프링 체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452A (ja) * 1994-07-07 1996-01-23 Araco Corp 車両用シートにおける背部支持装置
KR100196783B1 (ko) * 1996-11-04 1999-06-15 노규상 소파겸용 매트리스
KR19990041154A (ko) * 1997-11-21 1999-06-15 양재신 자동차 프론트시트의 등받이 완충 지지장치
JP3740933B2 (ja) * 2000-03-10 2006-02-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894B1 (ko) * 2004-11-05 2011-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방충돌시 목 상해 경감 시트구조
CN103402816A (zh) * 2011-03-01 2013-11-2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座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1106B1 (ko) 2004-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115594A (ja) 車両用シート
JP4936823B2 (ja) 自動車用シート
JP2007091175A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US20220314849A1 (en) Energy absorbing vehicle seat
WO2010122998A1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CN101875322B (zh) 一种汽车座椅的吸能装置
JP2004131059A (ja) 首の傷害防止用自動車シート
KR100461104B1 (ko) 자동차용 프론트시트의 리클라이너 잠금장치
JP2697998B2 (ja) 車両用安全シート
KR100461106B1 (ko)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백 구조
JPH10230767A (ja)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の頭部保護方法および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
US9669739B1 (en) Vehicle occupant support
KR101875430B1 (ko) 안티 서브마린 기능을 갖는 다이브 시트
JP522851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150063697A (ko)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장치
JPH07266953A (ja) 車両用安全シート
US10814750B2 (en) Method and vehicle seat arrangement comprising a deformation portion
JP5229524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CN216994020U (zh) 一种提高汽车座椅防鞭打性能的靠背泡沫结构
KR101033894B1 (ko) 후방충돌시 목 상해 경감 시트구조
KR100217988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의 충격 완화장치
KR100440227B1 (ko) 승객보호용 버스의 시트백 프레임구조
KR200141719Y1 (ko) 자동차 시트
KR100217990B1 (ko) 목 받침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장치
KR20050115108A (ko) 차량 시트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