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8940A - 전자 계전기 - Google Patents

전자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8940A
KR20220128940A KR1020220015363A KR20220015363A KR20220128940A KR 20220128940 A KR20220128940 A KR 20220128940A KR 1020220015363 A KR1020220015363 A KR 1020220015363A KR 20220015363 A KR20220015363 A KR 20220015363A KR 20220128940 A KR20220128940 A KR 20220128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act
fixed
movable contac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시 니시다
가즈키 후루카와
나오키 카와구치
타카시 쓰카다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8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60Contact arrangements moving contact being rigidly combined with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01H9/443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us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01H50/58Driv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therewith; Mounting of driving arrangements on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5/00Movable contacts
    • H01H2205/002Movable contacts fixed to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2Different parts are assembled by insertion without extra mounting facilities like screws, in an isolated mounting part, e.g. stack mounting on a coil-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5Details particular to cont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4Parts rotatable or rockable outside coil
    • H01H50/26Parts movable about a knife ed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01H50/38Part of main magnetic circuit shaped to suppress arcing between the contacts of the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41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performing a rectilinear mov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ac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과제) 위치 어긋남의 발생을 억제 가능한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전자 계전기(1)에 있어서, 제1 고정 단자(6)에서는, 제1 고정 접점(62)은, 접점 지지부(61)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고정 단자(6)에 있어서, 제1 외부 접속부(63)는, 접점 지지부(61)의 양단 중 단(61b)으로부터 접점 지지부(61)에 대하여 굴곡 형성되어 있다. 제1 철부(65)는, 제1 외부 접속부(63)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8)은, 제1 가동 접점(81)을 포함한다. 제1 가동 접점(81)은, 제1 고정 접점(62)에 마주본다. 제1 단자 지지부(22)는, 맞닿음면(22a)과 제1 측면(22b)을 가지고, 제1 고정 단자(6)를 지지한다. 맞닿음면(22a)은, 접점 지지부(61)의 가동 접촉편(8)과는 반대측의 면(61a)에 맞닿는다. 제1 측면(22b)에는, 제1 철부(65)가 끼이는 제1 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철부(65)는, 제1 외부 접속부(63)에 있어서 면(61a)에 이어지는 면(63a)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 계전기{ELECTROMAGNETIC RELAY}
본 발명은, 전자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기 회로를 개폐하는 전자 계전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전자 계전기는, 고정 접점을 포함하는 고정 단자와,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가동 접촉편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 단자는, 베이스를 관통하고, 고정 접점이 배치되어 있는 부분이 베이스 상에 올려놓아지는 것에 의해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개2019-6764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전자 계전기에서는, 베이스를 관통하고 있는 부분에서만 고정되어 있으므로, 베이스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고정 단자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위치 어긋남을 억제 가능한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전자 계전기는, 고정 단자, 가동 접촉편, 지지부를 포함한다. 고정 단자는, 고정 접점, 제1 단자 부분, 제2 단자 부분, 제1 철부(凸部)를 가지고 있다. 제1 단자 부분은, 고정 접점이 배치되어 있다. 제2 단자 부분은, 제1 단자 부분의 양단 중 제1 단으로부터 제1 단자 부분에 대하여 굴곡 형성되어 있다. 제1 철부는, 제2 단자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은, 가동 접점을 포함한다. 가동 접점은, 고정 접점에 마주본다. 지지부는, 맞닿음면과 제1 측면을 가지고, 고정 단자를 지지한다. 맞닿음면은, 제1 단자 부분의 가동 접촉편과는 반대측의 제1 단자면에 맞닿는다. 제1 측면은, 제1 철부가 끼이는 제1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철부는, 제2 단자 부분에 있어서 제1 단자면에 이어지는 제2 단자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단자에 제1 철부를 설치하고, 지지부에 제1 철부가 끼이는 제1 홈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고정 단자의 폭 방향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마주보는 방향에서의 고정 단자의 위치는, 제1 단자 부분에 지지부가 맞닿는 것에 의해 규제된다.
또한, 고정 단자를 기준으로 하여 제1 철부와 제1 홈부가 가동 접점의 반대측 공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고정 단자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별도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가동 접점측 공간을 손상시키지 않고, 고정 단자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철부에 의해 지지부를 형성하는 재료가 홈부에서 깎인 경우에도, 제1 홈부가 고정 단자에 의해 덮어져 있으므로, 제1 홈부로부터 깎인 부스러기가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단자를 기준으로 하여 제1 철부와 제1 홈부가 가동 접점의 반대측 공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아크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아크의 거동을 제어하기 쉬운 상태에서 고정 단자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홈부는, 제2 단자 부분이 제1 단자 부분의 제1 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홈부는, 맞닿음면측에 제1 철부가 삽입 가능한 개구부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개구부로부터 제1 철부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쉽게 고정 단자를 지지부에 조립할 수 있다.
제1 홈부는, 배치 부분, 개구부측 부분, 접속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배치 부분은, 제1 철부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개구부측 부분은, 배치 부분보다 개구부측에 형성되며, 배치 부분보다 폭이 넓어질 수 있다. 접속 부분은, 개구부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배치 부분을 향함에 따라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철부의 제1 홈부로의 삽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고정 단자는, 제3 단자 부분을 더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3 단자 부분은, 제1 단자 부분의 제1 단과는 반대측의 제2 단으로부터 제2 단자 부분과 평행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U자형의 고정 단자에 있어서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고정 단자는, 제2 철부를 더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2 철부는, 제3 단자 부분에 있어서 제1 단자면에 이어지는 제3 단자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지지부는, 제2 측면을 더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2 측면은, 제3 단자 부분의 제2 철부가 끼이는 제2 홈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2개의 철부와 2개의 홈부에 의해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가동 접촉편은,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근접하는 접촉 방향과,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부터 개방 분리하는 개방 분리 방향을 포함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도 된다. 전자 계전기는, 자석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자석부는,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에 발생한 아크를 신장시키기 위한 자계를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발생시킨다. 이 경우, 고정 단자를 기준으로 하여 철부와 홈부가 가동 접점의 반대측 공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아크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아크의 거동을 제어하기 쉬운 상태에서 고정 단자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 어긋남을 억제 가능한 전자 계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전자 계전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자 계전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전자 계전기의 내부 구조를 전방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4는 접점 장치 및 구동 장치를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고정 단자를 전방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6은 제1 고정 단자를 하방으로부터 본 저면도이다.
도 7은 자석부와 가동 접촉편과 제1 고정 단자와 제2 고정 단자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상방으로부터 본 베이스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단자 지지부에 대한 제1 고정 단자의 설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1 단자 지지부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1 단자 지지부를 우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1 단자 지지부에 제1 고정 단자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L자형의 고정 단자와 단자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Z2로 나타낸 방향을 상 방향, Z1로 나타낸 방향을 하 방향, X1로 나타낸 방향을 좌 방향, X2로 나타낸 방향을 우 방향, Y1로 나타낸 방향을 전(前) 방향, Y2로 나타낸 방향을 후 방향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이들의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 정의되는 것이며, 전자 계전기의 배치 방향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구성>
(전자 계전기(1)의 개요)
도 1은, 전자 계전기(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자 계전기(1)에서 케이스를 제외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전자 계전기(1)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 케이스(10), 접점 장치(3), 구동 장치(4), 자석부(5)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2)는, 수지 등의 절연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는, 접점 장치(3) 및 구동 장치(4)를 지지하고 있다. 접점 장치(3) 및 구동 장치(4)는, 베이스(2)에 설치되는 케이스(10)에 의해 덮어진다. 접점 장치(3)에는, 후술하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제1 고정 단자(6)와 제2 고정 단자(7)와, 제1 고정 단자(6)와 제2 고정 단자(7) 사이를 접속 가능한 가동 접촉편(8)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 장치(4)는, 가동 접촉편(8)을 이동하고, 가동 접촉편(8)을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와 접촉 또는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로부터 개방 분리시킨다. 자석부(5)는, 접점의 개방 분리에 따라 발생한 아크를 로렌츠력(Lorentz force)에 의해 신장시킨다.
(접점 장치(3))
도 4는, 접점 장치(3) 및 구동 장치(4)를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접점 장치(3)는, 제1 고정 단자(6)(고정 단자의 일예), 제2 고정 단자(7)(고정 단자의 일예), 가동 접촉편(8), 가동부(9)를 가진다. 제1 고정 단자(6), 제2 고정 단자(7) 및 가동 접촉편(8)은, 판형의 단자이며, 구리 등의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는, 베이스(2)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8)은,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와 접촉 또는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로부터 개방 분리 가능하다. 가동부(9)는, 가동 접촉편(8)을,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와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와 개방 분리하는 개방 분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제1 고정 단자(6), 제2 고정 단자(7))
제1 고정 단자(6)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보아 U자형으로 굴곡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1 고정 단자(6)는, 베이스(2)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고정 단자(6)의 베이스(2)에 대한 배치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제1 고정 단자(6)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점 지지부(61)(제1 단자 부분의 일예), 제1 고정 접점(62), 한 쌍의 제1 외부 접속부(63)(제2 단자 부분의 일예) 및 제2 외부 접속부(64)(제3 단자 부분의 일예), 제1 철부(65), 제2 철부(66)를 가진다.
접점 지지부(61)는,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평탄면을 가진다. 제1 고정 접점(62)은, 접점 지지부(61)에 지지되어 있다. 제1 고정 접점(62)은, 접점 지지부(6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1 고정 접점(62)은, 접점 지지부(61), 제1 외부 접속부(63) 및 제2 외부 접속부(64)와 일체여도 된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지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점 지지부(61)의 가동 접촉편(8)과 반대측의 면(61a)(제1 단자면의 일예)에 베이스(2)가 맞닿고 있다.
도 5는, 제1 고정 단자(6)를 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제1 고정 단자(6)를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는, 제1 고정 접점(62)이 생략되어 있다.
제1 외부 접속부(63)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서의 접점 지지부(61)의 양단 중 우측 단(61b)(제1 단의 일예)으로부터 접점 지지부(61)에 대하여 굴곡하여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외부 접속부(63)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부분(631)의 폭이 좁으며, 베이스(2)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외부 접속부(64)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서의 접점 지지부(61)의 양단 중 좌측 단(61c)(제2 단의 일예)으로부터 접점 지지부(61)에 대하여 굴곡하여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외부 접속부(64)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부분(641)의 폭이 좁으며, 베이스(2)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외부 접속부(63)와 제2 외부 접속부(64)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제1 외부 접속부(63)와 제2 외부 접속부(64)는,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2)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선단 부분(631, 641)(도 3 참조)은, 미도시의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평행 및 수직은, 기계적인 오차를 포함하고, 사회 통념상 평행, 수직으로 간주할 수 있는 범위를 포함한다.
제1 외부 접속부(63)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점 지지부(61)의 면(61a)과 이어지는 면(63a)(제2 단자면의 일예)을 가지고 있다. 제1 철부(65)는, 면(63a)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철부(65)는, 예를 들어 원기둥 형상이다. 제1 철부(65)는, 제1 외부 접속부(63)로부터 접점 지지부(61)가 연장되는 방향(좌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있다. 제1 철부(65)는, 제2 외부 접속부(64)를 향해 형성되어 있다. 제1 철부(65)는, 선단 부분(631)보다 접점 지지부(61)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외부 접속부(64)는, 접점 지지부(61)의 면(61a)과 이어지는 면(64a)(제3 단자면의 일예)을 가지고 있다. 제2 철부(66)는, 면(64a)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철부(66)는, 예를 들어 원기둥 형상이다. 제2 철부(66)는, 제2 외부 접속부(64)로부터 접점 지지부(61)가 연장되는 방향(우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있다. 제2 철부(66)는, 제1 외부 접속부(63)를 향해 형성되어 있다. 제2 철부(66)는, 선단 부분(641)보다 접점 지지부(61)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철부(65)와 제2 철부(66)는 대향 배치되어 있다. 제1 철부(65) 및 제2 철부(66)는, U자형으로 굴곡한 제1 고정 단자(6)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고정 단자(7)는, 제1 고정 단자(6)와 전후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베이스(2)에 지지되어 있다. 제2 고정 단자(7)는, 제1 고정 단자(6) 후방에서 제1 고정 단자(6)와 간격을 두어 배치되어 있다. 제2 고정 단자(7)는, 제1 고정 단자(6)와 동일한 형상이다. 제2 고정 단자(7)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점 지지부(71), 제2 고정 접점(72), 한 쌍의 제1 외부 접속부(73) 및 제2 외부 접속부(74), 제1 철부(미도시), 제2 철부(76)를 가진다. 제2 고정 단자(7)의 각 구성은 제1 고정 단자(6)의 각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가동 접촉편(8))
가동 접촉편(8)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8)은, 가동부(9)에 연결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8)은,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8)은, 한 쌍의 제1 가동 접점(81) 및 제2 가동 접점(82), 접점 지지 부재(83)를 가진다. 접점 지지 부재(83)는 판형이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가동 접점(81)은, 접점 지지 부재(83)의 전단(前端)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가동 접점(81)은, 제1 고정 접점(62) 상방에 있어서 제1 고정 접점(62)과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다. 제1 가동 접점(81)은, 제1 고정 접점(62)에 접촉 가능하다.
제2 가동 접점(82)은, 접점 지지 부재(83)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가동 접점(82)은, 제2 고정 접점(72) 상방에 있어서 제2 고정 접점(72)과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다. 제2 가동 접점(82)은, 제2 고정 접점(72)에 접촉 가능하다. 또한, 제1 가동 접점(81) 및 제2 가동 접점(82)은, 접점 지지 부재(83)와 일체여도 된다.
가동 접촉편(8)은,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 방향은, 제1 가동 접점(81) 및 제2 가동 접점(82)이 제1 고정 접점(62) 및 제2 고정 접점(72)에 근접하는 접촉 방향과, 제1 가동 접점(81) 및 제2 가동 접점(82)이 제1 고정 접점(62) 및 제2 고정 접점(72)으로부터 개방 분리하는 개방 분리 방향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방향은 상하 방향이며, 접촉 방향은 Z1로 나타낸 방향(하 방향)이며, 개방 분리 방향은 Z2로 나타낸 방향(상 방향)이다.
가동 접촉편(8)은, 한 쌍의 제1 가동 접점(81) 및 제2 가동 접점(82)이 제1 고정 접점(62) 및 제2 고정 접점(72)으로부터 개방 분리한 개방 위치와, 한 쌍의 제1 가동 접점(81) 및 제2 가동 접점(82)이 제1 고정 접점(62) 및 제2 고정 접점(72)에 접촉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가동부(9))
가동부(9)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동부(9)는, 제1 가동 접점(81)과 제2 가동 접점(82) 사이에서 가동 접촉편(8)에 연결되어 있다. 가동부(9)는, 전후 방향에서의 가동 접촉편(8)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부(9)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부재(91), 커버 부재(92), 접점 스프링(93), 복귀 스프링(94)을 가진다. 가동 부재(9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동 부재(91) 및 커버 부재(92)는, 수지 등의 절연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부재(91)는, 눌림부(911), 배치부(912), 슬라이딩부(913)를 가진다. 눌림부(911)는, 가동 부재(9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눌림부(911)는, 구동 장치(4)의 가동 철편(45)에 의해 하방으로 눌리는 부분이다.
배치부(912)는, 가동 부재(91)의 상하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 부분이다. 배치부(912)에는, 접점 스프링(93)과 가동 접촉편(8)이 배치된다. 배치부(912)는, 우측 측벽이 개구된 배치 공간(912a)을 가지며, 배치 공간(912a)에 접점 스프링(93)이 배치되어 있다. 배치 공간(912a) 하단의 전후 방향의 측벽에는, 절결(切缺)(914)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8)은, 양측벽의 절결(914) 및 배치 공간(912a)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딩부(913)는, 가동 부재(91)의 하단 부분이다. 슬라이딩부(913)는, 베이스(2)에 형성된 가이드부(24)(후술하는 도 8 참조)에 의해 가이드된다. 가이드부(24)는, 베이스(2) 상면에 있어서 하방으로 파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부(913)가 가이드부(24) 내를 활주하는 것에 의해 가동 부재(91)가 가이드된다.
커버 부재(9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 공간(912a) 우측을 막는다. 커버 부재(92)는, 가동 접촉편(8)이 가동 부재(91)로부터 우측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규제한다.
접점 스프링(93)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이며,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 공간(912a)에 배치되어 있다. 접점 스프링(93) 상단은, 배치 공간(912a) 상방측의 면에 연결되어 있다. 접점 스프링(93)의 하단은, 가동 접촉편(8)의 제1 가동 접점(81)과 제2 가동 접점(82)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접점 스프링(93)은, 압축된 상태로 배치 공간(912a) 상방측의 면과 가동 접촉편(8)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접점 스프링(93)은, 가동 접촉편(8)을 접촉 방향을 향해 부세(付勢)하고 있다. 가동 접촉편(8)은, 배치 공간(912a) 하방 면에 접점 스프링(93)에 의해 눌려 있다.
접점 스프링(93)은, 제1 가동 접점(81)의 제1 고정 접점(62)에 대한 접촉압 및 제2 가동 접점(82)의 제2 고정 접점(72)에 대한 접촉압을 증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94)은, 가동 부재(91)의 슬라이딩부(913)와 베이스(2)의 가이드부(2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94)은, 가동 부재(91)를 상방을 향하여 부세한다. 복귀 스프링(94)은, 가동 부재(91)가 구동 장치(4)의 눌림으로부터 개방되었을 때, 가동 부재(91)를 상방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로써, 가동 접촉편(8)이 접촉 위치로부터 개방 분리 위치로 이동한다.
(구동 장치(4))
구동 장치(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점 장치(3) 좌방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장치(4)는, 가동부(9)를 개재하여 가동 접촉편(8)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동 장치(4)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41), 보빈(42), 고정 철심(43), 요크(44), 가동 철편(45), 스프링(46), 스톱퍼 부재(47)를 가진다.
코일(41)은, 보빈(42)의 외주에 돌려 감아져 있다. 보빈(4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빈(42)은, 베이스(2)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철심(43)은, 보빈(42)의 내주부에 배치되어 있다. 요크(44)는, 전후 방향을 따라 보아 대략 L자형이며, 코일(41) 좌방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요크(44)는, 고정 철심(43) 하단에 접속되어 있다.
가동 철편(45)은, 고정 철심(43)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철편(45)은, 좌단이 요크(44)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 철편(45)은, 요크(44)의 상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한다. 가동 철편(45)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단의 선단이 가동부(9)의 눌림부(911)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스프링(46)은, 요크(44)의 상단에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46)은, 가동 철편(45)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46)은, 가동 철편(45)을 고정 철심(43)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부세한다.
스톱퍼 부재(47)는, 보빈(42)의 우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된 설치부(42a)에 설치되어 있다. 스톱퍼 부재(47)는 판형이며,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스톱퍼 부재(47)는, 가동 철편(45)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스톱퍼 부재(47)는, 스프링(46)의 부세력에 의한 가동 철편(45)의 소정량 이상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자석부(5))
자석부(5)는, 제1 고정 접점(62)과 제1 가동 접점(81) 사이에 발생한 아크 및 제2 고정 접점(72)과 제2 가동 접점(82) 사이에 발생한 아크를 신장시키기 위한 자계를 전후 방향으로 발생시킨다. 자석부(5)는, 케이스(10)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은, 제1 고정 접점(62), 제2 고정 접점(72), 제1 가동 접점(81) 및 제2 가동 접점(82), 자석부(5)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우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자석부(5)는, 제1 자석(51), 제2 자석(52), 제1 요크(53), 제2 요크(54)를 가진다. 제1 자석(51)과 제2 자석(52)은, 영구자석이다. 제1 자석(51)은, 케이스(10)의 전면(前面)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자석(51)은, 접점 장치(3)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자석(52)은, 케이스(10)의 후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자석(52)은, 접점 장치(3)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자석(52)은, 가동 접촉편(8)을 사이에 두고, 제1 자석(51)과 전후 방향으로 다른 극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석(51)의 S극이 가동 접촉편(8)에 면하게 배치되고, 제2 자석(52)의 N극이 가동 접촉편(8)에 면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제1 자석(51)과 제2 자석(52) 사이에는, 제2 자석(52)으로부터 제1 자석(51)을 향하여 자속이 흐른다(화살표 B 참조).
제1 요크(53)는,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을 따라 보아 대략 L자형이며, 케이스(10)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요크(53)는, 제1 자석(51)의 외측(전측) 및 상측을 덮도록 제1 자석(51)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요크(54)는,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을 따라 보아 대략 L자형이며, 케이스(10)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요크(54)는, 제2 자석(52)의 외측(전측) 및 상측을 덮도록 제2 자석(5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후측의 제2 자석(52) 및 제2 요크(54)만 도시되며, 전측의 제1 자석(51) 및 제1 요크(53)는 생략되어 있다.
전술한 자석부(5)에 의해, 제1 고정 접점(62)과 제1 가동 접점(81) 사이에 발생한 아크 및 제2 고정 접점(72)과 제2 가동 접점(82) 사이에 발생한 아크가 전후 방향(제2 방향의 일예)으로 신장한다.
(베이스(2))
도 8은, 베이스(2)로부터 제1 고정 단자(6), 제2 고정 단자(7), 가동 접촉편(8) 및 가동부(9)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베이스(2)는, 저면부(21), 한 쌍의 제1 단자 지지부(22)(지지부의 일예) 및 제2 단자 지지부(23)(지지부의 일예)를 가진다.
저면부(21)에 케이스(10)가 설치된다. 저면부(21)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장치(4)가 올려놓아져 있다. 저면부(21)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단의 중앙부에 가동 부재(91)의 슬라이딩부(913)가 활주하는 가이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4)의 좌우에는 한 쌍의 벽(26, 27)이 상 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4)의 전후에는 한 쌍의 벽(28, 29)이 상 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4)는, 벽(26, 27, 28, 29)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제1 단자 지지부(22)는, 제1 고정 단자(6)를 지지한다. 제2 단자 지지부(23)는, 제2 고정 단자(7)를 지지한다. 제1 단자 지지부(22) 및 제2 단자 지지부(23)는, 저면부(21)의 우단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단자 지지부(22) 및 제2 단자 지지부(23)는, 가이드부(24)를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제1 단자 지지부(22)는, 벽(28)의 전측에 벽(28)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단자 지지부(23)는, 벽(29)의 후측에 벽(29)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자 지지부(22)의 좌측과 우측 저면부(21)에는, 제1 고정 단자(6)의 선단이 삽입되는 관통 구멍(21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단자 지지부(23)의 좌측과 우측 저부(底部)에는, 제2 고정 단자(7)의 선단이 삽입되는 관통 구멍(21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자 지지부(22)와 제2 단자 지지부(23)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대칭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단자 지지부(22)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9는, 제1 단자 지지부(22)와 제1 고정 단자(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 단자 지지부(22)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1 단자 지지부(22)를 우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제1 단자 지지부(22)는, 저면부(2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단자 지지부(22)는, 제1 고정 단자(6)의 U자형의 내측에 끼인다.
제1 단자 지지부(22)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1 단자 지지부(22)는, 도 8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음면(22a), 제1 측면(22b), 제1 경사면(22c), 제2 측면(22d), 제2 경사면(22e), 제3 측면(22f)을 가지고 있다.
맞닿음면(22a)은, 상하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면이다. 맞닿음면(22a)은, 제1 고정 단자(6)를 제1 단자 지지부(22)에 설치했을 때, 제1 고정 단자(6)의 접점 지지부(61)의 면(61a)에 맞닿는다(도 3 참조).
제1 측면(22b)은, 제1 단자 지지부(22)의 우측 측면이다. 제1 측면(22b)은, 좌우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면(22b)은, 제1 고정 단자(6)를 제1 단자 지지부(22)에 설치했을 때, 제1 고정 단자(6)의 제1 외부 접속부(63)에 대향한다.
제1 경사면(22c)은, 맞닿음면(22a)과 제1 측면(22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경사면(22c)은, 우측 하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제2 측면(22d)은, 제1 단자 지지부(22)의 좌측 측면이다. 제2 측면(22d)은, 좌우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측면(22d)은, 제1 고정 단자(6)를 제1 단자 지지부(22)에 설치했을 때, 제1 고정 단자(6)의 제2 외부 접속부(64)에 대향한다.
제2 경사면(22e)은, 맞닿음면(22a)과 제2 측면(22d)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경사면(22e)은, 좌측 하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제3 측면(22f)은, 제1 측면(22b)과 제2 측면(22d) 사이를 잇는다. 제3 측면(22f)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면(22a)에는, 요부(凹部)(22g)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 접점(62)은, 접점 지지부(61)에 형성된 관통 구멍(61d)(도 6 참조)에 배치되어 있으며, 요부(22g)에는, 제1 고정 접점(62)의 제1 가동 접점(81)과는 반대측에 접점 지지부(61)로부터 돌출한 부분이 배치된다(도 3 참조). 요부(22g)는, 제3 측면(22f)까지 형성되어 있다.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면(22b)에는, 제1 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홈(221)은,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1 홈(221)은, 하단은 폐쇄되며, 상단은 제1 경사면(22c)에서 개구되어 있다. 개구되어 있는 부분이 개구부(221a)로서 표시되어 있다. 제1 홈(221)은, 상측으로부터 제1 홈 부분(221b)(배치 부분의 일예), 제2 홈 부분(221c)(접속 부분의 일예), 제3 홈 부분(221d)(개구부측 부분의 일예)을 가지고 있다.
제1 홈 부분(221b)의 상단이 개구부(221a)에 대응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홈 부분(221b)의 전후 방향에서의 폭(W1)은 일정하다.
제3 홈 부분(221d)은, 제1 단자 지지부(22)에 제1 고정 단자(6)가 설치되었을 때, 제1 철부(65)가 배치되는 부분이다. 도 11에는, 제1 단자 지지부(22)에 제1 고정 단자(6)가 설치되었을 때의 제1 철부(65)가 2점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1 철부(65)는, 제1 홈(221) 하단 부근에 배치되지만, 제1 고정 단자(6)의 상하 방향의 위치는, 맞닿음면(22a)에 의해 결정되므로, 제1 철부(65)의 위치는 하단 부근에 한정되지 않아도 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홈 부분(221d)의 전후 방향에서의 폭(W3)은 일정하다. 제3 홈 부분(221d)의 전후 방향에서의 폭(W3)은, 제1 외부 접속부(63)에 형성된 제1 철부(65)의 좌우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1 홈 부분(221b)의 전후 방향에서의 폭(W1)은, 제3 홈 부분(221d)의 전후 방향에서의 폭(W3)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제2 홈 부분(221c)은, 제1 홈 부분(221b)과 제3 홈 부분(221d)을 접속한다. 제2 홈 부분(221c)은, 제1 홈 부분(221b)으로부터 제3 홈 부분(221d)을 향함에 따라 폭이 서서히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홈 부분(221c)의 측벽은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측면(22d)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경사면(22e)에 개구부(222a)를 가지는 제2 홈(22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홈(222)의 형상은 제1 홈(22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단자 지지부(22)에 제1 고정 단자(6)를 설치할 때,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고정 단자(6)를 제1 단자 지지부(22) 상방에 배치하고, 제1 단자 지지부(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제1 외부 접속부(63)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철부(65)가 개구부(221a)를 개재하여 제1 홈(221)에 삽입되며, 제2 외부 접속부(64)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철부(66)가 개구부(222a)를 개재하여 제2 홈(222)에 삽입된다. 동시에, 선단 부분(631, 641)이 관통 구멍(21a)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1 고정 단자(6)의 접점 지지부(61)의 면(61a)이 제1 단자 지지부(22)의 맞닿음면(22a)에 맞닿았을 때까지 제1 고정 단자(6)는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로써,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자 지지부(22)에 제1 고정 단자(6)가 설치된다.
동일하게 하여, 제2 고정 단자(7)가 제2 단자 지지부(23)에 설치된다.
<동작>
다음에, 전자 계전기(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코일(41)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복귀 스프링(94)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 부재(91)가 개방 분리 방향으로 눌려 있으며, 가동 접촉편(8)은, 개방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코일(41)에 전압이 인가되어 구동 장치(4)가 여자(勵磁)되면, 가동 철편(45)이 고정 철심(43)에 흡인되어 회전운동하고, 가동 부재(91)가 접촉 방향으로 눌린다. 이로써, 가동 부재(91)가 복귀 스프링(94)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접촉 방향으로 이동한다.
가동 부재(91)의 접촉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가동 접촉편(8)이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제1 가동 접점(81)이 제1 고정 접점(62)에 접촉하고, 제2 가동 접점(82)이 제2 고정 접점(72)에 접촉한다. 이 때, 접점 스프링(93)에 의해 가동 접촉편(8)이 접촉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므로, 제1 고정 접점(62)에 대한 제1 가동 접점(81)의 접촉압 및 제2 고정 접점(72)에 대한 제2 가동 접점(82)의 접촉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코일(41)의 전압의 인가가 정지되면, 가동 부재(91)는, 복귀 스프링(94)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 분리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동 접촉편(8)이 개방 위치로 되돌아간다.
<작용 효과 등>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고정 단자(6)에 제1 철부(65)를 설치하고, 제1 단자 지지부(22)에 제1 철부(65)가 끼이는 제1 홈(221)이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제1 고정 단자(6)의 케이스(10) 외 부분에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제1 고정 단자(6)의 폭 방향(전후 방향)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에서의 제1 고정 단자(6)의 위치 어긋남은, 접점 지지부(61)의 가동 접촉편(8)과는 반대측의 면(61a)에 제1 단자 지지부(22)의 맞닿음면(22a)이 맞닿는 것에 의해 규제된다.
도 3의 정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고정 단자(6)를 기준으로 하여 제1 철부(65)와 제1 홈(221)이 가동 접촉편(8)의 반대측 공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고정 단자(6)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별도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가동 접촉편(8)측 공간을 손상시키지 않고, 제1 고정 단자(6)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철부(65)에 의해 제1 단자 지지부(22)를 형성하는 재료가 제1 홈(221)에서 깎인 경우에도, 제1 홈(221)이 제1 고정 단자(6)에 의해 덮어져 있으므로, 제1 홈(221)으로부터 깎인 부스러기가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단자(6)를 기준으로 하여 제1 철부(65)와 제1 홈(221)이 가동 접촉편(8)의 반대측 공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아크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자석부(5)에 의해 아크의 거동을 제어하기 쉽다.
제1 홈(221)은, 제1 외부 접속부(63)가 접점 지지부(61)의 단(61b)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1 홈(221)은, 맞닿음면(22a)측에 제1 철부(65)가 삽입 가능한 개구부(221a)를 가지고 있다. 이로써, 개구부(221a)로부터 제1 철부(65)를 삽입할 수 있고, 쉽게 제1 고정 단자(6)를 제1 단자 지지부(22)에 조립할 수 있다.
제1 홈(221)은, 제3 홈 부분(221d), 제1 홈 부분(221b), 제2 홈 부분(221c)을 가지고 있다. 제3 홈 부분(221d)에, 제1 철부(65)가 배치되어 있다. 제1 홈 부분(221b)은, 제3 홈 부분(221d)보다 개구부(221a)측에 형성되며, 제3 홈 부분(221d)보다 폭이 넓다. 제2 홈 부분(221c)은, 제1 홈 부분(221b)으로부터 제3 홈 부분(221d)을 향함에 따라 폭이 좁아져 있다. 이로써, 제1 철부(65)의 제1 홈(221)으로의 삽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철부(65)와 제1 홈(221)에 관한 작용 효과는, 제2 철부(66)와 제2 홈(222)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발휘된다.
또한, 전술한 제1 단자 지지부(22)와 제1 고정 단자(6)의 구성의 의한 작용 효과는, 제2 단자 지지부(23)와 제2 고정 단자(7)의 구성에 의해서도 발휘된다.
제1 고정 단자(6)는, 제2 외부 접속부(64)를 더 가지고 있다. 제2 외부 접속부(64)는, 접점 지지부(61)의 단(61b)과는 반대측의 단(61c)으로부터 제1 외부 접속부(63)와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U자형의 제1 고정 단자(6)에 있어서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고정 단자(6)는, 제2 철부(66)를 가지고 있다. 제2 철부(66)는, 제2 외부 접속부(64)에 있어서 면(61a)에 이어지는 면(64a)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단자 지지부(22)는, 제2 측면(22d)을 더 가진다. 제2 측면(22d)은, 제2 철부(66)가 끼이는 제2 홈(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2개의 철부와 2개의 홈에 의해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고정 단자(6)를 기준으로 하여 제1 철부(65)와 제1 홈(221)이 가동 접촉편(8)의 반대측 공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고정 단자(6)를 기준으로 하여 제2 철부(66)와 제2 홈(222)도 가동 접촉편(8)의 반대측 공간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자석부(5)에 의한 아크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아크의 거동을 제어하기 쉬운 상태에서 제1 고정 단자(6)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접점 장치(3) 혹은 구동 장치(4)의 구성이 변경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전자 계전기(1)에서는, 제1 고정 단자(6)에 제1 철부(65)와 제2 철부(66)가 설치되어 있으나, 어느 하나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철부에 대응하는 홈부가 하나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철부와 홈부의 조가 1조만 설치되었을 경우에도, 전후 방향에서의 제1 고정 단자(6)의 위치 어긋남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전자 계전기(1)에서는, U자형의 고정 단자가 사용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L자형의 고정 단자를 사용해도 된다. 도 13은, L자형의 제1 고정 단자(6')와 제1 고정 단자(6')를 지지하는 제1 단자 지지부(22')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고정 단자(6')는, 접점 지지부(61), 제1 고정 접점(62), 제1 외부 접속부(63), 제1 철부(65)를 가지고 있으나, 제1 고정 단자(6)와 달리 제2 외부 접속부(64) 및 제2 철부(66)를 가지고 있지 않는다. 제1 단자 지지부(22')는, 제1 단자 지지부(22)와 달리 제2 측면(22d)에 제2 홈(222)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제1 측면(22b)에만 제1 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홈(221)에 제1 철부(65)가 끼여 있다. 이로써,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전자 계전기(1)에서는, 제1 철부(65) 및 제2 철부(66)는, 원기둥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사각기둥 등의 다각기둥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전자 계전기(1)의 제1 홈(221) 및 제2 홈(222)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대칭되어 형성되어 있으나, 대칭되어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홈 부분(221b), 제2 홈 부분(221c) 및 제3 홈 부분(221d)에서의 후측 단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전측 단의 위치가 홈 부분마다 상이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전자 계전기(1)의 제1 홈(221)은, 제1 홈 부분(221b)에서의 폭과 제3 홈 부분(221d)에서의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며, 제2 홈 부분(221c)에서 제1 홈(221)의 폭이 좁아져 있으나, 제1 홈(221)의 전체에 걸쳐 서서히 폭이 좁아져도 된다. 제2 홈(222)도 전체에 걸쳐 서서히 폭이 좁아져도 된다.
1 전자 계전기
6 제1 고정 단자
8 가동 접촉편
22 제1 단자 지지부
22a 맞닿음면
22b 제1 측면
61 접점 지지부
61a 면
62 제1 고정 접점
63 제1 외부 접속부
63a 면
65 제1 철부
221 제1 홈

Claims (6)

  1. 고정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이 배치된 제1 단자 부분과, 상기 제1 단자 부분의 양단 중 제1 단으로부터 상기 제1 단자 부분에 대하여 굴곡 형성된 제2 단자 부분과, 상기 제2 단자 부분에 배치된 제1 철부(凸部)를 가지는 고정 단자,
    상기 고정 접점에 마주보는 가동 접점을 가지는 가동 접촉편,
    상기 제1 단자 부분의 상기 가동 접촉편과는 반대측의 제1 단자면에 맞닿는 맞닿음면과, 상기 제1 철부가 끼이는 제1 홈부가 형성된 제1 측면을 가지고, 상기 고정 단자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철부는, 상기 제2 단자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면에 이어지는 제2 단자면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 계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제2 단자 부분이 상기 제1 단자 부분의 상기 제1 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맞닿음면측에 상기 제1 철부가 삽입 가능한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제1 철부가 배치되어 있는 배치 부분,
    상기 배치 부분보다 상기 개구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치 부분보다 폭이 넓은 개구부측 부분,
    상기 개구부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배치 부분을 향함에 따라 폭이 좁아지는 접속 부분을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제1 단자 부분의 상기 제1 단과는 반대측의 제2 단으로부터 상기 제2 단자 부분과 평행으로 형성된 제3 단자 부분을 더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제3 단자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면에 이어지는 제3 단자면에 배치된 제2 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3 단자 부분의 상기 제2 철부가 끼이는 제2 홈부가 형성된 제2 측면을 더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편은,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 근접하는 접촉 방향과,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개방 분리하는 개방 분리 방향을 포함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 발생한 아크를 신장시키기 위한 자계를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발생시키는 자석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KR1020220015363A 2021-03-15 2022-02-07 전자 계전기 KR202201289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41571 2021-03-15
JP2021041571A JP7456405B2 (ja) 2021-03-15 2021-03-15 電磁継電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940A true KR20220128940A (ko) 2022-09-22

Family

ID=83195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363A KR20220128940A (ko) 2021-03-15 2022-02-07 전자 계전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57995B2 (ko)
JP (1) JP7456405B2 (ko)
KR (1) KR20220128940A (ko)
CN (1) CN1150838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67486A (ja) * 2020-10-20 2022-05-06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7392626B2 (ja) * 2020-10-20 2023-12-06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22067485A (ja) * 2020-10-20 2022-05-06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7452375B2 (ja) * 2020-10-20 2024-03-19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22141413A (ja) * 2021-03-15 2022-09-29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7456405B2 (ja) * 2021-03-15 2024-03-2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446A (ja) 1999-04-19 2000-11-02 Tyco Electronics Ec Kk 端子装置
JP4352633B2 (ja) 2001-05-15 2009-10-2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磁リレー
JP3989928B2 (ja) 2004-11-02 2007-10-10 ウチヤ・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電磁リレー
US8193881B2 (en) * 2007-09-14 2012-06-05 Fujitsu Component Limited Relay
JP6433706B2 (ja) * 2014-07-28 2018-12-0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及びコイル端子
JP6892810B2 (ja) 2017-10-02 2021-06-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20013654A (ja) * 2018-07-13 2020-01-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組立部材及び電磁継電器
JP2022141410A (ja) * 2021-03-15 2022-09-29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22141413A (ja) * 2021-03-15 2022-09-29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7456405B2 (ja) * 2021-03-15 2024-03-2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57995B2 (en) 2023-05-23
US20220293381A1 (en) 2022-09-15
JP7456405B2 (ja) 2024-03-27
JP2022141329A (ja) 2022-09-29
CN115083838A (zh)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28940A (ko) 전자 계전기
US10714289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RE49236E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CN109727815B (zh) 电磁继电器
US10892125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10714290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10720294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9082575B2 (en) Electromagnetic relay
CN115083844A (zh) 电磁继电器
US20240194429A1 (en) Relay
US20210082649A1 (en) Electromagnetic relay
CN112582209A (zh) 继电器
CN212365865U (zh) 触点装置、电磁继电器和具备电磁继电器的装置
EP4276877A1 (en) Electromagnetic relay
EP4276876A1 (en) Electromagnetic relay
US20220102102A1 (en) Relay
JP2022141326A (ja) 電磁継電器
CN115588600A (zh) 电磁继电器
KR20230146983A (ko) 전자 계전기
CN114762072A (zh) 电磁继电器
CN116888701A (zh) 电磁继电器
CN112582217A (zh) 继电器
CN112635249A (zh) 电磁继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