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6983A - 전자 계전기 - Google Patents

전자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6983A
KR20230146983A KR1020230034334A KR20230034334A KR20230146983A KR 20230146983 A KR20230146983 A KR 20230146983A KR 1020230034334 A KR1020230034334 A KR 1020230034334A KR 20230034334 A KR20230034334 A KR 20230034334A KR 20230146983 A KR20230146983 A KR 20230146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ontact
case
fixed
h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4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야타 호리에
료타 미노와
신이치 오가와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6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98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01H9/443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us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60Contact arrangements moving contact being rigidly combined with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과제) 접점 케이스에 대하여 자석이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전자 계전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전자 계전기는 제1 고정 단자, 가동 접촉편, 접점 케이스, 자석, 자석 유지부재를 포함한다. 제1 고정 단자는 제1 고정 접점을 포함한다. 가동 접촉편은 제1 고정 접점과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1 가동 접점을 포함한다. 접점 케이스는 제1 고정 접점과 가동 접촉편을 수용한다. 자석은 접점 케이스의 내부에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자석 유지부재는 수지제이다. 자석 유지부는 휘어짐이 가능한 휘어짐부를 포함한다. 자석 유지부재는 휘어짐부가 휘어지는 것에 의해 자석을 유지한다.

Description

전자 계전기{ELECTROMAGNETIC RELAY}
본 발명은 전자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접점에 발생하는 아크를 신장시켜 소호(消弧)하는 전자 계전기가 알려져 있다. 자석은 커버에 고정된 요크에 흡착함으로써 요크에 유지되어 있다(특허문헌1 참조).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개2012-104366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전자 계전기에서는, 자석은 요크에 흡착함으로써 요크에 유지되어 있다. 즉, 자석은 접점 케이스나 커버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이로써, 전자 계전기가 충격을 받았을 때에 자석이 이동하여 전자 계전기의 동작에 악영향을 주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접점 케이스에 대하여 자석이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전자 계전기는 제1 고정 단자, 가동 접촉편, 접점 케이스, 자석, 자석 유지부재를 포함한다. 제1 고정 단자는 제1 고정 접점을 포함한다. 가동 접촉편은 제1 고정 접점과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1 가동 접점을 포함한다. 접점 케이스는 제1 고정 접점과 가동 접촉편을 수용한다. 자석은 접점 케이스의 내부에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자석 유지부재는 수지제이다. 자석 유지부는 휘어짐이 가능한 휘어짐부를 포함한다. 자석 유지부재는 휘어짐부가 휘어지는 것에 의해 자석을 유지한다.
이 전자 계전기에서는, 자석은 자석 유지부재의 휘어짐부가 휘어지는 것에 의해 유지된다. 즉, 자석은 휘어짐부를 휘어지게 하여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유지된다. 이로써, 접점 케이스에 대하여 자석이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자 계전기가 충격을 받았을 때에 자석이 이동하여 전자 계전기의 동작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자석을 실 부재로 고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자석이 이동하는 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전자 계전기의 제조 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자석 유지부재는 접점 케이스에 고정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자석을 접점 케이스 부근에 배치할 수 있다.
자석 유지부재는 접점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부품을 삭감할 수 있다.
자석 유지부재의 휘어짐부는 접점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벽과, 접점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벽을 포함해도 된다. 자석은 제1 벽과 제2 벽에 끼움 지지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간단한 구성으로 자석을 유지할 수 있다.
전자 계전기는 접점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케이스를 더 포함해도 된다. 자석 유지부재는 외케이스에 고정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외케이스를 이용하여 자석을 유지할 수 있다.
자석 유지부재는 외케이스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벽과, 외케이스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벽을 포함해도 된다. 자석은 제1 벽과 제2 벽에 끼움 지지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간단한 구성으로 자석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가동 접점은 제1 가동 접점이 제1 고정 접점에 근접하는 접촉 방향과, 제1 가동 접점이 제1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되는 개방 분리 방향을 포함하는 제1 방향으로 제1 고정 접점과 마주보고 배치되어도 된다. 자석은 제1 방향에서 보아 제1 고정 단자와 중첩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1 방향에서 보아 자석과 제1 고정 단자가 중첩되는 전자 계전기에 있어서, 접점 케이스에 대하여 자석이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가동 접점은 제1 가동 접점이 제1 고정 접점에 근접하는 접촉 방향과, 제1 가동 접점이 제1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되는 개방 분리 방향을 포함하는 제1 방향으로 제1 고정 접점과 마주보고 배치되어도 된다. 자석 유지부재는 자석을 제1 방향으로부터 끼움 지지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자석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자석 유지부재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전자 계전기는 제2 고정 단자를 더 포함해도 된다. 제2 고정 단자는 제1 고정 단자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도 된다. 제2 고정 단자는 제2 고정 접점을 포함해도 된다. 가동 접촉편은 제2 고정 접점과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 가동 접점을 더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점 케이스에 대하여 자석이 이동하는 것을 억제 가능한 전자 계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전자 계전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자석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자석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변형예에 따른 제1 자석 주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전자 계전기(100)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을 참조할 때 X1 방향을 좌 방향, X2 방향을 우 방향, Y1 방향을 전 방향, Y2 방향을 후 방향, Z1 방향을 상 방향, Z2 방향을 하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X1, X2 방향을 좌우 방향, Y1, Y2 방향을 전후 방향, Z1, Z2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들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 정의되는 것이며, 전자 계전기(100)의 배치 방향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계전기(100)는 케이스(2)와, 접점 케이스(3)와, 접점 장치(4)와, 구동 장치(5)를 포함한다.
케이스(2)는 대략 사각형의 상자형이며, 예를 들어 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된다. 케이스(2)는 접점 케이스(3), 접점 장치(4) 및 구동 장치(5)를 수용한다. 케이스(2)는 외케이스의 일례이다.
접점 케이스(3)는 케이스(2) 내에 배치된다. 접점 케이스(3)는 구동 장치(5)의 상부에 배치된다. 접점 케이스(3)는 대략 사각형의 상자형이며, 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된다. 접점 케이스(3)는 예를 들어 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된다.
접점 케이스(3)는 상케이스(31)와, 하케이스(32)와, 제1 단자 지지부(33)와, 제2 단자 지지부(34)를 포함한다. 상케이스(31)는 하방을 향해 개구된다. 상케이스(31)는 하케이스(32)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케이스(31)는 하케이스(32)와 별체(別體)이다. 상케이스(31)는 예를 들어 스냅핏(snap fit) 결합에 의해 하케이스(32)에 고정된다. 하케이스(32)는 상방을 향해 개구된다. 하케이스(32)는 상방이 상케이스(31)에 의해 덮여 있다.
제1 단자 지지부(33) 및 제2 단자 지지부(34)는 상케이스(31)에 형성된다. 제1 단자 지지부(33)는 상케이스(31)로부터 우방(右方)으로 돌출된다. 제1 단자 지지부(33)는 우방을 향해 개구된다. 제2 단자 지지부(34)는 상케이스(31)로부터 좌방(左方)으로 돌출된다. 제2 단자 지지부(34)는 좌방을 향해 개구된다.
접점 장치(4)는 제1 고정 단자(6)와, 제2 고정 단자(7)와, 가동 접촉편(8)을 포함한다.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는 판형의 단자이며,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된다.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는 접점 케이스(3)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서 연장된다.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는 접점 케이스(3)의 상케이스(31)에 유지된다.
제1 고정 단자(6)는 제1 단자 지지부(33)에 압입고정된다. 제1 고정 단자(6)는 케이스(2)의 우벽(右壁)(2a)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다. 제1 고정 단자(6)는 제1 고정 단자(6)는 케이스(2)의 우벽(2a)에 대하여 간극을 가지며, 케이스(2)에 고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고정 단자(6)는 케이스(2)에 유지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제1 고정 단자(6)는 제1 고정 접점(6a)과, 제1 외부 접속부(6b)를 포함한다. 제1 고정 접점(6a)은 접점 케이스(3)에 수용된다. 제1 고정 접점(6a)은 제1 고정 단자(6)의 하면에 배치된다. 제1 외부 접속부(6b)는 케이스(2)의 외부에 배치된다. 제1 외부 접속부(6b)는 버스바(busbar) 등의 미도시의 외부 단자에 접속된다.
제2 고정 단자(7)는 제1 고정 단자(6)와 좌우 대칭 형상을 가진다. 제2 고정 단자(7)는 제1 고정 단자(6)의 좌방에 배치된다. 제2 고정 단자(7)는 제2 단자 지지부(34)에 압입고정된다. 제2 고정 단자(7)는 케이스(2)의 좌벽(左壁)(2b)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다. 제2 고정 단자(7)는 케이스(2)의 좌벽(2b)에 대하여 간극을 가지며, 케이스(2)에 고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 고정 단자(7)는 케이스(2)에 유지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제2 고정 단자(7)는 제2 고정 접점(7a)과, 제2 외부 접속부(7b)를 포함한다. 제2 고정 접점(7a)은 접점 케이스(3)에 수용된다. 제2 고정 접점(7a)은 제2 고정 단자(7)의 하면에 배치된다. 제2 외부 접속부(7b)는 케이스(2)의 외부에 배치된다. 제2 외부 접속부(7b)는 버스바 등의 미도시의 외부 단자에 접속된다.
가동 접촉편(8)은 접점 케이스(3)에 수용된다. 가동 접촉편(8)은 일방향으로 긴 판형의 단자이며,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된다. 가동 접촉편(8)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동 접촉편(8)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가동 접촉편(8)은 제1 가동 접점(8a)과, 제2 가동 접점(8b)을 포함한다. 제1 가동 접점(8a) 및 제2 가동 접점(8b)은 가동 접촉편(8)의 상면에 배치된다. 제1 가동 접점(8a)은 제1 가동 접점(8a)이 제1 고정 접점(6a)에 근접하는 접촉 방향과, 제1 가동 접점(8a)이 제1 고정 접점(6a)으로부터 이격되는 개방 분리 방향을 포함하는 제1 방향으로 제1 고정 접점(6a)과 마주보고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은 제1 방향의 일례이며, 상 방향은 접촉 방향의 일례이며, 하 방향은 개방 분리 방향의 일례이다. 제2 가동 접점(8b)은 제2 고정 접점(7a)과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고 배치된다.
구동 장치(5)는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된다. 구동 장치(5)는 가동 접촉편(8)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동 장치(5)는 가동 기구(11)와, 코일(12)과, 가동 철심(13)과, 고정 철심(14)과, 요크(15, 16)와, 복귀 스프링(17)을 포함한다.
가동 기구(11)는 가동 접촉편(8)에 연결된다. 가동 기구(11)는 홀더(11a)와, 구동축(11b)과, 접점 스프링(11c)을 포함한다. 홀더(11a)는 가동 접촉편(8)을 유지한다. 홀더(11a)는 가동 접촉편(8)과 일체로 이동한다. 구동축(11b)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동축(11b)은 홀더(11a)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홀더(11a)에 접속된다. 접점 스프링(11c)은 홀더(11a)와 구동축(11b) 사이에 배치된다. 접점 스프링(11c)은 홀더(11a)를 개재하여 가동 접촉편(8)을 상방으로 부세(付勢)한다.
코일(12)은 전압이 인가되어 여자(勵磁)되면, 가동 철심(13)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전자력을 발생시킨다. 가동 철심(13)은 구동축(11b)에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고정 철심(14)은 가동 철심(13)의 상방에서 가동 철심(13)과 마주보고 배치된다. 요크(15, 16)는 코일(12)을 둘러싸게 배치된다. 요크(15)는 대략 U자형 형상을 가지며, 고정 철심(14)에 접속된다. 요크(16)는 코일(12)의 하방에 배치되며, 요크(15)에 접속된다. 복귀 스프링(17)은 가동 철심(13)을 하방으로 부세한다.
전자 계전기(100)의 동작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코일(12)이 여자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제1 가동 접점(8a)이 제1 고정 접점(6a)으로부터 이격되고, 제2 가동 접점(8b)이 제2 고정 접점(7a)으로부터 이격된다. 코일(12)이 여자되면, 가동 철심(13)이 고정 철심(14)에 흡착되어 구동축(11b)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한다. 구동축(11b)의 이동에 따라, 가동 접촉편(8)이 접점 스프링(11c)을 개재하여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가동 접점(8a)이 제1 고정 접점(6a)에 접촉하고, 제2 가동 접점(8b)이 제2 고정 접점(7a)에 접촉한다. 코일(12)로의 전압 인가가 정지되면, 복귀 스프링(17)의 부세력에 의해 가동 철심(13)과 함께 구동축(11b)이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가동 접촉편(8)이 하방으로 이동하고, 제1 가동 접점(8a)이 제1 고정 접점(6a)으로부터 이격되고, 제2 가동 접점(8b)이 제2 고정 접점(7a)으로부터 이격된다.
전자 계전기(100)는 제1 자석(40)과, 제2 자석(50)과, 제1 자석 유지부재(60)와, 미도시의 제2 자석 유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제1 자석(40)은 자석의 일례이다. 제1 자석 유지부재(60)는 자석 유지부재의 일례이다.
제1 자석(40) 및 제2 자석(50)은 접점 케이스(3)의 내부에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제1 자석(40) 및 제2 자석(50)은 영구 자석이다. 제1 자석(40) 및 제2 자석(50)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제1 자석(40)은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 자석(40)은 제1 자석(40)은 접점 케이스(3)의 우측방에 배치된다. 제1 자석(40)은 접점 케이스(3)에 접촉하여 배치된다. 제1 자석(40)은 제1 고정 단자(6)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에서 보아 제1 고정 단자(6)와 중첩된다. 제1 자석(40)은 제1 단자 지지부(33)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에서 보아 제1 단자 지지부(33)와 중첩된다. 제1 자석(40)은 제1 자석 유지부재(60)에 유지된다. 제1 자석(40)은 제1 자석 유지부재(60)에 압입고정된다.
제2 자석(50)은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2 자석(50)은 접점 케이스(3)의 좌측방에 배치된다. 제2 자석(50)은 접점 케이스(3)에 접촉하여 배치된다. 제2 자석(50)은 제1 자석(40)과 좌우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2 자석(50)은 제2 고정 단자(7)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에서 보아 제2 고정 단자(7)와 중첩된다. 제2 자석(50)은 제2 단자 지지부(34)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에서 보아 제2 단자 지지부(34)와 중첩된다.
제1 자석 유지부재(60)는 수지제이다. 제1 자석 유지부재(60)는 접점 케이스(3)에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자석 유지부재(60)는 접점 케이스(3)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 자석 유지부재(60)는 접점 케이스(3)의 우측부에 배치된다.
제1 자석 유지부재(60)는 휘어짐이 가능한 휘어짐부(61)와, 지지부(62, 63)를 포함한다. 제1 자석 유지부재(60)는 휘어짐부(61)가 휘어지는 것에 의해 제1 자석(40)을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휘어짐부(61)는 전후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제1 자석(40)을 전후 방향으로부터 끼움 지지하여 제1 자석(40)을 유지한다.
휘어짐부(61)는 제1 벽(61a)과, 제2 벽(61b)을 포함한다. 제1 벽(61a) 및 제2 벽(61b)은 접점 케이스(3)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제1 벽(61a) 및 제2 벽(61b)은 접점 케이스(3)의 하케이스(32)의 우벽으로부터 우방으로 연장된다. 제1 벽(61a) 및 제2 벽(61b)은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벽(61a) 및 제2 벽(61b)은 전후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벽(61a)과 제2 벽(61b)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배치된다. 제1 벽(61a)의 후면과 제2 벽(61b)의 전면(前面) 사이의 치수는 전후 방향에서의 제1 자석(40)의 치수보다 작다.
제1 자석(40)은 예를 들어 상방으로부터 제1 벽(61a)과 제2 벽(61b) 사이에 삽입된다. 제1 자석(40)은 휘어짐부(61)의 제1 벽(61a) 및 제2 벽(61b)이 탄성 변형됨으로써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유지된다. 상세하게는, 제1 자석(40)이 제1 자석 유지부재(60)에 유지된 상태에서는, 제1 벽(61a)은 전방으로 휘어지며, 제2 벽(61b)은 후방으로 휘어진 상태에 있다. 즉, 제1 자석(40)이 제1 자석 유지부재(60)에 유지된 상태에서는, 제1 벽(61a)과 제2 벽(61b)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휘어진 상태에 있다. 이로써, 제1 자석(40)은 제1 벽(61a)과 제2 벽(61b)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끼움 지지되며, 제1 자석(40)이 접점 케이스(3)에 대하여 고정된다.
지지부(62, 63)는 제1 자석(40)의 하면을 지지한다. 지지부(62)는 제1 벽(61a)에 접속된다. 지지부(63)는 제2 벽(61b)에 접속된다. 지지부(62)와 지지부(63)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다. 지지부(62)는 제1 벽(61a)으로부터 이격되어도 된다. 지지부(63)는 제2 벽(61b)으로부터 이격되어도 된다. 지지부(62, 63)는 제1 자석(40)의 우면(右面)을 지지하는 형상을 가져도 된다.
제2 자석 유지부는 제1 자석 유지부재(60)와 좌우 대칭 형상을 가진다. 제2 자석 유지부는 접점 케이스(3)의 좌측부에 배치된다. 제2 자석 유지부는 제2 자석(50)을 유지한다. 제2 자석 유지부재는 제1 자석 유지부재(6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전자 계전기(100)에서는, 제1 자석(40)은 제1 자석 유지부재(60)의 휘어짐부(61)가 휘어지는 것에 의해 유지된다. 즉, 제1 자석(40)은 휘어짐부(61)를 휘어지게 하여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유지된다. 이로써, 접점 케이스(3)에 대하여 제1 자석(40)이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자 계전기(100)가 충격을 받았을 때에 제1 자석(40)이 이동하고, 전자 계전기(100)의 동작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자석(40)을 실 부재로 고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1 자석(40)이 이동하는 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전자 계전기(100)의 제조 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접점 케이스(3)의 구성은 변경되어도 된다. 접점 케이스(3)는 단일 부재로 구성되어도 된다. 접점 장치(4)의 구성은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는 원기둥형의 단자일 수도 있다. 구동 장치(5)의 구성은 변경되어도 된다. 구동 장치(5)는 가동 철심(13)을 하 방향으로 밀어 내리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 경우, 가동 접촉편(8)은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의 상방에 배치된다.
전자 계전기(100)는 제1 자석(40)과 제2 자석(50)에 접속되는 요크를 더 포함해도 된다.
제1 자석 유지부재(60)는 접점 케이스(3)와 다른 부재로 구성되어도 된다. 지지부(62, 63)는 생략되어도 된다. 제1 자석 유지부재(60)는 전후 방향에서의 제1 자석(40)의 중앙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휘어짐부(61)가 전후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제1 자석(40)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휘어짐부(61)의 휘어지는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휘어짐부(61)는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제1 자석(40)을 유지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자석(40)은 2개 부재로 끼움 지지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석(40)은 상케이스(31)와 하케이스(3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움 지지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휘어짐부(61)의 제1 벽(61a)을 상케이스(31)에 배치하고, 휘어짐부(61)의 제2 벽(61b)을 하케이스(32)에 배치하고, 제1 벽(61a)과 제2 벽(61b)에 의해 제1 자석(40)을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움 지지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제1 자석 유지부재(60)는 제1 자석(40)을 가이드하는 형상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휘어짐부(61)의 제1 벽(61a) 및 제2 벽(61b)의 적어도 일방은 좌우 방향에 대하여 제1 자석(40)을 가이드하는 형상을 가져도 된다. 또한, 제1 벽(61a)의 선단(先端) 내면 및/또는 제2 벽(61b)의 선단 내면은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1 자석(40)을 제1 자석 유지부재(60)에 배치할 때에, 제1 벽(61a)과 제2 벽(61b) 사이에 자석을 삽입하기 쉬워진다.
제1 자석 유지부재(60)는 접점 케이스(3)와 상이한 부재에 고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자석 유지부재(60)는 케이스(2)(외케이스의 일례)에 고정되어도 된다. 제1 자석 유지부재(60)는 케이스(2)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제1 벽(61a) 및 제2 벽(61b)은 케이스(2)의 내면으로부터 좌방으로 연장되고, 제1 자석(40)은 제1 벽(61a) 및 제2 벽(61b)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움 지지된다.
제1 자석(40)의 배치는 변경되어도 된다. 제1 자석(40)은 접점 케이스(3)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전자 계전기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자석(40)이 접점 케이스(3)에 대하여 전방에 배치되는 경우, 제1 자석 유지부재(60)는 접점 케이스(3)의 전벽(前壁)에 배치되어도 된다.
2 케이스(외케이스의 일례)
3 접점 케이스
6 제1 고정 단자
6a 제1 고정 접점
7 제2 고정 단자
7a 제2 고정 접점
40 제1 자석(자석의 일례)
60 제1 자석 유지부재(자석 유지부재의 일례)
61a 제1 벽
61b 제2 벽
100 전자 계전기

Claims (9)

  1. 제1 고정 접점을 포함하는 제1 고정 단자,
    상기 제1 고정 접점과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1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가동 접촉편,
    상기 제1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촉편을 수용하는 접점 케이스,
    상기 접점 케이스의 내부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석,
    휘어짐이 가능한 휘어짐부를 포함하고, 상기 휘어짐부가 휘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자석을 유지하는 수지제 자석 유지부재
    를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유지부재는, 상기 접점 케이스에 고정되는,
    전자 계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유지부재는, 상기 접점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자 계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유지부재의 상기 휘어짐부는, 상기 접점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벽과, 상기 접점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벽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2 벽에 끼움 지지되는,
    전자 계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 유지부재는, 상기 외케이스에 고정되는,
    전자 계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유지부재는, 상기 외케이스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벽과, 상기 외케이스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벽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2 벽에 끼움 지지되는,
    전자 계전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접점은, 상기 제1 가동 접점이 상기 제1 고정 접점에 근접하는 접촉 방향과, 상기 제1 가동 접점이 상기 제1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되는 개방 분리 방향을 포함하는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고정 접점과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제1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제1 고정 단자와 중첩되는,
    전자 계전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접점은, 상기 제1 가동 접점이 상기 제1 고정 접점에 근접하는 접촉 방향과, 상기 제1 가동 접점이 상기 제1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되는 개방 분리 방향을 포함하는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고정 접점과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자석 유지부재는, 상기 자석을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끼움 지지하는,
    전자 계전기.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고정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단자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고정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 접촉편은, 상기 제2 고정 접점과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 가동 접점을 더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KR1020230034334A 2022-04-13 2023-03-16 전자 계전기 KR202301469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66326A JP2023156772A (ja) 2022-04-13 2022-04-13 電磁継電器
JPJP-P-2022-066326 2022-04-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983A true KR20230146983A (ko) 2023-10-20

Family

ID=88191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4334A KR20230146983A (ko) 2022-04-13 2023-03-16 전자 계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35362A1 (ko)
JP (1) JP2023156772A (ko)
KR (1) KR20230146983A (ko)
CN (1) CN116913731A (ko)
DE (1) DE102023107529A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4366A (ja) 2010-11-10 2012-05-31 Panasonic Corp 接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56772A (ja) 2023-10-25
CN116913731A (zh) 2023-10-20
US20230335362A1 (en) 2023-10-19
DE102023107529A1 (de)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872B1 (ko) 전자 계전기
US10937617B2 (en) Relay
US11657995B2 (en) Electromagnetic relay with positional securement for fixed terminals
US11295918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10755883B2 (en) Electromagnetic relay
CN115083837A (zh) 电磁继电器
CN110875161B (zh) 直流继电器
US20210082649A1 (en) Electromagnetic relay
KR20230146983A (ko) 전자 계전기
US11373830B2 (en) Electromagnetic relay to ensure stable energization even when contact is dissolved
JP2022141413A (ja) 電磁継電器
KR20230146984A (ko) 전자 계전기
WO2023188699A1 (ja) 電磁継電器
WO2022185751A1 (ja) 電磁継電器
WO2023119957A1 (ja) 電磁継電器
US11908650B2 (en) Electromagnetic relay
CN113272930B (zh) 继电器
WO2023112582A1 (ja) 電磁継電器
US20220093355A1 (en) Relay
US20230104469A1 (en) Electromagnetic relay
JP2023007923A (ja) 電磁継電器
CN113168999A (zh) 电磁继电器
JP2022141326A (ja) 電磁継電器
CN114521281A (zh) 电磁继电器
CN115588600A (zh) 电磁继电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