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425A -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제조된 마늘 피클 - Google Patents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제조된 마늘 피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425A
KR20220126425A KR1020210030660A KR20210030660A KR20220126425A KR 20220126425 A KR20220126425 A KR 20220126425A KR 1020210030660 A KR1020210030660 A KR 1020210030660A KR 20210030660 A KR20210030660 A KR 20210030660A KR 20220126425 A KR20220126425 A KR 20220126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meric
garlic
parts
weight
seas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표
김홍길
Original Assignee
홍영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표 filed Critical 홍영표
Priority to KR1020210030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6425A/ko
Publication of KR20220126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8Preserving with sugars
    • A23B7/085Preserving with sugars in a solution of suga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3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by treatment with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23L5/32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using phonon wave energy, e.g. sound or ultrasonic wa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열풍으로 숙성한 마늘을 염장 및 초절임과 강황 및 보조재의 혼합액을 이용하여 다수 침지 숙성 과정을 통해 강황의 유효한 성분을 함유하고 마늘의 알리신 성분을 증강시키는 동시에 다양한 보조재의 성분을 제공할 수 있는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제조된 마늘 피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한 후 5~55℃ 범위의 저온열풍으로 6~7일간 건조하고 소금물과 식초로 염지와 초절임한 마늘 100중량부, 강황조미액과 보조농축액이 혼합된 혼합액 150~200중량부로 구성하는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 조성물 및 제조방법으로 형성하여; 저온열풍 건조 과정과 4차례의 숙성과정을 거쳐 녹변현상 방지와 마늘의 알리신 성분을 증대시켜 상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제조된 마늘 피클{Garlic pickle composition enhanced with allacin by addition of turmeric seasoning through hot air, salting, and multiple aging processe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prepared garlic pickles}
본 발명은 마늘피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온열풍으로 건조한 마늘을 초절임과 강황 및 보조재의 혼합액에 침지하여 다수 숙성 과정을 통해 피클링 진행하는 것으로 피클이나 절임 농산물 생산업종, 피클이나 절임류 생산업종, 농산물 가공업종, 농산물 후가공 업종에 적용할 수 있는 열풍 및 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제조된 마늘 피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류의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각종 육류나 치킨 등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육류의 소비증가에 따라 다양한 피클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피클의 수요 증가에 따라 더욱 고품질의 피클을 요구하고 어린이나 노약자 모두가 즐기며 간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피클의 출현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클은 설탕, 소금, 식초를 섞은 조미식초에 절이는 방법과, 향신료를 섞은 소금물에 절여서 발효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재료는 마늘, 오이, 양파, 토마토, 피망, 당근 등이 쓰이고 있으며, 향신료는 재료에 따라 다르지만 월계수 잎, 계피, 붉은 고추, 마늘, 후춧가루 등이 이용된다.
또한, 소위 단무지라고 하는 무 피클은 무를 소금과 등겨를 혼합한 등겨 소금에 절인 것으로 우리나라의 짠지와 저장식품이며 그 제조방법은 생무를 소금 절임하여 부드러워지면 등겨 소금을 깔고 부드러워진 무를 그 위에 빈틈없이 늘어놓고, 다시 등겨 소금을 깔고 부드러워진 무를 그 위에 빈틈없이 늘어놓아 한 켜씩 꾹꾹 눌러 숙성시키며 이때 감미료나, 유기산, 착색료 및 기타 첨가물을 섞어 만든 조합액에 숙성된 무를 일정 시간담갔다가 용기에 넣어 살균한 후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절임 방법은 마늘이나 오이, 무와 같은 각종 재료를장시간 보존하기 위하여 합성보존료(방부재), 합성착색료(색소), 및 합성감미료(사카린나트륨) 등을 사용하고, 단가를 낮추기 위해 저급한 합성식초와 다량의 합성첨가물을 이용하여 보존성과 맛을 내며, 조미액이란 이름으로 각종 향신료나 경화제를 쓰는 등 저급한 재료를 첨가함으로 절임식품의 우수한 효능을 저하시키고, 건강에도 이롭지 못한 식품으로 전락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9-0095894 호에는 생매실을 3~5%농도의 소금물에 2~8시간 동안 절인 다음, 흐르는 물에 20~60분간 탈염하는 단계와, 탈염이 끝난 매실을 제핵시켜 균일한 크기로 만든 후 설탕과 매실을 1:1로 혼합하여 2일간 당침하는 단계와, 상기 당침된 매실을 산미와 당분, pH가 조정된 조미액에 침지시키고 3~5일간 숙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매실 피클을 진공포장하여 밀봉하고, 70~90℃에서 5~30분간 살균하는 단계로 되는 매실 피클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05295호에는 절임 오이와 청양고추를 수세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절임오이를 탈염하는 단계와, 상기 탈염된 오이를 재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재세척된 오이를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청양고추를 50% 주정 또는 물에 침지시켜 천양고추의 유효물질이 추출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청양고추를 침지하여 제조된 청양고추 침지액을 피클 조미액에 혼합하여 핫피클 조미액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오이와 핫피클 조미액을 포장용기에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오이와 핫피클 조미액이 충진된 포장용기를 진공 밀봉하는 단계와, 상기 밀봉된 포장용기를 저온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러지는 핫 오이피클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43567호에는 전체 중량기준 양파 35~40중량%, 식초 20~30중량%, 설탕 5~15중량%, 소금 1~3중량%, 멸치 육수 20~30중량%로 이루어진 양파피클을 제공하기 위하여, a) 양파껍질을 벗긴 후 세척하는 단계, b) 상기 양파를 절단하는 단계, c) 멸치 육수에 식초, 설탕, 소금을 넣어 담금액을 만드는 단계, d) 상기 담금액을 1차 가열하여 식힌 후 여과하는 단계, e) 상기 담금액에 상기 양파를 투입하는 단계 및 f) 상기 양파가 투입된 상기 담금액을 숙성시켜 양파피클을 얻는 단계로 이루어진 양파피클의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00504호에는 ‘순무피클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93638호에는 ‘녹차피클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96855호에는 ‘퓨전피클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05330호에는 ‘미역피클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9-0072590 호에는‘참외피클 숙성용 숙성액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3091호에는 ‘천연 무공해 무 피클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피클의 제조방법이나 그 제품들은 모두가 육류나 다른 음식을 먹을 때 첨가하여 반찬으로 먹기 위한 것으로 피클 자체만을 독립적으로 먹기에는 부적합하며, 특히 보존성과 맛을 내기 위하여 합성보존료(방부제), 합성착색료(색소), 합성감미료(사카린나트륨) 및 저급한 합성식초와 같은 다량의 합성첨가물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절임식품의 우수한 효능을 저하시키고, 건강에도 이롭지 못한 식품으로 전락시키는 문제를 야기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이로 인하여, 마늘의 매운 성분은 감소시키고 강황의 성분을 함유시키는 동시에 여러번의 숙성 과정을 통해 마늘의 알리신 성분을 증대시키고 강황의 쓴맛을 제거하여 몸에 유익하며 섭취하기 편하게 개선된 강황 마늘 피클 조성물 및 제조방법 및 강황 마늘 피클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1. 등록번호 10-1480476 샐러드용 단감 드레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2. 등록번호 10-1583804 갓 피클과 이의 제조방법 3. 등록번호 10-1805573 양파피클의 제조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저온열풍 건조 과정과 4차례의 숙성과정을 거쳐 녹변현상 방지와 마늘의 알리신 성분을 증대시킨 열풍 및 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제조된 마늘 피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늘을 강황조미액으로 숙성시켜 마늘의 유효성분과 강황의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늘을 강황조미액과 함께 보조농축액을 혼합하여 숙성시킴으로써 유익한 성분을 함유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황조미액 제조시 강황의 쓴맛을 제거하여 섭취 거부반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늘을 혼합액에 침지하여 숙성시 인위적인 물리력을 이용하여 마늘 내부로 강황 및 보조재의 성분이 쉽고 깊게 스며들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늘 피클을 제조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세척한 후 5~55℃ 범위의 저온열풍으로 6~7일간 건조하고 소금물과 식초로 염지와 초절임한 마늘 100중량부, 강황조미액과 보조농축액이 혼합된 혼합액 150~200중량부로 구성하는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늘 피클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햇볕이 차단된 공간에서 세척 마늘 3kg을 5~55℃ 범위의 저온열풍으로 6~7일간 건조하는 세척건조단계, 세척 건조된 마늘을 물 1L당 염분농도 2.5~5.8% 범위의 소금물 3L에 5~24시간 침지 후 건져 소금물을 탈수시켜 10~13℃범위의 온도로 냉장 숙성하는 1차숙성단계, 1차숙성된 마늘과 식초를 1:1~1:3 비율로 침지 후 18~26시간 범위로 보관 숙성하는 2차숙성단계, 2차숙성된 마늘에 첨가될 강황조미액과 보조농축액을 1:1 비율 또는 9:1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혼합제조단계, 2차숙성된 마늘 100중량부에 혼합액을 150~200중량부 비율로 빛이 차단되는 저장용기에 담아 2~3일 동안 18~25℃ 범위로 상온 보관하여 숙성하는 3차숙성단계, 3차숙성이 완료되면 혼합액을 걸러 끓인 후 마늘이 담긴 저장용기에 부운 후 25~30일 동안 5~18℃ 범위로 냉장 숙성하는 4차숙성단계로 구성하여, 마늘의 녹변현상을 방지하고 혼합액의 첨가로 알리신이 증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의한 것으로, 세척 후 저온열풍으로 건조한 마늘을 소금물에 염장탈수하여 1차숙성한 다음, 식초로 초절임 2차숙성하며, 강황조미액과 보조농축액이 혼합된 혼합액에 침지와 탈수 침지를 반복하여 3차숙성 및 4차숙성하여 강황의 쓴맛이 제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저온열풍 건조 과정과 4차례의 숙성과정을 거쳐 녹변현상 방지와 마늘의 알리신 성분을 증대시켜 상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마늘을 강황조미액으로 숙성시켜 마늘의 유효성분과 강황의 유효성분을 안전하게 충분히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마늘을 강황조미액과 함께 보조농축액을 혼합하여 숙성시킴으로써 유익한 성분을 함유 할 수 있어 보조적인 기능적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강황조미액 제조시 강황의 쓴맛을 제거하여 섭취 거부반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호불호를 저감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늘을 혼합액에 침지하여 숙성시 인위적인 물리력을 이용하여 마늘 내부로 강황 및 보조재의 성분이 쉽고 깊게 스며들도록 하여 혼합액의 유효 효능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 제조방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숙성단계와 4차숙성단계에서 사용되는 저장용기의 압력커버 개방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를 이용하여 3차숙성단계와 4차숙성단계 시행시 마늘 피클을 숙성하는 예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풍 및 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 조성물은 세척한 후 5~55℃ 범위의 저온열풍으로 6~7일간 건조하고 소금물과 식초로 염지와 초절임한 마늘 100중량부, 강황조미액과 보조농축액이 혼합된 혼합액 150~200중량부로 구성한다.
상기 강황조미액의 조성물은 두가지 예시로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상기 강황조미액은 물 100중량부, 설탕 50중량부, 식초 50중량부, 맑은 동동주 50중량부, 강황편 및 강황가루로 이루어지는 강황 50중량부로 강황의 쓴맛이 제거되도록 구성한다
2. 상기 강황조미액은 물 100중량부, 천연꿀 100중량부, 감초 100중량부, 식초 50중량부, 청주 50중량부, 강황편 및 강황가루로 이루어지는 강황 50중량부로 강황의 쓴맛이 제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강황조미액에서 강황의 쓴맛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설탕이나, 천연꿀, 감초의 당류 성분에 의해 제거되며 2차적으로는 동동주나 청주의 알콜 성분에 의해 쓴맛과 강황의 강한 고유의 향이 휘발되면서 쓴맛이 제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마늘의 효능 및 영양성분은 강력한 살균작용을 하는 알리신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주며, 체내 비타민 B6와 결합하여 췌장 세포의 기능 및 인슐린의 분비를 활성화해 혈당을 떨어뜨리는 데 도움을 준다. 마늘은 우리나라의 4대 채소 중의 하나로 강한 냄새를 제외하고는 100가지 이로움이 있다고 하여 예로부터 ‘일해백리’라고 불렸으며, 마늘은 조미나 향신료 등 요리의 재료로 주로 활용되지만, 최근에는 칩이나 진액 등 가공식품으로도 많이 소비되고 있다. 이 밖에 마늘 기름을 이용해 약품으로도 생산되는 등 마늘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성 식품이 증가하고 있다. 열량은 100g당 120kcal으로 음식궁합은 우유, 인삼, 생강, 꿀과 서로 보완 역할을 하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강황의 성분을 더 포함시키기 위하여 채택하여 구성한다.
아울러, 강황(Tumeric)은 생강과의 다년초로서 울금, 옥금, 왕금, 및 심황으로 알려져 있고,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늦은 봄에 나팔모양의 담홍색 꽃이 겨드랑이에 많이 달리고, 뿌리와 줄기를 약용한다. 학명인 Curcuma longa(강황)는 뿌리줄기를 말하는데 울금은 온울금(Curcuma wenyujin), 강황(Curcuma longa), 광서아출(Curcuma kwangsiensis) 또는 봉아출(Curcuma phaeocaulis)의 덩이뿌리를 일컫는다.
강황은 지표성분으로서 쿠르쿠민(curcumine)과 유사물질에 의해 기능성식품으로, 강황의 가루나 추출액은 "본초강목"과 "동의보감" 등에 이담작용, 위액분비 촉진작용, 이뇨작용, 해독기능, 항암작용, 항염 작용 및 항산화 작용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전통 요법에서는 지혈작용, 건위작용, 항균작용, 항염 작용을 이용한 약용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강황은 간 보호 효능이 있는데 커리의 원료가 되는 강황의 주성분인 커큐민(curcumin)은 간 보호 약물인 실리빈보다 우수한 간 보호 작용이 있다고 독일 학술지가 발표하였다. 이 성분은 담즙을 분비하여 지방성질의 음식을 소화시키는 이담 효능도 알려져 있다. 강황은 어혈과 기 정체를 풀어주는 효능도 있는데 어혈을 깨뜨려 기가 정체된 것을 풀어서 순행시키고 경맥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즉 파혈행기와 통경지통 작용을 하고, 이담작용과 혈압강하 작용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황의 작용 부위는 간, 비경이다.
강황은 동의보감에 기재된 강황의 효능과 성질은 열하며 맛은 맵고 쓰며 독이 없으며 징가와 혈괴, 옹종을 낫게 하며 월경을 잘 하게 한다. 다쳐서 어혈이 진 것을 삭게 하고 냉기를 헤치고 풍을 없애며 기창을 삭아지게 한다.
또한, 강황은 속 쓰림과 배탈 예방에 효과적이며 Everyday Health에서 1989년에 실행한 한 연구에 따르면 강황이 속 쓰림과 배탈 치료에 소화제보다 더 효과적으로 그 이유는 강황의 소염제 성분 때문이라고 밝혔다. 강황의 노란색 성분인 ‘커큐민’성분은 심장마비 예방에 도움이 되며, 강황이 기존의 이브프로펜 같은 진통제보다 더 효과가 있어 관절염 환자의 진통제로도 좋다고 밝혀지는 특성에 의해 채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보조농축액은 물 100중량부; 정향, 계피, 생강, 상황버섯, 차가버섯, 산양삼, 배추, 브로컬리 중에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선택하는 보조재 200중량부로 구성한다.
상기 보조재의 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정향은 “대한민국약전”제11개정판)에 “정향(丁香) Syzygium aromaticum Merrill et Perry(정향나무과, Myrtaceae)의 꽃봉오리”로 등재하고 있으며, 정향에는 주로 정유와 엘라기탄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중국 약전에서는 의약 물질의 품질관리를 위해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에 따라 시험할 때 정향의 유게놀의 함량이 11% 이상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에 따라 시험할 때 모정향의 유게놀의 함량이 0.65% 이상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약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정향에는 항균, 살충, 살균, 인슐린 유사 작용, 항산화, 항종양, 위궤양 억제 및 진통 작용에 마늘과 유익한 성분제공할 수 있는 특성에 의해 채택 구성하였다.
2. 계피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생달나무(Cinnamomum japonicum SIEB.)의 나무껍질로 만든 약재로 건조된 나무껍질은 만곡상 혹은 반쯤 말려 있는 상태이며, 불규칙한 조각을 이룬다. 두께는 대개 3㎜이며 바깥 부위의 색은 흑갈색 또는 흑적색으로 되었고 회백색의 꽃과 같은 반점이 있다. 안쪽은 암홍적색에서 흑적색을 띤다. 절단면의 바깥 층은 회갈색이다. 약효 성분은 휘발성 정유 성분이 약 1%인데, 그 중에 펠란드렌(Phellandrene), 유게놀(Eugenal), 메틸유게놀(Methyleugual) 등이 함유되어 있다. 맛은 맵고 단맛이 나며 약성은 열성이다. 효능은 비위장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므로 소화기가 차서 소화장애가 있거나 복부가 차서 일어나는 복통 설사 등에 널리 이용된다. 뿐만 아니라 배가 차서 일어나는 구토에도 신속한 반응을 일으킨다. 그리고 풍습성으로 인한 사지마비와 동통을 그치게 하고, 허리나 무릎이 차고 시리면서 아픈 신경통과 관절 질환에도 널리 응용되는 특성에 의해 채택 구성하였다.
3. 생강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학명은 Zingiber officinale ROSC.이다. 근경은 굵고 옆으로 자라며 육질이고 연한 황색으로서 맵고 향기가 있다. 고려시대의 문헌인 “향약구급방”에는 약용식물로 기록되어 있으나 주로 양념으로 쓰이는데 생선이나 고기의 냄새를 없애주는 효과의 특성에 의해 채택 구성하였다.
4. 상황버섯의 학명은 Phellinus Linteus으로 다년생의 균사체 버섯으로 베타글루칸성 다당류가 다량 함유되어 항암, 면역활성, 항산화 활성 등의 효과로 식용보다는 약용으로 많이 사용된 버섯이다. 상황버섯의 약리 효능은 항암, 면역활성, 항산화 활성, 항동련변이원성으로 약리 기능으로 주목받고 있다. 버섯 유래의 고분자 다당류들의 항암 및 면역 증강 효과 등의 약리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베타글루칸성 다당류로 알려졌다. 상황버섯은 면역계를 자극하여 숙주의 생물학적 반응을 변화시킴으로써 여러 가지 생리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로 면역 증강제로서 종양 치료를 위한 면역 요법제로 사용되고 있거나 임상 시험 중에 있다. 말똥 진흙버섯은 지혈, 활혈, 화음 등의 작용이 있어 자궁 출혈, 생식기 종양, 소화기 종양, 장 출혈 등의 치료제로 이용되었으며, 목질진흙버섯은 중풍, 복통, 임질, 해독, 이뇨, 이질 등의 치료제로 이용되고 있으며, 상황버섯은 천연 항산화제인 토코페롤보다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는 특성에 의해 채택 구성하였다.
5. 차가버섯은 자작나무 등의 나무에 기생하며 나무의 암이라고 불리는데 나무를 썩게 하는 자실체가 불규칙하게 형성되며 불에 탄 숯과 같은 모습을 보이는데 대부분이 검은빛을 띄는 까닭은 멜라닌이 많기 때문인데 암을 예방하거나 종양을 줄이는데 면역력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차가버섯 속 성분에는 강력한 활성산소 제거 효과가 있어, 암 예방 효과는 물론, 노화, 심장병, 간염 등 수많은 생활습관 병을 예방하거나 개선해주는 것으로도 알려진 특성에 의해 채택 구성하였다.
6. 산양삼은 삼의 주요한 성분으로 알려진 질소를 함유한 성분이 전체 유기물의 12~16%이며, 약리효과가 높다고 알려진 사포닌성분은 3~6%이다. 삼의 여러가지 유효성분 중 주된 약리작용을 하는 것이 사포닌인데 사포닌(saponin)은 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는 트리텔펜 및 스테로이드계의 배당체의 총칭으로, 예전에는 비영양물질로 알려졌으나 항암, 항산화, 콜레스테롤 저하효과가 밝혀지면서 생리 활성물질로 각광받기 시작했다. 한방에서는 강심제나 이뇨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인삼 사포닌은 다른 식물에서 발견되는 사포닌과는 다른 특이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약리 효능도 특이하여 인산(Ginseng) 배당체(Glycoside)란 의미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라고 부르며, 항염, 중추신경 안정, 당 및 지방대서 촉진, 항당뇨, 진통, 부신피질자극, 코티스코스테론분비 촉진 등의 효능의 특성에 의해 채택 구성하였다.
7. 브로콜리는 미국 국립 암연구소에서 선정된 암 예방 컬러푸드중 녹색 식품으로 주목하는데 특히. 브로콜리에는 엽산, 비타민 C, 베타카로틴 등 항산화 물질이 풍부하다. 베타카로틴은 비타민 A의 생성 전 단계 물질로 항산화 작용을 가지고 있는 미량 영양소이다. 항산화 물질은 우리 몸에 쌓인 유해산소를 없애 노화와 암, 심장병 등 성인병을 예방한다. 브로콜리에 함유되어 있는 다량의 칼슘과 비타민 C가 골다공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브로콜리 100g에 비타민 C가 98㎎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레몬의 2배, 감자의 7배에 해당하는 양이다. 따라서 브로콜리 두세 송이면 하루 필요한 비타민 C를 섭취할 수 있으며 평지에서 자라는 채소로 항암 작용이 강한 유황화합물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발암 물질의 활성화와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특성에 의해 채택 구성하였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액과 마늘은 저장용기(10)에 담겨져 숙성하는데, 저장용기(10)는 내부 바닥면이나 측면에 다수개로 설치하는 초음파진동기(20)를 설치하며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한다.
상기 저장용기(10)의 상부에는 압력공기를 주입하도록 설치하는 압력덮개(30)를 형성하며, 압력덮개(30)의 상부 일측에는 저장용기(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계(31)를 구성한다.
상기 압력덮개(30)를 통해 3차숙성단계(S5)와 4차숙성단계(S6) 진행중에 3시간 간격으로 1~2분간 초음파진동기(20)를 작동하며, 압력공기는 0.5~1.5psi로 1~2분간 주입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압력덮개(30)의 상부면 일측에는 초음파진동기(20)에 전원 공급과 차단 및 시간 설정을 위한 제어부(32)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압력공기의 주입과 배기 작용을 하며 별도의 압축공기발생장치와 에어호스로 연결되는 노즐(33)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햇볕이 차단된 공간에서 세척 마늘 3kg을 5~55℃ 범위의 저온열풍으로 6~7일간 건조하는 세척건조단계(S1)를 시행한다.
상기 세척건조단계(S1)에서 세척은 일반적으로 깨끗한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마늘을 세척하는데 마늘을 쪼개어 피클을 만들 것인지 쪼개지 않은 통 마늘 형태로 피클을 만들것인 선택하며 본 발명에서는 마늘을 낱개와 통마늘 형태를 혼합하여 피클을 만드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상기 세척건조단계(S1)에서 저온열풍으로 마늘을 건조할 경우 열풍의 온도는 너무 낮으면 수분증발이 늦고 온도가 너무 높으면 마늘이 터질 수 있으며, 마늘의 부패를 방지하며 세척시 표면에 묻어 있는 물기 제거와 마늘 표면의 수분을 약 5~15% 정도 증발시켜 마늘을 염장, 초절임, 침지할 때 침투력이 향상되도록 온도는 25~50℃ 범위로 시행하는 바람직 할 것이다.
이후, 상기 세척건조단계(S1)를 거친 후, 세척 건조된 마늘을 물 1L당 염분농도 2.5~5.8% 범위의 소금물 3L에 5~24시간 침지 후 건져 소금물을 탈수시켜 10~13℃범위의 온도로 냉장 숙성하는 1차숙성단계(S2)를 시행한다.
상기 1차숙성단계(S2)에서 마늘을 소금물에 염장할 경우 소금물의 염분농도는 3~5% 범위가 적당한데 만약 염도가 높을 경우 짜며 낮을 경우에는 녹변 등 영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5% 정도의 염분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염장시간은 5~24시간 범위가 적당하나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정도 염장시간으로 시행한다.
즉, 세척건조단계(S1)를 거치면서 마늘을 저온열풍으로 건조시 마늘에 함유된 수분이 일정량 증발해 유효성분인 알리신이 농축되고, 1차숙성단계(S2)에서 5~7% 염분농도에서 냉장보관시 수분평형이 일어하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1차숙성단계(S2)를 거쳐 1차숙성된 마늘과 식초를 1:1~1:3 비율로 침지 후 18~26시간 범위로 보관 숙성하는 2차숙성단계(S3)를 시행한다.
상기 2차숙성단계(S3)를 거치면서 식초의 산성분에 의해 마늘의 조직을 자극할 때 알린(allin)의 유황화합물이 알리나아제(alliinase) 효소의 작용에 의해 알리신(allicin)이 증대되는 특징이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2차숙성단계(S3)를 거친 2차숙성된 마늘에 첨가될 강황조미액과 보조농축액을 1:1 비율 또는 9:1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혼합제조단계(S4)를 거친다.
상기 혼합제조단계(S4)는 2가지 실시예로 제조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다.
1. 혼합제조단계(S4)의 조미액제조단계(S41)는 물 100중량부, 설탕 50중량부, 식초 50중량부, 맑은 동동주 50중량부 비율로 혼합하여 끓인 다음 강황편 및 강황가루로 이루어지는 강황 50중량부를 첨가한 후 다시 끓여 식혀 강황조미액을 제조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조미액제조단계(S41)는 강황조미액을 제조하는 것으로 물 100중량부, 설탕 50중량부, 식초 50중량부, 맑은 동동주 50중량부 비율로 혼합하여 100℃의 상태에서 5~10분간 끓인 후 강황 50중량부를 첨가하여 100℃의 온도에서 10~15분간 끊인 후 70~85℃의 온도로 약 15~20분 끊인 다음 식히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2. 상기 조미액제조단계(S41)는 물 100중량부, 천연꿀 100중량부, 감초 100중량부, 식초 50중량부, 청주 50중량부 비율로 혼합하여 강황의 쓴맛이 제거되도록 제조한다.
상기 조미액제조단계(S41)는 강황조미액을 제조하는 것으로 물 100중량부, 천연꿀 100중량부, 감초 100중량부, 식초 50중량부, 청주 50중량부 비율로 혼합하여 100℃의 상태에서 15~20분간 끓인 후 강황 50중량부를 첨가하여 100℃의 온도에서 10~15분간 끊인 후 70~85℃의 온도로 약 15~20분 끊인 다음 식히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미액제조단계(S41)에 사용하는 설탕, 천연꿀, 감초는 매운 마늘에 당성분을 보충하기 위한 역활을 하며, 맑은 동동주나 청주는 숙성시 마늘이 변질되거나 쉽게 무르는 현상을 방지하고 강황의 성분은 마늘에 원활히 흡수되도록 강황의 성분을 액상형태로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혼합제조단계(S4)는 물 100중량부, 정향, 계피, 생강, 상황버섯, 차가버섯, 산양삼, 배추, 브로컬리 중에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선택하는 보조재 200중량부 비율로 혼합하여 3~5시간 끓인 후 냉각하여 보조농축액을 제조하는 농축액제조단계(S42)를 시행한다.
상기 강황조미액과 보조농축애은 마늘의 경도 및 크기, 보조재의 고유 향의 선호도 등에 따라 혼합비율을 조절하여 혼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혼합제조단계(S4)를 거친 2차숙성된 마늘 100중량부에 혼합액을 150~200중량부 비율로 빛이 차단되는 저장용기(10)에 담아 2~3일 동안 18~25℃ 범위의 상온에 보관하여 숙성하는 3차숙성단계(S5)를 시행한다.
상기 3차숙성단계(S5)에서는 마늘을 혼합액에 침지시켜 침지 상태로 상온에서 숙성시킴으로써 강황 및 보조재 성분이 마늘의 내부로 흡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3차숙성단계(S5)를 거쳐 3차숙성이 완료되면 혼합액을 걸러 끓인 후 마늘이 담긴 저장용기(10)에 부운 후 25~30일 동안 5~18℃ 범위로 냉장 숙성하는 4차숙성단계(S6)로 구성한다.
상기 4차숙성단계(S6)는 3차숙성단계(S5)의 과정을 반복하는 방법은 동일하나 숙성기간을 늘려서 혼합액이 마늘의 내부 충분히 침투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3차숙성단계(S5)에서는 혼합액을 60~90℃범위로 20~30분 끓여 마늘에 부어 침지하며, 4차숙성단계(S6)에서는 혼합액을 70~90℃범위로 30~40분 끓여 마늘에 부어 침지하여 숙성한다.
이러한, 상기 3차숙성단계(S5)와 4차숙성단계(S6)를 진행시 저장용기(10)에 2차숙성된 마늘과 혼합제조단계(S4)에서 제조된 혼합액을 넣은 후, 압력덮개(30)를 덮고 3차숙성단계(S5)와 4차숙성단계(S6)를 시행시 제어부(32)를 조작하여 3시간 간격으로 1~2분간 초음파진동기(20)를 작동하며, 압력계(31)를 확인하며 압력공기는 0.5~1.5psi로 1~2분간 주입한다.
세척 마늘 3kg을 28~37℃ 범위의 저온열풍으로 6~7일간 건조 후 염분농도 5% 소금물 3L에 12시간 염장한다.
이후 마늘을 건져 소금물을 탈수시켜 10~13℃범위의 온도로 저 냉장 보관하여 1차숙성을 한 다음 이를 다시 식초 1L에 초절임 후 이틀을 보관하면서 2차숙성을 한다.
이때, 물 100중량부, 설탕 50중량부, 식초 50중량부, 맑은 동동주 50중량부 비율로 혼합하여 끓인 다음 강황편 및 강황가루로 이루어지는 강황 50중량부를 첨가한 후 다시 끓여 식힌 강황조미액과 물 100중량부, 정향, 계피, 생강, 상황버섯, 차가버섯, 산양삼, 배추, 브로컬리 중에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선택하는 보조재 200중량부 비율로 혼합하여 끓여서 제조한 보조농축액을 1:1 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을 제조한다.
상기 혼합액을 70℃로 끓여 마늘을 담아 빛이 차단되는 저장용기에 담아 2일 상온 보관하여 3차숙성 후, 조미액을 걸러 90℃로 끓여 끓인 후 다시 마늘 용기에 담아 30일정도 냉장 보관하여 4차숙성을 진행하여 제조한 강황첨가 마늘피클로 녹변현상을 막고, 강황의 쌉쌀한 맛을 제거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을 완성하였다.
비교예 1
항 목 생 마늘 본 발명 마늘피클
초기 알리신성분량(㎎/g) 2.77 2.77
1차숙성 후 알리신성분량 - 2.89
2차숙성 후 알리신성분량 - 3.21
3차숙성 후 알리신성분량 - 6.92
4차숙성 후 알리신성분량 - 8.67
색 상 연한 아이보리 옅은노란 갈색

혼합액 침투 깊이
- 마늘의 단면에서 가장 길이가 긴 단면을 기준 시 마늘 겉표면에서 약3mm 깊이로 침투
상기 비교예1은 본 발명에 대한 자체 시험결과로써 일반적인 생 마늘과 본 발명의 마늘 피클을 제조하기 위한 동일한 마늘을 세척후 초기 알리신 성분을 측정한 결과 값을 토대로 시험하였으며, 1차~4차숙성 단계 진행과정에서는 생 마늘시 알리신 성분량을 측정하였던 마늘은 별도 부직포 주머니에 담아 다른 마늘과 동일하게 숙성하는 과정에서 각 숙성 단계가 완료된 후 측정하였다.
세척 마늘 3kg을 28~37℃ 범위의 저온열풍으로 6~7일간 건조 후 염분농도 5% 소금물 3L에 12시간 염장한다.
이후 마늘을 건져 소금물을 탈수시켜 10~13℃범위의 온도로 저 냉장 보관하여 1차숙성을 한 다음 이를 다시 식초 1L에 초절임 후 이틀을 보관하면서 2차숙성을 한다.
이때, 물 100중량부, 설탕 50중량부, 식초 50중량부, 맑은 동동주 50중량부 비율로 혼합하여 끓인 다음 강황편 및 강황가루로 이루어지는 강황 50중량부를 첨가한 후 다시 끓여 식혀 강황조미액과 물 100중량부, 정향, 계피, 생강, 상황버섯, 차가버섯, 산양삼, 배추, 브로컬리 중에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선택하는 보조재 200중량부 비율로 혼합하여 끓여서 제조한 보조농축액을 7:3 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을 제조한다.
상기 혼합액을 60℃로 끓여 마늘을 담아 빛이 차단되는 저장용기에 담아 3일 상온 보관하여 3차숙성을 하고, 조미액을 걸러 80℃로 끓여 다시 마늘 용기에 담아 25일정도 냉장 보관하여 4차숙성을 진행하여 제조한 강황첨가 마늘피클로 녹변현상을 막고, 강황의 쌉쌀한 맛을 제거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을 완성하였다.
비교예 2
항 목 생 마늘 본 발명 마늘피클
초기 알리신성분량(㎎/g) 2.56 2.56
1차숙성 후 알리신성분량 - 2.71
2차숙성 후 알리신성분량 - 3.35
3차숙성 후 알리신성분량 - 5.68
4차숙성 후 알리신성분량 - 7.92
색 상 연한 아이보리 짙은노란 갈색

혼합액 침투 깊이
- 마늘의 단면에서 가장 길이가 긴 단면을 기준 시 마늘 겉표면에서 약2.8mm 깊이로 침투
상기 비교예 2는 본 발명에 대한 자체 시험결과로써 일반적인 생 마늘과 본 발명의 마늘 피클을 제조하기 위한 동일한 마늘을 세척후 초기 알리신 성분을 측정한 결과 값을 토대로 시험하였으며, 1차~4차숙성 단계 진행과정에서는 생 마늘시 알리신 성분량을 측정하였던 마늘은 별도 부직포 주머니에 담아 다른 마늘과 동일하게 숙성하는 과정에서 각 숙성 단계가 완료된 후 측정하였다.
즉, 본 발명은 세척 후 저온열풍으로 건조한 마늘을 소금물에 염지탈수하여 1차숙성한 다음, 식초로 초절임 2차숙성하며, 강황조미액과 보조농축액이 혼합된 혼합액에 침지와 탈수 침지를 반복하여 3차숙성 및 4차숙성하여 강황의 쓴맛을 제거하는 동시에 마늘의 녹변현상을 방지하고 혼합액의 첨가로 알린(alliin) 황화합물과 함께 S-알리시스테인(S-allyl-cysteine)를 구성하는 성분인 알리신(allicin)증가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저장용기 20 : 초음파진동기
30 : 압력덮개 31 : 압력계
32 : 제어부
S1 : 세척건조단계 S2 : 1차숙성단계
S3 : 2차숙성단계 S4 : 혼합제조단계
S41 : 조미액제조단계 S42 : 농축액제조단계
S5 : 3차숙성단계 S6 : 4차숙성단계

Claims (10)

  1. 마늘 피클을 제조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세척한 후 5~55℃ 범위의 저온열풍으로 6~7일간 건조하고 소금물과 식초로 염지와 초절임한 마늘 100중량부, 강황조미액과 보조농축액이 혼합된 혼합액 150~200중량부로 구성하는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황조미액은 물 100중량부, 설탕 50중량부, 식초 50중량부, 맑은 동동주 50중량부, 강황편 및 강황가루로 이루어지는 강황 50중량부로 강황의 쓴맛이 제거되도록 구성하는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황조미액은 물 100중량부, 천연꿀 100중량부, 감초 100중량부, 식초 50중량부, 청주 50중량부, 강황편 및 강황가루로 이루어지는 강황 50중량부로 강황의 쓴맛이 제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농축액은 물 100중량부;
    정향, 계피, 생강, 상황버섯, 차가버섯, 산양삼, 배추, 브로컬리 중에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선택하는 보조재 200중량부로 구성하는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과 마늘은 저장용기(10)에 담겨져 숙성하되,
    상기 저장용기(10)는 내부 바닥면이나 측면에 다수개로 설치하는 초음파진동기(20),
    상기 저장용기(10)의 상부에는 압력공기를 주입하도록 설치하는 압력덮개(30),
    상기 압력덮개(30)를 통해 3차숙성단계(S5)와 4차숙성단계(S6) 진행중에 3시간 간격으로 1~2분간 초음파진동기(20)를 작동하며, 압력공기는 0.5~1.5psi로 1~2분간 주입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 조성물.
  6. 마늘 피클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햇볕이 차단된 공간에서 세척 마늘 3kg을 5~55℃ 범위의 저온열풍으로 6~7일간 건조하는 세척건조단계(S1),
    세척 건조된 마늘을 물 1L당 염분농도 2.5~5.8% 범위의 소금물 3L에 5~24시간 침지 후 건져 소금물을 탈수시켜 10~13℃범위의 온도로 냉장 숙성하는 1차숙성단계(S2),
    1차숙성된 마늘과 식초를 1:1~1:3 비율로 침지 후 18~26시간 범위로 보관 숙성하는 2차숙성단계(S3),
    2차숙성된 마늘에 첨가될 강황조미액과 보조농축액을 1:1 비율 또는 9:1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혼합제조단계(S4),
    2차숙성된 마늘 100중량부에 혼합액을 150~200중량부 비율로 빛이 차단되는 저장용기(10)에 담아 2~3일 동안 18~25℃ 범위로 상온 보관하여 숙성하는 3차숙성단계(S5),
    3차숙성이 완료되면 혼합액을 걸러 끓인 후 마늘이 담긴 저장용기(10)에 부운 후 25~30일 동안 5~18℃ 범위로 냉장 숙성하는 4차숙성단계(S6)로 구성하여, 마늘의 녹변현상을 방지하고 혼합액의 첨가로 알리신이 증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의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제조단계(S4)는 물 100중량부, 설탕 50중량부, 식초 50중량부, 맑은 동동주 50중량부 비율로 혼합하여 끓인 다음 강황편 및 강황가루로 이루어지는 강황 50중량부를 첨가한 후 다시 끓여 식혀 강황조미액을 제조하는 조미액제조단계(S41),
    물 100중량부, 정향, 계피, 생강, 상황버섯, 차가버섯, 산양삼, 배추, 브로컬리 중에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선택하는 보조재 200중량부 비율로 혼합하여 끓여서 보조농축액을 제조하는 농축액제조단계(S42)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의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미액제조단계(S41)는 물 100중량부, 천연꿀 100중량부, 감초 100중량부, 식초 50중량부, 청주 50중량부 비율로 혼합하여 강황의 쓴맛이 제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의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3차숙성단계(S5)와 4차숙성단계(S6)를 진행시 저장용기(10)에 2차숙성된 마늘과 혼합제조단계(S4)에서 제조된 혼합액을 넣은 후, 압력덮개(30)를 통해 3차숙성단계(S5)와 4차숙성단계(S6)를 시행시 3시간 간격으로 1~2분간 초음파진동기(20)를 작동하며, 압력공기는 0.5~1.5psi로 1~2분간 주입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의 방법.
  10.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의한 것으로, 세척 후 저온열풍으로 건조한 마늘을 소금물에 염장탈수하여 1차숙성한 다음, 식초로 초절임 2차숙성하며, 강황조미액과 보조농축액이 혼합된 혼합액에 침지와 탈수 침지를 반복하여 3차숙성 및 4차숙성하여 강황의 쓴맛이 제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
KR1020210030660A 2021-03-09 2021-03-09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제조된 마늘 피클 KR202201264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660A KR20220126425A (ko) 2021-03-09 2021-03-09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제조된 마늘 피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660A KR20220126425A (ko) 2021-03-09 2021-03-09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제조된 마늘 피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425A true KR20220126425A (ko) 2022-09-16

Family

ID=8344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660A KR20220126425A (ko) 2021-03-09 2021-03-09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제조된 마늘 피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642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476B1 (ko) 2013-01-29 2015-01-12 박찬희 샐러드용 단감 드레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83804B1 (ko) 2013-04-30 2016-01-21 박낙원 갓 피클과 이의 제조방법
KR101805573B1 (ko) 2015-02-25 2017-12-06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노들농산 양파피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476B1 (ko) 2013-01-29 2015-01-12 박찬희 샐러드용 단감 드레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83804B1 (ko) 2013-04-30 2016-01-21 박낙원 갓 피클과 이의 제조방법
KR101805573B1 (ko) 2015-02-25 2017-12-06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노들농산 양파피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916B1 (ko) 물회 육수의 제조방법
KR101561169B1 (ko) 지장수를 이용한 단감 장아찌의 제조방법
KR20170092365A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기능성 건조 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30693B1 (ko) 더덕 고추장 절임의 제조방법
KR101392552B1 (ko) 매실액이 함유된 곰취양념절임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0867A (ko) 목이버섯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목이버섯 장아찌
KR20120071890A (ko) 동/식물성 식재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KR102093741B1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KR102267942B1 (ko) 항균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06650A (ko) 양념 게장용 소스의 제조방법
KR20130131564A (ko) 누에젓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20220126425A (ko) 열풍 및 염장과 다수 숙성과정을 통한 강황 조미액 첨가로 알리신이 증강된 마늘 피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제조된 마늘 피클
KR20180034905A (ko) 삼백초 및 어성초가 포함된 약선 소스, 이를 사용한 수산물의 염장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반 고등어
KR20110113709A (ko) 바나듐이 함유된 생선회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바나듐이 함유된 생선회 음료 조성물
US11272714B2 (en) Method for preparing functional ingredient-containing kimchi containing Dendropanax morbifera lev. extract
KR20210048971A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즉석식품용 샐러드
KR20200116623A (ko) 깜냥갈비탕
KR101496845B1 (ko) 해삼정과 제조방법
KR20160062390A (ko) 파우치를 이용한 동결건조된 건해삼과 소스 혼합방법
JP2006232763A (ja) 笹エキス含有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した化粧料、飲食品
KR101752547B1 (ko) 비타민 c를 이용한 생강류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489041B1 (ko) 기능성 양념을 사용한 저염 배추 김치의 제조방법
KR102216354B1 (ko) 무염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무염 김치
KR102141507B1 (ko) 마라 육포의 제조방법
KR102609869B1 (ko) 조리용 양념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조리용 양념 분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