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207A -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의약 조성물 및 히알루론산 유도체-약물 결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의약 조성물 및 히알루론산 유도체-약물 결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207A
KR20220124207A KR1020227026681A KR20227026681A KR20220124207A KR 20220124207 A KR20220124207 A KR 20220124207A KR 1020227026681 A KR1020227026681 A KR 1020227026681A KR 20227026681 A KR20227026681 A KR 20227026681A KR 20220124207 A KR20220124207 A KR 20220124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hyaluronic acid
acid derivative
alkyl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6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유키 나카가와
고헤이 야부우치
게이스케 후쿠모토
도루 가츠마타
소연 양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4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2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2Peptides of undefined number of 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6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saccharide or a derivativ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4Solid, semi-solid or solidifying implants, which are implanted or injected in body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24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beta-D-Glucans; (beta-1,3)-D-Glucans, e.g. paramylon, coriolan, sclerotan, pachyman, callose, scleroglucan, schizophyllan, laminaran, lentinan or curdlan; (beta-1,6)-D-Glucans, e.g. pustulan; (beta-1,4)-D-Glucans; (beta-1,3)(beta-1,4)-D-Glucans, e.g. lichenan;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272-Acetamido-2-deoxy-beta-glucan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3Chitin, i.e. 2-acetamido-2-deoxy-(beta-1,4)-D-glucan or N-acetyl-beta-1,4-D-glucosamine; Chitosan, i.e. deacetylated product of chitin or (beta-1,4)-D-glucosam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 C08B37/0072Hyaluronic acid, i.e. HA or hyaluronan; Derivatives thereof, e.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lan) or hyalur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A) 스테릴기를 도입한 히알루론산 유도체와, (B)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카르바메이트기, 우레아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관능기를 갖는 극성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고, (A)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대한 상기 스테릴기의 도입률이, 0.1% 이상 35% 미만인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당해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을 담체로서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및 당해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에 있어서의 (A)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1 이상의 약물이 결합한 히알루론산 유도체-약물 결합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의약 조성물 및 히알루론산 유도체-약물 결합체 조성물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의약 조성물 및 히알루론산 유도체-약물 결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0년 2월 5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20-018312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본 명세서에 원용한다.
근년, 단백질이나 펩티드, 핵산을 활성 성분으로 하는 의약품인 바이오 의약품이 실용화되어 있고, 그 수는 해마다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다. 바이오 의약품은, 종래의 저분자 의약으로는 충족할 수 없었던 미충족 의료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그러나, 소화관 내지 점막 등으로부터는 흡수되기 어려운 데다가, 체내에서는 불안정하며 혈중 반감기가 짧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그 때문에, 바이오 의약품은 주사에 의한 빈번한 횟수 투여가 필요해서, 환자와 의료 관계자 어느 쪽에 있어서든 부담이 크다. 그래서, 약리 활성을 손상시킬 일 없이 바이오 의약품을 캡슐화하여 생체 내에서 서서히 유효 성분을 방출할 수 있는 약물 기재(서방성 약물 수송계 기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특허문헌 1에서는, 안전성이 우수한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서방성 약물 수송계 기재가 제안되어 있다. 이 히알루론산 유도체는, 수용액 중에서 자발적으로 회합하여, 약물, 특히 바이오 의약품을, 그 생물 활성을 유지한 채 효율적으로 봉입할 수 있고, 생리 식염 농도 하에서 응집하고(혹은, 생리 식염 농도 하에서도 분산하고), 게다가 혈중 체류성이 양호하다. 이 히알루론산 유도체는, 특히 바이오 의약품을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약리 활성을 유지한 채 많은 약물을 효율적으로 봉입할 수 있는 담체, 및 혈중 체류성이 우수한 혈중 서방 캐리어 그리고 타겟팅 캐리어로서 사용할 수 있고, 약물을 지속적으로 서방할 수 있는 국소(예를 들어, 피하 등) 서방 캐리어로도 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0/053140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히알루론산 유도체에서는, 염 농도 의존적으로 침전 형성능을 조정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생리 식염 농도 하에서의 침전 형성능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물 조성물의 생체 내에서의 국소 체류성이 손상되는 리스크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생리 식염 농도 하에서의 침전 형성능이 우수한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그리고, 상기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을 사용한 의약 조성물 및 히알루론산 유도체-약물 결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를 포함한다.
(1) (A) 스테릴기를 도입한 히알루론산 유도체와,
(B)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카르바메이트기, 우레아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관능기를 갖는 극성기 함유 화합물
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로서,
(A)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대한 상기 스테릴기의 도입률이 0.1% 이상 35% 미만인,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2) 상기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이, 히드록시기를 적어도 하나 갖는 극성기 함유 화합물인, 상기 (1)에 기재된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3) 상기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의 함유량이, 상기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질량에 대하여 0.001질량ppm 이상 1000질량ppm 미만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4) 상기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이 복수의 극성기를 갖고 있는 화합물인, 상기 (1) 내지 (3) 어느 것에 기재된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5) 상기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이 알코올인 상기 (1) 내지 (4) 어느 것에 기재된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6) 상기 알코올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상기 (5)에 기재된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7) 상기 알코올이 다가 알코올인, 상기 (6)에 기재된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8) 상기 알코올이 에틸렌글리콜인, 상기 (7)에 기재된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9) 상기 (A) 히알루론산 유도체가,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Figure pct00001
식 중,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6 알킬, 포르밀 및 C1-6 알킬카르보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Z는, 직접 결합, 또는 2개 이상 30개 이하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펩티드 링커를 나타내고;
X1은, 이하의 식:
-NRb-R,
-NRb-COO-R,
-NRb-CO-R,
-NRb-CO-NRc-R,
-COO-R,
-O-COO-R,
-S-R,
-CO-Ya-S-R,
-O-CO-Yb-S-R,
-NRb-CO-Yb-S-R, 및
-S-S-R,
로 표시되는 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이며;
Ra, Rb 및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20 알킬, 아미노 C2-20 알킬 및 히드록시 C2-20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여기서 당해 기의 알킬 부분은, -O- 및 -NRf-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가 삽입되어 있어도 되고;
Rf는, 수소 원자, C1-12 알킬, 아미노 C2-12 알킬 및 히드록시 C2-12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당해 기의 알킬 부분은 -O- 및 -NH-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가 삽입되어 있어도 되고;
R은, 스테릴기이며;
Y는, C2-30 알킬렌, 또는 -(CH2CH2O)m-CH2CH2-이며, 여기서, 당해 알킬렌은, -O-, -NRg- 및 -S-S-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가 삽입되어 있어도 되고;
Rg는, 수소 원자, C1-20 알킬, 아미노 C2-20 알킬 및 히드록시 C2-20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당해 기의 알킬 부분은 -O- 및 -NH-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가 삽입되어 있어도 되고;
Ya는, C1-5 알킬렌이며;
Yb는, C2-8 알킬렌 또는 C2-8 알케닐렌이며;
m은, 1 이상 100 이하의 정수이다.
(10) 상기 R이 콜레스테릴기인, 상기 (9)에 기재된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11) 상기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분자량이 1,000 이상 1,000,000 미만인,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12) 약물과, 담체를 포함하고, 상기 담체가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인, 의약 조성물.
(13) 상기 약물이 (A) 히알루론산 유도체와 복합체를 형성하는, 상기 (12)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14) 약물이, 약리 활성을 갖는 단백질, 펩티드 또는 핵산인, 상기 (12) 또는 (13)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15)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및 1 이상의 약물을 포함하고, 상기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에 포함되는 (A)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상기 1 이상의 약물이 결합한, 히알루론산 유도체-약물 결합체 조성물.
상기 양태의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에 의하면, 생리 식염 농도 하에서의 침전 형성능이 우수한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이것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및 히알루론산 유도체-약물 결합체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콜레스테릴 6-아미노헥실카르바메이트염산염의 1H-NMR 스펙트럼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히알루론산(HA)의 테트라부틸암모늄(TBA)염의 1H-NMR 스펙트럼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6-아미노헥실카르바메이트를 도입한 HA 유도체(HA-C6-Chol)의 1H-NMR 스펙트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이하, 「본 실시 형태」라고 한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는 용어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는 「C1-20 알킬」이라고 하는 용어는, 탄소수 1 이상 20 이하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n-부틸, sec-부틸, iso-부틸, tert-부틸 등의 「C1-4 알킬」이 포함되고, 또한, n-펜틸, 3-메틸부틸, 2-메틸부틸, 1-메틸부틸, 1-에틸프로필, n-헥실, 4-메틸펜틸, 3-메틸펜틸, 2-메틸펜틸, 1-메틸펜틸, 3-에틸부틸, 2-에틸부틸 등이 포함된다. C1-20 알킬에는, 탄소수가 1 이상 12 이하의 C1-12 알킬, 탄소수가 1 이상 6 이하의 C1-6 알킬기도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는 「C1-6 알킬카르보닐」이라고 하는 용어는, 알킬 부분이 이미 언급한 C1-6 알킬인 알킬카르보닐기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아세틸, 프로피오닐, n-프로필카르보닐, iso-프로필카르보닐, n-부틸카르보닐, sec-부틸카르보닐, iso-부틸카르보닐, tert-부틸카르보닐 등의 「C1-4 알킬카르보닐」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는 「아미노 C2-20 알킬」이라고 하는 용어는, 치환기로서 아미노기를 갖는 탄소수 2 이상 20 이하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아미노기는 알킬기의 말단의 탄소 원자 상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아미노 C2-20 알킬에는, 탄소수가 2 이상 12 이하의 아미노 C2-12 알킬도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는 「히드록시 C2-20 알킬」이라고 하는 용어는, 치환기로서 히드록시기를 갖는 탄소수 2 이상 20 이하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히드록시기는 알킬기의 말단의 탄소 원자 상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히드록시 C2-20 알킬에는, 탄소수가 2 이상 12 이하의 히드록시 C2-12 알킬도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는 「C2-30 알킬렌」이라고 하는 용어는, 탄소수 2 이상 30 이하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등을 포함하고, 탄소수가 2 이상 20 이하의 C2-20 알킬렌, 탄소수가 2 이상 8 이하의 C2-8 알킬렌, 기 「-(CH2)n-」(여기서, n은 2 이상 30 이하이고, 2 이상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2 이상 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는 「C1-5 알킬렌」이라고 하는 용어는, 탄소수 1 이상 5 이하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용어 「C2-8 알케닐렌」이란, 탄소수 2 이상 8 이하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1 이상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CH=CH-, -C(CH3)=CH-, 2-부텐-1,4-디일, 헵타-2,4-디엔-1,6-디일, 옥타-2,4,6-트리엔-1,8-디일 등을 포함한다. 기하 이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이성체 및 그들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본 실시 형태의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은, (A) 스테릴기를 도입한 히알루론산 유도체(이하, 「(A) 히알루론산 유도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와, (B) (B)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카르바메이트기, 우레아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관능기를 갖는 극성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한다. (A)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대한 스테릴기의 도입률이 0.1% 이상 35% 미만이다.
본 실시 형태의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은, 염 농도 의존적으로 침전 형성능을 조정할 수 있고, 저염 농도에서는 양호하게 용해하면서, 생리 식염 농도 하에서는, 스테릴기의 도입률이 상기 범위 내의 (A)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대하여 (B)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카르바메이트기, 우레아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관능기를 갖는 극성기 함유 화합물이 응집 촉진제로서 기능하여, 생리 식염 농도 하에서의 침전 형성능이 향상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생리 식염 농도」란, 투여 대상인 동물의 투여 부위에 있어서의 염 농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인간에 있어서의 생리 식염 농도란, 염화나트륨 농도가 150mM 정도의 농도이다. 또한, 「저염 농도」란, 생리 식염 농도보다도 충분히 낮은 농도를 의미한다.
<(A) 스테릴기를 도입한 히알루론산 유도체>
(A)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있어서, 스테릴기는, 히알루론산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결합하고 있어도 되고, 링커를 풀어서 결합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링커」란, 유전자 공학에 의해 도입할 수 있는 임의의 펩티드 링커, 또는 합성 화합물 링커를 사용할 수 있는데, 본 실시 형태의 (A)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있어서는, 펩티드 링커가 바람직하다. 펩티드 링커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데, 바람직한 길이는 2아미노산 이상(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30아미노산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아미노산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아미노산이다. (A)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포함되는 펩티드 링커는, 모두 동일한 길이의 펩티드 링커를 사용해도 되고, 다른 길이의 펩티드 링커를 사용해도 된다.
[스테릴기]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는 「스테릴기」라고 하는 용어는, 스테로이드 골격을 갖는 기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스테로이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탄올, 캄페스탄올, 에르고스탄올, 스티그마스탄올, 코프로스탄올, 스티그마스테롤, 시토스테롤, 라노스테롤, 에르고스테롤, 시미아레놀, 담즙산,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라디올, 프로게스테론, 코르티솔, 코르티손, 알도스테론, 코르티코스테론, 데옥시코르티스테론 등을 들 수 있다. 스테릴기로서는, 콜레스테릴기, 스티그마스테릴기, 라노스테릴기, 에르고스테릴기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콜레스테릴기(특히, 콜레스타-5-엔-3β-일기)가 바람직하다.
[스테릴기 도입률]
(A)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대한 스테릴기의 도입률(이하, 간단히 「스테릴기 도입률」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은 0.1% 이상 35% 미만이고, 5% 이상 33% 이하가 바람직하고, 6% 이상 2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 이상 2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스테릴기 도입률이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히알루론산 유도체가 순수 중 또는 저염 농도 하에서는 양호하게 용해되면서, 생리 식염 농도 하에서 응집하여 침전을 형성한다고 하는 성질을 갖게 된다. 스테릴기 도입률이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중의 (A)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약물과 복합화시킨, 히알루론산 유도체-약물 결합체 조성물은, 체내에 투여(예를 들어, 피하 투여)할 때에, 투여 후에 응집하는 특장을 살린 침전형의 서방 제제가 될 수 있다.
스테릴기 도입률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서 1H-NMR 측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즉,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의 1H-NMR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스테릴기에 유래하는 피크의 적분값과, (A)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포함되는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아세틸기에서 유래되는 피크(COCH3, 1.6ppm 이상 2.0ppm 이하, 3H)의 적분값을 사용하여, 이하의 식에 기초하여 계산할 수 있다.
[스테릴기 도입률(%)]=[((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스테릴기에 유래하는 피크의 적분값)/(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아세틸기 유래의 피크 적분값)]×100
스테릴기가 콜레스테릴기일 경우, 스테릴기 도입률은, 구체적으로는,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아세틸기 유래의 피크(COCH3, 1.6ppm 이상 2.0ppm 이하, 3H)의 적분값과, 콜레스테릴기 중의 메틸기 유래의 피크(CH3, 0.7ppm, 3H)의 적분값으로부터 산출된다. 또한,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아세틸기 유래의 피크가 포함되는 1.6ppm 이상 2.0ppm 이하 부근의 피크에 콜레스테릴기 유래의 피크(5H)가 겹치기 때문에, 1.6ppm 이상 2.0ppm 이하 부근의 피크의 적분값으로부터 콜레스테릴기 메틸 유래의 피크(0.7ppm)의 적분값을 5/3배한 것을 차감하여 산출한 값(즉, 적분값(1.6ppm 이상 2.0ppm 이하)-적분값(0.7ppm)×5/3)을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아세틸기 유래의 피크의 적분값으로서 사용한다.
[스테릴기 도입률(%)]=[(콜레스테릴기 중의 메틸기 유래의 피크 적분값)/(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아세틸기 유래의 피크 적분값)]×100=[적분값(0.7ppm)/{적분값(1.6ppm 이상 2.0ppm 이하)-적분값(0.7ppm)×5/3}]×100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분자량]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국소 투여에 있어서의 확산 지연 유래의 서방 기능을 기대하는 관점이나 전술한 생리 식염 농도 하에서의 침전 형성능이라고 하는 관점에서는, 분자량이 비교적 큰 (A) 히알루론산 유도체가 바람직하고, 최종 제형이 용액 제제인 경우에는 시린지 어빌리티의 관점에서 분자량이 비교적 작은 (A) 히알루론산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분자량으로서는, 1,000(1kDa) 이상 1,000,000(1,000kDa) 미만이 바람직하고, 3kDa 이상 500kDa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kDa 이상 300kDa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kDa 이상 120kDa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0kDa 이상 100kDa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분자량은, 일반적으로는, 대응하는 분자량을 갖는 원료를 사용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분자량」은, 사이즈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다각도 광산란 검출기(SEC-MALS)에 의해 결정된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A) 히알루론산 유도체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이하, 「반복 단위 (I)」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1 이상 갖는 히알루론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2
식 중,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6 알킬, 포르밀 및 C1-6 알킬카르보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Z는, 직접 결합, 또는 2개 이상 30개 이하의 임의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펩티드 링커를 나타내고;
X1은, 이하의 식:
-NRb-R,
-NRb-COO-R,
-NRb-CO-R,
-NRb-CO-NRc-R,
-COO-R,
-O-COO-R,
-S-R,
-CO-Ya-S-R,
-O-CO-Yb-S-R,
-NRb-CO-Yb-S-R, 및
-S-S-R,
로 표시되는 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이며;
Ra, Rb 및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20 알킬, 아미노 C2-20 알킬 및 히드록시 C2-20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여기서 당해 기의 알킬 부분은, -O- 및 -NRf-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가 삽입되어 있어도 되고;
Rf는, 수소 원자, C1-12 알킬, 아미노 C2-12 알킬 및 히드록시 C2-12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당해 기의 알킬 부분은 -O- 및 -NH-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가 삽입되어 있어도 되고;
R은, 스테릴기이며;
Y는, C2-30 알킬렌, 또는 -(CH2CH2O)m-CH2CH2-이며, 여기서, 당해 알킬렌은, -O-, -NRg- 및 -S-S-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가 삽입되어 있어도 되고;
Rg는, 수소 원자, C1-20 알킬, 아미노 C2-20 알킬 및 히드록시 C2-20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당해 기의 알킬 부분은 -O- 및 -NH-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가 삽입되어 있어도 되고;
Ya는, C1-5 알킬렌이며;
Yb는, C2-8 알킬렌 또는 C2-8 알케닐렌이며;
m은, 1 이상 100 이하의 정수이다.
(A) 히알루론산 유도체는, 하기 일반식 (Ia)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이하, 「반복 단위 (I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1 이상 갖는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3
식 중,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6 알킬, 포르밀 및 C1-6 알킬카르보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X는, -NRa-Y-NRb-COO-R로 표시되는 소수성기이며;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6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R은, 스테릴기이며;
Y는, C2-30 알킬렌, 또는 -(CH2CH2O)m-CH2CH2-이며,
m은, 1 이상 100 이하의 정수이다.
여기서, (A)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반복 단위 (I) 또는 반복 단위 (Ia)가 각각 2 이상 포함되는 경우에, 당해 반복 단위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A) 히알루론산 유도체는, 반복 단위 (I) 또는 반복 단위 (Ia) 이외의 위치에 있어서, 수식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히드록시기는 -O(C1-6 알킬), -O(포르밀), -O(C1-6 알킬카르보닐) 등으로 변환되어 있어도 되고, 카르복시기는, 아미드 또는 에스테르로 변환되어 있어도 되고, 염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반복 단위 (I)]
일반식 (I) 중의 기 「-Z-N(Ra)Y-X1」은, 이하의 식:
-NH-(CH2)mz-NH-R;
-NH-(CH2)mz-COO-R;
-NH-(CH2CH2O)m-CH2CH2-COO-R,
-NH-(CH2)mz-O-COO-R;
-NH-(CH2CH2O)m-CH2CH2-O-COO-R,
-NH-(CH2)mz-S-R;
-NH-(CH2CH2O)m-CH2CH2-S-R;
-NH-(CH2)mz-O-CO-CH(R8)-CH2-S-R;
-NH-(CH2)mz-NHCO-CH(R8)-CH2-S-R;
-NH-(CH2CH2O)m-CH2CH2-NHCO-CH(R8)-CH2-S-R;
-NH-(CH2CH2O)m-CH2CH2-O-CO-CH(R8)-CH2-S-R;
-NH-(CH2)mz-S-S-R; 및
-Z-NRa-Y-NRb-COO-R
(식 중, mz는, 2 이상 30 이하의 정수이며, R8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Z, Ra, Y, Rb, R 및 m은, 본 명세서에서 이미 정의한 바와 같다.)
로 표시되는 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 -Z-NRa-Y-NRb-COO-R로서는, 하기 식:
-NH-(CH2)mz-NH-COO-R;
-NH-(CH2CH2O)m-CH2CH2-NH-COO-R;
(식 중, R, mz 및 m은, 본 명세서에서 이미 정의한 바와 같다.)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일반식 (I) 중의 기 「-Z-N(Ra)Y-X1」로 하고,
-NH-(CH2)mz-NH-COO-R;
-NH-(CH2CH2O)m-CH2CH2-NH-COO-R; 및
-NH-(CH2)mz-S-S-R
(여기서, mz, R, 및 m은, 본 명세서에서 이미 정의한 바와 같다.)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Z)
일반식 (I)에 있어서, Z는 직접 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양태에 있어서, Z가 펩티드 링커일 경우에, X1은 -NRb-COO-R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양태에 있어서, Z는, -NH-[CH(-Za)-CONH]n-1-CH(-Za)-CO-로 표시되는 펩티드 링커여도 되고, 여기서, n은 2 이상 30 이하의 정수이며, Za는, 각각 독립적으로, H2N-CH(-Za)-COOH로서 표시되는 α-아미노산 중의 치환기를 나타낸다. 당해 펩티드 링커는, N 말단에서 글루쿠론산 부분의 카르복시기에 결합하고, C 말단에서 기 -N(-Ra)-Y-X1에 결합한다. 당해 펩티드 링커의 아미노산 잔기로서 이용할 수 있는 아미노산의 예로서는 α-아미노산, 예를 들어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라긴(Asn), 아스파르트산, 시스테인, 글루타민, 글루탐산, 글리신(Gly), 히스티딘, 이소류신, 류신(Leu), 리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Phe), 프롤린, 세린, 트레오닌, 트립토판, 티로신, 발린과 같은 천연형(L형)의 아미노산, 그들의 D체 등을 들 수 있고, 합성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모든 α-아미노산을 사용할 수 있다. 즉, Za로서는, 예를 들어, -CH3, H2NC(NH)NH(CH2)3-, H2NCOCH2-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n개의 Z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n은, 2 이상 30 이하의 정수인데, 2 이상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2 이상 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펩티드 링커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예를 들어, -Gly-Phe-Leu-Gly-, -Asn-Phe-Phe-, -Phe-Phe-, Phe-Gly- 등을 들 수 있다.
(Y)
일반식 (I)에 있어서, Y는 -(CH2)n1- 및 -(CH2CH2O)m1-CH2CH2-(여기서, n1은, 2 이상 20 이하의 정수이며, 2 이상 15 이하의 정수가 바람직하고, 2 이상 12 이하의 정수가 보다 바람직하고, 2 이상 6 이하의 정수가 더욱 바람직하다. m1은, 1 이상 4 이하의 정수이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CH2)2-, -(CH2)6-, -(CH2)8-, -(CH2)12-, 또는, -(CH2CH2O)2-CH2CH2-이 바람직하다. 또한, 순수 중 내지 저염 농도 하에서는 높은 용해성을 실현시키면서, 생리 식염 농도 하에서는 높은 침전 형성능을 나타내게 한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Y는 -(CH2)2-, -(CH2)6-, -(CH2)8- 및 -(CH2)1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가 바람직하고, -(CH2)6-이 보다 바람직하다.
Y는, 예를 들어, -CH2CH2O-CH2CH2-S-S-CH2CH2O-CH2CH2-, -(CH2CH2O)2-CH2CH2-S-S-CH2CH2O-CH2CH2-, -CH2CH2O-CH2CH2-S-S-(CH2CH2O)2-CH2CH2-, -(CH2CH2O)2-CH2CH2-S-S-(CH2CH2O)2-CH2CH2- 등이어도 된다.
(Ya)
Ya로서는, -CH2- 또는 -CH2-CH2-이 바람직하다.
(Yb)
Yb로서는, -CH2-CH2-, -CH(CH3)CH2-, 2-부텐-1,4-디일, 헵타-2,4-디엔-1,6-디일 또는 옥타-2,4,6-트리엔-1,8-디일이 바람직하고, -CH2-CH2- 또는 -CH(CH3)CH2-이 보다 바람직하다.
(R)
R로서는, 콜레스테릴기가 바람직하다.
기 「-Z-N(Ra)Y-X1」의 구체예로서는, -NH-(CH2)2-NH-CO-콜레스테릴, -NH-(CH2)4-NH-(CH2)3-NH-(CH2)3-NH-COO-콜레스테릴, -NH-(CH2)3-NH-(CH2)4-NH-(CH2)3-NH-COO-콜레스테릴, -NH-(CH2)4-NH-(CH2)3-NH-COO-콜레스테릴, -NH-(CH2)4-N(-(CH2)3-NH2)-COO-콜레스테릴, -NH-(CH2)3-NH-(CH2)4-N(-(CH2)3-NH2)-COO-콜레스테릴, -NH-(CH2)3-NH-(CH2)4-N(-(CH2)3-NH-(CH2)3-NH2)-COO-콜레스테릴, -NH-(CH2)3-NH-(CH2)4-N(-(CH2)3-NH2)-CO-NH-콜레스테릴, -NH-(CH2)3-NH-(CH2)4-N(-(CH2)3-NH2)-CO-콜레스테릴, -NH-(CH2)3-NH-(CH2)4-N(-(CH2)3-NH2)-콜레스테릴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기 「-Z-N(Ra)Y-X1」로서는, Ra, Rb 및 Rc가, 수소 원자이며, Y가, 직쇄상의 C2-30 알킬렌 또는 -(CH2CH2O)m-CH2CH2-이며, Ya가, 직쇄상의 C1-5 알킬렌이거나, 또는 Yb가, 직쇄상의 C2-8 알킬렌 혹은 직쇄상의 C2-8 알케닐렌이다.
[반복 단위 (Ia)]
일반식 (Ia)에 있어서, X는, -NH-(CH2)2-NH-COO-콜레스테릴, -NH-(CH2)6-NH-COO-콜레스테릴, -NH-(CH2)12-NH-COO-콜레스테릴 또는 -NH-(CH2CH2O)2-CH2CH2-NH-COO-콜레스테릴이 바람직하고, -NH-(CH2)2-NH-COO-콜레스테릴, -NH-(CH2)6-NH-COO-콜레스테릴 또는 -NH-(CH2CH2O)2-CH2CH2-NH-COO-콜레스테릴이 보다 바람직하다.
(A) 히알루론산 유도체는, 반복 단위 (I)에 추가로,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이하, 「반복 단위 (II)」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4
식 중, R1a, R2a, R3a, 및 R4a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6 알킬, 포르밀 및 C1-6 알킬카르보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Xa는, 히드록시 및 -O-Q+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여기서, Q+은, 카운터 양이온이다.
여기서, (A)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반복 단위 (II)가 2 이상 포함되는 경우에, 당해 반복 단위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A) 히알루론산 유도체는, 반복 단위 (I), 반복 단위 (Ia) 및 반복 단위 (II)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유도체여도 된다.
[반복 단위 (II)]
일반식 (II)에 있어서, Q+은 카르복시기와 수중에서 염을 형성하는 카운터 양이온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2가 이상의 경우에는 가수에 따라서 복수의 카르복시기와 염을 형성한다. 카운터 양이온의 예로서는, 리튬 이온, 나트륨 이온, 루비듐 이온, 세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칼슘 이온 등의 금속 이온; 식: N+RjRkRlRm(식 중, Rj, Rk, Rl 및 Rm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및 C1-6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다)으로 표시되는 암모늄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Q+은,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또는 테트라알킬암모늄 이온(예를 들어, 테트라n-부틸암모늄 이온 등)이 바람직하다. Rj, Rk, Rl 및 Rm은, C1-6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동일한 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n-부틸기가 바람직하다.
R1, R2, R3, 및 R4, 그리고 R1a, R2a, R3a, 및 R4a는, 모두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a 및 Rb는, 모두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A) 히알루론산 유도체는, 반복 단위 (I) 및 반복 단위 (II)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A) 히알루론산 유도체는, 당해 유도체에 포함되는 D-글루쿠론산과 N-아세틸-D-글루코사민을 포함하는 2당의 반복 단위 중, 예를 들어 80% 이상이,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 반복 단위 (I) 및 반복 단위 (II)이다. (A) 히알루론산 유도체는, 반복 단위 (I) 및 반복 단위 (II)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B) 극성기 함유 화합물]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은,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카르바메이트기, 우레아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관능기를 갖는다.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의 함유량은,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질량에 대하여 0.001질량ppm 이상 1000질량ppm 미만이 바람직하고, 0.001질량ppm 이상 900질량pp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5질량ppm 이상 800질량pp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006질량ppm 이상 700질량pp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값 이상인 것에 의해,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의 생리 식염 농도 하에서의 침전 형성능을 보다 높게 할 수 있고, 한편, 상기 상한값 이하인 것에 의해, 순수 중 내지 저염 농도 하에서의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응집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수용액의 0.22㎛ 필터를 사용한 멸균 여과의 여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의 함유량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GC-MS)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B) 극성기 함유 화합물로서, 히드록시기를 적어도 하나 갖는 화합물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알코올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코올은, 생리 식염 농도 하에서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응집 촉진제로서 기능하여, 생리 식염 농도 하에서의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침전 형성능을 향상시킨다. 알코올은, 수용성의 화합물이 많고, 또한, 스테릴 골격과 상성이 좋고, 스테롤 화합물의 용해성이 비교적 높다. 그 때문에, (A)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수중에 분산시키면, 자발적으로 나노 오더의 겔을 형성하는데, 알코올을 포함함으로써, 콜레스테롤 도메인의 유동성이 높아져서, 나노 오더의 겔끼리의 물리적 가교가 촉진되기 쉬워질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알코올이 미량 포함됨으로써 나노겔 간의 응집이 진행하기 쉬워져, 생리 식염 농도화에서의 침전 형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알코올로서는, 모노알코올이어도 되고, 다가 알코올이어도 된다. 모노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이소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이소부탄올, 1-펜탄올, 2-펜탄올, 이소아밀알코올, 1-헥산올, 2-헥산올, 1-헵탄올, 1-옥탄올, 2-에틸-1-헥산올, 3,3,5-트리메틸-1-헥산올, 트리데칸올, 펜타데칸올, 팔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시클로펜탄올, 시클로헥산올, 메틸시클로헥산올, 트리메틸시클로헥산올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2가의 알코올이어도 되고, 3가의 알코올이어도 된다. 2가의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등을 들 수 있다. 3가의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코올로서,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다가 알코올이 보다 바람직하고, 에틸렌글리콜이 더욱 바람직하다.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은, 극성기를 복수 갖는 다관능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히알루론산끼리의 수소 결합, 여기에서는 나노 오더의 겔 간의 수소 결합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응집하기 쉬운 상태가 되고, 생리염 식염 농도화에 의한 침전 형성능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카르복시기를 함유하는 (B) 극성기 함유 화합물로서는,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헥산산 등의 C1-12의 분지해도 되는 탄화수소산, 벤조산 등의 방향족기를 갖는 카르복실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다관능 카르복실산 화합물로서는,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 카르복실산 화합물은, 응집 상태를 촉진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포함된다. 카르복시기와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 예를 들어, 살리실산 등도 복수의 수소 결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것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B) 극성기 함유 화합물로서는,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카르복시의 상호 작용을 하는 관점에서, 1급, 2급, 3급 아민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염 교환에 의해, 4급 암모늄염도 사용할 수 있다.
아민 화합물로서는, 메틸아민, 에틸아민, n-프로필아민, 부틸아민,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디n-프로필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n-프로필아민 등의 C1-12의 분지해도 되는 탄화수소기를 갖는 1급 내지 3급 아민 화합물, 테트라메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테트라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테트라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테트라메틸암모늄요오다이드, 테트라에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테트라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테트라에틸암모늄브로마이드, 테트라에틸암모늄요오다이드, 테트라n-프로필플루오라이드, 테트라n-프로필클로라이드, 테트라n-프로필브로마이드, 테트라n-프로필요오다이드, 테트라n-부틸플루오라이드, 테트라n-부틸클로라이드, 테트라n-부틸브로마이드, 테트라n-부틸요오다이드 등의 C1-12의 분지해도 되는 탄화수소기를 갖는 4급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아미드기를 함유하는 (B) 극성기 함유 화합물로서는, C1-12의 분지되어 있어도 되는 탄화수소산과 C1-12의 분지되어 있어도 되는 탄화수소기를 갖는 1급 또는 2급 아민 화합물의 축합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들 수 있다. 그 밖에, β-락탐, γ-락탐, δ-락탐 등의 환상 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티올을 함유하는 (B) 극성기 함유 화합물로서는, C1-12의 분지되어 있어도 되는 탄화수소기를 갖는 화합물, 예를 들어, 메탄티올, 에탄티올, n-프로판티올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B) 극성기 함유 화합물로서, 요소 등의 우레아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나, 카르바메이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의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은, (A)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제조한 후에, 당해 (A)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B)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카르바메이트기, 우레아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관능기를 갖는 극성기 함유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글루쿠론산의 카르복시기를 아미드로 변환하고, 스테릴기를 도입함으로써, (A) 히알루론산 유도체가 얻어진다. 또한, 원료인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에 대하여 반응시키는 스테릴기를 갖는 화합물의 배합량을 조정함으로써, 스테릴기 도입률을 0.1% 이상 35% 미만으로 할 수 있다.
글루쿠론산의 카르복시기를 아미드로 변환하고, 스테릴기를 도입하는 방법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원료인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반복 단위 (II) 만으로 구성되는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테트라알킬암모늄염(예를 들어, 테트라부틸암모늄(TBA)염)으로 이온 교환하고, 적당한 축합제 존재 하, 용매 중에서 당해 히알루론산염과, 식: 「HNRa-Y-NRb-R, NHRa-Y-NRb-COO-R, HNRa-Y-NRb-COO-R, HNRa-Y-NRb-CO-R, HNRa-Y-NRb-CO-NRc-R, HNRa-Y-COO-R, HNRa-Y-O-COO-R, HNRa-Y-S-R, HNRa-Y-CO-Ya-S-R, HNRa-Y-O-CO-Yb-S-R, HNRa-Y-NRb-CO-Yb-S-R, HNRa-Y-S-S-R, 또는 -Z-NRa-Y-NRb-COO-R(식 중, Ra, Rb, Rc, Y, Ya, Yb, Z 및 R은 본 명세서에서 이미 정의한 바와 같다)」로 표시되는 스테릴기(특히, 콜레스테릴기)를 도입한 아민을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응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축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4-(4,6-디메톡시-1,3,5-트리아진)-4-메틸모르포륨(DMT-MM),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CDI),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N-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로퀴놀린(EEDQ), 2-벤조트리아졸-1,1,3,3-테트라메틸유로늄4불화붕산염(TBTU), 3,4-디히드로-3-히드록시-4-옥소-1,2,3-벤조트리아진(HODhbt), 벤조트리아졸-1-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육불화인산염(PyBOP),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OP),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EDC), N-히드록시숙신이미드(NHS) 등을 들 수 있다.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DMT-MM은 물 및 유기 용매의 혼합 용매 중에서도 반응이 고효율로 진행하는 점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DMT-MM을 축합제로서 사용함으로써, 다수의 히드록시가 공존하는 계에 있어서, 에스테르 결합 형성을 억제하면서, 고선택적으로 아미노기와 카르복시기에 의한 아미드 결합 형성을 행할 수 있다. 이 축합제의 사용에 의해, 예를 들어, 용매인 알코올이 히알루론산 부분의 카르복시기와 반응하는 것이나, 히알루론산 부분에 동시에 존재하는 카르복시기와 히드록시가, 분자 내 또는 분자 간에서 결합하여, 요망하지 않는 가교를 형성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테릴기 도입 반응에 있어서 사용하는 용매로서는, 물, DMSO,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다가 알코올, 아세토니트릴, DMF, THF,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디에틸에테르, 아세트산에틸, 및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상기 알코올에 있어서 예시된 것과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혹은, 원료인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테트라알킬암모늄염(예를 들어, 테트라부틸암모늄(TBA)염)으로 이온 교환하고, 적당한 축합제 존재 하, 용매 중에서 당해 히알루론산염과 스페이서 부분을 반응시켜(이때, 필요에 따라 보호 및 탈보호 반응을 행해도 된다), 원료인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의 카르복시기(-COOH)를 변환하고, 그 후에 적당한 시약과 반응시켜도 된다. 카르복시기로부터 유도되는 기와, 반응 시약의 조합의 예를 이하에 나타내었다.
-CONRa-Y-NRbH + Hal-R;
-CONRa-Y-NRbH + Hal-COOR;
-CONRa-Y-NRbH + HOCO-R;
-CONRa-Y-NRbH + Hal-CO-R;
-CONRa-Y-NRb-COOH + HNRc-R;
-CONRa-Y-NRb-CO-NRcH + Hal-R;
-CONRa-Y-NRbH + HOCO-NRc-R;
-CONRa-Y-NRbH + Hal-CO-NRc-R;
-CONRa-Y-COOH + HO-R;
-CONRa-Y-OH + Hal-COO-R;
-CONRa-Y-OCOOH + HO-R;
-CONRa-Y-OCOOH + Hal-R;
-CONRa-Y-OCO-Hal + HO-R;
-CONRa-Y-SH + Hal-R;
-CONRa-Y-Hal + HS-R;
-CONRa-Y-CO-Ya-Hal + HS-R;
-CONRa-Y-CO-Ya-SH + Hal-R;
-CONRa-Y-O-CO-CH=CH2 + HS-R;
-CONRa-Y-NRb-CO-CH(CH3)=CH2 + HS-R;
-CONRa-Y-SH + HS-R;
-COZ-OH + HNRa-Y-NRb-COO-R;
-COZ-NRa-Y-NRbH + Hal-COO-R
(식 중, Ra, Rb, Rc, Y, Ya, Yb, 및 Z는 본 명세서에서 이미 정의한 바와 같으며, Hal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및 요오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반응 양식으로서는, 탈할로겐화수소 반응, 축합 반응, 탈수 반응, 마이클 부가 등의 친핵 부가 반응, 산화적인 디술피드 형성 반응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주지의 반응이며,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고, 바람직한 반응 조건을 알아내서 행할 수 있다. 변환체 또는 반응물이 카르복시기를 갖는 경우에는, N-히드록시숙신산이미드(이하, 「NHS」라고도 칭한다)에스테르로서, 반응시켜도 된다.
또한, 원료인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의 카르복시기에, 2-아미노에틸 2-피리딜디술피드를 반응시켜서, 말단에 탈리기로 수식된 머캅토기를 갖는 스페이서가 도입된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조제하고, 이것에 티오콜레스테롤을 친핵 치환 반응시켜서 디술피드 결합을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의 카르복시기에 스페이서의 일부를 도입한 것과, 스테릴기에 스페이서의 일부를 도입한 것을 조제하고, 이들을 반응시키는 방법도 들 수 있다. 구체예의 일부는 상술했지만, 또한, Y에 -S-S-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히알루론산의 카르복시기에, 말단에 머캅토기를 갖는 스페이서가 도입된 히알루론산 유도체와, 말단에 머캅토기를 갖는 스페이서가 도입된 스테릴기를 각각 조제하고, 이들을 산화적으로 반응시켜서 디술피드 결합을 형성시키는 방법도 들 수 있다. 이때, 한쪽의 머캅토기를 2-머캅토피리딘과 반응시켜서 디술피드로 한 후에, 다른 쪽의 머캅토기와 치환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조제 후, 또한 다른 치환기를 도입해도 된다. 예를 들어, 반복 단위 (I), 및 반복 단위 (II)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있어서의 카르복시기의 0.1% 이상 99.5%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40% 이하를, -CO-Xz, [여기서, Xz는, 이하의 기:
-NH-(CH2)p1-O-CO-C(R17)=CH2;
-NH-(CH2)p1-O-CO-CH(R17)-CH2-S-CH2-CH(OH)-CH(OH)-CH2-SH;
-NH-(CH2)p1-SH;
-NH-(CH2)p1-NH-CO-C(R17)=CH2;
-NH-(CH2)p1-NH-C(=NH)-(CH2)3-SH;
-NH-(CH2)p1-NH-CO-(CH2)r-SH;
-NH-(CH2)p1-NH-CO-CH(R17)-CH2-S-CH2-CH(OH)-CH(OH)-CH2-SH;
-NH-(CH2)p1-NH-CO-CH(NH2)-CH2-SH;
-NH-(CH2)p1-NH-CO-CH(NH2)-(CH2)2-SH;
-NH-NH-CO-(CH2)4-CO-NH-NH-C(=NH)-(CH2)3-SH;
-NH-(CH2-CH2-O)q-CH2-CH2-O-CO-C(R17)=CH2;
-NH-(CH2-CH2-O)q-CH2-CH2-O-CO-CH(R17)-CH2-S-CH2-CH(OH)-CH(OH)-CH2-SH;
-NH-(CH2-CH2-O)q-CH2-CH2-SH;
-NH-(CH2-CH2-O)q-CH2-CH2-NH-CO-C(R17)=CH2;
-NH-(CH2-CH2-O)q-CH2-CH2-NH-C(=NH)-(CH2)3-SH;
-NH-(CH2-CH2-O)q-CH2-CH2-NH-CO-(CH2)r-SH;
-NH-(CH2-CH2-O)q-CH2-CH2-NH-CO-CH(R17)-CH2-S-CH2-CH(OH)-CH(OH)-CH2-SH;
-NH-(CH2-CH2-O)q-CH2-CH2-NH-CO-CH(NH2)-CH2-SH;
-NH-(CH2-CH2-O)q-CH2-CH2-NH-CO-CH(NH2)-(CH2)2-SH;
-NH-CH(CO2H)-(CH2)-SH;
-NH-CH(CO2H)-(CH2)2-SH; 및
-NH-CH(CO2H)-(CH2)2-CONH-CH(CONH-CH2-CO2H)-CH2-SH
(여기서, R17은, 수소 원자 또는 C1-6 알킬기이며, p1은 2 이상 10 이하의 정수, q는 1 이상 200 이하의 정수, r은 1 이상 3 이하의 정수를, 각각 나타낸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다]
으로 변환함으로써, 분자 내 혹은 타 분자를 포함한 분자 간에서 가교시켜서 겔화할 수도 있다.
(A)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화학 가교에 의해 겔화시키는 공정은, 적절히 그 조건을 선택해도 된다. 가교의 조건이란, 가교 방법, 폴리머 농도, 가교제 농도, 용매, 용매 pH, 염 농도, 온도, 시간 등이 있다.
(A)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겔화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가교 형성의 반응 조건 중에서, 예를 들어 화학 가교 시의 폴리머 농도 및 가교 형성이 가능한 기의 도입률을 높게 함으로써, 생성되는 겔의 가교 밀도를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A)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겔화시키는 공정에서의 가교제 농도는, 양단에 가교 형성이 가능한 기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 당해 기가 과부족 없이 빠르게 가교 반응에 관여할 수 있는 농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메타크릴로일기(MA기)를 도입한 폴리머를, DTT를 사용하여 마이클 부가 반응에 의해 가교하는 경우에는, MA기: SH기=3:1 내지 1:3이 바람직하고, 2:1 내지 1:2가 특히 바람직하다.
(A)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겔화시키는 공정에서의 용매는, 폴리머 및 가교제를 충분히 용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물, 디메틸술폭시드(DMSO),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포름아미드(DMF), N-메틸피롤리돈(NMP) 및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용매에 혼화하는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혼화하는 유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다가 알코올,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상기 「알코올」에 있어서 예시된 것과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어, 그 중에서도, 에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A) 히알루론산 유도체는, 수용액 중에 있어서 나노 미립자를 형성하기 위해서, 희박한 조건화에 있어서 가교함으로써, 나노 사이즈의 미립자 겔을 형성할 수 있고, 혈중 서방 캐리어, 타겟팅 캐리어로서 사용할 수 있다. 희박한 조건이란 10mg/mL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mg/mL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mg/mL 이하이다. 한편, 고농도의 조건 하에서 가교함으로써, 미립자끼리가 가교한, 벌크상의 겔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피하 서방형의 캐리어로서 유용하다. 고농도의 조건이란 5mg/mL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mg/mL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mg/mL이다.
(A)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겔화시키는 공정은, 벌크로 행해도 되고, 에멀션 중이나 분무 액적 중 등의 불연속상 중에서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W/O 에멀션 중에서 행하는 경우에는, 폴리머나 가교제 등을 용해시킨 수상을, 물에 혼화하지 않는 용매 중에 유화하고, 겔화 반응을 행하면 된다. 물에 혼화하지 않는 용매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아세트산에틸, 중쇄 지방산트리글리세라이드(MCT), 유동 파라핀, 대두유 등을 들 수 있다. 유화를 안정화하기 위한 계면 활성제를 첨가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초임계 이산화탄소 중이나 PEG 중 등의 탈용매가 가능한 용매 중에서 행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폴리머나 가교제 등을 용해시킨 수상이나 유기 용매상을, 전례의 용매 중에 유화, 분산함으로써, 탈용매(용매 확산)에 수반하는 폴리머의 농축이 이뤄지는 것으로부터, 더 높은 가교 밀도의 겔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A)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겔화시키는 공정, 및 그 후에, 가교 반응을 정지하는 조작 및 잔존한 가교성 관능기를 실활 혹은 세정하는 조작을 행해도 된다. 반응에 관여하지 않은 가교성 관능기, 가교제의 편단만이 결합한 기, 잔존한 가교제 등은, 안전성의 관점, 보존 중 안정성의 관점, 봉입되는 약물과의 부반응 등의 관점에서 제거한 편이 바람직하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미반응된 가교제가 잔존하고 있는 경우에는, 과잉의 물 등으로 세정함으로써 제거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폴리머로 치환한 메타크릴로일기가 잔존하는 경우에는, 과잉의 머캅토에탄올 등을 첨가하여, 메타크릴로일기를 실활시킨 후, 과잉의 물 등으로 잉여적인 머캅토에탄올을 세정함으로써 제거해도 된다. 나아가, 예를 들어 머캅토기가 잔존하는 경우에는, 과잉의 3-말레이미드프로피온산, 요오드아세트산 등을 첨가하여, 머캅토기를 실활시킨 후, 과잉의 물 등으로 잉여적인 3-말레이미드프로피온산, 요오드 아세트산을 세정함으로써 제거해도 된다.
(A)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겔화시키는 공정 후에, 분쇄 공정을 행해도 된다. 분쇄 방법으로서는, 막자와 유발을 사용하는 분쇄나 밀을 사용하는 분쇄를 들 수 있는데, 밀을 사용하는 분쇄가 바람직하다. 밀 분쇄 장치로서는, 원심식 분쇄기(니혼 세이키 세이사쿠쇼) 및 임팩트 밀(가부시키가이샤 달톤) 등의 회전 원판형의 분쇄 장치, 아토마이저(도쿄 아토마이저 제조 가부시키가이샤), 샘플 밀(도쿄 아토마이저 제조 가부시키가이샤), 밴텀 밀(도쿄 아토마이저 제조 가부시키가이샤), 및 SK밀(톡켄) 등의 스크린 밀의 분쇄 장치, 초미소량 연구소 제트 밀(A-O 제트 밀, 세이신 기교) 등의 제트 분쇄 장치, 그리고, 초저온에서의 분쇄가 가능한 린렉스 밀(리퀴드 가스 가부시키가이샤) 등을 들 수 있는데, SK밀 및 린렉스 밀이 바람직하다.
(A)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겔화시키는 공정 후에, 건조 공정을 행해도 된다. 건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통풍 건조, 항온조 중에서의 건조, 감압 건조, 열풍 순환식 건조 등을 들 수 있다. 풍속, 건조 시간, 온도, 압력 등은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겔이 분해나 변질을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상기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제조에 있어서, 제조 시에 사용한 용매 유래의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이 잔존하고 있는 경우에는,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고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혹은,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의 함유량이 원하는 양이 되도록, 상기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제조 후에,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건조 공정 전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약 조성물≫
본 실시 형태의 의약 조성물은, 약물과 담체를 포함하고, 상기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을 담체로서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담체와 약물은, 수소 결합, 이온 결합, 반데르발스력 등의 비공유 결합 등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하고 있고, 서로 유리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의약 조성물을 생체 내에 투여했을 때에는, 담체로부터 약물이 서서히 유리하여, 양호한 서방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약물은, 담체인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중의 (A) 히알루론산 유도체와 복합체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 중에 있어서,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스테릴기와, 계 중에 존재하는 약물의 소수성 상호 작용에 의해, 자발적으로 회합함으로써, 약물과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복합체가 형성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당해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당해 약물의 보존 안정성 향상이나 생물 활성의 유지, 서방성의 향상 등이 기대된다.
<약물>
본 실시 형태의 의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단백질, 펩티드, 다당류, 핵산, 저분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의약 조성물은, 약리 활성을 갖는 단백질, 펩티드, 핵산 등의 바이오 의약품 또는 저분자 화합물이,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중의 (A) 히알루론산 유도체와, 복합체를 형성하여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분자 화합물]
저분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제암제(예를 들어, 알킬화제, 대사 길항제, 알칼로이드 등), 면역 제어제, 항염증제(스테로이드제, 비스테로이드제계 항염증제 등), 항류마티스제, 항균제(β-락탐계 항생 물질,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 물질, 마크롤라이드계 항생 물질,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 물질, 신퀴놀론계 항생 물질, 술파제 등) 등을 들 수 있다.
[단백질 및 펩티드]
단백질 및 펩티드로서는, 예를 들어, 에리트로포이에틴(EPO), 과립구 집락 자극 인자(G-CSF), 인터페론-α, β, γ, (INF-α, β, γ), 트롬보포이에틴(TPO), 섬모 신경 영양 인자(CNTF), 종양 괴사 인자(TNF), 종양 괴사 인자 결합 단백질(TNFbp), 인터류킨-10(IL-10), FMS 유사 티로신 키나아제(Flt-3), 성장 호르몬(GH), 인슐린,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1(IGF-1),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PDGF), 인터류킨-1 리셉터 안타고니스트(IL-1ra), 뇌 유래 신경 영양 인자(BDNF), 케라티노사이트 성장 인자(KGF), 줄기세포 인자(SCF), 거핵 세포 성장 분화 인자(MGDF), 오스테오프로테게린(OPG), 렙틴, 부갑상선 호르몬(PTH), 염기성 피브로블라스트 성장 인자(b-FGF), 뼈형성 단백질(BMP), 심방성 나트륨 이뇨 펩티드(ANP), 뇌성 나트륨 이뇨 펩티드(BNP), C형 나트륨 이뇨 펩티드(CNP), 글루카곤형 펩티드-1(GLP-1), 항체, 디아바디, 미니바디, 단편화 항체 등을 들 수 있다.
[핵산]
핵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DNA, RNA, 안티센스 핵산, 디코이 핵산, 리보자임, 저분자 간섭 RNA, 핵산 앱타머 등을 들 수 있다.
[다당류]
다당류로서는, 예를 들어, 렌티난, 시조피란, 파키마란, 푸스툴란, 이스트 글루칸, 이스트 만난, 마리낙탄, 커들란, 덱스트란 황산, 헤파린, 카라기난, 이눌린, 콘드로이틴, 콘드로이틴 황산 등을 들 수 있다.
<형태>
본 실시 형태의 의약 조성물은, 분산성 미립자 용액이어도 되고, 침전성 현탁액이어도 되고, 동결 건조체여도 된다. 분산성 미립자 용액일 경우에는, 체내에 투여하기 전에는 용액 상태이면서 체내에 투여(예를 들어, 피하 투여)함으로써 투여 후에 체내의 그자리에서 응집하는 특장을 갖는 침전형의 서방 제제가 될 수 있다. 침전성 현탁액일 경우에는, 활성 성분이 버스트 릴리즈되기 어려운 것을 특장으로 하는 침전형의 서방 제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시린지 어빌리티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부터, 침전물의 크기는 2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동결 건조체의 경우에는, 의사가 투여 전에 생리 식염수 등의 등장액을 첨가하여 투여액을 사용전 조제하는 타입의 침전형의 서방 제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용액 상태에서는 불안정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에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본 실시 형태의 의약 조성물이 분산성 미립자 용액 또는 침전물 현탁액일 경우, 의약 조성물 중의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농도는, 1mg/mL 이상 200mg/mL 이하가 바람직하고, 4mg/mL 이상 100mg/mL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mg/mL 이상 50mg/mL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4mg/mL 이상 12mg/mL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의약 조성물 중의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농도가 상기 하한값 이상인 것에 의해, 생리 식염 농도 하에서의 침전 형성능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고, 약물의 투여량도 보다 많게 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한편, 의약 조성물 중의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농도가 상기 상한값 이하인 것에 의해, 주사 바늘을 사용하여 생체 내에 투여할 때의 인젝터빌러티가 보다 향상됨과 함께, 멸균 여과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히알루론산 유도체-약물 결합체 조성물≫
본 실시 형태의 히알루론산 유도체-약물 결합체 조성물은, 상기 히알루론산 유도체-약물 결합체 조성물과 1 이상의 약물을 포함하고, 상기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에 포함되는 (A)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상기 1 이상의 약물이 결합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히알루론산 유도체-약물 결합체 조성물을 형성시키는 데 적합한 약물은, 단백질, 펩티드, 핵산 등의 바이오 의약품 또는 저분자 화합물이다.
본 실시 형태의 의약 조성물 및 히알루론산 유도체-약물 결합체 조성물은, 이미 설명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나노 미립자, 마이크로 미립자, 용액, 에멀션, 현탁액, 겔, 미셀, 임플란트, 분말, 또는 필름의 형태로 있어도 된다. 분말은,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에 의해 얻은 고체를 분쇄하여 제조해도 되고, 침전물을 건조시킨 것으로부터 제조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의약 조성물 및 히알루론산 유도체-약물 결합체 조성물은, 경구, 장관 외, 비강 내, 질 내, 눈 내, 피하, 정맥 내, 근육 내, 가죽 내, 복강 내, 뇌 내 또는 구강 내의 경로를 거쳐서 투여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의약 조성물 및 히알루론산 유도체-약물 결합체 조성물은, 주사제에 한정되지 않고, 첩부 제제나 마이크로니들 제제, 바르는 약, 점안약, 분무약, 흡입약 등이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실시예에 제한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의 각 물성의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물성 1]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분자량)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분자량은, 사이즈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다각도 광산란 검출기(SEC-MALS)에 의해 결정된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20mg)을 초순수(10mL)에 용해하여 실온에서 12시간 이상 교반하여,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수용액(2mg/mL)을 얻었다. 이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수용액(750μL)에 대하여 300mM 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HP-β-CD) 수용액(750μL) 첨가하고 진탕기를 사용하여 10초간 혼합하고, 37℃에서 1시간 인큐베이트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시료를 SEC-MALS 측정에 제공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을 결정하였다. SEC-MALS 측정의 조건을 이하에 나타내었다.
(측정 조건)
칼럼: TSKgel GMPWXL(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2개
칼럼 온도: 30℃
용리액: 10mM HP-β-CD 넣은 인산 완충 생리 식염수(pH7.4)
유속: 1mL/분
주입량: 200μL
[물성 2]
(스테릴기 도입률)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스테릴기 도입률은, 1H-NMR 측정에 의해 결정하였다. 먼저, 디메틸술폭시드-d6(99.9v/v%, 0.05v/v%의 트리메틸실릴(TMS) 함유, 후지 필름 와코제)과 20% 중염산(99.5v/v%, 후지 필름 와코제)을 질량비 99:1로 혼합하여, 측정 용매를 조제하였다. 계속해서, 이 측정 용매(0.6mL)에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2mg)을 첨가하고, 초음파 배스에서 30분간 처리하여 완전히 용해시켜서 1H-NMR 측정에 제공하였다. 1H-NMR 측정은, 푸리에 변환 핵자기 공명 장치(FT-NMR 장치)(ECS400, 니혼덴시제)를 사용하여 샘플 온도 85℃에서 실시하였다. 스테릴기 도입률은,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아세틸기 유래의 피크(COCH3, 1.6ppm 이상 2.0ppm 이하, 3H)의 적분값과, 콜레스테릴기 중의 메틸기 유래의 피크(CH3, 0.7ppm, 3H)의 적분값으로부터, 이하에 나타내는 식을 사용하여 히알루론산 유닛에 대한 콜레스테릴기의 도입률을 산출하였다. 또한,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아세틸기 유래의 피크가 포함되는 1.6ppm 이상 2.0ppm 이하 부근의 피크에는 콜레스테릴기 유래의 피크(5H)가 겹쳐 있기 때문에, 1.6ppm 이상 2.0ppm 이하 부근의 피크의 적분값으로부터 콜레스테릴기 메틸 유래의 피크(0.7ppm)의 적분값을 5/3배한 것을 차감하여 산출한 값(즉, 적분값(1.6ppm 이상 2.0ppm 이하)-적분값(0.7ppm)×5/3)을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아세틸기 유래의 피크의 적분값으로 하여, 스테릴기 도입률의 계산에 사용하였다.
[스테릴기 도입률(%)]
=[(콜레스테릴기 중의 메틸기 유래의 피크 적분값)/(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아세틸기 유래의 피크 적분값)]×100
=[적분값(0.7ppm)/{적분값(1.6ppm 이상 2.0ppm 이하)-적분값(0.7ppm)×5/3}]×100
[물성 3]
(극성기 함유 화합물의 함유량)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중의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의 함유량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GC-MS)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먼저,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16.0mg)을 초순수(2.0mL)에 첨가하고, 12시간 이상 교반하여 용해시켜서 8.0mg/mL의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수용액을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수용액을 GC-MS 측정에 제공하고, 외부 표준법에 의해 측정 시료 중의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의 함유량을 구하였다. 그 뒤, 첨가한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양에 대한 측정 시료 중의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의 질량비를,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대한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의 함유량으로서 산출하였다. 정량 분석에 필요한 검량선은, 시판 표품을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GC-MS 측정의 조건을 이하에 나타내었다.
(측정 조건)
GC 장치: Agilent Technologies, 7890A
칼럼: DB-624(60m×0.25㎜Φ), 막 두께 1.40㎛
칼럼 온도: 50℃(5분간)→20℃/분의 속도로 승온→158℃(2분간)→3℃/분의 속도로 승온→180℃(0분간)→20℃/분의 속도로 승온→250℃(5.8분간)
유속: 1mL/분
주입구 온도: 250℃
스플릿비: 1/50
정량하는 화합물에 따라 다르지만 50질량ppm 이하의 경우에는, 이하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측정 조건: 에틸렌글리콜의 경우)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0.1g을 유리 튜브에 넣고, 200℃에서 10분간 가열 탈착을 행하고, 휘발 성분을 -130℃에서 포획하였다. 그 후, 냉각되어 있었던 트랩을 250℃에서 급속 가열하고, GC-MS 측정을 행하였다.
농도 기지의 에틸렌글리콜 표준품을 마찬가지의 조건에서 측정하고, 검출 피크 면적값으로부터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검량선으로부터 샘플 중의 에틸렌글리콜의 질량을 산출하였다. 그 후, 사용한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질량에 대한 샘플 중의 에틸렌글리콜의 질량비를, (A)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대한 (B) 극성 관능기 함유 화합물의 함유량으로서 산출하였다.
가열 탈착 장치: GERSTEL TDU, CIS4
탈착 온도: 200℃
탈착 시간: 10분
스플릿: 스플릿리스
크라이오 포커싱 온도: -130℃
주입 온도: 250℃
CIS 라이너: Tenax(GL 사이언스)
GC 장치: Agilent Technologies 7890
칼럼: GL 사이언스 DB-WAX(30m×0.25㎜Φ, 막 두께 0.25㎜)
온도 조건: 40℃(5분)→20℃/분→250℃(5분 유지)
MS 장치: Agilent Technology 7000
이온화: EI 70eV
이온원 온도 250℃
스캔 범위: SIM(m/z33)
이소프로판올 및 에탄올의 경우에는, 온도 조건을 50℃(5분)→10℃/분→240℃(6분 유지)로 한 것 이외에는, 에틸렌글리콜과 마찬가지로 측정하였다.
[평가 1]
(침전율)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의 침전율은, 이하에 나타내는 수순에 의해 결정하였다. 먼저, 600mM 염화나트륨을 넣은 40mM 인산 완충액(pH7.4)을 조제했다(농축 완충액이라고 칭한다). 이어서,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에 초순수를 첨가하고, 12시간 이상 교반하여 용해시켜서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수용액을 얻었다. 이 수용액을, 여과 튜브(포어 사이즈: 5.0㎛; UFC40SV25; 머크사제)에 넣어서 원심 분리기에 걸고, 여과 처리하였다. 계속해서, 여과 완료 히알루론산 유도체 수용액(600μL)과 농축 완충액(200μL)을 혼합한 침전 형성 샘플(N수: 3), 및 여과 완료 히알루론산 유도체 수용액(600μL)과 초순수(200μL)를 혼합한 레퍼런스 샘플(N수: 2)을 조제하였다. 그 후, 침전 형성 샘플 및 레퍼런스 샘플을 37℃에서 20분간 인큐베이트하고, 그 뒤에 원심 분리기(2,000×g, 10분간)에 걸었다. 원심 분리 후의 샘플 각각의 상청을 200μL 채취하고, 모두 300mM 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HP-β-CD) 수용액(200μL)을 첨가하여 2배 희석한 다음, 37℃에서 2시간 인큐베이트하였다. 또한, 모든 샘플에 대하여 10mM HP-β-CD 수용액(1000μ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시린지 필터(포어 사이즈: 0.45㎛)에 의해 처리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침전 형성 샘플 및 레퍼런스 샘플을 사이즈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EC) 측정에 제공하였다.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의 침전율은, 침전 형성 샘플 및 레퍼런스 샘플의 SEC 크로마토그램의 히알루론산 유도체 유래의 피크(7분 부근)의 면적값을 사용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식에 기초하여 산출하였다.
[침전율](%)
=[1-(침전 형성 샘플에 있어서의 히알루론산 유도체 유래의 피크의 면적값)/(레퍼런스 샘플에 있어서의 히알루론산 유도체 유래의 피크의 면적값)]×100
여기서, 침전 형성 샘플에 있어서의 히알루론산 유도체 유래의 피크의 면적값은 N=3으로 조제한 침전 형성 샘플 각각에 있어서의 면적값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레퍼런스 샘플에 있어서의 히알루론산 유도체 유래의 피크의 면적값은 N=2로 조제한 레퍼런스 샘플 각각에 있어서의 면적값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또한, SEC 측정의 조건을 이하에 나타내었다.
(측정 조건)
칼럼: TSKgel G4000SWXL(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칼럼 온도: 35℃
용리액: 10mM HP-β-CD 넣은 인산 완충 생리 식염수(pH7.4)
유속: 1mL/분
주입량: 90μL
검출: 시차 굴절률 검출기(RI 검출기) 또는 자외 검출기(UV 검출기)
[평가 2]
(멸균 여과성)
멸균 여과성은,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수용액을 0.22㎛ 필터로 처리했을 때의 여과 최대량에 의해 평가하였다. 즉,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을 초순수에 용해하여 0.9mg/mL로 하고, 얻어진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수용액을 0.22㎛ 필터(스테리컵-GP S2GPU05RE, 유효 여과 면적 40㎠, 머크사제)에 의해 막이 눈막힘되어 수용액이 투과되지 않게 될 때까지 계속하여 여과하였다. 그리고, 여과 완료의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수용액의 체적을 측정하고, 유효 여과 면적당의 여과 완료의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수용액의 체적을 계산하여 여과 최대량으로 하였다.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HA-a1의 제조)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을 다음 공정 1 내지 공정 3에 따라서 조제하였다.
1. 공정 1
(콜레스테릴 6-아미노헥실카르바메이트염산염의 합성)
콜레스테릴 6-아미노헥실카르바메이트염산염(Chol 염산염)을 다음으로 나타내는 공정 1-1, 계속하여 공정 1-2에 따라서 합성하였다.
(1) 공정 1-1
콜레스테릴클로로포르메이트(3.37g, 7.5mmol)의 무수 디클로로메탄(20mL)의 용액에,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트리에틸아민(TEA, 1.05mL)을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빙랭 하에서, 6-(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아미노헥산(1.12mL, 5mmol)을 적하하여 첨가하고, 그대로 빙랭 하에서 30분간 교반 후, 실온까지 승온하고, 당해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초순수 및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아세트산에틸:n-헥산=1:4)로 정제하고, 목적물의 프랙션을 맞춰서 용매를 감압 하 증류 제거하였다.
(2) 공정 1-2
얻어진 잔사를 아세트산에틸(40mL)에 용해하고, 4N 염산/아세트산에틸 용액(40m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발생한 침전물을 원심 분리에 의해 회수하였다. 얻어진 고체를 아세트산에틸로 4회 세정 후, 감압 하에서 건조시켜서, 콜레스테릴 6-아미노헥실카르바메이트염산염(Chol 염산염) 1.2g을 얻었다. 생성물의 1H-NMR 스펙트럼(CS400 니혼덴시제, EtOH-d6)을 도 1에 도시한다.
2. 공정 2
(히알루론산의 테트라부틸암모늄(TBA)염의 조제)
히알루론산의 TBA염(HA-TBA)을 다음으로 나타내는 공정 2-1, 계속하여 공정 2-2에 따라서 조제하였다.
(1) 공정 2-1
DOWEX(등록 상표) 50WX-8-400(알드리치사제)을 초순수에 현탁시키고, 디캔테이션에 의해 수지를 초순수로 3회 정도 세정하였다. 40질량% 테트라부틸암모늄히드록시드 수용액(TBA-OH)(알드리치사제)을 수지의 양이온 교환능에 대하여 약 1.5배 몰 등량 첨가하고, 30분간 교반하였다. 잉여적인 TBA-OH 용액을 디캔테이션에 의해 제거한 후, 또한 과잉의 초순수로 세정함으로써, TBA염화한 양이온 교환 수지를 얻었다.
(2) 공정 2-2
분자량 50,000(50kDa)의 원료 히알루론산나트륨염(HA-Na)을 15mg/mL의 농도로 초순수에 용해하였다. 「(1) 공정 2-1」로 TBA염화한 양이온 교환 수지의 현탁액을, HA 유닛(유닛 분자량 401.3)의 몰수에 대하여 수지의 이온 교환능 환산으로 5배 몰 등량 첨가하였다. 15분간 교반한 후, 0.45㎛의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를 행하고, 여액을 동결 건조하고, 히알루론산의 TBA염(HA-TBA)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생성물의 1H-NMR 스펙트럼(ECS400 니혼덴시제, EtOH-d6)을 도 2에 도시한다.
3. 공정 3
「2.(2) 공정 2-2」에서 조제한 HA-TBA의 무수 DMSO 용액(10mg/mL)을 조제하였다. 그 후, HA-TBA 중에 존재하는 2당 반복 단위(HA 유닛)에 대한, 「1. 공정 1」에서 합성한 Chol 염산염의 첨가량이 몰비(Chol 염산염/HA 유닛)로 15/100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이어서, HA 유닛에 대한 4-(4,6-디메톡시-1,3,5-트리아진-2-일)-4-메틸모르폴리늄클로라이드(DMT-MM)의 첨가량이 몰비(DMT-MM/HA 유닛)로 21.6/100이 되도록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은, 0.3M 아세트산암모니아/DMSO 용액, 0.15M NaCl 수용액, 초순수의 순으로 투석(스펙트라 포어 4(스펙트럼사제), 분획 분자량(MWCO): 12,000 이상 14,000 이하)하였다. 얻어진 투석액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콜(EG)을 조성물 중의 함유량이 0.0062질량ppm이 되도록 첨가하고, 그 후 동결 건조하여 목적물(HA-C6-Chol)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생성물의 1H-NMR 스펙트럼을 도 3에 도시한다.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아세틸기 유래의 피크(COCH3, 1.6ppm 이상 2.0ppm 이하, 3H), 콜레스테릴기 중의 메틸기 유래의 피크(CH3, 0.7ppm, 3H)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2 내지 25 및 비교예 1 내지 2]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HA-a2 내지 HA-a25 및 HA-b1 내지 HA-b2의 제조)
「3. 공정 3」에 있어서, HA 유닛에 대한 Chol 염산염의 첨가량, 및 HA 유닛에 대한 DMT-MM의 첨가량이 몰비로 하기 표에 나타내는 비율이 되도록 하고, 알코올의 종류 및 (A)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대한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의 함유량이 하기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각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의 1H-NMR 측정을 행하고, 각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에 포함되는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있어서 어느 것이든,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아세틸기 유래의 피크(COCH3, 1.6ppm 이상 2.0ppm 이하, 3H), 콜레스테릴기 중의 메틸기 유래의 피크(CH3, 0.7ppm, 3H)가 확인되었다.
또한, 하기 표에 있어서, 알코올의 종류 및 약칭은 이하와 같다.
(알코올의 종류 및 약칭)
이소프로판올: IPA
에탄올: EtOH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에 대해서, 상술한 방법을 사용하여, 각 물성을 측정하고, 각종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상기 표 1 내지 4로부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이 50kDa일 경우에, 알코올을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HA-a1 내지 HA-a12, HA-a17 및 HA-a18(실시예 1 내지 12, 17 및 18)에서는, 6mg/mL의 NaCl 함유 농축 완충액에서의 침전율이 74.5% 이상 91.3% 이하로 양호하였다. 한편,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HA-b1(비교예 1)에서는, 6mg/mL의 NaCl 함유 농축 완충액에서의 침전율이 46.0%로 불량하였다.
또한, 스테릴기 도입률이 다른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HA-a1, HA-a17 및 HA-a18(실시예 1, 17 및 18)에 있어서, 스테릴기 도입률이 낮아질수록, 6mg/mL의 NaCl 함유 농축 완충액에서의 침전율이 보다 양호해지는 경향이 보여졌다.
표 5 내지 6으로부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이 100kDa일 경우에, 알코올을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HA-a19 내지 HA-a25(실시예 19 내지 25)에서는, 저농도인 1.2mg/mL의 NaCl 함유 농축 완충액에서의 침전율이 23.9% 이상 50.9% 이하로 양호하였다. 한편,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HA-b2(비교예 2)에서는, 1.2mg/mL의 NaCl 함유 농축 완충액에서의 침전율이 12.4%로 불량하였다.
또한, 알코올의 함유량이 다른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HA-a19 및 HA-a23(실시예 19 및 23)에 있어서, 알코올의 함유량이 적어질수록, 여과 최대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보였다.
또한, 알코올의 종류가 다른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HA-a23 내지 HA-a25(실시예 23 내지 25)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한 경우에, 1.2mg/mL의 NaCl 함유 농축 완충액에서의 침전율이 양호하였다.
본 실시 형태의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에 의하면, 생리 식염 농도 하에서의 침전 형성능이 우수한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이것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및 히알루론산 유도체-약물 결합체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A) 스테릴기를 도입한 히알루론산 유도체와,
    (B)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카르바메이트기, 우레아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관능기를 갖는 극성기 함유 화합물
    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로서,
    (A)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대한 상기 스테릴기의 도입률이 0.1% 이상 35% 미만인,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이, 히드록시기를 적어도 하나 갖는 극성기 함유 화합물인,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의 함유량이, 상기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질량에 대하여 0.001질량ppm 이상 1000질량ppm 미만인,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이 복수의 극성기를 갖고 있는 화합물인,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극성기 함유 화합물이 알코올인,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이 다가 알코올인,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이 에틸렌글리콜인,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히알루론산 유도체가,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Figure pct00011

    식 중,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6 알킬, 포르밀 및 C1-6 알킬카르보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Z는, 직접 결합, 또는 2개 이상 30개 이하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펩티드 링커를 나타내고;
    X1은, 이하의 식:
    -NRb-R,
    -NRb-COO-R,
    -NRb-CO-R,
    -NRb-CO-NRc-R,
    -COO-R,
    -O-COO-R,
    -S-R,
    -CO-Ya-S-R,
    -O-CO-Yb-S-R,
    -NRb-CO-Yb-S-R, 및
    -S-S-R,
    로 표시되는 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이며;
    Ra, Rb 및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20 알킬, 아미노 C2-20 알킬 및 히드록시 C2-20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여기서 당해 기의 알킬 부분은, -O- 및 -NRf-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가 삽입되어 있어도 되고;
    Rf는, 수소 원자, C1-12 알킬, 아미노 C2-12 알킬 및 히드록시 C2-12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당해 기의 알킬 부분은 -O- 및 -NH-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가 삽입되어 있어도 되고;
    R은, 스테릴기이며;
    Y는, C2-30 알킬렌, 또는 -(CH2CH2O)m-CH2CH2-이며, 여기서, 당해 알킬렌은, -O-, -NRg- 및 -S-S-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가 삽입되어 있어도 되고;
    Rg는, 수소 원자, C1-20 알킬, 아미노 C2-20 알킬 및 히드록시 C2-20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당해 기의 알킬 부분은 -O- 및 -NH-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가 삽입되어 있어도 되고;
    Ya는, C1-5 알킬렌이며;
    Yb는, C2-8 알킬렌 또는 C2-8 알케닐렌이며;
    m은, 1 이상 100 이하의 정수이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R이 콜레스테릴기인,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분자량이 1,000 이상 1,000,000 미만인,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12. 약물과, 담체를 포함하고, 상기 담체가,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인, 의약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이 (A) 히알루론산 유도체와 복합체를 형성하는, 의약 조성물.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이, 약리 활성을 갖는 단백질, 펩티드 또는 핵산인, 의약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및 약물을 포함하고, 상기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에 포함되는 (A)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상기 약물이 결합한, 히알루론산 유도체-약물 결합체 조성물.
KR1020227026681A 2020-02-05 2021-02-05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의약 조성물 및 히알루론산 유도체-약물 결합체 조성물 KR202201242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18312 2020-02-05
JPJP-P-2020-018312 2020-02-05
PCT/JP2021/004200 WO2021157677A1 (ja) 2020-02-05 2021-02-05 ヒアルロン酸誘導体組成物、医薬組成物及びヒアルロン酸誘導体-薬物結合体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207A true KR20220124207A (ko) 2022-09-13

Family

ID=77200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681A KR20220124207A (ko) 2020-02-05 2021-02-05 히알루론산 유도체 조성물, 의약 조성물 및 히알루론산 유도체-약물 결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085879A1 (ko)
EP (1) EP4101466A4 (ko)
JP (1) JP7397103B2 (ko)
KR (1) KR20220124207A (ko)
CN (3) CN114981313A (ko)
CA (1) CA3166352A1 (ko)
TW (1) TWI834948B (ko)
WO (1) WO20211576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027246A (zh) * 2020-02-07 2024-05-14 旭化成株式会社 透明质酸衍生物、药物组合物和透明质酸衍生物-药物结合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3140A1 (ja) 2008-11-05 2010-05-14 国立大学法人 東京医科歯科大学 ヒアルロン酸誘導体、およびその医薬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1215B2 (ja) * 1991-08-27 2000-06-12 株式会社資生堂 ヒアルロン酸ゲ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39409A (ja) * 2003-11-10 2005-06-02 Medicaraise Corp デルマタン硫酸の製法
CA2884142C (en) * 2012-09-05 2020-11-10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Hyaluronic acid derivative having amino acid and steryl group introduced thereinto
CZ2012842A3 (cs) * 2012-11-27 2014-08-20 Contipro Biotech S.R.O. Nanomicelární kompozice na bázi C6-C18-acylovaného hyaluronanu, způsob přípravy C6-C18-acylovaného hyaluronanu, způsob přípravy nanomicelární kompozice a stabilizované nanomicelární kompozice a použití
CN103435718B (zh) * 2013-08-21 2016-12-28 中国药科大学 Peg修饰的透明质酸胆固醇酯
US11389539B2 (en) * 2016-05-11 2022-07-19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Hyaluronic acid derivatives into which cationic and hydrophobic groups are introduced
WO2019098393A1 (ja) * 2017-11-15 2019-05-23 中外製薬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グリコールにより修飾されたヒアルロン酸誘導体
AU2019227780A1 (en) 2018-03-02 2020-10-15 Umitron Pte. Ltd. Automatic feeding assistance device, automatic feeding assistan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BR112021012784A2 (pt) * 2019-01-29 2021-09-21 Mie University Formulação de vacina contra o câncer
CN118027246A (zh) * 2020-02-07 2024-05-14 旭化成株式会社 透明质酸衍生物、药物组合物和透明质酸衍生物-药物结合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3140A1 (ja) 2008-11-05 2010-05-14 国立大学法人 東京医科歯科大学 ヒアルロン酸誘導体、およびその医薬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108877A (zh) 2024-05-31
TWI834948B (zh) 2024-03-11
JP7397103B2 (ja) 2023-12-12
CN118108875A (zh) 2024-05-31
CA3166352A1 (en) 2021-08-12
WO2021157677A1 (ja) 2021-08-12
JPWO2021157677A1 (ko) 2021-08-12
EP4101466A4 (en) 2023-07-12
TW202133884A (zh) 2021-09-16
US20230085879A1 (en) 2023-03-23
CN114981313A (zh) 2022-08-30
EP4101466A1 (en) 202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2687B2 (ja) ヒアルロン酸誘導体、およびその医薬組成物
KR102130864B1 (ko) 아미노산 및 스테릴기가 도입된 히알루론산 유도체
JP5060131B2 (ja) 水溶性ヒアルロン酸修飾物の製造方法
EP4101860A1 (en) Hyaluronic acid derivativ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hyaluronic acid derivative-drug conjugate
WO2008136536A1 (ja) 化学架橋ヒアルロン酸誘導体を含むハイブリッドゲ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医薬組成物
EP3456745B1 (en) Hyaluronic acid derivatives into which cationic groups and hydrophobic groups are introduced
JP7397103B2 (ja) ヒアルロン酸誘導体組成物、医薬組成物及びヒアルロン酸誘導体-薬物結合体組成物
JP2022044579A (ja) 点眼剤
JP2021123598A (ja) ヒアルロン酸誘導体組成物、医薬組成物及びヒアルロン酸誘導体−薬物結合体組成物
JP2021123597A (ja) ヒアルロン酸誘導体組成物、医薬組成物及びヒアルロン酸誘導体−薬物結合体組成物
JP7502861B2 (ja) 標的物質と両親媒性高分子との複合体の形成反応の反応温度の評価方法
JP2022013861A (ja) ヒアルロン酸誘導体組成物
EP2960254B1 (en) Polysaccharide powder and anti-adhesion material contain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