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717A - 결속기 - Google Patents

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717A
KR20220120717A KR1020227028746A KR20227028746A KR20220120717A KR 20220120717 A KR20220120717 A KR 20220120717A KR 1020227028746 A KR1020227028746 A KR 1020227028746A KR 20227028746 A KR20227028746 A KR 20227028746A KR 20220120717 A KR20220120717 A KR 20220120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uide
reinforcing bar
wires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8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0556B1 (ko
Inventor
오사무 이타가키
타케시 모리지리
타츠노리 세라
타쿠야 치기라
카즈히사 타케우치
사다요시 타케우치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0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5/00Wound packages of filamentary material
    • B65H55/005Wound packages of filamentary material with two or more filaments wound in parallel on the bobb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4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with means for guiding the binding material around the articles prior to severing from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181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applying edge protecting members during bu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183Load ori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185Details of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185Details of tools
    • B65B13/186Supports or tables facilitating tension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28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twi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32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welding, soldering, or heat-sealing; by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9/00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 B65H69/06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by spl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E04G21/123Wire twis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10Bundling rods, sticks, or like elongated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 B65H2701/362Tying wires, e.g. for tying concrete reinforcement rods

Abstract

결속물에 대한 와이어의 권취 및 결속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철근 결속기를 제공한다. 철근 결속기(1A)는, 2가닥의 와이어(W)를 풀어낼 수 있도록 수용되는 매거진(2A)과, 병렬된 와이어(W)를 철근(S)의 주위에 권취하는 컬 가이드부(5A)와, 와이어(W)를 병렬시켜 이송하는 동작에 의해, 와이어(W)를 컬 가이드부(5A)로 철근(S)의 주위에 권취하고, 철근(S)의 주위에 권취된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하는 와이어 이송부(3A)와, 철근(S)의 주위에 권취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측과 다른 한쪽의 단부측의 교차 부분을 비트는 결속부(7A)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결속기 {BINDING MACHINE}
본 발명은, 철근 등의 결속물을 와이어로 결속하는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2가닥 이상의 철근에 와이어를 권취하고, 권취한 와이어를 비틀어 해당 2가닥 이상의 철근을 결속하는 철근 결속기로 불리는 결속기가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철근 결속기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1가닥의 와이어를 철근의 주위에 권취하고, 철근에 권취된 와이어의 한쪽의 단부측과 다른 한쪽의 단부측이 교차하는 부분을 비틀어 철근을 결속하는 구성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일본국 특허 제4747454호 공보
철근 결속기에서 사용되는 와이어는, 철근을 결속하고, 또한, 철근을 결속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가 확보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즉, 와이어는, 철근 결속기에 의해 비틀어지는 동작 등으로 의도하지 않고는 끊어지지 않는 강도가 필요하다. 또한, 와이어는, 결속 후에도 끊어지지 않는 강도가 필요하다. 또한, 와이어는, 비틀린 부분이 풀어지지 않고, 빠지지 않는 강도가 필요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와이어에 요구되는 이와 같은 강도를 총칭하여 결속 강도라고 칭한다.
종래의 철근 결속기에서는, 철근의 결속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예를 들면 지름이 1.5mm를 넘는 바와 같은 비교적 굵은 와이어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지름이 굵은 와이어를 사용하면, 와이어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철근의 결속에는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적은 힘으로 결속물의 결속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결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2가닥 이상의 와이어를 이송하여, 결속물의 주위에 권취 가능한 이송 수단과, 이송 수단으로 결속물의 주위에 권취된 2가닥 이상의 와이어를, 파지하여 비트는 것에 의해 결속물을 결속하는 결속 수단을 구비한 결속기이다.
본 발명의 결속기에서는, 2가닥 이상의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와이어의 강성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 결속물의 결속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에서 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전면에서 본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실시예의 릴 및 와이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B는 와이어의 접합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C는 와이어의 접합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이송 기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A는 본 실시예의 변위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B는 본 실시예의 변위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C는 본 실시예의 변위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D는 본 실시예의 변위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A는 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B는 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C는 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D는 병렬된 와이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E는 교차로 비틀린 와이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가이드홈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제2가이드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A는 본 실시예의 제2가이드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B는 본 실시예의 제2가이드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A는 본 실시예의 제2가이드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B는 본 실시예의 제2가이드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A는 본 실시예의 파지부의 주요 부분 구성도이다.
도 11B는 본 실시예의 파지부의 주요 부분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20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21A는 철근에 와이어를 권취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21B는 철근에 와이어를 권취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21C는 철근에 와이어를 권취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22A는 컬 가이드부에 의해 와이어로 루프를 형성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22B는 컬 가이드부에 의해 와이어로 루프를 형성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23A는 와이어를 절곡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23B는 와이어를 절곡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23C는 와이어를 절곡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24A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의 예이다.
도 24B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의 예이다.
도 24C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과 과제의 예이다.
도 24D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과 과제의 예이다.
도 25A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의 예이다.
도 25B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과 과제의 예이다.
도 26A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의 예이다.
도 26B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과 과제의 예이다.
도 27A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의 예이다.
도 27B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과 과제의 예이다.
도 28A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의 예이다.
도 28B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과 과제의 예이다.
도 29A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의 예이다.
도 29B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의 예이다.
도 30A는 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0B는 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0C는 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0D는 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0E는 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1은 본 실시예의 가이드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2A는 본 실시예의 와이어 이송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2B는 본 실시예의 와이어 이송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3은 다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4A는 다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4B는 다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5는 다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6은 다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7은 다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8은 다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9는 다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0은 다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1은 다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2는 다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3은 다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4는 다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5는 다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6A는 본 실시예의 제2가이드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6B는 본 실시예의 제2가이드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7A는 본 실시예의 릴 및 와이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7B는 와이어의 접합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7C는 와이어의 접합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8은 부기 1에 기재된 결속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9A는 부기 1에 기재된 와이어 이송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9B는 부기 1에 기재된 와이어 이송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9C는 부기 1에 기재된 와이어 이송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9D는 부기 1에 기재된 와이어 이송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0A는 부기 6에 기재된 가이드홈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0B는 부기 6에 기재된 가이드홈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0C는 부기 6에 기재된 가이드홈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1은 와이어 이송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결속기의 실시예로서의 철근 결속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구성예>
도 1은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에서 본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전면에서 본 구성도이다. 여기서,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의 내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는, 종래의 지름이 굵은 와이어와 비교하여 지름이 가는 2가닥 이상의 와이어(W)를 사용하여, 결속물인 철근(S)을 결속한다. 철근 결속기(1A)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철근(S)의 주위에 와이어(W)를 권취하는 동작, 철근(S)의 주위에 권취된 와이어(W)를 철근(S)에 밀착하도록 권취하는 동작, 철근(S)에 권취된 와이어를 비트는 동작 등에 의해,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한다. 철근 결속기(1A)에서는, 상술한 어느 동작으로도, 와이어(W)가 절곡되기 때문에, 종래의 와이어와 비교하여 지름이 가는 와이어(W)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철근(S)에 적은 힘으로 와이어를 권취하면서, 적은 힘으로 와이어(W)를 비틀 수 있다. 또한, 와이어를 2가닥 이상 사용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W)에 의한 철근(S)의 결속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2가닥 이상의 와이어(W)를 병렬시켜 이송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W)를 권취하는 동작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1가닥의 와이어로 철근을 이중 이상으로 권취하는 동작과 비교하여 짧게 할 수 있다. 한편, 철근(S)의 주위에 와이어(W)를 권취하는 것, 철근(S)의 주위에 권취된 와이어(W)를, 철근(S)에 밀착하도록 권취하는 것을 총칭하여, 와이어(W)를 권취한다고도 기재한다. 와이어(W)가 권취되는 것은, 철근(S) 이외의 결속물이어도 좋다. 여기서, 와이어(W)는, 소성 변형할 수 있는 금속으로 구성된 단선 와이어, 혹은 연선의 와이어가 사용된다.
철근 결속기(1A)는, 와이어(W)가 수용되는 수용부인 매거진(2A)과, 매거진(2A)에 수용된 와이어(W)를 이송하는 와이어 이송부(3A)와, 와이어 이송부(3A)에 이송되는 와이어(W), 및, 와이어 이송부(3A)로부터 송출된 와이어(W)를 병렬시키는 병렬 가이드(4A)를 구비한다. 또한, 철근 결속기(1A)는, 병렬되어 이송되는 와이어(W)를 철근(S)의 주위에 권취하는 컬 가이드부(5A)와, 철근(S)에 권취된 와이어(W)를 절단하는 절단부(6A)를 구비한다. 또한, 철근 결속기(1A)는, 철근(S)에 권취된 와이어(W)를 파지하여 비트는 결속부(7A)를 구비한다.
매거진(2A)은 수용 수단의 일례로, 본 예에서는, 2가닥의 긴 와이어(W)를 풀어낼 수 있도록 권취된 릴(20)이, 탈착 가능하게 수용된다.
도 3A는 본 실시예의 릴 및 와이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릴(20)은, 와이어(W)가 권취되는 코어부(24)와, 코어부(24)의 축방향을 따른 양단측에 마련된 플랜지부(25)를 구비한다. 플랜지부(25)는, 코어부(24)보다 지름이 크게 구성되어, 코어부(24)에 권취된 와이어(W)가 빠지는 것이 억제된다.
릴(20)에 권취되는 와이어(W)는, 복수 가닥의 와이어(W), 본 예에서는 2가닥의 와이어(W)가, 코어부(24)의 축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병렬된 상태로 풀려날 수 있도록 권취된다. 철근 결속기(1A)에서는, 와이어 이송부(3A)에서 2가닥의 와이어(W)를 이송하는 동작, 및, 2가닥의 와이어(W)를 수동으로 이송하는 동작에 의해, 매거진(2A)에 수용된 릴(20)이 회전하면서, 2가닥의 와이어(W)가 릴(20)로부터 풀려난다. 이 때, 2가닥의 와이어(W)가 서로 꼬이지 않고 풀려나도록, 코어부(24)에 2가닥의 와이어(W)가 권취된다. 2가닥의 와이어(W)는, 릴(20)로부터 풀려나는 측의 선단측의 일부(접합부(26))가 접합되어 있다.
도 3B는 와이어의 접합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C는 와이어의 접합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C는 도 3B의 Y-Y선 단면도이다. 접합부(26)는, 2가닥의 와이어(W)를 서로가 교차하도록 비틀고, 또한,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3B의 Y-Y선 단면도에 도시되는 단면 형상이, 후술하는 병렬 가이드(4A)를 통과 가능하도록, 병렬 가이드(4A)의 형상에 맞춰 성형된다. 2가닥의 와이어(W)를 비틀면, 비틀린 부분의 폭 방향의 길이는,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보다 약간 긴 길이가 된다. 여기서, 본 예에서는, 접합부(26)는, 2가닥의 와이어(W)의 일부가 비틀린 후, 비틀린 부분이 병렬 가이드(4A)의 형상에 맞춰 성형된다. 성형후의 접합부(26)는, 본 예에서는,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길이(L10)가, 와이어(W)를 단면 방향을 따라 2가닥 배열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W)의 지름(r)의 2가닥 분량과 거의 동등한 길이, 폭 방향의 길이(L20)가,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과 거의 동등한 길이를 구비한다.
와이어 이송부(3A)는, 이송 수단을 구성하는 와이어 이송 수단의 일례로, 병렬된 와이어(W)를 이송하는 한쌍의 이송 부재로서, 회전 동작에 의해 와이어(W)를 이송하는 평기어 형태의 제1이송 기어(30L)와, 제1이송 기어(30L)의 사이에 와이어(W)를 협지하는 마찬가지로 평기어 형태의 제2이송 기어(30R)를 구비한다.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원반 모양의 부재의 외주면에 이빨부가 형성된 평기어 형태이다. 다만,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는, 서로가 맞물려 한쪽의 이송 기어로부터 다른 한쪽의 이송 기어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2가닥의 와이어(W)를 적절히 이송 가능한 것이면, 꼭 평기어 형태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는, 각각이 원반 모양의 부재로 구성된다. 와이어 이송부(3A)는,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가, 와이어(W)의 이송 경로를 사이에 끼고 마련되는 것에 의해,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의 외주면끼리가 대향한다.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는, 외주면의 대향하는 부위 사이에, 병렬된 2가닥의 와이어(W)를 협지한다.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는, 2가닥의 와이어(W)를 병렬시킨 상태로, 와이어(W)의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 이송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이송 기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여기서,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제1이송 기어(30L)는, 외주면에 이빨부(31L)를 구비한다. 제2이송 기어(30R)는, 외주면에 이빨부(31R)를 구비한다.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는, 서로의 이빨부(31L, 31R)가 대향하도록 병렬로 배치된다. 즉,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는, 컬 가이드부(5A)에 의해 권취되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축방향(Ru1), 즉,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를 원형으로 간주한 가상원의 축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병렬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컬 가이드부(5A)에 의해 권취되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축방향(Ru1)을, 루프 모양의 와이어(W)의 축방향(Ru1)이라고도 한다.
제1이송 기어(30L)는, 외주면에 제1이송 홈부(32L)를 구비한다. 제2이송 기어(30R)는, 외주면에 제2이송 홈부(32R)를 구비한다.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는, 제1이송 홈부(32L)와 제2이송 홈부(32R)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1이송 홈부(32L)와 제2이송 홈부(32R)로 협지부를 구성한다.
제1이송 홈부(32L)는, 제1이송 기어(30L)의 외주면에, 제1이송 기어(30L)의 회전 방향을 따라 V홈 형태로 형성된다. 제1이송 홈부(32L)는, V홈을 형성하는 제1경사면(32La)과 제2경사면(321b)을 구비한다. 제1이송 홈부(32L)는, 제1경사면(32La)과 제2경사면(321b)이 소정의 각도로 대향하도록, 단면 형상이 V홈 형태로 형성된다. 제1이송 홈부(32L)는,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 사이에 병렬된 상태로 와이어(W)가 협지될 때, 병렬되는 와이어(W)의 가장 외측의 와이어 중의 한쪽, 본 예에서는, 병렬되는 2가닥의 와이어(W)의 한쪽의 와이어(W1)의 외주면의 일부가 제1경사면(32La)과 제2경사면(321b)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제2이송 홈부(32R)는, 제2이송 기어(30R)의 외주면에, 제2이송 기어(30R)의 회전 방향을 따라 V홈 형태로 형성된다. 제2이송 홈부(32R)는, V홈을 형성하는 제1경사면(32Ra)과 제2경사면(32Rb)을 구비한다. 제2이송 홈부(32R)는, 제1이송 홈부(32L)와 마찬가지로 단면 형상이 V홈 형태이고, 제1경사면(32Ra)과 제2경사면(32Rb)이 소정의 각도로 대향한다. 제2이송 홈부(32R)는,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 사이에 병렬된 상태로 와이어(W)가 협지될 때, 병렬되는 와이어(W)의 가장 외측의 와이어 중의 다른 한쪽, 본 예에서는, 병렬되는 2가닥의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와이어(W2)의 외주면의 일부가 제1경사면(32Ra)과 제2경사면(32Rb)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제1이송 홈부(32L)는,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로 와이어(W)를 협지했을 때, 제1경사면(32La) 및 제2경사면(321b)에 접한 한쪽의 와이어(W1)의 제2이송 기어(30R)와 대향하는 측의 부위가, 제1이송 기어(30L)의 이뿌리원(31La)보다 돌출되는 깊이나 (제1경사면(32La)과 제2경사면(321b)과의)각도로 구성된다.
제2이송 홈부(32R)는,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로 와이어(W)를 협지했을 때, 제1경사면(32Ra) 및 제2경사면(32Rb)에 접한 다른 한쪽의 와이어(W2)의 제1이송 기어(30L)와 대향하는 측의 부위가, 제2이송 기어(30R)의 이뿌리원(31Ra)보다 돌출되는 깊이나 (제1경사면(32Ra)과 제2경사면(32Rb)와의)각도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 사이에서 협지되는 2가닥의 와이어(W)는, 한쪽의 와이어(W1)가, 제1이송 홈부(32L)의 제1경사면(32La)과 제2경사면(321b)에 가압되고, 다른 한쪽의 와이어(W2)가, 제2이송 홈부(32R)의 제1경사면(32Ra)과 제2경사면(32Rb)에 가압된다. 그리고, 한쪽의 와이어(W1)와 다른 한쪽의 와이어(W2)는 서로 가압된다. 따라서,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2가닥의 와이어(W)(한쪽의 와이어(W1)와 다른 한쪽의 와이어(W2))가,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 사이에서는 서로 접한 상태로 동시에 이송된다. 한편, 본 예에서는, 제1이송 홈부(32L)와 제2이송 홈부(32R)는, 단면 형상을 V홈 형태로 했지만, 꼭 V홈 형태로 한정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사다리꼴이나 원호형이어도 좋다. 또한, 제1이송 기어(30L)의 회전을 제2이송 기어(30R)에 전달하기 위해,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 사이에,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짝수 개의 기어 등으로 구성되는 전달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와이어 이송부(3A)는, 제1이송 기어(30L)를 구동하는 구동부(33)와, 제2이송 기어(30R)를 제1이송 기어(30L)에 대해 가압 및 이접시키는 변위부(34)를 구비한다.
구동부(33)는, 제1이송 기어(30L)를 구동하는 이송 모터(33a)와, 이송 모터(33a)의 구동력을 제1이송 기어(30L)에 전달하는 기어 등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전달 기구(33b)를 구비한다.
제1이송 기어(30L)는, 이송 모터(33a)의 회전 동작이 전달 기구(33b)를 통해 전달되어 회전한다. 제2이송 기어(30R)는, 제1이송 기어(30L)의 회전 동작이 이빨부(31L)를 통해 이빨부(31R)에 전달되어, 제1이송 기어(30L)에 종동하여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제1이송 기어(30L)와 한쪽의 와이어(W1)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 제2이송 기어(30R)와 다른 한쪽의 와이어(W2)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 및, 한쪽의 와이어(W1)와 다른 한쪽의 와이어(W2)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2가닥의 와이어(W)가 병렬된 상태로 이송된다.
와이어 이송부(3A)는, 이송 모터(33a)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것에 의해,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의 회전 방향이 전환되어, 와이어(W)의 이송 방향의 정/역 방향이 전환된다.
철근 결속기(1A)에서는, 와이어 이송부(3A)에서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를 정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와이어(W)가 화살표 X1로 나타내는 정방향, 즉, 컬 가이드부(5A)의 방향으로 이송되어, 컬 가이드부(5A)에서 철근(S)에 권취된다. 또한,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한 후에,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를 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와이어(W)는 화살표 X2로 나타내는 역방향, 즉, 매거진(2A)의 방향으로 이송된다(되돌려진다).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한 후에 되돌리는 것에 의해, 와이어(W)는 철근(S)에 밀착된다.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는 본 실시예의 변위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변위부(34)는 변위 수단의 일례로, 도 2에 나타내는 축(34a)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 동작에 의해, 제2이송 기어(30R)를 제1이송 기어(30L)에 대해 이접시키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제1변위 부재(35)와, 제1변위 부재(35)를 변위시키는 제2변위 부재(36)를 구비한다. 제2이송 기어(30R)는, 축(36a)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 동작에 의해 변위하는 제2변위 부재(36)를 가압하는 스프링(37)에 의해, 제1이송 기어(30L)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본 예에서는 2가닥의 와이어(W)가, 제1이송 기어(30L)의 제1이송 홈부(32L)와 제2이송 기어(30R)의 제2이송 홈부(32R)로 협지된다. 또한, 제1이송 기어(30L)의 이빨부(31L)와 제2이송 기어(30R)의 이빨부(31R)가 맞물린다. 여기서, 제1변위 부재(35)와 제2변위 부재(36)의 관계는, 제2변위 부재(36)를 변위시켜 제1변위 부재(35)를 프리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제2이송 기어(30R)가 제1이송 기어(30L)로부터 이격 가능한 구성이지만, 제1변위 부재(35)와 제2변위 부재(36)가 연동하는 기구로 해도 좋다.
변위부(34)는, 제2변위 부재(36)를 가압하는 조작 버튼(38)과, 조작 버튼(38)의 록 및 록의 해제를 수행하는 해제 레버(39)를 구비한다. 조작 버튼(38)은 조작 부재의 일례로, 본체부(10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화살표 T1, T2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조작 버튼(38)은,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로 와이어(W)를 이송 가능한 위치인 와이어 이송 위치에서 해제 레버(39)가 체결되는 제1체결 요부(38a)와,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를 이격시켜 와이어(W)를 장전 가능한 위치인 와이어 장전 위치에서 해제 레버(39)가 체결되는 제2체결 요부(38b)를 구비한다.
해제 레버(39)는 해제 부재의 일례로, 조작 버튼(38)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화살표 U1, U2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해제 레버(39)는, 조작 버튼(38)의 제1체결 요부(38a) 및 제2체결 요부(38b)에 체결되는 체결 철부(39a)를 구비한다.
해제 레버(39)는, 조작 버튼(38)에 접근하는 화살표 U1 방향으로 스프링(39b)에 의해 가압되어, 도 5A에 나타내는 와이어 이송 위치에 있는 조작 버튼(38)의 제1체결 요부(38a)에 체결 철부(39a)가 들어가는 형태, 또는, 도 5B에 나타내는 와이어 장전 위치에 있는 조작 버튼(38)의 제2체결 요부(38b)에 체결 철부(39a)가 들어가는 형태로 체결된다.
체결 철부(39a)에는, 조작 버튼(38)의 이동 방향을 따른 유도 경사면(39c)이 형성된다. 해제 레버(39)는, 와이어 이송 위치에 있는 조작 버튼(38)이 화살표 T2 방향으로 가압되는 동작에 의해 유도 경사면(39c)이 가압되고, 체결 철부(39a)가 제1체결 요부(38a)로부터 빠지는 것에 의해, 화살표 U2 방향으로 변위한다.
변위부(34)는, 와이어 이송부(3A)에서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에 의해 이송되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는 방향이고,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의 후방, 즉, 본체부(10A) 내에서 와이어 이송부(3A)에 대해 핸들부(11A)측에 제2변위 부재(36)를 구비한다. 또한, 조작 버튼(38) 및 해제 레버(39)도,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의 후방, 즉, 본체부(10A) 내에서 와이어 이송부(3A)에 대해 핸들부(11A)측에 마련된다.
변위부(34)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버튼(38)이 와이어 이송 위치에 있으면, 조작 버튼(38)의 제1체결 요부(38a)에 해제 레버(39)의 체결 철부(39a)가 체결되어, 조작 버튼(38)이 와이어 이송 위치에서 유지된다.
또한, 변위부(34)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버튼(38)이 와이어 이송 위치에 있으면, 제2변위 부재(36)가 스프링(37)에 의해 가압되어, 제2변위 부재(36)가 축(36a)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2이송 기어(30R)를 제1이송 기어(30L)에 가압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변위부(34)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버튼(38)이 와이어 장전 위치에 있으면, 조작 버튼(38)의 제2체결 요부(38b)에 해제 레버(39)의 체결 철부(39a)가 체결되어, 조작 버튼(38)이 와이어 장전 위치에서 유지된다.
또한, 변위부(34)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버튼(38)이 와이어 장전 위치에 있으면, 제2변위 부재(36)가 조작 버튼(38)에 의해 가압되어, 제2변위 부재(36)가 축(36a)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2이송 기어(30R)를 제1이송 기어(30L)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도 6A, 도 6B, 도 6C는 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여기서, 도 6A, 도 6B, 도 6C는 도 2의 C-C선 단면도이고, 도입 위치(P1)에 마련된 병렬 가이드(4A)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한편, 중간 위치(P2)에 마련된 병렬 가이드(4A)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 2의 D-D선 단면도, 절단 배출 위치(P3)에 마련된 병렬 가이드(4A)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 2의 E-E선 단면도도 동일한 형상을 나타낸다. 또한, 도 6D는 병렬된 와이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E는 교차로 비틀린 와이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병렬 가이드(4A)는 이송 수단을 구성하는 규제 수단의 일례로, 이송되어 온 복수 가닥(2가닥 이상)의 와이어(W)의 방향을 규제한다. 병렬 가이드(4A)는, 진입해 온 2가닥 이상의 와이어(W)를 병렬로 하여 송출한다. 병렬 가이드(4A)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2가닥 이상의 와이어를 병렬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컬 가이드부(5A)에 의해 철근(S)의 주위에 권취된 루프 모양의 와이어(W)의 축방향을 따르도록, 2가닥 이상의 와이어(W)를 병렬시킨다. 병렬 가이드(4A)는, 해당 2가닥 이상의 와이어(W)의 방향을 규제하여 병렬로 하는 와이어 규제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개구(4AW))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는, 병렬 가이드(4A)는 가이드 본체(4AG)를 구비하고, 가이드 본체(4AG)에는 복수 가닥의 와이어(W)를 통과(삽통)시키기 위한 와이어 규제부인 개구(4AW)가 형성된다. 개구(4AW)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을 따라 가이드 본체(4AG)를 관통한다. 개구(4AW)는, 이송되어 온 복수 가닥의 와이어(W)가 개구(4AW)를 통과할 때, 및 통과한 후, 이들 복수 가닥의 와이어(W)가 병렬하도록(복수 가닥의 와이어(W)가 와이어(W)의 이송 방향(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지름 방향)으로 배열되고, 또한, 복수 가닥의 와이어(W)의 축이 각각 거의 평행 상태가 되도록), 그 형상이 결정된다. 따라서, 병렬 가이드(4A)를 통과한 복수 가닥의 와이어(W)는, 병렬된 상태로 병렬 가이드(4A)로부터 나간다. 이와 같이 병렬 가이드(4A)는, 2가닥의 와이어(W)의 지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방향을 규제하여, 2가닥의 와이어(W)가 병렬되도록 한다. 이 때문에, 개구(4AW)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이,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일 방향과 직교하는 다른 방향보다 긴 형상이다. 개구(4AW)는, (2가닥 이상의 와이어(W)가 병렬 가능한)길이 방향이,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더욱 구체적으로는, 컬 가이드부(5A)에 의해 루프 모양으로 된 와이어(W)의 축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개구(4AW)를 삽통한 2가닥 이상의 와이어(W)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해당 루프 모양으로 된 와이어(W)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병렬로 이송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개구(4AW)의 형상을 설명하는 경우,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와이어(W)의 이송 방향을 따른 방향의 단면 형상에 대해 설명하는 경우에는, 그때마다 기재한다.
예를 들면, 개구(4AW)(의 단면)가, 와이어(W)의 지름의 2배 이상의 지름을 구비한 원형인 경우, 또는, 한변의 길이가, 와이어(W)의 지름의 2배 이상인 거의 정방형인 경우, 개구(4AW)를 통과하는 2가닥의 와이어(W)는, 지름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개구(4AW)를 통과하는 2가닥의 와이어(W)가, 개구(4AW) 내에 있어서 지름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이면, 2가닥의 와이어(W)의 지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방향을 규제할 수 없어, 개구(4AW)로부터 나온 2가닥의 와이어(W)는 병렬되지 않고 꼬이거나, 교차되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개구(4AW)는, 상기 일 방향의 길이, 즉, 길이 방향의 길이(L1)를, 복수(n) 가닥의 와이어(W)를 지름 방향을 따라 배열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W)의 지름(r)의 복수(n) 가닥 분량보다 약간 긴 길이로 하고, 상기 다른 방향의 길이, 즉, 폭 방향의 길이(L2)를,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로 한다. 개구(4AW)는, 본 예에서는,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의 2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하고, 폭 방향의 길이(L2)가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는, 병렬 가이드(4A)는, 개구(4AW)의 길이 방향이 직선 형태, 폭 방향이 원호형으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병렬 가이드(4A)의 폭 방향의 길이(L2)의 바람직한 길이로서,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로 했다. 하지만, 와이어(W)는, 교차되거나, 꼬이지 않고 병렬 상태로 개구(4AW)로부터 나오면 되기 때문에, 병렬 가이드(4A)의 길이 방향의 방향이, 컬 가이드부(5A)에서 철근(S)에 권취되는 루프 모양의 와이어(W)의 축방향(Ru1)을 따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성에서는, 병렬 가이드(4A)의 폭 방향의 길이(L2)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에서, 와이어(W)의 2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짧은 길이의 범위이면 된다.
또한, 병렬 가이드(4A)의 길이 방향의 방향이, 컬 가이드부(5A)에서 철근(S)에 권취되는 루프 모양의 와이어(W)의 축방향(Ru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성에서는, 병렬 가이드(4A)의 폭 방향의 길이(L2)는,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에서, 와이어(W)의 2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짧은 길이의 범위이면 된다.
병렬 가이드(4A)는, 개구(4AW)의 길이 방향의 방향이,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방향, 본 예에서는, 컬 가이드부(5A)에서 철근(S)에 권취되는 루프 모양의 와이어(W)의 축방향(Ru1)을 따른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병렬 가이드(4A)는, 루프 모양의 와이어(W)의 축방향(Ru1)을 따라 2가닥의 와이어를 병렬시켜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병렬 가이드(4A)는, 개구(4AW)의 폭 방향의 길이(L2)가, 와이어(W)의 지름(r)의 2배의 길이보다 짧고, 와이어(W)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인 경우, 개구(4AW)의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의 지름(r)의 복수 가닥의 분량보다 충분히 긴 경우에도, 와이어(W)를 병렬시켜 통과시킬 수 있다.
하지만, 폭 방향의 길이(L2)가 길고(예를 들면 와이어(W)의 지름(r)의 2배의 길이에 가까운 길이), 길이 방향의 길이(L1)도 길어질수록, 와이어(W)는, 개구(4AW) 내를 더욱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렇게 되면, 개구(4AW) 내에서 2가닥의 와이어(W)의 각각의 축이 평행해지지 않고, 개구(4AW)를 통과한 후, 와이어(W)가 꼬이거나, 교차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2가닥의 와이어(W)가 지름 방향을 따라 병렬되도록, 개구(4AW)의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의 지름(r)의 2배보다 약간 긴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고, 폭 방향의 길이(L2)도, 와이어(W)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병렬 가이드(4A)는, 와이어(W)를 정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방향에 대해,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와이어 이송부(3A))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소정의 위치에 마련된다. 병렬 가이드(4A)를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의 상류측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 이송부(3A)에는, 병렬 상태의 2가닥의 와이어(W)가 진입하게 된다. 이 때문에, 와이어 이송부(3A)는 와이어(W)를 적절(병렬)히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병렬 가이드(4A)를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의 하류측에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 이송부(3A)로부터 이송된 2가닥의 와이어(W)의 병렬 상태를 유지하면서, 해당 와이어(W)를 더욱 하류측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의 상류측에 마련된 병렬 가이드(4A)는, 와이어 이송부(3A)에 이송되는 와이어(W)가, 상술한 소정의 방향으로 병렬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와 매거진(2A) 사이의 도입 위치(P1)에 마련된다.
또한,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의 하류측에 마련된 병렬 가이드(4A) 중의 하나는, 절단부(6A)에 이송되는 와이어(W)가, 상술한 소정의 방향으로 병렬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와 절단부(6A) 사이의 중간 위치(P2)에 마련된다.
또한,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의 하류측에 마련된 병렬 가이드(4A)의 다른 하나는, 컬 가이드부(5A)에 이송되는 와이어(W)가, 상술한 소정의 방향으로 병렬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절단부(6A)가 배치되는 절단 배출 위치(P3)에 마련된다.
도입 위치(P1)에 마련된 병렬 가이드(4A)는,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대해 개구(4AW)의 적어도 하류측이, 와이어(W)의 지름 방향의 방향을 규제하는 상술한 형상을 구비한다. 이에 대해,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대해 개구(4AW)의 상류측인 매거진(2A)을 향한 측(와이어 도입부)은, 상류측에 비해 개구 면적이 크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4AW)는, 와이어(W)의 방향을 규제하는 원통 형상의 구멍부와, 해당 원통 형상의 구멍부의 상류측 단부에서 와이어 도입부인 개구(4AW)의 입구 부분에 걸쳐 개구 면적이 서서히 커지는 원추 형상(깔때기 모양, 테이퍼 형상)의 구멍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 도입부의 개구 면적을 가장 크게 하고, 거기서부터 서서히 개구 면적을 작게 해 가는 것에 의해, 병렬 가이드(4)에 와이어(W)를 진입시키기 쉽게 하고 있다. 따라서, 개구(4AW)에 와이어(W)를 도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병렬 가이드(4A)도 동일한 구성이고,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대해 하류측의 개구(4AW)가, 와이어(W)의 지름 방향의 방향을 규제하는 상술한 형상을 구비한다. 또한, 다른 병렬 가이드(4)에 대해서도,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대해 상류측의 개구의 개구 면적을, 하류측의 개구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하여 구성해도 좋다.
도입 위치(P1)에 마련되는 병렬 가이드(4A), 중간 위치(P2)에 마련되는 병렬 가이드(4A) 및 절단 배출 위치(P3)에 마련되는 병렬 가이드(4A)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개구(4AW)의 길이 방향의 방향이, 철근(S)에 권취되는 루프 모양의 와이어(W)의 축방향(Ru1)을 따른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로 이송되는 2가닥의 와이어(W)는, 도 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철근(S)에 권취되는 루프 모양의 와이어(W)의 축방향(Ru1)을 따른 방향으로 병렬된 상태를 유지하여 이송되어, 도 6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가닥의 와이어(W)가 이송중에 교차되어 꼬이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본 예에서는, 개구(4AW)는, 개구(4AW)의 입구에서 출구에 걸쳐(와이어(W)의 이송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개구(4AW)의 입구에서 출구까지 소정의 거리 또는 깊이)를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구멍부로서 구성했지만, 개구(4AW)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개구(4AW)가 판상의 가이드 본체(4AG)에 뚫린 깊이가 거의 없는 평면 구멍 등이어도 좋다. 또한, 개구(4AW)는, 가이드 본체(4AG)를 관통하는 구멍부가 아니고, 홈 형태의 가이드(예를 들면 상부가 개구된 U자 모양의 가이드홈)이어도 좋다. 또한, 본 예에서는, 와이어 도입부인 개구(4AW)의 입구 부분의 개구 면적을 다른 부분보다 크게 했지만, 꼭 다른 부분보다 크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이, 개구(4AW)를 통과하여 병렬 가이드(4A)로부터 나온 복수 가닥의 와이어가 병렬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라면, 개구(4AW)의 형상은 특정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병렬 가이드(4A)가,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의 상류측(도입 위치(P1))과 하류측의 소정의 위치(중간 위치(P2) 및 절단 배출 위치(P3))에 마련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병렬 가이드(4A)가 설치되는 위치는 꼭 이 3군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병렬 가이드(4A)를 도입 위치(P1)에만, 중간 위치(P2)에만, 또는 절단 배출 위치(P3)에만 설치해도 좋고, 도입 위치(P1)와 중간 위치(P2)에만, 도입 위치(P1)와 절단 배출 위치(P3)에만, 또는 중간 위치(P2)와 절단 배출 위치(P3)에만 설치해도 좋다. 또한, 병렬 가이드(4A)를 도입 위치(P1)에서 절단 위치(P3)의 하류측의 컬 가이드부(5A) 사이의 어느 한 위치에 4군데 이상 설치해도 좋다. 한편, 도입 위치(P1)란, 매거진(2A)의 내부도 포함한다. 즉, 병렬 가이드(4A)를, 매거진(2A)의 내부에서, 와이어(W)가 인출되는 출구 근방에 배치해도 좋다.
컬 가이드부(5A)는 이송 수단을 구성하는 가이드 수단의 일례로, 2가닥의 와이어(W)를 루프 모양으로 하여 철근(S)의 주위에 권취하는 반송 경로를 구성한다. 컬 가이드부(5A)는,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로 이송되는 와이어(W)에 컬링성을 부여하는 제1가이드부(50)와, 제1가이드부(50)로부터 송출된 와이어(W)를 결속부(7A)로 유도하는 제2가이드부(51)를 구비한다.
제1가이드부(50)는, 와이어(W)의 이송 경로를 구성하는 가이드홈(52)과, 가이드홈(52)과의 협동으로 와이어(W)에 컬링성을 부여하는 가이드 부재로서의 가이드핀(53, 53b)을 구비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가이드홈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여기서, 도 7은 도 2의 G-G선 단면도이다.
가이드홈(52)은 가이드부를 구성하고, 병렬 가이드(4A)와 함께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와이어(W)의 지름 방향의 방향을 규제하기 위해, 본 예에서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이, 동일하게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일 방향과 직교하는 다른 방향보다 긴 형상의 개구로 구성된다.
가이드홈(52)은,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를 지름 방향을 따라 배열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W)의 지름(r)의 복수 가닥의 분량보다 약간 긴 길이, 폭 방향의 길이(L2)가,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가이드홈(52)은, 본 예에서는,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의 2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그리고, 가이드홈(52)은, 개구의 길이 방향의 방향이, 루프 모양의 와이어(W)의 축방향(Ru1)을 따른 방향으로 배치된다. 한편, 꼭 가이드홈(52)에, 와이어(W)의 지름 방향의 방향을 규제하는 기능을 갖게 하지 않아도 좋다. 그 경우, 가이드홈(52)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치수(길이)는 상술한 치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핀(53)은, 제1가이드부(50)에 있어서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로 이송되는 와이어(W)의 도입부측에 마련되고, 가이드홈(52)에 의한 와이어(W)의 이송 경로에 대해,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내측에 배치된다. 가이드핀(53)은, 가이드홈(52)을 따라 이송되는 와이어(W)가,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내측에 들어가지 않도록, 와이어(W)의 이송 경로를 규제한다.
가이드핀(53b)은, 제1가이드부(50)에 있어서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로 이송되는 와이어(W)의 배출부측에 마련되고, 가이드홈(52)에 의한 와이어(W)의 이송 경로에 대해,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로 이송되는 와이어(W)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외측의 2점과, 이 2점 사이의 내측의 1점의 적어도 3점으로,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위치가 규제되는 것에 의해, 와이어(W)에 컬링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대해, 가이드핀(53)의 상류측에 마련되는 절단 배출 위치(P3)의 병렬 가이드(4A)와, 가이드핀(53)의 하류측에 마련되는 가이드핀(53b)의 2점으로,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외측의 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가이드핀(53)에 의해,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내측의 위치가 규제된다.
컬 가이드부(5A)는, 철근(S)에 와이어(W)를 권취하는 동작에 의해 와이어(W)가 이동하는 경로로부터 가이드핀(53)을 퇴피시키는 퇴피 기구(53a)를 구비한다. 퇴피 기구(53a)는, 와이어(W)가 철근(S)에 권취된 후, 결속부(7A)의 동작과 연동하여 변위하여,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하는 타이밍 전에, 가이드핀(53)을 와이어(W)가 이동하는 경로로부터 퇴피시킨다.
제2가이드부(51)는, 철근(S)에 권취되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위치(루프(Ru)의 지름 방향으로의 와이어(W)의 움직임)를 규제하는 제3가이드부로서의 고정 가이드부(54)와, 철근(S)에 권취되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축방향(Ru1)을 따른 위치(루프(Ru)의 축방향(Ru1)으로의 와이어(W)의 움직임)를 규제하는 제4가이드부로서의 가동 가이드부(55)를 구비한다.
도 8, 도 9A, 도 9B, 도 10A 및 도 10B는 제2가이드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8은 제2가이드부(51)를 상방에서 본 평면도, 도 9A, 도 9B는 제2가이드부(51)를 일 측방에서 본 측면도, 도 10A, 도 10B는 제2가이드부(51)를 다른 측방에서 본 측면도이다.
고정 가이드부(54)는, 철근(S)에 권취되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외측에, 와이어(W)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면에 의한 벽면(54a)이 마련된다. 고정 가이드부(54)는, 철근(S)에 와이어(W)가 권취될 때, 벽면(54a)으로, 철근(S)에 권취되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위치를 규제한다. 고정 가이드부(54)는, 철근 결속기(1A)의 본체부(10A)에 고정되고, 제1가이드부(50)에 대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고정 가이드부(54)는, 본체부(10A)와 일체로 성형되어도 좋다. 또한, 별도의 부품인 고정 가이드부(54)를 본체부(10A)에 장착하는 구성에서는, 고정 가이드부(54)가 본체부(10A)에 대해 완전히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루프(Ru)를 형성하는 동작에서 와이어(W)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정도로 가동이어도 좋다.
가동 가이드부(55)는, 제2가이드부(51)의 선단측에 마련되고, 철근(S)에 권취되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축방향(Ru1)을 따른 양측에,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내측을 향해 벽면(54a)로부터 일어서는 벽면(55a)이 마련된다. 가동 가이드부(55)는, 철근(S)에 와이어(W)가 권취될 때, 벽면(55a)으로, 철근(S)에 권취되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축방향(Ru1)을 따른 위치를 규제한다. 가동 가이드부(55)는, 벽면(55a)의 간격이, 제1가이드부(50)로부터 송출된 와이어(W)가 들어가는 선단측에서 넓어지고, 고정 가이드부(54b)를 향해 좁아지는 형상이고, 벽면(55a)이 테이퍼 형태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가이드부(50)로부터 송출된 와이어(W)는, 철근(S)에 권취되는 루프(Ru)의 축방향(Ru1)의 위치가 가동 가이드부(55)의 벽면(55a)으로 규제되어, 가동 가이드부(55)에서 고정 가이드부(54)로 유도된다.
가동 가이드부(55)는, 제1가이드부(50)로부터 송출된 와이어(W)가 들어가는 선단측에 대해 반대측이, 축(55b)에 의해 고정 가이드부(54)에 지지된다. 가동 가이드부(55)는, 철근(S)에 권취되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축방향(Ru1)을 따른 축(55b)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 동작에 의해, 제1가이드부(50)로부터 송출된 와이어(W)가 들어가는 선단측이, 제1가이드부(50)에 대해 이접하는 방향으로 개폐한다.
철근 결속기는, 철근(S)을 결속할 때, 철근(S)에 와이어(W)를 권취하기 위해 마련되는 한쌍의 가이드 부재, 본 예에서는, 제1가이드부(50)와 제2가이드부(51)의 사이에 철근(S)을 넣은(세팅하여) 후 결속 작업을 한다. 결속 작업이 완료되면, 다음 결속 작업을 하기 위해, 결속 완료후의 철근(S)으로부터 제1가이드부(50)와 제2가이드부(51)를 뺀다. 철근(S)으로부터 제1가이드부(50)와 제2가이드부(51)를 빼는 경우, 철근 결속기(1A)를 철근(S)으로부터 떼어 놓는 일 방향인 화살표 Z3(도 1 참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철근(S)은 아무런 문제없이 제1가이드부(50)와 제2가이드부(51)로부터 뺄 수 있다. 하지만, 예를 들면, 화살표 Y2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철근(S)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의 철근(S)을 순차 결속해 가는 경우, 결속 때마다 철근 결속기(1A)를 화살표 Z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번거롭고, 화살표 Z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 신속히 작업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예를 들면 특허 제474745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에서는, 본 예에서 말하는 제2가이드 부재(51)에 상당하는 가이드 부재가 결속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철근 결속기를 화살표 Z2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면 가이드 부재가 철근(S)에 걸린다. 여기서, 철근 결속기(1A)에서는, 제2가이드부(51)(가동 가이드부(55))를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으로 하고, 철근 결속기(1A)를 화살표 Z2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가이드부(50)와 제2가이드부(51)의 사이로부터 철근(S)을 뺄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 때문에, 가동 가이드부(55)는, 축(55b)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 동작에 의해, 제1가이드부(50)로부터 송출된 와이어(W)를 제2가이드부(51)로 유도할 수 있는 가이드 위치와, 철근 결속기(1A)를 화살표 Z2 방향으로 이동시켜, 철근(S)으로부터 철근 결속기(1A)를 빼는 동작에 의해 퇴피하는 퇴피 위치 사이에서 개폐한다.
가동 가이드부(55)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7) 등의 가압 수단(가압부)에 의해, 제1가이드부(50)의 선단측과 제2가이드부(51)의 선단측과의 간격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의 힘에 의해 도 9A 및 도 10A에 나타내는 가이드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철근(S)으로부터 철근 결속기(1A)를 빼는 동작에 의해, 철근(S)에 가동 가이드부(55)가 가압되는 것에 의해, 가동 가이드부(55)가 가이드 위치에서 도 9B 및 도 10B에 나타내는 퇴피 위치까지 개방된다. 한편, 가이드 위치란, 가동 가이드부(55)의 벽면(55a)이, 루프(Ru)를 형성하는 와이어(W)가 통과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위치이다. 또한, 퇴피 위치란, 철근 결속기(1A)의 이동에 의해 철근(S)이 가동 가이드부(55)를 가압하여, 철근(S)이 제1가이드부(50)와 제2가이드부(51)의 사이로부터 빠질 수 있는 위치이다. 다만, 철근 결속기(1A)를 움직이는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동 가이드부(55)가 가이드 위치에서 조금 움직여도, 철근(S)을 제1가이드부(50)와 제2가이드부(51)의 사이로부터 뺄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 위치에서 조금 움직인 위치도 퇴피 위치에 포함한다.
철근 결속기(1A)는, 가동 가이드부(55)의 개폐를 검출하는 가이드 개폐 센서(56)를 구비한다. 가이드 개폐 센서(56)는, 가동 가이드부(55)가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를 검출하고, 소정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절단부(6A)는, 고정날(60)과, 고정날(60)과의 협동으로 와이어(W)를 절단하는 회전날(61)과, 결속부(7A)의 동작, 본 예에서는, 후술하는 가동 부재(83)가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회전날(61)에 전달하여, 회전날(61)을 회전시키는 전달 기구(62)를 구비한다. 고정날(60)은, 와이어(W)가 통과하는 개구에, 와이어(W)를 절단 가능한 에지부를 마련하여 구성된다. 본 예에서는, 고정날(60)은, 절단 배출 위치(P3)에 배치되는 병렬 가이드(4A)로 구성된다.
회전날(61)은, 축(61a)을 지지점으로 한 회전 동작에 의해, 고정날(60)의 병렬 가이드(4A)를 통과하는 와이어(W)를 절단한다. 전달 기구(62)는, 결속부(7A)의 동작과 연동하여 변위하여,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한 후, 와이어(W)를 비트는 타이밍에 맞춰 회전날(61)을 회전시켜, 와이어(W)를 절단한다.
결속부(7A)는 결속 수단의 일례로, 와이어(W)를 파지하는 파지부(70)와, 파지부(70)로 파지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과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을, 철근(S)측으로 절곡하는 절곡부(71)를 구비한다.
파지부(70)는 파지 수단의 일례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를 구비한다.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는, 고정 파지 부재(70C)를 통해 좌우 방향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가동 파지 부재(70L)는, 고정 파지 부재(70C)에 대해, 권취되는 와이어(W)의 축방향을 따른 한쪽의 측에 배치되고, 제2가동 파지 부재(70R)는, 다른 한쪽의 측에 배치된다.
제1가동 파지 부재(70L)는, 고정 파지 부재(70C)에 대해 이접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또한, 제2가동 파지 부재(70R)는, 고정 파지 부재(70C)에 대해 이접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파지부(70)는, 제1가동 파지 부재(70L)가 고정 파지 부재(70C)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고정 파지 부재(70C) 사이에 와이어(W)가 통과하는 이송 경로가 형성된다. 이에 대해, 제1가동 파지 부재(70L)가 고정 파지 부재(70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고정 파지 부재(70C) 사이에 와이어(W)가 파지된다.
또한, 파지부(70)는, 제2가동 파지 부재(70R)가 고정 파지 부재(70C)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제2가동 파지 부재(70R)와 고정 파지 부재(70C) 사이에 와이어(W)가 통과하는 이송 경로가 형성된다. 이에 대해, 제2가동 파지 부재(70R)가 고정 파지 부재(70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제2가동 파지 부재(70R)와 고정 파지 부재(70C) 사이에 와이어(W)가 파지된다.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로 이송되어, 절단 배출 위치(P3)의 병렬 가이드(4A)를 통과한 와이어(W)가,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 사이를 통과하여, 컬 가이드부(5A)로 유도된다. 컬 가이드부(5A)에서 컬링성이 부여된 와이어(W)는,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의 사이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을 파지하는 제1파지부가 구성된다. 또한,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로, 절단부(6A)에 의해 절단된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을 파지하는 제2파지부가 구성된다.
도 11A, 도 11B는 본 실시예의 파지부의 주요 부분 구성도이다. 고정 파지 부재(70C)는, 예비 절곡부(72)를 구비한다. 예비 절곡부(72)는, 고정 파지 부재(70C)의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대향하는 면에서,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을 따른 하류측의 단부에, 제1가동 파지 부재(70L) 방향으로 돌출하는 철부를 마련하여 구성된다.
파지부(70)는,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의 사이에 와이어(W)를 파지하고, 파지한 와이어(W)가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정 파지 부재(70C)에 철부(72b)와 요부(73)를 구비한다. 철부(72b)는, 고정 파지 부재(70C)의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대향하는 면에서,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을 따른 상류측의 단부에 마련되고, 제1가동 파지 부재(70L) 방향으로 돌출한다. 요부(73)는, 예비 절곡부(72)와 철부(72b)의 사이에 마련되고,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반대 방향으로 함몰된다.
제1가동 파지 부재(70L)는, 고정 파지 부재(70C)의 예비 절곡부(72)가 들어가는 요부(70La)를 구비하는, 또한, 고정 파지 부재(70C)의 요부(73)에 들어가는 철부(701b)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 사이에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을 파지하는 동작에 의해, 와이어(W)가 예비 절곡부(72)에 의해 제1가동 파지 부재(70L)측으로 가압되고,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가,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로 파지되는 와이어(W)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로 와이어(W)를 파지한다란,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 사이에서 어느 정도 자유롭게 와이어(W)가 움직일 수 있는 상태를 포함한다. 이는,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하는 동작에서는,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 사이에서 와이어(W)가 움직일 수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절곡부(71)는 절곡 수단의 일례로, 파지부(70)의 일부를 덮도록 하여 파지부(70)의 주위에 마련되고, 파지부(7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절곡부(71)는,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로 파지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 및,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로 파지된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에 대해 접근하여,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과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을 절곡하는 방향, 및, 절곡한 와이어(W)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절곡부(71)는,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앞방향(도 1 참조)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로 파지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을, 파지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철근(S)측으로 절곡한다. 또한, 절곡부(71)는,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앞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의 사이에 있는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을, 파지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철근(S)측으로 절곡한다.
절곡부(71)의 이동에 의해 와이어(W)가 절곡되는 것에 의해, 제2가동 파지 부재(70R)와 고정 파지 부재(70C)의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W)가 절곡부(71)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 사이에서 와이어(W)가 빠지는 것이 억제된다.
결속부(7A)는,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의 위치를 규제하는 길이 규제부(74)를 구비한다. 길이 규제부(74)는,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의 사이를 통과한 와이어(W)의 이송 경로에,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가 당접되는 부재를 마련하여 구성된다. 길이 규제부(74)는,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에 의한 와이어(W)의 파지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본 예에서는 컬 가이드부(5A)의 제1가이드부(50)에 마련된다.
철근 결속기(1A)는, 결속부(7A)를 구동하는 결속부 구동 기구(8A)를 구비한다. 결속부 구동 기구(8A)는, 모터(80)와, 감속 및 토크의 증폭을 수행하는 감속기(81)를 통해 모터(80)로 구동되는 회전축(82)과, 회전축(82)의 회전 동작에 의해 변위하는 가동 부재(83)와, 회전축(82)의 회전 동작과 연동된 가동 부재(83)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 부재(84)를 구비한다.
회전축(82)과 가동 부재(83)는, 회전축(82)에 마련한 나사부와, 가동 부재(83)에 마련한 너트부에 의해, 회전축(82)의 회전 동작이, 가동 부재(83)의 회전축(82)을 따른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변환된다.
가동 부재(83)는, 파지부(70)로 와이어(W)를 파지 및 절곡부(71)로 와이어(W)를 절곡하는 동작 영역에서는, 회전 규제 부재(84)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회전 규제 부재(84)에 의해 회전 동작이 규제된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가동 부재(83)는, 회전 규제 부재(84)의 체결로부터 빠지는 것에 의해, 회전축(82)의 회전 동작으로 회전한다.
가동 부재(83)는, 본 예에서는, 도시하지 않는 캠을 통해 제1가동 파지 부재(70L) 및 제2가동 파지 부재(70R)와 연결된다. 결속부 구동 기구(8A)는, 가동 부재(83)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1가동 파지 부재(70L)를 고정 파지 부재(70C)에 대해 이접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동작, 제2가동 파지 부재(70R)를 고정 파지 부재(70C)에 대해 이접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동작으로 변환된다.
또한, 결속부 구동 기구(8A)는, 가동 부재(83)의 회전 동작이, 고정 파지 부재(70C), 제1가동 파지 부재(70L) 및 제2가동 파지 부재(70R)의 회전 동작으로 변환된다.
나아가, 결속부 구동 기구(8A)는, 절곡부(71)가 가동 부재(83)와 일체로 마련되고, 가동 부재(83)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절곡부(7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가이드핀(53)의 퇴피 기구(53a)는, 가동 부재(83)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핀(53)의 변위로 변환하는 링크 기구로 구성된다. 또한, 회전날(61)의 전달 기구(62)는, 가동 부재(83)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회전날(61)의 회전 동작으로 변환하는 링크 기구로 구성된다.
도 12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는, 작업자가 손에 들고 사용하는 형태이고, 본체부(10A)와 핸들부(11A)를 구비한다. 철근 결속기(1A)는,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A)에 결속부(7A)와 결속부 구동 기구(8A)를 내장하고, 본체부(10A)의 길이 방향(제1방향 Y1)의 일단측에 컬 가이드부(5A)를 구비한다. 또한, 핸들부(11A)는, 본체부(10A)의 길이 방향의 타단측에서, 해당 길이 방향과 거의 직교(교차)하는 일 방향(제2방향 Y2)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결속부(7A)에 대해 제2방향 Y2를 따른 측에 와이어 이송부(3A)가 마련되고, 와이어 이송부(3A)에 대해 제1방향 Y1을 따른 다른 한쪽의 측, 즉, 본체부(10A) 내에서 와이어 이송부(3A)에 대해 핸들부(11A)측에 변위부(34)가 마련되고, 와이어 이송부(3A)에 대해 제2방향 Y2를 따른 측에 매거진(2A)이 마련된다.
이에 의해, 매거진(2A)에 대해 제1방향 Y1을 따른 다른 한쪽의 측에 핸들부(11A)가 마련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매거진(2A), 와이어 이송부(3A), 변위부(34) 및 핸들부(11A)가 배열되는 방향을 따른 제1방향 Y1에 있어서, 매거진(2A)이 마련되는 측을 전방, 핸들부(11A)가 마련되는 측을 후방이라 한다. 변위부(34)는, 와이어 이송부(3A)에서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에 의해 이송되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는 방향이고, 와이어 이송부(3A)의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의 후방에서,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와 핸들부(11A) 사이에 제2변위 부재(36)가 마련된다. 또한, 제2변위 부재(36)를 변위시키는 조작 버튼(38), 조작 버튼(38)의 록 및 록의 해제를 수행하는 해제 레버(39)가,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와 핸들부(11A) 사이에 마련된다.
한편, 제2변위 부재(36)를 변위시키는 조작 버튼(38)에, 록 및 록의 해제를 수행하는 해제 기능을 탑재시켜도 좋다(해제 레버 겸용). 즉, 변위부(34)는, 와이어 이송부(3A)의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 및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제2변위 부재(36)와, 제2변위 부재(36)를 변위시키는 본체부(10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조작 버튼(38)을 구비하고, 본체부(10A) 내에서 와이어 이송부(3A)와 핸들부(11A) 사이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이송 기어(30R)를 변위시키는 기구를, 제2이송 기어(30R)의 후방에서, 제2이송 기어(30R)와 핸들부(11A) 사이에 마련한 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의 하방에서, 와이어(W)의 이송 경로에는, 제2이송 기어(30R)를 변위시키는 기구가 마련되지 않는다. 즉,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의 하방에서, 와이어(W)의 이송 경로가 되는 매거진(2A)의 내부를, 와이어 이송부(3A)에 와이어(W)를 장전하기 위한 공간인 와이어 장전 공간(22)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매거진(2A)의 내부에, 와이어 이송부(3A)에 대한 와이어 장전 공간(22)을 형성할 수 있다.
핸들부(11A)에는 앞측에 트리거(12A)가 마련되고, 트리거(12A)의 조작으로 가압되는 스위치(13A)의 상태에 상응하여, 제어부(14A)가 이송 모터(33a)와 모터(80)를 제어한다. 또한, 핸들부(11A)의 하부에 배터리(15A)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동작예>
도 13~도 20은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의 동작 설명도, 도 21A, 도 21b 및 도 21C는 철근에 와이어를 권취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또한, 도 22A, 도 22B는 컬 가이드부에 의해 와이어로 루프를 형성하는 동작 설명도, 도 23A, 도 23B 및 도 23C는 와이어를 절곡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다음으로,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에 의해 철근(S)을 와이어(W)로 결속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매거진(2A)에 수용된 릴(20)에 권취된 와이어(W)를 장전하기 위해, 먼저, 도 5A에 나타내는 와이어 이송 위치에 있는 조작 버튼(38)이 화살표 T2 방향으로 가압된다. 조작 버튼(38)이 화살표 T2 방향으로 가압되면, 해제 레버(39)의 유도 경사면(39c)이 가압되고, 체결 철부(39a)가 제1체결 요부(38a)로부터 벗어난다. 이에 의해, 해제 레버(39)가 화살표 U2 방향으로 변위한다.
조작 버튼(38)이 와이어 장전 위치까지 가압되면,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제 레버(39)가 스프링(39b)에 의해 화살표 U1 방향으로 가압되어, 체결 철부(39a)가 조작 버튼(38)의 제2체결 요부(38b)에 들어가 체결된다. 이에 의해, 조작 버튼(38)이 와이어 장전 위치에서 유지된다.
또한, 조작 버튼(38)이 와이어 장전 위치에 있으면, 제2변위 부재(36)가 조작 버튼(38)에 의해 가압되어, 제2변위 부재(36)가 축(36a)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2이송 기어(30R)를 제1이송 기어(30L)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제2이송 기어(30R)가 제1이송 기어(30L)로부터 이격하여,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 사이에 와이어(W)가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와이어(W)를 장전한 후,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제 레버(39)를 화살표 U2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체결 철부(39a)가 조작 버튼(38)의 제2체결 요부(38b)로부터 벗어난다. 이에 의해, 제2변위 부재(36)가 스프링(37)에 의해 가압되어, 제2변위 부재(36)가 축(36a)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2이송 기어(30R)를 제1이송 기어(30L)에 가압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와이어(W)가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 사이에 협지된다.
또한, 조작 버튼(38)이 제2변위 부재(36)에 의해 화살표 T1 방향으로 가압되어,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 이송 위치로 변위하는 것에 의해, 조작 버튼(38)의 제1체결 요부(38a)에 해제 레버(39)의 체결 철부(39a)가 체결되어, 조작 버튼(38)이 와이어 이송 위치에서 유지된다.
도 13은 원점 상태, 즉, 와이어(W)가 와이어 이송부(3A)에 의해 아직 이송되지 않은 초기 상태를 나타낸다. 원점 상태에서는, 와이어(W)의 선단이 절단 배출 위치(P3)에서 대기한다. 도 2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 배출 위치(P3)에서 대기하는 와이어(W)는, 본 예에서는 2가닥의 와이어(W)가 절단 배출 위치(P3)에 마련된 병렬 가이드(4A)(고정날(60))에 통과시켜지는 것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병렬된다.
절단 배출 위치(P3)와 매거진(2A) 사이의 와이어(W)에 대해서도, 중간 위치(P2)의 병렬 가이드(4A) 및 도입 위치(P1)의 병렬 가이드(4A)와,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병렬된다.
도 14는 와이어(W)가 철근(S)에 권취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철근(S)을 컬 가이드부(5A)의 제1가이드부(50)와 제2가이드부(51) 사이에 들어가고, 트리거(12A)를 조작하면, 이송 모터(33a)가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되고, 제1이송 기어(30L)가 정회전함과 함께, 제1이송 기어(30L)에 종동하여 제2이송 기어(30R)가 정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1이송 기어(30L)와 한쪽의 와이어(W1)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 제2이송 기어(30R)와 다른 한쪽의 와이어(W2)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 및, 한쪽의 와이어(W1)와 다른 한쪽의 와이어(W2)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2가닥의 와이어(W)가 정방향으로 이송된다.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대해, 와이어 이송부(3A)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각에 병렬 가이드(4A)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제1이송 기어(30L)의 제1이송 홈부(32L)와, 제2이송 기어(30R)의 제2이송 홈부(32R) 사이에 들어가는 2가닥의 와이어(W),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로부터 배출되는 2가닥의 와이어(W)가, 소정의 방향으로 병렬된 상태로 이송된다.
와이어(W)가 정방향으로 이송되면, 와이어(W)는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 사이를 통과하고, 컬 가이드부(5A)의 제1가이드부(50)의 가이드홈(52)을 통과한다. 이에 의해, 와이어(W)는 철근(S)의 주위에 권취되는 컬링성이 부여된다. 제1가이드부(50)에 도입되는 2가닥의 와이어(W)는, 절단 배출 위치(P3)의 병렬 가이드(4A)로 병렬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2가닥의 와이어(W)가 가이드홈(52)의 외측 벽면에 가압된 상태로 이송되는 것에 의해, 가이드홈(52)을 통과하는 와이어(W)도, 소정의 방향으로 병렬된 상태가 유지된다.
제1가이드부(50)로부터 송출된 와이어(W)는, 도 2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가이드부(51)의 가동 가이드부(55)로, 권취되는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축방향(Ru1)을 따른 이동이 규제되고, 벽면(55a)에 의해 고정 가이드부(54)로 유도된다. 고정 가이드부(54)로 유도된 와이어(W)는, 도 2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가이드부(54)의 벽면(54a)으로 루프(Ru)의 지름 방향을 따른 이동이 규제되고,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의 사이로 유도된다. 그리고, 와이어(W)의 선단이 길이 규제부(74)에 당접되는 위치까지 이송되면, 이송 모터(33a)의 구동이 정지된다.
와이어(W)의 선단이 길이 규제부(74)에 당접되는 위치까지 이송되고, 이송이 정지될 때까지의 동안에 정방향으로 약간량 와이어(W)가 이송되는 것에 의해, 철근(S)에 권취된 와이어(W)는, 도 22B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프(Ru)의 지름 방향으로 확대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철근(S)에 권취된 와이어(W)가, 루프(Ru)의 지름 방향으로 확대되는 방향으로 변위하면, 파지부(70)에서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의 사이로 유도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후방으로 변위한다. 여기서, 도 2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가이드부(54)의 벽면(54a)으로 와이어(W)의 루프(Ru)의 지름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것에 의해, 파지부(70)로 유도된 와이어(W)의 루프(Ru)의 지름 방향으로의 변위가 억제되어, 파지 불량의 발생이 억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의 사이로 유도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변위하지 않고, 와이어(W)가 루프(Ru)의 지름 방향으로 확대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경우에도, 고정 가이드부(54)에 의해 와이어(W)의 루프(Ru)의 지름 방향으로의 변위가 억제되어, 파지 불량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와이어(W)가, 철근(S)의 주위에 루프 모양으로 권취된다. 이 때, 철근(S)에 권취된 2가닥의 와이어(W)는,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꼬이지 않고 병렬된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제2가이드부(51)의 가동 가이드부(55)가 열려있는 것을, 가이드 개폐 센서(56)의 출력으로부터 검출하면, 제어부(14A)는, 트리거(12A)가 조작되어도, 이송 모터(33a)를 구동하지 않고, 램프, 부저 등의 도시하지 않는 보고 수단으로 보고를 한다. 이에 의해, 와이어(W)의 유도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5는 와이어(W)를 파지부(70)로 파지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와이어(W)의 이송을 정지한 후, 모터(80)가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해, 모터(80)는, 가동 부재(83)를 앞방향인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가동 부재(83)는, 모터(80)의 회전에 연동한 회전 동작이, 회전 규제 부재(84)에 의해 규제되어, 모터(80)의 회전이 직선 이동으로 변환된다. 이에 의해, 가동 부재(83)는 앞방향으로 이동한다. 가동 부재(83)가 앞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제1가동 파지 부재(70L)가 고정 파지 부재(70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하여,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파지된다.
또한, 가동 부재(83)가 앞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이 퇴피 기구(53a)에 전달되어, 가이드핀(53)을 와이어(W)가 이동하는 경로로부터 퇴피시킨다.
도 16은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고정 파지 부재(70C) 사이에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을 파지한 후, 이송 모터(33a)가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해, 제1이송 기어(30L)가 역전함과 함께, 제1이송 기어(30L)에 종동하여 제2이송 기어(30R)가 역전한다.
이에 의해, 2가닥의 와이어(W)가 매거진(2A) 방향으로 되돌려져, 역방향으로 이송된다. 와이어(W)를 역방향으로 이송하는 동작에 의해, 와이어(W)는 철근(S)에 밀착되도록 하여 권취된다. 본 예에서는, 도 2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가닥의 와이어가 병렬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W)를 역방향으로 이송하는 동작에서 와이어(W)끼리가 꼬이는 등에 의한 이송 저항의 증가가 억제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1가닥의 와이어로 철근(S)을 결속하는 경우와, 본 예와 같이 2가닥의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경우에서, 동일한 결속 강도를 얻고자 한 경우, 2가닥의 와이어(W)를 사용한 경우가, 각 와이어(W)의 지름을 더욱 가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W)를 절곡하기 쉽고, 작은 힘으로 와이어(W)를 철근(S)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은 힘으로 와이어(W)를 확실하게 철근(S)에 권취할 수 있다. 또한, 지름이 가는 2가닥의 와이어(W)를 사용하고 있는 것에 의해, 와이어(W)를 루프 모양으로 컬링성을 부여하기 쉽고, 나아가, 와이어(W)의 절단시의 부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철근 결속기(1A)의 각 모터의 소형화, 기구 부위의 소형화에 의한 본체부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모터의 소형화, 부하의 저감에 의해 소비 전력의 저감이 가능하다.
도 17은 와이어(W)를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하여, 와이어(W)의 이송을 정지한 후, 모터(80)가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해, 가동 부재(83)를 앞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가동 부재(83)가 앞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제2가동 파지 부재(70R)가 고정 파지 부재(70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하여, 와이어(W)가 파지된다. 또한, 가동 부재(83)가 앞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이 전달 기구(62)로 절단부(6A)에 전달되어, 제2가동 파지 부재(70R)와 고정 파지 부재(70C)로 파지된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이 회전날(61)의 동작에 의해 절단된다.
도 18은 와이어(W)의 단부를 철근(S)측으로 절곡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와이어(W)를 절단한 후, 가동 부재(83)를 더욱 앞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가동 부재(83)와 일체로 절곡부(71)가 앞방향으로 이동한다.
절곡부(71)는,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앞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로 파지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을, 파지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철근(S)측으로 절곡한다. 또한, 절곡부(71)는,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앞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로 파지된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을, 파지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철근(S)측으로 절곡한다.
구체적으로는, 절곡부(71)는, 도 23B 및 도 2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앞방향인 철근(S)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로 파지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과 접하는 절곡부(71a)를 구비한다. 또한, 절곡부(71)는,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앞방향인 철근(S)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로 파지된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측과 접하는 절곡부(71b)를 구비한다.
절곡부(71)는,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앞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로 파지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을, 절곡부(71a)로 철근(S)측으로 가압하여, 파지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철근(S)측으로 절곡한다.
파지부(70)는, 도 23A 및 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가동 파지 부재(70L)의 선단측에, 고정 파지 부재(70C) 방향으로 돌출하는 빠짐 방지부(75)(철부(701b)가 빠짐 방지부(75)를 겸해도 좋다)를 구비한다.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로 파지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는, 절곡부(71)가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앞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에 의한 파지 위치에서, 빠짐 방지부(75)를 지지점으로 하여, 철근(S)측으로 절곡된다. 한편, 도 23B에서는, 제2가동 파지 부재(70R)는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절곡부(71)는,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앞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로 파지된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을, 절곡부(71b)로 철근(S)측으로 가압하여, 파지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철근(S)측으로 절곡한다.
파지부(70)는, 도 23A 및 도 2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가동 파지 부재(70R)의 선단측에, 고정 파지 부재(70C) 방향으로 돌출하는 빠짐 방지부(76)를 구비한다.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로 파지된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는, 절곡부(71)가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앞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에 의한 파지 위치에서, 빠짐 방지부(76)를 지지점으로 하여, 철근(S)측으로 절곡된다. 한편, 도 23C에서는, 제1가동 파지 부재(70L)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19는 와이어(W)를 비트는 상태를 나타낸다. 와이어(W)의 단부를 철근(S)측으로 절곡한 후, 모터(80)가 더욱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해, 모터(80)는, 가동 부재(83)를 더욱 앞방향인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가동 부재(83)가 화살표 F 방향의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가동 부재(83)는 회전 규제 부재(84)의 체결로부터 빠지고, 가동 부재(83)의 회전 규제 부재(84)에 의한 회전의 규제가 해제된다. 이에 의해, 모터(80)가 더욱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해, 와이어(W)를 파지하고 있는 파지부(70)가 회전하여, 와이어(W)를 비튼다. 파지부(70)는,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어 있어, 와이어(W)에 텐션을 부여하면서 비튼다. 따라서, 와이어(W)가 느슨해지지 않고, 철근(S)이 와이어(W)로 결속된다.
도 20은 비틀린 와이어(W)를 떼어 놓는 상태를 나타낸다. 와이어(W)를 비튼 후, 모터(80)가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해, 모터(80)는, 가동 부재(83)를 화살표 R로 나타내는 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가동 부재(83)는, 모터(80)의 회전에 연동한 회전 동작이, 회전 규제 부재(84)에 의해 규제되어, 모터(80)의 회전이 직선 이동으로 변환된다. 이에 의해, 가동 부재(83)는 후방향으로 이동한다. 가동 부재(83)가 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가 고정 파지 부재(70C)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파지부(70)는 와이어(W)를 떼어 놓는다. 한편, 철근(S)의 결속이 완료되고, 철근 결속기(1A)로부터 철근(S)을 뺄 때, 종래에는, 철근(S)이 가이드부에 걸려 빼기 어려운 경우가 있고, 작업성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대해, 제2가이드부(51)의 가동 가이드부(55)를 화살표 H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에 의해, 철근 결속기(1A)로부터 철근(S)을 뺄 때 제2가이드부(51)의 가동 가이드부(55)가 철근(S)에 걸리지 않고, 작업성이 향상한다.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예>
도 24A, 도 24B 및 도 25A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예, 도 24C, 도 24D 및 도 25B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과 과제의 예이다. 이하에, 철근(S)을 와이어(W)로 결속하는 동작에 관하여,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종래와 비교한 작용 효과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지름(예를 들면, 1.6mm~2.5mm 정도)을 구비한 1가닥의 와이어(Wb)를 철근(S)에 권취하는 종래의 구성에서는, 도 2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b)의 강성이 높기 때문에, 상당히 큰 힘으로 와이어(Wb)를 철근(S)에 권취하지 않는 한, 와이어(Wb)를 권취하는 동작에 의해 와이어(Wb)에 느슨해짐(J)이 발생하여, 철근(S)과의 사이에 간격이 생긴다.
이에 대해, 도 2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와 비교하여 지름이 가는(예를 들면, 0.5mm~1.5mm 정도) 2가닥의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의 강성이 종래와 비교하여 낮기 때문에, 종래보다 낮은 힘으로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해도, 와이어(W)를 권취하는 동작에 의해 와이어(W)에 느슨해짐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고, 직선부(K)로 철근(S)에 확실하게 권취된다. 여기서, 와이어(W)로 철근(S)을 결속하는 기능을 고려하면, 와이어(W)의 강성은, 와이어(W)의 지름뿐만 아니라, 재질 등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지름이 0.5mm~1.5mm 정도인 와이어(W)를 예로 설명했지만, 와이어(W)의 재질 등도 가미하면, 와이어(W)의 지름의 하한값 및 상한값은, 적어도 공차 정도의 차이가 생길 수도 있다.
또한, 도 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지름을 구비한 1가닥의 와이어(Wb)를 철근(S)에 권취하여 비트는 종래의 구성에서는, 와이어(Wb)의 강성이 높기 때문에, 와이어(Wb)를 비트는 동작으로도 와이어(Wb)의 느슨해짐이 해소되지 않고, 철근(S)과의 사이에 간격(L)이 생긴다.
이에 대해, 도 2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와 비교하여 지름이 가는 2가닥의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하여 비트는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W)의 강성이 종래와 비교하여 낮기 때문에, 와이어(W)를 비트는 동작으로, 종래와 비교하여 철근(S)과의 사이의 간격(M)을 적게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와이어(W)의 결속 강도가 향상한다.
그리고, 2가닥의 와이어(W)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종래와 비교하여 철근 유지력을 동등하게 하고, 또한, 결속후의 철근(S)끼리의 스침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가닥의 와이어를 동시에 이송하고, 이들의 동시에 이송된 2가닥의 와이어(W)를 사용하여 철근(S)을 결속하고 있다. 여기서, 2가닥의 와이어(W)를 동시에 이송한다란, 한쪽의 와이어(W)와 다른 한쪽의 와이어(W)가 거의 동일한 속도로 이송되는 경우, 즉, 한쪽의 와이어(W)에 대한 다른 한쪽의 와이어(W)의 상대 속도가 거의 0인 경우를 의미하지만, 본 예에서는, 꼭 이 의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한쪽의 와이어(W)와 다른 한쪽의 와이어(W)가 상이한 속도(타이밍)로 이송되는 경우여도, 와이어(W)의 이송 경로에서 2가닥의 와이어(W)가 인접하여 병렬로 진행하여, 와이어(W)가 병렬 상태로 철근(S)에 권취되도록 되어 있으면, 그것은 2가닥의 와이어가 동시에 이송된다는 의미이다. 즉, 2가닥의 와이어(W)의 각각의 단면 면적을 합친 총면적이 철근 유지력을 결정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2가닥의 와이어(W)를 이송하는 타이밍을 달리해도, 철근 유지력을 확보하는 점에서는 동일한 결과이다. 다만, 2가닥의 와이어(W)를 이송하는 타이밍을 달리하는 동작에 비교하여, 2가닥의 와이어(W)를 동시에 이송하는 동작이 이송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2가닥의 와이어(W)를 동시에 이송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결속 스피드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6A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예, 도 26B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과 과제의 예이다. 이하에, 철근(S)을 결속한 와이어(W)의 형태에 관하여,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종래와 비교한 작용 효과예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의 철근 결속기로 철근(S)에 결속된 와이어(W)는,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 및 다른 한쪽의 단부(WE)가 철근(S)과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에 의해, 철근(S)을 결속한 와이어(W)에 있어서, 비틀린 부위보다 선단측인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 및 다른 한쪽의 단부(WE)가 철근(S)으로부터 크게 돌출된 형태가 된다. 와이어(W)의 선단측이 크게 돌출하면, 돌출 부분이 작업의 방해가 되는 등 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철근(S)의 결속후, 철근(S)의 부설 개소에 콘크리트(200)가 타설되지만, 이 때, 콘크리트(200)로부터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 및 다른 한쪽의 단부(WE)가 돌출하지 않도록, 철근(S)에 결속된 와이어(W)의 선단, 도 26B의 예에서는,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와, 타설된 콘크리트(200)의 표면(201)까지의 두께를 소정의 치수(S1)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 및 다른 한쪽의 단부(WE)가 철근(S)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형태에서는, 철근(S)의 부설 위치에서 콘크리트(200)의 표면(201)까지의 두께(S12)가 두꺼워진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에서는, 절곡부(71)에 의해, 철근(S)의 주위에 권취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가, 와이어(W)의 절곡 부위인 제1절곡 부위(WS1)보다 철근(S)측에 위치하고, 철근(S)의 주위에 권취된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가, 와이어(W)의 절곡 부위인 제2절곡 부위(WE1)보다 철근(S)제2측에 위치하도록 와이어(W)가 절곡된다.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에서는,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고정 파지 부재(70C)로 와이어(W)를 파지하는 동작에 의해, 예비 절곡부(72)로 절곡된 절곡 부위, 및, 와이어(W)를 철근(S)에 권취하는 동작에 의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에 의해 절곡된 절곡 부위 중의 하나가, 와이어(W)의 철근(S)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정상부가 되도록, 절곡부(71)에 의해 와이어(W)가 절곡된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로 철근(S)에 결속된 와이어(W)는, 도 2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틀림 부위(WT)와 한쪽의 단부(WS) 사이에 제1절곡 부위(WS1)가 형성되고,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가, 제1절곡 부위(WS1)보다 철근(S)측에 위치하도록,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철근(S)측으로 절곡된다. 또한, 와이어(W)는, 비틀림 부위(WT)와 다른 한쪽의 단부(WE) 사이에 제2절곡 부위(WE1)가 형성되고,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가, 제2절곡 부위(WE1)보다 철근(S)측에 위치하도록,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이 철근(S)측으로 절곡된다.
도 26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와이어(W)에 2개의 절곡부, 본 예에서는 제1절곡 부위(WS1)와 제2절곡 부위(WE1)가 형성되는데, 그 중, 철근(S)을 결속한 와이어(W)에 있어서 철근(S)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철근(S)과 반대 방향)으로 가장 돌출하는 제1절곡 부위(WS1)가 정상부(Wp)가 된다. 그리고,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와 다른 한쪽의 단부(WE) 중의 어느 것도, 정상부(Wp)를 넘어 철근(S)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절곡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 및 다른 한쪽의 단부(WE)를, 와이어(W)의 절곡 부위에서 구성되는 정상부(Wp)를 넘어 철근(S)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W)의 단부가 돌출되는 것에 의한 작업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철근(S)측으로 절곡되고,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이 철근(S)측으로 절곡되기 때문에, 와이어(W)의 비틀림 부위(WT)보다 선단측의 돌출량은 종래와 비교하여 적다. 이 때문에, 철근(S)의 부설 위치에서 콘크리트(200)의 표면(201)까지의 두께(S2)를, 종래와 비교하여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에서는, 와이어(W)의 정방향으로의 이송으로 철근(S)의 주위에 권취되고, 와이어(W)의 역방향으로의 이송으로 철근(S)에 권취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로 파지된 상태에서, 절곡부(71)에 의해 철근(S)측으로 절곡된다. 또한, 절단부(6A)에 의해 절단된 와이어(W)의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로 파지된 상태에서, 절곡부(71)에 의해 철근(S)측으로 절곡된다.
이에 의해, 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파지 부재(70C) 및 제1가동 파지 부재(70L)에 의한 파지 위치를 지지점(71c1)으로 하고, 도 2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파지 부재(70C) 및 제2가동 파지 부재(70R)에 의한 파지 위치를 지지점(71c2)으로 하여, 와이어(W)를 절곡할 수 있다. 또한, 절곡부(71)는, 철근(S)에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와이어(W)를 철근(S)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에서는, 와이어(W)를 파지 위치에서 확실히 파지하고, 지지점(71c1, 71c2)을 지지점으로 하여 와이어(W)를 절곡하도록 했기 때문에, 와이어(W)를 가압하는 힘이 다른 방향으로 분산하지 않고, 와이어(W)의 단부(WS, WE)측을 원하는 방향(철근(S)측)으로 확실하게 절곡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와이어(W)를 파지하지 않는 상태에서, 와이어(W)를 비트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종래의 결속기에서는, 와이어(W)의 단부를 비트는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절곡할 수는 있지만, 와이어(W)를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와이어(W)를 절곡하는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와이어(W)를 절곡하는 방향이 정해지지 않고, 와이어(W)의 단부가 철근(S)과 반대인 외측으로 향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W)를 파지 위치에서 확실히 파지하고, 지지점(71c1, 71c2)을 지지점으로 하여 와이어(W)를 절곡하도록 했기 때문에, 와이어(W)의 단부(WS, WE)측을 확실하게 철근(S)측을 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W)를 비틀어 철근(S)을 결속한 후에, 와이어(W)의 단부를 철근(S)측으로 절곡하고자 하면, 와이어(W)를 비튼 결속 부분이 느슨해져, 결속 강도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와이어(W)를 비틀어 철근(S)을 결속한 후, 더욱 와이어(W)를 비트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와이어 단부를 절곡하고자 하면, 와이어(W)를 비튼 결속 부분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W)를 비틀어 철근(S)을 결속하기 전에,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과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을 철근(S)측으로 절곡하기 때문에, 와이어(W)를 비튼 결속 부분이 느슨해지지 않고, 결속 강도가 떨어지지도 않는다. 또한, 와이어(W)를 비틀어 철근(S)을 결속한 후, 더욱 와이어(W)를 비트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지도 않기 때문에, 와이어(W)를 비튼 결속 부분이 손상되지 않는다.
도 27A, 도 28A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예, 도 27B, 도 28B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과 과제의 예이다. 이하에, 철근(S)에 와이어(W)를 권취하는 동작에서, 파지부에서 와이어(W)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관하여,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종래와 비교한 작용 효과예에 대해 설명한다.
철근 결속기의 종래의 파지부(700)는, 도 2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파지 부재(70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0L) 및 제2가동 파지 부재(700R)를 구비하고, 철근(S)에 권취된 와이어(W)가 당접되는 길이 규제부(701)를 제1가동 파지 부재(700L)에 구비한 구성이다.
와이어(W)를 역방향으로 이송하여(되돌려) 철근(S)에 권취하는 동작, 및, 파지부(700)로 와이어(W)를 비트는 동작에서는, 고정 파지 부재(70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0L)에 의한 와이어(W)의 파지 위치에서 길이 규제부(701)까지의 거리(N2)가 짧으면, 고정 파지 부재(70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0L)로 파지한 와이어(W)가 빠지기 쉽다.
파지한 와이어(W)를 쉽게 빠지기 않게 하기 위해서는 거리(N2)를 길게 하면 되지만, 그렇게 하기 위하여는, 제1가동 파지 부재(700L)에 있어서의 와이어(W)의 파지 위치에서 길이 규제부(701)까지의 거리를 길게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제1가동 파지 부재(700L)에 있어서의 와이어(W)의 파지 위치에서 길이 규제부(701)까지의 거리를 길게 하면, 제1가동 파지 부재(700L)가 대형화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구성에서는, 고정 파지 부재(70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0L)에 의한 와이어(W)의 파지 위치에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까지의 거리(N2)를 길게 할 수 없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파지부(70)는, 도 2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가 당접되는 길이 규제부(74)를,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는 독립된 별도의 부품으로 했다.
이에 의해, 제1가동 파지 부재(70L)를 대형화하지 않고, 제1가동 파지 부재(70L)에 있어서의 와이어(W)의 파지 위치에서 길이 규제부(74)까지의 거리(N1)를 길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가동 파지 부재(70L)를 대형화하지 않아도, 와이어(W)를 역방향으로 이송하여 철근(S)에 권취하는 동작, 및, 파지부(70)로 와이어(W)를 비트는 동작에서,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로 파지한 와이어(W)가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철근 결속기의 종래의 파지부(700)는, 도 2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가동 파지 부재(700L)의 고정 파지 부재(700C)와 대향하는 면에, 고정 파지 부재(700C) 방향으로 돌출하는 철부와 고정 파지 부재(700C)가 들어가는 요부를 마련하여 예비 절곡부(702)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1가동 파지 부재(700L)와 고정 파지 부재(700C)로 와이어(W)를 파지하는 동작으로, 제1가동 파지 부재(700L)와 고정 파지 부재(700C)에 의한 파지 위치에서 돌출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절곡되어, 와이어(W)를 역방향으로 이송하여 철근(S)에 권취하는 동작, 및, 파지부(700)로 와이어(W)를 비트는 동작에서, 와이어(W)의 빠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하지만,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고정 파지 부재(70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0R)의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W)를 향하는 내측으로 절곡되기 때문에, 절곡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철근(S)에 권취하기 위해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에 접촉하여 말려들 가능성이 있다.
철근(S)에 권취하기 위해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에, 절곡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말려들면, 와이어(W)의 권취가 불충분해지거나, 와이어(W)의 비틀기가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파지부(70)에서는, 도 2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파지 부재(70C)의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대향하는 면에, 제1가동 파지 부재(70L) 방향으로 돌출하는 철부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가 들어가는 요부를 마련하여 예비 절곡부(72)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고정 파지 부재(70C)로 와이어(W)를 파지하는 동작으로, 제1가동 파지 부재(70L)와 고정 파지 부재(70C)에 의한 파지 위치에서 돌출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절곡되어, 와이어(W)를 역방향으로 이송하여 철근(S)에 권취하는 동작, 및, 파지부(70)로 와이어(W)를 비트는 동작에서, 와이어(W)의 빠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2가동 파지 부재(70R)의 사이를 통과하는 와이어(W)와 반대인 외측으로 절곡되기 때문에, 절곡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이, 철근(S)에 권취하기 위해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와이어(W)에 접촉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와이어(W)를 역방향으로 이송하여 철근(S)에 권취하는 동작에서, 와이어(W)의 파지부(70)로부터의 빠짐이 억제되어, 와이어(W)의 권취가 확실하게 수행되는 한편, 와이어(W)를 비트는 동작으로 와이어(W)의 결속이 확실하게 수행된다.
도 29A, 도 29B는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의 예이다. 이하에, 컬 가이드부에 철근을 넣는 동작 및 컬 가이드부로부터 철근을 빼는 동작에 관하여,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토대를 구성하는 철근(S)을 와이어(W)로 결속하는 경우, 철근 결속기(1A)를 사용한 작업에서는, 컬 가이드부(5A)의 제1가이드부(50)와 제2가이드부(51) 사이의 개구가 아래를 향한 상태가 된다.
결속 작업을 하는 경우, 제1가이드부(50)와 제2가이드부(51) 사이의 개구를 아래로 향하고, 도 2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철근 결속기(1A)를, 화살표 Z1로 나타내는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1가이드부(50)와 제2가이드부(51) 사이의 개구에 철근(S)이 들어간다.
그리고, 결속 작업이 완료되고, 도 2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철근 결속기(1A)를 화살표 Z2로 나타내는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와이어(W)로 결속된 철근(S)에 제2가이드부(51)가 가압되어, 제2가이드부(51)의 선단측의 가동 가이드부(55)가 축(55b)을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H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철근(S)에 와이어(W)를 결속할 때마다, 철근 결속기(1A)를 일일이 상방으로 들어 올리지 않아도, 철근 결속기(1A)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결속 작업을 연달아 할 수 있다. 따라서, (철근 결속기(1A)를 일단 위로 이동시키고 다시 아래로 이동시키는 것에 비해, 단순히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되기 때문에)와이어(W)로 결속된 철근(S)을 빼는 동작에서의 철근 결속기(1A)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의 제약을 적게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상술한 결속 동작에서, 도 2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가이드부(51)의 고정 가이드부(54)는, 변위하지 않고 와이어(W)의 지름 방향의 위치를 규제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철근(S)에 와이어(W)를 권취하는 동작에서는, 고정 가이드부(54)의 벽면(54a)으로 와이어(W)의 지름 방향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어, 파지부(70)로 유도된 와이어(W)의 방향으로의 변위를 억제하여, 파지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 변위부(34)에 관하여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작용 효과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위부(34)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는 방향이고,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의 후방, 즉,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와 핸들부(11A) 사이에 제2변위 부재(36)를 구비한다. 또한, 제2변위 부재(36)를 변위시키는 조작 버튼(38), 조작 버튼(38)의 록 및 록의 해제를 수행하는 해제 레버(39)가,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와 핸들부(11A) 사이에 마련된다.
이와 같이, 제2이송 기어(30R)를 변위시키는 기구를, 제2이송 기어(30R)의 후방에서, 제2이송 기어(30R)와 핸들부(11A) 사이에 마련한 것에 의해,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의 하방에서, 와이어(W)의 이송 경로에는, 제2이송 기어(30R)를 변위시키는 기구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에 의해, 와이어의 이송부와 매거진의 사이에, 한쌍의 이송 기어를 변위시키는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매거진(2A)을 와이어 이송부(3A)에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매거진(2A)과 와이어 이송부(3A) 사이에 조작 버튼(38)을 구비하는 구성도 아니기 때문에, 매거진(2A)을 와이어 이송부(3A)에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매거진(2A)을 와이어 이송부(3A)에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릴(20)이 수용되는 매거진(2A)에 있어서, 릴(20)의 형상에 맞춰 돌출된 철부(21)를, 배터리(15A)의 설치 위치보다 상방으로 하는 배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철부(21)를 핸들부(11A)에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이송 기어(30L) 및 제2이송 기어(30R)의 하방에서, 와이어(W)의 이송 경로에는, 제2이송 기어(30R)를 변위시키는 기구가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매거진(2A)의 내부에, 와이어 이송부(3A)에 대한 와이어 장전 공간(22)이 형성되고, 와이어(W)의 장전에 장해가 되는 구성 요소가 없어, 와이어(W)의 장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 쌍의 이송 기어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이송부에 있어서는, 한쪽의 이송 기어를 다른 한쪽의 이송 기어에 대해 이격시키는 변위 부재와, 한쪽의 이송 기어를 다른 한쪽의 이송 기어에 대해 이격시킨 상태로 변위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이 생각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와이어(W)의 변형 등으로 한쪽의 이송 기어가 다른 한쪽의 이송 기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 변위 부재가 유지 부재로 체결되어, 한쪽의 이송 기어가 다른 한쪽의 이송 기어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
한쪽의 이송 기어가 다른 한쪽의 이송 기어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면, 한쌍의 이송 기어로 와이어(W)를 협지할 수 없게 되고, 와이어(W)의 이송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에서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이송 기어(30R)를 제1이송 기어(30L)에 대해 이격시키는 변위 부재인 제1변위 부재(35) 및 제2변위 부재(36)와, 제2이송 기어(30R)를 제1이송 기어(30L)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의 록 및 록의 해제를 수행하는 조작 버튼(38)과 해제 레버(39)를 독립된 부품으로 했다.
이에 의해, 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의 변형 등으로 제2이송 기어(30R)가 제1이송 기어(30L)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 제2변위 부재(36)는 스프링(37)을 가압하여 변위하지만, 록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프링(37)의 힘으로 제2이송 기어(30R)를 제1이송 기어(30L) 방향으로 상시 가압할 수 있고, 일시적으로 제2이송 기어(30R)가 제1이송 기어(30L)로부터 이격해도,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로 와이어(W)를 협지하는 상태로 복귀할 수 있고, 와이어(W)의 이송을 계속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릴 및 와이어의 작용 효과예>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릴(20)은, 2가닥의 와이어(W)를 풀어낼 수 있도록 권취된다. 그리고, 릴(20)에 권취되는 2가닥의 와이어(W)는, 선단측의 일부(접합부(26))에서 접합된다.
2가닥의 와이어(W)를 선단측에서 접합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W)의 처음의 장전시, 2가닥의 와이어(W)를 병렬 가이드(4A)에 통과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한 예에서는, 와이어(W)의 선단부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가 접합부(26)로 되어 있지만, 선단부가 접합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고(즉, 선단부가 접합부(26)가 된다), 또한, 접합부(26)를 와이어(W)의 선단측의 일부뿐만 아니라, 단속적으로 몇 군데에 마련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합부(26)로서, 2가닥의 와이어(W)를 꼬는 것에 의해 접합했기 때문에, 접합을 위한 보조 부재가 불필요하다. 또한, 꼰 후의 와이어를 병렬 가이드(4)에 맞춰 성형하기 위해, 꼰 부분을 눌러 찌부러뜨렸기 때문에, 꼬는 회수를 늘리지 않고, 즉, 꼬는 부분의 길이를 길게 하지 않고,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의 변형예>
도 30A, 도 30B, 도 30C, 도 30D 및 도 30E는 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0A에 나타내는 병렬 가이드(4B)는, 개구(4BW)의 단면 형상, 즉,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개구(4BW)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구성되고, 개구(4BW)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이 직선 형태로 구성된다. 병렬 가이드(4B)는, 개구(4BW)의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를 지름 방향을 따라 배열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W)의 지름(r)의 복수 가닥의 분량보다 약간 긴 길이, 폭 방향의 길이(L2)가,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병렬 가이드(4B)는, 본 예에서는, 개구(4BW)의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의 2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도 30B에 나타내는 병렬 가이드(4C)는 개구(4CW)의 길이 방향이 직선 형태, 폭 방향이 삼각 모양으로 구성된다. 병렬 가이드(4C)는 복수 가닥의 와이어(W)가 개구(4CW)의 길이 방향으로 병렬되고, 폭 방향의 빗면으로 와이어(W)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구(4CW)의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를 지름 방향을 따라 배열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W)의 지름(r)의 복수 가닥의 분량보다 긴 길이, 폭 방향의 길이(L2)가,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도 30C에 나타내는 병렬 가이드(4D)는, 개구(4DW)의 길이 방향이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곡선 모양, 폭 방향이 원호형으로 구성된다. 즉, 개구(4DW)의 개구 형상이, 병렬되는 와이어(W)의 외형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병렬 가이드(4D)는, 개구(4DW)의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를 지름 방향을 따라 배열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W)의 지름(r)의 복수 가닥의 분량보다 약간 긴 길이, 폭 방향의 길이(L2)가,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병렬 가이드(4D)는, 본 예에서는,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의 2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도 30D에 나타내는 병렬 가이드(4E)는, 개구(4EW)의 길이 방향이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곡선 모양, 폭 방향이 원호형으로 구성된다. 즉, 개구(4EW)의 개구 형상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병렬 가이드(4E)는, 개구(4EW)의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를 지름 방향을 따라 배열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W)의 지름(r)의 복수 가닥의 분량보다 약간 긴 길이, 폭 방향의 길이(L2)가,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병렬 가이드(4E)는, 본 예에서는,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의 2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도 30E에 나타내는 병렬 가이드(4F)는, 와이어(W)의 가닥수에 맞춘 복수의 개구(4FW)로 구성된다. 각 와이어(W)는, 각각 1가닥씩 다른 개구(4FW)에 삽입된다. 병렬 가이드(4F)는, 각 개구(4FW)가, 와이어(W)의 지름(r)보다 약간 긴 지름(길이)(L1)을 구비하고, 개구(4FW)가 배열되는 방향으로, 복수 가닥의 와이어(W)가 병렬되는 방향을 규제한다.
도 31은 본 실시예의 가이드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가이드홈(52B)은, 와이어(W)의 지름(r)보다 약간 긴 폭(길이)(L1) 및 깊이(L2)를 구비한다. 한쪽의 와이어(W)가 통과하는 한쪽의 가이드홈(52B)과, 다른 한쪽의 와이어(W)가 통과하는 다른 한쪽의 가이드홈(52B) 사이에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을 따라 구획 벽부가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50)는, 복수의 가이드홈(52B)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복수 가닥의 와이어가 병렬되는 방향을 규제한다.
도 32A, 도 32B는 본 실시예의 와이어 이송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2A에 나타내는 와이어 이송부(3B)는, 와이어(W)를 1가닥씩 이송하는 제1와이어 이송부(35a)와 제2와이어 이송부(35b)를 구비한다. 제1와이어 이송부(35a)와 제2와이어 이송부(35b)는, 각각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를 구비한다.
제1와이어 이송부(35a)와 제2와이어 이송부(35b)에서 이송된 1가닥씩의 와이어(W)는, 도 6A, 도 6B 혹은 도 6C에 나타내는 병렬 가이드(4A), 혹은, 도 30A, 도 30B, 도 30C 혹은 도 30D에 나타내는 병렬 가이드(4B~4E)와, 도 7에 나타내는 가이드홈(52)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병렬된다.
도 32B에 나타내는 와이어 이송부(3C)는 와이어(W)를 1가닥씩 이송하는 제1와이어 이송부(35a)와 제2와이어 이송부(35b)를 구비한다. 제1와이어 이송부(35a)와 제2와이어 이송부(35b)는, 각각 제1이송 기어(30L)와 제2이송 기어(30R)를 구비한다.
제1와이어 이송부(35a)와 제2와이어 이송부(35b)에서 이송된 1가닥씩의 와이어(W)는, 도 30E에 나타내는 병렬 가이드(4F)와, 도 32B에 나타내는 가이드홈(52B)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병렬된다. 와이어 이송부(30C)에서는, 2가닥의 와이어(W)가 독립으로 가이드되기 때문에, 제1와이어 이송부(35a)와 제2와이어 이송부(35b)를 독립으로 구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2가닥의 와이어(W)를 이송하는 타이밍을 달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2가닥의 와이어(W) 중의 한쪽으로, 철근(S)을 권취하는 동작의 도중에, 다른 한쪽의 와이어(W)의 이송을 시작하여, 철근(S)을 권취하는 동작을 진행해도, 2가닥의 와이어(W)는, 동시에 이송된다. 또한, 2가닥의 와이어(W)의 이송을 동시에 시작하지만, 한쪽의 와이어(W)의 이송 스피드와 다른 한쪽의 와이어(W)의 이송 스피드가 상이한 경우에도, 2가닥의 와이어(W)는, 동시에 이송된다.
도 33, 도 34A, 도 34B 및 도 35는 다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34A는 도 33의 A-A단면도, 도 34B는 도 33의 B-B단면도, 도 35는 다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이다. 또한, 도 36은 다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입 위치(P1)에 마련되는 병렬 가이드(4G1)와, 중간 위치(P2)에 마련되는 병렬 가이드(4G2)는, 가이드 내를 와이어(W)가 통과할 때의 와이어(W)의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를 억제하는 슬라이딩 부재(40A)를 구비한다. 절단 배출 위치(P3)에 마련되는 병렬 가이드(4G3)는, 슬라이딩 부재(40A)를 구비하지 않는다.
병렬 가이드(4G1)는 이송 수단을 구성하는 규제 수단의 일례로, 와이어(W)의 이송 방향을 따라 관통한 개구(와이어 규제부)(40G1)로 구성된다. 병렬 가이드(4G1)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지름 방향의 방향을 규제하기 위해, 도 34A, 도 34B,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의 이송 방향 및 일 방향과 직교하는 다른 방향의 길이(L2)보다 긴 형상의 개구(40G1)이다.
병렬 가이드(4G1)는, 2가닥의 와이어(W)를 지름 방향을 따라 배열한 형태로 하고, 또한, 2가닥의 와이어(W)가 배열되는 방향을 규제하기 위해,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개구(40G1)의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의 지름(r)의 2가닥 분량보다 긴 길이, 폭 방향의 길이(L2)가,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병렬 가이드(4G1)는, 개구(40G1)의 길이 방향이 직선 형태, 폭 방향이 원호 형상 혹은 직선 형태로 구성된다.
컬 가이드부(5A)의 제1가이드부(50)에서 원호형으로 성형되는 와이어(W)는, 중간 위치(P2)에 마련되는 병렬 가이드(4G2)와, 제1가이드부(50)의 가이드핀(53, 53b)의 3점으로, 원호의 외측의 2점과 내측의 1점의 위치가 규제되는 것에 의해 컬링성이 부여되어, 거의 원형의 루프(Ru)를 형성한다.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도 36에 나타내는 루프(Ru)의 축방향(Ru1)을 기준으로 한 경우, 도 35에 1점 쇄선(Deg)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병렬 가이드(4G1)의 개구(40G1)를 통과하는 2가닥의 와이어(W)가 배열되는 방향의 경사(개구(40G1)의, 루프(Ru)의 축방향(Ru1)으로 연장되는 변(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에 대한 2가닥의 와이어(W)가 배열되는 방향의 경사)가 45도를 넘으면, 2가닥의 와이어(W)가 이송되는 것에 의해 꼬여 교차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병렬 가이드(4G1)의 개구(40G1)를 통과하는 2가닥의 와이어(W)가 배열되는 방향의 기울기가,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축방향(Ru1)에 대해 45도 이하가 되도록, 병렬 가이드(4G1)의 개구(40G1)의 폭 방향의 길이(L2)와 길이 방향의 길이(L1)의 비율이 결정된다. 본 예에서는, 개구(40G1)의 폭 방향의 길이(L2)와 길이 방향의 길이(L1)의 비율이 1:1.2 이상으로 구성된다. 와이어(W)의 지름(r)을 고려하면, 병렬 가이드(4G1)의 개구(40G1)의 폭 방향의 길이(L2)가, 와이어(W)의 지름(r)의 1배 이상 1.5배 이하의 길이로 구성된다. 한편, 2가닥의 와이어(W)가 배열되는 방향의 경사는, 15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병렬 가이드(4G2)는 이송 수단을 구성하는 규제 수단의 일례로, 와이어(W)의 이송 방향을 따라 관통한 개구(와이어 규제부)(40G2)로 구성된다. 병렬 가이드(4G2)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지름 방향의 방향을 규제하기 위해,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의 이송 방향 및 일 방향과 직교하는 다른 방향의 길이(L2)보다 긴 형상의 개구(40G2)이다.
병렬 가이드(4G2)는, 2가닥의 와이어(W)를 지름 방향을 따라 배열한 형태로 하고, 또한, 2가닥의 와이어(W)가 배열되는 방향을 규제하기 위해,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개구(40G2)의 길이 방향의 길이(L1)가, 와이어(W)의 지름(r)의 2가닥 분량보다 긴 길이, 폭 방향의 길이(L2)가,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길이를 구비한다. 병렬 가이드(4G2)는, 개구(40G2)의 길이 방향이 직선 형태, 폭 방향이 원호 형상 혹은 직선 형태로 구성된다.
병렬 가이드(4G2)에 있어서도, 2가닥의 와이어(W)가 배열되는 방향의 기울기가 45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15도 이하가 되도록, 개구(40G2)의 폭 방향의 길이(L2)와 길이 방향의 길이(L1)의 비율이, 1:1.2 이상으로 구성된다. 와이어(W)의 지름(r)을 고려하면, 병렬 가이드(4G2)의 개구(40G2)의 폭 방향의 길이(L2)가, 와이어(W)의 지름(r)의 1배 이상 1.5배 이하의 길이로 구성된다.
병렬 가이드(4G3)는 이송 수단을 구성하는 규제 수단의 일례로, 또한, 고정날(60)을 구성한다. 병렬 가이드(4G3)는, 병렬 가이드(4G1) 및 병렬 가이드(4G2)와 마찬가지로,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길이 방향의 길이가, 와이어(W)의 지름(r)의 2가닥 분량보다 길고, 폭 방향의 길이가,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보다 약간 긴 형상의 개구(와이어 규제부)(40G3)이다.
병렬 가이드(4G3)는, 2가닥의 와이어(W)가 배열되는 방향의 기울기가 45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15도 이하가 되도록, 개구(40G3)의 폭 방향의 적어도 일부의 길이와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의 길이의 비율이, 1:1.2 이상으로 구성된다. 와이어(W)의 지름(r)을 고려하면, 병렬 가이드(4G3)의 개구(40G3)의 폭 방향의 길이가, 와이어(W)의 지름(r)의 1배 이상 1.5배 이하의 길이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2가닥의 와이어(W)가 배열되는 방향을 규제한다.
슬라이딩 부재(40A)는 슬라이딩부의 일례이다. 슬라이딩 부재(40A)는, 초경합금으로 불리는 재질로 구성된다. 초경합금은, 병렬 가이드(4G1)가 마련되는 가이드 본체(41G1)를 구성하는 재질, 및, 병렬 가이드(4G2)가 마련되는 가이드 본체(41G2)를 구성하는 재질보다 높은 경도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40A)는, 가이드 본체(41G1) 및 가이드 본체(41G2)보다 높은 경도를 구비한다. 슬라이딩 부재(40A)는, 본 예에서는 원통형의 핀으로 불리는 부재로 구성된다.
가이드 본체(41G1) 및 가이드 본체(41G2)는, 철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열처리를 한 가이드 본체(41G1) 및 가이드 본체(41G2)의 경도는, 비커스 경도로 500~800 정도이다. 이에 대해, 초경합금으로 구성되는 슬라이딩 부재(40A)의 경도는, 비커스 경도로 1500~2000 정도이다.
슬라이딩 부재(40A)는, 원주면의 일부가, 병렬 가이드(4G1)의 개구(40G1)에 있어서,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본 예에서는 2가닥의 와이어(W)가 배열되는 방향을 따른 길이 방향의 내면에서 노출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40A)는, 원주면의 일부가, 병렬 가이드(4G2)의 개구(40G2)에 있어서,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2가닥의 와이어(W)가 배열되는 방향을 따른 길이 방향의 내면에서 노출하도록 마련된다. 슬라이딩 부재(40A)는, 와이어(W)가 이송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고, 또한, 2가닥의 와이어(W)가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40A)는, 원주면의 일부가, 병렬 가이드(4G1)의 개구(40G1)의 길이 방향의 내면 및 병렬 가이드(4G2)의 개구(40G2)의 길이 방향의 내면과 단차가 없는 동일면에 노출되어 있으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부재(40A)는, 원주면의 일부가, 병렬 가이드(4G1)의 개구(40G1)의 길이 방향의 내면 및 병렬 가이드(4G2)의 개구(40G2)의 길이 방향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노출한다.
가이드 본체(41G1)에는, 슬라이딩 부재(40A)가 압입에 의해 고정되는 지름을 구비한 구멍부(42G1)가 마련된다. 구멍부(42G1)는, 구멍부(42G1)에 압입된 슬라이딩 부재(40A)의 원주면의 일부가, 병렬 가이드(4G1)의 개구(40G1)의 길이 방향의 내면에 노출하는 소정의 위치에 마련된다. 구멍부(42G1)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2가닥의 와이어(W)가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본체(41G)에는, 슬라이딩 부재(40A)가 압입에 의해 고정되는 지름을 구비한 구멍부(42G2)가 마련된다. 구멍부(42G2)는, 구멍부(42G2)에 압입된 슬라이딩 부재(40A)의 원주면의 일부가, 병렬 가이드(4G2)의 개구(40G2)의 길이 방향의 내면에 노출하는 소정의 위치에 마련된다. 구멍부(42G2)는, 와이어(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2가닥의 와이어(W)가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컬 가이드부(5A)에서 도 36에 나타내는 루프(Ru)가 형성되는 와이어(W)는, 와이어 이송부(3A)로 이송되는 동작에 의해, 루프(Ru)의 지름 방향(Ru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철근 결속기(1A)에서는, 컬 가이드부(5A)에서 루프 모양으로 형성되는 와이어(W)가 이송되는 방향(컬 가이드부(5A)에서 철근(S)의 주위에 권취되는 와이어(W)의 권취 방향)과, 릴(20)에서 와이어(W)가 권취되는 방향이 반대이다. 이 때문에, 와이어(W)는, 와이어 이송부(3A)로 이송되는 동작에 의해, 루프(Ru)의 지름 방향(Ru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루프(Ru)의 지름 방향(Ru2)이란,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2가닥의 와이어(W)가 배열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이다. 루프(Ru)의 지름이 커지는 경우, 와이어(W)는 루프(Ru)의 지름 방향(Ru2)에 대해 외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루프(Ru)의 지름이 작아지는 경우, 와이어(W)는 루프(Ru)의 지름 방향(Ru2)에 대해 내측으로 이동한다.
병렬 가이드(4G1)는, 도 1 등에 나타내는 릴(20)로부터 풀려난 와이어(W)가 개구(40G1)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문에, 병렬 가이드(4G1)를 통과하는 와이어(W)는, 개구(40G1)의 내면 중, 도 36에 나타내는 와이어(W)의 루프(Ru)의 지름 방향(Ru2)에 대해 외측과 내측의 위치에 상당하는 면위를 슬라이딩한다. 와이어(W)의 슬라이딩에 의해 병렬 가이드(4G1)의 개구(40G1)의 내면의 외측의 면과 내측의 면이 마모하면, 병렬 가이드(4G1)를 통과하는 와이어(W)가, 루프(Ru)의 지름 방향(Ru2)으로 움직인다.
이에 의해, 와이어 이송부(3A)로 유도되는 와이어(W)가, 도 4에서 설명한 제1이송 기어(30L)의 제1이송 홈부(32L)와, 제2이송 기어(30R)의 제2이송 홈부(32R) 사이에서 벗어나, 와이어 이송부(3A)로의 유도가 어려워진다.
여기서, 병렬 가이드(4G1)는, 개구(40G1)의 내면 중, 컬 가이드부(5A)에서 형성되는 와이어(W)에 의한 루프(Ru)의 지름 방향(Ru2)에 대해, 외측의 면과 내측의 면의 소정의 위치에 슬라이딩 부재(40A)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개구(40G1) 내의 마모가 억제되고, 병렬 가이드(4G1)를 통과하는 와이어(W)의 와이어 이송부(3A)로의 유도가 확실하게 수행된다.
또한, 병렬 가이드(4G2)는, 와이어 이송부(3A)로부터 송출되어 컬 가이드부(5A)에서 루프(Ru)가 형성되는 와이어(W)가 통과하기 때문에, 컬 가이드부(5A)에서 형성되는 와이어(W)에 의한 루프(Ru)의 지름 방향(Ru2)에 대해, 개구(40G2)의 내면의 주로 외측의 면에 와이어(W)가 슬라이딩한다. 와이어(W)의 슬라이딩에 의해 병렬 가이드(4G2)의 개구(40G1)의 내면의 외측의 면이 마모하면, 병렬 가이드(4G2)를 통과하는 와이어(W)가, 루프(Ru)의 지름 방향(Ru2)의 외측을 향해 움직인다. 이에 의해, 와이어(W)의 병렬 가이드(4G3)로의 유도가 어려워진다.
여기서, 병렬 가이드(4G2)는, 개구(40G2)의 내면 중, 컬 가이드부(5A)에서 형성되는 와이어(W)에 의한 루프(Ru)의 지름 방향(Ru2)에 대해, 외측의 면의 소정의 위치에 슬라이딩 부재(40A)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와이어(W)의 병렬 가이드(4G3)로의 유도에 영향을 미치는 상술한 소정의 위치의 마모가 억제되고, 병렬 가이드(4G2)를 통과하는 와이어(W)의 병렬 가이드(4G3)로의 유도가 확실하게 수행된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40A)가, 병렬 가이드(4G1)의 개구(40G1)의 내면 및 병렬 가이드(4G2)의 개구(40G2)의 내면과 단차가 없는 동일면 형상인 경우, 병렬 가이드(4G1)의 개구(40G1)의 내면 및 병렬 가이드(4G2)의 개구(40G2)의 내면이 약간 마모하는 것이 생각된다. 다만, 슬라이딩 부재(40A)는, 마모하지 않고 그대로 남아, 개구(40G1)의 내면 및 개구(40G2)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노출한다. 이에 의해, 병렬 가이드(4G1)의 개구(40G1)의 내면 및 병렬 가이드(4G2)의 개구(40G2)의 내면의 가일층의 마모가 억제된다.
도 37은, 다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20)에 있어서의 와이어(W)의 권취 방향과, 컬 가이드부(5A)에서 형성되는 와이어(W)에 의한 루프(Ru)의 권취 방향이 상이하다. 여기서, 병렬 가이드(4G1)는, 개구(40G1)의 내면 중, 컬 가이드부(5A)에서 형성되는 와이어(W)에 의한 루프(Ru)의 지름 방향(Ru2)에 대해 내측의 면의 소정의 위치에만 슬라이딩 부재(40A)를 구비해도 좋다.
도 38~도 43은 다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슬라이딩부는, 단면 형상이 원형인 상술한 핀 형태의 슬라이딩 부재(40A)에 한정되지 않고,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방체 형태, 입방체 형태 등, 단면 형상이 다각형인 부재로 슬라이딩 부재(40B)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병렬 가이드(4G1)의 개구(40G1)의 내면 및 병렬 가이드(4G2)의 개구(40G2)의 내면의 소정의 위치를, 담금질 등의 가공에 의해 경도를 다른 부분보다 높게 하여, 슬라이딩부(40C)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병렬 가이드(4G1)를 구성하는 가이드 본체(41G1) 및 병렬 가이드(4G2)를 구성하는 가이드 본체(41G2)를, 병렬 가이드(4G3) 등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하고,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병렬 가이드(4G1) 및 병렬 가이드(4G2)의 전체를 슬라이딩부(40D)로 해도 좋다.
또한,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의 이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축(43)을 구비하고, 와이어(W)의 이송에 종동하여 회전 가능한 롤러(40E)를 슬라이딩부 대신 구비해도 좋다. 롤러(40E)는, 와이어(W)의 이송에 동반한 회전에 의해, 와이어(W)와의 접촉 부분이 바뀌기 때문에, 마모가 억제된다.
또한,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병렬 가이드(4G1) 및 병렬 가이드(4G2)에, 탈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나사(400)가 삽입되는 구멍부(401Z)를 구비한다. 또한, 도 1 등에 나타내는 철근 결속기(1A)에, 나사(400)가 체결되는 나사 구멍(402)이 형성된 장착대(403)를 구비한다. 그리고, 나사(400)의 체결 및 체결 해제에 의해, 병렬 가이드(4G1) 및 병렬 가이드(4G2)를, 고정 및 고정 해제로 탈착 가능하게 해도 좋다. 이에 의해, 병렬 가이드(4G1) 및 병렬 가이드(4G2)가 마모한 경우에도 교환이 가능하다.
또한,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본체(41G1)에는, 슬라이딩 부재(40A)의 원주면의 일부가, 병렬 가이드(4G1)의 개구(40G1)의 길이 방향의 내면에 노출하는 소정의 위치에, 슬라이딩 부재(40A)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장착 구멍부(44G1)가 마련된다. 또한, 가이드 본체(41G2)는, 슬라이딩 부재(40A)의 원주면의 일부가, 병렬 가이드(4G2)의 개구(40G2)의 길이 방향의 내면에 노출하는 소정의 위치에, 슬라이딩 부재(40A)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장착 구멍부(44G2)가 마련된다. 이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40A)가 마모한 경우에도 교환이 가능하다.
도 44는, 다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입 위치(P1)에 마련되는 병렬 가이드(4H1)는, 와이어(W)의 가닥수에 맞춘 2개의 구멍부(개구)가 마련되고, 구멍부가 배열되는 방향에 의해, 와이어(W)가 병렬되는 방향을 규제한다. 병렬 가이드(4H1)는, 도 33, 도 34A, 도 34B, 도 37에서 설명한 슬라이딩 부재(40A), 도 38에서 설명한 슬라이딩 부재(40B), 도 39에서 설명한 슬라이딩부(40C), 도 40에서 설명한 슬라이딩부(40D), 혹은, 도 41에서 설명한 롤러(40E) 중의 어느 하나를 구비해도 좋다.
중간 위치(P2)에 마련되는 병렬 가이드(4H2)는, 도 6A 등에서 설명한 병렬 가이드(4A), 도 30A에서 설명한 병렬 가이드(4B), 도 30B에서 설명한 병렬 가이드(4C), 도 30C에서 설명한 병렬 가이드(4D), 도 30D에서 설명한 병렬 가이드(4E) 중의 어느 하나이다.
또한, 병렬 가이드(4H2)는, 슬라이딩부의 일례로서 도 33, 도 34A, 도 34B, 도 37에서 설명한 슬라이딩 부재(40A)를 구비한 병렬 가이드(4G2)여도 좋다. 또한, 병렬 가이드(4H2)는, 슬라이딩부의 변형예로서 도 38에서 설명한 슬라이딩 부재(40B)를 구비한 병렬 가이드(4G2), 도 39에서 설명한 슬라이딩부(40C)를 구비한 병렬 가이드(4G2), 도 40에서 설명한 슬라이딩부(40D)를 구비한 병렬 가이드(4G2), 혹은, 도 41에서 설명한 롤러(40E)를 구비한 병렬 가이드(4G2) 중의 어느 하나여도 좋다.
절단 배출 위치(P3)에 마련되는 병렬 가이드(4H3)는, 도 6A 등에서 설명한 병렬 가이드(4A), 도 30A에서 설명한 병렬 가이드(4B), 도 30B에서 설명한 병렬 가이드(4C), 도 30C에서 설명한 병렬 가이드(4D), 도 30D에서 설명한 병렬 가이드(4E) 중의 어느 하나이다.
도 45는 다른 실시예의 병렬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입 위치(P1)에 마련되는 병렬 가이드(4J1)는, 도 6A 등에서 설명한 병렬 가이드(4A), 도 30A에서 설명한 병렬 가이드(4B), 도 30B에서 설명한 병렬 가이드(4C), 도 30C에서 설명한 병렬 가이드(4D), 도 30D에서 설명한 병렬 가이드(4E) 중의 어느 하나이다.
또한, 병렬 가이드(4J1)는, 슬라이딩부의 일례로서 도 33, 도 34A, 도 34B, 도 37에서 설명한 슬라이딩 부재(40A)를 구비한 병렬 가이드(4G2)여도 좋다. 또한, 병렬 가이드(4J1)는, 슬라이딩부의 변형예로서 도 38에서 설명한 슬라이딩 부재(40B)를 구비한 병렬 가이드(4G2), 도 39에서 설명한 슬라이딩부(40C)를 구비한 병렬 가이드(4G2), 도 40에서 설명한 슬라이딩부(40D)를 구비한 병렬 가이드(4G2), 혹은, 도 41에서 설명한 롤러(40E)를 구비한 병렬 가이드(4G2) 중의 어느 하나여도 좋다.
중간 위치(P2)에 마련되는 병렬 가이드(4J2)는, 와이어(W)의 가닥수에 맞춘 2개의 구멍부로 구성되고, 병렬 가이드(4J2)가 배열되는 방향에 의해, 와이어(W)가 병렬되는 방향을 규제한다. 병렬 가이드(4J2)는, 도 33, 도 34A, 도 34B, 도 37에서 설명한 슬라이딩 부재(40A), 도 38에서 설명한 슬라이딩 부재(40B), 도 39에서 설명한 슬라이딩부(40C), 도 40에서 설명한 슬라이딩부(40D), 혹은, 도 41에서 설명한 롤러(40E) 중의 어느 하나를 구비해도 좋다.
절단 배출 위치(P3)에 마련되는 병렬 가이드(4J3)는, 도 6A 등에서 설명한 병렬 가이드(4A), 도 30A에서 설명한 병렬 가이드(4B), 도 30B에서 설명한 병렬 가이드(4C), 도 30C에서 설명한 병렬 가이드(4D), 도 30D에서 설명한 병렬 가이드(4E) 중의 어느 하나이다.
도 46A, 도 46B는 본 실시예의 제2가이드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제2가이드부(51)의 가동 가이드부(55)는, 가이드축(55c)과, 가동 가이드부(55)의 변위 방향을 따른 가이드홈(55d)에 의해, 변위 방향이 규제된다. 예를 들면, 도 4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가이드부(55)는, 제1가이드부(50)에 대한 가동 가이드부(55)의 이동 방향인, 제1가이드부(50)에 대해 가동 가이드부(55)가 근접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홈(55d)을 구비한다. 고정 가이드부(54)는, 가이드홈(55d)에 삽입되고, 가이드홈(55d) 내를 이동 가능한 가이드축(55c)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가동 가이드부(55)는, 제1가이드부(50)에 대해 이접하는 방향(도 46A의 상하 방향)으로의 평행 이동에 의해 가이드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변위한다.
또한, 도 4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홈(55d)을 가동 가이드부(55)에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해, 가동 가이드부(55)가, 본체부(10A)의 일단인 앞단으로부터 돌출 및 본체부(10A)의 내부로 퇴피하는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 위치에서 퇴피 위치로 변위한다. 이 경우의 가이드 위치는, 가동 가이드부(55)의 벽면(55a)이 루프(Ru)를 형성하는 와이어(W)가 통과하는 위치에 존재하도록, 가동 가이드(55)가 본체부(10A) 앞단으로부터 돌출된 위치이다. 또한, 퇴피 위치란, 가동 가이드부(55)의 전부 혹은 일부가, 본체부(10A)의 내부에 들어간 상태이다. 또한, 제1가이드부(50)에 대해 이접하는 방향 및 전후 방향을 따른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홈(55d)을 가동 가이드부(55)에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한편, 가이드홈(55d)은, 직선 형태나 원호 등의 곡선 형태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가닥의 와이어(W)를 사용하는 구성을 예로 설명했지만, 2가닥 이상의 복수 가닥의 와이어(W)를 사용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짧은 와이어(W)를 수용하는 매거진을 구비하고, 복수 가닥씩 와이어(W)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매거진을 본체부에 구비하지 않고, 외부의 독립된 와이어의 공급부로부터 와이어를 공급받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1A)는, 길이 규제부(74)를 컬 가이드부(5A)의 제1가이드부(50)에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제1가동 파지 부재(70L) 등, 파지부(70)와 독립된 부품이라면 다른 장소에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파지부(70)를 지지하는 구조물에 구비해도 좋다.
또한, 절곡부(71)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과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을 철근(S)측으로 절곡하는 동작이 종료하기 전에, 파지부(70)의 회전 동작을 개시하여, 와이어(W)를 비트는 동작을 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파지부(70)의 회전 동작을 개시하여, 와이어(W)를 비트는 동작을 개시한 후에, 와이어(W)를 비트는 동작을 종료하기 전에, 절곡부(71)로 와이어(W)의 한쪽의 단부(WS)측과 다른 한쪽의 단부(WE)측을 철근(S)측으로 절곡하는 동작이 개시 및 종료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절곡 수단으로서, 절곡부(71)를 가동 부재(83)와 일체로 한 구성으로 구비했지만, 독립된 구성이어도 좋고, 파지부(70)와 절곡부(71)가, 독립된 모터 등의 구동 수단으로 구동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절곡부(71) 대신에, 절곡 수단으로서, 고정 파지 부재(70C)와, 제1가동 파지 부재(70L) 및 제2가동 파지 부재(70R)에, 와이어(W)를 파지하는 동작으로 와이어(W)를 철근(S)측으로 절곡하는 힘을 가하는 요철 형상 등으로 구성되는 절곡부를 구비해도 좋다.
한편, 본 발명은, 결속물로서 배관 등을 와이어로 결속하는 결속기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릴 및 와이어의 변형예>
도 47A는 본 실시예의 릴 및 와이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7B는 와이어의 접합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7C는 와이어의 접합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7C는 도 47B의 Y-Y선 단면도이다. 릴(20)에 권취되는 와이어(W)는, 복수 가닥의 와이어(W), 본 예에서는 2가닥의 와이어(W)가, 코어부(24)의 축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병렬된 상태로 풀려날 수 있도록 권취된다. 2가닥의 와이어(W)는, 릴(20)로부터 풀려나는 측의 선단의 일부를 접합한 접합부(26B)를 구비한다.
접합부(26B)는, 2가닥의 와이어(W)를 용접, 납땜, 접착제, 경화성 수지 등에 의한 접착, 압접, 초음파 용착 등으로 일체로 한 것이다. 접합부(26B)는, 본 예에서는, 도 4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길이(L10)가, 와이어(W)를 단면 방향을 따라 2가닥 배열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W)의 지름(r)의 2가닥 분량과 거의 동등한 길이, 폭 방향의 길이(L20)가, 와이어(W)의 1가닥 분량의 지름(r)과 거의 동등한 길이를 구비한다.
상기한 실시예의 일부 또는 모두는, 이하의 부기와 같이 기재될 수 있다.
(부기 1)
2가닥 이상의 와이어를 풀어낼 수 있는 수용부(매거진);
상기 수용부로부터 풀려나온 2가닥 이상의 와이어를 송출하는 와이어 이송부;
상기 와이어 이송부로부터 송출된 2가닥 이상의 와이어에 컬링성을 부여하여 결속물의 주위에 권취하는 컬 가이드부; 및
상기 컬 가이드부에서 결속물의 주위에 권취된 2가닥 이상의 와이어를 파지하여 비트는 결속부를 구비하는 결속기.
(부기 2)
상기 수용부와 상기 컬 가이드부의 사이에 마련되고, 2가닥 이상의 와이어를 병렬시키는 병렬 가이드를 구비하는 부기 1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3)
상기 병렬 가이드는, 진입해 온 2가닥 이상의 와이어를 병렬로 하여 송출하는 부기 2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4)
상기 병렬 가이드는, 진입해 온 2가닥 이상의 와이어의 방향을 규제하여 병렬로 하는 와이어 규제부를 구비하는 부기 3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5)
상기 와이어 규제부는, 2가닥 이상의 와이어를 병렬시키는 개구인 부기 4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6)
상기 와이어 규제부는, 2가닥 이상의 와이어를 병렬시키는 가이드홈인 부기 4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7)
상기 병렬 가이드는, 가이드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풀려나와 상기 와이어 이송부에 의해 송출되는 와이어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본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의 길이가, 상기 이송 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상기 일 방향에 직교하는 다른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부기 5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8)
상기 개구의 상기 일 방향의 길이가, 상기 개구를 관통하는 n가닥의 와이어의 각각의 지름의 상기 n가닥 분량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개구의 상기 다른 방향의 길이가, 와이어의 지름의 1배를 넘고, 와이어의 지름의 2배 이하의 길이로 구성되는 부기 7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9)
상기 개구의 상기 다른 방향의 길이는, 와이어의 지름의 1배 이상 1.5배 이하의 길이로 구성되는 부기 8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10)
상기 개구의 상기 다른 방향의 길이와 상기 개구의 상기 일 방향의 길이의 비가, 1:1.2 이상인 부기 7 내지 9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11)
상기 개구는, 복수 가닥의 와이어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개구의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에 대한 상기 개구내에서 병렬된 복수 가닥의 와이어의 배열되는 방향의 기울기가 45도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부기 7 내지 10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12)
상기 기울기가 15도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부기 11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13)
상기 병렬 가이드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와이어 이송부 사이에 마련되는 부기 2 내지 12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14)
상기 병렬 가이드는, 상기 와이어 이송부와 상기 컬 가이드부 사이에 마련되는 부기 2 내지 13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15)
상기 와이어 이송 수단과 상기 컬 가이드부 사이에 마련되고, 결속물의 주위에 권취된 와이어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병렬 가이드는, 상기 와이어 이송부와 상기 절단부 사이에 마련되는 부기 14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16)
상기 와이어 이송 수단과 상기 컬 가이드부 사이에 마련되고, 결속물의 주위에 권취된 와이어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병렬 가이드는, 상기 절단부 또는 그 근방에 마련되는 부기 14 또는 15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17)
상기 와이어 이송 수단과 상기 컬 가이드부 사이에 마련되고, 결속물의 주위에 권취된 와이어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병렬 가이드는, 상기 절단부와 상기 컬 가이드 사이에 마련되는 부기 14 내지 16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결속기.
(부기 18)
부기 1에 기재된 수용부에 수용 가능한 릴이고,
2가닥 이상의 와이어가 권취되는 릴.
(부기 19)
일부가 접합된 2가닥 이상의 와이어가 권취되는 부기 18에 기재된 릴.
(부기 20)
선단측의 일부가 접합된 2가닥 이상의 와이어가 권취되는 부기 19에 기재된 릴.
(부기 21)
선단측의 일부가 비틀려 접합된 2가닥 이상의 와이어가 권취되는 부기 19에 기재된 릴.
이상, 부기에 기재된 내용은, 상기한 실시예의 일부 또는 모두를 표현한 것이지만, 이하, 부기에 관한 보충적인 설명을 한다. 도 48은 부기 1에 기재된 결속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결속기(100A)는, 2가닥 이상의 와이어(W)를 풀어낼 수 있는 매거진(수용부)(2A)과, 매거진(2A)으로부터 풀려난 2가닥 이상의 와이어(W)를 협지하여 송출하는 와이어 이송부(3A)와, 와이어 이송부(3A)로부터 송출된 2가닥 이상의 와이어(W)에 컬링성을 부여하여 결속물(S1)의 주위에 권취하는 컬 가이드부(5A)와, 컬 가이드부(5A)에서 결속물(S1)의 주위에 권취된 2가닥 이상의 와이어(W)를 파지하여 비트는 결속부(7A)를 구비한다.
도 49A, 도 49B, 도 49C 및 도 49D는 부기 1에 기재된 와이어 이송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와이어 이송부(3A)는, 한쌍의 이송 부재(310L, 310R)를 구비한다. 한쌍의 이송 부재(310L, 310R)는, 병렬되는 2가닥 이상의 와이어(W)를 사이에 끼고 대향한다. 한쌍의 이송 부재(310L, 310R)는, 병렬된 2가닥 이상의 와이어를, 한쌍의 이송 부재(310L, 310R)의 사이에 협지하는 협지부(320)를, 한쌍의 이송 부재(310L, 310R)의 외주에 구비한다. 한쌍의 이송 부재(310L, 310R)의 외주의 대향하는 부위가, 협지부(320)로 협지된 와이어(W)의 연장되어 있는 방향으로 변위하여, 병렬된 2가닥 이상의 와이어를 이송한다. 한쌍의 이송 부재(310L, 310R)는, 양자의 사이에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외주면에 이빨부를 구비해도 좋다.
한쌍의 이송 부재(310L, 310R)는, 각각 원판 형상의 부재이고, 도 49A, 도 4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의 병렬되는 방향을 따라 대향한다. 또는, 한쌍의 이송 부재(310L, 310R)는, 도 49C, 도 4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의 병렬되는 방향과 직교하여 대향한다. 한쌍의 이송 부재(310L, 310R)는, 서로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는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된다.
협지부(320)는 도 4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이송 부재(310L)의 외주면에, 병렬되는 와이어(W) 중의 하나가 들어가는 홈부(320L)를 구비하고, 다른 한쪽의 이송 부재(310R)의 외주면에, 병렬되는 와이어(W) 중의 다른 하나가 들어가는 홈부(320R)를 구비한다. 한쌍의 이송 부재(310L, 310R)가, 서로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홈부(320L, 320R)에 의해 한쪽과 다른 한쪽의 와이어(W)가 서로 가압된다.
협지부(320)는 도 4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이송 부재 중의 어느 하나가, 본 예에서는 한쪽의 이송 부재(310L)의 외주면에, 병렬되는 와이어(W)가 들어가는 홈부(320C)를 구비한다. 한쌍의 이송 부재(310L, 310R)가, 서로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다른 한쪽의 이송 부재(310R)의 외주면과 홈부(320C)에 의해 한쪽과 다른 한쪽의 와이어(W)가 서로 가압된다.
협지부(320)는 도 4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이송 부재(310L)의 외주면에, 병렬되는 와이어(W)가 들어가는 홈부(320L2)를 구비하고, 다른 한쪽의 이송 부재(310R)의 외주면에, 병렬되는 와이어(W)가 들어가는 홈부(320R2)를 구비한다. 한쌍의 이송 부재(310L, 310R)가, 서로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와이어(W)가, 홈부(320L2, 320R2)에 의해 가압된다.
협지부(320)는 도 4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이송 부재(310L)의 외주면에, 1가닥의 와이어(W)가 들어가는 홈부(320L3)를, 병렬되는 와이어(W)의 수에 맞춰 구비하고, 다른 한쪽의 이송 부재(310R)의 외주면에, 1가닥의 와이어(W)가 들어가는 홈부(320R3)를, 병렬되는 와이어(W)의 수에 맞춰 구비한다. 한쌍의 이송 부재(310L, 310R)가, 서로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와이어(W)가, 각 홈부(320L3, 320R3)에 의해 가압된다.
도 48, 도 49A, 도 49B, 도 49C 및 도 49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어 이송부(3A)에서는, 2가닥 이상의 와이어(W)를 병렬시킨 상태로, 와이어(W)의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 이송할 수 있다. 2가닥 이상의 와이어(W)가 병렬된 상태로 이송된다란, 각 와이어(W)가 접하고 있는 상태, 비접촉 상태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와이어(W)가 병렬되는 방향은, 와이어(W)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Ru)의 축방향(R1)을 따른 방향, 직교하는 방향을 모두 포함한다.
도 50A, 도 50B 및 도 50C는 부기 6에 기재된 가이드홈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가이드홈(400A)은, 와이어(W)의 이송 방향을 따라 가이드 본체(401)에 형성된다(또는, 가이드 본체(401) 그 자체가 가이드홈(400A)을 구성해도 좋다). 가이드홈(400A)은, 도 5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의 병렬 방향을 따른 대향하는 2개의 변 중의 하나에, 일부가 개방된 개구부(402A)를 구비한다. 한편, 와이어(W)의 병렬 방향을 따른 다른 한쪽의 변에 개구부를 구비해도 좋고, 또한, 와이어(W)의 병렬 방향에 직교하는 변의 일부에 개구부를 구비해도 좋다.
가이드홈(400B)은, 도 5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의 병렬 방향을 따른 대향하는 2개의 변 중의 한쪽의 변이 전부 개방된 개구부(402B)를 구비한다. 가이드홈(400C)은 도 5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W)의 병렬 방향에 직교하는 2개의 변 중의 한쪽의 변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된 개구부(402C)를 구비한다.
2개 이상의 가이드홈(400B)을 와이어(W)의 이송 방향을 따라 배치하는 구성에서는, 개구부(402B)의 방향을 다르게 하여 마련해도 좋다. 2개 이상의 가이드홈(400C)을 와이어(W)의 이송 방향을 따라 배치하는 구성에서는, 개구부(402C)의 방향을 다르게 하여 마련해도 좋다. 와이어(W)의 이송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400B)과 가이드홈(400C)을 마련해도 좋다.
도 51은 와이어 이송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와이어 이송부(3X)는, 제1벽부(330a)와 제2벽부(330b)를 구비한다. 제1벽부(330a)와 제2벽부(330b)는, 2가닥 이상의 와이어(W)를 사이에 끼도록 하여 마련되고, 제1벽부(330a)와 제2벽부(330b)의 간격은, 와이어(W)의 지름의 1배 이상 1.5배 이하의 길이로 구성된다.
제1벽부(330a)와 제2벽부(330b)를, 예를 들면, 도 34에 나타내는 와이어 이송부(3A)의 상류측에 구비하는 것에 의해, 와이어 이송부(3A)로 이송되는 2가닥 이상의 와이어(W)가, 꼬이거나 교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5년 7월 2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특원 2015-145282, 일본 특허출원 특원 2015-145286 및, 2016년 7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특원 2016-136066을 기초로 하는 것이고,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1A: 철근 결속기
2A: 매거진
20: 릴
3A: 와이어 이송부(와이어 이송 수단(이송 수단))
4A: 병렬 가이드(규제 수단(이송 수단))
5A: 컬 가이드부(가이드 수단(이송 수단))
6A: 절단부
7A: 결속부(결속 수단)
8A: 결속부 구동 기구
30L: 제1이송 기어
30R: 제2이송 기어
31L: 이빨부
31La: 이뿌리원
32L: 제1이송 홈부
32La: 제1경사면
321b: 제2경사면
31R: 이빨부
31Ra: 이뿌리원
32R: 제2이송 홈부
32Ra: 제1경사면
32Rb: 제2경사면
33: 구동부
33a: 이송 모터
33b: 전달 기구
34: 변위부
4AW, 40G1, 40G2, 40G3: 개구
4AG, 41G1, 41G2: 가이드 본체
40A: 슬라이딩 부재(슬라이딩부)
42G1, 42G2: 구멍부
40E: 롤러
44G1, 44G2: 장착 구멍부
50: 제1가이드부
51: 제2가이드부
52: 가이드홈(가이드부)
53: 가이드핀
53a: 퇴피 기구
54: 고정 가이드부
54a: 벽면
55: 가동 가이드부
55a: 벽면
55b: 축
60: 고정날
61: 회전날
61a: 축
62: 전달 기구
70: 파지부
70C: 고정 파지 부재
70L: 제1가동 파지 부재
70R: 제2가동 파지 부재
71: 절곡부
80: 모터
81: 감속기
82: 회전축
83: 가동 부재
W: 와이어

Claims (5)

  1. 철근 결속기에 사용되는 와이어 릴에 있어서,
    와이어가 권취되는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 양쪽에 마련된 플랜지부와,
    상기 코어부의 축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병렬된 상태로 풀려날 수 있도록 권취되는 2 이상의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2 이상의 와이어는 2 이상의 와이어의 일부가 서로 접합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에서, 상기 2 이상의 와이어의 선단부는 서로 접합되도록 비틀리고,
    상기 2 이상의 와이어는 꼬이지 않고 풀려나도록 상기 코어에 2 이상의 와이어가 권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에서, 상기 2 이상의 와이어의 선단부는 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2 이상의 와이어의 선단부는 서로 접합되도록 비틀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접합부가 상기 2 이상의 와이어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 방향의 길이 및 하나의 와이어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 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성형되는, 와이어 릴.
KR1020227028746A 2015-07-22 2016-07-21 결속기 KR102550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45286 2015-07-22
JPJP-P-2015-145282 2015-07-22
JP2015145286 2015-07-22
JP2015145282 2015-07-22
JP2016136066 2016-07-08
JPJP-P-2016-136066 2016-07-08
KR1020207022329A KR102435834B1 (ko) 2015-07-22 2016-07-21 결속기
PCT/JP2016/071409 WO2017014266A1 (ja) 2015-07-22 2016-07-21 結束機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329A Division KR102435834B1 (ko) 2015-07-22 2016-07-21 결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717A true KR20220120717A (ko) 2022-08-30
KR102550556B1 KR102550556B1 (ko) 2023-07-04

Family

ID=5783444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329A KR102435834B1 (ko) 2015-07-22 2016-07-21 결속기
KR1020227028746A KR102550556B1 (ko) 2015-07-22 2016-07-21 결속기
KR1020177036606A KR102142497B1 (ko) 2015-07-22 2016-07-21 결속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329A KR102435834B1 (ko) 2015-07-22 2016-07-21 결속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606A KR102142497B1 (ko) 2015-07-22 2016-07-21 결속기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3) US10787828B2 (ko)
EP (2) EP4089019B1 (ko)
JP (2) JP6791141B2 (ko)
KR (3) KR102435834B1 (ko)
CN (2) CN112644768B (ko)
AU (2) AU2016294894B2 (ko)
BR (1) BR112017027388B1 (ko)
CA (2) CA2990149C (ko)
CL (1) CL2017003253A1 (ko)
DK (1) DK3326921T3 (ko)
ES (1) ES2921879T3 (ko)
HR (1) HRP20220997T1 (ko)
HU (1) HUE059668T2 (ko)
IL (1) IL256419B (ko)
LT (1) LT3326921T (ko)
NZ (1) NZ738556A (ko)
PL (1) PL3326921T3 (ko)
PT (1) PT3326921T (ko)
RS (1) RS63511B1 (ko)
RU (2) RU2710785C2 (ko)
SI (1) SI3326921T1 (ko)
TW (3) TWI707804B (ko)
WO (1) WO20170142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67501A1 (en) 2015-07-22 2017-01-26 Max Co., Ltd. Binding machine
JP6750354B2 (ja) 2015-07-22 2020-09-02 マックス株式会社 リール
CA2990150C (en) 2015-07-22 2019-08-20 Max Co., Ltd. Binding machine
FR3079106B1 (fr) * 2018-03-20 2020-05-29 Pellenc Appareil pour la pose d'attaches filaires
CN109229478B (zh) * 2018-08-28 2021-03-26 张丽珠 一种钢丝扎绑机
JP7275506B2 (ja) 2018-09-07 2023-05-18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7268386B2 (ja) * 2019-02-13 2023-05-08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7283142B2 (ja) 2019-03-11 2023-05-30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7293880B2 (ja) * 2019-06-03 2023-06-20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EP3719239A3 (en) * 2019-03-11 2021-01-06 Max Co., Ltd. Binding machine
EP3708740A3 (en) * 2019-03-11 2020-12-16 Max Co., Ltd. Binding machine
US20220325543A1 (en) * 2019-10-11 2022-10-13 Makita Corporation Rebar tying tool
US20220380073A1 (en) * 2019-10-28 2022-12-01 Husqvarna Ab Rebar tying device comprising a wire locking mechanism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ire locking mechanism
TW202132167A (zh) * 2020-02-10 2021-09-01 日商美克司股份有限公司 捆束機
JP7427992B2 (ja) 2020-02-10 2024-02-06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7427994B2 (ja) 2020-02-10 2024-02-06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7452292B2 (ja) 2020-06-30 2024-03-19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7392601B2 (ja) 2020-07-15 2023-12-06 株式会社デンソー ワイヤ巻き装置
JP2023061806A (ja) * 2021-10-20 2023-05-02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2023061809A (ja) 2021-10-20 2023-05-02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US20240025584A1 (en) * 2022-07-21 2024-01-25 Abb Schweiz Ag Drive assembly
CA3216971A1 (en) 2022-10-26 2024-04-26 Max Co., Ltd. Binding machine
EP4361378A1 (en) 2022-10-26 2024-05-01 Max Co., Ltd. Binding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502U (ja) * 1993-08-23 1995-03-14 株式会社ベンタック 結束機
JP4747454B2 (ja) 2001-07-30 2011-08-17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JP2011207505A (ja) * 2010-03-30 2011-10-20 Sanyo Special Steel Co Ltd 条材結束装置
JP2014169122A (ja) * 2013-03-05 2014-09-18 Sumitomo Electric Ind Ltd 線材結束体

Family Cites Families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58063A (en) * 1931-02-07 1932-05-10 Wickland Products Co Van Heater unit for cathodes of vacuum tube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2043401A (en) * 1934-07-07 1936-06-09 Technicraft Engineering Corp Supporting and conducting cabl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CH344698A (de) * 1956-02-17 1960-02-29 Schoch Ag Ernst Apparat zum Binden von stabförmigem Material, insbesondere von sich kreuzenden Armierungseisen
DE1284075B (de) * 1962-08-22 1968-11-28 Bosch Gmbh Robert Drahtbindegeraet zum Herstellen von Bindeschlaufen um Bewehrungsstaebe fuer Stahlbetonbauteile
US3254682A (en) * 1962-11-16 1966-06-07 American Tech Mach Co Twisting mechanism
US3254923A (en) * 1964-06-10 1966-06-07 American Tech Mach Co Brush making apparatus and method
US3330603A (en) * 1965-10-28 1967-07-11 American Tech Mach Co Twist wire guide assembly
SU311515A1 (ru) * 1969-04-09 1977-12-05 Burov A S В зальна машина
JPS5321694A (en) * 1976-08-10 1978-02-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Device for supplying wire for automatic string binding machine
US4362192A (en) * 1981-03-05 1982-12-07 Furlong Donn B Wire tying power tool
US4527599A (en) * 1984-01-04 1985-07-09 John F. Langkau Wire twister
JPS61186585A (ja) 1985-02-12 1986-08-2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ボビン巻スチ−ルコ−ド
DE3905942A1 (de) * 1989-02-25 1990-09-06 Fritz Stahlecker Vorrichtung zum erzeugen von vorlagespulen fuer ein zwirnen
DE3819858A1 (de) * 1988-06-10 1989-12-21 Fritz Stahlecker Vorrichtung zum erzeugen von als vorlagespulen fuer ein zwirnen dienenden spulen
US4927227A (en) * 1988-10-31 1990-05-22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fiber cable closure
JPH04200831A (ja) * 1990-10-24 1992-07-21 Shimpo Ind Co Ltd 鉄筋結束装置
CN2090362U (zh) * 1991-01-03 1991-12-11 北京市消防科学研究所 绑扎器
US5279336A (en) * 1992-05-21 1994-01-18 Max Co., Ltd. Wire binder
JP2552384Y2 (ja) * 1992-05-21 1997-10-29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における結束用ワイヤの案内装置
GB2271752A (en) * 1992-10-22 1994-04-27 Peter Lindsey Davenport Binding apparatus
JPH06156420A (ja) * 1992-11-17 1994-06-03 Takuwa:Kk 自動束線機
JP3393684B2 (ja) * 1993-08-16 2003-04-07 株式会社エスディーコーポレーション 物品の結束方法及び結束装置
JP3604695B2 (ja) * 1994-06-24 2004-12-22 テイロ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エルエルシー 駆動機構を備えたワイヤ結束具
US5944064A (en) * 1995-02-17 1999-08-31 Japan Automatic Machine Co., Ltd. Tying method and tying apparatus for articles
JP2731812B2 (ja) * 1995-04-08 1998-03-25 有限会社ヤヒロコーポレーション 鉄筋メッシュ用結束機
JP3050369B2 (ja) * 1995-12-14 2000-06-12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におけるワイヤ判別機構
DE69610371T2 (de) * 1995-06-30 2001-01-25 Max Co Ltd Drahtführungsvorrichtung für eine Vorrichtung zum Binden von Armierungseisen und Vorrichtung zum Binden von Armierungseisen
DE19535025A1 (de) * 1995-09-21 1997-03-27 Thaelmann Schwermaschbau Veb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gleichzeitigen Bewickeln einer Mehrdrahtspule mit mehreren Drähten und/oder gleichzeitigem Abwickeln der Drähte von einer derart bewickelten Mehrdrahtspule für eine nachfolgende Verseilung derselben
EP0780333A1 (en) 1995-12-18 1997-06-25 N.V. Bekaert S.A. Winding of multiple filaments
JPH10245006A (ja) * 1997-03-05 1998-09-14 Takigawa Kogyo Co Ltd 結束装置
JP4064472B2 (ja) * 1997-08-12 2008-03-19 トーマス アンド ベッツ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ク. 超音波結束用の工具の改良
US6136118A (en) 1997-08-12 2000-10-24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Ultrasonic tying tool
JP2958337B2 (ja) 1998-01-20 1999-10-06 斉藤精機株式会社 円周研削機における被研削材の支持装置
DE19808416C2 (de) * 1998-02-28 1999-12-23 Hermann Schwelling Antriebs- und Lagerungsvorrichtung für die Verdrillscheiben der Umschnüreinrichtung für Abfälle von Ballenpressen
JP3438625B2 (ja) * 1998-12-10 2003-08-18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用リール巻きワイヤの緩み防止方法
US6487833B1 (en) * 2000-01-29 2002-12-03 Howard W. Jaenson Strap welding system and method
JP2002034994A (ja) * 2000-07-28 2002-02-05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処置具の製造方法
JP3457294B2 (ja) * 2001-07-02 2003-10-14 株式会社アルテス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の鉄筋接合部構造
WO2003010047A1 (fr) 2001-07-25 2003-02-06 Max Co., Ltd. Machine a ligaturer des barres d'acier de renfort
JP4747456B2 (ja) 2001-07-30 2011-08-17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の結束線クランプ装置
JP4016784B2 (ja) * 2001-09-28 2007-12-05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リール
US7469724B2 (en) * 2001-09-28 2008-12-30 Max Kabushiki Kaisha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reel, and method of detecting rotation of reel
EP3427857A1 (en) * 2001-09-28 2019-01-16 MAX Kabushiki Kaisha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and reel used for the machine
KR20040089614A (ko) * 2002-03-13 2004-10-21 엔.브이. 베카에르트 에스.에이. 상호 근접하게 감겨진 다중의 세장형 엘리먼트들이 열을지어 배치된 스풀
WO2004031036A1 (en) 2002-10-03 2004-04-15 Cryovac,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a bag train
JP4144473B2 (ja) * 2003-08-12 2008-09-03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の冷却装置
JP2005170489A (ja) 2003-12-15 2005-06-30 Sanyo Special Steel Co Ltd 棒鋼・鋼管のワイヤ自動結束機
JP4396384B2 (ja) * 2004-05-07 2010-01-13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TW200636771A (en) 2005-03-03 2006-10-16 Nittoku Eng Multilayer coil, winding method of same, and winding apparatus of same
JP2006245298A (ja) * 2005-03-03 2006-09-14 Nittoku Eng Co Ltd 多層コイル、多層コイルの巻線方法、及び多層コイルの巻線装置
US20080083473A1 (en) * 2006-10-05 2008-04-10 Daniel Thomas Wagner Wire splicer
US8181674B2 (en) * 2007-09-10 2012-05-22 The Boeing Company Wire bundle twister and comber
TWI443047B (zh) * 2008-03-27 2014-07-01 Max Co Ltd Bundle device
JP5532610B2 (ja) 2008-05-19 2014-06-25 マックス株式会社 ワイヤリール及び鉄筋結束機
TWI500843B (zh) 2008-05-19 2015-09-21 Max Co Ltd 鐵筋捆紮機
EP2123847B1 (en) * 2008-05-19 2016-07-06 Max Co., Ltd. Brake system of wire reel in reinforcing bar binding machine
JP4858488B2 (ja) * 2008-05-19 2012-01-18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JP5045547B2 (ja) 2008-05-19 2012-10-10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JP5126101B2 (ja) * 2008-05-19 2013-01-23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WO2010001345A2 (en) * 2008-07-01 2010-01-07 Schleuniger Holding Ag Device for binding together at least one object, in particular a cable bunch, by a binding means
CN201232363Y (zh) * 2008-07-17 2009-05-06 易笑婕 一种电动钢筋捆扎机
CA2730691A1 (en) 2008-07-17 2010-01-21 Xiaojie Yi An electric hand-held binding apparatus
TWI516415B (zh) * 2008-12-12 2016-01-11 美克司股份有限公司 鐵筋捆紮機
US10633129B2 (en) * 2012-03-22 2020-04-28 H.W.J. Designs For Agribusiness, Inc. Strap welding system and method
DE102012216831A1 (de) 2012-09-19 2014-03-20 Wobben Propertie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tomatischen Verdrillen von Metalldrähten, insbesondere zum Verbinden benachbarter, vorzugsweise sich überkreuzender Strukturelemente
TWI529760B (zh) * 2013-05-16 2016-04-11 All Ring Tech Co Ltd Coil 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JP5830552B2 (ja) * 2014-01-30 2015-12-09 株式会社ニホンゲンマ 金属線材収納構造体及び金属線材収納方法
JP6237281B2 (ja) 2014-01-31 2017-11-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シート搬送装置
JP6261358B2 (ja) 2014-02-04 2018-01-17 シブヤパッケージングシステム株式会社 充填包装装置
US20160067765A1 (en) * 2014-09-05 2016-03-10 Everd Salvador Quiamco Twistable wire fastening apparatus
JP6451184B2 (ja) * 2014-09-30 2019-01-16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CA3067501A1 (en) * 2015-07-22 2017-01-26 Max Co., Ltd. Binding machine
CA2990150C (en) 2015-07-22 2019-08-20 Max Co., Ltd. Binding machine
JP6227692B2 (ja) 2016-03-17 2017-11-08 東レプラスチック精工株式会社 樹脂製スラストワッシャー
KR101782734B1 (ko) 2016-06-20 2017-09-28 조성원 철근 형강 겸용 결속기
JP6475765B2 (ja) * 2017-01-17 2019-02-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ツイスト線製造装置、及びツイスト線製造方法
CN111942959A (zh) * 2020-07-20 2020-11-17 陕西天元智能再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并排双头缠绕盘装焊丝及其制备方法与用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502U (ja) * 1993-08-23 1995-03-14 株式会社ベンタック 結束機
JP4747454B2 (ja) 2001-07-30 2011-08-17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JP2011207505A (ja) * 2010-03-30 2011-10-20 Sanyo Special Steel Co Ltd 条材結束装置
JP2014169122A (ja) * 2013-03-05 2014-09-18 Sumitomo Electric Ind Ltd 線材結束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556B1 (ko) 2023-07-04
ES2921879T3 (es) 2022-09-01
HUE059668T2 (hu) 2022-12-28
JPWO2017014266A1 (ja) 2018-07-19
KR20180033461A (ko) 2018-04-03
EP3326921A4 (en) 2019-05-22
CN107709166A (zh) 2018-02-16
KR20200096321A (ko) 2020-08-11
CA2990149C (en) 2020-01-28
DK3326921T3 (da) 2022-08-15
JP2021004093A (ja) 2021-01-14
RU2689560C1 (ru) 2019-05-28
CA3065654C (en) 2023-10-24
WO2017014266A1 (ja) 2017-01-26
PL3326921T3 (pl) 2022-10-17
TW201718342A (zh) 2017-06-01
CN112644768B (zh) 2022-10-28
TWI707804B (zh) 2020-10-21
JP6981507B2 (ja) 2021-12-15
TW202108452A (zh) 2021-03-01
CL2017003253A1 (es) 2018-06-22
BR112017027388B1 (pt) 2023-03-21
TWI660886B (zh) 2019-06-01
SI3326921T1 (sl) 2022-10-28
RU2019103383A (ru) 2019-03-28
KR102435834B1 (ko) 2022-08-24
NZ738556A (en) 2019-03-29
US11313140B2 (en) 2022-04-26
LT3326921T (lt) 2022-08-25
EP4089019B1 (en) 2024-04-10
CA2990149A1 (en) 2017-01-26
EP4089019A1 (en) 2022-11-16
CN107709166B (zh) 2020-12-29
TW201919951A (zh) 2019-06-01
PT3326921T (pt) 2022-09-12
BR112017027388A2 (ko) 2018-08-21
AU2020200464A1 (en) 2020-02-13
IL256419A (en) 2018-02-28
CN112644768A (zh) 2021-04-13
AU2016294894B2 (en) 2020-02-27
RU2019103383A3 (ko) 2019-10-18
EP3326921B1 (en) 2022-06-22
AU2016294894A1 (en) 2018-01-18
RS63511B1 (sr) 2022-09-30
US20220220755A1 (en) 2022-07-14
TWI745083B (zh) 2021-11-01
JP6791141B2 (ja) 2020-11-25
IL256419B (en) 2022-04-01
US20200378140A1 (en) 2020-12-03
HRP20220997T1 (hr) 2022-11-11
KR102142497B1 (ko) 2020-08-07
US20180148943A1 (en) 2018-05-31
EP3326921A1 (en) 2018-05-30
RU2019142093A (ru) 2021-06-18
US10787828B2 (en) 2020-09-29
CA3065654A1 (en) 2017-01-26
RU2710785C2 (ru) 202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5834B1 (ko) 결속기
KR102414608B1 (ko) 결속기
KR102341046B1 (ko) 결속기
JP7004029B2 (ja) 結束機
RU2799425C2 (ru) Обвязочная маши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