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6292A -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 - Google Patents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6292A
KR20220116292A KR1020227025347A KR20227025347A KR20220116292A KR 20220116292 A KR20220116292 A KR 20220116292A KR 1020227025347 A KR1020227025347 A KR 1020227025347A KR 20227025347 A KR20227025347 A KR 20227025347A KR 20220116292 A KR20220116292 A KR 20220116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rocking
support
swing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미치 가메이
Original Assignee
마사미치 가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사미치 가메이 filed Critical 마사미치 가메이
Publication of KR20220116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6Oscillating, balancing or vibrating mechanisms connected to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tactile sense, e.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powered movement mechanisms
    • A61M2205/10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powered movement mechanisms reciproc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종래의 수면 유도 베드에 있어서의 요동 기구의 안정성이나 복잡한 구동 기구 등의 과제에 대하여, 보다 스무드한 요동이 가능하며 안정성이 우수한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1)는, 베드 본체(1a)를 베드의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복수 분산 배치된 요동 지지 장치(10)를 구비하고 있다. 요동 지지 장치(10)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부(11)와, 베드의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진자 부재(31)와, 지지부(11)의 상부와 진자 부재(31)의 하부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21)를 구비하고 있다. 진자 부재(31)의 상단부는 베드 본체(1a)의 하면측에 고정되며, 지지부(11)에 대하여 진자 부재(31)가 요동함으로써, 베드 본체(1a)가 좌우로 요동한다. 베드 본체(1a)와, 요동 지지 장치(10)를 구성하는 지지부(11)의 상부와의 사이에 구동 장치(40)를 마련함으로써, 지지부(11)에 대하여 베드 본체(1a)를 좌우로 요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면(入眠)을 촉진시킬 수 있는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베드의 매트리스 부분에 매립된 진동 장치에 의해 미(微)진동을 부여하는 진동식 베드나, 베드 자체를 요동시키는 요동식 베드가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인간의 헤드부의 상하 요동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신체에는, 수면에 필요한 기분 좋은 요동을 줘서 수면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한 수면 촉진용 요동 베드로서, 베드 기대(基臺)와, 베드 기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 프레임과, 요동 프레임에 지지되는 베드 바닥과, 요동 프레임을 베드 바닥과 함께 요동 구동하는 요동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요동 프레임의 요동 중심 축선이 베드 바닥 위에 앙와(仰臥)하는 사용자의 신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사용자의 헤드부를 세로로 통과하도록 한 수면 촉진용 요동 베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기대와, 베드 폭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체와, 기대에 장착되어 요동체를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구(驅動具)와, 취침자를 싣는 베드체로 이루어지고, 취침자의 요부(腰部)를 싣는 허리 베드체 부분을 베드 폭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요부를 중심으로, 근육이나 관절에 기분 좋은 횡요동(橫搖動)의 자극이나 운동을 부여하여, 쾌적한 수면을 제공하도록 한 요동 베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베드에 마련한 진동판에, 주행중의 전차의 진동 등과 같은 연속하는 미진동을 발생하는 연속 미진동 발생기와, 레일의 이음매에서 발생하는 진동 등과 같은 레일의 이음매에서 발생하는 진동 등과 같은 대체로 일정한 주기로 반복하는 단발적인 진동을 발생하는 간헐적 단발 진동 발생기를 마련하고, 누운 인체에 연속 미진동과 간헐적 단발 진동을 복합하여 작용시켜, 양호한 수면 도입 작용을 도모한 수면 유도 기능을 가지는 베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마사지나 리허빌리테이션을 시술하거나 수면의 유도를 촉구하는 요동 베드로서, 설치 장소에 배치되는 고정부와, 그 위에 배치된 피(被)요동부와, 피요동부를 왕복 이동시키는 요동용 구동부와, 고정부에 대하여 피요동부를 요동 방향을 따라 요동시키는 제 1 슬라이딩 기구와, 수직면에 의해 피요동부가 옆으로 어긋나는 것을 규제하는 제 2 슬라이딩 기구와, 각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각종의 센서 및 조작반(操作盤)을 구비한 인체용 요동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는, 요동 베드는 아니지만, 로킹 체어의 요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의 기대의 양측에 세워 마련된 지지 프레임의 상단으로부터 매달린 요동 링크의 하단에 의자 본체를 피봇 지지 연결한 요동 운동을 하는 의자의 좌판의 양측에 바닥면이 개방된 폭 좁은 박스상(狀)의 팔걸이대를 구비하고, 지지 프레임 및 링크 중 적어도 상부가, 이 팔걸이대의 박스 내에 수납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6에는, 요동이 스무드한 로킹 체어로서, 전후 방향으로 신장하는 좌우 한 쌍의 다리 부재와, 이 한 쌍의 다리 부재의 상방에 배치되어서 좌석을 재치(載置)하는 시트 베이스 부재와, 이 시트 베이스 부재로부터 하방으로 신장하는 좌우 한 쌍의 측판 부재와, 각 다리 부재로부터 시트 베이스 부재 방향으로 신장하는 좌우 한 쌍의 아암 부재와, 이 각 아암 부재의 상전부(上前部)와 각 측판 부재의 하전부(下前部)를 전후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전측 링크 부재와, 각 아암 부재의 상후부(上後部)와 각 측판 부재의 하후부(下後部)를 전후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후측 링크 부재를 마련하고, 각 아암 부재에 각각 고정된 제 1 전자석과, 이 제 1 전자석과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시트 베이스 부재에 각각 고정된 제 2 전자석을 마련한 로킹 체어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7에는, 베드 본체의 상면에 횡요판(橫搖板)을 마련하고, 횡요판을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한 건강 베드가 개시되어 있다. 횡요판의 왕복 운동은, 베드 본체에 고정된 변속 모터의 회전을, 하단을 베드 본체에 피봇 장착하고, 상단을 횡요판에 피봇 장착한 링크 로드에 전달함으로써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8에는, 로킹 체어의 시트면을 지지하는 베이스부가 2개의 링크 부재와 크랭크 부재를 개재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요동 구동 수단으로서의 모터의 교호 정역(正逆) 회전 및 일방향 회전을 요동의 진폭에 따라 제어하여, 요동 속도를 안정시키도록 한 릴렉스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9에는, 베드의 지지 프레임체와, 그 상면을 슬라이드하는 베드면 부재와, 구동력을 부여하는 중력 진동기를 구비한 수면 유도 베드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수면 유도 베드는 지지 프레임체와 베드면 부재가 복수의 링크 부재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0에는, 베드의 하부 지지재로서의 토대 상에, 베드의 상부 지지재로서의 보드 부분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기계식 전동 요동 베드가 개시되어 있으며, 베드 보드 부분은 베드 토대를 구성하는 횡재(橫材) 상에 세워 마련된 지주(支柱)와 그 지주의 상단의 아암에 마련된 서스펜션 부재를 개재하여 매달아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1에는, 입면의 원조나 졸음과 관련되는 릴랙세이션 효과의 검증에 있어서, 약 0.33~0.67㎐의 리듬 자극(약 30회/분)을 10분간 행하였을 경우와, 리듬 자극을 행하지 않았을 경우의 대조 실험에 의해, 리듬 자극을 행하였을 경우에 각성 의식 레벨이 저하되어, 생리적·주관적으로 릴렉스한 반응이 얻어졌다고 하는 실험 결과가 서술되어 있다. 또한, 모친이 건강하고 정서가 안정되어 있을 때의 리드미컬한 고동은 태아에게 안심감을 주는 소리와 진동이라고 말해지는, 손장단 등은 기분 좋다고 말해지는 「1/f 흔들림」을 나타낸다고 여기지고 있다는 인용 기재가 있다.
일본국 특허 제4590238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5086696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4-024678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8-139766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1-070075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1-276286호 공보 일본국 실용실안 출원소49-013113호(일본국 실용신안 공개소50-104804호)의 마이크로 필름 국제공개 제2009/128361호 중국 특허출원 공개 제105661993호 명세서 일본국 등록 실용신안 제3122978호 공보
히로이 도시미 외, 10분간의 주기적인 리듬 자극이 각성 의식 레벨에 미치는 영향, 일반 사단 법인 일본 간호 기술 학회, 일본 간호 기술 학회지, 2010년, Vol.9, No.2, pp 29-38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수면 촉진용 요동 베드는, 베드 바닥이 재치된 요동 프레임이, 삼각 형상의 매달림 아암을 개재하여 베드 전후단에 위치하는 사이드 프레임의 지지축에 축지지되고, 그 상태에서 요동 구동 수단에 의해 좌우로 요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요동 구동 수단은, 베드 기대의 바닥부 프레임의 중간부에 고정 지지된 브레이크 모터를 구동원으로서, 편심판, 편심축, 연결봉, 요동 아암 등을 개재하여 요동 프레임을 소정의 진폭으로 좌우로 요동 구동하도록 한 것이다.
이 특허문헌 1의 수면 촉진용 요동 베드의 경우, 사용자가 눕는 베드 바닥은 그 전후단이 전후의 사이드 프레임의 지지축에 대하여 삼각 형상의 매달림 아암을 개재하여 축지지되어 있는 것뿐이어서, 지지축과 베드 바닥의 매달림 아암의 접속부에 모든 부하가 작용하여, 사용자가 돌아 누워 베드의 편측으로 이동하였을 경우 등, 베드 바닥 혹은 요동 프레임에 작용하는 휨 응력이나 전단 응력이 커져서 안전 설계가 곤란해진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수면 촉진용 요동 베드에 이용되는 요동 구동 수단의 경우, 브레이크 모터, 편심판, 편심축, 연결봉, 요동 아암, 요동 프레임을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크고, 베드 전체가 대형화하는 것 외, 하부의 베드 기대와 상부의 베드 바닥의 사이에 큰 극간(隙間) 공간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되는 수면 유도 기능을 가지는 베드는, 전차의 진동을 모방한 진동을 부여하는 연속 미진동 발생기와 레일의 이음매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모방한 간헐적 단발 진동 발생기를 병용하는 것이지만, 진동 발생기에 의해 신체 중 어느 부분에 어떻게 저주파수의 진동이 가해지는 것인지 및 그 효과가 명확하지는 않다.
특허문헌 4에 기재되는 요동 베드는, 베드의 전후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피요동부가 옆으로 어긋나는 것을 규제하는 수단을 마련한 것이지만, 전후 방향 이외의 요동은 고려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7, 특허문헌 9, 특허문헌 10은, 각각 기구의 차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드 본체 혹은 지지 프레임의 상면에 면재(面材)를 설치하고, 면재를 베드 본체 혹은 지지 프레임의 상면에서 요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구동력에 있어서의 부하가 크다.
특허문헌 5, 특허문헌 6, 특허문헌 8에 기재되는 장치는, 로킹 체어에 관한 것이지만, 사람이 눕기 위한 베드에,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상기 서술한 종래의 수면 유도 베드는 요동 기구의 안정성이나 복잡한 구동 기구 등의 과제가 있지만, 본 발명은 요동식 베드에, 링크 부재를 이용한 로킹 체어의 요동 기구의 일부를 받아 들인 구조를 연구함으로써, 스무드한 요동이 가능하면서 또한 안정성이 우수한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드 본체와, 베드 본체를 베드의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 장치를 구비한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에 있어서, 요동 지지 장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베드의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진자(振子) 부재와, 지지부의 상부와 진자 부재의 하부를 연결하는 양단을 핀 접합으로 하여,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된 링크 부재를 구비하고, 진자 부재의 상단부가 베드 본체의 하면측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요동 지지 장치는, 베드 본체에 대하여, 복수 분산 배치함으로써, 베드 전체의 지지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베드의 네 귀퉁이에 가까운 부분에 각각 요동 지지 장치를 배치하는 형태 등이 생각된다. 또한, 베드의 긴 길이 방향(사용자의 신체 방향)의 전후, 혹은 전후 및 중간부에 배치하는 형태 등도 생각된다.
진자 부재는, 안정성 및 밸런스를 고려하였을 경우, 지지부의 베드 긴 길이 방향의 전후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구조적으로는 전측 혹은 후측 중 일방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지지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의 사이에, 그들의 부재에 끼워져 있는 형태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에 있어서, 베드 본체 및 그 위에 모로 눕는 사용자의 체중 등을, 복수 분산 배치된 지지부로 지지하는 구조로 하는 경우, 각 지지부가 구조적으로 안정된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구조로서는, 각 지지부를, 요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요동 방향 하부 수평재와, 그 한 쌍의 요동 방향 하부 수평재 사이를 잇는 한 쌍의 요동 직교 방향 하부 수평재와, 요동 방향 하부 수평재 상에 세워 마련된 4개의 기둥재와, 그들의 기둥재의 상면에 설치된 한 쌍의 요동 방향 상부 수평재와, 그 한 쌍의 요동 방향 상부 수평재 사이를 잇는 한 쌍의 요동 직교 방향 상부 수평재로, 직육면체 형상의 지지 프레임체를 형성한 구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는, 구동 장치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인력(人力)으로 요동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어떠한 구동 장치에 의해 요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여, 구동 장치의 동작에 의해 베드를 요동시킴으로써, 베드 위에 누운 사용자의 수면을 구동 장치의 제어에 의해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구동 수단은, 베드 본체의 측방으로부터 흔드는 형식의 것도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베드 본체와 요동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지지부의 상부와의 사이에서 수평 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장치를 마련하도록 하면, 특별한 스페이스가 불필요하여, 콤팩트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장치를 진자 부재 위치, 혹은 링크 부재 위치에 마련하고, 진자 부재, 혹은 링크 부재를 개재하여, 베드 좌우 방향의 수평력을 부가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에 있어서, 통상의 베드에서 이용되고 있는 매트리스 등은 베드 본체 상에 설치할 수 있다.
구동 장치에 의해 베드 본체를 요동시킬 때의 왕복 운동에 있어서의 진폭 D(편(片) 진폭)는 최대로 10㎝ 정도가 안전하고 쾌적한 수면을 주는 데에 있어서의 한계라고 생각되며, 바람직하게는 1.5㎝≤D≤8㎝ 정도의 범위 내에서 진폭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진폭이 지나치게 작으면 요동의 효과가 작고, 너무 크면 진동수와의 관계에서 가속도분의 힘이 가해져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D=8㎝ 혹은 D=10㎝ 정도이면, 구동 기구와의 관계에서도 설계가 비교적 용이하고, 또한 베드 주변의 물체와의 접촉 등도 문제가 되기 어렵다.
베드 본체의 왕복 운동에 있어서의 진동수 f는, 진폭과의 관계도 있지만 최대로 0.8㎐ 정도가 안전하고 쾌적한 수면을 주는 데에 있어서의 한계라고 생각되며, 바람직하게는 0.1㎐≤f≤0.7㎐ 정도의 범위 내에서 진동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진동수가 지나치게 작으면 요동의 효과가 작고, 너무 크면 진동수와의 관계에서 가속도분의 힘이 가해져 안정적인 상태가 유지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0.15㎐는 1분간에 9왕복(9T)이기 때문에 편측으로의 이동(진동의 반주기(半週期))의 타이밍이 성인의 통상 시의 호흡수 정도이며, 0.6㎐는 1분간에 36왕복이기 때문에 편측으로의 이동(진동의 반주기)의 타이밍이 1분간에 72회가 되어, 안정 상태의 고동 정도가 된다. 비특허문헌 1의 실험에서의 0.33~0.67㎐의 리듬 자극에 의한 각성 의식 레벨 저하, 릴렉스 효과나 모친이 건강하고 정서가 안정되어 있을 때의 리드미컬한 고동이 태아에게 주는 안심감, 손장단의 기분 좋음의 기재 등으로부터도 바람직한 범위라고 생각할 수 있다.
구동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의 구동 장치의 종류 등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리니어 서보모터(리니어 액추에이터, 샤프트 모터 등을 포함한다), 혹은 볼나사와 볼나사에 회전 운동을 부여하는 회전형(型) 모터를 구비한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리니어 서보모터나 볼나사의 경우, 요동부의 수평 방향의 요동을 콤팩트한 기구에 의한 직선 왕복 운동으로 실현할 수 있으며, 진폭이나 진동수의 가변 제어도 용이하다. 또한, 복수의 리니어 서보모터 혹은 볼나사를 배치하는 경우에도, 그들을 동기시켜서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에서는, 종래의 수면 유도 베드에 있어서의 요동 기구의 안정성이나 복잡한 구동 기구 등의 과제에 대하여, 베드 본체를 지지하는 요동 지지 기구로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베드의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진자 부재와, 지지부의 상부와 진자 부재의 하부를 연결하는 양단을 핀 접합으로 하여,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된 링크 부재를 구비하는 요동 지지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대단히 스무드한 요동이 가능하고, 지지 기구로서의 안정성도 높다.
상기 서술의 요동 지지 기구에 의해, 근소한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 스무드하게 요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출력이 작은 소형의 콤팩트한 구동 장치에 의한 요동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a)는 짧은 길이 방향의 연직 단면도, (b)는 긴 길이 방향의 연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동 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동 지지 기구의 짧은 길이 방향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동 지지 기구의 긴 길이 방향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4는, 본 발명의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의 (a)는 짧은 길이 방향의 연직 단면도, (b)는 긴 길이 방향의 연직 단면도, 도 2는 요동 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요동 지지 기구의 짧은 길이 방향의 정면도, 도 4는 요동 지지 기구의 긴 길이 방향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1)는, 베드 본체(1a)와, 베드 본체(1a)를 베드의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 장치(10)를 구비한 것이다. 이 예에서는 요동 지지 장치(10)를, 베드 본체(1a)의 네 귀퉁이에 합계 4개소 마련함으로써, 4개 요동 지지 장치(10)가 베드 본체(1a)를 요동 가능하게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요동 지지 장치(10)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부(11)와, 베드의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진자 부재(31)와, 지지부(11)의 상부와 진자 부재(31)의 하부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2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링크 부재(21) 및 진자 부재(31)를, 지지부(11)의 전후에 마련함으로써 안정성이 높으면서, 또한 밸런스가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지지부(11)의 상부와 진자 부재(31)의 하부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21)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이 예에서는 각각 2개 배치되어, 각 링크 부재(21)의 양단을 핀 접합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부(11)는, 요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요동 방향 하부 수평재(12)와, 요동 방향 하부 수평재(12) 사이를 잇는 한 쌍의 요동 직교 방향 하부 수평재(13)와, 요동 방향 하부 수평재(12) 상에 세워 마련된 4개의 기둥재(14)와, 그들의 기둥재(14)의 상면에 설치된 한 쌍의 요동 방향 상부 수평재(15)와, 요동 방향 상부 수평재(15) 사이를 잇는 한 쌍의 요동 직교 방향 상부 수평재(16)로, 직육면체 형상의 지지 프레임체를 형성한 구조로 하고 있다.
이 직육면체 형상의 지지 프레임체를 구성하는 지지부(11)의 상부에, 상기 서술의 진자 부재(31)가 핀 접합되고, 진자 부재(31)의 상단부는, 베드 본체(1a)의 하면측에 고정되고, 지지부(11)에 대하여, 진자 부재(31)가 요동함으로써, 베드 본체(1a)가 좌우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드 본체(1a)와 요동 지지 장치(10)를 구성하는 지지부(11)의 상부와의 사이에 구동 장치(40)를 마련하고, 지지부(11)에 대하여, 링크 부재(21) 및 진자 부재(31)를 개재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베드 본체(1a)를 좌우로 요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구동 장치(40)로서는, 예를 들면 리니어 서보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동 장치(40)에 의해 베드 본체(1a)를 요동시킬 때의 왕복 운동에 있어서의 진폭 D(편 진폭)는 최대로 10㎝ 정도, 바람직하게는 1.5㎝≤D≤8㎝ 정도의 범위 내에서 진폭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베드 본체의 왕복 운동에 있어서의 진동수 f는, 진폭과의 관계도 있지만 최대로 0.8㎐ 정도, 바람직하게는 0.1㎐≤f≤0.7㎐ 정도의 범위 내에서 진동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구동 장치(40)의 동작에 의해 베드(1a)를 요동시킴으로써, 베드 위에 누운 사용자(S)의 수면을 구동 장치의 제어에 의해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S…사용자
1…요동식 베드
1a…베드 본체
10…요동 지지 장치
11…지지부
12…요동 방향 하부 수평재
13…요동 직교 방향 하부 수평재
14…기둥재
15…요동 방향 상부 수평재
15a…핀 구멍
16…요동 직교 방향 상부 수평재
21…링크 부재
22…하부 힌지
22a…핀 구멍
23…상부 힌지
23a…핀 구멍
24…핀
31…진자 부재
32…기둥재
33…요동 방향 하부 수평재
33a…핀 구멍
40…구동 장치

Claims (6)

  1. 베드 본체와, 상기 베드 본체를 베드의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 장치를 구비한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에 있어서, 상기 요동 지지 장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베드의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진자 부재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와 상기 진자 부재의 하부를 연결하는 양단을 핀 접합으로 하여,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된 링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진자 부재의 상단부가 상기 베드 본체의 하면측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 본체에 대하여, 상기 요동 지지 장치가 복수 분산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자 부재는, 상기 지지부의 베드 긴 길이 방향의 전후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요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요동 방향 하부 수평재와, 상기 한 쌍의 요동 방향 하부 수평재 사이를 잇는 한 쌍의 요동 직교 방향 하부 수평재와, 상기 한 쌍의 요동 방향 하부 수평재 상에 세워 마련된 4개의 기둥재와, 상기 기둥재의 상면에 설치된 한 쌍의 요동 방향 상부 수평재와, 상기 한 쌍의 요동 방향 상부 수평재 사이를 잇는 한 쌍의 요동 직교 방향 상부 수평재로, 직육면체 형상의 지지 프레임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 본체에 대하여, 베드의 좌우 방향의 수평력을 부가하는 구동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자 부재 또는 상기 링크 부재에 대하여, 베드의 좌우 방향의 수평력을 부가하는 구동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
KR1020227025347A 2019-12-23 2020-12-11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 KR202201162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31830 2019-12-23
JPJP-P-2019-231830 2019-12-23
PCT/JP2020/046281 WO2021131793A1 (ja) 2019-12-23 2020-12-11 揺動式睡眠誘導ベッ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292A true KR20220116292A (ko) 2022-08-22

Family

ID=76574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5347A KR20220116292A (ko) 2019-12-23 2020-12-11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270261A1 (ko)
EP (1) EP4082396A1 (ko)
JP (1) JPWO2021131793A1 (ko)
KR (1) KR20220116292A (ko)
CN (1) CN114760885A (ko)
AU (1) AU2020413749A1 (ko)
BR (1) BR112022011020A2 (ko)
WO (1) WO20211317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0164A (en) * 2021-08-18 2023-03-01 Adiva Wellness Srl Improved rocking legs for a bed
US20230355003A1 (en) * 2022-05-05 2023-11-09 Chuan-Hang Shih Electric bed or chair movable along with ambient sounds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3113A (ko) 1972-06-02 1974-02-05
JPH11276286A (ja) 1998-03-30 1999-10-12 Iyobe Kogeisha:Kk ロッキングチェア
JP3122978B2 (ja) 1994-09-09 2001-01-09 新菱冷熱工業株式会社 送水圧力制御装置
JP2001070075A (ja) 1999-09-06 2001-03-21 Matsudaira Seisakusho:Kk ロッキングチェア
JP2004024678A (ja) 2002-06-27 2004-01-29 Fujikura Ltd 睡眠誘導機能付きの人体を休ませる装置
WO2009128361A1 (ja) 2008-04-18 2009-10-22 パナソニック電工 株式会社 リラックス装置
JP4590238B2 (ja) 2004-08-31 2010-12-01 タケウチテクノ株式会社 睡眠促進用揺動ベッド
JP5086696B2 (ja) 2007-05-28 2012-11-28 株式会社アテックス 揺動ベッド
CN105661993A (zh) 2016-03-28 2016-06-15 王安朝 矮床体动态睡眠养生床
JP2018139766A (ja) 2017-02-27 2018-09-13 アイクォーク株式会社 人体用揺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4804A (ko) 1974-01-19 1975-08-19
JPS50104804U (ko) * 1974-01-31 1975-08-28
JPS5426895U (ko) * 1977-07-26 1979-02-21
JPH0438765Y2 (ko) * 1986-04-25 1992-09-10
JPH0612715Y2 (ja) * 1988-10-12 1994-04-06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休息用家具
JP3122978U (ja) 2006-04-20 2006-06-29 瑩素 鐘 機械式電動揺りベッド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3113A (ko) 1972-06-02 1974-02-05
JP3122978B2 (ja) 1994-09-09 2001-01-09 新菱冷熱工業株式会社 送水圧力制御装置
JPH11276286A (ja) 1998-03-30 1999-10-12 Iyobe Kogeisha:Kk ロッキングチェア
JP2001070075A (ja) 1999-09-06 2001-03-21 Matsudaira Seisakusho:Kk ロッキングチェア
JP2004024678A (ja) 2002-06-27 2004-01-29 Fujikura Ltd 睡眠誘導機能付きの人体を休ませる装置
JP4590238B2 (ja) 2004-08-31 2010-12-01 タケウチテクノ株式会社 睡眠促進用揺動ベッド
JP5086696B2 (ja) 2007-05-28 2012-11-28 株式会社アテックス 揺動ベッド
WO2009128361A1 (ja) 2008-04-18 2009-10-22 パナソニック電工 株式会社 リラックス装置
CN105661993A (zh) 2016-03-28 2016-06-15 王安朝 矮床体动态睡眠养生床
JP2018139766A (ja) 2017-02-27 2018-09-13 アイクォーク株式会社 人体用揺動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히로이 도시미 외, 10분간의 주기적인 리듬 자극이 각성 의식 레벨에 미치는 영향, 일반 사단 법인 일본 간호 기술 학회, 일본 간호 기술 학회지, 2010년, Vol.9, No.2, pp 29-3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413749A1 (en) 2022-07-14
BR112022011020A2 (pt) 2022-08-16
EP4082396A1 (en) 2022-11-02
WO2021131793A1 (ja) 2021-07-01
CN114760885A (zh) 2022-07-15
JPWO2021131793A1 (ko) 2021-07-01
US20230270261A1 (en) 202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5173C (zh) 放松设备
US7591035B2 (en) Bed with movable matress
KR20220116292A (ko) 요동식 수면 유도 베드
US20170318978A1 (en) Smart Rocking Bed Device and System
KR101661209B1 (ko) 목 지압기
WO2020208950A1 (ja) 揺動式睡眠誘導ベッド
JP2020054797A (ja) 揺動式睡眠誘導ベッドおよびベッド用水平揺動装置
US2448162A (en) Therapeutic exercise table
JP2020171679A (ja) 揺動式睡眠誘導ベッド
JPH10328262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CN111467177A (zh) 一种弧形往复摆动机构及其装置
WO2021188015A1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ый укачивающий матрас
WO2001028487A1 (en) Belt massage method and device for seat
KR200454691Y1 (ko) 복합안마기
JP2016135224A (ja) 律動装置
CN212395318U (zh) 一种弧形往复摆动机构及其装置
JP7221326B2 (ja) 身体揺動装置
RU10061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кресло-качалка
CN1235820A (zh) 电动健身消闲椅
CN2167706Y (zh) 按摩保健椅
JP7276873B2 (ja) ストレッチング装置
US20230143155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Person in a Prone Position Comprising a Movable Platform
CN215190415U (zh) 一种弹簧片振子及弹簧片振子式自摇摆坐躺椅
US2910060A (en) Massage machine
KR20230045042A (ko) 신체 밸런스 교정 장치 및 신체 밸런스 교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