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209B1 - 목 지압기 - Google Patents

목 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209B1
KR101661209B1 KR1020150143949A KR20150143949A KR101661209B1 KR 101661209 B1 KR101661209 B1 KR 101661209B1 KR 1020150143949 A KR1020150143949 A KR 1020150143949A KR 20150143949 A KR20150143949 A KR 20150143949A KR 101661209 B1 KR101661209 B1 KR 101661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neck support
bottom plate
base
driv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만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43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4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18C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61H2201/1611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개처럼 머리에 베고 누워서 후두부를 마사지할 수 있는 목 지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머리를 받칠 수 있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나란하게 이격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상호 접근과 이격을 반복하면서 목 부위를 마사지하는 한 쌍의 목 받침부(120)와,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130)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부여받은 회전력을 좌우방향 이동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목 받침부로 전달하는 캠 유닛(140)을 포함하는 목 지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목 지압기{Apparatus for neck massage}
본 발명은 베개처럼 머리에 베고 누워서 후두부를 마사지할 수 있는 목 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두부에는 경추가 위치하는데, 경추는 요추나 흉추와는 달리 운동범위가 넓고 움직이는 빈도도 잦기 때문에 각종 질환이 발생하기 쉽다.
뿐만 아니라, 생활 중 스트레스나 나쁜 자세습관 등으로 인하여 경추가 긴장하게 되면 경추를 지나는 후두부 신경이나 추골동맥 등이 폐색되면서 후두하부에 압박이 가해져 교감신경이 활성화되어 심신이 불안정하고 불면증세를 보이는 등 건강상의 큰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예로서, 후두부에 누적된 피로를 해소해 줄 수 있는 '베개식 경혈지압기'가 국내등록특허 제936835호를 통해 알려져 있다.
상기 베개식 경혈지압기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표면 중앙에는 후두부 경혈에 해당하는 제1관통공이 다수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상기 제1관통공을 통해 상하로 출몰되는 제1지압돌기가 구비된 제1지압판과, 상기 제1지압돌기가 상기 제1관통공을 통해 출몰하도록 제1지압판을 승강시키는 모터를 이용한 제1승강수단으로 구성되어, 제1모터가 구동되면 제1지압판이 승강하면서 제1지압돌기가 제1관통공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고 상부로 돌출된 제1지압돌기가 사용자의 후두부의 경혈을 자극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베개식 경혈지압기는 사용자가 머리에 베고 누운 편안한 상태에서 후두부에 분포되어 있는 경혈을 자극받음으로써 심신의 피로를 풀 수 있도록 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는 있으나, 단순히 경혈만 자극하는 정도로는 후두부의 뭉친 근육을 풀어주지 못하기 때문에 심신의 피로를 효과적으로 해소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27636호 (2006.07.19.) 실용신안등록 제20-0233455호 (2001.05.28.)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베개처럼 머리를 베고 누운 편안한 상태에서 후두부의 뭉친 근육을 효과적으로 풀어줄 수 있는 목 지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 지압기는 머리를 받칠 수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나란하게 이격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상호 접근과 이격을 반복하면서 목 부위를 마사지하는 한 쌍의 목 받침부와,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부여받은 회전력을 좌우방향 이동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목 받침부로 전달하는 캠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 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를 따라 구름 운동하며 좌우로 돌출된 회전축을 가진 승강롤러와, 상기 승강롤러와 목 받침부 사이에 고정되어 목 받침부의 좌우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승강롤러를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하단은 승강롤러의 회전축에 힌지 결합되고 상단은 가이드부재를 사이에 두고 목 받침부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링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좌우방향으로 슬롯홀이 형성되고, 상기 목 받침부의 저면에는 상기 슬롯홀을 통과하여 링커의 상단과 연결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링커는 목 받침부들이 구동모터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호 근접된 초기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 받침부는 목 부분과 접촉되는 상면이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 처리된 단면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결합된 머리부를 감싸는 프로파일을 가진 지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상부에 결합되며 머리부를 감싸는 프로파일을 가진 메모리폼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지압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베개처럼 편안하게 베고 누울 수 있는 베이스의 내부에 구동모터에 의해 동작되는 캠 유닛을 통해 사용자의 목 부분(후두부)을 좌우방향으로 오므렸다 벌렸다를 반복하면서 마사지해 주는 목 받침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혈만을 자극하던 종래와는 달리 목 부분을 지나는 신경중추를 직접적으로 자극하여 자율신경 조절을 원활하게 하고 교감신경계의 긴장을 현저하게 완화시켜 줌과 동시에 목 부분의 뭉친 근육도 함께 풀어줄 수 있게 되므로 건강이 크게 증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캠부재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롤러의 회전축에 링커들을 힌지 결합시키고 각 링커의 상단에는 목 받침부를 힌지 결합시킴과 아울러 목받침부와 링커 사이에 가이드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목 받침부들이 가이드부재를 따라 승강롤러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원활하게 왕복 이동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마사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에 좌우방향으로 슬롯홀이 형성되고 목 받침부의 저면에는 상기 슬롯홀을 통과하여 링커의 상단과 연결되는 돌기가 형성되면 목 받침부의 이동이 보다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링커들이 탄성부재를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경우에 목 받침부들이 구동모터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상호 근접된 초기상태로 복귀할 수 있게 되므로 이후 재사용시 사용자가 베이스에 머리를 베고 누울 때 목 받침부가 항상 목 부분의 중앙을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므로 언제나 편안하고 안전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목 받침부가 상면이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 처리된 단면을 가지는 경우에 사용자의 목 부분을 매우 부드럽게 마사지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베이스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결합된 머리부를 감싸는 프로파일을 가진 지지부재를 구비한 경우 제작이 간편하고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베이스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상부에 결합되며 머리부를 감싸는 프로파일을 가진 메모리폼을 구비한 경우 메모리폼의 쿠션력으로 인하여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지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지압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주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지압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지압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베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지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지압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주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지압기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 지압기는 베이스(110)와, 한 쌍의 목 받침부(120)와, 구동모터(130)와, 캠 유닛(140)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110)는 베개처럼 머리를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일정 형상을 가진 부재로서, 내부에는 목 받침부(120)와 구동모터(130)와 캠 유닛(140)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110)는 바닥판(111)과 상기 바닥판(111)의 상면에 결합된 지지부재(1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112)는 사용자가 베이스(110)를 베고 누웠을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머리부를 감싸는 프로파일을 가진다.
상기 지지부재(112)는 단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제작이 간편하고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판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112)는 사용자의 머리부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바닥판(111)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110)는 상부로부터 작용하는 머리부의 하중으로 인하여 바닥판(111)에 결합된 지지부재(112)가 쓰러지지 않도록 각 지지부재(112)들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주기 위한 보강부재(1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13)는 바닥판(111)에 결합된 판상의 단일 부재로서 지지부재(112)들을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하여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지지부재(112)의 저부와 보강부재(113)의 상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개방슬롯(112a,113a)이 형성되어 상기 개방슬롯(112a,113a)을 통해 지지부재(112)와 보강부재(113)가 견고하게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보강부재(113)는 전방과 후방에 배치된 지지부재(112)들에 밀착되도록 각 지지부재(112)들 사이마다 바닥판(111)에 결합된 다수의 블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112) 및 보강부재(113)의 저면에는 결합돌기(114)가 형성되고 바닥판(111)에는 상기 결합돌기(114)에 대응되는 결합홈(115)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112) 및 보강부재(113)가 바닥판(111)의 결합홈(115)에 끼움결합을 통해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110)의 내부에는 목 부위를 마사지하는 한 쌍의 목 받침부(120)가 설치된다. 상기 목 받침부(120)는 사용자의 목 부분과 접촉 및 밀착되는 상면이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 처리된 단면을 가진 막대 형상으로서, 전후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이격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상호 접근과 이격을 반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110)의 내부에는 구동모터(13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130)는 바닥판(111)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베이스(110)의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외부에 설치된 컨트롤러(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컨트롤러(C)의 조작을 통해 동작이 제어된다. 이와 같은 구동모터(130)는 회전축(131)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 회전력은 캠 유닛(140)을 통해 좌우방향 이동력으로 변환되어 상기 목 받침부(120)로 전달된다.
상기 캠 유닛(140)은 상기 구동모터(130)의 회전축(131)의 단부에 설치된 캠부재(141)와, 상기 캠부재(141)의 상면에 접촉되어 캠부재(141)를 따라 구름 운동하며 좌우로 돌출된 회전축(142a)을 가진 승강롤러(142)와, 상기 승강롤러(142)와 목 받침부(120) 사이에 고정되어 목 받침부(120)의 좌우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43)와, 상기 승강롤러(142)를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 각각 상부가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며 하단이 승강롤러(142)의 회전축(142a)에 힌지 결합되고 상단이 가이드부재(143)를 사이에 두고 목 받침부(120)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링커(144)를 구비한다.
이중, 상기 가이드부재(143)는 캠부재(141)을 중심으로 좌우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각 가이드부재(143)는 바닥판(111)에 고정된 수직부(143a)와 상기 수직부(143a)의 상단에 형성된 수평부(143b)를 구비한다. 상기 수평부(143b)에는 좌우방향으로 슬롯홀(143c)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홀(143c)은 목 받침부(120)의 좌우 이동구간을 포함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목 받침부(120)의 좌우 이동구간은 사용자의 목 부분을 지압하는 구간에 맞추어 설정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43)의 수직부(143a)에는 링커(144)가 통과하는 제1관통공(143d)과 구동모터(130)의 회전축(131)이 통과하는 제2관통공(143e)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목 받침부(120)의 저면에는 상기 슬롯홀(143c)을 통과하여 링커(144)의 상단과 연결되는 돌기(12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링커(144)는 목 받침부(120)들이 구동모터(130)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호 근접된 초기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150)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베이스(110)는 머리부(120)와 구동모터(130) 및 캠 유닛(140)이 외부로 노출되어 손상됨과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동모터(130)와 캠 유닛(140)이 사용자의 머리부(머리카락)와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별도의 커버링 부재를 통해 감싸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커버링 부재는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쿠션력을 가져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목지압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베이스(110)를 머리에 베고 누운 상태에서 컨트롤러(C)를 조작하여 구동모터(130)를 구동시키면 구동모터(130)의 회전축(131)이 일측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축(131)에 설치된 캠부재(141)가 회전축(131)을 따라 일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캠부재(141)가 회전하면 승강롤러(142)가 캠부재(141)를 따라 구름이동하면서 일정구간을 반복적으로 승강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지압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롤러(142)가 상승하면 승강롤러(142)에 하단이 힌지 결합된 링커(144)도 승강롤러(142)를 따라 동반상승하게 되는데, 링커(144)의 상단은 가이드부재(143)에 의해 상승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링커(144)는 승강롤러(142)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 결과 링커(144)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목 받침부(120)가 가이드부재(143)의 슬롯홀(143c)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일정거리를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캠부재(141)가 회전하여 승강롤러(142)가 하강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벌어졌던 링커(144)가 오므려지면서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 결과 링커(144)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목 받침부(120)가 가이드부재(143)의 슬롯홀(143c)을 따라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의 목 받침부(120)는 사용자의 목 부분(후두부)을 받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목 부분을 좌우방향으로 마사지하게 된다. 목 받침부(120)는 상면이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목 부분을 매우 부드럽게 마사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각 목 받침부(120)는 링커(144)에 의하여 승강롤러(142)를 중심으로 동시에 동일한 거리를 좌우로 왕복 이동하므로 매우 원활한 마사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목 받침부(120)들이 상호 근접 및 이격되게 왕복 이동하면서 목 부분을 좌우방향으로 맛사지 하는 동작은 마치 손바닥에 후두부를 얹어 놓고 손바닥을 오므렸다 벌렸다 하면서 대뇌반구의 제4뇌실을 압박하는 이른바 CV4(Compression of 4th Ventricle) 테크닉과 매우 유사한 형태로서, 뇌실벽이나 뇌실 안에 있는 신경중추를 자극함으로써 자율신경 조절을 원활하게 하고 교감신경계의 긴장을 현저하게 완화시는 CV4 테크닉과 동일한 건강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컨트롤러(C)를 조작하여 구동모터(130)를 정지시키면 목 받침부(120)의 동작이 중지되는데 링커(144)를 상호연결시키는 탄성부재(150)가 설치된 경우에는 목 받침부(120)가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동작이 중지되더라도 상기 탄성부재(150)에 의하여 상기 목 받침부(120)는 상호 근접된 초기상태로 자동으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이후 재사용시 사용자가 베이스(110)에 머리를 베고 누울 때 목 받침부(120)가 항상 목 부분의 중앙을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므로 사용자는 언제나 편안하고 안전한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해진다.
도 6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베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0)는 바닥판(111)과 상기 바닥판(111) 상부에 결합되며 머리부를 감싸는 프로파일을 가진 메모리폼(116)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닥판(111)에는 목 받침부(120)와 구동모터(130)와 캠 유닛(14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폼(116)은 상기 바닥판(111) 및 목 받침부(120)와 구동모터(130)와 캠 유닛(140)이 설치 및 동작되는 공간(S)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점유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모리폼(116)의 쿠션력으로 인하여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10: 베이스 111: 바닥판
112: 지지부재 116: 메모리폼
120: 목 받침부 121: 돌기
130: 구동모터 140: 캠 유닛
141: 캠부재 142: 승강롤러
142a: 회전축 143: 가이드부재
143c: 슬롯홀 144: 링커
150: 탄성부재

Claims (7)

  1. 머리를 받칠 수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나란하게 이격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상호 접근과 이격을 반복하면서 목 부위를 마사지하는 한 쌍의 목 받침부,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부여받은 회전력을 좌우방향 이동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목 받침부로 전달하는 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캠 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캠부재,
    상기 캠부재를 따라 구름 운동하며 좌우로 돌출된 회전축을 가진 승강롤러,
    상기 승강롤러와 목 받침부 사이에 고정되어 목 받침부의 좌우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승강롤러를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하단은 승강롤러의 회전축에 힌지 결합되고 상단은 가이드부재를 사이에 두고 목 받침부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링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지압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좌우방향으로 슬롯홀이 형성되고, 상기 목 받침부의 저면에는 상기 슬롯홀을 통과하여 링커의 상단과 연결되는 돌기가 형성된 목 지압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링커는 목 받침부들이 구동모터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호 근접된 초기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를 통해 상호 연결된 목 지압기.
  5. 제1항에서,
    상기 목 받침부는 목 부분과 접촉되는 상면이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 처리된 단면을 가진 목 지압기.
  6. 제1항에서,
    상기 베이스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결합된 머리부를 감싸는 프로파일을 가진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목 지압기.
  7. 제1항에서,
    상기 베이스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상부에 결합되며 머리부를 감싸는 프로파일을 가진 메모리폼을 포함하는 목 지압기.
KR1020150143949A 2015-10-15 2015-10-15 목 지압기 KR101661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949A KR101661209B1 (ko) 2015-10-15 2015-10-15 목 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949A KR101661209B1 (ko) 2015-10-15 2015-10-15 목 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209B1 true KR101661209B1 (ko) 2016-10-04

Family

ID=5716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949A KR101661209B1 (ko) 2015-10-15 2015-10-15 목 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20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143A1 (ko) * 2017-08-30 2019-03-07 (주)디엠비에이치 베개형 목 마사지 장치
CN109568100A (zh) * 2018-12-21 2019-04-05 奥佳华智能健康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颈部按摩机
KR20190040588A (ko) 2017-10-11 2019-04-19 주식회사 리웨이 후두부 지압기
CN110973935A (zh) * 2019-12-28 2020-04-10 和也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保健枕头
KR20210026418A (ko) * 2019-08-30 2021-03-10 (주)디엠비에이치 마사지 강도조절이 가능한 베개형 마사지 장치
KR102522583B1 (ko) * 2021-10-28 2023-04-19 쥬빌리바이오텍 주식회사 다종 마사지 모듈이 구비된 웨어러블 안마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235A (ko) * 2001-06-26 2001-08-22 류재현 목 안마기
KR200233455Y1 (ko) 2000-12-20 2001-09-25 한상학 베개
KR20040005003A (ko) * 2002-07-08 2004-01-16 한정민 경부 물리 운동장치
KR200427636Y1 (ko) 2006-07-19 2006-09-28 김형수 후두부받침대를 구비한 경침
KR20090019376A (ko) * 2007-08-21 2009-02-25 김선도 복합기능 숙면 유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455Y1 (ko) 2000-12-20 2001-09-25 한상학 베개
KR20010079235A (ko) * 2001-06-26 2001-08-22 류재현 목 안마기
KR20040005003A (ko) * 2002-07-08 2004-01-16 한정민 경부 물리 운동장치
KR200427636Y1 (ko) 2006-07-19 2006-09-28 김형수 후두부받침대를 구비한 경침
KR20090019376A (ko) * 2007-08-21 2009-02-25 김선도 복합기능 숙면 유도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143A1 (ko) * 2017-08-30 2019-03-07 (주)디엠비에이치 베개형 목 마사지 장치
KR20190023879A (ko) * 2017-08-30 2019-03-08 (주)디엠비에이치 베개형 목 마사지 장치
KR101972488B1 (ko) 2017-08-30 2019-08-23 (주)디엠비에이치 베개형 목 마사지 장치
KR20190040588A (ko) 2017-10-11 2019-04-19 주식회사 리웨이 후두부 지압기
KR101978471B1 (ko) * 2017-10-11 2019-05-14 주식회사 리웨이 후두부 지압기
CN109568100A (zh) * 2018-12-21 2019-04-05 奥佳华智能健康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颈部按摩机
CN109568100B (zh) * 2018-12-21 2024-04-12 奥佳华智能健康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颈部按摩机
KR20210026418A (ko) * 2019-08-30 2021-03-10 (주)디엠비에이치 마사지 강도조절이 가능한 베개형 마사지 장치
KR102239733B1 (ko) 2019-08-30 2021-04-19 (주)디엠비에이치 마사지 강도조절이 가능한 베개형 마사지 장치
CN110973935A (zh) * 2019-12-28 2020-04-10 和也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保健枕头
KR102522583B1 (ko) * 2021-10-28 2023-04-19 쥬빌리바이오텍 주식회사 다종 마사지 모듈이 구비된 웨어러블 안마기
WO2024071515A1 (ko) * 2021-10-28 2024-04-04 쥬빌리바이오텍 주식회사 다종 마사지 모듈이 구비된 웨어러블 안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209B1 (ko) 목 지압기
CN102871823B (zh) 一种脊椎运动康复器
KR101839919B1 (ko) 기능성 수면 베개
KR20200136286A (ko) 공기압을 이용한 경추 견인형 스트레칭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CN101019804B (zh) 一种带有足底保健按摩装置的理疗床
KR101649416B1 (ko) 머리 이완용 베개
WO2022164054A1 (ko) 승모근 지압형 마사지장치
US20240065936A1 (en) Piston acupressure device for spine massage
KR20200136285A (ko) 경추 후두하근 마사지장치
KR102347774B1 (ko) 목 근육 이완 베개
KR20190115403A (ko) 여행용 안마 베개
CN203139089U (zh) 振背器
KR20190002647U (ko) 안마 기능을 갖는 침대 시스템
KR101978471B1 (ko) 후두부 지압기
CN202909048U (zh) 一种脊椎运动康复器
KR100567191B1 (ko) 척추자극 치료 맛사지기
KR20020048882A (ko) 마사지베개
CN209203937U (zh) 一种健腰按摩枕
KR20210000224U (ko) 에어매트리스가 채용된 롤링 마사지 침대
KR20210132831A (ko) 경추의 견인운동을 통한 마사지장치
KR20220110372A (ko) 승모근 지압형 마사지장치
KR101982524B1 (ko) 샴푸 목받침대 및 미용실용 샴푸장치
KR20210133333A (ko) 경추굴곡 감지를 통한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101809852B1 (ko) 발 안마기
KR200444398Y1 (ko) 에어백을 이용한 결합형 발 마사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