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8882A - 마사지베개 - Google Patents

마사지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8882A
KR20020048882A KR1020010079719A KR20010079719A KR20020048882A KR 20020048882 A KR20020048882 A KR 20020048882A KR 1020010079719 A KR1020010079719 A KR 1020010079719A KR 20010079719 A KR20010079719 A KR 20010079719A KR 20020048882 A KR20020048882 A KR 20020048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age
pillow
shoulder
support
side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재수
Original Assignee
백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재수 filed Critical 백재수
Publication of KR20020048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88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수면시에 인체의 경부내 경추를 교정 및 보호해주고 동시에 어깨를 안마나 지압할 수 있는 마사지베개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마사지베개는 사용자의 목을 바로 누운 자세에서 일정높이로 괴어주도록 베개본체 중앙에 형성된 목베개부(110), 옆으로 돌아눕는 경우 어깨만큼 높은 위치에서 사용자의 옆얼굴을 일정높이로 받쳐주도록 양측에 형성된 옆얼굴받침부(120,120'), 사용자의 양 어깨에 밀착하기 위한 어깨지지부(130,130'), 그리고 어깨지지부에서 어깨와 접촉하여 안마나 지압하도록 작동되는 안마구(140,140')를 구비한다. 목베개부와 옆얼굴지지부는 신체조건을 감안하여 경추를 바른 자세로 유지하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안마구는 내부에 액츄에이터로 작동되며, 어깨지지부와 함께 어깨에 대해 이동조절이 가능하다. 즉, 목베개부를 바로 베고 눕거나 또는 옆얼굴받침부를 베고 옆으로 누워서 수면을 취하면서 그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어깨를 안마나 지압할 수 있다. 따라서 경추교정과 함께 어깨를 마사지하여 흔히 경부통증과 어깨결림을 동시에 해소하여 안락한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마사지베개{Cervical pillow be able to massage shoulder}
본 발명은 누워서 쉬거나 수면을 취할 때 어깨를 안마하면서 경추를 교정 및 보호해주는 마사지베개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람이 일과후 신체적 통증을 호소하게 되는데, 특히 목의 뻐근함과 함께 어깨결림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흔히 과로나 스트레스 또는 장시간에 걸친 잘못된 근무자세 등에 기인하며, 그 경우 경추가 비정상적으로 굴신되고, 어깨근육이 심하게 경직되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수면시 경추교정용 베개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경직된 어깨근육은 안마나 지압으로 최소한 수면전에 풀어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경추교정용 베개는 사용자의 편리와 보다 효과적인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어깨를 안마나 지압할 수 있는 기능을 겸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안마나 지압기능을 겸한 베개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235058, 공개번호 10-1998-072871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은 경추교정용으로 부적합하며, 또 어깨를 안마 또는 지압할 수 없는 것이다.
종래에 시판되고 있는 안마 또는 지압을 위한 기구는 대체로 핸디형과 침구형 등이 있는데, 핸디형은 비교적 저렴하나 기구를 잡고 직접 신체의 특정부위를 눌러주는 수고를 하여야 하므로 사용상 번거럽고, 침구형은 고가이고 공간을 많이 차지함은 물론, 구조적으로 경추와 어깨결림을 동시에 해결해 줄 수 없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경추교정을 위한 베개는 연령별 체형별 신체조건이 사람마다 다른 점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고, 특히 베개가 사용자에 대해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아 사용중 유동됨으로써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출원인은 선출원(특허출원 10-2001-0065358)을 통하여, 경추교정을 위한 목베개부의 형상을 최적화하고, 목베개부와 그 양옆의 옆얼굴지지부를 각 자의 신체조건에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어깨에 밀착조절할 수 있는 어깨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해 베개가 유동되지 않게 하여 경추교정의 확실한 효과를 꾀한 바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선출원발명의 베개가 사용자의 어깨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로 된 점에 착안하여, 그 어깨지지부를 이용하여 어깨를 안마 또는 지압해 줄 수 있는 마사지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베개의 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실시된 마사지베개의 일측 옆얼굴지지부에 대한 횡단면도.
도 3은 도 1에 실시된 마사지베개를 바로 베고 누워 있는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1에 실시된 마사지베개를 옆으로 베고 누워 있는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베개에 마사지수단을 복수로 배치한 여러 가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들.
도 6은 도 5a에 실시된 마사지베개의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베개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실시된 마사지베개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7에 실시된 마사지베개의 횡단면도.
도 10은 도 7에 실시된 마사지베개의 밴드 걸이부분 단면도.
도 11은 도 7에 실시된 마사지베개의 사용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베개본체 110 : 목베개부
120,120' : 옆얼굴지지부 130,130' : 어깨지지부
140,140' : 안마구 150,150' : 액츄에이터
160 : 조작부 170,170' : 보조블록
180,180' : 머리고정밴드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베개는, 사용자의 목을 바로 누운 자세에서 일정높이로 받쳐주기 위한 목베개부와, 이 목베개부의 좌우측 양 옆으로 돌아눕는 사용자의 옆얼굴을 그 목베개부보다 높은 일정높이로 받쳐주기 위한좌우측 옆얼굴받침부와, 각 옆얼굴받침부의 전방측 측면으로 사용자의 양 어깨를 각각 밀착시켜주기 위한 어깨지지부를 구비하고, 그 어깨지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양 어깨를 각각 안마나 지압하는 마사지수단을 포함하여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사지수단으로 어깨의 정확한 부위를 안마 또는 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어깨지지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며, 더 나아가서는 사용자 머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줄 수 있는 머리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사지수단을 어깨의 굴곡에 따라 복수로 배치하고, 각 마사지수단을 해당 어깨부위에 대해 길이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각 마사지수단은 어깨를 국부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형상의 안마구와 이 안마구를 어깨에 대해 반복적으로 진동시키도록 전기로 작동되는 액츄에이터 및 그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베개는, 그 첫 번째 실시예를 보인 도 1과 같이, 중앙의 목베개부(110)와 좌우 양옆의 옆얼굴받침부(120,120')를 일체로 형성하고, 옆얼굴받침부(120,120') 내부에는 그 전면으로 돌출하여 사용자 어깨에 대해 길이조절할 수 있는 어깨지지부(130,130')를 설치하고, 그 어깨지지부(130,130') 전면에 마사지수단의 안마구(140,140')를 설치하고 이를 진동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를 그 내부에 장착하였다.
목베개부(110)는 목둘레와 경추의 굴곡도를 고려하여 정면에서 볼 때 대략반원형으로 오목하고 중심부 종단면이 대략 반원형으로 볼록하며, 후방에는 둥근머리의 형태와 무게를 분산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오목한 만곡부가 형성된 것이다(도 9참조). 이러한 목베개부(110)의 형상은 상기 선출원에 잘 설명되어 있다. 또한 선출원에 예시되어진 바와 같이, 목베개부(11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공간을 이용하여 건강에 유익한 재료를 수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목베개부(110) 표면은 예를 들면 인체와 친화성이 높은 실리콘고무나 폴리우레탄 등 부드러운 재질로 된 피복(111)으로 씌워져 안착감이 더욱 높아졌으며, 거기에 다수의 돌기(112)가 형성되어 있어 수면시 목과 두부를 지압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옆얼굴받침부(120,120')는 그 상면이 신체의 옆얼굴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약간 오목하고, 옆으로 누웠을 때 경추와 흉추가 바닥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쪽 어깨 넓이를 고려한 높이로 형성되었다. 이 옆얼굴받침부(120,120')에는 그 전면측으로 개구된 수납부(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거기에 어깨지지부(130,130')가 수납되어 있다.
어깨지지부(130,130')는, 도 2를 참조하면, 옆얼굴받침부(120,120')의 수납부(121)에서 전방측, 즉 사용자 어깨쪽으로 이동조절가능한 것으로, 그 후면에 일체로 형성된 너트부(131)를 가지고 있다. 너트부(131)는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별도의 너트 요소를 인서트하는 것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이하 같다). 이 너트부(131)에 나사결합된 볼트부재(132)는 옆얼굴받침부(120,120') 후면을 관통한 채 스냅링(133)으로 고정되어 외부로 빠지지 않고 공회전가능한 상태로 외부에서조작할 수 있다. 즉, 볼트부재(132)를 조작하여 회전시키면, 그 볼트부재(132)가 끼워진 너트부(131)가 그 회전에 따른 나선진행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여 어깨지지부(130,130') 전체가 이동조절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춰서 어깨지지부(130,130')를, 상세히는 거기에 설치된 안마구(140,140')를 어깨에 잘 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어깨지지부(120,120')의 전후조절은 안마구(140,140')를 사용자 목길이에 따라 조정하기 위한 것이지만, 간단하게는 고정형으로서 옆얼굴지지블록과 일체로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안마구(140,140')는 탄성재질로서 신체를 국부적으로 지압할 수 있는 다수의 돌기(141)를 가지고 있으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깨지지부(130) 전면에 뚫어놓은 구멍(134)에서 진동가능하게 놓이고 이탈하지 않게 그 구멍(134) 안쪽에 스크류(부호 생략)로 고정되어 있다.
어깨지지부(130)에는 안마구(140)를 진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150)가 장착되어 있다. 액츄에이터(150)는 예컨대 직선운동하는 플런저(151)를 갖는 솔레노이드를 사용하거나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설치하고 편심추나 캠을 이용한 진동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플런저(151)는 그 끝에 연결구(152)를 통해 안마구(140)와 연결되어 있다. 플런저(151)는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의 액츄에이터(150)가 전류신호로 작동(여자)될 때 자력에 의해 안쪽으로 당겨지고 그 전류신호가 차단되면 리턴스프링(153)으로 복귀한다. 따라서 전류신호를 원하는 주기로 단속하여-모터의 경우는 회전속도를 조절하여-인가함으로써플런저(151)를 빠르게 혹은 느리게 출몰시키고 이에 따라 안마구(14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액츄에이터(150)를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는 플런저(151) 후단에는 플랜지(154)가 달려있고, 그 안쪽에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재(15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150)도 브래킷(156)도 다른 완충부재(156)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일측 옆얼굴받침부(130)의 측면에 설치된 조작부(160)는 상기한 액츄에이터(150)의 구동회로를 내장하고 있다. 구동회로는 통상적인 것이지만, 바람직하게는 전원스위치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구동방식을 선택 할 수 있는 조작버튼들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머를 내장하여 안마시간을 조절하고, 액츄에이터의 신호주기(속도조절이)나 간헐적 구동으로 안마형태를 선택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한 마사지베개의 사용상태를 보인다. 도 3과 같이 바로 누운상태는 물론, 옆으로 돌아누운 경우(도 4)에도 안마구(140,140')를 어깨에 접촉시켜 안마가 가능하다. 또한 안마중일지라도 그 안마구(140,140')가 어깨를 받치고 있으므로 선출원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개전체가 뒤로 밀리는 일은 없다. 따라서 안마가 원활하게 진행되며, 동시에 경츄교정 및 보호하는 베개 본래의 기능도 수행되는 것이다.
상기한 안마구 및 그 액츄에이터 등은 양측에 각각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5a 또는 도b와 같이 좌우 옆얼굴받침부(120,120') 각각에 2개씩 총 4개의 어깨지지부(130a,130b,130a',130b')와 안마구(140a,140b,140a',140b')를 가로로 또는 세로로 배치할 수 있으며, 또는 도 5c와 같이 4씩 총 8개의 어깨지지부(130a~d,130a'~d')와 안마구(140a~d,140a'~d')를 배치할 수 있으며 더 세분화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어깨지지부(130a~d,130a'~d')는 사용자의 어깨 굴곡에 따라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각각의 볼트부재(132a,132b,132a',132b')로 길이조절가능하게 하고, 안마구(140a,140b,140a',140b') 역시 각각의 액츄에이터(150a,150b,150a',150b')로 작동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5a 내지 5c에 함께 보여진 바와 같이, 목베개부(110)에도 안마구(140e,140f,140g,140h)를 배치하고 그 내부에 각각의 액츄에이터를 설치함으로써 목부위에 대한 안마나 지압을 병행할 수 있게 한다.
도 7 이하는 좀더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다. 이 실시예에서는, 선출원에서 상세히 다뤘던 바와 같이, 누운자세에서 사용자의 목높이와 목길이에 따라 각부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더 나아가서 안마구의 위치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앞의 실시예들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의 실시예는, 베개본체(100)를 구비하여, 거기에 목지지부(110)를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또한 옆으로 이동조절가능한 보조블록(170,170')을 설치하고, 그 보조블록(170,170')에는 옆얼굴받침부(120,120')를 어깨지지부(130,130') 및 안마구(140,140')와 함께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또한 바람하게는, 바로 누운 자세에서 사용자의 머리를 움직이지 못하게 베개에 구속시킬 수 있는 머리고정밴드(18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베개본체(100)는 바닥이 편평하고, 좌우 측벽부(101,101')와 좌우 후벽부(102,102') 및 그 측벽부와 후벽부로 둘러진 공간부(103,103')를 가지고 있다. 공간부(103,103')는 옆얼굴받침부(120,120')를 어깨지지부(130,130') 및 안마구(140,140')와 함께 수용하는 보조블록(170,170')를 옆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목베개부(110)를 승강시켜 그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바닥면 중심에 암나사를 갖는 너트부(112)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위치의 베개본체(100) 바닥에 별도의 조절용 볼트부재(113)를 설치하였다. 볼트부재(113)는 베개본체(100) 바닥을 외측에서 내부로 관통하여 빠지지 않고 공회전되도록 스냅링(114)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볼트부재(113)를 조작하여 회전시키면, 그 볼트부재(113)가 끼워진 너트부(112)가 그 회전에 따른 나선진행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여 목베개부(110) 전체가 승강되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춰서 목 지지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목베개부(110)의 높이조절시 그 승강운동을 똑바로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목베개부(110)의 바닥면 수개소에 안내구멍(115)이 형성되었고, 마주하는 본체측 바닥에는 그 안내구멍(115)으로 삽입되는 안내기둥(116)이 설치되어 있다.
보조블록(170,170')은 옆얼굴받침블록(120,120')의 전면부를 제외한 둘레, 즉 좌우측면부와 후면부를 둘러싸는 형태로서, 베개본체(100)의 측벽부(101,101')와 후벽부(102,102') 및 목베개부(110)로 둘러진 공간부(103,103')에 수납되어 옆으로 이동조절가능한 것으로, 측벽부(101,101')와 마주하는 측면에 너트부(171)가형성되어 있고, 그 측벽부(101,101')에 설치된 볼트부재(172,172')와 나사결합되어 있다. 볼트부재(172,172')는 측벽부(101,101')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하고 스냅링(173,173')으로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고 공회전가능하며 외부에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그 볼트부재(172,172)를 조작하여 회전시키면, 너트부(171)가 나선방향으로 진행하므로 보조블록(170,170')이 거기에 수용된 옆얼굴받침부(120,120') 와 어깨지지부(130,130') 및 안마구(140,140')와 함께 전후진하게 되고, 따라서 안마구(140,140')의 수평위치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이동조절가능한 보조블록(170,170') 내에서의 옆얼굴받침부(120,1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으로는, 옆얼굴받침부(120,120')의 바닥에 너트부(122,122')를 형성하고, 베개본체(100)의 바닥을 통해 볼트부재(123,123')를 끼워 스냅링(124,124')으로 고정하되, 베개본체(100)의 바닥에는 보조블록(170,170')의 이동거리에 대응하여 볼트부재(123,123')를 수용하도록 장공(125,125')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옆얼굴받침부(120,120')와 보조블록(170,170') 사이에 도브테일형 안내레일부(125,125')를 수개소 형성하여 그 조절시 똑바로 승강될 수 있게 하였다.
어깨지지부(130,130')의 거리조절을 위한 볼트부재(132,132')는, 베개본체(100)의 후벽부(102,102') 외측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그 후벽부(102,102')와 옆얼굴받침부(120,120') 및 보조블록(170,170')에 장공(135,136,137)을 형성하여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스냅링(133)으로 그 후벽부(102,102')에 고정하였다.
한편, 안마구(140,140')와 액츄에이터(150,150') 등은 앞의 실시예와 같다.
다음,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베개본체(100)의 후면 좌우 양측에 그 머리고정밴드(180)를 걸 수 있도록 밴드걸이(181,181')가 부착되어 있다. 밴드걸이(181,181')는 본체의 수납홈(182)내에 핀(183)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비 사용시 그 자중회전으로 수납홈(184)에 수납되어진다. 즉,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알맞게 각부를 조정한 상태에서 도11과 같이 바로 누운 자세에서 베개본체(100) 후면의 밴드걸이(181,181')에 머리고정밴드(180)를 걸어서 사용자 머리를 움직일 수 없게 구속시킬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머리를 들거나 옆으로 돌아누울 수 없게 되며, 따라서 그만큼 안마를 겸한 경추교정 치료나 응급처리에 효과적이다.
도면으로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는 도 5a 내지 5c와 같이 복수의 안마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사지베개는 이상의 실시예 외에도 선출원에서 보인 다양한 형태로도 실시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인의 선출원발명과 같이 경추교정 및 보호를 위한 베개로서, 종래에 알려진 경추보호를 위한 베개와는 달리, 베개를 사용자에 대해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서 정확한 위치에 경부를 괴는 것이 가능하며, 각부의 조절기능으로 누구나 자신의 체형과 신체조건에 알맞게 조정함으로써 최적의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해 주므로, 경추 왜곡으로 인한 많은 사람의 고통을 덜어주는데 효과적이며, 어깨가 올라가거나 어깨가 한쪽으로 기울어지 사람등의 체형교정에 유익하며, 깁스붕대로 곤란한 경추환자를 치료하거나 교통사고에 의한 응급 경추환자의응급처치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마사지베개는 위와같이 경추교정 및 보호하는 기능과 함께 사용자의 어깨를 안마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경부의 통증과 함께 어깨결림을 동시에 해소시켤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사용자의 목을 바로 누운 자세에서 일정높이로 받쳐주기 위한 목베개부와, 이 목베개부의 좌우측 양 옆으로 돌아눕는 사용자의 옆얼굴을 그 목베개부보다 높은 일정높이로 받쳐주기 위한 좌우측 옆얼굴받침부와, 각 옆얼굴받침부의 전방측 측면에서 사용자의 양 어깨를 각각 밀착시켜주기 위한 어깨지지부가 구비되고, 그 어깨지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양 어깨를 각각 안마나 지압하는 마사지수단을 포함하는 마사지베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옆얼굴지지부에 상기 어깨지지블록과 마사지수단이 어깨 부위를 구분하여 복수로 배치되어 있는 마사지베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옆얼굴받침부가 베개본체와 분리되어 있고, 베개본체에 그 분리된 옆얼굴받침부를 횡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공간부에서 옆얼굴받침부를 상기 어깨지지부 및 마사지수단과 함께 이동시켜 그 마사지수단의 수평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조절수단이 포함된 마사지베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으로서, 상기 베개본체의 공간부에서 수용되어 상기 옆얼굴받침부를 수납하며 일측에 암나사 형태의 너트부를 가지는 보조블록과, 상기 베개본체의 측부에 공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에서 조작가능하며 그 너트부와 나사결합되어진 볼트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마사지베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조블록에서 상기 옆얼굴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마사지베개.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어깨지지부를 상기 옆얼굴받침부에서 사용자 어깨에 대해 전후진시켜 상기 마사지수단의 전후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이 포함된 마사지베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으로서, 상기 어깨지지부가 상기 옆얼굴받침부와 분리되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수납되어 있고 그 후면에 설치된 암나사 형태의 너트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옆얼굴지지부 후면부에 공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에서 조작가능하며 그 너트부와 나사결합되어진 볼트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마사지베개.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수단으로서, 상기 어깨지지부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어깨와 직접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도록 진동가능한 안마구와, 그 어깨지지부에 장착되어 그 안마구와 연결되고 전기신호로 작동되어 그 안마구를 진동시키는 액츄에이터가 구비되어 있는 마사지베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시의 진동과 소음을 다른 부위로 전달되지 않도록 완화 또는 흡수하는 수단이 포함된 마사지베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베개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목부위와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도록 진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안마구와 그 목베개부 내부에 장착되어 그 적어도 하나의 안마구를 진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경부용 마사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마사지베개.
KR1020010079719A 2000-12-16 2001-12-15 마사지베개 KR200200488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571 2000-12-16
KR20000077571 2000-1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882A true KR20020048882A (ko) 2002-06-24

Family

ID=2768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719A KR20020048882A (ko) 2000-12-16 2001-12-15 마사지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888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404B1 (ko) * 2009-02-09 2012-06-14 고유민 안마기능을 갖는 베개
KR20170133002A (ko) 2016-05-25 2017-12-05 주식회사 센텀소프트 안마 베개
CN108125782A (zh) * 2018-01-12 2018-06-08 温州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温州医科大学附属育英儿童医院 一种凸轮式便携腰椎按摩仪及其按摩方法
KR20180137910A (ko) 2017-06-20 2018-12-28 주식회사 센텀소프트 기능성 베개
KR102158943B1 (ko) 2019-12-03 2020-09-22 하승우 사용자 맞춤 베개
KR20210001834U (ko) 2020-02-04 2021-08-12 송방호 다리 마사지기용 솔레노이드 마사지구
KR20210001840U (ko) 2020-02-05 2021-08-13 송방호 신체 마사지기용 솔레노이드 마사지구
KR20210129365A (ko) * 2020-04-20 2021-10-28 구영욱 경추 마사지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5722A (ja) * 1996-02-14 1997-08-19 Sanyo Electric Co Ltd マッサージ用クッション体
KR19980019233U (ko) * 1998-04-13 1998-07-06 조현규 온열 진동 물리치료 베개
JP2000325419A (ja) * 1999-05-14 2000-11-28 Mitsunobu Hashinaga ショルダー式マッサージ機
KR20010000001U (ko) * 1998-12-03 2001-01-05 고형근 자동차 시이트용 어깨안마기
KR20020031326A (ko) * 2000-10-23 2002-05-01 백재수 건강베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5722A (ja) * 1996-02-14 1997-08-19 Sanyo Electric Co Ltd マッサージ用クッション体
KR19980019233U (ko) * 1998-04-13 1998-07-06 조현규 온열 진동 물리치료 베개
KR20010000001U (ko) * 1998-12-03 2001-01-05 고형근 자동차 시이트용 어깨안마기
JP2000325419A (ja) * 1999-05-14 2000-11-28 Mitsunobu Hashinaga ショルダー式マッサージ機
KR20020031326A (ko) * 2000-10-23 2002-05-01 백재수 건강베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404B1 (ko) * 2009-02-09 2012-06-14 고유민 안마기능을 갖는 베개
KR20170133002A (ko) 2016-05-25 2017-12-05 주식회사 센텀소프트 안마 베개
KR20180137910A (ko) 2017-06-20 2018-12-28 주식회사 센텀소프트 기능성 베개
CN108125782A (zh) * 2018-01-12 2018-06-08 温州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温州医科大学附属育英儿童医院 一种凸轮式便携腰椎按摩仪及其按摩方法
CN108125782B (zh) * 2018-01-12 2023-10-27 温州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温州医科大学附属育英儿童医院 一种凸轮式便携腰椎按摩仪及其按摩方法
KR102158943B1 (ko) 2019-12-03 2020-09-22 하승우 사용자 맞춤 베개
KR20210001834U (ko) 2020-02-04 2021-08-12 송방호 다리 마사지기용 솔레노이드 마사지구
KR20210001840U (ko) 2020-02-05 2021-08-13 송방호 신체 마사지기용 솔레노이드 마사지구
KR20210129365A (ko) * 2020-04-20 2021-10-28 구영욱 경추 마사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1561B2 (en) Functional pillow for manipulation therapy
US11559458B2 (en) Cervical-curvature autocorrect apparatus and methods incorporating the apparatus
KR101077885B1 (ko)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
KR101823227B1 (ko) 경추 보조장치
KR101839919B1 (ko) 기능성 수면 베개
KR101715519B1 (ko) 경부 교정 장치
KR101885432B1 (ko) 기능성 침대
US3396721A (en) Process to stimulate the peristaltic movements and device therefor
KR20200136286A (ko) 공기압을 이용한 경추 견인형 스트레칭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101649416B1 (ko) 머리 이완용 베개
KR20020048882A (ko) 마사지베개
JP2008253631A (ja) マッサージ機
KR101104394B1 (ko) 허리와 목을 견인하고 동시에 골반을 교정하는 치료기
JPH07236677A (ja) 眼のマッサージ器
WO2011074718A1 (ko) 물리 치료용 근막 이완기
KR20190115403A (ko) 여행용 안마 베개
KR100371610B1 (ko) 의자를 이용한 척추 교정방법
KR101397393B1 (ko) 체인형 리프팅 수단을 이용한 척추 교정장치
KR20210133333A (ko) 경추굴곡 감지를 통한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20210132831A (ko) 경추의 견인운동을 통한 마사지장치
KR100807201B1 (ko) 척추교정용 운동기기
KR200320978Y1 (ko) 안마장치를 갖는 다기능 침대
KR20030087599A (ko) 안마장치를 갖는 다기능 침대
KR200336724Y1 (ko) 지압 침대
CN216222274U (zh) 一种调节型腰椎按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