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6185A - 납땜재의 도포 방법 및 납땜용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납땜재의 도포 방법 및 납땜용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6185A
KR20220116185A KR1020227020668A KR20227020668A KR20220116185A KR 20220116185 A KR20220116185 A KR 20220116185A KR 1020227020668 A KR1020227020668 A KR 1020227020668A KR 20227020668 A KR20227020668 A KR 20227020668A KR 20220116185 A KR20220116185 A KR 20220116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zing material
flow path
discharge
liquid chamber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오이 타즈루
사토시 모리야
다이고 키가
토모아키 아카자와
Original Assignee
하리마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리마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리마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16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B23K3/0607Solder feeding devices
    • B23K3/0638Solder feeding devices for viscous material feeding, e.g. solder paste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화물계 플럭스를 포함하는 납땜재를 장시간에 걸쳐서 안정적으로 토출할 수 있는 납땜재의 도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납땜재의 도포 방법은 토출 유로가 형성된 액실과, 상기 액실에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진퇴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갖고, 또한 소정 관계를 충족시키는 토출 장치의 상기 액실 내에 불화물계 플럭스를 포함하는 액상의 납땜재를 공급하는 공급 공정과, 상기 플런저를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액실의 토출 유로를 향해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실 내의 납땜재를 토출 유로로부터 토출하고, 상기 납땜재를 금속 부재에 도포하는 도포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납땜재의 도포 방법 및 납땜용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납땜재의 도포 방법 및 납땜용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금속 부재를 용접할 경우, 용접되는 금속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플럭스가 사용되고 있다.
통상, 플럭스는 액상의 조성물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플럭스를 용접 부위에 도포했을 경우 플럭스가 용접 부위에 있어서 유동할 우려가 있으며, 플럭스를 용접 부위에만 정확하게 도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도막을 고화시키기 위한 건조 설비도 필요해지기 때문에 제조 라인의 복잡화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그래서 플럭스의 용접 부위로의 정확한 도포 및 제조 라인의 간략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고형의 플럭스를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어 있다.
그리고 고형물을 함유하는 액체를 미량으로 토출할 수 있는 액적 토출 방법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1에는 선단이 토출구를 구성하는 토출로와, 플런저와, 플런저가 삽입 통과되는 액실과, 플런저를 진퇴 이동시키는 플런저 구동 기구와, 플런저의 선단부의 위치를 규정하는 플런저 위치 결정 기구를 구비하는 액적 토출 장치를 사용하고, 플런저를 전진 이동시킴으로써 소망의 액적을 형성하는 데에 필요해지는 양의 액재를 토출구로부터 압출하고, 계속해서 플런저를 후퇴 이동시킴으로써 토출구로부터 압출된 액재를 분단해서 미량의 액적을 형성하는 액적 토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3-17945호 공보
상기 액적 토출 방법은 물, 용제, 및 시약 등의 저점성 재료로부터 땜납 페이스트, 은 페이스트, 및 접착제 등의 고점성 재료에 이르는 액체 재료를 미량으로 토출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저점성 재료와 고점성 재료에서는 액체상의 유동 특성이 상위함과 아울러, 액체 재료에 고형물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에는 액체 재료의 점도 특성에 따라 고형물의 유동이 발생하지만 특허문헌 1에서는 이들의 특성의 상위함에 대해서 충분한 검증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액적 토출 방법을 사용하여 고형물인 불화물계 플럭스를 포함하는 액상의 납땜재를 토출시키면 장치 내부에 있어서 납땜재의 막힘이 발생하기 쉬워 납땜재의 토출을 장시간에 걸쳐서 안정적으로 행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불화물계 플럭스를 포함하는 납땜재를 장시간에 걸쳐서 안정적으로 토출할 수 있는 납땜재의 도포 방법 및 이 납땜재의 도포 방법을 사용한 납땜용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납땜재의 도포 방법은
토출 유로가 형성된 액실과, 상기 액실 내에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진퇴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갖고, 또한 식 1을 충족시키는 토출 장치의 상기 액실 내에 불화물계 플럭스를 포함하는 액상의 납땜재를 공급하는 공급 공정과,
상기 플런저를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액실의 토출 유로를 향해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실 내의 납땜재를 토출 유로로부터 토출하고, 상기 납땜재를 금속 부재에 도포하는 도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토출 유로의 내경(㎜)]2×1000/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0.85…식 1
또한, 본 발명의 납땜용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은 토출 유로가 형성된 액실과, 상기 액실 내에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진퇴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갖고, 또한 상기 식 1을 충족시키는 토출 장치의 상기 액실 내에 불화물계 플럭스를 포함하는 액상의 납땜재를 공급하고,
상기 플런저를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액실의 토출 유로를 향해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실 내의 납땜재를 토출 유로로부터 토출하고, 상기 납땜재를 금속 부재에 도포하고, 상기 금속 부재 상에 납땜재의 도막이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납땜용 금속 부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납땜재의 도포 방법은 액실에 형성된 납땜재의 토출 유로의 내경과, 납땜재에 포함되어 있는 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이 식 1을 충족시키고 있으므로 불화물계 플럭스의 분말을 함유하는 납땜재를 토출 유로로부터 막힘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토출시켜서 납땜재의 금속 부재로의 도포를 장시간에 걸쳐서 안정적으로 행하고, 금속 부재 상에 납땜재의 도막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토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토출 장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토출 장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토출 장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토출 장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납땜재의 도포 방법의 일례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납땜재의 도포 방법에서 사용되는 토출 장치(A)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1)를 갖고 있다. 이 장치 본체(1)는 내부에 액상의 납땜재를 충전 가능한 액실(11)이 형성되어 있다.
장치 본체(1)의 액실(11)은 이 액실(11) 내에 충전된 액상의 납땜재를 금속 부재를 향해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 유로(12)가 일체적으로 또는 착탈 가능하게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토출 유로(12)를 통해 액실(11) 내외가 연통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토출 유로(12)는 그 내단이 액실(11) 내에 개구하고, 또한 외측단이 장치 본체(1)의 외면에 개구하고, 토출 유로(12)의 외측 개구부(121)로부터 액상의 납땜재가 금속 부재를 향해서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토출 유로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토출 유로(12)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형상은 납땜재의 토출 방향(유통 방향)에 있어서 변화되어도 좋다. 토출 유로(12)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형상은 원형상(진원 및 타원형을 포함한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토출 유로(12)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서의 단면형상은 변화되어도 좋다.
토출 유로(12)란 하기와 같이 결정된다. 후술하는 플런저(13)를 전진시켜서 액실(11)의 내벽면에 접촉시켰을 때의 플런저(13)와 액실(11)의 내벽면의 접촉 개소를 지나고, 또한 플런저(13)의 왕복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 중 납땜재의 유통 방향의 가장 하류측에 있는 평면을 제 1 기준면으로 한다. 납땜재가 유통하는 부분 중 상기 제 1 기준면보다 납땜재의 유통 방향의 하류측에 있는 부분을 토출 유로라고 한다. 또한, 도포 공정에 있어서 플런저(13)가 액실(11)의 내벽면에 접촉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포 공정에 있어서의 플런저(13)의 왕복 이동의 궤도를 납땜재의 유통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하고, 이 연장 부분을 가상 궤도로 한다. 플런저(13)를 가상 궤도 상에 있어서 납땜재의 유통 방향으로 가상적으로 이동시키고, 플런저(13)를 액실(11)의 내벽면에 가상적으로 접촉시켜서 플런저(13)와 액실(11)의 내벽면의 접촉 개소를 특정하고,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요령으로 토출 유로가 결정되면 좋다.
또한, 액실(11)은 하나의 액실 구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복수의 액실 구성 부재를 조합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액실(11)이 복수의 액실 구성 부재를 조합해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일부의 액실 구성 부재는 교환 가능하게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토출 유로(12)는 착탈 가능하게 교환 가능하게 된 액실 구성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 유로(12)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복수의 부재를 조합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장치 본체(1)의 액실(11)에는 이 액실(11) 내에 납땜재를 공급하기 위한 주입구(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주입구(11a)를 통해 액실(11) 내에 필요에 따라 가열되어 액상으로 된 납땜재가 공급되어 충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토출 장치는 납땜재가 고체[1기압(101.325㎪) 및 25℃에서 고체]일 경우 필요에 따라 납땜재를 가열해서 액상으로 하기 위해서 히터 등의 제 1 가열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액실(11) 내에 공급되는 액상의 납땜재를 교반하고, 납땜재에 포함되어 있는 불화물계 플럭스 등의 분말을 납땜재 중에 있어서 균일하게 분산시켜 두기 위한 교반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액실(11) 내에는 액실(11)의 토출 유로(12)에 대하여 접리하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플런저(1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예를 들면, 에어압 또는 유압 등을 사용한 액추에이터, 모터, 스프링 등)에 의해 진퇴시켜진다.
플런저(13)는 액실(11) 내에 납땜재가 공급, 충전되는 동안 액실(11) 내에 있어서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퇴피시켜지고, 액실(11) 내에 납땜재를 충전하기 위한 공간부가 확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플런저(13)는 액실(11) 내에 납땜재가 충전된 후에는 액실(11) 내를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액실(11) 내의 납땜재를 압출해서 토출 유로(12)의 외측 개구부(121)로부터 토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액실(11) 내의 납땜재를 플런저(13)에 의해 압출할 때 플런저(13)는 액실(11)의 내벽면에 접촉할 때까지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전진시켜도 좋고, 또는 액실(11)의 내벽면에 접촉하기 전에(액실(11)의 내벽면에 접촉시키는 일 없이) 전진을 정지하고,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후퇴시켜도 좋다.
이렇게 플런저(13)는 일정한 스트로크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액실(11) 내에 형성된 공간부로의 납땜재의 충전과, 공간부에 충전된 납땜재의 압출을 반복하고, 액실(11) 내에 충전된 액상의 납땜재를 토출 유로(12)로부터 액적으로 하여 간헐적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런저(13)의 선단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플런저(13)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서의 단면형상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방형상이어도 좋고, 사다리꼴형상, 또는 볼록 원호상이어도 좋다.
플런저(13)가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퇴피함으로써 액실(11)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 내에 납땜재가 주입구(11a)를 통해 공급, 충전된다. 납땜재는 액실(11)의 공간부 내에 공급되기 전에는 용기(도시하지 않음) 내에 저류되어 있다. 용기에는 납땜재를 필요에 따라 가열해서 액상으로 하기 위해서 제 2 가열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용기 내에 저류된 납땜재에는 가압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용기 내에 저류된 납땜재를 액실(11) 내에 공급, 충전하기 위한 압력(액송압)이 상시 가해지고 있다. 또한, 용기 내의 납땜재에 가압 장치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만 납땜재가 토출 유로(12)로부터 토출되는 일은 없다.
용기 내의 납땜재에 가해지고 있는 압력(액송압)은 액실(11)의 공간부 내로의 충전 확보의 관점으로부터 1㎪ 이상이 바람직하고, 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기 내의 납땜재에 가해지고 있는 압력(액송압)은 도포 세밀성(후술)의 관점으로부터 500㎪ 이하가 바람직하고, 3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납땜재는 분말상인 불화물계 플럭스를 함유하고 있다. 그 때문에 납땜재를 액실(11)의 토출 유로(12)를 통해 액적상으로 금속 부재를 향해서 토출시킬 때에 불화물계 플럭스가 원인이 되어 토출 유로(12) 내에 있어서 막힘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발명자들이 여러 가지 검토한 결과, 토출 장치(A)에 있어서의 장치 본체(1)의 액실(11)에 형성된 토출 유로의 내경과, 납땜재에 포함되어 있는 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이 소정 관계를 충족시키고 있을 때 분말상인 불화물계 플럭스를 포함하는 납땜재에 의한 토출 유로의 막힘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토출 장치의 토출 유로로부터 액적상으로 납땜재를 안정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상기 토출 장치는 분말상의 불화물계 플럭스를 함유하고 있는 액상의 납땜재를 토출 유로(12)로부터 액적상으로 토출시켜서 금속 부재에 납땜재를 도포하고, 금속 부재 상에 납땜재의 도막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지만 이 토출 장치가 하기 식 1을 충족시킴으로써 토출 유로(12)에 있어서 불화물계 플럭스에 기인한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토출 유로의 내경(㎜)]2×1000/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0.85…식 1
식 1을 충족시킴으로써 불화물계 플럭스를 함유하는 납땜재에 의한 토출 유로(12)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이유는 명확하게 해명되어 있지 않지만 하기와 같다고 추측된다.
분말상의 불화물계 플럭스는 침상 결정 및 판상 결정의 응집체이기 때문에 표면적이 크고,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기 쉽다. 그 때문에 분말상의 불화물계 플럭스는 토출 유로(12) 내에 있어서 토출 유로의 벽면에 기인한 환경의 변화를 받아 불안정화되어 응집하기 쉽다. 토출 유로의 내경의 제곱의 값을 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으로 나눈 값이 소정값 이상이면 토출 유로(12) 내에 있어서 분말상의 불화물계 플럭스가 응집해 체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납땜재에 기인한 토출 유로의 막힘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고 추측된다.
그리고 토출 장치가 하기 식 3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 4를 충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식 5을 충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토출 유로의 내경(㎜)]2×1000/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1…식 3
[토출 유로의 내경(㎜)]2×1000/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1.5…식 4
[토출 유로의 내경(㎜)]2×1000/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2.0…식 5
또한, 토출 장치가 하기 식 6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500>[토출 유로의 내경(㎜)]2×1000/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식 6
또한, 토출 유로의 내경은 하기 요령으로 측정된 값을 말한다. 즉, 토출 유로를 유통하는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토출 유로를 절단한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이 절단면에 내포되는 최대 지름의 진원의 직경(이하, 「제 1 직경」이라고 한다)을 측정한다. 제 1 직경 중 최소의 직경을 「토출 유로의 내경」이라고 한다. 토출 유로의 내경이 되는 제 1 직경을 특정한 평면(토출 유로를 유통하는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을 제 2 기준면이라고 한다.
불화물계 플럭스(2차 입자)의 평균 입경이란 1g의 불화물계 플럭스를 250℃에서 5시간 가열한 후 불화물계 플럭스를 이소프로필알콜에 분산시켜서 1질량%의 이소프로필알콜 분산액을 제작하고, 10분간 초음파 처리를 행했다. 그리고 나서 분산액을 사용하여 동적 광산란형 입도 분포계에 의해 측정된 값을 말하고, 체적 기준의 산출 평균 지름을 말한다. 또한, 동적 광산란형 입도 분포계는, 예를 들면 Microtrac BEL Corp.으로부터 상품명 「MT3000 II」로 시판되어 있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토출 장치(A)에 있어서의 토출 유로(12)의 내경은 0.1㎜ 이상이 바람직하다. 토출 유로의 내경이 0.1㎜ 이상이면 토출 유로(12) 내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
토출 장치(A)에 있어서의 토출 유로(12)의 내경은 1.2㎜ 이하가 바람직하고, 0.76㎜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29㎜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토출 유로의 내경이 1.2㎜ 이하이면 토출 유로로부터 토출된 납땜재의 액적이 금속 부재에 충돌한 후에 비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납땜재를 금속 부재의 소망 개소에 정밀도 좋게 도포하고, 금속 부재 상에 납땜재의 도막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최근 열교환기 등의 기계에 있어서 박형화 및 경량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들 기계를 구성하고 있는 금속 부재의 형상도 복잡화되고, 금속 부재끼리의 용접에 의한 접합 부분의 수도 증가함과 동시에 접합 부분이 미소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금속 부재에 납땜재를 도포하는 것에 있어서 납땜재를 금속 부재의 소망 개소에 미소 범위로 필요량을 정밀도 좋게 공급하는 것이 요구되어 있다.
상기 토출 장치에 있어서 액실에 형성된 토출 유로의 내경과, 플런저의 진퇴 방향의 이동 거리와, 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이 하기 식 2를 충족시키면 납땜재를 금속 부재의 소망 개소에 미소 범위로 필요량을 정밀도 좋게 도포할 수 있다. 또한, 플런저의 진퇴 방향의 이동 거리(스트로크 거리)란 액실 내에 액상의 납땜재를 충전하기 위해서 플런저를 액실 내에 있어서 토출 유로로부터 퇴피시킨 상태로부터 플런저를 토출 유로를 향해서 가장 전진시킨 상태까지의 플런저의 이동 거리를 말한다. 토출 유로의 내경 및 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토출 유로의 내경(㎜)]2×플런저의 진퇴 방향의 이동 거리(㎜)×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1000<120…식 2
이렇게 토출 장치에 있어서 토출 유로(12)의 내경과, 플런저의 진퇴 방향의 이동 거리(스트로크 거리)와, 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이 식 2를 충족시킴으로써 일회의 납땜재의 토출량을 조정하고, 액상의 납땜재를 적절한 크기의 액적으로서 토출 유로(12)로부터 토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 결과, 금속 부재의 소망 개소에 적절한 양의 납땜재를 정밀도 좋게 도포할 수 있다.
토출 장치에 있어서 액실(11)의 토출 유로(12)의 내경과, 플런저(13)의 진퇴 방향의 이동 거리(스트로크 거리)와, 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이 식 7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식 8을 충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식 9를 충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식 10을 충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토출 유로의 내경(㎜)]2×플런저의 진퇴 방향의 이동 거리(㎜)×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1000<1300…식 7
[토출 유로의 내경(㎜)]2×플런저의 진퇴 방향의 이동 거리(㎜)×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1000<120…식 8
[토출 유로의 내경(㎜)]2×플런저의 진퇴 방향의 이동 거리(㎜)×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1000<105…식 9
[토출 유로의 내경(㎜)]2×플런저의 진퇴 방향의 이동 거리(㎜)×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1000<42…식 10
토출 장치에 있어서 토출 유로(12)의 내경과, 플런저(13)의 진퇴 방향의 이동 거리(스트로크 거리)와, 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이 식 11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0.7<[토출 유로의 내경(㎜)]2×플런저의 진퇴 방향의 이동 거리(㎜)×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1000…식 11
플런저(13)의 진퇴 방향의 이동 거리(스트로크 거리)는 토출 유로 내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막힘 억제의 관점으로부터 0.01㎜ 이상이 바람직하고, 0.0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플런저(13)의 진퇴 방향의 이동 거리(스트로크 거리)는 납땜재를 금속 부재 상에 정밀도 좋게 도포하는(도포 세밀성) 관점으로부터 2㎜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토출 유로(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 및/또는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서의 단면은 변화되어도 좋다. 토출 유로(12)가 변화될 경우 토출 유로(12)로서 하기 제 1~3의 구획 평면으로 구획되어 복수의 구획 유로를 포함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토출 유로(12)는 외측 개구부(121)를 갖는 구획 유로를 제 2 유로(12b)로 하고, 이 제 2 유로(12b)에 인접하는 구획 유로를 제 1 유로(12a)로 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복수의 구획 유로로 구성되어 있는 토출 유로(12)에 있어서 토출 유로(12)의 내경이 토출 유로(12)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의 중앙부(토출 유로의 외측 개구부 및 내측 개구부를 제외한 부분)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구획 유로로 구성되어 있는 토출 유로(12)에 있어서 구획 유로끼리의 접속부에 토출 유로(12)의 내경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 유로(12)의 내경은 상술한 제 1 직경 중 최소의 직경이다. 따라서, 토출 유로(12)에 있어서 내경을 구성하고 있는 주변 부분(내경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이 복수 있을 경우에는 액실(11)에 가장 가까운 부분)에서는 토출 유로(12)의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토출 유로(12)의 변화가 발생하고 있는 부분은 토출 유로(12) 내의 납땜재의 유통의 방해가 되며, 토출 유로(12)의 내면에 충돌한 납땜재가 벽면으로부터 반발력을 받음으로써 납땜재에 난류가 발생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난류가 발생하면 토출 유로(12)로부터 토출된 납땜재의 액적에 회전이 발생하고, 자이로 효과에 의해 납땜재의 액적의 직진성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납땜재를 미소 범위로 필요량을 보다 정밀도 좋게 공급할 수 있다.
토출 유로(12)는 다음 요령에 의해 특정된 제 1~3의 구획 평면에 의해 구획되고, 복수개의 구획 유로가 된다. 복수의 구획 유로 중 외측 개구부를 갖는 구획 유로를 제 2 유로(12b)로 하고, 이 제 2 유로(12b)에 인접하는 구획 유로를 제 1 유로(12a)로 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 유로(12)가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경우, 토출 유로(12)는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로 구획하지 않는다.
(1) 제 1 구획 평면은 토출 유로(12)의 내경이 되는 제 1 직경 D를 특정한 제 2 기준면이다. 또한, 제 2 기준면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액실(11)에 가장 가까운 제 2 기준면을 채용한다. (2) 제 2 구획 평면은 토출 유로 내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평행한 면에서 절단한 임의의 단면에 있어서 단부(내측 개구단부로부터 외측 개구부를 향해서 제 1 직경을 연속적으로 측정했을 때 제 1 직경의 값이 비연속이 되는 부분)를 특정한 평면이다. (3) 제 3 구획 평면은 토출 유로(12)가 복수의 부재를 조합해서 구성되어 있을 경우 부재끼리의 접속면이다.
제 1~3의 구획 평면 중 어느 것에 대응하는 토출 유로(12)의 부분(123)이 액실(11)측의 구획 유로 또는 외측 개구부(121)측의 구획 유로 중 어느 것을 구성하고 있는지는 하기 기준에 의거하여 판단된다. 제 1~3의 구획 평면 중 어느 것에 대응하는 토출 유로(12)의 부분(123)이 액실(11)측의 구획 유로를 구성하고 있을 경우와, 외측 개구부(121)측의 토출 구획 유로를 구성하고 있을 경우의 쌍방의 케이스를 상정하고, 액실(11)측의 구획 유로의 내경과, 외측 개구부(121)측의 구획 유로의 내경에 차가 발생한 경우에는 토출 유로(12)의 부분(123)은 내경이 작은 편인 구획 유로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한편, 액실(11)측의 구획 유로의 내경과, 외측 개구부(121)측의 구획 유로의 내경에 차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토출 유로(12)의 부분(123)은 액실(11)측의 구획 유로 및 외측 개구부(121)측의 구획 유로의 쌍방을 구성하고 있는(액실(11)측의 구획 유로 및 외측 개구부(121)측의 구획 유로에서 공유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구획 유로의 내경은 토출 유로(12)의 내경과 마찬가지의 요령으로 측정된 값을 말한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 이해하기 쉽도록 도 2~도 5 중의 부호를 사용했지만 토출 유로(12)가 복수의 구획 유로로 구획되는 형태는 도 2~도 5에 나타낸 토출 유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3의 구획 평면 중 어느 구획 평면이 토출 유로(12)의 외측 개구단 또는 내측 개구단이 될 경우 토출 유로(12)의 외측 개구단 또는 내측 개구단이 되는 구획 평면에 있어서 토출 유로는 구획되지 않는다. 어느 구획 평면이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단이 될 경우 납땜재가 토출 유로에 유입하기 전에는 액실(11)에 저류되어 있는 상태이며, 납땜재에 벽면으로부터 충분한 반발력을 부여할 수 없다. 어느 구획 평면이 외측 개구단이 될 경우 납땜재에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어도 토출 유로(12)의 외측 개구단(121)을 통과 후에 납땜재의 액적에 충분한 회전을 부여할 수 없고, 자이로 효과에 의해 납땜재의 액적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없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도 4, 및 도 5의 각 토출 유로(12)에 있어서 제 1~3의 구획 평면(B)이 공통되어 있다. 각 토출 유로(12)는 구획 평면(B)에 의해 2개의 구획 유로로 구획된다. 외측 개구부(121)를 갖는 구획 유로를 제 2 유로(12b)로 하고, 이 제 2 유로(12b)에 인접하는 구획 유로를 제 1 유로(12a)로 하고 있다.
도 3의 토출 유로(12)에 있어서 제 2 구획 평면은 존재하지 않고, 제 1 구획 평면과 제 3 구획 평면이 공통되어 있으며, 이들 구획 평면(B)에 의해 2개의 구획 유로로 구획된다. 외측 개구부(121)를 갖는 구획 유로를 제 2 유로(12b)로 하고, 이 제 2 유로(12b)에 인접하는 구획 유로를 제 1 유로(12a)로 하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제 1 유로(12a)는 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유로(12a)는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은 일정해도, 변화되어도 좋다. 그리고 제 1 유로(12a)는 액실(11) 내에 내측 개구부(122)에 있어서 연결, 연통하고 있다. 제 1 유로(12a)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각기둥, 4각기둥 등의 각기둥상, 원기둥상 등을 들 수 있고, 원기둥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유로(12a)는 각뿔대 또는 원뿔대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납땜재의 유통 방향으로 서서히 가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유로(12a)에는 제 2 유로(12b)가 연결, 연통하고 있다. 제 2 유로(12b)의 내경은 제 1 유로(12a)의 내경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다. 제 2 유로(12b)의 액실(11)측의 개구부(12b1)가 제 1 유로(12a)의 토출측의 개구부(12a1)를 전면적으로 덮은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유로(12b)는 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은 일정해도, 변화되어도 좋다. 제 2 유로(12b)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각기둥, 4각기둥 등의 각기둥상, 원기둥상 등을 들 수 있고, 원기둥상이 바람직하다.
도 2에 있어서 제 2 유로(12b)의 내경이 제 1 유로(12a)의 내경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토출 유로(12)에 변화가 발생하는 부분은 존재하지만 제 1 유로(12a)의 형상이 각기둥상 또는 원기둥상일 경우에는 납땜재에 난류를 발생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제 1 유로(12a)의 형상이 각뿔대 또는 원뿔대상이며, 납땜재의 유통 방향으로 가늘어지는 경우에는 납땜재에 난류를 발생시킬 수는 있지만 토출 유로(12)의 외측 개구단(121)을 통과 후에 납땜재의 액적에 충분한 회전을 부여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자이로 효과에 의해 납땜재의 액적의 직진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도 3에 있어서 제 1 유로(12a)는 각뿔대 또는 원뿔대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유로(12a)는 납땜재의 유통 방향으로 서서히 가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유로(12a)는 액실(11) 내에 내측 개구부(122)에 있어서 연결, 연통하고 있다. 제 1 유로(12a)의 각뿔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각뿔대, 4각뿔대 등을 들 수 있다. 제 1 유로(12a)는 원뿔대상이 바람직하다.
제 1 유로(12a)에는 제 2 유로(12b)가 연결, 연통하고 있다. 제 2 유로(12b)는 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유로(12a)의 토출측의 개구부를 납땜재의 유통 방향으로 투영시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유로(12b)는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토출 유로(12)에 대해서 제 1 유로(12a)는 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유로(12a)는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은 일정해도, 변화되어도 좋다. 그리고 제 1 유로(12a)는 액실(11) 내에 내측 개구부(122)에 있어서 연결, 연통하고 있다. 제 1 유로(12a)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각기둥, 4각기둥 등의 각기둥상, 원기둥상 등을 들 수 있고, 원기둥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유로(12a)는 각뿔대 또는 원뿔대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납땜재의 유통 방향으로 서서히 가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유로(12a)에는 제 2 유로(12b)가 연결, 연통하고 있다. 제 2 유로(12b)의 내경은 제 1 유로(12a)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다. 제 1 유로(12a)의 토출측의 개구부(12a1)가 제 2 유로(12b)의 액실(11)측의 개구부(12b1)를 전면적으로 덮은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유로(12b)는 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은 일정해도, 변화되어도 좋다. 제 2 유로(12b)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각기둥, 4각기둥 등의 각기둥상, 원기둥상 등을 들 수 있고, 원기둥상이 바람직하다.
도 5의 토출 유로(12)에 대해서 제 1 유로(12a)는 각뿔대 또는 원뿔대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유로(12a)는 납땜재의 유통 방향으로 서서히 가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각뿔대 또는 원뿔대상의 제 1 유로(12a)의 벽면이 납땜재의 유통의 방해가 되며, 납땜재가 벽면으로부터 반발력을 받음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1 유로(12a)는 액실(11) 내에 내측 개구부(122)에 있어서 연결, 연통하고 있다. 제 1 유로(12a)의 각뿔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각뿔대, 4각뿔대 등을 들 수 있다. 제 1 유로(12a)는 원뿔대상이 바람직하다.
제 2 유로(12b)는 그 내경이 제 1 유로(12a)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다. 제 1 유로(12a)의 토출측의 개구부(12a1)가 제 2 유로(12b)의 액실(11)측의 개구부(12b1)를 전면적으로 덮은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유로(12b)는 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유로(12b)는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은 일정 또는 변화되어도 좋다. 제 2 유로(12b)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각기둥, 4각기둥 등의 각기둥상, 원기둥상 등을 들 수 있고, 원기둥상이 바람직하다.
토출 유로(12)에 있어서 납땜재의 유통 방향으로 제 1 직경이 작아지는 구조(축소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 유로(12)가 축소 구조를 갖고 있으면 납땜재가 토출 유로(12)의 축소 구조 내를 유통 중에 난류를 발생한다. 납땜재에 난류가 발생하면 토출 유로(12)로부터 토출된 납땜재의 액적에 회전이 발생하고, 자이로 효과에 의해 납땜재의 액적의 직진성이 높아지고, 납땜재를 미소 범위에서 필요량을 보다 정밀도 좋게 공급할 수 있다.
토출 유로(12)가 복수의 구획 유로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토출 유로(12)로부터 토출되는 납땜재의 액적은 외측 개구부를 갖는 구획 유로(제 2 유로(12b))와, 이 제 2 유로(12b)에 인접하는 제 1 유로(12a)를 유통할 때에 가장 영향을 받는다. 제 2 유로(12b)의 내경과 제 1 유로(12a)의 내경의 비(제 2 유로의 내경/제 1 유로의 내경)는 1 미만이 바람직하고, 0.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7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유로(12b)의 내경과 제 1 유로(12a)의 내경의 비가 1 미만이면 납땜재에 난류를 효과적으로 발생시켜서 납땜재의 액적에 회전을 부여하고, 자이로 효과에 의해 납땜재의 액적의 직진성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납땜재를 미소 범위에서 필요량을 보다 정밀도 좋게 공급할 수 있다.
제 2 유로(12b)의 내경과 제 1 유로(12a)의 내경의 비(제 2 유로의 내경/제 1 유로의 내경)는 0.35 이상이 바람직하고, 0.4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5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유로(12b)의 내경과 제 1 유로(12a)의 내경의 비(제 2 유로의 내경/제 1 유로의 내경)가 0.35 이상이면 납땜재에 난류를 효과적으로 발생시켜서 납땜재의 액적에 회전을 부여하고, 자이로 효과에 의해 납땜재의 액적의 직진성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액실(11) 내에 있어서 플런저(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액실(11)의 내벽면에 접촉할 때까지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전진시켜도 좋고, 또는 액실(11)의 내벽면에 접촉하기 전에 전진을 정지하고,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후퇴시켜도 좋다.
플런저(13)를 액실(11)의 내벽면에 접촉하기 전에 전진을 정지할 경우 플런저(13)의 전진 방향에 있어서 플런저(13)의 선단과, 토출 유로의 내측 개구부 사이의 거리(이하, 「클리어런스」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는 1㎜ 이하가 바람직하고, 1㎜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플런저(13)의 선단과, 토출 유로의 내측 개구부 사이의 거리가 1㎜ 이하이면 토출 유로의 외측 개구부에 충전된 액상의 납땜재의 표면 장력에 의해 토출 유로 내에 유지된 납땜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납땜재가 토출 유로로부터 누출될 경우 납땜재의 유기 성분(고형화제나 유기 점도 저하제 등)이 주로 누출되고, 토출 유로 내에 유지하고 있는 납땜재 내의 불화물계 플럭스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토출 유로 내에 있어서 납땜재의 막힘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어서, 상기 토출 장치를 사용하여 금속 부재에 납땜재를 도포하는 요령을 설명한다. 상기 토출 장치를 사용하여 금속 부재에 도포하는 납땜재는 불화물계 플럭스를 함유하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납땜재는 불화물계 플럭스를 함유하고, 또한 1기압(101.325㎪) 및 25℃에서 고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납땜재의 도포 방법에 의하면 불화물계 플럭스의 분말을 함유하고, 토출 유로(12) 내에 있어서 막힘을 발생하기 쉬운 납땜재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토출 유로(12) 내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막힘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납땜재를 토출시켜서 금속 부재에 납땜재를 정밀도 좋게 도포할 수 있고, 상기 납땜재의 도포 방법이 우수한 작용 효과를 특히 발휘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납땜재의 도포 방법에서 사용되는 납땜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불화물계 플럭스, 고형화제, 및 유기 점도 저하제를 포함하는 납땜재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불화물계 플럭스는 토출 장치를 사용하여 납땜재를 금속 부재에 도포하는 전체 공정에 있어서 고체상이다. 불화물계 플럭스로서는, 예를 들면 Cs-Al-F계 플럭스, K-Al-F계 플럭스(불화알루민산 칼륨계 플럭스), K-Zn-F계 플럭스 등을 들 수 있고, K-Al-F계 플럭스가 바람직하다. 또한, 불화물계 플럭스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좋다.
Cs-Al-F계 플럭스는 세슘(Cs), 알루미늄(Al), 및 불소(F)를 함유하는 불화물계 플럭스이며, 예를 들면 플루오로알루민산 세슘(비반응성 세슘계 플럭스)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CsAlF4, Cs2AlF5, Cs3AlF6 등을 들 수 있다.
K-Al-F계 플럭스는 칼륨(K), 알루미늄(Al), 및 불소(F)를 함유하는 불화물계 플럭스이며, 예를 들면 플루오로알루민산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KAlF4, K2AF5, K3AlF6 등을 들 수 있다.
K-Zn-F계 플럭스는 칼륨(K), 아연(Zn), 및 불소(F)를 함유하는 불화물계 플럭스이며, 예를 들면 불화아연산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KZnF3 등을 들 수 있다.
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은 90㎛ 이하가 바람직하고, 49㎛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이면 토출 장치의 토출 유로 내에 있어서 납땜재의 막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납땜재 중에 있어서의 불화물계 플럭스의 함유량은 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납땜재 중에 있어서의 불화물계 플럭스의 함유량은 8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6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고형화제는 금속 부재에 불화물계 플럭스를 부착시키기 위한 담체로서 함유되어 있다. 고형화제로서는 1기압 및 25℃에서 고체상인 화합물(이하, 「상온 고체 화합물」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이 바람직하다. 상온 고체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탄화수소(예를 들면, 천연 왁스, 합성 왁스 등), 알킬알콜, 에테르알콜,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왁스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의 석유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왁스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왁스, 피셔-트롭쉬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납땜재 중에 있어서의 고형화제의 함유량은 5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납땜재 중에 있어서의 고형화제의 함유량은 9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8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7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점도 저하제는 납땜재 중에서의 불화물계 플럭스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기 화합물이다. 유기 점도 조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저융점 유기 화합물(계면활성제를 제외한다) 등을 들 수 있다.
납땜재 중에 있어서의 유기 점도 저하제의 함유량은 0.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2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5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납땜재 중에 있어서의 유기 점도 저하제의 함유량은 6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5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납땜재는 필요에 따라서 납재분, Zn분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납재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규소, 규소-알루미늄 합금, 또는 이들에 소량의 마그네슘, 구리, 또는 게르마늄 등을 포함하는 합금 등의 분말을 들 수 있다.
납땜재의 95℃에 있어서의 점도는 0.01~100Pa·s가 바람직하고, 0.1~10Pa·s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납땜재의 95℃에 있어서의 점도는 납땜재를 95℃로 가열해서 용융시킨 후 95℃를 유지한 채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전단 속도 2/s의 조건하에서 측정된 점도를 말한다. 또한, 레오미터로서는, 예를 들면 Anton Paar사로부터 상품명 「physica MCR 301」로 시판되어 있는 장치(지그: PP25, 측정 위치: 0.5㎜) 등을 들 수 있다.
우선, 토출 장치에 공급 전에 있어서 납땜재가 상태(1기압하에 있어서 가열 및 냉각을 실시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의해 고체일 경우 납땜재를 용기 내에 있어서 제 2 가열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가열해서 액상으로 하고(가열 공정), 액상의 납땜재를 용기 내에 저류한다. 또한, 납땜재가 사용 환경하에 있어서 액상인 경우에는 가열할 필요는 없다.
또한, 액상의 납땜재를 토출 장치의 액실(11) 내에 공급하기 전에는 액상의 납땜재를 필요에 따라 교반 장치에 공급하고, 액상의 납땜재를 교반하고, 납땜재 중에 있어서 불화물계 플럭스가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로 유지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교반 공정). 또한, 교반 공정은 가열 공정을 행한 용기에서 행해도 좋고, 별도의 용기에서 행해도 좋다.
구동 장치를 작동시켜서 토출 장치의 액실(11) 내의 플런저(13)를 액실(11) 내에 있어서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로부터 이간시킨 상태로 퇴피시켜서 액실(11) 내에 액상의 납땜재를 충전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한다.
이어서, 토출 장치의 액실(11) 내에 주입구(11a)를 통해 액상의 납땜재를 공급해 충전한다(공급 공정).
그리고 나서 구동 장치를 작동시켜서 액실(11) 내의 플런저(13)를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를 향해 밀어 전진시키고, 액실(11) 내에 충전한 납땜재를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에 압출하고, 토출 유로(12)의 외측 개구부로부터 액적상의 납땜재를 금속 부재를 향해서 토출시켜서 금속 부재 표면에 도포한다(도포 공정). 금속 부재의 표면에 도포된 납땜재는 냉각되어 고체상이 되고, 금속 부재 상에 납땜재의 도막이 형성되어 납땜용 금속 부재가 제조된다. 또한, 금속 부재는 용접에 의해 서로 접합 일체화시키는 금속제의 부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부재를 들 수 있다. 또한, 금속 부재는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납땜재의 도포 방법은 금속 부재의 형상에 제한되는 일 없이 어떠한 형상의 금속 부재에 대해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토출 장치는 상기 식 1을 충족시키므로 토출 장치의 토출 유로 내에 있어서 납땜재의 막힘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소망량의 납땜재를 액적상으로 금속 부재에 공급해서 도포할 수 있다.
액실(11) 내의 납땜재를 토출 유로(12)를 통해 토출한 후 플런저(13)는 액실(11) 내에 있어서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퇴피하고, 액실(11) 내에 액상의 납땜재를 충전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요령으로 액실(11) 내에 액상의 납땜재가 공급되어 상기와 마찬가지의 공정이 행해지고, 액실(11) 내의 납땜재가 토출 유로(12)를 통해 금속 부재에 토출되어 도포되어서 납땜용 금속 부재가 제조된다.
이렇게 토출 장치를 사용하여 액적상의 납땜재가 간헐적으로 금속 부재에 토출, 도포되지만 토출 유로 내에 있어서 납땜재에 기인한 막힘은 억제되어 있으므로 금속 부재로의 납땜재의 도포 작업을 장시간에 걸쳐서 행하고, 납땜용 금속 부재를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토출 장치가 식 2를 충족시키고 있을 경우에는 필요하고 또한 충분한 양의 납땜재를 금속 부재의 소망 개소에 미소 범위에서 정밀도 좋게 공급해서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납땜용 금속 부재끼리의 용접 부분을 얇게 또한 경량으로 할 수 있고, 납땜용 금속 부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기계 등의 완성품의 경량성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화합물을 하기에 나타낸다.
[불화물계 플럭스]
·불화알루민산 칼륨계 플럭스(평균 입경: 5㎛, MORITA CHEMICAL INDUSTRIES CO.,LTD.제 상품명 「FL-7」)
·불화알루민산 칼륨계 플럭스(평균 입경: 15㎛, Solvay S.A.제 상품명 「Nocolok Flux」)
·불화알루민산 칼륨계 플럭스(평균 입경: 25㎛, Solvay S.A.제 상품명 「Nocolok Flux Drystatic」)
·불화알루민산 칼륨계 플럭스(평균 입경: 50㎛)
불화알루민산 칼륨계 플럭스(Solvay S.A.제 상품명 「Nocolok Flux」)를 567℃로 가열해서 용융시킨 후에 냉각했다. 얻어진 분말을 원심 분리 장치(NISSHIN ENGINEERING INC.제 상품명 「TC-30」)를 사용해서 분급하고, 평균 입경이 50㎛인 불화알루민산 칼륨계 플럭스를 얻었다.
·불화알루민산 칼륨계 플럭스(평균 입경: 100㎛)
불화알루민산 칼륨계 플럭스(Solvay S.A.제 상품명 「Nocolok Flux」)를 567℃로 가열해서 용융시킨 후에 냉각했다. 얻어진 분말을 원심 분리 장치(NISSHIN ENGINEERING INC.제 상품명 「TC-30」)를 사용해서 분급하고, 평균 입경이 100㎛인 불화알루민산 칼륨계 플럭스를 얻었다.
[고형화제]
·파라핀 왁스(NIPPON SEIRO CO., LTD.제 상품명 「PW-115」)
[유기 점도 조정제]
·계면활성제(라우릴아민아세테이트, Kao Corporation제 상품명 「아세타민」)
(실시예 1~15, 비교예 1~3)
표 1에 나타낸 평균 입경을 갖는 불화알루민산 칼륨계 플럭스 45질량부, 파라핀 왁스 52질량부, 및 계면활성제 3.0질량부를 90℃로 가열해서 균일하게 혼합한 후에 냉각해서 납땜재를 제작했다. 얻어진 납땜재는 1기압 및 25℃에서 고체이었다. 납땜재의 95℃에 있어서의 점도를 표 1에 나타냈다.
도 1에 나타낸 토출 장치를 사용하여 납땜재를 알루미늄제의 금속 부재의 표면에 도포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납땜재를 용기(도시하지 않음) 내에 공급해 제 2 가열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95℃로 가열해서 액상으로 했다(가열 공정). 용기 내의 액상으로 된 납땜재는 95℃로 유지된 상태에서 교반 장치를 사용하여 교반되어 있으며(교반 공정), 불화알루민산 칼륨계 플럭스가 납땜재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었다.
이어서,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켜서 토출 장치(A)의 액실(11) 내의 플런저(13)를 액실(11) 내에 있어서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로부터 이간시킨 상태로 퇴피시켜서 액실(11) 내에 액상의 납땜재를 충전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했다. 또한, 95℃로 설정된 제 1 가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토출 장치(A)의 장치 본체(1)(액실(11)의 내벽 및 토출 유로(12)의 내주면)를 가열했다.
그리고 나서 토출 장치의 액실(11) 내에 주입구(11a)를 통해 액상의 납땜재를 공급하고, 충전했다(공급 공정). 이 때 용기 내의 납땜재에 500㎪의 액송압을 상시 가했다. 계속해서 구동 장치를 작동시켜서 액실(11) 내의 플런저(13)를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를 향해서 액실(11)의 내벽면에 접촉할 때까지 밀어 전진시키고, 액실(11) 내에 충전한 액상의 납땜재를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에 압출하고, 토출 유로(12)의 외측 개구부(121)로부터 납땜재를 액적상으로 해서 금속 부재를 향해서 토출시켜서 알루미늄제의 금속 부재의 표면에 납땜재를 도포했다(도포 공정). 액상의 납땜재는 토출 유로(12) 내를 직선상으로 유통하고 있었다. 금속 부재의 표면에 도포된 액적상의 납땜재는 단시간에 냉각해서 고체상이 되고, 금속 부재의 표면에는 납땜재의 도막이 형성되어 있었다.
토출 유로(12)에 있어서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형상은 진원이었다. 토출 유로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은 납땜재의 유통 방향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 동일했다. 토출 유로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평행한 임의의 평면에서의 단면은 모두 사각형상이었다. 토출 장치에 있어서 토출 유로(12)의 내경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상기 도포 공정에 있어서 플런저(13)의 진퇴 방향의 이동 거리(스트로크 거리)를 표 1에 나타냈다.
이어서, 액실(11) 내의 납땜재를 토출 유로(12)를 통해 토출한 후, 액실(11) 내에 있어서 플런저(13)를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퇴피시키고, 액실(11) 내에 액상의 납땜재를 충전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했다.
플런저(13)가 가장 전진한 상태(액실(11)의 내벽면에 접촉한 상태)로부터 플런저(13)가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퇴피를 완료한 후, 다시 플런저(13)를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를 향해서 전진시키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은 2msec이었다.
그리고 금속 부재를 토출 장치의 토출 유로(12)의 외측 개구부(1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금속 부재의 다른 개소에 액상의 납땜재가 토출되도록 조정했다.
그리고 나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요령으로 액실(11) 내에 액상의 납땜재를 공급하고(공급 공정), 액실(11) 내의 액상의 납땜재를 토출 유로(12)를 통해 금속 부재에 액적상으로 토출하고, 납땜재를 금속 부재의 표면에 도포했다(도포 공정). 금속 부재의 표면에 도포된 액적상의 납땜재는 냉각해서 고체상이 되고, 금속 부재의 표면에 납땜재의 도막이 형성된 납땜용 금속 부재를 얻었다.
상기 공급 공정 및 도포 공정을 반복해서 행하고, 금속 부재 표면의 복수 개소에 납땜재를 반점상으로 도포했다. 납땜재는 토출 유로(12)의 외측 개구부(121)로부터 10msec의 시간 간격으로 액적상으로 토출되어 있었다.
(실시예 16~41)
표 2 및 표 3에 나타낸 평균 입경을 갖는 불화알루민산 칼륨계 플럭스 45질량부, 파라핀 왁스 52질량부, 및 계면활성제 3.0질량부를 90℃로 가열해서 균일하게 혼합한 후에 냉각해서 납땜재를 제작했다. 얻어진 납땜재는 1기압 및 25℃에서 고체이었다. 납땜재의 95℃에 있어서의 점도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냈다.
도 2~도 5에 나타낸 토출 장치 중 어느 토출 장치를 사용하여 납땜재를 알루미늄제의 금속 부재의 표면에 도포했다. 사용한 토출 장치의 도면 번호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납땜재를 용기(도시하지 않음) 내에 공급해서 제 2 가열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95℃로 가열해서 액상으로 했다(가열 공정). 용기 내의 액상으로 된 납땜재는 95℃로 유지된 상태에서 교반 장치를 사용해서 교반되어 있으며(교반 공정), 불화알루민산 칼륨계 플럭스가 납땜재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었다.
이어서,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작동시켜서 토출 장치(A)의 액실(11) 내의 플런저(13)를 액실(11) 내에 있어서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로부터 이간시킨 상태로 퇴피시켜서 액실(11) 내에 액상의 납땜재를 충전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했다. 또한, 95℃로 설정된 제 1 가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토출 장치(A)의 장치 본체(1)(액실(11)의 내벽 및 토출 유로(12)의 내주면)를 가열했다.
그리고 나서 토출 장치의 액실(11) 내에 주입구(11a)를 통해 액상의 납땜재를 공급하고, 충전했다(공급 공정). 이 때 용기 내의 납땜재에 500㎪의 액송압을 상시 가했다. 계속해서 구동 장치를 작동시켜서 액실(11) 내의 플런저(13)를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를 향해서 밀어 전진시키고, 액실(11) 내에 충전한 액상의 납땜재를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에 압출하고, 토출 유로(12)의 외측 개구부(121)로부터 납땜재를 액적상으로 해서 금속 부재를 향해 토출시켜서 알루미늄제의 금속 부재의 표면에 납땜재를 도포했다(도포 공정). 플런저(13)의 선단과, 토출 유로의 내측 개구부(122) 사이의 거리(클리어런스)를 표 2 및 표 3에 기재했다. 또한, 플런저(13)가 액실(11)의 내벽면에 접촉했을 경우 클리어런스는 0㎜로 표기했다. 금속 부재의 표면에 도포된 액적상의 납땜재는 단시간에 냉각해서 고체상이 되고, 금속 부재의 표면에는 납땜재의 도막이 형성되어 있었다. 상기 도포 공정에 있어서 플런저(13)의 진퇴 방향의 이동 거리(스트로크 거리)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냈다.
이어서, 액실(11) 내의 납땜재를 토출 유로(12)를 통해 토출한 후, 액실(11) 내에 있어서 플런저(13)를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퇴피시키고, 액실(11) 내에 액상의 납땜재를 충전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했다.
플런저(13)가 가장 전진한 상태로부터 플런저(13)가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퇴피를 완료한 후, 다시 플런저(13)를 토출 유로(12)의 내측 개구부(122)를 향해서 전진시키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은 2msec이었다.
그리고 금속 부재를 토출 장치의 토출 유로(12)의 외측 개구부(1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금속 부재의 다른 개소에 액상의 납땜재가 토출되도록 조정했다.
그리고 나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요령으로 액실(11) 내에 액상의 납땜재를 공급하고(공급 공정), 액실(11) 내의 액상의 납땜재를 토출 유로(12)를 통해 금속 부재에 액적상으로 토출하고, 납땜재를 금속 부재의 표면에 도포했다(도포 공정). 금속 부재의 표면에 도포된 액적상의 납땜재는 냉각해서 고체상이 되고, 금속 부재의 표면에 납땜재의 도막이 형성된 납땜용 금속 부재를 얻었다.
상기 공급 공정 및 도포 공정을 반복해서 행하고, 금속 부재 표면의 복수 개소에 납땜재를 반점상으로 도포했다. 납땜재는 토출 유로(12)의 외측 개구부(121)로부터 10msec의 시간 간격으로 액적상으로 토출되어 있었다.
도 2~도 5의 토출 장치의 토출 유로(12)는 제 1 유로(12a)와, 이 제 1 유로에 연결, 연통하고 있는 제 2 유로(12b)로 구성되어 있었다. 제 1 유로(12a)는 액실(11) 내에 내측 개구부(122)에 있어서 연결, 연통하고 있었다. 제 1 유로(12a)의 내경 및 제 2 유로(12b)의 내경을 표 2 및 표 3에 기재했다. 도 2~도 5의 토출 장치의 토출 유로(12)는 하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었다.
도 2에 나타낸 토출 유로(12)는 제 1 유로(12a)와, 이 제 1 유로에 연결, 연통하고 있는 제 2 유로(12b)로 구성되어 있었다. 제 2 유로(12b)의 액실(11)측의 개구부(12b1)가 제 1 유로(12a)의 토출측의 개구부(12a1)를 전면적으로 덮은 상태로 구성되어 있었다.
제 1 유로(12a)는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제 1 유로(12a)에 있어서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형상은 진원상이었다. 제 1 유로(12a)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은 납땜재의 유통 방향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 동일했다. 제 1 유로(12a)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평행한 임의의 평면에서의 단면은 모두 장방형상이었다.
제 2 유로(12b)는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제 2 유로(12b)에 있어서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형상은 진원상이었다. 제 2 유로(12b)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은 납땜재의 유통 방향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 동일했다. 제 2 유로(2b)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평행한 임의의 평면에서의 단면은 모두 장방형상이었다.
도 3에 나타낸 토출 유로(12)는 제 1 유로(12a)와, 이 제 1 유로에 연결, 연통하고 있는 제 2 유로(12b)로 구성되어 있었다. 제 2 유로(12b)의 액실(11)측의 개구부(12b1)와 제 1 유로(12a)의 토출측의 개구부(12a1)가 동일 크기이며 또한 동일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제 1 유로(12a)는 원뿔대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제 1 유로(12a)는 납땜재의 유통 방향으로 서서히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었다. 제 1 유로(12a)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형상은 진원상이었다. 제 1 유로(12a)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평행한 임의의 평면에서의 단면은 모두 사다리꼴형상이었다.
제 2 유로(12b)는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제 2 유로(12b)는 제 1 유로(12a)의 토출측의 개구부(12a1)를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투영시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제 2 유로(12b)는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은 일정 지름을 갖는 진원상이었다. 제 2 유로(12b)는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서의 단면은 장방형상이었다.
도 4의 토출 유로(12)에 대해서 제 1 유로(12a)와, 이 제 1 유로에 연결, 연통하고 있는 제 2 유로(12b)로 구성되어 있었다. 제 2 유로(12b)의 내경은 제 1 유로(12a)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었다. 제 1 유로(12a)의 토출측의 개구부(12a1)가 제 2 유로(12b)의 액실(11)측의 개구부(12b1)를 전면적으로 덮은 상태로 구성되어 있었다.
제 1 유로(12a)는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제 1 유로(12a)에 있어서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형상은 진원상이었다. 제 1 유로(12a)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은 납땜재의 유통 방향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 동일했다. 제 1 유로(12a)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평행한 임의의 평면에서의 단면은 모두 장방형상이었다.
제 2 유로(12b)는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제 2 유로(12b)에 있어서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형상은 진원상이었다. 제 2 유로(12b)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은 납땜재의 유통 방향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 동일했다. 제 2 유로(12b)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평행한 임의의 평면에서의 단면은 모두 장방형상이었다.
도 5의 토출 유로(12)에 대해서 제 1 유로(12a)와, 이 제 1 유로에 연결, 연통하고 있는 제 2 유로(12b)로 구성되어 있었다. 제 2 유로(12b)의 내경은 제 1 유로(12a)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었다. 제 1 유로(12a)의 토출측의 개구부(12a1)가 제 2 유로(12b)의 액실(11)측의 개구부(12b1)를 전면적으로 덮은 상태로 구성되어 있었다.
제 1 유로(12a)는 원뿔대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제 1 유로(12a)는 납땜재의 유통 방향으로 서서히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었다. 제 1 유로(12a)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형상은 진원상이었다. 제 1 유로(12a)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평행한 임의의 평면에서의 단면은 모두 사다리꼴형상이었다.
제 2 유로(12b)는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제 2 유로(12b)에 있어서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형상은 진원상이었다. 제 2 유로(12b)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은 납땜재의 유통 방향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 동일했다. 제 2 유로(12b)에 있어서의 납땜재의 유통 방향에 평행한 임의의 평면에서의 단면은 모두 장방형상이었다.
토출 장치를 사용한 납땜재의 금속 부재로의 도포 작업에 있어서 막힘의 유무를 하기 요령으로 측정했다. 또한, 도포 세밀성을 하기 요령으로 측정했다.
(막힘의 유무)
토출 장치를 사용하여 금속 부재로의 납땜재의 도포를 개시하고 나서 3시간을 초과해서 토출 유로에 납땜재에 의한 막힘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를 「A」라고 했다. 한편, 금속 부재로의 납땜재의 도포를 개시하고 나서 3시간 이내에 토출 유로에 납땜재에 의한 막힘이 발생했을 경우를 「B」라고 했다.
(도포 세밀성)
납땜재에 가하는 액송압을 3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및 비교예와 마찬가지의 요령으로 납땜재를 알루미늄제의 금속 부재의 표면에 1회 도포했다. 금속 부재상의 납땜재의 스폿의 최장 지름을 측정했다. 납땜재의 스폿의 최장 지름은 스폿을 포위할 수 있는 최소 지름의 진원의 직경으로 했다. 비교예는 어느 것이나 납땜재를 토출할 수 없고, 도포 세밀성을 측정할 수 없었다.
금속 부재 상에 도포된 납땜재가 복수개의 스폿이 되었을 경우 최장 지름이 100㎛ 이상이 되는 스폿만을 대상으로 하고, 이들 모든 스폿을 포위할 수 있는 최소 지름의 진원의 직경으로 했다.
(납땜재의 누출)
납땜재에 가하는 액송압을 3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및 비교예와 마찬가지의 요령으로 금속 부재로의 납땜재의 도포를 1분간 행했다. 그리고 나서 납땜재에 가하는 액송압의 설정값을 0㎪로 한 후에 토출 장치를 1시간 정치하고, 이 사이에 토출 유로의 외측 개구부로부터 누출한 납땜재의 총량을 측정했다. 납땜재의 총량이 0.1g 미만일 경우를 「A」, 납땜재의 총량이 0.1g 이상일 경우를 「B」라고 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12월 27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9-239170호에 의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의 개시는 이들의 전체를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납땜재의 도포 방법은 불화물계 플럭스의 분말을 함유하는 납땜재를 토출 유로로부터 막힘을 발생시키지 않고 토출시켜서 납땜재의 금속 부재로의 도포를 장시간에 걸쳐서 안정적으로 행하고, 금속 부재 상에 납땜재의 도막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1: 장치 본체
11: 액실
11a: 주입구
12: 토출 유로
12a: 제 1 유로
12b: 제 2 유로
13: 플런저
121: 외측 개구부
122: 내측 개구부
A: 토출 장치

Claims (9)

  1. 토출 유로가 형성된 액실과, 상기 액실 내에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진퇴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갖고, 또한 식 1을 충족시키는 토출 장치의 상기 액실 내에 불화물계 플럭스를 포함하는 액상의 납땜재를 공급하는 공급 공정과,
    상기 플런저를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상기 액실의 토출 유로를 향해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실 내의 납땜재를 토출 유로로부터 토출하고, 상기 납땜재를 금속 부재에 도포하는 도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재의 도포 방법.
    [토출 유로의 내경(㎜)]2×1000/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0.85…식 1
  2. 제 1 항에 있어서,
    토출 유로의 내경과, 플런저의 진퇴 방향의 이동 거리와, 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이 식 2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재의 도포 방법.
    [토출 유로의 내경(㎜)]2×플런저의 진퇴 방향의 이동 거리(㎜)×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1000<120…식 2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토출 유로의 내경은 0.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재의 도포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토출 유로는 복수의 구획 유로로 구획되고,
    상기 복수의 구획 유로 중 외측 개구부를 갖는 구획 유로를 제 2 유로로 하고, 상기 제 2 유로에 인접하는 구획 유로를 제 1 유로로 하고,
    상기 제 2 유로의 내경과 상기 제 1 유로의 내경의 비(제 2 유로의 내경/제 1 유로의 내경)가 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재의 도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2 유로의 내경과 제 1 유로의 내경의 비(제 2 유로의 내경/제 1 유로의 내경)가 0.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재의 도포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불화물계 플럭스의 평균 입경이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재의 도포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납땜재가 1기압 및 25℃에서 고체이며, 상기 납땜재를 가열해서 액상으로 하는 가열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재의 도포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액상의 납땜재를 교반하는 교반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재의 도포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납땜재의 도포 방법에 의해 금속 부재 상에 납땜재의 도막이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납땜용 금속 부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용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227020668A 2019-12-27 2020-12-25 납땜재의 도포 방법 및 납땜용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 KR202201161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39170 2019-12-27
JP2019239170 2019-12-27
PCT/JP2020/049027 WO2021132689A1 (ja) 2019-12-27 2020-12-25 ろう付け材の塗布方法及びろう付け用金属部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185A true KR20220116185A (ko) 2022-08-22

Family

ID=76575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0668A KR20220116185A (ko) 2019-12-27 2020-12-25 납땜재의 도포 방법 및 납땜용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45052B2 (ko)
EP (1) EP4082706A4 (ko)
JP (1) JPWO2021132689A1 (ko)
KR (1) KR20220116185A (ko)
CN (1) CN114845830B (ko)
WO (1) WO202113268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7945A (ja) 2011-07-11 2013-01-31 Musashi Eng Co Ltd 液滴吐出装置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450B2 (ko) 1974-06-07 1978-02-17
US4832246A (en) * 1986-10-29 1989-05-23 Harry Ono Automatic soldering machines
KR890006439Y1 (ko) * 1986-12-24 1989-09-23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납땜장치
JP3534450B2 (ja) 1994-08-10 2004-06-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の製造方法
DE4435323C2 (de) * 1994-10-01 2000-02-24 Siegfried Feinler Handlötgerät mit Aufnahmekammer
GB2293786B (en) * 1994-10-05 1998-04-15 T & N Technology Ltd Applying brazing flux material
US5747102A (en) * 1995-11-16 1998-05-05 Nords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small amounts of liquid material
JPH10193086A (ja) * 1997-01-16 1998-07-28 Nippon Light Metal Co Ltd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の製造方法及び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
JP2001191176A (ja) * 2000-01-07 2001-07-17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アルミニウムのろう付け方法およびフラックス組成物並びに該フラックス組成物被覆アルミニウム合金
GB2361203A (en) * 2000-02-18 2001-10-17 David Godfrey Williams Soldering method and method of mixing solder paste
US6679685B2 (en) 2000-03-07 2004-01-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ischarging viscous fluids
JP2002301414A (ja) * 2001-04-10 2002-10-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体吐出方法及び流体吐出装置
JP2008529790A (ja) * 2005-02-17 2008-08-07 ノードソン コーポレイション 粘性材料を噴射するシステム、弁、及び方法
JP4042914B2 (ja) * 2005-04-22 2008-02-06 Tdk株式会社 半田付け装置及び半田分配装置
JP4692088B2 (ja) * 2005-06-13 2011-06-01 日本軽金属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合金のろう付け方法
JP4875871B2 (ja) * 2005-09-09 2012-02-15 昭和電工株式会社 電子回路基板へのハンダ粉末の付着方法およびハンダ付電子配線基板
GB2447486A (en) * 2007-03-14 2008-09-17 Sandvik Osprey Ltd A brazing piece comprising a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n inorganic flux
CN101301705A (zh) * 2007-12-05 2008-11-12 东莞市普赛特电子科技有限公司 散热器焊接用针筒注射式无铅焊膏
US9162249B2 (en) 2008-10-01 2015-10-2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aste dispenser for applying paste containing fillers using nozzle with pin and appl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5164774B2 (ja) * 2008-10-01 2013-03-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ペースト塗布装置およびペースト塗布方法
WO2010069066A1 (en) * 2008-12-19 2010-06-24 Halberg Design Inc. Soldering apparatus and method
JP5750237B2 (ja) * 2010-05-25 2015-07-15 株式会社Uacj アルミニウム合金製熱交換器の製造方法
WO2012150105A1 (en) * 2011-04-08 2012-11-08 Micronic Mydata AB Composition of solid-containing paste
JP5723056B1 (ja) * 2014-12-15 2015-05-27 ハリマ化成株式会社 はんだ合金、ソルダペーストおよび電子回路基板
CN104625483B (zh) * 2014-12-17 2016-10-05 华南理工大学 一种低残留低腐蚀的铝软钎焊锡膏及其制备方法
JP6370327B2 (ja) * 2016-03-30 2018-08-08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ジェットディスペンサー用はんだ組成物
KR20170142570A (ko) * 2016-06-20 2017-12-28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솔더링용 플럭스 코팅 시스템
JP6469623B2 (ja) * 2016-09-28 2019-02-13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ジェットディスペンサー用はんだ組成物
JP6197942B1 (ja) * 2016-12-28 2017-09-20 千住金属工業株式会社 噴流はんだ高さ確認治具及びその取り扱い方法
KR102537372B1 (ko) * 2017-07-12 2023-05-26 마이크로닉 아베 에너지 출력 장치들을 갖는 분사 장치들 및 그 제어 방법들
CN110315241A (zh) * 2018-03-29 2019-10-11 株式会社田村制作所 分配涂布用焊料组合物
CN109093223B (zh) * 2018-09-26 2021-01-15 江苏天毅冷镦股份有限公司 一种钎焊焊料自动装配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7945A (ja) 2011-07-11 2013-01-31 Musashi Eng Co Ltd 液滴吐出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45830B (zh) 2024-03-01
EP4082706A4 (en) 2024-01-03
US11945052B2 (en) 2024-04-02
JPWO2021132689A1 (ko) 2021-07-01
WO2021132689A1 (ja) 2021-07-01
CN114845830A (zh) 2022-08-02
US20230044980A1 (en) 2023-02-09
EP4082706A1 (en)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7648B2 (ja) 少量の液体材料を分配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DE102010016814B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bringen von Lot auf ein Werkstück
TWI564083B (zh) Droplet discharge device and method
US10702939B2 (en) Cold-spray braze material deposition
JP2001500962A (ja) 少量材料分配用装置
CN100537120C (zh) 低熔点金属微粒的制造方法及其装置
US20030085253A1 (en) Monodisperse spherical metal partic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DK2830822T3 (en) SOLDERING POWDER
EP3189925A1 (en) Nozzle for machining and optical machining device
EP2673111B1 (en) Brazing ring
US5180098A (en) Air conditioner condenser assembly
KR20190133765A (ko) 패시브 정전식 co2 복합재 스프레이 어플리케이터
KR20220116185A (ko) 납땜재의 도포 방법 및 납땜용 금속 부재의 제조 방법
EP1871921B1 (de) Verfahren zur partiellen oder vollständigen beschichtung der oberflächen von bauteilen aus aluminiummaterial
JP2011173167A (ja) フラックス及びハンダ材料、並びにその作製方法
EP1437181A2 (en) Liquid material deliver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CN107971492B (zh) 一种用于三维打印的熔融原料生成方法
EP3867065A1 (en) Method for the additive manufacturing of a component
WO2020039497A1 (ja) ろう付け材、ろう付け部材、熱交換器、および、ろう付け部材の製造方法
DE202005004807U1 (de) Bauteil aus Aluminiummaterial mit einer partiellen oder vollständigen Beschichtung der Oberflächen für die Hartverlötung
JP2011253853A (ja) はんだ接合方法
JP7196285B2 (ja) ろう付け用チュー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熱交換器
JP2019011922A (ja) 耐食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製熱交換器の製造方法およびアルミニウム合金製熱交換器
EP3263734B1 (en) Thermal spray material,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thermal spraying method
EP1065058A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nk jet recording head, ink jet recording head manufactured by such method, and laser work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