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808A - 신호 전송 단자, 샘플링 장치, 배터리 모듈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신호 전송 단자, 샘플링 장치, 배터리 모듈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808A
KR20220112808A KR1020227022933A KR20227022933A KR20220112808A KR 20220112808 A KR20220112808 A KR 20220112808A KR 1020227022933 A KR1020227022933 A KR 1020227022933A KR 20227022933 A KR20227022933 A KR 20227022933A KR 20220112808 A KR20220112808 A KR 20220112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sheet
bent
signal transmission
transmission terminal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2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롱 리
총 왕
원차이 쉬
싱위앤 우
Original Assignee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12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2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flat conductive elements, e.g. flat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H01R12/68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comprising deformable por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6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having an uneven wire-receiving surface to improve the conta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95Insulation penetration combined with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contact member, e.g. crim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신호 전송 단자(3), 샘플링 장치(23), 배터리 모듈(2) 및 장치. 신호 전송 단자(3)는 샘플링 장치(23)에 사용된다. 샘플링 장치(23)는 도전성 시트(4)를 포함한다. 신호 전송 단자(3)는 제1 연결부(31), 제2 연결부(32) 및 절곡부(33)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31)는 도전성 시트(4)와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제1 연결부(31)는 융기부(311)를 구비한다. 제2 연결부(32)는 제1 연결부(31)에 연결되고 또한 버스 부재(22)와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절곡부(33)는 제1 연결부(31)와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절곡부(33)는 절곡된 후에 도전성 시트(4)를 제1 연결부(31)와 절곡부(33) 사이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융기부(311)는 절곡부(33)의 일측에 위치된다. 절곡부(33)는 융기부(311)를 향해 절곡될 수 있고 또한 융기부(311)와 도전성 시트(4)를 클램핑할 수 있다. 전술한 신호 전송 단자(3)는 도전성 시트(4)와의 연결 안정성을 향상시켜 샘플링 정확도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 전송 단자, 샘플링 장치, 배터리 모듈 및 장치
본 출원은 배터리의 기술 분야와 관련되며, 특히 신호 전송 단자, 샘플링 장치, 배터리 모듈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참고적으로, 본 출원은 2020년 05월 26일에 출원된 출원 번호 202020912296.5의 발명 명칭이 " 신호 전송 단자, 샘플링 장치, 배터리 모듈 및 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인용을 통해 여기에 포함된다.
과학 기술의 발달로 배터리 모듈의 응용 분야는 신에너지 차량, 우주선, 항공기, 선박, 모바일 컴퓨팅 장치 또는 전동 공구와 같이 점점 더 광범위해지고 있다. 배터리 모듈은 복수의 이차 배터리와 버스 부재를 포함한다. 복수의 서로 다른 이차 배터리는 버스 부재를 통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다. 이차 배터리의 정상적이고 안전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샘플링 장치를 사용하여 이차 배터리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샘플링 장치는 샘플링 회로 기판과 신호 전송 단자를 포함한다. 샘플링 회로 기판은 도전성 시트를 구비한다. 신호 전송 단자는 버스 부재와 도전성 시트를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도전성 시트와 신호 전송 단자가 연결된 후, 도전성 시트와 신호 전송 단자의 샘플링 정확도가 좋지 않아 이차 배터리의 사용 안전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출원은 신호 전송 단자, 샘플링 장치, 배터리 모듈 및 장치를 제공한다. 신호 전송 단자는 도전성 시트와의 연결 안정성을 향상시켜 샘플링 정확도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제1 측면에서, 본 출원은 샘플링 장치에 사용되는 신호 전송 단자를 제공하며, 샘플링 장치는 도전성 시트를 포함하며, 신호 전송 단자는: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절곡부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는 도전성 시트와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제1 연결부는 융기부를 구비한다. 제2 연결부는 제1 연결부와 연결되고, 또한 샘플링 대상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절곡부는 제1 연결부와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절곡부는 절곡된 후에 도전성 시트를 제1 연결부와 절곡부 사이에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융기부는 절곡부 일측에 위치된다. 절곡부는 융기부를 향해 절곡될 수 있고 또한 융기부와 도전성 시트를 클램핑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 단자는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절곡부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는 융기부를 구비한다. 신호 전송 단자는 도전성 시트를 관통할 수 있고, 또한 절곡부를 절곡하여 절곡부와 융기부가 도전성 시트를 가압함으로써, 신호 전송 단자와 도전성 시트의 직접 연결을 실현한다. 이와 같이, 신호 전송 단자와 도전성 시트 사이의 연결 과정이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하며, 또한 신호 전송 단자와 도전성 시트 사이의 연결이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보장될 수 있으며, 양자가 쉽게 느슨해지거나 분리되지 않으므로, 샘플링 정확도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고 배터리 모듈의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융기부는 오목부를 구비하며, 절곡부가 절곡되면, 절곡부의 상단부는 오목부와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부 내에 위치되며; 및/또는, 융기부의 상부면과 오목부의 바닥면은 모두 호형상의 면이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융기부에 설치되는 오목부의 수 및 위치는 2열의 절곡부의 총 수 및 위치와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절곡부의 뿌리부의 폭은 절곡부의 상단부의 폭보다 크고, 절곡부의 상단부는 호형상이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2열의 절곡부는 제1 연결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여기서, 1열의 절곡부와 다른 1열의 절곡부는 위치가 엇갈리게 설치되며, 융기부은 2열의 절곡부 사이에 위치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제1 연결부는 2개 이상의 레그를 포함하고, 절곡부는 레그에 연결되고, 융기부는 레그에 설치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제1 연결부의 폭은 제2 연결부의 폭보다 작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제1 연결부의 탄성 변형 능력은 제2 연결부의 탄성 변형 능력보다 크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신호 전송 단자는 장착 포지셔닝부를 더 포함하며, 장착 포지셔닝부는 제2 연결부로부터 멀어지는 제1 연결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장착 포지셔닝부는 신호 전송 단자와 도전성 시트의 연결 과정에서 신호 전송 단자에 대한 위치를 미리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장착 포지셔닝부는 시트형 본체 및 시트형 본체에 설치된 포지셔닝 구멍을 구비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절곡부는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배터리 모듈에 사용되는 샘플링 장치를 제공하며, 샘플링 장치는: 도전성 시트 및 전술한 신호 전송 단자를 포함한다. 도전성 시트는 전기 연결 영역을 구비한다. 신호 전송 단자의 절곡부는 전기 연결 영역을 관통한다. 절곡부는 절곡되어 제1 연결부와 도전성 시트를 가압하여 도전성 시트와 신호 전송 단자가 연결되도록 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샘플링 장치는 상부 절연막 및 하부 절연막을 더 포함하며, 상부 절연막 및 하부 절연막은 각각 도전성 시트의 양측에 설치되고, 전기 연결 영역은 상부 절연막 및/또는 하부 절연막에 의해 덮이지 않는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도전성 시트에는 통공이 설치되고, 절곡부는 통공을 관통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도전성 시트는 다층 구조이며; 및/또는, 도전성 재료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일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본 출원은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며, 배터리 모듈은: 2개 이상의 이차 배터리 및 전술한 샘플링 장치를 포함한다. 신호 전송 단자의 제2 연결부는 이차 배터리에 연결되어 이차 배터리의 전압 및 온도 신호를 수집한다.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본 출원은 배터리 모듈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이 장치는: 전술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며, 배터리 모듈은 장치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 단자는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절곡부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는 융기부를 구비한다. 신호 전송 단자는 도전성 시트를 관통할 수 있고, 또한 절곡부를 절곡하여 절곡부와 융기부가 도전성 시트를 가압함으로써, 신호 전송 단자와 도전성 시트의 직접 연결을 실현한다. 이와 같이, 신호 전송 단자와 도전성 시트 사이의 연결 과정이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하며, 또한 신호 전송 단자와 도전성 시트 사이의 연결이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보장될 수 있으며, 양자가 쉽게 느슨해지거나 분리되지 않으므로, 샘플링 정확도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고 배터리 모듈의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되어야 하는 첨부도면을 간략히 소개한다. 물론, 아래에서 설명하는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창의적인 노력 없이도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차량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배터리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샘플링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샘플링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신호 전송 단자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위치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신호 전송 단자 및 도전성 시트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개시된 신호 전송 단자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도면은 실제 축척으로 그려진 것이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아래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은 본 출원의 원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출원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없다. 즉, 본 출원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는 둘 이상이며, 용어 "위", "아래", "왼쪽", "오른쪽", "내부”, "외부" 등으로 표시된 위치 관계는 언급된 장치 또는 요소가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고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작동되어야 함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 본 출원을 설명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제 3" 등의 용어는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상대적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수직"은 엄격하게 수직하지는 않지만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다. "평행"은 엄격하게 평행하지는 않지만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 내에 있다.
아래에 설명에서 등장하는 방향어들은 모두 도면에 나타난 방향이며, 본 출원의 구체적인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지정되고 제한되지 않는 한 "장착", "상호 연결" 및 "연결"이라는 용어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 탈착식 연결 또는 일체형 연결이 될 수 있으며; 직접 연결되거나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분야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본 출원에서 상기 용어들의 구체적인 의미는 특정한 상황에 따라 이해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에서 도전성 시트와 신호 전송 단자의 샘플링 정확도가 좋지 않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도전성 시트와 신호 전송 단자의 연결 공정을 최적화하였다. 출원인은 납땜, 리벳팅 또는 접착제 디스펜싱 공정을 통해 도전성 시트를 신호 전송 단자와 연결하였지만, 여전히 사용 과정에서 샘플링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출원인은 도전성 시트와 신호 전송 단자의 연결 공정에 대해 추가 연구 및 분석을 수행한 결과, 납땜 공정을 채택할 경우 납땜 과정 중 고온 환경이 전자 부품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리벳팅 공정을 사용하면 도전성 시트와 신호 전송 단자 사이의 연결 위치가 느슨해졌다. 접착제 디스펜싱 공정을 사용하면, 도전성 시트와 신호 전송 단자 사이에 접착제가 침투하여 도전성 시트와 신호 전송 단자 사이의 연결 저항을 증가시켰다. 이와 같이, 전술한 연결 과정을 통해 도전성 시트와 신호 전송 단자를 연결한 후, 샘플링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쉽게 발생하여 이차 배터리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출원인이 발견한 상기 문제점에 기초하여, 출원인은 배터리 모듈의 구조를 개선하였으며,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본 출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배터리 모듈(2)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차량, 선박, 항공기 또는 전동 공구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는 차체 및 배터리 모듈(2)을 포함하는 차량(1)을 제공한다. 배터리 모듈(2)은 차체에 설치된다. 차량(1)은 순수 전기 차량, 하이브리드 차량 또는 장거리 차량일 수 있다. 차체에는 배터리 모듈(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 모터가 설치된다. 배터리 모듈(2)은 구동 모터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한다. 구동 모터는 전달 메커니즘을 통해 차체의 바퀴와 연결되어 차량을 주행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배터리 모듈(2)은 차체의 바닥부에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2)은 2개 이상의 이차 배터리(21), 버스 부재(22) 및 샘플링 장치(23)를 포함한다. 버스 부재(22)는 서로 다른 이차 배터리(21)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차 배터리(21)는 샘플링 대상으로 사용된다. 샘플링 장치(23)는 버스 부재(22)와 연결되어 이차 배터리(21)의 전압 또는 온도 신호를 수집하는데 사용된다. 배터리 모듈(2)의 설치 방법은 다양하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모듈(2)은 수용 부재 및 수용 부재에 위치하는 2개 이상의 이차 배터리(21)를 포함한다. 2개 이상의 이차 배터리(21)는 수용 부재에 나란히 설치된다. 수용 부재의 설치 방법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수용 부재는 케이스 및 케이스에 덮인 덮개판을 포함하며; 또는, 수용 부재는 연속적으로 둘러싸서 연결된 측판과 단부판을 포함하며; 또는, 수용 부재는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두 개의 단부판 및 단부판과 이차 배터리(21)의 외부를 둘러싸는 밴드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샘플링 장치(23)는 신호 전송 단자(3), 도전성 시트(4), 상부 절연막(5), 하부 절연막(6) 및 연결 포트(7)를 포함한다. 연결 포트(7)는 중앙 컨트롤러(미도시)와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상부 절연막(5), 도전성 시트(4) 및 하부 절연막(6)은 적층되어 설치된다. 신호 전송 단자(3)는 도전성 시트(4)를 통해 연결 포트(7)와 연결된다. 샘플링 장치(23)는 신호 전송 단자(3)를 통해 버스 부재(22)와 연결된다. 신호 전송 단자(3)의 개수는 버스 부재(22)의 개수에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된다. 일례에서, 신호 전송 단자(3)는 용접에 의해 버스 부재(22)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도전성 시트(4)는 다층 구조, 즉 2개 이상의 층 구조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도전성 시트(4)의 재료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 등일 수 있다. 도전성 시트(4)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박을 다층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신호 전송 단자(3)는 이차 배터리(21)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전송 단자(3)는 제1 연결부(31), 제2 연결부(32) 및 절곡부(33)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31)는 도전성 시트(4)와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제1 연결부(31)는 융기부(311)를 구비한다. 제2 연결부(32)는 제1 연결부(31)에 연결되고 또한 버스 부재(22)와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절곡부(33)는 제1 연결부(31)와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절곡부(33)는 절곡된 후에 도전성 시트(4)를 제1 연결부(31)와 절곡부(33) 사이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융기부(311)는 절곡부(33)의 일측에 위치된다. 융기부(311)와 절곡부(33)는 폭 방향(X)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절곡부(33)는 융기부(311)를 향해 절곡될 수 있고 또한 융기부(311)와 도전성 시트(4)를 클램핑할 수 있다. 일례에서, 신호 전송 단자(3)와 도전성 시트(4)의 연결 과정에서, 절곡부(33)는 도전성 시트(4)를 먼저 관통한 후, 절곡된다. 또는, 먼저 도전성 시트(4)에 통공이 설치되고, 절곡부(33)가 통공을 관통한 다음 절곡된다. 일례에서, 제1 연결부(31), 제2 연결부(32) 및 절곡부(33)는 일체로 형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 단자(3)는 제1 연결부(31), 제2 연결부(32) 및 절곡부(33)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31)는 융기부(311)를 구비한다. 절곡부(33)가 도전성 시트(4)를 관통한 후, 절곡부(33)를 융기부(311)를 향해 절곡할 수 있다. 절곡부(33)가 절곡된 후, 절곡부(33)는 융기부(311)와 도전성 시트(4)를 클램핑함으로써, 도전성 시트(4)와 신호 전송 단자(3)의 연결 안정성을 향상시켜 도전성 시트(4)와 신호 전송 단자(3) 사이가 느슨해질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연결부(31)에 설치된 융기부(311)는 절곡부(33)에 대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연결부(31)에 융기부(311)가 없으면, 절곡된 후 절곡부(33)와 제1 연결부(31) 사이에 간극이 생겨 절곡부(33)와 제1 연결부(31)가 도전성 시트(4)를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없어 도전성 시트(4)가 느슨해질 수 있다. 절곡부(33)가 도전성 시트(4)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제1 연결부(31)에 설치된 융기부(311)는 도전성 시트(4)를 압박하여 도전성 시트(4)의 위치를 제한하여 굴곡부(33)가 골곡되면 도전성 시트(4)에 마찰력이 가해져 도전성 시트(4)가 당겨지므로, 도전성 시트(4)의 위치 편차 및 위치 설정 편차가 클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호 전송 단자(3)는 절곡부(33)를 통해 도전성 시트(4)와 직접 연결 및 고정될 수 있고, 또한 절곡부(33)와 제1 연결부(31)는 도전성 시트(4)를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어, 용접, 리벳팅 또는 접착제 디스펜싱 등 연결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신호 전송 단자(3)와 도전성 시트(4)의 연결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절곡부(33)와 도전성 시트(4)의 연결 과정이 간단하고 편리하며, 또한 샘플링 정확도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보장하여 배터리 모듈(2)의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기부(311)는 오목부(3111)를 구비한다. 절곡부(33)는 서로 대향 설치된 상단부(331)와 뿌리부(332)를 구비한다. 절곡부(33)의 뿌리부(332)는 제1 연결부(31)와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절곡부(33)가 절곡되면, 절곡부(33)의 상단부(331)는 오목부(3111)에 대응되므로, 오목부(3111)에 대응되는 도전성 시트(4)의 부분을 오목부(3111) 내로 압입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절곡부(33)에 의해 가압된 도전성 시트(4)는 융기부(311)에 의해 더 위치가 제한되어 도전성 시트(4)와 신호 전송 단자(3) 사이의 연결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켜, 도전성 시트(4)가 외력을 받는 경우에도 융기부(311) 및 절곡부(33)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된다. 일례에서, 절곡된 후의 절곡부(33)의 상단부(331)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부(3111) 내에 위치된다. 절곡부(33)의 상단부(331)는 오목부(3111)에 대응되는 도전성 시트(4)의 영역을 오목부(3111)의 더 깊은 위치로 압입할 수 있고, 동시에 오목부(3111)의 측벽은 절곡부의 상단부(331)에 대해 위치 제한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전성 시트(4) 또는 신호 전송 단자(3)가 외력을 받는 경우에도, 도전성 시트(4)가 융기부(311) 및 절곡부(33)에 대해 쉽게 움직이지 않아 도전성 시트(4)와 신호 전송 단자(3)의 연결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일례에서, 융기부(311)의 상부면과 오목부(3111)의 바닥면이 모두 호형상의 면이므로, 절곡부(33)를 통해 도전성 시트(4)를 가압할 때, 상부면 및 바닥면에 대응되는 도전성 시트(4)의 영역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그 영역에 크랙과 같은 구조적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일례에서, 절곡부(33)의 뿌리부(332)의 폭은 절곡부(33)의 상단부(331)의 폭보다 크므로, 절곡부(33)는 전체적으로 위는 좁고 아래는 넓은 원추형 또는 사다리꼴 구조를 구비한다. 절곡부(33)를 사용하여 도전성 시트(4)를 직접 관통하는 경우, 절곡부(33)는 도전성 시트(4)를 관통하기 쉽고 또한 도전성 시트(4)를 관통하는 관통 영역을 제어하기가 더 쉽다. 절곡부(33)의 상단부(331)는 호형상으로 되어 있어, 절곡부(33)를 절곡한 후 도전성 시트(4)와 접촉되는 상단부(331)의 영역이 도전성 시트(4)에 과도한 압축 응력을 가해 도전성 시트에 국부적인 응력 집중을 초래하여 구조적 손상이 발생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데 유리하다. 또한, 절곡부(33)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를 찌를 가능성을 줄이는 데에도 유리하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열의 절곡부(33)는 제1 연결부(31)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1열의 절곡부(33)와 다른 1열의 절곡부(33)는 위치가 엇갈리게 설치되므로, 각 절곡부(33)가 절곡된 후, 각 절곡부(33)는 위치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일례에서, 2열의 절곡부(33)은 폭 방향(X)를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융기부(311)은 2열의 절곡부(33) 사이에 위치된다. 1열의 절곡부(33)의 개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융기부(311)에 설치되는 오목부(3111)의 수 및 위치는 2열의 절곡부(33)의 총 수 및 위치와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된다. 각 절곡부(33)는 절곡된 후, 다른 위치에서 도전성 시트(4)를 가압하여 도전성 시트(4)와 융기부(311)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도전성 시트(4)와 신호 전송 단자의 연결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각각의 절곡부(33)는 서로 중복된 디자인을 형성하여, 절곡부(33)의 일부가 손상된 경우, 절곡부(33)의 나머지 부분이 여전히 도전성 시트(4)를 가압하여 도전성 시트(4)와 신호 전송 단자(3)를 연결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절곡부(33)의 상단부(331)는 도전성 시트(4)와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각 절곡부(33)가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지 않으면, 2열의 절곡부(33)가 절곡된 후, 융기부(311)의 양측의 절곡부(33)의 상단부(331)는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고, 중첩되는 부분은 제어할 수 없는 압접력을 야기하여, 도전성 시트(4)의 헐거움이 발생하기 쉽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31)는 2개의 레그(31a)를 포함한다. 2개의 레그(31a)는 폭 방향(X)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두 개의 레그(31a) 사이에는 각각 간극이 형성된다. 절곡부(33)는 레그(31a)에 연결된다. 융기부(311)는 레그(31a)에 설치된다. 2개의 레그(31a)를 설치함으로써, 각 레그(31a) 상의 절곡부(33)를 통해 도전성 시트(4)와 연결할 수 있어, 신호 전송 단자(3)와 도전성 시트(4)를 압접한 후 인장력을 향상시키고, 신호 전송 단자(3)와 도전성 시트(4)가 인장력을 받을 때 서로 쉽게 분리되어 도전성 시트가 찢어질 가능성을 줄이는데 유리하다. 각 레그(31a)에는 2열의 절곡부(33)가 설치되며, 그 중에서 각 레그(31a)의 경우, 1열의 절곡부(33)와 다른 1열의 절곡부(33)는 위치가 엇갈리게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레그(31a)의 개수는 전술한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 5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31) 및 제2 연결부(32)은 모두 시트형 구조이다. 제1 연결부(31)의 폭은 제2 연결부(32)의 폭보다 작으므로, 제1 연결부(31)의 탄성 변형 능력은 제2 연결부(32)의 탄성 변형 능력보다 크다. 이와 같이, 제2 연결부(32)가 폭 방향(X) 또는 자체 두께 방향을 따라 외력에 의해 신장될 때, 제1 연결부(31)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어, 제2 연결부(32)에 따른 제1 연결부(31)의 위치 편차가 너무 커서 도전성 시트(4)를 찢을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 5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전송 단자(3)는 장착 포지셔닝부(34)를 더 포함한다. 장착 포지셔닝부(34)는 제2 연결부(32)로부터 멀어지는 제1 연결부(31)의 일단에 연결된다. 장착 포지셔닝부(34)는 신호 전송 단자(3)와 도전성 시트(4)의 연결 과정에서 신호 전송 단자(3)에 대한 위치를 미리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절곡 장치가 절곡부(33)를 정확하게 절곡하고 또한 융기부(311) 상에 압접하는 것이 편리하여, 신호 전송 단자(3)의 위치가 어긋나 도전성 시트(4)와의 연결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있지 않을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일례에서, 장착 포지셔닝부(34)는 시트형 본체 및 시트형 본체에 설치된 포지셔닝 구멍을 구비한다. 장착 포지셔닝부(34)는 포지셔닝 구멍을 통해 포지셔닝 도구에 위치 설정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시트(4)는 전기 연결 영역(41)을 구비한다. 도전성 시트(4)는 가늘고 긴 구조를 구비한다. 연결 포트(7)로부터 떨어진 도전성 시트(4)의 자유 단부에는 전기 연결 영역(41)이 형성된다. 절곡부(33)은 전기 연결 영역(41)을 관통한다. 일례에서, 상부 절연막(5)은 전기 연결 영역(41)을 덮는다. 절곡부(33)는 도전성 시트(4)와 상부 절연막(5)을 동시에 관통한 다음 절곡될 수 있거나, 도전성 시트(4)만을 관통해서 절곡될 수 있으며, 상부 절연막(5)은 도전성 시트(4)를 관통하는 굴곡부(33)의 부분 및 도전성 시트(4)의 전기 연결 영역(41)을 굴곡부(33)의 외부로부터 덮는다. 일례에서, 하부 절연막(6)은 전기 연결 영역(41)을 덮는다. 절곡부(33)는 하부 절연막(6)과 도전성 시트(4)를 동시에 관통한 다음 절곡될 수 있거나, 도전성 시트(4)만을 관통해서 절곡될 수 있으며, 하부 절연막(6)은 도전성 시트(4)를 관통하는 제1 연결부(31) 및 도전성 시트(4)의 전기 연결 영역(41)을 제1 연결부(31)의 외부로부터 덮는다. 일례에서, 상부 절연막(5) 및 하부 절연막(6)은 모두 전기 연결 영역(41)을 덮는다. 절곡부(33)는 도전성 시트(4)와 상부 절연막(5)을 동시에 관통한 다음 절곡될 수 있고, 하부 절연막(6)은 제1 연결부(31)를 덮는다. 또는, 절곡부(33)는 하부 절연막(6)과 도전성 시트(4)를 동시에 관통한 다음 절곡될 수 있고, 상부 절연막(5)은 도전성 시트(4)를 관통하는 절곡부(33)의 부분을 덮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 단자(3)는 제1 연결부(31), 제2 연결부(32) 및 절곡부(33)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31)는 융기부(311)를 구비한다. 신호 전송 단자(3)가 샘플링 장치(23)에 적용될 때, 신호 전송 단자(3)는 도전성 시트(4)를 관통할 수 있고, 또한 절곡부(33)를 절곡하여 절곡부(33)와 융기부(311)가 도전성 시트(4)를 가압함으로써, 신호 전송 단자(3)와 도전성 시트(4)의 직접 연결을 실현한다. 이와 같이, 신호 전송 단자(3)와 도전성 시트(4) 사이의 연결 과정이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하며, 또한 신호 전송 단자(3)와 도전성 시트(4) 사이의 연결이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보장될 수 있으며, 양자가 쉽게 느슨해지거나 분리되지 않으므로, 샘플링 정확도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고 배터리 모듈(2)의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균등물이 그 일부를 대체할 수 있다. 특히, 구조적 충돌이 없는 한, 각 실시예에서 언급된 각각의 기술적 특징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기술 방안을 포함한다.
1-차량; 2-배터리 모듈; 21-이차 배터리; 22-버스 부재; 23-샘플링 장치; 3-신호 전송 단자; 31-제1 연결부; 31a-레그; 311-융기부; 3111-오목부; 32-제2 연결부; 33-절곡부; 331-상단부, 332-뿌리부, 34-장착 포지셔닝부; 4-도전성 시트; 41-전기 연결 영역; 5-상단부 절연 필름; 6-하부 절연 필름; 7-연결 포트; X-폭 방향.

Claims (18)

  1. 샘플링 장치에 사용되는 신호 전송 단자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장치는 도전성 시트를 포함하며, 그 중에서 상기 신호 전송 단자는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도전성 시트와 연결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융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고, 또한 샘플링 대상과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절곡부는 절곡된 후에 상기 도전성 시트를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절곡부 사이에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융기부는 상기 절곡부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융기부를 향해 절곡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융기부와 상기 도전성 시트를 클램핑할 수는, 신호 전송 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는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부가 절곡되면, 상기 절곡부의 상단부는 상기 오목부와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신호 전송 단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오목부 내에 위치되며; 및/또는, 상기 융기부의 상부면과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은 모두 호형상의 면인, 신호 전송 단자.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에 설치되는 상기 오목부의 수 및 위치는 2열의 상기 절곡부의 총 수 및 위치와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되는, 신호 전송 단자.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뿌리부의 폭은 상기 절곡부의 상단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절곡부의 상기 상단부는 호형상인, 신호 전송 단자.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열의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여기서, 1열의 상기 절곡부와 다른 1열의 상기 절곡부는 위치가 엇갈리게 설치되며, 상기 융기부은 2열의 상기 절곡부 사이에 위치되는, 신호 전송 단자.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2개 이상의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레그에 연결되고, 상기 융기부는 상기 레그에 설치되는, 신호 전송 단자.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폭은 상기 제2 연결부의 폭보다 작은, 신호 전송 단자.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탄성 변형 능력은 상기 제2 연결부의 탄성 변형 능력보다 큰, 신호 전송 단자.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단자는 장착 포지셔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착 포지셔닝부는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장착 포지셔닝부는 상기 신호 전송 단자와 상기 도전성 시트의 연결 과정에서 상기 신호 전송 단자에 대한 위치를 미리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신호 전송 단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장착 포지셔닝부는 시트형 본체 및 상기 시트형 본체에 설치된 포지셔닝 구멍을 구비하는, 신호 전송 단자.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 및 상기 절곡부는 일체로 형성된 구조인, 신호 전송 단자.
  13. 배터리 모듈에 사용되는 샘플링 장치에 있어서,
    도전성 시트; 및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신호 전송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시트는 전기 연결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전기 연결 영역을 관통하고, 상기 절곡부는 절곡되어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도전성 시트를 가압하여 상기 도전성 시트와 상기 신호 전송 단자가 연결되도록 하는, 샘플링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장치는 상부 절연막 및 하부 절연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절연막 및 상기 하부 절연막은 각각 상기 도전성 시트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 연결 영역은 상기 상부 절연막 및/또는 상기 하부 절연막에 의해 덮이지 않는, 샘플링 장치.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시트에는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통공을 관통하는, 샘플링 장치.
  16.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시트는 다층 구조이며; 및/또는, 상기 도전성 재료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인, 샘플링 장치.
  17. 2개 이상의 이차 배터리; 및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샘플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전송 단자의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이차 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이차 배터리의 전압 및 온도 신호를 수집하는, 배터리 모듈.
  18. 배터리 모듈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17에 따른 상기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장치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KR1020227022933A 2020-05-26 2021-04-15 신호 전송 단자, 샘플링 장치, 배터리 모듈 및 장치 KR202201128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0912296.5 2020-05-26
CN202020912296.5U CN212161961U (zh) 2020-05-26 2020-05-26 信号传输端子、采样装置、电池模组以及装置
PCT/CN2021/087547 WO2021238491A1 (zh) 2020-05-26 2021-04-15 信号传输端子、采样装置、电池模组以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808A true KR20220112808A (ko) 2022-08-11

Family

ID=7370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933A KR20220112808A (ko) 2020-05-26 2021-04-15 신호 전송 단자, 샘플링 장치, 배터리 모듈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38968A1 (ko)
EP (1) EP4024564A4 (ko)
JP (1) JP7446438B2 (ko)
KR (1) KR20220112808A (ko)
CN (1) CN212161961U (ko)
WO (1) WO20212384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161961U (zh) * 2020-05-26 2020-12-1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信号传输端子、采样装置、电池模组以及装置
CN115189103A (zh) * 2021-04-02 2022-10-14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组件和电池包信号采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810Y2 (ja) * 1990-05-09 1995-11-01 住友電装株式会社 可撓性平型導体ケーブル用電気接続子
DE20106497U1 (de) * 2001-04-12 2001-07-19 Grote & Hartmann Crimpkralle eines elektrischen Kontaktelements
JP3976523B2 (ja) 2001-07-06 2007-09-19 矢崎総業株式会社 ピアッシング端子
CN203166126U (zh) * 2013-01-28 2013-08-28 禾昌兴业电子(深圳)有限公司 端子结构
US20170025661A1 (en) * 2015-07-23 2017-01-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nsor lead securing assembly and method
CN110224242B (zh) * 2016-06-21 2021-02-23 深圳市敏杰电子科技有限公司 刺破式端子和冲压带
CN109428183B (zh) * 2017-08-24 2020-10-30 莫列斯有限公司 电池连接模块
CN207426196U (zh) 2017-09-20 2018-05-2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件、电连接组件及用于电池包内电连接和管理的装置
KR102508168B1 (ko) * 2018-01-10 2023-03-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029368B1 (ko) * 2018-01-30 2019-10-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버스바 연결단자 및 버스바 어셈블리 연결구조
CN209730082U (zh) * 2019-01-30 2019-12-0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采样电路板及电池模组
CN210467964U (zh) * 2019-09-23 2020-05-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采样组件、连接组件、电池模组以及车辆
CN212161961U (zh) * 2020-05-26 2020-12-1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信号传输端子、采样装置、电池模组以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8491A1 (zh) 2021-12-02
EP4024564A4 (en) 2022-12-07
JP7446438B2 (ja) 2024-03-08
US20220238968A1 (en) 2022-07-28
JP2023511855A (ja) 2023-03-23
EP4024564A1 (en) 2022-07-06
CN212161961U (zh)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9625B1 (en) Bus bar
US9799872B2 (en) Battery module
CN109155387B (zh) 端子连接构造、电池层叠体以及端子连接构造的形成方法
EP3764422B1 (en) Sampling circuit board for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KR20220112808A (ko) 신호 전송 단자, 샘플링 장치, 배터리 모듈 및 장치
EP3905363B1 (en) Battery module
EP3082177A1 (en) Secondary cell module
CN209766537U (zh) 电池模组及电动装置
US20220223930A1 (en) Sampling component,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device
JP2013069491A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
JP2013080620A (ja) 電池用配線モジュール
EP3503258B1 (en) Conductive sheet for connecting batteries and battery connecting module utilizing the same
JP6043660B2 (ja) 導体とフラットケーブルとの接続構造及びこの接続構造が用いられた電源装置
JP2019129055A (ja) 蓄電モジュール
KR101872834B1 (ko)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
WO2019184492A1 (zh) 电池采样组件及电池箱
CN215581057U (zh) 光伏接线盒安装结构
US20140315060A1 (en) Battery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on between a cell connector and an electronic unit of a battery system
WO2014142293A1 (ja) 電源装置
CN209981419U (zh) 电池模块
WO2021049667A1 (ja) 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20220012037A (ko) 전극 리드와 전압 센싱부재 간의 연결을 단순화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2007103773A (ja) 蓄電システム及びその組立方法
CN210224344U (zh) 转换器连接件及转换器
CN215732081U (zh) 电池采样装置及电池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