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834B1 -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834B1
KR101872834B1 KR1020150183109A KR20150183109A KR101872834B1 KR 101872834 B1 KR101872834 B1 KR 101872834B1 KR 1020150183109 A KR1020150183109 A KR 1020150183109A KR 20150183109 A KR20150183109 A KR 20150183109A KR 101872834 B1 KR101872834 B1 KR 101872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lexible circuit
circuit board
battery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073A (ko
Inventor
신승환
박규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50183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834B1/ko
Publication of KR20170074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30
    • H01M2/1016
    • H01M2/202
    • H01M2/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Abstract

일 측에 (+)단자가 돌출 형성되고, 타 측에 (-)단자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 및 (-)단자가 상하 교대하면서 복수 개가 적층되는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이 직렬 연결되게 인접하는 상기 (+) 및 (-)단자가 접합되는 접합부; 및 상기 접합부와 각각 전기적 연결되는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COUPLING STRUCTURE FOR MEASURING BATTERY OF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을 적층하고 이를 직렬 연결하여 고전압을 형성하는 자동차용 배터리에 있어, 배터리 전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각 배터리 셀 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를 공정 별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사용되는 와이어(200)에 압착되는 버스 바(210) 및 터미널(22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고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 개의 배터리 셀(110)이 적층되는 타입의 자동차용 배터리는 각 배터리 셀(110)의 양 단에 노출되는 (+) 및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와이어(200), 버스 바(210)(bus bar) 등을 사용하였다. 이 때, 와이어(200)의 단부에는 버스 바(210) 또는 터미널(220)이 압착 결합되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는 배터리 셀(110)을 안정적으로 적층시키기 위해 배터리 셀(110)이 안착될 수 있는 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 때, 셀 플레이트에는 양 단을 가로지르는 끼움 홈(111)이 형성된다. 그러면, 끼움 홈(111)에 와이어(200)를 끼워 넣는다. 그 다음, 배터리 셀(110)을 셀 플레이트 상면에 배치시킨다. 그리고, 배터리 셀(110)의 (+) 및 (-)단자와 버스 바(2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런 과정은 적층되는 배터리 셀(110)의 개수에 따라 반복적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종래 버스 바(210) 타입은 와이어(200)에 대한 버스 바(210) 또는 터미널(220)의 압착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 조립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터리 셀(110)이 적층될 때마다 레이져 용접을 해야 하는 이유로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회로 기판에 터미널(220)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구조 예를 들어, 볼트 결합 구조가 더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와이어(200), 버스 바(210) 및 터미널(220)을 사용하면 배터리의 전체 무게가 증가하여 연비 향상을 위한 경량화에 역행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동시에 부품 수의 증가로 인해 부품의 제조 및 개발 비용, 그리고 부품 관리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 생산성 향상 - 버스 바 타입보다 간결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와이어에 대한 버스 바 또는 터미널의 압착 공정을 제외시키는 공정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신규한 연결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나. 중량 및 부피 절감 - 50% 이상의 경량화를 실현하여 자동차의 연비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동시에, 부피 절감으로 비엠에스 및 배터리의 쿨링 시스템의 효율적 배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다. 개발비 절감 - 사용되는 부품 수의 감소를 통해 부품의 제조 및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그 관리 비용을 절감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일 측에 (+)단자가 돌출 형성되고, 타 측에 (-)단자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 및 (-)단자가 상하 교대하면서 복수 개가 적층되는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이 직렬 연결되게 인접하는 상기 (+) 및 (-)단자가 접합되는 접합부; 및 상기 접합부와 각각 전기적 연결되는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접합부는 상기 (+) 및 (-)단자가 각각 수직하게 밴딩되어 면 접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부는 레이져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에는 일 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부 및 상기 연결부는 레이져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배터리 전압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커넥터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가. 생산성 향상 - 연성 회로 기판을 레이져 용접에 의해 접합부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어 버스 바 타입보다 간결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동시에, 와이어에 대한 버스 바 또는 터미널의 압착 공정이 제외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 결과,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신규한 연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나. 중량 및 부피 절감 - 연성 회로 기판을 이용한 대체 공법을 통해 50% 이상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자동차의 연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동시에, 부피 절감으로 비엠에스 및 배터리의 쿨링 시스템의 효율적 배치가 가능하다.
다. 개발비 절감 - 종래 와이어, 버스 바 및 터미널이 더 이상 불필요하여 사용되는 부품 수가 감소되며 이를 통해 부품의 제조 및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그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를 공정 별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사용되는 와이어에 압착되는 버스 바 및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을 공정 별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접합부가 형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접합부와 연성 회로 기판이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4의 맨 마지막 도면에 대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을 공정 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는 배터리 셀(110), 접합부(20) 연성 회로 기판(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배터리 셀(110)은 셀 플레이트에 각각 단일 개가 안착되며, 복수 개가 적층되어 고전압 배터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셀(110)의 일 측에는 (+)단자가 돌출 형성되고, 타 측에는 (-)단자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때, 각 단자는 미세 두께(일 실시예에 따르면, 0.3 mm)를 갖는다.
셀 플레이트는 전술한 것처럼 복수 개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고전압을 형성하는데, 이를 위해 적층되는 각 배터리 셀(110)은 단자의 극성이 상하 서로 교대되도록 배치해야 한다. 이는, 배터리 셀(110)의 각 전압이 합산되어 전체 전압을 생성하는 배터리의 직렬 연결을 고려할 때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즉, 맨 아래 (+) 및 (-)단자가 어느 일 방향을 향하도록 셀 플레이트를 배치하면, 그 바로 위에는 (-) 및 (+)단자가 배치되도록 셀 플레이트를 교대하여 배열해야 한다. 그리고, 동일 방법으로 셀 플레이트를 적층하면 소정 설계 전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접합부(20)가 형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하 위치 관계를 갖는 인접하는 서로 다른 극성의 두 단자, 즉 (+) 및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 및 (-)단자는 셀 플레이트의 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각 단자는 셀 플레이트 면과 수직하게 밴딩된다. 즉, 상측에 위치하는 단자는 하측으로 90도 절곡되고, 하측에 위치하는 단자는 상측으로 90도 절곡된다.
이 때, 밴딩되는 각 단자는 일정 부분 중첩되어 면 접촉되게 대향 배치된다. 한편, 그 접촉으로 인해 접합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 및 (-)단자가 접합되는 접합부(20)가 형성된다. 이 때, 접합부(20)는 예를 들어, 레이져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져 용접은 접합면의 유격 발생 가능성이 낮고, 접합면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어 접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용 레이져 용접 지그를 이용한다. 용접 지그는 레이져 용접을 할 때, 가이드 역할을 하며 접합면이 평평한 구조를 갖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레이져 용접은 접합면에 대해 레이져를 몇 포인트 조사하여 접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접합부(20)는 미세 두께를 갖는 (+) 및 (-)단자가 면 접촉되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배터리 셀(110)은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배터리 셀(110)의 전압은 3.75V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전체 전압은 48V이다.
도 6은 접합부(20)와 연성 회로 기판(30)이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연성 회로 기판(30)이 접합부(2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연성 회로 기판(30)에는 연결부(34)를 더 포함한다.
연성 회로 기판(30)은 내부에 복수 개의 가닥을 갖는 선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배터리 셀(110)의 각 전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30)은 6선 및 7선을 갖도록 형성된다. 연성 회로 기판(30)은 잘 휘어지는 플렉서블한 특성으로 인해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를 형성할 때 보다 향상된 조립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34)는 연성 회로 기판(30)의 연장 방향 일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로 형성된다. 이 때, 연결부(34)는 접합부(20)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성 회로 기판(30)을 이용한 직부착 연결 공법을 적용하면 종래 대비 약 50% 이상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자동차의 연비 향상에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다. 동시에, 부피 절감으로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여 비엠에스(미도시) 및 배터리의 쿨링 시스템(미도시)의 효율적 배치가 가능하다.
도 7은 도 4의 맨 마지막 도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연성 회로 기판(30)은 접합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 전압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34)는 접합부(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연결 방법은 예를 들어, 레이져 용접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성 회로 기판(30)의 타단은 비엠에스(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 결과, 배터리 전압 신호를 비엠에스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방법은 예를 들어, 솔더링 등 전기 용접 또는 레이져 용접 등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와 달리, 타단에는 커넥터 단자(32)가 연결 형성되어 비엠에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비엠에스는 배터리의 일 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연성 회로 기판(30)은 길이가 서로 다른 2종류가 사용된다. 즉, 비엠에스에 인접하는 배터리 셀(110) 단자의 연결 어셈블리에는 짧은 것이 사용되며, 그 반대 편에 배치되는 연성 회로 기판(30)에는 보다 긴 것이 사용된다. 즉,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연성 회로 기판(30)을 비엠에스에 각각 연결하여 배터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에는 와이어, 버스 바 및 터미널 등의 부품이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그 결과, 와이어에 대한 버스 바 및 터미널의 압착 공정은 더 이상 불필요하다.
이는, 배터리 전원 모니터링을 위한 배터리 셀(110)의 연결 구조에 있어 조립 품질을 제고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부품 수의 감소로 인한 각 부품의 개발 및 제조 비용 그리고, 그 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10: 배터리 셀 20: 접합부
30: 연성 회로 기판 32: 커넥터 단자
34: 연결부

Claims (6)

  1. 일 측에 (+)단자가 돌출 형성되고, 타 측에 (-)단자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 및 (-)단자가 교대하면서 복수 개가 적층되는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이 직렬 연결되게 인접하는 상기 (+) 및 (-)단자가 접합되는 접합부; 및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일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접합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된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연성 회로 기판과 상기 길이가 짧은 연성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비엠에스에 연결되어 상기 각 배터리 셀의 전압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커넥터 단자와 일체로 형성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연성회로 기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 및 상기 (-)단자가 각각 수직하게 밴딩되어 면 접촉으로 형성되는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레이져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 및 상기 연결부는 레이져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
  6. 삭제
KR1020150183109A 2015-12-21 2015-12-21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 KR101872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109A KR101872834B1 (ko) 2015-12-21 2015-12-21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109A KR101872834B1 (ko) 2015-12-21 2015-12-21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073A KR20170074073A (ko) 2017-06-29
KR101872834B1 true KR101872834B1 (ko) 2018-06-29

Family

ID=59280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109A KR101872834B1 (ko) 2015-12-21 2015-12-21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8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404A1 (ko) * 2018-12-11 2020-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용 fpcb 조립체,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049B1 (ko) 2017-12-29 2020-03-11 주식회사 뉴트라팜텍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2395683B1 (ko) * 2018-12-26 2022-05-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pcb에 실장된 커넥터를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041B1 (ko) * 2009-12-03 2015-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pcb를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의 셀전압 모니터링 장치
CN102544616B (zh) * 2010-12-08 2014-07-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
KR20150062777A (ko) * 2013-11-29 2015-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404A1 (ko) * 2018-12-11 2020-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용 fpcb 조립체,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073A (ko)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7850B2 (en) Fram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309593B2 (en) Flexible circuit board and frame assembly including same
US11302984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nitoring unit mounting structure
JP6622163B2 (ja) 電池モジュールの電圧検出体及び電池パック
US8941386B2 (en) Busbar for battery electrode post connection and battery voltage monitor using the same
US9450219B2 (en) Battery module
US8998646B2 (en) Battery connecting assembly
CN106953060B (zh) 汇流条模块和汇流条模块制造方法
US20140205889A1 (en) Battery module
US10601017B2 (en) Conductor module
US10122007B2 (en) Cover assembly for a battery module
CN102195071A (zh) 可逆式电池组件和用于自动大量生产的工具
US10347895B2 (en) Conductive member module and battery pack
KR20150003864A (ko) 바이메탈 버스 바 조립체
US20160329606A1 (en) Battery pack
KR101928065B1 (ko) 버스바 어셈블리의 연결 구조
JP2013105698A (ja) 電源装置
US20140342212A1 (en) Cell contacting arrangement for an energy storage module
KR101872834B1 (ko)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
US20160268575A1 (en) Busbar and busbar module
CN105706272A (zh) 配备有具有改进的联接结构的感测模块的电池模块
JP2013080620A (ja) 電池用配線モジュール
KR101928066B1 (ko) 버스바 어셈블리의 연결 구조
JP2015179702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080621A (ja) 電池用配線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