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049B1 -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049B1
KR102088049B1 KR1020170183312A KR20170183312A KR102088049B1 KR 102088049 B1 KR102088049 B1 KR 102088049B1 KR 1020170183312 A KR1020170183312 A KR 1020170183312A KR 20170183312 A KR20170183312 A KR 20170183312A KR 102088049 B1 KR102088049 B1 KR 102088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composition
ski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046A (ko
Inventor
최봉근
이동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트라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트라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트라팜텍
Priority to KR1020170183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0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9Sophora, e.g. necklacepod or maman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항균용 또는 항염증 조성물, 및 피부 미백용,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칸디다 알비칸스 및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항균, 미백, 보습 및 탄력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Compositions for Feminine Cleanser Comprising Natural Extracts}
본 발명은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 외음부의 해부학적 구조는 치구(mons pubis), 대음순(labia majora), 소음순(labia minora), 음핵(clitoris), 전정(vestibule), 질어귀망울(vestibular bulbs), 회음(perineum)으로 구성되며 여성 생식기계 중 외부 구조에 해당된다. 여성의 외음부는 요도(urethra)와 질(vagina), 항문(anus)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트리코모나스균(Trichomonas vaginalis)이나 칸디다균(Candida albicans)과 같은 병원균의 침입이 쉽고 산성도를 갖춘 따뜻하고 습한 환경적 원인으로 균주의 성장이 용이하다. 이러한 여성 생식기의 비정상적인 세균 증식을 억제하고, 균주의 성장으로 발생하는 불쾌한 냄새를 줄이기 위해 여성용 청결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생식기계 오염뿐 아니라 뒷물욕, 비누, 세정제, 옷감 연화제나 세제, 콘돔의 고무 혹은 파우더 성분의 잔존과 비데사용의 증가는 질의 정상 미생물을 박탈 또는 박테리아에 의한 감염을 촉진시키며, 정상적인 질 내 세균군을 교란시켜 pH를 높이고 유산균(lactobacillus)을 감소 시킨다. 이러한 질 내 미생물 군락의 소실은 혐기성 세균의 증식으로 염증반응이 나타나는 세균성 질염(vaginitis)과 염증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질증(vaginosis)을 일으킬 수 있다. 칸디다 질염(vulvovaginal candidiasis: VVA)은 모든 여성의 75%가 일생에 적어도 한번은 경험한다고 보고하였으며, 그 중 일부는 만성적 재발성 칸디다 질염으로 발전한다. 여성의 질염과 질증은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부인과 질환이라고 보고하여 외음부에 대한 청결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천연물을 포함하는 여성청결제로, 와송 추출물, 사자발추출물, 한련초추출물, 황칠추출물, 마치현추출물, 고장초추출물 및 산죽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청결제(공개특허 제2017-0074073호), 측백나무 및 후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청결제(공개특허 제2006-0079775호), 효소처리된 싸주아리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청결제(공개특허 제2017-0119818호) 및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청결제(공개특허 제2015-0106070호) 등이 공지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7407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7977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11981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06070호
Mitsuharu OKI, Shigeki M. Habitual use of warm-water cleaning toilets is related to the aggravation of vagina l microflora. J. Obstet. Gynaecol.,5: 1071-1074, 2010. Cho SN. Updated treatment of vaginitis. Kor. J. Obstetrics Gynecol., 48: 2005. Van Der Pol B. Diagnosing vaginal infections: It's time to join the 21st century, Curr. Infect. Dis. Rep., 12: 225-230, 2010. Hurley R, De Louvois J. Candida vaginitis. Postgrad Med. J., 55: 645-647, 1979. Kent HL. Epidemiology of vaginitis. Am. J. Obstet. Gynecol., 165: 1168-1176, 1991. Haefner HK. Current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vulvovaginitis. Clin. Obstet Gynecol., 42: 184-95, 1999.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소재의 여성청결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고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병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창포 추출물 및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여성 질염의 원인균인 칸디다 알비칸스 및 가드너렐라 바지날리스에 항균 활성을 나타내고, 미백, 보습 및 항염 활성을 가짐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균용 또는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 미백용,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삼(Sophora flavescens) 추출물, 녹차(Camellia sinensis) 추출물, 작약(Paeonia lactiflora) 추출물, 병풀(Centella asiatica) 추출물, 감초(Glycyrrhiza uralensis) 추출물, 창포(Acorus calamus) 추출물 및 쑥(Artemisia princeps)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소재의 여성청결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고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병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창포 추출물 및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여성 질염의 원인균인 칸디다 알비칸스 및 가드너렐라 바지날리스에 항균 활성을 나타내고, 미백, 보습 및 항염 활성을 가짐을 규명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여성용 청결제'는 여성의 외음부의 청결 및 질염을 예방하는 목적의 외용제를 의미하고, 세정제용, 약제용, 화장료용, 물티슈용으로 적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고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병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창포 추출물 및 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병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창포 추출물 및 쑥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다.
고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병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창포 추출물 및 쑥 추출물의 조추출물 제조에 사용되는 한 용매에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0%이상 내지 100%(v/v)미만, 20%이상 내지 100%(v/v)미만, 30%이상 내지 100%(v/v)미만, 40%이상 내지 100%(v/v)미만, 50%이상 내지 100%(v/v)미만, 60%이상 내지 100%(v/v)미만, 70%이상 내지 100%(v/v)미만, 10%이상 내지 90%(v/v)미만, 20%이상 내지 90%(v/v)미만, 30%이상 내지 90%(v/v)미만, 40%이상 내지 90%(v/v)미만, 50%이상 내지 90%(v/v)미만, 60%이상 내지 90%(v/v)미만 또는 60%이상 내지 80%(v/v)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수용액, 예를 들어, 80%(v/v)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수용액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 수용액은 메탄올 수용액, 에탄올 수용액, 프로판올 수용액, 및 부탄올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탄올 수용액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병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창포 추출물 또는 쑥 추출물은 용매 조추출물을 추가의 용매로 분획한 용매 분획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용매 조추출물에 에틸에테르, 아세트산에틸, 및 부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한 용매 분획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삼, 녹차, 작약, 병풀, 감초, 창포 및 쑥을 각각 물 및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용매 조추출물을 에틸에테르, 아세트산에틸, 및 부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한 용매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고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병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창포 추출물 및 쑥 추출물은 고삼, 녹차, 작약, 병풀, 감초, 창포 및 쑥, 각각의 용매 조추출물, 용매 분획물을 포함하며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고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병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창포 추출물 및 쑥 추출물은 고삼, 녹차, 작약, 병풀, 감초, 창포 및 쑥, 각각의 꽃, 잎, 줄기 및 뿌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물 및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조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10%이상 내지 100%(v/v)미만, 20%이상 내지 100%(v/v)미만, 30%이상 내지 100%(v/v)미만, 40%이상 내지 100%(v/v)미만, 50%이상 내지 100%(v/v)미만, 60%이상 내지 100%(v/v)미만, 70%이상 내지 100%(v/v)미만, 10%이상 내지 90%(v/v)미만, 20%이상 내지 90%(v/v)미만, 30%이상 내지 90%(v/v)미만, 40%이상 내지 90%(v/v)미만, 50%이상 내지 90%(v/v)미만, 60%이상 내지 90%(v/v)미만 또는 60%이상 내지 80%(v/v)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수용액, 예를 들어, 70%(v/v)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수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병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창포 추출물 및 쑥 추출물의 제조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삼, 녹차, 작약, 병풀, 감초, 창포 또는 쑥을 절단하고 물로 세척하여 협착물을 제거한 후, 상기 고삼, 녹차, 작약, 병풀, 감초, 창포 또는 쑥의 중량에 대하여 약 1 내지 20배 중량의 추출용매로 환류 추출한다.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모은다. 추출 온도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15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인 것이 좋다.
추출공정은 1회 또는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예에서는 1차 추출 후 다시 재추출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는데, 이는 생약추출물을 대량 생산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여과를 한다 하더라도 생약 자체의 수분 함량이 높기 때문에 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1차 추출만으로는 추출효율이 떨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각 단계별 추출효율을 검증한 결과 2차 추출에 의해 전체 추출량의 80 내지 90% 정도가 추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추출공정을 2회 반복하는 경우, 상기 얻어진 잔사에 다시 추출용매, 약 5 내지 15 부피배,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부피배로 환류 추출한다. 추출 후 여과하고 이전에 얻어진 여과액과 합쳐서 감압농축을 하여 고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병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창포 추출물 및 쑥 추출물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2차에 걸친 추출 및 각각의 추출 후 얻어진 여과액을 혼합함으로써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추출물이 추출 회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병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창포 추출물 및 쑥 추출물의 제조 시에 사용되는 용매의 양이 너무 적으면 교반이 어렵게 되고 추출물의 용해도가 낮아져 추출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지나치게 많은 경우는 다음의 정제단계에서 사용되는 용매의 사용량이 많아져 경제적이지 못하여 취급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용매의 사용량은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얻어진 여과된 추출물은 잔존하는 저급 알코올의 함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농축물 총량의 약 10 내지 30 중량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배의 물로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회 공비 농축하고 재차 동량의 물을 가하여 균질하게 현탁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의 고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병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창포 추출물 및 쑥 추출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추출 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법일 수 있으며, 예컨대, 냉침,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추출물'은 용매 조추출물, 특정 용매 가용 추출물(용매 분획물) 및 용매 조추출물의 용매 분획물을 포함하며, 상기 고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병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창포 추출물 및 쑥 추출물의 용액, 농축물 또는 분말 상태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 성분으로서의 혼합 추출물은 고삼 추출물 0.1 내지 4.0 중량부, 녹차 추출물 0.1 내지 4.0 중량부, 작약 추출물 0.1 내지 4.0 중량부, 병풀 추출물 0.1 내지 4.0 중량부, 감초 추출물 0.1 내지 4.0 중량부, 창포 추출물 0.1 내지 4.0 중량부 및 쑥 추출물 0.1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 성분으로서의 혼합 추출물은 고삼 추출물 0.1 내지 2.0 중량부, 녹차 추출물 0.1 내지 2.0 중량부, 작약 추출물 0.1 내지 2.0 중량부, 병풀 추출물 0.1 내지 2.0 중량부, 감초 추출물 0.1 내지 2.0 중량부, 창포 추출물 0.1 내지 2.0 중량부 및 쑥 추출물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 성분으로서의 혼합 추출물은고삼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녹차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작약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병풀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감초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창포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및 쑥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 성분으로서의 혼합 추출물은 고삼 추출물 1.0 중량부, 녹차 추출물 1.0 중량부, 작약 추출물 1.0 중량부, 병풀 추출물 1.0 중량부, 감초 추출물 1.0 중량부, 창포 추출물 1.0 중량부 및 쑥 추출물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 성분으로서의 혼합 추출물은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전체 중 1-50 중량%, 1-40 중량%, 1-30중량%, 1-20 중량%, 1-10 중량%또는 5-10 중량%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고삼, 녹차, 작약, 병풀, 감초, 창포 및 쑥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고삼, 녹차, 작약, 병풀, 감초, 창포 및 쑥의 복합추출물은 (i) 고삼, 녹차, 작약, 병풀, 감초, 창포 및 쑥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단일 추출 공정을 통해 제조되거나, (ii) 고삼, 녹차, 작약, 병풀, 감초, 창포 또는 쑥, 단일 성분의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후 7가지 성분의 추출물을 혼합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의 고삼, 녹차, 작약, 병풀, 감초, 창포 및 쑥의 배합 중량비(w/w)는 추출 공정을 거치기 전 각각의 성분들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 : 0.5 내지 2 : 0.5 내지 2 : 0.5 내지 2 : 0.5 내지 2 : 0.5 내지 2 : 0.5 내지 2이다.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5 : 0.8 내지 1.5 : 0.8 내지 1.5 : 0.8 내지 1.5 : 0.8 1.5 : 0.8 내지 1.5 : 0.8 내지 1.5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 : 1 : 1 : 1 : 1: 1이다.
본 명세서 상의 용어 “배합중량비(w/w)"는 추출공정을 거치기 전 각각의 성분들의 중량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이 고삼, 녹차, 작약, 병풀, 감초, 창포 및 쑥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단일 추출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경우,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고삼, 녹차, 작약, 병풀, 감초, 창포 및 쑥, 각각의 단일 성분들의 중량비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이 고삼, 녹차, 작약, 병풀, 감초, 창포 또는 쑥, 단일 성분의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후 7가지 성분의 추출물을 혼합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경우, 다음 계산식에 의해 계산되는 ‘단일성분기준중량’들간의 중량비를 나타낸다:
[계산식]
단일 성분 기준 중량 = 단일 추출물 제조에 이용된 단일 성분의 중량 * (최종 복합 추출물 제조를 위해 사용된 단일 추출물의 중량/제조한 단일 추출물의 중량).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부형제, 보존제, 피부컨디셔닝제, 착향제 또는 이의 조합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부형제'는 다른 성분과 상호작용 하지 않고 비독성인 실질적으로 불활성인 물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부형제는 황산나트륨, 카올린, 테레핀유,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포스페이트, 술페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말로네이트, 벤조에이트, 물, 식염수, 폴리에틸렌글리콜, 히알루론산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보존제'는 방부력 또는 항산화력을 가져 장기간 제품의 변질을 막고 원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존제는 벤질알콜, 페녹시에탄올, 메칠파라벤, 에칠파라벤, 이소프로필, 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부틸파라벤, 안식향산, 디히드로초산, 소르빈산, 클로페네신, 살리실산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피부컨디셔닝제'는 피부를 부드럽고 유연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물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아데노신, 나이아신아마이드, 알로에베라 추출물, 몰약추출물, 올리브잎추출물, 천궁추출물, 연꽃잎추출물,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부틸렌글라이콜,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착향제'는 특유의 향 또는 냄새를 일으키는 단일 또는 조합물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엘멘톨, 방향성 화학물질, 정유, 천연 추출물, 아로마, 수지성레진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고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병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창포 추출물 및 쑥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 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병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창포 추출물 및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또는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항균용 또는 항염증 조성물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또는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다.
상기 칸디다 알비칸스 및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는 질염의 원인균이다.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은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염증"은 물리적인 외상, 유해한 화학물질,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나 생체 내 대사산물 중의 자극성 물질에 의하여 야기되는 조직 손상에 대하여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정상적이고 보호적인 생체내 방어기전을 의미한다. 생체에 있어서 염증의 발생원인으로서는 다양한 생화학적인 현상이 관여하고 있다. 대식세포(Macrophage)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세포로 화학적 자극에 의하여 여러가지 사이토카인(cytokine)과 질소산화물(NO)을 생성하여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대식세포에서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나 인터페론γ, TNF-α와 같은 사이토카인 자극에 의해 발현되는 유도성 질소산화물 합성효소(iNOS)는 장시간 동안 다량의 질소산화물(NO)을 생산한다.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IκB에 의하여 억제되어 있는 염증반응의 전사인자인 NF-κB 활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화된 NF-κB는핵으로이동하여 iNOS, COX-2 및 IL-1β나 TNF-α와 같은 여러 종류의 사이토카인 등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인자들을 저해하면 염증반응이 억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항염증"은 상기 염증의 억제, 경감 또는 제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염증 질환의 발전의 억제; 염증 질환의 경감; 및 염증 질환의 제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억제시켜 염증 반응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염증 질환은 질염, 피부염, 알레르기, 부종,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간직성척추염, 류마티스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증후군(sjogren’s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또는 만성 염증 질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염증 질환은 질염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고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병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창포 추출물 및 쑥 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발명은 고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병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창포 추출물 및 쑥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식일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피부, 정맥, 근육, 피하 등의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피부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00 ㎎/㎏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또는 젤(예컨대, 하이드로젤)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병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창포 추출물 및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용 또는 항염증 조성물, 및 피부 미백용,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앞서 기재된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의 성분과 동일한 성분을 포함하므로, 이들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항균용 또는 항염증 조성물, 및 피부 미백용,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은 칸디다 알비칸스 및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c) 본 발명의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항균, 미백, 보습 및 탄력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B16F10의 세포생존율(%)에 대한 혼합 조성물(100, 200 및 300 ug/ml)의 영향을 나타낸다.
도 2는 B16F10의 멜라닌생성에 대한 혼합 조성물(100, 200 및 300 ug/ml)의 영향을 나타낸다.
도 3은 HaCaT의 세포생존율(%)에 대한 혼합 조성물(100, 200 및 300 ug/ml)의 영향을 나타낸다.
도 4는 HaCaT의 HAS2 mRNA 발현에 대한 혼합 조성물(100, 200 및 300 ug/ml)의 영향을 나타낸다.
도 5는 HaCaT의 AQP3 mRNA 발현에 대한 혼합 조성물(100, 200 및 300 ug/ml)의 영향을 나타낸다.
도 6은 RAW264.7의 세포생존율(%)에 대한 혼합 조성물(100, 200 및 300 ug/ml)의 영향을 나타낸다.
도 7은 RAW264.7의 NO 생성에 대한 혼합 조성물(100, 200 및 300 ug/ml)의 영향을 나타낸다.
도 8은 혼합 조성물의 도포에 의한 여성 겨드랑이의 표피 수분 변화를 나타낸다.
도 9는 혼합 조성물의 도포에 의한 여성 겨드랑이의 표피 수분 개선율(%)을 나타낸다.
도 10은 혼합 조성물의 도포에 의한 여성 겨드랑이의 진피 수분 변화를 나타낸다.
도 11은 혼합 조성물의 도포에 의한 여성 겨드랑이의 진피 수분 개선율(%)을 나타낸다.
도 12는 혼합 조성물의 도포에 의한 여성 겨드랑이의 경피 수분 변화를 나타낸다.
도 13은 혼합 조성물의 도포에 의한 여성 겨드랑이의 경피 수분 개선율(%)을 나타낸다.
도 14는 혼합 조성물의 도포에 의한 여성 겨드랑이의 진피 치밀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5는 혼합 조성물의 도포에 의한 여성 겨드랑이의 진피 치밀도의 개선율(%)을 나타낸다.
도 16은 혼합 조성물의 도포에 의한 여성 겨드랑이의 L 값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7은 혼합 조성물의 도포에 의한 여성 겨드랑이의 L 값 개선율(%)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실시예 1: 고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병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창포 추출물 및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의 제조
1) 유효 성분 단일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고삼(Sophora flavescens, 뿌리, 경동시장, 국내산), 녹차(Camellia sinensis, 잎, 경동시장, 국내산), 작약(Paeonia lactiflora, 뿌리), 병풀(Centella asiatica, 잎, 경동시장, 국내산), 감초(Glycyrrhiza uralensis, 뿌리, 경동시장, 국내산), 창포(Acorus calamus, 뿌리, 경동시장, 국내산) 또는 쑥(Artemisia princeps, 잎, 경동시장, 국내산) 100 g(동일중량)을 생약 분쇄기로 10 내지 200 mesh 크기로 분쇄한 후, 중량의 10배수의 증류수와 혼합한 후 100℃에서 12시간 환류 추출하였다. 이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제균여과 한 후 여과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농축액을 고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작약 추출물, 병풀 추출물, 감초 추출물, 창포 추출물 및 쑥 추출물로 각각 사용하였다.
2) 유효 성분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청결제의 제조
고삼, 녹차, 작약, 병풀, 감초, 창포, 쑥의 기능성 성분 또는 약리 성분을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이 과도하게 사용될 경우의 부작용과 용해도를 고려하여, 고삼 추출물 1 중량부, 녹차 추출물 1 중량부, 작약 추출물 1 중량부, 병풀 추출물 1 중량부, 감초 추출물 1 중량부, 창포 추출물 1중량부, 쑥 추출물 1중량부를, 블렌더를 사용하여 상온, 30 rpm의 조건에서 혼합하고, 당업계에 공지된 부형제 및 보존제를 첨가하여 전체 100 중량부가 되도록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부형제로서 황산나트륨 85.43 중량부, 카올린 0.5 중량부, 테레핀유 0.5 중량부,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 중량부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1 중량부를 사용하였고, 기타 성분으로 엘멘톨 0.5 중량부, 아데노신 0.05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2 중량부, 알로에베라추출물 0.02 중량부, 몰약추출물 1 중량부, 올리브잎추출물 1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유효 성분의 혼합비는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No. 원재료명 기준량(중량부)
1 고삼추출물 1
2 녹차추출물 1
3 작약추출물 1
4 병풀추출물 1
5 감초추출물 1
6 창포추출물 1
7 쑥추출물 1
실시예 2: 항균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의 항균활성은 디스크 확산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가드너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를 각각 효모 펩톤 덱스트로스 한천(Yeast Peptone Dextrose Agar) 배지 및 영양 한천(Nutrient agar) 배지에 200 ul (90 mm petri dish)에 분주하여 균일하게 도말하고, 멸균 페이퍼 디스크(8 mm)에 혼합 조성물을 각각 1, 5 및 10 mg/ml의 농도로 만든 용액을 30 ul/disc를 흡수시킨 다음, 각각 최적배양 온도에서 배양(칸디다 28℃, 24시간, 가드너렐라 37℃, 48시간)하여 페이퍼 디스크 주위의 생육저해환(inhibition zone)의 전체 직경을 측정하였다. 혼합 조성물의 농도별 칸디다 알비칸스와 가드너렐라 바지날리스에 대한 항균 활성은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 혼합 조성물 농도(ug/disc)
30 150 300
생육저해환 직경 (mm) 칸디다 알비칸스 8 10 15
가드너넬라 바지날리스 10 12 16
실시예 3: 미백 효과 실험
1) 세포 생존율 측정
10%(v/v) 우태아혈청(FBS), 100 units/ml 페니실린, 100 ug/ml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를 사용하여 마우스 흑색종 세포인 B16F10 세포(ATCC CRL-6475)를 37℃, 5% CO2의 조건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B16F10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1*103 cell/well의 농도로 분주한 후, 10%(v/v) FBS, 100 units/ml 페니실린, 100 ug/ml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시료 혼합 조성물을 각 웰에 100, 200 및 300 ug/ml의 농도로 처리하고 48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각 웰에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20 ul를 37℃에서 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각 웰에서 배양액을 제거하고 세포에 DMSO(Dimethyl sulfoxide) 용액을 50 ul 처리한 후,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리더기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계산하여 처리한 시료의 세포독성을 평가 하였다.
세포생존율(%)= 1-(시료 첨가군의 흡광도/시료 무첨가군의 흡광도)*100
혼합 조성물의 각 농도에서 B16F10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혼합 조성물은 100 ug/ml, 200 ug/ml, 300 ug/ml에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다(도 1).
2) 멜라닌 생성 억제 측정
B16F10 세포를 24 웰에 1*104 cell/well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세포를 부착시킨 후, 멜라닌 형성 촉진 호르몬(α-MSH, alpha-Melanocyte-stimulatinghormone) 20 nM과 혼합 조성물을 각 웰에 100, 200 및 300 ug/ml 농도로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PBS로 세포를 세척한 후 1 N NaOH를 각각의 웰에 500 ul 처리하고 37℃에서 20분 동안 항온반응 시킨 후, 튜브에 옮겨 99에서 30분 동안 방치하여 세포를 파괴하였다. 이를 96 웰에 200 ul씩 분주한 후 4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혼합 조성물은 100 ug/ml, 200 ug/ml, 300 ug/ml에서 α-MSH로 유도된 멜라닌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300 ug/ml의 농도에서 α-MSH에 의해 멜라닌 생성이 유도되기 전과 같은 멜라닌 형성 억제 효능을 보였다(도 2).
실시예 4: 보습 효과 실험
1) 세포생존율 측정
10%(v/v) 우태아혈청(FBS), 100 units/ml 페니실린, 100 ug/ml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DMEM 배지를 사용하여 인간표피각화세포(HaCaT) 세포를 37℃, 5% CO2 조건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HaCaT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1*103 cell/well의 농도로 분주한 후, 10%(v/v) FBS, 100 units/ml 페니실린, 100 ug/ml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시료 혼합 조성물을 각 웰에 100, 200 및 300 ug/ml 농도로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각 웰에 MTT 20 ul를 37℃에서 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각 웰에서 배양액을 제거하고 세포에 DMSO 용액을 50 ul 처리한 후, ELISA 리더기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계산하여 HaCaT 세포에 대한 혼합 조성물의 세포독성을 평가 하였다.
세포생존율(%)= 1-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시료 무첨가군의 흡광도)*100
혼합 조성물의 각 농도에서 HaCaT 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혼합 조성물은 100 ug/ml, 200 ug/ml, 300 ug/ml에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다(도 3).
2) HAS2 및 AQP3의 mRNA 발현량 측정
앞에서 배양한 HaCaT 세포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3*104 세포/웰 의 농도로 분주한 후 10%(v/v) 우태아혈청(FBS)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다시 우태아혈청(FBS)을 포함하지 않는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시료(DMSO, 글리세롤 또는 실시예 1의 혼합 조성물)를 각 웰에 100, 200 및 300 ug/ml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 후 Trizol 시약으로 세포를 용해하여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RNA를 분리하였다. RNA 퀄리티는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260/280 ㎚의 흡광도 비 값이 1.9-2.1 사이에 위치하고, 아가로즈 겔 전기영동으로 RNA 가닥의 절편화 유무를 판단하였다. 정량한 RNA를 1st 스트랜드 cDNA 합성 키트를 사용하여 역전사하여 cDNA로 만들고 HA(hyaluronic acid) 합성에 관여하는 HAS2(Hyaluronan synthase 2)와 수분 보유력에 관여하는 AQP3(aquaporin3)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각각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간 PCR을 수행하였다. 실-시간 PCR에 사용한 프라이머는 Bioneer사(대한민국, 대전)로부터 구입하였으며, 염기서열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간 PCR은 cDNA와 SYBR Green(Takara), PCR 정방향 프라이머, PCR 역방향 프라이머를 혼합하고 다음과 같은 증폭 조건에서 Lightcycler 96 시스템(Roche)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94℃ 30초, 55℃ 30초 및 72℃ 1분을 40 주기 수행한 후 최종 연장반응은 72℃에서 7분 동안 실시.
GAPDH를 증폭한 결과의 표준화를 위한 기준으로 삼았다. 각 시료들은 3회 이상 시험하여 제시하였으며 결과는 도 4(HAS2)및 5(AQP3)와 같다.
유전자 명칭 염기서열(5'3') 서열번호
HAS2 정방향 프라이머 GATGTCGTGTCTTCGATGTGGTA 1
역방향 프라이머 GGGAGCTATAGAAAATTGTCATGTCA 2
AQP3 정방향 프라이머 ACCTTTGCCATGTGCTTCCT 3
역방향 프라이머 GCGTCTGTGCCAGGGTGTA 4
GAPDH 정방향 프라이머 TCCTGTGGCATCCACGAAACT 5
역방향 프라이머 GAAGCATTTGCGGTGGACGAT 6
HAS2와 AQP3의 mRNA 발현량은 혼합 조성물의 처리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혼합 조성물은 양성 대조 시료인 글리세롤 2% 농도로 처리한 결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혼합 조성물이 피부 보습인자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 보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도 4 및 5).
실시예 5: 항염 효과 실험
1) 세포 독성 측정
배양한 RAW 264.7 세포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1*103 세포/웰 의 농도로 분주한 후, 10%(v/v) 우태아혈청(FBS), 100 units/㎖ 페니실린, 100 ㎍/㎖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이후, 시료를 각 웰에 100, 200 및 300 ug/ml의 농도로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 웰에 MTT 시약 20 ㎕를 36에서 4시간 동안 처리 후, 각 웰에서 배양액을 제거하고 세포에 DMSO 용액 50 ㎕를 처리한 후 ELISA 리더기를 이용하여 540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혼합 조성물의 각 농도에서 RAW 264.7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혼합 조성물은 100 ug/ml, 200 ug/ml및 300 ug/ml에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다(도 6).
2) NO 활성 측정
배양한 RAW264.7 세포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1*103 세포/웰의 농도로 분주한 후, 10%(v/v) 우태아혈청(FBS), 100 units/㎖ 페니실린, 100 ㎍/㎖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0.01 ug/ml의 LPS와 시료를 각 웰에 소정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50 ul의 상등액을 새 96 웰에 옮긴 후 NO(Nitric oxide) 측정 시약 (Griess Reagent) 50 ul과 15분 동안 반응시킨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LPS에 의해 증가한 NO의 생성을 300 ug/ml의 농도에서 억제 활성이 가장 큰 것을 확인하였다(도 7).
실시예 6: 피부 안정성 검사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혼합 조성물의 인체 피부에 대한 자극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20세 이상의 성인 32명을 대상으로 핀 챔버(Finn Chamber)를 이용하여 피부첩포시험을 실시하였다. 피시험자의 등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다음, 여과지 디스크(filter paper disc)를 직경 8 mm의 핀 챔버 내에 얹은 후, 혼합 조성물 20 uL를 적사하고 시험부위에 부착하여 고정하였다. 혼합 조성물을 멸균된 1차 증류수에 용해하여 적용하였다. 첩포는 24시간 동안 부착하였고, 첩포 제거 후 30분, 24시간, 경과 후 피부과 전문의에 의하여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의 판정기준(표 4)에 따라 자극 정도를 관찰하였다.
기호 판정기준 점수
- 무자극 0
± 미자극, 희미한 또는 가까스로 감지할 수 있는 가벼운 홍반 0.5
+ 경자극,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1
++ 중자극,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2
+++ 강자극, 심한 홍반 및 대수포, 가피형성 3
반응자수 피부반응도 평균피부반응도
30분 경과 24시간 경과 48시간 경과
0 0.0 0.0 0.0 0.00
그 결과, 혼합 조성물은 첩포 제거 후 30분, 24시간, 48시간 경과 후에 자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평균 피부반응도는 0.00으로 판정기준에 따라 무자극으로 판정되었다(표 5).
실시예 7: 효능 검사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혼합 조성물의 인체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20세 이상의 성인 여성 22명을 대상으로 효능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기간은 4주로 1일 1회 샤워 후, 혼합 조성물 800 mg을 미온수 5-10 mL에 용해시킨 후 외음부와 외음부와 피부 타입이 가장 유사한 겨드랑이 부위에 고르게 분사하여 흡수시켰다.
1) 겉보습 개선 평가
혼합 조성물의 겉보습 개선 평가를 위하여 Epsilon E100(Biox Systems Ltd., UK)을 적용하여 혼합 조성물의 사용 전과 2주 및 4주 사용 후의 겉보습 개선을 평가하였다. Epsilon E100은 피부 수분량이 높을수록 이미지 결과물의 명도가 증가한다. Epsilon E100을 이용하여 겨드랑이 부위의 겉보습 개선도를 분석하였다. 도 8은 표피의 수분변화 결과이고, 도 9는 표피의 수분 개선율 결과이다.
표피 수분 개선율(%)= [(사용 후 측정값 - 사용 전 측정값)/사용 전 측정값]*100
겉보습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 표피 수분이 혼합 조성물의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27.23%, 4주 사용 후 44.25%로 표피 부분 개선율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와 함께 표피 수분 변화 또한 사용 전에 비해 증가하였으므로 혼합 조성물이 겉보습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도 8 및 9).
2) 속보습 개선 평가
혼합 조성물의 겉보습 개선 평가를 위하여 MoistureMeterD Compact (Delfin Technologies Ltd., Finland)를 적용하여 혼합 조성물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속보습 개선을 평가하였다. MoistureMeterD Compact는 300 MHz의 주파수에서 2 mm 깊이의 피부 조직 유전율을 측정하며, 측정단위는 %이다. 겨드랑이 부위의 속보습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는 도 10(진피 수분 변화) 및 11(진피 수분 개선율)과 같다.
진피 수분은 사용 4주 후 사용 전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속보습 개선율을 분석한 결과 진피 수분이 혼합 조성물의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7.38%, 4주 사용 후 15.74%가 증가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혼합 조성물이 속보습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도 10 및 11).
3) 피부수분 손실량
혼합 조성물의 피부수분손실량 개선 평가를 위하여 Vapometer (Delfin Technologies Ltd., Finland)를 적용하여 혼합 조성물의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수분 손실량 개선을 평가하였다. Vapometer는 습도 센서를 통하여 챔버 내부의 상대 습도 증가에 의한 증발량을 측정하며 측정 단위는 g/m2/h이다. 겨드랑이 부위의 피부수분 손실량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는 도 12(경피수분손실량 변화) 및 13(경피수분손실량 개선율)와 같다.
경피수분손실량 개선율(%) = [(사용 후 측정값 - 사용 전 측정값)/사용 전 측정값]*100
피부수분손실량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 경피수분손실량이 혼합 조성물의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19.27%, 4주 사용 후 24.00%가 개선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혼합 조성물이 피부수분손실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도 12 및 13).
4) 진피치밀도(탄력) 개선 평가
혼합 조성물의 진피치밀도(탄력) 개선 평가를 위하여 DUB-Skin 스캐너(Taberna pro medicum, Luneburg, Germany)를 적용하여 혼합 조성물의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피부 진피치밀도(탄력) 개선을 평가하였다. 초음파 영상화 장치인 DUB-Skin 스캐너로 표피 바로 아래에서 피하지방층 윗부분으로 한정하여 인텐시티(intensity)를 측정 및 분석하였다. 겨드랑이 부위의 피부 진피치밀도(탄력)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는 도 14(진피치밀도 변화) 및 15(진피치밀도 개선율)와 같다.
진피 치밀도 개선율(%) = [(사용 후 측정값 - 사용 전 측정값)/사용 전 측정값]*100
진피 치밀도(탄력)개선도를 분석한 결과, 진피치밀도가 혼합 조성물의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7.17%, 4주 사용 후 13.36%가 증가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는 혼합 조성물이 피부 진피치밀도(탄력)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도 14 및 15).
5) 피부톤 (맑기) 개선
혼합 조성물의 피부톤(맑기) 개선 평가를 위하여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CM-2600D, Konica Minolta, Japan)를 적용하여 혼합 조성물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피부톤(맑기) 개선을 평가하였다. 분광광도계의 명암(Brightness)값인 L 값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겨드랑이 부위의 피부톤(맑기)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는 도 16(L 값 변화) 및 17(L 값 개선율)과 같다.
L값 개선율(%) = [(사용 후 측정값 - 사용 전 측정값)/사용 전 측정값]*100
피부톤(맑기)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 피부의 밝기를 나타내는 L 값이 혼합 조성물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0.91%, 4주 사용 후 1.10%가 증가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혼합 조성물이 피부톤(맑기)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도 16 및 17).
6) 피시험자의 혼합 조성물 사용 후 사용감 조사
만족/불만족의 양자택일형을 이용하여 피시험자의 사용감을 설문조사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문항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보습감 100% 100%
탄력감 95.5% 90.9%
브라이트닝 100% 86.4%
산뜻함 95.5% 95.5%
전체적인 만족도 100% 100%
피시험자의 사용감을 조사한 결과 보습감은 모두 만족하였으며 탄력감 또한 2주 4주 사용 후 90%이상 만족하였다. 브라이트닝은 4주 사용 후 피시험자의 86.4%가 만족감을 나타내었으며 산뜻함 또한 피시험자의 95.5%가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7) 피시험자의 혼합 조성물 사용 후 외음부 피부상태 조사
선다형을 이용하여 피시험자의 혼합 조성물 사용 후 외음부 피부상태를 설문조사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문항 2주 사용 후
(그렇다 이상)
4주 사용 후
(그렇다 이상)
건조했던 외음부 피부가 촉촉해진 것 같다 77.3% 100%
외음부 피부에 탄력이 생긴 것 같다 68.2% 77.3%
외음부 피부가 밝아진 것 같다 50% 86.4%
외음부가 청결하고 산뜻해진 것 같다 90.9% 90.9%
외음부 냄새가 완화된 것 같다 4.5% 100%
외음부의 가려움이 줄어들어 불편함이 사라진 것 같다 100% 100%
피시험자의 사용 후 피부 상태를 설문 조사한 결과, 건조했던 외음부 피부가 촉촉함과 동시에 가려움이 줄어들어 불편함이 사라졌다고 100% 응답하였다. 또한 외음부의 탄력이 4주 사용 후 77.3% 개선되었다고 응답하였으며 외음부 피부가 밝아짐을 86.4% 의 피시험자가 개선되었음을 응답하였다. 외음부가 청결하고 산뜻해짐을 90.9%의 피험자가 응답하였고, 4주 사용의 100%의 피시험자가 외음부 냄새가 완화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NutraPharm Tech Co., Ltd <120> Compositions for Feminine Cleanser Comprising Natural Extracts <130> PN170300 <160> 6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S2 forward primer <400> 1 gatgtcgtgt cttcgatgtg gta 23 <210> 2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S2 reverse primer <400> 2 gggagctata gaaaattgtc atgtca 26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QP3 forward primer <400> 3 acctttgcca tgtgcttcct 20 <210> 4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QP3 reverse primer <400> 4 gcgtctgtgc cagggtgta 19 <210> 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forward primer <400> 5 tcctgtggca tccacgaaac t 21 <210> 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reverse primer <400> 6 gaagcatttg cggtggacga t 21

Claims (5)

  1. 고삼(Sophora flavescens) 추출물, 녹차(Camellia sinensis) 추출물, 작약(Paeonia lactiflora) 추출물, 병풀(Centella asiatica) 추출물, 감초(Glycyrrhiza uralensis) 추출물, 창포(Acorus calamus) 추출물 및 쑥(Artemisia princeps)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고삼 추출물 0.1 내지 4.0 중량부, 녹차 추출물 0.1 내지 4.0 중량부, 작약 추출물 0.1 내지 4.0 중량부, 병풀 추출물 0.1 내지 4.0 중량부, 감초 추출물 0.1 내지 4.0 중량부, 창포 추출물 0.1 내지 4.0 중량부 및 쑥 추출물 0.1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83312A 2017-12-29 2017-12-29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2088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312A KR102088049B1 (ko) 2017-12-29 2017-12-29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312A KR102088049B1 (ko) 2017-12-29 2017-12-29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046A KR20190081046A (ko) 2019-07-09
KR102088049B1 true KR102088049B1 (ko) 2020-03-11

Family

ID=6726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312A KR102088049B1 (ko) 2017-12-29 2017-12-29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0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074B1 (ko) 2021-08-19 2022-03-18 제이엔씨벤자롱주식회사 보습과 살균효과를 제공하는 피부 청결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응용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786B1 (ko) * 2019-11-05 2021-05-0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쑥 추출물 및 지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KR102213286B1 (ko) * 2020-07-31 2021-02-05 정소영 질염의 치료 및 자궁경부이형성증의 예방용 한약 조성물
KR102642480B1 (ko) * 2021-03-11 2024-03-04 (주)또르르 생물전환된 식물 소재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1756A (ko) * 2004-06-30 2006-01-06 송윤강 쑥,솔순,감초가 흡착된 위생용 생리대
KR100795512B1 (ko) * 2006-05-19 2008-01-16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병풀 및 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
KR20060079775A (ko) 2006-06-07 2006-07-06 (주)퓨어마린 나노 캡슐화 된 측백나무·후박나무추출물이 함유된여성청결제의 제조방법
KR101125758B1 (ko) * 2009-03-18 2012-03-27 정산생명공학 주식회사 여성 국부 청결용 세정제 조성물
KR20150106070A (ko) 2014-03-11 2015-09-21 박현철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세안제품
KR101872834B1 (ko) 2015-12-21 2018-06-2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배터리 전원 측정을 위한 연결 구조
KR101849661B1 (ko) 2016-04-20 2018-04-17 (주)에스디생명공학 효소 처리된 싸주아리 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기사 통일신문 http://www.unityinfo.co.kr/sub_read.html?uid=23973&section=sc28 (2017.12.0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074B1 (ko) 2021-08-19 2022-03-18 제이엔씨벤자롱주식회사 보습과 살균효과를 제공하는 피부 청결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응용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046A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049B1 (ko)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1345709B1 (ko)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항균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KR102192317B1 (ko) 천연 추출물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20110038499A (ko) 호장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스틸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10082335A (ko)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68721A (ko) 개머루덩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6 매개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70736B1 (ko)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양증 개선용 조성물
AU2014315877A1 (en) Composition containing monoacetyldiacylglycerol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KR102142461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702329B1 (ko) 백굴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7748B1 (ko)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9969B1 (ko) 절패모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20758B1 (ko)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4566B1 (ko) 택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7247B1 (ko) 김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36214A (ko) 상승효과를 갖는 장미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및 칸디다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81211A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48786B1 (ko) 쑥 추출물 및 지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KR102245617B1 (ko) 장미 추출물 및 지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KR102488955B1 (ko) 피부 보습 능력을 보유한 여성청결제
KR102237512B1 (ko) 상승효과를 갖는 장미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및 칸디다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2443B1 (ko) 달맞이꽃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543922B1 (ko) 말오줌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965420B1 (ko) 큰개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